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052B1 - 펜 및 펜용 리필 - Google Patents

펜 및 펜용 리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052B1
KR102390052B1 KR1020177010750A KR20177010750A KR102390052B1 KR 102390052 B1 KR102390052 B1 KR 102390052B1 KR 1020177010750 A KR1020177010750 A KR 1020177010750A KR 20177010750 A KR20177010750 A KR 20177010750A KR 102390052 B1 KR102390052 B1 KR 10239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ib
pen
groove
diame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784A (ko
Inventor
나쓰미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레다케
Publication of KR2017006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14Exchangeable ink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03Capillary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06Porous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6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12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writing-points or writing-point units being separable from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저류부와, 잉크의 도포 대상에 상기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를 포함하고, 펜촉부는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고,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펜 및 펜용 리필{PEN, AND REFILL FOR PEN}
본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14-21200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인용에 의해 본원 명세서의 기재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필기구나 화장도구로서 사용되는 펜 및 펜용 리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필기구나 화장도구 등에는, 여러 가지 타입의 것이 있고, 그 하나로서, 반사성 또는 광택성을 가지는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이른바, 반짝이 포함 잉크)를 대상물 등에 도포 가능하게 구성된 펜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펜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貯留)하는 잉크 저류부와, 잉크 저류부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는 펜촉부로서, 공급된 잉크를 잉크의 도포 대상에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를 포함한다.
잉크 저류부는 잉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획한 주벽부(周璧部)를 가진다. 잉크 저류부에는, 여러가지 것이 있고, 예를 들면, 내부 공간에 액상의 잉크를 충전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이나, 내부 공간 전체에 충전된 흡액성을 가지는 잉크 흡장재에 잉크를 흡장시킨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내부 공간의 소정 영역에 액상의 잉크를 충전하고, 내부 공간의 나머지 영역에 충전된 흡액성을 가지는 잉크 흡장재에 잉크를 흡장시킨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등이 있다.
펜촉부에는 다수의 털을 다발로 한 것이나, 섬유재를 봉형으로 성형한 것이 있다. 펜촉부는 잉크 유도부에 접속되는 기단부(基端部)와, 상기 기단부의 반대에 위치하는 선단부로서, 도포 대상에 접촉시키는 선단부를 가진다. 펜촉부는 잉크 유도부로부터의 잉크를, 털 사이나 섬유 사이에 있는 미소 공간의 모세관력에 의해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쳐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펜은, 잉크의 도포 대상에 펜촉부의 선단부를 접촉시키면, 펜촉부에 있는 잉크가 도포 대상으로 옮겨가고, 상기 펜촉부의 잉크가 소비된다. 그러면, 펜촉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가 펜촉부에 공급된다.
이로써, 이러한 종류의 펜은, 잉크의 도포 대상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잉크를 도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고실용신안 소60-719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 제2005-34295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공개특허 제2012-135982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펜은 사용을 반복하면,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펜촉부 내의 미소 공간 내(털 사이나 섬유 사이)에 퇴적되어, 펜촉부에 대한 잉크의 공급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종류의 펜의 펜촉부는, 다수의 털을 다발로 한 것이나, 섬유재를 봉형으로 성형한 것이므로, 털이나 섬유에 포위된 미소 공간이 잉크의 유통 경로로 된다. 그러므로, 사용을 반복하고 있으면, 잉크의 유통 경로인 미소 공간의 주위에 있는 털이나 섬유 등에 대하여,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장식 입자가 부착되거나 걸릴 기회가 많아진다. 그 결과, 잉크의 유통 경로로 되는 미소 공간(본래, 모세관력을 발휘해야 할 미소 공간)에 막힘이 생기고, 펜촉부의 선단부에 적량의 잉크가 공급되지 않게 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펜은, 원활한 사용을 개시할 수 없게 될 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펜촉부에 대하여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고, 원활하게 사용을 개시할 수 있는 펜 및 펜용 리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펜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저류부와, 잉크의 도포 대상에 상기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촉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펜촉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펜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펜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펜의 별도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잉크 저류부의 잉크를 상기 펜촉부를 향해 유도하는 잉크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유도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에 접속되는 일단부(一端部)와, 상기 일단부와 반대 측의 타단부(他端部)로서, 상기 펜촉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펜촉부 및 상기 잉크 유도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의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펜용 리필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저류부로서, 펜의 외장(外裝)을 구성하는 보디 축부에 수용되는 잉크 저류부와, 잉크의 도포 대상에 상기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로서, 상기 보디 축부로부터 노출되어 잉크의 도포 대상에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촉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고, 또한 상기 펜촉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펜용 리필의 일 태양으로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펜용 리필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펜용 리필의 별도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잉크 저류부의 잉크를 상기 펜촉부를 향해 유도하는 잉크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유도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측의 타단부로서, 상기 펜촉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펜촉부 및 상기 잉크 유도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의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동(同) 실시형태에 관한 펜의 단면도로서, 펜 본체로부터 캡을 분리해 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펜(펜 본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II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펜에 있어서의 홀더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펜에 있어서의 홀더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에 관한 펜에 있어서의 홀더부의 측면도로서, 홀더부의 중심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에 관한 펜에 있어서의 홀더부의 측면도로서, 홀더부의 중심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타단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펜에 있어서의 홀더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펜(펜 본체)의 펜촉부 또는 잉크 유도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별도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펜(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별도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펜의 단면도(펜 본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별도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펜(펜 본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펜은, 필기구나 화장도구로서 사용되는 것이긴 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장도구(네일아트용 펜)를 일례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의 도포 대상(본 실시형태에서는, 네일아트 대상자)에게 반짝이 포함 잉크(본 실시형태에서는, 네일아트용 반짝이 포함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51)를 가지는 펜 본체(2)와, 펜 본체(2)의 펜촉부(51)를 덮는 캡(3)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반짝이 포함 잉크」란, 반사성 또는 광택성을 가지는 광물, 금속, 또는 섬유 등의 재료를 분상, 입상, 또는 편상(片狀)으로 미세화한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의미한다.
펜 본체(2)는 외장을 구성하는 외장체(4)와, 외장체(4)에 내장되는 펜용 리필(이하, 단지 리필이라 함)(5)을 포함한다.
외장체(4)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 측의 타단을 가지는 통형의 보디 축부(40)와, 보디 축부(40)의 일단을 폐색하는 둔부(41)를 포함한다.
리필(5)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저류부(50)와, 기단 및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을 가지는 펜촉부(51)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51)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필(5)은 잉크 저류부(50)의 잉크를 펜촉부(51)를 향해 유도하는 잉크 유도부(52)를 포함한다. 또한, 리필(5)은 펜촉부(51)를 삽통(揷通)시키는 관통공(530)을 가지고, 펜촉부(51)를 관통공(530)에 삽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펜촉부(51)의 선단부를 노출시키면서 펜촉부(51)를 유지하는 홀더부(53)를 포함한다.
잉크 저류부(50)는 잉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S)을 구획한 주벽부(500)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잉크 저류부(50)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 측의 타단을 가지는 통형의 주벽부(500)와, 주벽부(500)의 일단을 폐색하는 폐색부(501)를 포함한다. 이로써, 잉크 저류부(50)는 주벽부(500) 및 폐색부(501)에 의해 폐쇄된 내부 공간(S)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잉크 저류부(50)의 내부 공간(S)에는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액상의 잉크가 충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리필(5)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촉부(51)에 공급하는 잉크의 양을 조정하기 위한 콜렉터(54)를 포함한다.
콜렉터(54)는 만년필 등의 직액식(直液式) 필기구에 채용되는, 이른바 깃모양 조절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콜렉터(54)는 중심선 상에 잉크 유도부(52)를 관통하여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540a)을 가지는 주축부(540)와, 상기 주축부(540)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칸막이 깃(541…)으로서, 주축부(54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칸막이 깃(541…)을 포함하고 있다. 콜렉터(54)는, 주축부(540)의 양단부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flange portion)(542, 543)를 가지고, 양 플랜지부(542, 543) 사이의 외면에 복수의 칸막이 깃(541…)이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칸막이 깃(541…) 각각은, 모두 주축부(540)의 대략 전체 둘레로부터 연장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인접하는 칸막이 깃(541…)의 간격은, 인접하는 칸막이 깃(541…) 사이에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간격으로 설정된다.
복수의 칸막이 깃(541…) 각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축부(540)로부터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544)이 형성된다. 각 칸막이 깃(541…)의 슬릿(544)은, 주축부(540)의 축선 방향으로 일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각 칸막이 깃(541…)의 슬릿(544)은, 주축부(540)의 관통공(540a)을 구획하는 내주면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칸막이 깃(541…) 각각에는, 슬릿(544)에 대하여 칸막이 깃(541…)의 주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공기 교환용 절결부(切缺部)(5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545)의 주축부(540)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본 개구 면적은, 슬릿(544)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콜렉터(5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플랜지부(542)에서 잉크 저류부(50)[내부 공간(S)]를 폐색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리필(5)은, 잉크 저류부(50)의 내부 공간(S)을 구획하는 주벽부(500)의 타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통형 유지부(55)로서, 콜렉터(54) 및 홀더부(53)를 같은 열로 유지하는 통형 유지부(5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콜렉터(54)는, 한쪽의 플랜지부(542)를 잉크 저류부(50) 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통형 유지부(55)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로써, 콜렉터(54)의 한쪽의 플랜지부(542)는, 잉크를 충전한 잉크 저류부(50)의 내부 공간(S)을 밀폐하고 있다. 또한, 통형 유지부(55)는 콜렉터(54)의 복수의 칸막이 깃(541…)을 포위하고 있다.
펜촉부(51)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저류부(50)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고,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51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펜촉부(51)는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펜촉부(51)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의 일단은, 잉크 저류부(50)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으로 되고, 펜촉부(51)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의 타단은,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펜촉부(51)는, 수지 재료(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를 압출(押出) 성형함으로써, 외주면 상에 홈(510)을 가지는 봉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펜촉부(51)의 홈(510)은 펜촉부(51)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펜촉부(51)의 홈(510)은 펜촉부(51)의 축심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펜촉부(51)의 홈(510)은 외주면 상에서 개구되고, 또한 펜촉부(51)의 축심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서도 개구되어 있다.
펜촉부(51)의 홈(5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촉부(51)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촉부(51)의 홈(510)은, 홈 폭이 확대된 부분과 홈 폭이 축소된 부분을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 측을 향해 교호(交互)로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홈(510)은, 홈 폭이 확대된 부분과 홈 폭이 축소된 부분이 교호로 배치됨으로써, 펜촉부(51)의 외주면 상에서 최대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펜촉부(51)의 홈(510)은,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서서히 확대되고, 상기 펜촉부(51)의 외주 상에서 최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펜촉부(51)에 있어서, 홈(510)은 펜촉부(51)의 외주면 상에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510…)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잉크 유도부(52)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저류부(50)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 반대 측의 타단부로서, 펜촉부(51)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고,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일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연장되는 홈(5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잉크 유도부(52)는 잉크 저류부(50)[내부 공간(S)]와 펜촉부(51)에 걸치는 길이의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유도부(52)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의 일단은, 잉크 저류부(50) 내에 노출되고, 잉크 유도부(52)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의 타단은, 펜촉부(51)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콜렉터(54)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잉크 유도부(52)는 콜렉터(54)[주축부(540)]의 관통공(540a)에 삽통되고, 상기 잉크 유도부(52)의 일단이 잉크 저류부(50)의 내부 공간(S)에 노출되고, 또한 상기 잉크 유도부(52)의 타단이 펜촉부(5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유도부(52)는, 수지 재료(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외주면 상에 홈(520)을 가지는 봉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잉크 유도부(52)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잉크 유도부(52)의 축심 방향 전체 길이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 상에서 개구되고, 또한 잉크 유도부(52)의 축심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서도 개구되어 있다.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잉크 유도부(52)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홈 폭이 확대된 부분과 홈 폭이 축소된 부분을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 측을 향해 교호로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홈(520)은, 홈 폭이 확대된 부분과 홈 폭이 축소된 부분이 교호로 배치됨으로써, 잉크 유도부(52)의 외주면 상에서 최대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서서히 확대되고, 상기 잉크 유도부(52)의 외주 상에서 최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유도부(52)에 있어서, 홈(520)은 잉크 유도부(52)의 외주면 상에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홈(520…)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 및 잉크 유도부(52)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펜촉부(51)의 홈(510) 및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서로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펜촉부(51) 및 잉크 유도부(52)는, 단면 형상 및 단면 사이즈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도 4 및 도 5 참조), 서로의 복수의 홈(510…, 520…) 각각이 축선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속되어 있다.
홀더부(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펜촉부(51)를 삽통시키는 관통공(530)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530)에 펜촉부(51)가 선단 측을 외부에 연장시키도록 하여 삽통되어 있다.
홀더부(53)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53)는 펜촉부(51)의 선단부를 연장시키는 선단면(채번하지 않음)과, 관통공(530)의 주위에 형성된 환형면(531)으로서, 상기 홀더부(53)의 상기 선단면에 대하여 반대 측을 향하는 환형면(531)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더부(53)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저류부(50) 측에 위치하는 대경(大徑) 통부(53a)와, 대경 통부(53a)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소경(小徑) 통부(53b)로서, 대경 통부(53a)와 연속된 소경 통부(53b)를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 통부(53a)의 내측 구멍(530a)과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은 동심으로 연속되어 있다.
대경 통부(53a)의 내측 구멍(530a)은, 잉크 유도부(52)의 타단부를 삽입할 수 있게 설정된 대경 구멍부(530c)와, 대경 구멍부(530c)와 연속하는 소경 구멍부(530d)로서, 펜촉부(51)를 삽입 가능하고, 또한 대경 구멍부(530c)보다 직경이 작은 소경 구멍부(530d)에 의해 구성된다. 이로써, 홀더부(53)[대경 통부(53a)] 내에는, 대경 구멍부(530c)와 소경 구멍부(530d)의 상이한 직경에 의한 단차가 형성된다. 이로써, 홀더부(53)는 관통공(530)의 주위에 형성된 환형면(531)으로서, 관통공(530)을 구획하는 내주면(532)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53)의 상기 선단에 대하여 반대 측을 향하는 환형면(531)을 대경 구멍부(530c)와 소경 구멍부(530d)의 경계에 가진다.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은, 대경 통부(53a)의 내측 구멍(530a)과 동심으로 형성된다. 또한,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은, 대경 통부(53a)의 소경 구멍부(530d)와 같은 직경으로 설정되고, 펜촉부(51)를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대경 통부(53a)의 내측 구멍(530a) 및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은 서로 연속됨으로써, 펜촉부(51)를 삽입하는 관통공(530)을 형성하고 있다.
대경 통부(53a)의 소경 구멍부(530d)를 구획하는 내주면(532d)과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의 내주면(532b)은 연속된 면을 구성한다. 즉, 대경 통부(53a)의 소경 구멍부(530d) 및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은, 펜촉부(51)를 삽통할 수 있는 연속 구멍(536)으로서, 펜촉부(51) 중 적어도 일부를 구속할 수 있는 내주면(532)에 의해 구획되는 연속 구멍(536)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관통공(530) 중, 대경 통부(53a)의 소경 구멍부(530d)와 소경 통부(53b)의 내측 구멍(530b)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상기 표현에 아울러 연속 구멍(536)이라 하기로 한다.
연속 구멍(536)은, 유지하는 펜촉부(51)의 외형상에 입각해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연속 구멍(536)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속 구멍(536)의 구멍 중심선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연속 구멍(53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 통부(53a) 측으로부터 상기 홀더부(53)의 선단면 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멍으로 되고, 소경 통부(53b)의 선단 측에서의 내주면에서 펜촉부(51)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홀더부(53)는, 잉크 유도부(52)로부터의 잉크를 유지할 수 있는 잉크 유지부(533)로서, 상기 관통공(530)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잉크 유지부(533)와, 상기 관통공(530)을 구획하는 내주면(532) 상에서 개구된 제1 개방부(534)로서,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하는 제1 개방부(534)를 포함하고 있다.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의 주위에 복수 형성되고, 제1 개방부(534)는 복수의 잉크 유지부(533)에 대응하여 관통공(530)의 주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잉크 유지부(533), 및 제1 개방부(534) 각각은, 슬릿형(폭이 좁은 간극 상태)으로 형성된다.
또한, 홀더부(53)는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환형면(531) 상에서 개구된 제2 개방부(535)로서,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하는 제2 개방부(535)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개방부(535)는 슬릿형(폭이 좁은 간극 상태)으로 형성된다.
잉크 유지부(533)는 도 5,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530) 중 연속 구멍(536)의 주위에 형성된다.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구멍 중심선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형이란, 모세관력을 발휘할 수 있는 폭이 좁은 간극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주위에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유지부(533)가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구멍 중심선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잉크 유지부(53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530)의 중심선 방향으로 홀더부(53)의 기단부 측의 소정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유지부(533)는, 펜촉부(51)를 노출시키는 홀더부(53)의 선단면 측으로 잉크가 유통할 수 없게 형성되어 있다. 즉, 잉크 유지부(533)는 펜촉부(51)에 부착된 잉크를 도포 대상에 도포했을 때, 유입된 잉크가 펜촉부(51)의 선단 측으로 끌려들어가 펜촉부(51)의 선단에 공급되지 않도록, 선단 측으로의 잉크의 유출을 저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개방부(534)는 도 5,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530) 중 연속 구멍(536)의 주위에 형성되고,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을 구획하는 내주면(532)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1 개방부(534)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구멍 중심선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형이란, 모세관력을 발휘할 수 있는 폭이 좁은 간극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개방부(534)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주위에 복수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제1 개방부(534…) 각각은, 복수의 잉크 유지부(53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복수의 제1 개방부(534…) 각각은, 대응하는 잉크 유지부(533)와 함께 단일의 슬릿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개방부(534…)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개방부(534)는 관통공(530)의 중심선 방향으로 홀더부(53)의 기단부 측의 소정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개방부(534)는 잉크 유지부(533)와 마찬가지로, 펜촉부(51)를 노출시키는 홀더부(53)의 선단 측으로 잉크가 유통할 수 없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개방부(534)는 펜촉부(51)에 부착된 잉크를 도포 대상에 도포했을 때, 유입된 잉크가 펜촉부(51)의 선단 측으로 끌려들어가 펜촉부(51)의 선단에 공급되지 않도록, 홀더부(53)의 선단면 측으로의 잉크의 유출을 저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개방부(535)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530) 중 연속 구멍(536)의 주위에 형성되고, 대경 구멍부(530c)와 소경 구멍부(530d)의 경계에 형성되는 환형면(531) 상에서 개구되어 있다. 제2 개방부(535)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형이란, 모세관력을 발휘할 수 있는 폭이 좁은 간극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개방부(535)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주위에 복수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제2 개방부(535…) 각각은, 복수의 잉크 유지부(53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즉, 복수의 제2 개방부(535…) 각각은, 대응하는 잉크 유지부(533) 및 제1 개방부(534)와 함께 단일의 슬릿을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개방부(535…)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홀더부(53)에 있어서, 잉크 유지부(533),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의 배치나 형태가 대응됨으로써, 잉크 유지부(533), 제1 개방부(534), 제2 개방부(535)는 단일의 슬릿(간극)으로서,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내주면(532) 및 환형면(531)의 2개소에서 개방(개구)된 단일의 슬릿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는, 개구되는 방향을 상이하게 하고 있지만,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내주면(532)과 환형면(531)의 접속 개소에서 연속하여 개구되어 있다.
도 3으로 돌아와, 홀더부(53)는 대경 통부(53a)를 잉크 저류부(50) 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통형 유지부(55)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대경 통부(53a)는 콜렉터(54)의 다른 쪽의 플랜지부(543)에 밀접해 있고, 잉크 유도부(52)에 의해 유도되어 온 잉크가, 홀더부(53)의 외주에 누출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홀더부(53)의 소경 통부(53b)는, 통형 유지부(55)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지만, 통형 유지부(55)의 선단부 및 홀더부(53)의 소경 통부(53b)의 선단부가 함께 테이퍼 통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연속된 테이퍼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펜 본체(2)는, 상기 구성의 리필(5)이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통형 유지부(55)의 선단부, 홀더부(53)의 선단부[소경 통부(53b)], 및 펜촉부(51)의 선단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 펜 본체(2)[리필(5)]의 통형 유지부(55)의 선단부 및 홀더부(53)의 선단부[소경 통부(53b)]가 사용자의 파지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은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펜(1)[리필(5)]에 있어서, 잉크 저류부(50)의 잉크는, 잉크 유도부(52)에 의해 유도된다. 즉, 잉크 저류부(50)의 잉크는,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의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 유도부(5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홈(520) 내를 유통한다. 그리고, 잉크 유도부(52)에 유도된 잉크는, 상기 잉크 유도부(52)의 타단부에 도달하면, 잉크 유도부(52)의 타단부로부터 펜촉부(51)에 공급된다. 그리고, 펜촉부(51)에 공급된 잉크는, 펜촉부(51)의 홈(510)의 모세관력에 의해, 펜촉부(51)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홈(510) 내를 유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은, 잉크 저류부(50)의 잉크가 장식 입자를 포함하고 있지만, 잉크 유도부(52)에 형성된 홈(520…)이 잉크 유도부(52)의 외주에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가 잉크 유도부(52)의 홈(520) 내를 유통할 때, 장식 입자가 잉크 유도부(52)에 퇴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에 있어서는, 잉크 유도부(52)의 외주 상에서 개방된 홈(520)을 잉크가 유통하기 때문에,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유통 공간[홈(520)]을 구획하는 벽면과 접촉할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잉크 유도부(52) 상에서 퇴적되는 것이 억제되고, 잉크의 적정한 유통이 확보된다.
또한, 펜촉부(51)에 형성된 홈(510…)은, 펜촉부(51)의 외주에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가 펜촉부(51)의 홈(510) 내를 유통할 때, 장식 입자가 펜촉부(51)에 퇴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에 있어서는, 펜촉부(51)의 외주 상에서 개방된 홈(510)을 잉크가 유통하기 때문에,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유통 공간[홈 (510)]을 구획하는 벽면과 접촉할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펜촉부(51) 상에서 퇴적되는 것이 억제되어, 잉크의 적정한 유통이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잉크 유도부(52) 및 펜촉부(51)는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의 홈(510, 520)이 연속되어 있으므로, 잉크 저류부(50)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는, 잉크 유도부(52)의 일단으로부터 펜촉부(51)의 선단을 향해 연속적으로 유통하지만, 잉크의 유통량이 많은 경우에는, 콜렉터(54)가 잉크 유도부(52)를 유통하는 잉여의 잉크를 유지한다. 따라서, 펜촉부(51)에는 적당량의 잉크가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홀더부(53)는 펜촉부(51)를 삽통하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 주위에 형성된 잉크 유지부(533)와, 관통공(530)을 구획하는 내주면(532) 상에서 개구된 제1 개방부(534)로서,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한 제1 개방부(534)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펜촉부(51)의 외주 상에 있는 홈(510) 내가 잉크로 가득차면, 상기 잉크가 제1 개방부(534)에 유입되고, 제1 개방부(534)와 연통하는 잉크 유지부(533)에도 잉크가 유입된다.
즉, 제1 개방부(534) 및 제1 개방부(534)에 연통하는 잉크 유지부(533)가 슬릿형으로 형성되므로, 이들에 모세관력이 생긴다. 이로써, 제1 개방부(534) 및 잉크 유지부(533)에 잉크의 흡입 작용이 생기고, 펜촉부(51)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된 홈(510) 내에 있는 잉크가 제1 개방부(534)를 통하여 잉크 유지부(533)에 원활하게 유입된다. 또한,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하는 제2 개방부(535)에 대해서도, 슬릿형으로 형성되므로, 제2 개방부(535)에 모세관력이 생긴다. 이로써, 제2 개방부(535)에 잉크의 흡입 작용이 생기고, 잉크 유지부(533) 내의 잉크가 제2 개방부(535)에 대하여 원활하게 유입된다. 그 결과, 잉크 유지부(533),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는 잉크로 가득찬다.
그리고, 펜촉부(51)의 선단부가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하면, 상기 펜촉부(51)의 잉크가 소비된다. 그러면, 펜촉부(51) 및 잉크 유도부(52)에 의한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한 계통을 거쳐 잉크 저류부(50)의 잉크가 펜촉부(51)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은, 잉크의 도포 대상에 대하여 연속하여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저류부(50)와, 잉크의 도포 대상에 상기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51)를 포함하고, 펜촉부(51)는 잉크 저류부(50)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고,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510)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에 의하면, 잉크 저류부(50)의 잉크가 펜촉부(51)에 공급되면, 상기 잉크는 펜촉부(51)의 외주 상에 형성된 홈(510)에 유입된다. 그러면, 홈(510)의 모세관력에 의해 공급된 잉크는, 펜촉부(51)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유통하고, 펜촉부(51)의 선단이 잉크로 윤택해진다.
그리고, 펜촉부(51)의 선단이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하면, 펜촉부(51)의 선단에 있는 잉크가 도포 대상으로 옮겨가고, 펜촉부(51)의 잉크가 소비된다. 이에 따라, 잉크 저류부(50)에 저류된 잉크가 펜촉부(51)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은, 잉크의 도포 대상에 대하여 잉크를 연속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에 있어서, 잉크 저류부(50)의 잉크가 장식 입자를 포함하고 있지만, 펜촉부(51)에 형성된 홈(510)은, 펜촉부(51)의 외주에서 개방되어 있으므로, 잉크의 유통에 따라 장식 입자가 펜촉부(51)에 퇴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펜촉부(51)의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형성되는 잉크의 유통 공간의 주위가 폐쇄되면, 상기 유통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에 장식 입자가 걸리거나, 부착될 기회가 증가하므로,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퇴적되고, 잉크의 유통이 저해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에 있어서는, 펜촉부(51)의 외주 상에서 개방한 홈(510)을 잉크가 유통하기 때문에,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유통 공간[홈(510)]을 구획하는 벽면과 접촉할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펜촉부(51) 상에서 퇴적되는 것이 억제되고, 잉크의 적정한 유통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의 홈(510)은, 펜촉부(51)의 외주면 상에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홈(510) 각각으로 잉크가 유통한다. 이로써, 펜촉부(51)의 선단에서의 외주의 복수 개소에 잉크가 공급된다. 따라서, 펜(1)의 자세에 관계없이, 펜촉부(51)의 선단을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시킴으로써, 잉크의 도포 대상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의 홈(510)은, 펜촉부(51)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으므로, 펜촉부(51)의 외주 측일수록 홈(510)의 폭이 넓어진다. 이로써,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에 비교적 큰 것이 포함되었다고 해도, 장식 입자가 홈(510)의 폭이 넓은 영역을 통과하게 되어, 잉크의 원활한 유통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은, 잉크 저류부(50)의 잉크를 펜촉부(51)를 향해 유도하는 잉크 유도부(52)를 포함하고, 잉크 유도부(52)는 잉크 저류부(50)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측의 타단부로서, 펜촉부(51)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고,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는 홈(520)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은,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잉크 저류부(50)로부터 펜촉부(51)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유도부(5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형성되는 잉크의 유통 공간의 주위가 폐쇄되면 상기 유통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에 장식 입자가 걸리거나, 부착될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퇴적되고, 잉크의 유통이 저해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에 있어서는, 잉크 유도부(52)의 외주 상에서 개방한 홈(520)을 잉크가 유통하기 때문에,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유통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과 접촉할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잉크 유도부(52)로 퇴적되는 것이 억제되는 결과, 펜촉부(51)에 대한 잉크의 적정한 공급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에 있어서,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잉크 유도부(52)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홈(520…) 각각으로 잉크가 유통한다. 이로써, 펜촉부(51)의 복수 개소에 잉크가 공급된다. 따라서, 펜촉부(51)에 대한 잉크의 공급이 확실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에 있어서,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은, 잉크 유도부(52)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으므로, 잉크 유도부(52)의 외주 측일수록 홈의 폭이 넓어진다. 이로써,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에 비교적 큰 것이 포함되었다고 해도, 장식 입자가 홈의 폭이 넓은 영역을 통과하게 되어, 잉크의 원활한 유통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펜(1)[리필(5)]에 있어서, 펜촉부(51) 및 잉크 유도부(52)는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의 홈(510, 520)이 연속되어 있으므로, 잉크 저류부(50)의 잉크가 잉크 유도체의 홈(520)을 유통하고, 계속해서 펜촉부(51)의 홈(510)을 유통한다. 즉, 잉크의 유통 경로가 단속적(斷續的)으로 되지 않아, 잉크의 원활한 유통이 확보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도구로서의 펜(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필기를 행하기 위한 필기구(문구)로서의 펜(1)이어도 물론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펜용 리필(5)의 잉크 저류부(50)가 내장된 펜(1)으로서, 상기 펜용 리필(5)이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고착된 펜(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대하여 펜용 리필(5)이 착탈 가능(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펜(1)이어도 된다. 즉, 펜용 리필(5)은,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고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펜용 리필(5)이 장착된 펜(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외장체(4)[보디 축부(40)]가 잉크 저류부(50)를 형성하고, 상기 외장체(4)[보디 축부(40)]에 잉크 유도부(52)나 홀더부(53), 펜촉부(51)가 장착된 펜(1)이어도 된다. 즉, 펜용 리필(5)의 외경 및 사이즈를 필기에 적합한 것으로 하여 펜(1) 그 자체로 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 및 잉크 유도부(52)가 일체로 성형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 유도부(52)가 형성되는 경우, 펜촉부(51)와 잉크 유도부(52)가 별개 독립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펜촉부(51) 및 잉크 유도부(52)는, 서로의 단면 형상 및 단면 사이즈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즉, 펜촉부(51)의 홈(510)과 잉크 유도부(52)의 홈(520)의 형상 및 사이즈가 상이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펜촉부(51)의 기단에 대하여 잉크 유도부(52)의 타단이 접속되고, 잉크 유도부(52)의 홈(520)과 펜촉부(51)의 홈(510)이 연결되어 잉크가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잉크 유도부(52)가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잉크 유도부(52)가 형성되지 않고, 펜촉부(51)에 대하여 잉크 저류부(50)가 인접하여 배치되고, 잉크 저류부(50)의 잉크가 펜촉부(51)에 대하여 직접 공급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에 대하여 복수의 홈(510…)이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펜촉부(51)에 대하여 하나의 홈(510)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즉, 펜촉부(51)는 적어도 하나의 홈(510)을 포함하면 된다. 이 점은, 잉크 유도부(52)도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의 홈(510)이 상기 펜촉부(51)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 측을 향해 확대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펜촉부(51)의 홈(510)은, 상기 펜촉부(51)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면 측을 향해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점은, 잉크 유도부(52)도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에 복수의 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510…)의 간격이 펜촉부(51)의 주위에서 등간격으로 됨으로써, 펜촉부(51)의 중심선 방향에서 볼 때 방사상으로 배치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홈(510)은 펜촉부(51)의 주위에서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 점은, 잉크 유도부(52)도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에 형성된 복수의 홈(510…) 각각이 동일한 형태이며 또한 동일한 사이즈에 설정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펜촉부(51)에 복수의 홈(51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이며 또한 상이한 사이즈의 홈(510…)이 주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점은, 잉크 유도부(52)도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펜촉부(51)에 형성된 홈(510)은, 펜촉부(51)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 측을 향해 똑바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펜촉부(51)의 홈(510)은, 펜촉부(51)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 측을 향해 우곡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즉, 펜촉부(51)의 홈(510)은, 상기 펜촉부(51)의 외주 상에서 개구되어 있으면, 단면 형상을 여러 가지로 변경해도 된다. 단,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펜촉부(51)의 외주면 상에서의 개구가 중심 측의 홈 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은, 잉크 유도부(52)도 동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탱크형으로 형성한 잉크 저류부(50)에 액상의 잉크를 그대로 수용하고, 펜촉부(51)에 대한 잉크 저류부(50)로부터의 잉크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콜렉터(54)를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렉터(54)를 설치하지 않고, 단지 잉크 유도부(52)에서 잉크 저류부(50)의 잉크를 펜촉부(51)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잉크 저류부(5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S) 전체에 충전된 잉크 흡장재(56)에 잉크를 흡장시킨 것이나,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S)의 소정 영역에 액상의 잉크를 충전하고, 내부 공간(S)의 나머지 영역에 충전된 흡액성을 가지는 잉크 흡장재(57)에 잉크를 흡장시킨 것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잉크 흡장재(56, 57)를 설치하는 경우, 잉크에 포함되는 장식 입자가 체류 하지 않도록 잉크 흡장재(56, 57)를 구성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 유지부(533),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를 포함한 홀더부(53)로 펜촉부(51)를 유지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홀더부(53)는, 펜촉부(51)를 삽통시키는 관통공(530)만을 포함한 것[잉크 유지부(533),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가 없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홀더부(53)는 잉크 유지부(533)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제2 개방부(535)를 포함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홀더부(53)가 잉크 유지부(533)를 포함하는 경우, 홀더부(53)는 잉크의 유입이나 유지에 관한 구성으로서, 잉크 유지부(533) 및 제1 개방부(534)만을 포함하고, 잉크 유지부(533)에 대한 잉크의 출입을 제1 개방부(534)에서 행하게 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잉크 유지부(533)를 밀폐 공간으로 하면, 잉크 유지부(533) 내에 잔존하는 공기 또는 잉크가, 제1 개방부(534)에 의한 잉크의 출입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잉크 유지부(533)를 개방 공간으로 하는 통기로[잉크 유지부(533)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기로]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잉크 유지부(533)가 관통공(530)의 축심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홀더부(53)가 잉크 유지부(533)를 포함하는 경우,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의 주위에서 무단(無端) 환형을 이루는 환형 홈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관통공(530)을 구획하는 내주면(532)의 일부에 홈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잉크 유지부(533)는 슬릿형(홈형)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한 공동(空洞)이어도 된다. 또한, 잉크 유지부(533)가 관통공(530)의 주위에 복수 형성되거나, 관통공(530)의 주위 전체에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의 주위의 적어도 1개소에 형성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개방부(534)가 잉크 유지부(533)와 대응하여 관통공(530)의 축심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홀더부(53)가 잉크 유지부(533)를 포함하는 경우, 잉크 유지부(533)는 관통공(53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으로 형성되고, 제1 개방부(534)는 잉크 유지부(533)를 따르도록 슬릿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개방부(534)는 내주면(53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내주면(532)의 일부에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개방부(534)는 잉크 유지부(533)의 형태에 대응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잉크 유지부(533)와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된다. 즉, 제1 개방부(534)는 펜촉부(51)와 대향하는 내주면(532)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하고 있으면,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2 개방부(535)가 잉크 유지부(533)와 대응하여 환형면(531) 상에서 슬릿형으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홀더부(53)가 잉크 유지부(533)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개방부(535)는 홀더부(53)의 선단과는 반대 측을 향하는 면[환형면(531)]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하고 있으면,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는, 관통공(530)[연속 구멍(536)]의 내주면(532)과 환형면(531)의 접속 개소에서 연속하여 개구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홀더부(53)가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개방부(534) 및 제2 개방부(535)는, 잉크 유지부(533)와 연통하고 있으면, 불연속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1 : 펜, 2 : 펜 본체, 3 : 캡, 4 : 외장체, 5 : 리필(펜용 리필), 40 : 보디 축부, 41 : 둔부, 50 : 잉크 저류부, 51 : 펜촉부, 52 : 잉크 유도부, 53 : 홀더부, 53a : 대경 통부, 53b : 소경 통부, 54 : 콜렉터, 55 : 통형 유지부, 56, 57 : 잉크 흡장재, 500 : 주벽부, 501 : 폐색부, 510 : 홈, 520 : 홈, 530 : 관통공, 530a : 내측 구멍, 530b : 내측 구멍, 530c : 대경 구멍부, 530d : 소경 구멍부, 531 : 환형면, 532 : 내주면, 532b : 내주면, 532d : 내주면, 533 : 잉크 유지부, 534 : 제1 개방부, 535 : 제2 개방부, 536 : 연속 구멍, 540 : 주축부, 540a : 관통공, 541 : 칸막이 깃, 542, 543 : 플랜지부, 544 : 슬릿, 545 : 절결부, S : 내부 공간

Claims (14)

  1.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貯留)하는 잉크 저류부; 및
    잉크의 도포 대상에 상기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펜촉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펜촉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펜촉부를 삽통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펜촉부를 상기 관통공에 삽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펜촉부의 선단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펜촉부를 유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획정(劃定)하고, 또한 상기 펜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속 가능한 내주면 상에서 개구한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개방부로부터 외방(外方)을 향해 연장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를 유지 가능한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잉크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에는, 대경 구멍부와, 상기 대경 구멍부에 연속하는 소경 구멍부로서, 상기 펜촉부를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대경 구멍부보다도 작은 직경인 소경 구멍부와, 상기 대경 구멍부와 상기 소경 구멍부와의 경계에 위치한 상기 홀더부의 선단과 반대측을 향하는 환형면이 형성되고,
    상기 잉크 유지부는, 상기 환형면에 있어서 상기 대경 구멍부를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잉크 유지부를 구획하는 외주면은, 상기 대경 구멍부의 외주면과 면 일치로 되어 있는,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류부의 잉크를 상기 펜촉부를 향해 유도하는 잉크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유도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측의 타단부로서, 상기 펜촉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부 및 상기 잉크 유도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의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펜.
  8. 장식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저류부로서, 펜의 외장을 구성하는 보디 축부에 수용되는 잉크 저류부; 및
    잉크의 도포 대상에 상기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로서, 상기 보디 축부로부터 노출되어 잉크의 도포 대상에 잉크를 도포하기 위한 펜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펜촉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가 공급되는 기단과, 상기 기단의 반대 측의 선단으로서, 잉크의 도포 대상에 접촉되는 선단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펜촉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상기 기단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펜촉부를 삽통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펜촉부를 상기 관통공에 삽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펜촉부의 선단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펜촉부를 유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획정하고, 또한 상기 펜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속 가능한 내주면 상에서 개구한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개방부로부터 외방을 향해 연장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잉크 저류부로부터의 잉크를 유지 가능한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잉크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에는, 대경 구멍부와, 상기 대경 구멍부에 연속하는 소경 구멍부로서, 상기 펜촉부를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대경 구멍부보다도 작은 직경인 소경 구멍부와, 상기 대경 구멍부와 상기 소경 구멍부와의 경계에 위치한 상기 홀더부의 선단과 반대측을 향하는 환형면이 형성되고,
    상기 잉크 유지부는, 상기 환형면에 있어서 상기 대경 구멍부를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잉크 유지부를 구획하는 외주면은, 상기 대경 구멍부의 외주면과 면 일치로 되어 있는,
    펜용 리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펜용 리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부의 홈은, 상기 펜촉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펜용 리필.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류부의 잉크를 상기 펜촉부를 향해 유도하는 잉크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유도부는, 상기 잉크 저류부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 측의 타단부로서, 상기 펜촉부에 접속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면 상에서 개방되고 또한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펜용 리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외주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펜용 리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유도부의 홈은, 상기 잉크 유도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주를 향해 확대되고 있는, 펜용 리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펜촉부 및 상기 잉크 유도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의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펜용 리필.
KR1020177010750A 2014-10-16 2015-10-14 펜 및 펜용 리필 KR102390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2003A JP6630473B2 (ja) 2014-10-16 2014-10-16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JPJP-P-2014-212003 2014-10-16
PCT/JP2015/079096 WO2016060186A1 (ja) 2014-10-16 2015-10-14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784A KR20170067784A (ko) 2017-06-16
KR102390052B1 true KR102390052B1 (ko) 2022-04-22

Family

ID=5574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750A KR102390052B1 (ko) 2014-10-16 2015-10-14 펜 및 펜용 리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5919B2 (ko)
EP (1) EP3208101A4 (ko)
JP (1) JP6630473B2 (ko)
KR (1) KR102390052B1 (ko)
CN (1) CN107074002B (ko)
WO (1) WO2016060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3581B2 (ja) * 2018-05-28 2022-06-30 株式会社呉竹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CN108638694B (zh) * 2018-07-13 2023-12-08 薛雯峰 一种安全签字笔
CN113195110A (zh) * 2018-12-06 2021-07-30 Teibow有限公司 中继芯、笔尖单元及液体涂布工具
CN109480453B (zh) * 2018-12-11 2023-09-26 上海禾雅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漏眼线笔
CN111319376A (zh) * 2018-12-14 2020-06-23 西北工业大学深圳研究院 一种太空笔芯
KR102163444B1 (ko) * 2019-01-31 2020-10-08 조지원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JP7320829B2 (ja) * 2019-05-30 2023-08-04 株式会社呉竹 ペン
KR102175072B1 (ko) *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이중 구획 잉크조절기를 구비한 도포구
KR102175091B1 (ko) *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CN110281673A (zh) * 2019-07-10 2019-09-27 嘉兴德力克斯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效果好的笔尖导墨装置
KR102187398B1 (ko) * 2019-07-29 2020-12-04 조지원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JP7100904B2 (ja) 2020-01-17 2022-07-14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直液式ペン型アイライナー
KR102359107B1 (ko) * 2020-12-04 2022-02-07 조지원 바이패스유로부가 형성된 아이라이너
KR102359099B1 (ko) * 2020-12-04 2022-02-07 조지원 병진 이동 가능한 중계심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CN113954552A (zh) * 2021-02-05 2022-01-21 上海羽兮品牌策划有限公司 一种引液元件及具有该元件的液体笔
WO2023286237A1 (ja) * 2021-07-15 2023-01-19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直液式ペン型アイライナー
KR102675394B1 (ko) * 2022-10-27 2024-06-14 (주)경원씨엠비 일체형 브러쉬가 구비된 개량 아이라이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177A (ja) * 2000-06-16 2002-01-08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JP2010247465A (ja) * 2009-04-17 2010-11-04 Pilot Ink Co Ltd 筆記具
JP2012101395A (ja) * 2010-11-09 2012-05-31 Mitsubishi Pencil Co Ltd 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63518A (ko) * 1943-11-16
GB1163669A (en) * 1967-03-28 1969-09-10 Sakura Color Prod Corp Synthetic Resin Pen Point.
US3614248A (en) * 1967-07-25 1971-10-19 Katsumi Otsuka Pen wick made of synthetic resin
US3507600A (en) 1968-01-18 1970-04-21 Parker Pen Co Solid plastic nib
US3627868A (en) * 1968-05-24 1971-12-14 Takaji Funahashi Method of producing nibs for writing instruments
JPS4921614Y1 (ko) * 1969-07-19 1974-06-10
JPS5412847B2 (ko) * 1972-04-26 1979-05-25
US4229115A (en) * 1979-02-12 1980-10-21 Binney & Smith, Inc. Nib for a writing instrument
JPS607191Y2 (ja) 1979-07-27 1985-03-09 ぺんてる株式会社 毛筆状筆記具
DE3010944C2 (de) 1980-03-21 1985-08-08 Rotring-Werke Riepe Kg, 2000 Hamburg Schreibgerät
JPS57129680U (ko) * 1981-02-07 1982-08-12
JPS589778U (ja) * 1981-07-10 1983-01-21 株式会社 三玉樹脂工業所 ペン先
JPS607191A (ja) 1983-06-24 1985-01-14 三容真空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45191U (ja) 1984-08-29 1986-03-25 パイロツ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GB2169562B (en) * 1984-09-27 1988-10-26 Pentel Kk A nib for a writing instrument
JPS61112985U (ko) * 1984-12-28 1986-07-17
US5775828A (en) * 1994-08-09 1998-07-07 Kabushiki Kaisha Pilot Writing implement
US5906446A (en) * 1996-10-22 1999-05-25 Bic Corporation Fillerless writing instrument
JP4458681B2 (ja) * 1998-12-18 2010-04-28 三菱鉛筆株式会社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具
US20030014301A1 (en) * 2001-07-10 2003-01-16 Yaffe Bruce H. Internet-based customer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JP2003025783A (ja) * 2001-07-11 2003-01-29 Teiboo Kk 筆記用プラスチック製ペン先
CN1882440A (zh) * 2003-09-19 2006-12-20 桑福德有限合伙人公司 毛细管作用型的闪光标记笔和用于它的墨汁组合物
EP1591274B1 (de) * 2004-04-28 2009-06-24 Schwan-STABILO Schwanhäusser GmbH & Co. KG Spitzenhalterung für Schreibspitzen
JP4544912B2 (ja) 2004-06-01 2010-09-15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CN100509438C (zh) * 2006-03-09 2009-07-08 百乐墨水株式会社 直液式书写工具
KR100946428B1 (ko) 2006-03-09 2010-03-10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JP2010148758A (ja) * 2008-12-26 2010-07-08 Teibow Co Ltd 液体塗布具
JP5588718B2 (ja) * 2009-04-21 2014-09-10 テイボー株式会社 液体塗布具の筆先構造
US8475071B2 (en) * 2010-05-07 2013-07-02 Shizuo Yamanaka Conical nib and writing instrument incorporating the same
JP5805947B2 (ja) * 2010-12-27 2015-11-10 株式会社呉竹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US8617646B2 (en) 2011-12-29 2013-12-31 Sanford, L.P. Metallic ink composition and writing instrument containing same
US9050850B2 (en) 2011-12-30 2015-06-09 Sanford, L.P. Micro motion poppet valve assembly for delivery of ink with large pigment particles to a writing nib and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same
US9889700B2 (en) * 2015-02-19 2018-02-13 Jessica Chan Modular fountain pens useable with inks of varying viscosi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177A (ja) * 2000-06-16 2002-01-08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JP2010247465A (ja) * 2009-04-17 2010-11-04 Pilot Ink Co Ltd 筆記具
JP2012101395A (ja) * 2010-11-09 2012-05-31 Mitsubishi Pencil Co Ltd 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4002A (zh) 2017-08-18
US20170311696A1 (en) 2017-11-02
EP3208101A4 (en) 2018-05-16
US10455919B2 (en) 2019-10-29
KR20170067784A (ko) 2017-06-16
WO2016060186A1 (ja) 2016-04-21
EP3208101A1 (en) 2017-08-23
CN107074002B (zh) 2019-04-05
JP2016078325A (ja) 2016-05-16
JP6630473B2 (ja)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052B1 (ko) 펜 및 펜용 리필
JP6367561B2 (ja)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JP6736144B2 (ja) 塗布具
KR102337514B1 (ko) 펜 및 펜용 리필
JP4848068B2 (ja) 直液式筆記具
JP4658259B2 (ja) 直液式筆記具
JP4537864B2 (ja) 直液式筆記具
JP5866747B2 (ja) 塗布具
JP4820701B2 (ja) 直液式筆記具
JP4750591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2362086A (ja) インキ導入管及びこれを内蔵した筆記具
JPH09267594A (ja) 筆記具
KR20040044359A (ko) 액체용기
JP2016087068A (ja) 髪用塗布具
JP3152083U (ja) 直液式筆記具
KR102175072B1 (ko)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이중 구획 잉크조절기를 구비한 도포구
JP5085960B2 (ja) 直液式筆記具
JP2008044285A (ja) 直液式筆記具
JP2008023877A (ja) 直液式筆記具
JP2020001352A (ja) ボールペン
JP2004090253A (ja) 筆記具
JP2004330710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