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386Y1 - 경량철골 천장틀 - Google Patents

경량철골 천장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86Y1
KR200274386Y1 KR2020020002532U KR20020002532U KR200274386Y1 KR 200274386 Y1 KR200274386 Y1 KR 200274386Y1 KR 2020020002532 U KR2020020002532 U KR 2020020002532U KR 20020002532 U KR20020002532 U KR 20020002532U KR 200274386 Y1 KR200274386 Y1 KR 200274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rame
frame
ceiling
bracket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정공
Priority to KR2020020002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86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에 매설 설치되어 천장에 매달리는 각종 기구 및 자제를 지탱하도록 하는 경량철골 천장틀에 관한 것으로 천장틀(Insert)을 금속편을 결속시켜 구성된 브래킷, 합성수지 재질로 된 몸체 및 양측으로 톱니형상의 걸림편을 형성한 수평조절부재로 구성하되, 콘크리트에 묻혀진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브래킷에 의해 천장틀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와 브래킷은 단순하게 끼워 맞춤으로서 별도의 열원을 가하지 않도록 하며, 수평조절부재의 상단에 둥근 머리형상의 축편을 형성하고 몸체의 내면 상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조절부재를 몸체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킬 때에 좌우 요동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경량철골 천장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량철골 천장틀 {the ceiling support}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에 매설 설치되어 천장에 매달리는 각종 기구 및 자제를 지탱하도록 하는 경량철골 천장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틀(Insert)을 금속편을 결속시켜 구성된 브래킷, 합성수지 재질로 된 몸체 및 양측으로 톱니형상의 걸림편을 형성한 수평조절부재로 구성하되, 콘크리트에 묻혀진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브래킷에 의해 천장틀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와 브래킷은 단순하게 끼워 맞춤으로서 별도의 열원을 가하지 않도록 하며, 수평조절부재의 상단에 둥근 머리형상의 축편을 형성하고 몸체의 내면 상측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조절부재를 몸체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킬 때에 좌우 요동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경량철골 천장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공사 중 마감공사에는 건물의 내부에다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거나 덧붙이는 작업으로 이루어지고 또 이러한 마감재 공사 중 천장공사는 대부분 콘크리트 천장면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천장틀을 설치하고서 이 천장틀에다가 각종 찬넬(Channel)을 배관한 다음 이 찬넬에다가 조명기구, 각종장식,닥트, 배선 및 배관용 선반(turnery) 등과 같은 것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천장틀은 복수의 찬넬을 상호 연결하고 고정해주는 장치가 필요하게 됨으로서 공사에 품이 들고 시간도 많이 걸리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 들어 건축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가 강해져 드릴로 구멍을 뚫거나 못을 막을 때에 잘 박히지 않게 되었고, 구멍을 뚫거나 망치 등으로 타격을 가하는 순간에 콘크리트에는 이미 균열(crack)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서 건축물의 안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종래에 제안된 기술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에 천장틀(Insert)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각종 기자재를 매달위치에 먹줄 등으로 위치를 표시한 다음 천장틀을 U형 못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의 양생된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의 외면으로 드러나는 천장틀에 고정수단 등을 체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천장틀(1)을 설명한다.
상기 천장틀(1)은 고정구(6)의 상측에 커버(2)를 씌워 일체로 형성하여 천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속에 매설되어지되 고정구(6)의 저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고정구의 저면에는 수평조절부재(17)를 삽입시켜 걸쳐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구(6)는 장착관(7)의 내부하측에는 ""형상의 삽입공(13)을 형성하고, 장착관(7)의 외부하측에는 양측으로 길게 위치기준플렌지(8)를 형성하며, 위치기준플렌지(8)의 단부에는 삼각형상의 방향지시돌기(9)를 형성하고, 위치기준플렌지(8)의 내면에는 양측의 방향지시돌기(9)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곳에 투시공(10)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관(7)의 상단에는 안착턱(11)을 형성하고, 안착턱(11)에는 방향설정돌기(9)의 방향으로 끼워맞춤홈(12)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삽입공(13)은 상측방향으로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되 원호에 해당하는 고정턱(15)의 높이는 양측의 이탈방지턱(16)에 비하여 다소 높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장착관(7)의 외측으로는 다수 개의 외향돌기(7a)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에 매설될 때에 결착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평조절부재(17)는 T 형상의 헤드(18)와 양측에 톱니형상으로 형성한 체결부(22)로 구성하되 상기 헤드(18)는 헤드편(21)의 양측으로 하향돌기(19)를 형성하여 하향돌기(19)와 헤드편(21)사이에 공간부(20)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 커버(2)는 동전형상의 원판에 저면에는 억류돌기(3)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대칭형상으로 돌출형성하고, 억류돌기(3)의 양측은 경사면(4)을 형성하며, 커버(2)의 외측으로는 끼워맞춤돌기(5)를 형성하되, 끼워맞춤돌기(5)의 형성방향은 상기 두개의 억류돌기(3)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커버(2)는 상기 고정구(6)의 안착턱(11)에 삽입하되 끼워맞춤돌기(5)는 안착턱(11)의 끼워맞춤홈(12)에 맞춰져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초음파의 열원을 가해 커버(2)를 장착관(7)상측에 일체로 영구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천장틀(1)은 다음과 같이 사용되어 진다.
건물을 건축함에 있어서 먼저 건물의 형태를 구성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는 추후에 각종 자재를 설치할 위치를 고려하여 천장틀(1)이 설치될 예상위치에 먹줄 등을 이용하여 선을 긋고 표시된 곳에 천장틀(1)을 고정 장착시키게 된다.
즉, 천장틀(1)을 고정함에 있어서는 위치기준플렌지(8)에 성형한 방향설정돌기(9)와 투시공(10)을 통해 고정위치를 확인하고 위치기준플렌지(8)의 넓은 곳에 U자형상의 못을 에어건 등을 이용하여 박아 고정하게 된다.
천장틀(1)을 거푸집에 고정한 상태에서 철근을 고정시키고, 각종 배관 및 배선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은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여 천장을 형성하게 된다.
거푸집의 제거로 인해 천장틀(1)의 고정구(6)저면에 형성된 삽입공(13)이 노출되고, 삽입공(13)에는 수평조절부재(17)의 헤드(18)를 삽입시킨 후에 90°각도로 돌려주게 되며, 수평조절부재(17)를 돌려줄 때에 커버(2)의 저면에 형성한 경사면(4)을 따라 억류돌기(3)에 밀착되고 이로서 헤드(18)의 하향돌기(19)는 고정턱(15)의 외측에 걸쳐져 고정되고, 역회전시켰을 때에는 이탈방지턱(16)에 걸려 수평조절부재(17)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고정턱(15)은 헤드(18)의 공간부(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평조절부재(17)를 천장틀(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찬넬(23)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찬넬(23)에는 상측면에 장방향의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체결공(24)에 수평조절부재(17)의 체결부(22)를 적정높이 까지 삽입시킨 후 찬넬(23)을 90°로 회전시켜 체결공(24)에 체결부(22)의 톱니형상의 돌기가 걸려지도록 하고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부(22)는 절곡시켜서 찬넬(23)을 지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천장틀(1)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지적된다.
고정구(6)와 커버(2)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고정구(6)와 커버(2)를 일체로 고정시킴에 있어서 고정구(6)의 상측에 커버(2)을 수작업으로 끼워 넣고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초음파 열원을 가하여 접합면을 융착시켜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작업자는 초음파 열원에 항상 노출되어있어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장틀(1)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서 콘크리트와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 고정구(6)가 일그러지거나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였고, 특히 콘크리트에 의한 외압에 의해 천장틀(1)자체가 변형되는 문제가 지적된다.
또한,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천장틀(1)과 거푸집이 U형 못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강제로 거푸집을 당겨서 해체시키는 것으로 거푸집이 제거됨과 동시에 천장틀(1)에도 하측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 천장에서 천장틀(1)에 들뜨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특히,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하는 순간에 천장틀(1)은 심하게는 분리 이탈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평조절부재(17)을 고정구(6)에 삽입시킨 후에 90°각도로 회전시킬 때에 헤드편(21)과 삽입공(13)의 사이 공간이 넓어 수평조절부재(17)는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체결이 난해하였고, 체결된 후에도 수평조절부재(17)를 억류돌기(3)에 의해 자연스럽게 억류시켜 고정시키 주기는 하지만 수평조절부재(17)의 하단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 까지는 억제하지 못하여 찬넬(23)이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심하게 유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결국, 천장틀(1)에 균열이 발생하고, 천장틀(1)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정하중에 의해 균열은 계속 진행하여 천장틀(1)은 파손되고 천장틀(1)에 의해 지탱된 각종 자재들은 떨어지게 되어 안전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금속재질의 브래킷과 고정구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브래킷은 다중절곡 형성한 것으로 상향외측으로 절곡하여 윙부를 형성하여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혀졌을 때에 윙부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천장틀에 가해지는 정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도록 하는 견고한 천장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구에 금속재질의 브래킷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종래의 고정구에 커버를 결합시킬 때에 초음파 열원을 가하는 공정을 배제시켜 천장틀의 제조공정에서 안전사고를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천장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조절부재의 상측에 축편을 형성하고, 고정구의 내면 상측 중앙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수평조절부재의 유동 범위를 종래의 천장틀에 비하여 절반이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천장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사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에서 주요 요부인 몸체의 저면도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5a는 정단면이고, 도 5b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찬넬 24: 체결공
30: 천장틀 31: 고정구 32: 몸체
33: 장착부 34: 가이드홈 35:억류돌기
36: 경사면 37: 위치기준프렌지 38: 방향설정돌기
39: 투시공 40: 가이드테 41: 걸림홈
42: 브래킷 43: 노출변 44: 수직변
45: 윙부 46: 유통공 47: 걸림돌기
48: 삽입공 49: 이탈방지턱 50: 고정턱
51: 수평조절부재 52: 헤드 53: 하향돌기
54: 공간부 55: 헤드편 56: 축편
57: 체결부 100: 천장
본 고안의 상기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에서 주요 요부인 몸체의 저면도이며,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5a는 정단면이고, 도 5b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천장틀(30)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31)의 저면에 브래킷(42)을 끼워 체결하고, 천장틀(30)을 콘크리트(천장:100)에 매설된 상태에서 브래킷(42)에 수평조절부재(51)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구(31)는 사각형상의 몸체(32)의 하측에 양 외측방향으로 위치기준플렌지(37)를 형성하고, 위치기준플렌지(37)가 형성된 직각방향의 면에는 양모서리에 가이드테(40)를 돌출형성하며, 몸체(32)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장착부(3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위치기준플렌지(37)에는 단부 중앙에 삼각형상의 방향설정돌기(38)를 돌출 형성하였고, 위치기준플렌지(37)의 내면에는 양측의 방향설정돌기(38)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투시공(39)을 형성하여 거푸집에 천장틀(30)을 고정할 때에 용이하게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장착부(33)는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한 가이드홈(34)의 외측으로 2개의 억류편(35)을 대칭형상으로 형성하되, 억류편(35)의 양측은 경사면(36)으로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수평조절부재(51)를 회전시켰을 때에 경사면(36)을 따라 억류편(35)에 올려지도록 하였다.
상기 몸체(32)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테(40)를 형성한 양 측면에는 가이드테(40)와 인접한 가이드테(40)의 폭을 브래킷(42)의 너비와 같도록 하였고, 한 쌍의 가이드테(40)사이의 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41)을 오목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브래킷(42)은 금속편을 다중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한 중앙에는 수평방향의 노출변(43)을 형성하고, 노출변(43)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직변(44)을 형성하며, 수직변(44)의 상단은 외측방향으로 절곡하여 윙부(45)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노출변(43)은 ''형상의 삽입공(48)을 형성하되, 상측방향으로 삽입공(48)의 테를 돌출시켜 호부분에 해당하는 턱을 고정턱(50)으로 하고, 나머지부분의 턱은 이탈방지턱(49)으로 형성한 것으로 고정턱(50)은 이탈방지턱(49)보다 다소 높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수직변(44)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47)를 브래킷(4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몸체(32)의 걸림홈(4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윙부(45)에는 유통공(46)을 뚫어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콘크리트가 브래킷(42)의 유통공(46)에 통하여 브래킷(42)을 보다 견실하게 매설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평조절부재(51)는 종래의 수평조절부재(17)에서 헤드(52)만을 개량한 것으로 헤드편(55)의 하측으로는 양측면에 톱니형상 돌기를 형성한 체결부(57)형성하고, 헤드편(55)의 상단양측으로는 하향돌기(53)를 형성하되 하향돌기(53)는 헤드편(55)과 공간부(54)를 두고 형성하며, 헤드편(55)의 상측에는 축편(56)을 형성하되 축편(56)의 상단은 라운딩 처리한 것이다.
이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30)은 몸체(32)에 브래킷(42)을 끼워 넣어 결합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가이드테(40)사이로 브래킷(42)의 수직변(44)을 끼워넣게 되면, 수직변(44)의 걸림돌기(47)는 몸체(32)의 걸림홈(41)에 체결되는 것으로 별도의 열원을 가할 필요 없이 체결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천장틀(30)은 종래의 천장틀(1)의 설치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푸집에 장착되는 것으로 장착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지나 굳혀졌을 때에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거푸집을 제거할 때에 당겨지는 것은 합성수지 재질인 몸체(32)의 위치기준플렌지(37)에 충격 하중이 가해지고, 브래킷(42)의 윙부(45)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또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거푸집의 제거에 따른 충격하중은 브래킷(42)에 전해지지 않으므로 천장틀(30)은 견실한 것이다.
설치상태를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브래킷(42)의 노출변(4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고, 노출변(43)의 삽입공(48)에 수평조절부재(51)를 삽입한 다음 수평조절부재(51)를 90°각도로 회전시켜 수평조절부재(51)를 장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조절부재(51)를 90°각도로 회전시킬 때에 축편(56)은 몸체의 가이드홈(34)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가이드홈(34)에 의해 축편(56)이 지지되어 전후좌우로 요동치는 범위를 줄일 수 있는 것이고, 계속적으로 회전시킴에 경사면(36)을 통해 억류편(35)위로 올라서(실질적으로 하향)게 되어 수평조절부재(51)를 억류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천장틀(30)에 수평조절부재(51)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찬넬(23)을 장착하는 것으로 찬넬(23)에 형성된 체결공(24)에 체결부(57)를 끼워 넣고, 찬넬(23)을 90°각도로 회전시키며. 하측으로 노출된 여분의 체결부(57)는 절곡시켜 마감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장착된 찬넬(23)은 완전하게 움이직지 못하도록 고정되서는 안되는 것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유동하게 되고, 유동하는 범위는 종래의 천장틀(1)에 비하여 좁은 범위에서 유동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것이다.
상기 찬넬(23) 및 수평조절부재(51)가 유동하여야 하는 것은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그 외력(충격)이 천장틀(3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중간에서 차단하는 역할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유동이 필요한 것이며 너무 많은 유동을 할 경우에는 오히려 불안정한 상태로 천장부재가 장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천장틀(30)은 금속재질의 브래킷과 고정구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브래킷은 다중절곡 형성한 것으로 상향외측으로 절곡하여 윙부를 형성하여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혀졌을 때에 윙부는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천장틀(30)에 가해지는 모든 하중은 브래킷(42)에 의해 지탱하므로 다소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가해지는 정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천창틀인 것이다.
또, 합성수지 재질의 고정구에 금속재질의 브래킷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종래의 고정구에 커버를 결합시킬 때에 초음파 열원을 가하는 공정을 배제시켜 천장틀의 제조공정에서 안전사고를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 수평조절부재의 상측에 축편을 형성하고, 고정구의 내면 상측 중앙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가이드홈에 축편이 끼워져 회전함으로서 수평조절부재의 유동 범위를 종래의 천장틀에 비하여 절반이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로서 보다 안정적인 천장 마감공사를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구를 거푸집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천장틀에 수평조절부재를 체결하여 구성하는 천장틀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사각형상으로 몸체(32)를 형성하되 몸체(32)의 하부 양외측에 위치기준플렌지(37)를 형성하고, 몸체(32)의 내부에는 저면으로 개방된 장착부(33)를 형성하며, 장착부(33)의 중앙에 둥근 형상의 가이드홈(34)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위치기준플렌지(37)와 직각방향의 몸체(32)외측면에는 양모서리에 한 쌍의 가이드테(40)를 돌출형성하며, 한 쌍의 가이드테(40)의 사이면에 복수개의 걸림홈(41)을 오목하게 형성한 고정구(31)와,
    금속편을 다중으로 절곡시키되, 중앙에는 노출변(43)을 형성하고, 노출변(43)의 양측을 절곡하여 수직변(44)을 형성하며, 수직변(44)의 상단에서는 외측으로 절곡하여 윙부(46)를 형성하고, 윙부(46)에는 유통공(46)을 형성하며, 노출변(43)에는 ''형상의 삽입공(48)을 형성하고, 삽입공(48)의 상측으로 돌출테를 형성하되 삽입공의 호부분에 해당하는 돌출테는 고정턱(50)으로 형성하고 다른 부분은 이탈방지턱(49)으로 고정턱(50)을 이탈방지턱(49)보다 높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변(44)의 일측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돌기(47)를 형성한 브래킷(42) 및
    헤드부(52)상측에 축편(58)을 형성하되 축편(58)의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한수평조절부재(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틀
KR2020020002532U 2002-01-26 2002-01-26 경량철골 천장틀 KR200274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532U KR200274386Y1 (ko) 2002-01-26 2002-01-26 경량철골 천장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532U KR200274386Y1 (ko) 2002-01-26 2002-01-26 경량철골 천장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650A Division KR100419292B1 (ko) 2002-01-26 2002-01-26 경량철골 천장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86Y1 true KR200274386Y1 (ko) 2002-05-06

Family

ID=7311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532U KR200274386Y1 (ko) 2002-01-26 2002-01-26 경량철골 천장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96931B (zh) 建筑物墙面砖干挂装置
US20090091941A1 (en) Panel component holder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US6027091A (en) Curtain clip
KR100419292B1 (ko) 경량철골 천장틀
KR200274386Y1 (ko) 경량철골 천장틀
KR102421187B1 (ko) 패널의 탈부착이 용이한 안전 펜스
JP2008025185A (ja) 雪留金具
JP6445254B2 (ja) 独立構造体および隙間塞ぎ材の取付方法
JPH07207809A (ja) 天井野縁受け吊下げ装置用のハンガー
JPH08165721A (ja) 基礎水切り装置
JP3963790B2 (ja) 役物の固定金具
JPH08105169A (ja) 軒樋支持具
JP2005139669A (ja) タイル落下防止金具及びタイル取付構造
JP5616840B2 (ja) 軒樋取り付け具
JP2006299794A (ja) 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前記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付き側溝、並びに、前記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
JP4679924B2 (ja) 既設支柱と上部継手金具との固定構造
JP3146875B2 (ja) 軒樋支持具
JP3780642B2 (ja) 照明器具
JP3587420B2 (ja) 軒樋装置
JP3513741B2 (ja) 笠木装置
JP3768716B2 (ja) 樋取付け具
JPS6214263Y2 (ko)
KR200414949Y1 (ko) 거푸집용 가설브래킷 및 이의 설치구조
JPH0651345U (ja) 軒樋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