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084A - 로우 프로파일 콘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우 프로파일 콘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084A
KR19980042084A KR1019970058102A KR19970058102A KR19980042084A KR 19980042084 A KR19980042084 A KR 19980042084A KR 1019970058102 A KR1019970058102 A KR 1019970058102A KR 19970058102 A KR19970058102 A KR 19970058102A KR 19980042084 A KR19980042084 A KR 1998004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plug
trace
connecto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847B1 (ko
Inventor
게리케인베드룸
Original Assignee
토마스엘.피터슨
아이티티매뉴팩츄어링엔터프라이즈,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엘.피터슨, 아이티티매뉴팩츄어링엔터프라이즈,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토마스엘.피터슨
Publication of KR1998004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넥터 시스템은 접촉부재와 터미널을 정밀하게 접속 배열시키는 작은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속된 트레이스(42)를 갖는 회로 기판(32)과 이 트레이스의 위에 배열되어 트레이스 사이에 공동(16)을 형성하는 상부 벽부(44)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36)을 포함한다. 플러그 전면부는 연속된 복수의 접촉부재(60)의 배열을 가지며, 공동에 인입되어 트레이스와 맞물리게한다. 플러그 전면부는 캠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형성된 캠 종동부(112)를 갖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부 벽부는 연속된 캠 표면(120)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접점 상에 있는 트레이스 맞물림 배치(114)가 트레이스에 대향하여 아랫방향으로 움지이게 한다. 상부 벽부는 캠 표면을 형성하고 하방으로 구부러진 복수의 연속된 립(72)을 가진다. 플러그 하우징(62)은 연속된 세퍼레이터를 갖고, 립 사이에 있는 공간에 인가된다. 플러그는 측면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지된 접촉부재(246,248)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부(230)과, 접지된 접촉부재의 전면부(262)가 접지된 접촉부재 사이에 배열된 신호 접촉부재(260)와, 신호 접촉부재 아래에 배열된 접지된 가지부(26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우 프로파일 콘넥터 시스템
본 발명은 리셉터클에 필요한 공간의 높이 및 깊이를 최소화하고 접촉 표면의 정밀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그 제조비용을 최소화하는 콘넥터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현재, 휴대용 셀방식 전화기는 리셉터클 콘넥터나 리셉터클에 연결되는 작은 개구와, 전화기 내의 회로기판상의 트레이스에 납땜 결합된 테일을 갖는 리셉터클 접촉부재가 제공된다. 휴대용 셀방식 전화기는 점점 소형화됨에 따라서, 리셉터클을 이용하는 점유공간이 작아지고 매우 작은 접촉부재가 사용된다. 실제로, 콘넥터 부품 제조와 마지막 최종 사용자가 조립하는 동안 부품 크기의 변동으로 인하여 회로기판의 트레이스상에 리셉터클 접촉부재의 테일을 정밀하게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리셉터클 개구 둘레의 영역은 동일한 리셉터클을 구입하는 상이한 전화 제조업자들에 따라 변화하고, 이러한 리셉터클을 갖는 플러그의 모든 배열은 리셉터클의 공동에 삽입하여 맞추어지는 플러그의 표면에 의해 달성된다.
리셉터클 콘넥터는 상부면과 이 상부면상에 측면으로 연장되는 트레이스의 배열을 갖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부면의 위로 나열되는 상부 벽을 갖고 이 상부벽과 회로 기판 사이에 공동(cavity)을 형성한다. 플러그 콘넥터는 이 공동 내에 알맞게 끼워지는 전면부와, 회로기판의 트레이스를 이용하고 측면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접촉부재의 배열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부벽은 측면으로 연장되는 캠 표면의 배열을 가지는데, 이 캠 표면들은 각각 플러그 접촉부재 상에 있는 캠-종동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되고, 접촉부재상에 있는 트레이스 맞물림부가 트레이스와 맞물리도록 접촉부재를 누르게된다. 각 접촉부재의 캠 종동부는 상기 접촉부재가 공동에 끼워지고 나서 캠 표면과 맞물리게 된다.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부벽은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립을 포함하며, 이 립의 하위 표면은 캠 표면을 형성하고, 이 립은 이격되어 슬롯을 형성한다. 플러그 하우징은 평면인 세퍼레이터의 배열을 포함하고, 이 세퍼레이터는 플러그의 접촉부재를 분리하며 복수의 립 사이의 슬롯에 끼워진다.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정밀하게 측면으로 배열하는 것은 슬롯의 벽을 갖는 세퍼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플러그 상의 동축 케이블 장치는 측면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지 접촉부재로 구성된 접지 콘덕터를 포함한다. 신호 접촉부재는 접지 접촉부재의 전면부 사이에 측으로 나열된 전면부분을 가지며, 3개의 접촉부재는 모두 회로 기판상의 대응하는 트레이스에 대향하여 아랫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접지 콘덕터는 신호 접촉부재 아래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지만 신호 접촉부재가 일직선으로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체로 전방으로 곧게 연장되지 않는 접지된 가지부(grounded tin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한 새로운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계속되는 자세한 설명으로 잘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부피를 요구하고, 리셉터클 터미널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배치시키며, 적은 비용의 콘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 콘넥터를 구비한 휴대폰을 동일 크기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플러그 콘넥터와 리셉터클 콘넥터를 나타내는 콘넥터 시스템에 대한 실물 크기의 분해 조립도.
도 3은 도 2의 플러그 콘넥터를 나타내는 실물크기의 분해조립도와, 플러그 콘넥터를 보호하는 클램 쉘 조립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플러그 콘넥터와 리셉터클 콘넥터가 완전하게 결합된 도 2의 실시예를 4-4선을 따라 취한 측면도.
도 5는 플러그 접촉부재가 리셉터클의 캠 표면을 제1로 이용하여 삽입된 플러그 콘넥터를 갖는 도 4의 실시예를 4-4선을 따라 취한 측면도.
도 6은 플러그 접촉부재와 한 쌍의 세퍼레이터를 나타내고, 도 5에 나타낸 플러그에 대한 실물크기의 부분 분해 조립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리셉터클에 대한 부분 정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콘넥터의 전단부의 부분 배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리셉터클 콘넥터의 리셉터클 하우징과 회로기판에 대한 실물크기의 부분 분해 조립도.
도 10은 유사한 리셉터클을 갖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플러그 콘넥터를 나타내는 도 5와 유사한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리셉터클의 플러그 콘넥터를 나타내는 도 10과 유사한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콘넥터의 동축 케이블 조립에 대한 실물크기의 배면 분해 조립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에 대한 실물크기의 유사한 부분 분해 조립 측면도.
도 14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실물크기의 배면도.
도 15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의 측단면도와, 결속이 발생되는 동안 리셉터클 캠 표면과 처음으로 만나는 것과같은 부분 정면도를 나타내며, 완전히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에서 허상의 선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용 셀방식 전화기
12: 리셉터클 콘넥터
14: 로우(배열)
16: 공동
30: 플러그 콘넥터
36: 리셉터클 하우징
60: 접촉부재
64: 세퍼레이터
72: 립
92: 래치 액츄에이터
94: 래치 스트립
114: 트레이스 맞물림부
140: 갭
221, 222, 223: 회로기판 트레이스
도 1은 터미널의 배열(14)을 갖는 리셉터클 콘넥터(12)를 구비하여 플러그 콘넥터를 이 리셉터클 콘넥터의 공동부(16)에 삽입함으로써 플러그 콘넥터의 접촉부재와 리셉터클 콘넥터를 접속시키는 휴대용 셀방식 전화기를 나타낸다. 측방 L의 폭은 배열(14)된 터미널의 수와 크기에 의해 넓은 범위까지 결정된다. 리셉터클 콘넥터의 수직방향 V의 높이와 정면과 후면의 길이 F, R은 전화기에 내에 회로를 수용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가능한한 작게하여야 한다. 특히 휴대용 전화기는 점점 소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리셉터클 콘넥터(12)는 콘넥터 제조업자들이 제조하여, 전화기 제조업자들이 이 리셉터클 콘넥터를 전화기의 회로 기판에 조립하도록 한다. 전화기 제조업자들은 주조된 전화기 케이스(20)의 크기와 형태를 설계하고, 다른 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러그 콘넥터를 결합하는 전면부는 공동(16)에 맞게 설계되어야 하고, 전화기 케이스(20)보다 큰 부분이 없어야 한다.
도 2는 리셉터클 콘넥터(12)와 플러그 콘넥터(30)의 결속을 좀더 자세하게 나타낸다. 리셉터클 콘넥터는 회로기판(32)과 특히 회로기판의 에지부(34)를 포함하며, 이 에지부(34)는 리셉터클 하우징(36)의 아래부분에 위치한다. 이 회로기판은 상부면(40)을 가지며, 복수의 전기적인 전도성의 트레이스를 가지며 배열부(14:row)에 배열된다. 리셉터클 하우징(36)은 트레이스(42)보다 상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상벽부(44)를 가지며, 측면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대향하는 측벽부(50,52)를 갖는 상부벽 측면(46, 48)을 구비하기 때문에 회로기판 위에 얹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은 전면벽부(54)와 후면 립(56)에 제공하여 회로기판의 후면 에지 위에 장착할 수 있다. 립은 얇고, 접촉부재를 수용하는 공동의 최소 길이 (A)를 넘지 않는 (M) 두께를 갖는다.
플러그 콘넥터(30)는 콘텍터가 결속될 때, 트레이스의 배열(row fof traces)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플러그 접촉부재의 배열을 포함한다. 이 플러그 콘넥터는 플러그 점촉부재(60)를 분리한 판과 같이 측면으로 연장된 세퍼레이터(64)의 배열을 갖는 플러그 하우징(6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부벽부(44)는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립(72)의 측면으로 연장된 배열(70)을 포함한다. 이 복수의 립은 측면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립 사이에 슬롯(74)을 만든다. 판과 같은 세퍼레이터(64)는 콘넥터가 결합할 때, 복수의 슬롯(74)으로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이 복수의 슬롯(74)에 있는 복수의 세퍼레이터(64)가 맞물리는 것은 측면 L에 있는 복수의 콘넥터에 정밀하게 배치되고, 각 플러그 접점(60)이 트레이스(42)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터미널의 한 부분에만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트레이스(42)에 의해 형성된 터미널이 회로기판 상에 있는 다른 회로에 연장되고 기판 상에 있는 전기적인 복수의 소자들로 연장되는 것을 주의한다.
도 3은 플러그 콘넥터(30)가 리셉터클 콘넥터의 공동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전단부(80)와, 클램 쉘 어셈블리(90)의 상부 및 하부 쉘(84,86)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배위부(82)를 포함한다. 이 클램 쉘 어셈블리는 래치 스트립(94)을 작동시켜 플러그 콘넥터(30)를 갖는 플러그 콘넥터 어셈블리(96)를 리셉터클 콘넥터(12)에 결속시키는 래치 액츄에이터(92)를 포함한다. 클램 쉘 어셈블리(90)와, 래치 액츄에이터(92) 및 래치 스트립(94)은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자세히 거론하지 않겠다.
도 5는 리셉터클 콘넥터(12)와 부분적으로 결속되기 충분하도록 전방 F(길이 방향 M에 일직선이 되는)로 이동하여 끼워진 플러그 콘넥터(30)를 도시한다. 플러그 접촉부재(60)는 구부러진 도금된 구리 합금 스트립과 같은 금속 스트립으로 만들어진다. 이 접촉부재는 접촉부재를 적소에 형성시키는 것과 같이 플러그 하우징(62)에 고정된 후위부(100)를 포함한다. 접촉부재의 후위 부분은 간략화된 도면으로 도시되며, 케이블 도선(102)에 맞물려 연결되고, 종래 기술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 접촉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04)를 가지며, 세퍼레이터(64)의 상부 및 하부(106,108) 사이에 배치된다. 접촉부재는 리셉터클 콘넥터 공동(16)을 복수의 콘넥터에 완전하게 결속되도록 끼우는 전면부(110)를 포함한다. 이 전면부는 눌려질 수 있는 상부 캠-종동부와 회로기판 트레이스로 형성된 리셉터클 터미널에 맞물리는 하위 트레이스 맞물림부(114)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리셉터클 상부 벽부의 립(72)은 캠부나, 혹은 접촉부재가 삽입될 때 플러그 접촉부재의 캠 종동부(112)에 맞물리도록 설계된 캠표면(120)을 형성한다. 또한 립은 도 4에서 처럼 접촉부가 완전하게 결속된후, 캠 종동부(112)와 맞물리는 수평 홀드다운 표면(122)을 형성한다. 대체로 복수의 립은 캠 표면의 상단부(12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후미 단부 표면(123)을 가진다.
플러그 콘넥터(30)를 전방 F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콘넥터와 결속할 때, 세퍼레이터(64)의 전단부와 플러그 콘넥터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인입선(130)은 처음으로 콘넥터에 일직선으로 나열된다. 정밀하게 배열하는 것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벽부상의 립 사이에 있는 슬롯으로 들어가는 세퍼레이터(64)의 전단부에 의해 바람직하게 성취될 수 있다. 플러그 콘넥터를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은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캠 표면(120)을 맞물리게 초기화하는 접촉부재의 캠 종동부(112)를 생성한다. 아랫방향으로 기울어 연장된 캠 표면(120)은 결과적으로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아랫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캠 종동부(112)를 이동시킨다. 캠 표면은 낮은 마찰력을 가진 물질이다. 접촉부의 트레이스 맞물림부(114)는 트레이스(42)와 접촉부가 맞물릴 때까지 아랫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움직인다. 접촉부(114)와 트레이스를 맞물릴 때 전기적 저항을 낮게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움직일 때 복수의 접촉부재가 아래로 눌려지고, 약간 구부러진다.
각 접촉부재의 전면부(110)는 접촉부재의 중앙 부분(104)과 결합되고, 전방 상향으로 기울어 연장되는 제1 부분과 결합되는 후위 제1 부분(140)을 포함한다. 전방 부분은 제1 부분의 전단부에 있는 제2 부분(142)을 가지며, 이 제2 부분(142)은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며,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부러지는 부분의 상부 표면은 볼록하고 캠 종동부(112)를 형성하게 된다.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제2 부분에서 트레이스 맞물림부(114)를 형성하고 볼록한 하부 표면을 갖는 구부러진 제4 부분(146)까지 전-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제3 부분(144)을 포함한다. 수평 방향과 제3 부분(144)이 이루는 각 B는 리셉터클의 R과 전후방 F에서 요구되는 길이 E로 일정부분까지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각 B는 적어도 20°로하여 리셉터클 콘넥터의 깊이를 제한하고, 회로기판 트레이스에 대향하여 트레이스 맞물림부(114)의 아랫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각 B가 대략 30°이면 알맞은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캠 표면(120)은 각 B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약간 더 큰 기울기 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부재의 제2 부분(142)의 중앙에 맞물리게 한다. 캠 표면(12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 120C에 위치하고, 처음 캠 종단부(112)에 맞물리고서, 설계된 높이보다 약간은 높거나 낮은 접촉 부분에 맞물리게된다. 복수의 콘넥터가 완전하게 결속되었을 때, 접촉부재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게되고, 캠 종동부(112)는 회로기판 트레이스와 맞물리는 동안 홀드다운 표면(122)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세퍼레이터(64)는 대체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평면(148)에 나열된다. 세퍼레이터는 측면으로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고, 접촉부재(60)가 배열된다. 출원인은 플러그 콘넥터의 측면부를 복수의 세퍼레이터(64)와 리셉터클 하우징 상부 벽부(44)에 있는 슬롯(74)(도 7에 도시됨)의 벽부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결정한다. 각 갭(140)과 접촉부재(60)는 상부 벽부 립(72)중 하나의 아래에 일직선이 되게 배열된다. 세퍼레이터를 상부 벽부 슬롯의 벽부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측면부를 정밀하게 배열하게된다. 각 세퍼레이터의 측면 폭 G는 각 슬롯(74)의 폭보다 작게하여 모든 세퍼레이터가 오차에 관계없이 모든 슬롯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리셉터클 하우징(36)이 회로기판 위에 정밀하게 장착되어, 각 립(72)이 대응하는 트레이스(42) 상에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9는 리셉터클 하우징(36)을 회로기판(32)에 형성된 개구(154,156)에 단단히 수용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기둥부(150,152)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회로기판의 후위 에지에 있는 개구(154)는 슬롯 형태이고, 이 기둥부(150)는 슬롯(154) 내에 매우 밀접하게 측면으로 배치된다. 전방 기둥부(152)는 정밀하게 배열 할 필요는 없다. 립(56)은 회로기판의 후위 에지(160)를 감싸고, 플러그를 삽입하도록 경사지게하며, 가능한한 회로기판의 거칠게 잘려진 표면에 비해 부드러운 표면으로 제공된다.
도 10은 상이한 형태의 전면부(172)를 갖는 다른 형태의 접촉부재(170)를 나타낸다. 이 전면부(172)는 접촉부재의 중앙부(176)로부터 전-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1 부분(174)을 포함한다. 제2 부분(180)은 아래로 볼록한 면을 갖는 구부러진 부분을 형성하여 트레이스 맞물림부(182)를 형성한다. 제3 부분(184)은 전-상방으로 기울어져 제4 부분(186)까지 연장된다. 제4 부분(186)은 위로 볼록한 면을 갖는 구부러진 부분을 형성하여 캠 종동부(188)를 형성한다. 도 10에 있어서, 실선은 우선적으로 캠 종동부(188)가 캠 표면(190)에 맞물릴 때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점선은 172A처럼 접촉부재의 전면부가 완전하게 인입된 위치에 있을 때, 182A에 있는 트레이스 맞물림부가 트레이스와 맞물리고, 188A에 있는 캠 종동부가 홀드다운 표면(192)과 맞물린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접촉부재는 캠 종동부(188)가 트레이스 맞물림부(182)의 전방을 향한다는 이점이 있다(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해 청결을 유지하고 좀더 후방으로 배열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접촉부재는 좀더 긴(전후방으로) 리셉터클 하우징(198)을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접촉부재의 전면부(203)(리셉터클 공동에 인입되는 부분)와 정면으로 결합되는 대체로 수평인 중앙부(201)를 갖는 또다른 접촉부재(200)를 나타낸다.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대체로 평행한 제1 부분(205)을 가지며, 대략 170°정도로 구부러져 연장된 제2 부분(202)을 포함하며, 루프의 상부(204)가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캠 종동부를 형성한다. 루프의 하단부(206)는 수평에서 대략 10°정도의 기울기(60°보다 작고 4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로 연장된다. 또한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후-하방으로 기울어져 제4 부분(212)까지 연장되는 제3 부분(210)을 포함하며, 이때 제4 부분은 하방으로 볼록한 표면을 갖도록 구부러져 트레이스 맞물림부를 형성한다. 출원인의 분석결과는 도 11에 도시된 접촉부재가 결속될 때 최소의 압력을 받게되며, 비용면을 제외하고는 바람직함을 나타낸다. 접촉부재(200)는 루프(202)에서 좀더 많이 구부리기 때문에 제조하는데 좀더 많은 비용이 든다. 좀더 확실한 접촉부재의 구부러짐은 216으로 표시된 것처럼 상부 돌출부를 만들어 제공하거나, 루프의 상부를 약간 후미방향으로 당겨지도록(공동의 후미에 도시된 높이 A보다 적게) 함으로써 확실해 진다.
도 2는 플러그 콘넥터(30)가 한 측면에 분리된 동축 케이블부(230)를 가지는 반면에, 리셉터클 콘넥터(12)의 한쪽 측면은 다른 트레이스(42)로부터 분리된 3개의 회로기판 트레이스(221-223)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3개의 회로기판 트레이스(221-223)는 동축 케이블부의 접촉부재에 결합되도록 설계되고, 플러그 동축 케이블부(230)는 보호된 접촉부재의 배열에 결속되도록 만들어진다(대체로 동축 케이블이지만, 스트립 라인이나 그외의 것도 가능하다). 트레이스(222)는 고주파 신호를 운반하는 반면에, 트레이스(221,223)는 접지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따라, 플러그 콘넥터의 동축 케이블부(230)는 접지된 외부 콘덕터(234)(피복된)와 신호 전달용 내부 콘덕터(236)를 포함한 보통 형태의 동축 케이블(232)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것을 알 수 있다.
접지된 외부 콘덕터(234)는 접지 플레이트부까지 연장된 탭(242)과, 접지 플레이트부에서 측-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이격된 접지 접촉부재(246,248)를 포함하는 접지 콘덕터 배열부(240)에 연결된다. 탭(242)과 플레이트부(244) 및 접촉부재(246,248)는 없어서는 안된다. 각 접지 접촉부(246,248)는 캠 종동부(252)를 갖는 전면부(250)를 가지며, 이 캠 종동부는 캠 표면에서 아랫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설계된다. 각 전면부는 리셉터클 콘넥터의 접지 트레이스(221,223)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설계된 트레이스 맞물림부(254)를 구비한다. 동축 케이블부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콘덕터(236)에 연결되고 거기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중앙 접촉부 또는 신호 접촉부(260)를 포함한다. 신호 접촉부(260)는 접지 플레이트부(244)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연장되며, 접지 접촉부(246,248) 사이에 연장된다. 신호 접촉부의 전면부(262)는 복수의 접지 접촉부의 전면부(250) 사이에 배치된다.
접지 콘덕터 배치부재(240)는 접지 플레이트부(24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가지형태의 접지 부분(264:tine)을 포함하며, 신호 접촉부재(260)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지형태의 접지부(264)는 접지 평면부(244)와 탭(242)이 신호 접촉부재의 후미 아래부분에 가가이 배치된 것처럼, 접지 평면부(244)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신호 접촉부재의 아래에 이격된 접지 평면을 제공한다. 접지 평면을 신호 접촉부재의 아래 가깝게 제공함으로써, 표유(stray) 전자기 방사로부터 신호 접촉부재(60)를 보호하며, 동축 배열장치의 특징적인 임피던스를 유지한다. 신호 접촉부의 측면으로 대향하는 측면상에 있는 접지 콘덕터(246,248)는 특징적인 임피던스를 유지하고 표유 신호를 피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것은 측으로 대향하는 접지 평면부(244)의 측면상에서 한 쌍의 세워진 플랜지(270,272)를 제공함으로써 한층더 강화된다.
신호 접촉부(260)와 접지 콘덕터 배열장치(240)는 도 2와 연계하여 기술된 스페이서(64)와 유사한 자리설정 스페이서(276)를 구룹으로 형성하는 전방 벽부를 가지는 유전체 동축 프레임(274)에 장착된다. 이 복수의 스페이서는 신호 접촉부의 전방부분을 고정시키는 중앙 동축 갭(280)과, 접지 접촉부의 전방 부분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측면 동축 갭(282,284)을 형성한다. 동축(coax)이란 단어는 동축 배열장치에만 귀착되는 것이 아니라 동축 케이블에 연결할 수 있는 차폐 배열장치에도 귀착된다.
도 15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콘넥터를 결속하는 동안, 트레이스 맞물림부(254)가 221과 같이 접지 트레이스와 결속할 때까지, 접지 콘덕터 전면부(250)의 캠 종동부(252)가 캠 표면(120)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방법을 나타낸다.
출원인이 설계한 콘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36)을 고정시키는데 효과적인 회로기판의 영역이나 에지부(34)(도 2)는 단지 폭 25mm(L방향으로)이고 깊이 10mm(F, R 방향)이다. 회로기판 면(40)의 상위 알맞은 높이는 5mm이다. 트레이스(42)는 1mm로 이격된다(중앙 대 중앙). 정밀하게 조립하는 것은 모든 접촉부재가 단일 선택된 회로기판 트레이스에 결속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비록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기위해 상부(top), 수평(horizontal) 및 아래(down)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과 이 시스템의 부품중 어스에 대하여서는 모든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며, 여기서 리셉터클 콘넥터는 폭과 깊이가 작고, 리셉터클 콘넥터는 낮은 비용으로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플러그와 리셉터클 콘넥터는 리셉터클 콘넥터를 에워싸는데 필요한 플러그 콘넥터를 절단하지 않고서 결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콘넥터는 트레이스의 로우를 갖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게다가 트레이스 위에 배열된 상부 벽부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포함한다. 플러그 콘넥터는 리셉터클 콘넥터의 회로기판과 상부 벽부 사이에 있는 공간에 끼워지는 전면부를 가지며, 트레이스를 결속하기 위한 전면부를 갖는 복수의 플러그 접촉부를 갖는다.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부 벽부는 플러그 상에 있는 트레이스 맞물림부가 트레이스와 결속할 때까지 플러그 접촉부 상에 있는 캠 종동부를 누르도록 위치한 캠 표면의 배열을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은 플러그 접촉부재를 분리하는 복수의 평판같은 세퍼레이터를 가지고, 리셉터클의 상부 벽부는 스페이서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롯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아랫방향으로 구부러진 복수의 립을 가지며, 이때 복수의 립은 플러그 접촉부를 누르기 위한 캠 표면을 형성하는 하위 표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부를 갖는 플러그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이 동축부는 콘넥터를 수용하기위한 접촉부를 구비하지만, 신호 접촉부 측면에 가깝게 배치된 접지 평면과 다른 접지 표면을 제공한다. 한 쌍의 접지 접촉부는 신호 접촉부의 측면으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된다. 접지된 가지부는 신호 접촉부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여기에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개시한 기술을 통해 복수의 변형을 쉽게 이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길 바라며, 결과적으로 복수의 청구항을 통해 이러한 변형을 커버하려 한다.
본 발명은 리셉터클 콘텍터가 필요로하는 공간의 높이와 깊이를 최소화하고, 접촉 면을 정밀하게 배치하며, 비용을 최소화하는 콘넥터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넥터 시스템은 리셉터클 콘넥터를 낮은 높이와 깊이를 가지도록 하고, 리셉터클 터미널을 정밀하게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27)

  1. 플러그 콘넥터(30)와, 높이가 낮은 리셉터클 콘넥터(12)를 포함하는 콘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콘넥터는 상부면(40)과 이 상부면상에 전도성 트레이스(42,221)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배열(14)을 갖는 회로기판(32)과, 상기 상부면과 전도성 트레이스상에 배치된 상부 벽부(44)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36)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벽부는 측방으로 대향하는 측면(46,48)을 가지며, 상기 상부 벽부와 회로기판은 그 측면들 사이에 공간부분(16)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콘넥터는 전단부(80)가 있는 플러그 하우징(62)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부 캠 종동부(112,188,204,252) 및 하부 트레이스 맞물림부(114,182,214,254)를 갖는 전면부(110,172,203)를 각각 갖는 복수의 플러그 접촉부(60,170,200,246,248,260)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부 벽부는 상기 트레이스에 대항하여 상기 트레이스 맞물림부를 누르기 위해 상기 캠 종동부를 누르도록 배치된 캠 표면(120,190)의 배열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단부(80)는 상기 공간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및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 접촉부를 위치시킴으로써, 플러그 하우징부가 상기 리셉터클 콘넥터를 감쌀 필요가 없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측방향(L)에 수직인 평면(148)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판형 세퍼레이터(64,276)를 갖는데, 상기 세퍼레이터는 인접한 각 쌍의 세퍼레이터들 사이에 갭(140)을 가지고 측면으로 연장하는 배열로 배치되며, 상기 각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갭들중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부 벽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 립을 갖는데, 상기 복수의 립은 립들 사이에 슬롯(74)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있고 캠 표면을 형성하는 하부 표면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갭은 상기 복수의 립중 하나를 각각 수용하며 접촉 트레이스 맞물림부의 하향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106)와 개방된 하부(108)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단부는 복수의 인입선(130)을 갖는데, 상기 인입선은 상기 접촉부재의 전단부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기전에 상기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결속되는 동안 상기 리셉터클에 따라 상기 플러그 전단부의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캠 표면은 전방-하향으로 경사지고 가장 후위에 복수의 상부 단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인입선은 그 인입선이 먼저 상기 공간에 삽입될 때 배치되는 벽부를 가지며, 상기 벽부는 상기 접촉부에 배치되어 상기 캠 종동부(112)가 상기 캠 표면의 상부-단부(125)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부는 상기 캠 표면의 상부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후단부면(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재(60)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구부러질 수 있는 중앙부(104)를 가지며, 상기 각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캠 종동부(112)가 상기 트레이스 맞물림부(114)까지 이어진 제2 부분(144)을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직선으로 연장되어 전-하방으로 기울고, 상기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180°이하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2 부분과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스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하부방향으로 돌출한 표면을 갖는 만곡된 부분(146)을 가지며, 따라서 짧은 길이만큼 트레이스 맞물림부를 눌러 플러그 전단부를 상기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재(170)는 전-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1 부분(174)을 갖는 접촉부재의 전면부(17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전단부를 가지며;
    상기 각 접촉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전단부와 결속되어 쉽게 휘는 제2 부분(180)을 가지며 그 하부표면(182)이 볼록한 트레이스 맞물림부(182)를 형성하고;
    상기 각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전단부를 갖는 제3 부분(184)을 가지며, 상기 각 접촉부재의 전방부는 제3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186)을 포함하여 휘어져 상부 표면(188)이 볼록하여 상기 캠 종동부(188)중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재(200)의 전방부(203)는 수평인 제1 부분(205)과, 상기 제1 부분과 결속되고 대략 170°의 루프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루프에 인접하여 캠부가 배치되는 제2 부분(202)과, 상기 루프로부터 후방-하향으로 기울도록 연장된 제3 부분(210)과, 상기 트레이스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볼록한 하부표면(214)을 형성하도록 휘어진 제4 부분(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6)를 갖고, 상기 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넥터와 리셉터클 콘넥터는 완전하게 결속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전단부는 상기 공간 내에 완전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접촉부의 트레이스 맞물림부는 상기 트레이스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촉부는 3개의 플러그 접촉부재를 가지며, 이 플러그 접촉부재는 접지 접촉부재인 2개의 다른 접촉부재(246,248)의 사이에 측면으로 배치된 중앙의 신호 접촉부(260)와 가지런히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접지 접촉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결속되고 접지되며, 상기 플러그 접촉부는 상기 접지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속되고 상기 신호 접촉부와 맞물려 약간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된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가지부(2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후방 에지(160)를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후방 에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리셉터클 하우징을 보호하는 립(56)을 포함하고, 상기 립의 두께는 상기 접촉부재를 수용하는 위치에서 상기 공동의 최소 높이(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시스템.
  12. 플러그 콘넥터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콘넥터에 있어서,
    상부면(40)과, 이 상부면상에 트레이스(42)의 측면으로 연장된 배열(14)을 가지는 회로기판(32)과;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리셉터클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트레이스상에 배치된 상부 벽부(44)와 상기 회로기판상의 상기 상부 벽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벽부와 이 상부 벽부 및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상기 벽부 사이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개방하는 공동(16)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벽부는 각각 하향-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스중 하나의 트레이스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으로 이격된 복수의 캠 표면(1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콘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콘넥터는, 상기 공간에 삽입가능하고 인접한 세퍼레이터 사이에 복수의 갭(140)을 형성하는 측면으로 이격된 복수의 세퍼레이터(64)를 포함하는 전단부(80)를 갖는 유전체 플러그 하우징(62)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갭중 하나의 갭에 배치되는 전면부(110,172,203)를 갖는 복수의 접촉부재(60,170,200)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의 전면부의 상부 및 하부의 공간은 캠 표면이 접촉부재의 전면부를 하방향으로 누를 수 있고 각 접촉부재의 전면부가 상기 트레이스중 하나의 트레이스와 맞물리도록 상기 갭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콘넥터.
  14. 리셉터클 콘넥터(12)에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콘넥터(30)에 있어서,
    평면의 플러그 하우징을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콘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하우징 전단부(80)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62)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장착되고, 각 접촉부재는 전면부(110,172,203)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접촉부재의 전면부의 하부를 개방하는 복수의 접촉부재(60,170,200)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접촉부재는 수평면으로 연장된 일직선의 구부러질 수 있는 중앙부(104,176,201)와, 경사 부분인 전면부(110,172,20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측면으로 연장된 트레이스(12)의 배열(14)을 갖는 회로기판(32)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스상에 배치된 상부 벽부(44)를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36)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콘넥터(12)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벽부와 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은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기위해 구성된 공동(16)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벽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트레이스중 하나의 트레이스상에 배치되고, 하향-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트레이스중 하나의 트레이스에 대향하여 상기 접촉부재중 하나의 접촉부재를 누르도록 배치된 복수의 캠 표면(120,19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넥터.
  16.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향-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1 부분(140)과, 상기 제1 부분의 정면의 둔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제2 부분(142)과,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하향-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상기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부분(144)과, 상기 제3 부분의 정면에 배치되고 중앙 하부 표면이 구부러져 맞물림부(114)를 형성하는 제4 부분(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넥터.
  17.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접촉부재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하향-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제1 부분(174)과, 상기 제1 부분의 정면에서 볼록한 하부 표면(182)을 형성하는 제2 부분(180)과,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전방-상향으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상기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부분(184)과, 상기 제3 부분의 정면에서 볼록한 상부 표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제4 부분(1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넥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수평인 제1 부분(205)과, 대략 270°의 루프형으로 연장된 제2 부분(202)과, 상기 루프로부터 후방-하향으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경사부를 형성하는 제3 부분(210)과, 상기 제3 부분의 후단부에서 볼록한 하부 표면(214)을 갖도록 구부러져 배치된 제4 부분(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넥터.
  19.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동(16)을 형성하며 전도성 트레이스(42)의 측면으로 연장하는 배열(14)을 갖는 하부 벽부(32)와 상기 트레이스상에 배치되는 캠 표면(120,190)의 배열을 형성하는 상부 벽부(44)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콘넥터(12)와, 전단부(80)를 가진 플러그 하우징(62)과 공동을 삽입하기 위해 구성되고 캠부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캠 종동부(112,188,204,252) 및 상기 트레이스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트레이스 맞물림부(114,182,214,254)를 각각 갖는 접촉부재의 전면부(110,172,203)를 가진 측면으로 연장된 플러그 접촉부(60)의 배열을 포함하는 플러그 콘넥터(96)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동 벽부에 대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정밀하게 위치설정하는 동안, 상기 플러그 전단부를 상기 공동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트레이스에 대항하여 상기 트레이스 맞물림부를 누르기 위하여 상기 캠부로하여금 상기 캠 종동부를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하게 위치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에 배치된 상기 플러그 전단부의 일부분에서만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콘넥터와 리셉터클 콘넥터의 결합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콘넥터는 측면으로 연장된 수직 립(72)의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립은 인접한 복수의 립 사이에 슬롯(74)을 형성하는 벽부를 형성하도록 측면으로 이격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슬롯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측면으로 연장된 스페이서(64,276)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정밀하게 위치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의 벽부를 갖는 세퍼레이터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공동내에 플러그를 측면으로 위치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접지 터미널과 신호 터미널(221,222,223)을 연결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에 있어서,
    측면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지 접촉부재(246,248)를 가지며, 각 접지 접촉부재는 상기 접지 터미널중 하나의 터미널에 대향하여 아랫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전면부(250)를 포함하는 접지 콘덕터 장치(240)와;
    상기 접지 콘덕터 사이에 배치된 전면부(262)를 갖는 신호 접촉부재(26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신호 터미널에 대향하여 아랫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신호 콘덕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콘덕터 장치는 상기 접지 콘덕터에 전기 접속된 전도성 가지부(264)를 포함하며, 상기 가지부는 상기 신호 터미널에 대항하여 하방향으로 구부러질 때까지, 상기 신호 접촉부재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낮게 상기 신호 접촉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방사형 내부 및 외부 콘덕터를 가진 동축 케이블(232)을 포함하는데, 상기 접지 콘덕터 장치는 수평 평면내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에지를 갖는 접지 평판부(244)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 접촉부재와 가지부는 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접지 평판부의 후방 에지는 상기 케이블의 외부 콘덕터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 평판부의 전방 에지는 상기 접지 접촉부재와 상기 가지부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콘덕터는 상기 접지 평판부상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지 평판부는 측면으로 대향하는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접지 콘덕터 장치는 상기 접지 평판부 위에 배열된 신호 접촉부재의 일부분만큼 적어도 높은 접지 평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수직 플랜지(270,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부면(40)과 이 상부면 위에 측면으로 이격된 3개의 트레이스를 가지며, 상기 트레이스는 중앙 신호 트레이스(222)와 이 신호 트레이스의 측면으로 대향하는 측면에 한 쌍의 접지 트레이스(221,223)를 포함하는 회로기판(32)과;
    중앙 동축케이블 갭(280)과 측면 동축케이블 갭(282,284)을 포함하는 측면으로 이격된 3개의 동축케이블 갭을 형성하는 전방 벽부를 갖는 유전체 동축케이블 프레임(274)를 포함하는데, 상기 신호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중앙 동축케이블 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측면 동축케이블 갭 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상에 장착되고, 한 지점에서 상기 동축케이블 프레임의 전방 벽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남겨두기위해 상기 회로기판상에 이격된 상부벽부(44)를 갖는 하우징(36)을 포함하는데, 상기 접촉부재의 전면부는 상기 트레이스 상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상부 벽부는 상기 트레이스에 대항하여 상기 접촉부재의 전면부를 구부리도록 배치된 캠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26. 접지 터미널과 신호 터미널을 연결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지 터미널에 대향하여 하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전면부(25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접촉부재(246,248)을 구비하는 접지 콘덕터 장치(240)와;
    상기 신호 터미널에 대향하여 하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전면부(262)를 갖는 신호 접촉부재(260)를 구비하는 신호 콘덕터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지 콘덕터 장치는 상기 접지 콘덕터에 전기 접속된 전도성 가지부(264)를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는 상기 신호 터미널에 대향하여 하방향으로 구부러질 때까지 상기 신호 접촉부재와 접촉하지 않을 만큼 낮게 상기 신호 접촉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전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방사형 내부 및 외부 콘덕터(236,234)를 갖는 동축 케이블(232)을 포함하는데,
    상기 접지 콘덕터 장치는 상기 신호 접촉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전방 및 후방 에지를 갖는 접지 평판부(244)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에지는 상기 케이블의 외부 콘덕터에 접속되고, 상기 전방 에지는 상기 접지 접촉부재의 후단부와 상기 가지부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콘넥터 장치.
KR1019970058102A 1996-11-05 1997-11-05 저프로파일커넥터시스템 KR100291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41,758 US5807126A (en) 1996-11-05 1996-11-05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US8/741,758 1996-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84A true KR19980042084A (ko) 1998-08-17
KR100291847B1 KR100291847B1 (ko) 2001-06-01

Family

ID=2498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02A KR100291847B1 (ko) 1996-11-05 1997-11-05 저프로파일커넥터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07126A (ko)
EP (1) EP0840399A3 (ko)
JP (1) JP2911860B2 (ko)
KR (1) KR100291847B1 (ko)
CN (1) CN1182291A (ko)
CA (1) CA2218996A1 (ko)
TW (1) TW3733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4434B2 (ja) * 1997-01-08 2004-12-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への電気コネクタ取付構造
US6052314A (en) * 1997-05-22 2000-04-18 Rohm Co., Ltd. EEPROM device
US6007359A (en) * 1997-11-25 1999-12-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eceptacle connector
US5899759A (en) * 1997-12-29 1999-05-04 Ford Mo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or rigid circuit boards
US6227872B1 (en) 1998-08-05 2001-05-08 Ericsson Inc. Moistur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for a cellular telephone
US6373259B1 (en) * 1999-03-09 2002-04-16 Avaya Technology Corp. Connector testing system having a test prong including a projection
US6231363B1 (en) * 1999-06-28 2001-05-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interconnection
US6422900B1 (en) 1999-09-15 2002-07-23 Hh Tower Group Coaxial cable coupling device
DE10048457B4 (de) * 2000-09-29 2004-07-08 Siemens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Kontaktieren eines Motor- oder Getriebebauteils an eine elektrische Leiterplatte
US6413103B1 (en) 2000-11-28 2002-07-02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ing microcoaxial cables inside a portable computing device
JP2005521183A (ja) 2001-07-02 2005-07-14 シーゲイト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ディスクドライブ回路盤用エッジコネクタ
US6579107B1 (en) * 2002-01-10 2003-06-17 Osram Sylvania Connector pin for an edge of a circuit board
CN1437089B (zh) * 2002-02-05 2012-01-25 劲永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usb介面的连接装置及其储存器储存装置
US20050095902A1 (en) * 2003-11-04 2005-05-05 Hongbo Zhang Connector assembly
GB2435553A (en) * 2006-02-22 2007-08-29 Itt Mfg Enterprises Inc Multiple coaxial connector
KR100968327B1 (ko) 2007-03-14 2010-07-0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다극동축커넥터
EP2083555A3 (en) * 2008-01-28 2011-09-07 Tyco Electronics AMP Korea Limited Waterproofing method and structure for mobile phone
JP5094604B2 (ja) * 2008-07-14 2012-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ナーターミナル
JP6350876B2 (ja) * 2015-06-18 2018-07-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DE102017115225A1 (de) * 2016-07-08 2018-01-11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Kabelmontage für Koaxialkabel auf dicken Leiterplatten
JP6542921B2 (ja) * 2018-01-19 2019-07-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8201230B (zh) * 2018-01-30 2020-11-03 黑龙江工业学院 一种语言教学用多媒体电教台
JP7340220B2 (ja) * 2018-12-03 2023-09-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
CN111755916B (zh) 2019-03-28 2022-02-08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TWI740710B (zh) * 2020-11-10 2021-09-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具改善端子共面度之連接器結構
CN113161815B (zh) * 2021-03-23 2022-07-05 深圳市威特利电源有限公司 移动电源智能充放电控制方法和***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7577A (en) * 1955-11-01 1958-10-21 Hughes Aircraft Co Electrical connector
US3217285A (en) * 1964-12-22 1965-11-09 Sylvania Electric Prod Positive pressure connector
GB1154367A (en) * 1965-10-14 1969-06-04 Lucas Industries Ltd Connectors for use with Flexible and Rigid Printed Circuits
US3474387A (en) * 1967-04-13 1969-10-21 Elco Corp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contact therefor
GB1245493A (en) * 1968-03-11 1971-09-08 Texas Instruments Inc Connector
JPS5544429B2 (ko) * 1973-05-11 1980-11-12
US4017696A (en) * 1975-12-31 1977-04-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Initializing circuit
US4169644A (en) * 1976-03-11 1979-10-02 Bonhomme F R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US4550959A (en) * 1983-04-13 1985-11-05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able coefficient of expansion matching connector
US4542950A (en) * 1984-02-21 1985-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edge connector with wipe cycle
JPS6111284U (ja) * 1984-06-26 1986-01-23 沖電線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EP0168922A3 (en) * 1984-07-16 1987-11-04 Trw Inc.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4640562A (en) * 1984-12-19 1987-02-03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ing means for printed circuit board
US4648668A (en) * 1986-06-26 1987-03-10 Amp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ard edge connector
US4776803A (en) * 1986-11-26 1988-10-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tegrally molded card edge cable termination assembly, contact, machine and method
US4768971A (en) * 1987-07-02 1988-09-06 Rogers Corporation Connector arrangement
CA1306025C (en) * 1988-02-15 1992-08-04 John C. Collier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US4919626A (en) * 1989-04-14 1990-04-24 Itt Corporation Connector for IC card
US5013247A (en) * 1989-10-16 1991-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dapted for providing circuit card charging
JP2704305B2 (ja) * 1990-03-15 1998-0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高周波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015197A (en) * 1990-05-30 1991-05-1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utilizing spring grade wire
US5176535A (en) * 1990-05-30 1993-01-0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utilizing spring grade wire
JP2793380B2 (ja) * 1991-06-17 1998-09-03 富士通株式会社 同軸マルチ混在コネクタ
JP2598581Y2 (ja) *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81150A (en) * 1993-01-05 1994-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 to the surface of printed circuit boards or the like
US5383788A (en) * 1993-05-20 1995-01-24 W. L. Gore & Associates, Inc.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US5391089A (en) * 1993-08-26 1995-02-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m action electrical edg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18996A1 (en) 1998-05-05
JPH10228962A (ja) 1998-08-25
EP0840399A2 (en) 1998-05-06
EP0840399A3 (en) 1999-08-18
CN1182291A (zh) 1998-05-20
TW373355B (en) 1999-11-01
US5807126A (en) 1998-09-15
KR100291847B1 (ko) 2001-06-01
JP2911860B2 (ja) 199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2084A (ko) 로우 프로파일 콘넥터 시스템
JP2589135B2 (ja) 電気コネクタ
EP1796218B1 (en) Connector with ground connection improved in protection against a noise trouble
JP341588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8043114B2 (en) Reduced-height wire to board connector
US7520774B2 (en)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6210230B1 (en) Cable connector
US7510425B2 (en) Cable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20080003874A1 (en)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4201432A (en) Electric connectors
US700121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CA2133010C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US6840798B2 (en) Shielding connector, a shielding connector system, a terminal fitting and use thereof
EP0542075B1 (en) Method of terminating miniature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nd resulting terminated connector
US2015001782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supporting plate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US7854626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mall diameter shielded cable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4068092B2 (ja) 多極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て方法
CN113725642A (zh) 包括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件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2007008759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20230369784A1 (en) Contact assembly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