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742A -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 Google Patents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742A
KR20020003742A KR1020000037629A KR20000037629A KR20020003742A KR 20020003742 A KR20020003742 A KR 20020003742A KR 1020000037629 A KR1020000037629 A KR 1020000037629A KR 20000037629 A KR20000037629 A KR 20000037629A KR 20020003742 A KR20020003742 A KR 2002000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ithium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헌준
정구진
김영욱
강탁
주경희
Original Assignee
손헌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헌준 filed Critical 손헌준
Priority to KR102000003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3742A/ko
Publication of KR2002000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742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세라믹 또는 금속간화합물 등의 강화제를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 속에 분산시킨 복합재료를 합성한 음극물질에 의해 리튬이차전지용 리튬합금 음극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리튬이차전지의 싸이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에 관한 것으로,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이다.

Description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ANODE MATERIALS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세라믹 또는 금속간화합물 등의 강화제를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 속에 분산시킨 복합재료를 합성한 음극물질에 의해 리튬이차전지용 리튬합금 음극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리튬이차전지의 싸이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용 무선 정보통신기기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휴대용 전원으로서 리튬이차전지는 큰 주목을 끌고 있다.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서 검토되는 물질 중 리튬금속은 다른 어떠한 재료의 경우보다 에너지밀도가 3860 mAh/g로 높기 때문에 리튬을 음극으로 갖는 전지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충전시 수지상 성장에 의한 안전성 문제와 낮은 충방전 효율 등의 문제점들이 극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용량을 나타내면서 이를 대치할 수 있는 물질로서 리튬합금의 연구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리튬합금 물질은 카본음극 물질의 제한된 용량보다 더 높은 무게당, 부피당 충방전 용량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높은 충방전 전류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과 높은 충방전 효율을 나타낸다.
하지만 충방전시 상변화로 인한 부피변화가 발생,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이 활물질의 파괴를 일으켜 싸이클에 따른 용량 감소의 큰 문제점을 보이며 이러한 전극의 기계적 불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고자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금속간화합물, 전극 활물질의 초미립화, 나노복합물질의 개발 등을 통한 싸이클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이차전지계의 음극용으로 이용되는 리튬합금의 가장 큰 문제점은 충방전시 리튬합금의 부피변화로 인한 파괴현상과 이로 인한 싸이클에 따른 용량감소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 중, 리튬과 반응하는 물질(active phase)에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비반응 물질(inactive phase)을 첨가, 복합물질을 합성하여 합금반응에 있어 나타나는 부피변화에 의한 전극파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응물질/비반응물질로 구성된 초미립복합 음극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한 주류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향상된 특성의 원인 및 특성향상 기구의 해석 등이 모호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튬이차전지계의 음극으로 이용되는 리튬합금재료의 기계적 강도 특성을 향상시켜 싸이클 수명이 향상된 고용량 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기계적 합성방법을 통한 Al(80 vol%)과 SiC(20 vol%)간 음극물질의 싸이클 특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합성방법을 통한 Al(80 vol%)과 Al2O3(20 vol%)간 음극물질의 싸이클 특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합성방법과 열처리를 통한 Al과 Al6Mn간 음극물질의 싸이클 특성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기계적 합성방법을 통한 Al(80 vol%)과 SiC(20 vol%)간 음극물질의 싸이클 특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합성방법을 통한 Al(80 vol%)과 Al2O3(20 vol%)간 음극물질의 싸이클 특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합성방법과 열처리를 통한 Al과 Al6Mn간 음극물질의 싸이클 특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을 실시예 범위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복합하였다.
상기 분말의 복합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 50-95 vol%에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 5∼50 vol%를 섞은 후, 지름 5.5cm, 높이 9cm의 SKD11 재질의 원통형 바이얼에 3/8 인치 크기의 볼과 함께 잠입하여 볼밀기기(일명:vibrating mill)에 장착시킨 후 분당 600-1000회의 회전속도로 기계적 합성을 수행하여 이루어 졌다.
볼과 분말과의 무게비는 16∼24:1로 유지하였으며 산소의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glove box) 내에서 준비하였다.
일예로서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과 리튬과 반응하지 않고 강화제 역할을 하는 세라믹 물질 중 SiC간의 복합물질을 80 vol% : 20 vol%로 섞은 후, 지름 5.5cm, 높이 9cm의 SKD11 재질의 원통형 바이얼에 3/8 인치 크기의 볼과 함께 잠입하여 볼밀기기(일명:vibrating mill)에 장착시킨 후 분당 800회의 회전속도로 기계적 합성을 수행하였다.
이때 볼과 분말과의 무게비는 20:1로 유지하였으며 산소의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글러브(glove box)내에서 준비하였다.
도 1은 상기의 기계적 합성방법을 통하여 음극물질을 제조한 후, 리튬이차전지의 전극물질로서 그 특성을 확인한 실험 결과로서 Al 복합물질 전극이 단순히 Al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향상된 싸이클 수명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과 리튬과 반응하지 않고 강화제 역할을 하는 세라믹 물질 중 Al2O3간의 복합물질을 80 vol% : 20 vol%로 섞은 후, 지름 5.5cm, 높이 9cm의 SKD11 재질의 원통형 바이얼에 3/8 인치 크기의 볼과 함께 잠입하여 볼밀기기(일명:vibrating mill)에 장착시킨 후 분당 800회의 회전속도로 기계적 합성을 수행하였다.
이때 볼과 분말과의 무게비는 20:1로 유지하였으며 산소의 영향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글러브(glove box)내에서 준비하였다.
도 2는 상기의 기계적 합성방법을 통하여 음극물질을 제조한 후, 리튬이차전지의 전극물질로서 그 특성을 확인한 실험 결과로서 Al 복합물질 전극이 단순히 Al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향상된 싸이클 수명을 보여주고 있음을 역시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예는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금속간화합물(Al3Ti, Al3Fe, Al3Nb, Al6Mn, Al3Cr, Al3Co, Al3Ni, Al2Cu, Al4Cu9, Al3Zr, TiSi2, CrSi2, MoSi2)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과 화합물간의 복합은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 50-95 vol%에 금속간화합물(Al3Ti, Al3Fe, Al3Nb, Al6Mn, Al3Cr, Al3Co, Al3Ni, Al2Cu, Al4Cu9, Al3Zr, TiSi2, CrSi2, MoSi2)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5∼50 vol%를 섞은 분말과 볼을 중량비 1:16∼24로 유지하여 바이얼에 잠입한 상태에서, 볼밀기기에 장착시킨 후 분당 600∼1000회의 회전속도로 기계적 합성을 수행한 다음,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300∼600℃ 온도에서 10분∼24시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Al과 Al6Mn간의 복합재료를 리튬전지의 음극으로 그 특성을 확인한 그림으로서 Al과 Mn 분말간의 기계적 합성을 통하여 Mn안에 Al을 충분히 고용시킨 후 500℃에서 12시간동안 아르곤 가스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여 Al과 Al6Mn간의 복합재료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복합재료를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으로 사용할 경우 역시 단순히 Al을 전극으로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향상된 싸이클 수명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처럼 본 발명은 종래 복합재료 전극의 입자 내부구조 및 각 상들의 역할 등의 기본개념과는 차이를 보이는 새로운 개념의 리튬합금 복합재료를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리튬합금 물질과 강화제 역할을 하는 세라믹 또는 금속간화합물 간의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에 이용함으로써 리튬합금 물질의 기계적 강도 특성이 향상되어 충방전 반응시 전극의 파괴현상을 억제하며 그로 인하여 싸이클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라믹 또는 금속간화합물 등의 강화제를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 분말 속에 분산시킨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리튬이차전지용 리튬합금 음극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리튬 전지의 싸이클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의 복합은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 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 50-95 vol%에 세라믹 분말(Al2O3, SiO2, Li2O, CuO, Fe2O3, Nb2O5, MgO, SiC, Al4C3, TiC, Fe3C, Co3C Ni3C, Si3N4, BN, AlN, GaN, AlB2)중 어느 하나의 분말 5∼50 vol%를 섞은 분말과 볼을 중량비 1:16∼24로 유지하여 바이얼에 잠입한 상태에서, 볼밀기기에 장착시킨 후 분당 600∼1000회의 회전속도로 기계적 합성을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3.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과 금속간화합물(Al3Ti, Al3Fe,Al3Nb, Al6Mn, Al3Cr, Al3Co, Al3Ni, Al2Cu, Al4Cu9, Al3Zr, TiSi2, CrSi2, MoSi2)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과 화합물간의 복합은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금속분말(Al, Mg, Sn, Si, Sb, Ge, Pb, Ag, Au, Zn, In, Cd, Bi, Pt, Pd, Ca, B, Te)중 어느 하나의 분말 50-95 vol%에 금속간화합물(Al3Ti, Al3Fe, Al3Nb, Al6Mn, Al3Cr, Al3Co, Al3Ni, Al2Cu, Al4Cu9, Al3Zr, TiSi2, CrSi2, MoSi2)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5∼50 vol%를 섞은 분말과 볼을 중량비 1:16∼24로 유지하여 바이얼에 잠입한 상태에서, 볼밀기기에 장착시킨 후 분당 600∼1000회의 회전속도로 기계적 합성을 수행한 다음,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300∼600℃ 온도에서 10분∼24시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KR1020000037629A 2000-07-03 2000-07-0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KR20020003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629A KR20020003742A (ko) 2000-07-03 2000-07-0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629A KR20020003742A (ko) 2000-07-03 2000-07-0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742A true KR20020003742A (ko) 2002-01-15

Family

ID=1967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629A KR20020003742A (ko) 2000-07-03 2000-07-0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3742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678B1 (ko) * 1999-04-29 200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2차전지의 캐소드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캐소드 활물질의 제조 방법
KR101166900B1 (ko) * 2004-04-15 2012-07-18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나노-분산된 실리콘 및 주석의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US9054365B2 (en) 2010-10-27 2015-06-09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9525175B2 (en) 2010-05-25 2016-12-20 Samsung Sdi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lithium battery, and secondary lithium battery
CN106532021A (zh) * 2017-01-11 2017-03-22 安徽工业大学 一种Fe3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02033A (zh) * 2017-01-11 2017-04-26 安徽工业大学 一种Zr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54280A (zh) * 2017-01-11 2017-05-10 安徽工业大学 一种w2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54281A (zh) * 2017-01-11 2017-05-10 安徽工业大学 一种Ta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711422A (zh) * 2017-01-11 2017-05-24 安徽工业大学 一种Co3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0374228B2 (en) 2006-10-13 2019-08-06 Fmc Lithium Usa Corp. Stabilized lithium metal powder for li-ion application composition
CN111029531A (zh) * 2020-01-02 2020-04-17 北京航空航天大学 单原子分散的MXene材料及其用于锂电负极的用途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678B1 (ko) * 1999-04-29 200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2차전지의 캐소드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캐소드 활물질의 제조 방법
US10003070B2 (en) 2004-04-15 2018-06-19 Fmc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s of nano-dispersed silicon and ti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166900B1 (ko) * 2004-04-15 2012-07-18 에프엠씨 코포레이션 나노-분산된 실리콘 및 주석의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US8231810B2 (en) 2004-04-15 2012-07-31 Fmc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s of nano-dispersed silicon and ti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753779B2 (en) 2004-04-15 2014-06-17 Fmc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s of nano-dispersed silicon and ti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374228B2 (en) 2006-10-13 2019-08-06 Fmc Lithium Usa Corp. Stabilized lithium metal powder for li-ion application composition
US9525175B2 (en) 2010-05-25 2016-12-20 Samsung Sdi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lithium battery, and secondary lithium battery
US9054365B2 (en) 2010-10-27 2015-06-09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N106532021A (zh) * 2017-01-11 2017-03-22 安徽工业大学 一种Fe3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54281A (zh) * 2017-01-11 2017-05-10 安徽工业大学 一种Ta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711422A (zh) * 2017-01-11 2017-05-24 安徽工业大学 一种Co3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54280A (zh) * 2017-01-11 2017-05-10 安徽工业大学 一种w2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02033A (zh) * 2017-01-11 2017-04-26 安徽工业大学 一种ZrC@洋葱状碳/无定形碳纳米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029531A (zh) * 2020-01-02 2020-04-17 北京航空航天大学 单原子分散的MXene材料及其用于锂电负极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3858C2 (ru) Негативный актив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литиев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6374678B2 (ja) 蓄電デバイスの負極材料
KR20110008157A (ko) 실리콘계 복합 물질
WO1995017531A1 (en) Hydrogen-absorbing alloy and alkaline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KR20020003742A (ko) 리튬이차전지의 음극물질
KR101482478B1 (ko) Si계 음극 물질
CN104995771B (zh) 蓄电设备的负极活性物质用的Si系共晶合金及其制造方法
KR20160132826A (ko) 축전 디바이스의 음극 재료
JP2016062660A (ja) 蓄電デバイス用Si系合金負極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極
CN108232160B (zh) 一种制备多孔金属-碳复合物的方法
KR100922282B1 (ko) 복합체, 그 제조 방법,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및 그 이용 방법
JP2009152201A (ja) 複合体陰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採用した陰極とリチウム電池
KR101600358B1 (ko) 텔루륨 금속 또는 텔루륨-탄소 복합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725381B1 (ko) 실리콘, 실리콘-전이금속 화합물, 흑연 및 비정질 탄소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H11345610A (ja) 電池用負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50676A (ko) 리튬이차전지의 비정질 음극물질
JP4372451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H10302776A (ja) 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4285406A (ja) 水素吸蔵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ニッケル−水素電池用電極
JP200030255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炭素材料及び黒鉛化促進剤
JP6630632B2 (ja) 蓄電デバイス用負極材料
JP3141140B2 (ja) 電池用水素吸蔵合金の製造方法
JPH04187733A (ja) 水素吸蔵合金電極
KR20170030188A (ko) 코발트-주석계 화합물, 금속탄화물 및 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JPH05179372A (ja) 水素吸蔵合金粉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