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056A - 용지위치조절기구를갖는용지안내장치및그장치를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위치조절기구를갖는용지안내장치및그장치를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056A
KR19990078056A KR1019990009329A KR19990009329A KR19990078056A KR 19990078056 A KR19990078056 A KR 19990078056A KR 1019990009329 A KR1019990009329 A KR 1019990009329A KR 19990009329 A KR19990009329 A KR 19990009329A KR 19990078056 A KR19990078056 A KR 1999007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conveying
curved
deflec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기시마사루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7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5/3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1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on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1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edge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2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어지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조절함으로서 폭방향의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는 장치를 구비한 용지안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용지이송통로의 만곡부내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이송롤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용지이송롤러의 축상에 위치되어지고 상기 축을 따라서 활주이동 가능하다.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역전시킨다.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단독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지위치조절기구를 갖는 용지안내장치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SHEET GUIDE DEVICE WITH SHEET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혹은 그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폭방향의 위치가 조정가능하여 용지를 안내하고 용지내에 주름(wrinkles)을 형성함이 없이 이송할수 있는 용지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탈 복사기와 프린터의 광범위한 사용에 의해서, 화상품질의 향상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예를들면, 용지상의 화상의 정확한 위치조정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의 환경적인식이 증가하여 양측면의 복사를 위한 듀플렉스 유니트(duplex unit)가 중요하게 되었다. 듀플렉스 유니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용지이송통로가 일반적인 일측면 복사를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것보다는 길고, 그 이유는 용지의 일측면상에 화상을 담지하는 용지가 상기 용지의 다른 측면상에 다른 화상을 받기 위하여 역전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긴 용지이송통로로 인하여, 용지가 위치어긋나는 것(skewed)을 방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용지가 어긋나는 때, 그용지의 양측면상의 화상품질은 균일하지 않게 된다. 용지어긋남을 방지하고 듀플렉스 유니트내에서 용지위치조정(sheet positioning)의 측방편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듀플렉스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상기 용지가 중간트레이내에 임지적으로 적재되고, 측방펜스 죠거(joggers)에 의해서 위치조정됨으로서 정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A)및 1(B)는 용지위치조정기구를 갖는 종래의 듀플렉스 유니트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듀플렉스 유니트는 역전가능한 역전 롤러 201, 중간 트레이 202,및 한쌍의 측방펜스 203들을 포함한다. 상기 측방펜스 203의 쌍들은 중간트레이 202내에 제공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요홈 202a을 통하여 B로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용지가 측방펜스 203에 의해서 위치이동되고 정렬되도록 한다. 용지가 화상형성장치(미도시)의 본체로 부터 듀플렉스 유니트내로 공급되면, 용지는 상기 역전 롤러 201에 의해서 도 1(A)내의 화살표 A로 지시된 방향으로 역전된다.
그러면, 상기 용지는 상기 측방 펜스 203쌍 사이에서 중간트레이 202내에 적재되고, 가압롤러 204에 의한 압력이 도 1(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해제된다. 상기 측방펜스 203 쌍은 도 1(A)내의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용지를 위치조정하기 위하여 이동하여 용지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한 측방펜스 203사이의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용지폭과 동일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용지위치조정의 편차, 즉 용지위치조정의 용지 어긋남(sheet skew)과 그 결과적인 측방향 편차등이 교정된다. 측방펜스 203의 쌍들을 구동하기 위한 기구(mechanism)는 미도시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역전 롤러 201는 절환되어 도 1(A)및 (B)에서 화살표 C로 지시된 용지 재공급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가압롤러 204는 상기 역전롤러 201에 접촉하는 위치로 복귀되어 용지는 상기 역전롤러 201와 가압롤러 204에 의해서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듀플렉스 유니트에서, 만일 상기 용지 205의 양측면이 도 2(A)에서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으로 말려진다면, 상기 용지 205의 일측 말려진 모서리로 부터 다른측 말려진 모서리까지의 선형거리 L'는 상기 측방펜스 203가 조정되어야할 용지폭 L보다 적게 될 것이고,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L 일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서, 즉 L'< L 에서, 상기 측방펜스는 상기 펜스가 구동되어 용지를 가볍게 치고자(jog) 하는 경우라도, 용지의 모서리들에 접촉하지 못할 것이며, 그 결과 상기 말려진 용지 205는 용지폭방향으로 적절하게 위치되지 못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6-51587/1994호는 용지 스토퍼가 공급롤러의 전방측에서 용지 재공급방향으로 위치된 양측면 화상형성장치내의 용지 어긋남 교정장치를 개시하며, 이러한 용지의 어긋남은 상기 용지가 스토퍼에 접촉하는 때에 교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지어긋남 교정장치에서, 용지위치조정의 측방향 편차는 교정되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1) 일본특허공보 제 2692957/1997호는 용지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용지를 역전하기 위한 절환유니트(switch back unit)의 절환통로내에는, 한쌍의 역전가능한 롤러들이 용지를 역전시키기 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환유니트는 절환통로내로 다음 후행용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것이며, 상기 절환통로는 선행 용지의 후단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역회전가능한 롤러쌍이 구비된 절환통로내에 위치되는 때에, 재공급되어야할 역전방향으로 절환되는 것이다. 측방향 등록 가이드가 상기 역전가능한 롤러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용지의 측방향 편차를 교정하게 된다.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8-81105/1996호는 용지가 절환통로내에서 한쌍의 절환롤러에 의하여 역전되어지는 용지역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절환통로는 Y 형을 이루고, 상기 Y 형통로의 분리된 통로들의 교차부에 제공된 분리 픽(separation pick)이 상기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통로들사이에서 절환된다.
(3)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7-128921/1995호는 용지가 본체내의 용지이송통로로 부터 분리된 역전이송통로로 이송되어지고, 그 용지가 한쌍의 역전가능한 롤러들에 의해서 역전되어지며, 용지위치조정장치에 의해서 그 용지위치로 위치조정되어지는 선택적인 듀플렉스 유니트를 개시하고 있다.
(1) 일본특허 제 2692957호에서는, 용지위치조정을 하기 위한 절환통로와 측방 등록가이드가 분리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용지위치조정을 하기 위한 절환통로및 측방 등록가이드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고, 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보다 큰 크기로 된다. 또한, 상기 절환유니트내측의 용지 재공급통로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용지 어긋남의 발생과 용지의 측방 편차의 가능성이 증가될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조정이 요구되어질 것이다. (2) 일본특허 제 8-81105호 에서는, 분리픽이 상기 Y 형 절환통로의 분리된 통로사이에서 절환되기 때문에, 상기 분리 픽의 제어작동이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3) 일본특허 제 7-128921호에서는, 상기 용지가 일본특허 제 2692957호에서와 같은 분리위치에 용지가 위치하기 위하여 역전되고 조정된다. 그리고 역전및 용지위치조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듀플렉스 유니트는 그 크기가 크게 되고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종래의 장치에서 제기된 상기 문제점과 그 밖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폭방향으로 용지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고, 용지가 그 측방 모서리에서 말리는 경우라도, 용지의 어긋남및 그 결과적인 용지의 측방편차들을 조정할수 있는 용지안내장치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1(A)및 (B)는 용지위치조절기구를 갖는 종래의 듀플렉스 유니트(duplex unit)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듀플렉스 유니트의 사시도, 도 1(B)는 듀플렉스 유니트의 측면도;
도 2(A)및 (B)는 도 1(A)및 (B)에 도시된 종래의 듀플렉스 유니트내의 용지의 측방말림(side curls)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말린 용지의 사시도, 도 2(B)는 말린 용지및 측방펜스의 단면도;
도 3(A)및 (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안내장치도면으로서, 도 3(A)는 용지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3(B)는 용지안내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용지안내기구내에서 측방말림부분이 교정된 용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내의 용지안내장치가 적용되어지는 수직용지 이송통로를 갖는 용지역전 유니트의 단면도;
도 6(A)-6(C)는 종래의 용지안내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용지안내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6(B)는 용지안내기구의 측면도, 도 6(C)는 용지측방 모서리와 죠거 측방펜스사이의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A)-7(D)는 종래의 다른 용지 안내기구내의 용지위치조정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8(B)는 용지안내기구의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용지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8(B)도는 용지안내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의 용지의 접촉저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및 10(B)는 도 7(A)-7(D)의 종래의 용지 안내장치의 용지위치조정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10(A)는 수평용지이송통로의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B)는 만곡된 용지이송통로의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A)-11(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용지안내장치의 용지위치조정을 위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2(A)-12(C)는 제 2실시예내의 재공급방향으로 용지가 이송되는 때에 용지의 상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12(A)는 최대크기 용지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2(B)는 표준크기 용지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2(C)는 최소크기 용지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 2실시예의 용지안내장치가 적용되어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듀플렉스 유니트를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듀플렉스 유니트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듀플렉스 유니트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6(A)및 16(B)는 수평및 만곡된 절환(switchback)이송통로들을 비교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용지안내장치내에 사용되는 이송롤러와 가이드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안내롤러의 확대된 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7... 측방펜스 6',7'... 만곡된 측방펜스
20... 듀플렉스 유니트 30.... 화상형성장치
61... 제 3편향지지장치 62a,73a... 커플링부
63.... 프레임 71... 제 1편향지지장치
72... 제 2편향지지장치 74.... 중계부재
101... 이송롤러 102... 베이스 플레이트
103... 측방펜스 쌍 104... 가압롤러
62,109... 슬라이더 112... 밸트
201... 역전롤러 202... 중간트레이
204... 가압롤러 206... 조절부재
302... 용지공급트레이 305... 광전도성 드럼
306... 정착롤러 308... 배출롤러
309... 배출구 310... 적재기
311... 제 1용지이송롤러 313... 제 2중간용지이송롤러
315... 용지 센서 317... 만곡된 역전통로
319... 역전이송롤러 325... 죠거펜스
P.... 용지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용지의 위치조정을 조절할수 있고, 또한 상기 용지를 역전시킬수 있는 용지안내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용지안내장치를 구성함으로서, 공간절약을 이룰수 있고, 본 장치가 다양한 방식의 용지이송통로에 적용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용지 크기가 잘못된 절단에러(cutting error)에 기인하여 다를지라도,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에서 폭방향의 용지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수 있고, 상기 용지내에 주름을 형성시킴없이 재공급방향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할수 있는 용지안내장치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의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폭방향 용지 위치조정을 조절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장치는 용지이송통로의 만곡부내에 제공된다.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상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이송롤러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조정장치는 용지이송롤러의 축에 위치되고, 상기 축을 따라서 활주이동가능하다.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역전시킬수 있다.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단독으로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의 용지이송통로의 내측에 이송되어지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용지안내장치가 상기 용지이송통로내에 제공된 제 1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를 조절함으로서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 1안내부재는 용지크기에 따라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용지위치조정이 조절되는 때에, 용지의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하는 용지 크기의 편차를 흡수하기 위한 제 1편향지지장치(biasing device)와,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때에, 상기 용지의 크기차이에 따라 용지의 측방모서리를 편향지지하기 위한 제 2편향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와 제 2편향지지장치는 제 1안내부재에 제공된다.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상기 용지의 다른측 모서리를 조절함으로서 용지의 위치조정을 조절하기 위한 제 1안내부재와 짝을 이루는 제 2안내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수 있다. 제 2안내부재는 용지크기에 따라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용지가 이송되어지는 경우, 상기 제 2편향지지장치에 상호 협력하여 용지의 다른 측방 모서리를 편향지지하기 위한 제 3편향지지장치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에 의한 편향력은 상기 용지와 용지이송통로사이의 접촉저항력보다 클수 있다.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에 의한 편향력은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경우, 상기 용지에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질수 있다. 상기 제 2편향지지장치의 편향력은 제 3편향지지장치의 힘과 거의 동일할수 있다. 상기 제 1및 제 2안내부재는 만곡된 용지역전통로내에 제공되어 질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안내장치는 용지를 이송시키고 역전시키도록 구성된 용지이송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용지이송통로는 만곡된 용지이송부와,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의 하류측의 용지일부분을 안내하고 임시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를 포함한다. 제 1이송 가이드는 용지를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로 안내하고, 제 1이송장치는 용지를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로 이송한다. 용지위치조정장치가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에 제공되고,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기 위해서 구성되어진다. 역전이송장치가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의 제 1이송장치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에서 역방향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킨다. 제 2이송가이드는 상기 적재통로내에 임시적으로 적재된 용지를 안내하여 역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는 역전통로로서 작용하여 상기 용지를 역전시킬수 있고, 제 1이송장치는 제 1이송가이드와 제 2이송가이드의 교차지점에 제공되어질수 있다.
상기 용지를 안내하고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이송부재가 제 1이송장치를 위한 축상에 제공되어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되어질수 있다. 상기 안내이송부재의 원주표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질수 있다. 상기 역전이송장치는 단면으로 원형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가질수 있다. 그리고, 제 2이송장치가 상기 제 2이송가이드내의 역전이송장치 하류측에 제공되어 이송되어지는 용지를 중계(relay)시킬수 있다.
상기 제 1이송장치를 통과한 후 용지의 후단모서리가 떨어지는 낙하지점(fall point)과,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집음부사이의 거리는 상기 용지가 상기 역전이송장치의 1회전 혹은 2회전에 의해서 이송되어지는 거리보다 적게 설정되어질수 있다.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용지를 대기상태(standby condition)에 두도록 용지를 임시적으로 고정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및 작용효과들을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동일 참조부호들은 도면상에서 동일한 혹은 그에 일치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종래의 기술예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들이 부여될 것이다.
도 3(A)및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용지위치조정기구를 갖는 용지안내장치를 도시한다.
제 1실시예에서, 조정부재 206 쌍들은 역전롤러 201용 축 201a상에 장착되어 상기 조정부재 206가 용지 위치조정을 조절하기 위해서 도 3(A)내의 화살표 B로 도시된 이동방향으로 축 201a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 206상에 장착된 안내부 206a 쌍들은 상기 조정부재 206와 함께 이동하고, 그리고 이송되어지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용지를 안내하기 위해서 사전에 설정된 용지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역전안내부제 207들이 상기 조정부재 206와 단독으로 장착된다. 상기 역전안내부재 207들은 상기 용지의 선단모서리가 용지안내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때, 상기 용지가 역전롤러 201에 의해서 역전되는 동안 용지의 선단모서리 양측 코너부들을 안내한다.
다음, 상기 설명된 용지안내장치에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미도시)로 부터 공급된 용지는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역전롤러 201에 의해서 역전되고, 중간 트레이 202내에 적재된다. 상기 용지는 가압롤러 204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역전롤러 201에 의해서 역전되고, 도 3(A)및 (B)내의 화살표 C로 도시된 재공급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205가 예를들어 상기 역전롤러 201를 통하여 반쯤 통과하는 때, 상기 용지 205는 도 3(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전롤러 201로 부터 가압롤러 204를 분리시킴으로서 그 진행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부재 206가 용지 205를 가볍게 쳐서(jog) 그 위치를 조정한다. 그후, 가압롤러 204는 역전롤러 201상에 접촉되고, 용지 205는 화살표 C로 도시된 재공급방향으로 다시 이동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용지 205의 양측면은 상기 안내부 206a와 역전 안내부재 207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상기 용지 205의 측방모서리들이 중간트레이 202에 관련하여 상부 혹은 하부로 말려지는 경우라도, 상기 역전 롤러 201, 안내부 206a,및 상기 역전 안내부재 207들은 상기 용지 205를 용지이송방향으로 굽힘으로서 용지말림을 교정한다. 특히, 상기 용지 20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롤러 201를 통하여 용지이송방향으로 반정도 굽혀졌을 때, 상기 용지 205의 일측 말린 모서리로 부터 다른측 말린 모서리까지의 직선 거리 L'는 실제 용지 폭 L과 거의 동일하며, 이는 상기 용지 205의 양측 모서리의 말린부분들이 평편하게 교정되어 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조정부재 206가 용지 205를 가볍게 치는 때, 용지 205는 가이드부 206a에 의해서 협지(sandwiched)됨으로서 정확하게 위치되어질수 있으며, 이는 상기 안내부 206a 들이 사전에 설정된 용지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하여 용지를 안내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용지 205는 용지 205가 역전되는 동안, 그 측방모서리들이 견고하게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이송되어질수 있다.
상기 설명된 용지안내장치는 도 3(B)에 도시된 용지이송통로에 적용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이송통로에도 적용될수 있다. 도 5에는, 화상형성장치 210의 본체와 수직이송통로를 갖는 용지역전유니트 21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역전및 위치조정기능이 본 발명의 용지안내장치내에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절약이 이루어질수 있다. 그리고 제 1실시예내의 용지안내장치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용지역전통로에 적용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내의 어떠한 용지이송통로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라서 용지위치조정기구를 갖는 용지안내장치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2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측방펜스 죠거(fence joggers)들을 갖는 종래의 용지안내장치들을 도 6(A),(B)및 (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이송롤러 101, 베이스 플레이트 102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102내에 형성된 요홈 102a를 통하여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측방펜스 103들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용지안내장치에서, 도 6(A)내의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부터 공급된 용지는 그 선단모서리가 상기 이송롤러 101를 통과하는 때, 그 진행을 임시적으로 정지한다. 상기 용지는 도 6(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 101로 부터 가압롤러 104를 분리함으로서 정지된다. 그후, 상기 측방펜스 쌍 103은 구동기구(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어 도 6(A)에서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용지를 가볍게 치며, 사전에 설정된 용지폭에 따라서 상기 용지위치를 조정한다. 그 다음, 상기 가압롤러 104는 용지를 다시 눌러서 용지가 도 6(A)및 6(B)도의 화살표 C로 도시된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한다.
상기 설명된 구성에서는,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한 용지크기의 차이, 즉 일본 산업규격에서 B5,A4,A3 등을 포함하는 모든 용지크기들에 대하여 " 표준크기의 ± 2mm " 범위로 특정된 것이 고려되고, 공간 U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와 측방펜스 103사이에 제공되어 " 표준크기 -2mm "를 갖는 용지 P가 이송되는 경우, 상기 공간 U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용지 P가 그와 같은 가장 적은 크기를 갖는 때, 용지 P는 가압롤러 104에 의해서 눌리워지면서 이송되는 경우 상기 공간 U 내에서 위치이동하여 정확한 용지위치조정이 이루어질수 없는 것이다. 도 6(c)에는, 참조부호 S가 각각의 용지크기에 대하여 특별하게 설정된 상기 측방펜스쌍 103의 대향된 측방모서리들 사이의 전장(span)을 나타낸다.
도 7(A)내지 7(D)는 용지의 크기차이에 기인하는 용지위치이동에 관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다룬 종래의 다른 용지안내장치를 도시한다. 도 7(A)내지 7(D)에서,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측방펜스 106, 상기 측방펜스 106에 대향하여 사전에 설정된 거리를 갖고서 배치된 측방펜스 107및, 상기 측방펜스 106와 107들을 구동하기 위한 밸트 112를 포함한다. 상기 측방펜스 106는 표준위치측으로서 설정되고, 사전에 설정된 표준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용지위치가 상기 표준위치에 관련하여 조정되어지는 동안, 그리고 상기 용지가 재공급위치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표준위치내에 유지된다. 상기 표준위치는 광전도성 드럼상의 화상기입 개시위치에 일치한다.
상기 측방펜스 107에 일체적으로 제공된 프레임 113은 그 내측에 슬라이더 109와 편향지지장치 108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 109는 커플링부 109a를 통하여 밸트 112에 결합되어짐으로서 상기 측방펜스 107에 대하여 이동하는 커플링장치로서 작용한다. 스프링과 같은 편향지지장치 108가 상기 측방펜스 107와 슬라이더 109사이에서 지지되고 협지되는 상태로 제공된다. 측방펜스 106는 커플링부 106a를 통하여 밸트 112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밸트 112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피동풀리 110및 구동풀리 111를 통하여 구동된다.
상기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한 용지크기의 차이가, 예를들어 표준크기의 ± Zmm라 가정하면, 용지의 최대크기는 " 표준크기 + Z mm "이고, 최소크기는 " 표준크기 - Zmm " 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지안내장치에서, 상기 측방펜스 106과 107사이의 전장은 최소크기의 용지 폭(즉, 표준크기 - Zmm )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preset)되고,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에 의한 편향지지력은 상기 최소크기의 용지에 대하여 0으로서 사전에 설정된다. 도 7(B)는 상기 용지 P가 표준크기 WO 를 가질 경우를 도시하고, 도 7(C)는 상기 용지 P가 최대 크기 W1( 표준크기 + Zmm )를 가질 경우를 도시하며, 도 7(D)는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 W2( 표준크기 - Z mm)를 가질때의 경우를 도시한다.
다음, 이러한 용지안내장치내에서의 용지위치조정을 위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B)내지 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펜스 106와 107가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측방펜스 106와 107의 내측 모서리 106b와 107a는 용지 P에 접촉하고, 용지이송통로내에서 그 위치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7(C)에서, 최대크기의 용지(W1)가 상기 측방펜스 106및 107사이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커플링부 106a 및 109a 는 상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어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측방펜스 106및 107사이의 전장은 상기 최소크기의 용지(W2)의 폭에 거의 일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측방펜스 106의 내측모서리 106b와 상기 측방펜스 107의 내측모서리 107a는 최대크기 용지(W1)의 측방모서리에 접촉하여, 상기 용지위치가 조정된다. 상기 측방펜스 107의 내측모서리 107a가 상기 최대크기 용지(W1)의 측방모서리에 접촉하는 때에, 상기 측방펜스 107는 도 7(C)에서 죄측방향으로 상기 최대크기용지(W1)의 반발력을 받는다. 그 결과,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는 상기 최대크기 용지의 반발력에 기인하여 좌측방향으로 줄어든다. 동시에,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는 상기 커플링부 109a를 통하여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슬라이더 109의 미는 힘에 의해서 우측방향으로도 줄어든다.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가 상기 설명된 두가지 힘, 즉 상기 최대 크기용지의 반발력과 상기 슬라이더 109의 미는 힘에 의해서 줄어들도록 동작되는 경우, 공간 X이 상기 프레임 113과, (1)상기 최대크기용지의 반발력에 의한 좌측으로 향한 프레임 113의 이동및 (2)우측으로 향한 상기 슬라이더 109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 109의 좌측모서리사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 X의 폭은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한 용지크기의 차이량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 X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대크기의 용지(W1)에 대하여 가장 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크기 용지(WO)에 대하여 작아지게 되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소크기 용지(W2)에 대하여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용지안내장치에서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함에 있어서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하는 용지크기의 차이 문제점은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종래의 용지안내장치에서, 상기와 같이 용지위치가 조정된후, 상기 용지 P는 도 7(B), 7(C)및, 7(D)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지지장치 108에 의해서 편향지지되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의 편향지지력은 상기 용지 P가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는 때에, 상기 용지 P내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도록 작을 것이 요구된다.
다음, 상기 설명된 구성을 갖는 용지안내장치가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에 사용되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및 8(B)에 도시된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상기 용지 P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롤러 101에 의해서 굽혀진다. 상기 용지 P가 이송방향으로 굽혀지는 경우, 상기 용지 P는 폭방향으로 쉽게 이동되어질수 없으며, 이는 상기 용지 P와, 적재통로내에 제공된 적재 트레이(미도시)사이의 접촉저항력 F이, 상기 용지 P의 일부분이 이송롤러 101를 통과하고, 상기 이송롤러 101를 통하여 통과하지 못한 용지의 일부분이 상기 적재통로내에 제공된 적재트레이(미도시)에 대하여 상기 용지 P의 반발력에 기인하여 가압되어지는 경우, 상기 용지안내장치가 수평용지이송통로내에서 사용되어지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크게 되어지기 때문이다.
도 10(A)및 10(B)에 관련하여, 상기 수평용지이송통로내에서, 상기 측방펜스 107는 도 10(A)에 도시된 화살표 E방향으로 상기 용지 P를 쉽게 이동시킬수 있으며, 이는 상기 용지 P가 수평용지이송통로상에 있음으로서, 그 접촉저항 F이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에 의한 편향지지력에 비하여 작기 때문이다. 도 10(B)에서 참조부호 H는 상기 측방펜스 106의 사전에 설정된 표준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용지 P가 도 9에 도시된 이송방향으로 굽혀지는 때, 상기 접촉저항 F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에 의한 편향지지력이 상기 접촉저항 F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측방펜스 107는 용지 P를 도 10(B)에서 화살표 Y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없으며, 상기 용지 P의 위치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준위치 H로 부터 벗어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용지안내장치가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에 사용될때,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의 편향지지력은 상기 용지 P를 표준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보다 강하게 되어질것이 요구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의 편향지지력은 상기 공간 X에 일치하는 (1) 슬라이더 109의 미는 힘과 (2) 상기 용지 P의 반발력을 흡수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만일, 상기 편향지지장치 108에 의한 편향지지력이 보다 강하게 형성된다면, 상기 용지 P의 위치가 보다 강한 편향지지력으로서 조정된후, 상기 최대크기의 용지가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면, 주름들이 상기 용지 P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용지안내장치는 상기 용지가 용지 P의 크기에 무관하게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는 때, 그리고 상기 크기가 잘못된 절단크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용지내의 주름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편향지지장치의 편향지지력을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이하에서 도 11(A)내지 11(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실시예에서, 용지위치는 폭방향으로 위치조정되어 상기 용지의 중심이 광전도성 드럼의 화상기입부의 중심에 일치하는 상기 측방펜스 6와 측방펜스 7사이의 전장 중심에 일치되어 있다. 상기 측방펜스 7에 일체적으로 제공된 프레임 75은 그 내부에 제 1편향지지장치 71, 제 2편향지지장치 72, 커플링부 73a를 통하여 밸트 12에 연결된 슬라이더 73및, 중계부재 74들을 갖추고 있다. 상기 중계부재 74는 측방펜스 7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슬라이더 73는 중계부재 74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제 1편향지지장치 71는 측방펜스 7와 중계부재 74사이에서 협지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편향지지장치 72는 슬라이더 73와 상기 중계부재 74의 일측의 오목부사이에서 협지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펜스 7에 대향하여 상기 측방펜스 6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레임 63이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 63은 제 3편향지지장치 61및, 커플링부 62a를 통하여 상기 밸트 12에 결합되고 상기 측방펜스 6에 대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더 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편향지지장치 61는 측방펜스 6와 슬라이더 62사이에서 협지되어 지지된다. 상기 밸트 12는 종동풀리 10와 구동풀리 11를 통하여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 2실시예의 용지안내장치에서,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 (fm)에 의한 편향지지력이 용지이송방향으로 굽어진,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큰 접촉저항력을 가진 용지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히 강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2편향지지장치 72 (fs)과 상기 제 3편향지지장치 61(fs)의 편향지지력은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이 상기 편향지지장치 72와 61에 의해서 편향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재공급방향으로 용지가 이송되는 때, 상기 용지내의 주름들을 충분히 형성하지 않도록 약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fm)와 제 2편향지지장치 72 혹은 제 3편향지지장치 61(fs)사이의 편향 지지력 관계는 fm >> fs 로 되도록 설정된다.
다음, 제 2실시예의 용지안내장치에서 용지위치조정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용지안내장치에서, 상기 측방펜스 6와 7사이의 전장은 최소크기의 용지 폭, 즉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용지 P의 각각의 크기(예를들면, B5, A4, A3, 등 )에 대하여 " 표준크기 - Z " 에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다. 도 11(A)에서, 용지 P 가 상기 측방펜스 7과 6 사이에서 이송되는 때,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는 밸트 12를 통하여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어짐으로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측방펜스 7과 6이 상기 측방펜스 7과 6사이에서 최소크기의 용지에 일치하여 설정된 사전에 설정된 위치로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측방펜스 7과 6의 내측모서리 7a 와 6a 는 각각, 용지 P의 측방모서리에 접촉한다. 상기 제 2및 제 3 편향지지장치 72및 61는 상기 측방펜스 7과 6이 사전에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때,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슬라이더 73및 62가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를 통하여 구동되어 용지 P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중계부재 74와 프레임 63의 돌출부 74a와 63a에 각각 접촉된다. 다음, 상기 중계부재 74와 프레임 63들이 내측으로 이동되어 측방펜스 7과 6가 사전에 설정된 위치로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용지 P의 위치는 조정되어 상기 용지 P의 중심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펜스 7과 6사이의 전장의 중심에 일치되는 것이다.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의 용지보다 클 때, 예를들면, 상기 용지 P가 최대크기를 갖을 때,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 각각은 구동되어 내측으로 이동하고, 제 1편향지지장치 71는 대향한 방향의 두 힘, 즉 측방펜스 6가 좌측방향으로 최대크기용지 P에 대하여 미는 힘과, 상기 슬라이더 73를 통하여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어짐으로서 우측으로 향한 상기 중계부재 74의 미는 힘에 의해서 줄어든다.
그 결과, 최대크기의 용지 P는 도 11(C)내에서 측방펜스 6의 미는 것으로서 X3의 공간만큼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최대크기의 용지( 규격표준 + Z )및 최소크기의 용지( 규격표준 - Z )사이의 용지폭의 차이가 "2Z" 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측방펜스 6과 7이 이동하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측방펜스 6과 7사이의 전장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크기의 용지 폭( 규격표준 - Z )에 거의 일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X3의 공간은 최대및 최소크기의 용지들 사이의 용지폭 차이의 절반, 즉 2Z X 1/2 = Z 에 일치되는 것이다. X2의 공간이 상기 프레임 75과 중계부재 74의 좌측 측방모서리 사이에서 형성되며, 이는 (1) 상기 X3의 공간만큼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가 좌측방향으로 줄어드는 상태로 좌측으로 향한 프레임 75의 이동에 의해서, 그리고 (2) X3의 공간만큼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가 우측방향으로 줄어드는 상태로 우측으로 향한 상기 중계부재 74의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X2의 공간은 X3공간의 2배가 된다.
도 11(C)내의 상기 설명된 작동에서,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는 최대크기의 용지 P에 대하여 좌측방향으로 측방펜스 6의 미는 힘에 의해서 좌측방향으로 줄어들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지이송방향으로 굽혀진 상기 용지 P가 폭방향으로 장력(fz)을 갖기 때문이고, 상기 측방펜스 6의 미는 힘이 장력(fz)을 갖는 최대크기의 용지 P 를 통하여 상기 측방펜스 7로 전달된다.
상기 용지 P의 장력이 "fz"이고,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의 편향지지력이 "fm"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의 편향력(fm)은 도 11(C)에서 fm < fz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에 의한 상대적으로 강한 편향지지력이 상기 용지 P의 양측면에 인가된다 하여도, 상기 용지 P상에는 불록한 부분(bulges)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11(D)는 최대크기의 용지 P가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어지는 때의 단계를 도시한다. 특히, 상기 최대크기의 용지 P는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를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우측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된 거리 C( 도 11(c)에 도시 )만큼 이동된다. 상기 용지 P를 이동시키기 위한 거리 C는 용지안내장치내에 미리 설정된다. 상기 거리 C가 동일하게, 예를들어 상기 최대크기의 용지(표준크기 + Z ) 와 최소크기의 용지 (표준크기 - Z )사이의 용지폭의 차이의 절반, 즉 "Z"에 일치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최대크기 용지 P의 측방 모서리들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펜스 6에 의해서 밀려짐으로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가 거리 C(Z)만큼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줄어든 제 1편향지지장치 71는 (1) 좌측방향으로 상기 중계부재 74를 밀면서, 그리고 (2) 상기 최대크기의 용지 P를 우측방향으로 상기 측방펜스 6로 밀면서 완전하게 확장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편향지지장치 71의 확장하는 편향지지력은 상기 용지 P가 굽혀져서 큰 접촉 저항력을 갖는 경우라도, 상기 용지 P를 충분히 이동시킬수 있도록 강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최대크기의 용지 P는 거리 C만큼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히,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의 확장하는 편향지지력은 용지 P와 적재통로(도 9내에 도시)내에 제공된 적재트레이(미도시) 사이의 접촉저항력보다 클것이 요구된다. 최대크기의 용지 P가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의 확장력에 의해서 우측으로 되돌려 밀려진 후, 상기 용지 P는 상기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하여 상기 측방펜스 6과 7사이에서 견고히 협지된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는 상기 용지 P가 최대크기의 용지일 경우라도, 완전하게 확장되고, 아무런 편향지지력도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용지 P가 최대크기를 갖는 것일지라도, 상기 용지 P는 주름이 형성됨이 없이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의 용지인 경우, 상기 측방펜스 6과 7은 도 11(B)에 도시된 최소크기의 용지 폭에 일치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최소크기의 용지 P는 도 11(C)내의 최대크기의 용지 P의 경우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그 후,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는 사전에 설정된 거리 C만큼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최소크기의 용지 P는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12(A), 12(B)및 12(C)에서, 상기 용지 P가 재공급방향으로( 도 11(D)와 일치 ) 이송되어지는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상기 용지 P가 최대크기(WB)를 갖는 경우이고, 도 12(B)는 상기 용지 P가 표준크기(WJ)를 갖는 경우이며, 도 12(C)는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WS)를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12(B)및 12(C)에서, 공간 X4는 슬라이더 73와 돌출부 74a 혹은 슬라이더 62와 돌출부 63a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며, 이는 상기 커플링부 73a및 62a가 사전에 설정된 거리 C만큼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 2편향지지장치 72및 제 3편향지지장치 61가 도 11(C)내지 도 11(D)에 도시된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때에 생성된다. 상기 거리 C가 도 11(C)내의 공간 X3(즉, 상기에서 "Z")에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때, 그리고 상기 용지 P가 최대크기의 용지이고 X4의 공간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없을 경우라도, 단지 제 2및 제 3편향지지장치 72및 61만이 용지 P상에 작용하고, 제 1편향지지장치 71는 용지 P상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최대크기를 갖는 용지 P는 주름을 형성하지 않고 이송되어질수 있다. 상기 공간 X4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크기의 용지(WJ)에 대하여 "Z/2"로 되고,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크기의 용지(WS)에 대하여 "Z"로 된다.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 71가 상기 표준크기및 최소크기의 용지의 어느 하나의 용지 P상에 작용하지 않음으로서, 표준 혹은 최소크기를 갖는 용지 P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이송되어질수 있다. 상기 거리 C의 편차(variation)로서, 상기 거리 C는 도 11(C)에서 C≥Z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질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대크기 용지(WB)에 대한 X4의 공간은 도 12(A)에서 X4≥0 이되고, 표준크기의 용지(WJ)에 대하여 도 12(B)에서 X4≥Z/2가 되며, 최소크기의 용지(WS)에 대하여 도 12(C)에서 X4≥Z 로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를 갖을 때, X1의 공간, 즉 상기 중계부재 74와 슬라이더 73의 좌측 모서리사이 혹은 프레임 63과 슬라이더 62의 우측모서리사이의 거리는 도 12(C)에서 X1≥0의 관계를 만족한다. 즉,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의 용지(WS)인 경우라도, 상기 용지 P는 도 12(C)에서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는 때, 상기 편향지지장치 72및 61에 의해서 편향지지되어 상기 용지 P는 용지안내장치에 의해서 안내됨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송되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단지 상기 제 2및 제 3편향지지장치 72및 61는 상기 용지 P가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는 때에 상기 용지 P상에 작용하고, 제 1편향지지장치 71에 의한 부가적인 편향지지력은 용지 P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지 P상의 주름의 발생은 방지되는 것이다.
만일, 제 1편향지지장치 71에 의한 편향지지력이 상기 용지가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는 때 용지상에 작용한다면( 도 11(C)에 도시됨), 주름이 상기 용지상에 형성되어질수 있으며, 이는 용지재공급방향으로의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한 힘이 상기 용지로 가해진 후, 상기 용지 P 의 장력(fz)과 제 1바이어스장치 71의 편향지지력(fm) 사이의 상기 설명된 관계가 역전, 즉 fm > fz과 같이 되어질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용지 P가 재공급방향으로 이송되는 때, 용지 P가 상기 조정된 용지위치를 유지시키고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제 2및 제 3 편향지지장치 72및 61의 편향지지력은 도 11(D), 12(A), 12(B)및 12(C)에서와 같이 동일할것이 요구된다.
상기 측방펜스 6과 7사이의 사전에 설정된 전장의 편차로서, 상기 측방펜스 6과 7사이의 전장이 "최소크기의 용지 폭보다 적음" 으로, 즉 전장 < "표준크기 -Z"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때, 도 11(C)에서 X3의 공간은 Z보다 크게 되고, 도 11(C)에서 거리 C는 도 11(C)에서 Z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지 P가 최소크기를 갖는 경우라도, 상기 용지 P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측방펜스 6상에 접촉되고, 상기 용지 P는 보다 정확하게 위치되어진다.
따라서, 제 2실시예에서, 측방펜스 6상에 제 3편향지지장치 61의 제공으로서, 정확한 용지위치조정이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얻어져서 상기 용지의 중심이 상기 측방펜스 6와 측방펜스 7사이의 전장중심에 일치된다.
더욱이, 상기 용지안내장치는 제 1편향지지장치 71가 용지 P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상기 용지 P가 만곡된 용지이송통로내에서 큰 접촉저항력을 갖는 경우라도, 상기 용지 P는 정확한 위치로 조정되어질수 있다.
그리고, 제 2실시예에서, 도 11(A)내지 11(D)내의 측방펜스 6는 표준위치측으로 고정되어져 상기 양측 펜스 6과 7 모두가 이동되어 용지 P의 중심을 상기 펜스 6과 7사이의 전장의 중심에 일치시키도록 하는 경우에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도록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예의 용지안내장치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만곡된 용지이송통로에 적용되어질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유니트내의 역전용지이송통로에 적용되어 질수 있다.
도 13은 화상형성장치의 듀플렉스 유니트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 2실시예의 용지안내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듀플렉스 유니트 20는 화상형성장치 30의 본체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이송롤러 101와 만곡된 측방펜스 6'및 7'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더욱이, 제 1, 제 2및 제 3편향지지장치로서, 고무혹은 스프링과 고무의 조합체가 사용되어 상기 스프링에서 얻어진것과 거의 같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도록 사용되어질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된 용지안내장치가 듀플렉스 유니트내에서 만곡된 역전통로내의 용지를 안내하도록 사용되어지는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서, 듀플렉스 유니트 321는 복사기및 레이져 프린터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 301의 일측( 도 14에서 보아 우측)에 제공된다. 비록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기재될 것이지만, 하나의 만곡된 역전통로 317가 상기 듀플렉스 유니트 321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301는 그 하부에서 용지를 수용하기 위한 용지공급 프레이 302와, 거의 그 중앙부에서 위치된 광전도성 드럼 305및, 그 상부에서 배출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기 310를 포함한다.
첫째, 화상형성장치 301내에서 일측면 복사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지공급 트레이 302내의 용지는 공급 롤러 303에 의해서 배출되고, 등록롤러 304에 의해서 용지의 어긋남이 교정된후에 광전도성 드럼 305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토너화상이 광전도성 드럼 305으로 부터 용지로 이동되고, 정착롤러 306로서 용지에 정착된다. 일측면 복사모드에서, 상기 용지는 도 14에서 점선 M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배출롤러 308에 의해서 배출출구 309로 부터 배출되고, 적재기 310상에 적재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일측면 복사작동이 완료된다.
양측면 복사모드에서, 상기 정착롤러 306를 통과하여 그 일측면에 화상을 담지한 용지는 플래퍼(flapper) 307의 작동으로서 상기 듀플렉스 유니트 321로 이송되어지도록 절환된다. 특히, 양측면 복사모드가 선택되는 때, 상기 플래퍼 307는 듀플렉스 유니트 321로 향하여 상기 용지이송통로를 절환시키는 시계방향으로, 즉 도 1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 상기 듀플렉스 유니트 321내측에서, 용지는 제 1중간용지 이송롤러 312와, 제 1용지이송 가이드 311및, 제 2중간 용지이송롤러 313를 통하여 제 1용지이송롤러 314의 위치로 더욱 이송된다.
상기 제 2중간용지 이송롤러 313와 제 1용지이송롤러 314사이에는,용지 센서 315가 위치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조절한다. 특히, 제 1및 제 2중간 용지이송롤러 312및 313과 제 1용지이송롤러 314의 구동및 정지 타이밍이 제어되어 다음의 용지가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로 유입하기 위하여 제 1용지이송 가이드 311에서 정지하고 대기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용지이송롤러 314의 위치로 이송되어진 후, 상기 용지는 예를들면 대략 90°로 만곡되어진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로 추가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용지의 선단모서리는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를 따라서 적재통로 318로 상승하고, 상기 용지의 후단모서리는 제 1용지이송롤러 314의 집음부를 통과하여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내에서 도 15에 도시된바와 같은 평편부 B로 낙하할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용지는 그곳에 임시적으로 적재된다. 큰 크기의 용지의 경우, 상기 용지의 선단모서리는 용지 배출구 322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14에서 점선 Q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 301로 부터 배출되어질수 있다. 그 다음, 용지 어긋남으로 부터 발생한 상기 용지의 측방편차는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와 같이 대략 90°로 만곡된 죠거펜스 325의 이동에 의해서 조정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호형의(part-circular) 역전이송롤러 319가 만곡된 역전통로 317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가 그 내측에 일방향 클러치(one rotation clutch)를 갖추기 때문에, 도 15에서 V로 도시된 방향만으로,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방향은 화상형성장치 301의 본체로 향한 용지이송방향을 초래하여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가 용지로 하여금 절환방향으로 이송되어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가 회전되고 상기 롤러 319의 호형부가 대향된 롤러에 접촉하면, 상기 용지는 그 후단모서리가 선단모서리로 바뀌면서 도 15에서 화살표 R로서 도시된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부분호형의 역전이송롤러 319가 제 3실시예에서의 역전롤러대신에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용지를 만곡된 역전통로 317로 이송하고 상기 용지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죠거펜스 325에 의해서 용지를 가볍게 치기(jogging) 위한 압력을 부가/해제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접촉/분리하는 2개의 마주한 롤러들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 결과, 듀플렉스 유니트 321내에서 용지를 역전시키고 용지를 가볍게 치기 위한 기구가 간단하게 구성되고 그 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형상은 상기 예시 실시예내의 부분호형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둥근 형상이외의 다른 형상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도 15에서, 상기 참조부호 S는 용지가 직접 접촉하는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외측원주(C점에서 D점까지)( 이하 외측원주라함 )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L는 상기 용지의 후단 모서리( 즉, 역전방향으로는 용지의 선단모서리 )가 상기 제 1용지이송롤러 314를 통과한 후 떨어지는 낙하지점과, 상기 제 2이송롤러 320의 집음부사이의 거리(이하, 거리 L이라함)를 나타낸다. 상기 외측원주 S의 길이는 상기 용지가 역전이송롤러 319의 1회전에 의해서 이송되는 거리에 일치하며,상기 거리 L보다 길게 설정되어( S > L ) 상기 용지의 선단 모서리가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1회전에 의해서 제 2이송롤러 320를 통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듀플렉스 유니트 321내측에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거리와 시간이 감소되고, 상기 용지는 간단한 조작으로서 화상형성장치 301의 본체로 확실하게 이송되어진다.
다르게는, 외측원주 S가 2S > L > S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용지의 선단모서리가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2회전에 의해서 제 2이송롤러 320를 통과할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용지는 역전이송롤러 319의 제 1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이송롤러 320의 전방으로 이송되고, 그 다음 죠거펜스 325가 상기 용지를 가볍게 쳐서 용지 어긋남으로 부터 발생한 상기 용지의 측방향 편차를 조정한다. 그 후,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제 2회전은 용지가 더욱더 이송되도록 하여주고, 상기 용지의 선단모서리가 제 2이송롤러 320를 통과하도록 하여준다. 상기 죠거펜스 325에 의하여 가볍게 쳐진 용지의 거리가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2회전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K"만큼 길기 때문에, 상기 용지위치는 보다 정확하게 조절되어질수 있고, 상기 용지는 화상형성장치 301의 본체로 향하여 원활하게 이송되어질수 있다.
상기 거리 L은 상기 용지의 후단 모서리( 즉,역전방향으로 용지의 선단모서리)가 상기 제 1용지이송롤러 314를 통과한 후 떨어지는 낙하지점과 상기 등록 롤러 304의 집음부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되어질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죠거펜스 325는 상기 용지 길이의 중심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용지를 가볍게 칠수 있기 때문에, 상기 용지위치는 효과적으로 조정된다.
다음, 상기 만곡된 역전구조의 효과를 도 16(A)및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A)에서, 용지는 제 1용지이송롤러 314에 의해서 적재통로 318a내에 놓여지도록 이송되고, 상기 용지는 도 16(A)내에서 화살표 R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역전롤러(미도시)에 의해서 역전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이송 역전통로 317a는 상기 제 1용지이송롤러 314의 하부에서 제 2이송가이드 316측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만일, 제 1용지이송롤러 314를 통과한 후 용지가 후단모서리부에서 상부측으로 말려 올라간다면, 상기 용지의 말려 올라간 후단모서리는 B지점으로 하강하는 대신에 A지점에 남아 있을 것이고, 상기 용지는 화살표 R로 도시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어지지 않을 것이다. 한편, 제 3실시예에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용지이송롤러 314는 제 1용지이송가이드 311와 제 2이송가이드 316의 교차점에 제공되고, 상기 제 1용지이송롤러 314후의 용지역전 이송통로는 대략 90°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만곡역전통로 317의 일측은 적재통로 318로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른 측은 도 16(B)에서 화살표 R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상기 설명된 만곡된 역전통로 317로 인하여, 상기 용지의 후단모서리부가 상부측으로 크게 말려 올라간 경우라도, 이는 A 지점으로 부터 B지점으로 하강하고, 그 이유는 상기 용지가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내에서 이송방향으로 대략 90°로 굽려지고, 상기 용지의 반발력에 기인하여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내에서 평편부(B 지점)에 대하여 가압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용지는 역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어질수 있다. 상기 설명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의 곡률은 말려진 용지의 추정최대곡률(estimated maximum curvature)보다 크게 설정되어야만 한다.
도 17에서, 다수개의 안내 롤러 324들이 제 1용지이송롤러 314의 축상에 제공된다. 6개의 안내롤러들이 도 17에서 일례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 324는 최대용지폭내에 배열된다. 상기 최대용지폭이 B라고 가정하면, 가장 외측에 위치된 안내롤러들 324사이의 거리는 W이고, 상기 가장 외측위치 A에서 최대크기의 용지의 모서리와 상기 안내롤러 324사이의 거리는 예를들면, 5mm 내지 10mm의 범위내에 설정되어질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상기 안내롤러 324들은 용지의 양단부들이 정확하게 안내되어지면서 용지를 이송할수 있다. 참조부호 A3T, A4T 및 A5T는 상기 용지들이 도 17에서 각각 초상화위치(portrait orientation)로 이송되어지는 때, 각각의 A3 크기, A4 크기및 A5크기의 용지의 모서리들이 위치되는 위치들을 나타낸다. 상기 가이드롤러 324의 원주표면은 용지를 견고히 지지하고 이송하기 위하여 불균일하게 제작되어진다. 예를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안내 돌출부 324a가 안내롤러 324의 원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용지를 견고히 지지하고 이송할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역전방향으로 이송된 용지는 상기 등록롤러 304를 통과하여 제 2이송롤러 320에 의해서 광전도성 드럼 305에 마주하는 위치까지 더욱 이송되며, 그 다음 토너화상이 상기 용지의 후측면에 전사된다. 상기 역전된 용지의 선단 모서리가 상기 역전이송롤러 319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이송롤러 320를 통과한 후, 상기 용지는 정지되고 대기상태에 놓여진다. 상기 용지가 정지되어지는 동안, 다음의 후행용지가 제 1용지이송롤러 314에 의해서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로 유입할수 있다.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로 유입된 용지는 만곡된 역전통로 317내에 위치된 선행용지를 따라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용지들은 상기 만곡된 역전통로 317내에서 서로를 통과하여, 용지간의 타이밍(between-sheet timing)이 작아질수 있고, 양측면 복사모드에서의 생산성이 거의 일측면복사모드의 수준으로 향상되어 질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폭방향으로 용지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고, 용지가 그 측방 모서리에서 말리는 경우라도, 용지의 어긋남및 그 결과적인 용지의 측방편차들을 조정할수 있는 것이다.
명백한 것은, 본 발명의 다수의 부가적인 개선구조및 변형구조가 상기 개시내용으로 부터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여기서 특별하게 기재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내용은 1998.3.23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JPAP 10-094046호, 1998.7.15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JPAP 10-199978호, 1998.9.8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JPAP 10-253739호, 1999.1.28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JPAP 11-019605호등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들 전체내용은 여기에 참고로 기재되어 있다.

Claims (21)

  1.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조절함으로서 폭방향의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용지이송통로의 만곡부내에 제공되는 용지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용지이송롤러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용지이송롤러의 축상에 위치되며, 상기 축을 따라서 활주이동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롤러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역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에는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단독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5.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이송통로내에 제공되어 상기 용지의 일측모서리를 조절하여 용지의 위치조정을 조절하고, 용지크기에 따라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안내부재;
    상기 용지위치조정이 조절되는 때, 용지의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한 용지의 크기차이를 흡수하도록 된 제 1편향지지장치;및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때, 상기 용지의 크기차이에 따라서 용지의 측방모서리를 편향지지하도록 된 제 2편향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와 제 2편향지지장치들은 상기 제 1안내부재에 제공되어지는 용지안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안내부재에 짝을 이루고 상기 용지의 타측모서리를 조절함으로서 용지의 위치조정을 조절하며, 용지크기에 따라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2안내부재;및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때, 상기 제 2편향지지장치에 상호 작용하여 용지의 타측모서리를 편향지지하는 제 3편향지지장치;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제 3편향지지장치는 제 2안내부재에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에 의한 편향지지력은 상기 용지와 용지이송통로사이의 접촉저항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에 의한 편향지지력은 상기 용지가 이송되어지는 때, 용지로 인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편향지지장치의 편향지지력은 상기 제 3편향지지장치의 것과 거의 동일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안내부재들은 만곡된 용지역전통로내에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1. 용지를 이송하고 역전시키도록 구성되고, 만곡된 용지이송부와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의 하류측의 용지의 일부분을 안내하고 임시로 적치하도록 된 적재부를 포함하는 용지이송통로;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로 용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 1이송가이드;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 1이송장치;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에 제공되고 상기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는 용지위치조절장치;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의 상기 제 1이송장치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의 용지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역방향 이송장치;및
    상기 적재통로내에 임시적으로 적치된 용지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 2이송가이드;를 포함하는 용지안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는 상기 용지를 역전시키기 위한 역전통로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 1이송장치는 제 1이송가이드와 제 2이송가이드의 교차지점에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안내하고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이송부재가 상기 용지의 일측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이송장치용 축상에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이송부재의 원주표면은 불균일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이송장치는 단면으로 원형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가이드내의 역전이송장치의 하류측에 제 2이송장치가 제공되어 이송되는 용지를 중계(relay)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후단 모서리가 제 1이송장치를 통과한 후 떨어지는 낙하지점과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집음부사이의 거리는 상기 역전이송장치의 1회전 혹은 2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지가 이송되어지는 거리보다 적게 설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이송장치는 임시적으로 상기 용지를 유지하여 용지를 대기상태로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안내장치.
  19.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의 측방모서리들을 조절함으로서 폭방향의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장치가 상기 용지이송통로의 만곡부내에 제공되는 용지안내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이송통로내에 제공되어 상기 용지의 일측모서리를 조절하여 용지의 위치조정을 조절하고, 용지크기에 따라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안내부재;
    상기 용지위치조정이 조절되는 때, 용지의 잘못된 절단에러에 기인한 용지의 크기차이를 흡수하도록 된 제 1편향지지장치;및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때, 상기 용지의 크기차이에 따라서 용지의 측방모서리를 편향지지하도록 된 제 2편향지지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편향지지장치와 제 2편향지지장치들이 상기 제 1안내부재에 제공되어지는 용지안내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용지이송통로내에서 이송되는 용지를 안내하기 위하여,
    용지를 이송하고 역전시키도록 구성되고, 만곡된 용지이송부와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의 하류측의 용지의 일부분을 안내하고 임시로 적치하도록 된 적재부를 포함하는 용지이송통로;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로 용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 1이송가이드;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제 1이송장치;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에 제공되고 상기 용지위치조정을 조절하는 용지위치조절장치;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의 상기 제 1이송장치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상기 만곡된 용지이송부내의 용지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역방향 이송장치;및
    상기 적재통로내에 임시적으로 적치된 용지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 2이송가이드;를 갖는 용지안내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09329A 1998-03-23 1999-03-19 용지위치조절기구를갖는용지안내장치및그장치를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KR19990078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4046 1998-03-23
JP9404698 1998-03-23
JP10-199978 1998-07-15
JP19997898 1998-07-15
JP25373998 1998-09-08
JP10-253739 1998-09-08
JP1960599 1999-01-28
JP11-19605 1999-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056A true KR19990078056A (ko) 1999-10-25

Family

ID=2745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329A KR19990078056A (ko) 1998-03-23 1999-03-19 용지위치조절기구를갖는용지안내장치및그장치를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79900B1 (ko)
EP (2) EP1331187B1 (ko)
KR (1) KR19990078056A (ko)
CN (1) CN1191943C (ko)
DE (2) DE699346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613B2 (ja) 2000-02-29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6711377B2 (en) 2001-04-20 2004-03-23 Ricoh Company, Ltd. Double-side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turnable guide guiding a rear end of a large-size sheet
CA2445228C (en) * 2002-10-17 2008-08-12 Honda Motor Co., Ltd. Blank support device
JP3747903B2 (ja) * 2002-11-15 2006-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取・印刷装置の原稿トレイ及び読取・印刷装置
JP4208610B2 (ja) * 2003-03-04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16153B2 (ja) * 2003-09-17 2009-01-28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414860B2 (ja) * 2004-10-21 2010-02-1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トレイ、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740553B2 (en) * 2005-05-06 2010-06-22 Pitney Bowes Inc. Detachable feed tray with self adjusting side guides
JP2007022745A (ja) * 2005-07-15 2007-02-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整合装置及び用紙後処理装置
DE102006019233A1 (de) * 2006-04-26 2007-10-31 Kolbu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Wenden von kontinuierlich geförderten, flachliegenden Druckprodukten
US8052141B2 (en) 2007-05-31 2011-11-08 Ricoh Company, Limited Recording-medium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762547B2 (en) * 2007-09-03 2010-07-27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Bill processing apparatus
US20100270119A1 (en) * 2009-04-23 2010-10-28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cceptor with a bill passage adjustment structure
JP2011184172A (ja) * 2010-03-10 2011-09-22 Seiko Epson Corp シート部材搬送装置、及び該シート部材搬送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5372042B2 (ja) * 2011-02-14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5909372B2 (ja) * 2012-01-19 2016-04-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JP6081792B2 (ja) * 2012-12-20 2017-02-15 株式会社Pfu 原稿の搬送装置
CN103395650A (zh) * 2013-07-23 2013-11-20 昆山市长宏印刷厂 一种印刷机挡纸叉
EP2918530B1 (de) * 2014-02-14 2016-10-2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r Bogenvorderkante
JP2016124646A (ja) * 2014-12-26 2016-07-11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給紙装置
CN106115312A (zh) * 2016-07-04 2016-11-16 蚌埠市振华包装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印刷机生产的码纸装置
CN107324089B (zh) * 2017-06-27 2019-04-09 北京印刷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高精度模切折页机纠偏装置
CN107934603B (zh) * 2017-10-16 2019-08-16 西安理工大学 一种单张纸纸张定位输纸板的设计方法
JP6622376B1 (ja) * 2018-07-27 2019-12-18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クランプ部材及びメディア切断装置
US10953671B2 (en) 2018-07-27 2021-03-23 Roland Dg Corporation Clamp and medium cutting device
JP2020066494A (ja) * 2018-10-23 2020-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搬送方法、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0171730B (zh) * 2019-05-24 2020-08-07 安徽扬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复印机的自动送纸机构
CN110936710B (zh) * 2019-12-30 2022-01-18 重庆华丰迪杰特印刷材料有限公司 一种印刷设备
CN112248634A (zh) * 2020-10-26 2021-01-22 江苏韵燕印刷版材有限公司 一种具有限位功能的板材印刷机支撑辊
CN112511714B (zh) * 2020-12-04 2022-07-01 重庆数宜信信用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ocr识别的图纸扫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4755A (en) 1968-10-14 1971-04-13 Northern Petro Chem Co High purity olefin oxide adducts of alkyl and alkenyl amines
DE3426852A1 (de) * 1983-07-20 1985-02-07 Ricoh Co., Ltd., Tokio/Tokyo Blattausrichteinrichtung
US4984779A (en) * 1987-02-06 1991-01-15 Fuji Xerox Co., Ltd.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for original in a two-sided copy machine
US5091754A (en) 1989-04-26 1992-02-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lateral movement means
JPH03128855A (ja) * 1989-10-16 1991-05-31 Ricoh Co Ltd 用紙等の搬送方向反転装置
US5176374A (en) 1989-11-30 1993-01-05 Ricoh Company, Ltd. Paper transporting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JP2858151B2 (ja) * 1990-02-23 1999-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可動部材位置決め機構
US5195734A (en) 1990-08-31 1993-03-23 Ricoh Company, Ltd. Sheet feeding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JP3159727B2 (ja) 1990-10-11 2001-04-23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5286624A (ja) * 1992-04-08 1993-11-02 Ricoh Co Ltd 用紙反転搬送装置
JPH0651587A (ja) 1992-07-27 1994-02-25 Ricoh Co Ltd 両面画像形成装置のスキュー補正装置
JPH0733290A (ja) 1993-07-21 1995-02-03 Oki Joho Syst:Kk 媒体幅寄せ機構
JPH07128921A (ja) 1993-11-05 1995-05-19 Nec Corp デュプレックスユニット
JPH0881105A (ja) 1994-09-13 1996-03-26 Ricoh Co Ltd 用紙反転装置
JPH0967028A (ja) 1995-09-01 1997-03-11 Ricoh Co Ltd 給紙装置
US5737682A (en) 1995-10-03 1998-04-07 Ricoh Company, Ltd. Duplex sheet feed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373992B2 (ja) 1995-12-20 2003-02-04 株式会社リコー 両面給紙装置
US5720478A (en) * 1996-09-26 1998-02-24 Xerox Corporation Gateless duplex inverter
GB9807863D0 (en) 1998-04-15 1998-06-10 Crabtree Gateshead Ltd Sheet-fed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4613D1 (de) 2007-02-08
DE69934613T2 (de) 2007-10-04
EP0945378B1 (en) 2003-08-13
US6279900B1 (en) 2001-08-28
EP1331187B1 (en) 2006-12-27
EP0945378A3 (en) 2000-08-30
DE69910286D1 (de) 2003-09-18
EP1331187A3 (en) 2003-08-06
EP1331187A2 (en) 2003-07-30
CN1232754A (zh) 1999-10-27
DE69910286T2 (de) 2004-06-17
EP0945378A2 (en) 1999-09-29
CN1191943C (zh)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8056A (ko) 용지위치조절기구를갖는용지안내장치및그장치를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US6209861B1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automatic document feeder
JP4663571B2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032949A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2966243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8406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4308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540229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tably aligning sheets having a long length
JP2007314324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97429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heet guide members openable for removing a jammed sheet
JP5528099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15785A (ja) 紙折り装置、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155561A (en) Sheet variable side shift interface transport system with variably skewed arcuate baffles
CN110737182A (zh) 成像设备
JP4401978B2 (ja)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402139B1 (en) Sheet material feeder with guides and lateral position adjusting means
JP4533840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32123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10261378A1 (en)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98682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02993B2 (ja) 用紙案内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334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62109A (ja)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3276643A1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1731896B (zh) 片材输送装置以及图像形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