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990A -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 - Google Patents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990A
KR20050078990A KR1020050009146A KR20050009146A KR20050078990A KR 20050078990 A KR20050078990 A KR 20050078990A KR 1020050009146 A KR1020050009146 A KR 1020050009146A KR 20050009146 A KR20050009146 A KR 20050009146A KR 20050078990 A KR20050078990 A KR 2005007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dhesion
base material
film base
sk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세이시
오카다가츠히로
사사키야스유키
요시카와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6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849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6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849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67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8494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9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올 성분으로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뷰테인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서 메테인다이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에서 수득되는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양호한 투습성을 가지면서 팽화 변형을 막을 수 있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이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투습도가 800 내지 4,000 g/m2·24 h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부착재는 이들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본 발명은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와 피부 부착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습성을 갖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와 피부 부착재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이나 위생 재료용의 점착 테이프는 외부로부터의 물, 세균, 바이러스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으면서 피부의 곡면이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이러한 점착 테이프의 지지체로는, 피부와 유사한 낮은 탄성률을 갖는 박층의 엘라스토머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이나 위생 재료용의 점착 테이프, 예컨대 드레싱재 등에는 피부로부터의 발한에 의한 수분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투습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투습성이 나쁘면 피부에서 발생한 수분이 피부와 점착제층 사이에 저류(貯留)됨으로써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저하시켜서 점착 시트의 고정 기능의 상실을 초래하거나, 피부면에 저류된 수분에 의해 피부가 침연(浸軟) 현상을 야기하여 피부 장해의 발생을 쉽게 한다.
필름에 투습성을 부여하기 위해, 무기 미립자 등을 혼합하여 성막(成膜)하고, 이를 연신함으로써, 필름중에 다수의 미세공(微細孔)을 갖는 필름을 형성하거나, 필름 형성시에 발포시켜 다수의 미세공을 갖는 필름을 형성했었다. 또한, 필름 형성후에 관통공(貫通孔)을 형성하여 필름중에 미세공을 갖는 필름을 형성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미세공을 갖는 필름을 피부에 접착시키면, 땀, 때, 먼지 등으로 눈 막힘을 일으켜 투습성이 저하되었다. 이에, 무세공(無細孔)의 필름, 즉 무세공 필름으로 투습성을 갖는 필름의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예컨대, 무공(無孔)의 투습성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투습성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은 다량의 수분의 흡수에 의해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거나, 과도한 흡습에 의해 필름이 팽윤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습성이 우수한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이러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피부 부착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다이올 성분으로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뷰테인 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서 메테인다이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수득되는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이올 성분으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터계 우레탄 수지 중, 상기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을 5 내지 60 중량%, 상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10 내지 5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로는 40℃의 물에 5분간 침지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로 표시되는 수팽윤율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팽윤율은 실질적으로 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두께가 10μm 내지 50μ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두께가 10μm 내지 50μm의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고,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장강도가 5 내지 30N/20mm폭, 한 방향 이상에서의 신율이 400 내지 1,000%,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열강도가 400 내지 1,000N/cm 두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한 방향 이상에서의 100% 모듈러스가 1 내지 5N/20mm 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습도는 800 내지 4,000g/m2·24h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및 폴리에터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 로는 예컨대 다이올 성분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부터 수득되는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이다. 여기서, 다이올 성분으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이하에서 "OTMG"라고도 약칭함), 뷰테인다이올(이하에서 "BD"라고도 약칭함),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이하에서 "PEG"라고도 약칭함) 및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이하에서 "PPG"이라고도 약칭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되며,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는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이하에서 "MDI"라고도 약칭함)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은 시트를 포함하며, "시트"의 경우 필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이올 성분으로 사용되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은 용도에 따라 적당한 분자량을 갖는 것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의 것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이올 성분으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터계 우레탄 수지중에,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을 5 내지 60 중량%,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10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을 5 내지 45 중량%,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20 내지 4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다이올 성분으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과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수팽윤성을 억제하면서 고투습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팽윤성도 고려하는 경우에는 OTMG과 PEG와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추가적으로는 쇄 연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쇄 연장제로는 종래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컨대,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뷰테인다이올 등의 다이올류, 에틸렌다이아민, 트라이에틸렌다이아민 등의 다이아민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필름에 사용되는 첨가제,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안료, 착색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그 종류에 따라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된다.
에터계 우레탄 수지는, 예컨대 원쇼트법(one shot process) 또는 예비중합체를 사용하여 중합할 수 있다. 또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벌크 중합이라 하더라도 점도 저감을 위해 용액중에서 중합을 실시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벌크 중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응 용기에 다이올 성분을 투입하고, 온도가 50 내지 80℃가 되도록 조정하여 교반하면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을 첨가하여 우레탄화시킨다. 추가로 쇄 연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트레이에 이동시켜 100 내지 150℃에서 4시간 이상 유지하고, 반응을 완결시킴으로써 괴상의 에터계 우레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괴상의 에터계 우레탄 수지를 분쇄하여 펠렛화하고, 이 수지 펠렛을 용융시킨 후, T다이 압출기나 인플레이션 다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으로 압출시켜서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 기재는 보통 권취된다. 또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2개의 가열한 롤 사이에서 에터계 우레탄 수지를 압연, 신전하고, 시트화함으로써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가 형성되며, 필름 기재를 필요에 따라 권취시킬 수 있다. 또는, 수지 펠렛을 N,N-다이메틸아마이드 등의 용제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바 코터 등을 이용하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박리 라이너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의 두께는 의료용이나 위생 재료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시트(피부 부착재)의 경우에는 10 내지 150μm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10μm 미만이면 피부에 붙이거나 뗄 때에 취급하기 어려워질 수 있고, 보통 사용법에 있어서는 실용 불가능한 수준까지 조작성이 저하된다. 한편, 필름의 두께가 150μm보다 두꺼우면 투습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에 부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피부 부착재로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피부 부착재가 드레싱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60μm의 범위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얇은 피부 부착재를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은 용도인 경우에는 10 내지 5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35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다층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예컨대 에터계 우레탄 수지 필름의 적층체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40℃의 물에 5분간 침지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로 표시되는 수팽윤율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팽윤율이 실질적으로 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0%란 필름 기재를 상태 보존했을 때나 제조시에 분위기 중의 수분을 흡습한 정도의 수분량은 무시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후술하는 시험법으로 측정한 측정 범위가 측정 오차를 고려하면 0%로 동일 정도을 말한다.
예컨대, 다이올 성분으로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뷰테인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고,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는 메테인다이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에터계 우레탄 수지는 배합의 종류나 배합량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수팽윤율이 5% 이하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추가로 아디프산 등의 다이카복실산 성분을 배합하여 이루어진 에스터계 우레탄 수지도 수팽윤율이 5% 이하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한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30μm 두께 필름의 투습도(건식법)가 800 g/m2·24 hr 이상, 4,000 g/m2·24 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g/m2 ·24 hr 이상, 4,000 g/m2·24 hr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300 g/m2·24 hr이상, 4,000 g/m2·24 hr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수팽윤 상태에서의 투습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여과지 커버법(습식법)에 의해 수득되는 투습도가 3,000 g/m2·24 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름 등의 투습도란 수증기가 소정 조건하에서 필름 등이 1m2당 투과하는 양이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측정 방법이 나타나 있는데, 예컨대 투습도(건식법)는 소정량의 물을 소정 구경을 갖는 용기 내부에 넣은 후, 용기의 입구를 필름으로 덮고, 온도 40℃, 상대습도 30% R.H.의 조건하에서 24 시간 방치했을 때의 물의 감소량을 1m2당으로 환산한 값이다. 투습도가 높을수록 비통기성이 적은 필름 등이라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두께가 10μm 내지 50μm인 경우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장강도가 5 내지 30N/20mm 폭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한 향의 신율이 4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한 방향에서의 인열강도가 400 내지 1,000N/cm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유연성, 추종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장강도는 10 내지 22N/20mm 폭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 방향 이상에서의 신율은 600 내지 9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열강도는 550 내지 850N/cm 두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두께가 10μm 내지 50μm인 경우 한 방향 이상에서의 100% 모듈러스가 1 내지 5N/20mm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상에 점착제층을 갖는다. 점착제층은 아크릴산 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터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에, 필요에 따라 이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와 상용 가능한 카복실산 에스터, 및 가교제를 혼합하고,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단, 카복실산 에스터는 탄소수가 16 이상이며,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이다.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이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이상, 18 이하의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터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의 에틸에스터, 프로필 에스터, 뷰틸 에스터, 펜틸 에스터, 헥실 에스터, 옥틸 에스터, 노닐 에스터, 데실 에스터, 도데실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알킬 에스터 사슬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의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뷰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메트)아크릴산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등의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스타이렌이나 스타이렌의 유도체, 아세트산바이닐, N-바이닐-2-피롤리돈 등의 바이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에 공중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260K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260K 이하로 함으로써, 피부 접착성이 충분히 발현할 수 있게 되므로, 의료용이나 위생 재료용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으로서 바람직하게 된다.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는, 예컨대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과산화물계 화합물이나 아조계 화합물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와 상용 가능한 카복실산 에스터는 상온에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형 등의 고형상의 카복실산 에스터를 혼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와, 카복실산 에스터와 가교제를 혼합하여 적어도 일부에 가교체를 형성함으로써 겔형의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점착제층은 미소 변형 영역에서의 탄성률을 저하시킬 수 있고, 피부면의 요철에 대하여 점착제층 표면의 밀착성(젖음성)을 향상시켜 피부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더구나 피부 부착재를 박리할 때에는 피부면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박리시에 피부면에 대하여 물리적 자극을 거의 주지 않으며, 피부면의 각질의 박리 등도 거의 생기지 않고, 피부의 손상도 매우 적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카복실산 에스터로는 프탈산, 말레산, 아디프산, 스테아르산이나 각종 지방산과 알킬알코올과의 에스터류, 에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터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스트산 에틸,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뷰틸,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프로필, 로르산 헥실, 락트산 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프탈산 다이에틸, 프탈산 다이옥틸,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올레산 옥틸도데실, 다이메틸옥테인산 헥실데실, 2-에틸헥산산 세틸, 2-에틸헥산산 아이소세틸, 2-에틸헥산산 스테아릴, 석신산 다이옥틸 등의 1가 알코올을 이용한 에스터나, 다이카프릴산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카프릴산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아이소스테아르산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라이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라이-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라이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라이로르산 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라이올레산 글리세릴, 트라이-2-에틸헥산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의 2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에스터를 들 수 있다.
단, 여기서 사용되는 카복실산 에스터는 탄소수가 16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카복실산 에스터의 탄소수가 15 이하에서는 필름 기재가 액상 성분을 다량으로 흡수하여 필름 기재의 팽화 변형이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복실산 에스터를 배합하는 경우 1종 이상을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에 용해시킨다.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카복실산 에스터를 30 내지 100 질량부의 범위내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복실산 에스터를 용해시킨 아크릴산 에스터계 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일부에 가교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가교체를 형성하기 위해 가교 처리가 실시되고, 예컨대 유기 과산화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유기 금속염, 금속 킬레이트, 에폭시 화합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 가교 처리가 실시될 수 있고, 전리성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리적 가교 처리가 실시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등의 가소제, 폴리아크릴산,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또는 흡수성의 수지, 로진계, 터펜계, 석유계 등의 점착 부여제, 각종 연화제, 충전제, 안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카복실산 에스터로서 불포화 결합을 갖는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대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 열화에 의해 물성의 변화가 생겨, 원하는 특성이 발휘되지 않는 것이 우려되기 때문에, 종래 공지된 산화 방지제를 수지 조성물(점착제)중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μm의 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10μm 미만이면 피부에 접착중에 충분한 접착성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100μm을 초과하면 피부 부착재에 요구되는 수준의 수증기 투과성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인체의 피부면에 피부 부착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개인차나 부착하는 부위에 따라 다소의 변동은 있지만, 40℃, 30% R.H.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보존했을 때의 투습도가 600 g/m2·24 hr·40℃·30% R.H.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이 미만의 투습도밖에 없는 점착 시트(피부 부착재)를 피부에 1주일 이상 접착시키면, 계속적인 비통기성을 발현하여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 피부 부착재는 투습도가 800 g/m2·24 hr·40℃·30% R.H. 내지 2,400 g/m2·24 hr·40℃·30% R.H.의 범위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의 필름 기재, 즉 피부 부착재의 투습도가 건식법에 의한 경우에서는 1,000 g/m2·24 hr·40℃·30% R.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습식법에 의한 경우에서는 2,000 g/m2·24 hr·40℃·30% R.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부착재는 내수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부착재를 물에 침지시켰을 때 팽윤이 생겨서, 주름이 발생하거나 피착체로부터의 들뜸이 일어나거나 하면, 밀봉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의 변형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이 너무 크면 점착 테이프화 등을 실현할 수 없거나, 피부 부착재를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액상 성분, 예컨대 트라이카프릴산 글리세릴(이하, "GTC"라고 약칭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에 대한 흡수율이 50% 이하이고, 변형률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피부 부착재를 이용하여, 반창고 등의 의료용 테이프나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 부착재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반창고를 형성하거나, 또는 창상 부분을 피복하는 피복재, 외과 수술후의 보호재, 카테터의 바늘 삽입부에 사용되는 패드나 거즈 등의 커버재 등의 의료용 테이프 또는 시트를 형성하거나, 피부 부착재에 다른 기재 등을 조합하여 고정용 테이프나 기구 유지 테이프 등의 의료용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용 기재 및 피부 부착재는 피부에 부착하는 용도이면 상기 의료 용도 이외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고, 예컨대, 점착 귀걸이나, 문신 테이프, 가발 고정용 테이프, 인공모 식모용 테이프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서는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く측정방 법 및 평가 방법>
(1) 필름 기재의 투습도(건식법)
20mL의 정제수를 내경 40mm, 높이 40mm의 유리제 용기(칭량병)에 넣고, 직경 50mm의 원형으로 재단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용기의 입구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점착 시트를 부착한 용기 전체의 중량(W1)을 측정한 후, 이것을 40℃, 상대습도 30% R.H.의 항온 항습기 속에 넣고, 24 시간 방치후의 중량(W2)을 측정하였다. 투습도를 다음 수학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단, 투습도는 두께에 반비례한다고 가정하여 두께 30μm의 것으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투습도(g/m2·24hr·40℃·30% R.H.)=(W1-W2)/(0.02×0.02×π)
(2) 피부 부착재의 투습도(건식법)
상기 (1) 필름 기재의 투습도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투습도를 구했다. 단, 점착제층이 물(수증기) 쪽이 되도록, 즉 점착제층이 유리제 용기의 입구와 접촉하도록 하여 피부 부착재를 고정하였다.
(3) 필름 기재의 투습도(여과지 커버법, 습식법)
필름 기재를 직경 60mm의 원형으로 천공한다. 가로 세로 70mm의 알루미늄판 위에 직경 30mm의 원형의 여과지를 6장 겹쳐 얹고, 여과지에 정제수 1mL를 함침시킨다. 다음으로 여과지를 덮도록 천공한 직경 60mm의 필름 기재를 겹쳐서 알루미늄판에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수득된 필름 기재를 고정한 알루미늄판을 40℃, 상대습도 30% RH의 항온 항습기 중에서 1시간 이상 보존한다. 보존 전후의 중량을 각각 측정하여(W3: 보존전의 중량, W4: 보존후의 중량), 투습도를 다음 수학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단, 투습도는 두께에 반비례한다고 가정하여 두께 50μm의 것으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투습도(g/m2·24hr·40℃·30% R.H.)= (W3-W4)/(0.015×0.015×π)
(4) 피부 부착재의 투습도(여과지 커버법, 습식법)
상기 (3) 필름 기재의 투습도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투습도를 구하였다.
(5) 액상 성분 흡수성(변형률, 흡수율)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제작한 직후에 50mm×5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료편을 제작한다. 이 시료편의 한 변의 길이와 중량을 측정한다(여기서는 "초기 길이" 또는 "초기 중량"이라 표기함.). 시료편을, 트라이카프릴산 글리세릴 중에 3일간 침지한 후, 꺼내어 표면에 부착한 액체를 닦아 내고 나서 한 변의 길이 및 중량을 측정한다(여기서는 "침지후 길이" 또는 "침지후 중량"이라 표기함). 다음 수학식에 따라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변형률과 흡수율을 산출하였다.
변형률(%)= [(침지후의 길이-초기 길이)/초기 길이] ×100
흡수율(%)= [(침지후의 중량-초기 중량)/초기 중량]×100
(6) 수분 팽윤성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50mm×5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대각선 방향으로 길이 50mm의 표선을 기입한다. 이것을 40℃의 정제수 중에 5분간 침지한 후 꺼낸다. 꺼낸 후 즉시 표선의 길이(L)를 측정한다. 다음 수학식에 따라 수팽윤율을 구하였다.
수팽윤율(%)= {(L-50)/50}×100
(7) 피부 부착재의 내수성
피부 부착재를 40mm×4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네 각을 반경 5mm의 원형 형상으로 잘라낸다. 이 절단한 피부 부착재를, 알루미늄판 위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접착한다. 다음으로 피부 부착재를 접착한 알루미늄판을, 40℃의 정제수 속에 5분간 침지한 후 꺼낸다. 침지후의 피부 부착재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주름이나 들뜸이 발생한 경우에는 기호 "×", 주름이나 들뜸이 다소 발생했지만 실용가능한 수준인 것을 기호 "△", 또한 주름이나 들뜸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접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호 "○"로 나타낸다.
(8) 인장강도
폭 20mm×길이 약 100mm의 시료편을 취하여 50mm의 길이 지점에 표선을 넣었다(척 간 50mm). 이 시료편을 인장속도 200mm/분으로 잡아당겨서 파단시의 최대 응력을 인장강도(N/20mm 폭)로 하였다.
(9) 신율
폭 20mm×길이 약 100mm의 시료편을 취하여 50mm의 길이 지점에 표선을 넣었다(척 간 50mm). 이 시료편을 인장속도 200mm/분으로 잡아당겨서 파단시의 신율의 길이를 다음 수학식에 의해 구하였다.
신율(%)= {(파단시의 표선의 길이(mm)-50mm)/50mm}×100
(10) 인열강도
JIS-K-6301-1995에 기재된 B법에 기초하여 인열강도를 측정하였다. 즉, 시험편 B형을 인장속도 500mm/분으로 파단할 때까지 잡아당기고, 이 때 시험편을 찢는 데 필요한 최대의 힘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하였다.
인열강도(N/cm)= 최대 인열력(N)/시험편의 두께(cm)
(11) 100% 모듈러스
폭 20mm×길이 약 100mm의 시료편을 취하여 50mm의 길이 지점에 표선을 넣었다(척 간 50mm). 이 시료편을 인장속도 200mm/분으로 잡아당기고, 시료편을 100% 잡아당겼을 때의 인장응력(N/20mm 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I-1)
냉각관, 가열 장치,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올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OTMG) 38g,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26g 및 1,4-뷰테인다이올(BD) 6g을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이것을 온도가 70℃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면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 50℃로 한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30g을 가하여 5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생성물을 트레이에 옮기고, 열풍 건조기속에 넣어 140℃에서 5시간 숙성하여 괴상의 에터계 우레탄 수지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괴상의 에터계 우레탄 수지를 분쇄하고,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에 용해시켜 농도 30%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박리 처리한 폴리에스터 필름(38μm 두께)의 박리 처리면 상에, 건조후의 두께가 30μm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캐스팅하고, 열풍 건조기중에서, 160℃에서 5분간 건조시켜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아크릴산아이소노닐(NA), 아크릴산메톡시에틸(MEA), 아크릴산(AA)을 공중합시켜 아크릴산 알킬에스터계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단, 아크릴산 알킬에스터계 중합체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NA:MEA:AA= 65:30:5이다. 수득된 아크릴산 알킬에스터계 중합체 100 중량부(고형분)와, 카복실산 에스터 성분으로서 트라이카프릴산 글리세릴(GTC) 60 중량부와, 가교제 성분으로서 3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0.2 중량부를 톨루엔 중에서 혼합하여 점착제층 용융액(농도 33%)을 제조하였다. 이 점착제층 용융액을, 박리 처리를 실시한 종이 세퍼레이터의 박리 처리면 상에 건조후의 두께가 30μm이 되도록 도포하고, 열풍 건조기속에서 11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수득된 점착제층 위에, 제작한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를 접합한 후, 열풍 건조기중에 60℃의 분위기 하에서 3일간 저장하여 에이징을 실시하여 점착제층의 가교 반응을 완결시켜 드레싱재용의 피부 부착재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에 대하여 투습도(건식법)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액상 성분(GTC) 흡수성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2)
실시예 I-1에 있어서, 폴리올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OTMG) 6g,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40g,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PPG) 10g, 1,4-뷰테인다이올(BD) 8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온도가 70℃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면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 50℃로 한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36g를 가하여 5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 부착재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실시예 I-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3)
실시예 I-1에 있어서, 폴리올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OTMG) 58g과, 1,4-뷰테인다이올(BD) 10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온도가 70℃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면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 50℃로 한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32g를 가하여 5분간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 부착재를 제작하였다.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실시예 I-1과 동일한 측정 및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I-1)
무공형의 투습성 필름으로서 두께 25μm의 폴리에터 폴리아마이드 필름을 준비했다. 이 필름의 한쪽 면에,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피부 부착재를 제작하였다.
폴리에터 폴리아마이드 필름 및 작성한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실시예 I-1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I-1 내지 I-3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투습도가 1,000 g/m2·24hr·40℃·30% R.H. 이상이며, 우수한 투습성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다이올 성분으로서 PEG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 실시예 I-1 및 실시예 I-2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투습도가 1,900 g/m2·24hr·40℃·30% R.H. 이상이며, 특히 우수한 투습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폴리에터아마이드로 이루어진 비교예 I-1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투습성은 우수했지만, 트라이카프릴산 글리세릴에 대한 흡수율이 60%로 매우 높고 액상 성분의 흡수에 의한 변형이 커, 양호한 피부 부착재를 실현할 수는 없었다.
또한, 실시예 I-1 및 실시예 I-2의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투습도 측정을 한 결과, 실시예 I-1의 피부 부착재의 투습도는 1,030 g/m2·24h이고, 실시예 I-2의 투습도는 1,180 g/m2·24h였다. 즉, 실시예 I-1 및 실시예 I-2의 피부 부착재 필름 기재는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에도 우수한 투습도를 갖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I-1 내지 I-3의 피부 부착재는 적절한 접착력을 가지면서, 피부등으로의 추종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II-1)
실시예 I-1에서 제작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각각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수팽윤도와 피부 부착재의 내수성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I-2)
실시예 I-3에서 제작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각각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수팽윤도와 피부 부착재의 내수성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I-3)
실시예 I-1에 있어서, 폴리올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OTMG) 22g,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33g,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PPG) 5g 및 1,4-뷰테인다이올(BD) 7g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온도가 70℃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면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 50℃로 한 메틸렌다이페닐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MDI) 33g를 가하여 5분간 교반한 이외에는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I-1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 부착재를 제작했다.
수득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각각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수팽윤도와 피부 부착재의 내수성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I-4)
실시예 I-2에서 제작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에 대하여 각각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수팽윤도와 피부 부착재의 내수성에 대해서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II-1 내지 II-4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투습도(건식법)가 1,000 g/m2·24hr·40℃·30% R.H. 이상으로, 우수한 투습성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II-1 내지 실시예 II-4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습식법에 의한 투습도에 있어서도 우수했으며, 또한 점착층을 형성한 피부 부착재라도 투습성이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II-1 내지 실시예 II-2의 피부 부착재는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며, 실시예 II-3의 피부 부착재는 실용 수준 이상의 것이었다.
특히, 실시예 II-1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투습도(건식법)가 1,900 g/m2·24hr·40℃·30% R.H. 이상이며, 특히 우수한 투습성을 가지면서, 점착제층을 갖는 피부 부착재에 있어서도 투습도(건식법, 습식법)가 우수하고, 또한 내수성도 우수한 밸런스가 좋은 필름 기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팽윤율이 5%를 초과하는 실시예 II-4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수분의 흡수에 의한 변형이 크고, 내수성이 떨어지는 것이지만, 투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표 1의 실시예 I-2의 결과에서도 분명한 바와 같이, 액상 성분의 흡수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용도를 한정하면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II-1 내지 II-4의 피부 부착재는 적절한 접착성을 가지면서, 또한 피부 등으로의 추종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III-1)
실시예 I-1에 있어서 제작한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에 대하여 이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즉,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필름 흐름 방향(MD 방향)과 그 수직 방향(TD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및 100% 모듈러스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III-1, 즉 실시예 I-1의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는 TD 방향 및 MD 방향의 인장강도가 5 내지 30N/20mm폭 이내이며, TD 방향 및 MD 방향의 신율이 400 내지 1,000%, TD 방향 및 MD 방향의 인열강도가 400 내지 1,000N/10mm 폭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등에 추종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투습성을 갖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부착재는 다양한 크기의 시트상, 테이프상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롤상 형태로 보존할 수도 있다. 이들 피부 부착재는 피부 부착 용도, 예컨대 의료 위생 분야, 외용 용도 등의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반창고, 점착 붕대, 드레싱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laims (11)

  1. 다이올 성분으로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뷰테인 다이올,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서 메테인다이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수득되는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올 성분으로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을 사용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터계 우레탄 수지 중 상기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을 5 내지 60 중량%, 상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10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기재로서 40℃의 물에 5분간 침지했을 때의 길이 변화로 표시되는 수팽윤율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윤율이 실질적으로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10μm 내지 50μm인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10μm 내지 50μm의 에터계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며,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장강도가 5 내지 30N/20 mm폭이고, 한 방향 이상에서의 신율이 400 내지 1,000%이며, 한 방향 이상에서의 인열강도가 400 내지 1,000N/cm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8. 제 7 항에 있어서,
    한 방향 이상에서의 100% 모듈러스가 1 내지 5 N/20mm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00 내지 4,000 g/m2·24 hr인 투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의 한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부착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및 폴리에터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우레탄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 부착재.
KR1020050009146A 2004-02-03 2005-02-01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 KR20050078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6763 2004-02-03
JP2004026773A JP2005218496A (ja) 2004-02-03 2004-02-03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2004026763A JP2005218495A (ja) 2004-02-03 2004-02-03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2004026761A JP2005218494A (ja) 2004-02-03 2004-02-03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JP-P-2004-00026761 2004-02-03
JPJP-P-2004-00026773 2004-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90A true KR20050078990A (ko) 2005-08-08

Family

ID=3468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146A KR20050078990A (ko) 2004-02-03 2005-02-01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69975A1 (ko)
EP (1) EP1561479A1 (ko)
KR (1) KR20050078990A (ko)
CN (1) CN100522261C (ko)
AU (1) AU2005200368A1 (ko)
TW (1) TWI3672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539B1 (ko) * 2007-09-28 2015-02-03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화장 보조 첩부재 및 그 첩부재를 사용한 화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2522D0 (en) 2002-09-27 2002-11-06 Controlled Therapeutics Sct Water-swellable polymers
GB0417401D0 (en) 2004-08-05 2004-09-08 Controlled Therapeutics Sct Stabilised prostaglandin composition
JP5311530B2 (ja) * 2006-02-23 2013-10-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GB0613333D0 (en) 2006-07-05 2006-08-16 Controlled Therapeutics Sct Hydrophilic polyurethane compositions
GB0613638D0 (en) 2006-07-08 2006-08-16 Controlled Therapeutics Sct Polyurethane elastomers
CN100398157C (zh) * 2006-08-10 2008-07-02 上海华舟压敏胶制品有限公司 聚氨酯薄膜医用柔性防水胶贴及使用方法
GB0620685D0 (en) 2006-10-18 2006-11-29 Controlled Therapeutics Sct Bioresorbable polymers
CN101219236B (zh) * 2007-01-12 2012-05-30 苏州美迪斯医疗运动用品有限公司 自粘性海绵绷带及其制作方法
US7678959B2 (en) * 2007-02-27 2010-03-16 Nitto Denko Corporatio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JP3153770U (ja) * 2009-07-07 2009-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CN101787108A (zh) * 2010-03-17 2010-07-28 上海交通大学 一种相变保温聚氨酯树脂的制备方法
CN105238286B (zh) * 2011-01-27 2018-12-11 Lg化学株式会社 填充间隙用溶胀胶带
JP6034637B2 (ja) * 2012-09-28 2016-11-30 ニチバン株式会社 窓付きカテーテル固定用貼付材
CN103013422B (zh) * 2012-12-15 2014-03-12 河南瑞美真发股份有限公司 一种发制品用帘子胶及其制备方法
CN103992459A (zh) * 2014-05-26 2014-08-20 北京化工大学 一种可溶解于乙醇的聚氨酯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81341B1 (ko) * 2014-10-31 2022-12-23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표면으로 활성 작용제의 전달을 위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WO2016135038A1 (en) * 2015-02-23 2016-09-01 Nitto Denko Corporation Wound dressing
CN106038065B (zh) * 2016-05-26 2019-06-18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聚硅氧烷超分子弹性体具有双层结构的皮肤创伤敷料及其制备方法
DE102016008257A1 (de) * 2016-07-08 2018-01-11 Carl Freudenberg Kg Hautauflage
CN109276746A (zh) * 2017-07-20 2019-01-29 泰陞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除疤贴片及其制造方法
CN109276739A (zh) * 2017-07-20 2019-01-29 泰陞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吸收性敷料及其制造方法
CN109276749A (zh) * 2017-07-20 2019-01-29 泰陞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抗沾粘敷料及其制造方法
EP4247244A1 (en) * 2020-11-23 2023-09-27 Henkel AG & Co. KGaA Wearable patche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7425A (en) * 1984-05-21 1989-07-11 Th. Goldschmidt Ag Moisture vapor permeable materials
JP2967540B2 (ja) * 1989-12-29 1999-10-25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透湿性ポリウレタン樹脂フイルム
JP2665626B2 (ja) * 1990-11-14 1997-10-22 東洋ゴム工業 株式会社 透湿性ポリウレタン樹脂
JP3294913B2 (ja) * 1993-07-05 2002-06-24 武田バーディシェ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及び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成形物
FR2739804B1 (fr) * 1995-10-17 1997-12-05 Atochem Elf Sa Nouveau stratifie comprenant un non-tisse en association avec un film thermoplast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H09299473A (ja) * 1996-05-10 1997-11-25 Nippon Zeon Co Ltd 医用材料組成物及び医用成形物
JP3884995B2 (ja) * 2002-05-29 2007-02-21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着用粘着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539B1 (ko) * 2007-09-28 2015-02-03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화장 보조 첩부재 및 그 첩부재를 사용한 화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7219B (en) 2012-07-01
US20050169975A1 (en) 2005-08-04
TW200538478A (en) 2005-12-01
CN1654089A (zh) 2005-08-17
EP1561479A1 (en) 2005-08-10
CN100522261C (zh) 2009-08-05
AU2005200368A1 (en)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8990A (ko) 피부 부착재용 필름 기재 및 피부 부착재
AU2003204326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JP5457446B2 (ja) 貼付材
US7678959B2 (e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AU201520142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for application on skin
KR100784011B1 (ko) 피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용 접착테이프 또는 시이트
WO2018030447A1 (ja) 皮膚貼付材ならびに皮膚貼付材巻回体
JP4766947B2 (ja) 粘着シート
JP2005218496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2005058341A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5110856B2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KR20050043663A (ko) 의료용 점착 시이트류 및 그 제조방법
JP2005218495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2006320358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2005218494A (ja) 皮膚貼付材用フィルム基材及び皮膚貼付材
JP4212988B2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4601366B2 (ja) 医療用粘着シート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