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883Y1 - 선택 스위치 - Google Patents

선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883Y1
KR200208883Y1 KR2019970043343U KR19970043343U KR200208883Y1 KR 200208883 Y1 KR200208883 Y1 KR 200208883Y1 KR 2019970043343 U KR2019970043343 U KR 2019970043343U KR 19970043343 U KR19970043343 U KR 19970043343U KR 200208883 Y1 KR200208883 Y1 KR 200208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p
conductive member
movable contact
helical spring
s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649U (ko
Inventor
친웬 초우
Original Assignee
창 마이크
신지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마이크, 신지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창 마이크
Priority to KR2019970043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88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6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with contact-driving member moved alternately in opposite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선택 스위치는 스위치 하우징(20)과, 2개의 대향 측면부(31, 32)를 갖는 버튼 캡(30)을 구비한다. 접촉 조립체는 스위치 하우징(20)내에 모두 고정되는 제 1 전도성 부재(22), 제 2 전도성 부재(23) 및 제 3 전도성 부재(24)를 구비한다. 나선형 스프링(42)은 스위치 하우징(20)내에 장착되고, 그리고 버튼 캡(30)을 그 위에 지지하는 외측 단부(421)와, 접촉 조립체에 인접한 내측 단부(422)를 구비한다. 가요성 맨드릴(41)은 나선형 스프링(42)의 외측 단부(421)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내측 단부(412)와 외측 단부(411)를 가진다. 나선형 스프링(42)은 가요성 맨드릴(41)의 둘레로 연장한다. 가동 접촉 부재(50)는 가요성 맨드릴(41)의 내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그 위에 지지되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제 1 위치에서 접촉 부재(50)가 버튼 캡(30)의 측면부(31, 32)중 하나의 침하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도성 부재(22, 2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제 2 위치에서 접촉 부재(50)가 버튼 캡(30)의 측면부(31, 32)중 다른 하나의 침하에 의해 제 2 및 제 3 전도성 부재(23, 24)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Description

선택 스위치
본 고안은 선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상이한 접속 상태를 신속히 변환하기 위한 단일의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선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택 스위치는 전기적 기구에 사용되어 2개의 상이한 작용 상태에서 이 전기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택 스위치는 버튼 캡(10)을 구비하는데, 이 버튼 캡은 스위치 하우징상에 장착되고, 수용 공간(16)을 형성하는 환상 플랜지를 구비한다. 강성 로드(11)는 이 수용 공간(16)내에 수용되고, 접촉 플레이트(12)에 결합하기 위해 하방으로 연장한다. 접촉 플레이트(12)는 로드(11)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되, 제 1 위치에서 접촉 플레이트(12)가 버튼 캡(10)의 일 측면의 침하에 의해 제 1 전도성 부재(13) 및 제 2 전도성 부재(14)와 접촉하고, 제 2 위치에서 접촉 플레이트(12)가 버튼 캡(10)의 다른 측면의 침하에 의해 제 1 전도성 부재(13) 및 제 3 전도성 부재(15)와 접촉하게 된다. 스프링(17)은 강성 로드(11)를 촘촘하게 둘러싸고, 접촉 플레이트(12)를 전도성 부재(13, 14, 15)중 적절한 하나와 접촉시키기 위해 기울어진다. 종래의 선택 스위치의 결점은 다음과 같다.
1. 강성 로드(11)가 접촉 플레이트(12)를 이동시키도록 사용되기 때문에 스위치 변환 상태일 때 버튼 캡(10)상에 강하게 미는 외력을 가해야 한다. 더욱이, 스위칭 작용은 비교적 느리다.
2. 접촉 플레이트(12)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접촉 플레이트(14)와 전도성 부재(14, 15) 사이에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선택 스위치를 전소하고 파괴할 수 있는 전기적 아크가 생기게 된다.
3. 강성 로드(11)의 실재에 의해 선택 스위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없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2개의 상이한 접속 상태 사이에서 변환될 때 가동 접촉 부재를 적절한 전도성 부재와 접촉하도록 조작하기에 적합한 단일의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선택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택 스위치는 스위치 하우징과, 2개의 대향 측면부를 갖는 버튼 캡을 구비한다. 접촉 조립체는 스위치 하우징내에 모두 고정되는 제 1 전도성 부재, 제 2 전도성 부재 및 제 3 전도성 부재를 구비한다. 단일의 스프링 부재는 나선형 스프링과 가요성 맨드릴을 구비한다. 나선형 스프링은 스위치 하우징내에 장착되고, 그리고 그 위에 버튼 캡을 지지하는 외측 단부와 접촉 조립체에 인접한 내측 단부를 가진다. 가요성 맨드릴은 내측 단부와, 나선형 스프링의 외측 단부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외측 단부를 가진다. 나선형 스프링은 가요성 맨드릴 둘레로 연장한다. 가동 접촉 부재는 상기 가요성 맨드릴의 상기 내측 단부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그위에 지지되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되, 상기 제 1 위치에서 접촉 부재가 버튼 캡의 측면부중 하나의 침하에 의해 제 1 전도성 부재 및 제 2 전도성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그리고 제 2 위치에서 접촉 부재가 버튼 캡의 측면부중 다른 하나의 침하에 의해 제 2 전도성 부재 및 제 3 전도성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맨드릴은 제 1 스위칭 상태와 제 2 스위칭 상태 사이에서 변환되도록 신속히 이동할 수 있다. 버튼 캡의 동작은 단일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뻑뻑함이 덜 느껴진다.
도 1은 종래의 선택 스위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택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 1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정상 상태에서 도 2의 실시예의 스프링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압축된 상태에서 도 3의 스프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선택 스위치의 일부분의 분해도,
도 6은 제 2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위치 하우징 30 : 버튼 캡
31, 32 : 측면부 40 : 가요성 맨드릴
42 : 나선형 스프링 50 : 가동 접촉 부재
201 : 상측 단부 202 : 하측 단부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선택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위치 하우징(20)과, 버튼 캡(30)과 단일의 스프링 부재(40) 및 가동 접촉 부재(50)를 포함한다.
스위치 하우징(20)은 공동(21)과, 상측 단부(201) 및 하측 단부(202)를 가진다. 접촉 조립체는 제 1 전도성 부재(22), 제 2 전도성 부재(23) 및 제 3 전도성 부재(24)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하측 단부(202)에서 스위치 하우징(20)내에 모두 고정되고, 스위치 하우징(20)의 외부로 연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도성 부재(23)는 공동을 구비하는데, 이 공동은 넓은 부분(230)과, 이 넓은 부분(230)과 이어져 있는 좁은 부분(231)을 구비한다.
버튼 캡(30)은 상측 단부(201)에서 스위치 하우징(20)에 장착되고, 각각 제 1 전도성 부재(22)와 제 3 전도성 부재(24) 상부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2개의 대향 측면부(31, 32)를 가진다. 버튼 캡(30)은 측면부(31, 32) 사이의 환상 플랜지(33)에 형성된 내부 표면(36)을 가진다. 환상 플랜지(33)는 하부로 연장하여 그 안에 기다란 수용 공간(34)을 규정하게 된다. 수용 공간(34)은 내부 표면(36)에 인접한 제 1 단부와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수용 공간(34)은 제 1 단부에서 제 2 단부까지 직경이 증가하는 환상 단면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일의 스프링 부재(40)는 스위치 하우징(20)의 공동(21)내에 장착되고, 나선형 스프링(42)과 가요성 맨드릴(41)을 구비한다. 나선형 스프링(42)은 버튼 캡(30)의 수용 공간(34)내에 수용되는 외측 단부와, 접촉 조립체에 인접한 내측 단부(422)를 가진다. 가요성 맨드릴(41)은 일반적으로 L자형이고, 외측 단부(411)를 갖는 직선형 본체를 가진다. 이 외측 단부는 나선형 스프링(42)의 외측 단부(421) 및 내측 단부(41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내측 단부(412)는 일반적으로 직선형이고, 직선형 본체에 직교하는 절곡부(410)를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동 접촉 부재(50)는 그것을 통해 형성된 관통 구멍(51)을 갖는 기다란 플레이트이다. 가요성 맨드릴(41)의 절곡부(410)는 관통 구멍(51)을 통해 연장하여 가동 접촉 부재(50)가 나선형 스프링(42)과 가요성 맨드릴(41)의 내측 단부(412)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스프링 부재(40)를 가동 접촉 부재(50)상에 보유하게 된다. 게다가, 접촉 부재(50)는 제 2 전도성 부재(23)의 공동의 넓은 부분(230)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는 제 1 접속 상태에서 선택 스위치를 도시한 것으로, 버튼 캡(30)의 측면부(31)가 침하될 때 접촉 부재(50)의 2개의 단부(500, 501)는 각각 제 3 전도성 부재(24) 및 제 2 전도성 부재(23)와 접촉한다. 다른 측면부(32)가 침하되면, 버튼 캡(30)은 환상 플랜지(33)에 지점을 갖는 레버로서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42)과 맨드릴(41)은 절곡되고, 탄성력을 축적하여 측면부(31)를 향하는 나선형 스프링(42)과 맨드릴(41)의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접촉 부재(50)를 동일한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조작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41)의 절곡부(410)는 좁은 부분(231)을 통과하고, 접촉 부재(50)의 단부(501)는 제 1 전도성 부재(22)와 접촉되어 스위치를 제 2 접속 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선택 스위치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맨드릴(41)은 제 1 스위칭 상태와 제 2 스위칭 상태 사이에서 신속히 변환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전도성 부재(22, 24)와 접촉 부재(50) 사이의 유격을 형성하는 위험과 전기적 아크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스위치의 파괴를 방지하게 된다.
2. 단일의 스프링 부재(40)에 의해서, 버튼 캡(30)의 작용시 뻑뻑함을 덜 느끼게 한다.
3. 스프링 부재(40)의 나선형 스프링(42)이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 스위치의 크기가 의도되는 적용에 적합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개시된 실시예만 한정되지 않고 폭넓은 설명의 정신 및 관점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동등한 배열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고안의 선택 스위치는 제 1 스위칭 상태와 제 2 스위칭 상태 사이에서 신속히 이동함으로써, 전도성 부재와 접촉 부재 사이의 유격을 형성하는 위험과 전기적 아크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스위치의 파괴를 방지하고, 단일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버튼 캡의 작용이 부드러우며, 스프링 부재의 나선형 스프링이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선택 스위치의 크기가 의도되는 적용에 맞게 감소될 수 있다.

Claims (5)

  1. 선택 스위치에 있어서:
    ① 공동(21)을 구비한 스위치 하우징(20)과;
    ② 2개의 대향 측면부(31, 32)를 구비한 버튼 캡(30)과;
    ③ 상기 스위치 하우징(20)내에 모두 고정되는 제 1 전도성 부재(22)와, 제 2 전도성 부재(23) 및 제 3 전도성 부재(24)를 구비하는 접촉 조립체와;
    ④ 단일의 스프링 부재(40)로서,
    상기 공동(21)내에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대향 측면부(31, 32)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버튼 캡(30)을 그 위에 지지하는 외측 단부(421)와, 상기 접촉 조립체에 인접한 내측 단부(422)를 가지는 나선형 스프링(42)과;
    상기 나선형 스프링(42)의 상기 외측 단부(421)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내측 단부(412) 및 외측 단부(411)를 구비하되, 상기 나선형 스프링(42)은 상기 가요성 맨드릴(41)의 둘레에 연장하는 가요성 맨드릴(41)을 구비하는, 상기 단일의 스프링 부재(40)와;
    ⑤ 가동 접촉 부재(50)로서, 상기 가요성 맨드릴(41)의 상기 내측 단부(412)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지지됨으로써,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로 이동하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접촉 부재(50)가 상기 버튼 캡(30)의 상기 측면부(31, 32)중 하나의 침하에 의해 상기 제 1 전도성 부재(22) 및 제 2 전도성 부재(2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접촉 부재(50)가 상기 버튼 캡(30)의 상기 측면부(31, 32)중 다른 하나의 침하에 의해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23) 및 제 3 전도성 부재(2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가동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선택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 부재(50)는 그를 통해 형성된 관통 구멍(51)을 가지고, 상기 가요성 맨드릴(41)은 일반적으로 L자형이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50)의 상기 관통 구멍(51)을 통하여 연장하는 직선형 본체를 가지며, 상기 가요성 맨드릴(41)의 상기 내측 단부(412)는 일반적으로 직선형이고 상기 직선형 본체에 직교하여, 상기 가동 접촉 부재(50)를 상기 나선형 스프링(42)과 상기 가요성 맨드릴(41)의 상기 내측 단부(412)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40)를 상기 가동 접촉 부재(50)상에 유지하게 되는 선택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성 부재(23)는 넓은 부분(230)과 상기 넓은 부분(230)과 연통관계에 있는 좁은 부분(231)을 구비하는 공동을 가지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50)는 상기 공동의 상기 넓은 부분(230)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촉 부재(50)가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가요성 맨드릴(41)의 내측 단부(412)는 상기 공동의 상기 좁은 부분(231)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및 위치로 되는 선택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캡(30)은 환상 플랜지(33)에 형성되는 내측 표면(36)을 구비하되, 상기 환상 플랜지는 내부로 연장하여 그 안에 기다란 수용 공간(34)을 규정하고, 상기 내부 표면에 인접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형 스프링(42)의 상기 외측 단부(421)는 상기 수용 공간(34) 내부에 수용되는 선택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34)은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직경이 증가하는 원형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버튼 캡(30)이 상기 측면부(31, 32)중 어느 한쪽에서 침하될 때, 상기 나선형 스프링(42)의 상기 외측 단부(422)가 상기 환상 플랜지(33) 내부에 압축될 수 있는 선택 스위치.
KR2019970043343U 1997-12-30 1997-12-30 선택 스위치 KR200208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343U KR200208883Y1 (ko) 1997-12-30 1997-12-30 선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343U KR200208883Y1 (ko) 1997-12-30 1997-12-30 선택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49U KR19990030649U (ko) 1999-07-26
KR200208883Y1 true KR200208883Y1 (ko) 2001-01-15

Family

ID=5389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343U KR200208883Y1 (ko) 1997-12-30 1997-12-30 선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8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4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1476A (en) Index rotary switch
KR100392822B1 (ko) 복합 조작스위치
US4467160A (en) Low profile switch
KR101025951B1 (ko) 다방향 스위치
GB2301942A (en) Lever switch
US6888075B2 (en) Push-button switch
US6160225A (en)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US4357511A (en) Modular push-button switch with lighted push-button element
US5880419A (en) Selective switch
KR200208883Y1 (ko) 선택 스위치
HU224148B1 (hu) Villamos gyújtókapcsoló gázszelepekhez
EP10491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US5957272A (en) Push button for control panels
KR890003525B1 (ko) 단로기
US7064638B1 (en) Electrical switch
US6797904B1 (en) Microswitch
GB2199189A (en) Electrical toggle switch
US3867604A (en) Electric switch toggle assembly
WO1995015000A1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KR100405994B1 (ko) 푸쉬버튼 스위치
KR20020090883A (ko) 회로 차단기의 부속 스위치 장치
KR10062552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0348432B1 (ko) 차량용 누름 작동형 스위치
CN210778435U (zh) 一种断路器的智能重合闸模块
US6967294B1 (en) Micro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