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460A - 밴드및리스트장치 - Google Patents

밴드및리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460A
KR19990088460A KR1019990018385A KR19990018385A KR19990088460A KR 19990088460 A KR19990088460 A KR 19990088460A KR 1019990018385 A KR1019990018385 A KR 1019990018385A KR 19990018385 A KR19990018385 A KR 19990018385A KR 19990088460 A KR19990088460 A KR 1999008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decorative member
band body
main body
surfac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836B1 (ko
Inventor
히라노다다오
도이유지
히라이마사아키
이구치하지메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8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04B37/1493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by means of a feather spring (Barette á resso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11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the back cover of pocket or wrist watches
    • G04B37/116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the back cover of pocket or wrist watches for shaped wa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orn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케이스(201)와, 이 본체케이스(201)에 부착된 밴드(260, 270)를 구비하고, 이 밴드(260, 270)에 형성된 덮개부(310, 310, 281, 281)를 구비하며, 본체케이스(201)의 일부가 덮개부(310, 310, 281, 281)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밴드 및 리스트장치{Band and Wrist device}
본 발명은 손목시계, 나침반, 수심계 등에 사용하여 유용한 밴드 및, 손목시계, 나침반, 수심계 등의 밴드를 구비하여 손목에 장착되는 리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목시계밴드로서 근래 다종 재질의 부재를 조합한 복합재에 의한 것이 나돌고 있으며, 예를 들면 연질합성수지와 나일론 등의 섬유를 조합한 것, 연질합성수지와 금속을 조합한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연질합성수지와 금속의 조합인 경우, 금속부품을 성형 금형 내에 세트한 채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메탈인서트성형이 일반적이다.
또,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에 금속부품을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고정한 시계밴드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색이 다른 연질합성수지를 조합한 시계밴드도 있으며, 예를 들면 밴드본체에 형성한 구멍부에 하면으로부터 장식구를 압입하거나, 또 루프상의 장식부재에 밴드본체를 넣고, 그 루프상 장식부재의 돌출부에 설치한 고리를 밴드본체에 형성한 홈에 삽입한 구조의 것이 있다.
또, 종래, 손목시계, 나침반, 수심계 등의 밴드를 구비하여 손목에 장착되는 리스트장치로서, 밴드나 밴드에 부착되는 장식부재에 의해 본체케이스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본체케이스와 밴드의 일체감을 높인 디자인의 것은 없었다.
그러나, 메탈인서트성형의 시계밴드의 경우, 금속부품을 금형 내에 끼워 넣고 고정해서 성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알루마이트 등 금속부에 표면처리를 실시한 금속을 사용하면 그 표면처리층에 금이 가는 등의 불합리가 있었다.
또,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에 금속부품을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고정한 시계밴드의 경우, 연질합성수지로서 주로 이용되는 우레탄은 접착되기 어렵우며, 더구나 시계밴드가 비틀어졌을 때에는 금속부품이 간단히 벗겨져 떨어져 버리는 불합리도 있었다.
그리고, 색이 다른 연질합성수지를 조합한 시계밴드의 경우에는, 밴드본체의 구멍부와 장식구의 사이에 극간이 발생하거나, 장식구가 벗겨지는 염려도 있으며, 또, 홈으로부터 고리가 빠져 장식부재(특히 그 돌출부)가 밴드본체로부터 말려 올라가거나 하는 등 볼품이 나쁘게 되고, 일체감을 얻을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에 금속제나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를 조합하는 밴드에 있어서, 비교적 간이한 구조로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히 맞붙일 수 있고, 금속제 장식부재의 경우는, 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하지 않고 확실한 맞붙임 상태로 지지하며, 또 연질합성수지제 장식부재의 경우에는, 극간이나 말려 올라가지않는 2색성형풍과 같은 일체감이 얻어져 볼품을 좋게 하는 것이다.
또, 밴드나 밴드에 부착되는 장식부재에 의해 본체케이스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리스트장치의 디자인을, 본체케이스와 밴드의 일체감을 높인 것으로 하여 볼품을 좋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예로서의 시계밴드의 한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시계밴드의 한쪽과 조합되는 다른 한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봉부재(스프링봉)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중앙단면도.
도 6은 봉부재 및 덮개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구조부의 변형예(1)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구조부의 변형예(1)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계밴드 한쪽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부분 중앙종단측면도.
도 17은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분해하여 맞붙이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계밴드 한쪽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부분 중앙종단측면도.
도 20은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분해하여 맞붙이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예로서의 손목시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화살표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3은 본체케이스에 부착되는 밴드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a)는 평면도, (b)는 이면측의 평면도, (c)는 (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 (d)는 (a)의 화살표 D-D 선을 따라 확대한 단면도, (e)는 (a)의 요부확대도.
도 24는 장식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a)는 평면도, (b)는 (a)의 화살표 G-G 선을 따른 단면도, (c)는 (a)를 비스듬한 하면측에서 쳐다본 사시도, (d)는 이면측의 평면도(일부생략), (e)는 (b)의 화살표 H 방향에서 본 도면, (f)는 (b)의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는 본체케이스에 부착되는 다른 밴드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a)는 평면도, (b)는 이면측의 평면도, (c)는 (a)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확대도, (d)는 (a)의 화살표 F-F 선에 따라 확대한 단면도,
도 26은 밴드본체로의 장식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61: 밴드 10: 덮개부재 10a: 단부굴곡편
10b:걸어맞춤부(절개링상부) 11: 덮개부재
11a: 슬릿 12: 양면접착테이프 13: 지지부재
13a:플랜지부 14: 이면측부재 14a: 플랜지부
15:표면측부재 15a: 둘레부
104: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 114: 지지부재
114a: 플랜자부 141: 삽입부
2, 32, 62: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2a, 32a, 62a: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보스
2b, 32b, 62b: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21: 표면측오목부
22: 둘레삽입홈 23: 한 쌍의 삽입구멍 24: 이면측오목부
25: 격벽부 26: 관통부 27: 이면측오목부
28: 안쪽삽입홈 29: 삽입홈 200: 손목시계
201: 본체케이스 201a, 201b: 돌출부 202: 스위치부재
203: 누름 버튼 205: 개구부 206: 시계유리
207: 이면덮개 208, 209: 밴드부착부 210, 220: 밴드본체
211: 부착보스 212: 부착구멍 213: 스프링봉
214: 부착부 215, 216, 217, 218, 219: 단부착부
221: 부착부 222: 부착구멍 230: 장식부재
231: 부착구멍 235, 236, 237, 238, 239: 단면
242: O링 250: 표시부 251: 누름 버튼
260, 270: 밴드 281: 덮개부 290: 볼록부
295: 오목부 3: 섬유
32c, 62c: 부착보스의 나사봉 통과구멍
34, 64: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
300: 부착구멍부 310; 덮개부 321, 621: 수부
322: 오목단면 323: 관통부 324: 이면측오목부
325: 표면측연속부 326: 보조관통부 327: 표면측오목부
328: 걸어맞춤편 341, 641: 루프상부 342: 표면부
343, 643: 삽입부 344: 이면측얇은두께부 345: 표면측오목부
346: 연장부(선단삽입부)347: 표면측플랜지부 348: 걸어맞춤홈
4: 장식부재 400: 고정구멍 5: 버클
5a: 고정구 6: 루프 622: 표면측오목부
623: 관통부 624: 이면측걸어맞춤오목부 642: 표면측돌출부
643: 삽입부 644: 걸어맞춤편 7: 고정구멍
8: 봉부재 8a: 돌출부 8b: 원통부
8c: 압축코일스프링 9: 덮개부재 9a:관통부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의 각 실시형태예를 도 1에서 도 2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예>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예로서의 시계밴드의 한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한쪽과 조합되는 다른 한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시계밴드의 한쪽(1A)은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2)가 나일론 등의 섬유(3)를 둘러싸서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밴드본체(2)의 도시하지 않는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보스(2a)를 구비하는 광폭의 부착부(2b)의 표면에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4)가 맞붙여져 있다.
그리고, 밴드본체(2)의 부착부(2b)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고정구(5a)를 갖는 버클(5)이 부착되고, 밴드본체(2)의 중간에는 루프(6)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시계밴드의 한쪽(1B)은 도 1의 한쪽(1A)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똑같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2)가 섬유(3)를 둘러싸서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밴드본체(2)의 부착보스(2a)를 구비하는 광폭의 부착부(2b)의 표면에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4)가 맞붙여져 있다.
또한, 밴드본체(2)에 의해 둘러싸인 섬유(3)에는, 다수의 고정구멍(7, 7, 7,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밴드본체(2)에 대한 금속제로 판상인 장식부재(4)의 맞붙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데, 이하에서는 상술한 한쪽(1A) 및 한쪽(1B)의 어느 것이나 시계밴드(1)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그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또, 도 5는 봉부재(스프링봉)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중앙단면도이다.
이들의 도 3에서 도 5에 있어서, 상술과 똑같이 “1”은 시계밴드, “2”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2b”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4”는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로서, “21”은 표면측오목부, “22”는 둘레삽입홈, “23”은 한 쌍의 삽입구멍, “24”는 이면측오목부, “25”는 격벽부, “41”은 둘레부, “42”는 한 쌍의 삽입편, “43”은 작은 구멍, “8”은 봉부재, “8a”는 돌출부, “8b”는 원통부, “8c”는 압축코일스프링, “9”는 덮개부재, “9a”는 관통부 이다.
즉,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2)의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2b)의 근처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옆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표면측오목부(21)와, 이 표면측오목부(21) 주위의 둘레삽입홈(22)과, 이 둘레삽입홈(22)의 밴드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삽입구멍(삽입부)(23, 23)과, 옆으로 가늘고 긴 이면측오목부(2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표면측오목부(21)와 이면측오목부(24)의 사이에는 격벽부(25)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4)는 밴드본체(2)의 표면측오목부(21)에 정확히 수납되도록 옆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그 전체 둘레의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린 둘레부(41)와, 이 둘레부(41)의 좌우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삽입편(42, 42)을 갖고 있다. 또한, 삽입편(42)에는 작은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8a, 8a)를 원통부(8b)의 양단부에 맞붙여서 원통부(8b) 내에 양단부의 돌출부(8a, 8a)를 항상 돌출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8c)을 내장한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가 준비되는 동시에, 이 봉부재(8)를 삽입하는 관통부(9a)를 갖는 각주(角柱)상의 덮개부재(9)가 준비된다.
여기서,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는 장식부재(4)의 한 쌍의 삽입편(42, 42) 양쪽의 작은 구멍(43, 43)에 돌출부(8a, 8a)가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또, 덮개부재(9)는 연질합성수지제의 것으로, 밴드본체(2)의 옆으로 가늘고 긴 이면측오목부(24)에 정확히 수납되는 각주상을 이루고 있다.
이상의 부품은 도 4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본체(2)에 대해 장식부재(4)를 표면측에서 둘레삽입홈(22)에 둘레부(41)를 삽입하는 동시에, 삽입구멍(23, 23)에 삽입편(42, 42)을 각각 삽입하여 표면측오목부(21)에 장식부재(4)의 판면부를 겹친다.
그리고, 똑같이 도 4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주상의 덮개부재(9)의 관통부(9a)에 삽입한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 양단부의 돌출부(8a, 8a)를 밴드본체(2)에 대해 이면측오목부(24)에 있어서, 장식부재(4)의 삽입편(42, 42)의 작은 구멍(43, 43)에 각각 삽입한다. 이 때 밴드본체 (2)의 옆으로 가늘고 긴 이면측오목부(24)에 각주상의 덮개부재(9)가 정확히 수납된다.
이상과 같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2)에 대해 금속제의 장식부재(4)를 종래와 같은 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하는 일없이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로 맞붙임으로써 금속제의 장식부재(4)를 그 표면처리로의 영향 없이 밴드본체(2)에 확실히 편입한다.
따라서, 금속제의 장식부재(4)로서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봉부재(스프링봉)(8)를 각주상의 덮개부재(9)로 덮어서 이 각주상의 덮개부재(9)를 밴드본체(2)의 이면측오목부(24)에 수납함으로써, 밴드이면측으로부터 봉부재(8)가 보기 어렵고, 예를 들면 봉부재(스프링봉)(8)가 부식했다 하더라도 외관상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변형예>
도 6은 봉부재(8) 및 덮개부재(9)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이 변형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질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9)를 그 중심에 금속제의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를 매설한 일체성형(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해 각주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금속제의 봉부재(스프링봉)(8)를 연질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9)에 인서트 성형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예 및 그 변형예에서는 한 쌍의 삽입부로서 밴드를 표리로 관통하는 한 쌍의 삽입구멍(23, 23)을 예시했는데, 한 쌍의 삽입부는 밴드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이어도 좋다. 또, 한 쌍의 삽입부(삽입구멍(23, 23))가 밴드의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된 것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한 쌍의 삽입부가 밴드의 긴쪽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는 등, 한 쌍의 삽입부의 서로의 위치관계는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예>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그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들의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1”은 시계밴드, “2”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2b”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21”은 표면측오목부, “22”는 둘레삽입홈, “23”은 한 쌍의 삽입구멍, “24”는 이면측오목부, “25”는 격벽부, “4”는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 “41”은 둘레부, “42”는 한 쌍의 삽입편, “43”은 작은 구멍, “8”은 봉부재, “8a”는 돌출부로서, “10”은 덮개부재, “10a”는 단부굴곡편, “10b”는 걸어맞춤부(절개링상부) 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예는 주로 덮개부재(10)의 구성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예와 상이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이점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덮개부재(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옆으로 가늘고 긴 판상의 것으로, 그 양단부의 단부굴곡편(10a, 10a)과, 중간부의 걸어맞춤부인 측면에서 보면 C형상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절개링상부(10b, 10b)를 일체 형성하여 이루는 연질합성수지제의 것이다.
또한, 이 가늘고 긴 판상의 덮개부재(10)의 양딘부의 단부굴곡편(10a, 10a) 사이의 길이는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의 양단부의 돌출부(8a, 8a)를 포함하는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 밴드본체(2)의 이면측오목부(24)에 대해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예(도 3 참조)보다도 옆으로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덮개부재(10)를 이용하는 경우는, 우선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의 양단부의 돌출부(8a, 8a)를 밴드본체(2)의 이면측오목부(24)에 있어서, 장식부재(4)의 삽입편(42, 42)의 작은 구멍(43, 43)에 각각 삽입한다.
그 후, 밴드본체(2)의 이면측오목부(24)에 있어서, 도 8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상의 덮개부재(10)의 좌우 한 쌍의 절개링상부(10b, 10b)를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의 주위에 각각 끼워 붙인다.
이에 따라, 이면측오목부(24)에 가늘고 긴 판상의 덮개부재(10)가 양단부의 단부굴곡편(10a, 10a)마다 정확히 수납된다.
< 제 3 실시형태예>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그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들의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1”은 시계밴드, “2”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2b”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21”은 표면측오목부, “22”는 둘레삽입홈, “23”은 한 쌍의 삽입구멍, “24”는 이면측오목부, “25”는 격벽부, “4”는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 “41”은 둘레부, “42”는 한 쌍의 삽입편, “43”은 작은 구멍, “8”은 봉부재, “8a”는 돌출부로서, “11”은 덮개부재, “11a”는 슬릿이다.
이 제 3 실시형태예는 주로 덮개부재(11)의 구성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예와 상이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이점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덮개부재(1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옆으로 가늘고 긴 원통상의 것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1a)이 형성된 연질합성수지제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덮개부재(11)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우선,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의 양단부의 돌출부(8a, 8a)를 밴드본체(2)의 이면측오목부(24)에 있어서, 장식부재(4)의 삽입편(42, 42)의 작은 구멍(43, 43)에 각각 삽입한다.
그 후, 밴드본체(2)의 이면측오목부(24)에 있어서, 도 10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원통상의 덮개부재(11)를 그 슬릿(11a) 부분에서 눌러 열음으로써, 스프링봉에 의한 봉부재(8)의 주위에 끼워 붙인다.
이에 따라, 이면측오목부(24)에 가늘고 긴 원통상의 덮개부재(11)가 정확히 수납된다.
<제 4 실시형태예>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A-A 선을 따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그 구조부의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들의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1”은 시계밴드, “2”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2b”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21”은 표면측오목부, “22”는 둘레삽입홈, “4”는 금속제로 판상의 장식부재, “41”은 둘레부로서, “12”는 양면접착테이프, “13”지지부재, “13a”는 플랜지부, “26”은 관통부, “27”은 이면측오목부이다.
이 제 4 실시형태예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본체(2)(부착부(2b)에 표면측오목부(21) 및 그 둘레삽입홈(22)에 덧붙여 그 표면측오목부(21)에 있어서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관통부(26)와, 밴드이면측에 있어서 관통부(26)를 둘러싸는 직사각형의 이면측오목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1에서 제 3 실시형태예와 같은 삽입구멍(23), 옆으로 가늘고 긴 이면측오목부(24) 및 격벽부(25)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또 봉부재(8) 및 덮개부재(9, 10, 11)도 사용하지 않는다.
또, 장식부재(4)는 둘레부(41)에 삽입편(42)을 갖고 있지 않다.
그리고, 밴드본체(2)의 표면측오목부(21)의 저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양면접착테이프(12)와, 밴드본체(2)의 관통부(26)에 대응하는 크기로 블록상을 이루는 지지부재(13)가 준비된다.
이 지지부재(13)는 경질합성수지제의 것으로 관통부(26)에 대응하는 블록상부의 하부 주위에 직사각형의 이면측오목부(27)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랜지부(13a)를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부품은 우선, 장식부재(4)의 판면부 하면에 양면접착테이프(12)를 붙여 두고 나서 도 12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본체(2)에 대해 장식부재(4)를 표면측으로부터 둘레삽입홈(22)에 둘레부(41)를 삽입하여 표면측오목부(21)에 장식부재(4)의 판면부를 겹친다. 이 때 관통부(26)의 주위에 있어서 양면접착테이프(12)의 둘레부가 표면측오목부(21)의 저면에 붙여진다.
그리고, 블록상의 지지부재(13)를 똑같이 도 12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본체(2)의 이면측으로부터 그 관통부(26)에 블록상부를 끼워 넣는 동시에, 이면측오목부(27)에 플랜지부(13a)를 끼워 넣는다. 이 때 지지부재(13)의 블록상부의 상면이 양면접착테이프(12)에 붙여진다.
이상과 같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2)에 대해 금속제의 장식부재(4)를 양면접착테이프(12)를 통해서 연질합성수지제의 지지부재(13)와 접착하여 맞붙임으로써 금속제의 장식부재(4)와의 사이에 안정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서로 접착되는 장식부재(4)와 지지부재(13)가 금속과 경질합성수지에 의한 강체끼리이고, 밴드본체(2)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에 대해서도 변형이 적어 유리하다.
<변형예>
도 13은 도 11의 구조부의 변형예(1)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이 변형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질합성수지제의 지지부재(13)를 이면측부재(14)와 표면측부재(15)의 상하 2분할체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즉 이면측부재(14)는 관통부(26)의 대략 하반부에 대응하는 형상부의 하부 주위에 직사각형의 이면측오목부(27)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랜지부(14a)를 갖고 있다.
또, 표면측부재(15)는 관통부(26)의 대략 상반부에 대응하는 형상부의 주위에 표면측오목부(21)에 있어서의 둘레삽입홈(22)과 관통부(26)의 사이에 형성한 안쪽삽입홈(28)에 대응하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형상의 둘레부(15a)를 갖고 있다.
이상의 부품에 있어서, 우선 장식부재(4) 판면부 하면에 양면접착테이프(12)를 통해서 지지부재(13)의 표면측부재(15)를 붙여 둔다.
그리고, 이 표면측부재(15)가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장식부재(4)를 밴드본체(2)에 대해 표면측에서 관통부(26)에 표면측부재(15)를 끼워 넣는 동시에, 그 둘레부(15a)를 안쪽삽입홈(28)에, 또한, 그 외측의 둘레삽입홈(22)에 장식부재(4)의 둘레부(41)를 각각 삽입한다.
또, 밴드본체(2)의 이면측에서 그 관통부(26)에 지지부재(13)의 이면측부재(14)를 끼워 넣는 동시에, 그 플랜지부(14a)를 이면측오목부(27)에 끼워 넣는다.
그 후, 지지부재(13)를 이루는 이면측부재(14) 및 표면측부재(15)의 서로의 밀착면을 초음파 녹여 붙임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경질합성수지제의 지지부재(13)를 구성하는 분할체에 의한 이면측부재(14)와 표면측부재(15)로 관통부(26)의 주위에 있어서, 밴드본체(2)를 끼워 넣을 수 있고, 밴드본체(2)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이 금속제의 장식부재(4)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장식부재(4)의 보다 안정한 고정력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의 구조부의 변형예(1)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이 변형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부(26)에 있어서, 함께 경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104)와 지지부재(114)를 녹여 붙임에 의해 일체화한 것이다.
즉, 장식부재(104)는 표면측오목부(21)에 대응하는 형상부의 하면에 관통부(26)의 대략 상반부에 대응하는 형상부를 일체로 갖는 동시에, 이와 같은 관통부(26)의 대략 상반부에 대응하는 형상부의 외주에 이간하여, 표면측오목부(21)에 있어서의 삽입홈(29)에 대응하는 아래쪽으로 돌출한 형상의 삽입부(14)를 갖고 있다.
또, 지지부재(114)는 관통부(26)의 대략 하반부에 대응하는 형상부의 하부 주위에 이면측오목부(27)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랜지부(114a)를 갖고 있다.
이상의 부품에 있어서, 밴드본체(2)에 대해 표면측에서 장식부재(104)를 관통부(26)에 끼워 넣는 동시에 그 삽입부(141)를 삽입홈(29)에 삽입한다.
또, 밴드본체(2)의 이면측에서 그 관통부(26)에 지지부재(114)를 끼워 넣는 동시에 그 플랜지부(114a)를 이면측오목부(27)에 끼워 넣는다.
그 후, 장식부재(104)와 지지부재(114)의 서로의 밀착면을 초음파 녹여 붙임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함께 경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104)와 지지부재(114)로 관통부(26)의 주위에 있어서, 밴드본체(2)를 끼워 넣을 수 있고, 장식부재(104)와 지지부재(114)를 일체화하여 장식부재(104)의 안정한 고정력을 지지할 수 있으며, 밴드본체(2)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에 대해 강하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예>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계밴드 한쪽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그 부분의 중앙종단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분해하여 맞붙이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들의 도 15에서 도 17에 있어서, “31”은 시계밴드, “32”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32a”는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보스, “32b”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32c”는 부착보스(32a)의 나사봉통과구멍, “321”은 수부(首部), “322”는 오목단(段)면, “323”은 관통부, “324”는 이면측오목부, “325”는 표면측연속부, “326”은 보조관통부, “327”은 표면측오목부, “328”은 걸어맞춤편, “34”는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 “341”은 루프상부, “342”는 표면부, “343”은 삽입부, “344”는 이면측얇은두께부, “345”는 표면측오목부, “346”은 연장부(선단삽입부), “347”은 표면측플랜지부, “348”은 걸어맞춤홈 이다.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밴드(31)를 구성하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32)는 도시하지 않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넓은 폭의 부착부(32b)에 있어서, 나사봉통과구멍(32c)을 갖는 단부의 부착보스(32a) 근처를 폭이 좁고 두께가 얇게 된 수부(321)와, 이 수부(321)로부터 표면에 연속하는 오목단면(322)과, 이 오목단면(322)에 연속하여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323)를 형성하고 있다.
밴드본체(32)에는, 또한 관통부(323)에 연속하는 이면측오목부(324)와, 이 이면측오목부(324)의 존재에 의한 표면측연속부(325)와, 이면측오목부(324)에 연속하여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보조관통부(326)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보조관통부(326)는 표면측오목부(327)의 안쪽으로 개구하고 있고, 이 표면측오목부(327)에 있어서, 표면측연속부(325)와 대향하는 부분이 걸어맞춤편(328)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34)가 준비되고, 이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34)는 밴드본체(32)의 수부(321)가 삽입되는 루프상부(341)와, 이 루프상부(341)로부터 연속하는 표면부(342)와, 이 표면부(342)로부터 이면측으로 연속하는 삽입부(343)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삽입부(343)는 밴드본체(32)의 관통부(323)에 대응하는 형상의 것이다.
또한, 장식부재(34)에는 삽입부(3430에 연속하는 이면측얇은두께부(344)와, 이 이면측얇은두께부(344)의 존재에 의한 표면측오목부(345)와, 이면측얇은두께부(344)로부터 표면측으로 연속하는 연장부인 선단삽입부(346)를 형성하고 있다. 이 선단삽입부(346)는 밴드본체(32)의 표면측오목부(327)에 대응하는 표면측플랜지부(347)와, 밴드본체(32)의 걸어맞춤편(328)에 대응하는 걸어맞춤홈(348)을 갖고 있다.
이상의 부품은, 밴드본체(32)의 수부(321)를 장식부재(34)의 루프상부(341)에 삽입하고 나서 도 17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부재(34)의 선단삽입부(346)를 밴드본체(32)에 대해 표면측으로부터 관통부(323)에 삽입한 후, 이면측으로부터 보조관통부(326)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 보조관통부(326)에 있어서, 그 걸어맞춤편(328)에 걸어맞춤홈(348)을 끼워 맞춘다.
이상으로부터,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32)에 대한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34)의 맞붙임이 완료된다. 이 맞붙임완료상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부(323)에 삽입부(343)가 정확히 수납되는 동시에, 보조관통부(326)상의 표면측오목부(327)에 표면측플랜지부(347)가 정확히 수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32)에 대해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34)를 압입방식을 가지고 맞붙임으로써, 밴드본체(32)와 장식부재(34)를 다른 재료 조색(調色)으로서 간이하게 2색성형풍의 연질합성수지제 시계밴드(31)가 얻어진다.
또, 장식부재(34)의 삽입부(343)를 밴드본체(32)에 대해 표면측으로부터 관통부(323)에 삽입할 뿐만 아니라 선단삽입부(346)를 이면측으로부터 삽입하는 보조관통부(326)에 있어서, 그 걸어맞춤편(328)에 걸어맞춤홈(348)을 끼워 맞춤으로써 장식부재(34)의 극간 발생 및 말려 올라가는 것의 방지가 도모된다.
<제 6 실시형태예>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계밴드 한쪽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9는 그 부분의 중앙종단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분해하여 맞붙이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들의 도 18에서 도 20에 있어서, “61”은 시계밴드, “62”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62a”는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보스, “62b”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부착부, “62c”는 부착보스(62a)의 나사봉통과구멍, “621”은 수부, “622”는 표면측오목부, “623”은 관통부, “624”는 이면측걸어맞춤오목부, “64”는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 “641”은 루프상부, “642”는 표면측돌출부, “643”은 삽입부, “644”는 걸어맞춤편 이다.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밴드(61)를 구성하는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62)는, 도시하지 않는 시계케이스측으로의 넓은 폭의 부착부(62b)에 있어서, 나사봉통과구멍(62c)을 갖는 단부의 부착보스(62a) 근처를 폭이 좁고 두께가 얇게 된 수부(621)와, 이 수부(621)로부터 연속하는 중앙의 표면측오목부(622)와, 이 표면측오목부(622)에 연속하여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623)를 형성하고 있다.
밴드본체(62)에는, 또한 관통부(62)에 연속하여 이면측걸어맞춤오목부(62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64)는 밴드본체(62)의 수부(621)가 삽입되는 루프상부(641)와, 이 루프상부(641)로부터 연속하는 중앙의 표면측돌출부(642)와, 이 표면측돌출부(642)로부터 이면측으로 연속하는 삽입부(64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표면측돌출부(642)는 밴드본체(62)의 표면측오목부(622)와 대응하는 형상의 것이다. 또, 삽입부(643)는 밴드본체(62)의 관통부(623)에 대응하는 형상의 것이다.
또한, 장식부재(64)는 그 삽입부(642)의 선단에 밴드본체(62)의 이면측걸어맞춤오목부(624)에 대응하는 걸어맞춤편(644)을 갖고 있다.
이상의 부품은, 밴드본체(62)의 수부(621)를 장식부재(64)의 루프상부(641)에 삽입하고 나서 도 20에 화살표를 붙여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부재(64)의 삽입부(643)를 밴드본체(62)에 대해 표면측으로부터 관통부(623)에 삽입하는 동시에, 그 이면측걸어맞춤오목부(624)에 삽입부(643) 선단의 걸어맞춤편(644)을 끼워 맞춘다.
이상으로부터,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62)에 대한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64)의 맞붙임이 완료된다. 이 맞붙임완료상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부(623)에 삽입부(643)가 정확히 수납되는 동시에, 관통부(623)상의 표면측오목부(622)에 표면측돌출부(642)가 정확히 수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62)에 대해 연질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64)를 압입방식을 가지고 맞붙임으로써,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밴드본체(62)와 장식부재(64)를 다른 재료 조색으로서 간이하게 2색성형풍의 연질합성수지제 시계밴드(61)가 얻어진다.
또, 장식부재(64)의 삽입부(643)를 밴드본체(62)에 대해 표면측으로부터 관통부(623)에 삽입하여 그 이면측걸어맞춤오목부(624)에 삽입부(643) 선단의 걸어맞춤편(644)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장식부재(64)의 극간 발생 및 말려 올라가는 것의 방지가 도모된다.
그런데, 이상의 제 5 및 제 6 실시형태예에서는 밴드본체(32, 62)와 장식부재(34, 64)를 다른 재료 조색으로서 간이하게 2색성형풍의 연질합성수지제 시계밴드(31, 61)를 얻는 것으로 했는데, 밴드본체와 장식부재의 재료 경도를 바꾸어도 좋다.
이와 같이, 밴드본체와 장식부재의 재료 경도를 바꿈으로써 연질합성수지제의 시계밴드로서 팔로의 장착감 향상, 보강 강도업(UP)이 얻어진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섬유를 둘러싸서 일체 성형한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로 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 이어도 좋다.
또, 각 부품의 디자인 등도 임의이며, 그 외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 7 실시형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7 실시형태예를 도 21에서 도 2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예로서의 손목시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화살표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3은 본체케이스에 부착되는 밴드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a)는 평면도, (b)는 이면측의 평면도, (c)는 (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도면, (d)는 (a)의 화살표 D-D 선을 따라 확대한 단면도, (e)는 (a)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24는 장식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a)는 평면도, (b)는 (a)의 화살표 G-G 선을 따른 단면도, (c)는 (a)를 비스듬한 하면측에서 쳐다본 사시도, (d)는 이면측의 평면도(일부생략), (e)는 (b)의 화살표 H 방향에서 본 도면, (f)는 (b)의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본체케이스에 부착되는 다른 밴드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a)는 평면도, (b)는 이면측의 평면도, (c)는 (a)의 화살표 E 방향에서 본 확대도, (d)는 (a)의 화살표 F-F 선을 따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밴드본체로의 장식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우선, 도 21 및 도 22에 의거하여 손목시계(200)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200)의 본체케이스(201)의 상부에는 개구부(20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05)에는 시계유리(206)가 고정되어 있다. 시계유리(206) 및 개구부(205)를 통해서 손목시계(200)의 정면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케이스(201)의 상면에는 본체케이스(201)를 정면측으로부터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베젤(bezel)이 부착되어 있다. 또 본체케이스(201)의 이면측에는 O링(242)을 통해서 이면덮개(207)가 부착되어 본체케이스(201)의 내부에 수납된 내부기기류(도시생략)가 보호되어 있다.
이들 내부기기류에는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의 정보처리 등을 실시하는 회로기판,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로서 기능 하는 발광패널, 이들 및 다른 내부기기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등이 포함된다.
본체케이스(201)의 상면에는 발광패널의 발광 등의 각종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누름 버튼(203, 20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누름 버튼(203, 203)은 스위치부재(202, 202)를 통해서 본체케이스(201)에 대해 부착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누름 버튼(203, 203)의 이면측에는 각각 스위치부재(202, 202)의 일단이 매설되어 있고, 이들 스위치부재(202, 202)의 타단측은 본체케이스(201)를 관통하여 본체케이스(201)의 내주측으로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누름 버튼(203, 203)을 눌러 내림 조작하면 스위치부재(202, 202)의 주위에 배치 설치된 코일스프링 등(도시생략)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누름 버튼(203, 203)이 눌려 넣어지고, 스위치부재(202, 202)의 타단측이 본체케이스(201)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기구에 작용하여 소정의 전기적신호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누름 버튼(203, 203)으로의 눌러 내림 힘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버튼(203, 20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본체케이스(201)의 측부는 눌러 내림 조작에 의해 시각 설정 등의 각종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누름 버튼(251, 251, …)이 누름 버튼(203, 203)과 똑같은 기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본체케이스(201)의 일단에는 밴드부착부(20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밴드부착부(208)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260)가 부착되어 있다.
또, 본체케이스(201)의 타단에는 밴드부착부(209)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밴드부착부(209)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27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밴드(260)는 밴드본체(210)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장식부재(230)를 부착한 것이고, 밴드(270)는 밴드본체(220)에 장식부재(230)를 부착한 것이다.
손목시계(200)는 이상과 같이 개략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는 밴드(260, 270 (밴드본체(210, 220 또는 밴드본체(210, 220) 및 장식부재(230, 230))에 의해 본체케이스(201)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본체케이스(201)와 밴드(260, 270)의 일체감을 높이고, 손목시계(200)의 디자인을 일체성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주요한 구성요소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체케이스(201)의 밴드부착부(208)의 상부에는 돌출부(20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01a)는 밴드(260)를 본체케이스(201)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밴드본체(210)의 후술하는 부착보스(211)와, 장식부재(230)의 후술하는 덮개부(310)에 의해 끼워지는 동시에, 손목시계(200)의 정면측으로부터의 외관에서는 덮개부(310)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 되는 부분이다.
한편, 본체케이스(201)의 밴드부착부(209)의 상부에는 돌출부(201a)와 똑같은 돌출부(20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밴드본체(210)는, 예를 들면 연질합성수지제 등의 가요성(可撓性)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도 2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밴드본체(210)의 일단측에는 밴드본체(210)를 본체케이스(20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보스(211)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보스(211)에는 부착보스(211)를 옆쪽에서 관통하는 부착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구멍(212)에 스프링봉(213)(도 22 참조)을 끼워 통하게 하여 본체케이스(201)에 밴드본체(2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부착보스(211)의 하측에는 본체케이스(201)측으로 돌출 하는 덮개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밴드본체(210)를 본체케이스(201)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이 덮개부(281)가 본체케이스(201)의 이면측에 부착된 이면덮개(207)의 일부를 통해서 본체케이스(201)의 일부를 하측에서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밴드본체(210)에는 부착보스(211)에 인접하여 밴드본체(210)에 장식부재(23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214)는 후에 상술하는 장식부재(230) 두께의 분량만큼 밴드본체(210)의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또한 가늘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부착부(214)에 장식부재(230)를 밖에서 끼웠을 때에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부착부(214)의 표면측에는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볼록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볼록부(290)에 대응하는 부착부(214)의 이면측에는 오목부(295)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290)가 형성된 부분의 부착부(214) 두께가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두껍게 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밴드본체(210)의 부착부(214)의 표면측의 밴드본체(210)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착부(215, 216, 216)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14)의 이면측의 상기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착부(217, 2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부(214)의 측부에는 단부착부(215) 및 단부착부(217)를 연속적으로 하는 단부착부(219, 2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부착부(215, 216, 216, 217, 218, 219)는 밴드본체(210)에 부착된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에 대해 위치 결정하여 장식부재(230)의 밴드본체(210)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과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밴드본체(210)의 긴쪽방향을 따라서는 밴드본체(210)를 표리로 관통하는 고정구멍(400, 400, …)이 각각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구멍(400, 400, …)은 후에 상술하는 밴드본체(210)에 부착된 후술하는 버클(5)의 고정구(5a)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밴드본체(220)는 밴드본체(210)와 똑같이 연질합성수지제 등의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밴드본체(220)에는 밴드본체(210)와 똑같이 부착보스(211) 및 부착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착보스(21) 및 부착부(214)의 구성 요소는 밴드본체(210)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밴드본체(220)는 그 외의 부분에서 밴드본체(210)와 달리 있고, 밴드본체(210)의 일단측에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고정구(5a)를 갖는 버클(5)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221)에는 부착구멍(222)이 형성되고, 이 부착구멍(222)에 대해서 버클(5)이 부착되어 있다(부착된 상태의 도시는 생략).
또, 밴드본체(220)에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루프(6)가 밖에서 끼워져 있다.
다음에, 장식부재(230)는 연질합성수지제 등의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 장식부재(230)는 탄성 변형시키면서 본체케이스(210, 220)에 대해서 밖에서 끼워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체케이스(210, 220)보다도 용이하게 유연히 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부재(230)는 밴드본체(210, 220)와 색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장식부재(230)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덮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부(310)는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 220)에 부착한 상태에서 밴드본체(210, 220)를 본체케이스(201)에 대해 부착했을 때에 본체케이스(201)에 형성된 돌출부(201a, 201b)를 덮는 것이다.
또, 장식부재(230)에는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에 밖에서 끼워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장식부재(230)의 표면측에는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의 볼록부(290)가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 위치 결정하기 위한 부착구멍부(구멍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볼록부(290)를 부착구멍부(300)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장식부재(230)의 표면측의 부착구멍부(300) 주위의 부분과 볼록부(290)의 상면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에 부착했을 때에 밴드본체(210, 220)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이 되는 부분 중, 단면(235)은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의 단부착부(215)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똑같이 단면(236, 236)은 단부착부(216, 216)와 맞닿고, 단면(237)은 단부착부(217)와 맞닿으며, 단면(238)은 단부착부(218)와 맞닿고, 단면(239)은 단부착부(219)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단, 여기서 각 단면(235, 236, 236, 237, 238, 239)과 단부착부(215, 216, 216, 217, 218, 219)가 맞닿는다고 표현했는데, 실제는 조금의 간극(틈)이 발생해 있어도 좋다.
또, 장식부재(230)를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에 부착했을 때에는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장식부재(230)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부착부(214)에 장식부재(230)를 밖에서 끼웠을 때에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식부재(230)는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에 대해 부착한 상태에서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식부재(230)의 상기와 같은 밴드본체(210, 220)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한다.
도 2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밴드본체(210)의 일단측으로부터 동일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장식부재(230)의 부착구멍(231)을 밖에서 끼우고, 장식부재(23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밴드본체(210)의 볼록부(290)를 장식부재(230)의 부착구멍부(300)에 끼워 넣게 한다. 이에 따라, 볼록부(290)와 부착구멍부(300)의 끼워 맞춤에 의해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1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장식부재(230)의 단면(235)은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의 단부착부(215)에 맞닿으며, 단면(236, 236)은 단부착부(216, 216)에 맞닿고, 단면(237)은 단부착부(217)에 맞닿으며, 단면(238)은 단부착부(218)에 맞닿고, 단면(239)은 단부착부(219)와 맞닿는다. 따라서, 이들 단면(235, 236, 236, 237, 238, 239)과 단부착부(215, 216, 216, 217, 218, 219)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1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밴드본체(210)의 부착부(214)가 장식부재(230) 두께의 분량만큼 얇게, 또한 가늘게 설정되어 있고, 게다가 장식부재(230)의 표면측의 부착구멍부(300) 주위의 부분과 밴드본체(210) 볼록부(290)의 상면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10)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된다.
밴드본체(220)에 대한 장식부재(230)의 부착도 똑같으며, 똑같이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20)에 대해 위치 결정되고, 똑같이 장식부재(230)가 밴드본체(220)에 대해 대략 균일하게 된다.
다음에, 밴드본체(210, 220)(밴드(260, 270))의 본체케이스(201)에 대한 부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와 같이 장식부재(230)가 부착된 밴드본체(210)의 부착보스(211)의 부착구멍(212)에 스프링봉(213)을 끼워 통하고, 이 스프링봉(213)을 지점으로 하여 밴드본체(210)가 회전 운동 자유로운 상태에서 밴드본체(210)(밴드(260))를 본체케이스(201)의 밴드부착부(208)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본체케이스(201)의 돌출부(201a)는 장식부재(230)의 덮개부(310)에 의해 덮어지는 동시에, 본체케이스(201)의 이면측에 부착된 이면덮개(207)의 단부를 통해서 본체케이스(201)의 일부가 밴드본체의 부착보스(211)의 하측에 형성된 덮개부(281)에 의해 덮어진다.
밴드본체(220)(밴드(270))의 본체케이스(201)의 밴드부착부(209)에 대한 부착도 똑같으며, 밴드본체(220)를 밴드부착부(209)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본체케이스(201)의 돌출부(201b)가 장식부재(230)의 덮개부(310)에 의해 덮어지는 동시에, 본체케이스(201)의 이면측에 부착된 이면덮개(207)의 단부가 밴드본체의 부착보스(211)의 하측에 형성된 덮개부(281)에 의해 덮어진다.
따라서, 밴드본체(210, 220)(밴드(260, 270))의 본체케이스(201)에 대한 부착부분에 발생하는 간극을 장식부재(230)의 덮개부(310) 및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보스(211) 하측에 형성된 덮개부(281, 281)에 의해 덮어 숨길 수 있다.
또, 밴드본체(210, 220)(밴드(260, 270))를 본체케이스(201)에 대해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장식부재(230, 230)의 덮개부(310, 310) 및 밴드본체(210, 220)의 덮개부(281, 281)가 이들 덮개부(310, 310, 281, 281) 주위의 부분과 대략 균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7 실시형태예에 따르면, 밴드본체(210, 220)(밴드(260, 270))의 본체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분에 발생하는 간극을 장식부재(230)의 덮개부(310) 및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보스(211) 하측에 형성된 덮개부(281, 281)에 의해 덮어 숨길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케이스(201)와 밴드(260, 270)의 이음매를 의식시키지 않고, 본체케이스(201)와 밴드(260, 270)의 일체성이 높은 디자인의 손목시계(200)(리스트장치)로 할 수 있으며, 손목시계(200)의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밴드본체(210, 220)에는 장식부재(230, 23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230, 230)에 의해 밴드본체(210, 220)를 장식할 수 있다.
또,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가 장식부재(230, 230) 두께의 분량만큼 얇게, 또한 가늘게 설정되어 있고, 게다가 장식부재(230, 230) 표면측의 부착구멍부(300, 300) 주위의 부분과 밴드본체(210, 220) 볼록부(290, 290)의 상면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장식부재(230, 230)가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식부재(230, 230)의 밴드본체에 대한 일체감을 향상할 수 있고, 손목시계(200)를 보다 일체성이 높은 디자인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장식부재(230, 230)를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 부착시킬 수 있고, 장식부재(230, 230)의 밴드본체(210, 220)에 대한 말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230, 230)에 형성된 부착구멍부(구멍부)(300)에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부(214, 214)에 형성된 볼록부(290, 290)를 끼워 넣게 함으로써 장식부재(230, 230)가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230, 230)의 밴드본체(210, 220)에 대한 어긋남이나 흔들림을 가장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밴드본체(210, 220) 부착부(214, 214)의 볼록부(290, 290)에 대한 부분의 이면측에는 오목부(295, 295)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290, 290)가 형성된 부분의 부착부(214, 214) 두께가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극단으로 두껍게 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밴드본체(210, 220)에 장식부재(230, 230)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밴드본체(210, 220)의 볼록부(290, 290)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위화감 없이 밴드(260, 270)에 의해 손목시계(200)를 손목에 장착할 수 있고, 밴드(260, 270)에 의한 손목시계(200)의 장착감을 쾌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밴드본체(210, 220)와 장식부재(230, 230)의 색을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밴드본체(210, 220)와 장식부재(230, 230)가 2색성형된 것과 같은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230, 230)의 덮개부(310, 310) 및 밴드본체(210, 220) 부착보스(211, 211)의 덮개부(281, 281)가 이들 각 덮개부(310, 310, 281, 281) 주위의 부분과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310, 310, 281, 281)와 덮개부(310, 310, 281, 281)의 주위 부분의 경계를 의식시키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본체(210, 220)(밴드(260, 270))와 본체케이스(201)의 일체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손목시계의 보다 높은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형태예에서는 리스트장치로서 손목시계를 예시하여 설명했는데, 리스트장치로서는 그 외에도 나침반, 수심계 등의 밴드를 구비하고, 손목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면 좋다.
또, 밴드본체(210, 220)에 장식부재(230, 230)를 부착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장식부재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장식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밴드본체에 덮개부를 형성하고, 이 덮개부에 의해 본체케이스의 일부를 덮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본체케이스(201)에 돌출부(201a, 201b)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201a, 201b)를 밴드본체(210, 220)의 부착보스(211, 211)와 장식부재(230, 230)의 덮개부(310,310)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으로 했는데, 이들 돌출부(201a, 201b)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 밴드본체(210, 220)의 볼록부(290)를 장식부재(230)의 부착구멍부(300)에 끼워 넣게 하는 타입으로 했는데, 장식부재(230)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에 끼워 넣게 해도 좋다.
덧붙여서, 장식부재(230, 230)를 밴드본체(210, 220)의 몸통둘레에 대해 밖에서 끼움으로써 장식부재(230, 230)를 밴드본체(210, 220)에 부착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장식부재로서는 밴드본체에 대해 접착 또는 녹여 붙임 등에 의해 부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장식부재 및 밴드본체의 구체적인 형상은 적당히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또, 그 외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발명은, 밴드(1)로서, 한 쌍의 삽입부(예를 들면 삽입구멍(23))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의 삽입부 사이에 걸쳐서 밴드 이면측에 개구하는 오목부(24)를 갖는 밴드본체(2)와 , 이 밴드본체에 대해 상기 한 쌍의 삽입부에 밴드표면측에서 삽입된 한 쌍의 삽입편(42)을 갖는 장식부재(4)와,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밴드이면측부터 상기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의 상기 한 쌍의 삽입편 사이에 놓여진 봉부재(8)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밴드본체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 근처에 장식부재가 구비된다.
밴드본체로서는 예를 들면 연질합성수지제를 들 수 있다.
장식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제를 들 수 있다.
봉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봉을 들 수 있다.
한 쌍의 삽입부로서는 예를 들면 밴드 폭방향으로 이간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그 외에도 예를 들면 밴드의 긴쪽방향으로 이간하는 것 등, 형성되는 위치는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 한 쌍의 삽입부는 밴드표리로 관통하는 끼워 통하는 구멍이어도 좋고, 관통하지 않는 오목부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형성된 삽입부에 밴드표면측으로부터 장식부재의 한 쌍의 삽입편을 삽입하는 한편, 밴드본체의 한 쌍의 삽입구멍 사이에 걸쳐서 밴드이면측으로 개구하는 오목부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편 사이에 봉부재를 놓은 밴드이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의 한 쌍의 삽입편을 관통하여 그 한 쌍의 삽입편 사이에 밴드이면측의 오목부에서 봉부재를 놓을 뿐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하지 않고, 확실한 맞붙임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밴드로서 볼품이 좋게 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은, 상기 오목부(24)내에 수납되고, 상기 봉부재(8)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재(9)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덮개부재로서는 경질합성수지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봉부재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재를 청구항 1 기재의 오목부 내에 수납한 밴드이기 때문에, 밴드이면측 오목부 내의 봉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개부재에 의해 숨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은, 밴드(1)로서,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26)를 갖는 밴드본체(2)와, 이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대해 밴드표면측으로부터 삽입된 장식부재(4)와, 이 장식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대해 상기 밴드이면측으로부터 삽입된 지지부재(13)와,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밴드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예를 들면 둘레삽입홈(22), 직사각형의 이면측오목부(27))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밴드본체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 근처에 장식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대해 그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에 대해 밴드표면측에서 장식부재를 삽입하는 한편, 그 장식부재의 이면측에 있어서 밴드본체의 관통부에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이 지지부재와 장식부재를 밴드본체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한 밴드이고, 밴드본체의 관통부에 표리에서 각각 삽입한 장식부재와 지지부재를 관통부의 주위에 있어서 밴드본체에 고정할 뿐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다.
게다가, 관통부의 주위에 있어서 밴드본체에 장식부재와 지지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장식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하지 않고 확실한 맞붙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데다가 장식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밴드로서 볼품이 좋게 된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장식부재(4)와 상기 지지부재(13)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접합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접착부재(예를 들면 양면접착부재 등)에 의한 접착이나 녹여 붙임(예를 들면 초음파에 의한 녹여 붙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장식부재와 지지부재가 접합에 의해 일체화된 밴드이기 때문에 장식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안정한 접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장식부재와 지지부재가 강체끼리이면 , 예를 들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에 의해서도 장식부재 및 지지부재의 변형이 적다.
또,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13)는 상기 밴드본체(2)의 상기 관통부(26)에 대해 밴드이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이면측부재(14)와, 상기 밴드표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표면측부재(15)를 구비하고, 이들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에 의해 상기 밴드본체의 일부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이들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를 일체화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는 예를 들면 접착이나 접합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가 밴드본체의 관통부에 대해 밴드이면측에서 끼워 넣은 이면측부재와, 밴드표면측에서 끼워 넣은 표면측부재에 의해 밴드본체의 일부를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를 일체화했기 때문에 밴드본체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을 장식부재에 전하기 어렵게 하여 장식부재의 보다 안정한 고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밴드본체(2)는 연질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재(4)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가 연질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장식부재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밴드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에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고, 장식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은, 밴드(31, 61)로서,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323, 623)를 갖는 밴드본체(32, 62)와, 이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밴드본체의 일단측에서 걸어 맞추어지고, 타단부가 상기 밴드본체의 타단측에서 걸어 맞추어진 장식부재(345, 64)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밴드본체의 시계케이스에 대한 부착부 근처에 장식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밴드표리방향의 관통부 내에 삽입한 장식부재가 일단부에서 밴드본체의 일단측에 걸어 맞추고, 타단부에서 밴드본체의 타단측에 걸어 맞춘 밴드이며, 밴드본체의 관통구멍에 대해 장식부재를 삽입하여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걸어 맞출 뿐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구비하면서 예를 들면 극간이나 말려 올라가지않는 2색성형풍과 같은 일체감이 얻어져 밴드로서 볼품이 좋게된다.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밴드본체(32)는 상기 관통부(323)와는 다른 위치에 보조관통부를 갖고, 상기 장식부재(34)는 타단측에 걸어맞춤부(348)를 가지며, 이 걸어맞춤부는 상기 보조관통부와 걸어 맞추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청구항 7 기재의 관통부와는 다른 위치의 보조관통부에 있어서 장식부재의 타단측의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춘 밴드이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극간 발생이나 말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장식부재(64)는 타단측에 걸어맞춤부(64)를 갖고, 상기 관통부(623)의 밴드이면측에는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예를 들면 걸어맞춤오목부(624))가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에 걸어 맞추어진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관통부의 밴드이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에 장식부재의 타단측의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춘 밴드이기 때문에, 밴드본체의 관통부의 밴드이면측의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에 있어서 관통부에 밴드표면측에서 삽입한 장식부재의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추어 장식부재의 극간 발생이나 말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은 리스트장치(예를 들면 손목시계(200))로서, 본체케이스(201)와, 이 본체케이스에 부착되는 동시에 덮개부(예를 들면 장식부재(230)에 형성된 덮개부(310) 및 밴드본체(210, 220)에 형성된 덮개부(281, 281)가 형성된 밴드(260, 270: 예를 들면 밴드는 밴드본체(210, 220)에 장식부재(230, 230)가 부착된 것이다)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리스트장치로서는 손목시계, 나침반, 수심계 등의 밴드를 구비하고, 손목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체케이스의 이면측에는 이면덮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는데, 덮개부와 본체케이스의 사이에 이면덮개가 개재한 상태에서 덮개부가 본체케이스를 덮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본체케이스의 일부가 밴드에 형성된 덮개부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밴드의 본체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분에 발생하는 간극을 덮개부에 의해 덮어 숨길 수 있다. 따라서, 본체케이스와 밴드의 이음매를 의식시키지 않고 본체케이스와 밴드의 일체성이 높은 디자인의 리스트장치로 할 수 있으며, 리스트장치의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은 리스트장치(예를 들면 손목시계(200))로서, 본체케이스(201)와, 이 본체케이스에 부착된 밴드본체(210, 220)와, 이 밴드본체에 부착되는 동시에 덮개부(310, 310)가 형성된 장식부재(230, 230)를 구비한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서는 리스트장치로서는 손목시계, 나침반, 수심계 등의 밴드를 구비하고, 손목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똑같이 본체케이스의 이면측에는 이면덮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있는데, 덮개부와 본체케이스의 사이에 이면덮개가 개재한 상태에서 덮개부가 본체케이스를 덮는 것으로 해도 좋다.
장식부재란, 예를 들면 밴드본체의 몸통둘레에 밖에서 끼워지는 것으로 밴드본체의 주위에 부착되는 가요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나, 밴드본체의 단면 또는 양면에 대해서 접착· 녹여 붙임 등에 의해 고정된 것이어도 좋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에는 장식부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에 의해 밴드본체를 장식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식부재에 형성된 덮개부가 본체케이스의 일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밴드본체의 본체케이스에 대한 부착부분에 발생하는 간극을 덮개부에 의해 덮어 숨길 수 있다. 따라서, 본체케이스와 밴드본체의 이음매를 의식시키지 않고, 본체케이스와 밴드본체의 일체성이 높은 디자인의 리스트장치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스트장치의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장식부재(230)는 상기 밴드본체(210, 220)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장식부재를 밴드본체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장식부재가 밴드본체의 몸통에 밖에서 끼워지는 것으로 밴드본체의 주위에 부착되는 가요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의 경우에는, 밴드본체 중 장식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장식부재의 두께분량만큼 다른 부분보다 얇게(가늘게)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
또, 장식부재가 밴드본체의 단면 또는 양면에 대해 접착· 녹여 붙임 등에 의해 고정된 것의 경우에, 장식부재를 밴드본체에 대해 대략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밴드본체 중 장식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장식부재의 두께분량만큼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하던지, 또는 부착부를 오목부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밴드본체에 대해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밴드본체에 대한 일체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장식부재가 밴드본체에 부착한 구조로 할 수 있고, 장식부재의 밴드본체로부터의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밴드본체(210, 220)에 형성된 볼록부(290, 290)를 상기 장식부재(230, 230)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구멍부(예를 들면 부착구멍부(300))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장식부재가 상기 밴드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형성된 볼록부를 장식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장식부재가 밴드본체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밴드본체에 대한 어긋남이나 흔들림을 가장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밴드본체(210, 220)에 상기 장식부재(230, 230)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볼록부(290, 290)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밴드본체에 대해서 밖에서 끼움으로써 밴드본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의 경우, 장식부재를 부착하기 쉽도록 장식부재는 밴드본체에 비해서 보다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장식부재를 밴드본체에 부착하고, 또한 이 때 장식부재가 밴드본체에 대해 대략 균일하게 되도록 해도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장식부재보다도 단단한 재질의 밴드본체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해서 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밴드(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한 것)에 의해 리스트장치를 손목에 장착했을 때의 장착감에 위화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밴드에 의한 리스트장치의 보다 쾌적한 장착감을 얻기 위해서는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밴드본체 볼록부의 이면측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밴드본체 두께를 얇게 설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밴드본체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했기 때문에, 위화감 없이 밴드에 의해 리스트장치를 손목에 장착할 수 있고, 밴드에 의한 리스트장치의 장착감을 쾌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밴드본체(210, 220)와 상기 장식부재(230, 230)의 색이 다르도록 해도 좋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밴드본체와 장식부재의 색이 다르기 때문에 밴드본체와 장식부재가 2색성형된 것같은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덮개부(310, 310)가 해당 덮개부 주위의 부분과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가 덮개부 주위의 부분과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와 덮개부의 주위 부분의 경계를 의식시키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 또는 밴드본체와 본체케이스의 일체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리스트장치의 보다 높은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장식부재의 한 쌍의 삽입편을 관통하여 그 한 쌍의 삽입편 사이에 밴드이면측의 오목부에서 봉부재를 놓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하지 않고 확실한 맞붙임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밴드로서 볼품이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밴드이면측의 오목부 내의 봉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개부재에 의해 숨길 수 있다고 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관통부에 대해 표리에서 각각 삽입한 장식부재와 지지부재를 밴드본체에 고정했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다.
게다가, 관통부의 주위에 있어서 밴드본체에 장식부재와 지지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장식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밴드본체와 장식부재를 메탈인서트성형에 의하지 않고 확실한 맞붙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데다가 장식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밴드로서 볼품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장식부재와 지지부재를 접합하여 일체화하기 때문에, 장식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안정한 접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장식부재와 지지부재가 강체끼리이면, 예를 들면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에 의해서도 장식부재 및 지지부재의 변형이 적다고 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지지부재의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에 의해 밴드본체를 끼워 넣었기 때문에, 밴드본체의 접어 구부림이나 비틀림 등의 힘을 장식부재에 전하기 어렵게 하여 장식부재의 보다 안정한 고정력을 지지할 수 있다고 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과 같이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연질합성수지제의 밴드본체에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고, 장식부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밴드본체의 관통구멍에 대해 장식부재를 삽입하여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걸어 맞추었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조를 가지고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확실하게 맞붙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구비하면서 예를 들면 극간이나 말려 올라가지않는 2색성형풍과 같은 일체감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밴드로서 볼품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밴드본체의 관통부와는 다른 위치의 보조관통부에 있어서 장식부재의 타단측의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추었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극간 발생이나 말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밴드에 따르면,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덧붙여서 밴드본체의 관통부의 밴드이면측의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에 있어서 관통부에 밴드표면측에서 삽입한 장식부재의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추었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극간 발생이나 말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본체케이스의 일부가 밴드에 형성된 덮개부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본체케이스와 밴드의 이음매를 의식시키지 않고 본체케이스와 밴드의 일체성이 높은 디자인의 리스트장치로 할 수 있으며, 리스트장치의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밴드본체에는 장식부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에 의해 밴드본체를 장식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장식부재에 형성된 덮개부가 본체케이스의 일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본체케이스와 밴드본체의 이음매를 의식시키지 않고 본체케이스와 밴드본체의 일체성이 높은 디자인의 리스트장치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스트장치의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밴드본체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밴드본체에 대한 일체감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형성된 볼록부를 장식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장식부재가 밴드본체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의 밴드본체에 대한 어긋남이나 흔들림을 가장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4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밴드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밴드본체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했기 때문에, 밴드에 의한 리스트장치의 장착감을 쾌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5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밴드본체와 장식부재의 색이 다르기 때문에, 밴드본체와 장식부재가 2색성형된 것같은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6 기재의 발명에 관련되는 리스트장치에 따르면, 덮개부가 덮개부 주위의 부분과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와 덮개부의 주위 부분의 경계를 의식시키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 또는 밴드본체와 본체케이스의 일체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리스트장치의 보다 높은 일체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한 쌍의 삽입부가 이간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이 한 쌍의 삽입부 사이에 걸쳐서 밴드 이면측에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는 밴드본체와 ,
    이 밴드본체에 대해 상기 한 쌍의 삽입부에 밴드표면측에서 삽입된 한 쌍의 삽입편을 갖는 장식부재와,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밴드이면측으로부터 상기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의 상기 한 쌍의 삽입편 사이에 놓여진 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에 수납되고, 상기 봉부재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3.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는 밴드본체와,
    이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대해 밴드표면측으로부터 삽입된 장식부재와,
    이 장식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대해 상기 밴드이면측으로부터 삽입된 지지부재와,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밴드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접합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에 대해 밴드이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이면측부재와, 상기 밴드표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표면측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에 의해 상기 밴드본체의 일부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이들 이면측부재와 표면측부재를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는 연질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7. 밴드표리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는 밴드본체와,
    이 밴드본체의 상기 관통부 내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밴드본체의 일단측에서 걸어 맞추어지고, 타단부가 상기 밴드본체의 타단측에서 걸어 맞추어진 장식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는 상기 관통부와는 다른 위치에 보조관통부를 갖고,
    상기 장식부재는 타단측에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이 걸어맞춤부는 상기 보조관통부와 걸어 맞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타단측에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관통부의 밴드이면측에는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걸어맞춤오목부 또는 걸어맞춤볼록부에 걸어 맞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0. 본체케이스와,
    이 본체케이스에 부착되는 동시에 덮개부가 형성된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1. 본체케이스와,
    이 본체케이스에 부착된 밴드본체와, 이 밴드본체에 부착되는 동시에 덮개부가 형성된 장식부재를 갖는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밴드본체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에 형성된 볼록부를 상기 장식부재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장식부재가 상기 밴드본체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에 상기 장식부재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기 쉬움을 해당 부분의 주변의 휘기 쉬움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본체와 상기 장식부재의 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해당 덮개부 주위의 부분과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장치.
KR1019990018385A 1998-05-22 1999-05-21 리스트 장치 KR100362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41740 1998-05-22
JP14174098 1998-05-22
JP98-371445 1998-12-25
JP37144598A JP3931459B2 (ja) 1998-05-22 1998-12-25 バンドおよびリス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460A true KR19990088460A (ko) 1999-12-27
KR100362836B1 KR100362836B1 (ko) 2002-11-30

Family

ID=2647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385A KR100362836B1 (ko) 1998-05-22 1999-05-21 리스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238083B1 (ko)
JP (1) JP3931459B2 (ko)
KR (1) KR100362836B1 (ko)
CN (1) CN1256054C (ko)
MY (1) MY1148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2352A (ja) * 2006-02-10 2007-08-23 Seiko Instruments Inc 腕時計及び時計用バンド
WO2007137264A2 (en) 2006-05-22 2007-11-29 Nike, Inc. Watch display comprising light sources with a translucent cover
US7874722B2 (en) * 2006-08-27 2011-01-25 Nike, Inc. Watch casing integrally formed with watch band
JP4917880B2 (ja) * 2006-12-28 2012-04-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腕時計及び腕時計用バンド
US7954680B2 (en) * 2007-03-01 2011-06-07 Nike, Inc. Watch band with reinforced construction
US7654732B2 (en) * 2007-08-31 2010-02-02 Nike, Inc. Timepiece incorporating wristband contact elements
DE102008064459A1 (de) * 2008-12-22 2010-06-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andeinheit für eine Halteeinrichtung und Halteeinrichtung
US9011292B2 (en) 2010-11-01 2015-04-2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8814754B2 (en) 2010-11-01 2014-08-26 Nike,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9383220B2 (en) 2010-11-01 2016-07-05 Nike, Inc. Activity identification
US8974349B2 (en) * 2010-11-01 2015-03-10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KR101498838B1 (ko) 2010-11-01 2015-03-0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운동 기능을 가지는 착용가능한 장치 조립체
US20120113760A1 (en) * 2010-11-04 2012-05-10 Jai Pagrani Time Indicating Device With Wearable Toys
JP5804371B2 (ja) * 2011-09-26 2015-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バンド及び腕時計
US9720443B2 (en) 2013-03-15 2017-08-0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D727198S1 (en) 2014-08-11 2015-04-21 Apple Inc. Band
USD759725S1 (en) 2014-09-08 2016-06-21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771036S1 (en) 2014-08-11 2016-11-08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755299S1 (en) 2014-09-05 2016-05-03 Apple Inc. Label
KR102329820B1 (ko) * 2015-01-29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US10064460B2 (en) 2015-09-30 2018-09-04 Apple Inc. Frictional stabilization of band and securement mechanism
US10117482B2 (en) * 2015-10-30 2018-11-06 Climax Technology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70229913A1 (en) * 2016-02-08 2017-08-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in wearable devices
USD789822S1 (en) 2016-03-07 2017-06-20 Apple Inc. Band
USD795121S1 (en) 2016-03-07 2017-08-22 Apple Inc. Band
USD777163S1 (en) 2016-03-07 2017-01-24 Apple Inc. Wearable device
USD781853S1 (en) 2016-03-07 2017-03-21 Apple Inc. Wearable device
US10219591B2 (en) 2016-03-21 2019-03-05 Apple Inc. Attach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JP6728904B2 (ja) * 2016-04-05 2020-07-2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脈波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USD800007S1 (en) 2016-12-27 2017-10-17 Rubber B, Llc Watch strap
RU177478U1 (ru) * 2017-01-30 2018-02-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Часовой Завод Ника" Разрезной ремешок для наручных часов
USD838619S1 (en) 2017-03-10 2019-01-22 Apple Inc. Band
CN108594625A (zh) * 2018-04-24 2018-09-28 江苏君厚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运动用智能手表
USD997014S1 (en) 2021-05-24 2023-08-29 Rubber B, Llc Watch ban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9269A (en) * 1939-03-20 1943-05-18 Schwalberg Abraham Wrist watch strap
US2619270A (en) * 1949-09-06 1952-11-25 Foster John Wrist watch support
US3019503A (en) * 1958-07-11 1962-02-06 Bell Trading Post Ltd Watch bracelet
US3165884A (en) * 1962-11-14 1965-01-19 Bulova Watch Co Inc Watch band connector
US3889323A (en) * 1974-08-23 1975-06-17 Textron Inc End attachment for watch bands
US4023347A (en) * 1975-10-17 1977-05-17 Haber Terry M Wristwatch casing and band construction
US4266326A (en) * 1979-08-06 1981-05-12 Hong Lai F Watchband connector
JPS62133181U (ko) * 1986-02-10 1987-08-22
FR2665546B1 (fr) * 1990-08-01 1995-04-21 Boucheron Montre-bracelet avec boitier a couvercle interchangeable.
FR2749411B1 (fr) * 1996-06-04 1998-09-04 Grados Christian Fixation d'un accessoire destine a un ensemble de bracelet et boitier porte au poig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6583A (zh) 1999-12-01
KR100362836B1 (ko) 2002-11-30
JP2000041714A (ja) 2000-02-15
MY114851A (en) 2003-01-31
US6238083B1 (en) 2001-05-29
US20010006492A1 (en) 2001-07-05
US6435709B2 (en) 2002-08-20
CN1256054C (zh) 2006-05-17
JP3931459B2 (ja)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836B1 (ko) 리스트 장치
JP4763200B2 (ja) フレキシブル・リストバンド中に組み込まれたプリント回路を含んでいる電子腕時計
US8064292B2 (en) Timepiece with stabilizing bezel
US7394728B2 (en) Wristwatch
JP3961320B2 (ja) バングルタイプバンドを備えた腕装着型携帯装置
JP2017129496A (ja) 時計
US4281406A (en) Water-proof case for digital electronic timepieces
KR100239089B1 (ko) 케이스밴드를 따라 올라가는 배면덮개를 가진 손목시계 케이스
JP3173930U (ja) 時計ケースとバンドの取付構造
JP4275804B2 (ja) 表示板構造
JP2009156578A (ja) バンド取付構造
EP1925998A2 (en) Watchcase
JP4415170B2 (ja) バンドの取付構造およびリスト装置
JP5397286B2 (ja) 腕時計
JP2007090046A (ja) 腕装着装置
JPH10262710A (ja) 時計用バンドの取付構造
JP4186469B2 (ja) 装着型機器
JP2002000321A (ja) 装身具及び腕時計
JP4147874B2 (ja) バンド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593773Y2 (ja) 電波時計のアンテナ構造
JPH02240591A (ja) 腕輪とケースを有する腕時計
JP2002345517A (ja) 腕時計
JPH0990060A (ja) 表示部材の固定構造
JP4529428B2 (ja) 携帯用機器の外装部品、携帯用機器の組立方法、および、携帯用機器
JPH05297154A (ja) バンドに操作機構を備えた腕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