KR2006008481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814A
KR20060084814A KR1020060006298A KR20060006298A KR20060084814A KR 20060084814 A KR20060084814 A KR 20060084814A KR 1020060006298 A KR1020060006298 A KR 1020060006298A KR 20060006298 A KR20060006298 A KR 20060006298A KR 20060084814 A KR20060084814 A KR 2006008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absorbent article
masking member
sheet
surfac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170B1 (ko
Inventor
준 구도
치에미 하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잘못된 교체 시간을 인식시키는 일이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흡수체(4)와, 이 흡수체를 덮는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를 구비하고, 흡수체(4)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마스킹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마스킹 부재(5)는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는 소공을 갖는 다공질 필름이며, 그 두께는 20 g/cm2 하중 하에서 0.4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의 측연 부분으로 액체가 배어 나오는 일이 없어 착용자가 교체 시간을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S}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리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리대의 X - X'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이다.
도 2b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생리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바람직한 마스킹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마스킹 부재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부재의 중첩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부재의 중첩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부재의 중첩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리대
2: 표면 시트
21: 톱 시트
22: 제2 시트
23: 열 융착부
3: 이면 시트
4: 흡수체
41: 흡수체 코어
42 연장부
5: 마스킹 부재
51: 저개공율면
51a: 소개공부
51b: 기준선
52: 고개공율면
52a: 대개공부
52b: 기준선
53: 리브
54: 소공
55: 오목부
56: 필름 기재
본 발명은 사용 중에 경혈 등의 체액이 은폐되는 은폐 효과를 갖는,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신체와 접촉하는 액 투과 용이성 표면 시트와, 그 반대면이 되는 액 투과 비용이성의 이면 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통상, 장착시에 착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하는 길이 방향과, 착용자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하는 폭 방향(가로 방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최근, 속옷이 더러워지는 일 등을 해소하기 위해 흡수체의 흡수력이 향상되고 있다.
흡수체가 체액을 흡수하면, 체액은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체의 전후 좌우로 균일하게 확산된다. 이 때, 상기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확산 거리가 길이 방향보다 줄어든다. 이 때문에, 체액은 우선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까지 확산한다. 그 후 길이 방향의 양단부까지 확산하여, 이 단계에서 흡수체의 흡수 용량을 다 쓰게 된다.
그러나,폭 방향의 양단부로 확산한 단계에서 체압에 의해 확산한 체액이 표면 시트로 이행하여 이 이행이 착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된 경우, 착용자는 이 단계에서 흡수체의 용량을 다 쓴 것으로 오인한다. 그 결과, 흡수 용량을 전부 다 쓰지 않고서 제품의 교체를 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흡수체의 주연부에 마스킹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흡수체의 주변에 은폐 효과를 발생시켜, 착용자에게 흡수체가 포화 상태(교체 시간)라고 하는 인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10-500048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주위에 마스킹 부재를 배치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잘못된 교체 시간이라는 시각적 인상을 주지 않게 된다. 그 러나, 제품 전체에 걸쳐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도 마스킹 효과를 발휘하여, 반대로 교체 시간을 시각적으로는 모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은 체압이 걸린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체압이 걸리면 흡수체로 한번 획득된 체액이 표면 시트측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다[웨트 백(WET BACK)]. 따라서, 마스킹 부재에도 체액의 통과를 일시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이 없으면, 흡수체로부터 외측으로 확산된 체액이 마스킹 부재를 투과하고 표면 시트에 부착하여 오염되기 쉽고, 그 결과로서 충분히 마스킹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체액의 통과 방지 기능에 대해, 특허문헌 1의 마스킹 부재에서는 검토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용자에게 잘못된 교체 시간을 인식시키는 일이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장착시에, 착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하는 길이 방향과, 착용자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하는 폭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의 발명에 의하면, 마스킹 부재를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길이 방향을 따라 1쌍 배치함으로써 흡수체로 획득되고, 게다가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체의 외측으로 확산된 체액이 체압에 의해 표면 시트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더라도, 마스킹 부재에 의해 표면 시트 부분을 은폐할 수 있다.
한편,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은폐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는 최종적인 교체 시간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부재는 흡수체보다 딱딱하고, 체압에 대하여 비교적 내성이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점막질인 배설구 부위에 배치하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만, 본 발명에서는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화감을 주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킹 부재를 길이 방향만을 따라 1쌍 배치함으로써,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함께 액체를 흡수했을 때의 외관이 달라 착용자에게 옳은 교체 시간을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마스킹 부재」란, 액체를 차폐할 수 있는 소정의 부피를 가진 부재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질 필름, 부직포, 우레탄폼 등이 이용된다.
(2) 상기 마스킹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는 소공(空孔))을 갖는 다공질 필름인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2)의 발명에 의하면, 마스킹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는 소공을 갖는 다공질 필름으로 함으로써, 체압에 의해 유출해 온 체액을 획득하여 일시적으로 소 공 내에 체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의 모세관 작용에 의한 확산이 누설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다공질 필름의 두께는 20 g/cm2 하중 하에서 0.4 mm 이상인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3)의 발명에 의하면, 다공질 필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체압이 걸린 상태에서도 흡수체와 표면 시트의 접촉을 막을 수 있으므로 표면 시트로 배어나온 액체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은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다공질 필름의 두께는 20 g/cm2 하중 하에서 0.4 mm 이상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5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이다. 체액이 표면 시트로 배어 나오는 것이 아니더라도, 표면 시트측에서 봤을 때, 경혈 등의 적색이 보이면 착용자에게 불안함을 주기 때문에, 체액을 흡수한 흡수체와의 거리를 될 수 있는 한 멀게 한 쪽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4) 상기 다공질 필름은 개공 필름이며, 상기 개공 필름의 한쪽 면에는 다른 쪽 면의 각각의 상기 소공의 주연부로부터 연장하는 주상(周狀)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공 필름은, 상기 한쪽 면이 상기 흡수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2) 또는 (3)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4)의 발명에 의하면, 개공 필름의 한쪽 면에 소공의 주연부로부터 연장하는 주상의 리브를 마련함으로써 개공 필름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한쪽 면」에는 인접하는 리브들에 의해 마련된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한쪽 면을 흡수체측을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체압에 의해 유출해 오는 체액을 「오목부」에서 획득하여, 체압이 걸린 상태라도 체액이 표면 시트측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정확하게 막을 수 있다.
(5) 상기 주상의 리브는 그 종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는 (4)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5)의 발명에 의하면, 주상의 리브를, 그 종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으로 함으로써 「오목부」의 체적을 증가시키고, 또한, 소공으로의 유입구를 좁힐 수 있다. 이로써 「오목부」에서 획득할 수 있는 체액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대로 소공을 통과하는 체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오목부」 내에 체류시키면서, 체압이 걸린 상태라도 체액이 소공을 통과하여 표면 시트측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체액의 은폐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6) 상기 개공 필름이 복수 장 겹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개공 필름은 상기 한쪽 면이 상기 흡수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4) 또는 (5)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6)의 발명에 의하면, 개공 필름을 복수 장 이용함으로써 흡수체로부터 표면 시트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체압이 걸린 경우에도 체액이 표면 시트로부터 배어 나오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측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은폐 효과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경혈 등의 적색이 보이는 일이 없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보다 부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7) 상기 다공질 필름은 연속 기포를 갖는 발포 필름인 (2) 또는 (3)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7)의 발명에 의하면,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는 소공을 갖는 다공질 필름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또한, 발포의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소공의 크기나 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8)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상기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8)의 발명에 의하면, 흡수체에서 획득되고, 게다가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체의 외측으로 확산된 체액이 체압에 의해 표면 시트측으로 되돌아 가려고 해도, 마스킹 부재에 의해 표면 시트의 부분을 은폐할 수 있다. 즉, 우선 체액은 표면 시트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유입하여 흡수체에서 일시적으로 획득되어 일부 유지된다. 흡수된 체액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및 좌우로 거의 동심원형으로 확산된다. 확산된 체액은 흡수체의 각각의 확산된 영역에서 일시적으로 획득되어 일부 유지된다. 이 일부 유지된 액 이외의 체액은 통상, 체압이 걸림으로써 표면 시트측으로 배어 나온다. 그러나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와 흡수체가 이격하고 있어, 이로써 체액이 마스킹 부재를 통과하여 표면 시트로 되돌아 가고자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9) 상기 표면 시트 상에, 상기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9)의 발명에 의하면, 흡수체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부터 확산한 체액 이 표면 시트로 되돌아간 경우라도, 그 위의 마스킹 부재에 의해 표면 시트 부분을 은폐할 수 있다.
(10) 상기 마스킹 부재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10)의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체액은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표면 시트로부터 유입되고, 흡수체에서 확산되지만, 접합부는 그 외보다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체액이 쉽게 스며든다. 예컨대, 표면 시트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섬유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체에 축적된 체액을 빨아 올려, 접합부가 표면 시트에서부터 보면 스며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마스킹 부재를 포함해서 접합함으로써, 접합부에 체액이 스며들어 있는 것처럼은 보이지 않아, 가로 누설에 대한 안도감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마스킹 부재로서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접합에 의해 접합부의 소공이 찌부러져 평면 필름 모양이 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핫 멜트 등의 접착제 접합이나 열 융착이라도 좋다.
(11) 상기 마스킹 부재는 착색되어 있는 것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11)의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마스킹 부재를 체액과 같은 계열의 색으로 착색함으로써, 또한 은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킹 부재를, 헌터(Hunter) 색차계에서의 헌터 값이 60 미만의 값으로 함으로써 은폐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12) 상기 마스킹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걸린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12)의 발명에 의하면,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걺으로써, 제품이 표면측으로 쉽게 만곡하여 몸의 형상을 보다 쉽게 따르므로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력으로서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1.03배 내지 1.45배가 되도록 장력을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생리대를 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퍼센트의 표기에 관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a는 도 1의 X - X' 단면도이다. 이 생리대(1)는 도 1,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와, 이들 양 층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4)와, 흡수체(4)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으로서,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배치되는 1쌍의 마스킹 부재(5, 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의 폭 방향이란 도 1의 X - X' 방향이며, 길이 방향이란 도 1의 W1의 방향이다.
표면 시트(2)는 액 투과 용이성 톱 시트(21)와, 쿠션층이 되는 액 투과 용이 성 혹은 액 유지성 제2 시트(22)로 이루어진다. 이면 시트(3)는 액 투과 비용이성 시트이다. 흡수체(4)는 액 유지성 흡수체 코어(41)와, 그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2)로 이루어지고, 흡수체 코어(41)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연장부(42)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적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4)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으로서, 연장부(42)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띠형 마스킹 부재(5)가 마련된다. 그리고 표면 시트(2)인 톱 시트(21)와 제2 시트(22), 흡수체(4), 이면 시트(3)는 각각 핫멜트형 접착제(이하 HMA로 칭함)로 상호 부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면 시트(3)의 아래쪽에는 흡수체(41)와 마스킹 부재(5) 아래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마련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와, 연장부(42)와, 이면 시트(3)는 주상의 열 융착부(2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흡수체(4)의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열 융착부(23)의 일부는 마스킹 부재(5)에 걸려 있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킹 부재(5)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표면 시트(2), 마스킹 부재(5), 연장부(42), 이면 시트(3)가 열 융착부(2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마스킹 부재(5)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 상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마스킹 부재>
도 1에서 마스킹 부재(5)가 마련되는 영역의 길이 방향의 길이(W1)는 본 실 시 형태에 따른 생리대(1)와 동등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에 의해서도 시각적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의 20% 이상의 길이를 필요로 한다. 또한, 폭 방향의 길이(W2)의 길이는 W3의 측연부로부터 흡수체 측연부와 거의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킹 부재끼리의 간격(W3)은 20 mm 내지 7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6 mm 내지 50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3가 20 mm 이하이면, 배설구 부위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마스킹 부재(5) 위에 마련된 톱 시트(21)와 제2 시트(22)로부터 흡수체 코어(41)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어 마스킹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한, W3가 70 mm 이상이면, 체액이 확산된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게 되기 때문에 마스킹 효과의 시각적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다.
마스킹 부재(5)는 직포 재료 및 부직포 재료, 개공 필름, 우레탄폼과 같은 다공질 폼 등이 이용된다. 직포 재료 및 부직포 재료로서는 합성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은 중합체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개공 필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에 대하여 투과성이지만,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액체를 역방향으로 통과시키는 경향이 작은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킹 부재에 주로 흡습성 섬유가 섞여 있으면 마스킹 부재가 체액을 빨아들여 그 체액이 표면 시트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천연 섬유를 주로 하는 재료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중에,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부재(5)로서는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는 소공을 갖는 다공질 필름이 바람직하고, 다공질 필름은 개공 필름이며, 이 개공 필름의 한쪽 면에는 다른 쪽 면의 각각의 상기 소공의 주연부로부터 연장하는 주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주상의 리브는 그 종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바람직한 마스킹 부재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마스킹 부재(5)는 개공 필름이며, 도면 중의 사선부가 필름 기재(56)이다. 필름 기재(56) 이외의 부분은 공간이 되어 있으며, 소공(54)(개공부)과, 오목부(55)를 교대로 형성하고 있다. 즉, 이 개공 필름은 도면 중의 기준선(52b)의 선을 기준으로 한 평면형의 필름으로부터, 개공부가 되는 소공(54)의 부분의 주벽이, 기준선(51b)까지 그 종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을 이루도록 연장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리브(5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리브(53)에 의해, 개공 필름의 양면에는 표면 개공 직경이 작은 소개공부(51a)를 갖는 저개공율면(51)[기준선(51b)과 동일한 위치, 도 3에서의 아래쪽]과, 표면 개공 직경이 큰 대개공부(52a)를 갖는 고개공율면(52)[기준선(52b)과 동일한 위치, 도 3에서의 위쪽]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의 개공 필름의 두께(d)는 20 g/cm2 하중 하에서 0.4 mm 이상이 되도록 리브(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개공부(51a)의 개공 직경은 0.2 mm 이상 0.8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대개공부(52a)의 개공 직경은 0.6 mm 이상 1.3 mm 이하가 바람직하다(단, 소개공부 쪽이 대개공부보다 작음). 소공(54) 의 개공율(면적율)은 소개공부에서 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공 필름은 종래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의 연장부(42)와 접촉하는 면 측이 저개공율면(51)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저개공율면(51)이 본 발명에서의 「한쪽 면」에 해당하고, 고개공율면(52)이 본 발명에서의 「다른 쪽 면」에 해당한다. 이러한 배치를 취함으로써 체압이 걸린 상태에서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체액의 웨트 백이 발생한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체액을 오목부(55) 내에 체류시켜, 체액이 소공을 통과하여 표면 시트측으로 배어 나오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또, 이 다공질 필름은 1장만 배치하더라도 좋고, 복수 장을 겹쳐서 배치하더라도 좋지만, 적어도 흡수체(4)의 연장부(42)와 접촉하는 면 측이 저개공율면(51)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6에는 2장 겹친 경우의 바람직한 중첩 방법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2장 중첩한 경우의 바람직하지 못한 중첩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중첩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구성 부재>
다음에, 생리대(1)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톱 시트(21)는 친수성이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포인트 본드, 스펀 레이스,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개공 필름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 한 것은 표면의 텍스처가 좋고, 밀도가 작은 스루 에어 부직포이다. 또한, 스루에어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단위 중량 35 g/m2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산화티탄 1.1% 함유)-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core-sheath)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로 2.6 dtex × 51 mm의 섬유에 친수 유제가 도포된 것이 5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산화티탄 1.1% 함유)-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로 2.2 dtex × 44 mm의 섬유에 친수 유제가 도포된 것이 3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산화티탄 1.1% 함유)-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로 2.2 dtex × 44 mm의 섬유에 발수 유제가 도포된 것이 20%의 비율로 혼면된 것으로 두께는 0.6 mm이다. 또한, 코어 시스 구조의 코어부에 산화티탄을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산화티탄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보다 표면의 매끄러움 및 드레이프성이 높아 텍스처가 좋다. 그리고 스루 에어 부직포이기 때문에, 다른 부직포(스펀 본드, 스펀 레이스 등)에 비해 부피를 갖고 있어 공극을 많이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 중량은 15~100 g/m2이 바람직하고, 30~60 g/m2가 보다 바람직하다. 0.4~2.0 mm의 부피를 가지고, 또한 부직포 섬유의 코어 시스 구조의 코어부에 산화티탄이 1.0% 이상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를 사용하고 있을 때 주저 앉는 일이 적어 흡수체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 자체도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수성 섬유를 30%까지 넣음으로써 표면 시트의 확산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발수 섬유를 블렌드함으로써 흡수체로부터 액을 빨아 올리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단위 중량이 15 g/m2 이하이면 표면 강도가 충 분히 얻어지지 않고 사용 중에 찢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100 g/m2 이상인 경우, 과도하게 뻣뻣하여 사용 중에 위화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밀도는 0.12 g/cm3 이하에서 액투과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밀도가 이 이상인 경우, 표면 시트의 섬유 사이를 원활하게 투과하기 어렵다. 경혈의 경우, 뇨 등과 비교하여 점성이 높아 밀도가 매우 낮은 것이 좋다.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제2 시트(22)는 액투과성 혹은 액유지성인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톱 시트(21)와 같이 포인트 본드, 스펀 레이스,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것은 표면의 텍스쳐가 좋고, 밀도가 작은 스루에어 부직포이다. 이 스루에어 부직포는 다른 부직포(스펀 본드, 스펀 레이스 등)에 비해 부피를 갖고 있어 공극을 많이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시트(22)에 사용되는 스루에어 부직포는 단위 중량이 20 g/m2이고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의 3.3 dtex × 45 mm와 2.2 dtex × 45 mm가 중량비 70:30의 비율로 혼면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스루 에어 부직포 외에, 액 유지성 에어 레이드 펄프라도 좋다. 이 에어 레이드 펄프인 경우, 친수 작용을 스루 에어 부직포에 비해 갖고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체류하고 있는 경혈을 끌어당긴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다. 또한, 이 에어 레이드 펄프에는 화학 섬유로 골격을 유지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어 수분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 것도 있지만, 거의 모두의 구성이 화학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스루 에어 부직포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시트(22)는 밀도가 0.1~0.01 g/cm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g/cm3보다 높은 경우, 공극이 적어 경혈의 투과성이 나빠진다. 또한, 0.01 g/cm3보다 낮은 경우, 공극은 많이 확보할 수 있지만 공극을 유지하기 위한 골격이 약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제2 시트(22)는 예컨대, 톱 시트(21)의 이면 측에 나선형으로 도포된 HMA로 접합시킬 수 있다.
흡수체(4)는 경혈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에어레이드 펄프나 흡수성 섬유가 포함되는 부직포(스펀 레이스, 스루 에어법 등) 등의 흡수성 시트가 사용된다. 일례로서, 펄프는 단위 중량 200 g/m2, 중합체는 단위 중량 4 g/m2(중합체는 전체에 분산되어 있음)로, 펄프와 중합체는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화학 펄프와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체를 15 g/㎡의 티슈로 둘러 싼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3)를 구성하는 백 시트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체로 한 액체 불투과성 필름, 통기성 필름, 스펀 본드 등의 부직포의 한 면에 액체 불투과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불투과성 필름은 착용감을 손상하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한 뒤에, 밀도가 0.900~0.925 g/cm3의 범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주체로 한 단위 중량 15~40 g/m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리대에 대해서, 그 마스킹 부재의 마스킹 효과를 여러가지 개공 필름을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다.
<다공질 필름 A>
마스킹 부재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15 g/10 min, 밀도 0.915 g/cc) 68%,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7 g/10 min, 밀도 0.917 g/cc) 28%, 산화티탄 3.8%, 친수제(일례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O.2%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막한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개공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공 필름을 작성했다[단위 중량 25 g/m2, 개공율 25%, 소개공부(51a)의 개공 직경 0.61 mm, 대개공부(52a)의 개공 직경 0.94 mm].
<다공질 필름 B>
마스킹 부재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MFR 30 g/10 min, 밀도 0.950 g/cc) 57.6%,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7 g/10 min, 밀도 0.917 g/cc) 38.4%, 다공성 산화티탄 3.8%, 친수제 0.2%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막한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개공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공 필름을 작성했다[단위 중량 20 g/m2, 개공율 25%, 소개공부(51a)의 개공 직경 0.55 mm, 대개공부(52a)의 개공 직경 0.82 mm].
<다공질 필름 C>
마스킹 부재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MFR 30 g/10 min, 밀도 0.950 g/cc) 57.6%,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7 g/10 min, 밀도 0.917 g/cc) 38.4%, 다공성 산화 티탄 3.8%, 친수제 0.2%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막한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개공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공 필름을 작성했다[단위 중량 25 g/m2, 개공율 25%, 소개공부(51a)의 개공 직경 0.53 mm, 대개공부(52a)의 개공 직경 0.81 mm].
<우레탄폼>
마스킹 부재로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폼, 두께 1.8 mm, 밀도 28 kg/cm3, 셀 수(연속 기포형) 45~50개/inch인 것[브리지스톤(bridge stone) 카세이힌샤 제조, 상품명: WG-(B)]을 이용했다.
또, 표면 시트로서, 스루에어 부직포 단위 중량 35 g/m2이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산화티탄 1.1% 함유)-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로 2.6 dtex × 51 mm의 섬유에 친수 유제가 도포된 것이 5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산화티탄 1.1% 함유)-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로 2.2 dtex × 44 mm의 섬유에 친수 유제가 도포된 것이 3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산화티탄 1.1% 함유)-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로 2.2 dtex × 44 mm의 섬유에 발수 유제가 도포된 것이 20%의 비율로 혼면된 것으로 두께는 0.6 mm인 것을 사용했다. 또한, 제2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의 코어 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의 3.3 dtex × 45 mm와 2.2 dtex × 45 mm가 중량비 70:30의 비율로 혼면된 것으로, 두께가 0.3 mm인 것을 사용했다. 또한 흡수체로서, 분쇄 펄프 단위 중량 150 g/m2를 단위 중량 15 g/m2의 티슈로 끼운 것으로, 분쇄 펄프의 밀 도가 0.054 g/cm3인 것을 사용했다.
<염출(染出) 시험>
각 시료를 10 cm 각으로 컷트하고 흡수체 위에 10 ml의 인공 경혈을 적하하며, 적하 후 1분후에 각 시료와 또한 그 위에 제2 시트 두 장과 표면 시트를 겹쳐 저면이 10 cm 각의 2 kg의 추를 싣는다. 가압 후 3분 후에 추를 내리고, 표면 시트에 인공 경혈이 부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했다. 또, 마스킹 부재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다이에카가쿠세이키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THICKNESS GAUGE MODEL UF-6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소개공부와 대개공부의 개공 직경은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확대 사진을 바탕으로 측정하여 세로와 가로 치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자재 장수 마스킹 부재의 배치 및 중첩 방법 가중 두께(mm) 염출 시험 결과
3.3 g/cm2 20 g/cm2
다공질 필름 A 1 저-고 0.45 0.36 ×
다공질 필름 A 2 저-고-고-저 0.93 0.75
다공질 필름 B 1 저-고 0.48 0.37 ×
다공질 필름 B 2 저-고-고-저 0.99 0.81
다공질 필름 C 1 저-고 0.49 0.43
우레탄 1 1.76 1.71
용어의 설명(중첩 방법)
저-고: 흡수체-저개공율면-고개공율면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를 말한다(도 4에 상당).
저-고-고-저: 흡수체-저개공율면-고개공율면-고개공율면-저개공율면-표면 시트의 순서가 되도록 개공 필름이 겹쳐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도 5에 상당).
◎ : 표면 시트로의 염출이 없고, 또한 적절한 마스킹 효과를 발휘함
○ : 표면 시트로의 염출이 없음
× : 표면 시트로의 염출이 있음
표 중 3.3 g/cm2이란, 두께 측정기의 단자의 가중을 단자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또한, 20 g/cm2이란, 두께의 단자의 상부에 추를 달고, 20 g/cm2 가중의 가압이 걸리도록 하여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표 1에 의해 20 g/cm2의 두께가 0.4 mm 이상인 경우에는 염출이 없고, 은폐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레탄폼을 마스킹 부재로서 이용한 경우에도, 다공질 필름과 동일한 마스킹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공질 필름의 중첩 패턴의 검토>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질 필름의 중첩 패턴이 달라짐으로써 마스킹 부재의 마스킹 효과는 달라진다. 그 때문에 최적의 마스킹 효과를 발휘하는 중첩 패턴의 검토를 행했다. 시험은 상기한 삼출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했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자재 장수 마스킹 부재의 배치 및 중첩 방법 가중 두께(mm) 염출 시험 결과
3.3 g/cm2 20 g/cm2
다공질 필름 B 2 고-저-고-저 0.89 0.73 ×
다공질 필름 B 2 저-고-고-저 0.89 0.73
용어의 설명
고-저-고-저: 흡수체-고개공율면-저개공율면-고개공율면-저개공율면-표면 시트의 순서가 되도록 다공질 필름이 겹쳐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도 7에 해당함).
저-고-저-고: 흡수체-저개공율면-고개공율면-저개공율면-고개공율면-표면 시트의 순서가 되도록 다공질 필름이 겹쳐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도 6에 해당함).
표 2에 따르면 다공질 필름을 고-저-고-저의 패턴으로 중첩한 경우(도 7에 해당함)에는 체압이 걸림으로써 흡수체를 향하여 넓어지는 다공질 필름의 소공으로부터 액체가 웨트 백하려고 한다(도 7에서의 화살표 방향). 이 경우, 체액은 도 7의 소공(54)을 따라 그대로 표면 시트로 이행한다.
한편, 다공질 필름을 저-고-저-고의 패턴으로 중첩한 경우(도 6에 해당함)에는 체액은, 체압이 걸렸을 때에 체액은 오목부(55)로 유입되지만, 그 윗면 측은 폐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접촉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액체가 표면 시트로 배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마스킹 부재를 흡수체의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표면 시트의 측연 부분으로 액체가 배어 나오는 일이 없어, 착용자에게 잘못된 교체 시간을 인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피부를 더럽히는 영역이 한정된 영역이 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감소한다.

Claims (12)

  1.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장착시에, 착용자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하는 길이 방향과, 착용자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하는 폭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는 소공을 갖는 다공질 필름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필름의 두께가 20 g/cm2 하중 하에서 0.4 mm 이상인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필름은 개공 필름이고,
    상기 개공 필름의 한쪽 면에는 다른 쪽 면의 각각의 상기 소공의 주연부로부터 연장하는 주상(周狀)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공 필름은 상기 한쪽 면이 상기 흡수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갓인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상의 리브는 그 종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 필름이 복수 장 겹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흡수체측에 배치되는 개공 필름은 상기 한쪽 면이 상기 흡수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필름은 연속 기포를 갖는 발포 필름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상기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 상에 상기 마스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부재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 접합되어 일체화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부재는 착색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걸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060006298A 2005-01-20 2006-01-20 흡수성 물품 KR101082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2380A JP4560415B2 (ja) 2005-01-20 2005-01-20 吸収性物品
JPJP-P-2005-00012380 2005-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814A true KR20060084814A (ko) 2006-07-25
KR101082170B1 KR101082170B1 (ko) 2011-11-09

Family

ID=3668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298A KR101082170B1 (ko) 2005-01-20 2006-01-2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76524B2 (ko)
JP (1) JP4560415B2 (ko)
KR (1) KR101082170B1 (ko)
CN (1) CN1806784B (ko)
TW (1) TWI290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3032D0 (en) * 2009-02-24 2009-04-08 Smith & Nephew Drapeable wound dressing
US9820888B2 (en) 2006-09-26 2017-11-21 Smith & Nephew, Inc. Wound dressing
AU2007300111B2 (en) * 2006-09-26 2013-10-24 T.J. Smith & Nephew, Limited Lattice dressing
US8502013B2 (en) 2007-03-05 2013-08-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BRPI0808106A2 (pt) * 2007-03-05 2014-06-17 Procter & Gamble Núcleo absorvente,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os mesmos
GB0804654D0 (en) 2008-03-13 2008-04-16 Smith & Nephew Vacuum closure device
GB0902368D0 (en) 2009-02-13 2009-04-01 Smith & Nephew Wound packing
US8791315B2 (en) 2010-02-26 2014-07-29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to manage open abdominal wounds
US9061095B2 (en) 2010-04-27 2015-06-23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use
CN102068045A (zh) * 2010-12-29 2011-05-25 上海护理佳实业有限公司 一种奶垫及生产方法
US9421132B2 (en) 2011-02-04 2016-08-2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JP6158096B2 (ja) 2011-02-04 2017-07-05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マサチューセッツUniversity of Massachusetts 負圧創傷閉鎖器具
JP5361965B2 (ja) * 2011-04-28 2013-1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220125B2 (en) 2012-02-03 2019-03-05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wound therapy
JP5988836B2 (ja) * 2012-05-15 2016-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4013348A2 (en) 2012-05-22 2014-01-23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
AU2013264938B2 (en) 2012-05-22 2017-11-23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wound therapy
EP3954347A1 (en) 2012-05-24 2022-02-16 Smith & Nephew, Inc. Devices for treating and closing wounds with negative pressure
JP6353445B2 (ja) 2012-07-16 2018-07-04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陰圧創傷閉鎖デバイス
US10124098B2 (en) 2013-03-13 2018-11-13 Smith & 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in treating wounds with negative pressure
US10159771B2 (en) 2013-03-14 2018-12-25 Smith & Nephew Plc Compressible wound fille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in treating wounds with negative pressure
JP5800876B2 (ja) * 2013-09-30 2015-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23917B2 (ja) 2013-10-21 2020-07-15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陰圧創傷閉鎖デバイス
EP3096728B1 (en) 2014-01-21 2021-12-15 Smith & Nephew plc Collapsible dressing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US10179073B2 (en) 2014-01-21 2019-01-15 Smith & Nephew Plc Wound treatment apparatuses
WO2016176513A1 (en) 2015-04-29 2016-11-03 Smith & 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US10292873B2 (en) * 2016-07-15 2019-05-21 Mezi Koulai Sanitary napkin
WO2018041805A1 (en) 2016-08-30 2018-03-08 Smith & Nephew Plc System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EP3518847B1 (en) 2016-09-27 2023-03-01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s with dissolvable portions
EP3534856A1 (en) 2016-11-02 2019-09-11 Smith & Nephew, Inc Wound closure devices
US11324876B2 (en) 2017-06-13 2022-05-10 Smith & Nephew Plc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use
AU2018285236B2 (en) 2017-06-13 2024-02-29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of use
JP7419072B2 (ja) 2017-06-14 2024-01-22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創傷閉鎖のための折り畳み可能シートおよび使用方法
EP3638170B1 (en) 2017-06-14 2024-03-13 Smith & Nephew PLC Collapsible structure for wound closure and method of use
WO2018231878A1 (en) 2017-06-14 2018-12-20 Smith & Nephew, Inc. Fluid removal management and control of wound closure in wound therapy
US11395873B2 (en) 2017-06-14 2022-07-26 Smith & Nephew, Inc. Control of wound closure and fluid removal management in wound therapy
US11607344B2 (en) 2017-07-27 2023-03-21 Smith & Nephew Plc Customizable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9030136A1 (en) 2017-08-07 2019-02-14 Smith & Nephew Plc WELD CLOSURE DEVICE WITH PROTECTIVE LAYER AND METHOD OF USE
US11375923B2 (en) 2017-08-29 2022-07-05 Smith & Nephew P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ound closure
US10258517B1 (en) 2018-05-25 2019-04-1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Fluid distribution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JP7279285B2 (ja) * 2018-11-28 2023-05-23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25495B2 (ja) * 2018-11-28 2023-02-2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24038A1 (en) 2018-12-13 2020-06-18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9135A (en) * 1974-12-20 1975-12-30 Procter & Gamble Absorptive structure having tapered capillaries
US4323069A (en) * 1980-05-12 1982-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termediat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absorbent core
JP2703541B2 (ja) * 1987-08-31 1998-01-26 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解剖学的吸収体
CA2124798C (en) * 1991-12-17 1999-01-19 James William Cree Absorbent article having fused layers
JP2590211Y2 (ja) * 1992-06-16 1999-02-10 大王製紙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5562647A (en) * 1994-05-16 1996-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fluid pervious peripheral masking member
JP3091361B2 (ja) 1994-06-0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US5635275A (en) * 1994-08-05 1997-06-03 Tredegar Industries, Inc. Lamination of non-apertured three-dimensional films to apertured three-dimensional film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3058572B2 (ja) 1994-12-13 2000-07-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JP3469385B2 (ja) * 1996-01-10 2003-11-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69716476T2 (de) * 1996-05-08 2003-03-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artikel mit internen seitenumhüllungselementen
WO1998042289A1 (en) * 1997-03-21 1998-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zoned absorbent webs
JP3467428B2 (ja) 1999-06-03 2003-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48014B2 (ja) 1999-08-27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77923B2 (ja) 1999-12-28 2007-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複合シート
JP3696042B2 (ja) 2000-03-31 2005-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透液シートおよびこの透液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6700036B2 (en) 2000-09-22 2004-03-02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having void volumes for an absorbent article
JP4575639B2 (ja) 2001-06-08 2010-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40116882A1 (en) * 2002-12-12 2004-06-17 John Erspamer Odor control coating and related articles of manufacture
JP4426754B2 (ja) 2002-12-27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インジケ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61123A1 (en) 2006-07-20
JP2006198130A (ja) 2006-08-03
KR101082170B1 (ko) 2011-11-09
TW200640428A (en) 2006-12-01
CN1806784A (zh) 2006-07-26
CN1806784B (zh) 2010-10-06
US7976524B2 (en) 2011-07-12
TWI290040B (en) 2007-11-21
JP4560415B2 (ja)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170B1 (ko) 흡수성 물품
US7015370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for fluid distribution having filled void, density gradient and spacer members
JP4035341B2 (ja) 生理用ナプキン
CN102215803B (zh) 一次性体液吸收性穿着用品
TW201733550A (zh) 吸收性物品
JP2003116909A (ja) 吸収性物品
KR20100100864A (ko) 착용 흡수성 물품
JP5225818B2 (ja) 吸収性物品
JP7092876B2 (ja) 湿り度インジケータを備える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4738181B2 (ja) 吸収性物品
JP2007260392A (ja) 吸収性物品
CN108697564B (zh) 吸收性物品
WO2020195483A1 (ja) 吸収性物品
JP7338108B2 (ja) 吸収性物品
JP431707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177396B2 (ja) 吸収性物品
KR20210045350A (ko) 흡수성 물품
JP2896633B2 (ja) 失禁用パンツ
JP6696854B2 (ja) 吸収性物品
KR20200134207A (ko) 흡수성 물품
JP6754549B2 (ja) 吸収性物品
CN113423372B (zh) 吸收体以及设置有吸收体的吸收性物品
JP7102290B2 (ja) 吸収性物品
JP2003102758A (ja) 失禁用パッドおよび失禁用パンツ
JP2020130803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