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108Y1 -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108Y1
KR200247108Y1 KR2019970024784U KR19970024784U KR200247108Y1 KR 200247108 Y1 KR200247108 Y1 KR 200247108Y1 KR 2019970024784 U KR2019970024784 U KR 2019970024784U KR 19970024784 U KR19970024784 U KR 19970024784U KR 200247108 Y1 KR200247108 Y1 KR 200247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rum
brake shoes
shoes
whee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430U (ko
Inventor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24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1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 F16D51/2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제동시 브레이크 슈우가 내부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교차부재를 매개로 휘일실린더로부터 받은 확장력으로 브레이크 드럼의 전부위로 골고루 밀착되어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양선단부위에 제동력 발생시 휘일 실린더(14)로부터 가해지는 확장력을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된 제1,2교차부재(21,22)가 각기 상하로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상단과 하단을 번갈아 지지하도록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교차되는 중앙부위가 액슬허브(23)상에 힌지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DRUM BRAKE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동시 휘일실린더로 부터 확장압력을 받아 브레이크 드럼과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양쪽 브레이크 슈우에 고른 힘이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더불어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로서, 통상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속으로 방출시켜 브레이크 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장치는, 주행할 때에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있고, 브레이크장치의 조작기구는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 브레이크에는, 유압식 외에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브레이크와, 조작력을 가볍게 하기 위해 엔진의 흡입 부압이나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배력식 브레이크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에서 오는 유압을 받아서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본체는 구조상으로 드럼식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브레이크로 나누어지는 바, 상기 드럼식 브레이크는 휘일 실린더와 브레이크 슈우 및 실린더와 슈우를 설치하는 백 플레이트와 브레이크 드럼 등으로 구성되는 반면에, 상기 디스크식 브레이크는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쪽에서 제동 패드를 유압에 의하여 눌러서 제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형식을 캘리퍼형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식 브레이크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11)의 안쪽에 2개의 제1,2슈우(12,1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2슈우(12,13)의 상부에는 제1,2슈우(12,13)를 드럼(11)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휘일 실린더(14)가 장착되며, 상기 제1,2슈우(12,13)의 하부에는 제1,2슈우(12,13)의 확장시에 슈우(12,13)를 받혀주는 앵커(15)가 백플레이트(16)에 체결되는 한편, 확장된 상기 제1,2슈우(12,13)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7)이 제1,2슈우(12,13)의 상하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그 조작력이 마스터실린에 의해 배력되어 휘일 실린더(14)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 휘일 실린더(14)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전달받아 2개의 제1,2슈우(12,13)를 브레이크 드럼(11)쪽으로 밀어서 슈우(12,13)에 부착된 라이닝과 드럼(11)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바퀴를 제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럼식 브레이크에서는, 제동시 휘일 실린더(14)가 제1,2슈우(12,13)의 일부분을 밀어 브레이크 드럼(11)의 내주면에 닿게 하므로 인해 휘일 실린더(14)를 통해 브레이크 드럼(11)쪽으로 가압되는 제1,2 슈우(12,13)와 브레이크 드럼(11)사이의 힘이 균일하게 배분되지 못하게 되어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동시 브레이크 슈우가 백플레이트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교차부재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의 전부위에 골고루 밀착됨으로써 안정적인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2브레이크 슈우의 양선단부위에 각기 상하로 제1,2브레이크 슈우의 상단과 하단을 교차되게 지지하면서 교차되는 중앙부위가 액슬허브상에 힌지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2교차부재가 백플레이트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드럼식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식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브레이크 드럼 12 - 제1브레이크 슈우
13 - 제2브레이크 슈우 14 - 휘일 실린더
15 - 앵커핀 16 - 백플레이트
17 - 리턴스프링 21 - 제1교차부재
22 - 제2교차부재 23 - 액슬허브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식 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드럼식 브레이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11)의 안쪽에 2개의 제1,2슈우(12,1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2슈우(12,13)의 상부에는 제1,2슈우(12,13)를 드럼(11)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휘일 실린더(14)가 장착되며, 상기 제1,2슈우(12,13)의 하부에는 제1,2슈우(12,13)의 확장시에 슈우(12,13)를 받혀주는 앵커(15)가 백플레이트(16)에 체결되는 한편, 확장된 상기 제1,2슈우(12,13)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7)이 제1,2슈우(12,13)의 상하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양선단부위에는 제1,2교차부재(21,22)가 각기 상하로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상단과 하단을 번갈아 지지하도록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교차되는 중앙부위가 액슬허브(23)상에 힌지결합되어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브레이크 슈우(12)의 상단과 제2브레이크 슈우(13)의 하단이 제1교차부재(21)에 의해 지지되고, 제1브레이크 슈우(12)의 하단과 제2브레이크 슈우(13)의 상단이 각기 제2교차부재(22)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그 조작력이 마스터실린에 의해 배력되어 휘일 실린더(14)로 전달되고, 이 휘일 실린더(14)는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을 전달받아 제1,2교차부재(21,22)를 브레이크 드럼(11)쪽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교차부재(21,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2개의 제1,2브레이크 슈우(12,13)는 브레이크 드럼(11)의 내측으로 밀려지게 되고, 이때 상기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에 장착된 패드가 브레이크 드럼(11)에 밀착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해 바퀴가 제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교차부재(21)와 제2교차부재(22)는 휘일 실린더(14)로부터 가해지는 확장력을 각기 제1브레이크 슈우(12)와 제2브레이크 슈우(13)에 균일하게 분배하게 되므로, 상기 브레이크 드럼(11)과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에 장착된 패드에서는 고른 밀착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에 의하면, 제동시 양측의 브레이크 슈우가 교차부재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의 내측면에 균일하게 가압됨으로써 제동이 원활하면서도 균일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로인해 제동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 드럼(11)의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와, 상기 제1,2브레이크(12,13)의 상부에 장착되어 제동력 발생시 확장되면서 제1,2브레이크 슈우(12,13)를 브레이크 드럼(11)쪽으로 밀착시키도록 된 휘일 실린더(14)와, 상기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백플레이트(16)에 체결되어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확장시에 제1,2브레이크 슈우(12,13)를 받혀주도록 된 앵커(15)와, 상기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상하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동력 해체시 확장된 제1,2브레이크 슈우(12,13)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17)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양선단부위에는, 제동력 발생시 휘일 실린더(14)로부터 가해지는 확장력을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에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된 제1,2교차부재(21,22)가 각기 상하로 제1,2브레이크 슈우(12,13)의 상단과 하단을 번갈아 지지하도록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서로 교차되는 중앙부위가 액슬허브(23)상에 힌지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럼브레이크.
KR2019970024784U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KR200247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84U KR200247108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84U KR200247108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30U KR19990011430U (ko) 1999-03-25
KR200247108Y1 true KR200247108Y1 (ko) 2002-06-29

Family

ID=5389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784U KR200247108Y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1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30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7108Y1 (ko) 자동차용드럼브레이크의구조
KR19980039926U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구조
JP3665099B2 (ja) 鉄道車両用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制輪子の戻し装置
KR100251361B1 (ko) 자동차의 드럼식 브레이크
KR200281960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69958B1 (ko) 1 휠 실린더 적용 2-리딩식 드럼 브레이크
KR0178943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동방법
KR19990029688U (ko) 드럼식 브레이크의 휠 실린더구조
KR19990019159U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구조
KR19980038993A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심 구조
KR19980034044U (ko) 자동차의 드럼식 브레이크 장치
KR100218164B1 (ko) 차량의 더블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8831U (ko)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의 마찰 패드
GB2308626A (en) A drum brak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20050046139A (ko) 균일한 패드 면압을 갖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KR19980038913A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마찰패드
KR19980059696A (ko) 자동차의 드럼식 브레이크 장치
KR980008722U (ko) 자동차의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
KR19980038912A (ko) 디스크식 브레이크 장치의 디스크 플레이트
KR19990029707U (ko) 드럼 브레이크의 마찰구조
KR19980055348A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
KR20060012493A (ko)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의 웨브 지지형 백 플레이트
KR19980017356U (ko)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의 마찰패드
KR19990029711U (ko) 디스크 브레이크구조
KR19980030145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슈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