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30Y1 - 싱크대용 선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30Y1
KR200453430Y1 KR2020110000242U KR20110000242U KR200453430Y1 KR 200453430 Y1 KR200453430 Y1 KR 200453430Y1 KR 2020110000242 U KR2020110000242 U KR 2020110000242U KR 20110000242 U KR20110000242 U KR 20110000242U KR 200453430 Y1 KR200453430 Y1 KR 200453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dish
wir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숙
Original Assignee
백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현숙 filed Critical 백현숙
Priority to KR2020110000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100)은, 와이어로 구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그릇을 받치는 스크린(120)과,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걸쳐져서 물을 받는 접시(130)로 구성되고, 상기 접시(130)는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110)에 걸쳐지는 플랜지(133)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은 와이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가로대(113)와, 상기 가로대(113)의 4개의 꼭지점에 수직으로 부착된 와이어인 레그(111)와, 상기 레그(111)는 2개씩 짝을 이루어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18)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대(113)에서 일측 모서리(114)와 상대측 모서리(116)에, 상기 플랜지(133)가 걸쳐지는 걸림대(115)가 구성되는 싱크대용 선반(100)에 있어서; 상기 접시(130)에 일측방으로 열려진 개방부(135)와, 상기 걸림대(115)가 부착된 가로대(113)에서, 상기 걸림대(115)가 부착되지 않은 한쪽 모서리(112) 아래에 상기 접시(130)가 걸쳐지는 와이어인 지지바(140)가 상기 한쪽 모서리(112)를 지지하는 양쪽 레그(111)에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접시(130)의 후방부(139)를 지지바(140)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경사진 상태가 되어, 그릇에서 떨어지는 물이 접시(130)를 타고 바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선반{A shelf for a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방에 수용되는 접시를 경사지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하고, 접시의 일측방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그릇에서 떨어지는 물이 저절로 배수되도록 고안한 싱크대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용 선반(1)은 싱크대 위에 올려놓고서 그릇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와이어로 구성된 프레임(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에 그릇을 받치는 스크린(20)이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그릇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는 접시(30)가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시(3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납작한 용기 형상으로서 둘레를 따라 플랜지(35)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스크린(20)에 씻은 그릇을 올려놓으면, 스크린(20)을 통해서 그릇에 묻어 있던 물이 하방으로 떨어져서 상기 접시(30)에 저장된다.
상기 접시(30)에 물이 가득 차게 되면, 끄집어내어서 물을 버린 후, 다시 프레임(10) 하부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그릇에서 떨어진 물이 항상 접시에 저장된 상태가 되므로, 물이끼가 생기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벌레가 서식하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자주 접시를 비우게 된다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접시의 존재를 잊어버리고 싱크대 선반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접시에는 항상 장시간 물이 고여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은, 와이어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그릇을 받치는 스크린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걸쳐져서 물을 받는 접시로 구성되고, 상기 접시는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에 걸쳐지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와이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4개의 꼭지점에 수직으로 부착된 와이어인 레그와, 상기 레그는 2개씩 짝을 이루어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대에서 일측 모서리와 상대측 모서리에, 상기 플랜지가 걸쳐지는 걸림대가 구성되는 싱크대용 선반에 있어서; 상기 접시에 일측방으로 열려진 개방부와, 상기 걸림대가 부착된 가로대에서, 상기 걸림대가 부착되지 않은 한쪽 모서리 아래에 상기 접시가 걸쳐지는 와이어인 지지바가 상기 한쪽 모서리를 지지하는 양쪽 레그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바에, 찬장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부착수단과, 상기 지지바의 맞은편에 위치한 양쪽 레그에 지지바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시는 하면에서 개방부의 반대측에 돌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은 접시의 후방부를 지지바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경사진 상태가 되어, 그릇에서 떨어지는 물이 접시를 타고 바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일일이 접시의 물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접시에 물이 고여 있지 않으므로 물이끼가 생기거나 벌레가 서식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경사지게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의 다른 실시예로서 찬장에 매달리는 싱크대용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접시가 경사지게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경사지게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의 다른 실시예로서 찬장에 매달리는 싱크대용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싱크대용 선반으로부터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에서 접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접시가 경사지게 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용 선반(100)은 그릇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와이어로 구성된 프레임(1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에 그릇을 받치는 스크린(120)이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그릇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는 접시(130)가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시(13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납작한 용기 형상으로서 상단 둘레를 따라 플랜지(133)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와이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가로대(113)가 구성된다. 상기 가로대(113)는 1개 또는 다수 개가 상하로 복수개로 나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로대(113)의 4개의 꼭지점에 수직으로 부착된 와이어인 레그(111)가 구성된다. 상기 레그(111)는 2개씩 짝을 이루어 상단이 수평바(118)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평바(118)를 잡고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로대(113)에서 일측 모서리(114)와, 상기 일측 모서리(114)에 대향하는 상대측 모서리(116)에, 상기 접시(130)의 플랜지(133)가 걸쳐지는 걸림대(115)가 구성된다.
상기 걸림대(115)는 일례로서 상기 가로대(113)의 일측 모서리(114)에 하방을 향하도록 부착되고 내측방으로 절곡된 L형의 와이어인 절곡바(117)가 구성된다. 상기 절곡바(117)는 상기 일측 모서리(114)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대측 모서리(116)에 하방을 향하도록 부착되고 내측방으로 절곡된 L형의 와이어인 절곡바(117')가 구성된다. 상기 절곡바(117')는 상기 상대측 모서리(116)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구성된다.
상기 일측 모서리(114)의 절곡바(117)와 상대측 모서리(116)의 절곡바(117')는 상호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모서리(114)에 부착된 다수의 절곡바(117)는, 내측방을 향하는 종단부(a)가 와이어인 직선바(119)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대측 모서리(116)에 부착된 다수의 절곡바(117')도 내측방을 향하는 종단부(a')가 와이어인 직선바(119')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접시(130)의 플랜지(133)가 상기 직선바(119, 119')에 걸쳐져서 프레임(11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로대(113)가 상하로 다수 개 구성된 경우에는 맨 아래의 가로대(113)에 걸림대(115)가 부착됨은 물론이다.
상기 스크린(120)은 와이어가 격자형으로 상호 부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그릇의 물기가 하방으로 흘러 내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접시(130)가 상기 프레임(110)에 경사지게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자연히 그릇에서 떨어진 물이 상기 접시(130)를 타고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접시(130)에 일측방으로 열려진 개방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접시(130)는 하면에서 상기 개방부(135)의 상대쪽에 돌기(137)가 형성되어 아래에 설명하는 지지바(14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시(130)는 개방부(135) 쪽으로 연장되어 싱크대의 배수구 쪽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서처럼, 접시(130)를 개방부(135) 쪽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프레임(110)을 지나도록 형성함으로써, 싱크대의 배수구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대(115)가 부착된 가로대(113)에서, 상기 걸림대(115)가 부착되지 않은 한쪽 모서리(112) 아래에 상기 접시(130)가 걸쳐지는 와이어인 지지바(140)가 상기 한쪽 모서리(112)를 지지하는 양쪽 레그(111)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40)의 높이는 상기 직선바(119, 119')의 높이 이상이 되도록 한다. 즉, 동일 높이이거나 상기 지지바(140)의 높이가 직선바(119)보다 더 높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한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시(130)의 개방부(135)가 상기 지지바(140)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플랜지(133)가 상기 직선바(119, 119')에 걸쳐지도록 상기 접시(130)를 측방으로 밀어 넣는다.
이 경우에는 그릇에 묻은 물이 하방으로 낙하하더라도 접시(130)에 떨어질 뿐, 흘러내리지는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6에서처럼, 접시(130)의 후방부(139)(개방부 반대쪽)를 들어서 상기 지지바(140)에 걸쳐지게 한다. 이때, 상기 돌기(137)가 지지바(140)에 걸리게 되면 접시(130)가 미끄러져서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접시(130)는 경사지게 되어, 접시(130)에 떨어지는 물은 개방부(135)를 통해서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시(130)의 물을 수시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140)의 높이가 직선바(119, 119')와 동일 높이어도 상기 접시(130)의 플랜지(133)가 직선바(119, 119')에 걸쳐지고 후방부(139)는 상기 지지바(140)에 걸쳐짐으로써 경사진 상태는 가능하다. 상기 플랜지(133)는 접시(130)의 상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후방부(139)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33)가 걸림대(115)에 걸쳐지고 후방부(139)가 상기 지지바(140)에 걸쳐짐으로써 접시(130)는 경사진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접시(130)의 후방부(139)가 지지바(140)에서 이탈되어, 플랜지(133)가 직선바(119)에 걸쳐지도록 한다. 그러면, 수평상태가 되어 접시(13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만약, 상기 기재한 것처럼, 접시(130)가 경사진 상태라면 이동 시, 흔들림에 의해서 접시(130)가 쉽게 이탈됨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 7∼도 9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이 찬장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바(118)에 부착수단(15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150)은 일례로 상기 수평바(118)에 수평으로 고정된 플랜지(f)와 상기 플랜지(f)에 나사가 통과하도록 천공된 관통구(g)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f)를 찬장의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g)를 통해서 상기 찬장에 나사를 박음으로써 본 고안의 장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싱크대의 배수구가 좌측 또는 우측에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140)의 맞은편에 위치한 양쪽 레그(111)에도 지지바(140)가 연결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수구가 우측에 있을 때에는 도 9에서처럼, 접시(130)의 후방부(139)가 좌측의 지지바(140)에 받쳐지도록 하고, 배수구가 좌측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접시(130)의 후방부(139)가 우측의 지지바(140)에 받쳐지도록 한다.
100: 싱크대용 선반 110: 프레임
113: 가로대 114: 일측 모서리
115: 걸림대 116: 상대측 모서리
117: 절곡바 118: 수평바
119: 직선바 130: 접시
133: 플랜지 135: 개방부
137: 돌기 140: 지지바
150: 부착수단

Claims (3)

  1. 와이어로 구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그릇을 받치는 스크린(120)과,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걸쳐져서 물을 받는 접시(130)로 구성되고,
    상기 접시(130)는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110)에 걸쳐지는 플랜지(133)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은 와이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가로대(113)와,
    상기 가로대(113)의 4개의 꼭지점에 수직으로 부착된 와이어인 레그(111)와,
    상기 레그(111)는 2개씩 짝을 이루어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18)가 구성되고,
    상기 가로대(113)에서 일측 모서리(114)와 상대측 모서리(116)에, 상기 플랜지(133)가 걸쳐지는 걸림대(115)가 구성되는 싱크대용 선반(100)에 있어서;
    상기 접시(130)에 일측방으로 열려진 개방부(135)와,
    상기 걸림대(115)가 부착된 가로대(113)에서, 상기 걸림대(115)가 부착되지 않은 한쪽 모서리(112) 아래에 상기 접시(130)가 걸쳐지는 와이어인 지지바(140)가 상기 한쪽 모서리(112)를 지지하는 양쪽 레그(111)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18)에, 찬장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부착수단(150)과,
    상기 지지바(140)의 맞은편에 위치한 양쪽 레그(111)에 지지바(140)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130)는 하면에서 개방부(135)의 반대측에 돌기(13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KR2020110000242U 2011-01-10 2011-01-10 싱크대용 선반 KR200453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42U KR200453430Y1 (ko) 2011-01-10 2011-01-10 싱크대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242U KR200453430Y1 (ko) 2011-01-10 2011-01-10 싱크대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430Y1 true KR200453430Y1 (ko) 2011-05-03

Family

ID=4447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242U KR200453430Y1 (ko) 2011-01-10 2011-01-10 싱크대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3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205U (ko) * 1990-02-19 1991-11-05
JPH0910047A (ja) * 1995-06-27 1997-01-14 Takahiko Omae 食器水切り容器
KR200287497Y1 (ko) 2002-05-20 2002-09-05 주식회사 세정 부품교환 및 수지세척이 용이한 연수기
KR20020087497A (ko) * 2000-04-20 2002-11-22 그뤼넨탈 게엠베하 바이사이클릭 n-아실화된 이미다조-3-아민 및이미다조-5-아민의 염
JP2004008728A (ja) 2002-06-03 2004-01-15 Hisae Suzaki 食器用水きりカ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205U (ko) * 1990-02-19 1991-11-05
JPH0910047A (ja) * 1995-06-27 1997-01-14 Takahiko Omae 食器水切り容器
KR20020087497A (ko) * 2000-04-20 2002-11-22 그뤼넨탈 게엠베하 바이사이클릭 n-아실화된 이미다조-3-아민 및이미다조-5-아민의 염
KR200287497Y1 (ko) 2002-05-20 2002-09-05 주식회사 세정 부품교환 및 수지세척이 용이한 연수기
JP2004008728A (ja) 2002-06-03 2004-01-15 Hisae Suzaki 食器用水きりカ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US5012934A (en) Drainer for drying and storing kitchen and other utensils
US20150216365A1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KR20090131473A (ko) 식기건조대
KR200481055Y1 (ko) 젖병 및 유아식기 건조장치
KR200453430Y1 (ko) 싱크대용 선반
KR20170003194U (ko) 식기 건조대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JP5485054B2 (ja) 食器類の水切り棚構造
JP5661548B2 (ja) 水切りラック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KR20100000767U (ko) 싱크대용 소쿠리
KR200307608Y1 (ko) 식기건조대
KR102411673B1 (ko) 가정용 튀김기의 보조판 장치
JP3013606U (ja) 籠 棚
CN211883676U (zh) 洗碗机
JP2006326244A (ja) 流し台用水切り具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JP4724515B2 (ja) 水切りかご
KR200469894Y1 (ko) 메밀국수용 그릇의 메밀국수 받침판
JP5432327B2 (ja) 鍋蓋スタンド
KR200268633Y1 (ko)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200427620Y1 (ko) 세척기의 세척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