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85Y1 -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85Y1
KR200473285Y1 KR2020120002611U KR20120002611U KR200473285Y1 KR 200473285 Y1 KR200473285 Y1 KR 200473285Y1 KR 2020120002611 U KR2020120002611 U KR 2020120002611U KR 20120002611 U KR20120002611 U KR 20120002611U KR 200473285 Y1 KR200473285 Y1 KR 200473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llen
handle
carr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891U (ko
Inventor
이경민
Original Assignee
한국화훼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훼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화훼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2020120002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8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3Needle cushions or needle plates for supporting flowers in pots or v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구조의 개선을 통해 화분 거치대와 화분 캐리어의 두가지 용도로 사용 가능한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는, 상부가 개구된 한 개 이상의 화분 수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면(上面)의 양측 장변(長邊) 중심부로부터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띠 형상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접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Flowerpot supporter and carrier}
본 고안은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구조의 개선을 통해 화분 거치대와 화분 캐리어의 두가지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고안된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화분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분 캐리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분 캐리어는 특정 장소 사이에 화분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사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동 이외의 상태에 사용될 여지가 없어 그 보관 등에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특허등록 제10-0631300호 공보에는 재배된 다양한 화훼를 여러 식재 셀로 구성된 단일화분에 식재하여 포장출하 함으로써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화분의 각 식재 셀에 화훼를 직접 식재하고, 식재된 화훼를 반출할 시에는 다른 화분으로 다시 옮겨 심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운반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화분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옮기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 구조의 개선을 통해 화분 거치대와 화분 캐리어의 두가지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고안된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한 개 이상의 화분 수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면(上面)의 양측 장변(長邊) 중심부로부터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띠 형상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접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연결부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접힘 상태 시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 손잡이 사이의 대응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의 접철부에는 강도(强度) 보강용 돌조 또는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띠 형상의 손잡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띠 방향의 비드(bead) 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가 둘 이상의 화분 수납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화분 수납부는 인접한 화분 수납부와 연통부를 통해 상호 연통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연통부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화분 수납부의 직경 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화분 수납부와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작힐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상면 둘레 방향 또는 화분 수납부 둘레면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비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외측면이 라벨 부착이 가능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강도 보강을 위한 수직 방향의 비드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손잡이를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손잡이의 접힘 상태에서는 화분 캐리어로 사용 가능하고, 손잡이의 펼침 상태에서는 화분 거치대로 사용 가능한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2) 띠 형상의 손잡이에 보강용 비드 등을 형성함으로써 손잡이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접철부에 돌조 형성 등을 통해 응력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 접철부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였다.
(3) 본체와 손잡이 사이의 연결부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뒤틀림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돌출부를 라벨 부착 등의 용도로 활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본체에 다수의 화분 수납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 사이를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본체에 수납된 다수의 화분 사이에 균일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화분 거치대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화분 캐리어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화분 거치대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는, 본체(110), 연결부(130) 및 손잡이(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도면에는 3개의 화분 수납부(120)를 구비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직사각형상의 본체(110)에는 3개의 화분 수납부(120)가 구비되며, 연결부(130)가 본체(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으로 돌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30)에는 손잡이(140)가 연장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110)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각각의 구성요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10)는 하나 이상의 화분 수납부(120)를 구비하는데, 화분 수납부(120)는 통상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이나 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10)에 둘 이상의 화분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경우 인접한 화분 수납부(120) 사이는 연통부(125)를 통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통부(125)는 화분 수납부(12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연통부(125)를 통해 화분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화분 수납부(120)의 직경 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연통부(125)는 화분 수납부(120)와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화분 거치대로 사용하는 등의 경우 각각의 화분 사이에 동일한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체(110)의 상면 둘레 및/또는 화분 수납부(120)와 연통부(125)로 이루어지는 본체(110) 측면에는 강도의 보강을 위해 비드(bead, 115) 등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갖는 화분의 이동이나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용 비드(115)는 홀(hole) 등으로 대체 가능할 수 있으나, 본체(110) 측면, 즉, 화분 수납부(120)나 연통부(125) 측면의 경우 화분에 공급된 물의 저장이 가능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결부(130)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110) 상면(上面)의 양측 장변(長邊) 중심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는 본체(110)의 상면 장변 중심부에 소정의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이로부터 손잡이(14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부(13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체(110)에 화분의 무게로 인해 가해지는 응력의 분산 등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본체(110)에 발생 가능한 뒤틀림 등의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소정의 폭과 면적에 의해 확보되는 일정 면적의 평면에 스티커 등의 라벨 부착이 가능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광고나 기타 표시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연결부(130)의 외부 내측면에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용 비드(bead)나 홀(hole)(135) 등이 형성될 수 있음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손잡이(140)는 상기 연결부(13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직사각형상의 본체(110)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손잡이(140)에 의해 한 쌍의 연결부(130)는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손잡이(140)는 연결부(130)를 중심으로 접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때 접철부의 강도 보강을 위해 접철부에는 다수의 돌조나 홀(hole)(150) 등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손잡이(140)의 접힘 상태에서 화분 캐리어로 기능하고, 손잡이(140)의 펼침 상태에서 화분 거치대로 기능하는 본 고안의 특성상 손잡이(140)의 빈번한 접철이 발행할 수 있으며, 또한 화분 캐리어로 기능시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의 화분을 띠 형상의 손잡이만으로 지탱함으로써 이 부분에 응력의 집중이 이루어짐에 따라 접철부의 파손 등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돌조나 홀 등(150)을 접철부에 형성시킴으로써 접철부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돌조나 홀(150)은 2열 이상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조나 홀(150)의 열간(列間)을 통해 손잡이(140)의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140)의 끝단, 즉, 손잡이(140) 접힘 상태에서의 상단에는 양 손잡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이 화분 캐리어로 기능하는 등의 경우 결합부(160)에 의해 접힘 상태의 양 손잡이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60)는 단순한 구성의 요철 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 통상의 어떠한 대응 결합 방식도 모두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때, 손잡이(140)에는 다수의 보강용 비드나 홀(145)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거운 화분의 탑재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손잡이(140)의 강도가 보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용 비드나 홀(145)이 띠 형상을 갖는 손잡이(140)의 띠 방향(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손잡이(140)는 펼침 상태일 경우 본체(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지금까지 도 1을 통해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10), 연결부(130) 및 손잡이(140) 등에 보강용 비드 또는 홀(115, 135, 145)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30)와 손잡이(140)의 접철부에도 돌조 또는 홀(150) 등이 형성될 수 있음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비드, 돌조 또는 홀을 포함하는 모든 공지의 보강 수단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하의 도면을 통해 보강용 비드나 돌조를 언급하는 경우 이는 당연히 홀(hole) 등의 기타 다른 보강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화분 캐리어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140)가 돌조(150) 부근의 접철부에서 접힘이 이루어진 후, 결합부(160) 사이의 대응 결합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이 본 고안의 화분 거치대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면, 도 2는 본 고안의 화분 캐리어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화분 수납부(120) 및 연통부(125) 등을 구비하는 본체(110)에는 다수의 보강용 비드(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부(125)는 화분 수납부(120)의 직경 보다 작은 폭 및 동일한 깊이를 갖고, 연결부(13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손잡이(140)에는 다수의 보강용 비드(145)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130)와 손잡이(140) 사이에는 다수의 돌조(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소정 면적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30)의 외부 외측면을 이용해 광고 등의 라벨 부착이 가능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는 본체(110) 상면이 상하 및 좌우 방향 대칭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화분이 탑재되는 경우 무게 균형 유지를 통해 제품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을 통해 화분 수납부(120) 사이의 연통부(125)가 화분 수납부(120)의 직경에 비해 작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본체(110) 상면의 둘레 방향이나 손잡이(140)의 띠 방향으로 보강용 비드(115, 145) 등이 형성되어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의 측면도로써, 손잡이(140)가 펼침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통해, 본체(110)에 구비되는 화분 수납부(120)의 측면에 다수의 보강용 비드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결부(130)가 본체(110) 상면의 연장 평면 상으로부터 수직 방향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었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40)가 펼침 상태에서 본체(110) 상면과 동일 평면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는 손잡이(140)에 구비되는 결합부(160)에 요철 결합 방식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며 따라서 일측 결합부(160)가 하방 돌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결합부(160)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전술한 바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는 진공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130)의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나타낸 설명도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화분 수납부(120)를 2개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면과 같은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는 2개의 화분 수납부(120) 사이가 연통부(125)를 통해 상호 연결되었으며, 이들을 구비하는 본체(110)에 다수의 보강용 비드(115)가 형성되고, 본체(110)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부(130)에서는 손잡이(140)가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130)와 손잡이(140) 사이에는 다수의 돌조(150)가 구비되는 등의 구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체(110)의 상면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조 및 기능들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를 나타낸 설명도로써,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화분 수납부(120)를 5개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수납부(120)를 5개 구비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역시 본체(110), 연결부(130) 및 손잡이(140)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며, 돌조(150)와 보강용 비드(115, 135, 145) 등을 구비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역시 인접한 화분 수납부(120)의 사이는 연통부(125)를 통해 상호 연통되어 화분들 사이에 균일한 급수 및 배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손잡이(140)의 끝단에는 대응 결합부(160)가 형성됨으로써 양측 손잡이(140) 사이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밖에 상기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조 및 기능들이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체(110)의 상면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110)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또한, 본체(110), 연결부(130), 손잡이(140) 및 연결부(130)와 손잡이(140) 사이 접철부 등의 보강을 위해 비드(115, 135, 145) 및 돌조(150)가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공지의 모든 보강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임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본체 115: 본체 비드
120: 화분 수납부 125: 연통부
130: 연결부 135: 연결부 비드
140: 손잡이 145: 손잡이 비드
150: 돌조 160: 결합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가 개구된 한 개 이상의 화분 수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면(上面)의 양측 장변(長邊) 중심부로부터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를 이격하여 둘러싸도록 상기 한 쌍의 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띠 형상 손잡이;를 포함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접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접힘 상태 시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 손잡이 사이의 대응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에는 강도(强度) 보강용 돌조 또는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의 손잡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띠 방향의 비드(bead) 또는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둘 이상의 화분 수납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화분 수납부는 인접한 화분 수납부와 연통부를 통해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화분 수납부의 직경 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화분 수납부와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 둘레 방향 또는 화분 수납부 둘레면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측면에 라벨 부착이 가능한 평면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강도 보강을 위한 수직 방향의 비드 또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KR2020120002611U 2012-03-30 2012-03-30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KR200473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11U KR200473285Y1 (ko) 2012-03-30 2012-03-30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11U KR200473285Y1 (ko) 2012-03-30 2012-03-30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91U KR20130005891U (ko) 2013-10-10
KR200473285Y1 true KR200473285Y1 (ko) 2014-06-23

Family

ID=5149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611U KR200473285Y1 (ko) 2012-03-30 2012-03-30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75Y1 (ko) * 2015-07-07 2016-12-02 경기도 라벨 탈착식 조립형 화분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26U (ko) * 1994-06-16 1996-01-17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트 운반용기
JP2000005001A (ja) * 1998-06-18 2000-01-11 Carrot Matsuzaka Kikaku Kk プラスチック製篭
KR20060022175A (ko) * 2004-09-06 2006-03-09 이종원 화분파렛트
KR20110032103A (ko) * 2009-09-22 2011-03-30 김문회 화분 진열대 겸 운반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26U (ko) * 1994-06-16 1996-01-17 주식회사 명진산업 포트 운반용기
JP2000005001A (ja) * 1998-06-18 2000-01-11 Carrot Matsuzaka Kikaku Kk プラスチック製篭
KR20060022175A (ko) * 2004-09-06 2006-03-09 이종원 화분파렛트
KR20110032103A (ko) * 2009-09-22 2011-03-30 김문회 화분 진열대 겸 운반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91U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0666B2 (en) Plant container with watering system
US20090241415A1 (en) Vessel for Planting Plants or Flowers, and Its Planar Development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CA2827048A1 (en) Device for displaying flower bouquets or potted plants
JP2008048640A (ja) 植物育成袋及びこの袋を懸架する支持スタンド並びにこの袋及び支持スタンドからなる植物育成装置
KR200473285Y1 (ko) 화분 거치대 겸용 캐리어
KR200471719Y1 (ko)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101456594B1 (ko) 화분
JP3148053U (ja) 植物支持装置及び植物栽培棚の組み立てセット
KR20120006735U (ko) 화분 운반용 포장박스
JP2007244219A (ja) 鉢および植物が植えられた鉢の製造方法
KR200452463Y1 (ko) 꽃다발 봉
JP3172204U (ja) 鑑賞器具
JP3171701U (ja) 観賞用ポット
KR20160001970U (ko) 접이식 화분
JP3163105U (ja) 植木用ポット
JP3150832U (ja) 植物育苗ポット
JP3136187U (ja) 鉢植え等の輸送箱
CN217850410U (zh) 一种组合式花卉苗盆
KR200492439Y1 (ko) 화분 캐리어
JP3170685U (ja) 植物栽培用の支柱体
JP6297725B1 (ja) 多目的収納ユニット
KR200481975Y1 (ko) 라벨 탈착식 조립형 화분용기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JP3368469B2 (ja) 水耕栽培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