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909A -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909A
KR20040038909A KR1020037013516A KR20037013516A KR20040038909A KR 20040038909 A KR20040038909 A KR 20040038909A KR 1020037013516 A KR1020037013516 A KR 1020037013516A KR 20037013516 A KR20037013516 A KR 20037013516A KR 20040038909 A KR20040038909 A KR 2004003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trifluoromethanesulfonyl
lithium
alkylene
anti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하나노리아키
타츠카미요시하루
Original Assignee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913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66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62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6619B2/ja
Application filed by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산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75Antist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1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3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4/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4/91Antistatic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브리드아웃이 발생하지 않으며, 습도에 의존하지 않고, 즉효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제전성이 유지되는 제전성 조성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소정의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와,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NTI-STA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최근,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성형물의 면이 대전하고, 그 면에 티끌 등이 부착하여 오염의 원인으로 되고, 정전기가 높은 전압에 기인하여 IC나 LSI 등의 파괴ㆍ불량이 일어나서 전자파 노이즈에 의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일어나는 등의, 정전기에 관한 문제가 클로즈업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지에 제전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수지에 제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방지제를 수지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이나, 대전방지제를 수지에 혼입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전방지제를 수지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에서는, 장기간 경과하면 제전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므로, 지속성을 갖는 제전성 수지로서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전방지제를 수지에 혼입하는 방법에서는, 대전방지제와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쁘고, 대전방지제가 성형품의 표면에 브리드아웃(bleed out)해서, 제전효과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방지제는 온도의존성이있고, 저온도하에서는 제전효과가 실활하고, 또는 수지를 성형한 후에 대전방지효과가 발현하기까지 최저 1∼3일 걸려 지효성(遲效性)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본블랙이나 카본파이버 등을 수지에 혼입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투명한 성형품이 얻어지지 않거나, 성형품의 색의 선택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소 64-9258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2-255852호 공보에는, 염화비닐수지에 있어서 대전방지제와 수지와의 상용성의 악화나 분산성의 악화라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대전방지제로서 과염소산암모늄염이나 과염소산리튬 등의 과염소산염을 사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젖산계수지, 열가소성엘라스토머 및 미가황고무, 및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포함하는 제전성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국제공개번호 WO 01/79354 A1). 그러나, 이들 과염소산염은 염화비닐의 열안정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전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금속염류의 종류에 따라서는 제전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더욱이, 과염소산염을 사용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필름이나 시트를 사용하여 금속류를 포장하는 경우, 금속표면을 부식하고, 금속표면이 녹슬고 또는 금속표면을 오염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알칼리금속염을 중합성 모노머에 용해시키는 경우, 용해시에 중합성 모노머를 가열하므로, 모노머가 중합을 개시하기 때문에, 균일한 도포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알코올류나 에테르계의 용매에 과염소산리튬 등의 알칼리금속염을 용해하는 경우, 알칼리금속염이 용매중에서 급격하게 발열하면서 용해하여, 발열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공업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전방지제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친수성 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4-198308호 공보, 특개평 7-126446호 공보 등).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수지가 실용적으로 충분한 제전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수지에 대해서 친수성 수지를 10중량%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성형체의 강도가 저하하는 등의 기질(基質)수지의 물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습도가 낮으면, 수지표면의 수분이 감소하므로, 수분에 기인하는 도전성이 저하하고, 제전성이 현저하게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9-227743호 공보에는, 염화비닐수지와, 가소제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을 배합한 투명한 제전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염화비닐수지에 대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의 배합량이 많으므로, 내열성이 나쁘고, 120℃에서 30분간 가열하면 흑갈색으로 되어, 투명성이나 도전성을 잃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제전성(制電性)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그 대전방지성이 지속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1군의 본 발명은 동일 내지 유사한 착상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는 이들의 1군의 본 발명이 밀접하게 관련된 발명마다 제 1의 발명군, 제 2의 발명군, 제 3의 발명군 및 제 4의 발명군으로 하여 구분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분(발명군)마다 그 내용을 순차 설명한다.
(1) 제 1의 발명군
제 1의 발명군은, 제전성 조성물이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폴리우레탄의 일반물성을 전혀 손상하지 않고, 제전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제전성이 우수한 것에 더하여, 내열안정성이 우수하고, 환경의존성이 없으며, 브리드아웃 등의 문제가 없으며, 또한 용이하게 착색할 수 있다.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은, 폴리우레탄원료에 대해서 0.01중량%∼20중량% 첨가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화합물의 첨가비율이 0.01중량% 미만이면, 제전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화합물의 첨가비율이 20중량%를 넘으면, 폴리우레탄에 제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충분하므로,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전성 폴리우레탄은,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경우에,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상기 폴리올에 용해시켜 첨가하여도 좋다. 제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폴리올에 용해시키므로, 균일한 제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0.1중량%∼90중량% 용해한 용액을, 상기 폴리올에 첨가하여도 좋다. 상기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균일한 제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이 제조될 수 있다. 또, 용해농도가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제전성이 균일하지 않은 폴리우레탄이 얻어질 염려가 있다. 한편, 용해농도가 90중량%를 넘으면,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2) 제 2의 발명군
제 2의 발명에 따른 제전성 조성물은, (A)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 (B)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 처리하여 얻어진 음이온흡착처리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과염소산리튬이나 과염소산나트륨 등의 금속염을 제전성 물질로서 사용하여도, 금속류를 포장하는 경우에, 금속 표면을 부식하거나, 녹을 발생시키거나, 오염시키지 않는 필름이나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1)
-O(AO)n- (1)
(식중, A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를, n은 1∼7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C)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수지 및 폴리우레탄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공)중합체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류가, 과산화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이면 바람직하다. 이들 리튬염은 우수한 제전성을 수지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이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음이온교환성 이온교환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면 바람직하다.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이 금속염에 유래하는 음이온을 흡착하므로, 금속표면을 부식시키지 않고, 금속표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금속표면에 녹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군에 따른 제전성 조성물은,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첨가하고, 더욱이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더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와,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군에 따른 제전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2) 제 3의 발명군
제 3의 발명군에 따른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튬을 유기금속화합물로서 수지조성물중에 포함시키므로, 수지조성물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리튬이온이 균일하게 분산된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과염소산염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표면으로 도포하는 경우에, 금속표면을 부식시키지 않고, 금속표면을 오염하지 않으며, 금속표면에 녹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중에 포함되는 도막형성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0.05중량부∼10.0중량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튬염의 첨가비율이 0.05중량부 미만이면, 제전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리튬염의 첨가비율이 10.0중량부를 넘으면, 제전성 부여효과가 충분하므로,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도막형성 성분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와, 안료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 안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군에 따른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물, 유기용매,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도료용 조성물에 첨가하므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리튬화합물은 상기 용매의 어느 것에도 용해한다. 따라서, 균일하게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여 도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제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도료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합성 모노머 등에 용해하는 경우에,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제시에 중합이 개시하는 경우는 없다. 더욱이, 상기 리튬화합물은 알코올류나 에테르계의 용매에 용해하는 경우에 발열하지 않는다.
상기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의 도막이 형성된 성형품에 있어서는, 상기 도막이 제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 성형품에 제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제전성의 수지로 성형품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정전기의 발생이 문제로 되는 것은 물체의 표면이다. 즉, 성형품 전체를 제전성 물질로 만들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제전성 도막을 성형품의 표면에 형성하므로써, 성형품에 제전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전성 도료용 수지조성물을 사용하면, 각종 성형품, 필름 또는 시트에 도포하여 제전성 성형품, 필름 또는 시트로 하고, 예컨대 IC, 콘덴서, 트랜지스터, LSI 등의 전자부품의 캐리어테이프나 캐리어트레이 등으로 불리우는 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도막이나 도막에 임의의 색채를 채용할 수 있다.
(2) 제 4의 발명군
제 4의 발명군에 따른 제전성 조성물은,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과,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을 배합한 제전성 조성물이다.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를,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여도,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를,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여도,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이, 각각의 기능에 의거하여 제전성을 발휘하므로,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브리드아웃이 발생하지 않으며, 습도에 의존하지 않고, 즉효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수한 제전성이 지속되는 제전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은 모두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므로, 브리드아웃이 발생하지 않는다.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또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이 존재하므로, 인가전압에 의해 리튬화합물 중의 리튬이온은 성형품 중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성형품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또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중의 옥시알킬렌기는 이온전도로를 형성하고, 리튬이온은 이온전도에 의해 성형품중을 이동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성물중에서 이온전도성이 향상하고, 대전방지효과를 발휘하므로, 즉효성이 우수한 제전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습도가 높은 분위기하에서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또는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이, 대전방지효과를 발휘하고 습도가 낮은 분위기하에서는 리튬염이 대전방지효과를 발휘한다. 이 결과, 습도에 의존하지 않고, 대전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제전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또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은 브리드아웃 되지 않고, 성형품 위에 박막을 형성하여, 대전방지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물질은 습도가 낮은 분위기 아래나 세정에 의해, 표면의 박막이 제거되어도, 성형품중에서 약간씩 스며나와서 박막을 형성한다. 이 결과, 우수한 제전성을 지속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또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과, 상기 리튬염은 모두 투명하므로 투명한 제전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군의 제전성 조성물은,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또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과, 리튬염에 의해 제전성을 발휘한다. 이 결과, 조성물에 대한 리튬염의 배합량이 적게 되므로, 내열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나 도전성이 우수한 제전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제전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아미드,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아미드,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렌아미드이고,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아민,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렌아민이면 좋다.
옥시알킬렌기로서,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을 사용하면,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구조에 의해 상기 식(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습도가 높은 분위기하에서 상기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전성 조성물은,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대해서, 상기 리튬염(E)이 0.1중량%∼50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리튬염의 첨가비율이 0.05중량부 미만이면, 제전성이 습도에 의존하도록 되고, 습도가 낮은 분위기하에서는 제전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리튬염의 첨가비율이 5.0중량부를 넘으면, 제전성 부여효과가 충분하므로,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전성 조성물은 상기 수지의 수지조성물(F)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상기 리튬염(D+E)이 총합 0.05중량부∼10.0중량부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전성 물질의 혼합물의 첨가비율이 0.05중량부 미만이면, 첨가량이 적어, 제전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전성 물질의 혼합물의 첨가비율이 10.0중량부를 넘으면, 제전성 부여효과가 충분하므로, 비용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군에 따른 제전성 조성물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을,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용해시켜,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리튬화합물은,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용해한다. 따라서, 2종류의 제전성 물질은 균일하게 혼합된다. 이 균일하게 혼합된 제전성 물질을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에 첨가하므로, 2종류의 제전성 물질이 균일하게 분해된 제전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1) 제 1의 발명군에 있어서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군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군에서 사용되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 이외의 각 원료성분에 관해서는, 모두 폴리우레탄을 얻기 위한, 종래 공지의 방법이나 재료가 사용된다.
폴리우레탄은 통상, 디이소시아네이트류와 폴리올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로서는, 분자내에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를 갖는 폴리올이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소르비톨 등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 및 프로필렌옥사이드부가물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 아디핀산, 숙신산, 말레인산, 프탈산 등의 산과,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폴리부타디엔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저분자폴리올로서, 1,4-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컨대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렌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에 갖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원료에는 아민계 화합물, 제 4급 암모늄염화합물, 제 4급 암모늄염기함유 폴리머, 유기금속계 화합물 등의 촉매, 발포제, 정포제, 고리연장제, 가교제, 난연제 등을 가하여도 좋다.
더욱이, 안료를 첨가하여도 좋다. 안료를 첨가하면, 얻어지는 제전성 폴리우레탄을 용이하게 착색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안료로서는, 탈크, 산화티탄, 산화제이철, 점토, 실리카백, 탄산칼슘 등의 무기안료나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안계 안료, 카본블랙계 안료 등의 유기안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때에,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므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상기 폴리올에 용해시켜 첨가하여도 좋다. 상기 화합물을 용해할 수 있는 폴리올로서는, 예컨대 모노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저분자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폴리올 이외에, 다른 폴리올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용해액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올에 0.1중량%∼90중량%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면 바람직하다.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원료에 대해서 0.01중량%∼20중량%로 되도록 첨가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제전성 폴리우레탄은, 연질폼 및 경질폼의 어느 것의 폴리우레탄폼, 가교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의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반응사출성형폴리우레탄, 85중량%가 세그멘트화 폴리우레탄을 갖는 장쇄상 고분자물질로 형성되는 합성섬유, 폴리우레탄도료 등의 높은 제전성을 요구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실시예중의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또한, 「리튬이미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을 의미하고, 「리튬메탄」은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을 의미한다.
(실시예 1-1)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수산기가(OHV);56) 100부에, 리튬이미드(스미토모스리엠(주)제)를 5중량% 용해한 에틸렌글리콜 8부, 물 0.5부, 트리에틸렌디아민 0.4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도우레실리콘사제, 상품명;SH-193) 1.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조제액을 얻었다. 이 조제액에,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기체(基體)) 말단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혼합물(혼합비 9:1)을 100중량부 혼합하고, 교반하여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정치하여, 두께 약 4.5mm의 판상의 시험편 A1을 얻었다.
(실시예 1-2)
프로필렌글리콜계 폴리에테르폴리올(수산기가(OHV);56)(미쓰이무라다케미칼(주)제, 상품명;악토콜 MN-3050BM) 90부와, 리튬이미드(스미토모스리엠(주)제)를 10중량% 용해한 프로필렌글리콜계 폴리에테르폴리올(수산기가(OHV);56) 10부와의 혼합물에, 물 4.5부, 펜타메틸렌트리아민 0.1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UCC사(주)제, 상품명;실리콘오일 L-520) 2.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조제액을 얻었다. 이 조제액에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6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반응시키고, 폼의 포(泡) 수 48개/입방인치의 양질의 연질우레탄폼 A2를 얻었다.
(실시예 1-3)
리튬메탄을 5중량% 용해한 아디핀산과 1,4-부탄디올로부터 합성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수산기가(OHV);56, 평균분자량 2000) 100부에, 물 3.6부, 펜타메틸렌트리아민 0.1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UCC사(주)제, 상품명;실리콘오일 L-520) 2.0부, 촉매로서 스타나스옥토에이트를 0.3부, 프론발포제로서 프레온11을 13부 첨가하여, 혼합하고, 조제액을 얻었다. 이 조제액에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6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반응시켜, 양질의 연질우레탄폼 A3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온경화형 폴리우레탄프리폴리머와, 리튬이미드를 2중량% 용해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계 폴리에테르폴리올을, NCO기/OH기=1.15로 되도록 조제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촉매로서 스타나스옥토에이트를 1중량% 첨가하였다. 다음에, 이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필름(두께 50㎛)상에 도포한 후, 방치하고, 경화시켜, 두께 0.2mm의 필름상의 투명한 수지 A4를 얻었다.
(실시예 1-5)
리튬이미드를 2중량% 용해한 글리세린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수산기가(OHV);56, 평균분자량 5000) 100부,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6.03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4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35부, 테트라시아노에틸렌 0.03부를, 건조공기와 함께, 기계적으로 교반혼합하여 포립(泡立)하였다. 이 혼합물을 내경 16.5mm, 길이 210mm의 원통형의 형(型)에 유입하고, 120℃에서 1시간 가열하여, 경화시킨 후에 형으로부터 꺼내어, 경질폼 A5를 얻었다.
(실시예 1-6)
수첨 1,2-폴리부타디엔폴리올(미쓰비씨가가꾸(주)제, GI-1000) 150부와,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어덕트체(무라다야쿠힝고교(주)제, 타케네이트 D-140N) 65부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카프로락탐어덕트체(큐우가세이(주)제, E405-80T) 26부와, 제 4급 암모늄염기함유 폴리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다이이찌고교세이야꾸(주)제, 레옥스 AS-170) 10부와, 리튬이미드 10부와, 톨루엔메탄올혼합용매(70:30) 65부를 혼합하고, 도료를 조제하였다. 이 도료를 두께 1mm의 고무시트상에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고, 두께 30㎛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도막을, 120℃에서 1시간 가열건조하여, 경화시켜 피복층 A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리튬이미드를 4중량% 용해한 소르비톨계 폴리올(수산기가(OHV);450) 25부, 펜타에리스리트계 폴리올(수산기가(OHV);450) 75부,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0.15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5부, HCFC-141b 15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조제하였다. 이 혼합액에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프리폴리머(NCO기 30%) 118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양질의 경질폴리우레탄폼 A7을 얻었다.
(실시예 1-8)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리튬이미드를 50중량% 용해한 1,4-디메티롤벤젠을 10부 첨가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평균분자량 1000)을 NCO기/OH기=1.05로 되도록 혼합하여, 점착성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이 혼합물을 120℃에서 6시간 가열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얻어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직경 약 5mm의 펠렛상으로 재단하였다. 이것을 프레스가공하여 두께 약 5mm의 시트상의 시험편 A8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n-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5중량% 용해한 에틸렌글리콜을 8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판상의 시험편 X1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4에 있어서, 리튬이미드를 용해하지 않은 프로필렌글리콜계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상의 투명한 수지를 얻었다. 이 필름의 표면에, 2-에틸헥실암모늄나이트레이트를 10중량% 용해한 메탄올을 스프레이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필름상의 투명한 수지 X2를 얻었다.
(비교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5중량% 용해한 에틸렌글리콜을 8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판상의 시험편 X3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4)
실시예 1-7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소르비톨계 폴리올에 용해시키고자 하였지만, 용해하지 않았으므로, 경질우레탄폼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1)
실시예 A1∼A8, 비교예 X1∼X3에 있어서 표면고유저항치(다만, A5에서는 체적고유저항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A1, A4 및 비교예 X2에 있어서는, 수류(水流)하에서 30분간 방치후, 건조시켜, 다시 표면고유저항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병기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표면고유저항치 및 체적고유저항치의 측정은, URS프로브(미쓰비씨유우까(주)제, 하이레스터 UP) 및 링전극(토우아덴파고교(주)제, URUTRAMEGOHM METER SM-8218, SM-8301)을 사용하여, JIS K 6911에 따라 행하였다. 인가전압은, 100볼트, 500볼트(체적고유저항치)로 측정하였다.
더욱이, 실시예 A1 및 비교예 X3에 있어서는, 강도유지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병기하여 나타낸다.
강도유지율은 온도 80℃, 상대습도 95%의 고온다습조건하에서 습열촉진시험을 행한 후에 측정하였다.
※1:다만, 톨루엔메탄올 혼합용매중의 리튬의 비율
이 표에서, 실시예 A1∼A4, A6∼A8 및 비교예 X2에서는, 표면고유저항치는비교예 X1, X2에 비하여 작았다. 또한, 실시예 A5의 체적고유저항치도 작았다. 한편, 실시예 A1과 비교예 X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품에서는, 수중시험후에 있어서도, 표면고유저항치는 작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 이 결과, 제전제가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A1 및 비교예 X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습열촉진시험후의 강도유지율이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2) 제 2의 발명군에 있어서의 실시예
[실시의 형태 2]
<(A)성분>
본 발명군에 사용되는 (A)성분은,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이와 같은 화합물은, 본 발명군의 조성물에 있어서, (B)성분에 사용되는 금속염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금속염을 안정화시킨다.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하기 일반식(1)
-O(AO)n- (1)
(식중, A는 탄소수 2∼4의 알킬렌기를, n은 1∼7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C)를 들 수 있다.
상기 (A)화합물은, 본 발명군의 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염의 조성물로의 용해성, 해난안정성을 상승시킬 수 잇다.
상기 화합물(C)는, 예컨대 분지지방족 알코올 1몰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사이드를 1∼7몰 부가시켜 얻어지는 히드록실화합물과, 이염기산을 원료로 하여, 일반적인 에스테르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히드록실화합물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프로판올 1몰에, 1∼7몰의 에틸렌옥사이드, 1∼4몰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1∼3몰의 부틸렌옥사이드를 각각 부가한 히드록실화합물, 부탄올 1몰에 1∼6몰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1∼3몰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각각 부가한 히드록실화합물, 헥산올 1몰에, 1∼2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히드록실화합물, 펜탄올 1몰에 1∼5몰의 에틸렌옥사이드, 1∼3몰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1∼2몰의 부틸렌옥사이드를 각각 부가한 히드록실화합물, 옥탄올 1몰에, 1∼5몰의 에틸렌옥사이드, 1∼2몰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1∼3몰의 부틸렌옥사이드를 각각 부가한 히드록실화합물, 노나놀 1몰에 1∼4몰의 에틸렌옥사이드, 1∼2몰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1∼2몰의 부틸렌옥사이드를 각각 부가한 히드록실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화합물 중에서, 부탄올 1몰에 2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부탄올 1몰에 1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2-부톡시에탄올이 조성물의 가공에 적합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염기산으로서는 아디핀산, 세바신산, 프탈산, 숙신산 등의 카본산 및 이들의 카본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C)은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 등이다.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및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및 올리고머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에톡시(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머폴리올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아디페이트계 폴리올, 프탈레이트계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탐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나 폴리부타디엔계 폴리올, 아크릴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군에 있어서,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그 자체로 또는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잇다.
본 발명군에서 사용되는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수지, 폴리에테르세그멘트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아미드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의 세그멘트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수지, 폴리우레탄수지이다.
<(B)성분>
(B)성분은,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 처리하여 얻어진 음이온 흡착처리물이다.
본 발명의 (B)성분에 사용되는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는, 알칼리금속의 양이온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양이온과, 이온해리할 수 있는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으로서는 Li, Na, K, Mg, Ca 등이 예시된다. 바람직한 양이온은, 이온반경이 작은 Li+, Na+, K+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Li+이다.
또한, 알칼리금속의 양이온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양이온에 대응하는 음이온으로서는, 예컨대 Cl-, Br-, F-, I-, NO3 -, SCN-, ClO4 -, CF3SO3 -, BF4 -, (CF3SO2)2N-, (CF3SO2)3C-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lO4 -, CF3SO3 -, (CF3SO2)2N-, (CF3SO2)3C-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F3SO3 -, (CF3SO2)2N-, (CF3SO2)3C-이다.
본 발명군에 사용되는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는, 상기 양이온과 음이온에 의해 구성된다. 바람직한 금속염류로서는, 과염소산리튬 LiClO4,과염소산나트륨 NaClO4, 과염소산마그네슘 Mg(ClO4)2, 과염소산칼륨 KClO4,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 LiCF3SO3,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Li(CF3SO2)2N,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칼륨 K(CF3SO2)2N,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나트륨 Na(CF3SO2)2N,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Li(CF3SO2)3C,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나트륨 Na(CF3SO2)3C를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염소산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이다. 이들은 조성물에 소량 첨가하는 것으로, 전기저항치가 낮게 되므로, 제전성이 한층 발휘된다.
본 발명군의 (B)성분은, 상기 금속염을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 Mg-Al계, Sb계, Ca계 등의 무기이온교환체나 음이온교환기를 삼차원적 그물구조중에 유지하는 (공)중합체 등의 공지의 화합물이 유용하다.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쿄와가가꾸고교(주)제, 상품명:쿄와도 KW-2000, 쿄와도 KW-1000), 합성흡착제(토미세이야쿠(주), 상품명:큐파인 2000), 음이온교환성이온교환수지(니뽄렌스이(주)제,상품명:다이아논 DCA11)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의 첨가량은, 금속염류 1당량에 대해서 0.01∼5.0당량이다. 첨가량이 0.01당량 미만이면, 음이온흡착량이 충분하지 않다. 한편, 첨가량이 5.0당량을 넘으면, 제전효과가 충분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서 음이온교환성 이온교환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온교환체로부터 수산이온이 방출되므로, 수산이온을 포착(捕捉)하는 화합물인 카본산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중화하여, 수산이온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은 (A)성분이 액체인 경우에는, 여별(濾別) 등에 의해 제거하여도 좋지만, 그대로 제전성 조성물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군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류를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이어도 좋다.
(1)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그 용액에, 금속염류를 용해시킨 후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처리하는 방법.
(2)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그 용액에, 금속염류와 음이온 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동시에 첨가하여 처리하는 방법.
(3)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그 용액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미리 첨가한 후에, 금속염류를 용해시키면서 처리하는 방법.
(4)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에, 금속염류를 첨가한 후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처리하는 방법.
(5)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에, 금속염류와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동시에 첨가하여 처리하는 방법.
(6) 금속염류를 첨가한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킨 후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처리하는 방법.
(7)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미리 첨가한 후에 금속염류를 용해시키면서 처리하는 방법.
본 발명군의 제전성 조성물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우선, (A)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그 용액에,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용해시켜, 혼합물을 얻는다. 상기 금속염류는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과 금속염류와의 총합의 바람직하게는 0.1∼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용해시킨다.
또한 (A)성분이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경우,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와 금속염류와의 총합의 바람직하게는 0.1∼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균일하게 첨가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 가열용해시켜 혼합하여도 좋다.
금속염류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제전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금속염류량이 상기 범위를 넘어도 제전효과는 거의 향상되지 않아,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에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음이온 흡착처리를 하여, 본 발명군의 제전성 조성물을 얻는다.
음이온 흡착처리조건은, 혼합물이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통상 온도 20℃∼100℃, 시간 10분∼120분, 바람직하게는 온도 30℃∼90℃, 시간 20분∼90분이다. 혼합물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포함되는 (공)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온도 -20℃∼200℃, 시간 1분∼60분, 바람직하게는 온도 -10℃∼180℃, 시간 3분∼30분이다. 상기 범위 밖이면, 음이온흡착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한 중합체가 분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군의 제전성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미가류고무 및 열가소제 엘라스토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예 2)
이하,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실시예중의 「부」 및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중량부」및 「중량%」이다. 또한, 사용한 (공)중합체는, (A)성분에 해당하는 것과 해당하지 않는 것이 포함되지만, 기호로서는 편의상 (d)성분으로서 표기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표면고유저항치 및 체적고유저항치의 측정은, URS프로브(미쓰비씨유우까(주)제, 하이레스터 UP) 및 링전극(토우아덴파고교(주)제, URUTRAMEGOHM METER SM-8218, SM-8301)을 사용하여, JIS K 6911에 따라 행하였다. 인가전압은 100볼트, 500볼트(체적고유저항치)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은, 하기와 같다.
c-1: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산꼬가가꾸고교(주)제
c-2: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 산꼬가가꾸고교(주)제
c-3: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옥시메틸렌 단위수;3), 미쓰비씨레이온(주)제
c-4:프로필렌글리콜계 폴리에테르폴리올(수산기가(OHV);56), 미쓰이무라다케미칼(주)제, 상품명;악토콜 MN-3050BM
b-1: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 LiCF3SO3, 모리타가가꾸고교(주)제
b-2: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Li(CF3SO2)2N, 스미토모스리엠(주)제
b-3:과염소산리튬, 니뽄카리트(주)제
b'-1: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 쿄와가가꾸고교(주)제, 상품명;쿄와도 KW-2000, 음이온제거활성 6.7m당량/g
b'-2: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 쿄와가가꾸고교(주)제, 상품명;쿄와도 KW-1000, 음이온제거활성 3.8m당량/g
b'-3:합성흡착제, 토미세이야쿠(주)제, 상품명;큐파인2000, 음이온제거활성6.7m당량/g
b'-4:음이온교환성 이온교환수지, 니뽄렌스이(주)제, 상품명;다이아논 DCA11, 음이온제거활성 6.7m당량/g
d-1:니트릴고무(니트릴양:40%, 니트릴고무중에 함유되는 실리카:8부)(제인에스알(주)제, 상품명;N520):다황화고무(도우레티오콜(주)제)=90:10(중량비)
d-2: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 니뽄제온(주)제, 상품명;ZSN8030
d-3: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 다이니뽄잉크가가꾸고교(주)제, 상품명 판덱스 T-1190
(실시예 2-1)
(c-1)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100부(70℃)에, (b-1)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 LiCF3SO3를, (c-1)과 (b-1)과의 총량의 10%로 되도록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다음에, 이 용액을 60℃로 설정한 후, b'-1: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쿄와도 KW-2000)를, (c-1)과 (b-1)과 (b'-1)과의 총량의 2%로 되도록 첨가하여, 60℃에서 6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여별하여, 투명한 액체(제전성 조성물)를 얻었다. 얻어진 제전성 조성물의 체적고유저항치는 4.1×106Ωㆍ㎝이었다.
(실시예 2-2)∼(실시예 2-4), (비교예 2-1)∼(비교예 2-2)
상기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에서, (A)성분,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 및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의 종류 및 첨가량을 변경하여 음이온흡착처리를행하고, 제전성 조성물 및 비교조성물을 얻었다. 또, 실시예 2-4에 있어서는, (b'-4) 다이아논첨가와 동시에, 디메티롤부탄산(니뽄카세이(주)제)을 35부 첨가하였다. 체적고유저항치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2-1∼2-4의 음이온흡착처리하여 얻어진 제전성 조성물(액체)은, 비교예 2-1의 비교조성물에 비하여 체적고유저항치가 저하한 양호한 제전성 조성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제전성 조성물(제전성 조성물 B2)에 철편(1㎝×5㎝, 두께 1㎜)을 침지하고, 온도 25℃에서 7일간 방치후, 녹의 발생을 눈으로 판정하였다. 녹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2-2에서 얻어진 비교조성물중에 상기와 동일한 철편을 침지하고, 온도 25℃에서 7일간 방치후, 녹의 발생을 눈으로 판정하였다. 철편상에 녹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또한, 철편 침지 전에는 무색이었던 용액이 담차갈색으로 착색하였다.
(실시예 2-5)
(d-1) 니트릴고무 100부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 2-2의 제전성 조성물을 5부 배합하여 혼련하고, 압출성형가공을 하여 시트를 제작하였다. 압출성형은, 20mm 단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설정온도 140℃∼190℃, T다이를 사용하여, 스크류회전 10rpm∼30rpm에서 두께 0.1mm의 시트를 제작하였다. 시트의 표면고유저항치는 9.1×107Ω/sq이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d-2)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체의 분체 97부에, (b-1)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 2부와, (b'-1) 쿄와도(KW-2000) 1부를 첨가하고, 헨셀믹서에서 균일한 조성물 [(d-2)/(b-1)/(b'-1)=97/2/1]을 얻었다. 다음에, 이 조성물을 (d-3)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 100부에 대해서 10부 첨가하여, 혼련후, 상기와 동일하게 시트를 형성하였다. 시트의 표면고유저항치는 1.1×107Ω/sq이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3)
상기 실시예 2-5에 있어서, 제전성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시트를 작성하였다. 시트의 표면고유저항치는 9×1013Ω/sq이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4)
상기 실시예 2-6에 있어서,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동일하게 시트를 작성하였다. 시트의 표면고유저항치는 1×109Ωㆍ㎝이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c-3)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00부에 대해서, (b-2) 18부를 용해한 후, (b'-1)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를 (c-3)과 (b-2)와 (b'-1)의 총량의 1%로 되도록 첨가하여, 60℃에서 6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여별하여, 투명한 액체(제전성 조성물)를 얻었다.
얻어진 제전성 조성물 2부에 (c-3) 98부를 혼합하고, 다음에 광중합개시제 벤질디메틸케탈(와꼬준야꾸고교(주)제) 4부를 첨가하여 액상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액상조성물을 오목부를 갖는 평판성형품용 금형에 넣은 후, 5,000mJ/㎠ 상당의 자외선(365nm)을 조사하고 (조사조건;40초간), 경화시켰다. 상기와 같이 주액성형법에 의해 표면이 균일한 두께 2mm의 경화수지성형품이 얻어졌다. 얻어진 성형품의체적고유저항치는, 1×108Ωㆍ㎝이었다.
(비교예 2-5)
상기 실시예 2-7에 있어서, (b'-1)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에 의한 음이온 흡착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7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한 액체를 얻었다. 더욱이 실시예 2-7과 동일하게 하여 경화수지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성형품의 체적고유저항치는 2×109Ωㆍ㎝이었다.
(실시예 2-8)
(c-4) 프로필렌글리콜계 폴리에테르폴리올 100부에 대해서, (b-1) 10부를 용해한 후, (b'-1)의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를 (c-4)와 (b-1)과 (b'-1)의 총량의 1%로 되도록 첨가하여, 90℃에서 60분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여별하여, 투명한 액체(제전성 조성물)를 얻었다.
얻어진 제전성 조성물 10부에, (c-4) 90부를 혼합하고, 더욱이 물 4.5부, 펜타메틸렌트리아민 0.1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U.C.C.(주)제, 실리콘오일, 상품명;L-520) 2.0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것에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6부를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성형하면, 폼의 포 수 48개/입방인치의, 균일성이 양호한 연질 폴리우레탄폼 성형품이 얻어졌다. 얻어진 폴리우레탄폼 성형품의 표면고유저항치는 8×108Ωㆍ㎝이었다.
(비교예 2-6)
상기 실시예 2-8에 있어서, (b'-1)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에 의한 음이온 흡착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8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한 액체를 얻었다. 더욱이 실시예 2-8과 동일하게 하여 연질 폴리우레탄폼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성형품의 체적고유저항치는 8×109Ωㆍ㎝이었다.
상기 실시예 2-7, 2-8, 비교예 2-5, 2-6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3) 제 3의 발명군에 있어서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의 발명군에 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군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도료에 사용되는수지이면, 공지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유도체(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벤질셀룰로오스 등), 비닐수지(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공중합수지, 폴리비닐부티랄수지,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등),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아세탈, 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불소수지(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공중합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수지 등) 등의 비반응형 도료용 수지나, 알키드수지, 아미노수지(부틸화요소수지, 멜라민수지, 벤조구아나민수지 등),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노볼락형 페놀수지, 알킬페놀변성수지 등), 아크릴수지(메타크릴수지 등), 폴리이미드, 실리콘수지 등의 반응형 도료용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도료용 수지는, 예컨대 알키드수지, 아미노수지 등과 같은 1액 반응형이어도, 에폭시수지나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2액 반응형이어도 좋다.
본 발명군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은, 무용제도료, 유기용제도료, 하이솔리드형 도료, 분체도료, 수계 에멀젼도료, 양이온전착도료 등, 공지의 도료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군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용제로서는, 공지의 유기용제가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2-펜탄올, 시클로헥산올, 1-메틸시클로헥산올, trans-2-메틸시클로헥산올, cis-2-메틸시클로헥산올, trans-3-메틸시클로헥산올, cis-3-메틸시클로헥산올, trans-4-메틸시클로헥산올, cis-4-메틸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2-메틸시클로헥사논, 3-메틸시클로헥사논, 4-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펜틸, 아세트산이소펜틸, 아세트산메톡시메틸, 젖산에틸,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디부톡시에레이트, 디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n-헥산, n-펜탄, 미네랄스피리트,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톨루엔, o-크실렌, m-크실렌, p-크실렌, 스티렌,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 소르벤토나프타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trans-1,2-디클로로에틸렌, cis-1,2-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1,2-디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N,N-디메틸포름아미드, 이황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군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로서는,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의 상태로 조성물을 구성하고, 중합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지의 중합성 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2-디시클로펜테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그 수소첨가물,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로일몰포린 등의 단관능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헵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1,4-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소화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에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그 수소첨가물, 트리메티롤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등의 이관능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헵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옥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자내에 적어도 3개의 수산기를 탄소수 3∼16까지의 저분자 다가알코올 또는 상기 저분자 다가알코올에 ε-카프로락톤 등의 락톤화합물을 부가시켜 고리연장시킨 폴리올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티롤에탄, 트리메티롤프로판, 1,2,4-부탄트리올, 디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글리세린,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과 ε-카프로락톤, γ-카프로락톤, γ-발레로락톤, δ-발레로락톤,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화합물과의 부가물 등이 예시된다. 이외에, 실리케이트올리고머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군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을 무용제도료, 유기용제도료, 하이솔리드형 도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유기용매,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수계 에멀젼도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튬화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분체도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리튬화합물을 물, 유기용매 등에 수지와 함께 용해시킨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분말화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군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은,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용제휘발, 상온산화, 가온산화, 축합, 중합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건조, 고화 또는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한다.
특히,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실리콘수지 등의 광경화성 수지를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활성에너지선,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자외선, 가시광선으로 중합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를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광중합개시제는, 광중합개시제로서 공지의 것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디에톡시아세토펜,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1-프로판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캠퍼퀴논(camphaquinone), 안트라센, 벤질, 페닐메틸글리옥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중합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광중합개시제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반응개시조제나 광증감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벤조산-2-디메틸아미노에틸, 디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염료, 안료, 충전제, 실란커플링제, 접착성개량제, 안정제, 레벨링제, 소포제, 침강방지제, 윤활제, 방창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의 도포량으로서는, 경화한 도막의 막두께가 1∼25㎛, 바람직하게는 3∼15㎛,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이다. 도막의 막두께가 1㎛ 미만에서는, 충분한 제전성이 얻어지지 않고, 25㎛를 넘는 경우는 밀착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실시예 3)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실시예중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리튬이미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을 의미하고, 리튬메탄은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을 의미하고, 리튬트리플레이트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표면고유저항치 및 체적고유저항치의 측정은, URS 프로브(미쓰비씨유우까(주)제, 하이레스터 UP) 및 링전극(토우아덴파고교(주)제, URUTRAMEGOHM METER SM-8218, SM-8301)을 사용하여, JIS K 6911에 준하여 행하고, 인가전압은 100볼트, 500볼트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3-1)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중합도 90, 옥시에틸렌단위 20) 수용성 수지 65부, 리튬이미드 2부, 수성멜라민수지 7부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니뽄유지(주)제, 음이온 NS208.5) 15부를 사용하여 2중량% 수용액의 도료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고유점도 0.65, 오르토클로로페놀, 35℃)로 된 용융압출 미연신필름을 3.5배 연신한 후, 상기 필름의 편면에 상기 도료용 조성물을 10g/㎡의 양으로 키스코트법으로 도포하였다. 다음에 가로방향으로 3.8배(105℃)로 연신한 후, 열처리(205℃)하여, 필름의 두께와 도막의 두께의 합계가 15㎛인 투명한 편면피복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표면고유저항치는 2×108Ω/sq이었다.
(비교예 3-1)
실시예 3-1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2부 용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편면피복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표면고유저항치는 2×1010Ω/sq이었다.
(실시예 3-2)
수평균분자량 2000의 양 말단 수산기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100부에,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25부 및 메틸에틸케톤 260부(리튬메탄 10부 용해품)의 비율로 가하여 80℃에서 반응시키고, 농도 30중량%의 폴리우레탄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그라비아인쇄기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필름(두께 0.5mm)에 20g/㎡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50∼60℃의 열풍을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두께 10㎛의 도전층을 갖는 투명한 제전성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의 표면고유저항치는 3×108Ω/sq이었다. 이 제전성 시트상에 세정한 동판 및 알루미늄판을 놓고, 상대습도 40%, 온도 20℃의 분위기로 7일간 방치하였다. 각 금속판을 눈으로 관찰한 결과, 녹의 발생을 확인하지 못했다.
(비교예 3-2)
실시예 3-2에 있어서, 리튬메탄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10부 용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도전성 시트를 얻었다. 또, 과염소산리튬을 메틸에틸케톤에 용해한 경우에 현저하게 발열하였다. 이 때문에, 과염소산리튬 10부를 메틸에틸케톤 260부에, 냉각하면서 소량씩 주의깊게 용해하였다. 이 필름의 표면고유저항치는 1×1010Ω/sq이었다.
(실시예 3-3)
리튬이미드 20부를 용해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옥시에틸렌 단위 6) 2부와, 리튬이미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옥시에틸렌 단위 6) 98부를 혼합하고, 다음에, 광중합개시제 벤질디메틸케탈 4부를 첨가하여 액상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 조성물을 오목부를 갖는 평판상의 형에 넣은 후, 5000ml/㎠ 상당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주형성형법에 의해 표면이 균일하고 두께 2mm인 경화수지조성물 성형체를 얻었다. 이 성형체의 체적고유저항치는 2×109Ωㆍ㎝이었다.
(비교예 3-3)
실시예 3-3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20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경화수지조성물 성형체를 얻었다. 경화수지표면에 미세한 입자가 확인되었다. 이 성형체의 체적고유저항치는 2×1011Ωㆍ㎝이었다.
(실시예 3-4)
리튬트리플레이트를 용해한 용매(이소부탄올:톨루엔=3:1) 10부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옥시에틸렌단위 9) 90부를 혼합하고, 다음에 벤조페논과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를 각각 4부 첨가한 액상조성물을 얻었다. 이 액상조성물을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사출성형판(50mm×50mm×30mm)에 스프레이도포한 후, 열풍건조기(60℃)에서 3분간 건조하였다. 이 성형판에, 고압수은등을 사용하여 적산광량 1500mJ/㎠(조사시간 10초)으로, 공기중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경화피막 7㎛의 두께를 갖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을 얻었다. 이 수지판의 표면고유저항치는 2×109Ω/sq이었다.
(비교예 3-4)
실시예 3-4에 있어서, 리튬트리플레이트 대신에 과염소산바륨을 용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경화피막 8㎛의 비교예 4의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수지판을 얻었다. 이 수지판의 표면고유저항치는 2×1010Ω/sq이었다.
(실시예 3-5)
에폭시아크릴레이트 5부,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25부,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20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50부의 혼합물에 리튬이미드 5부를 용해하고, 더욱이 2-메틸-2-히드록시프로필페논 4부를 첨가한 것을 디스크기판상에 스피너에 의해 도포한 후, 자외선 경화시켜, 도료용 제전성 수지피복체를 얻었다. 이 피복체의 인가전압 8kV일 때의 대전압감쇠를 측정하였다. 대전압 400V에서 반감기는 1.25초이었다.
(비교예 3-5)
실시예 3-5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용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5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5의 도료용 제전성 수지피복체를 얻었다. 이 피복체의 인가전압 8kV일 때의 대전압감쇠를 측정하였다. 대전압 3000V에서 반감기는 10초 이상이었다.
(실시예 3-6)
수용성 에폭시수지 22부, 디에틸아민 1.8부, 티탄백 8부, 리튬이미드 2.3부,염기성 규산염 1.5부와 물 33.6부로 이루어진 전해질용액(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8.6부와 세로솔브 22.2부로 이루어진 전해질용액(B)을 조제하였다. A액과 B액을 배합하여, 수세세정에 의해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한 구리판을 기재로 하여 정전도장(인가전압 60kV)에 의해 막두께 30㎛로 도장한 후, 170℃에서 20분간 도금을 행하여 백색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도막의 표면고유저항치는 2×1010Ω/sq이었다.
(비교예 3-6)
실시예 3-6에 있어서, 리튬이미드 대신에 과염소산리튬을 용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6과 동일하게 하여 전해액 A를 조제하였다. 침전물이 생성되어 균일한 전해액은 생성되지 않았다.
(4) 제 4의 발명군에 있어서의 실시예
[실시의 형태 4]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은, 하기 식(2) 및 (3)으로 표시된다.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를,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를,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R1으로 표시되는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서는,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는 분자에 적당한 친수성과 소수성이 부여되는 탄소수이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서는 탄소수 8∼22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서는 탄소수 10∼2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2∼18인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옥시알킬렌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의 옥시알킬렌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6의 옥시알킬렌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이다. R1과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다.
x 및 y는 각각 동일하여도, 다르더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또, 다른 경우에는 x가 0인 경우가 있다.
이들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좋다.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는, 고분자재료 및 고분자재료의 원료를 의미한다. 고분자재료는 최종적으로 수지 또는 고무의 성형품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공지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EVA수지, EVOH수지 등), 폴리스티렌계수지(폴리스티렌, AS수지, ABS수지, AXS수지 등), 폴리아미드수지(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12 등), 아세탈수지, 포화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등),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수지(염화비닐수지, 염화비닐리덴수지 등), 불소수지(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공중합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수지 등), 액정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에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알키드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노볼락형 페놀수지, 알킬페놀변성수지 등), 멜라민수지, 큐리어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수지, 폴리이미드, 실리콘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제조가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나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이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고무로서는, 공지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천연고무, 이소프렌고무, 부타디엔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부틸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EPDR, EPDM), 클로로프렌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클로로설폰화폴리에틸렌, 에피클로로히드린고무(CHR, ECO), 염소화폴리에틸렌, 실리콘고무, 불화고무, 우레탄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무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와 고무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우선,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을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용해시킨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대해서, 상기 리튬염(E)이 0.1중량%∼50중량%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0.5중량%∼30중량%의 비율로 되도록, 상기 리튬염을 용해시킨다.
다음에, 상기 화합물(D)와 리튬염(E)와의 혼합물을,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에 첨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상기 리튬염 (D+E)가 총합으로 0.05중량부∼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중량부∼2.0중량부로 되도록 상기 화합물(D)와 리튬염(E)와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공지의 수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헨셀믹서, 리본브렌더, 스파믹서, 텀블러 등으로 드라이브렌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축 또는 2축 압출기, 밤바리믹서, 플라스트밀, 코니더, 롤 등으로 용융혼련을 행하여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질소 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얻어지는 조성물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분체상, 펠렛상, 시트상, 스트랜드상, 칩상 등 어느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용액상태의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에, 상기 화합물(D)과 리튬염(E)와의 혼합물을 첨가한 용액상의 조성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난연제, 난연조제, 착색제, 안료, 항균ㆍ항곰팡이제, 내광제, 가소제, 점착부여제, 분산제, 소포제, 경화촉매, 경화제, 레벨링제, 커플링제, 필러, 가황제, 가황촉진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제법에 의해 얻어진 제전성 조성물은, 압축성형, 트랜스퍼성형, 적층성형, 사출성형, 압출성형, 흡입성형, 카렌다성형, 주형, 페이스트가공, 분말화, 반응성형, 열성형, 블로우성형, 회전성형, 진공성형, 캐스트성형, 가스어시스트성형 등의 성형에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을 제전성 도료조성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자동차용 부품, 가전기기부품, 전자기기부품, 전자재료제조기기, 정보사무기기부품, 통신기기, 하우징부재, 광학기계부재, 가정용 잡화품, 공업용부재, 포장유통부재 등, 장기간 지속하여 높은 제전성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호스류, 포장용 필름, 포장재, 실링재, 수의, 합성피혁, IC, 콘덴서, 트랜지스터, LSI 등의 전자부품의 캐리어테이프나 캐리어트레이 등으로 불리우는 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형품에 임의의 색채를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표면고유저항치 및 체적고유저항치의 측정은, URS 프로브(미쓰비씨유우까(주)제, 하이레스터 UP) 및 링전극(토우아덴파고교(주)제, URUTRAMEGOHM METER SM-8218, SM-8301)을 사용하여, JIS K 6911에 준하여 행하고, 인가전압은 100볼트, 500볼트에서 측정하였다.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을, 이하의 표에 나타난 종류와 비율로 배합하였다.
AMD-1:폴리옥시에틸렌알킬(C14∼C18혼합물)아미드
(에틸렌옥사이드부가몰수:5)
AMD-2:폴리옥시에틸렌리시놀아미드에테르(에틸렌옥사이드부가몰수:8)
AMD-3:폴리옥시에틸렌알킬(C14∼C18혼합물)아미드
(에틸렌옥사이드부가몰수:50)
AN:폴리옥시에틸렌알킬(C14∼C18혼합물)아민
(에틸렌옥사이드부가몰수:10)
BI: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FM: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
TM: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실시예 4-1)∼(실시예 4-7)
하기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7종류의 수지 및 고무에, 상기 표 1의 상기 화합물(D)와 리튬염(E)와의 혼합물을 표 2에 나타난 비율로 첨가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각각의 수지 및 고무의 가공온도로 설정한 니더를 사용하여 혼련한 후, 사출성형하고, 폭 6cm×길이 6cm×두께 0.3cm의 실시예 1∼7의 시험편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4-1)∼(비교예 4∼7)
상기 실시예 4-1∼4-5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D)와 리튬염(E)와의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4-7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1∼4-7의 시험편을 작성하였다.
(실험예 4-1)
상기 실시예 4-1∼4-7과, 비교예 4-1∼4-7의 시험편에 관해서, 각각 표면고유저항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시험편은, 비교예 1∼5의 시험편에 비하여, 표면고유저항치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시험편에 관해서, 상대습도 20%의 저습도분위기하에 2일간 방치후, 다시 표면고유저항치를 측정한 결과, 각각 4×108Ωㆍ㎝, 3×107Ωㆍ㎝이었다. 이것으로부터, 본원의 성형품은 저습도분위기하에 있어서도 제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8)
에폭시수지주제(유화셀에폭시(주)제, 상품명:에피코트 828) 100중량부에 대해서,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유화셀에폭시(주)제, 상품명:에피큐어 454) 67중량부와 표 1의 혼합물 P-1을 0.5중량부를 배합한 조성물을, 알루미늄판(두께 3mm)에 막두께 2mm로 되도록 도포하고, 중합시켰다. 23℃×65%RH의 분위기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이 성형품의 표면고유저항치는 2.7×109Ωㆍ㎝이었다.
(비교예 4-8)
실시예 8에 있어서, 혼합물을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8의 알루미늄판 피복물을 얻었다. 이 피복물의 표면고유저항치는 3.2×1014Ωㆍ㎝이었다.
(실시예 4-9)
스티렌-부타디엔고무 100중량부에 대해서 산화아연 3중량부, 실리카백 75중량부 및 표 1의 혼합물 P-3을 1중량부 배합한 조성물을, 롤로 혼련한 후, 유황 2중량부와 가황촉진제를 가하여, 롤로 더 혼련하였다. 이 조성물을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황하고, 두께 1mm의 고무시트를 작성하였다. 이 시트의 체적고유저항치는 2×107Ωㆍ㎝이었다. 이 시트에서는 눈으로 관찰한 결과, 브리드아웃을 확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4-9)
실시예 4-9에 있어서, 제전제로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을,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600, 아세토니트릴 20% 첨가품)에 대해서 5중량%로 되도록 용해한 것을 1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9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9의 고무시트를 얻었다. 이 고무시트의 체적고유저항치는 2×109Ωㆍ㎝이었지만, 브리드아웃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10)
중합도 1000인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소제(DOP) 30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1중량부, 스테아린산아연 1중량부, 에폭시화대두유 3중량부 및 표 1의 혼합물 P-3을 5.0중량부를 배합한 조성물을 160℃에서 5분간 믹싱롤을 사용하여 혼합한 후, 프레스성형하고, 두께 1.0mm의 투명시트를 작성하였다. 이 시트의 표면고유저항치는 5×107Ωㆍ㎝이었다. 이 시트를 19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표면고유저항치를 측정한 결과, 1×108Ωㆍ㎝이었다. 또한, 시트는 투명하였다.
(비교예 4-10)
실시예 4-10에 있어서, 제전제로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을 5.0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0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10의 시트를 얻었다. 이 피복물의 표면고유저항치는 5×1011Ωㆍ㎝이었다. 이 시트를 19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표면고유저항치를 측정한 결과, 9×1011Ωㆍ㎝이었다. 또한, 시트는 차갈색으로 착색하였다.
(실시예 4-11)
표 1의 혼합물 P-7을 1중량부 용해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옥시에틸렌단위:6) 2중량부와, P-7을 용해하지 않은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옥시에틸렌단위:6) 98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에, 광중합개시제 벤질디메틸케탈 4중량부를 첨가하여, 액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오목부를 갖는 평판상의 형에 넣고, 5000mJ/㎠ 상당의 자외선(365nm)을 조사하여, 주형성형법에 의해 표면이 균일하고, 두께 2mm인 경화수지조성물 성형체를 얻었다. 이 경화수지조성물 성형체의 체적고유저항치를 측정한 결과, 8×108Ωㆍ㎝이었다.
(비교예 4-11)
실시예 4-11에 있어서, 표 1의 혼합물 P-7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11의 경화수지조성물 성형체를 얻었다. 이 성형체의 체적고유저항치는 4×1013Ωㆍ㎝이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은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높은 제전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과염소산리튬이나 과염소산나트륨 등의 금속염류를 포함하는 것에 관계 없이, 본 발명의 제전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름이나 시트로 금속류를 포장하는 경우, 금속표면을 부식시키거나, 금속표면에 녹을 발생시키거나, 금속표면을 오염시키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 의의는 크다.

Claims (23)

  1.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폴리우레탄원료에 대해서 0.01중량%∼20중량%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3.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때에,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상기 폴리올에 용해시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적어도 2개의 활성수소원자를 갖는 폴리올에 0.1중량%∼90중량%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6. (A)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
    (B)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로 처리하여 얻어진 음이온흡착처리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1)
    -O(AO)n- (1)
    (식중, A는 탄소스 2∼4의 알킬렌기를, n은 1∼7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수지 및 폴리우레탄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류가 과산화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및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10.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이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음이온교환성 이온교환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이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음이온교환성 이온교환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12.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를 첨가하고,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더 첨가하는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에테르결합 및/또는 에스테르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에테르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알칼리금속염류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염류와, 음이온흡착능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중에 포함되는 도막형성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이 0.05중량부∼10.0중량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
  16.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물, 유기용매,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에 용해시켜, 도료용 조성물에 첨가하는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도료용 제전성 조성물의 도막이 형성된 성형품으로, 상기 도막이 제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8.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와,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를,
    배합한 제전성 조성물.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아미드,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아미드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아미드이고,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아민,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렌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대해서, 상기 리튬염(E)가 0.1중량%∼50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전성 조성물.
  21.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상기 리튬염(D+E)가 총합으로 0.05중량부∼10.0중량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상기 리튬염(D+E)가 총합으로 0.05중량부∼10.0중량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조성물.
  23.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리튬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리튬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리튬염(E)를,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킬아마이드 또는 알킬렌아마이드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및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아민 또는 알킬렌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D)에 용해시켜,
    중합성모노머,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F)에 첨가하는 제전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중, R1은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옥시알킬렌기,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더라도 좋은 옥시알킬렌기, x는 0 또는 2∼50의 정수를 나타내고, y는 2∼50의 정수를 나타낸다.)
KR1020037013516A 2001-07-30 2002-05-01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8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9137A JP3766616B2 (ja) 2001-07-30 2001-07-30 制電性塗料用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JP-P-2001-00229137 2001-07-30
JPJP-P-2001-00262201 2001-08-30
JP2001262201A JP3766619B2 (ja) 2001-08-30 2001-08-30 制電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PCT/JP2002/004379 WO2003011973A1 (en) 2001-07-30 2002-05-01 Anti-sta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909A true KR20040038909A (ko) 2004-05-08

Family

ID=266195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516A KR20040038909A (ko) 2001-07-30 2002-05-01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37013518A KR100863627B1 (ko) 2001-07-30 2002-05-01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7014800A KR100902463B1 (ko) 2001-07-30 2002-05-01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518A KR100863627B1 (ko) 2001-07-30 2002-05-01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87014800A KR100902463B1 (ko) 2001-07-30 2002-05-01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75150B2 (ko)
EP (2) EP1437381A4 (ko)
KR (3) KR20040038909A (ko)
CN (1) CN1253508C (ko)
TW (1) TWI302161B (ko)
WO (1) WO2003011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709B1 (ko) * 2004-03-08 2006-08-0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정전 분산능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 및 고분자 수지혼합물의 제조방법
JP4420389B2 (ja) * 2004-04-19 2010-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US7173805B2 (en) 2004-07-20 2007-0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lymer material
US20060020100A1 (en) * 2004-07-20 2006-01-26 Shirley Lee Conductive agents for polyurethane
JP4969031B2 (ja) * 2004-08-31 2012-07-04 株式会社きもと 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塗料、これを用いてなる帯電防止性ハードコート膜および成形体
JP4626230B2 (ja) * 2004-09-02 2011-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燃料用ホース
JP4778264B2 (ja) * 2005-04-28 2011-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icタグ、及び無線icタグの製造方法
JP4970822B2 (ja) * 2006-03-28 2012-07-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シート
JP4239030B2 (ja) * 2006-07-13 2009-03-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皮膜を有する物品
TW200821093A (en) * 2006-07-31 2008-05-16 Mezoteku Dia Kk Diamond conditioner
JP5309714B2 (ja) * 2007-07-04 2013-10-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性能を有する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粘着テープ
EP2184644A4 (en) * 2007-08-07 2011-04-13 Tomoegawa Co Ltd TONER OF ELECTROPHOTOGRAPHIC COLOR
CN101481555B (zh) * 2009-02-05 2010-12-01 南京工业大学 一种水性抗静电涂覆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I456038B (zh) * 2010-04-01 2014-10-11 Toyo Ink Mfg Co 防靜電塗層用的組成物
DE102010043473A1 (de) * 2010-11-05 2012-05-10 Evonik Degussa Gmbh Carbon Nanotubes enthaltende Polyamid 12-Zusammensetzung
DE102010043470A1 (de) * 2010-11-05 2012-05-10 Evonik Degussa Gmbh Zusammensetzung aus Polyamiden mit niedriger Konzentration an Carbonsäureamidgruppen und elektrisch leitfähigem Kohlenstoff
KR20140107480A (ko) * 2011-12-21 2014-09-04 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혼련형 대전 방지제 및 그 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N104263226A (zh) * 2014-08-31 2015-01-07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防静电涂料及导电复合材料、电子设备
CN106626861B (zh) * 2016-12-27 2019-05-07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医疗胶片片基及其应用
JP2018172625A (ja) * 2017-03-21 2018-11-08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成形品、制電性塗料、制電性被覆物および制電性粘着剤
CN112759834A (zh) * 2020-12-28 2021-05-07 成都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永久抗静电pp/ps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698707A (zh) * 2021-09-06 2021-11-26 东莞市利群榕兴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抗静电epdm高分子材料、搓纸轴及其制备方法
KR102399036B1 (ko) * 2021-11-26 2022-05-17 주식회사 유상 친환경 수성 플렉소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74579B1 (ko) * 2021-11-26 2022-03-17 주식회사 유상 수성 플렉소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344A (ja) * 1985-08-29 1987-03-05 Sumitomo Bakelite Co Ltd 透明導電性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
JPH0689177B2 (ja) * 1986-07-28 1994-11-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ラ−
JP2535668B2 (ja) 1990-11-28 1996-09-18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アクリルアミド系共重合体
US5124386A (en) * 1991-01-11 1992-06-23 Mitsubishi Rayon Company Ltd.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antistatic property
GB9307555D0 (en) 1992-04-16 1993-06-02 Zeneca Ltd Heterocyclic compounds
TW247906B (ko) 1992-04-16 1995-05-21 Zeneca Ltd
JP3056332B2 (ja) 1992-07-28 2000-06-26 花王株式会社 制電性に優れた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6271744A (ja) * 1993-03-22 1994-09-27 Mizusawa Ind Chem Ltd ポリアセタール系樹脂用帯電防止剤
JPH06287476A (ja) * 1993-04-01 1994-10-11 Sumitomo Chem Co Ltd 帯電防止性塗料組成物
US5508107A (en) * 1993-07-28 1996-04-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JPH07126446A (ja) 1993-10-29 1995-05-16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H07305000A (ja) * 1993-12-10 1995-11-21 Sekisui Chem Co Ltd 帯電防止被覆用組成物
FR2719161B1 (fr) * 1994-04-22 1996-08-02 Accumulateurs Fixes Générateur électrochimique rechargeable au lithium à anode de carbone.
JPH09227743A (ja) 1996-02-23 1997-09-02 Sekisui Chem Co Ltd 透明な導電性樹脂組成物
DE69618019T2 (de) * 1996-03-26 2002-08-01 Minnesota Mining & Mfg Kationisch polymerisierbare zusmmensetzungen, die zur beschichtung in einem elektrostatischen verfahren verwendet werden können
US5817376A (en) * 1996-03-26 1998-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ree-radically polymerizable compositions capable of being coated by electrostatic assistance
US6358601B1 (en) 1997-07-11 2002-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static ceramer hardcoat composition with improved antistatic characteristics
JPH1135765A (ja) * 1997-07-24 1999-02-09 Sharp Corp 高分子固体電解質とその製造方法
US6093451A (en) * 1998-01-30 2000-07-25 Pilkington Aerospace Inc. Coated transparencies and transparent laminates incorporating a transparent polyurethane composition
US6140405A (en) * 1998-09-21 2000-10-31 The B. F. Goodrich Company Salt-modified electrostatic dissipative polymers
CN100443546C (zh) * 2000-04-12 2008-12-17 三光化学工业株式会社 抗静电组合物
JP3715881B2 (ja) * 2000-11-07 2005-11-16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2884A3 (en) 2010-11-24
KR100902463B1 (ko) 2009-06-11
CN1253508C (zh) 2006-04-26
KR20040022419A (ko) 2004-03-12
EP1842884A2 (en) 2007-10-10
US7375150B2 (en) 2008-05-20
EP1437381A4 (en) 2006-08-30
KR100863627B1 (ko) 2008-10-15
KR20080066092A (ko) 2008-07-15
US20040175573A1 (en) 2004-09-09
EP1437381A1 (en) 2004-07-14
CN1509316A (zh) 2004-06-30
TWI302161B (ko) 2008-10-21
WO2003011973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627B1 (ko) 제전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778274B2 (ja) 制電性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100650152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시트 및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JP4496262B2 (ja) 制電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塗料、制電性被覆物、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71495B2 (ja) 制電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2003041194A (ja) 制電性塗料用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US7041374B1 (en) Polymer materials with electrostatic dissipative properties
JP5041518B2 (ja) 帯電防止用組成物およ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形成物
JP2003277622A (ja) 制電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2346A (ja) 制電性重合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CN107286310A (zh) 一种含环氧型纳米类流体的反应型抗静电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JP2013010913A (ja) 制電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塗料、制電性被覆物、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33515B2 (ja) 制電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塗料、制電性被覆物、液晶パネル用カラー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23414B2 (ja) 制電性組成物の製造方法
JP3014094B1 (ja) ポリウレタン樹脂系スラッシュ成形用材料
JP4484398B2 (ja) スラッシュ成形用複合樹脂組成物
JP7092118B2 (ja) ナノ物質含有組成物
JP3766619B2 (ja) 制電性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100248366B1 (ko) 사슬연장된 저분자폴리옥시란 및 이를 기재로하는 정전기소산성 배합 조성물
JP2011256362A (ja) 制電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塗料、制電性被覆物、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47054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導電性樹脂成形物
JP2014019831A (ja) 電子伝導性重合体、その製造方法、該電子伝導性重合体を含む塗料及び制電性被覆物、並びに導電性重合体組成物
JPWO2009130873A1 (ja) ハイドロアルカンスルホネートおよびその用途
JP4451639B2 (ja) 制電性樹脂組成物
KR100837424B1 (ko) 전도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캐리어테이프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