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854A - 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 - Google Patents

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854A
KR19990044854A KR1019980042943A KR19980042943A KR19990044854A KR 19990044854 A KR19990044854 A KR 19990044854A KR 1019980042943 A KR1019980042943 A KR 1019980042943A KR 19980042943 A KR19980042943 A KR 19980042943A KR 19990044854 A KR19990044854 A KR 1999004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copper
paste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387B1 (ko
Inventor
나오키 고토
마사아키 아사노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1999004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09K11/025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non-luminescent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09K11/562Chalcogenides
    • C09K11/565Chalcogenides with zinc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copper, silver or gold
    • C09K11/582Chalcogenides
    • C09K11/584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efractory metals
    • C09K11/6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efractory metals containing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15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cerium
    • C09K11/77212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09K11/7734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42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6Vanadates; Chromates; Molybdates; Tungst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2Fluorescent layers

Abstract

자외선 조사에 의해 청색에 발광하는 무기 형광체와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과를 함유하여서 된 형광체 조성물, 상기 형광체 조성물을 분산매체중에 분산시켜서 된 형광체 페이스트 및 상기 형광체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된 감광성 드라이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
본 발명은 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에서 형광체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형광체층에서의 휘도저하의 문제가 해결되고, 청색발광 무기형광체를 함유한 형광체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형광체 페이스트 및 상기 페이스트로부터 얻어진 감광성 드라이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는 2매의 마주보는 유리기판에 각각 규칙적으로 배열한 한쌍의 전극을 설치하고, 이 사이에 Ne 등을 주체로 하는 가스를 봉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주변의 미소한 셀내에서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각 셀을 발광시켜서 표시를 행하게 하고 있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셀을 선택적으로 방전 발광시킨다. 이 PDP에는 전극이 방전공간에 노출하고 있는 직류형(DC형)과 절연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교류형(AC형)의 2유형이 있고, 둘 모두 표시기능과 구동방법의 차이에 의해, 다시 리프래쉬 구동방식과 메모리 구동방식으로 분류된다.
도 1은 AC형 PDP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은 전면판(11)과 배면판(12)을 떨어진 상태로 나타낸 것이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로 이루어진 전면판(11)과 배면판(12)이 상호 평행하면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배면판(12)의 전면측에는 여기에 수직으로 베리어리브(13)가 고착되고, 이 베리어리브(13)에 의해 전면판(11)과 배면판(12)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전면판(11)의 배면측에는 투명전극인 유지전극(14)과 금속전극인 바스전극(15)으로 이루어진 복합전극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을 피복해서 유전체층(16)이 형성되어 있고, 다시 이 위에는 보호층(17)(MgO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판(12)의 전면측에는 상기 복합전극과 직교하도록 베리어리브(13)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아드레스 전극(18)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다시 베리어리브(13)의 벽면과 셀저면을 피복하게 해서 형광체층(19)가 설치된다.
이 AC형 PDP에는 전면판(11)상의 복합전극 사이에 교류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해서 전장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전면판(11)과 배면판(12)과 베리어리브(13)로 구획된 표시요소로서 각 셀내에서 방전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방전에 의해 생긴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19)을 발광시켜, 전면판(11)을 투과해서 온 빛을 관찰자가 인식하게 된다.
이 형광체층의 도포형성방법으로서는 형광체를 함유시킨 페이스트를 실크스크린에 의해 인쇄 및 소성하는 방법, 상기 형광체 페이스트를 감광성으로 해서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또는 감광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포토레지스트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 제안된 어떤 방법에 있어서도 최종적으로 형광체층중에 유기물이 잔존하지 않게 적당한 온도에서 소성처리시켜서 형광체층이 형성되고 있지만, 이 소성공정에 있어서 형광체의 감도(휘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어떤 형광체에 대해서도 많거나 적게 발생하지만, 특히 청색형광체의 경우에는 휘도저하가 현저하게 되고, 특히 포토리조그래피법에 의해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현저하다. 그 결과 충분한 성능을 갖는 PDP 배면판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성에 의한 휘도저하가 적은 형광체층을 제공할 수 있는 청색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청색에 발광하는 무기형광체와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을 함유하여 된 형광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형광체 조성물을 분산매체중에 분산하여서 된 형광체 페이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형광체 페이스트로부터 얻어진 감광성 드라이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은 소성에 의한 휘도저하가 현저하게 적어지고, 따라서, PDD의 배면판에서 형광체층으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에 사용된 청색발광의 형광체 자체는 종래공지의 청색발광의 형광체이고, 예를 들면 ZnS : Ag + 적색 안료, Y2SiO3: Ce, CaWO4: Pb, Y2SiO5: Ce, YP0.85V0.15O4, ZnS : (Ag, Cd), BaMgAl14O23: Eu, BaMgAl16O27: Eu, BaMg2Al14O23: Eu, BaMg2Al14O27: Eu, BaMgAl10O17: Eu 등과 같은 BaMg-알루미나이드 : Eu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물론 이들의 형광체는 적어도 1종류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형광체에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을 배합한다. 구리로서는 미세한 구리분말이 사용되고, 구리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질산구리(硝酸銅), 황산구리, 염화구리 등의 구리의 무기산염, 포름산구리, 아세트산구리, 프로피온산구리 등의 구리의 유기산염 및 구리알콕사이드 등의 구리의 유기금속화합물 등이 있다. 이들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은 상기 청색형광체 100중량부 마다 일반적으로 0.0001 내지 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의 배합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되면, 청색형광체의 휘도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한편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의 배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청색에 의한 휘도 노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상기 형광체에 대한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의 배합방법은 일반적인 모든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형광체의 분체와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의 분체를 혼합하는 방법,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의 용액 또는 분산액중에 형광체 분말을 혼합하는 방법,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형광체 분말에 첨가하는 방법, 감광성 수지액중에 형광체와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을 혼합하는 방법 등과 같이 어느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형광체 페이스트는 상기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을 적당한 분산매체중에 분산시켜서 제조한다. 분산매체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스크린인쇄용 베니스 또는 감광성 수지액이 있다.
스크린인쇄용 베니스는 적당한 유기용제중에 비감광성의 바인더 수지를 용해시킨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형광체 페이스트로 한 경우에, 그의 점도가 약 10 내지 1000포이즈(poise),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포이즈로 되게 한 것이다. 사용하는 바인더로서는 종래 공지된 스크린인쇄용 잉크의 바인더가 모두 사용가능하지만, 바람직한 바인더는 PDP 패널 작성시의 소성에서의 유기물이 충분히 소실되는 수지이고,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계 수지등이 있지만, 특히 바람직한 바인더 수지는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초락산(酢酪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유도체가 있다. 이들의 바인더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사용량은 상기 형광체 조성물 100중량부 마다 약 2 내지 45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바인더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 잉크의 도포적성, 도막의 강도 등이 불충분하고, 한편 바인더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 이후에 행하는 소성공정에 있어서, 소성불량에 의한 착색, 형광면의 균열 등의 문제가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유기용제로서는 종래 스크린인쇄잉크에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제라면 어떤것이라도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디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의 알콜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시클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계 용제,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이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용제의 사용량은 얻어진 페이스트의 실크스크린인쇄적성에 적합하게 점도(25℃)가 약 50 내지 3000포이즈의 범위로 되는 양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은 형광체 페이스트의 무기물의 고형분 함유량은 페이스트 전량의 약 45 내지 97중량%을 점하는 범위가 일반적이고, 형광체 페이스트의 유기물의 고형분 함유량은 페이스트 전량의 약 3 내지 55중량%을 점하는 범위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형광체 페이스트가 감광성인 경우에는 상기 형광체 조성물을 감광성 수지액에 첨가혼합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산시키고, 동시에 적당한 점도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감광성 수지액은 종래 공지된 어떤 감광성 수지도 좋지만, 바람직한 감광성 수지는 베이스 폴리머(a),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b) 및 광중합개시제(c)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폴리머(a)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과 다른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공중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도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클로톤산 등의 모노카르본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그외에 말레인산, 퓨말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본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과 반에스테르(half-ester)도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얻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희석 알칼리 현상형으로 하는 경우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을 15 내지 30중량% 정도(산가로서 100 내지 200㎎KOH/g정도) 공중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트산비닐, 알킬비닐에테르 등이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b)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로일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아크릴록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록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글리시딜에테르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가 있다. 이들 다관능 모노머는 단관능 모노머와 함께 적당량 병용할 수도 있다.
단관능 모노머의 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프탈산유도체의 반(메타)아크릴레이트(half(meta)acrylate), N-메티로일(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이 있다.
베이스 폴리머(a)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b)의 비율은 10 내지 200중량부, 특히 40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b)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감광성 조성물의 경화불량에 의해 막의 가요성(可撓性)의 저하, 막의 현상속도의 지연을 초래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b)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조성물의 점착성의 증대, 콜드프로우, 경화레지스트의 박리속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벤질디페닐디설파이드, 벤질디메틸케탈, 디벤질, 디아세틸, 안트라퀴논, 나프트퀴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벤조페논, p,p'-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p,p'-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p,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피페로인에틸에테르,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헥사아릴이미다졸이중체, 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페닐글리옥시레이트, 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디벤조스팔론,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파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1-프로파논, 트리브로모페닐술폰, 트리브로모메틸페닐술폰 등이 있다. 이 경우의 광중합 개시제(c)의 총배합비율은 베이스 폴리머(a)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b)과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중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와 같이 해서 얻은 감광성 형광체 페이스트의 무기물의 고형분 함유량은 페이스트 전량의 약 20 내지 60중량%을 점하는 범위가 일반적이고, 유기물의 고형분 함유량은 페이스트 전량의 약 1 내지 30중량%을 점하는 범위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드라이필름은 상기의 감광성 형광체 페이스트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과 폴리프로필렌필름 등의 적당한 기재 필름상에 도포 및 건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형성된 감광성 형광체층의 두께는 약 10 내지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본 발명의 드라이필름이 형성되지만,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PDP 배면기판에 대한 형광체 함유층의 압입(전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광체 함유층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드라이필름의 보존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형광체 함유층 또는 점착제층의 표면에 상기 기재 필름과 동일한 필름을 부착하여 보호층으로도 할 수 있다. 사용에 따라서는 상기 보호층을 박리해서 PDP 배면기판 표면에 형광체 함유층을 전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 형광체 페이스트 또는 감광성 드라이 필름을 이용한 PDP 배면판용 형광체층의 형성방법은 종래 공지의 방법 어느 것도 좋고,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 [%] 또는 [부]로 하는 것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 경우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하기 성분을 혼합 및 분산시켜서 본 발명의 감광성 형광체 페이스트를 작성하였다. 또한, 사용한 구리화합물과 그의 사용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형광체(화성오프니크제 PDP용 청색형광체 상품명 KX-501A 형광체 화학조성식 BaMgAl10O17: Eu) 52.0부
메틸셀룰로스 5.7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7.5부
트리메티로일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7.5부
3-메톡시-3-메틸-1-부탄올 32.8부
중합개시제(일가큐아907) 2.0부
중합개시제(카야큐아DEPX-S) 1.0부
구리화합물(표 1참조) X부
상기 페이스트의 25℃ 점도(포이즈)는 약 200이다.
표 1
실시예 번호 구리 화합물 첨가량(ppm)
실시예 1 질산구리 5
실시예 2 질산구리 10
실시예 3 질산구리 30
실시예 4 질산구리 50
비교예 1 사용하지 않음 -
상기에서 얻어진 각각의 형광체 페이스트를 바탕 유리표면에 플레이트 코팅에 의해, 건조후 막두께 20 내지 30㎛로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30분 건조후, 노광 및 경화시켰다(노광량 400mJ/㎠). 각각의 형광체층을 450℃의 온도에서 30분간 소성하고, 냉각후 각 샘플의 휘도를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방법〉
진공용 챔버내에서 엑시머광 발광 램프로부터 파장 146㎚의 진공자외광을 각 샘플에 조사하고, 각 샘플로부터의 발광을 분광광도계에서 그의 휘도 및 색도를 측정하였다. 순서로서는 챔버에 기준용 샘플과 상기 샘플을 세트하고, 로타리 펌프에서 배기후 초고순도 질소가스에서 15분간 정제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기준 샘플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 기준 샘플의 순서로 행하였다. 엑시머광 조사장치로서는 우시오전기제의 UER20H-126을 사용하고, 분광광도계(주)토프콘제의 SR-1을 이용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의 기준 샘플은 구리화합물 미첨가의 형광체(화성오프트니크제 PDP용청색형광체 상품명KX-501A형광체 화학조성식 BaMgAl10O18: Eu)이다. 또한, 표중의 휘도값은 기준 샘플의 휘도를 색도 y에서 제한값을 100으로 하는 경우의 상대값이다.
표 2
실시예 번호 휘도
실시예 1 59.8
실시예 2 63.5
실시예 3 66.6
실시예 4 68.4
비교예 1 57.9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
하기 성분을 혼합 및 분산시켜서 본 발명의 비감광성의 형광체 페이스트를 작성하였다. 또한, 사용한 구리화합물과 그의 사용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형광체(화성오프니크제 PDP용 청색형광체 상품명 KX-501A 형광체 화학조성식 BaMgAl10O17: Eu) 50.0부
에틸셀룰로스 5.0부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45.0부
구리화합물(표 3참조) X부
상기 페이스트의 25℃ 점도(포이즈)는 약 200 내지 300이다.
표 3
실시예 번호 구리 화합물 첨가량(ppm)
실시예 5 질산구리 5
실시예 6 질산구리 10
실시예 7 질산구리 30
실시예 8 질산구리 50
비교예 2 사용하지 않음 -
상기에서 얻어진 각각의 형광체 페이스트를 바탕 유리표면에 플레이트 코팅에 의해, 건조후 막두께 20 내지 30㎛로 되도록 도포하고, 120℃에서 30분 건조후, 노광 및 경화시켰다. 각각의 형광체층을 450℃의 온도에서 30분간 소성하고(히타온도 495℃), 냉각후 각 샘플의 휘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방법 및 기준 샘플은 상기와 동일하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실시예 번호 휘도
실시예 5 84
실시예 6 87
실시예 7 90
실시예 8 93
비교예 2 82
실시예 9 내지 13 및 비교예 3
하기 성분을 혼합 및 분산시켜서 본 발명의 감광성 형광체 조성물을 작성하였다. 또한, 사용한 구리화합물과 그의 사용량은 표 5에 나타내었다.
형광체(일아화학공업제 PDP용 청색형광체 상품명 NP-107 형광체 화학조성식 BaMgAl10O17: Eu) 63.0부
하기 베이스폴리머 11.0부
하기 에틸렌성불포화화합물 13.0부
하기 광중합개시제 2.0부
디옥틸프탈레이트 10.0부
구리화합물(표 5참조) X부
(베이스폴리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n-부틸메타크릴레이트/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의 공중합비율이 중량기준으로 55/8/15/22인 공중합체(산가 143.3, 유리전이점 66.3℃, 중량평균분자량 8만)
(에틸렌성불포화화합물)
트리메티로일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600)디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옥사이드변성프탈산아크릴레이트(공영사유지공업주식회사제)의 중량비 20/10/6의 혼합물
(광중합개시제)
벤조페논/p,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의 중량비 8/0.15/1의 혼합물.
표 5
실시예 번호 구리 화합물 첨가량(ppm)
실시예 9 질산구리 5
실시예 10 질산구리 10
실시예 11 질산구리 30
실시예 12 질산구리 50
실시예 13 질산구리 100
비교예 3 사용하지 않음 -
드라이 필름의 제조
상기의 감광성 조성물을 플레이트 코팅을 이용해서 두께 2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도포하고, 실온에서 1분 30초간 방치한 후, 90℃의 오븐에서 30분간 건조해서, 감광성 조성물의 막두께가 30㎛의 본 발명의 드라이필름으로 하였다(단, 보호필름은 설치하지 않음)
유리기판으로의 라미네이트
이 드라이 필름을 오븐에서 60℃로 예열한 바탕 유리 표판위에 라미네이트롤 온도 100℃, 라미네이트롤압 3㎏/㎠, 라미네이트 속도 1.5m/min로 라미네이트하였다. 그 후, 노광량 400mJ/㎠에서 노광 및 경화시켰다. 각각의 형광체층을 550℃의 온도에서 30분간 소성하고, 냉각후 각 샘플의 휘도를 평가해서 표 6의 결과를 얻었다. 평가방법 및 기준 샘플은 상기와 동일하다.
표 6
실시예 번호 휘도
실시예 9 76
실시예 10 80
실시예 11 85
실시예 12 90
실시예 13 82
비교예 3 7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포 및 소성후에 있어서도 휘도저하가 적고, PDP 배면판의 제조에 유용한 형광체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형광체 페이스트 및 감광성 드라이필름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자외선조사에 의해 청색에 발광하는 무기 형광체와 구리 또는 구리화합물을 함유하여서 되는 형광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형광체는 ZnS : Ag + 적색 안료, Y2SiO3: Ce, CaWO4: Pb, Y2SiO5: Ce, YP0.85V0.15O4, ZnS : (Ag, Cd), BaMgAl14O23: Eu, BaMgAl16O27: Eu, BaMg2Al14O23: Eu, BaMg2Al14O27: Eu, BaMgAl10O17: Eu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형광체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구리 화합물은 구리의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유기금속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형광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은 무기형광체 100중량부 마다 0.00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로 함유되는 형광체 조성물.
  5. 제 1항에 기재된 형광체 조성물을 분산매체중에 분산시켜서 되는 형광체 페이스트.
  6. 제 5항에 있어서, 분산매체가 비감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형광체 페이스트.
  7. 제 5항에 있어서, 분산매체가 감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형광체 페이스트.
  8. 제 7항에 기재된 형광체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된 감광성 드라이필름.
  9. 제 5항에 기재된 형광체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된 형광체층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8항에 기재된 감광성 드라이필름으로부터 형성된 형광체층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9980042943A 1997-10-15 1998-10-14 형광체조성물,형광체페이스트및감광성드라이필름 KR100331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643097A JP3774046B2 (ja) 1997-10-15 1997-10-15 蛍光体組成物、蛍光体ペースト及び感光性ドライフイルム
JP296430/1997 1997-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854A true KR19990044854A (ko) 1999-06-25
KR100331387B1 KR100331387B1 (ko) 2002-10-19

Family

ID=1783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943A KR100331387B1 (ko) 1997-10-15 1998-10-14 형광체조성물,형광체페이스트및감광성드라이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12860B1 (ko)
JP (1) JP3774046B2 (ko)
KR (1) KR100331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827B1 (ko) * 2000-10-13 2003-12-31 주식회사 제너럴 라이팅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일체형 평판형광등의 형광체도포방법
KR100767929B1 (ko) * 1999-10-19 2007-10-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방전 패널 및 가스방전 패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666A (ko) * 2001-08-03 2003-02-12 이영기 축광성 장잔광 형광체 분말을 포함하는 다용도 슬러리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6750266B2 (en) * 2001-12-28 2004-06-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photon photosensitization system
KR100696697B1 (ko) * 2005-11-09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891004B2 (ja) * 2006-08-31 2012-03-0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及び金属配線パターン
US20110074284A1 (en) * 2009-09-29 2011-03-31 Jong-Hee Lee Composition for protective layer of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14348A (ko) * 1968-10-07 1970-04-09
US3891886A (en) * 1969-03-28 1975-06-24 Rca Corp Cathode ray tube having a luminescent screen including a two component white-emitting phosphoric mixture
US3898174A (en) * 1973-08-27 1975-08-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erium-activated calcium sulfide phosphor which is sensitized to respond both to short wavelength and long wavelength ultraviolet excitation
JPS50133986A (ko) * 1974-04-10 1975-10-23
GB1581830A (en) * 1976-06-01 1980-12-31 Secr Defence Phosphors
JPS532065A (en) * 1976-06-29 1978-01-10 Toshiba Corp Cathode ray tube for colour television
JPS54100663A (en) * 1978-01-25 1979-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Fluorescent screen for cathode-ray tube
JPS5944328B2 (ja) * 1979-06-13 1984-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緑色発光螢光体の精製方法
US4431942A (en) * 1981-11-04 1984-02-14 North American Philips Electric Corp. Color-corrected hid mercury-vapor lamp having good color rendering and a desirable emission color
JPS60147490A (ja) * 1984-01-13 1985-08-03 Yoshida Takehiko 硫化物螢光体
JPS61243884A (ja) * 1985-04-22 1986-10-30 Kasei Optonix Co Ltd 螢光体
JPH02240187A (ja) * 1989-03-14 1990-09-25 Toshiba Corp 陰極線管および青蛍光体の製造方法
JP2751413B2 (ja) * 1989-06-02 1998-05-18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用蛍光体スクリーン
US6022652A (en) * 1994-11-21 2000-02-08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High resolution flat panel phosphor screen with tall barriers
JPH10298547A (ja) * 1997-04-23 1998-11-10 Sony Corp 陰極線管及び青色蛍光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29B1 (ko) * 1999-10-19 2007-10-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방전 패널 및 가스방전 패널의 제조방법
KR100413827B1 (ko) * 2000-10-13 2003-12-31 주식회사 제너럴 라이팅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일체형 평판형광등의 형광체도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16947A (ja) 1999-04-27
US6312860B1 (en) 2001-11-06
JP3774046B2 (ja) 2006-05-10
KR100331387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20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331387B1 (ko) 형광체조성물,형광체페이스트및감광성드라이필름
JPH0914775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3925A (ja) フォトレジストフィルム
JP424064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ペースト塗布装置
JPH0895239A (ja) フォトレジストフィルム
KR100303747B1 (ko) 감광성수지필름및그의용도
JP2001216895A (ja) 蛍光体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3641306B2 (ja) パターン形成法
JP3984411B2 (ja) 蛍光体組成物、蛍光体ペースト、および蛍光体含有感光性フィルム、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4088705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基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2979A (ja) 感光性蛍光体ペースト
JP200020805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蛍光面とその形成方法
JPH11242327A (ja) 感光性エレメント、その製造方法、感光性エレメントを用いる蛍光体パターンの製造法、蛍光体パターン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板
JP2004296177A (ja) 無機粉末含有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部材の製造方法
KR1008982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H1112091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背面板の製造方法及びドライフイルム
KR19990077968A (ko) 형광체패턴의형성방법및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JP2000007925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0147766A (ja) 蛍光体パターン形成用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背面板の製造方法
JPH11176330A (ja) 蛍光体パターン形成用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背面板の製造方法
JPH0896711A (ja) 蛍光体パターン形成法
JPH11125901A (ja) 感光性樹脂フイルム、該フイルムを用いる蛍光体パターンの形成方法、該フイルムを用い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板の製造方法、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010267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105261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背面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