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793B1 -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793B1
KR102596793B1 KR1020207025780A KR20207025780A KR102596793B1 KR 102596793 B1 KR102596793 B1 KR 102596793B1 KR 1020207025780 A KR1020207025780 A KR 1020207025780A KR 20207025780 A KR20207025780 A KR 20207025780A KR 102596793 B1 KR102596793 B1 KR 10259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rsal
anteroposterior
wing
wavy
gr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860A (ko
Inventor
마사요 오바타
아키에 모리타니
사다나오 마나베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3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6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with ultrasonic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waist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과제] 장착자가 대퇴부를 굽혔을 때, 날개 부분의 하연의 피트성을 개선한다.
[해결 수단]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0)은 기단 측의 제1 부분(71)과, 선단 측의 제2 부분(72)을 갖고,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은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80)이고, 제1 부분(71)의 파상 부분(80)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1)과 전후 방향(LD)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θ1)이 160∼175도이고, 제2 부분(72)의 파상 부분(80)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2)과 전후 방향(LD)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θ2)이 120∼150도이며, 제1 부분(71)의 전후 방향(LD) 치수(71y)는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MY)의 0.15∼0.30배이고, 제2 부분(72)의 전후 방향(LD) 치수(72y)는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MY)의 0.10∼0.25배이다.

Description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다리 둘레의 피트성을 개선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에는 주로 테이프 타입, 팬티 타입, 패드 타입의 3종류가 있다. 이 중,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개 상태에서 신체에 댄 후, 등측(背側) 부분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연결부를 배측(腹側) 부분의 외면에 연결함으로써 장착을 실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 방향 중앙을 포함하는 고간부와,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과,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을 갖고, 적어도 등측 부분은 고간부보다 폭 방향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 부분을 가지며, 배측 부분 및 등측 부분은 좌우의 날개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을 가지며, 날개 부분은 배측 부분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고 있다. 사용 시에는, 날개 부분을 허리 양측으로부터 배측 부분의 외면으로 돌려서, 날개 부분의 연결부를 배측 부분의 외면에 연결한다. 이러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유아 전용으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 간호 용도(성인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는, 흡수체의 측연으로부터 옆쪽으로 연장된 사이드 플랩부가 다리 둘레를 따르도록 절제되고, 미절제 부분이 날개 부분으로서 남은 일체형(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외에, 중간 부분을 형성하는 본체의 측연(側緣)에 별도로 제조된 연결 테이프가 설치되어, 이 연결 테이프가 날개 부분이 되는 별체형(예를 들면, 특허문헌 4, 5 참조)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별체형으로서는, 중간 부분을 형성하는 본체에 좌우의 날개 부분을 포함하는 유닛을 설치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
그렇지만, 종래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장착자가 대퇴부를 굽혔을 때에, 대퇴부의 상부 전면이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下緣)에 타이트하게 접촉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이런 종류의 제품은 하나의 사이즈로 일정 범위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적합 범위이더라도 그 상한에 가까워짐에 따라, 장착자가 대퇴부를 굽혔을 때에, 대퇴부의 상부 전면이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에 타이트하게 접촉하기 쉬운 것을 알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748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3468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122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25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194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72736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장착자가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과의 피트성을 개선하는 것 등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각종 양태는 이하와 같다.
<제1 양태>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과,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과, 양방의 측연이 상기 배측 부분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터 상기 등측 부분의 전후 방향의 중간까지 연장되는 고간부를 갖고,
상기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은 전후 방향에 대한 예각 측 교차각이 ±2도 미만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 폭의 범위를 통과하는 부분이며,
상기 고간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내장된 흡수체를 갖고,
상기 배측 부분 및 상기 등측 부분은 상기 고간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등측 부분의 양 측부에 상기 배측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 부분의 상기 날개 부분의 하연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은, 해당 날개 부분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해당 날개 부분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부분 중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 및 제2 부분 중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는 각각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波狀)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분의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60∼175도이고,
상기 제2 부분의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20∼150도이며,
상기 제1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15∼0.30배이고,
상기 제2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10∼0.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 부분에서는, 날개 부분의 하연이, 웨이스트 측을 향하여 충분히 깊게 위쪽으로 파인 기단 측의 제1 부분을 기본으로 하여, 그곳으로부터 가로로 굴곡하여, 서혜부를 따르도록 충분히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장착자가 대퇴부를 크게 굽혔다 하더라도, 제1 부분이 깊게 위쪽으로 파여 있기 때문에, 대퇴부의 상부 전면이 날개 부분의 하연에 타이트하게 닿기 어렵다. 따라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다리 둘레 치수에서,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과의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양태와 같이, 제1 부분 중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 및 제2 부분 중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가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으면, 파상 부분에서 외측으로 부풀어오르는 돌출 부분의 절곡 변형의 정도에 따라서, 날개 부분의 하연의 위치가 변화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은 신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돌출 부분의 절곡 변형의 정도는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의 정도 등에 의해 정해진다. 즉, 돌출 부분이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따라서 변형되어, 신체 표면에 피트된다. 특히, 대퇴부를 크게 굽혔을 때에,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돌출 부분이 절곡되어,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대퇴부와의 마찰이나 접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지 날개 부분의 하측 공간이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 부분에 의해 최대한 넓은 범위가 피복된다. 이 때문에,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에 대하여 피트되기 쉬운 것 치고는,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낄 우려도 적은 것이 된다.
또한, 파상 부분은 물결 방향이 직선적이거나 곡선적이거나 및 전체 진폭(피크·투·피크)의 중심선이 어디를 통과하는지 등을 상관하지 않는다. 또한, 파상 부분은 사인 곡선이나 원호를 조합한 것, 이들의 진폭이나 파장이 물결이 계속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것, 구름 형태와 같이 물결의 저부가 뽀족한(굴곡) 것 등, 규칙적 및 불규칙한 형상 양방을 포함한다. 또한,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에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 고간부의 측연 및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은 일련의 기저귀의 측연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이다. 각 테두리부의 전후 방향 치수에 관하여, 서로 이웃하는 테두리부의 양방이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일방 부분과 타방 부분의 경계는 일방의 테두리부에서 가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타방의 테두리부에서 가장 일방 측에 위치하는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 양방과 접하는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이등분선과의 교점으로 한다.
<제2 양태>
상기 제1 부분의 파상 부분 및 제2 부분의 파상 부분은 각각 전체 진폭의 최대치가 3∼10㎜이고, 파장이 10∼20㎜인,
제1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통상의 경우, 파상 부분의 치수는 본 양태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파상 부분의 전체 진폭이 너무 크면, 돌출 부분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제3 양태>
상기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은 전방을 향하여 1∼2도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변곡점을 갖지 않는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양태와 같이, 고간부의 폭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면, 대퇴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과의 피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고간부는 다리의 움직임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에 파상 부분을 갖고 있으면, 돌출 부분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은 날개 부분의 하연과 달리, 직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양태>
상기 배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등측 부분에 걸친 폭 방향 양측에 흡수체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를 갖고,
상기 사이드 플랩부에서 상기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보다 폭 방향 중앙 측에 사이드 탄성 부재가 마련됨과 동시에, 이 사이드 탄성 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한 평면 개더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전후 방향 범위와, 상기 제1 부분의 전후 방향 범위 중 적어도 일부가 겹친 중첩 범위를 갖고 있으며,
자연 길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에 의해 수축된 부분을 갖고 있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양태와 같이 평면 개더를 마련하면, 제1 부분을 갖는 부분도 전후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축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다리 둘레 치수에서,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과의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제5 양태>
상기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은 150∼350%이고,
상기 중첩 범위에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부분과의 폭 방향 간격은 최대가 15∼50㎜이고, 또한, 최소가 5∼20㎜인,
제4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제1 부분과 사이드 탄성 부재와의 거리 및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이 본 양태의 범위 내이면, 제1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완만하게 물결치는, 미감이 우수한 프릴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프릴이 제1 부분의 형상과 조합되면, 프릴의 미감이 더욱 향상한다는 이점도 초래된다. 이에 대하여, 제1 부분과 사이드 탄성 부재와의 거리가 너무 가깝거나,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이 너무 크거나 하면, 프릴의 물결이 작아짐으로써 프릴스러움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촉감이 딱딱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부분과 사이드 탄성 부재와의 거리가 너무 멀면, 돌출 부분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한편, 제1 부분과 사이드 탄성 부재와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이 너무 작거나 하면, 프릴 형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최대 신장이란, 신축 방향의 신장의 최대치(바꾸어 말하면, 평면 개더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전개 상태의 신장)를 의미하며, 전개 상태의 길이를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제6 양태>
상기 등측 부분의 상기 날개 부분의 하연은 상기 고간부의 측연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하고 있고,
상기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에서,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가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에서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20∼150도이고,
상기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2∼0.3배인,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통상적으로, 대퇴부의 후방으로의 굽힘 각도는 작다.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은 둔부를 넓게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은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과는 달리, 고간부의 후단으로부터 크게 가로로 굴곡하여 연장되는(전후 비대칭)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도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과 같은 이점을 갖게 된다. 즉, 등측 부분에서도, 돌출 부분(물결의 폭에 해당하는 부분)의 절곡 변형의 정도에 따라서 날개 부분의 하연 위치가 변화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은 신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돌출 부분의 절곡 변형의 정도는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따라서 정해진다. 즉, 돌출 부분이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따라서 변형되며, 신체 표면에 피트된다. 특히, 대퇴부를 크게 굽혔을 때에, 돌출 부분이 절곡하여, 날개 부분의 하연과 대퇴부와의 마찰이나 접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지 날개 부분의 하측 공간이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 부분에 의해 최대한 넓은 범위가 피복된다. 이 때문에,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에 대하여 피트되기 쉬운 것 치고는,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낄 우려도 적은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자가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과의 피트성이 양호해지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8-8선 단면도 및 (b)는 도 1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배측 부분 및 (b)는 등측 부분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등측 부분 및 (b)는 배측 부분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파상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나타내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도 6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 중의 부호 X는 연결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L은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단면도에서 점 모양 부분은 그 표측 및 이측에 위치하는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핫멜트 접착제를 나타내고 있다. 핫멜트 접착제는 슬롯 도포, 연속 선형 또는 점선형 비드 도포, 스파이럴형, Z형 등 스프레이 도포, 또는 패턴 코팅(철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 전사) 등, 공지의 수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것 대신 또는 이와 함께, 탄성 부재의 고정 부분에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탄성 부재의 외주면에 도포하여, 탄성 부재를 인접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의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F)과,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B)을 갖고 있다. 또한,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고간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내장된 흡수체(56)와, 흡수체(56)의 표측을 덮는 액 투과성 탑 시트(30)와, 흡수체(56)의 이측을 덮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액 불투과성 시트의 이측을 덮어서, 제품 외면을 구성하는 외장 부직포(12)를 갖는 것이다.
이하, 각 부의 소재 및 특징 부분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흡수체)
흡수체(56)는 배설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부분이며,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상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의 토우(섬유 다발)를 필요에 따라서 개섬하여 얻어지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평량으로서는, 면상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할 경우, 예를 들면, 100∼300g/㎡ 정도로 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예를 들면 30∼120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 섬유여도 좋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2.54㎝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흡수체(56)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 및 이 체질로 체 아래로 낙하하는 입자에 대하여 180㎛의 표준 체(JIS Z8801-1:2006)를 사용한 체질(5분간 진탕)을 실시하였을 때, 500㎛의 표준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180㎛의 표준 체 위에 남는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인 것이 있고,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형인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소위 역행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라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해당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마디로는 말할 수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초과하면,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과잉에 의해 사각거리는 위화감을 주게 된다.
(포장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흡수체(56)의 형상 유지성을 높이기 위해, 흡수체(56)는 포장 시트(58)로 감싸서 이루어지는 흡수 요소(50)로서 내장시킬 수 있다. 포장 시트(58)로서는, 티슈 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SM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고,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장 시트(5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로 흡수체(56)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하는 것 외에, 상하 2매 등의 복수 매의 시트로 흡수체(56) 전체를 감싸도록 할 수 있는 포장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 투과성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무엇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것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써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한다면 스펀 레이스법이, 고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한다면 써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탑 시트(30)는 전후 방향에서는 제품 전단부터 후단까지 연장되고, 폭 방향(WD)에서는 흡수체(56)보다 옆쪽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기립 개더(60)의 기점이 흡수체(56)의 측연보다 폭 방향 중앙 측에 위치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 탑 시트(30)의 폭을 흡수체(56)의 전체 폭보다 짧게 하는 등,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중간 시트)
탑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 탑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부르고 있음)(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고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여서,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탑 시트(30)와 같은 소재나 스펀 레이스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부직포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에는 심초 구조인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심(芯)으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지만, 강성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17∼80g/㎡가 바람직하고, 25∼60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부피가 크게 하기 위해,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 하여, 심이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이면서 중공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시트(40)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할 수 있지만, 도시한 예와 같이, 배설 위치를 포함하는 중간 부분에만 마련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는, 부직포를 기재로 하여 방수성을 높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서 흡수체(56)와 같거나 또는 보다 광범위하게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차수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서 흡수체(56)의 단부를 덮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외장 부직포)
외장 부직포(12)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이측 전체를 덮어서, 제품 외면을 옷감과 같은 외관으로 하는 것이다. 외장 부직포(12)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공법으로서는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써멀 본드법, 에어스루법, 니들 펀치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촉감 및 강도를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스펀 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의 장섬유 부직포가 적합하다. 부직포는 1매로 사용하는 것 외에,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부직포 상호를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그 섬유 평량은 10∼50g/㎡, 특히, 15∼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 개더)
탑 시트(30) 위를 거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설물을 저지하고, 이른바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의 폭 방향(WD)의 양측에는 장착자의 피부 측으로 일어나는 기립 개더(60)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물론, 기립 개더(60)는 생략할 수도 있다.
기립 개더(60)를 채택할 경우,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모든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도시한 예의 기립 개더(60)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연속되는 개더 시트(62)와, 이 개더 시트(62)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62)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개더 탄성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복수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1개 마련할 수 있다.
개더 시트(62)의 내면은 탑 시트(30)의 측부 상에 폭 방향(WD)의 접합 시단을 갖고, 이 접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은 각 사이드 플랩부(SF)의 내면, 즉, 도시한 예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측부 및 그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장 부직포(12)의 측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다리 둘레에서는, 기립 개더(60)의 접합 시단보다 폭 방향 내측은 제품 전후 방향 양단부에서는 탑 시트(30) 상에 고정되어 있지만, 그 사이의 부분은 비고정 자유 부분이며, 이 자유 부분이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일어나서, 신체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엔드 플랩부, 사이드 플랩부)
도시한 예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체(56)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한 쌍의 엔드 플랩부(EF)와, 흡수체(56)의 양방의 측연으로부터 옆쪽으로 각각 연장하는, 흡수체(56)를 갖지 않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SF)를 갖고 있다. 사이드 플랩부(SF)는 도시한 예와 같이, 흡수체(56)를 갖는 부분으로부터 연속되는 소재(외장 부직포(12)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다른 소재를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평면 개더)
각 사이드 플랩부(SF)에는 실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사이드 플랩부(SF)의 다리 둘레 부분이 평면 개더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개더 시트(62)의 접합 부분 중 접합 시단 근방의 폭 방향 외측에서, 개더 시트(6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 외에, 사이드 플랩부(SF)에서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외장 부직포(12)의 사이에 마련할 수도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각 측에서 복수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도 있다.
평면 개더는 사이드 탄성 부재(64)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도면 중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도시된 부분)이다. 따라서, 평면 개더의 부위에만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존재하는 형태 외에, 평면 개더보다 전측, 후측 또는 그 양측에 걸쳐서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존재하고 있지만, 평면 개더의 부위 이외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가 1개소 또는 다수 개소에서 작게 절단되어 있거나, 사이드 탄성 부재(64)를 끼우는 시트로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그 양방이거나 함으로써, 평면 개더 이외의 부위에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고(실질적으로는, 탄성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과 같음), 평면 개더의 부위에만 사이드 탄성 부재(64)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구조도 포함된다.
(연결 테이프)
등측 부분(B)에서 사이드 플랩부(SF)에는 배측 부분(F)의 외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테이프(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기저귀(10)의 장착 시에는, 연결 테이프(13)를 허리의 양측으로부터 배측 부분(F)의 외면으로 돌려서, 연결 테이프(13)의 연결부(13A)를 배측 부분(F) 외면의 적소에 연결한다.
연결 테이프(13)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플랩부(SF)에 고정된 테이프 설치부(13C) 및 이 테이프 설치부(13C)로부터 돌출되는 테이프 본체부(13B)를 이루는 시트 기재와, 이 시트 기재에서 테이프 본체부(13B)의 폭 방향 중간부에 마련된, 등측에 대한 연결부(13A)를 갖고, 이 연결부(13A)로부터 선단 측이 손잡이부로 되어 있다.
연결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를 마련하는 것 외에, 점착제층을 마련할 수 있다. 훅재는 그 연결면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 것으로서,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A) レ자형, (B) J자형, (C) 버섯형, (D) T자형, (E) JJ자형(J자형인 것을 등을 맞대서 결합한 형상인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테이프 설치부(13C)부터 테이프 본체부(13B)까지를 형성하는 시트 기재로서는, 부직포,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섬도 1.0∼3.5dtex, 평량 20∼100g/㎡, 두께 1㎜ 이하의 스펀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타겟 시트)
배측 부분(F)에서 연결 테이프(13)의 연결 개소에는 타겟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겟부는 도시한 예와 같이,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타겟 시트(20)를 배측 부분(F)의 외면에 첩부함으로써 마련할 수 있다. 타겟 시트(20)는 연결부(13A)가 훅재인 경우, 훅재의 계합 돌기가 얽히는 루프실이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다수 마련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점착재층의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한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측 부분(F)에서 연결 테이프(13)의 연결 개소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예와 같이, 외장 부직포(12)를 가질 경우에는, 타겟 시트(20)를 생략하고, 훅재를 외장 부직포(12)의 섬유에 얽히게 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적으로서의 타겟 시트(20)를 외장 부직포(1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하는 것 외에, 외장 부직포(12)나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외면에 표적을 인쇄해도 좋다.
(날개 부분)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부분(F)의 전후 방향(LD)의 중간부터 등측 부분(B)의 전후 방향(LD)의 중간까지 연장되는 고간부(M)를 갖고 있다. 이 고간부(M)의 양방의 측연은 전후 방향(LD)에 대한 예각 측 교차각(θ0)이 ±2도 미만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 폭의 범위를 통과하는 부분이다. 또한, 배측 부분(F) 및 등측 부분(B)은 고간부(M)보다 폭 방향(WD)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 부분(WP)을 갖고 있다.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의 하연(70)은 고간부(M)의 측연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의 하연(75)은 고간부(M)의 측연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날개 부분(WP)의 측연은 도시한 예에서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른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고간부(M)의 최소 폭(MX)의 1.2∼1.4배 정도로 할 수 있다. 유아 용도의 경우,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MY)는 10∼30㎝ 정도이다.
도 7의 (a) 및 도 8의 (b)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0)은, 해당 날개 부분(WP)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71)과, 해당 날개 부분(WP)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72)을 갖고 있다. 제1 부분(71) 중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바람직하게는 도시한 예와 같이 전체) 및 제2 부분(72) 중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바람직하게는 도시한 예와 같이 전체)는 각각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다. 제1 부분(71)의 파상 부분(80)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1)과 전후 방향(LD)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θ1)이 160∼175도(바람직하게는 163∼170도)이다. 제2 부분(72)의 파상 부분(80)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2)과 전후 방향(LD)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θ2)이 120∼150도(바람직하게는 130∼140도)이다.
또한, 제1 부분(71)의 전후 방향(LD) 치수(71y)는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MY)의 0.15∼0.30배(바람직하게는 0.20∼0.25배)이다. 한편, 제2 부분(72)의 전후 방향(LD) 치수(72y)는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MY)의 0.10∼0.25배(바람직하게는 0.15∼0.20배)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파상 부분(80)은, 물결의 방향이 직선적이거나 곡선적이거나 및 전체 진폭(피크·투·피크)의 중심선이 어디를 통과하는지 등을 상관하지 않는다. 물론, 파상 부분(80)은,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특정 방향(81)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진폭(82)(±5㎜)으로 이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파상 부분(80)은, 사인 곡선(예를 들면, 도 9의 (a)에 나타내는 파상 부분(80))이나 원호(예를 들면, 도 9의 (b)에 나타내는 파상 부분(80))를 조합한 것, 이들의 진폭이나 파장이 물결이 계속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것, 구름 형태(예를 들면, 도 9의 (c)에 나타내는 파상 부분(80))와 같이, 물결의 저부가 뾰족한(굴곡) 것 등, 규칙적 및 불규칙한 형상 양방을 포함한다. 촉감을 좋게 하는 관점에서, 파상 부분(80)은 외측으로 부풀어오르는 부분의 형상이 원호 등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의 파상 부분(80)은 원호를 서로 차이나게 형성한 것으로서, 이 경우, 원호의 반경은 5∼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분(71)의 파상 부분(80)과 제2 부분(72)의 파상 부분(80)은 물결이 연속되어 있어도, 중단되고 있어도 좋다. 제1 부분(71)의 파상 부분(80)과 제2 부분(72)의 파상 부분(80)이 중단되어 있는 경우, 제1 부분(71)으로부터 제2 부분(72)으로 방향이 변화되는 굴곡부나,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0) 양 단부는 도시한 예와 같이, 모서리가 떼어져 있는 형상 외에, 모서리가 제대로 남아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 모서리가 둥글게 떼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모서리가 반경 20∼80㎜ 정도의 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0)에서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 고간부(M)의 측연 및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은 일련의 기저귀의 측연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이다. 각 테두리부의 전후 방향(LD) 치수에 관하여, 서로 이웃하는 테두리부의 양방이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일방 부분과 타방 부분의 경계는 일방 테두리부에서 가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타방 테두리부에서 가장 일방 측에 위치하는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이 이루는 내각의 이등분선과의 교점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의 경계는, 제1 부분(71)에서, 가장 전측에 위치하는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1)과, 제2 부분(72)에서, 가장 후측에 위치하는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2)이 이루는 내각의 이등분선(D4)과의 교점(BP)이 된다.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배측 부분(F)에서는, 날개 부분의 하연(70)이 웨이스트 측을 향하여 충분히 깊게 위쪽으로 파인 기단 측의 제1 부분(71)을 기본으로 하여, 그곳으로부터 가로로 굴곡되어, 서혜부를 따르도록 충분히 연장되는 제2 부분(72)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장착자가 대퇴부를 크게 굽혔다 하더라도, 제1 부분(71)이 깊게 위쪽으로 파여 있기 때문에, 대퇴부의 상부 전면이 날개 부분의 하연(70)에 타이트하게 닿기 어렵다. 따라서,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다리 둘레 치수에 있어서,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의 하연(70)과의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제1 부분(71) 중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 및 제2 부분(72) 중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가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으면, 파상 부분에서 외측으로 부풀어오르는 돌출 부분(74)(도 8에 점 모양으로 나타내는 부분)의 절곡 변형의 정도에 따라서, 날개 부분(WP)의 하연(70)의 위치가 변화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74)은 신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돌출 부분(74)의 절곡 변형의 정도는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의해 정해진다. 즉, 돌출 부분(74)이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따라서 변형되어, 신체 표면에 피트된다. 특히, 대퇴부를 크게 굽혔을 때에,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의 돌출 부분(74)이 절곡되어,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과 대퇴부와의 마찰이나 접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지 날개 부분(WP)의 하측 공간이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 부분(74)에 의해 최대한 넓은 범위가 피복된다. 이 때문에,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에 대하여 피트되기 쉬운 것 치고는,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낄 우려도 적은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1 부분(71)은 돌출 부분(74)을 2∼5개 정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부분(72)은 돌출 부분(74)을 2∼5개 정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분(71)의 파상 부분(80) 및 제2 부분(72)의 파상 부분(80)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전체 진폭(82)의 최대치가 3∼10㎜이고, 파장(85)이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파상 부분(80)의 전체 진폭(82)이 너무 크면, 돌출 부분(74)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고간부(M)의 양방의 측연(73)은,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가 도 10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날개 부분(WP)의 하연(75)과 동일한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고간부(M)는 다리의 움직임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고간부(M)의 양방의 측연(73)이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으면, 돌출 부분(74)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간부(M)의 양방의 측연(73)은, 날개 부분(WP)의 하연(70)과 달리, 도 2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전방을 향해 1∼2도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직선형(또는, 전후 방향(LD)에 대한 예각 측 교차각(θ0)이 ±2도 미만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 폭의 범위를 통과한다면, 변곡점을 갖지 않는 곡선형일 수 있다)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간부(M)의 폭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면, 대퇴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의 하연(70)과의 피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부분(71) 및 제2 부분(72)을 갖는 날개 부분(WP)은 그 이외의 부분과 다른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한 예와 같이, 사이드 플랩부(SF)를 갖는 구조에서, 사이드 플랩부(SF)의 측부에서 전후 방향(LD) 중간을 절단함으로써, 고간부(M)의 측연부터 날개 부분의 하연(70)까지의 다리 둘레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으면,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이, 사이드 플랩부(SF)에서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보다 폭 방향(WD) 중앙 측에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마련됨과 동시에, 이 사이드 탄성 부재(64)에 의해 전후 방향(LD)으로 수축한 평면 개더가 마련되어 있고, 사이드 탄성 부재(64)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전후 방향 범위(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64)를 갖는 부분의 전후 방향(LD)의 범위)가 제1 부분(71)의 전후 방향 범위 중 적어도 일부(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부)와 겹친 중첩 범위(77)를 갖고 있으며, 자연 길이 상태에서, 제1 부분(71)은 사이드 탄성 부재(64)에 의해 수축한 부분을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평면 개더와 함께, 제1 부분(71)을 갖는 부분도 전후 방향(LD)으로 어느 정도 신축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다리 둘레 치수에 있어서, 대퇴부를 굽혔을 때, 대퇴부의 상부 전면과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의 하연(70)과의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도시한 예와 달리, 사이드 탄성 부재(64)가 제2 부분(72)의 전후 방향(LD) 범위 중 적어도 일부(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부)와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됨으로써, 중첩 범위(77)가 제1 부분(71)의 파상 부분(80) 전체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중첩 범위(77)를 갖고 있는 경우,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은 150∼350%(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이고, 중첩 범위(77)에서, 사이드 탄성 부재(64)와 제1 부분(71)의 폭 방향 간격(64i, 64j)은 최대(64j)가 15∼50㎜(보다 바람직하게는 18∼25㎜)이고, 또한, 최소(64i)가 5∼20㎜(보다 바람직하게는 10∼17㎜)이면 바람직하다. 제1 부분(71)과 사이드 탄성 부재(64)와의 거리 및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이 본 범위 내이면, 제1 부분(71)에, 두께 방향으로 완만하게 물결치는, 미감이 우수한 프릴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프릴이 제1 부분(71)의 형상과 조합되면, 프릴의 미감이 더욱 향상한다는 이점도 초래된다. 이에 대하여, 제1 부분(71)과 사이드 탄성 부재(64)와의 거리가 너무 가깝거나,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이 너무 크거나 하면, 프릴의 물결이 작아짐으로써 프릴스러움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촉감이 딱딱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부분(71)과 사이드 탄성 부재(64)와의 거리가 너무 멀면, 돌출 부분(74)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한편, 제1 부분(71)과 사이드 탄성 부재(64)와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이 너무 작거나 하면, 프릴 형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최대 신장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 방향의 신장의 최대치(바꾸어 말하면, 평면 개더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전개 상태의 신장)를 의미하고, 전개 상태의 길이를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통상, 대퇴부의 후방으로의 굽힘 각도는 작다.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은 둔부를 넓게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은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과는 다르며, 고간부(M)의 후단으로부터 크게 가로로 굴곡하여 연장되는(전후 비대칭)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WP)과 마찬가지로,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에서, 적어도 양 단부를 제외한 범위(바람직하게는 도시한 예와 같이 전체)가,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b) 및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에서 파상 부분(80)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83)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D3)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θ3)이 120∼150도이고,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의 전후 방향(LD) 치수는, 고간부(M)의 전후 방향(LD) 치수(MY)의 0.2∼0.3배이면 바람직하다.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도 파상 부분(80)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배측 부분(F)의 날개 부분의 하연(70)과 같은 이점을 갖는 것이 된다. 즉, 등측 부분(B)에서도, 돌출 부분(74)(물결의 폭에 해당하는 부분)의 절곡 변형 정도에 따라, 날개 부분의 하연(75)의 위치가 변화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74)은 신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돌출 부분(74)의 절곡 변형 정도는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의해 정해진다. 즉, 돌출 부분(74)이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 정도 등에 따라서 변형되어, 신체 표면에 피트된다. 특히, 대퇴부를 크게 굽혔을 때에, 돌출 부분(74)이 절곡하여, 하연(75)과 대퇴부와의 마찰이나 접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지 날개 부분(WP)의 하측 공간이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 부분(74)에 의해 최대한 넓은 범위가 피복된다. 이 때문에, 신체 치수의 차이나 대퇴부의 굽힘에 대하여 피트되기 쉬운 것 치고는,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낄 우려도 적은 것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은 돌출 부분(74)을 2∼5개 정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에서 파상 부분(80)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전체 진폭(82)의 최대치가 3∼10㎜이고, 파장(85)이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파상 부분(80)의 전체 진폭(82)이 너무 크면, 돌출 부분(74)이 기저귀의 표면과 피부의 사이로 접혀들어가, 새거나 장착감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0)은 파상 부분(80)으로 하지 않고, 공지의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이, 사이드 탄성 부재(64)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전후 방향 범위(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 탄성 부재(64)를 갖는 부분의 전후 방향(LD)의 범위)가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의 전후 방향 범위 중 적어도 일부(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부)와 겹친 중첩 범위(77)를 갖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 및 중첩 범위(77)에서 등측 부분(B)의 날개 부분(WP)의 하연(75)과 사이드 탄성 부재(64)와의 폭 방향 간격(64i, 64j)은 전술한 배측 부분의 경우와 같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이점도 배측 부분(F)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같다.
도시한 예에서는, 배측 부분(F) 및 등측 부분(B) 양방이 중첩 범위(77)를 갖고 있지만, 어느 일방만 중첩 범위(77)를 갖고 있고, 타방은 중첩 범위(77)를 갖지 않거나, 또는 중첩 범위(77)를 갖지만, 전술한 간격(64i, 64j) 등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명세서 내의 용어 설명>
명세서 내 이하의 용어는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전후 방향」이란 도면 중에 부호 LD로 나타내는 방향(세로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도면 중에 WD로 나타내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은 직교하는 것이다.
·「곡선」이란 직선을 포함하지 않는 의미이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장율이 200%란 신장 배율이 2배인 것과 같은 뜻이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이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칠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하여,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 RH의 항온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 커드미터(I. techno Engineering사제: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한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온도 100℃의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시료 채취용 형판(100㎜×100㎜)을 사용하여, 100㎜×100㎜인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100배하여 1평방미터당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계측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하중: 0.098N/㎠ 및 가압 면적: 2㎠의 조건 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와 같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1 액 불투과성 시트 12 외장 부직포
13 연결 테이프 13A 연결부
13B 테이프 본체부 13C 테이프 설치부
20 타겟 시트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50 흡수 요소
56 흡수체 58 포장 시트
60 기립 개더 62 개더 시트
64 사이드 탄성 부재 70, 75 하연
71 제1 부분 72 제2 부분
74 돌출 부분 77 중첩 범위
80 파상 부분 83 골짜기부
B 등측 부분 F 배측 부분
LD 전후 방향 M 고간부
SF 사이드 플랩부 WD 폭 방향
WP 날개 부분

Claims (6)

  1.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과,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과, 양방의 측연이 상기 배측 부분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터 상기 등측 부분의 전후 방향의 중간까지 연장되는 고간부를 갖고,
    상기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은, 전후 방향에 대한 예각 측 교차각이 ±2도 미만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 폭의 범위를 통과하는 부분이며,
    상기 고간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내장된 흡수체를 갖고,
    상기 배측 부분 및 상기 등측 부분은, 상기 고간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등측 부분의 양 측부에, 상기 배측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 부분의 상기 날개 부분의 하연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은, 해당 날개 부분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해당 날개 부분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 중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는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는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분의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60∼175도이고,
    상기 제2 부분의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20∼150도이며,
    상기 제1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15∼0.30배이고,
    상기 제2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10∼0.25배이며,
    상기 제1 부분의 파상 부분 및 제2 부분의 파상 부분은, 각각 전체 진폭의 최대치가 3∼10㎜이고, 파장이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2.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과,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과, 양방의 측연이 상기 배측 부분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터 상기 등측 부분의 전후 방향의 중간까지 연장되는 고간부를 갖고,
    상기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은, 전후 방향에 대한 예각 측 교차각이 ±2도 미만인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5㎜ 폭의 범위를 통과하는 부분이며,
    상기 고간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내장된 흡수체를 갖고,
    상기 배측 부분 및 상기 등측 부분은, 상기 고간부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등측 부분의 양 측부에, 상기 배측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테이프를 갖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 부분의 상기 날개 부분의 하연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은, 해당 날개 부분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해당 날개 부분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 중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 및 제2 부분 중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는, 각각,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분의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60∼175도이고,
    상기 제2 부분의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20∼150도이며,
    상기 제1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15∼0.30배이고,
    상기 제2 부분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10∼0.25배이며,
    상기 고간부의 양방의 측연은, 전방을 향해 1∼2도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변곡점을 갖지 않는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등측 부분에 걸친 폭 방향 양측에, 흡수체를 갖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를 갖고,
    상기 사이드 플랩부에서 상기 배측 부분의 날개 부분보다 폭 방향 중앙 측에, 사이드 탄성 부재가 마련됨과 동시에, 이 사이드 탄성 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수축한 평면 개더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전후 방향 범위와, 상기 제1 부분의 전후 방향 범위 중 적어도 일부가 겹친 중첩 범위를 갖고 있으며,
    자연 길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에 의해 수축된 부분을 갖고 있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개더의 최대 신장은 150∼350%이고,
    상기 중첩 범위에서, 상기 사이드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부분의 폭 방향 간격은, 최대가 15∼50㎜이고, 또한, 최소가 5∼20㎜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부분의 상기 날개 부분의 하연은, 상기 고간부의 측연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에서, 적어도 양단부를 제외한 범위가, 내측으로 패이는 골짜기부를 복수 갖는 파상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에서 파상 부분은, 서로 이웃하는 골짜기부의 양방과 접하는 접선과 전후 방향이 이루는 둔각 측 교차각이 120∼150도이고,
    상기 등측 부분의 날개 부분의 하연의 전후 방향 치수는 상기 고간부의 전후 방향 치수의 0.2∼0.3배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6. 삭제
KR1020207025780A 2018-03-20 2019-03-19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KR102596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2977A JP6488040B1 (ja) 2018-03-20 2018-03-20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8-052977 2018-03-20
PCT/JP2019/011370 WO2019181913A1 (ja) 2018-03-20 2019-03-19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860A KR20200132860A (ko) 2020-11-25
KR102596793B1 true KR102596793B1 (ko) 2023-10-31

Family

ID=6580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780A KR102596793B1 (ko) 2018-03-20 2019-03-19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59871A1 (ko)
EP (1) EP3769733B1 (ko)
JP (1) JP6488040B1 (ko)
KR (1) KR102596793B1 (ko)
CN (1) CN111836608B (ko)
BR (1) BR112020019018A2 (ko)
RU (1) RU2764654C1 (ko)
WO (1) WO2019181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1914A1 (ja) * 2018-03-20 2019-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8119A1 (en) 2008-11-11 2010-04-01 Uni-Charm Corporation Manufacturing apparatus of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JP2015223257A (ja) 2014-05-27 2015-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5223255A (ja) * 2014-05-27 2015-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30203A (ja) 2014-12-25 2016-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8000434A (ja) 2016-06-30 2018-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2649E (en) * 1985-06-18 1988-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gel-forming polymer compositions for use in absorbent structures
JPH08311290A (ja) * 1995-05-23 1996-11-26 Showa Denko Kk 吸液材料用組成物、吸液材料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97386B2 (ja) 2000-06-07 2008-06-1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RU24771U1 (ru) * 2002-04-19 2002-08-27 Окульская Татьяна Анатольевна Одноразовые трусы
JP4077707B2 (ja) * 2002-10-10 2008-04-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7364879B2 (en) * 2003-12-19 2008-04-29 Tung Hai Biotechnology Corporation Stable biodegradable, high water absorbable polyglutamic acid hydrogel by 3-dimensional cross-linking and its preparation method
US7816301B2 (en) * 2005-09-30 2010-10-19 Nippon Shokubai Co., Ltd. Aqueous-liquid-absorbing ag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EP2019133B1 (en) * 2006-05-23 2013-05-22 Toyobo Co., Ltd. MICROORGANISM CAPABLE OF PRODUCING gamma-L-PGA, METHOD FOR PRODUCTION OF gamma-L-PGA USING THE MICROORGANISM, CROSSLINKED PRODUCT, AND AGENT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JP5135097B2 (ja) 2008-07-18 2013-01-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US7910688B2 (en) * 2008-10-22 2011-03-22 Evonik Stockhausen Inc. Recycling superabsorbent polymer fines
JP5155827B2 (ja) 2008-11-17 2013-03-0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391020B2 (ja) 2009-10-01 2014-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304369B2 (en) * 2010-05-07 2012-11-06 Evonik Stockhausen, Llc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a capacity increase
KR101269594B1 (ko) * 2010-12-07 2013-06-05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L형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생산하는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토하 및 이로부터 생산된 l형 폴리감마글루탐산
US8420567B1 (en) * 2011-12-30 2013-04-16 Evonik Stockhausen, Llc Process for superabsorbent polymer and crosslinker composition
JP5266408B1 (ja) 2012-03-30 2013-08-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030933B2 (ja) * 2012-11-27 2016-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57300B2 (ja) * 2013-12-13 2018-01-1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5205032A (ja) * 2014-04-21 2015-11-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ァスニングシステム
JP6234358B2 (ja) * 2014-12-01 2017-1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分解性吸水剤
JP5934815B1 (ja) * 2015-01-30 2016-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6566393B2 (ja) 2015-03-20 2019-08-28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6214352A (zh) * 2016-09-14 2016-12-14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高吸收性纸尿裤
US10435557B2 (en) * 2017-03-24 2019-10-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High heat deflection temperature polylactic acids with tunable flexibility and toughness
EP3603591B1 (en) * 2017-03-28 2023-12-06 Daio Paper Corporation Tape-type disposable diaper
WO2018222545A1 (en) * 2017-05-27 2018-12-06 Ecovia Renewables Inc. Poly(amino acid) rheology modifi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WO2019181914A1 (ja) * 2018-03-20 2019-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049185B2 (ja) * 2018-05-28 2022-04-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BR112021001569A2 (pt) * 2018-07-31 2021-04-20 Daio Paper Corporation artigo para uso descartável
JP6803895B2 (ja) * 2018-11-16 2020-12-23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におけるターゲットシートの貼付不良検出方法
EP4038140A4 (en) * 2019-10-04 2023-11-15 Ecovia Renewables Inc. WATER-ABSORBENT CROSS-LINKED POLYMER POLYCARBOXYLIC ACID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JP6911090B2 (ja) * 2019-11-20 2021-07-2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7362527B2 (ja) * 2020-03-25 2023-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US20230089492A1 (en) * 2020-03-25 2023-03-23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7455628B2 (ja) * 2020-03-25 2024-03-26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2021153712A (ja) * 2020-03-25 2021-10-07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US20230119436A1 (en) * 2020-03-25 2023-04-20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7455630B2 (ja) * 2020-03-26 2024-03-26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2021186662A (ja) * 2020-05-29 2021-12-13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7349413B2 (ja) * 2020-06-23 2023-09-22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8119A1 (en) 2008-11-11 2010-04-01 Uni-Charm Corporation Manufacturing apparatus of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JP2015223257A (ja) 2014-05-27 2015-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5223255A (ja) * 2014-05-27 2015-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6030203A (ja) 2014-12-25 2016-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18000434A (ja) 2016-06-30 2018-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9733A4 (en) 2022-02-16
RU2764654C1 (ru) 2022-01-19
CN111836608B (zh) 2022-03-25
JP6488040B1 (ja) 2019-03-20
BR112020019018A2 (pt) 2020-12-29
WO2019181913A1 (ja) 2019-09-26
EP3769733A1 (en) 2021-01-27
EP3769733B1 (en) 2024-04-03
JP2019162362A (ja) 2019-09-26
KR20200132860A (ko) 2020-11-25
CN111836608A (zh) 2020-10-27
US20210059871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156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KR20170131423A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및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5587004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及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7049185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US20230125706A1 (en) Attachable-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US20230120091A1 (en) Attachable-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7455628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KR102596793B1 (ko)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KR102597383B1 (ko)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596038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942590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6546677B1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479836B2 (ja) 使い捨ておむつ
RU2772175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с лентами
JP7295677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7453189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7290917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349809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US20240197546A1 (en) Attachable-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7506035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JP7389432B2 (ja) 吸収性物品
JP6824774B2 (ja) 吸収性物品
JP2019162363A5 (ko)
JP2020156838A5 (ko)
JP201915039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