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214B1 - 압전진동모듈 - Google Patents

압전진동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214B1
KR101343214B1 KR1020120048131A KR20120048131A KR101343214B1 KR 101343214 B1 KR101343214 B1 KR 101343214B1 KR 1020120048131 A KR1020120048131 A KR 1020120048131A KR 20120048131 A KR20120048131 A KR 20120048131A KR 101343214 B1 KR101343214 B1 KR 101343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ezoelectric
case
vibration module
piezoelectr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753A (ko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214B1/ko
Priority to CN2012102617971A priority patent/CN103390723A/zh
Publication of KR2013012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H02N2/006Elastic elements, e.g.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10N30/886Additional mechanical prestressing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완충돌기가 돌출형성된다.

Description

압전진동모듈{PIEZO VIBRATION MODULE}
본 발명은 압전진동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전자책(E-book) 단말기, 게임기, PMP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진동 기능은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발생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주로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 신호인 경보 기능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기능화에 맞춰 진동발생장치는 현재 소형화 뿐만 아니라 집적화 그리고 다양한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를 간편하게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터치 방식의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햅틱 디바이스는 터치하여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터치에 대한 피드백을 더욱 다양화하는 개념까지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이러한 햅틱 디바이스는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 제2004-094389호)에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게재된 입출력 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압전 엑츄에이터와 압전 엑츄에이터가 장착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압전 엑츄에이터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여 진동발생수단으로 사용되고, 지지프레임의 하면에 장착되어 진동을 일으킨다. 하지만, 입출력 장치가 낙하시 압전 엑츄에이터는 터치패널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어 왔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04-094389호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낙하 충격시 압전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압전진동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 상기 플레이트와 대향되도록 돌출된 완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1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2 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수직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전체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두께 방향으로 상하 왕복 진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진동시 상기 압전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개방홀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압전체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면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케이스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완충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1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2 부분에 위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수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압전체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두께 방향으로 상하 왕복 진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진동시 상기 압전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개방홀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압전체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면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돌기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압전체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또는 압전체가 수용되는 케이스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압전진동모듈의 낙하시 압전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에서 완충돌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에서 완충돌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완충돌기(113)가 형성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수용되는 플레이트(120) 및 플레이트(120)에 장착되는 압전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압전진동모듈(100)은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미도시)에 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1) 및 상부 케이스(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1)는 하부면을 개방한 박스(box)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수용부(111a)가 형성되어 구동체, 다시 말하자면 압전체(130)를 장착한 플레이트(120)를 수용한다.
하부 케이스(112)는 가늘고 긴 편평한 형상의 플레이트(120)로 형성되되, 상부 케이스(111)의 개방 하부면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12)는 플레이트(120)의 진동시 압전체(130)와 접촉되는 위치에 개방홀(112a)이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12)의 상부면과 압전체(130)가 충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개방홀(112a)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압전체(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홀(112a)의 형태 및 형상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압전체(130)가 진동으로 인한 하측방향으로 벤딩시 하부 케이스(112)와 접촉되지 않을 만큼의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케이스(112)가 길이방향으로 배치시 하부 케이스(112)와 대응되도록 플레이트(120)가 길이방향으로 하부 케이스(112)에 안착되되, 하부 케이스(112)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안착부(112b)가 형성되어, 플레이트(120)의 하부 양측이 안착부(112b)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플레이트(120) 보다 작은 크기로 장착된 압전체(130)는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거리에 위치되어 충돌되지 않게 된다.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2)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코킹(caulking), 용접 혹은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압전체(130)와 일체로 팽창 및 수축 변형의 반복을 통한 벤딩 작동으로 압전체(130)의 진동력을 외부 부품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편평한 하부 플레이트(122)를 구비한다. 하부 플레이트(122)의 편평한 하면은 압전체(130)를 장착하고, 하부 플레이트(122)의 상면에는 중량체(140)를 배치한다. 이 플레이트(120)는 압전체(1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플레이트(1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편평한 하부 플레이트(122)와 함께 이 하부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설되어 있는 한쌍의 상부 플레이트(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2)는 하부 플레이트(122)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하부 플레이트(122)와 상부 플레이트(122)는 일체형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한 접합방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도 있다.
플레이트(120)는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팽창 혹은 수축 변형을 반복하는 압전체(130)와 일체로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금속재질, 예컨대 서스(SUS)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레이트(120)와 압전체(130)는 본딩 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접합부재의 경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벤딩(bending)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압전체(130)의 열팽창계수와 유사한 재질인 인바(inv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되었듯이, 플레이트(120)가 압전체(130)와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인바 재질로 형성되어, 압전체(130)는 고온의 외부 환경하에서도 작동 혹은 열 충격시 발생하는 써멀 스트레스(thermal stress)가 감소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압전 열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쌍의 상부 플레이트(122)는 예컨대 하부 플레이트(122)의 폭 만큼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는바, 한쌍의 상부 플레이트(122) 사이에 중량체(140)를 배치할 수 있다. 중량체(140)는 진동력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매개물로서, 플레이트(120)의 하부 플레이트(122)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중량체(140)의 중심부에서 양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부 플레이트(122)도 중량체(140)의 형상과 유사하게 상부 플레이트(122)의 중심부에서 양단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기술되었듯이, 플레이트(120)가 상부 플레이트(122)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에서는, 중량체(140)가 하부 플레이트(122)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압전체(130)를 하부 플레이트(122)의 편평한 일면 상에 배열할 수 있다.
참고로, 중량체(14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동일 체적에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텅스텐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체(130)는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플레이트(120)의 하면 제1 부분에 장착된다. 그리고, 압전체(130)가 진동력을 발생시키면 플레이트(120)가 압전체(130)와 함께 진동하고,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부재를 통해서 전자기기에 진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압전체(130)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플레이트(120)가 두께 방향으로 상하 왕복 진동한다.
압전체(13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압전체(130)는 전원인가시 신축 및 굴곡변형하여 진동력을 생성하고, 전극패턴이 형성된 압전시트(세라믹 압전시트)가 단일 또는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압전시트의 표면에 인쇄되는 전극패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압전체(130)는 제1 진동모드, 제2 진동모드, 예를 들어 압전체(130)의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신축 진동모드와 압전체(130)의 두께방향으로 발생하는 굴곡 진동모드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압전체(130)의 압전시트 적층구조와 전극패턴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에서 완충돌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에서 완충돌기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돌기(113)는 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 양측에 상기 플레이트와 대향되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완충돌기(113)는 플레이트(120)의 하면 제2 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완충돌기(113)는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완충돌기(113)는 케이스(110)에서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에 수직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 a를 참조하면,완충돌기(113)는 일례로 측단면이 직사각형인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완충돌기(113)의 형태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b를 참조하면, 완충돌기(113)는 다른 일례로 측단면이 니은자("ㄴ")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완충돌기(113)에 단차가 형성되되, 완충돌기(113)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하부 케이스(11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개방홀(112a)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결국, 다른 일례의 완충돌기(113)는 하부 횡단면의 면적 보다 상부 횡단면의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한편, 예를 들어 완충돌기(113)는 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인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에 형성되되, 하부 케이스(112)에 형성된 개방홀(112a)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완충돌기(113)는 하부 케이스(11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돌기(113)의 위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완충돌기(11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탄성재질은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돌기(113) 재질이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케이스(110)의 내부 바닥면에 완충돌기(113)가 케이스(110)에 수용된 플레이트(120)와 마주보는 방향인 수직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압전진동모듈(100)이 낙하시 플레이트(120)와 완충돌기(113)와 접촉됨으로써,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압전체(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압전체(130)는 개방홀(112a)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어 낙하시 완충돌기(113)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완충돌기(113)가 하부 케이스(112)의 중앙부 양측에 위치되어, 압전진동모듈(100)의 낙하시 플레이트(120)의 중앙부가 완충돌기(113)와 접촉되어 플레이트(120)의 중앙부의 과도한 하부 휘어짐을 방지하고,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장착된 압전체(130)의 중앙부가 개방홀(112a)의 하부로 이동되며, 개방홀(112a)의 하부에 위치된 장치 또는 구조물과 충돌하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수용되되 완충돌기(113)가 형성된 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120)에 장착되는 압전체(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압전진동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과 비교할 때, 완충돌기(123)가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 1 내지 도 4b에 나타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술 되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의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1)와 하부 케이스(112)를 포함하고,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21)와 하부 플레이트(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하부 플레이트(122)의 하면 양측에 완충돌기(123)가 케이스(110)와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완충돌기(123)은 케이스(110) 중에서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수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돌기(123)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재질은 예를 들어 고무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돌기(123)의 형태 및 재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완충돌기(123)는 하부 플레이트(122)의 길이방향에서 중앙부 양측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돌기(123)의 위치가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압전체(130)가 하부 플레이트(122)의 하면 중 제1 부분에 위치되고, 완충돌기(123)가 하부 플레이트(122)의 하면 중 제2 부분에 위치되되, 압전체(130)의 양측방향에 완충돌기(123)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돌기(123)는 하부 케이스(112)에 형성된 개방홀(112a)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낙하시, 하부 플레이트(122)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완충돌기(123)가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과 접촉되어, 하부 플레이트(122)의 중앙부가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완충돌기(123)가 하부 플레이트(122)의 과도한 하부 이동폭을 줄임으로서, 하부 플레이트(122)의 하면에 장착된 압전체(130)가 하부 케이스(112)에 형성된 개방홀(112a)을 통과하여 개방홀(112a)의 하부에 위치된 장치 또는 구조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모듈(1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100' : 압전진동모듈 110 : 케이스
111 : 상부 케이스 111a: 수용부
112 : 하부 케이스 112a: 개방홀
112b : 안착부 120 : 플레이트
121 : 상부 플레이트 122 : 하부 플레이트
130 : 압전체 113, 123: 완충돌기
140 : 중량체

Claims (19)

  1.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와 대향되도록 돌출된 완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진동시 상기 압전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1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2 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수직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두께 방향으로 상하 왕복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개방홀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압전체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면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1.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케이스와 대향되도록 돌출된 완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진동시 상기 압전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1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제2 부분에 위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수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두께 방향으로 상하 왕복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진동 모듈.
  16. 삭제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기 개방홀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압전체의 진동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면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모듈.
KR1020120048131A 2012-05-07 2012-05-07 압전진동모듈 KR101343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31A KR101343214B1 (ko) 2012-05-07 2012-05-07 압전진동모듈
CN2012102617971A CN103390723A (zh) 2012-05-07 2012-07-26 压电振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31A KR101343214B1 (ko) 2012-05-07 2012-05-07 압전진동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53A KR20130124753A (ko) 2013-11-15
KR101343214B1 true KR101343214B1 (ko) 2014-01-02

Family

ID=4953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31A KR101343214B1 (ko) 2012-05-07 2012-05-07 압전진동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3214B1 (ko)
CN (1) CN1033907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800A (zh) * 2014-09-09 2014-11-19 安徽科技学院 一种提高袋制黄豆芽Vc含量的方法
CN105098057B (zh) * 2015-09-14 2018-05-11 苏州攀特电陶科技股份有限公司 新型压电振动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529A (ja) * 2005-09-27 2007-04-12 Epson Toyocom Corp 圧電振動素子、圧電振動素子の支持構造、表面実装型圧電振動子、及び表面実装型圧電発振器
JP2010147666A (ja) * 2008-12-17 2010-07-01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デバイス
KR20110045486A (ko) * 2009-10-27 2011-05-04 한 상 이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6206A (zh) * 1997-07-10 1999-01-27 三井化学株式会社 用于压电变压器的压电基片支承结构以及压电变压器
KR100476556B1 (ko) * 2002-04-11 200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WO2011074579A1 (ja) * 2009-12-15 2011-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圧電アクチュエータ、電子機器、並びに振動減衰及び振動方向変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6529A (ja) * 2005-09-27 2007-04-12 Epson Toyocom Corp 圧電振動素子、圧電振動素子の支持構造、表面実装型圧電振動子、及び表面実装型圧電発振器
JP2010147666A (ja) * 2008-12-17 2010-07-01 Nippon Dempa Kogyo Co Ltd 圧電デバイス
KR20110045486A (ko) * 2009-10-27 2011-05-04 한 상 이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53A (ko) 2013-11-15
CN103390723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055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354856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454071B1 (ko) 압전진동모듈
JP2011091719A (ja) 撓み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KR101354893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913341B1 (ko) 압전진동모듈
US9472746B2 (en) Vibrator
KR20150082938A (ko) 압전 진동 모듈
KR101409512B1 (ko) 압전진동모듈
KR102138323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29170B1 (ko) 진동발생장치
CN104184359B (zh) 振动产生装置
KR10158072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343214B1 (ko) 압전진동모듈
KR101569007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44442B1 (ko) 압전진동모듈
KR102030600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081148A (ko) 압전진동모듈
KR101653641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03372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03369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53644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59018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78637A (ko) 압전 진동 모듈과 이를 구비한 압전 진동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