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472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472A
KR20040107472A KR10-2004-7013785A KR20047013785A KR20040107472A KR 20040107472 A KR20040107472 A KR 20040107472A KR 20047013785 A KR20047013785 A KR 20047013785A KR 20040107472 A KR20040107472 A KR 20040107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otation
display
image process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끼 다다
고우이찌로 다까시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59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22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2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7312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8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top view, e.g. radar screens or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쾌적하게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1)의 거의 중앙에는 회전 입력부(14)가 설치되어 있다. 흰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입력부(14)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회전하여 표시된다. 또한, 회전 입력부(14)의 상하 좌우가 휴대 전화기(1)의 내부 방향으로 눌리면,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 범위가 전환된다. 예를 들면,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회전되면 지도가 회전되고, 회전 입력부(14)의 소정 위치가 눌리면 지도가 확대 또는 축소된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최근,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정보 단말에 각종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이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면 장소나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취득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또한 지도 데이터를 취득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과 함께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거나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게임의 주인공의 행동의 제약이나 지도상에서의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확인은, 일반적으로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좌우 버튼이나 그 주변의 버튼을 상황에 맞게 각각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한편, 최근의 휴대 전화기는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화상의 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기가 실용화되어 있다.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내장된 카메라부를 통해 화상을 촬영하고, 당해 촬영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메일에 첨부하여 다른 휴대 전화기로 송신하거나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착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촬영한 화상의 확대축소(즉, 배율 변경)이나 이동 등의 화상 편집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면, 휴대 전화기의 사용상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에 있어서는, 개개의 버튼이 독립적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단말을 한쪽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조작하기가 어려워, 게임 등을 하고 있을 경우에 그 조작성이 매우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스틱형의 부재를 상하좌우로 기울임으로써 지령을 입력하는 형식의 것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 스틱형의 부재는 예를 들면 커서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조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오른쪽 상측 방향으로 이동해버리는 경우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은 입력이 이루어져버리는, 미묘한 조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숙달이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술한 화상 편집 조작을 입력할 경우, 상하좌우의 4방향의 이동 버튼에 추가하여 화상의 확대 버튼 및 축소 버튼, 2개의 회전 버튼(우회전 및 좌회전)이 필요하고, 조작에 필요한 버튼이 많아 사용상 편리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버튼에 의한 화상의 회전 조작은 직감성이 부족함과 아울러 각도의 미세 조정을 어렵게 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정보 단말에 있어서 보다 쾌적하게 정확하면서 효율적으로 각종 지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당해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누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한 조작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과,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고, 상기 누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복수 개소의 누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누름을 검출한 개소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화상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한다.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계시 수단이 계측한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프로그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당해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누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한 조작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당해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누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한 조작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대략 원반형 회전체의 회전이 검출되고, 회전체의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누름이 검출되어 화상의 표시가 제어된다. 또한,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화상이 회전하여 표시되고, 누름의 검출 결과에 따라 화상이 전환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전화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조립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홀더의 이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이얼 본체의 이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회전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 7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A는 회전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입력에 연동하여 행해지는, 아바타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전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전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도 1의 휴대 전화기의 다른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 12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전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전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전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카메라부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디스크 조그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선도이다.
도 21A는 홀더의 이면 구조를 도시한 개략선도이다.
도 21B는 홀더의 이면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선도이다.
도 22A는 다이얼 본체의 이면 구조를 도시한 개략선도이다.
도 22B는 다이얼 본체의 이면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선도이다.
도 23은 디스크 조그에 대한 조작의 설명에 사용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화상 편집 화면을 도시한 개략선도이다.
도 25는 화상 편집 가능 범위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이다.
도 26은 화상 편집 조작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이다.
도 27은 화상 편집 조작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이다.
도 28은 화상 편집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프레임 합성의 설명에 사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전화기(1)의 거의 중앙에는 대략 원반형의 회전 입력부(1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입력부(14)는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중앙의, 지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회전 입력부(14), 회전 입력부(14)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통화 버튼(15), 전원 버튼(16) 및 그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텐키(17)를 조작하여 각종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사용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13)를 보면서 회전 입력부(14)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회전 입력부(14)의 상면(평면)의 소정 위치를 휴대 전화기(1)의 내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예를 들면 소정의 게임을 하거나 지도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1)의 정면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는 스피커(12)와 마이크로폰(18)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통화할 때에 이들을 이용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의 상단면에는 안테나(11)가 케이스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소위 스트레이트형의 것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1)는 표시부(13)가 설치되는 제1 케이스와 회전 입력부(14)나 텐키(17)가 설치되는 제2 케이스를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 2 내지 도 5는 회전 입력부(14)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입력부(14)는 기본적으로 베이스(31), 홀더(32), 스케일(33), 다이얼 본체(34), 조작 다이얼(35) 및 중앙 버튼 부재(36)로 구성된다.
베이스(31)는 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구형(矩形)의 판형상의 것으로 형성된다. 베이스(31)의 상면의 중앙에는 중앙 버튼(4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주변에 주변 버튼(42A 내지 42D)이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31)는 주변 버튼(42A)과 주변 버튼(42C)을 잇는 선이 도 1의 휴대 전화기(1)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과 거의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주변 버튼(42A)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1)의 상측에 위치하고, 주변 버튼(42A)은 좌측에 위치한다. 또한, 주변 버튼(42C)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1)의 하측에 위치하고, 주변 버튼(42D)은 우측에 위치한다(이하, 적절히 주변 버튼 42A를 상측 버튼(42A), 주변 버튼 42B를 좌측 버튼(42B), 주변 버튼 42C를 하측 버튼(42C), 주변 버튼 42D를 우측 버튼(42D)이라고 각각 칭한다). 중앙 버튼(41)과 주변 버튼(42A 내지 42D)은 각각 푸시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동(上動) 규제 부재(43)에는 베이스(31)의 중앙측으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에 의해 홀더(32)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상동 규제 부재(43)의 양측에는 약간 떨어져서 회동 규제 부재(44A 및 44B)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 규제 부재(44A 및 44B)에 의해 홀더(32)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들 상동 규제 부재(43), 회동 규제 부재(44A 및 44B)에 의해 홀더 규제부(51A)가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홀더 규제부(51B, 51C, 51D)가 베이스(31)의 다른 3모서리에 각각 배치된다.
홀더(32)는 중앙에 구멍을 갖는 절연성 디스크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면의 중앙면에는 다이얼 본체(34) 등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다이얼 지지통(61)이 구멍의 주변을 통해 상면측(도 2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얼 지지통(61)의 구멍의 중심축이 다이얼 본체(34) 등의 회전축이 된다.
또한, 홀더(32)의 상면에는 도전성을 갖는 탄성재인 브러시(62A, 62B 및 62C)가 배치되어 있다. 브러시(62A, 62B 및 62C)와 홀더(32) 위에 배치되는 스케일(33)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회전 입력부(14)(조작 다이얼(35))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이 검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러시(62A 및 62B)가 배치되는 지름 방향의 위치는, 스케일(33)이 홀더(32)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스케일(33)의 슬릿(72)과 접촉하는 위치로 된다. 회전 입력부(14)가 회전 조작되고, 이에 따라 스케일(33)이 회전되었을 때, 브러시(62A 및 62B)와 스케일(33)의 사이에서는 접촉(슬릿(72)과 슬릿(72) 사이의 위치), 비접촉(슬릿(72)의 위치)이 반복되게 된다.
한편, 브러시(어스 브러시)(62C)는 스케일(33)이 홀더(32) 위에 배치되었을 때, 스케일(33)과 항상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브러시(어스 브러시)(62C)는 스케일(33)이 회전되었을 때, 브러시(62A 또는 62B) 사이에서 스케일(33)을 통해 도통 또는 비도통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입력부(14)는 브러시(62A 또는 62B)와 브러시(62C) 사이의 도통 상태의 변화(브러시(62A 또는 62B)와 스케일(33)의 접촉, 비접촉의 반복)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회전 입력부(14)의 회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62A)와 브러시(62B)를 둘레 방향으로 약간 어긋나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회전 입력부(14)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브러시(62A)와 스케일(33)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펄스의 상승(또는 하강)이 브러시(62B)와 스케일(33)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펄스의 상승(또는 하강)보다 어긋나 있는 정도만큼 빠른 타이밍으로 검출되게 된다.
또한, 반대로 회전 입력부(1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브러시(62B)와 스케일(33)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펄스의 상승(또는 하강)이 브러시(62A)와 스케일(33)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펄스의 상승(또는 하강)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검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나타나는, 펄스의 상승(또는 하강)의 타이밍의 편차에 기초하여 회전 입력부(14)의 회전 방향이 검출된다.
홀더(32)의 주연부에는 홀더 규제부(51A 내지 51D)에 대응해서 피규제 부재(63A 내지 63D)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32)가 베이스(31)상에 배치되었을 때, 이 피규제 부재(63A 내지 63D)의 변이(회동 및 이탈)가 홀더 규제부(51A 내지 51D)에 의해 각각 규제된다.
그리고, 홀더(32) 이면의, 주변 버튼(42A 내지 42D)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누름용 돌기부(101A 내지 101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상측이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눌려졌을 때, 버튼 누름용 돌기부(101A)에 의해 상측 버튼(42A)(주변 버튼(42A))이 눌려지고, 회전 입력부(14)의 좌측이 눌려졌을 때, 버튼 누름용 돌기부(101B)에 의해 좌측 버튼(42B)(주변 버튼(42B))이 눌려진다. 마찬가지로, 회전 입력부(14)의 하측이 눌려졌을 때, 버튼 누름용 돌기부(101C)에 의해 하측 버튼(42C)(주변 버튼(42C))이 눌려지고, 회전 입력부(14)의 우측이 눌려졌을 때, 버튼 누름용 돌기부(101D)에 의해 우측 버튼(42D)(주변 버튼(42D))이 눌려진다.
다이얼 본체 지지 부재(64A 내지 64D)는 홀더(32)의 주연부에 각각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상면측(도면중 상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 본체 지지 부재(64A 내지 64D)의 상단부에는 홀더(32)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에 의해 다이얼 본체(34)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홀더(32)의 상면에는 클릭감용 돌기부(65)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입력부(14)가 회전되었을 때, 이 클릭감용 돌기부(65)와 다이얼 본체(34)의 클릭감용 요철부(83)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클릭감이 발생된다.
스케일(33)의 중앙부에는 다이얼 지지통(61)이 끼워지는 구멍(71)이 형성되고, 그 주변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일(33)의 주연부 근방에 소정 각도 피치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슬릿(72)이 형성되어 있다. 스케일(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본체(34)의 이면에 고정되고, 홀더(32) 위에 배치된다.
다이얼 본체(34)의 중심에는 다이얼 지지통(61)이 끼워지는 구멍(81)이 형성되고, 또한 다이얼 본체(34)의 상면에는 전동(傳動) 돌기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 돌기부(82)는 조작 다이얼(35)의 이면에 형성되는 전동 오목부(92)에 끼워맞춰져서 조작 다이얼(35)의 회전력을 다이얼 본체(34)에 전동(傳動)한다.
또한, 다이얼 본체(34)의 이면의 주연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결모양의 클릭감용 요철부(83)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오목부에 클릭감용 돌기부(65)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조작 다이얼(35)의 중앙에는 중앙 버튼 부재(36)가 끼워지는 구멍(91)이 형성되고, 또한 조작 다이얼(35)의 이면에는 다이얼 본체(34)의 전동 돌기부(82)가 끼워지는 전동 오목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다이얼(35)의 상면에는 회전 조작시에 적당한 마찰을 발생시켜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9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각 부재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입력부(14)가 구성되고, 조작 다이얼(35)의 상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에 내장된다.
도 5에 도시된 회전 입력부(14)에 있어서, 사용자는 조작 다이얼(35)의 오른쪽 상측(도 1에서는 상측)을 누름으로써, 예를 들면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조작 다이얼(35)의 왼쪽 상측(도 1에서는 좌측)을 누름으로써,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회전 입력부(14)의 오른쪽 상측의 베이스(31) 부분에는 주변 버튼(42A)이 왼쪽 상측의 베이스(31) 부분에는 주변 버튼(42B)이 각각 배치되게 되고, 이들 버튼이 눌려짐으로써, 그 누름에 연동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커서가 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1)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11)는 메모리(117)의 ROM(Read Only Memory)(117A)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117B)에 전개하고, 전개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 전화기(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소정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게임 화상이나 지도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그리고, 입력 검출부(115)의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회전 입력부(14)에 대한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회전 입력부(14)가 회전되었을 때), 제어부(111)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제어하여 회전 입력부(14)의 회전량이나 회전 방향 등을 산출하고,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를 제어한다. 회전 입력부(14)에 대한 입력에 따라 표시부(13)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111)의 처리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RF(Radio Frequency)부(112)는 안테나(11)를 통해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RF부(112)는 음성 통화 모드시에 있어서 안테나(11)로 수신된 RF신호를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 처리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소정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DSP(113)에 출력한다. 또한, RF부(112)는 DSP(113)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공급받았을 때,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및 주파수 변환 처리 등의 소정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음성 신호를 안테나(11)를 통해 송신한다.
DSP(113)는 RF부(112)에서 공급되어 온 음성 데이터에 대해 예를 들면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음성 코덱(114)에 출력한다. 또한, DSP(113)는 음성 코덱(114)에서 공급되어 온 음성 데이터에 대해 스펙트럼 확산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RF부(112)에 출력한다. 또한, DSP(113)는 제어부(11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회전량의 산출, 회전 방향의 산출 및 표시 범위의 산출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음성 코덱(114)은 마이크로폰(18)에 의해 모아진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DSP(113)에 출력한다. 또한, 음성 코덱(114)은 DSP(113)로부터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12)를 통해 출력한다.
입력 검출부(115)의 회전 검출부(121)는 도 2의 브러시(62A, 62B 및 62C)와 접속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121)는 브러시(62A 및 62B)와 스케일(33)의 접촉, 비접촉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펄스를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입력 검출부(115)의 누름 검출부(122)는 도 2의 중앙 버튼(41) 및 주변 스위치(42A 내지 42D)와 접속되어 있다. 누름 검출부(122)는 이들 버튼이 눌려졌을 때(회전 입력부(14)의 상면이 내부 방향으로 눌려졌을 때), 이것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제어부(111)는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210)와 접속되고, 드라이브(210)에 자기 디스크(211), 광 디스크(212), 광자기 디스크(213) 또는 반도체 메모리(214) 등이 적절히 장착되고, 이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제어부(111)에 인스톨된다.
입력 검출부(116)는 휴대 전화기(1)에 설치되어 있는 통화 버튼(15), 전원 버튼(16) 및 텐키(17) 등의 다른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전화기(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주인공(이하, 적절히 아바타라 함)을 2차원의 평면내에서 이동시키는 게임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에 대한 입력에 따라 화상(평면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111)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회전 입력부(14)에 대한 조작과 표시부(13)에 표시되는 아바타(131)의 이동의 대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에 있어서, 상측이 아바타(131)의 정면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입력부(14)의 상측이 눌려지고,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상측 버튼(42A)이 눌려진 것이 검출되었을 때, 제어부(111)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아바타(131)를 평면내에서 전진시킨다(배경 화상을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전환한다)). 마찬가지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입력부(14)가 눌려지고, 좌측 버튼(42B), 하측 버튼(42C) 또는 우측 버튼(42D)이 눌렸음이 검출되었을 때, 제어부(111)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131)를 평면내에서 좌측 방향, 하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킨다(배경을 우측 방향, 상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입력부(14)가 회전 조작되고,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이것이 검출되었을 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131)의 정면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량에 따라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아바타(131)의 정면이 화면의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아바타(131)의 위치(표시부(13)의 중앙)를 중심으로 하여 배경 화상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회전 입력부(14)가 조작되었을 때, 도 7의 단계 S1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회전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31)의 방향을 회전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회전시킬 것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상측 버튼(42A)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31)를 전진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전진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아바타(131)를 평면내에서 전진시킨다(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도 10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은, 표시부(13)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경 화상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도로(141)가 표시되고, 표시부(13A)의 오른쪽 상측과 왼쪽 하측에 각각 수평하게 도로(142)와 도로(143)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아바타(131)는 표시부(13A)의 중앙 위치(P1)에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상측 버튼(42A)이 눌려진 경우,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1)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B)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즉, 위치(P1)보다 소정 거리만큼 상측에 있는 위치(P2)로 아바타(131)가 이동되고, 위치(P2)가 표시부(13)의 중앙에 대응하도록 화상이 전환되어 있다(표시부(13A)의 표시 상태에서 배경이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있다).
도 7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S3에 있어서 배경이 전환된 후에 처리는 종료되고, 다시 회전 입력부(14)가 조작되었을 때에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2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상측 버튼(42A)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로 진행하여 하측 버튼(42C)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즉 아바타(131)를 후퇴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4에 있어서 아바타(131)를 후퇴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5로 진행하여 아바타(131)를 평면내에서 후퇴시킨다(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상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0의 표시부(13B)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하측 버튼(42C)이 눌려졌을 때, 그 표시는 표시부(13A)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즉, 위치(P1)가 화면의 중앙(아바타(13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상이 상측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제어부(111)는, 단계 S4에 있어서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하측 버튼(42C)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좌측 버튼(42B)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31)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6에 있어서 아바타(131)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7로 진행하여 아바타(131)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예를 들면, 도 10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좌측 버튼(42B)이 눌려졌을 때, 단계 S7의 처리에 의해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2)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C)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즉, 위치(P1)보다 좌측에 있는 위치(P3)로 아바타(131)가 이동되고, 그 위치(P3)가 화면의 중앙에 대응하도록 배경이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따라서,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과 비교하여 아바타(131)가 이동한 분량만큼 도로(142)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짧게 표시되고, 도로(143)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길게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111)는 단계 S6에 있어서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좌측 버튼(42B)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로 진행하여 우측 버튼(42D)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3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8에 있어서 아바타(13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9로 진행하여 아바타(13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예를 들면, 도 10의 표시부(13C)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우측 버튼(42D)이 눌려졌을 때, 아바타(131)가 화면의 중앙 위치(P1)에 서도록 배경이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되고, 그 표시는 표시부(13A)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한편, 제어부(111)는 단계 S8에 있어서 우측 버튼(42D)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중앙 버튼(41)이 눌렸다고 인식하고, 단계 S10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중앙 버튼(41)이 눌려졌을 때에 실행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처리(액션)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중앙 버튼(41)이 눌려졌을 때의 액션으로서 아바타(131)의 전방에 있는 상대에게 말을 거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1)는 단계 S10에 있어서 전방에 있는 상대에게 말을 거는 액션을 아바타(131)에게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중앙 버튼(41)에는 예를 들면 아바타(131)를 점프시키거나 또는 전방의 상대에게 공격하는 등의 여러 가지 액션을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에서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회전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111)는 도 8의 단계 S11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31)의 정면을 현재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브러시(62A)와 스케일(33)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펄스와, 브러시(62B)와 스케일(33)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펄스의 상승(또는 하강)의 타이밍의 어긋남에 기초하여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11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2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회전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회전량에 따라 아바타(13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표시부(1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배경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도 10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90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은 흰색 화살표(A3)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D)에 나타나게 된다.
즉, 표시부(13D)에 있어서 배경은 위치(P1)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되고, 아바타(131)의 정면이 표시부(13A)의 우측에 대응하도록 회전되어 있다. 그 결과, 표시부(13D)에 있어서 도로(141)가 가로 방향의 도로로서 표시되고, 도로(142) 및 도로(143)가 세로 방향의 도로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회전 입력부(14)가 회전된 각도와 아바타(131)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동일한 비율(1:1)로 되어 있었으나, 회전 입력부(14)가 회전된 각도보다 아바타(131)의 회전 각도를 크게하는 등, 회전의 비율을 취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한편, 단계 S11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어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었다고 인식하고 단계 S13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검출된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회전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회전량에 따라 아바타(13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배경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도 10의 표시부(13D)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90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은 표시부(13A)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회전 입력부(14)에 대한 입력이 검출될 때마다 이상과 같은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1개의 조작부인 회전 입력부(14)만을 회전 또는 누르는 것만으로 보다 정확하면서 효율적으로 각종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입력부(14)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화면이 회전되기 때문에, 화면의 표시와 일체감이 있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평면내에 표시되는 아바타(13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처리는 표시부(13A)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의 표시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도가 표시되고, 위치(P11)가 화면의 중앙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상측 버튼(42A)이 눌려졌을 때, 위치(P11)보다 상측에 있는 위치(P12)가 화면의 중앙에대응하도록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지도가 하측 방향으로 스크롤된다. 그리고,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11)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B)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표시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소정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12)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C)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즉, 표시부(13A)의 좌측이 화면의 상측에 대응하는 것이 되도록 표시부(13A)의 위치(P1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지도가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부(13C)에 있어서는 표시부(13A)의 표시일 때에 상측에 있었던 위치(P12)가 화면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표시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우측 버튼(42D)이 눌려진 경우, 표시부(13A)의 표시일 때에 우측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위치(P13)가 중앙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스크롤되고,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13)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D)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지도의 표시가 전환되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중앙 버튼(41)이 조작될 때마다 지도가 확대 표시 또는 축소 표시되도록 지도의 척도가 차례로 전환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 화상의 표시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풍경 화상이나 조감(Bird View)하여 표시하는 지도 화상 등의 입체 화상의 표시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표시부(13)에 표시되는 가상 공간에 있어서, 도 14의 아바타(151)의 이동에 따라 배경 화상의 표시를 전환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의 표시부(13A)의 거의 중앙에는 아바타(151)의 배경이 표시되어 있고, 회전 입력부(14)를 조작함으로써, 이 아바타(15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표시부(13A)에는 화면 중앙(아바타(151)의 전방)에 오브젝트(161)가 표시되어 있고, 그 좌측에 오브젝트(16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아바타(151)의 정면에 대해 오브젝트(161)의 우측에는 오브젝트(164)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13A)에 있어서 아바타(151)는 현재 위치(P21)에 서 있는 것으로 된다. 위치(P22)는 위치(P21)의 좌측에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이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A)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도 12의 단계 S21에 있어서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회전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51)의 방향을 회전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아바타(151)의 방향을 회전시킬 것이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2로 진행하여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상측 버튼(42A)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51)를 전진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22에 있어서 아바타(151)를 전진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아바타(151)를 가상 공간내에서 전진시키고,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풍경 화상을 확대 표시(줌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상측 버튼(42A)이 눌렸을 경우, 아바타(151)가 가상 공간내에서 소정 거리만큼 전진되고,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21)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B)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즉, 도 14의 표시부(13A)에 있어서 표시부(13A)의 표시와 비교하여 오브젝트(161 및 162)가 확대 표시되어 있다. 오브젝트(164)는 시야 밖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단계 S22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상측 버튼(42A)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4로 진행하여 하측 버튼(42C)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51)를 후퇴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24에 있어서 아바타(151)를 후퇴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5로 진행하여 아바타(151)를 가상 공간내에서 후퇴시키고, 표시부(13A)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축소 표시(와이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B)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하측 버튼(42C)이 눌려졌을 때,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오브젝트가 축소 표시되어 보다 광범위한 배경이 표시된다.
제어부(111)는, 단계 S24에 있어서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하측 버튼(42C)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좌측 버튼(42B)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51)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26에 있어서 아바타(151)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7로 진행하여 아바타(151)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좌측 버튼(42B)이 눌려졌을 때, 아바타(151)가 위치(P22)로 이동됨과 동시에 배경이 우측 방향으로 스크롤되고,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22)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C)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그리고, 표시부(13C)에 있어서는 오브젝트(161)가 아바타(151)의 오른쪽 전방에 표시됨과 아울러, 표시부(13A)에 있어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오브젝트(165)가 새로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111)는 단계 S26에 있어서 누름 검출부(122)에 의해 좌측 버튼(42B)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28로 진행하고, 이어서 우측 버튼(42D)이 눌렸음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5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28에 있어서 아바타(15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9로 진행하여 아바타(15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는 배경을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C)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우측 버튼(42D)이 눌려졌을 때, 배경이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표시 범위가 전환됨과 아울러 아바타(151)가 위치(P21)로 이동되고, 그 표시는 표시부(13A)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제어부(111)는, 단계 S28에 있어서 우측 버튼(42D)이 눌렸음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중앙 버튼(41)이 눌렸다고 인식하고 단계 S30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30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중앙 버튼(41)이 눌려졌을 때에 실행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처리(액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중앙 버튼(41)이 눌려졌을 때의 액션으로서 아바타(151)의 전방에 있는 상대에게 말을 거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1)는 단계 S30에 있어서 전방에 있는 상대에게 말을 거는 액션을 아바타(151)에게 실행시킨다.
한편, 단계 S21에서 회전 검출부(121)에 의해 회전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111)는 도 13의 단계 S31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111)는 아바타(151)의 정면을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 공간의 수평면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1)는, 단계 S31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2로 진행한다. 단계 S31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아바타(151)의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아바타(151)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한 회전량에 따라 가상 공간의 수평면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배경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소정 각도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은 흰색 화살표(A23)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D)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즉, 배경이 위치(P21)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예를 들면 표시부(13A)에서는 화면의 우단에 표시되어 있던 오브젝트(164)가 아바타(151)의 거의 정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한편, 단계 S31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었다고 인식하고, 단계 S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3에 있어서, 제어부(111)는 아바타(151)의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배경을 산출한 회전량에 따라 아바타(151)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의 표시부(13D)에 나타나는 화면의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소정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은 표시부(13A)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상에서는 아바타(151)의 배경이 표시부(13)의 중심에 항상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151)는 표시하지 않고 휴대 전화기(1)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계에 상당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마찬가지로 가상 공간내의 이동에 따라 배경의 표시가 전환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의 표시부(13A)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하측 버튼(42C)이 눌려졌을 때,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은 흰색 화살표(A31)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드 표시되는것으로 된다. 표시부(13B)에 있어서는 표시부(13A)의 화면과 비교하여 오브젝트(181 내지 183)가 각각 축소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5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32)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경이 가상 공간내에서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것으로 된다. 즉, 표시부(13A)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이 정면이 되고, 오브젝트(181)가 화면의 우단에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5의 표시부(13A)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우측 버튼(42D)이 눌려졌을 때,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33)의 끝에 나타나는 것으로 되고, 표시부(13A)의 표시와 비교하여 오브젝트(181 및 182)가 각각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회전 입력부(14)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부(13)에 있어서의 입체 화상의 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회전 입력부(14)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13)에 조감 표시되어 있는 지도(입체 화상)의 표시를 전환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6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지도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상측 버튼(42A)이 눌려졌을 때,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은 흰색 화살표(A41)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B)의 화면과 같이 줌 표시된다. 도 16의 표시부(13B)에 있어서는 표시부(13A)와 비교하여 축척이 변경되어 오브젝트(191)가 확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6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42)의 끝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배경이 수평면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오브젝트(191)의 면(191B)이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표시된 것(사용자의 정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된 것)이 된다.
그리고, 도 16의 표시부(13A)에 나타나는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의 우측 버튼(42D)이 눌려졌을 때, 그 표시는 흰색 화살표(A43)의 끝에 나타나는 표시부(13D)에 나타낸 것으로 되고, 표시부(13A)의 표시와 비교하여 오브젝트(191)가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회전 입력부(14)를 회전시킴으로써, 그에 따라 화상이 회전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복수의 버튼을 조작하여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면의 표시와 일체감이 있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1개의 입력부로 여러 가지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버튼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비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회전 입력부(14)는 휴대 전화기(1)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 입력부가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정보 단말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TV 수상기, 비디오 레코더, 카 내버게이션 등에 이용되는 각종 리모트 컨트롤러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으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를 통해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211)(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21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213)(MD(등록상표)(Mini-Disk)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214) 등으로 이루어진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들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이나 기억부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개별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
도 17에 있어서, 참조 번호 1700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1700)는 중앙의 힌지부(1702)를 경계로 하측 케이스(1703)과 상측 케이스(1704)로 나뉘어져 있고, 당해 힌지부(1702)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 케이스(1703)에 있어서, 그 배면에 있어서의 상단 우측에 송수신용 안테나(1705)가 신축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700)는 이 안테나(1705)를 통해 기지국(도시생략)과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 케이스(1703)에는 그 표면 하부에 통화시의 사용자의 음성을 모으는 마이크로폰(170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케이스(1703)에는 그 표면 중앙에 「0」∼「9」의 숫자키, 발호키, 리다이얼키, 종화 및 전원키, 클리어키 및 전자 메일키 등의 조작키(1708)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조작키(1708)의 상측에 상하 좌우의 4방향 및 중심부로의 누름, 그리고 좌우로 회전 조작이 자유로운 원반형의 회전 입력부(이하, 디스크 조그라 함)(170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키(1708) 및 디스크 조그(1709)의 조작에 의해 휴대 전화기(1700)는 메뉴의 항목 선택, 발호 처리, 전자 메일 문서의 작성이나 데이터 통신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700)는 사용자에 의한 디스크 조그(1709)의 회전 조작에 따라 표시부(1710)에 표시된 전화 번호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전화 번호가 선택된 후, 당해 디스크 조그(1709)의 중앙 버튼(후술)이 눌려지면, 선택된 전화 번호를 확정하여 당해 전화 번호에 대해 자동적으로 발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케이스(1703)에는 그 배면측에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있고, 조작 키(1708)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면, 당해 배터리 팩으로부터 내부의 회로 블록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측 케이스(1704)의 상단 중앙부에는 회동이 자유로운 카메라부(1713)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700)는 이 카메라부(1713)의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1714)를 통해 원하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고, 그 화상을 휴대 전화기(1700)에 내장된 RAM(Random Access Memory)나 메모리 스틱(후술)에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카메라부(1713)는 사용자에 의해 반전되어 위치 결정된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카메라부(1713)의 배면측 중앙부에 설치된 스피커(1715)가 정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통상의 음성 통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1704)의 정면에는 카메라부(1713)의 하측에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 표시부(1710)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700)는 이 표시부(1710)에 각종 기능에 대응한 메뉴, 전파의 수신 상태, 전지 잔량, 발신 이력, 착신 이력, 전자 메일 문서, 전화번호부, 스케쥴, 카메라부(1713)로 촬영한 화상 등의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기(1700)는 카메라부(1713)로 촬영한 화상이나 다른 휴대 전화기로부터 송신된 화상 또는 인터넷상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화상 등의 각종 화상에 대해, 다기능 입력 수단으로서의 디스크 조그(1709)를 통한 조작에 의해 확대 축소(즉, 배율 변경), 회전, 상하 좌우로의 이동과 같은 각종 화상 편집 처리를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상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화상의 화상 사이즈가 표시부(1710)의 표시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화상 편집 처리에 의해 당해 화상을 확대하여 당해 다운로드 화상을 표시부(1710)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713)로 촬영한 화상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화상 편집 처리에 의해 당해 화상을 회전시켜 당해 회전 화상을 수평하게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1704)의 우측면 상부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메모리 스틱(소니(주) 상표)(1716)을 끼워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 스틱 슬롯(1717)이 형성되어 있다.
즉, 메모리 스틱(1716)은 본원 출원인인 소니(주)에 의해 개발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으로서, 소형 박막의 플라스틱 케이스내에 전기적으로 재기입이나 소거가 가능한 불휘발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이루어진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저장한 기억 매체이다. 메모리 스틱(1716)은 화상이나 음성, 음악 등의 각종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700)는 메모리 스틱(1716)을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당해 메모리 스틱(1716)을 통해 다른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공유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2)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
이어서, 휴대 전화기(1700)의 회로 구성에 대해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제상, 휴대 전화기(1700)에 있어서는 당해 휴대 전화기(1700)의 각종 기능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920)에 대해 조작키(1708), 디스크 조그(1709), 표시부(1710), 카메라부(1713), 메모리 스틱 슬롯(1717), 송수신부(1921), CPU(1920)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됨과 아울러 전화번호부 리스트나 화상 데이터의 기억 수단으로서도 사용되는 RAM(1922)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CPU(1920)에는 CPU(1920)가 실행하는 화상 편집 프로그램(후술)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기억한 ROM(192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700)의 CPU(1920)는 조작키(1708)나 디스크 조그(1709)를 통해 입력된 각종 처리 명령에 따라 송수신부(1921)를 제어함으로써, 발호 처리, 종화 처리, 촬영 처리나 영상 편집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함과 아울러 각종 처리 명령에 따른 정보를 표시부(1710)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700)의 CPU(1920)에는 디스크 조그(1709)를 통해 입력된 지시 정보에 따라 RAM(1922)으로부터 전화 번호 리스트를 판독함과 아울러, 당해 전화 번호 리스트의 일부를 차례로 표시부(1710)에 표시시키고, 또한 선택된 전화 번호에 대해 발신 처리를 행하기 위해 송수신부(192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1700)는 마이크로폰(1706)에서 집음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부(1921)에 의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 안테나(1705)를 통해 기지국(도시 생략)으로 송신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700)는 안테나(1705)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에 대해 송수신부(1921)에 의해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1715)를 통해 출력한다.
(3) 디스크 조그의 구성
이어서, 다기능 입력 수단으로서의 디스크 조그(1709)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조그(1709)는 베이스(2030), 홀더(2031), 스케일(2032), 다이얼 본체(2033), 조작 다이얼(2034) 및 중앙 버튼(2035)으로 구성된다. 이 디스크 조그(1709)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회전 입력부(14)와 동일한 것이다.
베이스(203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절연성 수지로 된 대략 구형(矩形)판으로서, 그 표면 중앙부에는 중앙 스위치(2036X)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중앙 스위치(2036X)의 주위에는 4개의 주변 스위치(2036A∼2036D)가 각각 등거리 또한 90°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5개의 스위치(2036; 2036A∼2036D 및 2036X)는 각각 푸시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디스크 조그 인터페이스내의 누름 검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2030)의 표면 4모서리에는 상동(上動) 규제편(2037)과 그 양측에 약간 떨어져서 설치된 2개의 회동 규제편(2038)으로 이루어진 홀더 규제부(2039)가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홀더(2031)의 주연부에는 그 각 홀더 규제부(2039)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피규제편(2040)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있고, 각 상동 규제편(2037)의 상단 내측(즉, 베이스(2030)의 중앙측)을 향해 형성된 돌기부(2037A)에 의해 각 피규제편(2040)의 상측 이동량을 제한함과 아울러 각 회동 규제편(2038)에 의해 각 피규제편(2040)의 회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2030)는 홀더(2031)의 회동을 규제하면서, 상기 규제편(2037)으로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홀더(2031)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홀더(2031)는 절연성 수지의 원판으로서, 그 표면 중앙부에는 다이얼 본체(2033)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다이얼 지지통(2041)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얼 지지통(2041)의 내면은 홀더(2031)의 이면까지 관통하여 개구되어 있고, 당해 다이얼 지지통(2041)의 내부에 중앙 버튼(2035)을 상하동 가능한 상태로 수납한다.
또한, 홀더(2031)의 이면 주연부에 있어서의 피규제편(2040)의 사이에는 4개의 다이얼 본체 지지편(2044)이 설치되어 있다. 홀더(2031)는 이 4개의 다이얼 본체 지지편(2024)의 상단 내측(즉, 홀더(2031)의 중앙측)을 향해 형성된 돌기부(2044A)에 의해 이면에 스케일(2032)이 고정된 다이얼 본체(2033)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스케일(2032)은 원반형의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케일(2032)은 그 중심에 다이얼 지지통(2041)을 끼워 통과시키는 구멍(2048)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구멍(2048)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긴 구멍형의 슬릿(2049)이 방사상또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031)의 표면에는 도전성을 갖는 탄성재로 된 3개의 브러시(2042A, 2042B 및 2042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러시(2042A, 2042B 및 2042C)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배선을 통해 디스크 조그 인터페이스내의 회전 검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시(2042A 및 2042B)는 다이얼 본체(2033)의 이면에 고정된 스케일(2032)의 슬릿(2049)에 접하고, 브러시(2042C)는 스케일(2032)의 주연부 이면과 항상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홀더(2031)의 이면에는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스위치 누름용 돌기(2043)가 각각 주변 스위치(2036A∼2036D)(도 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2030)에 홀더(2031)를 세팅한 상태에 있어서,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스위치 누름용 돌기(2043)를 각각 대응하는 주변 스위치(2036)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다이얼(2047)을 통해 홀더(2031)에 대해 화살표(A) 방향으로 누름력이 가해지면, 스위치 누름용 돌기(2043)가 대응하는 주변 스위치(2036)를 눌러 온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이얼 지지통(2041)에 중앙 버튼(2035)을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중앙 버튼(2035)의 저면은 중앙 스위치(2036X)(도 20)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중앙 버튼(2035)에 대해 누름력이 가해지면, 당해 중앙 버튼(2035)의 저면이 중앙 스위치(2036X)를 눌러서 온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031)의 표면 주연부에는 클릭 돌기(204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33)의 이면에는 물결모양의 클릭 요철(20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릭 돌기(2046)와 다이얼 본체(2033)의 이면에 형성된 물결모양의 클릭 요철(2045)을 유동 가능하게 끼움으로써, 스케일(2032), 다이얼 본체(2033) 및 조작 다이얼(2034)로 이루어진 다이얼(2047)을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때에 소정 회전 각도마다의 클릭감(이하, 이것을 회전 클릭이라 함)이 발생된다. 이 클릭감은 당해 다이얼(2047)을 소정 회전 각도를 단위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에 사용자에 대해 다이얼(2047)의 회전 조작량을 촉감을 통해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이얼 본체(2033)의 중심부에는 다이얼 지지통(2041)을 통과하는 구멍(20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얼 본체(2033)의 표면에 있어서의 주연부 근방에는 원통형상의 전동 돌기(20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당해 전동 돌기(2051)가 조작 다이얼(2034)의 이면에 형성된 전동 오목부(2051)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조작 다이얼(2034)에 가해진 회전력을 다이얼 본체(2033)로 전동한다.
조작 다이얼(2034)의 표면에는 회전 조작시에 적당한 마찰을 발생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홈(205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다이얼(2034)의 표면 중심부에는 중심 구멍(2053)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얼 지지통(2041)에 끼워 통해진 중앙 버튼(2035)의 정부(2035A)를 노출시켜 당해 중앙 버튼(2035)을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디스크 조그(1709)의 회전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을 화살표(T)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이 회전 조작력이 조작 다이얼(2034)에 형성된 전동 오목부(2051)(도 20)에 끼워 맞춰진 전동 돌기(2051)를 통해 다이얼 본체(2033)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다이얼 본체(2033)가 스케일(2032)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브러시(2042C)와 브러시(2042A) 사이 및 브러시(2042C)와 브러시(2042B) 사이의 전기적 도통 상태가 변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2042C)는 항상 스케일(2032)과 도통하고 있다. 그리고, 브러시(2042A)가 스케일(2032)의 슬릿(2049)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당해 브러시(2042A)와 스케일(2032)은 도통하지 않고, 이에 따라 브러시(2042C)와 브러시(2042A)는 도통하지 않는다. 반대로 브러시(2042A)가 스케일(2032)에 있어서의 슬릿(2049)이 없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당해 브러시(2042A)와 스케일(2032)은 도통하고, 이에 따라 브러시(2042C)와 브러시(2042A)는 스케일(2032)을 통해 도통한다. 브러시(2042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다이얼(2047)을 회전 조작하면, 브러시(2042C)와 브러시(2042A) 사이 및 브러시(2042C)와 브러시(2042B) 사이의 도통 상태가 펄스상으로 변화한다(이하, 이것을 회전 펄스라 함). CPU(1920)는 이 2개의 회동 펄스에 기초하여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량(즉,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그리고, 디스크 조그(1709)에 있어서는 다이얼(2047)의 회전각에 제한이 없고, 따라서 다이얼(2047)을 회전하는 것만으로 연속적인 조작을 쉽게 입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이얼(2047)의 회전 속도를 사용자가 가변함으로써 임의의 간격으로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크 조그(1709)의 누름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한바와 같이 다이얼(2047)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상측 부분을 누름 조작하면(화살표 U방향), 다이얼(2047)은 홀더(2031)와 함께 요동한다. 이 요동에 의해 홀더(2031)의 스위치 누름용 돌기(2043)(도 21A)가 주변 스위치(2036A)(도 20)를 눌러 온 상태로 한다. 마찬가지로 다이얼(2047)에 있어서의 중심보다 우측 부분을 누름 조작하면(화살표 R방향) 주변 스위치(2036B)가 온 상태로 되고, 중심보다 하측 부분을 누름 조작하면(화살표 D방향) 주변 스위치(2036C)가 온 상태로 되고, 중심보다 좌측 부분을 누름 조작하면(화살표 L방향) 주변 스위치(2036D)가 온 상태로 된다.
또한, 다이얼(2047)의 중심에 노출되어 있는 중앙 버튼(2035)의 정부(2035A)를 누르면(도 23), 이에 따라 당해 중앙 버튼(2035)의 저부가 중앙 스위치(2036X)(도 20)를 눌러서 온 상태로 한다.
CPU(1920)는 이들 5개의 스위치(2036)(주변 스위치(2036A∼2036D) 및 중앙 스위치(2036X))의 도통 상태에 기초하여 다이얼(2047)에 대한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누름 조작(이하, 이것을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이라 함) 및 중앙 버튼(2035)에 대한 누름 조작(이하, 이것을 중앙 누름 조작이라 함)을 검출한다.
실제상, CPU(1920)는 상술한 디스크 조그(1709)에 대한 조작을 디스크 조그 감시 프로그램(즉, 디스크 조그 드라이브)에 의해 감시하여 조작의 발생을 검출하면, 디스크 조그 드라이버는 이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CPU(192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조그(1709)는 다이얼(2047)에 대한 다방향 누름 조작으로서의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이나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중앙 누름 조작, 그리고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을 쉽게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 휴대 전화기의 화상 편집 처리
이어서, 휴대 전화기(1700)에 있어서의 화상 편집 처리를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700)의 CPU(1920)는 메인 메뉴 화면(도시 생략)상에서 「화상 편집」메뉴가 선택되면, 후술하는 화상 편집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화상 편집 모드로 이행하고, 도 24에 도시한 화상 편집 화면(2400)을 표시부(1710)에 표시한다.
화상 편집 화면(2400)에 있어서는, 그 전체에 편집 대상이 되는 화상(Pci)이 표시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는 후술하는 조작 모드(회전 모드 또는 확대 축소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2401)가 표시된다. 그리고, 모드 표시부(2401)는 반투명 표시되어 편집 화상(Pic)을 모드 표시부(2401)로 은폐하는 경우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CPU(1920)는 화상 편집 화면(2400)의 표시 개시 시점에서 조작 모드를 회전 모드로 기동하고,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연속적인 누름 조작(이하, 이것을 긴 누름 조작이라 함)에 따라 확대 축소 모드 및 회전 모드를 번갈아 전환한다.
그리고, CPU(1920)는 디스크 조그(1709)에 대한 회전 조작 및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편집 화상(Pic)에 대해 조작 모드에 대응하여 확대 축소, 회전, 상하 좌우로의 이동(스크롤)이라는 화상 편집 처리를 실시한다.
즉, 회전 모드에 있어서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이 오른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모드 표시부(2401)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편집 화상(Pic)을 오른쪽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다이얼(2047)이 왼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편집 화상(Pic)을 왼쪽으로 회전한다. 이 때, CPU(1920)는 다이얼(2047)에 대한 1회전 클릭에 따라 소정의 기준 회전각만큼 편집 화상(Pic)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 기준 회전각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CPU(1920)는 회전 모드에 있어서 다이얼(2047)의 회전 조작량 및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편집 화상(Pic)을 회전시킨다.
다이얼(2047)의 회전축 방향과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화상(Pic)의 회전축 방향은 거의 일치한다. 이에 따라, 다이얼(2047)의 회전 조작 방향으로 동일 방향으로 화상(Pic)이 회전하여 마치 실제로 손가락으로 화상(Pic)을 회전하고 있는 것 같은 직감적이고 리얼한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확대 축소 모드에 있어서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이 오른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편집 화상(Pic)을 확대한다. 마찬가지로, 다이얼(2047)이 왼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편집 화상(Pic)을 축소한다. 이 때, CPU(1920)는 다이얼(2047)에 대한 1회전 클릭에 따라 소정 기준 확대/축소율로 편집 화상(Pic)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 확대/축소율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회전 모드 및 확대 축소 모드의 양조작 모드에 있어서, 다이얼(2047)이 십자 방향 누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편집 화상(Pic)을 누름 조작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원래의 화상을 전환하여 이동한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920)는 표시부(1710)의 표시 가능 범위(2500)보다 약간 큰 화상 이동 가능 범위(2501)를 가상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편집 화상(Pic)의 중심 좌표(PC)가 당해 화장 이동 범위(2501)의 범위내에 있는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누름 조작에 의해 중심 좌표(PC)가 화상 이동 가능 범위(2501)의 범위외로 나올 것이라 판단한 경우, 당해 이동 조작을 무시하고 화상의 이동을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CPU(1920)는 이동 조작에 의해 화상이 표시부(1710)의 표시 가능 범위(2500)의 밖으로 이동하여 표시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CPU(1920)는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 다이얼(2047) 및 중앙 버튼(2035)에 대한 누름 조작의 장단에 따라 다른 처리를 행한다. 즉, 회전 모드 및 확대 축소 모드의 양조작 모드에 있어서, 다이얼(2047)에 대해 순간적인 누름 조작(이하, 이것을 짧은 누름 조작이라 함)이 가해진 경우, CPU(1920)는 당해 짧은 누름 조작 1회에 대해 소정의 기준 이동량만큼 화상을 이동한다. 이에 비해 다이얼(2047)에 대해 긴 누름 조작이 가해진 경우, CPU(1920)는 당해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소정의 기준 반복 시간(예를 들면 0.5초)마다 상기 기준 이동량만큼 화상을 이동한다. 이 기준 이동량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모드 및 확대 축소 모드의 양조작 모드에 있어서, 중앙 버튼(2035)이 길게 누름 조작되면, CPU(19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모드를 전환함에 비해, 중앙 버튼(2035)이 짧게 누름 조작되면, CPU(1920)는 화상 편집을 확정하여 화상 편집 처리를 종료한다.
(5) 화상 편집 처리의 조작예
이어서, 휴대 전화기(1700)에 있어서의 실제의 화상 편집 처리의 조작예를 설명한다.
도 26은 휴대 전화기(1700)의 카메라부(1713)로 촬상한 화상(Pic)(도 26의 A)의 기울기를 수정하는 경우의 조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화상(Pic)과 표시부(1710)의 표시 가능 범위(2500)는 동일 사이즈이다.
사용자에 의해 화상 편집 처리의 기동 조작이 입력되면,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920)는 당해 화상 편집 처리를 회전 모드로 기동한다. 이 상태에서 다이얼(2047)이 오른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화상(Pic)을 오른쪽으로 회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710)의 표시 가능 범위(2500)와 동일 사이즈의 화상(Pic)을 회전하면, 당해 표시부(1710)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공백 부분이 발생한다. 이 경우, 조작 모드를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여 회전후의 화상(Pic)을 확대하면 공백 부분을 메울 수 있다.
즉, 중앙 버튼(2035)이 길게 눌리면, CPU(1920)는 이에 따라 조작 모드를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한다(도 26의 C). 이 상태에서 다이얼(2047)이 오른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화상(Pic)을 확대한다. 그리고,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짧은 누름 조작에 따라 CPU(1920)는 화상 편집을 확정하여 화상 편집 처리를 종료한다(도 26의 D)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화상(Pic)을 회전하여 기울기를 수정함과 아울러 화상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공백 부분을 화상(Pic)을 확대하여 메우는 처리를 디스크 조그(1709)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카메라부(1713)로 촬영한 화상(Pic)(도 27의 A)의 임의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부(1710) 전체에 표시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해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화상 편집 처리의 기동 조작이 입력되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920)는 당해 화상 편집 처리를 회전 모드로 기동한다. 이 상태에서 다이얼(2047)이 오른쪽으로 회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화상(Pic)을 확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Pic)을 임의의 크기로 확대한 후, 다이얼(2047)을 상하 좌우로 누름 조작하여 화상(Pic)을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화상(Pic)내의 임의 부분을 표시부(1710)의 중심에 표시시킬 수 있다.
즉, 도 2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2047)이 누름 조작되면, CPU(1920)는 이에 따라 화상(Pic)을 이동한다. 그리고,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짧은 누름 조작에 따라 CPU(1920)는 화상 편집을 확정하여 화상 편집 처리를 종료한다(도 27의 D).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화상(Pic)의 임의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부(1710) 전체에 표시하는 처리를 디스크 조그(1709)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게 행할 수 있다.
(6) 화상 편집 처리 수순
이어서, 상술한 화상 편집 처리를 행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 2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의 CPU(1920)는 메인 메뉴 화면상에서 「화상 편집」메뉴가 선택되면, ROM(1923)에서 화상 편집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CPU(1920)는 화상 편집 모드로 이행하고, 도 28에 도시한 화상 편집 처리 수순의 루틴(RT1)의 개시 단계부터 들어가서 단계 SP1의 처리를 한다. 이 때, CPU(1920)는 조작 모드를 회전 모드로 한다. 단계 SP1에 있어서, CPU(1920)는 상술한 화상 편집 화면(2400)을 표시부(1710)에 표시함과 아울러 당해 화상 편집 화면(2400)내에 편집 대상의 화상을 표시하고, 다음 단계 SP2로 이행한다.
단계 SP2에 있어서, CPU(1920)는 디스크 조그 드라이브로부터의 인터럽트의 유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한 디스크 조그(1709)의 조작의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당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1920)는 디스크 조그(1709)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여 다음 단계 SP3으로 이행한다.
단계 SP3에 있어서, CPU(1920)는 디스크 조그(1709)에 가해진 조작이 회전 조작인지 아니면 누름 조작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P3에 있어서 디스크 조그(1709)에 가해진 조작이 회전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 CPU(1920)는 단계 SP4의 처리로 이행한다.
단계 SP4에 있어서, CPU(1920)는 현재의 조작 모드를 확인하여 다음 단계 SP5로 이행하고, 디스크 조그(1709)의 회전 조작 방향을 검출한다. CPU(1920)는단계 SP5에 있어서 디스크 조그(1709)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P6으로 이행하여 회전 조작량에 따라 화상을 확대(확대 축소 모드시) 또는 화상을 우회전(회전 모드시)하여 단계 SP2로 되돌아간다. 이에 비해 단계 SP5에 있어서 디스크 조그(1709)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CPU(1920)는 단계 SP7로 이행하여 회전 조작량에 따라 화상을 축소(확대 축소 모드부) 또는 화상을 좌회전(회전 모드시)하여 단계 SP2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의 CPU(1920)는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회전 또는 확대 축소한다.
한편, 단계 SP3에 있어서 CPU(1920)는 디스크 조그(1709)에 가해진 조작이 누름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P8로 이행하여 디스크 조그(1709)에 가해진 누름 조작이 다이얼(2047)에 대한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인지 아니면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중앙 누름 조작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P8에 있어서, CPU(1920)는 디스크 조그(1709)에 가해진 조작이 다이얼(2047)에 대한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P9로 이행하여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상(Pic)의 중심 좌표를 인식하고, 다음 단계 SP10로 이행한다.
그리고, 단계 SP10에 있어서 CPU(1920)는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이동하였을 때, 당해 화상(Pic)의 중심이 상술한 화상 이동 가능 범위(2501)의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P10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CPU(1920)는 화상(Pic)을 이동하지 않고 단계 SP2로 되돌아간다. 이는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이동하면, 당해 화상(Pic)의 중심이 화상 이동 가능 범위(2501)의 범위외로 나옴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단계 SP10에 있어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CPU(1920)는 단계 SP11로 이행한다. 즉, 이는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이동해도 당해 화상(Pic)의 중심이 화상 이동 가능 범위(2501)의 범위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단계 SP11에 있어서, CPU(1920)는 다이얼(2047)에 가해진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이 긴 누름 조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P11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CPU(1920)는 단계 SP12로 이행하여 누름 조작의 방향(상, 하, 좌 또는 우)으로 상술한 기준 이동량만큼 화상(Pic)을 이동하고 단계 SP2로 되돌아간다. 이는 다이얼(2047)에 가해진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이 짧은 누름 조작임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단계 SP11에 있어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CPU(1920)는 단계 SP13으로 이행한다. 이는 다이얼(2047)에 가해진 십자 방향 누름 조작이 긴 누름 조작임을 나타낸다.
단계 SP13에 있어서 CPU(1920)는 누름 조작의 방향으로 상술한 기준 위동량만큼 화상(Pic)을 이동한 후에 단계 SP14로 이행한다. 단계 SP14에 있어서, CPU(1920)는 다이얼(2047)에 대한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P14에 있어서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CPU(1920)는 단계 SP13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화상을 이동함에 비해, 단계 SP14에서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CPU(1920)는 단계 SP2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의 CPU(1920)는 다이얼(2047)에 대한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이동시킨다.
한편, 단계 SP8에 있어서 CPU(1920)는 디스크 조그(1709)에 가해진 조작이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중앙 누름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P15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단계 SP15에 대해 CPU(1920)는 당해 중앙 누름 조작이 긴 누름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P15에 있어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CPU(1920)는 단계 SP16으로 이행한다. 이는 중앙 버튼(2035)에 대해 긴 누름 조작이 가해졌음을 나타낸다.
단계 SP16에 있어서, CPU(1920)는 편집 모드를 회전 모드에서 확대 축소 모드로 또는 확대 축소 모드에서 회전 모드로 전환하여 다음 단계 SP17로 이행한다. 이 단계 SP17에 있어서, CPU(1920)는 중앙 버튼(2035)에 대한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P17에 있어서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CPU(1920)는 단계 SP16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모드 전환을 행한다. 이에 비해, 단계 SP17에 있어서 긴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CPU(1920)는 단계 SP2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P15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 CPU(1920)는 단계 SP18로 이행하여 화상(Pic)에 대한 화상 편집을 확정하고, 단계 SP19로 이행하여 화상 편집 처리를 종료한다. 즉, 이는 중앙 버튼(2035)에 대해 짧은 누름 조작이 가해졌음을 나타낸다.
(7)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700)의 CPU(1920)는 화상 편집 모드시 그 조작 모드가 회전 모드인 경우,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에 따라 편집 대상의 화상(Pic)을 회전한다. 조작 모드가 확대 축소 모드인 경우, CPU(1920)는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에 따라, 화상의 회전이나 확대 축소를 직감적 또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특히, 휴대 전화기(1700)에 있어서, 다이얼(2047)의 회전축 방향과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화상(Pic)의 회전축 방향이 거의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얼(2047)의 회전 조작 방향으로 화상(Pic)이 회전하여 마치 실제로 손가락으로 화상(Pic)을 회전하고 있는 것 같은 직감적이고 리얼한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조그(1709)는 종래의 키를 사용한 입력 방법에 비해 다이얼(2047)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연속적인 조작을 고속이면서 쉽게 입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이얼(2047)의 회전 속도에 따라 임의의 속도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700)는 종래의 키를 사용한 입력 방법에 비해 1조작(다이얼(2047)의 1회전 클릭)에 대한 기준 회전 각도나 기준 확대/축소율을 작게 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보다 정밀하게 화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700)의 CPU(1920)는 회전 모드 및 확대 축소 모드의 양조작 모드에 있어서,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에 대한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편집 대상인 화상(Pic)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700)의 CPU(1920)는 회전 모드 및 확대 축소 모드의 양조작 모드에 있어서, 중앙 버튼(2035)에 대한 긴 누름 조작에 따라 조작 모드를 전환함과 아울러 중앙 버튼(2035)에 대한 짧은 누름 조작에 따라 화상 편집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1700)는 화상의 회전 조작이나 확대 축소 조작에 추가하여 화상의 이동 조작이나 조작 모드의 전환, 그리고 화상 편집 모드의 종료 조작이라는 각종 화상 처리 조작을 디스크 조그(1709)만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2047)의 1회전 클릭에 대한 기준 회전각이나 기준 확대/축소율 및 다이얼(2047)의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대한 기준 이동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스크 조그(1709)의 응답성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밀한 각도 결정을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준 회전각을 작게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디스크 조그(1709)는 다이얼(2047) 및 중앙 버튼(2035)이 콤팩트하면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700)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1개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만으로 각종 조작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17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 조작, 십자 방향 누름 조작 및 중심 누름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크 조그(1709)를 통해 편집 대상 화상의 회전 조작, 확대 축소 조작, 이동 조작, 조작 모드의 전환 및 화상 편집 모드의 종료 조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조그(1709)만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게 화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에 따라 편집 대상 화상을 회전이나 확대 축소하도록 함으로써, 1조작 입력당 기준 회전각이나 기준 확대/축소율을 작게 할 수 있고 있어 종래에 비해 보다 정밀하게 화상을 편집할 수 있다.
(8) 다른 실시 형태
그리고,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조그(1709)의 회전 조작에 따라 화상을 회전 및 확대 축소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디스크 조그(1709)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9는 화상(Pic)에 대해 프레임(F1, F2 또는 F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합성하는 경우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조그 다이얼(9)의 다이얼(2047)에 대한 십자 방향 누름 조작에 따라 화상(Pic)을 이동함과 아울러 다이얼(2047)에 대한 회전 조작에 따라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프레임 선택 및 프레임에 대한 화상의 위치 결정을 디스크 조그(1709)만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화상(Pic)의 휘도나 색상이라는 각종 파라미터를 디스크 조그(1709)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조그(1709)의 다이얼(2047)에 상하 좌우 4방향의 누름 조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하 좌우 4방향에 추가하여 오른쪽 상측, 오른쪽 하측, 왼쪽 상측, 왼쪽 하측 등의 더욱 여러 방향의 누름 조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화상 이동 가능 범위(2501)에 기초하여 화상 이동의 가부를 결정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화상 이동 가능 범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화상 이동 가능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화상 편집 처리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크 조그(1709)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1700)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 조그를 구비함과 아울러 화상 편집 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예를 들면 PDA(Personal Data Assistants)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나 디지털 카메라 등 여러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쾌적하게 정확하면서 효율적으로 각종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의 표시와 일체감이 있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2)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당해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누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한 조작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과,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고,
    상기 누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복수 개소의 누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누름을 검출한 개소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화상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을 회전하는 회전 모드와 상기 화상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사이즈 변경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모드를, 상기 회전 모드에서 상기 사이즈 변경 모드로 변경하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모드가 회전모드일 때,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처리를 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모드가 상기 사이즈 변경 모드일 때,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계시 수단이 계측한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상기 회전축의 누름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계시 수단이 계측한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처리를 확정하고,
    상기 계시 수단이 계측한 상기 회전축이 눌려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모드를 상기 회전 모드에서 상기 사이즈 변경 모드로 변경하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의 평면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화상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평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으로서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입체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상공간에 있어서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상 공간의 수평면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복수 개소의 누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이 누름을 검출한 개소에 따라 상기 입체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당해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누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한 조작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
  1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또한 당해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누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한 조작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누름을 검출하는 누름 검출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누름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04-7013785A 2002-03-05 2003-03-03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KR20040107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9118 2002-03-05
JP2002059118A JP3992223B2 (ja) 2002-03-05 2002-03-05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92782A JP3937312B2 (ja) 2002-03-28 2002-03-28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JPJP-P-2002-00092782 2002-03-28
PCT/JP2003/002412 WO2003075146A1 (fr) 2002-03-05 2003-03-03 Dispositif, logiciel et procede de traitement d'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72A true KR20040107472A (ko) 2004-12-20

Family

ID=2779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785A KR20040107472A (ko) 2002-03-05 2003-03-03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1650B2 (ko)
EP (1) EP1486860A4 (ko)
KR (1) KR20040107472A (ko)
CN (1) CN100359441C (ko)
WO (1) WO2003075146A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12B1 (ko) 2006-10-10 2008-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정보 입력장치
KR100792511B1 (ko) 2006-10-10 2008-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정보 입력장치
KR101133801B1 (ko) * 2005-02-14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447460B1 (ko) * 2010-12-10 2014-10-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회전 조작부재에의 다른 종류의 조작을 검출하는 전자기기
KR101458420B1 (ko) * 2008-05-22 2014-11-10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TWI497352B (zh) * 2008-04-28 2015-08-21 Innochips Technology Co Ltd 電子裝置以及控制該裝置之程式的方法
KR20180122752A (ko) * 2013-09-03 2018-11-13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크라운 입력
US10281999B2 (en) 2014-09-02 2019-05-07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36414B2 (en) 2014-09-02 2020-01-14 Apple Inc. Electronic message user interface
US10606470B2 (en) 2007-01-07 2020-03-31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884592B2 (en) 2015-03-02 2021-01-05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0921976B2 (en) 2013-09-03 2021-02-1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1157143B2 (en) 2014-09-02 2021-10-26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1250385B2 (en) 2014-06-27 2022-02-15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11402968B2 (en) 2014-09-02 2022-08-02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 interface
KR20220116350A (ko) * 2016-09-23 2022-08-22 애플 인크. 워치 극장 모드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537281B2 (en) 2013-09-03 2022-12-2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1955100B2 (en) 2017-05-16 2024-04-0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17681B1 (ko) * 2003-04-1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EP1621000B1 (en) * 2003-05-08 2011-02-23 Nokia Corporation A mobile telephone having a rotator input device
US20040253931A1 (en) * 2003-06-10 2004-12-16 Jakob Bonnelykke Rotator with rim select functionality
TWI230311B (en) * 2003-07-28 2005-04-01 Benq Corp Automatic homing apparatus of a rotatable module
US20050097046A1 (en) 2003-10-30 2005-05-05 Singfield Joy S. Wireless electronic check deposit scanning and cashing machine with web-based online account cash management computer application system
DE102004001114A1 (de) 2004-01-07 2005-08-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von insbesondere den Komfortfunktionen eines Kraftfahrzeuges zugeordneten Menüs
CN2706974Y (zh) * 2004-06-18 2005-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夜视功能的手机
US8872843B2 (en) * 2004-07-02 2014-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diting images in a mobile terminal
CN1755328B (zh) * 2004-09-29 2010-04-14 乐金电子(惠州)有限公司 导航***的行驶图像显示方法
US7178735B2 (en) * 2004-11-15 2007-02-20 Kuo Ching Chiang Multi-func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874486B2 (en) 2004-11-15 2011-01-25 Kuo-Ching Chia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MD
US9083781B2 (en) 2004-11-15 2015-07-14 Bascule Development Ag Llc Portable image-capturing device with embedded projector
JP2006209340A (ja) * 2005-01-26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ネットワーク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277217A1 (en) * 2005-06-01 2006-12-07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ng a data file
KR101179887B1 (ko) * 2006-02-09 201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설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070202914A1 (en) * 2006-02-27 2007-08-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telephone handset with internet browsing capability
US8057116B1 (en) * 2006-08-10 2011-11-15 Nextel Communications Inc. Data input mechanism
US8351677B1 (en) 2006-10-31 2013-01-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checks
US7876949B1 (en) 2006-10-31 2011-01-2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checks
US7873200B1 (en) 2006-10-31 2011-01-1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checks
US8708227B1 (en) 2006-10-31 2014-04-29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checks
US8799147B1 (en) 2006-10-31 2014-08-0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negotiable instruments with non-payee institutions
US7885451B1 (en) 2006-10-31 2011-02-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negotiable instruments derived from various sources
US8959033B1 (en) 2007-03-15 2015-02-17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cation of remotely deposited checks
US10380559B1 (en) 2007-03-15 2019-08-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check representment prevention
US8640954B2 (en) 2007-04-10 2014-02-04 Bascule Development Ag Llc Filter-free projector
US8538124B1 (en) 2007-05-10 2013-09-17 United Services Auto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validation of check image quality
US8433127B1 (en) 2007-05-10 2013-04-30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validation of check image quality
US7710434B2 (en) * 2007-05-30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Rotation and scaling optimization for mobile devices
CN101315844B (zh) * 2007-06-01 2010-12-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装置及装设有该按键装置的便携式电子装置
TWI399075B (zh) * 2007-06-08 2013-06-11 Fih Hong Kong Ltd 按鍵裝置及裝設有該按鍵裝置之攜帶型電子裝置
US9058512B1 (en) 2007-09-28 2015-06-16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signature detection
US9159101B1 (en) 2007-10-23 2015-10-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Image processing
US9892454B1 (en) 2007-10-23 2018-02-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 image of a check to be deposited
US9898778B1 (en) 2007-10-23 2018-02-20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n image of a check to be deposited
US8358826B1 (en) 2007-10-23 2013-01-22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and orienting an image of one or more checks
US7996315B1 (en) 2007-10-30 2011-08-09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to modify a negotiable instrument
US8046301B1 (en) 2007-10-30 2011-10-2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to modify a negotiable instrument
US8001051B1 (en) 2007-10-30 2011-08-16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to modify a negotiable instrument
US7996316B1 (en) 2007-10-30 2011-08-09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Systems and methods to modify a negotiable instrument
US7996314B1 (en) 2007-10-30 2011-08-09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to modify a negotiable instrument
US8290237B1 (en) 2007-10-31 2012-10-16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to use a digital camera to remotely deposit a negotiable instrument
US8320657B1 (en) 2007-10-31 2012-11-27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to use a digital camera to remotely deposit a negotiable instrument
US7896232B1 (en) 2007-11-06 2011-03-01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mages of one or more checks
US7900822B1 (en) 2007-11-06 2011-03-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mages of one or more checks
JP2009171055A (ja) * 2008-01-11 2009-07-3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380562B1 (en) 2008-02-07 2019-08-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posit of negotiable instruments
JP4311495B1 (ja) * 2008-03-17 2009-08-1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90278802A1 (en) * 2008-05-09 2009-11-12 Sheng-Hsin Liao Mouse structure for generating encoding signals
US10896327B1 (en) 2013-03-15 2021-01-19 Spatial Cam Llc Device with a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
US9736368B2 (en) * 2013-03-15 2017-08-15 Spatial Cam Llc Camera in a headframe for object tracking
US10354407B2 (en) 2013-03-15 2019-07-16 Spatial Cam Llc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s
JP5324133B2 (ja) * 2008-05-30 201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351678B1 (en) 2008-06-11 2013-01-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Duplicate check detection
US8422758B1 (en) 2008-09-02 2013-04-16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of check re-presentment deterrent
US10504185B1 (en) 2008-09-08 2019-12-10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live video financial deposit
US7974899B1 (en) 2008-09-30 2011-07-0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Atomic deposit transaction
US8275710B1 (en) 2008-09-30 2012-09-2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bill pay enrollment
US7885880B1 (en) 2008-09-30 2011-02-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Atomic deposit transaction
US7962411B1 (en) 2008-09-30 2011-06-1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Atomic deposit transaction
US8391599B1 (en) 2008-10-17 2013-03-0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inarization of an image
US7970677B1 (en) 2008-10-24 2011-06-2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financial deposits by electronic message
US7949587B1 (en) 2008-10-24 2011-05-24 United Stat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financial deposits by electronic message
US8452689B1 (en) 2009-02-18 2013-05-2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of check detection
US10956728B1 (en) 2009-03-04 2021-03-2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of check processing with background removal
TWM369168U (en) * 2009-04-10 2009-11-21 Int Games System Co Ltd Input control system
US8542921B1 (en) 2009-07-27 2013-09-2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negotiable instrument using brightness correction
US9779392B1 (en) 2009-08-19 2017-10-0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publishing and subscribing platform of depositing negotiable instruments
US8977571B1 (en) 2009-08-21 2015-03-10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monitoring of check during mobile deposit
US8699779B1 (en) 2009-08-28 2014-04-1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ment of check during mobile deposit
TR201001561A2 (tr) * 2010-03-02 2011-02-21 Vemus Endüstri̇y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Dört yönlü elektronik kilit.
US9129340B1 (en) 2010-06-08 2015-09-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deposit capture with enhanced image detection
JP5163699B2 (ja) * 2010-06-11 2013-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入力システム
CN102566859B (zh) * 2010-12-20 2016-06-01 浙江大学城市学院 计算机的显示器调节方法
US10380565B1 (en) 2012-01-05 2019-08-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 and method for storefront bank deposits
US10552810B1 (en) 2012-12-19 2020-02-04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posit of financial instruments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CN103327247B (zh) * 2013-06-17 2017-01-11 神思依图(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人像采集操作装置和方法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1138578B1 (en) 2013-09-09 2021-10-0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eposit of currency
US9286514B1 (en) 2013-10-17 2016-03-15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Character count determination for a digital image
EP4089534A1 (en) * 2014-09-02 2022-11-1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10402790B1 (en) 2015-05-28 2019-09-0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Composing a focused document image from multiple image captures or portions of multiple image captures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CN106657562A (zh) * 2016-09-05 2017-05-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的预览方法及预览装置
EP3716022A4 (en) * 2017-11-20 2021-01-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PUT DEVICE
US11030752B1 (en) 2018-04-27 2021-06-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document detection
US11900755B1 (en) 2020-11-30 2024-02-1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document detection and deposit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781A (en) * 1987-10-02 1992-11-10 Automated Decisions, Inc. Orientational mouse computer input system
JPH02266415A (ja) 1989-04-05 1990-10-31 Nec Corp ディスプレイ用入力装置
JPH0792939A (ja) * 1993-08-25 1995-04-07 Konica Corp 画像再生装置
JPH07295739A (ja) 1994-04-28 1995-11-10 Sony Corp 指示装置および映像編集装置
JP3532967B2 (ja) * 1994-07-01 2004-05-3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拡張機能付き電話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H08161103A (ja) 1994-12-05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3次元情報入力装置
FR2728985A1 (fr) * 1994-12-28 1996-07-05 Sextant Avionique Procede pour la realisation et la modification d'un dessin sur l'ecran de visualisation d'un terminal
JPH10254614A (ja) 1997-03-06 1998-09-25 Hitachi Ltd 携帯型電子処理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AU1810099A (en) * 1998-01-13 1999-08-02 Sony Electronic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nabling manipulation of graphic images on a display screen
FI106333B (fi) * 1998-04-16 2001-01-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laitteet valikko-ohjaukseen
JPH11331344A (ja) * 1998-05-11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端末装置
DE19824100A1 (de) * 1998-05-29 1999-12-23 Mannesmann Vdo Ag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m Drehschalter und einem Anzeigebildschirm
DE19836262A1 (de) * 1998-08-11 2000-02-17 Mannesmann Vdo Ag Bedienvorrichtung mit einer über eine Anzeige steuerbaren Anzeigemark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9851352A1 (de) * 1998-11-06 2000-05-11 Ebe Elektro Bau Elemente Gmbh Bedieneinheit zur Positions- bzw. Bewegungssteuerung
JP2000231448A (ja) * 1999-02-08 2000-08-22 Alps Electric Co Ltd ホイール付きマウス
US6346938B1 (en) * 1999-04-27 2002-02-12 Harris Corporation Computer-resident mechanism for manipulating, navigating through and mensurating displayed image of three-dimensional geometric model
JP2001036772A (ja) 1999-07-15 2001-02-09 Olympus Optical Co Ltd 被写体像表示装置
EP1210811B1 (de) * 1999-09-06 2006-08-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gabeelement für ein telefon
JP2001092582A (ja) *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222704B2 (ja) * 1999-10-12 2009-02-12 株式会社ノーバス 情報入力装置
JP2001159946A (ja) * 1999-12-02 2001-06-12 Ntt Docomo Inc 入力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2001268613A (ja) * 2000-03-15 2001-09-28 Sony Corp 携帯情報端末
FR2808109B1 (fr) 2000-04-20 2003-08-08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ommande de fonction comprenant au moins un selecteur
JP4730571B2 (ja) * 2000-05-01 2011-07-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1337774A (ja) * 2000-05-25 2001-12-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媒体
US6593914B1 (en) * 2000-10-31 2003-07-15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JP2002259036A (ja) * 2001-02-28 2002-09-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075335B2 (ja) * 2001-04-11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
US6587091B2 (en) * 2001-04-23 2003-07-01 Michael Lawrence Serpa Stabilized tactile output mechanism for computer interface devices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01B1 (ko) * 2005-02-14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792511B1 (ko) 2006-10-10 2008-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정보 입력장치
KR100792512B1 (ko) 2006-10-10 2008-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정보 입력장치
US10606470B2 (en) 2007-01-07 2020-03-31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1269513B2 (en) 2007-01-07 2022-03-08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1461002B2 (en) 2007-01-07 2022-10-04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0983692B2 (en) 2007-01-07 2021-04-20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11886698B2 (en) 2007-01-07 2024-01-30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TWI497352B (zh) * 2008-04-28 2015-08-21 Innochips Technology Co Ltd 電子裝置以及控制該裝置之程式的方法
KR101458420B1 (ko) * 2008-05-22 2014-11-10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전자 장치 및 이의 프로그램 제어 방법
KR101447460B1 (ko) * 2010-12-10 2014-10-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회전 조작부재에의 다른 종류의 조작을 검출하는 전자기기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829576B2 (en) 2013-09-03 2023-11-28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656751B2 (en) 2013-09-03 2023-05-2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0921976B2 (en) 2013-09-03 2021-02-1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537281B2 (en) 2013-09-03 2022-12-2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KR20180122752A (ko) * 2013-09-03 2018-11-13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크라운 입력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1720861B2 (en) 2014-06-27 2023-08-08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11250385B2 (en) 2014-06-27 2022-02-15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11157143B2 (en) 2014-09-02 2021-10-26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0536414B2 (en) 2014-09-02 2020-01-14 Apple Inc. Electronic message user interface
US11402968B2 (en) 2014-09-02 2022-08-02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 interface
US12001650B2 (en) 2014-09-02 2024-06-04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1941191B2 (en) 2014-09-02 2024-03-26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281999B2 (en) 2014-09-02 2019-05-07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1068083B2 (en) 2014-09-02 2021-07-2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1474626B2 (en) 2014-09-02 2022-10-18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1743221B2 (en) 2014-09-02 2023-08-29 Apple Inc. Electronic message user interface
US11644911B2 (en) 2014-09-02 2023-05-09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884592B2 (en) 2015-03-02 2021-01-05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KR20220116350A (ko) * 2016-09-23 2022-08-22 애플 인크. 워치 극장 모드
US11955100B2 (en) 2017-05-16 2024-04-0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928907B2 (en) 2018-09-11 2021-02-23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921926B2 (en) 2018-09-11 2024-03-05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60925B2 (en) 2019-06-01 2022-10-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5146A1 (fr) 2003-09-12
US20050168566A1 (en) 2005-08-04
EP1486860A4 (en) 2010-06-30
CN1650251A (zh) 2005-08-03
US7751650B2 (en) 2010-07-06
CN100359441C (zh) 2008-01-02
EP1486860A1 (en)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7472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 처리방법
US71170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CN108710525B (zh) 虚拟场景中的地图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864295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10830B2 (en) Multiple streaming camera navigation interface system
EP3754476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erminal
WO2020030065A1 (zh) 应用程序的显示适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902278A1 (en) Music play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393916B (zh) 视角转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5025170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821237B (zh) 视角转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970500A (zh) 一种图片显示的方法及装置
CN106534959B (zh) 直播视频的处理方法及装置
JP3937312B2 (ja)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KR101404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CN113938748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701433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743168A (zh) 虚拟场景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8077655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65837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651781B (zh) 便携终端装置和外部设备
JP3992223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448676B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992268A (zh) 背景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764295B (zh) 立体场景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