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869B1 -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 Google Patents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869B1
KR102519869B1 KR1020177003531A KR20177003531A KR102519869B1 KR 102519869 B1 KR102519869 B1 KR 102519869B1 KR 1020177003531 A KR1020177003531 A KR 1020177003531A KR 20177003531 A KR20177003531 A KR 20177003531A KR 102519869 B1 KR102519869 B1 KR 10251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mp
ser
leu
pro
gl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576A (ko
Inventor
니콜라스 더블유 모렐
웨이 리
폴 디 업튼
Original Assignee
캠브리지 엔터프라이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453948&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198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캠브리지 엔터프라이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캠브리지 엔터프라이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757A/ko
Publication of KR2017002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75Bone morphogen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51Bone morphogenet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0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i.e. the nucleic acid deliv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00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6011Herpesviridae
    • C12N2710/16611Simplexvirus, e.g. human herpesvirus 1, 2
    • C12N2710/166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66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24011Poxviridae
    • C12N2710/24111Orthopoxvirus, e.g. vaccinia virus, variola
    • C12N2710/241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241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0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40/100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5011Lentivirus, not HIV, e.g. FIV, SIV
    • C12N2740/15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40/150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5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DNA viruses
    • C12N2750/00011Details
    • C12N2750/14011Parvoviridae
    • C12N2750/14111Dependovirus, e.g. adenoassociated viruses
    • C12N2750/141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50/141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골형성단백질 10 (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 9 (BMP 9) 변이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BMP 9 변이체 및 상기 폴리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THERAPEUTIC US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본 발명은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골형성단백질 10(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 9 (BMP 9) 변이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BMP 9 변이체 및 상기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 질환은 크고 중간 크기의 근육 동맥의 병리학적 상태이며 내피세포 기능 장애에 의해 유발된다. 병원균, 산화된 LDL 입자 및 기타 염증성 자극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내피세포가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그것들의 특성이 변화된다. 내피세포는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을 분비하기 시작하고 표면에 접착 단백질들을 발현한다. 이것은 차례로 혈관벽에 침투할 수 있는 백혈구세포(단핵백혈구와 림프구)들의 모집을 초래한다. 내피세포에서 생산되는 사이토카인과 백혈구 세포의 모집으로 인한 평활근 세포층의 자극은 평활근 세포 증식을 야기하고 혈관 내강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은 증식하는 평활근 세포, 대식세포, 다양한 종류의 림프구들로 구성된 플라크를 형성하여 혈관 내벽을 두껍게 만든다. 이 플라크는 혈류를 차단하게 하여 표적 기관에 도달하는 산소와 영양분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최종 단계에서, 이 플라크는 또한 파열되어 혈전 형성 및 결과적으로 뇌졸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은 고등 생물에서 가스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장기 및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병리학적 상태를 포함하는 의학 용어이며, 상부 호흡 기관(upper respiratory tract), 기관(trachea), 기관지(bronchi), 세기관지(bronchioles), 폐포(alveoli), 흉막(pleura) 및 흉강(pleural cavity)의 상태 및 신경 및 호흡의 근육의 상태를 포함한다. 호흡기 질환은 보통 감기와 같은 가벼운 것과 스스로 제한하는 것에서부터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폐암(lung cancer)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물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은 현재 치료제가 없는 진기한 혈관 질환이다. 유전성 및 특발성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PAH)은 평활근세포, 섬유아세포 및 내피세포의 증식과 세포 자멸(아포토시스) 저항에 이차적인 폐동맥 모세혈관(precapillary pulmonary arteries)의 협착과 폐색을 특징으로 한다(Morrell et al (2009) J Am Coll Cardiol 54, S20-31). 폐 혈관 저항의 결과적인 증가는 폐동맥 압력의 심한 상승을 일으켜 우심실 비대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우심실 부전으로 인한 사망을 초래한다(Gaine and Rubin (1998) Lancet 352, 719-725).
2000년에 골형성단백질 제2형 수용체(BMPR-II)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이형 접합자 돌연변이의 확인(Lane et al Nat Genet 26, 81-84 (2000); Deng et al (2000) Am J Hum Genet 67, 737-744)은 유전성 PAH의 병리생물학으로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 인간(Thomson et al (2000) J Med Genet 37, 741-745)과 동물 모델(Long et al (2009) Circulation 119, 566-576)의 경우 비유전성 형태의 PAH의 특징으로서 BMPR-II의 발현 감소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는 또한 특발성 PAH(Thomson et al (2000) J Med Genet 37, 741-745)경우의 15-40%에서 BMPR-II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전적 증거는 내피세포를 PAH의 핵심적 개시 세포 유형으로 강력하게 의미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내피에서 BMPR-Ⅱ의 조건적 결실이 쥐의 일부에서 PAH를 유도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줬으며(Hong et al (2008) Circulation 118, 722-730), 설치류 모델에서 내피의 BMPR-II 신호 전달 복구가 실험에 의한 폐고혈압을 예방하거나 역전시킨다는 것을 나타냈다(Reynolds et al (2012) Eur Respir J 39, 329-343; Reynolds et al (2007)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92, L1182-1192; Spiekerkoetter et al (2013) J Clin Invest 123, 3600-3613). 보다 최근에는, BMP 9와 함께 내피 BMPR-II의 선택적 강화가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을 역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Long et al (2015) Nature Medicine 21, 777-785). 또한, 제1형 수용체 ALK-1(Trembath et al (2001) N Engl J Med 345, 325-334) 및 제3형 수용체 부속 단백질인 엔도글린(Harrison et al (2003)) J Med Genet 40, 865-871)에서의 돌연변이가 PAH를 가진 환자에게서 현재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이 두 개가 거의 독점적으로 내피에서 발현된다. 이러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PAH의 병리생물학적 측면에서 내피 기능 장애의 정확한 성질과 이 과정에서 BMP 신호 전달의 관여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비록 형성된 PAH는 폐쇄성 세포 병변의 요소로서, 폐 내피세포(Yeager et al (2001) Circ Res 88, E2-E11)의 과도한 복제 증식을 특징으로 하지만, 인간(Teichert-Kuliszewska et al (2006) Circ Res 98, 209-217)과 동물모델(Wilson et al (1992) Crit Rev Toxicol 22, 307-325; Taraseviciene-Stewart et al (2001) Faseb J 15, 427-438)의 모두에서 질환병리학의 개시는 내피세포 자멸(endothelial cell apoptosis)의 역설적인 증가와 연결되어 있다. 추가적인 연구에서 혈관투과성의 악화와 혈관벽을 가로지르는 백혈구의 변경된 전이에 있어서 내피 BMPR-II 손실 역할을 확인하였다(Burton et al (2011) Blood 117, 333-341; Burton et al (2011) Blood 118, 4750-4758; Kim et al (2013)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33, 1350-1359).
폐동맥 평활근 세포(PASMCs)를 이용한 생체 외(in vitro ) 연구에서 BMP 리간드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BMP 신호 전달 경로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기능의 상실을 극복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Yang et al (2008) Circ Res 102, 1212-1221). 현재까지 PAH 치료에서 그러한 접근법에 대한 개념의 증명을 제공하기 위한 생체 내(in vivo)에서 치료학적으로 BMP 리간드를 전달한 연구는 없다. 4종의 제2형 수용체, 5종의 제1형 수용체 및 20종 이상의 BMP 리간드로 구성된 BMP 신호 전달 체계의 복잡성(Miyazono et al (2005) Cytokine Growth Factor Rev 16, 251-263)은 그러한 연구의 부재를 설명할 수 있다. 폐 내피세포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하기 위해 적절한 리간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도전 과제이다. 최근 BMPR-II는 ALK-1과 신호 전달 복합체를 형성하고, 미세 혈관 내피세포에서 BMP 9및 10에 반응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David et al (2007) Blood 109, 1953-1961).
WO2005/113590은 심장 질환의 치료를 위한 BMP 10 길항제의 사용을 기술한다. WO2013/152213은 척추 동물에서 적혈구 및/또는 헤모글로빈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한 BMP 9 및/또는 BMP 10 폴리펩티드의 사용을 기술한다. WO2006/130022는 암컷 포유 동물에서 난포 형성 조정 및 배란율의 조절에 유용한 BMPR II의 작용제 또는 길항제를 기재하고 있다. WO2010/114833은 골형성단백질을 포함하는 심장 질환 치료 용 약학적 조성물을 기술한다. WO94/26893은 BMP-10 단백질, 이들의 생산 과정, 및 뼈와 연골 결함의 치료 및 상처 치유 및 관련 조직 복구에서의 이들의 사용을 기술한다. WO96/39431은 데노버 골형성(de novo bone formation)을 유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인간 BMP-10 폴리펩티드 및 이러한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DNA(RNA)를 기술한다. WO95/33830은 BMP-9단백질, 이들의 생산 과정, 및 뼈 및 연골 결함의 치료, 상처 치유 및 관련 조직 복구 및 간 성장과 기능에 있어서 이들의 사용을 기술한다. WO2010/115874에는 아펠린(apelin)/APJ 표적 약물을 투여하여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을 치료하는 방법이 기재되어있다. WO2009/114180 및 WO2014/160203은 세포 성장, 분화, 증식 및 세포 자멸의 조절에 유용하다고 주장되고, 그래서 세포 분화 및/또는 증식을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BMP 신호 전달과 관련된 염증, 심혈관 질환, 혈액학적 질환, 암 및 골 질환을 포함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지 모르는 BMP 신호 전달의 소분자 억제제를 기술한다. 소분자 억제제는 ApoB-100 또는 LDL의 순환 수준을 감소시키고 후천성 또는 선천성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또는 고지방단백혈증(hyperlipoproteinemia 지질 흡수 또는 대사의 결함과 관련된 질환, 장애 또는 증후군, 고지혈증(hyperlipidemia)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증후군)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고 주장된다.
따라서, 혈관 및 호흡기 질환, 특히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에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골형성단백질 10(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 9(BMP 9) 변이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골형성단백질 10(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 9(BMP 9)변이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펩티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SEQ ID NO: 5(서열 ID 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BMP 9 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SEQ ID NO: 6(서열 ID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BMP 9 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BMP 9 변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pro.BMP 9 및 pro.BMP 10의 발현 벡터 및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골형성 BMP 9 변이체의 생성을 나타낸 것이며, A는 BMP 9 합성 및 번역 후 과정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며, B-D에서 2개의 BMP 9 변이체(D366A 및 D408A)는 ID1 및 ID2 발현 (B 및 C) 유도에서 내피세포에서 야생형(the wild type)과 유사한 신호 활성을 가지나, C2C12 세포에서 골 형성 신호 활성을 결여 한다(D).
도 3은 BMP 9와 BMP 10 사이의 내피세포 신호 활성과 C2C12 세포 골 형성 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A-C에서 BMP 9 및 BMP 10은 HMEC-1과 유사한 신호 활성을 갖는다. 혈청기아(serum-starvation) 후, HMEC-1 세포를 지시된 농도로 BMP 9 또는 BMP 10으로 처리하였다. 8시간 처리 후 mRNA를 추출하고, 정량적 PCR에 의해 ID1, ID2 또는 BMPR-II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베타2-마이크로 글로불린(β2-microglobulin)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비처리 샘플에 대한 배수 변화를 나타내었다. Mean ± SEM은 N = 2로 표시된다. D에서 BMP 9와 유사하게, BMP 10은 또한 TNFα-CHX 유도 세포 자멸에 대해 hPAEC를 보호할 수 있다. 방법은 도 3A(N = 1)와 같다. E에서 BMP 9 및 BMP 10은 내피세포의 증식을 유사한 정도까지 억제한다. HPAECs는 24시간 동안 EBM 2/2% FBS에서 BMP 9 또는 BMP 10 (두 개 모두 R & D Systems)으로 처리되었다. 세포를 마지막 6시간 동안 0.5μCi/웰(well) 3H-티미딘(3H-Thymidine)으로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용해시키고 3H-티미딘 흡수를 액체 섬광 계수(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N = 1 실험, 4 웰의 mean±SEM)로 측정하였다. F에서 BMP 9와 달리, BMP 10은 C2C12 세포에서 ALP 활성으로 측정된 검출 가능한 골 형성 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C2C12 세포를 지시된 농도로 64시간 동안 BMP 9 또는 BMP 10으로 처리하였다. 세포를 1% Triton X-100 / PBS에서 용해시키고, 세포 용해물 중의 ALP 활성을 발색 포스파타아제(chromogenic phosphatase) 기질 4-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 디소듐 염(Sigma, S0942)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용해 가능한 생성물을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405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BMP 9와 BMP 10은 모두 R & D Systems에서 구입했다. Pro.BMP 9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그 농도 (성숙한(mature) 리간드)는 기준으로 R & D System의 BMP 9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결정되었다.
도 4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 pro.BMP1은 완전히 활성화되었다. A는 BMP 10 합성 및 번역 후 처리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B에서 BMP 10 발현 조절된 배지는 항-BMP 10 항체(R & D Systems)로 블로팅 되었다. C는 S200 겔 여과 컬럼으로부터 pro.BMP 10의 정제를 보여주는 비환원성 SDS-PAGE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도메인과 BMP 10의 정체는 웨스턴블롯과 매스 스펙 펩티드 매핑(Mass spec peptide mapping )에 의해 확인되었다. D 및 E에서 Smad1 / 5 / 8 인산화 및 ID1 / 2 / 3 유전자 발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pro.BMP 10 신호 전달 능력을 HMEC-1의 BMP 9 및 BMP 10 (R & D Systems)과 비교하였다. 방법은 도 3A 내지 C에서와 같다. D에서 BMP 농도는 0.05, 0.1, 1, 5ng / ml이고 처리 시간은 1 시간이다. Mean ± SEM은 N = 2로 표시된다.
도 5는 BMP 9 알라닌-스캐닝 돌연변이 유발을 요약한 것이다. 24개의 BMP 9 변이체가 생성되었고, ID1 유전자 유도를 위한 HMEC-1 세포 및 알칼린 포스파타제 활성을 위한 C2C12 세포 모두에서 시험 되었다. 모든 결과를 야생형(WT) BMP 9로 정규화하고 3회의 실험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는 처리되지 않은 세포를 의미한다.
도 6에서 BMP 변이체는 hPAECs에서 BMPR2 유전자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에서 BMP D408A 변이체은 hPAECs에서 TNFα/CHX에 의해 유도된 초기 세포 자멸을 복구할 수 있다.
도 8에서 BMP 9와 BMP 10은 콜라겐: 피브로넥틴 기질(fibronectin matrix)에서 혈액 성장 내피세포 (BOEC) 튜브 형성을 억제한다. (A) DAPI와 FITC-ULEX로 염색된 콜라겐 젤에서 BOEC 튜브의 대표적 이미지이다. 미디어만 있는 경우(2% BBM2 = 2% FBS를 포함하는 EBM2)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증가하는 농도의 BMP 9의 첨가는 BOEC 네트워크 형성을 억제한다. (B) BMP 9가 농도 의존적 방법으로 튜브의 길이와 수, 분기 및 루프 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3가지 별도의 실험으로 BOEC 네트워크 매개 변수의 정량이 결정되었다. (C) BMP 9 및 BMP 10-두 개의 리간드는BOEC 튜브 형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골형성단백질 10 (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 9 (BMP 9) 변이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피세포 신호 활성(예를 들어, ID1, ID2 및/또는 BMPR-II 유전자 발현의 유도에 의해 입증될 수 있는 바와 같이)을 유지하지만 골 형성 활성(예를 들어, 마우스 근아세포 세포주 C2C12에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ALP) 활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s)의 치료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한 BMP 10 및 BMP 9 변이체는 내피세포 신호 활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승 작용적으로 골 형성 활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천연 BMP 10 및 BMP 9 변이체는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 특히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PAH를 치료하기 위한 천연 BMP 9보다 더 바람직한 작용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BMP 10" 및 "골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10" 은 BMP 10 유전자(SEQ ID NO: 1(서열 ID 번호 1)에 나타낸 서열을 가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의 TGF-β 수퍼 패밀리에 속하는 인간 폴리펩티드를 지칭하며, SEQ ID NO: 2(서열 ID 번호 2)에 제시된 424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다. 여기에서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21은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잔기 22 내지 316은 프로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잔기 317 내지 424는 성숙한 BMP 1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BMP 9 변이체" 및 "골형성단백질 9 변이체"는 언급은 BMP 9 유전자(SEQ ID NO: 3(서열 ID 번호 3)에 나타낸 서열을 가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의 TGF-β 수퍼 패밀리에 속하는 인간 폴리펩티드를 지칭하고, SEQ ID NO: 4 (서열 ID 번호 4)에 나타낸 429 아미노산 서열의 변이체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서 아미노산 잔기 1 내지 22는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잔기 23 내지 319는 프로펩티드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잔기 320 내지 429는 성숙한 BMP 9를 포함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상기 BMP 9 변이체는 내피세포 신호 활성을 유지하지만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되어 었음이 강조된다.
"변종"은 BMP 9의 천연형, 비-돌연변이 형 또는 야생형 서열의 유전적 변이를 포함한다. 그러한 유전적 변이의 예는 치환, 결실, 삽입 등으로부터 선택된 돌연변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또는 "골 형성 활성을 결여하다"란 골 형성 활성(예를 들어, 마우스 근아세포 세포주 C2C12에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ALP) 활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의 제거, 최소화 및/또는 억제를 초래하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서열의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BMP 9 변이체를 지칭한다. 유익한 BMP 9 변이체는 내피 특이적 신호 전달을 유지하고(즉, HMEC-1 세포에서 ID1 유전자 발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야생형 BMP 9에 비해 적어도 0.75 배의 ID 유도를 가진 것) 골 형성 활성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것(즉, 마우스 근아세포 세포주 C2C12에서 ALP 활성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야생형 BMP 9에 비해 0.5 배 미만)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BMP 9 변이체는 내피 특이적 신호 전달(즉, HMEC-1 세포에서 ID1 유전자 발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야생형 BMP 9에 비해 적어도 0.75 배의 ID 유도를 가지는 것) 및 무시할 수 있는 골 형성 활성(즉, 마우스 근아세포 세포주 C2C12에서 ALP 활성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야생형 BMP 9에 비해 0.1 배 미만)을 유지하는 것 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BMP 9 변이체는 증가된 내피 특이적 신호(즉, HMEC-1 세포에서 ID1 유전자 발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야생형 BMP 9에 비해 ID1 유도 수준이 더 높은 것)를 가지고, 무시할 수 있는 골 형성 활성(즉, 마우스 근아세포 세포주 C2C12에서 ALP 활성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야생형 BMP 9에 비해 0.1배 미만)을 가지는 것 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혈관 질환은 폐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유전성 출혈성 모세 혈관 확장증(hereditary haemorrhagic telangiectasia), 죽상 동맥 경화증(atherosclerosis), 및 간 폐 증후군(hepatopulmonary syndrome)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혈관 질환은 폐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유전성 출혈성 모세 혈관 확장증(hereditary haemorrhagic telangiectasia), 간 폐 증후군(hepatopulmonary syndrome)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혈관 질환은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호흡기 질환은 만성 폐색성 폐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및 폐기종(emphysema)과 같은 폐색성 폐 질환(obstructive lung diseases), 폐부종(pulmonary edema) 및 폐 출혈(pulmonary hemorrhage)과 같은 폐 혈관 질환(pulmonary vascular diseases), 급성 폐 손상(acute lung injury) 및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과 같은 호흡 부전(respiratory failure) 및 호흡 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및 특발성 폐 섬유증(dopathic pulmonary fibrosis)과 같은 간질성 폐 질환(interstitial lung diseases)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는 BMP 10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BMP 10이 제공된다. ID1, ID2 및 BMPR-II 유전자 발현 유도에서 BMP 10이 BMP 9만큼 강력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또한, BMP 10은 TNFα-CHX 유도된 세포 자멸에 대한 hPAECs를 보호하는데 있어 BMP 9와 동일한 항-세포 자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D 참조). 그러나 결정적으로 BMP 10은 BMP 9와 달리, 실험한 최고 농도(도 3F 참조)에서 ALP 활성을 유도하지 않았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는 SEQ ID NO: 2(서열 ID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10이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는 SEQ ID NO: 1(서열 ID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BMP 10이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는 BMP 10의 프로도메인 결합 형태(pro.BMP 10)이다. pro.BMP 10 복합체가 매우 안정하고(도 4B 및 4C 참조), PAH와 같은 혈관 및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바람직한 형태임을 증명하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pro.BMP 10은 SEQ ID NO: 2(서열 ID 번호 2)의 잔기 317내지 42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성숙한 BMP 10 서열에 비공유 결합된 SEQ ID NO: 2(서열 ID 번호 2)의 잔기 22내지 3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프로펩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pro.BMP 10은 상기 프로펩티드 서열 2개 및 상기 성숙한 BMP 10 서열 2개를 함유하는 사량체(tetramer)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라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폴리펩티드는 BMP 9의 프로도메인 결합 형태(pro.BMP 9)의 변이체이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pro.BMP 9의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잔기 320 내지 4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성숙한 BMP 9 서열에 비공유 결합된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잔기 23 내지 31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프로펩티드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pro.BMP 9의 변이체는 상기 프로펩티드 서열 2개 및 상기 성숙한 BMP 9 서열 2개를 함유하는 사량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결실 또는 삽입 돌연변이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돌연변이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돌연변이체는 다음의 치환체: H326A, D342A, S343A, W344A, I346A, K349A K383A, K390A, S402A, L404A, K406A, D408A, V411A, T413A, L414A, Y416A 및 Y418A 중 하나 이상(즉, 단일, 이중, 삼중 돌연변이체 등)을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다음의 BMP 9 변이체: H326A, D342A, S343A, W344A, I346A, K349A, F362A, D366A, K372A, I375A, L379A, H381A, L382A, K383A, K390A, S402A, L404A, K406A, D408A, V411A, T413A, L414A, Y416A 및 Y418A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돌연변이체는 다음의 치환체: H326A, S343A, K349A, F362A, D366A, I375A, L379A, L382A, K390A, S402A, D408A, Y416A 및 Y418A 중 하나 이상(즉, 단일, 이중, 삼중 돌연변이체 등)을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다음의 BMP 9 변이체: H326A, S343A, K349A, F362A, D366A, I375A, L379A, L382A, K390A, S402A, D408A, Y416A 및 Y418A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돌연변이체 서열이 내피세포의 특이적 신호와 크게 감소된 골 형성 신호를 가지는 것에 유익한 효과를 유지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도 5에서 야생형 BMP 9와 비교할 때, 적어도 0.75 배의 ID1 유도 및 0.5 배 미만의 ALP 활성이 입증됨).
추가의 구체 예에서,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돌연변이체는 다음의 치환체: F362A, D366A, I375A, L379A, S402A, D408A, Y416A 및 Y418A 중 하나 이상(즉, 단일, 이중, 삼중 돌연변이체 등)을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다음의 BMP 9 변이체: F362A, D366A, I375A, L379A, S402A, D408A, Y416A 및 Y418A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돌연변이체 서열이 내피세포의 특이적 신호에 유익한 효과를 유지하지만 골 형성 신호가 결여되어 있음을 입증하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도 5에서 야생형 BMP 9와 비교할 때, 적어도 0.75 배의 ID1 유도 및 무시할 수 있는 (즉, 0.1 배 미만) ALP 활성에 의해 입증됨).
추가의 구체 예에서,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돌연변이체는 D366A 또는 D408A의 치환체(즉, 단일 또는 이중 돌연변이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다음의 BMP 9 변이체: DMP6A 또는 D408A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돌연변이체 서열이 BMP 9의 유익한 효과를 유지하지만, 골 형성 신호를 개시할 수 없고 따라서 생체 내(in vivo )에서 BMP 9의 투여에 의한 골 형성의 잠재적 위험을 제거할 수 없음을 입증하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도 2에 도시된 결과 참조). 이들 돌연변이체 서열은 증가된 내피 특이적 신호를 가지지만 골 형성 신호를 갖지 않음(도 5에서 야생형 BMP 9와 비교할 때 1배 이상의 ID1 유도 및 무시할만한 (즉, 0.1 배 미만) ALP 활성에 의해 입증됨)을 입증하는 데이터도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4(서열 ID 번호 4)의 BMP 9 변이체인 D408A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돌연변이체 서열은 종양 괴사 인자α(TNFα)와 시클로헥시미드(CHX)에 의해 유도된 PAEC 조기 세포 자멸을 복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본 명세서에 나타내었다(도 7의 결과 참조).
추가의 구체 예에서,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는 SEQ ID NO: 5(서열 ID 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9 변이체인 D366A 또는 SEQ ID NO: 6(서열 ID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9 변이체인 D408A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BMP 9 변이체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폴리펩티드를 구성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적인 측면을 형성하게 됨을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SEQ ID NO: 5(서열 ID 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9 변이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SEQ ID NO: 6(서열 ID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9 변이체가 제공된다.
활성 폴리펩티드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를 약학적 조성물(예: 제제(formulation))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이것은 멸균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정의한 대로 약학적 조성물,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임의로 다른 치료제 또는 예방제(prophylactic agents )와 함께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예를 들어, 혼합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BMP 9 변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SEQ ID NO: 5(서열 ID 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9 변이체인 D366A 또는 SEQ ID NO: 6(서열 ID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BMP 9 변이체인 D408A와 같은 BMP 9 변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담체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반고체 담체), 보조제, 희석제, 충전제 또는 증량제, 과립화제, 코팅제, 방출 조절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보존제, 항산화제, 완충제, 현탁화제, 증점제, 향미제, 감미제, 미색 방지제, 안정화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부형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약학적 조성물의 첨가제의 예는 아래에 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용어는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비례하여 대상(예를 들어, 인간)의 조직에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형태에 관련된다. 각 담체, 부형제 등은 제제의 다른 성분과 양립(compatible)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수용가능(acceptable)"해야 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고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USA )이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국소, 비강 내, 기관지 내, 설하, 안과, 귀, 직장, 질내 또는 경피 투여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이 비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이들은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투여를 위해 또는 주사, 주입 또는 다른 전달 수단에 의해 표적 기관 또는 조직으로의 직접 전달을 위해 제제화될 수 있다. 전달은 볼루스 주사, 단기 주입 또는 장기 주입으로 가능하며 수동 전달 또는 적절한 주입 펌프 또는 주사기 드라이버를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제제는 수성과 비수성 멸균 주입 용액을 포함한다. 이 용액에는 항산화제, 완충액, 세균 제제, 공용매, 표면 활성제, 유기 용매 혼합물, 사이클로 덱스트린 착화제, 유화제(에멀젼 제제의 형성 및 안정화를 위한 것), 리포솜을 형성하기 위한 리포솜 성분, 중합체 겔을 형성하기 위한 겔화 가능한 중합체, 동결 건조 보호제 및 특히 가용성 형태로 활성 성분을 안정화시키고 제형을 목적하는 수혜자의 혈액과 등장성으로 만드는 제제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약 제제는 또한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RG Strickly, 경구 및 주사용 제제의 가용 부형제, Pharmaceutical Research, Vol 21 (2) 2004, p201-230).
본 발명의 BMP 10 또는 BMP 9 변이체를 포함하는 유전자 요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MP 10 또는 BMP 9 변이체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암호화하는 벡터는 숙주인 인간 대상에게 투여되어 혈액순환으로 방출시키기 위해 BMP 10 또는 BMP 9 변이체 폴리펩티드의 내인성 발현(예를 들어 간에서의 내인성 발현) 결과를 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BMP 10 또는 BMP 9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가 제공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벡터는 SEQ ID NO: 1(서열 ID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벡터는 바이러스 벡터이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렌티 바이러스, 단순 포진(herpes simplex), 종두증(vaccinia) 및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중에서 선택된다. 추가의 구체 예에서, 벡터는 바이러스 벡터이며, 이는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이다.
대체의 구체 예에서, 벡터는 비바이러스 벡터이다. 비바이러스성 벡터의 사용은 바이러스 벡터의 사용에 비해 예를 들어 숙주에서의 대규모 생산의 용이성 및 숙주에서 낮은 면역원성과 같은 여러 이점을 갖는다. 비바이러스 유전자 치료법의 예로는 네이키드디엔에이(naked DNA) 주입,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유전자 총(gene gun), 소노포레이션(sonoporation), 마그네토펙션(magnetofection)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s), 리포플렉스(lipoplexes), 덴드리머(dendrimers) 및 무기 나노 입자(inorganic nanoparticles)의 사용이 포함된다.
제제는 단위 용량 또는 다중 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폐된 앰플, 바이알 및 예비 충전된 주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멸균 액체 매개체(예를 들어 사용 직전에 물의 투입)의 첨가만을 필요로 하는 동결 건조(lyophilised)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약학적 제제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동결 건조는 조성물을 동결 건조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동결 건조(freeze-drying) 및 동결 건조(lyophilisation)는 본 명세서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주사를 위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사용 직전 멸균 주사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멸균 분말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운송수단의 예로는 물, 에탄올, 폴리올(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예를 들어 해바라기 유, 홍화 오일, 옥수수유 또는 올리브유) 및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ethyl oleate)를 포함한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농후 또는 코팅 물질의 사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그리고 계면 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미생물 작용의 예방은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설탕, 염화나트륨 등과 같은 긴장성(tonicity)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주사용 약학적 형태의 장기간 흡수는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르 및 젤라틴과 같은 흡수를 지연시키는 물질의 포함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한 구체 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정맥 내 투여를 위해, 용액은 그대로 투여되거나, 투여하기 전 주입 백(infusion bag, 0.9 % 식염수 또는 5% 덱스트로스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함)으로 주사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한 구체 예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피하 투여에 적합한 형태이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적 투여 형태는 정제(코팅 또는 비코팅), 캡슐(경질 또는 연질 캡슐), 당의정, 환제, 정제, 시럽, 용액, 분말, 과립, 엘릭서(elixirs) 및 현탁액, 설하 정제, 웨이퍼 또는 구강 패치와 같은 패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제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활성 폴리펩티드의 단위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의 예로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과 같은 당 또는 당알콜 및/또는 탄산나트륨, 인산 칼슘, 탄산 칼슘과 같은 비-당 유도 희석액, 또는 셀룰로오스, 또는 예를 들면 미결정 셀룰로오스(MCC),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그것들의 유도체, 및 옥수수 전분과 같은 전분이 있다. 정제는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 붕해제(예를 들어 가교 결합된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팽창성 가교된 중합체), 윤활제(예를 들어 스테아레이트), 방부제(예를 들어 파라벤), 항산화제 (예를 들어 BHT), 완충제(예를 들어 인산염 또는 시트르산 완충액), 및 발포제(예를 들어 시트레이트/중탄산염 혼합물)과 같은 결합제와 과립화제의 기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히 논의할 필요는 없다.
정제는 위액과의 접촉 시(즉각적인 방출 정제) 또는 장기간에 걸쳐 통제된 방식(통제된 방출 정제)으로 방출되거나, 위장관의 특정 영역과 접촉 시 약물을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캡슐 제제는 경질 젤라틴 또는 연질 젤라틴 종류일 수 있고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젤라틴 캡슐은 동물성 젤라틴 또는 합성 또는 식물 유래의 등가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고체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정제, 캡슐 등)는 코팅 또는 비-코팅될 수 있다. 코팅은 보호 필름(예를 들어 중합체, 왁스 또는 바니시)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약물 방출 제어용 또는 심미적 또는 정체 확인용 메커니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코팅 (예를 들어, Eudragit™ 형태 중합체)은 위장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서 활성 성분을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코팅은 위장관 내의 특정 pH 조건 하에서 분해되도록 선택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위 또는 회장, 십이지장, 공장(jejunum) 또는 결장(colon)에서 폴리펩티드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코팅 대신에 또는 코팅에 추가하여, 약물은 방출 조절제, 예를 들어 위장관에서 통제된 방식으로 폴리펩티드를 방출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방출 지연제를 포함하는 고체 매트릭스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약물은 중합체 코팅, 예를 들어 위장관에서 다양한 산도 또는 알칼리성의 조건 하에서 폴리펩티드를 선택적으로 방출 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코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매트릭스 물질 또는 방출 지연 코팅은 투여 형태가 위장관을 통과할 때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침식되는 침식성 중합체 (예를 들어, 말레익산 무수물 중합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에서, 코팅은 장내 미생물 작용하에 분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으로서, 활성 폴리펩티드는 폴리펩티드의 방출의 삼투압 조절을 제공하는 전달 시스템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삼투성 방출 및 다른 지연 방출 또는 지속 방출 제제(예를 들어, 이온 교환 수지에 기초한 제형)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담체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고, 나노입자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나노 입자의 증가된 표면적은 이들의 흡수를 돕는다. 또한, 나노입자는 세포에 직접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나노입자 약물 전달 시스템은 “Nanoparticle Technology for Drug Delivery(Ram B Gupta 및 Uday B. Kompella 편집, Informa Healthcare, ISBN 9781574448573, 2006 년 3월 13 일 발행)”에 설명되어 있다. 약물 전달을 위한 나노입자는 또한 J. Control. Release, 2003년 발행, 91 (1-2), 167-172 및 Sinha et al., Mol. Cancer Ther. 8 월 1 일 (2006) 5, 1909에도 설명되어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약 1%(w/w) 내지 약 95%(w/w) 활성 성분 및 99%(w/w) 내지 5%(w/w)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부형제 조합물을 포함한다. 특히, 조성물은 약 20%(w/w) 내지 약 90%(w/w)의 활성 성분 및 80%(w/w) 내지 10%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부형제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95%, 특히 약 20% 내지 약 90%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앰플, 바이알, 좌약, 선-충전 주사기, 당의정,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와 같은 단위 투약 형태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제제의 원하는 물리적 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희석제(예를 들어 충전제 또는 증량제와 같은 고체 희석제 및 용매 및 공용매와 같은 액체 희석제), 붕해제, 완충제, 윤활제, 유동 보조제, 방출 조절제 (예를 들어 방출 지연 또는 지연 중합체 또는 왁스), 결합제, 과립 화제, 안료, 가소제, 항산화제, 방부제, 향미제, 맛가리움제(taste masking agents), 긴장성 조절제 및 코팅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제제에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양의 성분을 선택하는 전문 기술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정제 및 캡슐은 전형적으로 0-20% 붕해제, 0-5% 윤활제, 0-5% 유동 보조제 및/또는 0-99%(w/w) 충전제/또는 증량제(약물 투여량에 따라)를 함유한다. 이들은 또한 0-10%(w/w) 중합체 결합제, 0-5 %(w/w) 항산화제, 0-5% (w/w)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느린 방출 정제는 또한 0 내지 99% (w/w)의 방출 조절(예를 들어 지연) 중합체(투여량에 따라)를 함유할 것이다. 정제 또는 캡슐의 필름 코팅은 전형적으로 0-10%(w/w) 중합체, 0-3%(w/w) 안료 및/또는 0-2%(w/w) 가소제를 함유한다.
비경구 제형은 전형적으로 0 내지 20% (w/w) 완충액, 0 내지 50% (w/w) 공용매 및/또는 0 내지 99% (w/w) 주사용 증류수(WFI)을 포함한다(용량에 따라 다르며, 동결 건조되는 경우). 근육 내 부분을 위한 제제는 또한 0-99% (w/w)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고체 담체와 배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성된 혼합물을 과립화시키고, 필요하다면 또는 필요한 경우, 적절한 부형제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정제, 당의정 또는 캡슐에 처리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측정된 양으로 확산 또는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중합체 또는 왁스성 매트릭스에 이들을 혼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또한 고체 분산액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고체 분산물은 2 이상의 고체의 균질한 극미세 분산상이다. 고체 분산액의 한 유형인 고체 용액 (분자적 분산 시스템)은 약학적 기술에 사용하기 위해 잘 알려져 있으며(Chiou and Riegelman, J. Pharm. Sci., 60, 1281-1300 (1971) 참조), 용해 속도가 증가하고 약한 수용성 약물의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고용체를 포함하는 고체 복용 형태를 제공한다. 고체 복용 형태는 정제, 캡슐, 츄어블정 및 분산성 또는 발포성 정제를 포함한다. 공지된 부형제를 고체 용액과 블렌딩하여 원하는 복용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은 (a) 붕해제 및 윤활제, 또는 (b) 붕해제,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와 혼합된 고체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캡슐은 락토오스 또는 미결정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적어도 하나의 붕해제, 윤활제, 계면 활성제, 증량제 및 유동성 개선제(glidant)와 혼합된 고체 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 츄어블정(chewable tablet)은 증량제, 윤활제, 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감미제(예를 들어 인공 감미료) 및 적합한 향료와 배합된 고체용액을 함유할 수 있다. 고체용액은 또한 설탕 비드(논파레일(non-pareil))와 같은 불활성 담체의 표면에 약물 및 적합한 중합체의 용액을 분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드는 캡슐로 채워지거나 정제로 압축될 수 있다.
약학적 제제는 단일 패키지, 대개 블리스터 팩에서 전체 치료 과정을 포함하는 "환자 팩"(patient packs)으로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환자 팩은 전통적인 처방보다 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약사는 대량 공급물로부터 환자의 의약품 공급을 분할하는 상황에서, 환자가 보통 환자 처방에서 빠진 경우 환자 팩에 함유된 패키지 삽입물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패키지 삽입물의 포함시키는 것은 의사의 지시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소 사용 및 비강 전달용 조성물에는 연고, 크림, 스프레이, 패치, 젤, 액체 방울 및 삽입물(예를 들어 안구 삽입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직장 또는 질 내 투여를 위한 제제의 예는 예를 들어 활성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형상화된 형틀 제작이 가능하거나 왁스성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페서리(pessaries) 및 좌약을 포함한다. 활성 폴리펩티드의 용액은 또한 직장 투여에 사용될 수 있다.
흡입 투여용 조성물은 흡입 가능한 분말 조성물 또는 액체 또는 분말 스프레이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분말 흡입기 장치 또는 에어로졸 투여 장치를 사용하여 표준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흡입에 의한 투여의 경우, 분말형 제제는 전형적으로 예컨대 락토오스 같은 비활성 고체 분말형 희석제와 함께 활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일반적으로 단위 복용 형태로 제공되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원하는 수준의 생물학적 활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폴리펩티드를 함유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제는 1나노그램 내지 2그램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1나노그램에서 2밀리그램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폴리펩티드의 특정 하위 범위는 0.1밀리그램 내지 2그램의 활성 성분(보다 일반적으로 10밀리그램 내지 1그램, 예를 들어 50밀리그램 내지 500밀리그램), 또는 1마이크로그램 내지 20밀리그램(예를 들어 1마이크로그램 내지 10밀리그램, 예를 들어 0.1 밀리그램 내지 2밀리그램의 활성 성분)이다.
구강용 조성물의 경우, 단위 복용 형태는 1밀리그램 내지 2그램, 보다 통상적으로 10 밀리그램 내지 1그램, 예를 들어 50밀리그램 내지 1그램, 예컨대 100밀리그램 내지 1그램의 활성 폴리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폴리펩티드는 원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그것을 필요로 하는 환자(예를 들어, 인간 또는 동물 환자)에게 투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혈관 질환 또는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골형성단백질 10(BMP 10) 또는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 골형성단백질 9(BMP 9) 변이체로부터 선택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폴리펩티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연구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약어
ActR-IIA(B): 제ⅡA(B)형 액티빈수용체
ALK1, 2, 3, 6: 액티빈수용체-유사 키나아제 1, 2, 3, 6
ALP: 알칼린 인산 가수분해효소
BMP: 골형성단백질
BMPR-II: 제Ⅱ형 골형성단백질수용체
ECD: 세포 외 도메인
FBS: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HMEC-1: 인간 미세혈관 내피세포(huma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PAEC: 인간 폐동맥 내피세포(human pulm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MSC: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PAH: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ro.BMP 9: BMP 9 결합 프로도메인(prodomain bound BMP 9)
pro.BMP 10: BMP 10 결합 프로도메인(prodomain bound BMP 10) 및
qPCR: 정량적 PCR(quantitative PCR)
재료 및 방법
재조합 인간 pro.BMP 9 및 pro.BMP 10생성
인간 pre-pro-BMP 9(프리-프로-BMP 9) 오픈 리딩 프레임(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한 전장 cDNA는 HindIII와 XhoI 부위 사이의 발현 벡터 pCEP4에 복제되었다(도 1 참조). 유사하게, 인간 pre-pro-BMP 10의 전장 cDNA는 XhoI 및 BamHI 부위 사이의 발현 벡터 pCEP4에 복제되었다 (도 1 참조). 삽입은 DNA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퀵 체인지사이트-디렉티드 뮤타제네시스키트(QuickChange Site-Directed Mutagenesis kit,Stratagene)를 사용하여 Pro.BMP 9 변이체를 생성하고 모든 돌연변이는DNA 염기서열분석으로 확인하였다.
pre-pro-BMP 9(또는 pre-pro-BMP 10)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를 5% 소 태아 혈청(FBS)이 함유된 DMEM 배지에서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여 HEK-EBNA 세포에 형질 감염시켰다. 인간 퓨린(furin)을 발현하는 플라스미드를 pro-BMP 9 및 pro-BMP 10의 처리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공동 - 형질 감염시켰다. 다음날 세포를 혈청이 없는 CDCHO 배지로 바꾸고, 3-4 일 후에 배양 배지를 수확하였다. 항-BMP 9 (MAB3209, R & D Systems), 항 -BMP 9 프로도메인(AF3879, R & D Systems) 또는 항-BMP 10 (MAB2926, R & D Systems)항체를 각각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팅에 의해 배양 배지 안의 pro.BMP 9와 pro.BMP 10의 정체가 확인되었다.
pro.BMP 10을 정제하기 위해, 1-5 리터의 배양 배지를 50 mM Tris.HCl, pH 7.4, 50 mM NaCl에서 사전-평형화된 Q-Sepharose 컬럼에 적재하였다. 결합 된 단백질은 NaCl구배(50-2000mM)로 용출되었다. 분획을 비-환원성 SDS-PAGE로 분석하고, pro.BMP 10을 함유하는 분획을 모으고 농축한 후 S200 겔 여과 컬럼에 적재하였다. S200컬럼의 Pro.BMP 10은 90% 이상의 순도를 가지며 BMP 10 프로도메인과 성숙한 BMP 10의 정체는 겔 내 분해(in-gel digestion)및 질량 분광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내피세포에서의 정량적 PCR ( qPCR ) 및 Smad1 / 5 / 8 인산화에 의한 신호 분석
신호 분석을 위해, pro.BMP 9의 농도는 표준으로서 R & D BMP 9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측정되었다. 그리고 pro.BMP 10의 농도를 표준으로서 R & D BMP 10을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 및 이미지 J(Image J)로 정량화하였다.
혈청기아(serum-starvation) 후에, HMEC-1 세포를 지시된 농도로 BMP 리간드로 처리하였다. 처리 후 8시간에, mRNA를 추출하고 ID1, ID2 또는 BMPR-II의 발현 정도를 정량적 PCR로 측정하였다. 베타 2- 마이크로글로불린(β2-microglobulin)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비-처리 샘플에 대한 배수 변화를 나타내었다. Mean ± SEM은 N = 2로 표시된다. Smad1 / 5 / 8 인산화 분석을 위해, 혈청결핍 (serum-starvation)된 HMEC-1 세포를 지시된 농도로 BMP 리간드로 1시간 동안 처리하고, 접시를 드라이아이스 상에 놓음으로써 신호 전달을 중단시켰다. 용해 완충액 (125 mM Tris · HCl, pH 6.8, 2% SDS 및 10% 글리세롤)을 첨가하고 전체 세포 용해물 중의 단백질 농도를 DCTM 단백질 분석 (Bio-Ra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세포 단백질 25-35 ㎍이 면역블로팅에 사용되었고 Smad1 / 5 / 8의 인산화는 항-pSmad1 / 5 / 8 항체 (Cell Signaling, cat No. 9516)로 관찰되었다. 알파-튜불린(α-tubulin)은 적재 대조군(loading control)으로 사용되었다.
마우스 근아세포 세포주 C2C12에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ALP) 활성
C2C12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DMEM의 24-웰 플레이트에서 20,000셀/웰(cells/well)로 접종하였다. 48시간 후, 세포를 0.25% FBS를 함유하는 DMEM으로 16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지시된 농도에서 BMP 리간드로 6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1% Triton X-100 / PBS에서 용해시키고, 세포 용해물 중의 총 단백질 농도를 DCTM 단백질 분석(Bio-Ra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용해물 중의 ALP 활성을 발색 포스파타아제 기질 4- 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 디소듐염 (Sigma, S0942)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가용성 생성물을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405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대조군 BMP 9와 BMP 10은 R & D Systems에서 구입하였다.
결과
PAH에서 치료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BMP 9 신호 및 데이터.
BMP 9와 BMP 10은 희귀 수용체(orphan receptor) ALK1(David et al (2007) Blood 109 (5) : 1953-1961)의 리간드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내피세포에서 ID1, ID2 및 BMPRII를 포함하는 유사한 유전자 세트를 유도한다. BMP 9는 간에서 합성되며(Miller et al (2000) J. Biol. Chem. 275 (24): 17937-17945, Bidart et al (2012) Cell.Mol.Life Sci.69 (2) : 313-324), 2-10ng / ml에서 순환하며, 활성 농도에서 순환하는 것으로 유일하게 확인된 BMP이다(Herrera and Inman (2009) BMC Cell Biol.10 : 20, David et al (2008) Circ. Res.102 (8) : 914- 922). BMP 9는 체외 (in vitro)에서 EC 이동, 증식 및 혈관 신생을 억제하며, 그래서 혈관 안정성을 촉진시키는 혈관 정지 인자이다(David et al (2008), 상기 문헌).
내피 보호 특성을 유지하지만 골 형성 활성이 없는 BMP 9 변이체의 공학
내피 수용체의 선택적 활성화를 통해 심혈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BMP 9는 간엽줄기세포(MSC) 및 C2C12 근섬유에서 또한 신를 보일 수 있다. 실험 된 14개의 BMP 중에서, BMP 9는 생체 외에서 가장 높은 골 형성 신호 및 생체 내에서의 골 형성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Kang et al (2004) Gene Ther. 11 (17): 1312-1320; Luther et al (2011) Curr. Gene Ther. 11 (3): 229-240). ALK1및 ALK2 모두 BMP 9의 골 형성 활성에 필요하지만(Luo et al (2010) J. Biol. Chem.285 (38): 29588-29598), 골 형성 작용 맥락에 있어서 BMP 9와 ALK1 및 ALK2의 상호 작용의 성격은 알려져 있지 않다. ALK2는 또한 혈관 내피세포에서도 발현되지만(Upton et al (2008) Mol. Pharmacol. 73(2): 539-552), ALK1은 이들 세포에서 BMP 9 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제 I 형 수용체이다(Upton et al (2009) J. Biol. Chem.284 (23): 15794-15804, Scharpfenecker et al (2007) J. Cell Sci. 120 (Pt 6): 964-972). BMP 9-골 형성 활성에 대한 제II 형 수용체 요구량은 MSCs에서 조사되었다. BMPR-II, ActR-IIA 및 ActR-IIB의 세 가지 II 형 BMP 수용체 모두에서의 우성 음성 돌연변이체(dominant negative mutant)의 발현은 BMP 9에 의해 유도된 골 형성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우성 음성 ActR-IIB와 함께 가장 강력하다(Wu et al (2010) Acta biochimica et biophysica Sinica 42 (10): 699-708).
본 발명자들은 BMP 9 상의 제I형 및 제II형 수용체 결합 부위를 돌연변이 시킴으로써, ALK1 결합을 유지하지만 ALK2 결합을 잃는 BMP 9 변이체가 생성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BMP 9 변이체들은 내피세포 보호 기능을 유지하지만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되어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미 ID1 및 ID2 유전자 발현의 유도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내피세포 신호 활성을 유지하지만, C2C12 세포에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분석에 의해 평가된 골 형성 신호 활성이 결여된 2 개의 그러한 BMP 9 변이체를 확인하였다(도 2). 이러한 BMP 9 변이체들(D366A 및 D408A)은 내피세포에서 정상적인 신호 활성을 가지므로 생체 내에서 유익한 효과를 유지할 수 있지만, 골 형성 신호를 개시할 수 없게 될 것이며, 그로 인해 생체 내 BMP 9의 투여로 인한 골 형성의 잠재적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BMP 9 알라닌 스캐닝 돌연변이 유발
24개의 BMP 9 알라닌 변이체 (H326A, D342A, S343A, W344A, I346A, K349A, F362A, D366A, K372A, I375A, L379A, H381A, L382A, K383A, K390A, S402A, L404A, K406A, D408A, V411A, T413A, L414A, Y416A 및 Y418A)를 생성시키고, ID1 유전자 유도를 위한 HMEC-1 세포 및 알칼린 포스파타제 활성을 위한 C2C12 세포 모두에서 시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 5에 요약되어 있으며, 13개의 BMP 9 변이체(H326A, S343A, K349A, F362A, D366A, I375A, L379A, L382A, K390A, S402A, D408A, Y416A 및 Y418A)가 내피 특이적 신호의 유익한 효과를 유지하고 크게 감소된 골 형성 신호(야생형 BMP 9와 비교할 때 적어도 0.75 배의 ID1 유도 및 0.5 배 미만의 ALP 활성으로 입증됨)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결과는 8개의 BMP 9 변이체(F362A, D366A, I375A, L379A, S402A, D408A, Y416A 및 Y418A)는 내피 특이적 신호를 유지하지만 골 형성 신호가 결여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야생형 BMP 9와 비교할 때 적어도 0.75배의 ID1 유도 및 무시할 수 있는 (즉, 0.1 배 미만의) ALP 활성). 또한, 도 5가 보여주는 결과는 두 개의 BMP 9 변이체(D366A 또는 D408A)가 내피 특이적 신호를 증가시켰지만, 골 형성 신호를 결여하는 것을 나타낸다(야생형 BMP 9에 비교 시, 1배 이상의 ID1 유도 및 무시할 수 있는(즉, 0.1 배 미만의) ALP 활성에 의해 입증됨).
일차 내피세포에서 BMP 9 변이체의 검증
내피 특이적 신호를 유지하지만 골 형성 신호가 결여된 것으로 확인된 상기8 개의 BMP 9 변이체(F362A, D366A, I375A, L379A, S402A, D408A, Y416A 및 Y418A)를 추가로 일차 내피세포에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돌연변이체는 모두 인간 폐동맥 내피세포(hPAEC, 도 6)에서 BMPR2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적어도 하나의 변이체, D408A는 종양 괴사 인자 α(TNFα)와 시클로헥시미드(CHX)에 의해 유도된 PAEC 초기 세포 자멸(PAEC early apoptosis)을 구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내피세포에서 BMP 10 신호 전달
BMP 10은 심장 발달에 필수 불가결하다(Neuhaus et al (1999) Mech. Dev. 80 (2) : 181-184). BMP 10-null 마우스는 심각하게 손상된 심장 발달로 인해 배아에게 치명적이다(Chen H et al (2004) Development 131 (9) : 2219-2231).BMP 10은 전사 인자 Tbx20(Zhang et al (2011) J. Biol. Chem. 286 (42) : 36820-36829)를 통해 심장 심실벽 발달을 조절하고, 심근 내 BMP 10의 과도한 발현은 출생 후의 심장 비대 성장에 지장을 준다(Chen et al J. Biol. Chem. 281 (37) : 27481-27491). 성인의 경우, BMP 10은 우심방에서만 발현된다(Chen et al (2004) 상기 문헌). 순환하는 BMP 10은 흐름 의존성 동맥 정지를 매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Laux et al (2013) Development 140 (16) : 3403-3412).
BMP 10의 순환 수준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BMP 10 단백질은 프로테오믹 접근법 (Souza et al (2008) Mol. Endocrinol. 22(12):2689-2702)을 사용하여 인간 혈청에서 검출되었지만, ELISA (Ricard et al (2012) Blood 119 (25) : 6162-6171)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고, 활성 분석을 사용한 다른 연구들은 순환하는 BMP 10을 검출할 수 없었다(Bidart et al (2012) and Herrera and Inman (2009), 상기 문헌). 그러나, 최근 보고서는 순환계에서 BMP 10 활성을 입증하였다(Chen et al (2013) Proc. Natl. Acad. Sci. U. S. A. 110(29):11887-11892). 이러한 논란은 활성/비활성 상태에서 순환하는 BMP 10, 불완전한 처리, 혈청 인자에 의한 억제, 또는 공개된 보고서에 사용된 여러 활동 분석 때문일 수 있다. BMP 10의 프로도메인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MP 10의 프로도메인은 다른 BMP와는 달리 C2C12 세포에서 BMP 10 유도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Sengle et al (2011) J. Biol. Chem. 286 (7) : 5087-5099). 또한, Biacore 측정은 BMP 10이 ALK1 / BMPR-II에 대해 BMP 9보다 높은 친화도를 보였고(Townson et al (2012) J. Biol. Chem. 287 (33) : 27313-27325), PAH가 발병하는 동안 BMPR-II 단백질의 손실은 분명히 BMP 10 신호 전달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보여 주었다. 중요하게도, 시험 관내 및 생체 내 연구에서, BMP 10은 골 형성 활성이 없다. 따라서, PAH 치료를 위하여 천연 BMP 10은 천연 BMP 9보다 더 바람직한 작용제를 대표한다.
BMP 9 및 BMP 10 활성의 비교
인간 미세 혈관 내피세포 (HMEC-1)에서의 농도 - 반응 신호 분석은 ID1, ID2 및 BMPR-II 유전자 발현 유도에서 BMP 10이 BMP 9만큼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3A 내지 3C). 중요하게, BMP 10은 TNFα-CHX 유도된 세포 자멸에 대한 hPAECs 보호에서 BMP 9와 동일한 항 - 세포 자멸 활성을 나타낸다(도 3D). BMP 9는 내피세포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혈관계의 안정성을 유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David et al (2008) 상기 문헌). BMP 9와 BMP 10은 모두 hPAECs에서 3H - 티미딘 흡수로 측정하는 경우 유사한 범위로 DNA 합성을 억제한다(도 3E). 알칼린 포스파타제(ALP)는 골 형성 경로의 핵심 효소이며 BMP 9로 유도된 ALP 활성은 5ng / ml BMP 9에서 C2C12 세포에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조건 하에서, BMP 10은 시험된 최고 농도 (20ng / ml, 도 3F)에서 어떠한 ALP 활성을 유도하지 않았고, 이는 C2C12 세포에서 아데노 바이러스 - 발현 BMPs 를 사용하는 이전의 연구와 일치한다(Kang et al (2004) 상기 문헌).
PAH 및 기타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BMP 10 및 프로도메인 결합 BMP 10의 투여 가능성
BMPs는 pre-pro-단백질로 합성되며, 프로도메인은 분비되면 쪼개진다(도 4A). 이전 보고서는 BMP 10의 프로도메인이 BMP 10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BMP 10이 비활성 형태로 순환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자는 많은 양의 프로 도메인 결합 BMP 10 (pro.BMP 10)을 생성하였다. 이전 보고서와는 달리, BMP 10이 포유 동물 세포에서 생산될 때 프로도메인은 BMP 10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으며, 그 pro.BMP 10 복합체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B 및 4C). 이것은 pro.BMP 10이 순환 형태일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자는 HMEC-1 세포 (도 4D 및 4E) 및 hPAEC에서 pro.BMP 10이 상업적 공급원 (R & D Systems)으로부터 구입한 BMP 9 및 BMP 10과 비슷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프로도메인은 BMP 10의 소수성 표면을 보호하고 따라서 BMP 10의 순환 형태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pro.BMP 10은 PAH 및 다른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생체 내(in vivo) 투여에 바람직한 형태가 될 것 같다.
BMP 9와 BMP 10은 콜라겐 겔에서 혈액 성장 내피세포 ( BOEC ) 관 형성을 억제한다.
혈액 성장 내피세포는 대부분의 개체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인간 내피세포를 가장 대표하는 고도로 증식하는 세포 유형을 나타낸다. 내피세포와 마찬가지로 혈액성장 내피세포(BOECs)는 3차원 콜라겐:피브로넥틴 매트릭스에서 공포화된 모세혈관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의 결과는 도 8에서 보여주면, BMP 9 및 BMP 10의 항-맥관기원 역할을 입증하며 또한 BMP 9가 내피세포에 대한 항 - 증식성일 뿐만 아니라 세포 자멸로부터 내피세포를 보호하며, 증가된 투과성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BMP 9에 의한 억제는 저 농도에서도 분명하다.
SEQUENCE LISTING <110>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120> THERAPEUTIC US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130> CEL-C-P1753PCT <150> 1412290.7 <151> 2014-07-10 <160> 6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275 <212> DNA <213> Human <400> 1 atgggctctc tggtcctgac actgtgcgct cttttctgcc tggcagctta cttggtttct 60 ggcagcccca tcatgaacct agagcagtct cctctggaag aagatatgtc cctctttggt 120 gatgttttct cagagcaaga cggtgtcgac tttaacacac tgctccagag catgaaggat 180 gagtttctta agacactaaa cctctctgac atccccacgc aggattcagc caaggtggac 240 ccaccagagt acatgttgga actctacaac aaatttgcaa cagatcggac ctccatgccc 300 tctgccaaca tcattaggag tttcaagaat gaagatctgt tttcccagcc ggtcagtttt 360 aatgggctcc gaaaataccc cctcctcttc aatgtgtcca ttcctcacca tgaagaggtc 420 atcatggctg aacttaggct atacacactg gtgcaaaggg atcgtatgat atacgatgga 480 gtagaccgga aaattaccat ttttgaagtg ctggagagca aaggggataa tgagggagaa 540 agaaacatgc tggtcttggt gtctggggag atatatggaa ccaacagtga gtgggagact 600 tttgatgtca cagatgccat cagacgttgg caaaagtcag gctcatccac ccaccagctg 660 gaggtccaca ttgagagcaa acacgatgaa gctgaggatg ccagcagtgg acggctagaa 720 atagatacca gtgcccagaa taagcataac cctttgctca tcgtgttttc tgatgaccaa 780 agcagtgaca aggagaggaa ggaggaactg aatgaaatga tttcccatga gcaacttcca 840 gagctggaca acttgggcct ggatagcttt tccagtggac ctggggaaga ggctttgttg 900 cagatgagat caaacatcat ctatgactcc actgcccgaa tcagaaggaa cgccaaagga 960 aactactgta agaggacccc gctctacatc gacttcaagg agattgggtg ggactcctgg 1020 atcatcgctc cgcctggata cgaagcctat gaatgccgtg gtgtttgtaa ctaccccctg 1080 gcagagcatc tcacacccac aaagcatgca attatccagg ccttggtcca cctcaagaat 1140 tcccagaaag cttccaaagc ctgctgtgtg cccacaaagc tagagcccat ctccatcctc 1200 tatttagaca aaggcgtcgt cacctacaag tttaaatacg aaggcatggc cgtctccgaa 1260 tgtggctgta gatag 1275 <210> 2 <211> 424 <212> PRT <213> Human <400> 2 Met Gly Ser Leu Val Leu Thr Leu Cys Ala Leu Phe Cys Leu Ala Ala 1 5 10 15 Tyr Leu Val Ser Gly Ser Pro Ile Met Asn Leu Glu Gln Ser Pro Leu 20 25 30 Glu Glu Asp Met Ser Leu Phe Gly Asp Val Phe Ser Glu Gln Asp Gly 35 40 45 Val Asp Phe Asn Thr Leu Leu Gln Ser Met Lys Asp Glu Phe Leu Lys 50 55 60 Thr Leu Asn Leu Ser Asp Ile Pro Thr Gln Asp Ser Ala Lys Val Asp 65 70 75 80 Pro Pro Glu Tyr Met Leu Glu Leu Tyr Asn Lys Phe Ala Thr Asp Arg 85 90 95 Thr Ser Met Pro Ser Ala Asn Ile Ile Arg Ser Phe Lys Asn Glu Asp 100 105 110 Leu Phe Ser Gln Pro Val Ser Phe Asn Gly Leu Arg Lys Tyr Pro Leu 115 120 125 Leu Phe Asn Val Ser Ile Pro His His Glu Glu Val Ile Met Ala Glu 130 135 140 Leu Arg Leu Tyr Thr Leu Val Gln Arg Asp Arg Met Ile Tyr Asp Gly 145 150 155 160 Val Asp Arg Lys Ile Thr Ile Phe Glu Val Leu Glu Ser Lys Gly Asp 165 170 175 Asn Glu Gly Glu Arg Asn Met Leu Val Leu Val Ser Gly Glu Ile Tyr 180 185 190 Gly Thr Asn Ser Glu Trp Glu Thr Phe Asp Val Thr Asp Ala Ile Arg 195 200 205 Arg Trp Gln Lys Ser Gly Ser Ser Thr His Gln Leu Glu Val His Ile 210 215 220 Glu Ser Lys His Asp Glu Ala Glu Asp Ala Ser Ser Gly Arg Leu Glu 225 230 235 240 Ile Asp Thr Ser Ala Gln Asn Lys His Asn Pro Leu Leu Ile Val Phe 245 250 255 Ser Asp Asp Gln Ser Ser Asp Lys Glu Arg Lys Glu Glu Leu Asn Glu 260 265 270 Met Ile Ser His Glu Gln Leu Pro Glu Leu Asp Asn Leu Gly Leu Asp 275 280 285 Ser Phe Ser Ser Gly Pro Gly Glu Glu Ala Leu Leu Gln Met Arg Ser 290 295 300 Asn Ile Ile Tyr Asp Ser Thr Ala Arg Ile Arg Arg Asn Ala Lys Gly 305 310 315 320 Asn Tyr Cys Lys Arg Thr Pro Leu Tyr Ile Asp Phe Lys Glu Ile Gly 325 330 335 Trp Asp Ser Trp Ile Ile Ala Pro Pro Gly Tyr Glu Ala Tyr Glu Cys 340 345 350 Arg Gly Val Cys Asn Tyr Pro Leu Ala Glu His Leu Thr Pro Thr Lys 355 360 365 His Ala Ile Ile Gln Ala Leu Val His Leu Lys Asn Ser Gln Lys Ala 370 375 380 Ser Lys Ala Cys Cys Val Pro Thr Lys Leu Glu Pro Ile Ser Ile Leu 385 390 395 400 Tyr Leu Asp Lys Gly Val Val Thr Tyr Lys Phe Lys Tyr Glu Gly Met 405 410 415 Ala Val Ser Glu Cys Gly Cys Arg 420 <210> 3 <211> 1290 <212> DNA <213> Human <400> 3 atgtgtcctg gggcactgtg ggtggccctg cccctgctgt ccctgctggc tggctcccta 60 caggggaagc cactgcagag ctggggacga gggtctgctg ggggaaacgc ccacagccca 120 ctgggggtgc ctggaggtgg gctgcctgag cacaccttca acctgaagat gtttctggag 180 aacgtgaagg tggatttcct gcgcagcctt aacctgagtg gggtcccttc gcaggacaaa 240 accagggtgg agccgccgca gtacatgatt gacctgtaca acaggtacac gtccgataag 300 tcgactacgc cagcgtccaa cattgtgcgg agcttcagca tggaagatgc catctccata 360 actgccacag aggacttccc cttccagaag cacatcttgc tcttcaacat ctccattcct 420 aggcatgagc agatcaccag agctgagctc cgactctatg tctcctgtca aaatcacgtg 480 gacccctctc atgacctgaa aggaagcgtg gtcatttatg atgttctgga tggaacagat 540 gcctgggata gtgctacaga gaccaagacc ttcctggtgt cccaggacat tcaggatgag 600 ggctgggaga ccttggaagt gtccagcgcc gtgaagcgct gggtccggtc cgactccacc 660 aagagcaaaa ataagctgga agtgactgtg gagagccaca ggaagggctg cgacacgctg 720 gacatcagtg tccccccagg ttccagaaac ctgcccttct ttgttgtctt ctccaatgac 780 cacagcagtg ggaccaagga gaccaggctg gagctgaggg agatgatcag ccatgaacaa 840 gagagcgtgc tcaagaagct gtccaaggac ggctccacag aggcaggtga gagcagtcac 900 gaggaggaca cggatggcca cgtggctgcg gggtcgactt tagccaggcg gaaaaggagc 960 gccggggctg gcagccactg tcaaaagacc tccctgcggg taaacttcga ggacatcggc 1020 tgggacagct ggatcattgc acccaaggag tatgaagcct acgagtgtaa gggcggctgc 1080 ttcttcccct tggctgacga tgtgacgccg acgaaacacg ctatcgtgca gaccctggtg 1140 catctcaagt tccccacaaa ggtgggcaag gcctgctgtg tgcccaccaa actgagcccc 1200 atctccgtcc tctacaagga tgacatgggg gtgcccaccc tcaagtacca ttacgagggc 1260 atgagcgtgg cagagtgtgg gtgcaggtag 1290 <210> 4 <211> 429 <212> PRT <213> Human <400> 4 Met Cys Pro Gly Ala Leu Trp Val Ala Leu Pro Leu Leu Ser Leu Leu 1 5 10 15 Ala Gly Ser Leu Gln Gly Lys Pro Leu Gln Ser Trp Gly Arg Gly Ser 20 25 30 Ala Gly Gly Asn Ala His Ser Pro Leu Gly Val Pro Gly Gly Gly Leu 35 40 45 Pro Glu His Thr Phe Asn Leu Lys Met Phe Leu Glu Asn Val Lys Val 50 55 60 Asp Phe Leu Arg Ser Leu Asn Leu Ser Gly Val Pro Ser Gln Asp Lys 65 70 75 80 Thr Arg Val Glu Pro Pro Gln Tyr Met Ile Asp Leu Tyr Asn Arg Tyr 85 90 95 Thr Ser Asp Lys Ser Thr Thr Pro Ala Ser Asn Ile Val Arg Ser Phe 100 105 110 Ser Met Glu Asp Ala Ile Ser Ile Thr Ala Thr Glu Asp Phe Pro Phe 115 120 125 Gln Lys His Ile Leu Leu Phe Asn Ile Ser Ile Pro Arg His Glu Gln 130 135 140 Ile Thr Arg Ala Glu Leu Arg Leu Tyr Val Ser Cys Gln Asn His Val 145 150 155 160 Asp Pro Ser His Asp Leu Lys Gly Ser Val Val Ile Tyr Asp Val Leu 165 170 175 Asp Gly Thr Asp Ala Trp Asp Ser Ala Thr Glu Thr Lys Thr Phe Leu 180 185 190 Val Ser Gln Asp Ile Gln Asp Glu Gly Trp Glu Thr Leu Glu Val Ser 195 200 205 Ser Ala Val Lys Arg Trp Val Arg Ser Asp Ser Thr Lys Ser Lys Asn 210 215 220 Lys Leu Glu Val Thr Val Glu Ser His Arg Lys Gly Cys Asp Thr Leu 225 230 235 240 Asp Ile Ser Val Pro Pro Gly Ser Arg Asn Leu Pro Phe Phe Val Val 245 250 255 Phe Ser Asn Asp His Ser Ser Gly Thr Lys Glu Thr Arg Leu Glu Leu 260 265 270 Arg Glu Met Ile Ser His Glu Gln Glu Ser Val Leu Lys Lys Leu Ser 275 280 285 Lys Asp Gly Ser Thr Glu Ala Gly Glu Ser Ser His Glu Glu Asp Thr 290 295 300 Asp Gly His Val Ala Ala Gly Ser Thr Leu Ala Arg Arg Lys Arg Ser 305 310 315 320 Ala Gly Ala Gly Ser His Cys Gln Lys Thr Ser Leu Arg Val Asn Phe 325 330 335 Glu Asp Ile Gly Trp Asp Ser Trp Ile Ile Ala Pro Lys Glu Tyr Glu 340 345 350 Ala Tyr Glu Cys Lys Gly Gly Cys Phe Phe Pro Leu Ala Asp Asp Val 355 360 365 Thr Pro Thr Lys His Ala Ile Val Gln Thr Leu Val His Leu Lys Phe 370 375 380 Pro Thr Lys Val Gly Lys Ala Cys Cys Val Pro Thr Lys Leu Ser Pro 385 390 395 400 Ile Ser Val Leu Tyr Lys Asp Asp Met Gly Val Pro Thr Leu Lys Tyr 405 410 415 His Tyr Glu Gly Met Ser Val Ala Glu Cys Gly Cys Arg 420 425 <210> 5 <211> 4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D366A BMP9 Variant <400> 5 Met Cys Pro Gly Ala Leu Trp Val Ala Leu Pro Leu Leu Ser Leu Leu 1 5 10 15 Ala Gly Ser Leu Gln Gly Lys Pro Leu Gln Ser Trp Gly Arg Gly Ser 20 25 30 Ala Gly Gly Asn Ala His Ser Pro Leu Gly Val Pro Gly Gly Gly Leu 35 40 45 Pro Glu His Thr Phe Asn Leu Lys Met Phe Leu Glu Asn Val Lys Val 50 55 60 Asp Phe Leu Arg Ser Leu Asn Leu Ser Gly Val Pro Ser Gln Asp Lys 65 70 75 80 Thr Arg Val Glu Pro Pro Gln Tyr Met Ile Asp Leu Tyr Asn Arg Tyr 85 90 95 Thr Ser Asp Lys Ser Thr Thr Pro Ala Ser Asn Ile Val Arg Ser Phe 100 105 110 Ser Met Glu Asp Ala Ile Ser Ile Thr Ala Thr Glu Asp Phe Pro Phe 115 120 125 Gln Lys His Ile Leu Leu Phe Asn Ile Ser Ile Pro Arg His Glu Gln 130 135 140 Ile Thr Arg Ala Glu Leu Arg Leu Tyr Val Ser Cys Gln Asn His Val 145 150 155 160 Asp Pro Ser His Asp Leu Lys Gly Ser Val Val Ile Tyr Asp Val Leu 165 170 175 Asp Gly Thr Asp Ala Trp Asp Ser Ala Thr Glu Thr Lys Thr Phe Leu 180 185 190 Val Ser Gln Asp Ile Gln Asp Glu Gly Trp Glu Thr Leu Glu Val Ser 195 200 205 Ser Ala Val Lys Arg Trp Val Arg Ser Asp Ser Thr Lys Ser Lys Asn 210 215 220 Lys Leu Glu Val Thr Val Glu Ser His Arg Lys Gly Cys Asp Thr Leu 225 230 235 240 Asp Ile Ser Val Pro Pro Gly Ser Arg Asn Leu Pro Phe Phe Val Val 245 250 255 Phe Ser Asn Asp His Ser Ser Gly Thr Lys Glu Thr Arg Leu Glu Leu 260 265 270 Arg Glu Met Ile Ser His Glu Gln Glu Ser Val Leu Lys Lys Leu Ser 275 280 285 Lys Asp Gly Ser Thr Glu Ala Gly Glu Ser Ser His Glu Glu Asp Thr 290 295 300 Asp Gly His Val Ala Ala Gly Ser Thr Leu Ala Arg Arg Lys Arg Ser 305 310 315 320 Ala Gly Ala Gly Ser His Cys Gln Lys Thr Ser Leu Arg Val Asn Phe 325 330 335 Glu Asp Ile Gly Trp Asp Ser Trp Ile Ile Ala Pro Lys Glu Tyr Glu 340 345 350 Ala Tyr Glu Cys Lys Gly Gly Cys Phe Phe Pro Leu Ala Ala Asp Val 355 360 365 Thr Pro Thr Lys His Ala Ile Val Gln Thr Leu Val His Leu Lys Phe 370 375 380 Pro Thr Lys Val Gly Lys Ala Cys Cys Val Pro Thr Lys Leu Ser Pro 385 390 395 400 Ile Ser Val Leu Tyr Lys Asp Asp Met Gly Val Pro Thr Leu Lys Tyr 405 410 415 His Tyr Glu Gly Met Ser Val Ala Glu Cys Gly Cys Arg 420 425 <210> 6 <211> 4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D408A BMP9 Variant <400> 6 Met Cys Pro Gly Ala Leu Trp Val Ala Leu Pro Leu Leu Ser Leu Leu 1 5 10 15 Ala Gly Ser Leu Gln Gly Lys Pro Leu Gln Ser Trp Gly Arg Gly Ser 20 25 30 Ala Gly Gly Asn Ala His Ser Pro Leu Gly Val Pro Gly Gly Gly Leu 35 40 45 Pro Glu His Thr Phe Asn Leu Lys Met Phe Leu Glu Asn Val Lys Val 50 55 60 Asp Phe Leu Arg Ser Leu Asn Leu Ser Gly Val Pro Ser Gln Asp Lys 65 70 75 80 Thr Arg Val Glu Pro Pro Gln Tyr Met Ile Asp Leu Tyr Asn Arg Tyr 85 90 95 Thr Ser Asp Lys Ser Thr Thr Pro Ala Ser Asn Ile Val Arg Ser Phe 100 105 110 Ser Met Glu Asp Ala Ile Ser Ile Thr Ala Thr Glu Asp Phe Pro Phe 115 120 125 Gln Lys His Ile Leu Leu Phe Asn Ile Ser Ile Pro Arg His Glu Gln 130 135 140 Ile Thr Arg Ala Glu Leu Arg Leu Tyr Val Ser Cys Gln Asn His Val 145 150 155 160 Asp Pro Ser His Asp Leu Lys Gly Ser Val Val Ile Tyr Asp Val Leu 165 170 175 Asp Gly Thr Asp Ala Trp Asp Ser Ala Thr Glu Thr Lys Thr Phe Leu 180 185 190 Val Ser Gln Asp Ile Gln Asp Glu Gly Trp Glu Thr Leu Glu Val Ser 195 200 205 Ser Ala Val Lys Arg Trp Val Arg Ser Asp Ser Thr Lys Ser Lys Asn 210 215 220 Lys Leu Glu Val Thr Val Glu Ser His Arg Lys Gly Cys Asp Thr Leu 225 230 235 240 Asp Ile Ser Val Pro Pro Gly Ser Arg Asn Leu Pro Phe Phe Val Val 245 250 255 Phe Ser Asn Asp His Ser Ser Gly Thr Lys Glu Thr Arg Leu Glu Leu 260 265 270 Arg Glu Met Ile Ser His Glu Gln Glu Ser Val Leu Lys Lys Leu Ser 275 280 285 Lys Asp Gly Ser Thr Glu Ala Gly Glu Ser Ser His Glu Glu Asp Thr 290 295 300 Asp Gly His Val Ala Ala Gly Ser Thr Leu Ala Arg Arg Lys Arg Ser 305 310 315 320 Ala Gly Ala Gly Ser His Cys Gln Lys Thr Ser Leu Arg Val Asn Phe 325 330 335 Glu Asp Ile Gly Trp Asp Ser Trp Ile Ile Ala Pro Lys Glu Tyr Glu 340 345 350 Ala Tyr Glu Cys Lys Gly Gly Cys Phe Phe Pro Leu Ala Asp Asp Val 355 360 365 Thr Pro Thr Lys His Ala Ile Val Gln Thr Leu Val His Leu Lys Phe 370 375 380 Pro Thr Lys Val Gly Lys Ala Cys Cys Val Pro Thr Lys Leu Ser Pro 385 390 395 400 Ile Ser Val Leu Tyr Lys Asp Ala Met Gly Val Pro Thr Leu Lys Tyr 405 410 415 His Tyr Glu Gly Met Ser Val Ala Glu Cys Gly Cys Arg 420 425

Claims (26)

  1. 내피세포 신호 활성을 가지고 골 형성 활성이 결여된(lacking) 골형성단백질 9 (BMP9) 변이체(variant)인, 폴리펩티드이고,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F362A, D366A, I375A, L379A, S402A, Y416A 및 Y418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F362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D366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I375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L379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S402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Y416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9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SEQ ID NO: 4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차이는 Y418A 치환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9. 제1항에 따른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따른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바이러스 벡터이고, 레트로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렌티 바이러스, 단순 포진(herpes simplex), 종두증(vaccinia) 및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로부터 선택된 것인, 벡터.
  13. 제11항에 있어서,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벡터.
  14. 제1항에 따른 폴리펩티드 또는 제11항에 따른 벡터를 사용하여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의 치료에 사용을 위한 의약의 제조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77003531A 2014-07-10 2015-07-09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KR10251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0855A KR20230049757A (ko) 2014-07-10 2015-07-09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12290.7 2014-07-10
GBGB1412290.7A GB201412290D0 (en) 2014-07-10 2014-07-10 Novel use
PCT/GB2015/051989 WO2016005756A1 (en) 2014-07-10 2015-07-09 Therapeutic us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855A Division KR20230049757A (ko) 2014-07-10 2015-07-09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576A KR20170029576A (ko) 2017-03-15
KR102519869B1 true KR102519869B1 (ko) 2023-04-07

Family

ID=514539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531A KR102519869B1 (ko) 2014-07-10 2015-07-09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KR1020237010855A KR20230049757A (ko) 2014-07-10 2015-07-09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855A KR20230049757A (ko) 2014-07-10 2015-07-09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4) US10336800B2 (ko)
EP (3) EP3166628B2 (ko)
JP (1) JP6737770B2 (ko)
KR (2) KR102519869B1 (ko)
CN (1) CN106661094B (ko)
AU (1) AU2015287397B2 (ko)
CA (1) CA2954221C (ko)
CY (2) CY1123011T1 (ko)
DK (2) DK3669886T3 (ko)
ES (2) ES2770073T5 (ko)
GB (1) GB201412290D0 (ko)
HR (2) HRP20200418T1 (ko)
HU (2) HUE054512T2 (ko)
LT (2) LT3669886T (ko)
MX (2) MX2017000448A (ko)
PL (2) PL3669886T3 (ko)
PT (2) PT3166628T (ko)
RS (2) RS60181B1 (ko)
RU (1) RU2733318C2 (ko)
SI (2) SI3166628T1 (ko)
WO (1) WO2016005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12290D0 (en) 2014-07-10 2014-08-27 Cambridge Entpr Ltd Novel use
GB201603653D0 (en) * 2016-03-02 2016-04-13 Cambridge Entpr Ltd Combination Therapy
JP7144428B2 (ja) * 2017-02-06 2022-09-29 アクセルロン ファーマ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心不全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SG11202002590VA (en) * 2017-11-02 2020-04-29 Bayer Ag Bispecific antibodies binding alk-1 and bmpr-2
CN107760779B (zh) * 2017-11-03 2020-10-16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 肺动脉高压相关的突变型bmp9基因及其应用
CN111939245B (zh) * 2019-05-16 2024-03-01 龚笑海 一种心脏治疗和保护的药物组合物
US20230285506A1 (en) * 2019-12-03 2023-09-14 Acceleron Phar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ulmonary hypertension
KR20220021207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나이벡 이소골 형성 부작용 경감으로 치료효과가 증진된 골형성 단백질-9, 10의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012318A1 (en) * 2021-08-05 2023-02-09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Bmp9 variant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CN114317604B (zh) * 2022-03-04 2022-06-17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 一种自发性肺动脉高压模型及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355A (en) * 1875-12-21 Improvement in driers
US6287816B1 (en) 1991-06-25 2001-09-11 Genetics Institute, Inc. BMP-9 compositions
US5661007A (en) 1991-06-25 1997-08-26 Genetics Institute, Inc. Bone morphogenetic protein-9 compositions
US5288931A (en) * 1991-12-06 1994-02-22 Genentech, Inc. Method for refolding insoluble, misfolded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to an active conformation
JPH09501305A (ja) 1993-05-12 1997-02-10 ジェネティックス・インスティテュー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mp−10組成物
WO1995024474A1 (en) 1994-03-10 1995-09-14 Human Genome Sciences, Inc. Bone morphogenic protein-10
WO1996039431A1 (en) 1995-06-06 1996-12-12 Human Genome Sciences, Inc. Bone morphogenic protein-10
GB9912350D0 (en) * 1999-05-26 1999-07-28 European Molecular Biology Lab Embl Modified cytokine
FI117667B (fi) * 2001-07-05 2007-01-15 Univ Zuerich Farmaseuttinen koostumus, joka soveltuu käytettäväksi ortopediassa ja hammaslääketieteessä
EP1571159A1 (en) 2004-03-04 2005-09-07 Bayerische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 Würzburg Mutein of a bone morphogenetic protein and use thereof
US7741284B2 (en) 2004-05-12 2010-06-22 Acceleron Pharma Inc. BMP10 propeptides and related methods
WO2006130022A1 (en) 2005-05-30 2006-12-07 Agresearch Limited Modulation of ovulation by agonists and antagonists of bmprii
WO2008014054A2 (en) 2006-07-27 2008-01-31 Centocor, Inc. Bmp-7 variant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MX2009004718A (es) * 2006-11-02 2009-06-19 Acceleron Pharma Inc Antagonistas de receptor de alk1 y ligando y sus usos.
US20090017019A1 (en) * 2007-06-01 2009-01-15 Wyet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bmp-10 activity
JP5638961B2 (ja) 2008-03-13 2014-12-10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Bmpシグナル伝達経路のインヒビター
US8999928B2 (en) 2009-04-01 2015-04-07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ing diseases using a bone morphogenetic protein
WO2010115874A1 (en) 2009-04-07 2010-10-14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the diagnosis of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CA2826142A1 (en) * 2011-02-03 2012-08-09 Xoma Technology Ltd. Methods and materials for enhancing functional protein expression in bacteria
EP2699590B8 (en) 2011-04-20 2019-04-17 Acceleron Pharma Inc. Endoglin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US9809636B2 (en) * 2012-04-06 2017-11-07 Acceleron Pharma Inc. Methods for increasing red blood cell levels comprising administering BMP9
EP2970311A4 (en) 2013-03-14 2016-11-23 Brigham & Womens Hospital BMP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GB201412290D0 (en) * 2014-07-10 2014-08-27 Cambridge Entpr Ltd Novel use
ES2875905T3 (es) * 2016-07-15 2021-11-11 Acceleron Pharma Inc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polipéptidos ActRIIA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de la hipertensión pulmonar
CN107760779B (zh) 2017-11-03 2020-10-16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 肺动脉高压相关的突变型bmp9基因及其应用
KR20220021207A (ko)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나이벡 이소골 형성 부작용 경감으로 치료효과가 증진된 골형성 단백질-9, 10의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urent David, 등, Circ Res. 2008, 102, 914~922*
Nicolas Ricard, BLOOD, 21 JUNE 2012, VOLUME119, NUMBER25, 6162~617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48924T2 (hu) 2020-09-28
EP3166628B2 (en) 2023-07-26
LT3669886T (lt) 2021-06-10
EP3669886A1 (en) 2020-06-24
US20240043485A1 (en) 2024-02-08
DK3166628T3 (da) 2020-03-09
AU2015287397B2 (en) 2020-08-20
US20170209540A1 (en) 2017-07-27
DK3669886T3 (da) 2021-05-25
SI3669886T1 (sl) 2021-08-31
ES2876124T3 (es) 2021-11-11
SI3166628T1 (sl) 2020-07-31
LT3166628T (lt) 2020-04-10
ES2770073T5 (es) 2024-03-04
RU2733318C2 (ru) 2020-10-01
RU2017102381A3 (ko) 2019-02-28
RS61961B1 (sr) 2021-07-30
US11572396B2 (en) 2023-02-07
CA2954221C (en) 2023-02-14
HRP20200418T1 (hr) 2020-06-26
PT3166628T (pt) 2020-04-06
MX2020011333A (es) 2020-11-24
WO2016005756A1 (en) 2016-01-14
EP3906936A1 (en) 2021-11-10
CY1124143T1 (el) 2022-05-27
EP3669886B1 (en) 2021-02-24
CN106661094A (zh) 2017-05-10
KR20170029576A (ko) 2017-03-15
US10336800B2 (en) 2019-07-02
JP2017521074A (ja) 2017-08-03
CY1123011T1 (el) 2021-10-29
MX2017000448A (es) 2017-08-16
HRP20210734T1 (hr) 2021-06-11
PL3669886T3 (pl) 2021-09-13
PL3166628T3 (pl) 2020-06-15
JP6737770B2 (ja) 2020-08-12
RS60181B1 (sr) 2020-06-30
PT3669886T (pt) 2021-05-25
AU2015287397A1 (en) 2017-02-16
CA2954221A1 (en) 2016-01-14
EP3166628A1 (en) 2017-05-17
ES2770073T3 (es) 2020-06-30
HUE054512T2 (hu) 2021-09-28
GB201412290D0 (en) 2014-08-27
CN106661094B (zh) 2020-09-08
EP3166628B1 (en) 2020-01-01
PL3166628T5 (pl) 2023-11-27
US20190359668A1 (en) 2019-11-28
RU2017102381A (ru) 2018-08-10
KR20230049757A (ko) 2023-04-13
BR112017000113A2 (pt) 2018-01-02
US20170121383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869B1 (ko) 골형성단백질의 치료적 용도
US8067388B2 (en) Decoy-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23025005A (ja) 疾患の治療または予防に用いるためのファクター1およびファクター2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阻害剤
JP2013537172A (ja) 血管新生阻害剤の気道投与
Wang et al. Nerve growth factor-induced Akt/mTOR activation protects the ischemic heart via restoring autophagic flux and attenuating ubiquitinated protein accumulation
US11052131B2 (en)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kidney cancer
US20030228283A1 (en) Preventing secondary lymphedema with VEGF-D DNA
AU2018227737B2 (en) Polypeptide, polypeptide fragment, derivative thereof,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16077461A2 (en) Isoform-specific calpain inhibitors, methods of identification, and uses thereof
WO2017149306A1 (en) Combination therapy
JP2003250549A (ja) Nk4遺伝子または組換えnk4蛋白質からなる医薬
US20230190959A1 (en) Nucleic acid-bas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mall vessel diseases
BR112017000113B1 (pt) Polipeptídeo selecionado de uma variante da proteína morfogenética óssea (bmp9),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o mesmo
KR20230159847A (ko) 염증성 또는 활성화된 세포를 표적으로 하고 염증성 상태 및 통증을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MX2008009075A (en)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tissue damage caused by increased blood flow
JP2009159883A (ja) 新規遺伝子治療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