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639A -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 기능을 갖는 2-퀴놀론 유도체 - Google Patents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 기능을 갖는 2-퀴놀론 유도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639A
KR19990063639A KR1019980702088A KR19980702088A KR19990063639A KR 19990063639 A KR19990063639 A KR 19990063639A KR 1019980702088 A KR1019980702088 A KR 1019980702088A KR 19980702088 A KR19980702088 A KR 19980702088A KR 19990063639 A KR19990063639 A KR 1999006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formula
compound
chlorophenyl
alkyl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620B1 (ko
Inventor
마르끄 가스똥 베네
빠뜨릭 르네 앙지보
제라르 샤를르 샹
Original Assignee
디르크 반테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르크 반테,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디르크 반테
Publication of KR1999006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 활성을 가지는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질체 형태 및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이들의 제조방법,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의약으로서 이들을 함유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식 중, 점선은 임의의 결합을 나타내고;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1-6알콕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이거나, 또는 식 -Alk1-C(=O)-R9, -Alk1-S(O)-R9또는 -Alk1-S(=O)2-R9(여기서, Alk1은 C1-6알칸디일이고, R9는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르보닐로 치환된 C1-8알킬아미노임)의 라디칼이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히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콕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C1-6옥시, Ar2C1-6알킬옥시,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이거나, 또는 인접 위치 상의 R2및 R3은 함께 2가 라디칼을 형성해도 좋으며,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Ar1,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이고; R6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Ar2옥시이고; R8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브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르보닐C1-6알킬, 히드록시카르보닐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르보닐C1-6알킬, Ar1, Ar2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이고; R10은 수소, C1-6알킬, C1-6알콕시 또는 할로이고; R11은 수소, 또는 C1-6알킬이다.

Description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 기능을 갖는 2-퀴놀론 유도체
본 발명은 신규한 2-퀴놀론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이들 화합물의 의약으로서의 용도 및 이 화합물을 투여하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양유전자(oncogen)는 자주 신호 변환 경로의 단백질 성분을 암호화하며 이는 세포 성장의 촉진 및 유사분열생식을 초래한다. 배양 세포에서 종양유전자 발현은 세포가 연한 아가에서 성장하는 능력 및 비변환 세포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접촉 억제가 결핍된 농밀한 병소로서 세포의 성장으로 특성화되는 세포의 변형을 초래한다. 특정 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 및(또는) 과발현은 자주 인간 암과 관련된다. 종양유전자의 특정 그룹은 포유류, 조류, 곤충류, 연체동물류, 식물, 균류 및 효모에서ras로서 알려져 있다. 포유류ras종양유전자의 집단은 3개의 주요 원("아이소형"): H-ras, K-ras및 N-ras온코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ras종양유전자는 분류상 p21 ras 로 알려진 고도로 연관된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원형질막에 일단 부착되면, p21 ras 의 돌연변이체 또는 종양유전자 형은 변환 및 악성 종양 세포의 조절불능의 성장에 대한 신호를 제공할 것이다. 이 변환 가능성을 얻기 위해, p21 ras 온코단백질의 전구체는 카르복실 말단 테트라펩티드에 위치한 시스테인 잔기의 효소 촉매된 파르네실화(farnesylation)을 겪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식을 촉매하는 효소,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의 억제는 p21 ras 의 막 부착을 방해하고 ras 변형 종양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차단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ras가 변환에 기여하는 종양에 대한 항암제로서 매우 유용할 수 있음이 일반적으로 용인되고 있다.
ras의 돌연변이된, 종양유전자의 형태는 다수의 인간 암에서 자주, 가장 주목하게는 대장암 및 췌장 전암에서 50%가 발견되었기 때문에(참조: Kohl et al., Science, vol 260, 1834 - 1837, 1993),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가 이들 형태의 암에 매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유럽특허 제0,371,564호에는 레티노산의 원형질막 제거를 억압하는 (1H-아졸-1-일메틸)치환 퀴놀린 및 퀴놀리논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 중 일부는 프로게스틴으로부터 안드로겐의 형성을 억제하고(하거나) 아로마타아제 효소 복합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능력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예기치 않게 모두가 2-퀴놀론 모핵의 4-위치에서 페닐 치환체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들이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 작용을 가짐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것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를 포괄한다.
식 중, 점선은 임의로 결합을 나타내고;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1-6알콕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이거나, 또는
식 -Alk1-C(=O)-R9, -Alk1-S(O)-R9또는 -Alk1-S(=O)2-R9(여기서, Alk1은 C1-6알칸디일이고, R9는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르보닐로 치환된 C1-8알킬아미노임)의 라디칼이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히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콕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C1-6옥시, Ar2C1-6알킬옥시,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이거나, 또는
인접 위치 상의 R2및 R3은 함께 하기 화학식의 2가 라디칼을 형성해도 좋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Ar1,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이고;
R6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Ar2옥시이고;
R8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브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르보닐C1-6알킬, 히드록시카르보닐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르보닐C1-6알킬, Ar1, Ar2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이고;
R10은 수소, C1-6알킬, C1-6알콕시 또는 할로이고;
R11은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Ar1은 페닐이거나 또는 C1-6알킬, 히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로 치환된 페닐이고;
Ar2는 페닐이거나 또는 C1-6알킬, 히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로 치환된 페닐이다.
전술한 바의 정의 및 이하 사용되는 바의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로 정의되고; C1-6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페닐, 헥실 등의 1 내지 6 개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로 정의되며; C1-8알킬은 C1-6알킬에서 정의한 바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뿐만 아니라, 예컨대 헵틸, 또는 옥틸 등의 7 또는 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이들의 고급의 동족체를 포괄하며; C1-12알킬은 C1-8알킬 및 예컨대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등의 9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이들의 고급의 동족체를 포괄하며; C2-6알케닐은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고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예컨대 에테닐, 2-프로페닐, 3-부테닐, 2-펜테닐, 3-펜테닐, 3-메틸-2-부테닐 등을 포함하는 직쇄 및 분지쇄 탄화수소 라디칼로 정의되고; C1-6알칸디일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예컨대 메틸렌, 1,2-에탄디일, 1,3-프로판디일, 1,4-부탄디일, 1,5-펜탄디일, 1,6-헥산디일을 포함하는 2가의 직쇄 및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및 이들의 분지쇄 이성질체를 포괄한다. 용어 "C(=O)"는 카르보닐기를 의미한다. 용어 "S(O)"는 술폭시드를 의미하고 용어 "S(O)2"는 술폰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한 바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비독성 산 및 비독성 염기 부가 염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염기성 특성을 가지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기 염기성 형태를 적절한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이들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적합한 산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적합한 산들은 예를 들면 할로겐화수소산(예,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또는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판산, 히드록시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예, 부탄디온산), 말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신남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팜산 등의 유기산을 포함한다.
산성 특성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기 산 형태를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 부가염으로 전환시켜도 좋다. 적합한 염기성 염 형태는 예를 들면, 암모늄염,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염(예,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염 등), 유기 염기와의 염(예, 벤즈아틴, N-메틸-D-글루카민, 히드라브아민염) 및 아미노산과의 염(예, 아르기닌, 리신 등)을 포함한다.
용어 산 또는 염기 부가염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수화물, 및 용매 부가 형태를 포함한다. 그러한 형태의 예로는 수화물, 알콜화물 등이 있다.
앞서 사용된 바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형태는 동일한 결합 순서로 결합된 동일한 원자들로 구성되었으나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상이한 삼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가질수 있는 모든 화합물로 정의한다. 달리 언급하거나 지적하지 않으면, 임의의 화합물의 화학적 정의는 그 화합물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입체 화학적 이성질체 형태의 혼합물을 포괄한다. 상기 혼합물은 상기 화합물의 기본 분자 구조의 모든 디아스테레오머 및(또는) 에난티오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순수형 또는 다른 것과의 혼합물 모두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일부는 이들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더라도 그러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한다.
이하, 용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또한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및 모든 입체입성질체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X는 바람직하게는 산소이다.
R1은 적합하게는 수소;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Ar1, 바람직하게는 페닐; Ar2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벤질, 메톡시페닐에틸; 식 -Alk-C(=O)-R9의 라디칼(여기서, Alk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이고, R9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 C1-6알킬옥시, 예, 에톡시; C1-6알킬옥시카르보닐로 치환된 C1-8알킬아미노임)이다.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트리할로메틸,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 C1-6알킬옥시, 바람직하게는메톡시 또는 에톡시; Ar2옥시,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Ar2C1-6알킬옥시, 바람직하게는 벤질옥시; 트리할로메톡시,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가 바람직하다.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Ar1, 바람직하게는 페닐;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C1-6알킬티오, 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 아미노, C1-6알킬옥시카르보닐, 바람직하게는 메톡시카르보닐이 바람직하며,
R6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플루오로;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C1-6알킬옥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가 적합하고;
R8은 수소; C1-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Ar1,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페닐; 히드록시로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메틸렌), C1-6알킬옥시로(바람직하게는 메톡시메틸렌), 아미노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로(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아미노메틸렌), Ar2C1-6알킬옥시로(바람직하게는 클로로벤질옥시메틸) 또는 C1-6알킬티오로(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메틸렌)으로 치환된 C1-6알킬이 바람직하며;
R10및 R11은 수소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R10은 퀴놀린 모핵의 5 또는 7 위치 상에 위치하고, R11은 R10이 7-위치상에 있을 때 8 위치인 것이 좋다.
관심있는 화합물의 그룹은 R1이 수소, C1-12알킬 또는 C1-6알콕시C1-6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이다.
관심있는 화합물의 다른 그룹은 R3이 수소이고, R2가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특히 3-클로로인 화합물이다
관심있는 화합물의 또다른 그룹은 R2및 R3이 인접 위치에 존재하고, 식 (a-1)의 2가 라디칼을 형성하는 화합물들이다.
관심있는 화합물의 더욱 다른 그룹은 R5가 수소이고 R4가 수소, C1-6알킬 또는 Ar1, 바람직하게는 페닐인 화합물들이다.
관심있는 화합물의 또다른 그룹은 R7이 수소이고 R6이 할로, 바람직하게는 클로로, 특히 4-클로로인 화합물들이다.
특별한 화합물들은 R8이 수소, C1-6알킬 또는 히드록시C1-6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이다.
더욱 관심있는 화합물들은 R1이 메틸, R2가 3-클로로, R3이 3-클로로, R4가 수소 또는 5-메틸, R5가 수소, R6이 4-클로로, R8이 수소, C1-6알킬 또는 히드록시C1-6알킬인 화학식 (I)의 관심있는 화합물들이다.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2(1H)-퀴놀리논;
6-[1-(4-클로로페닐)-2-히드록시-(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4-페닐-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1-(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1-(5-메틸-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2-히드록시-1-(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1H-이미다졸-1-일)메틸]-1-(2-메톡시에틸)-2(1H)-퀴놀리논 에난디오에이트 (2:3) 일수화물;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4-(1,3-벤조디옥솔-5-일)-1-메틸-2(1H)-퀴놀리논 에난디오에이트 (1:1); 그의 입체이성질체 형태 및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I)의 이미다졸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화학식 (III)의 유도체를 사용하여 N-알킬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I)에 있어서, W는 적절한 반응성 이탈기로서, 예를 들면 할로 (예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또는 술포닐옥시 기(예, 4-메틸벤젠술포닐옥시, 벤젠술포닐옥시, 2-나트탈렌술포닐옥시, 메탄술포닐옥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 및 기타의 반응성 이탈기를 나타낸다.
상기의 N-알킬화는 반응 물질을 적합한 용매, 예컨대 극성 양성자성 용매(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 술폭시드, 아세토니트릴)의 존재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탄산 칼륨 등의 적합한 용매 또는 예컨대 N,N-디메틸-4-피리딘아민, 피리딘, N,N-디에틸에탄아민 등의 유기 염기의 존재 하에서 교반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과량의 이미다졸 (II)를 사용하거나 또는 먼저 화합물 (II)를 상기 정의한 바의 적합한 염기와 반응시켜 이미다졸을 그의 적합한 염 형태, 예컨대,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의 형태로 전환시키고 후속적으로 화학식 (III)의 알킬화제와 반응에서 상기 염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식 (IV)의 중간체 화합물과 예컨대,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등의 화학식 (V)(식 중, Y는 탄소 또는 황임)의 시약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적합한 용매, 예컨대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임의로 수소화 나트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편리할 수도 있다.
상기 및 후술하는 모든 제조에 있어서, 반응 생성물은 반응 혼합물로 부터 단리해도 좋고; 필요하다면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방법론, 예컨대 추출, 증류, 결정화, 분쇄 및 크로마토그래피에 따라서 더 정제해도 좋다.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나타냄)은 또한 화학식 (VI)의 중간체를 고리화함으로써 또한 얻을 수도 있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의 고리화 반응은 문헌[Synthesis, 739 (1975)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고리화 절차에 따라서 행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적합한 루이스 산 (예컨대, 염화 암모늄) 단독 또는 적합한 용매 (예컨대 방향족 탄화수소, 예 클로로벤젠)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어느 정도 상승된 온도는 반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치환체 R2/R3에 따라서, 페닐 모핵 상의 이들 치환체는 문헌[Natarajan M. et al., Indian Journal of Chemistry, 23B:720 - 727 (1984)]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페닐 모핵 상의 치환체 R2/R3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화학식 (Ia-1)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수소이고, X는 산소이며, 점선은 결합을 나타냄)은 화학식 (XXVI)의 중간체(여기서, R은 C1-6알킬임)을 공지의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중간체 화합물 (XXVI)의 화합물을 교반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산은 예를 들면 염산을 들수 있다. 계속하여, 화학식 (I-a-1)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N-알킬화 방법에 의해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바의 화학식 (I-b)의 화합물(여기서, R8은 히드록시메틸렌임)은 화학식 (VII)의 에폭시드를 화학식 (II)의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개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R1이 수소이고, X는 산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화학식 (I-f-1)의 화합물로 정의됨)은 화학식 (XV)의 니트론을, 예컨대 아세트산 무술물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퀴놀론 모핵의 2 위치에 대응 에스테르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퀴놀리논 에스테르는 반응기 자체내에서 예를 들면 탄산 칼륨 등의 염기를 사용하여 대응 퀴놀리논으로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별법으로, 화학식 (I-f-1)의 화합물은 화학식 (XV)의 니트론을, 예를 들면 탄산 칼륨 수용액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서, 예를 들면,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의 전자친화성 시약을 포함하는 술포닐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처음에는 2-히드록시-퀴놀론 유도체의 형성을 수반하는데 이는 후속적으로 목적하는 퀴놀리논 유도체로 호변이성체화된다. 상전이 촉매의 업계 공지된 조건의 적용은 반응 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화학식 (I-f-1)의 화합물은 또한 화학식 (XV)의 화합물의 분자간 광화학적 재배열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열은 시약을 반응 불활성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366nm의 파장을 조사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양자 수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탈기 용액을 사용하고 무산소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R1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화학식 (I-c-1)의 화합물로 정의한다)은 화학식 (I-c-2)의 화합물(여기서, R1b은 수소를 제외하고는 R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로 전환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화학식 (I-c-1)의 화합물은 R1b-W1(여기서, W1은 예를 들면, 할로 또는 술포닐 기 등의 반응성 이탈기임)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수소화 나트륨 등의 염기를 사용하여 N-알킬화시켜도 좋다.
상기의 반응은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반응-불활성 용매 중에서 반응물을 혼합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반응을 약간 낮은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은 권유할만 하다. 부가적으로, N-알킬화를 예컨대,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BTEAC) 등의 상 전이 촉매의 존재하에서 진한 수산화 나트륨 용액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유기 용매의 혼합물 중에서 반응물들을 교반시키는 등의 업계 공지된 상전이 촉매(PTC) 조건을 사용하여 수행하여도 좋다.
R1b가 아릴인 경우 N-알킬화는 화학식 (I-c-1)의 화합물을 염화구리(CuCl)의 존재하에서 적합한 용매, 즉 메탄올 중에서, 소듐 메톡시드의 존재하에서 디페닐요오도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반응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R1이 R1b이고, R8이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화합물은 화학식 (I-d-1)의 화합물로 정의한다)은 또한 화학식 (I-d-2)의 화합물 (여기서, R8은 히드록시C1-6알킬, C1-6알킬,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임)로 전환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화학식 (I-d-1)의 화합물은 식 R8a-W1(여기서, W1은 예를 들면, 할로 또는 술포닐옥시 기 등의 반응성 이탈기임)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수소화 나트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서 알킬화시켜도 좋다.
상기 알킬화는 포타슘 tert-부톡시드의 존재하에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반응-불활성 용매 중에서 반응물들을 혼합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추가로, 상기 알킬화를 아르곤 또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X가 황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정의되는 화학식 (I-e)의 화합물은 화학식 (I-f)의 대응 화합물[X가 산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정의됨]을 오산화인 또는 라웨손 시약(C14H14O2P2S4)과 같은 반응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해도 좋다.
상기 반응은 화학식 (I-f)의 화합물을 오산화인(P4S10) 또는 라웨손 시약의 존재하에서 예를 들면 피리딘 등의 적합한 용매 중에서 교반시키고 임의로 가열하여 수행해도 좋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마지막 단계에 이미다졸 고리를 구축함으로써 제조해도 좋다 그러한 고리화는 실시예 19 및 21에서 예시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당업계 공지된 반응 또는 관능기 변환을 통하여 서로 전환시켜도 좋다. 다양한 그러한 변환법은 이미 앞서 설명하였다. 다른 예들은 카르복산산 에스테르의 대응 카르복실산 또는 알코올로의 가수분해; 아미노의 대응 카르복실산 또는 아민으로의 가수분해가 있고; 이미다졸 또는 페닐 상의 아미노기는 당업계 공지된 디아조화 반응 및 후속적인 디아조기의 수소로의 대체에 의해 수소로 대체될 수 있고; 알코올은 에스테르 및 에테르로 전환될 수 있고; 일급 아민은 2급 또는 3급 아민으로 전화될 수 있으며; 이중 결합은 대응 단일 결합으로 수소화시켜도 좋다.
상기의 중간체는 당업계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방법 중 아래에 나타낸바와 같다.
화학식 (IV)의 중간체는 화학식 (VIII)의 치환-4-페닐-2-퀴놀론 유도체를 화학식 (IX)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관능성 유도체, 예 산염화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X)의 케톤을 얻음으로써 제조해도 좋다. 상기의 반응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폴리인산 등의 산의 존재하에서 반응물을 교반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이어서, 이 케톤은 환원시켜 중간체(R8은 수소임)를 얻거나 또는 적합한 부가 반응물과 반응시킨다.
화학식 (III)의 중간체는 화학식 (IV)의 중간체로부터 출발하여 화학식 (IV)의 중간체를 적합한 반응물과 반응시켜 히드록실기를 반응성 이탈기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해도 좋다. 적합한 전환 반응물은 예를 들면 염화 티오닐(이것을 사용하면 W가 클로로 또는 클로로술파이트인 화학식 (III)의 중간체가 얻어짐), 또는 p-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W가 p-톨루엔술포닐 기인 화학식 (III)의 중간체를 얻어짐)를 들 수 있다.
화학식 (VII)의 중간체는 화학식 (X)의 케톤을 접합한 조건 하에서 술퍼 일리드, 예 디메틸옥소술포늄 메틸리드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해도 좋다.
화학식 (VI)의 중간체는 아래의 반응식 (II)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I)의 니트로페닐 유도체는 당업계 공지된 화학식 (II)의 중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XII)의 중간체를 얻는다. 이어서, 상기 니트로페닐 유도체를 환원시켜 화학식 (XIII)의 아닐린 유도체를 얻고, 이것을 화학식 (XIV)의 산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VI)의 중간체를 얻는다.
화학식 (XV)의 중간체 니트로엔은 화학식 (XVI)의 퀴놀린 유도체를 예를 들면, m-클로로-퍼옥시벤조산 등의 적절한 산화제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등의 적합한 용매 중에서 N-산화시킴으로써 제조해도 좋다. 화학식 (XVI)의 퀴놀린은 화학식 (X)의 중간체의 화학식 (III)의 중간체로의 전환 및 후속적인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사용한 N-알킬화와 유사하게 제조해도 좋으나, 당업계 공지된 방법, 예컨대 문헌 [J. Kenner et al., j. Chem. Soc. 299 (1935)]에 기술된 바에 따라 제조된 퀴놀론 유도체로부터 출발한다. 상기 N-산화는 또한 화학식 (XVI)의 퀴놀론의 전구체 상에서 수행하여도 좋다.
화학식 (XVI)의 중간체는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대사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화학식 (XVI)의 중간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X-a)의 중간체(이는 점선이 결합인 화학식 (X)의 중간체임)은 다음의 반응식 (III)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III)에 있어서, 화학식 (XVII)의 중간체는 화학식 (XVII)의 중간체(여기서, Z는 예컨대 1,3-디옥솔란 등의 적절하게 보호된 옥소기임)와 반응시켜 화학식 (XIX)의 중간체를 얻고, 계속하여 이것을 촉매적 수소화 조건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수소 가스 및 탄소 상의 팔라듐을 사용하여 반응 불활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화학식 (XX)의 중간체로 전환시킨다. 화학식 (XX)의 중간체는 중간체 (XX)를 아세틸화 반응,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의 무수물(예, 아세트산 무수물)을 반응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임의로 반응 동안 유리된 산을 포획하는 염기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이어서 염기, 예를 들면, 포타슘 ter-부톡시드 등의 염기를 사용하여 반응 불활성 용매, 예컨대 1,2-디메톡시에탄 중에서 처리시킴으로써 화학식 (XXI)의 중간체로 전환시킨다. 화학식 (X-a-I)의 중간체(이것은 R1이 수소인 화학식 (X-a)의 중간체임)는 보호기 Z를 당업계 공지된 반응 조건, 예컨대 산성 조건을 사용하여 화학식 (XX)의 중간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화학식 (X-a-I)의 중간체는 당업계 공지된 N-알킬화 반응을 사용하여 화학식 (X-a)의 중간체로 전환시켜도 좋다.
또한, 화학식 (X-a-I)의 중간체는 화학식 (XIX)의 중간체를 물의 존재하에, 반응 물활성 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 푸란 중에서 TiCl3로 처리하거나 또는 촉매적 수소화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후속적으로 중간체 (XX)를 중간체 (XXI)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반응을 사용하여 중간체 (X-1)으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IV)는 화학식 (XXVI-a)의 중간체(여기서, R8b는 중간체 (XXIII)의 오르가노리튬유도체의 중간체 (XXIV)의 옥소기로의 산부가반응에 적합하도록 R8로부터 적절히 선택된 치환체임)의 합성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R8b는 예를 들면 수소, C1-6알킬, C1-6알킬알콕시카르보닐 등이다.
반응식 (IV)에 있어서, 화학식 (XXIII)의 중간체(여기서, W2는 할로임)는 예를 들면, n-부틸리튬 등의 오르가노리튬 반응물을 사용하여 반응 불활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처리하고, 이어서 화학식 (XXIV)의 중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XXV)의 중간체를 얻고, 이것을 계속하여 화학식 (V)의 중간체로 처리하여 화학식 (XXVI)의 중간체로 전환시킨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중간체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이성체발생 중심을 이들의 구조내에 갖는다. 이 입체이성질체발생 중심은 R 또는 S 배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에 의해 제조되는 바의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당업계 공지된 분해 방법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에난티오머의 라세미 혼합물들이다. 화학식 (I)의 라세미 화합물은 적합한 키랄산과의 반응에 의해 대응 디아스테레오머 염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상기 디아스테레오머 염 형태는 후속적으로, 예를 들면 선택적 또는 분별 결정화에 의해 분리되고, 에난티오머들은 알칼리에 의해 이것으로부터 유리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에난티오머 형태를 분리하는 별도의 방식은 키랄 정지상을 사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반한다. 상기의 순수 입체화학적인 이성질체 형태는 또한 반응이 입체특이성으로 일어나는 한 적절한 출발 물질의 대응하는 순수한 입체화학적 이성체의 형태로부터 유도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입체 이성질체가 요망될 경우, 상기 화합물은 입체특이성 제조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방법들은 에탄티오머상 순수한 출발 물질을 유리하게 이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유효량을 투여함으로써 변형된 세포를 포함하는 형질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이란 정상적인 조절 기전과는 무관한 세포 성장(예, 접촉 억제의 손실)을 의미한다. 이는 (1) 활성 ras 종양유전자를 발현하는 종양 세포들(종양들); (2) ras 단백질이 다른 유전자의 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의 결과로서 활성화된 종양 세포; (3) 비정상적인 ras 활성화가 일어나는 기타 증식성 질환의 양성 및 악성 세포를 포함한다. 또, 문헌 상에는 ras 종양 유전자가 종양 세포 성장 상에 직접적인 효과에 의해 생체 내에서 종양의 성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종양에 의해 유발된 맥관형성을 촉진함으로써도 기여함이 제시되었다(참조 문헌: Rak. J. et al., Cancer Research, 55, 4575-4580, 1995]. 따라서, 약리학상의 표적 돌연변이 ras 종양 유전자는 부분적으로는 종양 유발 맥관형성에 의해 억제함으로써 생체내에서 충실성 종양을 억압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유효량을 치료를 요하는 개체, 즉 포유류(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람)에 투여함으로써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원 발명의 화합물 유효량을 투여함으로써 활성화된 ras 종양유전자를 발현하는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억제될 수 있는 종양의 예로는,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폐암(예, 선암), 췌장암(예컨대, 외분비성 췌장 암종 등의 췌장 암종), 대장암(예컨대, 대장 선암 및 대장 선종 등의 직장결장 암종), 임파구 계통의 간유래 종양(예, 급성 임파구성 백혈구, B-세포 임파종, 부르키트 임파종(Burkitt's lymphoma), 골수성 백혈병(예,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갑상선 여포암, 골수이형성 증후군(MDS), 간엽조직 기원의 암(예, 섬유육종 및 횡문근육종), 골수암, 기형육종, 신경아세포종, 신경교종, 피부의 양성 종양(예, 각화극세포종), 유방암, 신장암, 난소암, 방광암 및 상피성 암들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자에 있어서 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의 결과로, ras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인, 즉, ras 유전자 자체가 종양유전자 돌연변이로의 돌연변이에 의해 종양유전자 형태로 활성화되지 않은 양성 및 악성 모두의 증식성 질환의 억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억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유효량을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ras가 티로신 키나아제 종양 유전자의 돌연변이 또는 과발현에 기인하여 활성화되는 양성 증식성 질병, 신경섬유종증 또는 종양이 본 발명의 화하물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정의한 바의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련된다.
이들의 유용한 약리학적 특성에 비추어, 본 발명 화합물은 투여 목적을 위해 다양한 제약학상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효 성분으로서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특정 화합물의 유효량을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와의 친밀한 혼합물 중에 혼합시키는데, 이 담체는 투여에 목적하는 제제의 형태에 따라서 광범위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제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직장에, 피부를 관통하여, 또는 비경구 주사용으로 적합한 단위 투여형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형의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임의의 통상의 제약상의 매질은, 예컨대 현탁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용액제 등의 경구용 액상 제제의 경우에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등; 분말제, 환제, 캡슐제 및 정제의 경우에 전분, 당, 카올린,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투여에 있어서 용이성 때문에, 정제 및 캡슐제가 가장 이로운 경구 투여 단위 형태를 나타내고, 이 경우 고상 제약상 담체들이 두드러지게 이용된다. 비경구용 조성물에 대해서, 담체는 통상 예를 들면 용해도를 돕는 것과 같은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대부분은 증류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담체가 식염수 용액, 포도당 용액, 또는 식염수와 포도당 용액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사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사용 현탁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합한 액상 담체, 현탁용 시약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경피 투여용에 적합한 조성물에 있어서, 담체는 임의로 임의의 성질을 가진 소량의 비율의 적합한 첨가제와 임의로 혼합된 경피강화제 및(또는) 적합한 습윤제를 포함하며, 이 첨가제들은 피부에 유의성 있는 해로운 효과를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들은 피부에 대한 투여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또는) 목적하는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들은 다양한 방식, 즉, 경피 팻취로서, 스폿-온(spot-on)으로서, 연고로서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제약 조성물들을 투여의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화를 위해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바의 단위 투여형이란 각각의 단위가 필요한 제약학상 담체와 혼합되어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유효 성분의 예정된 양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위 투여 형의 예로는 정제 (스코어 정제, 피복 정제를 포함함), 캡슐제, 분말 패킷, 웨이퍼, 주사 용액 또는 현탁제, 차스푼 분량, 큰스푼 분량 등 및 이들의 분리된 복수제제를 들 수 있다.
당업자는 아래에 제시하는 시험 결과로부터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효량은 0.01 ㎎/㎏ 내지 100 ㎎/㎏ 체중이며, 특히 0.05 ㎎/㎏ 내지 10 ㎎/㎏ 체중일 것으로 사료된다. 필요한 투여량을 하루에 걸쳐서 적절한 간격으로 2, 3, 4회 또는 그 이상의 투여량으로서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러한 소투여량은 예를 들면 단위 투여형 당 유효 성분을 0.5 내지 500 ㎎, 특히 1 ㎎ 내지 200 ㎎를 포함하는 단위 투여형으로써 제형화될 수 있다.
실험부
이하,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의미하고, "DIPE"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DCM"은 디클로로메탄을,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그리고 "ACN"은 아세토니트릴을 의미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절대적인 입체화학적 배치는 실험적으로 결정하지 않았다. 이들 경우에 입체화학적으로 이성체인 형태는 정확한 입체화학적 배치에 대한 업급을 하지 않고, 먼저 단리된 것을 "A"로 두번째의 것을 "B"로 지정하였다.
A.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1
a) 이미다졸 121.8g을 ACN 100 ml 중의 1-(클로로페닐메틸)-4-니트로-벤젠 88.7g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교반하고 환류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톨루엔 중에 용해시키고, 10% K2CO3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 98/2). 정제 분획들을 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1-[(4-니트로페닐)페닐메틸]-1H-이미다졸 (중간체 I-a) 53g(수율:53%)을 얻었다.
b) 에탄올 300 ㎖ 중의 중간체 (1-a)의 혼합물 39g을 촉매로서 라니 니켈 20g을 사용하여 수소화시켰다(3.9 x 105Pa H2). 수소 3 당량을 흡수시킨 후에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4-[(1H-이미다졸-1-일)페닐메틸]벤젠아민 (중간체 I-b) 34.6g을 얻었다.
c) DCM 100 ㎖ 중의 중간체 (1-b) 8.92 g과 1-클로로-3,33-디페닐-2-프로펜-1-온 10.42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10% NaHCO3용액 중에 부었다. 이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 및 증발시켜 (±)-N-[4-[(1H-이미다졸-1-일)페닐메틸]페닐-3,3-디페닐-2-프로펜-1-온 (중간체 I-c) 22.85(수율:100%)을 얻었다. 이 생성물은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2
a) 4-클로로벤조산 21.23g 및 3,4-디히드로-4-페닐-2(1H)-퀴놀론 15 g을 폴리인산 150 g 중에 140℃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여과시켰다. 석출물을 DCM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NaHCO3(10%)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프로판온으로부터 결정화시켜 융점이 204 ℃인 (±)-6-(4-클로로벤조일)-3,4-디히드로-4-페닐-2(1H)-퀴놀리놀(중간체 2-a) 12.34g(수율: 50%)을 얻었다.
b) 수소화붕소나트륨 12.5g을 메탄올 200 ml 및 THF 5 ml 중의 중간체 (2-a)의 용액에 0 ℃에서 부분씩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급랭키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K2CO3(10%)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 96/4). 정제 분획들을 합하여 증발시켜 (±)-6-[(4-클로로-페닐)히드록시메틸-3,4-디히드로-4-페닐-2(1H)-퀴놀리놀(중간체 2-b 2.8 g(수율: 14%)을 얻었다.
실시예 3
티오닐 클로라이드 11 ml 및 DCM 120 ml 중의 (±)-6-[히드록시(3-플루오로페닐)메틸]-4-페닐-2(1H)-퀴놀리논 11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6-[클로로(3-플루오로페닐)메틸]-4-페닐-2(1H)-퀴놀리논 11 .6g(수율: 100%) (중간체 3)을 얻었다.
실시예 4
THF 30 ml 중의 수소화 나트륨 1.75g의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디메틸 술폭시드 120 ml에 이어 트리메틸술폭소늄 요오다이드 12.1 g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N2흐름 하에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6-(4-클로로벤조일)-1-메틸-4-페닐-2(1H)-퀴놀리논 17 g을 부분씩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2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다음 반응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6-[2-클로로페닐)-2-옥시라닐]-1-메틸-4-페닐-2(1H)-퀴놀리논 17 .6g(수율: 100%) (중간체 4)을 얻었다.
실시예 5
a) 포름아미드 130 ml 및 포름산 100 ml 중의 6-(4-클로로벤조일)-1-메틸-4-페닐-2(1H)-퀴놀리논 24 g의 혼항물을 160 ℃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제거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다음 반응 단계에서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N-[4-클로로페닐)-1,2-디히드로-1-메틸-2-옥소-4-6-퀴놀리닐)메틸]포름아미드(중간체 5-a) 24.2g(수율: 93%)을 얻었다.
b) 염산 3N (150 ml) 및 2-프로판올 150 ml 중의 중간체 (5-a)의 혼합물 21.2g의 혼합물을 밤새 교반 및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NH4OH로 염기성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8/2/1).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증발시켜 (±)-6-[아미노-(4-클로로페닐)메틸]-메틸-4-페닐-2(1H)-퀴놀리놀(중간체 5-b 11.6 g(수율: 59%)을 얻었다.
c) 에틸 N-시아노-메탄이미데이트 3.6g을 실온에서 에탄올 90 ml 중의 중간체 (5-b) 10.6g의 용액에 적가하고 혼항물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을 따르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7/3/0.1).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증발시켜 (±)-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1-메틸-2-옥소-4-페닐-6-퀴놀리닐)메틸)아미노)메틸렌]시안아미드 (중간체 5-c) 10.55 g(수율: 88%)을 얻었다.
d)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2.45 ml을 5 ℃에서 디메틸 술폭시드 100 ml 중의 중간체 (5-c) 9 g 및 2-메틸-2-프로파놀 포타슘염 2.37g의 용액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층을 따르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다음 반응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에틸 N-[(4-클로로페닐)(2,3-디히드로-1-메틸-2-옥소-4-페닐-6-퀴놀리닐)메틸]-N-[(시아노이미노)메틸]글리신 (중간체 5)을 얻었다.
실시예 6
a) 2-이소시아네이토-1,1-디메톡시-에탄 5.3 g을 메탄올 100 ml 중의 9±)-6-[아미노-(4-클로로페닐)메틸]-4-페닐-2(1H)-퀴놀리놀 11g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건조해질 때까지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으며, (±)-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2-옥소-4-페닐-6-퀴놀리닐)메틸-N'-(2,2-디메틸옥시에틸)티오우레아 (중간체 6-a) 15.4 g(수율: 100%)을 얻었다.
b) 2-프로판 50 ml 중의 중간체 (6-a) 15.3 g, 요오도메탄 2.27 ml 및 탄산칼륨 5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일야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K2CO3(10%)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메틸-N-[(4-클로로페닐)(1,2-디하이드로-2-옥소-4-페닐-6-퀴놀리닐)메틸-N'-(2,2-디메틸옥시에틸)카르밤이미도티오우레아 (중간체 6-b) 17.8 g(수율: 100%)을 얻었다.
실시예 7
a) 톨루엔 1900 ml을 환저 플라스크 5 리터 중에서 물 분리기를 사용하여 교반시켰다. (4-클로로페닐)(4-니트로페닐)메타논 250g을 부분씩 첨가하였다. p-톨루엔술폰산 54.5 g을 부분씩 첨가하였다. 에틸렌 글리콜 237.5 g을 혼합물에 부었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 리터 중에 용해시키고, 붓고 K2CO3(10%)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IPE 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여 제거하고 건조시켜(진공, 40 ℃, 24 시간), 2-(4-클로로페닐)-2-(4-니트로페닐)-1,3-디옥솔란 (중간체 7-a) 265 g(수율: 91%)을 얻었다.
b) 수산화 나트륨 16.4g 및 (3-메톡시페닐)아세토니트릴 20.6 ml을 실온에서 메탄올 100ml 중의 중간체 (7-a) 25 g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석출물을 여과하고, 찬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추가의 분리없이 사용하고 5-[2-(4-클로로페닐)-1,3-디옥솔란-2-일]-3-(3-메톡시페닐)-2,1-벤즈이속사졸 (중간체 7-b) 30 g(수율: 90%)을 얻었다.
c) THF 250 ml 중의 중간체 (7-b) 30 g을 실온에서 탄소 상의 팔라듐(3g)으로 파르 장치 중에서 2.6 x 105Pa 압력하에서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H2(1 당량)을 흡수시킨 다음, 촉매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3-메톡시페닐)[2-아미노-5-[2-(4-클로로페닐)-1,3-디옥솔란-2-일]-페닐]메타논 (중간체 7-c) 31.2g(수율: 100%)을 얻었다.
d) 아세트산 무수물 13.9 ml을 톨루엔 300 ml 중의 중간체 (7-c) 31.2g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N-[2-(3-메톡시베조일)-4-[2-(4-클로로페닐)-1,3-디옥솔란-2-일]-페닐]아세트아미드 (중간체 7-d 36.4g(수율: 100%)을 얻었다.
e) 포타슘 ter-부톡시드 33g을 1,2-디메톡시에탄 350ml 중의 중간체 (7-d) 36.4g의 용액에 실온에서 부분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가수분해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6-[2-(4-클로로페닐)-1,3-디옥솔란-2-일]-4-(3-메톡시페닐]-2 (1H)-퀴놀리논 (중간체 7-e) 43g(수율: 100%)을 얻었다.
f) 3N HCl 400 ml 및 메탄올 150 ml 중의 중간체 (7-e) 43g의 혼합물을 밤새 교반 및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시켰다. 석출물을 물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고, 6-(4-클로로벤조일)-4-(3-메톡시페닐]-2(1H)-퀴놀리논 (중간체 7-f) 27g(수율: 94%)을 얻었다.
g) 요오드화 메틸 1.58 ml을 THF 80 ml 및 40% 수산화 나트륨 80ml 중의 중간체 (7-f) 7.6 g 및 벤질트리암모늄 클로라이드(BTEAC) 2.23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용출제: DCM 100%). 목적하는 분획들을 합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6-(4-클로로벤조일)-4-(3-메톡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중간체 7-g) 7.1g(수율: 90%)을 얻었다.
h) 중간체 (7-g) 6.8 g을 DCM 210 ml에 첨가하고 0℃에서 교반시켰다. 트리브로모보란 67.3 m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 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게 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K2CO310%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6-(4-클로로벤조일)-4-(3-히드록시페닐]-1-메틸-2(1H)-퀴놀리논 (중간체 7-h) 6.6g(정량적인 수율)을 얻고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i) 중간체 (7-h) 9.5 g, 요오드화 프로필 5.9 ml 및 K2CO310.1g의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6-(4-클로로벤조일)-1-메틸-4-(3-프로폭시페닐)-2(1H)-퀴놀리논 (중간체 7-i) 10.4g(수율: 100%)을 얻었다.
j) 메탄올 20 ml 및 THF 20 ml 중의 중간체 (7-i) 3.55 g의 용액을 냉각시켰다. 수소화붕소 나트륨 0.37g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가수분해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건조하게 될 때까지 증발시켜 (±)-6-[(4-클로로페닐)히드록시메틸]-1-메틸-4-(3-프로폭시페닐)-2(1H)-퀴놀리논 (중간체 7-j) 3.5g(수율: 100%)을 얻었다.
k) 염화 티오닐 30 ml 중의 중간체 (7-j) 3.5 g의 용액을 밤새 교반 환류시켰다. 용매를 건조하게 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고, (±)-6-(클로로(4-클로로페닐)메틸]-1-메틸-4-(3-프로폭시페닐)-2(1H)-퀴놀리논 (중간체 7-k) 3.7g(수율: 100%)을 얻었다.
실시예 8
HCl/디에틸 에테르 30.8 ml을 에탄올 250 ml 중의 4-아미노-4'-클로로벤조페논 35g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FeCl3·6H20 69.4 g에 이어서 ZnCl22.05g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65℃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3-클로로-1-페닐-1-프로파논 25.46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밤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K2CO3(10%)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ACN으로부터 결정화하였다. 모층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 99/1).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증발시켜 (4-클로로페닐)(4-페닐-6-퀴놀리닐)메타논 (중간체 8-a) 19.4 g(수율: 37%)을 얻었다.
b) 실시예 7의 j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8-a)를 (±)-α-(4-클로로페닐)-4-페닐-6-퀴놀린메탄올, 중간체 (8-b)로 전환시켰다.
c) 실시예 7의 k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8-b)를 (±)-6-[클로로(4-클로로페닐)메틸]-4-페닐퀴놀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8-c)로 전환시켰다.
d) ACN 300 ml 중의 중간체 (8-c) 12.6 g 및 1H-이미다졸 11.8g의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건조할 때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붓고 K2CO3(10%)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7.5/2.5/0.1).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질산염(1:2)으로 전환시키고 CH3OH/2-프로파놀/디에틸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6-[(4-클로로페닐)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페닐퀴놀린 디니트레이트·모노하이드레이트(중간체 8-d, 융점 152 ℃) 4.28g(수율: 28%)를 얻었다.
실시예 9
a) 중간체 (7-a) 50 g 및 이어서 )3-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 34.8 ml을 메탄올 100ml 중의 수산화나트륨 32.8g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한 용해가 일어날 때 까지 교반시키고 환류시켰다. 반응은 동일한 양으로 2회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합하였다. 얼음에 이어서 에탄올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결정화되도록 방치하였다. 석출물을 여과시키고, 에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3-(3-클로로페닐)-5-[2-(4-클로로페닐)-1,3-디옥솔란-2-일]-2,1-벤즈이속사졸 (중간체 9-a) 58g(수율: 86%)을 얻었다.
b) TiCl3/15% H2O 308 ml를 실온에서 THF 308 ml 중의 중간체 (9-a) 51g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K2CO3(10%)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이 분획의 일부 5.9g을 2-프로파논/CH3OH/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석출물을 여과시키고 건조시켜 1-아미노-2,4-페닐렌-(3-클로로페닐)(4-클로로페닐)디메타논 (중간체 9-b) 1.92g(수율: 41%)을 얻었다.
c) 실시예 7의 d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9-b)를 N-[2-(3-클로로벤조일)-4-(4-클로로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중간체 9-c)로 전환시켰다.
d) 실시예 7의 e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9-c)를 6-(4-클로로벤조일)-4-(3-클로로페닐)-2(1H)-퀴놀리논 (중간체 9-d)로 전환시켰다.
e) 수소화 나트륨 601 g을 디메틸 술폭시드 200ml 중의 중간체 (9-d) 15g의 용액에 N2흐름 하에 부분씩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2-클로로에틸 메틸 에테르 25.2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얼음 위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70/30).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6-(4-클로로벤조일)-4-(3-클로로페닐)-1-(2-메톡시에틸)-2(1H)-퀴놀리논 (중간체 9-e) 6.2g (수율: 36%)를 얻었다.
f) 실시예 7의 j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9-e)를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히드록시메틸]-1-(2-메톡시에틸)- 2(1H)-퀴놀리논 (중간체 9-f)를 얻었다.
g) 실시예 7의 k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사용하여, 중간체 (9-f)를 (±)-6-[클로로(4-클로로페닐)메틸]-4-(3-클로로페닐)1-(2-메톡시에틸)-2(1H)-퀴놀리논 (중간체 9-g)를 얻었다.
실시예 10
a) n-부틸리튬 37.7 ml을 THF 150 ml 중의 6-브로모-4-(3-클로로페닐)-2-메톡시퀴놀린 20g의 혼합물에 N2흐름 하에 -20℃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이어서 THF 80 ml 중의 에틸 4-클로로페닐)-α-옥소벤젠아세테이트 12.2g의 혼합물에 N2흐름 하에 -20℃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 ℃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방치시켜 실온까지 승온시키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 26.3 g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시클로헥산 90/10).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에틸-4-(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히드록시-2-메톡시-6-퀴놀리논아세테이트 (중간체 10-a) 9.3g (수율: 33.5%)를 얻었다.
b) 중간체 (10-a) 9.3 g 및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22g을 120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켰다. 얼음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 10.6 g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여(용출제: CH2Cl2/2-프로판올/NH4OH 95/5/0.5), (±)-에틸-4-(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α-(1H-이미다졸-1-일)-2-메톡시-6-퀴놀리논아세테이트 (중간체 10-b) 7.15 g을 얻었다.
B. 최종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1
클로로벤젠 200 ml 중의 중간체 (1-c) 22.85g 및 염화 알류미늄 48g의 혼합물을 9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빙수에 붓고, NH4OH로 염기성화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및 에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잔류물을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3N HCl로 밤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추출하고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NH4OH로 염기성화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5/5/0.05).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켜, (±)-6-[(1H-이미다졸-1-일)페닐메틸-4-페닐-2(1H)-퀴놀리놀 (융점 253.0 ℃, 화합물 1)을 얻었다.
실시예 12
수소화 나트륨 0.002 g 및 이어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2.5g을 THF 30 ml 중에 용해된 중간체 (2-b) 2.8g에 실온에서 부분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 및 가열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가수분해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톨루엔/2-프로판올/NH4OH 90/10/0.5).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 2.1g을 2-프로판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3,4-디히드로-4-페닐-2(1H)-퀴놀리놀 1.55g (융점 225.0 ℃, 화합물 57)을 얻었다.
실시예 13
ACN 중의 중간체 (3) 11.6g, 이미다졸 6.5g 및 탄산칼륨 13.8 g을 1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 95/5)(70-200㎛).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켜 (±)-6-[(3-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4-페닐-2(1H)-퀴놀리놀 (화합물 5) 9g을 얻었다(수율: 71%).
실시예 14
수소화 나트륨 1.15 g을 10℃에서 디메틸 술폭시드 100ml 중의 화합물 (2)의 혼합물에 N2흐름 하에 부분씩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요오도메탄 1.5 ml을 15℃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여과시켰다. 석출물을 DCM 및 메탄올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에틸 아세테이트/CH3OH 95/5).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 3.3g을 CH3CN/DIPE로부터 재결정화하여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1-메틸-4-페닐-2(1H)-퀴놀리논 (융점 154℃, 화합물 8) 1.9g을 얻었다(수율: 19%).
실시예 15
메탄올 2.8 ml 중의 메톡시 나트륨의 용액을 메탄올 400 ml 중의 화합물 (2) 6g 및 디페닐요오도늄 클로라이드 6.9 g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염화 구리(I) 1.72g을 60℃에서 12 시간 동안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 및 가열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아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및 10% NH4OH 중에 용해시켰다. 수층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진공 중에서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8/2/0.1).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 1.1g을 CH3OH 중에 용해시키고 CH3OH 중의 질산염(1:1)로 전환시켜,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1,4-디페닐-2(1H)-퀴놀리논 모노니트레이트 (융점 212.4 ℃, 화합물 19) 0.9g을 얻었다(수율: 11.2%).
실시예 16
2-메틸-2-프로판올, 칼륨염 1.35g을 0℃에서 N2흐름 하에 테트라히드로푸란 85 ml 중의 화합물 (15) 2.8g 및 요오도메탄 1.9ml의 혼합물에 부분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 (용출제: CH2Cl2/CH3OH/ NH4OH 97.5/2.5/0.1).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 2.3g을 CH3OH 및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에틸)-1-매탈-2(1H)-퀴놀리논 (융점 120.2 ℃, 화합물 62) 1.7g을 얻었다(수율: 60%).
실시예 17
ACN 250 ml 중의 중간체 (4) 17.6g 및 이미다졸 9.3g의 혼합물을 밤새 교반 및 환류시키고,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10% K2CO3수용액 및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이어서 기건시켜 생성물 11.2g(55%)을 얻었다. 시료 3g을 THF, 메탄올,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석출물을 여과시키고 건조시켜 (±)-6-[1-(4-클로로페닐)-2-히드록시-1H-이미다졸-1-일)에틸)-1-매틸-4-페닐-2(1H)-퀴놀리논 모노하이드레이트(융점 180.2 ℃, 화합물 59) 2g을 얻었다(수율: 37%).
실시예 18
1-클로로-4-클로로메틸벤젠 3.2g을 40% 수산화 나트륨 100 ml 및 THF 100 ml 중의 화합물 (59) 7g 및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75g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기울여 따르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8.5/1.5/0.1).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 3.7g을 2-프로판온/(C2H5)2OH로부터 재결정화시켜 (±)-6-[1-(4-클로로페닐)-2-[(4-클로로페닐)메톡시]-1-(1H-이미다졸-1-일에틸)-1-매틸-2(1H)-퀴놀리논 (융점 176.8 ℃, 화합물 6) 2.1g을 얻었다(수율: 24%).
실시예 19
메톡시 나트륨 0.8 ml을 실온에서 메탄올 100ml 중의 중간체 (5-d)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키고 이어서 2 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8/2/0.1).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켜, 생성물 8.3 g(수율: 79%)을 얻었다. 시료 2.3g을 에탄디온산 염(2:3)으로 전환시키고 2-프로판온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메틸-4-아미노-1-[(4-클로로페닐)(1,2-디히드로-1-메틸-2-옥소-4-페닐-6-퀴놀리닐메틸-1H-이미다졸-5-카르복실레이트 에탄디오네이트(2:3) (융점 168.7 ℃, 화합물 70) 2.35g을 얻었다(수율: 63%).
실시예 20
질산 30 ml에 이어 질산 나트륨 0.064g을 인산 45 ml 중의 화합물 (70)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하이포인산 30 ml을 조심스럽게 부분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NH4OH로 염기성화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시키고, 건조하게 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8.5/1.5/0.1).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 1.5g을 에탄디온산 염(2:3)으로 전환시키고 2-프로판온 및 DIPE부터 재결정화시켜 (±)-메틸 1-[(4-클로로페닐)(1,2-디히드로-1-메틸-2-옥소-4-페닐-6-퀴놀리닐)메틸]-1H-이미다졸-5-카르복실레이트 에탄디오네이트(2:3) (융점 140.8 ℃, 화합물 54) 1.14g을 얻었다(수율: 20%).
실시예 21
중간체 (6-b) 15.66 g을 0℃까지 냉각시킨 황산 120 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된 0℃의 얼음 및 진한 HCl 용액에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7.5/2.5/0.1).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증발시켜 생성물 7.4 g(수율: 52%)을 얻었다. 시료를 2-프로파논으로부터 결정화하여 (±)-6-[(4-클로로페닐)[2-(메틸티오)-1H-이미다졸-1-일메틸]4-페닐-2(1H)퀴놀리논 모노하이드레이트(화합물 51, 융점 205.6 ℃) 2 g (수율: 52%)를 얻었다.
실시예 22
3N 수산화 나트륨 130 ml 중의 화합물 (17) 12.7g의 용액을 120 ℃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Na4OH를 pH가 5.2로 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석출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기건시켜,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2-옥소-4-페닐-2(1H)퀴놀린-1-아세트산 (화합물 38) 12 g를 얻었다.
실시예 23
DCM 중의 N,N'-메탄테트라-비시클로헥산아민 5.3g을 화합물 (38) 12.g 및 THF 120 ml 중의 메틸 2-아미노-4-메틸-펜타노에이트 6g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NH4OH 97/3/0.1).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켜 생성물 6.8g(수율: 43%)을 얻었다. 시료를 DIPE로부터 결정화하여 (±)-메틸 2[[-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1,2-디하이드로-2-옥소-4-페닐-1-퀴놀리닐]2-옥소에틸]아미노]-4-메펜타노에이트 (화합물 39, 융점 117.9 ℃) 1 g을 얻었다.
실시예 24
화합물 (2) 1g을 n-헥산 81 ml 및 에탄올 54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리하고 키랄셀 AD 칼럼 (250g,20 ㎛, Dicel; 용출제: n-헥산/에탄올 60/40v/v)를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시켰다. 2 개의 목적하는 분획 그룹을 합하였다. 처음의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한 피이크에 해당하는 분획들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DCM 중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석출물이 얻어질 때까지 첨가하였다. 석출물을 밀리포어 필터 (10 ㎛)를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이어서 건조시켜(진공; 40℃; 2 시간) 0.430g(수율: 43%)을 얻었다. 이 분획을 2-프로판온 중에 용해시키고, DIPE로 석출시켰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A)-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4-페닐-2(1H)-퀴놀리논 (화합물 6, [α]20 D= +13.10。(c=메탄올 중의 0.1%), 융점 190.0℃) 0.25 g(수율: 25%)을 얻었다. 두 번째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한 피이크에 해당하는 분획들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DCM 중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석출물이 얻어질 때까지 첨가하였다. 석출물을 밀리포어 필터 (10 ㎛)를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이어서 건조시켜(진공; 40℃; 2 시간) 0.410g(수율: 41%)을 얻었다. 이 분획을 2-프로판온 중에 용해시키고, DIPE로 석출시켰다. 석출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B)-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4-페닐-2(1H)-퀴놀리논 (화합물 7, 융점 155.8℃, [α]20 D= -6.32。(c=메탄올 중의 0.1%) 0.20 g(수율: 20%)을 얻었다.
실시예 25
오산화인 4.45g을 실온에서 피리딘 54 ml 중의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2(1H)-퀴놀리논 4.5g에 부분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시켰. 혼합물을 건조될 때 까지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HCl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 97/3/).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켯다. 잔류물 2.7g을 DMF로부터 결정화하여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2(1H)-퀴놀린티온 일수화물, (융점 263.5 ℃, 화합물 72) 1.6 g (수율: 33%)를 얻었다.
실시예 26
이미다졸 3.34g을 ACN 50 ml 중의 중간체 (8-b) 3.7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 3.8g을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용출제: CH2Cl2/CH3OH 98/2). 순수 분획들을 합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프로판온/DIPE로부터 재결정화시키고, 여과시키고 건조시켜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1-메틸-4-(3-프로촉시페닐)-2(1H)-퀴놀리논 에탄디오에이트 (2:3). 1.5수화물, (화합물 74) 1.8 g (수율: 45%)를 얻었다.
실시예 27
THF 25 ml 및 HCl 190 ml 중의 중간체 (10-b) 7.1 g의 혼합물을 1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얼음 상에 붓고, K2CO3로 염기성화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에틸 4-(3-클로로페닐)-α-(4-클로로페닐)-1,2-디히드로-α-(1H-이미다졸-1-일]-2-옥소-6-퀴놀린아세테이트 (화합물 87) 6.2 g (수율: 90%)를 얻었다.
*R2및 R3은 함께 2가의 라디칼을 형성한다.
C. 약리학적 시험예
실시예 28: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의 억제에 대한 시험관내 분석
사람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를 본질적으로 문헌[Y. Reiss et al., Methods: A Companion to Methods in Enzymology vol 1, 241-245, 199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누드 마우스에서 충실성 종양으로서 성장시키거나 또는 모노레이어 세포 배양물로서 성장시킨 키르스텐(kirsten) 바이러스 형질전환된 골수육종(KHOS) 세포(Americal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를 인체 효소원으로서 사용하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세포 또는 종양을 50 mM Tris, 1 mM EDTA, 1mM EGTA 및 0.2 mM 페닐메틸술포닐플루오라이드(pH 7.5)를 포함한 완충액 중에서 균질화시켰다. 균질화물을 28,000 x g에서 60 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30-50% 황산 암모늄 분획을 제조하고, 생성된 석출물을 소량(10 내지 20ml) 부피의 투석 완충액(20 mM Tris, 1 mM 디티오트레이톨 및 20 μM ZnCl2를 포함함) 중에 재현탁시켰다. 이 황산 암모늄 분획을 동일한 완충액을 2회 교환하여 밤새 투석시켰다. 투석된 물질을 0.05M NaCl로 보충된 투석 완충액 100 ml로 예비평형시킨 10 x 1 ㎝ Q Fast Flow Sepharose(Pharmacia LKB Biotechnology Inc., Piscataway, NJ, USA)에 가하였다. 이 칼럼을 추가의 투석 완충액 50 ml 및 0.05 M NaCl에 이어 투석 완충액에서 생성된 0.05 M 내지 0.25M NaCl의 구배로 세척하였다. 효소 활성은 투석 완충액에서 생성된 0.25 M 내지 1.0 M NaCl의 선형 구배로 용출되었다. 4 내지 5 ml 부피의 칼럼 용출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수집하고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효소 활성을 지닌 분획들을 모으고 100 μM ZnCl2를 보충하였다. 효소 시료들을 -70℃에서 동결 보관하였다.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은 제조원에 의해 지시된 조건하에서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3H] 신틸레이션 프록시미티 에세이 (Amersham International plc., Eng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의 억제제를 분석하기 위해, [3H]-파르네실 피로인산염 기질 및 비오티닐화 라민 B 펩티드 기질 (biotin-YRASNRSCLAIM) 0.20μCi를 50 mM HEPES, 30 mM MgCl2, 20 mM KCl, 5 mM 디티오트레이톨, 0.01% Triton X-100으로 이루어진 반응 완충액 중의 시험 화합물과 혼합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디메틸술폭시드(DMSO) 10 ㎕ 부피에 전달하여 최종 부피 100 ㎕ 중에 1 및 10 ㎍/㎖의 농도를 얻었다. 반응 혼합물을 37℃까지 승온시켰다. 효소 반응은 희석된 인체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 20㎕을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충분한 효소 제제를 첨가하여 37℃에서 반응물을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동안 4000 내지 15000 cpm 사이의 반응 생성물을 얻었다. 반응은 STOP/신틸레이션 프록시미티 비이드 시약(Amersham)을 첨가함으로써 종결시켰다. 반응 생성물 [3H]-파르네실-(Cys)-비오틴 라민 B 펩티드를 스트렙타비딘 결합된 신틸레이션 프록시미티 비이드 상에 포획시켰다. 시험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 합성된 [3H]-파르네실-(Cys)-비오틴 라민 B 펩티드의 양은 Wallac Model 1480 마이크로베타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상에서 계수함으로써 cpm으로서 정량화하였다. 생성물의 cpm은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 활성으로 간주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 관찰된 단백질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는 10% DMSO의 존재하에서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활성으로 표준화하였고, 억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별도의 연구에 있어서,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활성의 50% 이상의 억제를 나타내는 일부 시험 화합물은 효소 활성의 농도 의존성 억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연구에 있어서 시험 화합물의 효과는 VAX 컴퓨터 상에서 문헌[Scientific Information Division of R.W. Johnson Phrmaceutical Research Institute(Spring House, PA,USA)]에 기재된 LGIC50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C50(효소 할성의 50% 억제를 나타내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로서 계산하였다.
실시예 29: "Ras-형질전환 세포 표현형 반전 분석"
돌연변이 ras 유전자 등의 활성 종양유전자를 마우스 NIH 3T3 세포 내로 삽입시키면 세포가 형질전환된 표현형으로 전환된다. 세포는 발암성이 되고, 반고상 배지에서 앵커리지(anchorage) 독립성 성장을 나타내고 접촉 억제능을 상실한다. 접촉 억제능의 상실은 균일한 모노레이어를 더 이상 형성할 수 없는 세포 배양물을 초래한다. 더욱이, 세포는 다세포 결절 내로 집적되고, 플라스틱 조직 배양 접시에서 매우 높은 포화 밀도까지 성장한다. ras 형질전환된 표현형을 역전시키는 단백질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등의 동인은 배양시 세포에 대한 균일한 모노레이어 성장 패턴을 회복시킨다. 이 역전은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서 세포수를 계수함으로써 용이하게 관찰된다. 형질전환된 세포는 비형질전환된 표현형으로 역전되는 세포 보다 더 높은 세포 수를 얻을 것이다. 형질전환된 표현형을 역전시키는 화합물은 ras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지는 종양에 있어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
방법:
화합물들을 T24 활성화된 인체 H-ras 유전자에 의해 형질전환된 NIH 3T3 세포에서 조직 배양으로 스크리닝하였다. 세포들을 6-웰 클러스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서 200,000 세포/웰 (9.6 ㎠ 표면적)의 초기 밀도로 종배양하였다. 시험 화합물들을 0.1%의 세포 성장 배지 중 DMSO의 최종 농노로 DMSO 3.0 ㎕의 부피로 3.0 ㎖ 세포 성장 배지에 즉시 첨가하였다. 시험 화합물들을 DMSO 처리된 담체 대조군과 함께 5, 10, 50, 100 및 500 nM의 농도로 이동시켰다. (높은 활성이 5nM에서 관찰되는 경우, 시험 화합물들은 더 낮은 농도에서도 시험한다.) 세포들을 방치하여 72 시간 동안 증식시켰다. 이어서, 세포들을 1.0 ml 트립신-EDTA 세포 해리 배지에서 분리시키고 코울터(Coulter) 입자 카운터 상에서 계수하였다.
측정법:
웰 당 세포로서 표시되는 세포수는 코울터 입자 카운터를 사용하여 축정하였다.
모든 세포 계수는 200,000을 제하여 초기 세포 입력 밀도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대조군 세포 계수=[DMSO 부형약으로 배양한 세포로부터의 계수-200,000]
시험 화합물 세포 계수=[시험 화합물을 사용하여 배양한 세포로부터의 계수-200,000]
시험 화합물 억제%=[1-시험 화합물 계수/대조군 화합물 계수] x 100%.
IC50(효소 활성의 50% 억제를 나타내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는 충분한 데이터가 입수되는 경우에 계산하여, 표8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번호 IC50(nM) 화합물 번호 IC50(nM)
23 204 74 500
63 294 77 189
64 133 80 169
66 53 83 68
67 114 89 445
69 500
D. 조성물 실시예
다음의 조성물들은 본 발명에 따른 온형 동물에 전신 또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투여량 단위 형태의 대표적인 제약 조성물을 예시한다.
이들 실시예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 "활성 성분"(A.I)은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또는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형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30: 경구 용액
4-히드록시벤조산 메틸 9g 및 4-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 1 g을 끓는 정제수 4 리터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 3 리터 중에 먼저 2,3-디히드록시부탄디온산 10g에 이어 A.I. 20 g을 용해시켰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의 용액 나머지와 합하고 1,2,3-프로판트리올 12 리터 및 소르비톨 70% 용액 3 리터를 여기에 첨가하였다. 사카린 나트륨 40 g을 물 0.5 리터 중에 용해시키고 나무딸기 2 ml 및 구즈베리 엑기스 2 ml을 첨가하였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의 용액과 혼합하고, 물을 충분량을 첨가하여 찻 숫가락의 양 (5 ml) 당 A.I. 5 mg을 포함하는 경구 용액을 제공하는 20 리터의 부피가 되게 하였다.
실시예 31: 경구 용액
A.I. 20 g, 황산 라우릴 나트륨 6 g, 전분 56g, 락토오즈 56g, 교질 이산화 실리콘 0.8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2g을 함께 강하게 교반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계속하여 각각이 A.I. 20 mg을 포함하는 1000 개의 적합한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시켰다.
실시예 32: 피막 코팅 정제
정제 코어의 제조
A.I. 100 g, 락토오즈 570g, 및 전분 200 mg의 혼합물을 잘 혼합시킨 다음 약 200 ml의 물 중의 황산 도데실 나트륨 5 g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5g의 용액으로 습윤화시켰다. 습윤 분말 혼합물을 체질하고, 건조시키고 재차 체질하였다. 이어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00g 및 수소화 식용유 15g을 첨가하였다. 이 전체를 잘 혼합하고 정제로 타정하여 각각이 유효성분 10mg을 포함하는 10,000 개의 정제를 얻었다.
코팅
변성 에탄올 75 ml 중의 메틸 셀룰로오스 10 g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150 ml 중의 에틸 셀룰로오스 5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75 ml 및 1,2,3-프로판트리올 2.5 ml을 첨가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10g을 전자에 첨가하고 이어서 옥타데칸산 마그네슘 2.5g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5g 및 진한 색 현탁제 30 ml을 첨가하고 이 모두를 균질화시켰다. 이와 같이 얻은 혼합물을 코팅 장치 내에서 정제 코어를 코팅시켰다.
실시예 33: 주사 용액
4-히드록시벤조산 메틸 1.8g 및 4-히드록시벤조산 프로필 0.2 g을 약 0.5 리터의 끓는 물에 용해시켰다. 약 50 ℃까지 냉각시킨 후 교반하면서 락트산 4g, 프로필렌글리콜 0.05 및 A.I. 4 g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주사용 수를 1 리터가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보충하여 4 mg/ml A.I.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여과에 의해 멸균시켜 멸균 용기에 충진시켰다.
실시예 34: 좌약
A.I. 3 g을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25 ml 중의 2,3-디히드록시부탄디온산 3 g의 용액에 용해시켰다. 계면활성제 12 g 및 트리글리세리드 300 g을 함께 용융시켰다. 후자의 혼합물을 전자의 혼합물과 잘 혼합시켰다. 이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을 37 - 38℃에서 몰드에 부어 각각의 30 mg/ml A.I.를 함유하는 100 개의 좌약을 형성시켰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질체,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화학식 I>
    식 중, 점선은 임의의 결합을 나타내고;
    X는 산소 또는 황이고;
    R1은 수소, C1-12알킬, Ar1, Ar2C1-6알킬, 퀴놀리닐C1-6알킬, 피리딜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C1-6알콕시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아미노C1-6알킬이거나, 또는
    식 -Alk1-C(=O)-R9, -Alk1-S(O)-R9또는 -Alk1-S(=O)2-R9(여기서, Alk1은 C1-6알칸디일이고, R9는 히드록시, C1-6알킬, C1-6알킬옥시, 아미노, C1-8알킬아미노 또는 C1-6알킬옥시카르보닐로 치환된 C1-8알킬아미노임)의 라디칼이고,
    R2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히드록시C1-6알킬옥시, C1-6알콕시C1-6알킬옥시, 아미노C1-6알킬옥시,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옥시, Ar1, Ar2C1-6알킬, Ar2C1-6옥시, Ar2C1-6알킬옥시,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트리할로메틸, 트리할로메톡시, C2-6알케닐이거나, 또는
    인접 위치 상의 R2및 R3은 함께 하기 화학식의 2가 라디칼을 형성해도 좋으며,
    -O-CH2-O- (a-1),
    -O-CH2-CH2-O- (a-2),
    -O-CH=CH- (a-3).
    -O-CH2-CH2- (a-4),
    -O-CH2-CH2-CH2- (a-5), 또는
    -CH=CH-CH=CH- (a-6).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Ar1,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옥시, C1-6알킬티오, 아미노,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C1-6알킬S(O)C1-6알킬 또는 C1-6알킬S(O)2C1-6알킬이고;
    R6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시아노, C1-6알킬, C1-6알킬옥시 또는 Ar2옥시이고;
    R8은 수소, C1-6알킬, 시아노, 히드록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보닐, C1-6알킬옥시카르브닐C1-6알킬, 시아노C1-6알킬, C1-6알킬옥시카르보닐C1-6알킬, 히드록시카르보닐C1-6알킬, 히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C1-6알킬, 할로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 아미노카르보닐C1-6알킬, Ar1, Ar2C1-6알킬옥시C1-6알킬, C1-6알킬티오C1-6알킬이고;
    R10은 수소, C1-6알킬, C1-6알콕시 또는 할로이고;
    R11은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Ar1은 페닐이거나 또는 C1-6알킬, 히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로 치환된 페닐이고;
    Ar2는 페닐이거나 또는 C1-6알킬, 히드록시, 아미노, C1-6알킬옥시 또는 할로로 치환된 페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산소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C1-6알킬, C1-6알킬옥시C1-6알킬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6이 수소이고, R7이 할로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8이 수소, C1-6알킬, 또는 히드록시C1-6알킬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의 화합물, 그의 입체이성질체 형태 및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 부가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2(1H)-퀴놀리논;
    6-[1-(4-클로로페닐)-2-히드록시-(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4-페닐-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1-(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1-(5-메틸-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1-(4-클로로페닐)-2-히드록시-1-(1H-이미다졸-1-일)에틸]-1-메틸-2(1H)-퀴놀리논;
    4-(3-클로로페닐)-6-[(4-클로로페닐)-1-(1H-이미다졸-1-일)메틸]-1-(2-메톡시에틸)-2(1H)-퀴놀리논 에난디오에이트 (2:3) 일수화물;
    6-[(4-클로로페닐)(1H-이미다졸-1-일)메틸]-4-(1,3-벤조디옥솔-5-일)-1-메틸-2(1H)-퀴놀리논 에난디오에이트 (1:1).
  7.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 및 유효성분으로서 치료학상 유효량의 제1 내지 6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8.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 및 제1항 내지 6항에 따른 화합물을 직접 혼합하는, 제7항에 다른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하기 화학식 (XVI)의 화합물 또는 제약학상 허용되는 그의 산부가염.
    <화학식 XVI>
    식 중, 라디칼 R2, R3, R4, R5, R6, R7, R8,R10, 및 R11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0. 하기 화학식 (XV)의 화합물 또는 제약학상 허용되는 그의 산부가염.
    <화학식 XV>
    식 중, 라디칼 R2, R3, R4, R5, R6, R7, R8,R10, 및 R11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1.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6항에 따른 화합물.
  12. a) 하기 화학식 (II)의 이미다졸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염을 화학식 (III)의 유도체를 사용하여 N-알킬화시키거나;
    b) 하기 화학식 (IV)의 중간체 화합물과, 예컨대,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 등의 화학식 (V)(식 중, Y는 탄소 또는 황임)의 시약과 반응시키거나;
    c) 하기 화학식 (VI)의 중간체를 고리화함으로써 화학식 (I-a)의 화합물(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얻거나;
    d) 하기 화학식 (XXVI)의 중간체(여기서, R은 C1-6알킬임)를 산 수용액 중에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화학식 (I-a-1)의 화합물(R1이 수소인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정의됨)을 얻거나;
    e) 화학식 (VII)의 에폭시드를 화학식 (II)의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개환시킴으로써 화학식 (I-b)의 화합물(R8이 히드록시메틸렌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정의됨)을 얻거나;
    f) 화학식 (XVI)의 퀴놀린 유도체를 N-산화시킴으로써 제조된 하기 화학식 (XV)의 중간체 니트론을 에스테르 형성 및 후속적인 가수분해에 의하거나 또는 분자내 광화학적 재배열에 의해 변환시켜서, 화학식 (I-f-1)의 화합물을 얻고;
    필요에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들의 제약학상 허용되는 산부가염으로 전환시키거나, 반대로 산부가염을 알칼리를 사용하여 유리 염기로 전환시키고(또는) 그의 입체 화학적인 이성질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1998-0702088A 1995-10-31 1996-10-25 파르네실트랜스퍼라제억제기능을갖는2-퀴놀론유도체 KR100417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2945.2 1995-10-31
EP95202945 1995-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639A true KR19990063639A (ko) 1999-07-26
KR100417620B1 KR100417620B1 (ko) 2004-05-27

Family

ID=822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088A KR100417620B1 (ko) 1995-10-31 1996-10-25 파르네실트랜스퍼라제억제기능을갖는2-퀴놀론유도체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5968952A (ko)
EP (2) EP1019395B1 (ko)
JP (1) JP4257869B2 (ko)
KR (1) KR100417620B1 (ko)
CN (1) CN1101391C (ko)
AR (1) AR004699A1 (ko)
AT (2) ATE212627T1 (ko)
AU (1) AU712435B2 (ko)
CA (1) CA2231143C (ko)
CY (1) CY2287B1 (ko)
CZ (1) CZ290954B6 (ko)
DE (2) DE69632751T2 (ko)
DK (1) DK1019395T3 (ko)
EA (1) EA000719B1 (ko)
ES (2) ES2171736T3 (ko)
HK (2) HK1027576A1 (ko)
HU (1) HU224032B1 (ko)
IL (1) IL123567A (ko)
MY (1) MY116577A (ko)
NO (1) NO314037B1 (ko)
NZ (1) NZ321576A (ko)
PL (1) PL184168B1 (ko)
PT (1) PT1019395E (ko)
SI (1) SI1019395T1 (ko)
SK (1) SK282642B6 (ko)
TR (1) TR199800720T2 (ko)
TW (1) TW349948B (ko)
WO (1) WO1997016443A1 (ko)
ZA (1) ZA9690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07222T2 (de) 1997-06-02 2003-04-17 Janssen Pharmaceutica Nv (imidazol-5-yl)methyl-2-quinolinone derivativen als inhibitoren von proliferation der glatten muskelzellen
US6565831B1 (en) 1999-02-24 2003-05-20 Oncolytics Biotech Inc. Methods for preventing reovirus recognition for the treatment of cellular proliferative disorders
US6110461A (en) 1997-08-13 2000-08-29 Oncolytics Biotech Inc. Reovirus for the treatment of neoplasia
US6136307A (en) 1997-08-13 2000-10-24 Oncolytics Biotech Inc. Reovirus for the treatment of cellular proliferative disorders
US6319939B1 (en) 1997-12-11 2001-11-20 Janssen Pharmaceutica N.V. Retinoic acid mimetic anlides
DK1097150T3 (da) * 1998-06-16 2004-07-26 Sod Conseils Rech Applic Imidazolylderivater
US6420555B1 (en) 1998-06-16 2002-07-16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s Scientifiques, S.A.S. Imidazolyl derivatives
DE69912790T2 (de) 1998-07-06 2004-09-23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en zur behandlung von arthropathien
CN1152716C (zh) 1998-07-06 2004-06-09 詹森药业有限公司 具体***线感受性的法呢基蛋白质转移酶抑制剂
FR2780892B1 (fr) * 1998-07-08 2001-08-17 Sod Conseils Rech Applic Utilisation d'inhibiteurs de prenyltransferases pour preparer un medicament destine a traiter les pathologies qui resultent de la fixation membranaire de la proteine g heterotrimerique
ES2237125T3 (es) * 1998-08-27 2005-07-16 Pfizer Products Inc. Derivados de quinolin-2-ona utiles como agentes anticancerigenos.
OA11645A (en) 1998-08-27 2004-11-16 Pfizer Prod Inc Alkynyl-substituted quinolin-2-one derivativ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US6284755B1 (en) 1998-12-08 2001-09-04 Merck & Co., Inc. Inhibitors of prenyl-protein transferase
US6316436B1 (en) 1998-12-08 2001-11-13 Merck & Co., Inc. Inhibitors of prenyl-protein transferase
DK1140935T3 (da) 1998-12-23 2003-09-01 Janssen Pharmaceutica Nv 1,2-anellerede quinolinderivater
WO2000047574A1 (en) * 1999-02-11 2000-08-17 Pfizer Products Inc. Heteroaryl-substituted quinolin-2-one derivativ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US6143766A (en) * 1999-04-16 2000-11-07 Warner-Lambert Company Benzopyranone and quinolone inhibitors of ras farnesyl transferase
EP1420015A1 (en) * 1999-06-11 2004-05-19 Societe De Conseils De Recherches Et D'applications Scientifiques S.A.S. Imidazolyl derivatives
EP1106612B1 (en) 1999-11-30 2004-02-11 Pfizer Products Inc. Quinoline derivatives useful for inhibiting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HN2000000266A (es) * 2000-01-21 2001-05-21 Pfizer Prod Inc Compuesto anticanceroso y metodo de separacion de enantiomeros util para sintetizar dicho compuesto.
EP1267848B1 (en) 2000-02-24 2007-10-17 Janssen Pharmaceutica N.V. Dosing regimen comprising a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20030186925A1 (en) * 2000-02-29 2003-10-02 Palmer Peter Albert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anti-tumor nucleoside derivatives
US20030027808A1 (en) * 2000-02-29 2003-02-06 Palmer Peter Albert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platinum compounds
AU2001244167A1 (en) * 2000-02-29 2001-09-12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anti-tumor anthracycline derivatives
CA2397256A1 (en) * 2000-02-29 2001-09-07 Mary Ellen Margaret Rybak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anti-tumor podophyllotoxin derivatives
AU2001254672A1 (en) * 2000-02-29 2001-09-12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an her2 antibody
US20030212008A1 (en) * 2000-02-29 2003-11-13 Palmer Peter Albert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further anti-cancer agents
WO2001064194A2 (en) * 2000-02-29 2001-09-07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camptothecin compounds
EP1263437A2 (en) * 2000-02-29 2002-12-11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vinca alkaloids
JP2003525239A (ja) * 2000-02-29 2003-08-26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タキサン化合物とのファルネシルタンパク質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の組み合わせ剤
WO2001064217A2 (en) * 2000-02-29 2001-09-07 Janssen Pharmaceutica N.V. Combinations of a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with nitrogen mustard or nitrosourea alkylating agents
AU2001252147A1 (en) * 2000-02-29 2001-09-12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US6844357B2 (en) * 2000-05-01 2005-01-18 Pfizer Inc. Substituted quinolin-2-one derivatives useful as antiproliferative agents
JO2361B1 (en) 2000-06-22 2006-12-12 جانسين فارماسيوتيكا ان. في Enaniumer 1,2-anylated quinoline inhibitor for the transporter - farnesyl
EP1322636A1 (en) * 2000-09-25 2003-07-02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transferase inhibiting 6- (substituted phenyl)methyl]-quinoline and quinazoline derivatives
EP1322644A1 (en) * 2000-09-25 2003-07-02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transferase inhibiting 6-heterocyclylmethyl quinolinone derivatives
DE60118225T2 (de) * 2000-09-25 2007-05-03 Janssen Pharmaceutica N.V. Chinolin- und chinazolin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als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en
ATE434615T1 (de) 2000-11-21 2009-07-15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transferase hemmende benzoheterocyclische derivate
DE60118953T2 (de) * 2000-11-28 2007-01-11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protein-transferasehemmer zur behandlung der entzündlichen darmerkrankung
CA2432137C (en) 2000-12-19 2010-12-21 Pfizer Products Inc. Crystal forms of 6-[(4-chloro-phenyl)-hydroxy-(3-methyl-3h-imidazol-4-yl)-methyl]-4-(3-ethynyl-phenyl)-1-methyl-1h-quinolin-2-one, 2,3-dihydroxybutanedioate salts and method of production
ES2260316T3 (es) * 2000-12-27 2006-11-01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quinazolina y quinolina 4-sustituidos que inhiben la farnesil transferasa.
ES2263684T3 (es) * 2000-12-27 2006-12-16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 4-heterociclil-quinolina y -quinazolina que inhiben la farnesil transferasa.
ES2318000T3 (es) * 2001-02-15 2009-05-01 Janssen Pharmaceutica Nv Combinaciones de inhibidores de la farnesil-protein-transferasa con agentes antiestrogenos.
PT1373255E (pt) 2001-03-12 2005-05-31 Janssen Pharmaceutica Nv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tos de imidazole
US6740757B2 (en) 2001-08-29 2004-05-25 Pfizer Inc Enantiomers of 6-[(4-chloro-phenyl)-hydroxy-(3-methyl-3h-imidazol-4-yl)-methyl]-4-[3-(3-hydroxy-3-methyl-but-1-ynyl)-phenyl]-1-methyl-1h-quinolin-2-one and salts thereof, useful in the treatment of cancer
US7408063B2 (en) 2001-12-19 2008-08-05 Janssen Pharmaceutica, N.V. 1,8-annelated quinoline derivatives substituted with carbon-linked triazoles as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s
ATE364384T1 (de) 2002-03-22 2007-07-15 Janssen Pharmaceutica Nv Benzylimidazolyl substituierte 2-chinolon und chinazolinon derivate zur verwendung als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en
ATE336496T1 (de) 2002-04-15 2006-09-15 Janssen Pharmaceutica Nv Farnesyl transferase hemmende tricyclische quinazolinederivate substitutiert mit kohlenstoff-gebundenen imidazolen oder triazolen
FR2841243B1 (fr) * 2002-06-19 2004-08-20 Servier Lab Nouveaux derives de 3-(4-oxo-4h-chromen-2yl)-(1h)-quinolein- 4-o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US20030125268A1 (en) * 2002-08-28 2003-07-03 Rybak Mary Ellen Margaret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inhibitor combinations with anti-tumor anthracycline derivatives
FR2860235A1 (fr) * 2003-09-29 2005-04-01 Yang Ji Chemical Company Ltd Utilisation d'un compose de formule (i) inhibiteur de l'aromatase a des fins therapeutiques et composes de formule (i) en tant que tels
US20050272068A1 (en) * 2004-03-18 2005-12-08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UCH-L1 expression and cancer therapy
EP2433634A3 (en) * 2004-09-17 2012-07-18 The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a-synuclein toxicity
RS52741B (en) 2004-11-05 2013-08-30 Janssen Pharmaceutica N.V. THERAPEUTIC USE OF FARNEZILTRANSPHERASE INHIBITORS AND PROCEDURES FOR MONITORING THEIR EFFICIENCY
US20060194821A1 (en) * 2005-02-18 2006-08-31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Compounds inhibiting the aggregation of superoxide dismutase-1
US20070004660A1 (en) * 2005-06-10 2007-01-0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lkylquinolines and Alkylquinazolines
US20060281755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minopyrimidines kinase modulators
US20060281769A1 (en) *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thienopyrimidine and thienopyridine kinase modulators
US20060281788A1 (en) 2005-06-10 2006-12-14 Baumann Christian A Synergistic modulation of flt3 kinase using a flt3 inhibitor and a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
US7833339B2 (en) 2006-04-18 2010-11-16 Franklin Industrial Minerals Mineral filler composition
EP2545919A1 (en) 2005-12-23 2013-01-16 Link Medicine Corporation Treatment of synucleinopathies
WO2007124322A1 (en) * 2006-04-20 2007-11-01 Janssen Pharmaceutica N.V. Inhibitors of c-fms kinase
DK2021335T3 (da) 2006-04-20 2011-09-05 Janssen Pharmaceutica Nv Heterocykliske forbindelser som C-FMS-kinasehæmmere
US8697716B2 (en) 2006-04-20 2014-04-15 Janssen Pharmaceutica Nv Method of inhibiting C-KIT kinase
DE102007015709B4 (de) 2007-01-25 2009-09-03 Webasto Ag Fahrzeugdach
JP2010529122A (ja) 2007-06-05 2010-08-26 シェーリ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多環式インダゾール誘導体および癌の治療のためのerk阻害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JO3240B1 (ar) 2007-10-17 2018-03-08 Janssen Pharmaceutica Nv c-fms مثبطات كيناز
US7932036B1 (en) 2008-03-12 2011-04-26 Veridex, Llc Methods of determining acute myeloid leukemia response to treatment with farnesyltransferase
US8232402B2 (en) 2008-03-12 2012-07-31 Link Medicine Corporation Quinolinone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synucleinopathies and other indications
WO2009117484A2 (en) 2008-03-18 2009-09-2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mall molecule e2f inhibitor
BRPI0920927A2 (pt) 2008-11-13 2019-09-24 Link Medicine Corp derivados de azaquinolinona e usos dos mesmos
EP2483263B1 (en) 2009-09-30 2018-07-18 Merck Sharp & Dohme Corp. Heterocyclic compounds that are erk inhibitors
WO2011127192A2 (en) 2010-04-06 2011-10-13 Brigham Young University Antimetastatic compounds
WO2011163330A1 (en) 2010-06-24 2011-12-29 Merck Sharp & Dohme Corp.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as erk inhibitors
JP6034784B2 (ja) 2010-07-28 2016-11-30 ジャンセン 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エルエルシー ファルネ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による治療に対する急性白血病応答を判定するための方法
EP2616453A4 (en) * 2010-08-24 2014-07-02 Univ Brigham Young ANTIMETASTATIC COMPOUNDS
EP2613782B1 (en) 2010-09-01 2016-11-02 Merck Sharp & Dohme Corp. Indazole derivatives useful as erk inhibitors
US9351965B2 (en) 2010-12-21 2016-05-31 Merck Sharp & Dohme Corp. Indazole derivatives useful as ERK inhibitors
WO2013052465A1 (en) * 2011-10-02 2013-04-11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1,3]dioxolo[4,5-g]quinoline-6(5h)thione and [1,3]dioxolo[4,5-g][1,2,4]triazolo[1,5-a]quin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he late sv40 factor (lsf) for use in treating cancer
JOP20180012A1 (ar) 2012-08-07 2019-01-30 Janssen Pharmaceutica Nv عملية السلفنة باستخدام نونافلوروبوتانيسولفونيل فلوريد
CN104870454B (zh) 2012-08-07 2020-03-03 詹森药业有限公司 用于制备杂环酯衍生物的方法
WO2015119249A1 (ja) 2014-02-07 2015-08-13 国立大学法人東京医科歯科大学 筋形成促進剤、筋萎縮抑制剤、医薬組成物及びtaz活性化剤
PT3277842T (pt) 2015-08-17 2019-09-05 Kura Oncology Inc Métodos de tratamento de doentes com cancro usando inibidores da farnesiltransferase
EP3133066A1 (en) * 2015-08-21 2017-02-22 Merck Patent GmbH Hydrophilic compounds for optically active devices
EP3133065A1 (en) 2015-08-21 2017-02-22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optically active devices
US9815790B2 (en) 2015-08-27 2017-11-14 Janssen Pharmaceutica Nv Chemically modified quinoline and quinolone derivatives useful as CB-1 inverse agonists
LT3534885T (lt) 2016-11-03 2021-07-12 Kura Oncology, Inc. Farneziltransferazės inhibitoriai, skirti naudoti vėžio gydymui
EP3363793A1 (en) 2017-02-15 2018-08-22 Merck Patent GmbH Hydrophobic compounds for optically active devices
EP3363786A1 (en) 2017-02-15 2018-08-22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optically active devices
WO2019113269A1 (en) 2017-12-08 2019-06-13 Kura Oncology, Inc. Methods of treating cancer patients with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s
TW202108170A (zh) 2019-03-15 2021-03-01 美商庫拉腫瘤技術股份有限公司 以法呢基轉移酶(farnesyltransferase)抑制劑治療癌症患者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501A (en) * 1970-12-23 1975-08-19 Hoffmann La Roche Benzophenone intermediates for 7-lower alkanoyl benzodiazepines
IL65709A (en) * 1981-05-18 1986-01-31 Chevron Res Electroactive polymers
JPS63275548A (ja) * 1987-05-02 1988-11-14 Res Inst For Prod Dev o−アミノベンゾイル化合物の製造方法
CA2002859C (en) * 1988-11-29 1998-12-29 Jean P. F. Van Wauwe Method of treating epithelial disorders
CA2002864C (en) * 1988-11-29 1999-11-16 Eddy J. E. Freyne (1h-azol-1-ylmethyl) substituted quinoline, quinazoline or quinoxaline derivatives
EP0574992A1 (en) * 1992-06-17 1993-12-22 Glaxo Group Limited 5-(1,2,4-Triazol-1-ylmethyl)-3H-isobenzofuran-1-o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aromatase inhibitors
ES2134971T3 (es) * 1994-04-15 1999-10-1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Derivado de acido octahidro-2-naftaleno-carboxilico, su produccion y us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14635A (ja) 1999-12-14
EA199800395A1 (ru) 1998-10-29
CY2287B1 (en) 2003-07-04
DE69618999D1 (de) 2002-03-14
DE69632751D1 (de) 2004-07-22
HUP9802424A2 (hu) 1999-10-28
SI1019395T1 (en) 2002-06-30
NO314037B1 (no) 2003-01-20
EP1019395A1 (en) 2000-07-19
CN1101391C (zh) 2003-02-12
PL328230A1 (en) 1999-01-18
TW349948B (en) 1999-01-11
MY116577A (en) 2004-02-28
IL123567A (en) 2002-11-10
HU224032B1 (hu) 2005-05-30
CZ127298A3 (cs) 1998-12-16
ZA969087B (en) 1998-04-29
ATE269322T1 (de) 2004-07-15
AU7493396A (en) 1997-05-22
EP1106610B1 (en) 2004-06-16
ES2171736T3 (es) 2002-09-16
PL184168B1 (pl) 2002-09-30
TR199800720T2 (xx) 1998-09-21
EP1106610A1 (en) 2001-06-13
MX9802067A (es) 1998-08-30
CN1200732A (zh) 1998-12-02
WO1997016443A1 (en) 1997-05-09
CA2231143A1 (en) 1997-05-09
JP4257869B2 (ja) 2009-04-22
US5968952A (en) 1999-10-19
AU712435B2 (en) 1999-11-04
DK1019395T3 (da) 2002-05-06
EA000719B1 (ru) 2000-02-28
EP1019395B1 (en) 2002-01-30
SK282642B6 (sk) 2002-10-08
IL123567A0 (en) 1998-10-30
CZ290954B6 (cs) 2002-11-13
PT1019395E (pt) 2002-07-31
HK1036064A1 (en) 2001-12-21
ATE212627T1 (de) 2002-02-15
NO980928D0 (no) 1998-03-04
AR004699A1 (es) 1999-03-10
KR100417620B1 (ko) 2004-05-27
HUP9802424A3 (en) 2003-02-28
CA2231143C (en) 2005-06-21
ES2233557T3 (es) 2005-06-16
NO980928L (no) 1998-04-29
SK55698A3 (en) 1999-02-11
DE69618999T2 (de) 2002-09-26
HK1027576A1 (en) 2001-01-19
DE69632751T2 (de) 2005-08-04
NZ321576A (en) 199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639A (ko)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 기능을 갖는 2-퀴놀론 유도체
KR100272676B1 (ko) 파르네실 단백질 트랜스퍼라제 억제 기능을 갖는 (이미다졸-5-일)메틸-2-퀴놀리논 유도체
KR100520401B1 (ko) 파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작용을 갖는 퀴나졸리논
US7067531B2 (en) Farnesyl transferase inhibiting 6-heterocyclylmethyl quinolinone derivatives
EP1339709B1 (en) Farnesyl transferase inhibiting benzoheterocyclic derivatives
MXPA98002067A (en) Derivatives of the 2-quinolone inhibitors of the farnesil transfer
EP0991643A1 (en) Novel aminooxyamide tricyclic inhibitors of farnesylprotein transfer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