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880A -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880A
KR20030020880A KR1020027015989A KR20027015989A KR20030020880A KR 20030020880 A KR20030020880 A KR 20030020880A KR 1020027015989 A KR1020027015989 A KR 1020027015989A KR 20027015989 A KR20027015989 A KR 20027015989A KR 20030020880 A KR20030020880 A KR 2003002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ainer
recovery
cool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1241B1 (ko
Inventor
니타가이오사무
하세바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7Devices for removing chips outside the working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2/00Turning
    • Y10S82/901Chip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752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16Severing or cut-off
    • Y10T82/16098Severing or cut-off with dust or chip hand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가공을 끝낸 후에, 상기 제품을 자동적으로 회수하는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삭편의 냉각액 수취 상자로의 혼입이 적고, 가공 부위의 근방이나 가공실 내에 배치가 가능하여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제품의 회수율이 높은 제품 회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료 유지 수단에 유지된 재료(B)에 대하여 가공을 행하여 제품(W)을 생산하는 공작 기계로부터, 상기 제품을 회수하는 제품 회수 장치(100)로서, 상기 제품을 수취하는 제품 회수관(102)과, 상기 제품을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상기 제품 회수관 내에 끌어넣기 위한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과, 이 흡인 에어 발생 수단과 상기 제품 회수관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품의 회수 용기(120)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수 용기에 냉각액을 모으는 냉각액 저장부를 설치하고, 이 냉각액 저장부 내의 냉각액에 상기 제품 회수관에 의해서 회수된 제품을 낙하시키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 {PRODUCT RECOVERY APPARATUS AND PRODUCT RECOVERY METHOD}
공작 기계, 예를 들면, 자동 선반에는 주축 후방보다 주축의 관통공을 통해서 긴 봉재를 공급하고, 이 봉재를 주축 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씩 이송하면서, 연속하여 선삭이나 연삭 등의 가공을 행하는 것이나, 한 개 분의 재료를 로봇 등에 의하여 주축 전방으로부터 주축에 공급하여 가공을 행하는 것이 있다.
이 중, 전자의 공작 기계에서는, 봉재의 선단을 주축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시키고, 절삭 공구대 또는 주축대를 이동시켜 소정의 가공을 행한 후, 절단 바이트 등의 공구로 제품을 봉재로부터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제품은 제품 회수 장치에 의해서 회수된다.
도 16은 전자의 공작 기계의 종래예와 관련한, 제품 회수 장치를 구비한 자동 선반의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16에서는 자동 선반의 베이스(4) 상에 주축대(2)가 배치되고, 이 주축대(2)에 주축(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축대(2)는 베이스(4) 상의 나선 축(3)을 따라 주축(1)의 축선과 동일한 방향인 Z 방향으로 진퇴 이동이 가능하다.
주축대(2)의 전방(도 16의 좌측)에 가이드 부시(6)를 지지하는 지지체(7)가 설치되고, 주축(1)의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여 이송된 봉재(B)의 선단이 가이드 부시(6)에 의해서 지지된다. 지지체(7)의 근방에는 복수의 공구(T)를 유지하는 빗살 치형 절삭 공구대 등의 절삭 공구대가 배치되고, 소정의 선삭을 행하는 절삭 바이트나 절단을 행하는 절단 바이트 등의 공구(T)를 가이드 부시(6)의 전방의 가공 위치에 인덱스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자동 선반은 주축대(2)가 나선 축(3)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 부시(6)로부터 봉재(B)의 선단을 돌출시켜, 주축대(2)의 Z 방향의 이송과 공구(T)의 X 방향의 이송에 의해 봉재(B)의 선단을 가공한다. 가공 종료 후에는, 가이드 부시(6) 전방의 근방 위치에서 절단 바이트 등의 공구(T)에 의해서 봉재(B)를 절단하여 제품(W)을 봉재(B)로부터 분리한다. 공구(T)에 의한 봉재(B)의 가공 중에는 냉각액 노즐(8)로부터 공급된 냉각액이 공구(T) 및 봉재(B)를 향해서 분사된다.
제품 회수 장치(20)는 주축대(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가능한 피스톤 로드(21a)를 가지는 실린더(21), 가이드 부시(6)의 하방에 설치된 커버(9)의 바로 아래 위치와 지지체(7)로부터 멀어진 퇴피(退避) 위치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하는 제품 회수용 슈트(22), 슈트(22)를 통하여 제품(W)을 수취 회수하는 수취 상자(25), 및 수취 상자(25)와 슈트(22)의 사이에 설치된 깔때기형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슈트(22)는 실린더(21)의 피스톤 로드(21a)의 선단에 장착되어, 실린더(21)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바로 아래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상기 구성의 제품 회수 장치(20)에서는, 제품(W)이 절단되기 직전에 실린더(21)가 구동하여 슈트(22)를 커버(9)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이 슈트(22)는 절단되어 떨어지는 제품(W)을 수취한다. 슈트(22)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취 상자(25)를 향해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슈트(22)를 따라 제품이 미끄러져 떨어져서 깔때기형 부재(24)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깔때기형 부재(24)의 하방에 설치된 수취 상자(25)에 제품(W)이 낙하하여 회수된다.
그런데, 이 도 16에 나타낸 제품 회수 장치(20)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절단 시에도 냉각액 노즐(8)로부터는 냉각액이 계속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냉각액이 슈트(22)로부터 깔때기형 부재(24)를 지나서 제품(W)과 함께 수취 상자(25)에 회수된다. 또, 슈트(22)나 깔때기형 부재(24)가 자동 선반의 가공실 내에서 노출의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 중에 발생한 절삭편이 냉각액과 함께 대량으로 수취 상자(25)에 혼입되거나, 슈트(22)나 깔때기형 부재(24)에 절삭편이 부착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수취 상자(25)에는 냉각액 및 절삭편과 함께 제품(W)이 뒤섞여 회수되고, 수취 상자(25)는 곧 가득 채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 슈트(22) 및 깔때기형 부재(24)에서는, 절삭편에 제품(W)이 얽혀 걸리거나, 수취 상자(25)에 냉각액 및 절삭편과 함께 제품(W)이 뒤섞여 회수되기 때문에, 제품(W)을 절삭편과 분리하여 회수하는데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시계 부품과 같은 매우 작은 부품을 절삭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취 상자(25)에 냉각액과 함께 흘러들어 온 제품(W)이 수취 상자(25)로부터 넘치기 시작한 냉각액과 함께 수취 상자(25)의 외측으로 흘러나와 제품(W)의 회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9-94704호 공보에는 절단 시에 부품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능을 겸비한 관을 가지며, 이 관을 이용하여, 에어의 흡인에 의해 절단된 부품을 회수하는 제품 회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7에 일본국 특허공개 평9-94704호 공보에 기재된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또, 주축대나 주축, 공구 등 봉재(B)를 가공하기 위해서 자동 선반에 설치되어 있는 기구에 대해서는, 도 16에 나타낸 자동 선반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품 회수 장치(30)는 절단 시에 봉재(B)의 선단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튜브(31), 이 가이드 튜브(31)에 접속된 에어 튜브(32), 에어의 흡인을 행하기 위한 진공 펌프(36), 및 회수된 제품(W)을 받는 수취 상자(35)를 가지고 있다.
진공 펌프(36)와 에어 튜브(32)는 에어 튜브(32)의 중간에서 분기되는 분기관(36a)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 튜브(31)는 금속제의 원통형체 등으로형성되고, 자동 선반의 테이블(5) 등에 고정된 지지 부재(33)에 의해 주축(1)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 상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은 봉재(B)에서 제품(W)을 절단할 때에 제품(W)의 일부가 가이드 튜브(31)의 선단에 삽입되도록 위치가 정해져 있다.
또, 진공 펌프(36)를 구동하여 에어의 흡인을 행할 때에, 에어 튜브(32)의 제품 출구 측으로부터 에어가 흡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에어 튜브(32)의 제품 출구 측, 즉 수취 상자(35) 측에는 에어 튜브(32)의 출구 측 개구를 막는 개폐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수단은 실린더(38)와, 이 실린더(38)의 신축가능한 피스톤 로드(38a)의 선단에 장착된 개폐 부재(39)로 이루어지고,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제품(W)의 회수를 행할 때에는, 실린더(38)를 구동시켜 출구 측 에어 튜브(32)의 개구를 막고, 제품(W)의 흡인 후에 개폐 부재(39)를 열어, 제품(W)을 수취 상자(35)로 낙하,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품 회수 장치(30)에 의하면, 절단된 제품(W)을 가이드 튜브(31)로 회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W)과 함께 수취 상자(35)에 회수되는 냉각액이나 절삭편의 양이 극히 적어진다. 또, 가공 부위에서 멀어진 곳이나 가공실의 외측에 제품 회수 장치(30)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중에 비산되는 절삭편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일본국 특허공개 평9-94704호 공보 기재의 제품 회수 장치는, 에어 튜브(32)의 중간 부위에서 분기관(36a)을 분기시켜 진공 펌프(36)에 접속하고있기 때문에, 가이드 튜브(31)로부터 흡입된 절삭편이나 냉각액이 진공 펌프(36)에 흡인되어, 진공 펌프(36)의 동작 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제품 회수 장치(30)를 가공실의 외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자동 선반이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회수된 제품(W)이 고속으로 개폐 부재(39)에 충돌하기 때문에 제품(W)에 흠이 생기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구조상, 개폐 수단과 수취 상자(35) 사이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수취 상자(35)에 뛰어든 제품(W)이 수취 상자(35)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와, 제품의 회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개폐 부재(39)를 개폐시키는 기구가 복잡하여 장치 가격을 높게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의 일본국 특허공개 평9-94704호 공보 이외에도, 일본국 특허공개 소60-76901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공개 소57-126947호 공보에 기재된 제품 회수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모두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 가격이 고가인 이상, 절삭편이나 냉각액의 분무로 채워지는 가공실 내에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상기 공보에 기재된 장치 중에는, 척에 의해서 제품(W)을 파지하여 반송하는 형태의 것이 있지만, 이러한 장치는 제품(W)의 형상에 따라 제품의 회수가 곤란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품 한 개 분의 재료를 주축에 공급하여, 공구와의 상대 이동에 의해서 가공을 행하고, 가공 후의 제품을 배출하고, 다시 다음 재료를 공급하여 가공을 반복하는 후자의 공작 기계의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재료의 공급과 제품의 배출을행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반송용 로봇의 선단에 재료 공급용 및 재료 배출용 복수의 파지 수단을 설치하고, 주축 전방에서 재료의 공급과 제품의 배출을 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반송용 로봇의 선단에 재료 공급용과 제품 배출용 파지 수단을 각각 별개로 최소한 2개 이상을 배치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반송용 로봇의 가반 중량이 커져 버린다. 또, 주축 전방에서의 반송용 로봇의 위치 결정이 최저 2개소가 되며 제어가 복잡해지고 주축 주위에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반송용 로봇의 반송 속도를 억제할 필요가 생기는 등, 결과적으로 설비 비용의 상승, 생산성의 저하 등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종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고, 가공 부위의 근방 또는 절삭편이나 냉각액의 분무로 채워진 가공실 내에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절삭편이 수취 상자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수한 제품에 대한 손상 발생을 방지하고, 공간 절약에 의한 제품의 회수율도 높은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의 가공을 끝낸 후에, 상기 제품을 자동적으로 회수하는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를 구비한 자동 선반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수 용기를 바로 위에서 본 일부 파단평면도이다.
도 3은 냉각액 배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도로, (a)는 배출구를 닫은 상태, (b)는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수 용기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수 용기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제품 회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회수 용기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품 회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품 회수 장치를 하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자동 선반의 외측에 도 9의 제품 회수 장치를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품 회수 장치를 하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를 주축 이동형의 공작 기계에 설치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작 기계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종래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를 구비한 자동 선반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종래예에 따른 일본국 특허공개 평9-9470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는, 재료 유지 수단에 유지된 재료에 대하여 가공을 행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공작 기계로부터 상기 제품을 회수하는 제품 회수 장치로서, 상기 제품을 수취하는 제품 회수관, 상기 제품을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상기 제품 회수관 내로 끌어넣기 위한 흡인 에어 발생 수단, 및 이 흡인 에어 발생 수단과 상기 제품 회수관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품의 회수 용기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재료 유지 수단」이란, 부시와 같이 재료를 지지하는 유형의 것, 콜릿 척이나 스크롤 척과 같이 재료를 파지하는 유형의 것, 또는 마그넷 척이나 진공 척과 같이 재료를 흡착하는 유형의 것,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 등, 재료를 유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회수 용기에 냉각액을 모으는 냉각액 저장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냉각액 저장부에 냉각액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에 의한 에어의 흡인 시에 상기 배출구를 닫는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액 저장부에 된 냉각액 내에 상기 제품 회수관에 의해서 회수된 제품을 낙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수 용기의 내부에 상기 제품을 받기 위한 제품받이를 설치하고, 이 제품받이를 상기 회수 용기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받이 저부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회수 용기의 저부로부터 분리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품과 함께 흡인된 절삭편이나 부스러기 중, 상기 제품보다 작은 상기 절삭편이나 상기 부스러기를 상기 제품과 분리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저부에 침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수 용기의 지붕부를 경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붕부의 정상부 측에 상기 에어 흡인관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수 용기를 용기 상부와 용기 하부로 형성하고, 상기 용기 상부에 상기 에어 흡인관 및 상기 제품 회수관을 접속하여, 상기 용기 하부에 제품이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 하부와 상기 용기 상부를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용기 하부를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용기 상부의 하방으로 상기 용기 하부의 하나를 인덱스하는 인덱스 수단과,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액 저장부 및/또는 상기 제품받이를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액 저장부 및/또는 상기 제품받이를 이동시켜 소정의 위치로 인덱스하는 인덱스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품 회수 방법은, 공구와 재료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을 행하고, 가공 종료 후에 가공된 제품을 회수하는 제품 회수 방법으로서, 흡인 에어에 의해서 제품의 회수를 행하기 위한 제품 회수관을 가공 중인 제품에 대치시켜 위치시키고, 흡인 에어를 발생시키는 흡인 에어 발생 수단과 상기 제품 회수관 사이에 제품의 회수 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품을 상기 재료 유지 수단으로부터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을 상기 재료로부터 절단하는 가공을 행할 때에, 상기 제품 회수관에 상기 제품의 일부를 삽입하고, 상기 제품의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해제, 또는 절단 가공의 개시와 동시 또는 절단 가공 개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해제된 제품 또는 재료로부터 절단된 제품이 상기 회수 용기에 회수된 후에,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을 정지시키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를 구비한 자동 선반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제품 회수 장치(100)는 자동 선반 등의 공작 기계의 가공실 내에 배치되는 회수 용기(120)와, 이 회수 용기(120)에 접속되는 제품 회수관(102) 및 에어 흡인관(104)과, 에어 흡인관(104), 회수 용기(120) 및 제품 회수관(102)을 통하여제품(W)을 회수하기 위한 흡인 에어를 발생시키는 진공 펌프나 제어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을 가지고 있다.
제품 회수관(102) 및 에어 흡인관(104)은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서 용이하게 찌부러지는 일이 없고, 또한 신축 가능하여 굴곡가능한 플렉시블 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회수관(102)의 선단에는 금속 또는 수지로, 제품 회수관(102)과는 별개로 형성된 직선형의 관(101)이 장착되어 있다. 이 관(101)은 테이블(5)에 설치된 지지 부재(105)에 의해 주축(1)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 상에 지지되어 있고, 재료인 봉재(B)로부터 제품(W)이 절단될 때, 제품(W)의 일부가 관(101)의 구멍 내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때, 제품(W)의 반 이상을 관(101)의 구멍 내부에 삽입하여, 절단 후에 제품(W)이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101)은 구멍 내경이 제품(W)의 최대 직경보다도 약간 커다란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봉재(B)로부터 제품(W)을 절단할 때에, 제품(W) 선단의 요동을 억제하는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이 가이드에 따라 절단 가공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절단 가공 시에 생기는 절삭편(R)은 낙하하여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편 회수부에 회수된다.
단면이 원형인 회수 용기(120)는 용기 상부(121)와 용기 하부(122)로 이루어지는 2분할 구성으로, 용기 상부(121)가 공작 기계의 테이블 등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용기 하부(122)가 용기 상부(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회수용기(120)는 밀폐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기 상부(121)와 용기 하부(122)의 연결부에 회수 용기(120) 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 등의 밀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 상부(121)의 지붕부(121a)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공작 기계의 가공실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절삭편(R)이 회수 용기(120) 상에 쌓이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흡인관(104)은 지붕부(121a)의 정상에 접속되고, 용기 상부(121) 내의 지붕부(121a)의 정상 근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 제품 회수관(102)은 지붕부(121a)의 하방에서 용기 상부(121)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 흡인관(104)의 개구를 제품 회수관(102)의 개구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제품 회수관(102)을 지나서 제품(W)과 함께 회수 용기(120)에 흡인된 냉각액이나 절삭편(R) 등이 에어 흡인관(104)에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에 대한 특별한 방진 대책, 예를 들면, 네트(net) 등의 필터 부재의 장착 및 필터 부재의 교환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2는 회수 용기(120)를 바로 위에서 본 평면도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회수관(102)은 회수 용기(12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용기 상부(121)에 연결되고,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회수된 제품(W)이 용기 상부(121)의 내벽(121b)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서 회수 용기(120) 내에 흡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품(W)이 내벽(121b)에 충돌할 때의 각도가 작아져서 충돌 시의 충격을 완화한다.
용기 하부(122)에는 제품(W)과 함께 회수 용기(120) 내에 흡인된 냉각액을 모으는 냉각액 저장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냉각액 저장부(123)에는 냉각액 저장부(123)에 출입이 가능한 제품받이(125)가 수용되어 있다. 제품 회수관(102)을 지나서 회수 용기(120) 내에 흡인된 제품(W)은 냉각액 저장부(123)에 낙하하여 제품받이(125)에 회수된다.
이 때, 냉각액 저장부(123)에 모인 냉각액이 쿠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제품(W)의 상처나 변형을 방지하고, 치수가 정밀하게 가공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냉각액 저장부(123)에 된 냉각액에 의해 제품(W)의 산화도 방지할 수 있다.
제품받이(125)는 제품을 흡인 회수했을 때 또는 제품받이를 인출할 때에, 선삭 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절삭편이나, 연삭 시에 발생하는 극미립자 상의 숫돌 가루 등의 부스러기를 제품으로부터 분리하여 침전시키기 위해 구멍이 있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멍이 있는 부재로는, 예를 들면, 제품이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그물 망이나 구멍을 뚫은 강판 등을 이용한다.
제품(W)과 함께 회수된 냉각액이 일정량을 초과했을 때에, 초과분의 냉각액을 회수 용기(12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a)가 용기 하부(12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22a)로부터 유출된 냉각액은 냉각액 유통관(136)을 지나서 회수된다. 에어 흡인 시에는 회수 용기(120)의 내부를 기밀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회수 용기(120)에는 에어 흡인 시에 배출구(122a)를 닫는 밸브(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회수 용기(1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배출구(122a)까지의 거리를 크게 하여 냉각액 저장부를 깊게 하면, 다수의 회수 제품을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수 시에 제품끼리의 충돌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배출구(122a)에 설치하는 밸브(130)는 에어 흡인 시에는 배출구(122a)를 닫아 회수 용기(120)의 기밀성을 유지하며,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의 구동이 정지하여 회수 용기(120)의 내압이 외기압과 동일하거나 또는 외기압보다 높아졌을 때 냉각액에 의해서 배출구(122a)를 열 수 있는 것이면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의 구동 및 정지에 연동하여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서 개폐가 행하여지는 전자 밸브가 될 수도 있고,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 차에 의해서 개폐를 행하는 기계식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하부(122)의 측면에 장착된 밸브 본체(131), 이 밸브 본체(131)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 가능한 볼형의 밸브(133), 이 밸브(133)를 배출구(122a)를 여는 위치와 닫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밸브 시트(134)를 가지고 있다. 밸브 본체(131)의 측부에는 배출구(122a)에 연통되는 냉각액 통로(135)가 형성되고, 저부에는 냉각액 유통관(136)에 연통되는 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밸브 본체(131)의 상부에는 외부에 연통되는 구멍(1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밸브 본체(131)의 상부가 해방되어 상기 구멍(131a)으로부터 냉각액이 원활하게 떨어진다.
밸브(133)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이 구동하여 회수 용기(120) 내의 압력이 외압보다 낮아졌을 때 냉각액 통로(135) 측으로 빨려 들어와 배출구(122a)를 닫는다.
또,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이 정지하여 회수 용기(120) 내의 압력과 외기압이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는 밸브(133)의 자중 및 밸브(133)에 가해지는 냉각액의 압력에 의해서 눌러져, 냉각액 통로(135)로부터 이격되어 배출구(122a)를 연다. 또, 회수 용기(120)의 내부 압력이 외기압보다 높아졌을 때에도 당연히 밸브(133)가 이동하여 배출구(122a)는 연다.
이와 같이 하면, 냉각액 저장부(123)로부터 넘치기 시작한 냉각액이 배출구(122a)로부터 냉각액 유통관(136)으로 유출되어 회수된다.
상기 구성의 밸브(130)에 의하면, 밸브(133)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간소하고 저가인 장치로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도시는 하지 않고 있지만, 관(101)의 개구부를 향해서 압축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 분출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어 분출 수단을 설치하고, 에어 흡인의 정지와 동시에 에어를 제품 회수관(102)으로 분출하면, 회수 용기(120)의 내부 압력을 외기보다 높게 하여 배출구(122a)를 여는 동시에, 제품 회수관(102)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냉각액이나 절삭편을 불어 날려버려 관 내부를 청소한다.
[회수 방법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제품 회수 방법을 상기 구성의 제품 회수 장치의 작용과함께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봉재(B)를 가이드 부시(6)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시킨 상태로 가공을 개시하여, 봉재(B)로부터 제품(W)을 절단하여 회수하기까지의 1사이클에서의 제품 회수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봉재(B)를 가이드 부시(6)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시킨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주축의 척을 닫아 봉재(B)를 파지하는 동시에, 냉각액 노즐(8)로부터 가공 부위를 향해서 냉각액을 분사시켜 일련의 동작을 시작한다(단계 S10).
이어서, 절삭 바이트 등의 공구(T)를 가공 위치에 인덱스하여 주축대(2)의 Z 축 방향의 이동과 공구(T)의 X 방향의 이동에 의해 소정의 가공을 행한다(단계 S11).
절삭 가공이 종료되면(단계 S12) 절단 바이트 등의 절단용 공구(T)를 가공 위치에 인덱스하고(단계 S13), 절단 가공을 개시한다(단계 S14).
또, 이 때, 제품(W)의 선단이 관(101)의 구멍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있기 때문에 절단 시에 제품(W)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제품(W)의 요동이 억제된다.
공구(T)의 절삭 깊이가 소정의 치수에 달했을 때에(단계 S15),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이 에어의 흡인을 개시한다(단계 S16).
절단이 완료되어(단계 S17), 제품(W)이 봉재(B)로부터 분리되면 제품(W)이 관(101) 및 제품 회수관(102)을 통하여 회수 용기(120)에 흡인된다.
흡인된 제품(W)은 회수 용기(120)의 내벽(121b)에 대략 접선 방향으로부터 작은 각도로 충돌하기 때문에 제품(W)이 내벽(121b)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작게하여 제품(W)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제품(W)은 냉각액 저장부(123)에 낙하하여 제품받이(125)에 의해서 회수되며, 낙하에 의한 충격은 냉각액 저장부(123)에 존재하는 냉각액에 의해서 흡수된다.
제품(W)의 절단이 완료되어 제품(W)이 회수 용기(120)에 회수되면,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이 에어의 흡인을 정지한다(단계 S18).
계속해서,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에 의한 에어의 흡인이 정지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에어 분출 수단으로부터 관(101)의 선단 개구부를 향해서 압축 공기가 분출된다(단계 S19). 이 압축 공기는 제품 회수관(102)의 내부를 청소하면서 회수 용기(120)의 내부에 도달하고, 용기 내부의 압력을 높여 배출구(122a)를 열어 냉각액을 배출시킨다(단계 S20).
이상에서, 일련의 동작이 종료된다(단계 S21). 이후, 상기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는 극히 간단한 제어로 제품의 회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품받이(125)에 일정 개수의 제품(W)이 회수되었을 때는 용기 하부(122)를 용기 상부(121)로부터 분리하여, 제품(W)을 냉각액 저장부(123)로부터 제품받이(125)와 함께 인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회수 용기(120)를 공작 기계에 설치한 채로 제품받이(125)를 인출할 뿐이어서 제품(W)을 회수 용기(120)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편리하다.
흡인 에어는 제품(W) 뿐 아니라 그 주위의 에어도 빨아들이기 때문에 회수용기(120)에는 미량의 절삭편(R)이나 냉각액이 흡인된다. 그러나, 제품받이(125)는 구멍이 뚫린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받이(125)를 용기 하부(122)로부터 인출할 때에는 냉각액이나 절삭편(R)은 제품과 분리되어 용기 하부(122)의 내면 저부에 모아진다.
냉각액은 냉각액 저장부(123)에 낙하하여 모아지고, 일정량을 초과하면 배출구(122a)로부터 배출된다. 또, 절삭편(R)은 냉각액 저장부(123) 내에 낙하하여 침전된다. 어느 정도 모였을 때, 용기 하부(122)를 용기 상부(121)로부터 분리하여 냉각액 저장부(123)를 세정하여 폐기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는 회수 용기(220)가 다를 뿐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 및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수 용기 구성의 설명도이다.
회수 용기(220)는 용기 상부(221)와 용기 하부(222)로 이루어지고, 용기 상부(221)는 원추형의 지붕부(22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지붕부(221a)의 정상부에 에어 흡인관(104)이 접속되고, 용기 상부(221)의 측면에 제품 회수관(102)이 접속되어 있다.
용기 하부(222)에는 냉각액이 모이는 냉각액 저장부(223)가 형성되고, 냉각액을 배출하는 배출구(222a) 보다 상방에 바구니 모양의 제품받이(225)가 배치되어 있다. 제품 회수관(102)으로부터 에어에 의해서 회수 용기(220)에 흡인된 제품(W)은 제품받이(225)에 낙하하여 회수된다.
에어에 의해서 회수 용기(220)에 흡인된 냉각액 및 절삭편(R)은 바구니 모양의 제품받이(225)를 통과하여 냉각액 저장부(223)에 낙하한다. 본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는 회수된 시점에서 냉각액과 제품(W)이 분리되기 때문에 상처나 변형이 생기기 어려운 제품(W)에 대해 유효하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는 회수 용기(320)가 다를 뿐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되는 부분 및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수 용기 구성의 설명도이다.
회수 용기(320)는 용기 상부(321)와 용기 하부(322)로 이루어지고, 용기 상부(321)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는 지붕부(3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붕부(321a)의 정상부에 에어 흡인관(104)이 접속되고, 지붕부(321a)의 중간 부위에 제품 회수관(102)이 접속되어 있다. 제품 회수관(102) 및 에어 흡인관(104)은 함께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회수 용기(32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에어 흡인관(104)의 개구(104a)가 제품 회수관(102)의 개구(102a) 보다 높은 곳에위치하고 있다.
용기 하부(322)에는 냉각액이 모이는 냉각액 저장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액 저장부(323)의 저부로부터 조금 부상한 상태로 제품받이(325)가 배치되어 있다.
제품 회수관(102)으로부터 에어에 의해서 회수 용기(320)에 흡인된 제품(W)은 제품받이(325)에 낙하하여 회수된다. 에어에 의해서 회수 용기(320)에 흡인된 냉각액 및 절삭편(R)은 바구니 모양의 제품받이(325)를 통과하여 냉각액 저장부(323)에 낙하한다. 회수 용기(320)에 흡인된 제품(W)은 직접 제품받이(325)에 낙하하지만, 냉각액 저장부(323)의 냉각액에 의해서 충격이 완화되기 때문에 제품(W)에 흠이 생기거나 변형될 우려가 없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제품받이(225, 325)를 용기 하부(222, 322)에 설치한 돌기(222b, 322b)에서 지지함으로써 제품받이(225, 325)와 용기 내면 저부 사이에 절삭편(R)의 침전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 절삭편(R)을 침전시키기 위한 공간은 용기 내면 저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제품받이(225, 325)에 다리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절삭편(R)은 용기 내면 저부의 중앙에 모이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중앙부 부근에만 침전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2 및 제3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에서의 작용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의 작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회수 용기 구성의 설명도이다.
회수 용기(420)는 용기 상부(421)와 용기 하부(422)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상부(421)는 일 측으로 경사지는 지붕부(421a)를 가지고 있다. 용기 상부(421) 내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내부 용기(424)가 설치되어 있고, 지붕부(421a)의 정상부 근방에 접속된 에어 흡인관(104)이 내부 용기(424)의 상부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제품 회수관(102)이 용기 상부(421)의 측면으로부터 내부 용기(424)의 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내부 용기(424) 내에 있어서 에어 흡인관(104)의 개구(104a)가 제품 회수관(102)의 개구(102a)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용기 하부(422)와 연결되는 용기 상부(421)의 저부에는 내부 용기(424)의 개구(424a)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차단판(421b)이 장착되어, 에어의 흡인 시에 내부 용기(424) 주위의 공간 부분(421c)의 에어가 용기 하부(422)에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용기 하부(422)에는 냉각액이 모이는 냉각액 저장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축(427)에 의해서 인덱스 회전이 가능한 회전 테이블(429)이 설치되고, 냉각액의 배출구(422a) 보다 높은 위치로 바구니 모양의 제품받이(425)를 유지하도록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429)에는 제품받이(425)가 복수 탑재되어, 회전축(427)과 함께 회전 테이블(429)이 인덱스 회전을 행함으로써 제품받이(425)를 순서대로 내부 용기(424)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
상기 구성의 제품 회수 장치의 작용 및 이 제품 회수 장치에 의한 제품의 회수 방법을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봉재(B)를 가이드 부시(6)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시킨 상태로 가공을 개시하여, 제품(W)을 회수하기까지의 1사이클에서의 제품 회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 S10∼S20까지는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전번 실시예의 단계와 변함이 없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의 제품받이(425)에 회수된 제품(W)의 개수는 공작 기계의 제어 장치가 카운트하고 있는 제품(W)의 가공 개수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카운트 수로부터 전회의 제품받이(425)의 전환 시의 제품(W)의 가공 개수를 빼면 된다. 그리고, 제품받이(425) 내의 제품(W)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달했을 때에(단계 S21), 도시하지 않은 구동체를 구동하여 회전 테이블(429)을 회전시켜, 다음 제품받이(425)를 내부 용기(424)의 바로 아래에 인덱스한다(단계 S22).
또, 제품받이(425)의 인덱스 제어의 타이밍은 프로그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개수의 가공 종료에 따른 제어에 한정되지 않고, 가공 대상 제품의 변경, 가공 프로그램의 변경, 공구의 마모 등에 의하는 가공 제품의 치수 변화에 의한 구분, 또는 공작 기계나 공구의 이상 발생, 예를 들면, 주축의 회전 또는 축선 방향 이송의 과부하 검출, 공구 파손에 의한 공구 자동 교환 등, 여러 가지의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일련의 동작이 종료된다(단계 S23). 이후,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제품받이를 인덱스 회전시키면서 순차 교환함으로써 다수 개의 제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장시간의 연속 무인 운전에 적합하다. 그리고, 하나의 제품받이에 회수된 제품은 가공을 정지시키지 않고 기계 밖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품 회수 장치를 하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회수 용기(520)는 상하로 분리가 가능한 용기 상부(521)와 용기 하부(52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품 회수 장치(500)는 용기 상부(521)에 대하여 용기 하부(522)를 하강시키고,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품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승강·이동 수단(550)을 가지고 있다.
용기 상부(521)는 자동 선반의 베이스(4)(도 1참조) 등의 고정부에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55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에어 흡인관(104)은 용기 상부(521)의 정상부에 연결되고, 제품 회수관(102)은 에어 흡인관(104)보다 하방에서 용기 상부(521)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 밸브(130)는 앞의 실시예와 같이, 용기하부(522)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이동 수단(550)은 용기 상부(521)의 근방으로 지지 플레이트(555)에 지지된 가이드 슬리브(556), 이 가이드 슬리브(556)의 상하 방향의 관통공(556b)을 삽입 통과하여 설치된 축(552), 이 축(552)의 상단에 설치된 핸들(551), 및 이 핸들(551)과 지지 플레이트(555) 사이에서 축(552)에 삽입되어 축(552)을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53)을 가지고 있다.
축(552)은 가이드 슬리브(556)의 관통공(556b)에 안내되면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다. 용기 하부(522)는 장착 부재(559)를 통하여 이 축(552)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하부(522)는 축(552)과 동시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다.
가이드 슬리브(556)의 외주면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중간 높이 위치까지 홈(556a)이 연직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축(552)의 외주면에는 홈(556a)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한 결합 핀(557)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 하부(522)는 핸들(551)을 조작하여 결합 핀(557)을 홈(556a)에 위치 맞춤 했을 때에, 용기 상부(521)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위치가 정해져 축(552)에 장착되어 있다. 축(552)에 대한 용기 하부(522)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장착 부재(559)는 볼트 등에 의해 축(55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해, 핸들(551)을 조작하면서 결합 핀(557)을 홈(556a)에 위치 맞춤 하여, 결합 핀(557)과 홈(556a)이 맞물린 상태로 축(552)을 상승시키면, 이에 동반하여 용기 하부(522)는 횡 방향의 이동(회전)이 규제되면서, 용기 상부(521)를 향하여 연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용기 상부(521)와 결합한다.
용기 하부(522)는 스프링(553)의 가압력에 의해서 용기 상부(521)에 가압된다. 제품의 가공 중에는 흡인 에어에 의한 회수 용기(520) 내의 기압과 외기압의 기압 차이에 따라 용기 상부(521)와 용기 하부(522)가 서로 견고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제품의 회수 작업 중에 용기 하부(522)가 용기 상부(521)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용기 하부(522)의 상단과 결합하는 용기 상부(521)의 하단에는 용기 하부(522)의 개구부(522a)에 결합되는 결합 볼록부(56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합 볼록부(560)의 외주면에 용기 하부(522)의 개구부(522a)에 끼워 넣었을 때에, 개구부(522a)의 내주면과 밀접하는 오일 실(oil seal)(561)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결합 볼록부(560)와 개구부(522a)의 내주면 사이에서 에어나 냉각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용기 하부(522)로부터 제품을 인출할 때는 에어의 흡인을 정지시키고, 핸들(551)을 조작하여 스프링(55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용기 하부(522)를 밀어 내린다. 이에 따라, 용기 하부(522)와 용기 상부(521)가 분리된다. 그리고, 결합 핀(557)이 홈(556a)의 하단으로부터 이탈하였을 때, 축(552)을 회전시켜 용기 하부(522)를 용기 상부(521)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10의 평면도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하부(522)가 용기 상부(521)로부터 횡 방향으로 오프셋 한 상태로 되어 제품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용기 하부(522)로부터의 제품의 인출을 한층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바구니 모양의 제품받이(525)를 용기 하부(522)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 이제품받이(525)의 상단에 가요성을 가지는, 예를 들면 끈형의 손잡이(526)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기 하부(522)에 회수된 제품을 한번에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하부(522) 내에 모인 냉각액과 제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 홈(556a)은 연직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홈(556a)을 중간 부위에서 경사 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용기 하부(522)를 하강시키면서, 용기 상부(521)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제품 회수 장치(500)는 자동 선반의 가공실 내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자동 선반의 외측에, 자동 선반과는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자동 선반의 외측에 제품 회수 장치(500)를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선반의 가공실을 차단하는 본체 커버(10)의 외측에 케이스(5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케이스(510) 내에 제품 회수 장치(500)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510)에는 개폐가능한 덮개(511)가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510)와 함께 제품 회수 장치(500)를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512)가 덮개(51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555)가 케이스(51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 플레이트(555)에 회수 용기(520)가 장착되어 있다. 제품 회수관(102)은 자동선반의 본체 커버(10)로부터 케이스(510)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용기 상부(521)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 에어 흡인관(104)이 상기 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용기 상부(521)의 정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 선반의 가공실에서 가공된 제품(W)은 흡인 에어에 의해서 관(101) 및 제품 회수관(102)을 지나서 본체 케이스(10)의 외측의 용기 하부(521)에 회수된다.
제품(W)을 인출할 때는 케이스(510)의 덮개(511)를 열고, 상기 순서로 핸들(551)을 조작하여 용기 상부(521)와 용기 하부(522)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는 소형 또한 콤팩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선반 등의 공작 기계의 가공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작 기계의 외측 등, 임의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품 회수 장치를 바닥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600)는 제4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400)와 같이, 복수의 제품받이를 인덱스 회전시키면서 순차 교환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제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장시간의 연속 무인 운전에 적합하다. 그리고, 하나의 제품받이에 회수된 제품은 가공을 정지시키지 않고 기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6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600)가 제4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400)와 다른 점은, 제4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400)에서는 용기 하부(422)의 내부에 복수의 제품받이(425)가 설치되어 있고, 제품받이(425)가 용기 하부(422)의 내부에서 인덱스 회전되는 데 대하여, 이 제6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600)에서는 용기 상부(621)와 분리가능한 복수의 용기 하부(622)를 가지고, 이 용기 하부(622)를 순차 인덱스 회전시키면서 제품(W)을 회수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수 용기(620)는 상하로 분리가 가능한 용기 상부(621)와 용기 하부(622)를 가지고 있다. 용기 상부(621)는 자동 선반의 베이스 등의 고정부에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65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하부 용기(622)는 이 용기 상부(62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함과 동시에, 인덱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앞의 실시예와 같이, 제품 회수관(102)은 용기 상부(621)의 측면에 연결되고, 에어 흡인관(104)은 용기 상부(621)의 정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액을 회수하는 밸브(130)가 용기 상부(6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655)에는, 용기 상부(621)의 근방에 회전축(62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627)의 하단에 용기 하부(522)를 인덱스 회전하기 위한 회전 테이블(629)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629)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홀더 구멍(629a)이 형성되고, 각 홀더 구멍(629a)에 용기 하부(622)가 삽입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용기 하부(622)의 개구(622a)의 주위 에지에, 외측으로 내뻗는 칼라부(622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칼라부(622b)가 회전 테이블(629)의 홀더 구멍(629a)의 구멍 주위 에지에 결합함으로써, 용기 하부(622)가 회전 테이블(629)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회전 테이블(629)을 인덱스 회전시키는 인덱스 회전 수단은, 지지 플레이트(655)에 장착된 모터(631), 이 모터(631)의 회전축으로 장착된 구동 측 풀리(632b), 회전축(627)에 장착된 종동 측 풀리(632a), 및 이들 풀리(632a, 632b)에 감기는 타이밍 벨트(633)를 가지고 있다.
모터(631)가 구동하여 회전축이 소정의 각도 회전하면, 이 회전은 구동 측 풀리(632b), 타이밍 벨트(633) 및 종동 측 풀리(632a)를 통하여 회전축(627) 및 회전 테이블(629)에 전해진다.
또, 지지 플레이트(655)에는, 용기 상부(621)의 근방에 브래킷 등을 통하여 실린더(651)가 하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 플레이트(655)에는 실린더(651)의 진퇴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651a)와 동심형의 관통공을 가지는 가이드 슬리브(656)가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슬리브(656)에는 승강가능한 축(652)이 삽입되고, 그 두부가 피스톤 로드(651a)에 대치하고 있다. 이 축(652)은 가이드 슬리브(656)의 대경 구멍에 삽입된 스프링(653)에 의해서 항상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가이드 슬리브(656)의 외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가이드 홈(656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656a)에 축(652)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핀(657)이 항상 맞물리고 있다. 축(652)은 결합 핀(657)이 가이드 홈(656a)에 항상 결합 됨으로써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축(652)의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형의 장착 부재(659)가 장착되고, 그 선단에 결합 홈(658a)을 가지는 결합 부재(658)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용기 하부(622)의 저부에는 결합 부재(658)의 결합 홈(658a)과 결합 할 수 있는 원판형의 피결합부(623)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658)의 결합 홈(658a)은 용기 하부(622)의 인덱스 회전에 따르는 피결합부(623)의 이동 경로(L) 상에 설치되어 있고, 용기 하부(622)가 용기 상부(621)의 바로 아래 위치에 이동할 때에, 피결합부(623)가 결합 홈(658a)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품 회수 장치에 의한 제품의 회수 순서를 설명한다. 또, 제품의 가공을 개시한 후 용기 하부(622)를 인덱스 회전시키기까지의 주된 순서에 관해서는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8의 순서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테이블(629)의 인덱스 회전을 행하는 것에 앞서서, 실린더(651)를 구동시켜 피스톤 로드(651a)에서 축(652)을 밀어 내린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658)의 결합 홈(658a)이 피결합부(623)의 이동 경로(L) 상에 위치한다.
다음에, 모터(631)를 구동하여 회전 테이블(629)을 인덱스 회전시켜, 용기 하부(622)를 용기 상부(621)의 바로 아래 위치에 인덱스한다. 이에 따라, 피결합부(623)가 결합 홈(658a) 내에 진입하여 결합 부재(658)와 피결합부(623)가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651)를 구동시키고, 피스톤 로드(651a)를 축퇴시키면, 스프링(653)의 가압력에 의해서 축(652)이 상승하고, 장착 부재(659)에 의해서 용기 하부(622)가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용기 하부(622)의 개구(622a)에는 용기 상부(621)의 결합 볼록부(660)가 삽입되고, 오일 실(661)로 밀봉된 상태에서 용기 상부(621)에 용기 하부(622)가 끼워 붙여진다.
이후, 에어의 흡인을 시작하여 제품의 가공을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의 흡인에 의한 내외의 기압 차이에 의해, 용기 하부(622)가 제품의 회수 중에 용기 상부(621)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다.
하나의 용기 하부(622)에 회수된 제품(W)의 개수는 공작 기계의 제어 장치가 카운트하고 있는 제품(W)의 가공 개수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용기 하부(622) 내의 제품(W)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달했을 때에, 실린더(651)를 구동시켜 용기 하부(622)를 하강시킨다. 용기 하부(622)는 결합 부재(658)와 피결합부(623)가 결합함으로써 강제적으로 밀어 내려진다. 그 후, 상기 순서로 회전 테이블(629)을 인덱스 회전시켜, 용기 상부(621)의 바로 아래에 다음 용기 하부(622)를 위치시킨다.
제품(W)은 용기 하부(622)를 회전 테이블(629)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품 회수 장치(60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물론, 용기 하부(622)의 각각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바구니 모양의 제품받이를 설치하고, 이 제품받이와 함께 제품(W)을 용기 하부(622)로부터 인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용기 하부(622)의 인덱스 제어의 타이밍은 제4 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개수의 가공 종료에 따른 제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가공 대상 제품의 변경, 가공 프로그램의 변경, 공구의 마모 등에의하는 가공 제품의 치수 변화에 의한 구분, 또는 공작 기계나 공구의 이상 발생, 예를 들면, 주축의 회전 또는 축선 방향 이송의 과부하 검출, 공구 파손에 의한 공구 자동 교환 등, 여러 가지의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품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제품 회수 장치(100)와 동일한 부재,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주축 이동형의 자동 선반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축 고정형의 자동 선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4에 나타내는 자동 선반은 칼럼(7')에 주축 머리(2')가 장착되고, 이 주축 머리(2')에 주축(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주축(1')에 대하여 X 방향 및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절삭 공구대(4')가 설치되고, 이 절삭 공구대(4')에 절삭 바이트나 절단 바이트 등의 복수의 공구(T)가 인덱스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동 선반에서는 관(101)을 Z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 관(101)을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동부(150)는 테이블(5) 등의 공작 기계의 고정부에 장착된 실린더(151)와, 이 실린더(151)의 신축가능한 피스톤 로드(151a)에 장착된 지지 부재(152)를 가지고 있다. 관(101)은 지지 부재(152)에 장착되고, 실린더(151)의 구동에 의한 피스톤 로드(151a)의 진퇴 이동과 함께 주축 축선 상에서 Z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용 공구의 인덱스(도 6의 단계 S13 참조)와 동시에 실린더(151)를 구동하여 피스톤 로드(151a)를 신장시키고,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W)의 선단을 관(101)의 구멍 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절단 가공 중에 제품(W) 선단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B)로부터 분리된 제품(W)이 회수된 후, 흡인 에어 발생 수단(103)의 정지(도 6의 단계 S18 참조)와 함께 피스톤 로드(151a)를 축퇴시키고 있다.
또, 상기 구동부(150)는 주축 이동형의 공작 기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5에 주축 이동형의 공작 기계의 제품 회수 장치에 구동부(150)를 설치한 것을 개략도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품(W)의 가공 중에는 관(101)을 가공 부위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퇴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냉각액이나 절삭편(R)이 관(101)의 구멍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에어 흡인 시에 제품(W)과 함께 회수 용기(120)에 흡인되는 냉각액 및 절삭편(R)의 양을 한층 적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관(101)이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관(101)의 선단에 커버를 하여, 관(101)이 주축(1) 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커버로부터 관(101)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W)의 가공 중에 냉각액 및 절삭편(R)이 관(101)의 구멍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작 기계의 일례로서 자동 선반을 들었지만, 재료로부터 제품을 연속 가공하는 공작 기계이면, 자동 선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선반 또는 연삭반 등의 모든 종류의 공작 기계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 종형, 횡형, 주축 고정형, 주축 이동형의 모든 유형의 공작 기계 및 터릿 절삭 공구대 또는 빗살 치형 절삭 공구대를 갖는 어떠한 유형의 공작 기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절삭이나 연삭 가공을 행하는 공작 기계 이외의 기계,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기계나, 복수의 부품을 압접하여 한 개의 제품으로 하는 압접 가공을 행하는 기계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자동 선반에 있어서도, 빗살 치형 절삭 공구대를 가지는 타입 또는 터릿 절삭 공구대를 가지는 유형의 어떠한 것일 수도 있다. 또, 주축 축선이 수평 방향의 횡형에 한정되지 않고, 주축 축선이 상하 방향의 종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흡인 에어 발생 수단으로서 진공 펌프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흡인 에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에어 흡인관으로부터 외기를 향해서 고속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회수 용기 내의 압력을 낮게 함으로써, 제품 공급관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관(101)은 제품 회수관(102)과는 별개로 형성되고, 제품 회수관(102)의선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품 회수관(102)의 선단의 일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관 형상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5 및 제6 실시예와 같이, 회수 용기를 용기 상부와 용기 하부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경우는 용기 상부 또는 용기 하부 중 어느 한 쪽을 승강 또는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쌍방을 승강 또는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이 경우, 용기 상부 또는 용기 하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은 상기 설명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캠이나 볼 나사·너트 기구,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한 다른 승강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또, 제4 및 제6 실시예와 같이, 용기 하부나 제품받이 등을 복수 설치한 경우의 인덱스 구동 수단에 관해서도, 상기 설명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기 하부나 제품받이 등을 소정의 위치에 인덱스 할 수 있는 것이면, 벨트 컨베이어 등의 다른 구동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5 및 제6 실시예에서는 실린더에 의해서 용기 하부를 강제적으로 밀어 내리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용기 상부와 용기 하부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기 상부와 용기 하부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을 개재시키고, 이 탄성 수단의 탄발력으로 용기 하부를 밀어 내리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재 등의 재료로부터 절단된 제품을 에어의 흡인에 의해, 절삭편이나 냉각액과 분리된 상태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회수 용기는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회수된 제품이 회수 용기의 밖으로 비산하는 일도 없고, 제품 회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품 회수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회수 용기도 밀폐되어 있으므로, 가공 부위의 근방이나 가공실에 회수 용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은 극히 간단한 제어로 제품의 회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공 후에 제품을 주축 척이나 테이블 등으로부터 인출하여 회수 하는 모든 종류의 가공 기계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회수가능한 제품은 흡인 에어의 강도를 바꾸는 것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삼을 수 있지만, 특히, 시계의 부품이나 휴대용 전자 기기의 부품과 같이 소형 경량의 제품의 회수에 적합하다.

Claims (30)

  1. 재료 유지 수단에 유지된 재료에 대하여 가공을 행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공작 기계로부터 상기 제품을 회수하는 제품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받는 제품 회수관,
    상기 제품을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상기 제품 회수관 내에 끌어넣기 위한 흡인 에어 발생 수단, 및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과 상기 제품 회수관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품의 회수 용기
    를 포함하는 제품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를 밀폐가능한 구조로 한 제품 회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에 냉각액을 모으는 냉각액 저장부를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액 저장부에 냉각액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에 의한 에어의 흡인 시에 상기 배출구를 닫는 밸브를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냉각액 저장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와 이 밸브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본체를 가지며, 에어의 흡인에 의해서 상기 회수 용기 내의 압력이 외기압보다 낮아졌을 때에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를 닫고, 상기 회수 용기 내의 압력이 외기 압력과 동일하거나 외기압보다 높아졌을 때에 상기 냉각액 저장부의 냉각액에 의해서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를 여는 제품 회수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액 저장부에 모인 냉각액 내에 상기 제품 회수관에 의해서 회수된 제품을 낙하시키도록 하는 제품 회수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의 내부에 상기 제품을 받기 위한 제품받이를 설치하고, 이 제품받이를 상기 회수 용기 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한 제품 회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받이는 상기 제품보다 작은 절삭편 등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구멍이 뚫린 부재로 형성되는 제품 회수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받이 저부의 최소한 일부를 상기 회수 용기의 저부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품과 함께 흡인된 절삭편이나 부스러기 중 상기 제품보다 작은 상기 절삭편이나 상기 부스러기를 상기 제품과 분리하여, 상기 회수 용기의 저부에 침전시키는 제품 회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의 내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품 회수관을 통하여 흡인된 제품이 상기 회수 용기의 내벽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부터 충돌하도록 상기 제품 회수관을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에 접속된 에어 흡인관의 개구가 상기 회수 용기 내에서, 상기 제품 회수관의 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수 용기에 상기 에어 흡인관과 상기 제품 회수관을 접속한 제품 회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의 지붕부를 경사형으로 형성한 제품 회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의 지붕부를 경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붕부의 정상부 측에 상기 에어 흡인관을 접속한 제품 회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회수관의 선단에, 상기 재료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제품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 형상의 부분을 형성한 제품 회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부분의 최소한 일부가, 상기 재료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제품의 자유단의 요동을 억제하는 가이드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품 회수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부분을 상기 재료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부분을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품을 수취하기 위한 흡인을 행하기 전에 상기 재료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제품의 일부를 삽입하는 제품 회수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상기 재료 유지 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공급된 재료에 가공이 실시된 것이며, 상기 관 형상 부분은 상기 제품이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품에 접근하고, 상기 제품의 일부가 상기 관 형상 부분에 삽입되는 제품 회수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상기 재료 유지 수단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공급된 봉형 재료에, 봉형 재료로부터의 제품 분리를 포함하는 가공이 실시된 것이며, 상기 관 형상 부분은 상기 제품을 상기 봉형 재료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단 가공과 동시에 또는 절단 가공 개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써 상기 제품에 접근하고, 상기 제품의 일부가 상기 관 형상 부분에 삽입되는 제품 회수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를 용기 상부와 용기 하부로 형성하고, 상기 용기 상부에 상기 에어 흡인관 및 상기 제품 회수관을 접속하고, 상기 용기 하부에 제품이 회수되도록 한 제품 회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하부와 상기 용기 상부를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하부를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용기 상부의 하방에 상기 용기 하부의 하나를 인덱스하는 인덱스 수단과, 상기 용기 하부 또는 상기 용기 상부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용기 하부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이 피결합부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하부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인덱스되었을 때에 상기 피결합부와 결합 가능하게 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피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용기 하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 기구를 가지는 제품 회수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액 저장부 및/또는 상기 제품받이를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액 저장부 및/또는 상기 제품받이를 이동시켜 소정의 위치에 인덱스하는 인덱스 수단을 설치한 제품 회수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을 상기 제품의 절단 가공의 개시 타이밍에서 작동시키고, 절단된 상기 제품의 회수 후에 정지시키는 회수 장치.
  26. 공구와 재료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을 행하고, 가공 종료 후에 가공된 제품을 회수하는 제품 회수 방법에 있어서,
    흡인 에어에 의해서 제품의 회수를 행하기 위한 제품 회수관을 가공 중인 제품에 대치시켜 위치시키고,
    흡인 에어를 발생시키는 흡인 에어 발생 수단과 상기 제품 회수관 사이에 제품의 회수 용기를 배치하고,
    상기 제품을 상기 재료 유지 수단으로부터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을 상기 재료로부터 절단하는 가공을 행할 때에, 상기 제품 회수관에 상기 제품의 일부를 삽입하고,
    상기 제품의 유지 수단으로부터의 해제, 또는 절단 가공의 개시와 동시 또는 절단 가공 개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해제된 제품 또는 재료로부터 절단된 제품이 상기회수 용기에 회수된 후에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을 정지시키는
    제품 회수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회수관의 관 형상 부분에 압축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 분출 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 에어 분출 수단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상기 흡인관 내부에 분출하고, 상기 회수 용기 내의 공기압을 높여 상기 밸브의 배출구를 열어 냉각액을 회수 용기 밖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품 회수관의 내부를 압축 공기로 청소하는 제품 회수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에 냉각액 저장부를 설치하고, 이 냉각액 저장부에 모인 냉각액이 소정량을 초과하였을 때에 상기 냉각액 저장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열어 상기 냉각액을 배출하고, 상기 흡인 에어 발생 수단이 구동되는 때에는 상기 회수 용기 내의 압력과 외기 압력의 차압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닫아 상기 회수 용기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제품 회수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 내에 상기 제품을 수취하는 제품받이를 이동 가능하게 복수 준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품받이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인덱스 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 인덱스하여 제품의 회수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제품 회수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용기를 분리가능한 용기 상부와 용기 하부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용기 하부를 복수 준비하고, 상기 용기 상부에 대하여 상기 용기 하부를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작동하는 인덱스 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위치에 인덱스하여 제품의 회수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제품 회수 방법.
KR1020027015989A 2001-05-14 2002-03-27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 KR100821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3277 2001-05-14
JP2001143277 2001-05-14
PCT/JP2002/002986 WO2002092305A1 (fr) 2001-05-14 2002-03-27 Dispositif et procede de recueillement de prod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880A true KR20030020880A (ko) 2003-03-10
KR100821241B1 KR100821241B1 (ko) 2008-04-10

Family

ID=1898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989A KR100821241B1 (ko) 2001-05-14 2002-03-27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4366B2 (ko)
EP (1) EP1396317B1 (ko)
JP (1) JP4115845B2 (ko)
KR (1) KR100821241B1 (ko)
CN (1) CN1277653C (ko)
DE (1) DE60228442D1 (ko)
WO (1) WO20020923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030B1 (ko) * 2023-02-13 2023-07-31 조재혁 자동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880A (en) * 1991-05-30 1994-10-18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Glycyrrhetinic acid derivatives
US7396202B1 (en) * 2003-06-03 2008-07-08 Cook Technologies, Inc. Lift and carrier assembly for a personal-transportation vehicle
JP4402016B2 (ja) * 2005-06-20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WO2008030233A1 (en) * 2006-09-05 2008-03-13 Saari Dean T Chip vacuum system and apparatus
US8992671B2 (en) * 2010-03-31 2015-03-31 Nakata Coating Co., Ltd. Machining method for workpiece using a machining device with waste collection equipment
KR102082370B1 (ko) * 2012-08-17 2020-02-27 나가노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가공 시스템 및 가공 시스템에 의해 짧은 길이의 로드 형상의 가공물을 가공하는 방법
CN105397121B (zh) * 2015-12-18 2017-08-25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 一种内冷却车刀***
JP2018065238A (ja) * 2016-10-21 2018-04-26 山一電機株式会社 ワーク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工作機械
JP6897135B2 (ja) * 2017-02-10 2021-06-30 株式会社Ihi 穿孔装置及び遠隔穿孔装置
JP7313773B2 (ja) * 2019-07-29 2023-07-25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ワーク回収装置
CN114523139B (zh) * 2022-02-09 2024-06-07 鹤山市艺华铜业有限公司 一种铜排加工用生产线
WO2023218590A1 (ja) * 2022-05-12 2023-11-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工作機械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9675A (en) * 1938-12-20 1939-08-15 Stanolind Oil & Gas Co Back-pressure control in pressure drilling
JPS57126947A (en) 1981-01-29 1982-08-06 Sumitomo Electric Ind Ltd Production of sintered high alloy tool steel
JPS6076901A (ja) 1983-09-30 1985-05-01 Fujitsu Ltd 部品自動受取機構
US4514936A (en) * 1983-10-19 1985-05-07 Hurtado Ruben G Lathe dust enclosure
JPH0551543A (ja) 1991-08-27 1993-03-02 Kawasaki Steel Corp 固体潤滑用コーテイング組成物
JPH0551543U (ja) * 1991-12-24 1993-07-09 日立精工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加工機におけるプリント基板の回収装置
DE4335417B4 (de) * 1993-10-18 2006-11-30 Hilti Ag Absaugeinrichtung eines Bohr- oder Meisselgerätes
JPH0994704A (ja) * 1995-09-29 1997-04-08 Seikosha Co Ltd 自動旋盤の加工部品回収装置
GB2311598A (en) * 1996-03-29 1997-10-01 Black & Decker Inc A portable dust extractor
US6299393B1 (en) * 1999-01-15 2001-10-09 The Gleason 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chip remov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030B1 (ko) * 2023-02-13 2023-07-31 조재혁 자동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241B1 (ko) 2008-04-10
JPWO2002092305A1 (ja) 2004-08-26
US6854366B2 (en) 2005-02-15
EP1396317A4 (en) 2006-11-02
US20040074351A1 (en) 2004-04-22
WO2002092305A1 (fr) 2002-11-21
EP1396317B1 (en) 2008-08-20
JP4115845B2 (ja) 2008-07-09
DE60228442D1 (de) 2008-10-02
EP1396317A1 (en) 2004-03-10
CN1277653C (zh) 2006-10-04
CN1462221A (zh) 200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41B1 (ko) 제품 회수 장치 및 제품 회수 방법
US4715108A (en) Machine tool capable of changing worn cutting tools, such as small diameter drills, with new ones
CN111890103B (zh) 一种具有导料道的数控机床
EP1402998A2 (en) Vertical machine tool with a movable main spindle
CN115485099B (zh) 机床的微细切屑处理装置
CN112809200A (zh) 一种多工位全自动激光切割机
CN210587503U (zh) 滚齿机自动送料***中的上下料组件
CN111230563B (zh) 一种钻孔装置
CN210587508U (zh) 一种改进型自动滚齿机
CN114346705A (zh) 一种新能源汽车配件加工专用双机头卧式加工中心
CN110640234B (zh) 一种具有自动送料***的自动滚齿机
CN210523840U (zh) 一种易于排屑的数控车床
CN211386902U (zh) 大型slm3d无人化操作打印设备
KR20110077855A (ko) 씨엔씨 가공기의 칩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604853B1 (ko) 툴 연동형 가동써포터를 구비한 면 절삭장치
CN217343901U (zh) 关节轴承杆端螺纹精加工设备用全自动上下料机构
CN210587504U (zh) 一种用于滚齿机的改进型送料***
CN219900261U (zh) 一种数控车床均匀上料的上料机
CN215510196U (zh) 一种多功能数控车床
CN216263489U (zh) 一种自动卸料功能的数控车床
CN210046002U (zh) 一种安全外圆车床
CN110625199B (zh) 一种自动滚齿机
CN115042262B (zh) 一种裁切物料切割设备
CN217911292U (zh) 一种三轴自动涂胶装置
CN214684789U (zh) 一种多工位全自动激光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