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464A - 레버 스위치 - Google Patents

레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464A
KR20000053464A KR1020000001360A KR20000001360A KR20000053464A KR 20000053464 A KR20000053464 A KR 20000053464A KR 1020000001360 A KR1020000001360 A KR 1020000001360A KR 20000001360 A KR20000001360 A KR 20000001360A KR 20000053464 A KR20000053464 A KR 2000005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lder
stopper
main stop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287B1 (ko
Inventor
사토나오키
Original Assignee
키사키 아키라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사키 아키라,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키사키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0005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3Means for limi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part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1)는 레버(6)가 피봇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레버(6)는 상부위치와 하부위치 사이에서 회동된다. 홀더(5) 상부벽(8)의 하부면은 제 1 주스토퍼(8d)이다. 홀더(5)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노치(8g)와 레버 상의 노치와 대응되게 형성된 한쌍의 돌기(9b)는 제 1 부스토퍼이다. 이 제 1주스토퍼와 제 1부스토퍼는 레버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홀더(5) 하부벽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8h)는 제 2주스토퍼이다. 홀더 하부벽의 하부면에 형성된 凹부(8e)와 이 凹부에 대응되게 레버에 형성된 돌기(9c)는 제 2부스토퍼이다. 이 제 2주스토퍼와 제 2부스토퍼는 레버의 상방향 회전을 제지한다.

Description

레버 스위치{LEVER SWITCH}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암을 조작하였을 때, 레버가 접촉홀더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와이퍼 등을 기동시키기 위한 레버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레버 스위치는 접촉홀더(21) 및 레버(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촉홀더(21)는 커넥터(22) 및 홀더(23)로 이루어져 있다. 커넥터(22)의 상부면에는 4개의 접속홀(22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회로(도시생략)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단자는 접속홀(22a)에 각각 접속되어 레버 스위치를 외부회로에 접속시킨다.
홀더(23)는 커넥터(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23)는 레버(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홀더(23)의 양측면에는 U형상의 슬릿(2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3a)에 의해 홀더(23)의 양측면에는 탭(23b)이 제공되어 있다. 이 탭(23b)은 관통구멍인 피봇홀(23c)을 포함한다. 레버(24)는 이 탭(23b)에 의해 수용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23)의 상부 내측면의 일단부는 상측 스토퍼(23d)를 형성한다. 홀더(23)의 하부 내측면의 축방향 중앙부분에는 하측 스토퍼(23e)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24)는 작동부(25) 및 아암(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암(26)은 작동부(2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25)는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23)내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부(25)의 외부면과 홀더(23)의 내부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25)의 양측면에는 각각, 회동 결합축(2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축(25a)은 대응하는 피봇홀(23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6)을 화살표 방향을 따라 아래로 작동시키면, 작동부(25)의 선단측은 홀더(23)내에서 위로 이동된다. 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6)을 위로 작동시키면, 작동부(25)의 선단측은 홀더(23)내에서 아래로 이동된다.
그런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6)을 아래로 작동시키면, 작동부(25)의 상부 선단면은 상측 스토퍼(23d)와 접촉한다. 만일, 아암(26)을 이 위치로부터 더욱 아래로 작동시키면, 상부 스토퍼(23d)를 지지점으로 하는 힘(F)이 피봇홀(23c)의 내주면으로부터 결합축(25a)에 가해진다. 이 힘(F)에 의해서 결합축(25a)이 피봇홀(23c)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다.
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26)을 위로 작동시키면, 작동부(25)의 하부면은 하부 스토퍼(23e)와 접촉한다. 만일, 아암(26)을 더욱 위로 작동시키면, 하부 스토퍼(23e)를 지지점으로 하는 힘(F)이 피봇홀(23c)의 내주면으로부터 결합축(25a)에 가해진다. 하측 스토퍼(23e)를 지지점으로 하는 힘(F)이 상방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 힘(F)에 의해서 결합축(25a)이 피봇홀(23c)로부터 빠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아암(26)을 위로 작동시키거나 아래로 작동시켰을 때, 피봇홀(23c)로부터 결합축(25a)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봇홀로부터 결합축이 쉽게 빠지지 않는 레버를 구비한 레버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레버 스위치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레버 스위치의 접촉홀더 및 레버의 사시도이고, 2b는 중립위치에 있는 부스토퍼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중립위치에 있는 접촉홀더 및 레버를 보인 단면도,
도 4a는 하부 위치에 있는 접촉홀더 및 레버를 보인 단면도이고, 4b는 하부위치에 있는 부스토퍼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a는 상부위치에 있는 접촉홀더 및 레버의 단면도이고, 5b는 하부 위치에 있는 부스토퍼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레버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7a는 하부위에 있는 도 6의 레버 스위치의 접촉홀더 및 레버를 보인 단면도이고, 7b는 상부위치에 있는 도 6의 레버 스위치의 접촉홀더 및 레버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레버 스위치 2:케이스
3:인슐레이터 4:몸체
5:접촉홀더 6:레버
8:홀더 8a:슬릿
8c:피봇홀 8d, 8h:제 1, 2주스토퍼
9:작동부 8g, 9b; 8e, 9f, 9c:제 1, 2부스토퍼
9a:축 10:아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의 레버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레버 스위치는 홀더와 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 레버는 피봇 조인트를 통해서 홀더에 지지된다. 주스토퍼는 홀더에 대해서 어떤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홀더에 형성되어 있다. 부스토퍼는 메인 스토퍼와 협동하여 홀더에 대해서 어떤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 부스토퍼는 주스토퍼로부터 피봇 조인트의 양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레버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 레버 스위치는 레버와 홀더를 포함한다. 이 레버는 아암과 작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홀더는 작동부를 지지한다. 피봇 조인트는 홀더에 대해서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주스토퍼는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한다. 부스토퍼는 메인 스토퍼로부터 피봇 조인트의 양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부스토퍼는 주스토퍼와 협동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 및 이익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고로 이루어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신규한 것이라 믿으며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목적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스위치(1)는 스위치 몸체(4), 케이스(2), 및 인슐레이터(3)를 포함한다. 케이스(2)와 인슐레이터(3)는 스위치 몸체(4)를 지지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몸체(4)는 접촉홀더(5) 및 레버(6)를 포함한다. 접촉홀더(5)는 커넥터(7) 및 홀더(8)를 포함한다. 커넥터(7)의 상부면에는 4개의 접속홀(7a)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회로(도시생략)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단자는 접속홀(7a)에 각각 접속되어 레버 스위치(1)를 외부회로에 접속시킨다.
홀더(8)는 레버(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홀더(8)는 커넥터(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8)의 양측면에는 U형상의 슬릿(8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8a)에 의해 홀더(8)의 양측면에는 탭(8b)이 제공되어 있다. 각 탭(8b)은 피봇홀(8c)을 구비한다. 이 탭(8b)은 레버(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레버(6)는 작동부(9) 및 아암(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암(10)은 작동부(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피봇 결합축(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축(9a)은 대응하는 피봇홀(8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주스토퍼(8d)는 홀더(8)의 상부벽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홀더(8)의 유입부 근처(도 3에서 제 1주스토퍼(8d)의 오른쪽)에는 凹부(8e)가 형성되어 있다. 이 凹부(8e)는 피봇홀(8c)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제 1주스토퍼(8d)는 아암(10)으로부터 피봇홀(8c)의 양면(도 3에서 왼쪽)에 위치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8)의 유입 림(도 3에서 우측단)에는 대향된 노치(8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8g)는 제 1주스토퍼(8d)로부터 피봇홀(8c)의 양면(도 3에서 오른쪽)에 위치되어 있다.
홀더(8)의 내측면에는 하부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돌기(8h)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돌기(8h)는 도 3에서 피봇홀(8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면(8f)은 길이방향으로 홀더(8)의 중앙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접촉면(8f)은 凹부(8e)의 좌측단면으로부터 유입부(도 5b에서 우측)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9)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수평 돌기(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9b)는 축(9a)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돌기(9b)는 대응하는 노치(8g)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이 돌기(9b)와 노치(8g)는 제 1부스토퍼를 형성한다.
또한, 수직 또는 상부 돌기(9c)는 작동부(9)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凹부(8e)내에 위치된다. 이 접촉면(8f)과 상부 돌기(9c)는 제 2부스토퍼를 형성한다.
손으로 아암(10)을 조작하면, 작동부(9)는 축(9a)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레버 스위치(1)는 도 3에 도시한 중립위치, 도 4a에 도시한 하부위치, 도 5a에 도시한 상부위치인 3개의 위치 사이로 시프트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스위치(1)가 아암(10)에 의해서 하방으로 시프트되면, 작동부(9)는 축(9a)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작동부(9)의 좌측단은 홀더(8)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작동부(9)의 상부면은 제 1메인 스토퍼(8d)에 접촉된다. 이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9b)의 하단은 노치(8g)의 하부면에 접촉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스위치가 아암(10)에 의해서 상방으로 시프트되면, 작동부(9)는 축(9a)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작동부(9)의 좌측단은 홀더(8)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작동부(9)의 하부면은 하부 돌기(8h)에 접촉된다. 이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9c)의 상단은 접촉면(8f)에 접촉된다.
도 4에 도시한 하부 위치에서, 아암(10)의 하부 시프트가 제지된 상태에서 작동부(9)의 상부면은 제 1주스토퍼(8d)에 접촉되고, 상측 돌기(9b)의 하단은 노치(8g)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아암(10)을 더욱 아래로 작동시키려고 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9a)에는 피봇홀(8c)의 내주면으로부터 제 1주스토퍼(8d)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방향 힘(F1)이 가해진다. 이때, 축(9a)에는 피봇홀(8c)의 내주면으로부터 노치(8g)의 하부면을 지지점으로 하는 상방향 힘(F2)이 가해진다. 이 하방향 힘(F1)과 상방향 힘(F2)은 거의 상쇄되어 합력(F3)이 된다. 합력(F3)은 하방향 힘(F1)에 비해서 작다.
도 5a에 도시한 상부 위치에서, 작동부(9)의 하부면이 하부 돌기(8h)에 접촉되고, 상부 돌기(9c)가 접촉면(8f)과 접촉된 상태에서는 아암(10)의 추가적인 상방향 이동이 제지된다. 이 상태에서, 아암(10)을 더욱 위로 작동시키려고 하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9a)에는 피봇홀(8c)의 내주면으로부터 하부 돌기(8h)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방향 힘(F4)이 가해진다. 이때, 축(9a)에는 피봇홀(8c)의 내주면으로부터 접촉면(8f)을 지지점으로 하는 힘(F5)이 가해진다. 이 상방향 힘(F4)과 힘(F5)은 합력(F6)이 된다. 힘(F5)은 상방향 힘(F4)과 반대방향의 힘의 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이 합력(F6)은 상방향 힘(F4)에 비해서 작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암(10)를 아래로 작동시켰을 때, 작동부(9)의 상부면이 제 1주스토퍼(8d)에 접촉되면, 작동부의 양측면에 설치된 돌기(9b)가 대응하는 노치(8g)의 하부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아암(10)를 아래로 작동시키면, 축(9a)에는 피봇홀(8c)의 내주면으로부터 제 1주스토퍼(8d)를 지지점으로 하는 하방향 힘(F1)과 노치(8g)의 하부면을 지지점으로 하는 상방향 힘(F2)이 가해진다. 이 하방향 힘(F1)과 상방향 힘(F2)의 방향은 거의 반대이므로, 그들의 힘(F1, F2)은 거의 상쇄되어 그 합력(F3)은 작아진다. 따라서, 축(9a)에 가해진 합력(F3)은 하방향 힘(F1)보다 작아지므로, 종래의 상측 스토퍼(23d)를 지지점으로 하는 축부(25a)에 가해지는 하방향 힘(F)에 비해서 작다. 그 결과, 축(9a)은 피봇홀(8c)로부터 하방으로 빠질 우려가 없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암(10)를 위로 작동시켰을 때, 작동부(9)의 하부면이 하부 돌기(8h)에 접촉되면, 작동부(9)의 양측면에 설치된 하측 돌기(9c)의 단부가 하측 2차 스토퍼(8f)의 하부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아암(10)을 위로 작동시키면, 축(9a)에는 피봇홀(8c)의 내주면으로부터 하부 돌기(8h)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방향 힘(F4)과 하측 2차 스토퍼(8f)를 지지점으로 하는 힘(F5)이 가해진다. 이 하측 2차 스토퍼(8f)를 지지점으로 하는 힘(F5)은 하부 돌기(8h)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방향 힘(F4)과 반대방향의 힘의 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그 합력(F6)은 상방향 힘(F4)에 비해서 작다. 따라서, 축(9a)에 가해진 합력(F6)은 종래의 하측 스토퍼(23e)를 지지점으로 하는 축(25a)에 가해진 상방향 힘(F4)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축(9a)은 피봇홀(8c)로부터 상방으로 빠질 우려가 없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축(9a) 대신에, 작동부(9)에 凹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돌기는 피봇홀(8c) 대신에 탭(8b)에 형성된다. 그같은 돌기는 작동부(9)내에 형성된 탭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과 마찬가지의 특징을 얻을 수 있다.
상측 돌기(9b) 대신에 凹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돌기는 노치(8g)대신에 홀더(8)에 형성된다. 아암(10)이 하방으로 시프트되고 작동부(9)의 상부면이 제 1주스토퍼(8d)와 접촉되면, 그같은 돌기의 상단은 작동부(9)에 형성된 凹부의 상부면과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과 거의 마찬가지의 특징을 얻을 수 있다.
상부 돌기(9c)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노치(8g)는 레버 스위치(1)가 상부에 위치할 때, 노치(8g)의 상부벽이 돌기(9b)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돌기(9b)와 노치(8g)는 제 1 및 제 2부스토퍼로 작용한다.
돌기(9b) 및 그와 상응하는 노치(8g)중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돌기(9b) 또는 상부 돌기(9c)중 어느 것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버(6)는 종래의 스위치에 비해서 홀더(5)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변형예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예들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도시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동일 및 그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여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암을 일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회동 중심부가 회동 지지부로부터 그 방향으로 빠질 우려가 없으며, 아암을 회동시켜도 회동 중심부가 회동 지지부로부터 빠질 우려가 없다.

Claims (7)

  1. 홀더(5)와;
    피봇 조인트를 통해서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6)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홀더에 대해서 어떤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홀더에 형성된 주스토퍼(8d, 8h)와;
    메인 스토퍼와 협동하여 홀더에 대해서 어떤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주스토퍼로부터 피봇 조인트의 양면에 위치되는 부스토퍼(8g, 9b, 8e, 8f, 9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부스토퍼는 홀더에 형성된 노치(8g)와 이 노치와 대응되게 레버에 형성된 돌기(9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3. 아암(10)과 작동부(9)로 이루어진 레버(6)와;
    작동부를 지지하는 홀더(5)와;
    홀더에 대해서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피봇 조인트(9a)를 포함하는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주스토퍼(8d)와;
    주스토퍼로부터 피봇 조인트의 양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주스토퍼와 협동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부스토퍼(8g, 9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주스토퍼는 홀더에 형성되어 있고, 레버가 제 1위치에 있을 때 작동부는 주 스토퍼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주스토퍼는 레버에 형성된 돌기(9b)와 홀더에 형성된 노치(8g)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치는 돌기와 대응되고, 이 돌기와 노치는 피봇 조인트 보다 아암에 더욱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스토퍼는 제 1주스토퍼이고, 상기 부스토퍼는 제 1부스토퍼이며, 소정의 방향은 제 1방향이고, 소정의 위치는 제 1위치이며,
    제 1방향과 대향인 제 2방향으로 제 2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 2주스토퍼(8h)와;
    제 2주스토퍼로부터 피봇 조인트의 양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 2주스토퍼와 협동하여 제 2방향으로 제 2위치까지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 2부스토퍼(8e, 8f, 9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7. 제 3항에 있어서,
    레버는 대략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작동부는 레버의 일단에 위치되고, 아암은 레버의 타단에 위치되며, 피봇 조인트는 아암과 작동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KR10-2000-0001360A 1999-01-13 2000-01-12 레버 스위치 KR100395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651499A JP3764290B2 (ja) 1999-01-13 1999-01-13 レバースイッチ
JP?11-006514 1999-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464A true KR20000053464A (ko) 2000-08-25
KR100395287B1 KR100395287B1 (ko) 2003-08-21

Family

ID=1164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360A KR100395287B1 (ko) 1999-01-13 2000-01-12 레버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53842A (ko)
EP (1) EP1020884B1 (ko)
JP (1) JP3764290B2 (ko)
KR (1) KR100395287B1 (ko)
DE (1) DE6002949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94B1 (ko) * 2006-05-01 2008-03-27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기능 스위치 레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554B1 (ko) * 1999-09-27 2002-04-06 윤종용 인접된 커패시터 사이의 크로스토크가 억제된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3875530B2 (ja) * 2001-10-03 2007-01-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操作機構
WO2005055261A1 (de) * 2003-12-05 2005-06-16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modul
JP5036456B2 (ja) * 2007-09-03 2012-09-26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431A (en) * 1978-12-09 1982-05-04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Lever switch
US4291213A (en) * 1980-09-22 1981-09-22 Deere & Company Lever operator switch actuator
DE3118214C2 (de) * 1981-05-08 1983-02-03 Fa. Leopold Kostal, 5880 Lüdenscheid Lenkstockschalter
DE4016773C2 (de) * 1990-05-25 1999-08-19 Teves Gmbh Alfred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zum Betreiben einer Scheibenwisch- und einer Scheibenwaschanlage eines Kraftfahrzeugs
JP2565582Y2 (ja) * 1990-07-18 1998-03-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
WO1993025407A1 (de) * 1992-06-11 1993-12-23 Swf Auto-Electric Gmbh Verschleissfester lenkstockschalter mit um zwei zueinander parallele achsen verschwenkbarem schaltheb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94B1 (ko) * 2006-05-01 2008-03-27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기능 스위치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9498T2 (de) 2006-12-28
JP2000208000A (ja) 2000-07-28
KR100395287B1 (ko) 2003-08-21
JP3764290B2 (ja) 2006-04-05
US6153842A (en) 2000-11-28
EP1020884A3 (en) 2001-09-05
EP1020884A2 (en) 2000-07-19
EP1020884B1 (en) 2006-07-26
DE60029498D1 (de) 200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7970B2 (ja) 多幅キー用のキースイッチ組立体
KR100318297B1 (ko) 플렉시블기판용전기커넥터
US6326570B1 (en) Switch
KR970003318A (ko) 다양한 전기 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US6833521B2 (en) Rocker switch
KR100395287B1 (ko) 레버 스위치
KR20030071625A (ko) 누름 버튼 스위치
US4556769A (en) Key switch devices with key guide means
US6184480B1 (en) Revolving operatio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same
US4694130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with unitary spring and contact
JP3737901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195824B1 (ko) 레버 스위치
JPH01500941A (ja) スィッチ、特に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ィッチ
US20050284736A1 (en) Switch device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5099095A (en) Lever switch device
KR100358790B1 (ko) 윙커용밀기해제스위치
WO1997021236A1 (fr) Interrupteur a bascule
KR930000696Y1 (ko) 푸시버튼 스위치의 접점판 구조
JP3195298B2 (ja) 押釦スイッチ
KR200222485Y1 (ko) 키보드용 스위치
JPH0726567Y2 (ja) 囲壁体の結合装置
KR200208883Y1 (ko) 선택 스위치
KR980011553A (ko) 스위치
JPH11288644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