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864A -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864A
KR20030080864A KR1020020019700A KR20020019700A KR20030080864A KR 20030080864 A KR20030080864 A KR 20030080864A KR 1020020019700 A KR1020020019700 A KR 1020020019700A KR 20020019700 A KR20020019700 A KR 20020019700A KR 20030080864 A KR20030080864 A KR 20030080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transformer
housing
input
contac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6556B1 (ko
Inventor
현부환
이욱희
나기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556B1/ko
Priority to US10/170,454 priority patent/US6833653B2/en
Priority to JP2002178434A priority patent/JP2003309300A/ja
Priority to CN02122609A priority patent/CN1450669A/zh
Publication of KR2003008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4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압전소자와 접점을 이루며 압전소자를 지지하는 리드프레임을 갖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전소자의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지점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된 리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압전소자를 양측에서 덮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며, 리드 프레임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전트랜스의 리드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여 압전트랜스와 접촉이 용이하고, 접촉이 끊어지지 않는 안정적인 하우징 접촉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PIEZOELECTRIC TRANSFORMER, HOUSING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AND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내부에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압전소자와 접점을 이루며 압전소자를 지지하는 리드프레임을 갖는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소자의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지점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형성된 리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압전소자를 양측에서 덮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며, 리드 프레임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전 트랜스포머는 권선형의 코일 트랜스포머에 비해 소형, 박형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고효율화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고절연성 및 불연성 등의 특징을 갖고있으므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전 트랜스포머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점등하는 백라이트(BACK-LIGHT)용 인버터나 고전압 전원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인버터가 탑재되어 사용되는 제품으로는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DVC(Digital Video Camera), DSC(Digital Still Camera) 등이 있으며, 고전압 전원용으로는 제전기, 공기청정기, 오존발생기 등이 있다.
압전 트랜스포머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직류 고전압 발생소자로 알려진 압전 트랜스포머는 구동부에 고유공진 주파수의 전압을 인가하면 압전효과에 의해서 발진부에 높은 전압이 유기된다. 압전 트랜스포머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거형판 압전 세라믹의 길이방향 진동을 이용하는 로젠(ROSEN)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로젠(ROSEN)형 압전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입력부(120)에는 전극면(110)이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며, 출력부(130)에는 모서리 끝단면에 전극면(140)이 형성된다. 입력 전극은 두께방향(T)으로 분극되고, 출력전극은 길이방향(L)으로 분극된다. 입력전극에는 소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교류전압을 가하는 것에 의해 압전효과로 출력전극에 전압을 발생시켜 부하(Load)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즉, 입력측 교번 전압에서 초음파 기계진동으로 다시 출력측 전압발전의 과정을 경유한 승압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압전 트랜스포머의 구조는 이와 같이 입력부(120)와 출력부(130)로 구성되며, 도 1의 입력부는 입력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구동부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면에 입력전극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출력부는 기계적 진동에너지를 전기적 출력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부분이며, 출력전극은 우측면에 존재하게 된다. 입력부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기계적인 진동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기계적인 진동은 출력부에 길이방향으로 전달되어 기계적 진동에 의한 압전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전압이 발생한다.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는 압전 트랜스포머의 입력부와 출력부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도 2는 단판형 λ모드의 압전트랜스의 형상과 전극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압전트랜스(200)에서는 입력단의 전극(210)이 좌측의 상하면 양쪽에 인쇄되고, 출력단의 전극(220)은 'ㄷ'자 형태로 모서리부에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전트랜스를 실장하기 위한 종래의 하우징의 구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본특개평 8-32135호에 기재된 것으로, λ모드의 압전트랜스(301)에 도3과 같이 입출력단 각각의 노드 지지점 중앙에 솔더 와이어(305,306)로 연결하여 플라스틱의 하우징(307)에 장착하는 것이다. 하우징은 각각의 입출력단으로부터 인출되어 나오는 와이어(305,306)를 고정시키는 돌기(308)가 4군데 형성되어 있으며, 압전트랜스에 접착제(309)를 도포한 후에 하우징(307)에 삽입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압전트랜스의 하우징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나, 각각의 전극부를 와이어(305,306)로 솔더 접합한 후에 PCB(310)에 실장하므로 와이어의 연결로 인하여 양산성 및 품질 신뢰성이 떨어지고, 와이어의 단선이나 공수의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전트랜스의 리드 프레임을 압전트랜스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하여 압전트랜스와 접촉이 용이하고, 접촉이 끊어지지 않는 안정적인 하우징 접촉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이 탄성적으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도록 하는 하우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로젠(ROGEN)형 압전트랜스포머의 구조 및 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단판형 압전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압전트랜스의 하우징의 조립도;
도 4는 종래의 압전트랜스의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조립도;
도 6a는 도 5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5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출력단자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6b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조립도;
도 10은 도 9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도;
도 13은 도 12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0,60: 압전트랜스 하우징13,33,61:압전트랜스
11: 상부 하우징12: 하부하우징
15: 입력접점부16: 출력접점부
17: PCB 솔더부18,20:제1 리드프레임
18',20': 제2 리드프레임 29:돌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은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부가 형성된 압전트랜스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의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지점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끝단부가 돌출된 적어도 두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갖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전트랜스 하우징은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의 입력부 및 상기 압전트랜스의 일지점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끝단부가 돌출된 적어도 두개의 제2 리드프레임을 갖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은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에 실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실시예에서는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부가 형성된 압전트랜스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ⅰ)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전트랜스 하우징은 a)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각각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부가형성된 압전트랜스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ⅰ) 상기 압전트랜스의 전극부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기 전극부가 형성된 일측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트랜스 하우징은 또한, a) 상기 압전트랜스의 전극부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전극부가 형성된 타측면을 감싸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트랜스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트랜스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은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가 형성되고, 압전트랜스를 실장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중 하나의 변은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된 변의 양 끝단은 돌출되어 입력 및 출력 접점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리드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상기 방법은 상기 각각의 리드프레임의 절개된 변에 절연소재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입력 및 출력 접점부 형성위치에는 접점부가 탄성적으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도록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압전트랜스를 실장하기 위한 한쌍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리드프레임의 나머지 변들을 인출리드만 남기고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리드를 하우징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벤딩하여 기판에 실장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 형상의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전트랜스를 길이방향으로 등분하여 일측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입력전극 및 타측 측면 및 이에 인접한 상면의 일부에 형성된 출력전극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하우징; 및
a)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전극 및 압전트랜스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중 상기 출력전극에 인접한 부분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직사각 형상의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중앙의 상면,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입력전극 및 상기 압전트랜스 일측 단부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출력전극를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하우징; 및
a)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전극 및 압전트랜스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사각 형상의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전트랜스의 중앙 양 측면에 형성된 입력전극 및상기 압전트랜스의 일측 단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출력전극를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ⅰ)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이 형성된 일측면 및 이에 인접한 양 단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a)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이 형성된 타측면 및 이에 인접한 양 단면을 감싸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트랜스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조립도이고, 도 6a는 도 5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5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출력단자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단판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에는 압전트랜스(13)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압전트랜스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압전트랜스(13)는 각각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압전트랜스에는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λ모드 압전 트랜스포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입력부는 압전트랜스(13)의 우측 절반부에 형성되며, 우측의 입력부의 중간지점에 λ모드 입력 접촉점(1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 끝단에 형성된 출력부에는 상하면에 λ모드 출력 접촉점(16)을 형성한다.이와 같은 출력 접촉점(16)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면 또는 하면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력 접촉점은 통상적으로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에 따라서 압전트랜스의 입력부측의 진동 마디점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만약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가 λ/2 모드이면 입력 접촉점은 압전소자의 전체길이의 1/2점에 형성되며 이 지점에서 입력 리드 프레임이 압전트랜스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점(15,16)과 접촉하여 하우징 외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도록 하는 제1 리드 프레임(18,20)이 상부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입력접촉점(15) 및 출력 접촉점(16) 형성위치에 각각 제1 개구부(23)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개구부(23)는 두개가 된다. 상기 제 1 개구부(23)는 각각 측부로부터 제1 개구부(23)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리드프레임(18,20)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압전트랜스와 접하게 된다. 또한, 하부하우징(12)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1)의 제 1 개구부(23)와 제1 리드프레임(18,20)과 같은 제2 개구부(23') 및 제2 리드프레임(18',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리드프레임과 제2 리드프레임 중의 일부(18,18')는 출력접촉점(16)과 접하게 되어 출력단자를 형성하며, 다른 리드프레임(20,20')은 입력접촉점(15)과 접하게 되어 입력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18,20,18',20')은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전기전도성이 좋은 구리합금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압전트랜스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며 이와 동시에 상기 압전트랜스(1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각각의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19,21) 및 걸림턱(27)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9,21)가 걸림턱(27)에 걸리도록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게 된다.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18,18',20,20')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12)의 외부로 인출되며, 하우징의 외벽에 밀착한 상태가 되도록 벤딩하게 된다. 이는 입력단 PCB 솔더부(22) 및 출력단 PCB 솔더부(17)를 이루게 된다. 상기 솔더부(17,22)는 도 6a에서와 같이 하부면에 밀착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부 하우징(11) 및 하부 하우징(12)의 내부에 압전트랜스(13)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2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는 압전트랜스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돌기부(29)는 압전트랜스의 진동 마디점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트랜스의 길이의 1/4 지점과 3/4 지점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29)는 압전트랜스(13)와 약간의 틈새를 형성하여 진동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압전트랜스(13)가 진동이 용이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전트랜스(13)는 탄성적으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는 제 1 리드프레임(18,20)과 제 2 리드프레임(18',20')에 의해 지지되며, 진동하는데 있어서 상기 단자들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으며, 하우징의 돌기부(29)에 의해 압전트랜스가 하우징(10)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압전트랜스(13) 및 하우징(10)을 보호하고, 진동에 따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단자(18)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도출되는 출력단 솔더부(17)는 하우징의 끝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출력단 솔더부(17')는 고전압의 출력으로 인한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고압 절연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압전트랜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조립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하우징(31,32)이 형성되며, 제1 리드 프레임(35)과 제2 리드프레임(45)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을 나타낸 것으로, 통상적으로 λ/2 모드의 진동모드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의 상부 하우징(31)과 하부 하우징(32)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각각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는 후크(38)와 걸림턱(39)과 같은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λ/2 모드 압전 트랜스포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압전트랜스(33)는 전체 길이의 중간지점에 λ/2 모드 입력 접촉점(4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 끝단에 형성된 출력부에는 상하면에 λ/2 모드 출력 접촉점(4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접촉점(43,44)은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출력 접촉점(44)은 좌측 또는 우측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형상 및 그로 인한 입력 및 출력 단자 형성구조는 도 5의 실시예와 같다. 입력 접촉점은 통상적으로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에 따라서 압전트랜스의 입력부측의 진동 마디점에 형성된다.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가 λ모드이면, 입력 접촉점은 압전소자의 입력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며 이 지점에서 입력 리드 프레임이 압전트랜스에 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 2 리드프레임(35,45)이 압전트랜스(33)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35,45)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솔더부(34,37)를 이루는 것과, 하우징의 내부에 돌기부(36)를 형성하는 구조도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출력단자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도출되는 출력단 솔더부가 도 6b의 실시예와 같이 중앙부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압전트랜스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2 및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형 압전트랜스에 사용되는 하우징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적층형 타입의 압전트랜스는 노트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압전트랜스가 λ/2 모드의 진동모드를 갖는다. 기본구조는 앞서 설명한 도 9의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과 같으나, 노트북용은 전반적으로 압전트랜스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제1 하우징(62) 및 제2 하우징(63)은 양끝단에 후크(64)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결합되고, 압전트랜스(61)의 중앙 상부에 클립(67)을 장착하여양쪽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압전트랜스(61)는 측면에 입력부와 출력부가 형성되며, λ/2 모드를 채택함으로써 압전트랜스의 양측면 중앙에 입력부(76)가 형성되고 양측면의 일측 끝단에 출력부(77)가 형성된다.
압전트랜스의 하우징(60)은 상기 압전트랜스(61)의 측면들을 감싸도록 구성된 'ㄷ'자 형상의 제1 하우징(62)과 제2 하우징(6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62)은 상기 입력부(76) 및 출력부(77)가 형성된 부분에 각각 제1 개구부(78)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62)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78)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제1 리드프레임(72,7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리드프레임(72,73)은 상기 제1 개구부(78)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61) 측으로 돌출되어 압전트랜스(61)와 탄성적으로 접하게 된다.
또한, 제2 하우징(63)에는 상기 제1 하우징(62)의 제 1 개구부(78)와 제1 리드프레임(72,73)과 같은 제2 개구부(78') 및 제2 리드프레임(72',7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리드프레임과 제2 리드프레임 중의 일부(72,72')는 입력부(76)와 접하게 되어 입력단자를 형성하며, 다른 리드프레임(73,73')은 출력부(77)와 접하게 되어 출력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72,72',73,73')은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전기전도성이 좋은 구리합금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압전트랜스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며 이와 동시에 상기 압전트랜스(6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우징(62)과 제2 하우징(63)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각각의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64) 및 걸림턱(84)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64)가 걸림턱(84)에 걸리도록 제1 및 제2 하우징을 결합하게 된다.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72,72',73,73')은 제1 및 제2 하우징(62,63)의 외부로 인출되며, 하우징의 외벽에 밀착한 상태가 되도록 벤딩하게 된다. 이는 입력단 PCB 솔더부(70) 및 출력단 PCB 솔더부(71)를 이루게 된다. 상기 솔더부(70,71)는 도 13a에서와 같이 하부면에 밀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입력부(76)는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압전트랜스(61)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제1 및 제2 하우징(62,63)의 내부면에는 지지대(6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68)는 상기 하우징(62,63)의 하부에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전트랜스(61)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대(68)는 제1 및 제2 하우징(62,63)의 모서리 및 중앙부의 하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클립(67)은 'ㄷ'자 형상을 갖고, 압전트랜스(61)의 상부에 접착제(69)를 사용하여 접착되며, 접착제는 실리콘 성분이 함유되어 일정한 탄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62,63)의 중앙부에는 상기 클립(67)이 장착되기 위한 홈(8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트랜스(61)의 측면만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사용하며, 따라서 상부 및 하부면이 없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면 노트북과 같은 대용량 LCD 응용제품에서의 압전트랜스의 크기에 따른 하우징의 허용 높이를 최소로 줄일 수 있게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5 및 도 9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75)가 좌측 및 우측의 하우징에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출력측 솔더부(71)가 하우징의 끝면 중앙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방법이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압전트랜스 하우징을 예를 들어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 트랜스 하우징은 먼저,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드 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 리드 프레임은 사각 프레임(25,26)으로 형성되며, 프레임의 하나의 변은 절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변의 양 끝단이 돌출되도록 꺽여있어서 입력접촉점(15)과 출력접촉점(16)과 접하는 제1 리드프레임(18,20) 및 제2 리드프레임(18',2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리드 프레임(18,18',20,20')에는 상기 리드프레임의 절개된 변에 대응하는 변의 양끝에 위치고정용 홀(28)을 형성하여 하우징과 일체화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위치고정용 홀(28)은 사출금형의 위치 가이드 홀(도시하지 않음)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형에 리드 프레임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절개된 변에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소재를 사출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출성형을 거쳐서 하우징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사출성형된 하우징에는 리드 프레임의 돌출 끝단이 탄성적으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도록 단자형성위치에 제1 및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따라서 단자들은 상하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하게되어 압전트랜스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출성형을 통해 하우징을 형성한 후에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인출리드 부분만 남기고 제거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와 같은 인출리드는 하우징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벤딩을 하게 된다. 이는 솔더 접합부를 이루게 되며, 기판에 실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리드의 표면에 주석(Sn) 도금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사출형성과정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돌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트랜스의 진동마디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는 삼각형상의 삼각돌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 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한 구조의 출력단 솔더부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형상의 리드 프레임 구조(25',26')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출력단 솔더부가 하우징의 끝면의 중앙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출력 단자부가 하우징의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도 7의 실시예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적층형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경우에도 역시 동일한 제조방법이 사용되는것이다. 예를들면, 도 11에서와 같은 형상의 프레임(41,42)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리드프레임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이는 도 12의 프레임(65,66)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전트랜스의 리드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여 압전트랜스와 접촉이 용이하고, 접촉이 끊어지지 않는 안정적인 하우징 접촉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 프레임이 탄성적으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도록 하는 하우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전극의 인출이 용이하게 되고,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게 되며, 기판에 압전트랜스를 실장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인 신뢰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압전트랜스 제작 작업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3)

  1.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부가 형성된 압전트랜스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의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지점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끝단부가 돌출된 적어도 두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갖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의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지점과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끝단부가 돌출된 적어도 두개의 제2 리드프레임을 갖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은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하우징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측부에는 각각 상기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압전트랜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출력부와 접하는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출력측 끝단면 중앙으로 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7.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부가 형성된 압전트랜스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ⅰ)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하우징; 및
    a)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측부에는 각각 상기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압전트랜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길이방향의 1/4 및 3/4 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출력부가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의 끝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면 일부까지 연장되어, 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출력부와 접하는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면 중앙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의 끝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면 일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동일 측면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 중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측의 진동 마디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가 λ모드이면, 상기 제1 및제2 리드프레임 중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압전트랜스의 전체길이의 1/4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가 λ/2 모드이면,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 중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압전트랜스의 전체길이의 1/2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19.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각각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극부가 형성된 압전트랜스가 장착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ⅰ) 상기 압전트랜스의 전극부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기 전극부가 형성된 일측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a) 상기 압전트랜스의 전극부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개구부까지 연장된 일단이 압전트랜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개의 제2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전극부가 형성된 타측면을 감싸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트랜스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각각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양 끝부분에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제 1하우징의 양 끝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양 끝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압전트랜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길이방향의 1/4 및 3/4 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 하우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상기 클립이 장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상기 압전트랜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부 및 중앙부의 하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31. 압전트랜스에 전압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부가 형성되고, 압전트랜스를 실장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중 하나의 변은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된 변의 양 끝단은 돌출되어 입력 및 출력 접점부와 접하는 한쌍의 리드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리드프레임의 절개된 변에 절연소재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입력 및 출력 접점부 형성위치에는 접점부가 탄성적으로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여, 압전트랜스를 실장하기 위한 한쌍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쌍의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리드프레임의 나머지 변들을 인출리드만 남기고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리드를 하우징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벤딩하여 기판에 실장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압전트랜스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를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 측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리드 중 출력 접점부에서 인출되는 인출리드는 상기 한쌍의 하우징의 출력측 끝단면 중앙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접점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진동모드에 따라서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측의 진동마디점에서 접하도록 그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 프레임의 절개된 변에 대응하는 변의 양 끝에 위치고정용 홀(hole)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
  36.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진동마디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제조방법.
  37. 직사각 형상의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전트랜스를 길이방향으로 등분하여 일측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입력부 및 타측 측면 및 이에 인접한 상면의 일부에 형성된 출력부를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하우징; 및
    a)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및 압전트랜스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중 상기 출력부에 인접한 부분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에 의하여 양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과 소정공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39. 직사각 형상의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중앙의 상면,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압전트랜스 일측 단부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출력부를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상부하우징; 및
    a)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및 압전트랜스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에 의하여 양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과 소정공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측부에는 각각 상기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의 끝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의 측면 일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동일측면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3. 직사각 형상의 상면, 하면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압전트랜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전트랜스의 중앙 양 측면에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압전트랜스의 일측 단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출력부를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ⅰ)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1 개구부; 및 ⅱ)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가 형성된 일측면 및 이에 인접한 양 단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a)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두개의 제2 개구부; 및 b) 각각 측부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일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압전트랜스로 돌출되어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접하는 도전성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압전트랜스의 입력부 및 출력부가 형성된 타측면 및 이에 인접한 양 단면을 감싸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앙부 상부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전트랜스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각각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양 끝부분에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및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제 1하우징의 양 끝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양 끝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ㄷ'자 형상을 가지며, 양 끝단이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 하우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상기 압전트랜스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압전트랜스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부 및 중앙부의 하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하우징
  51. 제4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의 끝단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하면 모서리부분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동일하면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52.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트랜스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압전트랜스와 상기 클립을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접착수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트랜스 장치
KR10-2002-0019700A 2002-04-11 2002-04-11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10047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700A KR100476556B1 (ko) 2002-04-11 2002-04-11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US10/170,454 US6833653B2 (en) 2002-04-11 2002-06-14 Piezoelectric transformer device and housing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JP2002178434A JP2003309300A (ja) 2002-04-11 2002-06-19 圧電トランス装置、圧電トランス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CN02122609A CN1450669A (zh) 2002-04-11 2002-06-19 压电变压器器件、压电变压器外壳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700A KR100476556B1 (ko) 2002-04-11 2002-04-11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864A true KR20030080864A (ko) 2003-10-17
KR100476556B1 KR100476556B1 (ko) 2005-03-18

Family

ID=2878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700A KR100476556B1 (ko) 2002-04-11 2002-04-11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33653B2 (ko)
JP (1) JP2003309300A (ko)
KR (1) KR100476556B1 (ko)
CN (1) CN1450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08B1 (ko) * 2003-09-29 2006-12-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디바이스, 압전 디바이스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및 압전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536A (ja) * 2003-10-23 2005-06-09 Nippon Dempa Kogyo Co Ltd 水晶発振器
JP4804902B2 (ja) * 2005-12-09 2011-11-02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圧電トランス装置
US7681290B2 (en) * 2006-10-20 2010-03-23 The Boeing Company Piezoelectric bimorph beam manufacturing method
JP4509152B2 (ja) 2007-08-28 2010-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圧電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43214B1 (ko) * 2012-05-07 2014-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모듈
US9774958B2 (en) * 2013-05-30 2017-09-26 Kyocera Corporation Uni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CN208257660U (zh) * 2015-09-10 2018-12-1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压电振动器件、压电变压器模块、压电振子安装用柔性基板和压电变压器
DE102016102585A1 (de) * 2016-02-15 2017-08-17 Epcos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Atmosphärendruck-Plasmas
US10631072B2 (en) * 2018-06-25 2020-04-21 Google Llc Actuator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with extended damper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727A (en) * 1992-07-28 1994-05-24 Minnesota Mining & Mfg. Co./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iron, ruthenium, and osmium
US6323071B1 (en) * 1992-12-04 2001-1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JP3370444B2 (ja) 1994-07-11 2003-01-2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圧電トランス
JP2885274B2 (ja) * 1995-02-28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装置
EP0730312B1 (en) * 1995-02-28 2003-07-30 Nec Corporation Packaged piezoelectric transformer unit
JP2914284B2 (ja) * 1996-03-26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JP2885188B2 (ja) * 1996-06-19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JP2947198B2 (ja) * 1997-01-28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JPH10341045A (ja) * 1997-06-10 1998-12-22 West Electric Co Ltd 圧電トランス
US6057633A (en) * 1997-06-19 2000-05-02 Nec Corporation Piezoelectric transformer unit
JP3080153B2 (ja) * 1997-08-15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JPH11103101A (ja) * 1997-09-29 1999-04-13 Nippon Cement Co Ltd 圧電トランス素子の収納ケース
US6864356B2 (en) * 1997-12-08 2005-03-08 Nathan Howard Sloane Sixteen amino acid of the antineoplastic protein (ANUP)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anti-tumor agent
KR100319888B1 (ko) * 1998-06-16 2002-01-10 윤종용 선택적 금속층 형성방법, 이를 이용한 커패시터 형성 및 콘택홀 매립방법
US6074945A (en) * 1998-08-27 2000-06-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preparing ruthenium metal films
US6517616B2 (en) * 1998-08-27 2003-02-11 Micron Technology, Inc. Solvated ruthenium precursors for direct liquid injection of ruthenium and ruthenium oxide
US5962716A (en) * 1998-08-27 1999-10-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preparing ruthenium and osmium compounds
US6063705A (en) * 1998-08-27 2000-05-16 Micron Technology, Inc. Precursor chemistries for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ruthenium and ruthenium oxide
US6541067B1 (en) * 1998-08-27 2003-04-01 Micron Technology, Inc. Solvated ruthenium precursors for direct liquid injection of ruthenium and ruthenium oxid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780758B1 (en) * 1998-09-03 2004-08-2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semiconductor device
US6294836B1 (en) * 1998-12-22 2001-09-25 Cvc Products Inc. Semiconductor chip interconnect barrier material and fabrication method
US6203613B1 (en) * 1999-10-19 2001-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tomic layer deposition with nitrate containing precursors
KR100389913B1 (ko) * 1999-12-23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조건을 변화시키면서 화학기상 증착법으로 루테늄막을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형성된 루테늄막
US6627995B2 (en) * 2000-03-03 2003-09-30 Cvc Products, Inc. Microelectronic interconnect material with adhesion promotion layer and fabrication method
TW508658B (en) * 2000-05-15 2002-11-01 Asm Microchemistry Oy Process for producing integrated circuits
US7494927B2 (en) * 2000-05-15 2009-02-24 Asm International N.V. Method of growing electrical conductors
KR100403611B1 (ko) * 2000-06-07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절연체-금속 구조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372644B1 (ko) * 2000-06-30 2003-02-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6440495B1 (en) * 2000-08-03 2002-08-27 Applied Materials, Inc.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ruthenium films for metal electrode applications
US6461909B1 (en) * 2000-08-30 2002-10-08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for fabricating RuSixOy-containing adhesion layers
US6903005B1 (en) * 2000-08-30 2005-06-0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the formation of RuSixOy-containing barrier layers for high-k dielectrics
US6527855B2 (en) * 2000-10-10 2003-03-04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Atomic layer deposition of cobalt from cobalt metallorganic compounds
US6824665B2 (en) * 2000-10-25 2004-11-30 Shipley Company, L.L.C. Seed layer deposition
JP4333900B2 (ja) * 2000-11-30 2009-09-16 エーエスエ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ヌ.ヴェー. 磁気メモリセル、磁気構造体及び磁気素子の製造方法、並びに磁気構造体用金属層の成長方法
US6346477B1 (en) * 2001-01-09 2002-02-12 Research Foundation Of Suny - New York Method of interlayer mediated epitaxy of cobalt silicide from low temperat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cobalt
JP2002222934A (ja) * 2001-01-29 2002-08-09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85333A (ja) * 2001-03-26 2002-10-03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479100B2 (en) * 2001-04-05 2002-11-12 Applied Materials, Inc. CVD ruthenium seed for CVD ruthenium deposition
KR100406534B1 (ko) * 2001-05-03 2003-11-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루테늄 박막의 제조 방법
JP2005504885A (ja) * 2001-07-25 2005-02-17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新規なスパッタ堆積方法を使用したバリア形成
KR100727372B1 (ko) * 2001-09-12 2007-06-12 토소가부시키가이샤 루테늄착체, 그 제조방법 및 박막의 제조방법
KR20030025494A (ko) * 2001-09-21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루테늄막과 금속층간의 콘택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그의 제조 방법
US6423619B1 (en) * 2001-11-30 2002-07-23 Motorola, Inc. Transistor metal gate structure that minimizes non-planarity effects and method of formation
KR100805843B1 (ko) * 2001-12-28 2008-02-21 에이에스엠지니텍코리아 주식회사 구리 배선 형성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소자 및구리 배선 형성 시스템
US6800548B2 (en) * 2002-01-02 2004-10-05 Intel Corporation Method to avoid via poisoning in dual damascene process
US6824816B2 (en) * 2002-01-29 2004-11-30 Asm International N.V. Process for producing metal thin films by ALD
US6713373B1 (en) * 2002-02-05 2004-03-30 Novellus Systems, Inc. Method for obtaining adhesion for device manufacture
US6972267B2 (en) * 2002-03-04 2005-12-06 Applied Materials, Inc. Sequential deposition of tantalum nitride using a tantalum-containing precursor and a nitrogen-containing precursor
US7008872B2 (en) * 2002-05-03 2006-03-07 Intel Corporation Use of conductive electrolessly deposited etch stop layers, liner layers and via plugs in interconnect structures
US7404985B2 (en) * 2002-06-04 2008-07-29 Applied Materials, Inc. Noble metal layer formation for copper film deposition
US7264846B2 (en) * 2002-06-04 2007-09-04 Applied Materials, Inc. Ruthenium layer formation for copper film deposition
US7005697B2 (en) * 2002-06-21 2006-02-2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non-volatile electron storage memory and the resulting device
US7300038B2 (en) * 2002-07-23 2007-11-2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help promote contact of gas with vaporized material
US6790773B1 (en) * 2002-08-28 2004-09-14 Novellus Systems, Inc. Process for forming barrier/seed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s
US6974768B1 (en) * 2003-01-15 2005-12-13 Novellus Systems, Inc. Methods of providing an adhesion layer for adhesion of barrier and/or seed layers to dielectric films
US6737313B1 (en) * 2003-04-16 2004-05-18 Micron Technology, Inc. Surface treatment of an oxide layer to enhance adhesion of a ruthenium metal layer
US20050085031A1 (en) * 2003-10-15 2005-04-21 Applied Materials, Inc. Heterogeneous activation layers formed by ionic and electroless reactions used for IC interconnect capping layers
US7107998B2 (en) * 2003-10-16 2006-09-19 Novellus Systems, Inc. Method for preventing and cleaning ruthenium-containing deposits in a CVD apparatus
JP2005314713A (ja) * 2004-04-27 2005-11-10 L'air Liquide 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 S Georges Claude ルテニウム膜またはルテニウム酸化物膜の製造方法
US7429402B2 (en) * 2004-12-10 2008-09-30 Applied Materials, Inc. Ruthenium as an underlayer for tungsten film deposition
US7265048B2 (en) * 2005-03-01 2007-09-04 Applied Materials, Inc. Reduction of copper dewetting by transition metal deposition
US20070077750A1 (en) * 2005-09-06 2007-04-05 Paul Ma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es for ruthenium materials
US20070054487A1 (en) * 2005-09-06 2007-03-08 Applied Materials, Inc.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es for ruthenium materials
US20070099422A1 (en) * 2005-10-28 2007-05-03 Kapila Wijekoon Process for electroless copper deposition
TWI331770B (en) * 2005-11-04 2010-10-11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plasma-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US7833358B2 (en) * 2006-04-07 2010-11-1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recovering valuable material from exhaust gas stream of a reaction chamber
CN101479834B (zh) * 2006-06-30 2011-06-08 应用材料股份有限公司 纳米结晶形成
US7473634B2 (en) * 2006-09-28 2009-01-06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for integrated substrate processing in copper metall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08B1 (ko) * 2003-09-29 2006-12-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디바이스, 압전 디바이스를 이용한 휴대 전화 장치및 압전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0669A (zh) 2003-10-22
KR100476556B1 (ko) 2005-03-18
US20030193270A1 (en) 2003-10-16
JP2003309300A (ja) 2003-10-31
US6833653B2 (en) 200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556B1 (ko)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JPH09116250A (ja) 圧電トランス支持装置
US6262518B1 (en) Housing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device
JP2006108332A (ja) 圧電トランス
KR100526241B1 (ko) 볼록형 리드프레임을 갖는 압전트랜스포머
KR100279376B1 (ko) 압전트랜스의 기판 결합장치
JP4592861B2 (ja) 圧電トランス
JP3344866B2 (ja) 圧電トランス支持具
JP3838696B2 (ja) 圧電トランス
KR20000040782A (ko) 압전트랜스의 기판 결합장치
JPH1093157A (ja) 圧電トランス
JPH0936454A (ja) 圧電セラミックトランス
KR20000040784A (ko) 압전트랜스의 기판 결합장치
JP4134378B2 (ja) 圧電トランス
JPH11121827A (ja) 圧電トランス電源の実装構造
JP3581488B2 (ja) 圧電昇圧モジュール
JP2002368299A (ja) 圧電トランスの実装構造
JPH10341045A (ja) 圧電トランス
JPH09223829A (ja) 圧電トランスの支持装置
JP2001156354A (ja) 圧電トランスおよび圧電トランスの実装構造
JP2001223406A (ja) 圧電トランス装置
JPH11121825A (ja) 圧電トランス電源の実装構造
JPH08102561A (ja) 圧電トランス
JP2001223405A (ja) 圧電トランス装置
JP2007150131A (ja) 圧電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