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60B1 - 슬라이딩 부품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60B1
KR102426460B1 KR1020197013661A KR20197013661A KR102426460B1 KR 102426460 B1 KR102426460 B1 KR 102426460B1 KR 1020197013661 A KR1020197013661 A KR 1020197013661A KR 20197013661 A KR20197013661 A KR 20197013661A KR 102426460 B1 KR102426460 B1 KR 10242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fluid side
flui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639A (ko
Inventor
유타 네기시
사야카 코스기
히로키 이노우에
히데유키 이노우에
타케시 호소에
유이치로 토쿠나가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45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e.g. spiral groove thrus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16J15/34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 F16J15/34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 F16J15/34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and characterised by parts or details relating to lubrication, cooling or venting of the seal at least one ring having an uneven slipping surface with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7Grooves for generat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741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by means of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양측의 상이한 유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한다.
슬라이딩면(S)에는, 제1 부압 발생 홈(13)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로부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15)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를 설치하고,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 및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로부터 제1 유체측 또는 제2 유체측의 적어도 한쪽에 동압 발생 홈(11)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10)를 설치하고, 제1 부압 발생 홈(13)은 랜드부(R)에 의해 제2 유체측과 격리되고, 제2 부압 발생 홈(15)은 랜드부(R)에 의해 제1 유체측과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부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메커니컬 시일, 베어링, 그 외, 슬라이딩부에 적합한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면에 유체를 개재시켜 마찰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밀봉환 또는 베어링 등의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부품의 일례인, 메커니컬 시일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윤활성의 향상을 위해, 표면 텍스처링이라고 불리는 미세한 홈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본 출원인은, 먼저, 밀봉과 윤활을 양립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쪽측의 슬라이딩면의 고압측에는 고압 유체측과 직접 연통하는 스파이럴 그루브, 또는 딤플로 이루어지는 정압 발생 기구를, 저압측에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이루어지는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스파이럴 그루브 또는 딤플과 역레일리 스텝 기구 사이에 압력 개방 홈을 형성하고, 압력 개방 홈 및 역레일리 스텝 기구는 고압 유체측과 반지름 방향 홈을 통하여 연통하고, 저압 유체측과는 시일면에 의해 격리되어 이루어지는 발명을 출원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이하 「종래 기술」이라고 한다.)은, 슬라이딩면의 윤활성, 및, 피밀봉 유체인 고압 유체의 고압 유체측으로부터 저압 유체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성에 있어서 우수한 발명이지만, 저압측에 설치된 부압 발생 기구에 흡입된 저압 유체가 고압 유체측으로 토출되지 않도록 한 발명은 아니다.
그 때문에, 슬라이딩면의 양측에 상이한 유체가 존재하고, 양(兩) 유체가 혼합되면 위험이 발생하거나, 혹은, 화학 반응 등에 의해 피밀봉 유체가 변질되어 버리는 바와 같은 경우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WO 2014/148316 A1(도 13∼도 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슬라이딩면의 양측에 상이한 종류의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밀봉과 윤활을 양립시키면서, 양측의 상이한 유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첫 번째로,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 또는 상기 제2 유체측의 적어도 한쪽에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부압 발생 홈은 랜드부에 의해 상기 제2 유체측과 격리되고, 제2 부압 발생 홈은 랜드부에 의해 상기 제1 유체측과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슬라이딩면의 윤활과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밀봉을 양립시키면서, 양측의 상이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두 번째로,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에는, 원주 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세 번째로,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의 홈 깊이는, 상기 동압 발생 홈, 제1 부압 발생 홈 및 제2 부압 발생 홈의 홈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들 특징에 의하면,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각각의 흡입 효과 및 토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세 번째로, 제1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설치되며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부압 발생 기구로서의 역레일리 스텝 기구 및 스파이럴 기구, 그리고,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레일리 스텝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네 번째로, 제1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설치되며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부압 발생 기구로서의 스파이럴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레일리 스텝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다섯 번째로, 제1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설치되며 제3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도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되고, 또한, 상기 제3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스파이럴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여섯 번째로, 제1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설치되며, 각각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 또는 제2 유체측의 어느 한쪽과 연통됨과 아울러 다른 한쪽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부압 발생 기구로서의 역레일리 스텝 기구,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레일리 스텝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의 양측에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의 전체에 유체막을 형성할 수 있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일곱 번째로, 제1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3 및 제4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제3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4 스파이럴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스파이럴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의 양측에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의 전체에 유체막을 형성할 수 있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여덟 번째로,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압 발생 홈, 상기 제2 부압 발생 홈 및 상기 동압 발생 홈은,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반지름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회전측 밀봉환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표면 텍스처가 실시된 밀봉환을 교환하는 일 없이 사용 가능한 양 회전 사양에 적합한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품은, 아홉 번째로, 제1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은,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설계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고, 동일 평면상에 설치된 경우와 거의 동일한 토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1 유체측 또는 제2 유체측의 적어도 한쪽에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제1 부압 발생 홈은 랜드부에 의해 제2 유체측과 격리되고, 제2 부압 발생 홈은 랜드부에 의해 제1 유체측과 격리됨으로써, 슬라이딩면의 윤활과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밀봉을 양립시키면서, 양측의 상이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에는, 원주 홈을 형성하고,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원주 홈의 홈 깊이는, 동압 발생 홈, 제1 부압 발생 홈 및 제2 부압 발생 홈의 홈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됨으로써,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각각의 흡입 효과 및 토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동압 발생 기구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1 유체측에 설치되며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으로써, 부압 발생 기구로서의 역레일리 스텝 기구 및 스파이럴 기구, 그리고,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레일리 스텝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4)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동압 발생 기구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1 유체측에 설치되며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 연통되고, 또한,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으로써, 부압 발생 기구로서의 스파이럴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레일리 스텝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5)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1 유체측에 설치되며 제3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도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 연통되고, 또한, 제3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으로써,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스파이럴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6)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동압 발생 기구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2 유체측에 설치되며, 각각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 또는 제2 유체측의 어느 한쪽과 연통됨과 아울러 다른 한쪽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으로써, 부압 발생 기구로서의 역레일리 스텝 기구,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레일리 스텝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의 양측에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의 전체에 유체막을 형성할 수 있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7)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동압 발생 기구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설치되고, 각각 제3 및 제4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제3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4 스파이럴 기구는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 연통됨으로써,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로서의 스파이럴 기구의 조합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를 효과적으로 배열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의 양측에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의 전체에 유체막을 형성할 수 있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8) 제1 부압 발생 홈, 상기 제2 부압 발생 홈 및 상기 동압 발생 홈은,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반지름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측 밀봉환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표면 텍스처가 실시된 밀봉환을 교환하는 일 없이 사용 가능한 양 회전 사양에 적합한 슬라이딩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9)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됨으로써, 설계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고, 동일 평면상에 설치된 경우와 거의 동일한 토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메커니컬 시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a)는 딤플의 하류측의 좁은 극간(단차)으로 이루어지는 정압 발생 기구를, 도 5(b)는 딤플의 상류측의 넓은 극간(단차)으로 이루어지는 부압 발생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의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커니컬 시일을 구성하는 부품이 슬라이딩 부품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메커니컬 시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슬라이딩면(S)의 내주측에 제1 유체가 존재하고, 외주측에 제2 유체가 존재하고,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도모함과 아울러,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와 제2 유체가 혼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예를 들면, 제2 유체측의 펌프 임펠러(도시 생략)를 구동시키는 회전축(1)측에 슬리브(2)를 통하여 이 회전축(1)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원환상의 회전측 밀봉환(3)과, 펌프의 하우징(4)에 비회전 상태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원환상의 고정측 밀봉환(5)이, 이 고정측 밀봉환(5)을 축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6) 및 벨로우즈(7)에 의해, 래핑 등에 의해 연마된 슬라이딩면(S)끼리 밀접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즉, 이 메커니컬 시일은, 회전측 밀봉환(3)과 고정측 밀봉환(5)의 서로의 슬라이딩면(S)에 있어서,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예를 들면 물과, 제2 유체, 예를 들면 오일이 혼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면의 내주측에 제1 유체가, 외주측에 제2 유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반대라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에 표면 텍스처링이 실시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회전측 밀봉환(3)의 슬라이딩면에 표면 텍스처링이 실시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도 2(a)에 있어서,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과 상대 슬라이딩하는 상대측 슬라이딩면(S)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한다.
또한, 상대측 슬라이딩면(S)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의 표면 텍스처링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좋다.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에는, 제1 유체측에 위치하며 동압 발생 홈(11)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10)를 설치하고, 동압 발생 기구(10)로부터 중앙측에 위치하며 제1 부압 발생 홈(13)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로부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15)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를 설치한다.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 사이에는, 동압 발생 홈(11), 제1 부압 발생 홈(13) 및 제2 부압 발생 홈(15)의 홈 깊이보다도 깊은 환상의 제1 원주 홈(16)이 형성된다. 제1 원주 홈(16)은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과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동압 발생 기구(10)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 사이에 환상의 제2 원주 홈(17)이 형성된다. 제2 원주 홈(17)은 반지름 방향 심구(深溝; 18)를 통하여 제1 유체측과 연통되고, 제2 유체측과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동압 발생 기구(10)는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동압 발생 홈(11)은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패임 혹은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1 부압 발생 홈(13)은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는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제2 부압 발생 홈(15)은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로 이루어진다.
역레일리 스텝 기구(12)의 그루브부(13)의 하류측의 단부는 반지름 방향 심구(18)를 통하여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스파이럴 기구(14)의 그루브부(15)는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레일리 스텝 기구(10)의 그루브부(11)는, 상류측의 단부가 반지름 방향 심구(18)를 통하여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랜드부(R)는, 슬라이딩면(S)의 평활부를 의미한다.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는, 동압(정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 사이에 제1 유체를 진입시켜 유체막을 증가시켜, 윤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는,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에 존재하는 제1 유체를 흡입하여, 제1 유체측으로 토출하는 것이며, 슬라이딩면에 진입한 제1 유체가 외주측의 제2 유체측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는,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라이딩면에 존재하는 제2 유체를 흡입하여, 제2 유체측으로 토출하는 것이며, 슬라이딩면에 진입한 제2 유체가 내주측의 제1 유체측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원주 홈(16)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각각의 흡입 효과 및 토출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제2 원주 홈(17)은,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각각의 흡입 효과 및 토출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도 3에 명시되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기구(14)의 그루브부(15)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넓어짐을 갖도록 배열 설치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유체측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개의 그루브부(15) 자체의 평면 형상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곡선상인 경우 외에, 직선상이라도 좋고, 직선상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넓어짐을 갖도록 배열 설치되면 좋다.
또한,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도 2(a)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어도 좋고,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도 좋다.
또한,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주 홈(16) 및 제2 원주 홈(17)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 가능하다.
그루브부(11, 13, 및 16), 그리고, 제1 원주 홈(16), 제2 원주 홈(17) 및 반지름 방향 심구(18)의 깊이 및 폭에 대해서는, 슬라이딩 부품(3, 5)의 지름, 슬라이딩면 폭 및 상대 이동 속도, 그리고, 밀봉 및 윤활의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는 성질의 것이다.
일례로서, 제1 원주 홈(16), 제2 원주 홈(17) 및 반지름 방향 심구(18)의 깊이는, 그루브부(11, 13, 및 16)의 깊이의 10배 이상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의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의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 및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은, 상대측의 슬라이딩면(S)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S)상에 형성된다.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과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 사이에는 제1 원주 홈(16)이 형성되고,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과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 사이에는 제2 원주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레일리 스텝 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동압(정압) 발생 기구 및 역레일리 스텝 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압 발생 기구를 설명한다.
도 5(a)에 있어서, 상대하는 슬라이딩 부품인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슬라이딩한다.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에는, 상대적 이동 방향과 수직 또한 상류측에 면하여 좁은 극간(단차)을 구성하는 레일리 스텝(11a)이 형성되고, 당해 레일리 스텝(11a)의 상류측에는 동압(정압) 발생 홈인 그루브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하는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은 평탄하다.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 간에 개재하는 유체가, 그 점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3) 또는 고정측 밀봉환(5)의 이동 방향으로 추종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 때, 레일리 스텝(11a)의 존재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압(정압)이 발생한다.
또한, R은 랜드부를 나타낸다.
도 5(b)에 있어서도, 상대하는 슬라이딩 부품인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슬라이딩하지만,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에는, 상대적 이동 방향과 수직 또한 하류측에 면하여 넓은 극간(단차)을 구성하는 역레일리 스텝(13a)이 형성되고, 당해 역레일리 스텝(13a)의 하류측에는 부압 발생 홈인 그루브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하는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은 평탄하다.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 회전측 밀봉환(3) 및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 사이에 개재하는 유체가, 그 점성에 의해, 회전측 밀봉환(3) 또는 고정측 밀봉환(5)의 이동 방향으로 추종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 때, 역레일리 스텝(13ab)의 존재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압이 발생한다.
지금, 회전축(1)이 구동되어, 회전측 밀봉환(3)이 회전되면, 회전측 밀봉환(3)과 고정측 밀봉환(5)과의 슬라이딩면(S)이 상대 슬라이딩되고, 동압 발생 기구(10)에 의해 동압(정압)이 발생되어 슬라이딩면(S)끼리가 근소하게 이간되고, 제1 유체측으로부터 제1 유체가, 또한, 제2 유체측으로부터 제2 유체가 서서히 슬라이딩면(S)에 도입되어 유체 윤활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면(S)이 비접촉 상태로 보지(保持)되는 한편,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에 의해 제1 유체측으로부터 진입한 제1 유체가 흡입되어, 제1 유체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동시에,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에 의해 제2 유체측으로부터 진입한 제2 유체가 흡입되어, 제2 유체측으로 토출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면(S)의 윤활과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밀봉을 양립시키면서, 양측의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1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1)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로부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를 설치하고,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 및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로부터 제1 유체측에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를 설치하고,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의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은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은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의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은,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됨으로써, 슬라이딩면(S)의 윤활과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밀봉을 양립시키면서, 양측의 상이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 사이에는,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 및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홈 깊이보다도 깊은 제1 원주 홈(16)을 형성하고, 제1 원주 홈(16)은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과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됨으로써,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각각의 흡입 효과 및 토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 사이에 환상의 제2 원주 홈(17)을 형성하고, 제2 원주 홈(17)은 반지름 방향 심구(18)를 통하여 제1 유체측과 연통되고, 제2 유체측과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음으로써,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각각의 흡입 효과 및 토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스파이럴 기구로 구성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위하지만, 그 외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스파이럴 기구(20)의 그루브부(21)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고 중심 방향을 향하여 축소된 곡선상(스파이럴 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측 슬라이딩면과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루브부(21)에서는 부압이 발생되고, 그루브부(21) 내에 흡입된 유체는, 제1 유체측을 향하여 부세된다.
도 6(a)에서는,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에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루브부(21) 내에 흡입된 유체는 확실하게 제1 유체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어 있다.
도 6(b)에서는,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에 연통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도 6(c)에서는,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도 6(c)의 변형예로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어도 좋다.
도 6(d)에서는,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어 있다.
도 6(e)에서는,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도 6(f)에서는, 제1 원주 홈(16) 및 제2 원주 홈(17)은 생략되어 있고,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 및 하류측의 단부는 랜드부(R)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도 랜드부(R)에 둘러싸여 있다.
[실시예 3]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동압 발생 기구가 스파이럴 기구로 구성되는 점에서 실시예 2와 상위하지만, 그 외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스파이럴 기구(22)의 그루브부(23)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고 제2 유체측을 향하여 확대된 곡선상(스파이럴 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대측 슬라이딩면과의 슬라이딩에 의해, 그루브부(23)에서는 동압(정압)이 발생되고, 슬라이딩면 간에 제1 유체를 진입시켜 유체막을 증가시켜, 윤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에서는, 그루브부(23)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유체측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그루브부(23) 중 몇 개는 제2 원주 홈(17)과 동일한 깊이의 심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어 있다.
도 7(b)에서는, 그루브부(23) 및 그루브부(21)에 대해서는 도7(a)와 동일하지만,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도 7(c)에서는, 그루브부(23) 및 그루브부(15)에 대해서는 도7(a)와 동일하지만,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도 7(c)에 있어서,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가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어도 좋다.
도 7(d)에서는, 그루브부(23) 및 그루브부(15)에 대해서는 도7(a)와 동일하지만,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도 7(e)에서는, 그루브부(23) 및 그루브부(15)에 대해서는 도 7(b)와 동일하지만,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도 7(f)에서는, 제1 원주 홈(16) 및 제2 원주 홈(17)은 생략되어 있고,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 및 하류측의 단부는 랜드부(R)에 둘러싸이고, 또한,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도 랜드부(R)에 둘러싸여 있다.
[실시예 4]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4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제2 유체측에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위하지만, 그 외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에 있어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24)로 구성되고, 역레일리 스텝 기구(24)로부터 제2 유체측에는 레일리 스텝 기구(26)로 구성되는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된다.
역레일리 스텝 기구(24)의 그루브부(25)와 레일리 스텝 기구(26)의 그루브부(27) 사이에는, 환상의 제3 원주 홈(28)이 형성되고, 당해 환상의 제3 원주 홈(28)은 반지름 방향 심구(29)를 통하여 제2 유체측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레일리 스텝 기구(26)의 그루브부(27)의 상류측의 단부는 반지름 방향 심구(29)를 통하여 제2 유체측에 연통되어 있다. 제3 원주 홈(28)의 홈 깊이는, 제1 원주 홈(16) 및 제2 원주 홈(17)의 홈 깊이와 동일하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제2 유체측, 즉, 제2 유체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레일리 스텝 기구(2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유체측에 설치된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레일리 스텝 기구(10)의 작용과 더불어, 슬라이딩면 전체에 액막을 형성할 수 있어, 슬라이딩면의 윤활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주 홈(16), 제2 원주 홈(17) 및 제3 원주 홈(28)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5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제1 유체측의 동압 발생 기구 및 제2 유체측의 동압 발생 기구가 스파이럴 기구로 구성되는 점에서 실시예 4와 상위하지만, 그 외의 기본 구성은 앞의 실시예 1∼4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에 있어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스파이럴 기구(20)로 구성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스파이럴 기구(1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20)로부터 제1 유체측에는, 스파이럴 기구(22)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고,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14)로부터 제2 유체측에는, 스파이럴 기구(30)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20)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14) 사이에는 제1 원주 홈(16)이,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20)와 제1 유체측의 동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22) 사이에는 제2 원주 홈(17)이,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14)와 제2 유체측의 동압 발생 기구의 스파이럴 기구(30) 사이에는 제3 원주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9(a)의 경우, 스파이럴 기구(20)의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스파이럴 기구(14)의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3 원주 홈(28)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2 원주 홈(17)은 원호상 홈(17a)을 통하여 제1 유체측에 연통되고, 제3 원주 홈(28)은 원호상 홈(28a)을 통하여 제2 유체측에 연통되어 있다.
도 9(b)에서는, 스파이럴 기구(20)의 그루브부(21)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2 원주 홈(17)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점에서, 도 9(a)와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은 도 9(a)와 동일하다.
도 9(c)에서는, 스파이럴 기구(14)의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는 제1 원주 홈(16)에 연통되고, 하류측의 단부는 제3 원주 홈(28)으로부터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점에서, 도 9(a)와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은 도 9(a)와 동일하다.
도 9(d)에서는, 스파이럴 기구(20)의 그루브부(21) 및 스파이럴 기구(14)의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 및 하류측의 단부가 모두 심구에 연통되지 않고 랜드부(R)에 둘러싸여 있는 점에서, 도 9(a)와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은 도 9(a)와 동일하다.
도 9(e)에서는, 스파이럴 기구(14)의 그루브부(15)의 상류측의 단부 및 하류측의 단부만이 심구에 연통되는 일 없이 랜드부(R)에 둘러싸여 있는 점에서, 도 9(a)와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은 도 9(a)와 동일하다.
도 9(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원주 홈(16), 제2 원주 홈(17) 및 제3 원주 홈(28)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6은, 회전측 밀봉환(3)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표면 텍스처가 실시된 밀봉환을 교환하는 일 없이 사용 가능한 양 회전 사양에 적합한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도 10(a)에 있어서, 고정측 밀봉환(5)의 슬라이딩면(S)에는, 제1 유체측에 위치하며 동압 발생 홈(33)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32)를 설치하고, 동압 발생 기구(32)로부터 중앙측에 위치하며 제1 부압 발생 홈(36)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5)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5)로부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38)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7)를 설치한다.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5)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7) 사이에는, 동압 발생 홈(33), 제1 부압 발생 홈(36) 및 제2 부압 발생 홈(38)의 홈 깊이보다도 깊은 환상의 제1 원주 홈(16)이 형성된다. 제1 원주 홈(16)은 제1 유체측 및 제2 유체측과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동압 발생 기구(32)와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5) 사이에 환상의 제2 원주 홈(17)이 형성된다. 제2 원주 홈(17)은 반지름 방향 심구(18)를 통하여 제1 유체측과 연통되고,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R)에 의해 격리되어 있다.
동압 발생 기구(32)는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동압 발생 홈(36)은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패임 혹은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반지름 방향 심구(18)를 사이에 끼워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5)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1 부압 발생 홈(36)은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로 이루어지고,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반지름선 O-O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7)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제2 부압 발생 홈(37)은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로 이루어지고,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반지름선 O-O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역레일리 스텝 기구(35)의 그루브부(36)의 상류측의 단부(36a) 및 하류측의 단부(36b)는, 제1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원주 홈(17)에 근접하고, 중간부(36c)는 제1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1 원주 홈(16)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역레일리 스텝 기구(37)의 그루브부(38)의 상류측의 단부(38a) 및 하류측의 단부(38b)는,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유체측에 근접하고, 중간부(38c)는 제1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1 원주 홈(16)에 근접하고 있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a)에 있어서, 제1 원주 홈(16) 및 제2 원주 홈(17)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10(c)에서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7)의 제2 유체측에 레일리 스텝 기구로 구성되는 동압 발생 기구(39)가 설치됨과 아울러,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37)와 동압 발생 기구(39) 사이에 제3 원주 홈(28)이 형성되는 점에서, 도 10(a)와 상위하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도 10(a)와 동일하다.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c)에 있어서, 제1 원주 홈(16), 제2 원주 홈(17) 및 제3 원주 홈(28)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예 7]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슬라이딩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7은,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이,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되는 점에서, 앞의 실시예와 상위하지만, 그 외의 기본적 구성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있어서, 동압 발생 기구(10)(레일리 스텝 기구(10))의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 및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2)(역레일리 스텝 기구(12))의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은, 상대측의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S)상에 형성된다.
한편,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14)(스파이럴 기구(14))의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은, 슬라이딩면(S)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된다.
이 때문에, 설계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고, 동일 평면상에 설치된 경우와 거의 동일한 토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과 제2 부압 발생 홈(15)(그루브부(15))과의 사이의 슬라이딩면(S)상에는 제1 원주 홈(16)이 형성되고, 동압 발생 홈(11)(그루브부(11))과 제1 부압 발생 홈(13)(그루브부(13)) 사이에는 제2 원주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품을 메커니컬 시일 장치에 있어서의 한 쌍의 회전용 밀봉환 및 고정용 밀봉환 중 어느 한 쪽에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원통상 슬라이딩면의 축방향 한쪽측에 윤활유를 밀봉하면서 회전축과 슬라이딩하는 베어링의 슬라이딩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부품의 내주측을 제1 유체(예를 들면, 물)측, 외주측을 제2 유체(예를 들면, 오일)측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이들의 위치 관계가 반대의 경우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1 유체 및 제2 유체는 액체에 한하지 않고, 기체 혹은 미스트 상태의 기체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부압 발생 기구 및 제2 부압 발생 기구의 그루브부의 상류측의 단부 및 하류측의 단부와 심구와의 연통 관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예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 회전축
2 슬리브
3 회전측 밀봉환
4 하우징
5 고정측 밀봉환
6 코일드 웨이브 스프링
7 벨로우즈
10 동압 발생 기구
11 동압 발생 홈
12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13 제1 부압 발생 홈
14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15 제2 부압 발생 홈
16 제1 원주 홈
17 제2 원주 홈
18 반지름 방향 심구
20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스파이럴 기구
21 그루브부
22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스파이럴
23 그루브부
24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
25 그루브부
26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레일리 스텝 기구
27 그루브부
28 제3 원주 홈
29 반지름 방향 심구
30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스파이럴 기구
31 그루브부
32 동압 발생 기구
33 동압 발생 홈
35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36 제1 부압 발생 홈
37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38 제2 부압 발생 홈
39 동압 발생 기구를 구성하는 레일리 스텝 기구
40 그루브부
S 슬라이딩면
R 랜드부

Claims (16)

  1.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2.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3.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제3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도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되고, 또한, 상기 제3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4.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설치되며, 각각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 또는 상기 제2 유체측의 어느 한쪽과 연통됨과 아울러 다른 한쪽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5.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3 스파이럴 기구 및 제4 스파이럴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 또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제3 스파이럴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4 스파이럴 기구는 상기 제1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6. 서로 상대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의 양측에는 상이한 종류의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존재하는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슬라이딩 부품의 슬라이딩면에는, 제1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측에 위치하며 제2 부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로부터 상기 제1 유체측에 동압 발생 홈으로 이루어지는 동압 발생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는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동압 발생 기구는 레일리 스텝 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역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상기 레일리 스텝 기구의 그루브부는 상기 제1 유체측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제2 유체측과는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1 부압 발생 홈, 상기 제2 부압 발생 홈 및 상기 동압 발생 홈은,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반지름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은,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에는, 원주 홈을 설치하고,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에는, 원주 홈을 설치하고,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원주 홈의 홈 깊이는, 상기 동압 발생 홈, 상기 제1 부압 발생 홈 및 상기 제2 부압 발생 홈의 홈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에는, 원주 홈을 설치하고,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은,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와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사이에는, 원주 홈을 설치하고, 상기 원주 홈은 상기 제1 유체측 및 상기 제2 유체측과 랜드부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원주 홈의 홈 깊이는, 상기 동압 발생 홈, 상기 제1 부압 발생 홈 및 상기 제2 부압 발생 홈의 홈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은, 상기 제1 유체측 부압 발생 기구 및 상기 동압 발생 기구가 설치되는 슬라이딩면에 대하여 상대측 슬라이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저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7013661A 2016-11-16 2017-11-14 슬라이딩 부품 KR102426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3519 2016-11-16
JP2016223519 2016-11-16
PCT/JP2017/040830 WO2018092742A1 (ja) 2016-11-16 2017-11-14 しゅう動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39A KR20190064639A (ko) 2019-06-10
KR102426460B1 true KR102426460B1 (ko) 2022-07-28

Family

ID=6214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661A KR102426460B1 (ko) 2016-11-16 2017-11-14 슬라이딩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3232B2 (ko)
EP (1) EP3543569B1 (ko)
JP (1) JP7043414B2 (ko)
KR (1) KR102426460B1 (ko)
CN (1) CN109923340B (ko)
WO (1) WO2018092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1376B2 (en) 2016-08-15 2022-07-1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US10989249B2 (en) * 2016-11-14 2021-04-2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KR102276081B1 (ko) * 2017-01-30 2021-07-13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슬라이딩 부품
WO2019044671A1 (ja) * 2017-08-28 2019-03-07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WO2019049847A1 (ja) * 2017-09-05 2019-03-1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WO2019139107A1 (ja) 2018-01-12 2019-07-18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11320052B2 (en) 2018-02-01 2022-05-03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s
WO2019221228A1 (ja) 2018-05-17 2019-11-2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JP7210565B2 (ja) * 2018-05-17 2023-01-2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JP7242659B2 (ja) * 2018-05-17 2023-03-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
WO2019236524A1 (en) * 2018-06-08 2019-12-12 John Crane Inc. Mechanical seal with a seal face having channels
EP3922877B1 (en) 2019-02-04 2023-12-06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iding component
JP7313789B2 (ja) * 2019-02-04 2023-07-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11852241B2 (en) 2019-02-04 2023-12-26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CN115853894A (zh) * 2019-02-04 2023-03-28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EP3922872A4 (en) * 2019-02-04 2022-11-02 Eagle Industry Co., Ltd. SLIDE COMPONENT
US11767916B2 (en) 2019-02-14 2023-09-26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s
EP3926188A4 (en) 2019-02-15 2022-11-0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S
CN115244319A (zh) * 2020-04-07 2022-10-25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滑动部件
US11933303B2 (en) 2020-07-06 2024-03-1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JPWO2022009767A1 (ko) 2020-07-06 2022-01-13
DE102020007800A1 (de) 2020-12-15 2022-06-15 Kaco Gmbh + Co. Kg Dichtring einer Gleitringdichtung sowie Gleitringdichtung mit einem Dichtring
WO2024004657A1 (ja) * 2022-06-30 2024-01-0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652A (ja) 2003-12-22 2005-07-07 Eagle Ind Co Ltd 摺動部品
US20130209011A1 (en) * 2010-10-06 2013-08-15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WO2014148316A1 (ja) 2013-03-17 2014-09-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20150123350A1 (en) * 2012-08-04 2015-05-0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WO2016167262A1 (ja) 2015-04-15 2016-10-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770A (en) * 1981-04-01 1982-10-08 Eagle Ind Co Ltd Mechanical seal
DE3223703C2 (de) 1982-06-25 1984-05-30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4200 Oberhausen Gasgesperrte Wellendichtung mit radialem Dichtspalt
US6655693B2 (en) * 2001-04-26 2003-12-02 John Crane Inc. Non-contacting gas compressor seal
JP4316956B2 (ja) * 2002-10-23 2009-08-1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10989249B2 (en) * 2016-11-14 2021-04-2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652A (ja) 2003-12-22 2005-07-07 Eagle Ind Co Ltd 摺動部品
US20050212217A1 (en) 2003-12-22 2005-09-29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element
US20130209011A1 (en) * 2010-10-06 2013-08-15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JP5693599B2 (ja) 2010-10-06 2015-04-0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20150123350A1 (en) * 2012-08-04 2015-05-07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WO2014148316A1 (ja) 2013-03-17 2014-09-2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20150377297A1 (en) 2013-03-17 2015-12-31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parts
WO2016167262A1 (ja) 2015-04-15 2016-10-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US20180073394A1 (en) 2015-04-15 2018-03-15 Eagle Industry Co., Ltd. Sliding component
JP6444492B2 (ja) 2015-04-15 2018-12-2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3569B1 (en) 2021-06-30
US20190285115A1 (en) 2019-09-19
WO2018092742A1 (ja) 2018-05-24
JPWO2018092742A1 (ja) 2019-10-17
CN109923340A (zh) 2019-06-21
EP3543569A1 (en) 2019-09-25
CN109923340B (zh) 2020-09-11
US11143232B2 (en) 2021-10-12
JP7043414B2 (ja) 2022-03-29
KR20190064639A (ko) 2019-06-10
EP3543569A4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460B1 (ko) 슬라이딩 부품
CN107735604B (zh) 滑动部件
KR102447226B1 (ko) 슬라이딩 부품
KR102288167B1 (ko) 슬라이딩 부품
CN107532726B (zh) 滑动部件
KR102049256B1 (ko) 슬라이딩 부품
JP6058018B2 (ja) 摺動部品
KR102033410B1 (ko) 슬라이딩 부품
EP2977654B1 (en) Sliding component
KR102288158B1 (ko) 슬라이딩 부품
CN108138967B (zh) 滑动部件
KR102498751B1 (ko) 슬라이딩 부품
WO2015199171A1 (ja) 摺動部品
KR20210124430A (ko) 슬라이딩 부품
KR102346395B1 (ko) 슬라이딩 부품
WO2015199172A1 (ja) 摺動部品
JPWO2019044671A1 (ja) 摺動部品
WO2019013233A1 (ja) 摺動部材
KR102682943B1 (ko) 슬라이딩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