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724A - 케이블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724A
KR20030047724A KR1020020067108A KR20020067108A KR20030047724A KR 20030047724 A KR20030047724 A KR 20030047724A KR 1020020067108 A KR1020020067108 A KR 1020020067108A KR 20020067108 A KR20020067108 A KR 20020067108A KR 20030047724 A KR20030047724 A KR 2003004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aped member
connector
cover cap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시로유타카
마사키가스유키
하마다유스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3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forced in a tortuous or curved path, e.g. knots in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2Angularly disposed contact and condu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부개구에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됨과 동시에 그 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면을 갖는 커넥터본체(30)와, 이 전선인출면을 덮음과 동시에 전선을 외부로 도출한 상태로 그 커넥터본체에 장착되는 커버캡(60)과, 이 커버캡의 벽면에 설치된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다. 이 전선지지기구는, 그 커버캡(60)의 전선(70) 인출개구에 근접하는 위치에,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81)가 삽입되는 폭을 갖는 홈(66b, 66c)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PROVIDED WITH WIRE HOLDER}
본 발명은,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관하고, 특히 전선지지기구에 전선을 결속하는 전선 결속구를 사용한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의 삽탈방향과 반대방향으로부터 커넥터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인출된 전기커넥터에서는, 전선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이 인장력이 커넥터단자에 직접 전달되어 버린다. 이 인장력이 강해지면, 커넥터 단자와 전선의 접속이 끊어지거나, 혹은 커넥터단자의 커넥터하우징 내에 걸어 고정되어 있는 부분(랜스)이 변형하여, 하우징과의 걸어고정됨이 끊기며, 커넥터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커넥터단자에 인장력이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특수형상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전선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방법, 혹은, 커넥터하우징의 배면에 커버를 설치하여, 전선을 일단 굴곡시킨 후에 후방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3-3076호 공보, 후자의 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329574호 공보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소 63-30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커넥터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삽탈되는 콘택을 갖는 블럭(100)과, 이 블럭(100)에 걸어고정되는 것으로 그 콘택과 케이블의 심선과의 접속부를 덮는 콘택 후드(1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콘택 후드(101)에는, 전선 도출개구에 근접한 위치에 케이블 클램프를 설치하는 기초대(102)가 형성되며, 이 기초대에 케이블 클램프를 나사(103)에 의해 고정하여 케이블(105)의 외주를 클램프하므로서, 상기 접속부로 인장력이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3295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선지지구를 구비한 커넥터는, 한쌍의 지지판과, 양 지지판끼리를 연결하는 폭협(幅挾)부와, 한쪽의 지지판에 설치된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결속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이 전선지지구를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하는 경우, 폭협부를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된 차입홈에 꽂아 넣으면, 폭협부가 슬롯부에 계지되어 고정된다. 이에 의해, 각 전선은 커넥터하우징의 배면을 따라 굴곡되므로, 그 후 전선이 후방으로배치되어, 여기에 인장력이 가해져도 커넥터하우징내의 단자에 직접 인장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이들의 전기커넥터는, 어느 것이나 전선을 고정하는데에 특수한 금구, 혹은 특수형상의 지지구를 커넥터하우징과는 별개로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그 하우징은 이들 특수 금구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특수한 형상으로 성형가공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특수 금구 등을 그 하우징으로 설치하는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금구 및 그를 고정하는 부품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많아게 되고, 또한 하우징의 성형가공이 번거롭기 때문에 전기커넥터의 제조 비용이 고가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수한 전선지지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지지기구의 구조를 간단화함과 동시에, 커넥터하우징으로의 설치작업을 단순화하여 설치 공수를 적게하고, 또한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이에 접속되는 리셉터클을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동 도면 (B)는 플러그와 리셉터클과의 비결합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플러그와 리셉터클과의 비결합상태에서 각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 (A)는 리셉터클의 사시도, 동 도면 (B)는 플러그의 커버캡을 분리한 사시도. 동 도면 (C)는 커버캡의 사시도.
도 3은 플러그를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도 2(B)의 A-A로부터 본 측면도, 동 도면 (B)는 도 2(B)의 B-B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커버캡을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정면도, 동 도면 (B)는 (A)의 A-A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동 도면 (C)는 (A)의 B-B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5는, 플러그에 다심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커버부분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 동 도면 (B)는 (A)의 A-A로 절단한 단면도, 동 도면 (C)는 B-B로부터 본 측면도.
도 6은, 공지의 전선결속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기접속구 20. 플러그
30. 플러그본체 35. 플랜지
60. 커버캡 65, 65a. 65b. 내측볼록돌기
65c, 65d. 외측볼록돌기 66, 66a, 66b. 내측볼록돌기
66c, 66d. 내측볼록돌기 70. 전선
80. 전선결속구81. 가요성 띠형상부재
83. 계지(係止)가장자리 84. 계지돌기
85. 잠금쇠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수단,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는, 내부개구에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됨과 동시에 그 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면을 갖는 커넥터본체와, 이 전선인출면을 덮음과 동시에 전선을 외부로 도출한 상태로 그 커넥터본체에 장착되는 커버캡과, 이 커버캡의 벽면에 설치된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그 전선지지기구는, 그 커버캡의 전선인출 개구에 근접하는 위치에,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가 삽입되는 폭을 갖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은, 커버캡의 벽면에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가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이 홈에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의해, 홈의 형상이 심플하게 되고, 홈의 성형이 간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결속구는, 복수의 전선을 결속하는 전선결속구로서,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편면에 계지부를 갖는 가요성 띠형상부재와, 그 가요성 띠형상부재의 선단에 설치된 그 계지부와 걸어맞춤하는 잠금쇠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이 전선결속구는, 이미 공지로서, 이를 전선지지기구에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새로이 특별한 고정금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상기 띠형상부재의 폭 보다 폭이 넓은 거의 편행한 볼록돌기로 형성되며, 그 볼록돌기의 높이는 적어도 그 띠형상부재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상기 띠형상부재의 폭보다 폭이 넓은 거의 편행한 2조의 볼록돌기와, 그 2조의 볼록돌기의 외측에 근접하여 설치된 외측볼록돌기를 구비하고, 그 각 볼록돌기의 높이를 적어도 그 띠형상부재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함과 동시에, 그 외측볼록돌기의 선단이 내측볼록돌기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돌기는, 상기 커버캡의 대향하는 벽면에 설치되며, 대향하는 내측볼록돌기간에 상기 띠형상부재가 끼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들의 홈은, 볼록돌기로 형성되는 것에서 그 형상이 단순화되며,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전선지지구의 띠형상부재를 볼록돌기간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커넥터 하우징으로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그 때마다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고, 그 변경한 부분의 구조 및 기능은, 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하고, 추측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이에 접속되는 리셉터클을 나타내고, 도 도면 (A)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동 도면 (B)는 플러그와 리셉터클과의 비결합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와 리셉터클과의 비결합상태에서 각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 (A)는 리셉터클의 사시도, 동 도면 (B)는 플러그의 커버캡을 분리한 사시도. 동 도면 (C)는 커버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를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도 2(B)의 A-A로부터 본 측면도, 동 도면 (B)는 도 2(B)의 B-B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전기접속구(10)는, 플러그(20)와 이에 착탈자유롭게 접속되는 리셉터클(90)로 이루어진다. 플러그(20)는 플러그본체(30)와 이 플러그본체에 장착되는 커넥터단자와 리드선의 접속부를 덮는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캡(60)을 갖는다.
플러그본체(30)는, 편평한 블럭형상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벽(31a, 31b) 및 좌우의 측벽(31c, 31d)를 갖고, 이들의 외주벽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35)와, 그 하우징 내부에 커넥터단자가 장착되는 개공(40)이 설치되며,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성형된다.
플랜지(35)는, 상하벽면(31a, 31b)의 양 단부와 일측벽면(31c)의 거의 중앙부에, 각각의 벽면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기립한 벽면을 갖는 돌기부(35a∼35e)가 설치되며, 기립한 벽면이 각각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 이들의 돌기부(35a∼35e)에는, 각각 개공이 설치되며, 각 개공의 거의 중앙부에 계지돌기(36a∼36e)가 형성된다. 이들의 돌기부(35a∼35e)내에 설치된 계지돌기(36a∼36e)는, 후술하는 커버캡의 설치구멍과 걸어맞춤하여, 커버캡을 고정한다.
플러그본체(30)는, 플랜지(35)를 경계로 하여, 전방 및 후방하우징으로 나누어져 있다. 전방플랜지는, 상하벽(31a, 31b) 및 좌우의 측벽(31c, 31d)을 갖고, 그 외형은, 후술하는 리셉터클에 끼워 삽입되도록 리셉터클의 개공형상과 거의 동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벽면(31a)에는, 개공부(32)의 선단으로부터 굴절하여 뻗은, 띠형상의 탄성계지아암(37a, 37b)가 형성되며, 그들의 선단이 압압편(37)로 연결된다. 또한 탄성계지아암(37a, 37b)에는, 띠형상부재의 도중에 계지돌기(38a, 38b)가 설치된다.
이 탄성계지아암(37a, 37b)은, 플러그가 리셉터클로 접속된 때, 그 탄성계지아암(37a, 37b)의 계지돌기(38a, 38b)가 리셉터클의 오목부(도시생략)에 인입되어, 양자가 결합된다.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압압편(37)을 손가락으로 눌러, 계지돌기(38a, 38b)의 걸어맞춤을 분리시키므로서, 양자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또, 전방하우징 내부에는, 복수의 커넥터단자를 장착할 수 있는 개공부(32)가 설치되며, 이 개공부(32)는 후방하우징의 공간부로 연통하고 있다. 개공부(32)에는, 거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뻗는 선반(33)이 설치되며, 이 선반(33)의 상면에는 커넥터단자가 장착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또 선반(33)의 하면은 복수의 격벽에 의해 칸막이되어, 각각의 홈 및 격벽간에서 형성된 방에 각각 다른 종류의 커넥터단자(50a∼50n, 51a∼51n)이 장착된다.
후방플랜지에는, 전방하우징의 개구부(32)의 외벽이 플랜지(35)로부터 후방단으로 돌출하고, 그 개구부(32)와 연통한 공간부에, 커넥터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멍 및 그 단자에 접속되는 리드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면이 형성된다. 또, 이 후방하우징에는, 전방하우징의 양 측벽(31c, 31d)으로부터 뻗은 한쌍의 돌출편(39, 40)이 설치되며, 한쪽의 돌출편(39)은 폭이 좁게, 다른 쪽의 돌출편(40)은 폭이 넓게 형성된다. 폭이 좁은 돌출편(39)에는, 그 외측의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안내홈(39a)이 설치된다. 또, 폭이 넓은 돌출편(40)에는, 그 선단이 전선의 외형에 끼워지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편의 폭방향 양단에 단차를 설치하여 축방향으로 뻗는 안내볼록부(40a, 40b)가 형성된다.
또, 후방하우징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에 의해 칸막이되어, 각각의 홈 및격벽간에서 형성된 방이 형성되며, 이들의 홈 및 방에 각각 다른 종류의 접속단자가 장착된다. 이들의 개공은 전방하우징의 개구로 연통되며, 전방하우징에 장착되는 단자로 접속된다.
한편, 이 플러그(20)와 결합되는 리셉터클(90)은, 편평한 블럭형상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벽 및 좌우의 측벽을 갖고, 이들의 외주벽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와, 그 양 측벽에 패널설치구멍과 걸어맞춤하는 탄성계지아암(도 1(B)에 한쪽의 계지아암(95b)만을 도시)과, 그 하우징 내부에 커넥터단자가 장착되는 개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공은, 플러그를 삽입할수 있도록 플러그의 외형형상과 거의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개공의 반대측, 즉 플러그 접속방향과 반대측에 이 개공과 연통한 개공이 형성된다. 이들의 개공에는, 다른 커넥터(도시생략)와 착탈자유롭게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핀(93)이 끼워 설치됨과 동시에, 리드선부착의 단자(도시생략)가 장착되는 복수의 방(9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커버캡을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정면도, 동 도면 (B)는 (A)의 A-A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동 도면 (C)는 (A)의 B-B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커버캡(60)은, 커넥터단자에 접속되는 리드선 인출면을 덮는 전선을 바깥쪽으로 도출한 상태에서 플러그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플러그본체(30)에 장착되는 측 및 전선을 도출하는 측이 개구된 편평한 형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이 박스체는, 주위측벽(61c, 61d)가 폐쇄되며, 전선을 도출하는 측벽(61e) 및 플러그본체에 장착되는 측벽(61f)이 개구되어 있다. 측벽(61e)의 개구(62)는, 거의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이 U자 형상의 홈(62)의 대향하는단면에는, 볼록부(40a, 40b)와 끼워맞춤되는 홈(62a, 62b)(도 2(C)에 그 한쪽 62b가 개시되어 있다)이 형성되며, 또한 그 홈안쪽부에는, 커넥터본체(30)에 커버캡(60)이 장착된 때에, 측벽(40)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전선이 삽통가능하게 개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개구측벽(61c)의 4모서리 및 일측벽(61d)의 선단에는, 각각 계지돌편(63a∼63e)이 형성되며, 각 계지돌편에는, 각각 계지구멍(64a∼64e)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계지구멍(64a, 64b, 64e)는 도 4에 나타나 있고, 다른 64c, 64d는 생략되어 있다.
커버캡(60)은, 개구(62)에 근접시켜 그 캡의 상하벽(61a, 61b)의 내벽면에, 전선이 걸어고정되는 볼록돌기(65, 66)가 형성된다(도 2(C) 참조). 상하벽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볼록돌기(65, 66)는, 측벽(61e)과 거의 평행으로 2조가 한쌍으로 된 4본의 볼록돌기(65a∼65d, 66a∼66d)로 이루어진다. 내측볼록돌기(65a와 65b, 66a와 66b)의 간격은, 후술하는 케이블 스토퍼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다. 또, 상하의 내측볼록돌기(65a와 65b, 66a와 66b)의 높이, 즉 상벽면의 내측볼록돌기(65a, 66a)와 하벽면의 내측볼록돌기(65b, 66b)와의 간격은, 이들의 사이에 후술하는 케이블 스토퍼가 삽입되어, 그 스토퍼와 걸어고정되는 높이에 설정된다. 또, 외측볼록돌기(65c, 65d)는, 각 내측볼록돌기(65a, 65b)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같은 모양으로 외측볼록돌기(66c, 66d)는, 각 내측볼록돌기(66a, 66b)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그들의 높이는 각 내측볼록돌기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상하 내벽면에 설치된 내측 및 외측의 볼록돌기의 선단은, 외측볼록돌기(65c, 65d 및 66c, 66d)의 선단이 내측볼록돌기(65a, 65b 및 66a, 66b)의 선단으로부터 뻗어있다.
외측볼록돌기의 선단이 내측볼록돌기의 선단보다 약간 연장되는 것에 의해, 외측볼록돌기의 간격이 넓게 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 스토퍼를 볼록돌기의 선단으로부터 삽입할 때에, 외측볼록돌기의 폭이 내측볼록돌기로의 케이블 스토퍼의 안내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좁은 개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볼록돌기는, 내측 및 외측의 볼록돌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외측볼록돌기를 생략하고, 내측볼록돌기만이라도 된다. 또, 볼록돌기는, 상하벽면에 형성되어있지만, 한쪽의 벽면만이라도 된다. 이 변경에 기초하여, 볼록돌기의 형상을 케이블 스토퍼의 형상에 따라 변경되는 것은 기술할 것 까지는 없다. 또, 케이블 스토퍼는, 볼록돌기의 선단으로부터 삽입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변경에 의해, 상방으로부터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커버캡은, 플러그로 장착되는 것이었지만, 리셉터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리셉터클은, 도 1 (B)의 부호 90으로 나타낸 형의 것과 달리, 접속핀(93)은 리드선 부착의 커넥터단자로 변경하고, 다심케이블을 사용하는 형의 것으로 한다.
또, 상기한 커버캡(60)은, 편평상의 박스체였지만,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형, 환형 등 임의의 형상체라도 된다. 또한, 이들 커버캡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수반하여, 전선 혹은 다심케이블의 도출개구는, 플러그본체에 인접한 측벽으로가 아닌, 플러그본체에 대향하는 이면벽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구가 이면벽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전선을 커버캡내에서 굴곡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2조의 내측볼록돌기는, 길이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케이블 스토퍼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스토퍼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 외측볼록돌기도 상기 볼록돌기와 똑같이 형성하여, 내측볼록부 및 외측볼록부의 일단의 선단은, 외측볼록부의 선단이 내측볼록부의 선단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전선(70)은, 케이블, 예를 들면 다심케이블을 포함하고,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내부에 복수의 리드선(71a∼71i)을 갖고, 이들 리드선은 외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심케이블(70)의 외피를 벗겨낸 부근의 외피상에는, 케이블 스토퍼(80)가 체결된다. 이 케이블 스토퍼(80)에는, 이미 시판되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수지제의 전선결속구(도 6참조)가 사용된다. 그 구조는, 통상,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갖는 가요성 띠형상부재(81)로 이루어지며, 이 띠형상부재의 선단에 방형틀 형상의 잠금쇠(85)가 설치되며, 편면에는 도중으로부터 선단(82)을 향하여 톱니상으로 다수의 계지가장자리(83)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쇠(85)는 띠형상부재(81)를 삽통가능하게 함과동시에, 그 개구가장자리에는 임의의 계지가장자리(83)를 해제가능하게 걸어고정하는 훅돌기(84)가 휨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플러그에 다심케이블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플러그에 다심케이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동 도면 (A)는 커버부분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 동 도면 (B)는 (A)의 A-A로 절단한 단면도, 동 도면 (C)는 B-B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먼저, 다심케이블(70)의 선단의 외피를 벗기고, 리드선을 분리하여, 각 리드선의 선단에 각각 커넥터단자(1개의 단자(50i)가 도 5(B)에 나타나 있다)가 접속된다.
이 다심케이블(70)의 외피를 벗겨낸 부근의 외피 주위에 전선결속구(80)의 띠형상부재(81)를 두르고, 띠형상부재(81)의 선단(82)을 잠금쇠(85)의 개구에 삽통하여, 외피주위에 체결한다.
띠형상부재(81)의 계지가장자리(83)가 훅돌기(85)에 걸어고정된 상태로 연결구(84)로부터 돌출된 띠형상부재를 절단하여, 다심케이블(70)에 전선결속구(80)를 고정한다. 다심케이블에 전선결속구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 부분의 케이블의 외주 직경은, 띠형상부재(81)의 폭부분에 있어서 그 두께만큼 커진다.
이 커진 부분을 케이블 스토퍼로서 이용한다. 즉, 다심케이블(70)의 외피상에 잠금쇠(85)를 플러그본체로 향하도록 체결하고, 띠형상부재(81)의 환상부분을 볼록돌기에 압입한다. 그러면, 외측볼록돌기(65c, 65d 및 66c, 66d)의 선단이 내측볼록돌기(65a, 65b 및 66a, 66b)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볼록돌기가 띠형상부재(81)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하고, 내측볼록돌기(65a, 65b 및 66a, 66b)간에 간단히 압입된다. 이 압입에 의해, 띠형상부재(81)의 환상부분은, 커버캡(60)의 내측볼록돌기(65a, 65b 및 66a, 66b)간에 고정된다.
이어서, 커버캡(60)에 다심케이블(70)을 고정하고, 이 다심케이블에 접속된콘택단자를 플러그본체(30)의 개공으로 장착하여, 그 커버캡의 계지돌편(63a∼63e)을 돌기부(35a∼35b)의 개공으로 삽입한다. 이 삽입에 의해, 계지돌편(63a∼63e)의 계지구멍(64a∼64e)이 돌기부(35a∼35e)의 계지돌기(36a∼36e)와 걸어맞춤되어, 플러그본체(30)에 커버캡(60)이 고정된다. 또, 플러그본체의 개공으로 콘택단자를 장착한 후에, 다심케이블에 커버캡을 고정하여, 플러그본체로 장착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의하면, 특수한 전선지지구를 적용하지 않고 전선지지기구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커넥터하우징으로의 설치작업을 간단히 하여 설치공수를 적게하고, 또한 제조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내부개구에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됨과 동시에 그 단자에 접속되는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면을 갖는 커넥터본체와, 상기 전선인출면을 덮음과 동시에 전선을 외부로 도출한 상태로 상기 커넥터본체에 장착되는 커버캡과, 상기 커버캡의 벽면에 설치된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기구는, 상기 커버캡의 전선인출 개구에 근접하는 위치에,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가 삽입되는 폭을 갖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결속구는, 복수의 전선을 결속하는 전선결속구로서, 소정의 폭 및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편면에 계지부를 갖는 가요성 띠형상부재와, 상기 가요성 띠형상부재의 선단에 설치한 상기 계지부와 걸어맞춤하는 잠금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의 폭 보다 폭이 넓은 거의 편행한 볼록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돌기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띠형상부재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의 폭 보다 폭이 넓은 거의 편행한 2조의 볼록돌기와, 상기 2조의 볼록돌기의 외측에 근접하여 설치된 외측볼록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볼록돌기의 높이를 적어도 상기 띠형상부재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볼록돌기의 선단이 내측볼록돌기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돌기는, 상기 커버캡의 대향하는 벽면에 설치되며, 대향하는 내측볼록돌기 사이에 상기 전선결속구의 띠형상부재가 끼워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KR1020020067108A 2001-12-06 2002-10-31 케이블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KR20030047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3447A JP2003173843A (ja) 2001-12-06 2001-12-06 電線保持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JP-P-2001-00373447 2001-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24A true KR20030047724A (ko) 2003-06-18

Family

ID=1918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08A KR20030047724A (ko) 2001-12-06 2002-10-31 케이블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24420B2 (ko)
EP (1) EP1318571A3 (ko)
JP (1) JP2003173843A (ko)
KR (1) KR20030047724A (ko)
CN (1) CN1423372A (ko)
TW (1) TWI2519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545A (ja) * 2003-03-24 2004-10-14 Yazaki Corp コネクタ用プロテクタ
JP2006031974A (ja) * 2004-07-12 2006-02-02 Tyco Electronics Amp Kk ワイヤカバー付き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カバー
JP4520315B2 (ja) * 2005-01-21 2010-08-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用電線カバー
JP5012287B2 (ja) * 2007-07-27 2012-08-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758389B2 (en) * 2008-01-25 2010-07-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movable plug
JP5588773B2 (ja) * 2010-07-28 2014-09-1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ワイヤカバー、電気コネクタ
JP2012119240A (ja) * 2010-12-02 2012-06-21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5646974B2 (ja) * 2010-12-02 2014-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98384B2 (ja) * 2011-03-04 2014-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820838B2 (en) 2012-04-10 2017-11-21 Ethicon, Inc. Single plane tissue repair patch
US9820837B2 (en) 2012-04-10 2017-11-21 Ethicon, Inc. Single plane tissue repair patch
US9820839B2 (en) 2012-04-10 2017-11-21 Ethicon, Inc. Single plane tissue repair patch having a locating structure
JP6191915B2 (ja) * 2013-10-29 2017-09-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3225449A1 (de) * 2013-12-10 2015-07-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cker
CN103767555A (zh) * 2014-01-24 2014-05-07 广东福尔电子有限公司 电饭煲的保温板
DE102016108621B4 (de) * 2016-05-10 2018-01-25 Lisa Dräxlmaier GmbH Steckverbindergehäuse und Steckverbinder
US9929496B1 (en) * 2016-12-20 2018-03-27 Schneider Electric USA, Inc. Rectilinear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selectable cable outlet positions for confined spaces
JP6840583B2 (ja) * 2017-03-16 2021-03-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カバー
JP7042580B2 (ja) * 2017-09-22 2022-03-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カバー体、及びコネ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DE102018127231B3 (de) * 2018-10-31 2020-03-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m Fixierteil zum Bereitstellen einer Zugentlastung oder Mantelfixierung
JP7219464B2 (ja) * 2019-04-26 2023-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274127B2 (ja) * 2019-11-07 2023-05-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TWI729616B (zh) * 2019-12-10 2021-06-0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源接頭
JP7268083B2 (ja) * 2021-05-13 2023-05-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1923636B2 (en) * 2021-09-10 2024-03-05 Turck Inc. Cable connector, cable connector arrangement and d-sub type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4960A (en) * 1972-11-30 1974-02-26 Itt Junction shell
US3936129A (en) * 1974-09-16 1976-02-03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olded plastic hood assembly for a cable connector plug
US4035051A (en) * 1976-10-19 1977-07-12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Adjustable molded hood assembly for a cable connector plug
US4722580A (en) * 1981-03-02 1988-02-02 Amp Incorporated Two way cover assembly
US4842549A (en) * 1987-04-16 1989-06-27 Amp Incorporated Dual diameter cable strain relief
US4842547A (en) * 1988-05-19 1989-06-27 Amp Incorporated Staple cable strain relief
JPH07118348B2 (ja) * 1990-07-04 1995-12-18 英朗 茂治 ケーブルの抜け止め装置
US5389006A (en) * 1993-08-13 1995-02-14 Burndy Corporation Lightweight entertainment connector
US6139355A (en) * 1998-05-18 2000-10-31 The Whitaker Corporation Cover and strain relief for a cable assembly
TW395587U (en) * 1998-12-31 2000-06-2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24420B2 (en) 2004-11-30
TWI251962B (en) 2006-03-21
EP1318571A3 (en) 2004-05-06
CN1423372A (zh) 2003-06-11
TW200301029A (en) 2003-06-16
US20030109169A1 (en) 2003-06-12
EP1318571A2 (en) 2003-06-11
JP2003173843A (ja) 200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7724A (ko) 케이블지지기구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US4758182A (en) Electric connector
EP0605200B1 (en) Press-contact connector assembly
AU2007215468B2 (en) Fiber optic splitter module
US6830489B2 (en) Wire holding construction for a joint connector and joint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PL202202B1 (pl) Człon do porządkowania przewodów w elektrycznym łączniku wtykowym, elektryczny łącznik wtykowy z członem do porządkowania przewodów, sposób porządkowania i łączenia przewodów w elektrycznym łączniku wtykowym, oraz narzędzie do porządkowania i łączenia przewodów w elektrycznym łączniku wtykowym
JPH02501173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端カバー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CN114094379A (zh) 用于汽车中的数据传输的连接器***件和连接器
JP5646974B2 (ja) 電気コネクタ
JPH09325223A (ja) 光接続部収納トレー
US632240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orientation features
US5658169A (en) Electrical connector part
JP353913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3589197B2 (ja) コネクタ
JP2003007384A (ja) コネクタ
JPH0919035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車体取付構造
JPH1116625A (ja) コネクタの二重係止部材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H08148198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スプライス部保護具
JP3126906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端子金具の係止構造及び係止方法
JPH086383Y2 (ja) 複数係合アーム付き電気コネクタ
JP2012243475A (ja) ワイヤハーネスへのジョイントコネクタ取付部品
JP2002324613A (ja) コネクタ
KR100510195B1 (ko) 이중고정형 전기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