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25Y1 -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25Y1
KR200491625Y1 KR2020200000090U KR20200000090U KR200491625Y1 KR 200491625 Y1 KR200491625 Y1 KR 200491625Y1 KR 2020200000090 U KR2020200000090 U KR 2020200000090U KR 20200000090 U KR20200000090 U KR 20200000090U KR 200491625 Y1 KR200491625 Y1 KR 200491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metal wires
storage unit
dis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완
Original Assignee
추교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교완 filed Critical 추교완
Priority to KR202020000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건조대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식기를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금속와이어가 바구니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는 접시 수납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사발의 내측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된 각 상기 금속와이어가 절곡되어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는 사발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건조대{TABLEWARE DRYER}
아래의 실시예들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의 수납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식기건조대는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설거지를 한 후 물기가 묻어있는 그릇, 냄비, 접시, 컵 또는 식기도구 등을 올려놓아 보관하면서 자연적으로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사용되고 있는 식기건조대는 대체로 철사로 구성된 1단, 2단 또는 3단의 케이지를 지지틀 안에 조립하여 싱크대의 상판에 재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94273호는 이러한 현가식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사각으로 공간활용이 어려운 싱크대벽장의 하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협소한 주방의 공간을 극대화하여 활용할 수 있고 다수의 컵이나 주방구를 건조 보관할 수 있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94273호
실시예들은 식기건조대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식기의 수납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접시뿐만 아니라 사발을 일렬로 세워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고 공간 효율적으로 식기를 보관할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식기를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금속와이어가 바구니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는 접시 수납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사발의 내측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된 각 상기 금속와이어가 절곡되어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는 사발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접시를 수납하는 상기 접시 수납부 및 조리도구를 수납하도록 일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하부로 패인 'ㄷ' 형상의 조리도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사발을 수납하는 상기 사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상하부로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외측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시 수납부는, 상기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에 하부로 패인 'v'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접시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사발 수납부는, 상기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기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사발 수납부는, 소정 크기의 제1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키는 제1 사발 수납부; 및 상기 제1 사발보다 큰 크기의 제2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2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키는 제2 사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시뿐만 아니라 사발을 일렬로 세워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건조를 용이하게 하고 공간 효율적으로 식기를 보관할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차를 이용하여 조리도구 보관 공간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기건조대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 보기 좋게 정리할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1)는 본체(100), 접시 수납부(200) 및 사발 수납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식기건조대(1)는 조리도구 수납부(400) 및 지지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는 식기를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금속와이어가 바구니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사각 구조의 바구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각 구조의 금속와이어 틀 내에 다수개의 금속와이어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식기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다수개의 금속와이어의 지지를 위해 보조 금속와이어를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사용되고 있는 식기건조대(1)는 좁은 공간에 많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 2단 또는 3단의 식기건조대(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는 상하부로 배치되는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본체부(110)는 접시 수납부(200) 및 조리도구 수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110)는 본체(100)는 접시를 수납하는 접시 수납부(200)와, 조리도구를 수납하도록 일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하부로 패인 'ㄷ' 형상의 조리도구 수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리도구 수납부(400)는 사용자 측에 구성되어 조리도구를 자유롭게 보관 및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사발(bowl)을 수납하는 사발 수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부(120)는 사발 수납부(300)의 타측에 접시 수납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를 상하부로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외측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지지부(500)는 1단으로 이루어지는 식기건조대(1)의 본체(100)의 외측에 구성되는 다리부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500)는 사각 구조의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의 4개의 꼭지점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4개의 지지봉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의 사각 구조의 금속와이어 틀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지지봉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심미적인 효과를 주고, 또한 4개의 지지봉이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사물에 방해되거나 사용자가 용접 부위 등에 의해 손을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시 수납부(200)는 본체(100)에 설치되며,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시 수납부(200)는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금속와이어는 중단에 하부로 패인 'v' 형상의 홈부(210)를 형성하여 접시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접시 수납부(200)는 하부로 패인 홈부(210)를 제외하고는 거의 일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접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식기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발 수납부(300)는 본체(100)에 설치되며,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며, 사발의 내측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된 각 금속와이어가 절곡되어 사발 걸이부(311, 321)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발 수납부(300)는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사발 걸이부(311, 321)를 형성하여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사발 수납부(300)는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에 하나씩 건너뛰고 사발 걸이부(311, 3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평평하게 구성된 금속와이어에 안착된 상태로 사발 걸이부(311, 321)가 형성된 금속와이어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발 수납부(300)는 소정 크기의 제1 사발을 꽂을 수 있는 제1 사발 수납부(310) 및 제1 사발보다 큰 크기의 제2 사발을 꽂을 수 있는 제2 사발 수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발 수납부(310)는 소정 크기의 제1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사발 걸이부(311)를 형성하여 제1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발 수납부(310)에는 밥그릇을 수납할 수 있다.
제2 사발 수납부(320)는 제1 사발보다 큰 크기의 제2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2 사발 걸이부(321)를 형성하여 제2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사발 수납부(320)에는 국그릇을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발 걸이부(311)는 제2 사발 걸이부(321)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사발 수납부(310)의 각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크기 및 높이가 제2 사발 수납부(320)의 각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크기 및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1 사발 걸이부(311)는 제2 사발 걸이부(321)를 동일한 크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사발 수납부(310) 및 제2 사발 수납부(320)는 한정된 크기의 식기건조대(1)에서 일렬로 제1 사발 및 제2 사발을 수납하기 위해, 본체(1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각각의 금속와이어에 제1 사발 수납부(310) 및 제2 사발 수납부(32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금속와이어가 절곡되어 제1 사발 수납부(310)가 구성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다시 절곡되어 제2 사발 수납부(320)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2단으로 구성된 식기건조대(1)는 1층에 배치되는 제1 본체부(110)의 접시 수납부(200)에 접시를 일렬로 세워서 꽂아 보관할 수 있고, 제1 본체부(110)의 일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하부로 절곡된 조리도구 수납부(400)에 조리도구를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조리도구의 보관 및 꺼내 쓰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조리도구 수납부(400)를 제1 본체부(110)의 앞쪽에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2층에 배치되는 제2 본체부(120)의 사발 수납부(300)에 밥그릇 및 국그릇을 일렬로 세워서 꽂아 보관할 수 있고, 이 때 밥그릇은 제1 사발 수납부(310)에 보관하고 국그릇은 제1 사발 수납부(310)의 뒤쪽에 배치된 제2 사발 수납부(320)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부(120)의 일측에 구성되는 접시 수납부(200)에 접시를 일렬로 세워서 꽂아 보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발 수납부(300)가 구성되는 제2 본체부(120)를 2층에 배치하였으나, 1층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편의상, 볼이 형성된 형태의 사발을 보관 및 꺼내 쓰기 용이하도록 2층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상적인 식기건조대(1)의 경우 접시는 세워서 보관하지만 밥그릇 및 국그릇을 포함하는 사발은 세워서 보관이 어려워 엎어놓은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시켜 놓게 된다. 그리하여 식기를 깔끔하게 정리 정돈할 수 없으며 미관을 해치게 됨과 아울러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발과 같은 식기를 엎어놓게 되는 경우 물기가 빠져나갈 공간이 없고 통풍이 어려워 식기에 묻어 있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게 됨으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시 수납부(200) 및 사발 수납부(300)를 통해 식기를 세워서 꽂는 형태로 수납함에 따라 물기가 식기의 하측으로 잘 흘러내리고 통풍이 잘되어 자연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시 수납부(200) 및 사발 수납부(300)를 통해 식기를 세워서 꽂는 형태로 수납함에 따라 많은 수의 식기를 보기 좋게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는 2단으로 구성된 식기건조대(1)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주방의 싱크대 일측에 일 실시예에 따른 2단으로 구성된 식기건조대(1)를 배치하고, 1층에 배치되는 제1 본체부(110)의 접시 수납부(200)에 접시를 일렬로 세워서 꽂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1 본체부(110)의 일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하부로 절곡된 조리도구 수납부(400)에 조리도구를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2층에 배치되는 제2 본체부(120)의 사발 수납부(300)에 밥그릇 및 국그릇을 일렬로 세워서 꽂아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밥그릇은 제1 사발 수납부(310)에 보관하고 국그릇은 제1 사발 수납부(310)의 뒤쪽에 배치된 제2 사발 수납부(320)에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사발 수납부(300)는 사발이 걸려 고정되는 사발 걸이부(311, 321)가 구성되어 사발이 쓰러지지 않고 세워져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본체부(120)의 일측에 구성되는 접시 수납부(200)에 접시를 일렬로 세워서 꽂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접시 수납부(200)는 하부로 패인 홈부(210)를 제외하고는 거의 일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접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식기를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1)는 접시 수납부(200) 및 사발 수납부(300)를 통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시 및 사발을 포함하는 식기들을 세워서 거치시킴으로써, 물기가 식기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통풍을 용이하게 하여 자연건조 시킬 수 있고, 많은 식기들을 동시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미관상 보기가 좋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도가 좋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식기건조대
100: 본체
110: 제1 본체부
120: 제2 본체부
200: 접시 수납부
210: 홈부
300: 사발 수납부
310: 제1 사발 수납부
311: 제1 사발 걸이부
320: 제2 사발 수납부
321: 제2 사발 걸이부
400: 조리도구 수납부
500: 지지부

Claims (5)

  1. 식기를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금속와이어가 바구니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는 접시 수납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금속와이어가 일렬로 배열되며, 상기 사발의 내측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된 각 상기 금속와이어가 절곡되어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는 사발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시 수납부는,
    상기 접시를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금속와이어는 평평한 상태로 구성되며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에 하부로 패인 'v'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접시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키고,
    상기 사발 수납부는,
    상기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상기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키되, 다수개의 상기 금속와이어에 하나씩 건너뛰는 형태로 상기 사발 걸이부가 형성되어, 평평하게 구성된 상기 금속와이어에 사발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사발 걸이부가 형성된 금속와이어에 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접시를 수납하는 상기 접시 수납부 및 조리도구를 수납하도록 일측에 단차를 형성하여 하부로 패인 'ㄷ' 형상의 조리도구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사발을 수납하는 상기 사발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상하부로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 외측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식기건조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발 수납부는,
    소정 크기의 제1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1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키는 제1 사발 수납부; 및
    상기 제1 사발보다 큰 크기의 제2 사발을 꽂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금속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상기 금속와이어는 중단이 상부로 돌출된 후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2 사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사발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 후 고정시키는 제2 사발 수납부
    를 포함하는, 식기건조대.
KR2020200000090U 2020-01-08 2020-01-08 식기건조대 KR200491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90U KR200491625Y1 (ko) 2020-01-08 2020-01-08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90U KR200491625Y1 (ko) 2020-01-08 2020-01-08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25Y1 true KR200491625Y1 (ko) 2020-05-12

Family

ID=7061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90U KR200491625Y1 (ko) 2020-01-08 2020-01-08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906U (ko)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나래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KR102396030B1 (ko) 2020-12-03 2022-05-09 김준 바스켓 적층형 식기 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186A (ja) * 1998-02-10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KR200294273Y1 (ko) 2002-07-25 2002-11-07 주식회사 스타픽스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0360929Y1 (ko) * 2004-05-17 2004-09-06 권은숙 식기 건조대의 받침대
KR20150001767U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한샘 다기능 식기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186A (ja) * 1998-02-10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KR200294273Y1 (ko) 2002-07-25 2002-11-07 주식회사 스타픽스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0360929Y1 (ko) * 2004-05-17 2004-09-06 권은숙 식기 건조대의 받침대
KR20150001767U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한샘 다기능 식기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906U (ko)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나래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KR102396030B1 (ko) 2020-12-03 2022-05-09 김준 바스켓 적층형 식기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49914B (zh) 洗碗机碗篮的杯托组件及具有其的洗碗机碗篮
KR101270618B1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WO2016000791A1 (en) A dishwasher wire rack having an improved carrier adaptor structure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KR200473078Y1 (ko) 식기건조대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CN108144089A (zh) 消毒柜拉篮和消毒柜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CN210144192U (zh) 一种拉篮前端的下沉式结构及拉篮
KR20220052150A (ko) 식기건조대
KR20220000906U (ko)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JP2002330880A (ja) 水切りかご
JP3013606U (ja) 籠 棚
KR200348577Y1 (ko) 주발이나 사발꽂이가 구비된 식기건조용 틀
CN217429966U (zh) 碗篮结构和厨房电器
CN211093896U (zh) 一种洗碗机的托架
CN210871394U (zh) 一种洗碗机搁架
CN211355336U (zh) 一种洗碗机搁架及洗碗机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