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171B1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71B1
KR102524171B1 KR1020200036285A KR20200036285A KR102524171B1 KR 102524171 B1 KR102524171 B1 KR 102524171B1 KR 1020200036285 A KR1020200036285 A KR 1020200036285A KR 20200036285 A KR20200036285 A KR 20200036285A KR 102524171 B1 KR102524171 B1 KR 10252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metal member
connector
ben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291A (ko
Inventor
하루히코 무라카미
요시히토 히로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보강 금구를 갖고 있어도, 적은 공수로 간단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금속 부재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의 금속 부재 (40, 50) 를 갖고 있고, 그 복수 종의 금속 부재 (40, 50) 중 1 종의 금속 부재 (40) 와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 (50) 는,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 (10) 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측에서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접속되는 접속부 (42, 52) 를 갖고 있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 (40) 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 (50) 는, 굴곡부 (44, 45) 와 굴곡부 (54, 55) 의 상기 실장면에 대한 굴곡의 각도가 서로 상이함과 함께, 굴곡부 이외의 부분이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대 접속체가 삽입 발출되는 전기 커넥터 및 그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PCB) 의 실장면에 실장됨과 함께, 그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전후 방향에서 상대 접속체로서의 플렉시블 케이블 (평형 도체) 이 삽입 발출된다. 그 전기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지제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유지되는 금속판제의 복수의 접촉 단자, 금속판제의 복수의 전방 장착 못 (보강 금구) 및 금속판제의 측면 장착 못 (보강 금구) 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갖고 있다.
상기 접촉 단자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 가능한 단자이고,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상태로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전방 장착 못 및 측면 장착 못은, 실장면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되어 고정됨으로써, 실장면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 금구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전방 장착 못은, 접촉 단자보다 전방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측방 장착 못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하우징의 양단 위치, 즉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전방 장착 못의 배열 범위의 양측에서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하우징에 대한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된 평형 도체를 상방으로부터 눌러 접촉 단자와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동 (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39035호
특허문헌 1 에서는, 상기 전방 장착 못 및 상기 측면 장착 못은, 어느 장착 못이나 금속판제이고, 서로 다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넥터의 제조시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장착 못 및 상기 측면 장착 못은, 각각 타발 (打拔) 가공에 의해 형성된 금속판 부재를,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진 후, 하우징의 대응하는 장착 홈부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전방 장착 못과 상기 측면 장착 못은, 타발 가공, 굴곡 가공 및 압입 장착의 모두가, 서로 상이한 공정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커넥터 제조시에 있어서의 공수가 많아지고, 그 결과, 제조 비용이 불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보강 금구를 갖고 있어도, 적은 공수로 간단하게,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제 3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제 1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대 접속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상기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복수의 금속 부재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부재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그 압연면이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룸과 함께, 그 금속 부재의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그 금속 부재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 갖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 부재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의 금속 부재를 갖고 있고, 그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1 종의 금속 부재와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측에서 상기 실장면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서의 상기 실장면에 대한 굴곡의 각도가 서로 상이함과 함께, 굴곡부 이외의 부분이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서는,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서의 상기 실장면에 대한 굴곡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한편으로, 그 굴곡부 이외의 부분이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캐리어에 연결된 동일 형상의 복수의 금속판 부재 중 일부의 금속 부재를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굴곡부의 각도로 굴곡하고, 잔부의 금속 부재를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의 굴곡부의 각도로 굴곡함으로써, 동일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상기 1 종 및 상기 다른 1 종의 양종의 금속 부재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그 양종의 금속 부재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1 종의 금속 부재의 굴곡부와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의 굴곡부가 전후 방향에서 서로 동 위치에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전후 방향에서 상이하게 위치하고 있는 경우도, 1 종의 금속 부재와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가 동일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만들어져 있는 것이라면, 제 1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대 접속체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체이며, 예를 들어, 전기 커넥터에 삽입 접속되는 FPC 등의 평형 도체나, 전기 커넥터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다른 전기 커넥터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대 접속체로서의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 및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접속부를 일단측에 갖고 있음과 함께, 전후 방향 및 금속 부재의 배열 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타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일방의 측으로부터 저지하고, 상기 타방의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타방의 측으로부터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가동 부재의 이동을 서로 반대측으로부터 저지하기 위한 1 종의 금속 부재 및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를, 동일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만들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측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외팔보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측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양팔보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대 접속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상기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복수의 금속 부재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 부재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의 금속 부재를 갖고 있고, 그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1 종의 금속 부재와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측에서 상기 실장면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일부를 절제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일부를 절제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캐리어에 연결된 동일 형상의 복수의 금속판 부재 중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에 대응하는 금속판 부재의 일부를 절제함으로써 그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를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1 종 및 상기 다른 1 종의 양종의 금속 부재를 동일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만들 수 있어, 그 양종의 금속 부재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대 접속체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이고, 그 단자는, 상기 접속부를 일단측에 갖고 있음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 접속체에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를 타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회로 기판에 대한 고정을 위한 보강 금구이고, 그 보강 금구는, 상기 단자의 접촉 아암부를 절제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자와 보강 금구를, 동일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만들 수 있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대 접속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상기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복수의 금속 부재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3 발명에서는, 띠상의 압연 금속판을 타발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어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 동렬을 이루어 배열되고 상기 캐리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동일 형상의 세조편 (細條片) 을 갖는 형상을 이루는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세조편 중 일부의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공하여,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굴곡부를 그 세조편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 갖는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형성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세조편 중 잔부의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공하여, 상기 소정의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굴곡된 굴곡부를 그 다른 세조편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 갖는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형성하고, 상기 1 종의 굴곡 세조편 및 상기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일괄하여 하우징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그 하우징에서 유지하고, 상기 캐리어를 모든 굴곡 세조편으로부터 떼어내어 제거하고, 상기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1 종의 금속 부재로 하고, 상기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에 형성된 복수의 동일 형상의 세조편의 일부를 굴곡 가공하여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형성함과 함께, 시트부를 굴곡 가공하여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형성하고, 하우징과의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이들의 굴곡 세조편으로부터 캐리어를 떼어내어 제거함으로써, 1 종의 금속 부재 및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가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 형상의 세조편으로부터 상기 1 종 및 상기 다른 1 종의 양종의 금속 부재를 간단히 만들 수 있어, 그 양종의 금속 부재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굴곡 세조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측 부분 및 상기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 부분을, 하우징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그 하우징에 의해,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를 외팔보상으로 유지함과 함께,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를 양팔보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를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보다 많이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1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가, 상기 굴곡부에서의 상기 실장면에 대한 굴곡의 각도가 서로 상이한 한편으로, 그 굴곡부 이외의 부분이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 제 2 발명에서는,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가,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일부를 절제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양종의 금속판 부재를 동일 형상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만들 수 있다. 또, 제 3 발명에서는, 동일 형상의 세조편을 굴곡 가공하고 나서 캐리어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양종의 금속 부재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양종의 금속 부재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작업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로,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B) 는 (A) 의 전기 커넥터의 후단측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A) 의 전기 커넥터를, 가동 부재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A) 는 도 1(A) 의 전기 커넥터로부터 단자 및 보강 금구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B) 는 제 1 금구의 측면도, (C) 는 제 2 금구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A) 는, 도 1(A) 의 전기 커넥터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금구의 상완부의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고, (B) 는, (A) 의 제 1 금구의 돌기부 근방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 는, 단자 및 보강 금구를 형성하기 위한 2 개의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을, 세조편을 굴곡하여 굴곡 세조편으로 한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4(A) 의 VI-VI 위치에서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금형이 분리된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도 4(A) 의 VII-VII 위치에서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금형이 분리된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도 4(A) 의 VIII-VIII 위치에서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금형이 분리된 상태, (B) 는, 일체 몰드 성형시에 금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는, 평형 도체의 삽입 직전에서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평형 도체와의 접속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며, (A) 는 제 1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부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의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1) (이하 「커넥터 (1)」라고 한다) 를 평형 도체 (F)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며, 평형 도체 (F) 를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에 실장되고, 그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을 삽입 발출 방향으로 하여 평형 도체 (F) 가 삽입 발출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이다. 그 커넥터 (1) 는, 평형 도체 (F) 가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 (B) 과 평형 도체 (F) 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 축 방향 (전후 방향) 에서, X1 방향을 전방, X2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면내 (XY 평면 내) 에서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Y 축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하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Z 축 방향 (상하 방향) 을 커넥터 두께 방향으로 한다.
평형 도체 (F)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신호 회로부 및 복수의 그라운드 회로부 (도시 생략)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신호 회로부와 그라운드 회로부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들을 「회로부」라고 총칭한다. 회로부는, 평형 도체 (F) 의 절연층 내에서 매설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전단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다. 또, 상기 회로부는, 그 전단측 부분만이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노정 (露呈) 된 접속 회로부 (도시 생략) 를 갖고 있고, 후술하는 커넥터 (1) 의 단자 (20)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평형 도체 (F) 는, 상기 전단측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결부 (F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 (F1) 의 전방에 위치하는 귀부 (F2) 의 후단 가장자리는, 커넥터 (1) 의 후술하는 걸림부와 걸리는 피걸림부 (F2A) 로서 기능한다.
커넥터 (1) 는, 전기 절연재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 의 하우징 (10) 과, 후술하는 제 1 위치로서의 열림 위치와 제 2 위치로서의 닫힘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10) 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전기 절연재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 의 가동 부재 (30) 와, 그 하우징 (10) 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는 금속 부재로서의 단자 (20), 제 1 보강 금구 (40) (이하, 「제 1 금구 (40)」라고 한다), 제 2 보강 금구 (50) (이하, 「제 2 금구 (50)」라고 한다), 제 3 보강 금구 (60) (이하, 「제 3 금구 (60)」라고 한다) 를 갖고 있고, (도 2(A) 도 참조), 도 1(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후방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30) 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 (F) 를 단자 (20) 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 는, 도 1(A) 의 커넥터 (1) 를, 가동 부재 (30) 를 상방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A) 는 후방측에서, (B) 는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은, 상방에서 보아,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평행을 이루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고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측방 프레임부 (10C) 를 갖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는, 도 2(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B) (도 1 참조) 에 면하여 하부를 이루는 전방 기부 (基部) (11) 와, 그 전방 기부 (11) 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형성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전벽 (前壁) (12) 을 갖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의 전방 기부 (11) 및 전벽 (12) 은, 제 1 금구 (4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는 유지벽을 이루고 있다 (도 6(A) 참조). 전벽 (12) 의 상면은,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0) 의 하면이 맞닿음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고 (도 11(A) 참조), 가동 부재 (30) 의 하방으로의 과잉 변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부 (10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수용부 (17A) 의 후부 개구의 바닥벽을 형성하고 있고, 단자 (2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는 유지벽을 이루고 있다 (도 9(A) 참조). 도 1(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부 (10B)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인접하는 단자 (20) 끼리 사이의 위치에서, 그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 (突條部) (10B-1) 와, 인접하는 돌조부 (10B-1) 끼리 사이, 환언하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20) 의 위치에서 그 돌조부 (10B-1) 보다 내려앉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상부 (10B-2) 를 갖고 있다. 그 홈상부 (10B-2) 의 바닥면인 홈 바닥면 (10B-2A) 에는, 단자 (20) 의 후술하는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상면이 노정되어 있고, 홈 바닥면 (10B-2A) 과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상면이 함께 동일면을 형성하고 있다. 요컨대, 돌조부 (10B-1) 의 상면은, 단자 (20) 의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측방 프레임부 (10C)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방 기부 (11)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측벽 (15) 을 이루고 있다. 그 측벽 (15) 은, 도 1 및 도 2(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측벽 (15) 에 있어서의 후단 근처 위치에, 가동 부재 (30) 의 후술하는 단판부 (端板部) (34) 및 제 2 축부 (35B) 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부 (15A) 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벽 (15) 은, 수용 구멍부 (15A) 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측벽 (15B) 과,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측벽 (15C) 과, 커넥터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단측벽 (15D) 을 갖고 있다. 요컨대, 수용 구멍부 (15A) 는, 전방 측벽 (15B), 후방 측벽 (15C) 및 단측벽 (15D) 에 의해 삼방으로부터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구멍부 (15A) 를 형성하는 내벽면을 이루는 후방 측벽 (15C) 의 전면은,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가동 부재 (30) 의 후술하는 단판부 (34)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 방향에서 상단 근처 위치로부터 하단에까지 미치는 범위에서 내려앉아 있고, 후측 오목부 (15C-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후측 오목부 (15C-1) 는, 전방 그리고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단은 규제부 (15C-2)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 규제부 (15C-2) 는, 도 11(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부재 (30) 의 후술하는 피규제부 (34A) 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그 피규제부 (34A) 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대면하여, 그 피규제부 (34A) 와 걸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상기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에, 규제부 (15C-2) 에 의해, 그 이상의 그 가동 부재 (30) 의 회동 및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6(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수용부 (17A), 수용 오목부 (17B) 및 바닥 구멍부 (17C) 를 갖는 공간 (17)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A) 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 (17) 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된 평형 도체 (F)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17A) 와, 그 수용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고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0)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17B) 와, 수용부 (17A) 의 하방에 위치하는 바닥 구멍부 (17C) 를 갖고 있다.
수용부 (17A)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는, 후방 프레임부 (10B) 보다 상방이고 또한 닫힘 위치의 가동 부재 (30) 의 후술하는 덮개판부 (32) (도 11(A) 참조)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 (X 축 방향) 에서는 커넥터 (1) 의 후단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전벽 (12) 의 후면에 걸쳐,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는, 두 개의 측벽 (15) 끼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부 (17A) 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상방으로도 개방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전단측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 수용부 (17A) 가 후방뿐만 아니라 상방으로도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그 수용부 (17A) 의 후부에서 평형 도체 (F) 를 비스듬한 자세로도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17B) 는, 수용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수용부 (17A) 와 연통하고,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두 개의 측벽 (15) 끼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 오목부 (17B) 는, 도 6(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후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반부에서, 가동 부재 (30) 의 회동 기부 (35) 의 대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오목부 (17B) 가 수용부 (17A) 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상방에 위치한다」란, 수용 오목부 (17B) 가 수용부 (17A) 와 상하 방향에서 일부 중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또, 바닥 구멍부 (17C) 는, 하우징 (10) 의 사각 프레임상 부분 (전방 프레임부 (10A), 후방 프레임부 (10B) 및 측방 프레임부 (10C) 로 이루어지는 부분) 으로 둘러싸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공간에서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수용부 (17A) 의 범위에 걸쳐 그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에 배열 유지되어 있다. 그 단자 (2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후방 프레임부 (10B) 의 홈상부 (10B-2) 와 동 위치, 환언하면, 인접하는 돌조부 (10B-1)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에 형성되는 모든 단자 (20) 는 동일 형상이지만, 그 단자 (20) 중 일부의 단자 (20) 는, 신호 전송을 위한 신호 단자 (20S) 로서 사용되고, 잔부의 단자 (20) 는, 그라운드 단자 (20G) 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신호 단자 (20S) 와 그라운드 단자 (20G) 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신호 단자 (20S) 의 각 부의 부호의 말미에 「S」를 붙이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신호 접속부 (22S)」), 그라운드 단자 (20G) 의 각 부의 부호의 말미에 「G」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그라운드 접속부 (22G)」). 또, 신호 단자 (20S) 와 그라운드 단자 (20G) 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부호의 말미에 「S」, 「G」는 붙이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2 개의 신호 단자 (20S) 의 양측에 그라운드 단자 (20G) 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열되어 있다. 요컨대, 단자 (20) 의 배열 방향 (커넥터 폭 방향) 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 (20) 가 그라운드 단자 (20G) 로 되어 있음과 함께, 그라운드 단자 (20G), 신호 단자 (20S), 신호 단자 (20S) 라는 순서를 반복하여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인접하는 2 개의 신호 단자 (20S) 에 의해 고속 차동 신호가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단자 (20) 는,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전체 형상이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그 단자 (20) 는,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탄성 변위 가능한 접촉 아암부 (21) 와, 그 접촉 아암부 (21) 보다 하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22) 와,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과 접속부 (22) 의 전단을 연결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부 (10B) 에 유지되는 피유지부 (23)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신호 단자 (20S) 의 접속부 (22S) 를 「신호 접속부 (22S)」라고 하고, 그라운드 단자 (20G) 의 접속부 (22G) 를 「그라운드 접속부 (22G)」라고 한다.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폭협이 된 외팔보상을 이루고 있고, 전단 근처의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 형성된 접촉부 (21A) 를 갖고 있다.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하방을 향한 접촉 아암부 (21) 의 탄성 변위하에서, 그 접촉부 (21A) 가 평형 도체 (F) 의 접속 회로부 (도시 생략) 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A) 참조). 접속부 (22) 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 회로부 (패드) 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피유지부 (23) 는, 도 9(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부 (10B) 의 상면 (홈상부 (10B-2) 의 홈 바닥면) 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와, 후방 프레임부 (10B) 의 하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면 노정 피유지부 (23B)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후단과 하면 노정 피유지부 (23B) 의 전단을 연결하는 중간 피유지부 (23C) 와,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후단과 중간 피유지부 (23C) 의 상단의 경계 위치에서 굴곡 형성된 상측 굴곡부 (23D) 와, 하면 노정 피유지부 (23B) 의 전단과 중간 피유지부 (23C) 의 하단의 경계 위치에서 굴곡 형성된 하측 굴곡부 (23E) 를 갖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피유지부 (23) 는,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상면은, 도 1(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홈상부 (10B-2) 의 전반부에서 그 홈상부 (10B-2) 의 홈 바닥면 (10B-2A) 으로부터 노정되어 있고, 그 홈 바닥면과 함께 동일면을 형성하고 있다. 하면 노정 피유지부 (23B) 의 하면은, 후방 프레임부 (10B) 의 후반부에서 그 후방 프레임부 (10B) 의 하면으로부터 노정되어 있고, 그 하면과 함께 동일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중간 피유지부 (23C) 는, 그 전체가 후방 프레임부 (10B) 에 매설되어 있고, 그 중간 피유지부 (23C) 의 전체 둘레면에서 후방 프레임부 (10B)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폭협으로 되어 있고, 이 결과,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는, 그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접촉부 (21A) 보다 단자 폭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 이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가 접촉부 (21A) 보다 폭광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하우징 (10) 에 의한 단자 (20) 의 유지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접촉부 (21A) 가 폭협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접촉부 (21A) 에서의 탄성 변위가 용이해진다.
가동 부재 (30) 는, 그 가동 부재 (30) 를 열림 위치의 자세와 동일한 자세로 나타내는 도면 2(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과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넓어지는 대략 판상을 이루는 본체부 (31) 와, 그 본체부 (31) 보다 하방 (Z2 측) 이고 또한 전방 (X1 측) 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동 축선을 포함하는 회동 기부 (35)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30) 는 상기 회동 축선 둘레에서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동하지만, 이것 대신에, 가동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회동 축선 둘레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면 내에서의 슬라이드 이동 등을 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체부 (31) 는, 도 2(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닫힘 위치 (도 11(A) 참조) 에서 단자 (20) 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덮개판부 (32)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덮개판부 (32) 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부 (端壁部) (33) 와, 열림 위치에서의 그 단벽부 (33) 의 하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10) 의 수용 구멍부 (15A) 에 수용되는 연장부로서의 단판부 (34) (도 1(A) 도 참조) 를 갖고 있다.
단벽부 (33) 는, 도 2(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덮개판부 (32) 보다 전방 (닫힘 위치에서는 하방) 에 위치하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벽부 (33) 의 하단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33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부 (33A) 의 상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진 걸림면 (33A-1) 을 이루고 있고 (도 9(B) 도 참조),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즉, 걸림면 (33A-1) 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그 걸림면 (33A-1) 에서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A) 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B) 참조).
단판부 (34) 는, 도 2(A), (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상방이고 또한 전방을 향하여 볼록 만곡하는 대략 부채꼴상을 이루고 있다 (도 8(A), (B) 도 참조). 그 단판부 (34) 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수용 구멍부 (15A) 에 수용되어 있고, 그 단판부 (34) 의 볼록 만곡면은,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동할 때에, 그 수용 구멍부 (15A) 의 전방 내벽면, 즉 전방 측벽 (15B) 의 후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접촉하여 회동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단판부 (34) 는,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하부가 그 후면을 노치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피규제부 (34A) 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피규제부 (34A) 의 후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탄면) 은, 닫힘 위치에서, 하우징 (10) 의 규제부 (15C-2) 의 규제면 (15C-2A) 과 걸림 가능한 피규제면 (34A-1) 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가져왔을 때, 도 11(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피규제부 (34A) 가 하우징 (10) 의 측벽 (15) 의 후측 오목부 (15C-1) 내에 진입하여, 하우징 (10) 의 규제부 (15C-2) 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피규제부 (34A) 의 피규제면 (34A-1) (닫힘 위치에서의 상면) 이, 규제부 (15C-2) 의 규제면 (15C-2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간극을 가진 상태로 대면하여, 걸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만일, 닫힘 위치까지 회동한 가동 부재 (30) 를 더욱 회동시키는 외력이나 그 가동 부재 (30) 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외력을 받아도, 상기 피규제면 (34A-1) 이 상기 규제면 (15C-2A) 에 하방으로부터 걸림으로써, 가동 부재 (30) 의 회동이나 이동이 규제된다.
회동 기부 (35) 는, 도 2(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로 연장되는 제 1 축부 (35A) 와, 단판부 (34) 로부터의 양단면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각주상의 회동 축부로서의 제 2 축부 (35B) 와, 제 1 축부 (35A) 를 본체부 (31) 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 (35C) 를 갖고 있다.
제 1 축부 (35A) 는, 도 6(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제 1 축부 (35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로 연장되어 있고, 단벽부 (33) 의 내측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에 위치하는 측면) 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도 2(B) 참조). 그 제 1 축부 (35A) 는, 가동 부재 (30) 가 그 회동 방향에서 어느 각도 위치에 있을 때에도,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1 금구 (40)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부분이, 그 제 1 금구 (40) 의 저지부로서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피저지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 도 참조).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저지부 및 상기 피저지부가 단자 배열 범위 내에 분포하여 존재하고 있으므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커넥터 (1) 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넓은 범위에서 가동 부재 (3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의 저지가 도모되고 있다.
제 2 축부 (35B) 는, 도 2(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제 2 축부 (35B) 는, 앞서 서술한 단판부 (34) 와 함께 하우징 (10) 의 수용 구멍부 (15A) 에 수용되어 있다 (도 1 참조). 제 2 축부 (35B) 는, 가동 부재 (30) 가 그 회동 방향에서 어느 각도 위치에 있을 때에도, 제 2 금구 (50) 의 저지부로서의 제 2 폭협 아암부 (51B) 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제 2 폭협 아암부 (51B) 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피저지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7(A), (B) 참조).
결합부 (35C) 는,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제 1 금구 (40) 사이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도 2(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반부를 이루고 본체부 (31) 의 하단에 결합된 폭협 결합부 (35C-1) 와, 전반부를 이루고 제 1 축부 (35A) 의 상면에 결합된 폭광 결합부 (35C-2) 를 갖고 있다. 도 4(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폭광 결합부 (35C-2) 는 폭협 결합부 (35C-1)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고, 폭협 결합부 (35C-1) 와 폭광 결합부 (35C-2) 의 경계 위치는 단상 (段狀) 을 이루고 있다.
도 2(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결합부 (35C) 사이에는, 제 1 금구 (40) 의 후술하는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 허용부 (36) 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4(B) 도 참조). 그 진입 허용부 (36) 는, 도 4(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폭협 결합부 (35C-1)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후단 수용부 (36A) 와, 폭광 결합부 (35C-2)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 수용부 (36A) 보다 폭협이고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삽입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 통과 허용부 (36B) 를 갖고 있다 (도 6(A) 도 참조). 또, 도 6(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단 수용부 (36A) 는, 전반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상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후반부가 하방으로 개방된 홈상을 이루고, 또, 삽입 통과 허용부 (36B) 는 상방으로 개방된 홈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금구 (40) 는, 도 3(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도 6(A) 도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구 (40) 는, 그 제 1 금구와 동렬을 이루는 제 2 금구 (50) 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금구 (40) 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상완부 (41) 와, 그 상완부 (41)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로서의 제 1 고정부 (42) 와, 상완부 (41) 의 전단과 제 1 고정부 (4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43) 와, 상완부 (41) 의 전단과 제 1 연결부 (43) 의 상단의 경계 위치에서 굴곡 형성된 상측 굴곡부 (44) 와, 제 1 고정부 (42) 의 후단과 제 1 연결부 (43) 의 하단의 경계 위치에서 굴곡 형성된 하측 굴곡부 (45) 를 갖고 있다. 그 제 1 금구 (40) 는, 상기 상완부 (41) 의 후술하는 제 1 폭광 아암부 (41A) 및 상기 제 1 연결부 (43) 에서 단자 폭 치수 (Y 축 방향에서의 치수) 가 최대로 되어 있다.
상완부 (41) 는, 도 4(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매설 유지되는 제 1 폭광 아암부 (41A) (도 6(A) 도 참조) 와, 그 제 1 폭광 아암부 (41A) 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저지부로서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를 갖고 있다.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은 하우징 (10) 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상완부 (41) 는 외팔보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폭광 아암부 (41A) 는 그 후단부가 전방 프레임부 (10A) 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제 1 폭광 아암부 (41A) 의 후단부 및 상기 제 1 폭협 아암부 (41B) 가, 하우징 (10) 의 수용 오목부 (17B) 에 수용되어 있다 (도 6(A) 도 참조).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단자 폭 치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치수) 는, 도 4(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1 개의 그라운드 단자 (20G) 및 그 그라운드 단자 (20G) 의 양측에 1 개씩 배치된 신호 단자 (20S) 의 합계 3 개의 단자 (20) 를 포함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1 개의 그라운드 단자 (20G) 및 2 개의 신호 단자 (20S) 로 이루어지는 3 개의 단자 (20) 에 대응시켜 제 1 금구 (40) 의 단자 폭 치수를 설정함으로써,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1 개의 제 1 금구 (40) 의 범위 내에 상기 3 개의 단자 (20) 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1 개의 제 1 금구 (40) 와 그 3 개의 단자 (20) 의 조합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반복 배열함으로써, 고속 차동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단자 (20) 및 제 1 금구 (40) 의 배열 상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도 4(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폭광 아암부 (41A)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 폭협으로 되어 있고, 후단부 (자유단부) 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 (41B-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도 6(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는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부분의 압연면이 노출되어 있다.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가동 부재 (30) 가 그 회동 방향에서의 어느 각도 위치에 있어도 그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제 1 축부 (35A) 에 접한 상태에서 그 제 1 축부 (35A)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3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고, 하우징 (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30) 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도 6(A) 및 도 11(A)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6(A) 참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11(A) 참조),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하면이 제 1 축부 (35A) 의 상면에 접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제 1 축부 (35A)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제 1 축부 (35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1 축부 (35A)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가동 부재 (30) 의 진입 허용부 (36) 에 전방으로부터 진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진입 허용부 (36) 의 삽입 통과 허용부 (36B) 를 삽입 통과하고,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부가 삽입 통과 허용부 (36B) 밖에 도달하여 후단 수용부 (36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4(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부 (41B-1) 는, 후단 수용부 (36A) 내에서, 가동 부재 (30) 의 회동 기부 (35) 에 형성된 폭광 결합부 (35C-2) 의 후면에 대향하여 그 후면과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고, 이 결과, 하우징 (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30) 의 후방으로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도 4(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그라운드 단자 (20G) 와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그라운드 단자 (20G) 의 양측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 (20S) 끼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는, 도 4(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그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부가 그라운드 단자 (20G) 와 중복하여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부는, 도 6(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하 방향에서 그라운드 단자 (20G) 의 접촉부 (21A) 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제 1 금구 (40) 의 제 1 고정부 (42) 의 후단측 부분 및 제 1 연결부 (43) 는, 도 6(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도 8(A) 도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금구 (40) 의 상측 굴곡부 (44) 및 하측 굴곡부 (45) 의 각각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한 굴곡의 각도) 는 동등하고, 거의 직각이다 (도 3(B) 에서 굴곡 각도를 「θ1」로 하여 도시).
제 1 금구 (40) 의 그 제 1 고정부 (42) 는, 그 전단측 부분이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2(B) 및 도 6(A)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B) 의 대응부인 제 1 고정용 패드 (도시 생략) 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정부 (42)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그라운드 단자 (20G) 나아가서는 그 그라운드 단자 (20G) 의 그라운드 접속부 (22G) 와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그라운드 단자 (20G) 의 양측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 (20S) 끼리 사이 나아가서는 그 신호 단자 (20S) 의 신호 접속부 (22S) 끼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신호 단자 (20S) 의 신호 접속부 (22S)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금구 (40) 의 제 1 고정부 (42) 끼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신호 접속부 (22S) 가 제 1 고정부 (42) 끼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에서 상기 신호 접속부의 땜납 접속을 위한 신호용 패드 (도시 생략) 로부터 신호용 도전 패턴 (도시 생략) 을 전방으로 일직선으로 연장하여 형성해도, 그 신호용 도전 패턴은, 상기 제 1 고정부 (42) 의 땜납 접속을 위한 제 1 고정용 패드 (도시 생략) 와 간섭하지 않고, 서로 인접하는 제 1 고정용 패드끼리 사이를 거쳐 더욱 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단자 (20G) 의 그라운드 접속부 (22G)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고정부 (42) 에 대하여 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라운드용 패드 (도시 생략) 에 접속된 그라운드용 도전 패턴 (도시 생략) 은, 회로 기판 (B) 의 실장면 상에서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 (22G) 의 땜납 접속을 위한 그라운드용 패드 (도시 생략)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면, 그라운드용 도전 패턴 (도시 생략) 은, 제 1 고정용 패드에 간섭하여 접속되게 되지만, 그라운드용 도전 패턴과 고정용 패드가 접속되어도, 그라운드 특성에는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라운드 접속부 (22G)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고정부 (42) 에 대하여 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동 위치가 아니어도, 그라운드 접속부 (22G)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제 1 고정부 (42) 에 대하여 중복 범위를 갖고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단자 (20) 보다 전방에 제 1 금구 (40) 를 갖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를,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회로 기판 (B) 의 후단 가장자리의 근방 위치에 실장할 수 있다.
제 2 금구 (5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수용 구멍부 (15A) 및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금구 (50) 는,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금구 (40) 를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금구 (50) 는, 굴곡 가공되는 각도가 직각보다 작고, 후술하는 제 2 연결부 (53) 가 제 1 금구 (40) 의 제 1 연결부 (43) 보다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는 점에서만 제 1 금구 (40) 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그 제 1 금구 (40) 와 동일하다. 그 제 2 금구 (50) 에 대해서는, 제 1 금구 (40) 와 대응하는 부분에, 그 제 1 금구 (40) 에 있어서의 부호에 「10」을 더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금구 (50) 는, 전후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하완부 (51) 와, 그 하완부 (51) 보다 하방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로서의 제 2 고정부 (52) 와, 하완부 (51) 의 전단과 제 2 고정부 (5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53) 를 갖고 있다. 도 3(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금구 (50) 의 상측 굴곡부 (54) 및 하측 굴곡부 (55) 의 각각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한 굴곡 각도는 동등하고, 직각보다 작다 (도 3(C) 에서 굴곡 각도를 「θ2」로 하여 도시). 요컨대, 제 2 금구 (50) 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θ2) 는, 제 1 금구 (40) 에 있어서의 굴곡 각도 (θ1) 보다 작다.
제 2 금구 (50) 는,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지만, 상기 금속판 부재를 굴곡시키는 각도 (상기 서술한 굴곡 각도 (θ2)) 가 직각보다 작기 때문에, 도 3(C) 나 도 7(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 (53) 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 2 금구 (50) 가 하우징 (10) 에 유지된 자세, 즉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자세에서, 제 2 금구 (50) 의 하완부 (51) 는 제 1 금구 (40) 의 상완부 (41)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하완부 (51) 는,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금구 (40) 의 제 1 폭광 아암부 (41A) 및 제 1 폭협 아암부 (41B) 와 동 형상의 제 2 폭광 아암부 (51A) 및 제 2 폭협 아암부 (51B) 를 갖고 있다. 그 하완부 (51) 는, 도 7(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수용 구멍부 (15A) 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제 2 폭광 아암부 (51A) 의 전단측 부분 및 제 2 폭협 아암부 (51B) 의 후단측 부분이 하우징 (10) 의 측벽 (15)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하완부 (51) 는,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보다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부분의 압연면이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폭협 아암부 (51B) 의 후단에는 돌기부 (51B-1) (도 3(A) 참조)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돌기부 (51B-1) 가 일체 몰드 성형으로 측벽 (15) 에 매설됨으로써 하완부 (51) 가 강고하게 유지된다.
하완부 (51) 는,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수용 구멍부 (15A) 내에 위치하는 중간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부분은,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부를 이루고 있다. 그 하완부 (51) 는, 가동 부재 (30) 가 어느 각도 위치에 있어도 그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 제 2 축부 (35B)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30)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고, 하우징 (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30) 의 하방으로의 빠짐을 저지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도 (도 7(A) 참조),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하완부 (51) 의 상면이 제 2 축부 (35B) 의 하면에 접면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완부 (51) 는 제 2 축부 (35B) 에 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제 2 축부 (35B)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다소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하완부 (51) 는 상기 간극의 치수에 상당하는 소정량 이상의 제 2 축부 (35B) 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금구 (50) 의 하완부 (51) 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폭광 아암부 (51A) 의 전단측 부분 및 제 2 폭협 아암부 (51B) 의 후단측 부분에서 하우징 (10) 에 유지됨에 따라, 하완부 (51) 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게 된다. 요컨대, 하완부 (51) 는, 양팔보상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하완부 (51) 에서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의 이동을 저지할 때, 그 제 2 축부 (35B) 의 맞닿음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할 수 있다.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금구 (50) 의 제 2 고정부 (52) 의 후단측 부분 및 제 2 연결부 (53) 는, 하우징 (10) 의 전방 측벽 (15B)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그 제 2 고정부 (52) 는, 그 전단측 부분이 전방 측벽 (15B)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2(B) 도 참조),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B) 의 대응부인 제 2 고정용 패드 (도시 생략) 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 3 금구 (6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측벽 (15)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 금구 (50) 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측벽 (15) 에서 3 개의 그 제 3 금구 (60)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3(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3 금구 (60) 는, 커넥터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치수를 단자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그 제 3 금구 (60) 는, 앞서 서술한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의 대부분 (접촉 아암부 (21) 의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 을 절제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제 3 금구 (60) 는, 타부보다 폭광으로 형성된 전단부 (61) 와, 그 전단부 (61) 보다 하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로서의 제 3 고정부 (62) 와, 전단부 (61) 의 후단과 제 3 고정부 (62) 의 전단을 연결하는 제 3 연결부 (63) 와, 전단부 (61) 의 후단과 제 3 연결부 (63) 의 상단의 경계 위치에서 굴곡 형성된 상측 굴곡부 (64) 와, 제 3 고정부 (62) 의 전단과 제 3 연결부 (63) 의 하단의 경계 위치에서 굴곡 형성된 하측 굴곡부 (65) 를 갖고 있다. 전단부 (61) 및 제 3 연결부 (63) 는, 도 9(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후방 측벽 (15C)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매설 유지되어 있다. 제 3 고정부 (62) 는, 하우징 (10) 의 후방 측벽 (15C) 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B) 의 대응부인 제 3 고정용 패드 (도시 생략) 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띠상의 압연 금속판을 타발하여, 단자 (20) 및 제 3 금구 (60) 를 형성하기 위한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과, 제 1 금구 (40) 및 제 2 금구 (50) 를 형성하기 위한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을 준비한다.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C1) (도 5 참조) 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동렬을 이루어 배열되고 상기 캐리어 (C1)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동일 형상의 세조편을 갖고 있다. 그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의 모든 세조편은, 단자 (20) 를 굴곡 형성하기 전의 평탄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어 (C2) (도 5 참조) 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동렬을 이루어 배열되고 상기 캐리어 (C2)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동일 형상의 세조편을 갖고 있다. 그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의 모든 세조편은, 제 1 금구 (40) 및 제 2 금구 (50) 를 굴곡 형성하기 전의 평탄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의 모든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단자 (20) 의 형상을 이루는 굴곡 세조편 (120) 을 형성함과 함께, 일부의 굴곡 세조편 (120) 에 대해서는 아무런 가공하지 않는 한편으로, 잔부의 굴곡 세조편 (120) 에 대해서는 그 전단측 부분을 절제하여, 제 3 금구 (60) 의 형상을 이루는 굴곡 세조편 (160) 을 형성한다 (도 5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에 형성된 동일 형상의 세조편으로부터 굴곡 세조편 (120) 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잔부의 굴곡 세조편 (120) 중 일부를 절제하여 굴곡 세조편 (160) 을 형성함으로써, 굴곡 세조편 (120) 으로부터 단자 (20) 를, 그리고 굴곡 세조편 (160) 으로부터 제 3 금구 (60) 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단자 (20) 및 제 3 금구 (6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의 제조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의 복수의 세조편 중 일부의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제 1 금구 (40) 의 형상을 이루는 굴곡 세조편 (140) 을 형성함과 함께, 잔부의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제 2 금구 (50) 의 형상을 이루는 굴곡 세조편 (150) 을 형성한다 (도 5 참조). 이 때, 굴곡 세조편 (140) 은 상기 일부의 세조편을 굴곡 각도 (θ1) (도 3(B) 참조) 하에서 굴곡함으로써 형성되고, 굴곡 세조편 (150) 은 상기 잔부의 세조편을 굴곡 각도 (θ2) (도 3(C) 참조) 하에서 굴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에 형성된 동일 형상의 세조편으로부터 상이한 형상의 굴곡 세조편 (140) 및 굴곡 세조편 (150) 을 형성하여, 굴곡 세조편 (140) 으로부터 제 1 금구 (40) 를, 그리고 굴곡 세조편 (150) 으로부터 제 2 금구 (50) 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금구 (40) 및 제 2 금구 (5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의 제조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굴곡 세조편 (140) 과 굴곡 세조편 (150) 은, 동일 공정에서 일괄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상이한 공정에서 별개로 형성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의 굴곡 세조편 (120, 160) 의 자유단이 전방 (X1 방향) 을 향함과 함께,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의 굴곡 세조편 (140, 150) 의 자유단이 후방 (X2 방향) 을 향하도록 하고 (도 5 참조),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102) 을 금형 (후술하는 상측 금형 (M1), 하측 금형 (M2) 및 후방 금형 (M3)) 에 배치하고, 그 금형에 의해 유지한다. 이 때, 그라운드 단자 (20G) 가 되는 굴곡 세조편 (120G) 은,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는, 그 전단부를, 제 1 금구 (40) 가 되는 굴곡 세조편 (140) 의 후단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함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에서는, 제 1 금구 (40) 가 되는 굴곡 세조편 (140) 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에 상당하는 부분 (141B) 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신호 단자 (120S) 가 되는 굴곡 세조편 (120S) 은,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부분 (141B) 의 범위 외, 또한, 제 1 폭광 아암부 (41A) 에 상당하는 부분 (141A) 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102) 은, 상방으로부터 배치되는 상측 금형 (M1), 하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하측 금형 (M2) 및 후방으로부터 배치되는 후방 금형 (M3) 에 의해, 단자 (20) 의 접속부 (22), 제 1 금구 (40) 의 상완부 (41), 제 2 금구 (50) 의 하완부 (51), 제 3 금구 (60) 의 제 3 고정부 (62) 가 사이에 오게 된다.
이 때, 도 6(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 금형 (M2) 이 제 1 금구 (40) 의 제 1 폭광 아암부 (41A) 의 하면의 후단측 영역 및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하면의 전단측 영역에 맞닿는다. 또, 후방 금형 (M3) 이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후단부의 하면에 맞닿는다. 이 결과, 도 6(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축부 (35A)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제 1 폭협 아암부 (41B), 하측 금형 (M2) 및 후방 금형 (M3)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 상측 금형 (M1) 이 제 1 금구 (40) 의 제 1 폭광 아암부 (41A) 의 상면의 후단측 영역 및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상면의 전역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제 1 폭광 아암부 (41A) 및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또, 후방 금형 (M3) 은,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부분에, 그 하우징 (10) 의 홈상부 (10B-2) (도 1(B) 참조) 의 홈 폭과 동일한 폭 치수의 돌기상 부분을 갖고 있고, 그 돌기상 부분의 하면이 단자 (20) 의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의 상면에 맞닿는다. 이로써, 일체 몰드 성형시에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측으로 용융된 수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그 접촉 아암부 (21) 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또, 도 7(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측 금형 (M1) 이 제 2 금구 (50) 의 제 2 폭광 아암부 (51A) 의 상면의 후단측 영역 및 제 2 폭협 아암부 (51B) 의 상면의 후단 영역에 맞닿아, 제 2 축부 (35B)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제 2 폭광 아암부 (51A), 제 2 폭협 아암부 (51B) 및 상측 금형 (M1)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또, 도 7(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 금형 (M2) 이 제 2 금구 (50) 의 하완부 (51) 의 하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영역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하완부 (51) 의 평탄한 압연면인 상면 및 하면은 금형과의 맞닿음면으로서 이용된다.
또, 도 8(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가동 부재 (30) 의 단판부 (34) 의 위치에서는, 그 단판부 (34) 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상측 금형 (M1) 및 하측 금형 (M2)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용융된 전기 절연 재료 (수지) 를 금형 내에 주입하고 나서 고화시키고, 하우징 (10) 과 가동 부재 (30) 를 동시에 성형하여, 단자 (20), 제 1 금구 (40), 제 2 금구 (50) 및 제 3 금구 (60) 를 하우징 (10) 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한다. 이 일체 몰드 성형의 결과, 도 6(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1 금구 (40) 의 위치에서는, 상완부 (41) 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하면 (압연면), 하측 금형 (M2) 및 후방 금형 (M3)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가 그 상면에서 제 1 폭협 아암부 (41B) 의 하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도 6(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는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성형된다.
또, 도 7(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제 2 금구 (50) 의 위치에서는, 하우징 (10) 의 수용 구멍부 (15A) (도 7(A) 참조) 내에서, 제 2 금구 (50) 의 하완부 (51) 의 상면 (압연면) 과 상측 금형 (M1) 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가 그 하면에서 하완부 (51) 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도 8(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가동 부재 (30) 의 단판부 (34) 의 위치에서는, 상측 금형 (M1) 및 하측 금형 (M2)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단판부 (34)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측 금형 (M1) 을 상방 (Z1 방향) 으로, 하측 금형 (M2) 을 하방 (Z2 방향) 으로, 그리고 후방 금형 (M3) 을 후방 (X2 방향) 으로,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한다. 금형 (M1, M2, M3) 을 분리한 후,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으로부터 캐리어 (C1) 를, 도 5 의 일점쇄선 (P1) 에 나타나는 위치에서 절제함과 함께,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으로부터 캐리어 (C2) 를, 도 5 의 일점쇄선 (P2) 에 나타나는 위치에서 절제한다. 이 결과,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1) 의 굴곡 세조편 (120, 160) 은 단자 (20) 및 제 3 금구 (60) 로서 형성되고,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의 굴곡 세조편 (140, 150) 은 제 1 금구 (40) 및 제 2 금구 (50) 로서 형성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30) 를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그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를 제 1 금구 (40) 의 상완부 (41) 의 하면으로부터 분리함과 함께, 그 가동 부재 (30) 의 제 2 축부 (35B) 를 제 2 금구 (50) 의 하완부 (51) 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가동 부재 (30) 를 가동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1) 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된다. 이 때, 상완부 (41) 의 하면 및 하완부 (51) 의 상면은 압연면이고 매끄러우므로, 제 1 축부 (35A) 및 제 2 축부 (35B) 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 가동 부재 (30) 의 회동 조작은, 금형 (M1, M2, M3) 을 분리한 후의 어느 단계에서 실시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 (1) 의 출하 전에 제조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커넥터 출하 후, 커넥터 사용 개시시에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단자 (20) 및 금구 (40, 50, 60) 를 하우징 (10) 및 가동 부재 (30) 와 동시에 일체 몰드 성형한 후, 가동 부재 (30) 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일체 몰드 성형 후에 커넥터의 구성 부재를 아무런 가공할 필요가 없고, 적은 공정으로 간단하게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공정이 적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 동작을 도 9 내지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직전, 도 10 은 평형 도체 (F)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 도 11 은 평형 도체 (F) 의 접속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1) 의 단면도이며, 각 도면에 있어서, (A) 는 제 1 금구 (40) 의 위치에서의 단면, (B) 는 가동 부재 (30) 의 걸림부 (33A) 의 위치에서의 단면, (C) 는 가동 부재 (30) 의 피규제부 (34A)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의 상면은 제 1 축부 (35A) 의 하부에 압압 (押壓) 되어 있고, 이 결과,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의 탄성 변형 상태하에서, 평형 도체 (F) 의 회로부와 단자 (20) 의 접촉부 (21A) 의 접압이 높아져 있다.
먼저, 커넥터 (1) 의 단자 (20) 의 접속부 (22) (신호 단자 (20S) 에 있어서는 신호 접속부 (22S) 및 그라운드 단자 (20G) 에 있어서는 그라운드 접속부 (22G))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 회로부 (신호용 패드 및 그라운드용 패드) 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제 1 금구 (40) 의 제 1 고정부 (42), 제 2 금구 (50) 의 제 2 고정부 (52), 제 3 금구 (60) 의 제 3 고정부 (62)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 (제 1 고정 패드, 제 2 고정 패드, 제 3 고정 패드) 에 땜납 접속한다. 각 고정부 (42, 52, 62) 의 땜납 접속에 의해, 하우징 (10) 이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C)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를 열림 위치에 가져온 상태의 커넥터 (1) 의 후방에, 평형 도체 (F)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다 (도 1 도 참조).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를 전방을 향하여 커넥터 (1) 의 수용부 (17A) 에 삽입한다.
수용부 (17A) 에 대한 평형 도체 (F)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의 전단은, 먼저, 도 10(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의 접촉부 (21A) 에 맞닿고 그 맞닿음력의 하방향 분력으로 그 접촉부 (21A) 를 압하한다. 이 때, 접촉 아암부 (21) 는, 도 10(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한다.
평형 도체 (F) 의 삽입은, 평형 도체 (F) 의 전단이 하우징 (10) 의 전방 프레임부 (10A) 의 후면에 맞닿을 때까지 실시된다 (도 10(A), (B) 참조). 도 10(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도, 단자 (20) 의 접촉 아암부 (21) 는 탄성 변위한 그대로이고, 이 결과, 그 접촉 아암부 (21) 의 접촉부 (21A) 는,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노정된 접속 회로부에 접압을 갖고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A) 및 도 10(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용부 (17A) 의 후부 개구의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 (10) 의 후방 프레임부 (10B) 의 돌조부 (10B-1) 끼리 사이에서 그 돌조부보다 내려앉은 홈상부 (10B-2) 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20) 의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A) 는 그 상면에서 홈상부 (10B-2) 의 홈 바닥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1(B) 도 참조). 따라서,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발출 과정에서, 그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이나 경사를 일으켰다고 해도, 그 평형 도체 (F) 의 하면이 맞닿는 것은 돌조부 (10B-1) 의 상면이고, 평형 도체 (F) 의 하면의 회로부와 단자 (20)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다. 이 결과, 단자 (20) 및 평형 도체 (F) 의 회로부가 보호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30) 를 회동시켜, 도 11(A) 내지 (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닫힘 위치에 가져오고, 도 11(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의 걸림부 (33A) 를 평형 도체 (F) 의 절결부 (F1) 내에 돌입시킨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A) 가 걸림부 (33A) 의 걸림면 (33A-1) 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걸림면 (33A-1) 에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므로, 평형 도체 (F)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에 가져옴으로써,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 동작이 완료된다.
도 11(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 (30) 의 피규제부 (34A) 는, 하우징 (10) 의 후측 오목부 (15C-1) 내에 진입하여, 그 하우징 (10) 의 규제부 (15C-2) 의 하방에 위치하고, 피규제부 (34A) 의 피규제면 (34A-1) (닫힘 위치에서의 상면) 이, 규제부 (15C-2) 의 규제면 (15C-2A) 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간극 (덜거덕거림) 을 가진 상태에서 대면하여, 걸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1) 에 접속된 상태로 상방을 향하여 갑자기 들어올려졌을 때, 닫힘 위치까지 회동한 가동 부재 (30) 를 더욱 회동시키는 외력이나 그 가동 부재 (30) 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외력을 그 가동 부재 (30) 가 받아도, 상기 피규제면 (34A-1) 이 상기 규제면 (15C-2A) 에 하방으로부터 걸림으로써, 가동 부재 (30) 의 회동이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결과, 가동 부재 (30) 가 하우징 (10) 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구 (40) 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가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그 제 1 축부 (35A)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 (3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 1 폭협 아암부 (41B) 에 의해서도, 하우징 (10) 으로부터의 가동 부재 (30) 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A) 와 도 11(C) 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규제부 (15C-2) 는, 제 1 금구 (40) 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및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1) 에 접속된 상태로 상방을 향하여 갑자기 들어올려졌을 때, 평형 도체 (F) 는, 하우징 (10) 의 규제부 (15C-2) 및 가동 부재 (30) 의 피규제부 (34A) 보다 후방에서 들어올리는 힘을 받고,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가, 이 들어올리는 힘에 의해 발생한 상방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금구 (40) 의 저지부로서의 제 1 폭협 아암부 (41B) 가 가동 부재 (30) 의 피저지부로서의 제 1 축부 (35A) 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맞닿아 (걸려) 있으므로, 상기 제 1 폭협 아암부 (41B) 가 상기 상방으로의 힘에 대항하여, 가동 부재 (3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지만, 평형 도체 (F) 에 작용하는 상기 들어올리는 힘이 과대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폭협 아암부 (41B) 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하여 가동 부재 (30) 가 들어올려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 그 가동 부재 (30) 의 피규제부 (34A) 가, 그 피규제면 (34A-1) 에서, 하우징 (10) 의 규제부 (15C-2) 의 규제면 (15C-2A) 에 하방으로부터 맞닿아 (걸려), 그 규제부 (15C-2) 에 의해 가동 부재 (30) 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규제부 (15C-2) 에 의해 상기 피규제부 (34A) 의 이동이 규제되면, 이 규제 위치가 지지점이 되어, 평형 도체 (F) 가 상방으로 크게 굽힘 변형을 일으킨다. 그리고, 가동 부재 (30) 는 상기 지지점보다 전방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부재 (30) 의 제 1 축부 (35A) 에서 평형 도체 (F) 의 굽힘 변형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고, 이 힘은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유지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 에 상기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1) 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1(A) 내지 (C) 에 나타나는 상태, 즉 커넥터 (1) 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형 도체 (F) 를 커넥터 (1) 로부터 의도하여 발출할 때에는, 닫힘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0) 를 회동시켜, 도 10(A) 내지 (C) 에 나타나는 열림 위치에 가져온다. 도 10(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가동 부재 (30) 의 걸림부 (33A) 는 평형 도체 (F) 의 절결부 (F1) 로부터 상방으로 빠져서 위치한다. 요컨대,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2A) 에 대한 걸림부 (33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F)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를 후방으로 당기면, 그 평형 도체 (F) 를 용이하게 커넥터 (1) 로부터 발출할 수 있다.
1 : 커넥터
10 : 하우징
10B : 후방 프레임부 (유지벽)
10B-1 : 돌조부
10B-2 : 홈상부
10B-2A : 홈 바닥면
15C-2 : 규제부
17A : 수용부
20 : 단자
20S : 신호 단자
20G : 그라운드 단자
21 : 접촉 아암부
21A : 접촉부
22 : 접속부
22S : 신호 접속부
22G : 그라운드 접속부
23 : 피유지부
23A : 상면 노정 피유지부
23D : 상측 굴곡부
23E : 하측 굴곡부
30 : 가동 부재
34 : 단판부 (연장부)
35A : 제 1 축부 (피저지부)
35B : 제 2 축부 (피저지부)
40 : 제 1 금구 (보강 금구)
41B : 제 1 폭협 아암부 (저지부)
42 : 제 1 고정부 (접속부)
44 : 상측 굴곡부
45 : 하측 굴곡부
50 : 제 2 금구 (보강 금구)
51B : 제 2 폭협 아암부 (저지부)
52 : 제 2 고정부 (접속부)
54 : 상측 굴곡부
55 : 하측 굴곡부
60 : 제 3 금구 (보강 금구)
62 : 제 3 고정부 (접속부)
64 : 상측 굴곡부
65 : 하측 굴곡부
101 :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02 :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
120 : 굴곡 세조편
140 : 굴곡 세조편
150 : 굴곡 세조편
160 : 굴곡 세조편
F : 평형 도체 (상대 접속체)
B : 회로 기판
C1 : 캐리어
C2 : 캐리어

Claims (9)

  1.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대 접속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상기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고, 단자와 보강 금구로 구성된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복수의 금속 부재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부재는, 압연 금속판제이고, 그 압연면이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룸과 함께, 그 금속 부재의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그 금속 부재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 갖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의 금속 부재를 갖고 있고,
    그 복수 종의 금속 부재 중 1 종의 금속 부재와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측에서 상기 실장면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굴곡부에서의 상기 실장면에 대한 굴곡의 각도가 서로 상이함과 함께, 굴곡부 이외의 부분이 서로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대 접속체로서의 평형 도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고,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를 갖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 및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상기 접속부를 일단측에 갖고 있음과 함께, 전후 방향 및 금속 부재의 배열 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저지부를 타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는,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고,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일방의 측으로부터 저지하고,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의 저지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을 커넥터 두께 방향에서의 타방의 측으로부터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측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외팔보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측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양팔보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가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실장되고, 상대 접속체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 발출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상기 상대 접속체의 폭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되고, 단자와 보강 금구로 구성된 복수의 금속 부재와, 그 복수의 금속 부재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띠상의 압연 금속판을 타발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리어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 동렬을 이루어 배열되고 상기 캐리어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동일 형상의 세조편을 갖는 형상을 이루는 캐리어가 부착된 세조편을 형성하고,
    복수의 상기 세조편 중 일부의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공하여,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굴곡부를 그 세조편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 갖는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형성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세조편 중 잔부의 세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굽힘 가공하여, 상기 소정의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굴곡된 굴곡부를 그 다른 세조편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에 갖는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형성하고,
    상기 1 종의 굴곡 세조편 및 상기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일괄하여 하우징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그 하우징에서 유지하고,
    상기 캐리어를 모든 굴곡 세조편으로부터 떼어내어 제거하고, 상기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1 종의 금속 부재로 하고, 상기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을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굴곡 세조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측 부분 및 상기 다른 1 종의 굴곡 세조편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 부분을, 하우징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그 하우징에 의해,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를 외팔보상으로 유지함과 함께,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를 양팔보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종의 금속 부재를 상기 다른 1 종의 금속 부재보다 많이 형성하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200036285A 2019-03-29 2020-03-25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524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7977 2019-03-29
JP2019067977A JP7011621B2 (ja) 2019-03-29 2019-03-29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291A KR20200115291A (ko) 2020-10-07
KR102524171B1 true KR102524171B1 (ko) 2023-04-20

Family

ID=7267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85A KR102524171B1 (ko) 2019-03-29 2020-03-25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11621B2 (ko)
KR (1) KR102524171B1 (ko)
CN (1) CN111755865B (ko)
TW (1) TWI771650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890B2 (ja) * 1992-05-25 2001-03-12 株式会社コンテック 端子金具
JP2006179451A (ja) * 2004-12-23 2006-07-06 Uju Electronics Co Ltd 無接地型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510B1 (en) * 2003-05-08 2004-05-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J connector for transceiver module
JP4762828B2 (ja) * 2006-08-22 2011-08-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水密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17877Y (zh) * 2007-07-24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17878Y (zh) * 2007-07-24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70200U (en) * 2009-05-18 2009-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444626U (zh) * 2012-06-21 2013-01-0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D型hdmi連接器
KR101457065B1 (ko) 2013-06-07 2014-10-3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N205159556U (zh) * 2015-09-14 2016-04-13 温州意华接插件股份有限公司 热插拔式接口连接器
DE202017100608U1 (de) * 2017-02-06 2017-02-17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890B2 (ja) * 1992-05-25 2001-03-12 株式会社コンテック 端子金具
JP2006179451A (ja) * 2004-12-23 2006-07-06 Uju Electronics Co Ltd 無接地型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4673A (zh) 2020-12-01
JP7011621B2 (ja) 2022-01-26
CN111755865A (zh) 2020-10-09
JP2020167081A (ja) 2020-10-08
TWI771650B (zh) 2022-07-21
CN111755865B (zh) 2022-04-19
KR2020011529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EP1311028A2 (en)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77361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FI126806B (en) Coupling
US20060166549A1 (en) Wire cover for connectors
JP3964583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20040005794A1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US924626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814605B2 (en)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US11437752B2 (en) Connector
JP403637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7744402B2 (en) Cable conductor assembly with protective stiffener
EP1235303A2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172459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0991139A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24171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2021086702A (ja) コネクタ組立体
JP738614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57548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付電気コネクタ
JP699337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5754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22039035A (ja) コネクタ
JP3217036B2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6985320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215832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