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564A - 충격-작동식 머리받침 - Google Patents

충격-작동식 머리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564A
KR20050083564A KR1020047015003A KR20047015003A KR20050083564A KR 20050083564 A KR20050083564 A KR 20050083564A KR 1020047015003 A KR1020047015003 A KR 1020047015003A KR 20047015003 A KR20047015003 A KR 20047015003A KR 20050083564 A KR20050083564 A KR 20050083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detent
headrests
vehicle seats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079B1 (ko
Inventor
위르겐 쉴링
미카엘 뵈머
다니엘 히펠
다리우스 브로벨
하랄트 클라인
게오르크 뤼쓰
알리 페터 릴만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6058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60582B3/de
Priority claimed from DE1035136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51367B3/d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8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62Tiltable with means for maintaining a desired position when the seat-back is adjusted, e.g. parallelogr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머리받침(1)은 캐리어(5), 분절식으로 상기 캐리어 상에 배열되고 수평 축(7, 17)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부 슬라이드 및 하나의 하부 슬라이드(11, 15), 분절식으로 상기 슬라이드(11, 15) 상에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드(11, 15) 및 상기 캐리어(5) 함께 하나 이상의 4 바아 연동 장치(19)를 형성하는 충격 부재(13), 및 에너지 저장부(25)를 포함한다. 충돌 발생시, 상기 에너지 저장부(25)는 충격 부재(13)가 초기 위치를 벗어나 충돌 차단 부재에 의해 후방 이동이 차단되는 충돌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4 바아 연동 장치(19)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상부 슬라이드(11) 및 하부 슬라이드(15)는 평행이 아닌 상호간의 위치를 취하게 된다.

Description

충격-작동식 머리받침 {CRASH-ACTIVE HEAD RES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머리받침(headrest)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머리받침은 DE 199 51 966 A1에 공지되며, 상기 문헌에 있어, 충돌 발생시 배플 부재(baffle element)는 평행 4변형으로 형성되는 4절 이음부(quadruple joint)에 의해 돌출되며, 구동부는 충돌 위치에서 로킹되는 스프링-부하식 회전 아암(spring-loaded swivel arm)이다.
도 1은 머리 쿠션부분이 윤곽선으로만 처리된, 초기 위치에 있는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2는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라인 Ⅲ-Ⅲ을 따른, 중간 안락 위치에 있는 제 1 전형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라인 Ⅳ-Ⅳ을 따른, 초기 위치에 있는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캐리어를 구비하지 않은, 초기 위치에 있는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의 부분 배면도이며,
도 6은 최전방 충돌 위치에 있는 도 4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최전방 충돌 위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의 라인 Ⅶ-Ⅶ을 따른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재설정 과정의 도 6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초기 위치에 있는 제 2 전형적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제 2 전형적인 실시예의 하부 연동 장치를 도시하며,
도 11은 최전방 충돌 위치에 있는 제 2 전형적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제 3 전형적인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제 3 전형적인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6의 라인 XIV-XIV를 따른 제 4 전형적인 실시예의 도식적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6의 화살표 XV의 방향에서 본, 제 4 전형적인 실시예의 도식적 단면도이며,
도 16은 제 4 전형적인 실시예의 배플 부재 및 일부 연결 부품의 배면도이며,
도 17a는 챔버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구속 부재 베어링을 구비하는 하나의 제 1 개방 위치에 있는 멈춤쇠에 대한 도면이며,
도 17b는 구속 부재가 멈춤쇠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도 17a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17c는 멈춤쇠가 반시계 방향으로 로킹 위치로 회전된, 도 17a 및 도 17b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18a는 구속 부재가 립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제 2 개방 위치에서의 멈춤쇠를 도시하며,
도 18b는 구속 부재가 멈춤쇠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도 18a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18c는 멈춤쇠가 로킹 위치로 추가적으로 회전된, 도 18a 및 도 18b에 상응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유형의 머리받침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머리받침을 통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가 종속항의 주요 내용을 이룬다.
머리받침 시스템은 상호간 평행하지 않게 정렬되는 상부 및 하부 연동 장치(linkage)에 의해 즉, 평행 4변형이 아닌 4절 이음부에 의해 안정된다. 이로 인해, 초기 위치에서 4절 이음부의 사점(dead center)을 회피하며, 이는 충돌 발생시 4절 이음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또는 정면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의 충격하에서 연동 장치상에 작용하는 관련된 레버가 짧을 수 있다. 결국, 보다 바람직한 포획각(capture angle)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모든 것은 연동 장치의 길이에 있어서의 차이 예를 들어, 하부 연동 장치를 4절 이음부에 있어 각 이음부의 간격에 이를 정도로 상부 연동 장치보다 길게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보다 긴 하부 연동 장치는, 4절 이음부가 돌출할 때 배플 부재의 머리 쿠션부(upholstery part)가 정면을 향하는 이동 방향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주로 이동하여, 이러한 배열로 인해 하부 영역의 충돌을 방지하고 보다 간단한 코팅이 가능하다.
충돌 후, 머리받침을 재설정함으로써 머리받침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 및 노동 비용을 절약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객 스스로가 머리받침을 재설정할 수 있어 노동 비용을 한번 더 절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머리받침에 일체형인 가동식 당김, 가압 혹은 회전식 부재 또는 충돌 후 머리받침 내에 삽입되는 도구와 같은 재설정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재설정 장치는 충돌 로킹 장치(crash lock) 및 가능하다면 자성 작동기(magnetic activator)를 그들의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머리받침에 일체형인 재설정 장치는 충돌 후에만 가시화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소정의 조기 작동(premature activation)이 배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도구 형태의 재설정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머리받침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재설정 장치는 반드시 타원형이어야 하고, 이에 따라 불사용시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바람직하고 간단하게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충돌 로킹 장치를 다시 해제하기 위해 충돌 로킹 장치 상에 푸시-버튼이 있다.
부하식 스프링에 의해 에너지 저장 장치를 형성하는 것은 이러한 스프링으로 4절 이음부가 신속하게 돌출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스프링을 지지하는 부재를 파지함으로써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생하며 피봇식 멈춤쇠(pivotable pawl)에 의해 이러한 부하식 스프링을 유지하는 것은 일면으로는 스프링이 멈춤쇠에 대해 윤곽-로킹(contour-locked)이 유지되며, 타면으로는 멈춤쇠의 적합한 정렬이 보다 적은 유지력을 요구하는 우수한 레버리지 상태(leverage condition)를 발생한다.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멈춤쇠에 의해, 그리고 스프링의 지지점과 멈춤쇠의 유지점의 적합한 위치 선택에 의해 일정 위치에 파지되는 피봇식 지지 구속 시트(pivotally beared restraint sheet)를 사용함으로써, 멈춤쇠에 보다 작은 유지력을 요구하는 우수한 레버리지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충돌 발생시, 구속 시트는 연동 장치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플 부재에 지탱된다. 일반적인 사용시에, 충돌 로킹 장치가 개방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멈춤쇠는 예를 들어, 미리 부하가 가해진 베어링 아암상에 지지되고 바람직하게는 닫힘 방향으로 멈춤쇠 후방에 스냅핑되는(snapped) 원형 부재,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롤, 볼트 또는 원형 엠보싱을 구비한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된다. 충돌 발생시, 원형 부재는 캐리어에 연결되는 제어 레버에 의해 이동되고, 바람직하게는 미리 부하가 가해지고 자석에 의해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원형 부재가 지지되는 멈춤쇠의 일측면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부재의 베어링 아암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멈춤쇠가 원형 부재 상에 미미한 개방 모멘트(opening momentum)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바람직하게는 제어 레버는 지지되는 원형 부재의 베어링 아암에 연결되거나, 최소 힘으로 원형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 레버 자체가 베어링 아암이 된다.
재설정(resetting)은, 만약 초기에 제어 레버만이 제어 레버를 파지하는 재설정 장치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면 특히 충돌 로킹 장치가 해제되고 제어 레버가 자석에 복귀된다면, 특히 간단하다. 머리받침, 보다 정확하게는 배플 부재는 그 후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양손으로 배플 부재를 가압하여 그 외 동시에 필요한 다른 추가적인 행위 없이 재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이 멈춤쇠에 복귀하는 동안, 원형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초기 위치에 도달하고 멈춤쇠가 적어도 간접적으로 다시 스프링을 로킹 시킬 때까지 원형 부재는 멈춤쇠를 따라 구름 이동하거나 미끄럼 이동한다. 제어 레버의 해제는 로킹된 구속 시트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머리받침을 재설정할 때, 멈춤쇠가 구속 시트를 파지하기 전에, 구속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레버로부터 충돌 로킹 장치를 분리한다.
정상 사용시 초기 위치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안락 위치를 위한 머리받침을 고려하는 것은 머리받침의 기본적인 이동성 역시 개선된 안락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충돌 발생시, 이러한 방식으로 충돌 위치는 소정의 안락 위치로부터 도달될 수 있다. 다수의 안락 위치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머리받침의 상이한 안락 설정에 있어 캐리어 상에 배열되는 로킹 노치(lock notch) 또는 스냅 인 핀(snap-in pin)[마찰-파지 및 부분적 정합 파지(friction-held and partly positively held)]과 연합하는 하나 이상의 연동 장치 상에 로킹 바아(lock bar)가 있다. 또한, 안락 설정은 만약 상기 위치가 마찰 로킹에 의해서만 배타적으로 고정된다면 무단계형(stepless)일 수 있다.
충돌 로킹 장치에 의해 후방 이동에 대항해 개별적으로 로킹되는 다수의 충돌 위치는, 충돌 발생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머리에 접촉이 발생하는 즉시 배플 부재의 전방 이동이 로킹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후, 머리는 가능한 전방에서 고정되고 감속되지 않은 머리받침에 의해 소정의 추가적인 모멘텀을 수용하지 않는다. 이로써 승객에게 전해지는 추가적인 부하가 차단된다. 이러한 충돌 로킹 장치의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는 캐리어 및 하나 이상의 연동 장치 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충돌 로킹 장치부 및 연동 장치와 함께 이동되는 부품 상의 충돌 로킹 치형부를 가지며, 각각의 충돌 위치에서 상기 부재는 충돌 로킹 장치부와 협력하며, 다수의 충돌 위치는 예를 들어, 여러 치형부에 의해 형성된다. 톱니형을 선택함으로써, 로킹 작동은 일방향으로 제한되는 즉, 배플 부재의 전방 이동이 억제되도록 제한된다. 제어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재설정 동안 제어 레버가 충돌 로킹 치형부로부터 충돌 로킹부를 들어올리는 측면 지브(jib)를 가질 수 있다.
배플 부재가 구속 부재를 갖고, 피봇식 무부하(unloaded) 멈춤쇠가 로킹 위치에 상기 구속 부재를 파지하고 충돌 발생시 구속 부재를 해제하여 충돌 후 소정의 가능한 위치로 머리받침을 재설정하기 위해 구속 부재를 수용할 준비가 된다면, 이것은 거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 사용을 위해 배플 부재를 로킹 또는 고정하는 간단한 수단을 제공한다. 일정 범위에서, 멈춤쇠의 자유 이동성 때문에, 선-부하식 스프링(pre-loading spring)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와 같은 멈춤쇠의 형성된 위치를 위한 수단은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수용성은 멈춤쇠의 형상에 의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멈춤쇠는 접근 구속 부재가 멈춤쇠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지지되는 챔버를 갖는다. 경사면에 의해, 구속 부재는 멈춤쇠를 회전시켜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구속 부재는 멈춤쇠 턱부로 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멈춤쇠 턱부는 접근 구속 부재가 멈춤쇠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직접 지지되고 멈춤쇠 턱부 내로 들어가는 순간에 항상 개방되는 립(lip)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즉, 머리받침의 통상적인 사용 동안,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멈춤쇠는 바람직하게는 자석에 의해 일정 위치에 유지되는 제어 레버에 의해 잠김 위치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속 부재는 대부분-영역 힘 이동 및 표면상의 감소된 압력을 보장하기 위해 배플 부재의 대부분 영역에 걸쳐 내재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플 부재는 구부러진 중간 영역을 갖는 구속 부재가 정합적으로 내재될 수 있고 리드(lid)로 닫혀질 수 있는 구속 부재용 리셉터(receptor)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형태의 에너지 저장 장치는 금속과 플라스틱 사이의 소정의 고 표면 압력을 회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구속 부재 상에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된 4개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 예시적 실시예는 자동차의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1)을 포함한다. 차량 시트의 등받침 내에 가동식으로 수용되는 2개의 평행한 머리받침 바아(3)에 의해 머리받침(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머리받침 바아(3)는 상기 바아의 상단부로, 머리받침 바아(3)에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캐리어(5)에 고정적으로 삽입된다. 머리받침 바아(3)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축(7)이 캐리어(5)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한 쌍의 상부 연동 장치(11)가 상기 축(7)에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대충 삼각형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축(7)이 각각의 상부 연동 장치(11)의 코너에 배열된다. 상부 연동 장치(11)는 서로 평행하고, 전방 하부 방향을 지향한다. 각각의 상부 연동 장치(11)는 그 최전방 코너에서 캐리어(5) 전방(이동 방향에 대하여)에 배열되는 공동 배플 부재(common baffle element)(13)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배플 부재(13)는 축(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횡 방향 바아에 의해 연결되는 2개 이상 또는 2개 이하의 측면으로 구부러진 레그(laterally cranked leg)로 구성된다. 기술적인 원인으로,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배플 부재(13)는 필수적으로 대칭을 이루며 결합되는 2개의 반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머리 쿠션부는 배플 부재(13) 상에 배열된다. 그러나, 배플 부재(13)는 또한 머리 쿠션부의 일 부품이 될 수도 있다. 즉, 머리 쿠션부가 배플 부재(13)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한 쌍의 타원형 하부 연동 장치(15)는 일측면에서, 축(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동 장치 베어링 볼트(17)에 의해 캐리어(5)에 연결되고, 타측면에서, 배플 부재(13)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캐리어(5), 상부 연동 장치(11), 배플 부재(13) 및 하부 연동 장치(15)는 함께 4절 이음부(19)를 형성한다. 하부 연동 장치(15)는 상부 연동 장치(11)보다 길기 때문에, 상부 연동 장치(11)와 하부 연동 장치(15)는 평행하지 않다. 추가적으로, 상부 연동 장치(11)와 그에 상응하는 하부 연동 장치(15)는 동일 평면 상에서 피봇되지 않고, 배플 부재(13)의 구부러진 형상에 따라 엇갈림 배열을 이룬다.
측면으로 접힌 후면 엣지를 구비하는 구속판(21)은 2개의 상부 연동 장치(11) 사이에서 축(7)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구속판(21)은 축(7)으로부터 이격되어 접하는 단부 상에 축(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 볼트(23)를 갖는다. 배플 부재(13)로부터 이격되어 접하는 측면 상에서, 배플 부재(13) 후방(이동 방향에 대해)에 배열되는 구속 부재(21)는 에너지 저장 장치 역할을 하는 이중 비틀림 스프링(25)을 덮는다. 이중 비틀림 스프링(25)은 중간 영역에서 구속 시트(21)에 지지되며, 측면으로 인접하는 2개의 코일 영역에서 축(7)을 중심으로 감기고 2개의 단부 영역에서 캐리어(5)에 지지된다. 구속 시트(21)는 멈춤쇠 턱부(pawl jaw) 내로 지지 볼트(23)를 수용하는 멈춤쇠(27)에 의해 일정 위치에 파지된다. 멈춤쇠(27)는 축(7)에 평행하고 캐리어(5) 맞은편 이중 비틀림 스프링(25)보다 약한 멈춤쇠 스프링(29)에 의해 개구 방향으로 미리 부하가 걸린 멈춤쇠 베어링 볼트(28) 상의 캐리어(5)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후방 지향(이동 방향으로부터) 제어 레버(31)는 멈춤쇠(27) 위에서 캐리어(5) 상의 축(7)에 평행하는 레버 베어링 볼트(33)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그 회전축이 레버 베어링 볼트(33)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원형 부재(35)용 롤이 있다. 원형 부재(35)는 비틀림 스프링 형상으로 지지 스프링(37)의 레그의 각진 단부 영역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레그는 베어링 아암 역할을 한다. 지지 스프링(37)은 레버 베어링 볼트(33) 상에 지지되며,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어 레버(31)의 재료 부분은 원형 부재(35)가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37)의 레그 아래에 배열된다. 멈춤쇠(27)를 로킹하기 위해, 원형 부재(35)는 멈춤쇠(27)의 전방에(개구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멈춤쇠(27)의 로킹 장치 아암(39)의 전방에 즉, 반대 관점에서는 멈춤쇠(27)의 후방(닫힘 방향으로)에 배열되며, 이러한 배열은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하 스냅-온(snapped on)으로 언급된다.
후방에서부터 스냅-온된 금속 접촉판(41)은 플라스틱 제어 레버(31)의 자유단부면에 배열되며, 상기 접촉판은 통상적인 사용동안, 제어 레버(31) 아래에 배열되는 자석(43)에 의해, 그것이 지지되는 면에 대항하여 인력을 받는다. 일단부가 제어 레버(31)에 걸리고 타단부가 캐리어(5)의 상단부에 걸리는 텐션 스프링 형상의 해제 스프링(45)이 자석(43)으로부터 이격되어 접하는 방향 즉, 상향으로 제어 레버(31)에 미리 부하를 가한다.
레버 베어링 볼트(33)와 접촉판(41)을 연결하는 라인 측면에, 제어 레버(31)의 양 측면상에 즉,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지브(47)가 형성된다. 충돌 로킹 장치 아암(49)의 자유 단부는 근간격으로 각각의 지브(47)의 자유단부 아래 배열되며, 상기 아암은 연동 장치 베어링 볼트(17)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충돌 로킹부로 제공되는 충돌 로킹 장치(49)의 아암은 상향으로 미리 부하가 가해지지만, 통상적인 사용 동안, 구속 시트(21)에 의해 하향으로 유지된다.
상부 측면에서, 충돌 로킹 장치 아암(49)은 2 단계의 톱니 유형을 갖는다. 이하 설명되는 것과 같이, 상부 연동 장치(11)가 충돌 로킹 장치 아암(49)에 협력하기 위해, 상부 연동 장치(11)는 축(7)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축(7)을 중심으로 벤딩되는 측면 상에 충돌 로킹 맞물림부(53)로 작용하는 상응하는 톱니형부를 갖는다. 맞물린 로킹 장치 바아(55)는 충돌 로킹 장치 맞물림부(53)와 축(7) 사이에서 상부 연동 장치(11)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다. 캐리어(5)에 부착되고 전방을 지향하며 스프링 강으로 제조되는 스냅-인-러그(snap-in-lug)(57)는 자유단부에 로킹 장치 노치를 가지며, 상기 노치에 의해 상기 스냅-인-러그는 필수적으로 마찰 접착(friction adhesion)을 통해 로킹 장치 바아(55)와 협력한다.
통상적인 사용 동안, 머리받침(1)은 안락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머리 쿠션부(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된 배플 부재(13)가 4절 이음부(19)를 통해 승객에 의해 이동될 수 있음으로 해서, 로킹 장치 바아(55)와 스냅-인 러그(57)의 협력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상이한 안락 위치를 형성하고 고정시킨다. 본 예에는 3개의 안락 위치가 있다. 배플 부재(13)의 전방 이동이 용이한 반면에, 후방 이동은 보다 어려워서 머리가 통상적인 위치에 있을 때 설정은 변경되지 않는다. 상부 연동 장치(11)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구속 시트(21)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그리고 캐리어(5)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지지되는 멈춤부(stop)가 상부 연동 장치 상에 형성된다. 안락한 상태 설정에서, 구속 시트(21)는 로킹된 상태 즉, 이중 비틀림 스프링(25)이 부하를 받은 상태로 유지된다. 최후방 안락 위치에서만, 구속 시트(21)가 배플 부재(13)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후방 충돌의 경우에, 자석(43)이 충격을 감지하여 접촉판(41)을 해제시킨다. 그 후, 해제 스프링(45)이 상향으로 제어 레버(31)를 잡아 당겨, 지지 스프링(37)을 원형 부재(35)와 함께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멈춤쇠(27)가 해제되어 무부하의 이중 비틀림 스프링(25)이 구속 시트(21)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지지 볼트(23)를 통해 멈춤쇠(27)를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충격 작동식 머리받침(1)이 작동된다. 구속 시트(21)는 4절 이음부(19)가 돌출되는 동안, 전방으로 돌출되는 배플 부재(13)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동시에, 구속 시트(21)에 의해 해제되는 스프링-부하식 충돌 로킹 장치 아암(9)은 상향으로 스윙(swing)되고 상부 연동 장치(11)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충돌 로킹 장치 아암(49)의 톱니형부 및 충돌 로킹 맞물림부(53)는 상부 연동 장치(11)의 전방 이동이 저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여러 단계 때문에, 소정의 후방 이동이 이하 충돌 위치로 언급될 다수의 가능한 위치에서 차단된다. 배플 부재(13)가 어떠한 저항도 받지 않는 한, 제 1 가능한 충돌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나, 만약 배플 부재(13)가 승객의 머리와 접촉한다면, 충돌 로킹 장치 아암(49) 및 충돌 로킹 맞물림부(53)는 복귀하여 다음 충돌 위치로 로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객 머리의 후향 이동은 가능한 전방에서 멈추며, 이에 따라 머리는 가능한 적은 변위를 갖게된다.
충격 작동식 머리받침은 충돌 후에 재설정 즉,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5)에 개구부가 있으며, 로드형 도구의 기능을 가지는 재설정 장치(W)가 길이 방향 즉, 본 예에서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위로부터 상기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어 레버(31)의 이동에 의해 접촉판(41)과 자석(43)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자동적인 인력 작용이 발생하기에 너무 크기 때문에, 재설정 장치(W)는 제어 레버(31) 내의 수용부(59) 내로 삽입되며, 그 후에 제어 레버(31)는 접촉판(41)이 자석(43)에 의해 인력 작용을 받고 그 상태를 유지할 때까지 해제 스프링(45)의 힘에 맞서는 추가적인 이동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된다. 제어 레버(31)를 하향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레버(31)의 지브(47)가 충돌 로킹 장치 아암(49)을 하향으로 즉, 충돌 로킹 맞물림부(53)를 벗어나도록 가압한다. 이제 제어 레버(31)는 초기 위치에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제어 레버(31)에 연결되는 재설정 장치(W)는 충돌 발생시 상향으로 가압되고, 그 후에 가시화되어 작동 준비를 하게 된다.
전방으로부터 손으로, 바람직하게는 양손으로 배플 부재(13)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배플 부재(13) 및 이에 따라 구속 시트(21)가 다시 부하가 걸린 이중 비틀림 스프링(25)의 힘에 대항하여 수용할 준비가 된 상태인 로킹 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볼트(23)가 멈춤쇠(27)의 돌출 립에 지지되기 시작하자마자, 상기 멈춤쇠(27)는 지지 볼트(23)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된다. 멈춤쇠 상부에서 멈춤쇠(27)의 로킹 장치 아암(39) 상에 지지되고 초기 위치에 대해 약간 상향으로 가압되는 원형 부재(35)가 이제 로킹 장치 아암(39)의 엣지를 따라 구름 이동하게 된다. 원형 부재(35)가 로킹 장치 아암(39)의 상부에 이르자 마자, 로킹 장치 아암(39)의 배면 상에, 즉 닫힘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접하는 면상에 하향으로 스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멈춤쇠(27)는 다시 로킹된다. 멈춤쇠(27)가 후방으로 회전할 때, 구속 시트(21) 역시 충돌 로킹 아암(49)에 지지되기 시작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스윙되어 제어 레버(31)를 해제한다.
제 2 전형적인 실시예에는 이하 설명되는 변형 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 대한 참조 기호는 100 만큼 증가된다. 머리받침(101)에서, 캐리어(105)는 다시 머리받침 바아(103)에 부착되고, 상기 캐리어는 수평축(107)을 피봇식으로 지지한다. 상부 연동 장치(111)는 축(107) 및 판형 배플 부재(113)에 연결되고, 반면에 보다 긴 하부 연동 장치(115) 역시 일면에서 배플 부재(113)에 연결되고 타면에서 축(10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동 장치 베어링 볼트(117)에 의해 캐리어(105)에 연결되어, 머리받침(101)의 양면에서 다시 4절 이음부(119)를 형성한다. 안락 상태 설정을 위해, 하나의 로킹 장치 바아(155)는 각각의 하부 연동 장치(117)에 형성되고, 캐리어(105)의 로킹 장치 노치(161)와 협력하여 다수의 안락 위치를 고정한다. 설정 그 자체는 머리 쿠션형 배플 부재(113) 상에 압력을 가하거나 당김으로써 실행된다.
충돌 발생시, 이중 비틀림 스프링(125)은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축(107)주위에 감기고 캐리어(105)에 의해 지지된다. 축(107)에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걸쇠판(catch plate)(121)은 이중 비틀림 스프링(125) 상에 스냅된다. 미리 부하가 가해진 이중 비틀림 스프링(125)은 멈춤쇠 베어링 볼트(128)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멈춤쇠(127)에 의해 파지된다. 개구 방향으로 미리 부하가 가해진 멈춤쇠(127)는 베어링 아암의 기능을 갖는 제어 레버(131) 상에 회전식 롤로서 지지되는 원형 부재(135)에 의해 로킹된다. 레버 베어링 볼트(133)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제어 레버(131)는 압력 베어링의 형태로 해제 스프링(145)의 미리 가해진 부하에 대항하여 자석(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후방-단부 충돌시, 자석이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 레버(131)를 해제하여 상향 스윙시키며, 원형 부재(135)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이중 비틀림 스프링(125)에 의해 개방되는 멈춤쇠(127)개 해제된다. 무부하의 이중 비틀림 스프링(125)은 배플 부재(113)를 전방으로 즉, 4절 이음부(119)가 이동되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축(107) 영역의 걸쇠판(121)을 따른 부분에 충돌 로킹 맞물림부(153)가 있으며, 로킹 장치 노치와 함께 로킹판(163)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충돌 로킹부의 기능을 갖는 로킹판(163)은 적어도 로킹 노치 영역에서 이동 가능하고, 만약 후방 지향 힘이 걸쇠판(121) 상에 작용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충돌 로킹 맞물림부(153)와 로킹되도록 제조된다. 승객의 머리에 의해 배플 부재(113)에 가해지는 어떠한 저항도 없다면, 머리받침(101)은 최전방 충돌 위치에서 로킹된다. 머리와 접촉하는 경우에, 로킹은 후방으로 다음 충돌 위치에서 발생한다.
충돌 후, 머리받침(101)을 재설정할 때, 로드형 재설정 장치(W)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머리받침(101) 내로 삽입되고, 상기 장치가 먼저 로킹판(163)의 측면을 가압하여, 걸쇠판(121)은 해제된다. 이제 배플 부재(113)는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어, 이중 비틀림 스프링(125)이 멈춤쇠(127)에 의해 수용되고 로킹될 때까지 부하를 받는다. 재설정 장치(W)의 추가적인 길이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장치는 해제 스프링(145)에 부하를 가함과 동시에 제어 레버(131)를 하향으로 가압할 수 있어, 멈춤쇠(127)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원형 부재(135)가 멈춤쇠(127)를 고정할 수 있다. 일단, 자석이 다시 제어 레버(131)를 유지하게 되면, 초기 위치에 도달된다.
제 3 전형적인 실시예는 이하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 기호를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변형 부품은 아포스트로피가 붙은 참조 기호를 갖는다. 제 3 전형적인 실시예는 안락 위치가 없는 변형예이다. 이로써 이중 비틀림 스프링(25)이 상부 연동 장치(11) 또는 배플 부재(13) 상에 직접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부품, 특히 구속 시트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기 위치에서, 멈춤쇠(27)는 도 12에서 머리받침의 제 1 변형예(1′)로 도시된 미리 부하가 걸린 상태의 이중 비틀림 스프링(25) 또는 도 13에서 머리받침의 제 2 변형예(1″)로 도시된 배플 부재(13′) 상에 지지된 것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한다. 로킹 장치 노치 및 이에 따른 로킹 장치 바아 역시 제거될 수 있다. 충돌 발생시 작동, 가능한 충돌 위치에서의 로킹 및 충돌 후의 재설정은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4 전형적인 실시예는 이하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전형적인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은 200으로 증가된 참조 기호가 주어진다. 제 3 전형적인 실시예에서처럼, 안락 위치를 갖지 않는 머리받침(201)에서, 2 개의 머리받침 바아(203)는 축(207)이 지지되는 캐리어(205) 내로 다시 삽입된다. 축(207)에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상부 연동 장치(211)는 캐리어(205)의 전방(이동 방향에 대해)에 배열되는 측면으로 구부러진 배플 부재(213)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하부 연동 장치(215)는 축(20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동 장치 베어링 볼트(217)에 의해 일측면에서 캐리어(205)에 연결되고, 타측면에서 배플 부재(213)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캐리어(205), 상부 연동 장치(211), 배플 부재(213) 및 하부 연동 장치(215)는 함께 4절 이음부(219)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하부 연동 장치(215)는 역시 상부 연동 장치(211)보다 길며, 이로써 상부 연동 장치(211)와 하부 연동 장치(215)가 평행하지 않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부 연동 장치(211)와 이에 상응하는 하부 연동 장치(215)는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하지 않고, 배플 부재(213)의 구부러진 형상에 의해 엇갈리게 배열된다.
필수적으로 수평 위치를 갖는 금속 구속 부재(220)는 배플 부재(213)의 중간 지점에 배열된다. 이러한 중간 지점에서, 수직 중간 평면에 대해 거울상의 대칭을 이루는 구속 부재(220)는 양측면에서 구부러진 중간 영역(220a)을 가지며, 상기 중간 영역은 배플 부재(213)의 수용부(222) 내에 정합 위치되고 리드(222a)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히게 된다. 리드(222a)는 필름 힌지(222b)에 의해 수용부(222)에 부착되고, 역으로 클립 연결부(222c)에 의해 상기 수용부(222)에 부착된다. 단부에서, 구속 부재(220)는 배플 부재(213) 내에 삽입된다.
완충기(213)의 후방(이동 방향에 대해)에, 에너지 저장 장치(225)의 기능을 갖는 2개의 거울상으로 대칭되는 이중 비틀림 스프링이 축(207) 주위에 감기고, 각각은 캐리어(205) 상의 하나의 레그로 지지되며, 구부러진 중간 영역(220a)의 측면에서 일 영역의 구속 부재(220) 상의 다른 레그로 지지된다. 에너지 저장 장치(225)와 구속 부재(220) 사이의 금속 대 금속의 접촉 및 구속 부재(220)가 배플 부재(213)의 대량의 표면에 걸쳐 내재되기 때문에, 힘이 단지 저 표면 압력으로 배플 부재(13)의 플라스틱 재료에 가해진다. 구속 부재(220)가 멈춤쇠 턱부(227a)로 구속 부재(220)의 구부러진 중간 영역(220a)을 수용하는 멈춤쇠(227)에 의해 유지되며, 이에 따라 배플 부재(213)는 에너지 저장 장치(225)에 의해 지지된다. 멈춤쇠(227)는 축(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멈춤쇠 베어링 볼트(228)에서 캐리어(205)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후방(이동 방향에 대해)을 지향하는 제어 레버(231)는 상기 멈춤쇠의 측면상의 일 평면에 멈춤쇠(227) 위에서 축(20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레버 베어링 볼트(233) 상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어 레버(23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레버 베어링 볼트(23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원형 부재(235)가 멈춤쇠(227)를 로킹한다. 이를 위해, 원형 부재(235)는 멈춤쇠(227)의 전방으로(상기 멈춤쇠의 개구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멈춤쇠의 로킹 장치 아암(239)의 전방 또는 반대 관점에서 멈춤쇠(227)의 후방(닫힘 위치로)으로 배열된다. 후방으로부터 스냅되는 금속 접촉판(241)은 플라스틱 제어 레버(231)의 자유단의 측면에 배열되고, 정상 상태 동안, 상기 금속판(241)은 제어 레버(231) 아래 배열되고 제어 레버(231)의 전방에 접하는 자석(243)에 의해 인력을 받으며, 상기 자석은 영구 자석 및 정상 상태에서 텐션이 부여되지 않는 반대 극성을 갖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 각각은 상부 연동 장치(211)의 평면상에서 각각의 연동 장치 베어링 볼트(217)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상부에서,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은 두 가지 레벨의 톱니형부를 갖는다. 이하 설명되는 것처럼, 상부 연동 장치(211)가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과 협력하기 위해, 상부 연동 장치(211)는 축(207)으로부터 이격되어 접하고 상기 축(207) 주위에서 벤딩되는 측면상에 충돌 로킹 맞물림부(253)로서 상응하는 톱형 치형부를 갖는다. 푸시 버튼(254)은 연동 장치 베어링 볼트(217)의 영역에서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 사에 형성된다.
후방 충돌 발생시, 자석(243)이 충격을 감지하여, 접촉판(241)을 해제시킨다. 제어 레버(231)는 상향으로 스윙하고 멈춤쇠(227)로부터 원형 부재(235)를 제거한다. 따라서, 멈춤쇠(227)가 해제되어, 무부하 에너지 저장 장치(225)가 구속 부재(220)에 의해 멈춤쇠(227)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충격-작동식 머리받침(1)을 작동시키며, 동시에 4절 이음부(219)가 돌출되는 동안 배플 부재(213)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동시에,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이 상향으로 스윙되고 상부 연동 장치(211)에 지지되게 된다. 충돌 로킹 장치 아암의 톱니형부 및 충돌 로킹 맞물림부(253)는 상부 연동 장치(211)의 전방 이동이 저해 받지 않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후방 이동은 이하 충돌 위치로서 언급될 단계들 때문에, 다수의 가능한 위치에서 로킹될 것이다. 배플 부재(213)가 소정의 저항을 받지 않는 한, 최전방 충돌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그 전에 만약 배플 부재(213)가 승객의 머리에 대항하여 지지되게 된다면,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 및 충돌 로킹 맞물림부(253)는 후방으로 다음의 충돌 위치에 로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객 머리의 후방 이동은 가능한 원거리 전방에서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머리는 가능한 적은 변위를 겪게 된다.
충격-작동식 머리받침(201)은 충돌 후에 재설정 즉,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재설정을 위해, 충돌 로킹 장치 아암(249)은 푸시 버튼(254)에 의해 충돌 로킹 맞물림부(253)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전방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양손으로 배플 부재(213) 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배플 부재(213)가 다시 부하가 가해진 에너지 저장 장치(225)의 힘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멈춤쇠(227)는 가능한 위치 각각에서 자체-상승하는 방식 즉, 개방 상태에 있거나 도달하는 구속 부재(220)에 의해 개방되어 구속 부재(220) 즉, 보다 정확하게는 구부러진 중간 영역(220a)을 수용하고 다시 닫히는 방식으로 고려된다. 2개의 이러한 개방된 위치가 도면에 도시되며, 여기서 멈춤쇠(227)는 구속 부재(220)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만약, 멈춤쇠 턱부(227a)가 하방을 지향한다면, 구속 부재(220)는 챔버(227b)에 대해 지지되게 되며, 이에 따라 도면에서 멈춤쇠(227)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속 부재(220)가 멈춤쇠 턱부(227a) 또는 상기 턱부의 돌출 립(227c)에 지지되게 된다면, 멈춤쇠(227)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구속 부재(220)를 유지하는 초기 닫힘 위치로 복귀된다. 만약, 반대로 멈춤쇠 턱부(227a)가 전방을 지향한다면, 구속 부재(220)는 립(227c)에 대해 직접 지지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이동될 때, 도면상에서 멈춤쇠(227)는 초기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어 레버(231)는 접촉판(241)이 자석(243)에 의해 인력을 받아 자석에 부착될 때까지 로드형 재설정 장치(W)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된다. 멈춤쇠(227)는 제어 레버(231)의 원형 부재(235)에 의해 다시 로킹된다.
참조 기호 목록
1, 1′, 1″, 101, 201 머리받침
3, 103, 203 머리받침 바아
5, 105, 205 캐리어
7, 107, 207 축
11, 111, 211 상부 연동 장치
13, 13′, 113, 213 배플 부재
15, 115, 215 하부 연동 장치
17, 117, 217 연동 장치 베어링 벨트
19, 119, 219 4절 이음부
21, 121 구속 시트
23 지지 볼트
25, 125, 225 이중 비틀림 스프링, 에너지 저장 장치
27, 127, 227 멈춤쇠
28, 128, 228 멈춤쇠 베어링 볼트
29 멈춤쇠 스프링
31, 131, 231 제어 레버
33, 133, 233 레버 베어링 볼트
35, 135, 235 원형 부재
37 지지 스프링
39, 239 로킹 장치 아암
41, 241 접촉판
43, 243 자석
45, 145 해제 스프링
47 지브
49, 249 충돌 로킹 장치 아암, 충돌 로킹 장치
53, 153, 253 충돌 로킹 장치 맞물림부
55, 155 로킹 장치 바아
57 스냅-인 러그
59 수용부
161 로킹 장치 노치
163 로킹판, 충돌 로킹부
220 구속 부재
220a 구부러진 영역
222 수용부
222a 리드, 덮개
222b 필름 힌지
222c 클립 연결부
227a 멈춤쇠 턱부
227b 챔버
227c 립
254 푸시 버튼
W 재설정 장치

Claims (18)

  1. 캐리어(5; 105; 205),
    수평 축(7, 17; 107, 117; 207, 21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캐리어(5; 105; 205)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및 하부 연동 장치(11, 15; 111, 115; 211, 215),
    상기 연동 장치(11, 15; 111, 115; 211, 215) 및 상기 캐리어(5; 105; 205)와 함께 하나 이상의 4절 이음부(19; 119; 219)를 형성하며 상기 연동 장치(11, 15; 111, 115; 211, 215)에 연결되는 배플 부재(13; 13′; 113; 213), 및
    상기 배플 부재(13; 13′; 113; 213)가 초기 위치로부터 충돌 로킹 장치(49, 53; 153, 163; 249, 253)에 의해 후방 이동에 대항하여 로킹되는 충돌 위치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충돌 발생시 상기 4절 이음부(19; 119; 219)를 구동시키는 에너지 저장 장치(25; 125; 225)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동 장치(11; 111; 211) 및 상기 하부 연동 장치(15; 115; 215)가 서로 평행 배열이 아닌 형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동 장치(15; 115; 215) 및 상기 상부 연동 장치(11; 111; 211)가 길이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 연동 장치(15; 115; 215)가 상기 상부 연동 장치(11; 111; 211)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3. 제 1 항의 전제부, 특히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충돌 후, 상기 머리받침(1; 1′; 1″; 101; 201)이 상기 충돌 로킹 장치(49, 53; 153, 163; 249, 253)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초기 위치로 재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4. 제 3 항에 있어서,
    충돌 후, 상기 충돌 로킹 장치(49, 53; 153, 163; 249, 25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재설정 장치(W; 254)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재설정 장치(W)는 특히 길이 방향으로 상기 머리받침(1; 1′; 1″; 101; 201)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도구이거나 상기 충돌 로킹 장치(49, 53; 153, 163; 249, 253)의 가동형 충돌 로킹부(49; 249) 상의 버튼(2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5. 제 1 항의 전제부, 특히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가 부하식 스프링(25; 125; 225)이며, 상기 스프링(25; 125; 225)을 적어도 간접적으로 초기 위치에 유지시키는 피봇식 멈춤쇠(27; 127; 2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27; 127; 227)를 초기 위치에 유지, 특히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멈춤쇠(27; 127; 227)의 닫힘 방향으로부터 이격되어 접하는 상기 멈춤쇠(27; 127; 227)의 측면 상에 스냅핑되거나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가동식 베어링 아암 상에 지지되는 가동식 지지 원형 부재(35; 135; 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7. 제 6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부하가 가해진 제어 레버(31; 131; 231)가 상기 캐리어(5; 105; 205)에 연결되고, 충돌 발생시 상기 레버가 상기 원형 부재(35; 135; 235)를 이동시키며, 특히 상기 제어 레버(31; 131; 231)가 상기 원형 부재(35; 135; 235)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원형 부재(35; 135; 235)의 베어링 아암과 결합되거나 상기 제어 레버(31; 131; 231) 자체가 상기 베어링 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8. 제 4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1; 1′; 1″; 201)을 재설정할 때, 상기 재설정 장치(W)가 상기 제어 레버(31; 131; 231)를 파지하고, 상기 레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며, 그 후에 상기 배플 부재(13; 13′; 113; 213)가 안으로 당겨질 수 있고 상기 스프링(25; 125; 225)이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멈춤쇠(27; 127; 227)에 의해 다시 로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1; 1′; 1″; 201)을 재설정할 때, 상기 재설정 장치(W)가 상기 제어 레버(31; 131; 231)를 초기 위치에 유지시키는 자석(43; 243)에까지 상기 제어 레버(31; 231)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장치(W)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어 레버(31; 131)가 상기 충돌 로킹 장치(49; 53; 153; 163)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5)이 지지되고 상기 멈춤쇠(27)에 의해 유지되는 피봇식 지지 구속 시트(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사용시, 상기 머리받침(1; 1′; 1″; 101)이 초기 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안락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로킹 장치(49, 53; 153, 163)에 의한 후방 이동에 대항하여 별도로 로킹될 수 있는 다수의 충돌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4. 제 1 항의 전제부,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부재(213)가 구속 부재(220)를 가지며, 로킹 위치에서 부하가 걸리지 않은 피봇식 멈춤쇠(227)가 상기 구속 부재(220)를 파지하며 충돌 발생시 상기 구속 부재(220)를 해제시키고, 충돌 발생 후 소정의 가능한 위치로 상기 머리받침(201)을 재설정하기 위해 상기 구속 부재(220)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227)가 챔버(227b)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227b)에 대항하여 도달하는 구속 부재(220)가 상기 멈춤쇠(227)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227)가 립(227c)을 구비하는 멈춤쇠 턱부(227a)를 포함하며, 상기 립(227c)에 대항하여 도달하는 구속 부재(220)가 상기 멈춤쇠(227)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220)가 넓은 표면에 걸쳐 상기 배플 부재(213)에, 특히 상기 구속 부재(220)용 수용부(222)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222)가 리드(222a)로 닫혀질 수 있는 배플 부재(213)에 내재되고, 상기 구속 부재(220)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222)에 내재되는 굽은 중간 영역(220a)을 가지며 상기 멈춤쇠(227)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225)가 상기 구속 부재(220) 상에 직접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머리받침.
KR1020047015003A 2002-12-21 2003-12-05 충격-작동식 머리받침 KR10101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60582.3 2002-12-21
DE10260582A DE10260582B3 (de) 2002-12-21 2002-12-21 Crashaktive Kopfstütze
DE10351367A DE10351367B3 (de) 2003-11-04 2003-11-04 Crashaktive Kopfstütze
DE10351367.1 2003-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564A true KR20050083564A (ko) 2005-08-26
KR101011079B1 KR101011079B1 (ko) 2011-01-25

Family

ID=3268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003A KR101011079B1 (ko) 2002-12-21 2003-12-05 충격-작동식 머리받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70235B2 (ko)
EP (1) EP1572494B1 (ko)
JP (1) JP4425215B2 (ko)
KR (1) KR101011079B1 (ko)
DE (4) DE50308085D1 (ko)
WO (1) WO2004056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5054B4 (de) 2002-04-05 2007-01-18 Keiper Gmbh & Co.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325472A1 (de) * 2003-06-05 2004-12-30 Keiper Gmbh & Co. Kg Crashaktive Kopfstütze
DE102004035582B3 (de) * 2004-07-22 2006-02-02 Keiper Gmbh & Co.Kg Crashaktive Kopfstütze
JP4436238B2 (ja) * 2004-11-26 2010-03-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DE102005009128B3 (de) * 2005-03-01 2006-06-22 Keiper Gmbh & Co.Kg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crashaktiven Kopfstütze
JP4690085B2 (ja) * 2005-03-23 2011-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GB2424363B (en) * 2005-03-24 2008-07-16 Autoliv Dev Active headrest with lock mechanism
WO2006117047A1 (de) * 2005-05-04 2006-11-09 Keiper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JP4770314B2 (ja) * 2005-07-27 2011-09-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4818661B2 (ja) * 2005-08-25 2011-11-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JP4294629B2 (ja) * 2005-10-17 2009-07-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DE102005051423B3 (de) * 2005-10-27 2007-03-08 Keiper Gmbh & Co.Kg Crashaktive Kopfstütze
US7556313B2 (en) * 2005-11-04 2009-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uated headrest assemblies
DE102005056816A1 (de) 2005-11-24 2007-05-31 Hydac Electronic Gmbh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Steuerteil
JP4342521B2 (ja) * 2006-01-30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080100118A1 (en) * 2006-10-27 2008-05-01 Lear Corporation Dynamic headrest
DE102006055185B4 (de) * 2006-11-21 2010-06-02 Keiper Gmbh & Co. Kg Crashaktives System eines Fahrzeugs
ES1064266Y (es) * 2006-12-05 2007-05-16 Batz S Coop Reposacabezas para asientos de vehiculos automoviles
DE102006061302B3 (de) 2006-12-22 2008-04-30 Keiper Gmbh & Co.Kg Crashaktive Kopfstütze
US7374239B1 (en) * 2007-01-16 2008-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ctive head restraint with self resetting mechanism
DE102007004767A1 (de) * 2007-01-31 2008-08-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mit neigungsverstellbarem Lehnenkopf
US7845721B2 (en) 2007-02-14 2010-12-07 Inoac Corporation Headrest
ES2304100B1 (es) * 2007-02-16 2009-07-03 Batz , S. Coop. "reposacabezas para asientos de vehiculos automoviles".
US7883148B2 (en) * 2007-04-12 2011-0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material head restraint assembly
US7766423B2 (en) * 2007-04-12 2010-08-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head restraint assembly
US7992933B2 (en) * 2007-06-21 2011-08-09 Lear Corporation Integrated vehicle seat with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US7798570B2 (en) * 2007-07-05 2010-09-21 E & E Manufacturing Company, Inc. Adjustabl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DE102007048151B3 (de) * 2007-09-04 2009-01-22 Lear Corporation, Southfield Einstellbar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7871129B2 (en) * 2007-12-05 2011-01-18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DE102008020992B4 (de) * 2007-12-12 2014-02-20 Johnson Controls Gmbh Crash-aktive Kopfstütze
WO2009074340A1 (de) * 2007-12-12 2009-06-18 Johnson Controls Gmbh Crash-aktive kopfstütze
US8100472B2 (en) * 2008-03-17 2012-01-24 Lear Corporatio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EP2106963A1 (en) 2008-04-04 2009-10-07 Batz, S.Coop.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CN101823450B (zh) * 2008-04-11 2015-07-0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活性材料头部限制组件以及锁定和展开其的方法
JP5251277B2 (ja) * 2008-06-09 2013-07-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可動式ヘッドレスト装置
JP5251280B2 (ja) * 2008-06-11 2013-07-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回転ヒンジ機構
JP5262356B2 (ja) * 2008-07-01 2013-08-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S2344496B1 (es) * 2008-07-24 2011-08-17 Batz, S. Coop. "reposacabezas para asientos de vehiculos automoviles".
US8205941B2 (en) 2008-07-30 2012-06-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ctiv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JP5233525B2 (ja) * 2008-09-02 2013-07-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KR101028398B1 (ko) * 2008-09-08 2011-04-13 현대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DE102008057792B4 (de) 2008-11-17 2013-08-14 Johnson Controls Gmbh Crashaktive Kopfstütze mit einem sperrenden Druckknopf
JP5453846B2 (ja) * 2009-03-05 2014-03-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
DE102010003109B9 (de) * 2009-04-22 2012-12-13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mit beweglicher Kopfstütze
DE102009020117B4 (de) * 2009-05-06 2013-11-14 Lear Corp. Sitzanordnung und verstellbare Kopfstützenanordnung
DE102010002525B9 (de) * 2009-05-28 2012-12-13 Lear Corp. Sitzbaugruppe mit einer beweglichen Kopfstützen-Baugruppe
KR101044067B1 (ko) 2009-09-16 2011-06-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E102009045833A1 (de) * 2009-10-20 2011-05-26 Lear Corp., Southfield Sitzeinrichtung mit einer einstellbaren Kopfstützeneinrichtung
DE102009046660B4 (de) * 2009-11-12 2011-11-10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mit einer beweglichen Kopfstütze
DE102010007942B4 (de) 2010-02-12 2012-08-09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US8657378B2 (en) 2010-10-04 2014-02-25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DE102011005590B4 (de) 2011-03-16 2013-05-16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mit einer beweglichen Kopflehnenanordnung
DE102011006243B4 (de) 2011-03-28 2016-11-17 Lear Corporation Höhenverstellbare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ES2399306B1 (es) 2011-05-23 2014-01-28 Batz, S.Coop. Reposacabezas para asientos de vehículos automóviles.
FR2979866B1 (fr) * 2011-09-12 2013-10-04 Cera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S2441290B1 (es) * 2012-03-28 2014-12-04 Batz, S.Coop. Reposacabezas para asientos de vehículos automóviles
KR101576377B1 (ko) * 2014-07-01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WO2017148831A1 (de) * 2016-02-29 2017-09-08 Jifeng Automotive Interior Gmbh Kopfstütze mit verbesserter verstelleinrichtung
US9789794B1 (en) * 2016-07-19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head restraint
JP6879864B2 (ja) * 2017-08-25 2021-06-02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DE102018109611B4 (de) * 2018-04-10 2022-04-21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DE102020117496A1 (de) 2020-07-02 2022-01-05 Faurecia Autositze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und Fahrzeugsitz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6366A (en) * 1969-04-21 1971-06-22 American Safety Equip Inertia-responsive retractable head restraint device
DE2206329C2 (de) * 1972-02-10 1984-06-14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DE3138851A1 (de) * 1981-09-30 1983-04-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Kopfstuetze in personenkraftfahrzeugen
FR2583361B1 (fr) * 1985-06-12 1987-09-04 Faure Bertrand Perfectionnements aux appuis-tete reglables et aux sieges equipes de tels appuis-tete
US4720146A (en) * 1986-08-28 1988-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at headrest apparatus and method
DE3900495A1 (de) 1989-01-10 1990-07-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opfstuetze fuer einen kraftfahrzeugsitz
US5011225A (en) * 1990-03-16 1991-04-30 Tachi-S Co. Ltd. Structure of a movable headrest
US5181763A (en) * 1990-09-20 1993-01-26 Ronald P. Dellanno Apparatus for preventing whiplash
US6088640A (en) * 1997-12-17 2000-07-1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head of an occupant in the presence of objects that obscure the head
US5468045A (en) * 1994-07-28 1995-11-21 Hoover Universal, Inc. Energy absorbing child seat
DE29603467U1 (de) * 1996-02-26 1996-06-2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Fahrzeugsitz
FR2746065B1 (fr) * 1996-03-18 1998-05-22 Appui-tet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29614238U1 (de) 1996-08-16 1996-12-1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9707998B4 (de) * 1997-02-27 2007-04-05 Inova Gmbh Technische Entwicklungen Kraftfahrzeugsitz
NO304221B1 (no) 1996-12-02 1998-11-16 Jacob Kalleberg Sikringssystem for kj°ret°y
JPH10278648A (ja) 1997-04-10 1998-10-20 Yasushi Goto 自動車用鞭打ち症防止機構付ヘッドレスト
DE19739131C1 (de) * 1997-09-06 1998-12-10 Daimler Benz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9753540A1 (de) * 1997-12-03 1999-06-10 Ewald Witte Gmbh & Co Kg Kopfstütze, insbesondere in Kraftfahrzeugen
DE19757533C2 (de) 1997-12-23 2000-02-10 Brose Fahrzeugteile Sicherheits-Fahrzeugsitz
US6074011A (en) * 1998-03-16 2000-06-1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atic retractable head restraint
JPH11321502A (ja) 1998-05-20 1999-11-24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用シ−トのヘッドレストレイント
EP0976608A1 (en) * 1998-07-09 2000-02-02 Gestind M.B. Manifattura Di Bruzolo S.P.A A headrest for motor-vehicle seats
EP0974484B1 (de) 1998-07-23 2002-12-18 GRAMMER Automotive GmbH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DE29907245U1 (de) 1999-04-23 1999-08-26 Trw Repa Gmbh Aufblasbare Kopfstütze
US6213548B1 (en) * 1999-08-12 2001-04-10 Trw Inc. Head restraint apparatus
DE50004441D1 (de) 1999-08-17 2003-12-18 Johnson Controls Gmbh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mit einer integrierten Schutzeinrichtung
DE19938904A1 (de) * 1999-08-17 2001-03-08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Rückenlehne mit integrierter Schutz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Vorbeugung gegen unfallbedingte Verletzungen
US6203105B1 (en) * 1999-08-20 2001-03-20 Mccord Winn Textron Inc. Vehicle impact responsive multiple bladder seating and headrest system and method
DE19951966B4 (de) * 1999-10-28 2006-1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sitz mit einer an der Rückenlehne oder am Fahrzeugaufbau vorgesehenen Kopfstütze
DE10001329B4 (de) 2000-10-05 2004-07-08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004766B4 (de) * 2000-02-03 2004-10-28 Keiper Gmbh & Co. 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026978C1 (de) 2000-05-31 2001-10-18 Ise Gmbh Überrollschutz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lektrisch verstellbaren Kopfstütze
US6715829B2 (en) * 2000-06-15 2004-04-06 Autoliv Development Ab Head-rest
DE10047406A1 (de) 2000-09-26 2002-04-11 Daimler Chrysler Ag Kopfstütze
WO2002068237A1 (de) * 2001-02-24 2002-09-06 Keiper, Gmbh & Co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GB2377370B (en) * 2001-07-10 2005-03-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head-rest arrangement
DE10215137B4 (de) * 2002-02-05 2007-11-08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15054B4 (de) * 2002-04-05 2007-01-18 Keiper Gmbh & Co.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355773B3 (de) * 2003-11-26 2005-01-20 Grammer Ag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2494A1 (de) 2005-09-14
US7070235B2 (en) 2006-07-04
DE20321462U1 (de) 2007-06-14
KR101011079B1 (ko) 2011-01-25
WO2004056606A1 (de) 2004-07-08
EP1572494B1 (de) 2007-08-29
US20050127726A1 (en) 2005-06-16
DE50308085D1 (de) 2007-10-11
DE20321324U1 (de) 2006-09-28
JP4425215B2 (ja) 2010-03-03
DE20321461U1 (de) 2007-06-14
JP2006511398A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079B1 (ko) 충격-작동식 머리받침
JP2006511398A5 (ko)
CA2473484C (en) A neck rest for the seat of an automobile
US6209955B1 (en) Vehicle seat with a yielding recliner stop
US7270373B2 (en) Child car seat
EP1777101B1 (en) Automobile seat
JP5600809B2 (ja) 車両シート用ラッチ及び車両シート
US8573703B2 (en) Headrest for motor-vehicle seat
JP2006526535A (ja) 衝突作動式ヘッドレスト
JPH07156704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WO2000069670A1 (en) Sector recliner with single position memory
JP2006526535A5 (ko)
JP2004526626A (ja) 原動機付き車両シート
JP2002104029A (ja)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跳ね上げ装置
JP4712036B2 (ja) 自動車用座席
JP5153794B2 (ja) バックレスト支持機構
US20030132656A1 (en) Catch hook for a backrest adjustment armature in the seats of motor vehicles
JP6737148B2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18083496A (ja)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H0347562Y2 (ko)
WO2006059405A1 (ja) 車両用座席構造
US20090230702A1 (en) Latch for a motor-vehicle headrest
JP2004330813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EP1800944A2 (en) Active head restraint apparatus for vehicle seats
US20240116404A1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