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768B1 -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768B1
KR102509768B1 KR1020187016966A KR20187016966A KR102509768B1 KR 102509768 B1 KR102509768 B1 KR 102509768B1 KR 1020187016966 A KR1020187016966 A KR 1020187016966A KR 20187016966 A KR20187016966 A KR 20187016966A KR 102509768 B1 KR102509768 B1 KR 102509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rmal transfer
transfer
transfer sheet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548A (ko
Inventor
미츠히로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6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relating to melt (thermal) mass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0Post-imaging transfer of imaged layer; transfer of the whole imag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5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n intermediate recep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에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재(2)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10)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100)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 열전사 시트(100)와 피전사체(300)를 겹쳐,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201), 가열 수단(202),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가열 수단(202)과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 가열 수단(202)과 측정 수단(204)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205)을 갖는 프린터(200)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상기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이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기 위한 열전사 시트에 대해서는 각종 형태가 알려져 있고, 예컨대 특허문헌 1∼3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i)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으로서의 열용융 잉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ii)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으로서의 수용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중간 전사 매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 (iii)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으로서의 보호층(박리층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음)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보호층 전사 시트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 (iv) 이들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열전사 시트, 예컨대 기재의 한쪽 면상에,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박리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나, 기재의 동일면 상에 열용융 잉크층과 보호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를 겹쳐, 서멀 헤드나, 가열 롤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기재의 다른 쪽 면을 가열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다.
최근, 고속 인화 적성이 우수한 프린터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높아, 프린터의 내부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열 에너지나, 인가 에너지 등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음)는 증가의 일로를 걷고 있다. 또한,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의 전사에 이용되는 프린터로는, 열전사 시트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전사층을 용융 혹은 연화시켜, 이 전사층이 고화되기 전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를 완료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와, 전사층이 고화된 후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를 완료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냉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피전사체 상으로의 전사층의 전사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열전사 시트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를 완료한 전사층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런데,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을 일으킨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열전사 시트로부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박리할 수 없게 될 정도까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붙은 경우, 예컨대 기재 상에 직접적으로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전사층과 기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열융착이 생긴 경우에는, 프린터의 내부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가 파단되어 버리거나 혹은 프린터 내부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의 반송 이상(JAM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음)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높아짐에 따라,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이나, 열융착에 기인하는 반송 이상의 발생 빈도는 높아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 쪽이 냉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보다도 이들 문제가 더욱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는, 프린터 등이 갖는 가열 수단 등에 따라서도 다르다. 따라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에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높은 경우뿐만 아니라,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결국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의 대소에 관계없이, 바꾸어 말하면, 넓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이하, 전사층의 박리성이라고 함)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넓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전사층의 박리성을 만족시킬 수는 없고,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열전사 시트에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의 대책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9057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6307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6845호 공보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에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는, 상기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겹쳐,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 가열 수단,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을 갖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상기 전사층을 전사하면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상기 전사층을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은, (A):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 및 (B):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며, 상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고, 상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며, 한편 상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이고, 상기 열전사 시트는, 상기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겹쳐,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 가열 수단,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을 갖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상기 전사층을 전사하면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상기 전사층을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며, 상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고,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며, 한편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에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실제의 양태에 비해, 각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기출 도면에 관해서 전술한 것과 같은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처음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문제의 하나로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들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이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를 겹쳐, 열전사 시트측으로부터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때에, 본래대로라면, 열전사 시트측에 잔존해야 할 열전사 시트의 구성 부재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과 일체화되어 버려,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기재 상에 직접적으로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를 이용했을 때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수 없을 정도까지 기재와 전사층이 일체화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혹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상기 전사층의 박리시에 있어서 이음(異音) 등이 발생할 정도까지 열전사 시트의 구성 부재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과 일체화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한 경우에는, 프린터 내에서의 반송 이상이나, 전사 불량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의 정도가 낮은 경우여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지만, 전사층의 전사 계면(박리 계면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음)이 거칠어져 버려, 광택도의 저하 등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고속 인화 적성에 대응하기 위해,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인 경우나,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를 이용한 경우 등에,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10)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100)로서, 전사층(10)이,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을 「기저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낮은 경우뿐만 아니라, 인가되는 에너지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도, 바꾸어 말하면, 인화 전력이 낮은 경우뿐만 아니라, 인화 전력이 높은 경우여도, 전사층의 박리성이 양호한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에 의해, 전사층의 박리성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는, 인가되는 에너지가 높아짐에 따라, 전사층의 박리성은 낮아지게 되는 경향이 있지만,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였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양호한 열전사 시트여도, 인가되는 에너지를 낮추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인가되는 에너지를 낮추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양호한 열전사 시트여도,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였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즉,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전사층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는, 넓은 인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전사층의 박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때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100)로서,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고, 또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며, 한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 중 상기 전사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 예컨대 기재(1) 상에 전사층(10)이 직접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재(1)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고, 상기 박리력을 작게 해나감으로써, 이러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그런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프린터 내에서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에 있고,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이 발생하는 박리력의 임계치를 발견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점에 대해서 검토한 바, 프린터 내에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은, 상기 박리시에 열전사 시트에 가해지는 인장 강도와 상관관계에 있고, 박리시에 열전사 시트에 가해지는 인장 강도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과의 관계도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100)는, 기재(1)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10)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100)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100)와 피전사체를 겹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201), 가열 수단(202),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가열 수단(202)과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 가열 수단(202)과 측정 수단(204)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205)을 갖는 프린터(200)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상기 전사층(10)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이하,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10)이 마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사층(10)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도 1∼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열전사 시트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 중 전사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 부재가 기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와 전사층이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와 전사층 사이에 임의의 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층이 전사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 부재가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 말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이하,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및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를 총칭하여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층(10)이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사층(10)이, 그대로 「기저층」이 된다.
이 특징을 갖는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따르면, 「기저층」에,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시킴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각종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고속 인화 적성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 바꾸어 말하면, 인화 전력을 높였을 경우나,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를 이용하여, 기재(1)로부터 전사층(10)을 박리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했던 경우여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의 억제를 가능하게 한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따르면, 기재(1)로부터 전사층(10)을 박리할 때에, 전사층(10)에 면 거칠음 등이 생기는 것도 억제할 수 있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의 광택도가 저하되어 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저층」이,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것은, 「기저층」이,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이며, 「기저층」이,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지 않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저층」 이외의 층이,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한다.
「기저층」은,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와,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른 중합 성분과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른 중합 성분과의 공중합체는,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의 공중합체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것은, 「기저층」이,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른 중합 성분과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미만인 경우에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한다.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저층」이,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50%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공중합체를 이루는 다른 중합 성분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중합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중합체를 이루는 모노머로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나,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공중합체를 이루는 바람직한 모노머라고 할 수 있다.
「기저층」이 함유하고 있는,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것만큼,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의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저층」이, 상기 「기저층」의 총 질량에 대하여,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3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상한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100 질량%이다.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8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고, JIS-K-7252-1(200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Tg)는, JIS-K-7121(2012)에 준거하여,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한 열량 변화의 측정(DSC법)에 기초하여 구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기저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설명한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임의의 첨가제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기저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기저층용 도공액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층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저층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저층의 두께를 그 범위로 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성의 전사층(10), 및 「기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전사층(10)은,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겹쳐, 서멀 헤드나, 가열 롤 등의 가열 수단(이하, 가열 수단이라고 함)에 의해 기재(1)의 다른 쪽 면을 가열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는 층이며,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도 1, 도 2 참조), 혹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성(도 3 참조)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형태의 전사층)
제1 형태의 전사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10A), 보호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제1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는, 피전사체 상에,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의해 덮이는 피전사체의 화상 등에, 내구성이나, 내후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소위 보호층 전사 시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있어서의 「기저층」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저층」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층)
보호층(3)의 성분으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부티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층(3)으로 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층(3)에 따르면, 제1 형태의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의해 덮이는 피전사체의 화상의 내광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종래 공지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치환 아크릴로니트릴계, 니켈 킬레이트계, 힌더드 아민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자외선 흡수제에, 예컨대 비닐기나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등의 부가 중합성 이중 결합, 혹은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도입한 고분자 재료가 자외선 흡수성 수지이다.
보호층(3)은, 예컨대 상기에서 예시한 성분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보호층용 도공액을, 「기저층」(10A)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3)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0.5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이다.
(접착층)
또한, 보호층(3) 상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보호층(3) 상에 접착층이 더 위치하는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따르면, 전사층(10)과 피전사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의 성분으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고무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 공지된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형태의 전사층)
제2 형태의 전사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10A), 수용층(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는,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멀리에 위치하는 수용층(2)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인화물을 얻기 위해 이용되며, 소위 중간 전사 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 형태의 전사층(10)에 있어서의 「기저층」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저층」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층)
수용층(2)의 성분으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혹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혹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폴리머와의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혹은 셀룰로오스디아스타아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2)은, 상기에서 예시한 성분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수용층용 도공액을, 「기저층」(10A)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2)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기저층」(10A)과 수용층(2) 사이에, 임의의 층, 예컨대 중간층 등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층(2) 상에 접착층 등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과,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조합한 전사층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재(1)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3), 수용층(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제3 형태의 전사층)
제3 형태의 전사층(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10)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제3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는, 「기저층」(10A)에, 상기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기능성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사 시트(100)에 각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기저층」(10A)에,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종래 공지된 착색제, 필요에 따라, 왁스 성분, 광물유, 식물유,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가소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재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열용융 잉크층으로서의 제3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로 할 수 있다.
왁스 성분으로는, 예컨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이 있다. 또한, 피셔-트롭쉬 왁스,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랍, 경랍, 백랍, 양모납, 쉘락 왁스, 칸데릴라 왁스, 페트로라텀, 폴리에스테르 왁스,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는, 공지된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 혹은 염료 중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가지며, 광, 열 등에 의해 변색, 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해 발색되는 물질이나, 피전사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과 접촉함으로써 발색되는 물질이어도 좋다. 예컨대, 블랙의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저층」(10A)에,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서 설명한 보호층(3)의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기저층」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에 대해서 각종 형태를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저층」에,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시킴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 특히,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 가능하게 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조건 1: 기재의 한쪽 면에, 단층, 혹은 적층 구성의 전사층이 마련되고, 조건 2: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이것 이외의 조건에 대해서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고, 상기에서 예시한 형태 이외여도 좋다.
(임의의 층)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을 구성하지 않는 임의의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임의의 층으로는,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마련되고, 전사층(10)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형층(도시하지 않음)이나, 기재(1)의 다른 쪽 면상에 마련되고, 내열성이나,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의 주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면층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형태의 전사층(10)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기재(1)와, 열용융 잉크층으로서의 「기저층」(10A) 사이에 이형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1)의 한쪽 면의 동일면 상에, 상기 각종 형태의 전사층과 함께 색재층(도시하지 않음)을 면순차로 마련할 수도 있다.
(기재)
기재(1)는,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상기 기재(1)의 한쪽 면상에 위치하는 전사층(10)을 유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기재(1)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가해지는 열에 견디고, 취급상 지장이 없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1)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기재(1)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2.5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기재(1)로서 표면 처리가 행해진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피전사체)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이 전사되는 피전사체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보통지, 상질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카드, 열전사 수상 시트, 임의의 대상물 상에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이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인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이 전사되는 피전사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프린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터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를 구비하는 종래 공지된 모든 프린터를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높은 에너지를 인가 가능한 프린터나, 열시 박리 타입의 프린터 등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어, 이들 프린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이하,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와 마찬가지로, 기재(1)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10)이 마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사층(10)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며,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고, 또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며, 한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이다. 이하, 공중합 비율이라고 하는 기재는, 모두 몰비를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이하의 공중합체 A, 및 공중합체 B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중합체 A):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고, 상기 공중합체 A를 이루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80% 이상 90% 이하이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10% 이상 20% 이하이다.
(공중합체 B):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 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이며, 상기 공중합체 B를 이루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60% 이상 80% 미만이고,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20%보다 많고 40% 이하이다.
이하, 공중합체 A, 공중합체 B를 총칭하여, 「특정 공중합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공중합체 A, 및 공중합체 B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 B는, 그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45000 이하인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30000 이하, 특히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00 이하인 공중합체 B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저층」이, 상기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따르면, 넓은 인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열전사 시트(100)의 상기 전사층(10)과 접하는 구성 부재(예컨대, 기재(1) 상에 전사층(10)이 직접적으로도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재(1))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특히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넓은 인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전사층(10)을 기재(1)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사층(10)을 기재(1)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이 불충분한 것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문제, 예컨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이나, 전사된 전사층의 광택도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공중합체」를 이루는 중합 성분의 하나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는, 그 공중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낮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향상되어 가는 한편,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낮아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한편, 「특정 공중합체」를 이루는 중합 성분의 다른 하나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는, 그 공중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향상되어 가는 한편, 낮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낮아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그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커짐에 따라,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성질이나, 이들 중합 성분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주목하여, 「특정 공중합체」를 이루는 중합 성분의 하나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을 60% 이상 90% 이하의 범위로 하고, 중합 성분의 다른 하나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을 10% 이상 40% 이하의 범위로 하며, 나아가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의 공중합체를 채용하고,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인 공중합체를 채용함으로써,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한 경우뿐만 아니라, 낮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기재(1)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결국은, 넓은 인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전사층(10)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저층」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여도,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90%를 초과하는 경우나,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60% 미만인 경우나,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낮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80% 이상 90% 이하이고,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10% 이상 20% 이하여도, 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5000 이하가 아닌 경우, 혹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60% 이상 80% 미만이고,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20%보다 많고 40% 이하여도, 이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45000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60% 이상 80% 미만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상한을 45000으로 하고 있는 데 반하여,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80% 이상 90% 이하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상한을 15000으로 하고 있는 것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작게 하지 않으면,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했을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것에 기인한다.
「특정 공중합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른 중합 성분과의 중합체여도 좋다. 다른 중합 성분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중합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중합 성분의 공중합 비율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에서 설명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을 만족시키는 범위이면 된다.
「기저층」이 함유하고 있는 「특정 공중합체」의 함유량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만큼, 넓은 인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전사층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기저층」의 총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다. 상한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100 질량%이다.
「기저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임의의 첨가제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기저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기저층용 도공액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층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저층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저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기재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저층(10A)이,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데 반하여,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저층(10A)이,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만,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와,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서로 다르며, 그 이외의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위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구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어,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기저층(10A)이라고 하는 기재를,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기저층(10A)이라고 고쳐 읽으면 좋다.
이상,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대해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저층」에,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넓은 인가 에너지 영역에 있어서, 전사층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조건 1: 기재의 한쪽 면에, 단층, 혹은 적층 구성의 전사층이 마련되고, 조건 2: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이외의 조건에 대해서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으며, 상기에서 예시한 형태 이외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
본 개시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이하,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도 4∼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와, 상기 기재(1)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마련된 전사층(1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 열전사 시트(100)와 피전사체를 겹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201), 가열 수단(202),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가열 수단(202)과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 가열 수단(202)과 측정 수단(204)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205)을 갖는 프린터(200)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상기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열전사 시트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 중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가 기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와 전사층이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와 전사층 사이에 임의의 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층이 전사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 부재가 된다.
이하, 기재(1)로부터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를 완료한 전사층(10)을 박리할 때의 조건, 구체적으로는,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201), 가열 수단(202),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가열 수단(202)과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100)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 가열 수단(202)과 측정 수단(204)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205)을 갖는 프린터(200)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전사층(10)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하는 조건을 총칭하여, 「특정 측정 조건」이라고 한다.
상기 특징을 갖는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따르면,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만으로,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각종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피전사체(300)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인화 적성에 대응하기 위해,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 바꾸어 말하면, 인화 전력을 높였을 경우에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인화 적성에 대응하기 위해,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경우에는, 피전사체와 전사층과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0.1 N/㎝로 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따르면,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10)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전사층(1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사 조건에 관계없이, 피전사체(300)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을 억제 가능하게 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따르면,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전사층(10)을 박리할 때에, 전사층(10)에 면 거칠음 등이 생기는 것도 억제할 수 있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의 광택도 저하 등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08 N/㎝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7 N/㎝ 이하이다.
또한,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 인화 전력 0.15 W/dot라고 되어 있는 것은, 인화 전력 0.15 W/dot 미만으로 했을 때에,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로 되어 있는 경우여도, 인화 전력 0.15 W/dot로 했을 때의,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로 되어 있지 않으면, 피전사체(300)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였을 때에, 피전사체(300)와 열전사 시트(100)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한다.
피전사체(300)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터(200)는, 상기 「특정 측정 조건」을 실현 가능하면, 전사층(10)을 용융 혹은 연화시켜, 이 전사층이 고화되기 전에, 전사를 완료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박리하는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여도 좋고, 전사층(10)이 고화된 후에, 전사를 완료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박리하는 냉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여도 좋다.
또한, 열시 박리 타입의 프린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덧붙여,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하고 나서, 0.05 sec. 후에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따르면,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를 이용하여, 에너지의 인가를 종료하고 나서, 기재(1)로부터 전사층(10)을 박리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했던 경우여도, 피전사체(300)와 열전사 시트(100)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사층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덧붙여,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한 후에,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프린터로부터 꺼내어, 프린터 밖에 두고,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180도 박리했을 때에 있어서도, 박리시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로 되어 있다. 이 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따르면, 예컨대 냉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피전사체(300)와 열전사 시트(100)와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사층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프린터)
다음에, 상기 「특정 측정 조건」으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하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로부터 박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측정 조건」으로 이용되는 프린터(200)는, 열전사 시트(100)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201)으로서의 열전사 시트 공급 롤러, 및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으로서의 권취 롤러, 열전사 시트(100)의 배면측을 가열하여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하는 가열 수단(202)으로서의 서멀 헤드, 피전사체(300)를 전사층(10)이 전사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플라텐 롤러(206), 가열 수단(202)과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고,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한 후에, 기재(1)로부터 상기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박리하는 박리 수단(205)으로서의 박리판, 열전사 시트(100)의 반송 경로 상이며, 가열 수단(202)(박리 수단(205))과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고,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기재(1)로부터 상기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박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가해지는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으로서의 텐션미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특정 측정 조건」으로 이용되는 프린터(200)는, 열전사 시트(100)의 반송 경로 상이며, 가열 수단(202)과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고,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하면서, 기재(1)로부터 상기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박리할 때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을 구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종래 공지된 프린터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측정 수단(204)으로는, 반송 경로를 주행 중인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오오쿠라 인더스트리(주)의 텐션미터(ASK-1000 모델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인장 강도는, 장력과 동일한 의미이며, 인장 강도의 값은,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한 후에, 기재(1)로부터 상기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의 실질적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가열 수단(202)과 권취 수단(203) 사이에, 측정 수단(204)을 위치시킨 프린터(200)에 따르면, 박리 수단(205)에 의해,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하면서, 기재(1)로부터 상기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박리했을 때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기재(1)로부터 연속적으로 박리해 나감으로써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상기 전사층(10)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해 나갈 때의 실질적인 박리력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박리 수단(205)은, 가열 수단(202)과 측정 수단(204)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205)과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되고, 그 위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열시 박리 타입의 프린터로 하는 경우에는,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이, 0.05 sec. 후에 박리 수단(205)에 도달되는 위치에 배치하면 되며, 일례로는, 가열 수단(202)으로부터 반송 방향을 향해 4.5 ㎜ 떨어진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가열 수단(202)으로부터 박리 수단(205)까지의 거리, 및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에 기초하여,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이, 박리 수단(205)에 의해 박리될 때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가 되는 열전사 시트(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좋고, 이외의 조건에 대해서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대해서도 한정은 없고,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단)
제1 수단은, 전사층(10)에 함유시키는 성분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 상에, 상기 기재(1) 측에서부터 박리층(4), 접착층(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박리층(4)에 함유시키는 적절한 수지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예컨대 수지 재료의 분자량, 유리 전이 온도, 혹은 상기 수지 재료를 이루는 모노머 등을 고려함으로써,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는,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박리층(4)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50% 이상 85% 이하, 에틸메타크릴레이트(EA)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15% 이상 50% 이하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에틸메타크릴레이트(EA)와의 공중합체를 함유시키거나 혹은 박리층(4)에,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BMA)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20%를 초과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BMA)와의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이것 이외에도, 전사층(10)에 함유시키는 수지 재료와, 이형제를 조합하여, 구체적으로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에 함유시키는 수지 재료나, 이형제의 종별, 또한 이들 함유량 등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형제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왁스 등의 왁스류,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10)으로서, 상기 제1 실시형태,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10)을 적용하고, 또한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열전사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각종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피전사체(300) 상에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 )을 전사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1)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10)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로서, 전사층(10)이,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인 「기저층」이, (A):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 및 (B):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고,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고, 한편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열전사 시트(100)는, 열전사 시트(100)와 피전사체(300)를 겹쳐,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201), 가열 수단(202),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가열 수단(202)과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203)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204), 가열 수단(202)과 측정 수단(204)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205)을 갖는 프린터(200)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층(10)을 연속적으로 전사하면서, 피전사체(300) 상에 전사된 전사층(10)을 열전사 시트(100)의 상기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측정 수단(204)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로 되어 있다.
요약하면,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저층」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 설명한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 설명한 「특정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로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특정 공중합체」의 한쪽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과,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구성, 또는,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과,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구성, 혹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과,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과,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열전사 시트가,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특정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을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특정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 및 제2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기저층」이,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기저층」의 총 질량에 대한, 「특정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특정 공중합체」와의 합계 질량은, 3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 수단)
제2 수단은, 기재(1)의 두께나, 기재(1)의 다른 쪽 면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 예컨대 배면층의 두께를 조정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사층(10)보다도 가열 부재측에 위치하는 기재(1)나, 임의의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수단이다. 제2 수단에 따르면, 기재(1)의 다른 쪽 면측에서 인가되는 에너지가 전사층(10)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재(1)나, 기재(1)의 다른 쪽 면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방법 대신에, 기재(1)나, 기재(1)의 다른 쪽 면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의 재료로서, 에너지의 전달 효율이 낮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기재(1)의 다른 쪽 면측에 인가된 에너지가, 전사층(10)에 전달될 때까지의 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억제할 수도 있다.
(제3 수단)
제3 수단은,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전사층(10)의 전사성을 향상시키는 임의의 층을 마련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는 수단이다. 임의의 층으로는, 예컨대 이형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3 수단에 의해서만,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기는 어렵고, 인장 강도의 조정의 관점에서는, 제3 수단은, 상기 제1 수단이나, 제2 수단에 의해 인장 강도를 조정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혹은 후술하는 제4 수단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층의 재료와 함께, 이형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대책에 의해 인장 강도의 조정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4 수단)
제4 수단은, 전사층(10) 자체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는 수단이다. 전사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는, 예컨대 경화제에 의해 경화된 경화 수지를 함유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4 수단에 의해서만,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기는 어렵고, 인장 강도의 조정의 관점에서는, 제4 수단은, 상기 제1 수단이나, 제2 수단에 의해 인장 강도를 조정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혹은 상기 제3 수단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층(10) 자체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 대신에, 혹은 이것과 함께, 기재(1)의 다른 쪽 면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의 내열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수단∼제4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의 방법과 조합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구성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하지만,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수단 등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외의 조건에 대해서는 이하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
기재(1)는,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상기 기재(1)의 한쪽 면상에 마련되는 전사층(10)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기재(1)의 재료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기재(1)에서 설명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어,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재(1)의 두께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2.5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상기 제3 수단을 적용하여, 기재(1)의 두께를 상기 일반적인 범위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1)와 전사층(10)과의 밀착성을 조정하기 위해, 기재(1)의 표면에 각종 표면 처리,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을 행할 수도 있다.
(전사층)
도 4∼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상에는, 상기 기재(1)로부터 박리 가능한 전사층(10)이 마련되어 있다. 전사층(10)은,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다.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서 말하는 전사층(10)이란, 열전사시에 기재(1)로부터 박리되어 피전사체에 전사되는 층을 의미한다. 전사층(10)은, 최종적으로,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면, 그 층구성이나, 전사층이 함유하는 성분에 대해서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는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층(10)은,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층(10)은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하,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를 구성하는 전사층(10)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형태 A의 전사층)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A의 전사층(10)(이하, 실시형태 A의 전사층이라고 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 측에서부터 박리층(4), 접착층(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형태 대신에 박리층(4)과 접착층(5) 사이에 보호층(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형태 대신에 박리층(4) 상에 접착층(5)을 마련하지 않고, 박리층(4)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성의 전사층(10)으로 하여, 이 박리층(4) 자체에 접착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A의 전사층(10)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100)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하여, 피전사체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층 전사 시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접착층(5), 보호층에 대해서는, 중간 전사 매체나, 보호층 전사 시트 등의 분야에서 접착층이나, 보호층의 재료로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단 이외에 의해,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박리층(4)으로는, 종래 공지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B의 전사층)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B의 전사층(10)(이하, 실시형태 B의 전사층이라고 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 측에서부터, 박리층(4), 수용층(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B의 전사층(10)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100)는, 상기 열전사 시트의 수용층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여, 인화물을 얻기 위한 중간 전사 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수용층(2)에 대해서는, 열전사 수상 시트나, 중간 전사 매체의 분야에서 수용층의 재료로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A, 및 실시형태 B의 전사층(10)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수단과 같이, 전사층(10)을 구성하고, 전사 계면이 되는 박리층(4)이 함유하는 성분 등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제2 수단에 의해, 혹은 제1 수단∼제4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인장 강도가 0.1 N/㎝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C의 전사층)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A의 전사층(10)(이하, 실시형태 A의 전사층이라고 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용융 잉크층(7)으로 구성되는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C의 전사층(10)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100)는, 피전사체 상에 열용융 잉크층(7)을 층마다 전사하여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형태 C의 전사층(10)에 있어서는, 상기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열용융 잉크층(7)에 함유되는 수지 재료나, 이형제 등의 성분이나, 함유량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0.1 N/㎝ 이하로 조정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제2 수단∼상기 제4 수단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전사층(10)의 인장 강도가 0.1 N/㎝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1)의 동일면 상에, 다른 전사층(10)을 면순차로 마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재(1)의 동일면 상에, 전사층(10)으로서의 열용융 잉크층(7)과, 박리층(4), 접착층(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을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100)로 할 수도 있다.
(임의의 층)
제3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을 구성하지 않는 임의의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임의의 층으로는,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마련되고, 전사층(10)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형층(도시하지 않음)이나, 기재(1)의 다른 쪽 면상에 마련되고, 내열성이나,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의 층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면층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 C의 전사층(10)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기재(1)와 전사층(10)으로서의 열용융성 잉크층(7) 사이에 이형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들 임의의 층은, 상기 제1 수단이나, 제2 수단에 의한 인장 강도를 조정할 때의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마련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 또는 %는 질량 기준이다. 또한, Mw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Tg는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하며, 공중합 비율은 몰비이다. 또한, MMA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A는 메틸아크릴레이트, EA는 에틸아크릴레이트, iBMA는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MAA는 메타크릴산, LA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MMA-EA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iBMA-MA 공중합체는,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MMA-iBMA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iBMA-MAA 공중합체는,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 MMA-LA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라우릴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을 이용하고, 상기 기재의 한쪽 면상에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기저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저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상기한 기저층용 도공액 1, 보호층용 도공액 1, 배면층용 도공액 1은,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기저층용 도공액 1>
·iBMA 단독중합체(Mw: 12500, Tg: 67℃)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보호층용 도공액 1>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부
(소르바인(등록상표) CNL 닛신카가쿠고교(주))
·톨루엔 40부
·메틸에틸케톤 40부
<배면층용 도공액 1>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부
(에스렉(등록상표) BX-1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2부
(타케네이트(등록상표) D218 미쓰이카가쿠(주))
·인산에스테르 2부
(플라이서프(등록상표) A208S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주))
·메틸에틸케톤 43부
·톨루엔 43부
(실시예 2)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2>
·iBMA 단독중합체(Mw: 8750, Tg: 67℃)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3)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3>
·iBMA 단독중합체(Mw: 6460, Tg: 67℃)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4)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4>
·iBMA-MA 공중합체(Mw: 13500, Tg: 85℃) 25부
(iBMA:MA(공중합 비율)=50:5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5)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5>
·iBMA-MA 공중합체(Mw: 13600, Tg: 93℃) 25부
(iBMA:MA(공중합 비율)=30:7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6)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을 이용하고, 상기 기재의 한쪽 면상에 상기 기저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기저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6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상기한 기저층용 도공액 1, 배면층용 도공액은,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실시예 7)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기저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7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8)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기저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8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9)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기저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9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0)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기저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0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A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비교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A>
·iBMA-MA 공중합체(Mw: 13600, Tg: 93℃) 25부
(iBMA:MA(공중합 비율)=20:8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2)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B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비교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B>
·iBMA-MA 공중합체(Mw: 14000, Tg: 101℃) 25부
(iBMA:MA(공중합 비율)=10:9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3)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C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비교예 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C>
·MMA 단독중합체(Mw: 22800, Tg: 105℃)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화상의 형성)
하기의 방법으로 작성한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상에, 이하의 열전사 화상 형성 조건에 의해,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염료로 이루어진 블랙 솔리드 화상을 인화하여, 열전사 화상(화상 형성물)을 얻었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염료로는, 하기의 방법으로 작성한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였다.
(열전사 수상 시트 A의 작성)
두께 35 ㎛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필름(도요펄(등록상표) SSP4255 도요보(주))으로 이루어진 다공질 필름층 상에, 하기 조성의 중간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코트 방식으로, 건조시의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중간층 상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코트 방식으로, 건조시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그 중간층, 수용층이 마련된 면과 반대면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롤 코트 방식으로, 건조시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RC 원지(155 g/㎡, 두께 151 ㎛)(미쓰비시세이시(주))와 접합시켜 열전사 수상 시트 A를 제작하였다.
<중간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폴리에스터(등록상표) WR-905 닛폰고세이카가쿠고교(주))
·산화티탄 20부
(TCA888(주)토켐프로덕츠)
·형광 증백제 1.2부
(유비텍스(등록상표) BAC BASF 재팬사)
·물 14.4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4.4부
<수용층용 도공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60부
(소르바인(등록상표) C 닛신카가쿠고교(주))
·에폭시 변성 실리콘 1.2부
(X-22-3000T 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틸스틸 변성 실리콘 0.6부
(X-24-510 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2.5부
·톨루엔 2.5부
<접착층용 도공액>
·우레탄 수지 30부
(타케락(등록상표) A-969V 미쓰이카가쿠(주))
·이소시아네이트 10부
(타케네이트(등록상표) A-5 미쓰이카가쿠(주))
·아세트산에틸 100부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4.5 ㎛의 이(易)접착 처리 완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위에, 하기 조성의 내열 윤활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0.8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내열 윤활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을 각각 건조시의 두께가 0.6 ㎛가 되도록, 면순차로 도포·건조하여 각 색의 염료층을 형성하고,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내열 윤활층용 도공액)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60.8부
(에스렉(등록상표) KS-1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4.2부
(바녹(등록상표) D750 DIC(주))
·필러(스테아릴인산아연) 10부
(LBT1830 정제 사카이카가쿠고교(주))
·필러(스테아린산아연) 10부
(SZ-PF 사카이카가쿠고교(주))
·필러(폴리에틸렌 왁스) 3부
(폴리왁스 3000 도요아도레(주))
·필러(에톡시화알코올 변성 왁스) 7부
(유니톡스 750 도요아도레(주))
·톨루엔 200부
·메틸에틸케톤 100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Disperse Yellow 201 4.0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5부
(에스렉(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에틸렌 왁스 0.1부
·메틸에틸케톤 45.0부
·톨루엔 45.0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Disperse Red 60 1.5부
·Disperse Violet 26 2.0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5부
(에스렉(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에틸렌 왁스 0.1부
·메틸에틸케톤 45.0부
·톨루엔 45.0부
(시안염료층용 도공액)
·Solvent Blue 63 2.0부
·Disperse Blue 354 2.0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5부
(에스렉(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에틸렌 왁스 0.1부
·메틸에틸케톤 45.0부
·톨루엔 45.0부
(열전사 화상 형성 조건)
·서멀 헤드: F3598(도시바호쿠토덴시(주))
·발열체 평균 저항치: 5176(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력: 0.12(W/dot)
·1라인 주기: 2(msec.)
·펄스 Duty: 85(%)
·인화 개시 온도: 35.5(℃)
(박리력 평가)
하기 열시 박리 타입의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열전사 화상(화상 형성물) 상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얻었다.
(테스트 프린터(열시 박리 타입))
·발열체 평균 저항치: 5241(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28(V)
·인화 전력: 0.15(W/dot)
·1라인 주기: 1(msec.)
·펄스 Duty: 85(%)
·인화 개시 온도: 29.0∼36.0(℃)
·발열 포인트에서 박리판까지의 거리: 4.5(㎜)
·반송 속도: 84.6(㎜/sec.)
·인압: 3.5∼4.0(kgf)
·평가 화상: 255 계조 솔리드 화상
이 인화물을 얻는 데 있어서, 인화 종료 후, 화상 형성물로부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박리할 때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프린터 내에서, 열전사 시트의 권취 롤과, 박리판 사이에 설치된 텐션미터(ASK-1000 모델 번호 오오쿠라인더스트리(주))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1에 인장 강도(박리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권취 롤에 의한 권취 속도가 일정(반송 속도: 84.6 ㎜/sec.)하게 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인장 강도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박리시에 열전사 시트에 기인하는 박리력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박리력이, 0.1 N/㎝ 미만인 경우에는, 화상 형성물로부터의 열전사 시트의 박리성(이형성)이 양호하며,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열전사 수상 시트 A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텐션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는, 장력과 동일한 의미이며, 인장 강도의 값은, 열전사 수상 시트 A 상에 전사층을 전사한 후에, 기재로부터 상기 열전사 수상 시트 A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의 실질적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Figure 112018058541769-pct00001
(실시예 11)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1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11>
·MMA-EA 공중합체(Mw: 10600, Tg: 75℃) 25부
(MMA:EA(공중합 비율)=83:17)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2)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2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12>
·MMA-EA 공중합체(Mw: 7920, Tg: 75℃) 25부
(MMA:EA(공중합 비율)=83:17)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3)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3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13>
·MMA-EA 공중합체(Mw: 19800, Tg: 60℃) 25부
(MMA:EA(공중합 비율))=74:26)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4)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4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14>
·MMA-EA 공중합체(Mw: 41200, Tg: 48℃) 25부
(MMA:EA(공중합 비율)=65:3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5)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5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15>
·MMA-EA 공중합체(Mw: 19900, Tg: 48℃) 25부
(MMA:EA(공중합 비율)=65:3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6)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을 이용하고, 상기 기재의 한쪽 면상에 상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기저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상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0.8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6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또한, 상기한 기저층용 도공액 1, 배면층용 도공액 1은,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실시예 17)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7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8)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8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9)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19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0)
기저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진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실시예 20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4)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D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D>
·MMA-EA 공중합체(Mw: 14000, Tg: 96℃) 25부
(MMA:EA(공중합 비율)=95: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5)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E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E>
·MMA 단독중합체(Mw: 22800, Tg: 105℃)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6)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F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6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F>
·MMA 단독중합체(Mw:14000, Tg:105℃)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7)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G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G>
·MMA 단독중합체(Mw: 9400, Tg: 105℃)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8)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H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8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H>
·MMA 단독중합체(Mw: 7040, Tg: 105℃)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9)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I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9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I>
·MMA-EA 공중합체(Mw: 16000, Tg: 75℃) 25부
(MMA:EA(공중합 비율)=83:17)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10)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 용도공액 J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0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J>
·MMA-EA 공중합체(Mw: 63000, Tg: 48℃) 25부
(MMA:EA(공중합 비율)=65:3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11)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K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K>
·EA 단독중합체(Mw: 21600, Tg: -22℃)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12)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L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L>
·MMA-EA 공중합체(Mw: 20000, Tg: 29℃) 25부
(MMA:EA(공중합 비율)=50:5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박리력 평가)
상기 테스트 프린터(열시 박리 타입)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열전사 화상(화상 형성물) 상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얻었다. 또한, 인화물의 형성은, 인화 전압 23 V(인화 전력: 0.10 W/dot), 인화 전압 28 V(인화 전력: 0.15 W/dot)의 각각에 대해서 행하였다.
이 인화물을 얻는 데 있어서, 인화 종료 후, 화상 형성물로부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박리할 때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프린터 내에서, 열전사 시트의 권취 롤과, 박리판 사이에 설치된 텐션미터(ASK-1000 모델 번호 오오쿠라인더스트리(주))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2에 인장 강도(박리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권취 롤에 의한 권취 속도가 일정(반송 속도: 84.6 ㎜/sec.)하게 되도록 제어한 상태로 인장 강도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박리시에 열전사 시트에 기인하는 박리력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박리력이, 0.1 N/㎝ 미만인 경우에는, 화상 형성물로부터의 열전사 시트의 박리성(이형성)이 양호하며,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와의 열융착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열전사 수상 시트 A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텐션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는, 장력과 동일한 의미이며, 인장 강도의 값은, 열전사 수상 시트 A 상에 전사층을 전사한 후에, 기재로부터 상기 열전사 수상 시트 A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의 실질적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Figure 112018058541769-pct00002
(열전사 시트 1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을 이용하고, 상기 기재의 한쪽 면상에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전사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 2를,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1을 얻었다. 또한, 상기한 전사층용 도공액 1, 배면층용 도공액은,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공하였다.
<전사층용 도공액 1>
·MMA-EA 공중합체(Mw:8000, Tg: 75℃) 25부
(MMA:EA(공중합 비율)=83:17)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배면층용 도공액 2>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부
(에스렉(등록상표) BX-1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2부
(타케네이트(등록상표) D218 미쓰이카가쿠(주))
·인산에스테르 2부
(플라이서프(등록상표) A208S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주))
·메틸에틸케톤 43부
·톨루엔 43부
(열전사 시트 2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2를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2>
·MMA-EA 공중합체(Mw: 41200, Tg: 48℃) 25부
(MMA:EA(공중합 비율)=65:3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시트 3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3을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3>
·iBMA 단독중합체(Mw: 12500, Tg: 67℃)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시트 4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4를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4>
·MMA-iBMA 공중합체(Mw: 13500, Tg: 85℃) 25부
(MMA:iBMA(공중합 비율)=50:5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시트 5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5를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5>
·iBMA-MAA 공중합체(Mw: 12500, Tg: 81℃) 25부
(iBMA:MAA(공중합 비율)=85:1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시트 6의 작성)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 대신에 두께 5.7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을 이용하고,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6을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6>
·MMA 단독중합체(Mw: 12500, Tg: 81℃) 25부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시트 7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하고,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7을 얻었다.
(열전사 시트 A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상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A를 얻었다.
(열전사 시트 B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A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B를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A>
·MMA-iBMA 공중합체(Mw: 13500, Tg: 97℃) 25부
(MMA:iBMA(공중합 비율)=80:2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시트 C의 작성)
전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전사층용 도공액 B로 변경하여, 전사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의 작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배면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 C를 얻었다.
<전사층용 도공액 B>
·MMA-LA 공중합체(Mw: 17500, Tg: 60℃) 25부
(MMA:LA(공중합 비율)=84:16)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열전사 수상 시트 1의 작성)
기재(코트지, 두께 170 ㎛, 다이오세이시(주))의 한쪽 면상에, 하기 조성의 이면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1.2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함으로써, 이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 이면 프라이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이면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함으로써, 이면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하기 조성의 필러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함으로써, 필러층을 형성하였다. 이 필러층 상에 하기 조성의 다공질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30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2분간 건조함으로써, 다공질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다공질층 상에, 하기 조성의 베리어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0.5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함으로써, 배리어층을 형성하며, 이 배리어층 상에, 상기 이면 프라이머층과 동일한 조성의 대전방지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함으로써,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대전방지층 상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 1을, 건조시의 두께가 3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상에, 이면 프라이머층, 이면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며, 기재의 다른 쪽 면상에, 필러층, 다공질층, 배리어층, 대전방지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전사 수상 시트 1을 얻었다.
<이면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25%) 40부
(바이로날(등록상표) MD-1480 도요보(주))
·충전재 9부
(라포나이트 JS 윌버·엘리스(주))
·계면활성제 0.08부
(다이놀 604 신에츠카가쿠고교(주))
·이소프로필알코올 66.7부
·물 133.3부
<이면층용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36부
(BL-7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나일론 필러(평균 입경 4 ㎛) 7부
(MW330 신토도료(주))
·톨루엔 15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50부
<필러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10부
(바이런(등록상표) 200 도요보(주))
·메틸에틸케톤 10부
·톨루엔 10부
<다공질층용 도공액>
·중공 입자(고형분 36%) 100부
(평균 입경 3.5 ㎛ 중공률 82 체적%)
(마이크로스피어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주))
·아크릴에스테르계 라텍스(고형분 45%) 133부
(SX1707A 닛폰제온(주))
·계면활성제 2부
(다이놀 604 신에츠카가쿠고교(주))
·이소프로필알코올 60부
·물 140부
<배리어층용 도공액>
·아크릴 수지(고형분 37%) 40부
(본론(등록상표) B4100 미쓰이카가쿠(주))
·폴리에스테르 수지(고형분 20%) 10부
(WR905 닛폰고세이카가쿠(주))
·아나타제형 산화티탄 1부
(TCA-888 사카이카가쿠고교(주))
·이소프로필알코올 25부
·물 25부
<수용층용 도공액 1>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고형분 26%) 100부
(수산기가 29.7 mgKOH/g AH90A 후지쿠라카세이(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고형분 75%) 1.74부
(타케네이트 D110N 미쓰이카가쿠(주))
·양 말단 카르비놀(ROH) 변성 실리콘 오일 0.13부
(KF6003 신에츠카가쿠고교(주))
·실리카 미립자(평균 입경 2.7 ㎛) 0.128부
(사일리시아 310P 후지실리시아카가쿠(주))
·메틸에틸케톤 10부
·톨루엔 10부
(열전사 수상 시트 2의 작성)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다공질 필름으로서,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두께 38 ㎛, 밀도 0.7 g/㎤)을 준비하였다. 또한, 기재층으로서, 종이 기재인 화이트 원지(비코트지, 두께 150 ㎛, (미쓰비시세이시(주))를 준비하였다. 화이트 원지의 면상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밀도 0.956 g/㎤)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밀도 0.919 g/㎤)의 혼합 수지(혼합비 8:2, 밀도 0.949 g/㎤)를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압출하여, 제2 폴리올레핀 수지층(두께 30 ㎛)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층의 제2 폴리올레핀 수지층과 반대측의 면상에, 상기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출하면서, 상기한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화이트 원지를 접합하여, 다공질층과 기재층 사이에,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제1 폴리올레핀 수지층(두께 15 ㎛)을 형성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용 지지체를 얻었다. 계속해서,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 위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건조시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하고, 110℃에서 1분 건조한 후, 그 위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 2를, 건조시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그라비아 코터로 도포하고, 110℃에서 1분 건조시켜, 프라이머층 및 수용층을 형성함으로써, 열전사 수상 시트 2를 얻었다.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13.1부
(WR-905 닛폰고세이카가쿠(주))
·산화티탄 26.2부
(TCA-888 토켐프로덕츠(주))
·형광 증백제(벤조이미다졸 유도체) 0.39부
(유비텍스(등록상표) BAC BASF 재팬사)
·물 4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0부
<수용층용 도공액 2>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60부
(소르바인(등록상표) C 닛신카가쿠고교(주))
·에폭시 변성 실리콘 1.2부
(X-22-3000T 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틸스틸 변성 실리콘 0.6부
(24-510 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틸에틸케톤 2.5부
·톨루엔 2.5부
(열시 인장 강도의 측정(열시 박리력의 측정))
상기에서 작성한 각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수상 시트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합으로 조합하고, 하기 열시 박리 타입의 테스트 프린터 1을 이용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면서, 상기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층이 마련된 인화물을 얻었다. 이 인화물을 얻는 데 있어서, 열전사 수상 시트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프린터 내에서, 열전사 시트의 권취 롤과, 가열 수단(서멀 헤드) 사이에 설치된 텐션미터(ASK-1000 모델 번호 오오쿠라인더스트리(주))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3에 인장 강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3에서는, 열시 인장 강도(열시 박리력), 및 후술하는 냉시 인장 강도(냉시 박리력)가 모두 0.1 N/㎝ 이하가 되는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조합을 실시예로 하고, 열시 인장 강도(열시 박리력), 및 후술하는 냉시 인장 강도(냉시 박리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인장 강도가 0.1 N/cm를 초과하는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조합을 비교예로 하고 있다.
(테스트 프린터 1(열시 박리 타입))
·발열체 평균 저항치: 5241(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28(V)
·인화 전력: 0.15(W/dot)
·1라인 주기: 1(msec.)
·펄스 Duty: 85(%)
·인화 개시 온도: 29.0∼36.0(℃)
·발열 포인트에서 박리판까지의 거리: 4.5(㎜)
·반송 속도: 84.6(㎜/sec.)
·인압: 3.5∼4.0(kgf)
·평가 화상: 255 계조 솔리드 화상
(냉시 인장 강도 측정(냉시 박리력의 측정))
상기에서 작성한 각 열전사 시트, 및 열전사 수상 시트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합으로 조합하고, 하기 테스트 프린터 2를 이용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한 후,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테스트 프린터 2로부터 꺼내어, 이하의 박리 장치, 및 박리 조건으로,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테스트 프린터 2는, 박리판, 및 텐션미터를 갖고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테스트 프린터 1과 동일한 구성을 취한다.
박리 장치: HEIDON-14DR 신토가가쿠(주)
박리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도)
(테스트 프린터 2)
·발열체 평균 저항치: 5241(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28(V)
·인화 전력: 0.15(W/dot)
·1라인 주기: 1(msec.)
·펄스 Duty: 85(%)
·인화 개시 온도: 29.0∼36.0(℃)
·반송 속도: 84.6(㎜/sec.)
·인압: 3.5∼4.0(kgf)
·평가 화상: 255 계조 솔리드 화상
(열융착 평가)
표 3에 나타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조합에 있어서,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열시 박리 타입의 테스트 프린터 1을 이용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의 열융착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열융착의 발생이 없어, 기재로부터 전사층을 양호하게 박리할 수 있다.
NG: 전사층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열융착이 발생하여, 기재로부터 전사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박리할 수 없다.
[표 3]
Figure 112018058541769-pct00003
1 : 기재
2 : 수용층
3 : 보호층
4 : 박리층
5 : 접착층
7 : 열용융 잉크층
10A : 기저층
10 : 전사층
100 : 열전사 시트
200 : 프린터
201 :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
202 : 가열 수단
203 :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204 : 측정 수단
205 : 박리 수단
300 : 피전사체

Claims (4)

  1.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은,
    (A):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 및
    (B):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고, 상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며,
    상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고, 한편
    상기 (B)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이며,
    상기 열전사 시트는,
    상기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겹쳐, 열전사 시트 공급 수단, 가열 수단,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열전사 시트 권취 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가열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수단을 갖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화 전력 0.15 W/dot, 열전사 시트의 반송 속도 84.6 ㎜/sec.의 조건으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상기 전사층을 전사하면서, 상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상기 전사층을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전사층과 접하는 구성 부재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0.1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2.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은, (1)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2)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30%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3. 기재의 한쪽 면상에 전사층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며,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60% 이상 90% 이하이고, 상기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은 몰비로 10% 이상 40% 이하이며,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 이하이고, 한편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몰비로 8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5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4. 삭제
KR1020187016966A 2015-12-25 2016-12-22 열전사 시트 KR102509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4934 2015-12-25
JP2015254935 2015-12-25
JPJP-P-2015-254936 2015-12-25
JPJP-P-2015-254935 2015-12-25
JP2015254934 2015-12-25
JP2015254936 2015-12-25
PCT/JP2016/088509 WO2017111097A1 (ja) 2015-12-25 2016-12-22 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548A KR20180097548A (ko) 2018-08-31
KR102509768B1 true KR102509768B1 (ko) 2023-03-13

Family

ID=5909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966A KR102509768B1 (ko) 2015-12-25 2016-12-22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69588B2 (ko)
EP (2) EP3388244B1 (ko)
JP (1) JP6365792B2 (ko)
KR (1) KR102509768B1 (ko)
CN (1) CN108472969B (ko)
MY (1) MY170902A (ko)
WO (1) WO2017111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1750B2 (ja) * 2020-02-25 2024-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及び該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
CN113442611A (zh) * 2020-03-27 2021-09-28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碳带及其制备方法
CN112976840B (zh) * 2021-03-19 2022-12-02 焦作卓立膜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号牌用热转印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50B2 (ko) 1974-06-28 1982-01-27
JPS5280912A (en) * 1975-12-26 1977-07-07 Okuno Chem Ind Co Transfer sheet
JPS59135184A (ja) 1983-01-24 1984-08-03 Shoichi Yamada マ−ク転写法
JPH02139294A (ja) 1988-11-21 1990-05-29 Ricoh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2792380B2 (ja) * 1993-03-16 1998-09-03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記録媒体
JPH07101155A (ja) * 1993-09-30 1995-04-18 Toppan Printing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H0999648A (ja) * 1995-10-04 1997-04-15 Toppan Printing Co Ltd 感熱転写記録媒体
JPH09290576A (ja) 1996-04-26 1997-11-11 Toray Ind Inc 溶融型感熱転写材
JPH1067174A (ja) * 1996-06-19 1998-03-10 Ricoh Co Ltd 熱転写記録方法並びに熱転写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674805A (en) * 1996-11-27 1997-10-07 Eastman Kodak Company Binder for thermal transfer pigment donor element
JPH1165098A (ja) * 1997-08-19 1999-03-05 Mitsubishi Chem Corp 感光性平版印刷版の製版方法
JP3883264B2 (ja) * 1997-09-08 2007-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ル用熱転写受像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27348A (ja) * 1998-02-19 1999-08-24 Ricoh Co Ltd 熱転写記録方法及び熱転写記録媒体
WO1999044837A1 (fr) 1998-03-06 1999-09-10 Dai Nippon Printing Co., Ltd. Support d'enregistrement a transfert intermediaire, procede de formation d'epreuve et epreuve
JPH11263079A (ja) 1998-03-17 1999-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記録媒体
JP2001030642A (ja) * 1999-05-19 2001-02-06 Konica Corp 熱転写受像材料及び熱転写記録方法
JP2001246845A (ja) 2000-03-03 2001-09-11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04202731A (ja) * 2002-12-24 2004-07-22 Sumitomo Chem Co Ltd 大型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9073190A (ja) 2007-08-30 2009-04-09 Fujifilm Corp 感熱転写方式による画像形成方法
JP5458737B2 (ja) * 2009-08-18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被熱転写シート及び被熱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5856867B2 (ja) 2012-02-16 2016-02-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4041779A1 (ja) * 2012-09-11 2014-03-20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548A (ko) 2018-08-31
JPWO2017111097A1 (ja) 2018-07-26
JP6365792B2 (ja) 2018-08-01
EP3388244A4 (en) 2019-01-09
US20190001725A1 (en) 2019-01-03
US10569588B2 (en) 2020-02-25
EP3653394A1 (en) 2020-05-20
EP3388244A1 (en) 2018-10-17
CN108472969B (zh) 2020-05-22
EP3388244B1 (en) 2020-02-05
WO2017111097A1 (ja) 2017-06-29
MY170902A (en) 2019-09-13
CN108472969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768B1 (ko) 열전사 시트
US6352957B2 (en) Thermal transfer image-receiving sheet
KR102508047B1 (ko) 열전사 시트
JP4368322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4357443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14198418A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478352B1 (ko) 승화형 열전사 시트
JPH11142995A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印画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15641A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3668315B2 (ja) 熱転写シート
CN111683819B (zh) 热转印片、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印相物的制造方法以及装饰物
JP2013082219A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58210A (ja) 中間転写媒体、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201917766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201817184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7120472B2 (ja) 離型部材一体型画像形成用シート、加飾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7255727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7068608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201805822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