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608Y1 -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608Y1
KR200307608Y1 KR20-2002-0038601U KR20020038601U KR200307608Y1 KR 200307608 Y1 KR200307608 Y1 KR 200307608Y1 KR 20020038601 U KR20020038601 U KR 20020038601U KR 200307608 Y1 KR200307608 Y1 KR 200307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upport
shelf
horizonta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선
Original Assignee
곽선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선금 filed Critical 곽선금
Priority to KR20-2002-0038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릇, 컵, 접시 등의 식기를 세척한 후 물기가 건조되도록 보관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식기건조대는 식기가 수납되는 바구니와, 상기 바구니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구니선반과, 상기 바구니 및 바구니선반이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틀의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또한 행주 또는 고무장갑, 수세미 등의 잡화류를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잡화걸이대가 상기 식기건조대에서 분리 또는 조립 될 수 있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건조대{FLATWARE DRYING RACK}
본 고안은 식기를 세척한 후 건조 또는 보관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구니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식기건조대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부품들이 모두 조립되어 이루어져 분리가 가능하므로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하며, 또한 식기를 세척할 때 사용되는 행주 또는 고무장갑 등의 잡화류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는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설거지를 한 후 물기가묻어있는 그릇, 냄비, 접시, 컵 또는 식기도구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식기건조대(10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강선(鋼線)(131)을 수직, 경사, 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용접하여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선반(130)과; 상기 선반(130) 저면의 전후부분에 용접되며, 그 양단이 절곡된 걸림홈(141)을 갖는 분리된 2개의 지지구(140)와; 상기 지지구(140)의 양측 걸림홈(141)이 끼워져 상기 선반(130)을 다층으로 쌓아올릴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평봉(121)이 기둥에 고정나사로 체결되어 있는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걸이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식기건조대(100)는 조립 및 분해가 된다.
상기 식기건조대(100)는, 상기 선반(130)의 저면 전후방에 용접되어 있고 양단에 형성된 지지구(140)의 걸림홈(141)이 걸이부재(120)의 수평봉(121)에 각각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 주된 지지수단인데, 이때 상기 걸림홈(141)의 형상은 직선 상태의 지지구(140) 양단을 단순히 고리형상으로 절곡시켜 걸이부재(120)의 수평봉(121)에 끼워지도록 된 것과, 또는 직선 상태의 지지구(140)의 양단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걸림홈(141)의 위치가 높도록 고리형상으로 절곡시켜 걸이부재(120)의 수평봉(121)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지구(140)의 걸림홈(141)은 걸이부재(120)의 수평봉(121)에 끼워지도록 호형으로 절곡되고 그 끝부분이 개방된 상태이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구(1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선(131)이며 이러한 한 쌍의 지지구(140)가 상기 선반(130)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선반(130)에 많은 양의식기류가 수용된 상태이면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상기 지지구(140)가 하측으로 처지면서 지지구(140)의 걸림홈(141)이 걸이부재(120)의 수평봉(121)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반(130)은 다수개의 강선(131)이 교차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강선(131)과 강선(131) 사이에는 일정공간을 갖는 틈이 발생되므로, 상기 선반(130)에 작은 접시 또는 수저, 포크 등의 식기류를 담으면 상기 식기류가 선반(130)의 틈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거지를 마친 후 행주 또는 고무장갑, 수세미 등의 잡화는 식기와 따로 보관 및 건조되어여 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상기 잡화를 상기 식기건조대(100) 자체에 걸어두는 일이 발생되고, 상기 잡화에 묻은 이물질 등이 식기에 묻혀질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관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잡화를 용이하게 보관 및 건조하지만 이때는 추가비용의 발생 및 싱크대의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어 싱크대의 사용공간이 다소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가로지지대와 한 쌍의 세로지지대로 이루어진 바구니선반이 바구니의 하부를 지지하여, 다수개의 식기가 바구니에 수용되어도 견고하게 바구니를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바구니가 망 형태로 형성되어 식기의 보관이 용이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상태가유지되는 잡화걸이대가 식기건조대 자체에 형성되어, 행주 또는 고무장갑, 수세미 등의 잡화류를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바구니의 저면에 가로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 잡화걸이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4a의 잡화걸이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식기건조대에서 잡화걸이대가 사용 상태도,
도 5b는 도5a의 잡화걸이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종래의 식기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식기건조대 2:지지틀
3:바구니 4:바구니
5:바구니선반 6:식기걸이대
7:잡화걸이대 21:기둥
22:수평봉 23:돌기
24:보강대 31,41:바닥부
32,42:테두리 33,43:구멍
34,44:홈 45:가로지지대
46:걸이부 51:가로지지대
52:걸이부 53:세로지지대
54:절곡부 61:가로지지대
62:걸이부 63:컵꽂이부
64:접시꽂이부 65:연결대
66:보강대 71:고정구
72:작동부재 73:제1절곡부
74:제2절곡부 75:지지봉
76:선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식기를 수납하여 보관 또는 건조시키는 바구니(3)와, 상기 바구니(3)를 지지하기 위한 바구니선반(5)과, 상기 바구니선반(5)과 결합되어 상기 바구니(3)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틀(2)로 이루어진 식기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3)는 외주면 전체에 구멍(33)이 형성된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선반(5)은 양 끝단이 고리형태를 갖는 걸이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3)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로지지대(51)와, 상기 바구니(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양 끝단이 상향절곡된 절곡부(54)를 갖는 한 쌍의 세로지지대(53)가 상기 가로지지대(51)에 직교되게 고정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2)은 상기 가로지지대(51)의 양 끝단 걸이부(52)가 걸리도록 각각의 기둥(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봉(22)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바구니선반(5)을 이루는 가로지지대(45)가 별도로 바구니(4)의 저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바구니(4) 자체에 의하여 지지틀(2)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바구니(3, 4)의 바닥면(31, 41)은 하부로 약간 패인 홈(34, 44))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식기를 용이하게 보관 또는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틀(2) 기둥(21)의 상부에는 컵이나 접시등을 각각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걸이대(6)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틀(2)의 양 기둥(21) 내측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보강대(2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틀(2)에 형성된 보강대(24)의 내측에는 "ㄷ"자 형의 고정구(7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71)에 걸어져 수평 또는 수직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단이 고리형태를 갖는 제1절곡부(73)와, 상기 제1절곡부(73)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70°~120°의 각도로 절곡된 제2절곡부(74)로 형성된 작동부재(72)가 상기 고정구(71) 각각에 걸어지고; 상기 작동부재(72)의 타단에는 잡화를 걸수 있는 선반(76)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지지봉(75)이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잡화걸이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건조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기건조대가 모두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식기건조대(1)는 크게 바구니(3), 바구니선반(5) 그리고 지지틀(2)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구니(3)는 식기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 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물기가 묻은 식기가 상기 바구니(3)에 수납되었을 때 식기에서 흘러내린 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바구니(3)에 작은 그릇이나 수저, 포크 등의 작은 식기도구가 수납되었을 때 외부로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구니(3)의 외주면 전체에는 소정크기로 형성된 구멍(33)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3)의 상단 둘레에는 바구니(3)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바구니(3)가 지지틀(2)에 접했을 때 상호 지지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구니(3)를 이루는 측면에 비하여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테두리(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구니(3)의 바닥면(31)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홈(34)이 형성되어, 식기가 바구니(3)에 수납되었을 때 그릇 또는 접시들이 상기 홈(34)에 걸리게 되어 식기들의 미끄러짐 및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바구니선반(5)은 상기 바구니(3)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지지수단인 동시에 상기 지지틀(2)이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도록 지지틀(2)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 강선(鋼線)으로 형성된 가로지지대(51)와 세로지지대(53)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지지대(51)는 상기 바구니(3)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바구니(3)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 끝단이 지지틀(2)의 수평봉(22)에 걸리도록 고리형상으로 절곡된 걸이부(52)가 형성되며, 상기 바구니(3)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 두 개의 가로지지대(51)이 한 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지지대(53)는 상기 바구니(3)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바구니(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양 끝단이 상향절곡된 절곡부(54)가형성되는데, 상기 양단 절곡부(54)의 위치는 상기 바구니(3) 바닥면(31)의 길이에 맞추어 절곡되어 이루어져, 상기 바구니(3)가 세로지지대(53)에 결합될 때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로지지대(53)는 한 줄의 강선 끝단이 서로 연결된 이중 강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 강선의 양 끝단은 연결된 상태에서 상향절곡되어 절곡부(54)가 형성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바구니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구니선반(5)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가로지지대(51)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수평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세로지지대(53)를 상기 가로지지대(51)에 직교되게 위치시킨 후, 접촉되는 부위를 용접시켜 상기 가로지지대(51)와 세로지지대(53)는 일체가 된다. 이때, 상기 세로지지대(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가로지지대(51)에 결합되어 바구니선반(5)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구니선반(5)을 이루는 가로지지대(41)가 바구니(4)의 저면 자체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바구니선반(5)이 없어도 상기 바구니(4)에 형성된 가로지지대(41)에 의하여 상기 바구니(4)를 지지틀(2)에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구니(4)는 상기 바구니(3)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단 둘레로는 테두리(42)가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에는 구멍(43)이 천공형성되며, 바닥면(41)에는 홈(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틀(2)은 상기 바구니선반(5)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바구니(3) 및 바구니선반(5)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된 한 쌍의 기둥(21)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21)에는 상기 가로지지대(51)의 양측 걸이부(52)가 걸려지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봉(22)이 각 기둥(21)의 동일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기둥(21)의 수평축을 이루는 맨 위측의 기둥(21) 후방 또는 전방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기(23)가 형성되어 식기걸이대(6)가 상기 지지틀(2)에 거치되었을 때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기둥(21)의 수직축을 이루는 기둥(21)의 다리 각각에는 고무재질의 받침대가 끼워져 상기 지지틀(2)이 조립되어 직립되었을 때, 식기건조대(1)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21) 각각에는 강선이 사각형으로 절곡형성된 보강대(24)가 상기 기둥(21)의 내측으로 수평봉(22)과 직교되게 위치된 후, 상기 각 수평봉(22)과의 각각의 접촉부위가 용접되어 이루어져, 상기 보강대(24)가 형성된 지지틀(2)에 바구니(3, 4)가 거치되면, 상기 바구니(3, 4)에 많은 양의 식기가 수납되어도 그 하중이 보강대(24)로 분산되므로 식기건조대(1)가 견고히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2) 기둥(21)의 수평축을 이루는 상단 기둥(21) 사이에는 컵 또는 접시등을 별도록 건조 또는 보관 할 수 있는 식기걸이대(6)가 조립 될 수 있다.
상기 식기걸이대(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을 보관 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컵꽂이부(63)는 하나의 강선 끝단이 연결된 이중강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선의 양단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절곡되며, 상기 수직으로 절곡된 강선의 양끝단은 수평상태가 되도록 다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컵의 내측 바닥면을 받쳐주도록 형성되고, 접시를 세워진 상태로 보관 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접시꽂이부(6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절곡되고그 양끝단은 다시 하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각 강선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된 연결대(65)가 각 강선의 끝단과 용접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컵꽂이부(63) 또는 접시꽂이부(64)가 상기 지지틀(2)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바구니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양끝단에 고리형태의 걸이부(52)가 형성된 한 쌍의 가로지지대(61)가 상기 컵꽂이부(63) 또는 접시꽂이부(64)의 저면과 접촉되어 그 접촉부위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컵꽂이부(63) 또는 접시꽂이부(64)에 다량의 컵 또는 접시가 수납되어도 상기 가로지지대(61)가 견고하게 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로지지대(61)와 컵꽂이부(63) 또는 접시꽂이부(64) 사이에는 보강대(66)가 용접되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식기건조대(1)의 일측에는 행주 또는 고무장갑, 수세미등의 잡화류를 보관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잡화걸이대(7)가 형성된 식기건조대(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잡화걸이대(7)는 상기 지지틀(2)과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지틀(2)의 일측 보강대(24)의 내측 각각에 형성된 "ㄷ"자형의 고정구(71)와, 상기 각 고정구(71)에 걸어져 수직 또는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단이 고리형태로 절곡된 제1절곡부(73)와, 상기 제1절곡부(73)에서 연장되어 70°~120°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 제2절곡부(74)로 형성된 ""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작동부재(72)와, 잡화류를 걸수 있는 선반(76)이 상기 작동부재(72)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되도록 선반(76)과 상기 작동부재(72)를 연결하는 지지봉(75)과, 상기 지지봉(75)에 직교되도록 용접된 다수개의 열로 이루어진선반(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부재(72) 및 지지봉(75), 선반(76)은 각 접촉부위의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71)에 조립 및 분리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72)의 제1절곡부(73)에서 제2절곡부(74)까지의 연결길이는 상기 고정구(71)의 일단에서 타단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선반(76)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상기 식기건조대에는 두개의 바구니가 2단으로 조립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우선, 지지틀(2)을 이루는 한 쌍의 기둥(21)을 대향되도록 직립으로 세우면서 상기 각 기둥의 하측에 위치된 수평봉(22)에 가로지지대(45)가 자체 형성된 바구니(4)의 걸이부(46)를 수평봉(22)에 걸면 상기 양 기둥(21)이 직립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그 후, 바구니선반(5)을 상기 기둥(21)의 상측에 위치된 수평봉(22)에 결합시키고 그 상부로 바구니(3)를 안착시키면 상기 바구니(3)가 바구니선반(5)의 세로지지대(53)의 걸이부(52)에 의해 고정되고 동시에 바구니(3)의 테두리(32)가 상기 기둥사이에 억지끼움되어 식기건조대(1)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2)의 양 기둥(21)의 상단 수평축에는 컵 또는 접시등의 형태에 맞추어 형성된 식기걸이대(6)의 걸이부(52)가 걸려지도록 결합시키면, 그릇, 컵, 접시 등이 특성에 맞게 각각 수납되기 때문에 보관 및 건조가 더욱 용이하게 되고, 또한 상기 그릇이 수납되는 바구니(3, 4)가 망 형태로 형성되어 작은 식기류의 보관도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틀(2) 기둥(21)의 상단 수평축에는 그 전방과 후방 각각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23)가 형성되어, 상기 식기걸이대(6)가 상기 기둥(21)의 상단 수평축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식기걸이대(6)가 지지틀(2)에서 미끄러져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잡화걸이대(7)를 지지틀(2)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작동부재(72)의 일단인 고리형태를 갖는 제1절곡부(73)를 보강대(66)에 형성된 고정구(71)의 구멍(33)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다시 상기 제1절곡부(73)가 외측방향으로 수평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제1절곡부(73)와 연결되어 직각형태를 갖는 제2절곡부(74)는 상기 고정구(71)의 일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2절곡부(74)의 타단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봉(75) 및 상기 지지봉(75)에 결합된 선반(76)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즉,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21)의 수직축과 평행한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틀(2)에 조립된 잡화걸이대(7)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둥(21)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된 선반(76)을 들어올려 상기 선반(76)이 수평상태가 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선반(76)과 일체로 결합된 작동부재(72)의 제2절곡부(74)가 고정구(71)의 타단 전방으로 빠지면서 상기 제1절곡부(73)가 상기 고정구(71)의 일단에 걸리게 되어 상기 선반(76)이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이는 상기 고정구(71)의 길이보다 상기 제1절곡부(73)에서 제2절곡부(74)까지의 연결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상기 제1절곡부(73)가 고정구(71)의 일단에 걸리면 상기 제2절곡부(74)는 상기 고정구(71)의 타단보다 더욱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76)을 수평상태로 지탱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지틀(2)의 일측에 선반(76)이 조립되어 상기 선반(76)을 수평으로 조립시키면, 설거지를 마친 후 행주 또는 고무장갑, 수세미 등의 잡화류를 거치하게 되어 식기류와 함께 보관 또는 건조 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식기건조대는, 지지틀을 이루는 양 기둥을 직립시킨 후 상기 기둥 사이에 바구니선반을 결합시키고, 상기 바구니선반의 상부로 바구니를 안착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 할 수 있으며, 상기 바구니선반이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의 교차에 의해 결합 형성되어 상기 바구니의 하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많은 양의 식기를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바구니 자체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구니 자체가 상기 양 기둥과 결합되어 식기건조대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구니는 외주면 전체에 작은 구멍이 천공형성된 망 형태로 형성되어 작은 식기류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수저, 포크 등의 작은 식기류가 수납되어도 안전하게 보관 또는 건조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식기건조대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잡화걸이대가 조립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행주 또는 고무장갑, 수세미 등의 잡화류도 함께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였다.

Claims (6)

  1. 식기를 수납하여 보관 또는 건조시키는 바구니(3)와, 상기 바구니(3)를 지지하기 위한 바구니선반(5)과, 상기 바구니선반(5)과 결합되어 상기 바구니(3)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틀(2)로 이루어진 식기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3)는 외주면 전체에 구멍(33)이 형성된 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선반(5)은 양 끝단이 고리형태를 갖는 걸이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3)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로지지대(51)와, 상기 바구니(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양 끝단이 상향절곡된 절곡부(54)를 갖는 한 쌍의 세로지지대(53)가 상기 가로지지대(51)에 직교되게 고정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2)은 상기 가로지지대(51)의 양 끝단 걸이부(52)가 걸리도록 각 기둥(2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봉(22)이 각 지지틀(2)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4)의 저면에는 상기 바구니선반(5)의 구성요소인 가로지지대(41)가 고정부착되어, 상기 바구니(4) 자체가 상기 기둥(21)의 수평봉(22) 사이에 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3, 4)의 바닥면(31, 41)은 하부로 약간 패인 홈(34, 44))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식기를 용이하게 보관 또는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 기둥(21)의 상부에는 컵이나 접시등을 각각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걸이대(6)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의 양 기둥(21) 내측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보강대(2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6.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에 형성된 보강대(24)의 내측에는 "ㄷ"자 형의 고정구(7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71)에 걸어져 수평 또는 수직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단이 고리형태를 갖는 제1절곡부(73)와, 상기 제1절곡부(73)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70°~120°의 각도로 절곡된 제2절곡부(74)로 형성된 작동부재(72)가 상기 고정구(71) 각각에 걸어지고;
    상기 작동부재(72)의 타단에는 잡화를 걸수 있는 선반(76)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 지지봉(75)이 고정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잡화걸이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KR20-2002-0038601U 2002-12-27 2002-12-27 식기건조대 KR200307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01U KR200307608Y1 (ko) 2002-12-27 2002-12-27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01U KR200307608Y1 (ko) 2002-12-27 2002-12-27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608Y1 true KR200307608Y1 (ko) 2003-03-19

Family

ID=4940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601U KR200307608Y1 (ko) 2002-12-27 2002-12-27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60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81B1 (ko) * 2012-07-13 2014-03-25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연장이 가능한 접이식 식기 거치대
KR200473078Y1 (ko) * 2013-02-04 2014-06-13 (주)영인정공 식기건조대
KR20140004604U (ko) 2013-01-29 2014-08-06 이영철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KR200479737Y1 (ko) 2014-08-19 2016-03-02 주강식 건조대
CN109674431A (zh) * 2019-02-13 2019-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餐具架、碗篮组件和洗碗机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81B1 (ko) * 2012-07-13 2014-03-25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연장이 가능한 접이식 식기 거치대
KR20140004604U (ko) 2013-01-29 2014-08-06 이영철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KR200473078Y1 (ko) * 2013-02-04 2014-06-13 (주)영인정공 식기건조대
KR200479737Y1 (ko) 2014-08-19 2016-03-02 주강식 건조대
CN109674431A (zh) * 2019-02-13 2019-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餐具架、碗篮组件和洗碗机
CN109674431B (zh) * 2019-02-13 2024-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餐具架、碗篮组件和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84045B2 (en) Rack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US6189847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wide range of article supporting fixtures to a variety of support surfaces
KR200307608Y1 (ko) 식기건조대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KR200490006Y1 (ko) 식기건조대의 측면판과 행거부재 조립구조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US20070138113A1 (en) Angled rack for supporting footwear
JP3013606U (ja) 籠 棚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KR100431249B1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KR20080027580A (ko) 조립식 선반틀의 행거 설치구조
KR0140719Y1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대
CN211355336U (zh) 一种洗碗机搁架及洗碗机
KR10206022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20050023580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CN211093896U (zh) 一种洗碗机的托架
KR200279949Y1 (ko)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JP3086871U (ja) 整理かご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200384830Y1 (ko) 다단식 선반
KR200216204Y1 (ko) 조립식 선반의 지지부재
KR10221677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20080006493U (ko) 다용도 싱크대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