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38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38B1
KR102369938B1 KR1020170105883A KR20170105883A KR102369938B1 KR 102369938 B1 KR102369938 B1 KR 102369938B1 KR 1020170105883 A KR1020170105883 A KR 1020170105883A KR 20170105883 A KR20170105883 A KR 20170105883A KR 102369938 B1 KR102369938 B1 KR 10236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inclined surface
chamfer
inclination ang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509A (ko
Inventor
황현민
장용규
고재경
김동조
김영민
박찬영
한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38B1/ko
Priority to US15/953,193 priority patent/US10547024B2/en
Priority to CN201810947561.0A priority patent/CN109427857B/zh
Publication of KR2019002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09A/ko
Priority to US16/746,480 priority patent/US10734604B2/en
Priority to US16/943,946 priority patent/US10903447B2/en
Priority to KR1020220025223A priority patent/KR102430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27/32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례로,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표시 기판 및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이 중첩하는 중첩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서 상기 중첩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돌출 영역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와,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챔퍼부와 인접한 제2 챔퍼부를 포함하는 챔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의 끝단이 상기 제2 표시 기판의 끝단보다 외측에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유기 발광 소자와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 등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일반적으로 영상 표시를 위한 소자 등이 형성된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을 결합하여 모(mother)패널을 형성한 후, 원하는 셀의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모패널의 절단 공정은 커팅 휠(cutting wheel)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한편, 모패널의 절단 공정 후 형성된 표시 패널과 외부 커버의 결합시 간섭을 줄이기 위해, 표시 패널의 일부 모서리, 예를 들어 하부 기판 중 상부 기판과 비중첩하는 부분의 모서리 영역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되는 공정이 수행되며, 이러한 절단 공정에 의해 하부 기판의 모서리 영역에 챔퍼부가 형성된다.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 공정에 의해, 챔퍼부에는 크랙 또는 결함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크랙 또는 결함은 표시 패널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챔퍼부에 발생된 크랙 또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챔퍼부의 가장자리를 연마시키는 공정이 수행된다.
최근에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이 증가됨에 따라, 챔퍼부가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이 중첩하는 모서리 영역까지 확장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챔퍼부 중 상부 기판과 비중첩하는 하부 기판의 영역의 연마 공정은 하부 기판의 두께와 유사한 폭을 가지는 홈을 포함하는 연마휠에 의해 수행되고,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이 중첩하는 영역의 연마 공정은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두께와 유사한 폭을 가지는 홈을 포함하는 연마휠에 의해 수행된다.
그런데, 상부 기판과 비중첩하는 하부 기판의 영역을 연마시키는 연마휠은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이 중첩하는 영역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간섭에 의해 연마 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 상부 기판과 비중첩하는 하부 기판의 영역 중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이 중첩하는 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에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연마되지 않는 부분으로 인해, 표시 패널에 크랙 또는 결함이 잔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챔퍼부에서 연마되지 않는 부분을 줄이는 연마 공정이 요구되며, 이러한 연마 공정에 의해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줄어든 챔퍼부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줄어든 챔퍼부에 의해 표시 패널의 크랙 또는 결함을 줄임으로써, 표시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표시 기판 및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이 중첩하는 중첩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서 상기 중첩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돌출 영역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와,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챔퍼부와 인접한 제2 챔퍼부를 포함하는 챔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의 끝단이 상기 제2 표시 기판의 끝단보다 외측에 있다.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기판 중 상기 제2 표시 기판과 비중첩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퍼부와 상기 제2 챔퍼부는 평면상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상기 챔퍼부는 평면상에서 상기 돌출 영역의 일 변에 대해 경사지며,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1 상면 및 제1 하면과,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2 상면 및 제2 하면과,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이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경사면과,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의 끝단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으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의 끝단은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의 폭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제2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상부 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부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표시 기판 및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이 중첩하는 중첩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서 상기 중첩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돌출 영역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와,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챔퍼부와 인접한 제2 챔퍼부를 포함하는 챔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상기 실링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비대칭 형상을 가진다.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기판 중 상기 제2 표시 기판과 비중첩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퍼부와 상기 제2 챔퍼부는 평면상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상기 챔퍼부는 평면상에서 상기 돌출 영역의 일 변에 대해 경사지며,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1 상면 및 제1 하면과,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2 상면 및 제2 하면과,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이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경사면과,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면의 폭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제2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상부 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부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프릿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크랙 또는 결함을 줄임으로써,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한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한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챔퍼부 부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중 챔퍼부의 연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챔퍼부의 연마 공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 및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 보드(2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패널 또는 액정 표시 장치용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패널(10)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패널인 것으로 예시한다.
표시 패널(10)은 상호 대향하는 제1 표시 기판(110) 및 제2 표시 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제1 표시 기판(110) 및 제2 표시 기판(210)이 중첩하는 중첩 영역(OA)과, 중첩 영역(OA)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영역(PA)은 제1 표시 기판(110) 중 제2 표시 기판(210)과 비중첩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10) 및 제2 표시 기판(210) 각각은 유리 또는 석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표시 기판(110) 및 제2 표시 기판(210) 각각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한(flexibl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기판(110) 및 제2 표시 기판(210)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시 기판(110)은 서로 평행한 제1 상면(111) 및 제1 하면(112)과, 제1 상면(111)과 제1 하면(112)을 연결하는 제1 측면(113)을 포함할 수 잇다. 제2 표시 기판(210)은 서로 평행한 제2 상면(211) 및 제2 하면(212)과, 제2 상면(211)과 제2 하면(212)을 연결하는 제2 측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 사이에는 실링 부재(SM)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SM)는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을 결합시키며, 중첩 영역(O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SM)는 프릿(frit)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 부재(SM)의 최외측 가장자리는 제2 표시 기판(210)의 최외측 가장자리와 일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실링 부재(SM)의 최외측 가장자리가 제2 표시 기판(210)의 최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실링 부재(SM) 중 후술되는 챔퍼부(CF)와 인접하는 부분의 폭(SMW1)은 다른 부분의 폭(SMW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챔퍼부(CF)를 형성하는 절단 공정시, 실링 부재(SM) 중 챔퍼부(CF)와 인접하는 부분의 일부가 함께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표시 패널(10)은 중첩 영역(OA)에 배치되는 표시부(DA) 및 게이트 구동부(GD)와, 돌출 영역(PA)에 배치되는 데이터 구동부(D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DA)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PX)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게이트 구동부(GD)는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 배선(미도시)을 통해 화소들(PX)로 공급한다. 그럼 화소들(PX)은 게이트 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화소(PX)의 회로와 함께 제1 표시 기판(110)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로 보드(2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DD)와 게이트 연결 배선(GW)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GD)에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이트 구동부(GD)는 COG(Chip On Glass) 구조, TCP(Tape Carrier Package) 구조 또는 COF(Chip On Film)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중첩 영역(OA)에 발광 제어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 구동부는 회로 보드(2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발광 제어 배선(미도시)으로 발광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럼, 화소들(PX)에서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발광이 제어된다.
데이터 구동부(DD)는 회로 보드(2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들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배선(DW)을 통해 화소들(PX)로 공급한다. 그럼, 화소들(PX)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데이터 구동부(DD)는 COG(Chip On Glass)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DD)는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 보드(20)는 표시 패널(10)에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 등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돌출 영역(PA)에 배치되는 패드(PD)에 접속하는 단자(TN)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보드(2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OW'는 회로 보드(20)의 구동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DD)로 전달하는 배선이며, 'AM'은 회로 보드(20)의 단자(TN)를 돌출 영역(PA)의 패드(PD) 상에 정렬하기 위한 얼라인 마크이다.
한편, 표시 패널(10)은 돌출 영역(PA)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170)와, 중첩 영역(OA)에 형성되고 제1 챔퍼부(170)와 인접한 제2 챔퍼부(180)를 포함하는 챔퍼부(CF)를 구비한다. 제1 챔퍼부(170)와 제2 챔퍼부(180)는 평면상에서 연속적일 수 있으며, 챔퍼부(CF)는 평면상에서 돌출 영역(PA)의 일 변에 대해 경사지며,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챔퍼부(CF)는 표시 패널(10)과 외부 커버(미도시)의 결합시 간섭을 줄이기 위해,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0)의 모서리를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챔퍼부(CF)는 중첩 영역(OA) 중 제1 챔퍼부(170)와 이격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3 챔퍼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챔퍼부(190)는 디자인적으로 자연스러운 곡면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챔퍼부(CF)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화소(PX)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한 화소의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한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소(PX)는 2개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화소(PX)의 회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와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고, 게이트 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로 공급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구동 전압(VDD)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OLED)로 흐르는 출력 전류(IOLED)를 제어한다.
커패시터(C)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으로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턴-온시킬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과 공통 전압(VSS)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전류(IOLED)에 의해 발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소(PX)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을 이용하여 구동 전압(VDD)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OLED)로 흐르는 출력 전류(IOLED)의 크기를 제어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유기 발광 소자(OLED)의 구체적인 구성과,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출력 전류(IOLED)를 공급하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반도체 패턴(AP),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선택된 화소(PX) 내의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아 소스 전극(SE), 반도체 패턴(AP) 및 드레인 전극(DE)을 거쳐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으로 인가한다. 제1 전극(E1)은 드레인 전극(DE)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반도체 패턴(AP)은 제1 표시 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버퍼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반도체 패턴(AP)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에는 제1 층간 절연층(130)이 배치될 수 있고,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에는 제2 층간 절연층(1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제1 전극(E1) 사이에 평탄화층(150)이 배치될 수 있고, 평탄화층(150) 상에는 제1 전극(E1)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16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E1), 제1 전극(E1)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EML), 유기 발광층(EML)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E2)을 포함한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에 의해 데이터 전압이 제1 전극(E1)으로 공급되고, 공통 전압(도4의 VSS)이 제2 전극(E2)으로 공급되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각각으로부터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EML) 내부로 주입되며, 유기 발광층(EML) 내부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변화될 때 유기 발광층(EML)의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하, 표시 패널(10)의 모서리를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챔퍼부(CF)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챔퍼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도 1의 10)의 돌출 영역(도 1의 OA)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제1 챔퍼부(170)는 레이저에 의해 절단된 부분으로서, 절단된 부분의 크랙 또는 결함을 없애기 위해 연마휠(도 18의 300)을 이용한 연마 공정에 의해 연마된다.
이러한 연마에 의해, 제1 챔퍼부(170)에서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측면(113) 사이에 제1 상부 경사면(114a)과, 제1 하면(112)과 제1 측면(113) 사이에 제1 하부 경사면(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면(111)과 제1 상부 경사면(114a)이 이루는 제1 상부 경사각(Uθ1)은 제1 하면(112)과 제1 하부 경사면(115a)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Lθ1)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상부 경사면(114a)의 폭(Ugrw1)과 제1 하부 경사면(115a)의 폭(Lgrw1)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상부 경사면(114a)의 폭(Ugrw1)은 제1 상면(111)의 끝단과 제1 측면(113) 사이에서 연마된 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하부 경사면(115a)의 폭(Lgrw1)은 제1 하면(112)의 끝단과 제1 측면(113) 사이에서 연마된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챔퍼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도 1의 10)의 중첩 영역(도 1의 OA)에 형성되고, 제1 챔퍼부(170)와 인접한다. 제2 챔퍼부(180)는 레이저에 의해 절단된 부분으로서, 절단된 부분의 크랙 또는 결함을 없애기 위해 제1 챔퍼부(170)의 연마 공정시 이용되는 연마휠(도 18의 300)을 이용한 연마 공정에 의해 제1 챔퍼부(170)와 함께 연마된다.
이러한 연마에 의해, 제2 챔퍼부(180)에서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측면(113) 사이에 제1 상부 경사면(114b)과, 제1 하면(112)과 제1 측면(113) 사이에 제1 하부 경사면(115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챔퍼부(180)에서 제2 표시 기판(210)의 제2 상면(211)과 제2 하면(212) 사이에 제2 경사면(2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챔퍼부(180)에서 제1 표시 기판(110)의 끝단(ed1)은 제2 표시 기판(210)의 끝단(ed2)보다 외측에 있을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10)의 끝단(ed1)은 제1 측면(113)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기판(210)의 끝단(ed2)은 제2 상면(211)과 제1 상부 경사면(114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챔퍼부(180)에서 제2 표시 기판(210)이 실링 부재(SM)를 기준으로 제1 표시 기판(110)과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상면(111)과 제1 상부 경사면(114b)이 이루는 제1 상부 경사각(Uθ2)과, 제1 하면(11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Lθ2)과, 제2 상면(211)과 제2 경사면(214b)이 이루는 제2 경사각(θ2)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 경사면(114b)의 폭(Ugrw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의 폭(Lgrw2)이 동일할 수 있으며, 제2 경사면(214b)의 폭(grw2)은 제1 하부 경사면(115b)의 폭(Lgrw2)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면(214b)의 폭(grw2)이 제1 하부 경사면(115b)의 폭(Lgrw2)보다 클 수 있다. 제2 경사면(214b)의 폭(grw2)은 연마 공정 후 제2 상면(211)의 끝단과 제2 하면(212)의 끝단 사이의 수평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경사면(214b)의 폭(grw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의 폭(Lgrw2)의 차이는 연마 공정에서 이용되는 연마휠의 홈의 구조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챔퍼부(1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도 1의 10)의 중첩 영역(도 1의 OA) 중 제1 챔퍼부(도 1의 170)와 이격되는 모서리에 형성된다. 제3 챔퍼부(190)는 레이저에 의해 절단된 부분으로서, 절단된 부분의 크랙 또는 결함을 없애기 위해 홈을 가지는 연마휠(미도시)을 이용한 연마 공정에 의해 연마된다. 상기 연마휠의 홈은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의 두께와 동일한 최대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마에 의해, 제3 챔퍼부(190)에서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하면(112)과 제1 측면(113) 사이에 제1 하부 경사면(115c)이 형성되고, 제2 표시 기판(210)의 제2 상면(211)과 제2 측면(213) 사이에 제2 경사면(214c)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3 챔퍼부(190)에서 제1 표시 기판(110)의 끝단(ed3)과 제2 표시 기판(210)의 끝단(ed4)이 동일 수직선상에 있을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10)의 끝단(ed3)은 제1 측면(113)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표시 기판(210)의 끝단(ed4)은 제2 측면(213)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챔퍼부(190)에서 제2 표시 기판(210)이 실링 부재(SM)를 기준으로 제1 표시 기판(110)과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제1 하면(112)과 제1 하부 경사면(115c)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Lθ3)은, 제2 상면(211)과 제2 경사면(214c)이 이루는 제2 경사각(θ3)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경사면(115c)의 폭(Lgrw3)은 제2 경사면(214c)의 폭(Ugrw3)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공통적으로 연마홈(도 18의 310)을 가지는 연마휠(도 18의 300)을 이용하여 연마되는 제1 챔퍼부(170)와 제2 챔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챔퍼부(170) 중 제2 챔퍼부(180)와 인접한 영역에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줄어들 수 있어, 표시 패널(10)에 크랙 또는 결함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챔퍼부 부분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6은 챔퍼부 부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챔퍼부는 제1 챔퍼부(170a)와 제2 챔퍼부(18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챔퍼부(170a)에서 제1 상부 경사각(Uθ11)과 제1 하부 경사각(Lθ11)이 동일하며, 제1 상부 경사면(114aa)의 폭(Ugrw11)과 제1 하부 경사면(115aa)의 폭(Lgrw11) 각각이 도 6의 제1 상부 경사면(114a)의 폭(Ugrw1)과 제1 하부 경사면(115a)의 폭(Lgrw1) 각각보다 작은 구조를 예시한다.
도 10은 제2 챔퍼부(180a)에서 제2 경사각(θ12)과 제1 하부 경사각(Lθ12)과 제1 상부 경사각(Uθ12)이 동일하며, 제1 상부 경사면(114ba)의 폭(Ugrw1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a)의 폭(Lgrw12)과 제2 경사면(214ba)의 폭(grw12) 각각이 도 7의 제1 상부 경사면(114b)의 폭(Ugrw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의 폭(Lgrw2)과 제2 경사면(214b)의 폭(grw2) 각각보다 작은 구조를 예시한다. 제1 챔퍼부(170a)와 제2 챔퍼부(180a)는 도 21의 연마휠(400)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구조를 가지는 챔퍼부는 도 7의 제2 챔퍼부(180)에 비해 줄어든 제2 경사면(214ba)의 폭(grw12)을 가진다. 이는 연마 공정시 실링 부재(SM)의 박리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실링 부재(SM)에 대해서 연마 공정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이 줄어듬을 의미한다.
즉, 위와 같은 구조의 챔퍼부는 실링 부재(SM)의 의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챔퍼부는 제1 챔퍼부(170b)와 제2 챔퍼부(18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챔퍼부(170b)에서 제1 상부 경사각(Uθ21)과 제1 하부 경사각(Lθ21)이 상이하며, 제1 상부 경사면(114ab)의 폭(Ugrw21)과 제1 하부 경사면(115ab)의 폭(Lgrw21)이 상이한 구조를 예시한다.
예시적으로, 제1 하부 경사각(Lθ21)이 제1 상부 경사각(Uθ21) 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하부 경사면(115ab)의 폭(Lgrw21)이 제1 상부 경사면(114ab)의 폭(Ugrw21)보다 클 수 있다.
도 12는 제2 챔퍼부(180b)에서 제2 경사각(θ22)이 제1 상부 경사각(Uθ21)과 동일하고 제1 하부 경사각(Lθ12)과 상이하며, 제1 상부 경사면(114bb)의 폭(Ugrw2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b)의 폭(Lgrw22)이 상이하고, 제2 경사면(214bb)의 폭(grw22)이 도 10의 제2 경사면(214ba)의 폭(grw12) 보다 작은 구조를 예시한다.
예시적으로, 제1 하부 경사각(Lθ22)이 제2 경사각(θ22)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하부 경사면(115bb)의 폭(Lgrw22)이 제1 상부 경사면(114bb)의 폭(Ugrw22)보다 클 수 있다.
제1 챔퍼부(170b)와 제2 챔퍼부(180b)는 도 23의 연마휠(500)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구조를 가지는 챔퍼부는 도 10의 제2 챔퍼부(180a)에 비해 줄어든 제2 경사면(214bb)의 폭(grw22)을 가진다. 이는 연마 공정시 실링 부재(SM)의 박리량이 더욱 줄어들 수 있으며 실링 부재(SM)에 대해서 연마 공정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이 더욱 줄어듬을 의미한다.
즉, 위와 같은 구조의 챔퍼부는 실링 부재(SM)의 의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챔퍼부는 제1 챔퍼부(170c)와 제2 챔퍼부(18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제1 챔퍼부(170c)에서 제1 상부 경사각(Uθ31)과 제1 하부 경사각(Lθ31)이 상이하며, 제1 상부 경사면(114ac)의 폭(Ugrw31)과 제1 하부 경사면(115ac)의 폭(Lgrw31)이 상이한 구조를 예시한다.
예시적으로, 제1 하부 경사각(Lθ31)이 제1 상부 경사각(Uθ31)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하부 경사면(115ac)의 폭(Lgrw31)이 제1 상부 경사면(114ac)의 폭(Ugrw31)보다 클 수 있다.
도 14는 제2 챔퍼부(180c)에서 제2 경사각(θ32)이 제1 상부 경사각(Uθ32)과 동일하고 제1 하부 경사각(Lθ32)과 상이하며, 제1 상부 경사면(214bc)의 폭(Ugrw32)과 제1 하부 경사면(115bb)의 폭(Lgrw32)이 상이하고, 제2 경사면(214bc)의 폭(grw32)이 제1 하부 경사면(115bc)의 폭(Lgrw32) 보다 작을 수 있으며 도 12의 제2 경사면(214bb)의 폭(grw22) 보다 작은 구조를 예시한다.
예시적으로, 제1 하부 경사각(Lθ32)이 제2 경사각(θ32)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하부 경사면(115bc)의 폭(Lgrw32)이 제1 상부 경사면(114bc)의 폭(Ugrw32)보다 클 수 있다.
제1 챔퍼부(170c)와 제2 챔퍼부(180c)는 도 25의 연마휠(600)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구조를 가지는 챔퍼부는 도 12의 제2 챔퍼부(180b)에 비해 줄어든 제2 경사면(214bc)의 폭(grw32)을 가진다. 이는 연마 공정시 실링 부재(SM)의 박리량이 더욱 줄어들 수 있으며 실링 부재(SM)에 대해서 연마 공정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이 더욱 줄어듬을 의미한다.
즉, 위와 같은 구조의 챔퍼부는 실링 부재(SM)의 의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5는 제1 챔퍼부(170d)와 제2 챔퍼부(180d)를 포함하는 챔퍼부(CF4)가 평면상 돌출 영역(도 1의 PA)의 일 변에 대해 경사지며 직선 형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2)를 예시한다.
이러한 챔퍼부(CF4))는 전술한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6은 실링 부재(SM3) 중 챔퍼부(CF)의 제2 챔퍼부(180)와 인접한 부분의 폭(SMW3)이 다른 부분의 폭(SMW4)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를 표시 장치(3)를 예시한다.
이러한 실링 부재(SM3)는 전술한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중 챔퍼부의 연마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중 챔퍼부의 연마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SM)에 의해 합착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을 준비한다. 표시 패널(10)은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되어 형성된 제1 챔퍼부(170)와 제2 챔퍼부(180)를 포함하는 챔퍼부(CF)를 구비한다. 표시 패널(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챔퍼부(CF)에 대향하여 연마휠(300)을 배치한다. 연마휠(300)을 이용한 연마 공정은 제2 챔퍼부(180)에서 제1 챔퍼부(170)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챔퍼부(170)에서 제2 챔퍼부(180) 방향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연마 공정은 제2 챔퍼부(180)에서 제1 챔퍼부(170) 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도 18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챔퍼부(180)에 대향되게 연마휠(300)을 배치한다. 이 때, 제2 챔퍼부(180)에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은 어떠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연마휠(300)은 실질적인 연마를 위한 연마홈(310)을 포함하며, 연마휠(300)의 표면에는 다이아몬드가 박혀 있다. 연마휠(300)은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타입이며, 제1 챔퍼부(170)와 제2 챔퍼부(180)의 연마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챔퍼부(170) 중 제2 챔퍼부(180)와 인접한 영역에 연마되지 않는 부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마홈(310)은 내측면(311)과, 내측면(311)의 하측에 내측면(311)과 연결되는 제1 내측 경사면(312)과, 내측면(311)의 상측에 내측면(311)과 연결되는 제2 내측 경사면(3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마휠(300)의 연마홈(310)을 제2 챔퍼부(180)에 대향시, 연마홈(310)에서 내측면(311)의 중심과,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하면(112) 사이의 중심을 맞추도록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축(CA)과 제1 내측 경사면(312)이 이루는 제1 각(Gθ1)은, 수평축(CA)과 제2 내측 경사면(313)이 이루는 제2 각(Gθ2)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하면(112)과 제2 표시 기판(210)의 상면 사이의 두께보다, 연마홈(310)의 제1 내측 경사면(312)과 제2 내측 경사면(312) 사이의 최대 폭이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휠(300)의 연마홈(310)을 이용하여 제2 챔퍼부(180)를 연마시키면, 도 19과 같이 제2 챔퍼부(180)에 경사면들(114b, 115b, 2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챔퍼부(180)를 지나 제1 챔퍼부(170)를 연마시 연마휠(300)의 연마홈(310)을 제1 챔퍼부(170)에 대향시킨다. 물론, 이 경우에도 연마홈(310)에서 내측면(3110)의 중심과,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하면(112) 사이의 중심을 맞추도록 얼라인시켜, 어떠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제1 챔퍼부(170)를 연마시킨다. 그럼, 도 20과 같이 제1 챔퍼부(170)에 경사면들(114a, 115a)이 형성된다.
이하, 챔퍼부의 연마 공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6은 챔퍼부의 연마 공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1은 제2 챔퍼부(180a)에 대향되게 연마휠(400)을 배치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이 때, 제2 챔퍼부(180a)에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은 어떠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연마휠(400)은 도 18의 연마휠(300)과 유사하다. 다만, 연마휠(400)은 도 18의 연마홈(310)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연마홈(410)을 포함한다.
연마홈(410)은 내측면(411)과, 내측면(411)의 하측에 내측면(411)과 연결되는 제1 내측 경사면(412)과, 내측면(411)의 상측에 내측면(411)과 연결되는 제2 내측 경사면(4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마휠(400)의 연마홈(410)을 제2 챔퍼부(180a)에 대향시, 연마홈(410)에서 내측면(411)의 중심과,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하면(112) 사이의 중심을 맞추도록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축(CA)과 제1 내측 경사면(412)이 이루는 제1 각(Gθ11)은, 수평축(CA)과 제2 내측 경사면(413)이 이루는 제2 각(Gθ12)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1의 제1 각(Gθ11)과 제2 각(Gθ12) 각각은 도 18의 제1 각(Gθ1)과 제2 각(Gθ1) 각각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휠(400)의 연마홈(410)을 이용하여 제2 챔퍼부(180a)를 연마시키면, 도 22과 같이 제2 챔퍼부(180a)에 경사면들(114ba, 115ba, 214b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퍼부(180a)의 연마후 수행되는 제1 챔퍼부(도 9의 170a)의 연마 공정은 도 20에서 제1 챔퍼부(170)의 연마 공정과 동일한 방식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은 제2 챔퍼부(180b)에 대향되게 연마휠(500)을 배치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이 때, 제2 챔퍼부(180b)에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은 어떠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연마휠(500)은 도 18의 연마휠(300)과 유사하다. 다만, 연마휠(500)은 도 18의 연마홈(310)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연마홈(510)을 포함한다.
연마홈(510)은 내측면(511)과, 내측면(511)의 하측에 내측면(511)과 연결되는 제1 내측 경사면(512)과, 내측면(511)의 상측에 내측면(511)과 연결되는 제2 내측 경사면(5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마휠(500)의 연마홈(510)을 제2 챔퍼부(180b)에 대향시, 연마홈(510)에서 내측면(511)의 중심과,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하면(112) 사이의 중심을 맞추도록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축(CA)과 제1 내측 경사면(512)이 이루는 제1 각(Gθ31)은, 수평축(CA)과 제2 내측 경사면(513)이 이루는 제2 각(Gθ32)과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각(Gθ32)이 제1 각(Gθ31)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휠(500)의 연마홈(510)을 이용하여 제2 챔퍼부(180b)를 연마시키면, 도 24와 같이 제2 챔퍼부(180b)에 경사면들(114bb, 115bb, 214b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퍼부(180b)의 연마후 수행되는 제1 챔퍼부(도 11의 170b)의 연마 공정은 도 20에서 제1 챔퍼부(170)의 연마 공정과 동일한 방식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제2 챔퍼부(180c)에 대향되게 연마휠(600)을 배치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이 때, 제2 챔퍼부(180c)에서 제1 표시 기판(110)과 제2 표시 기판(210)은 어떠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연마휠(600)은 도 18의 연마휠(300)과 유사하다. 다만, 연마휠(600)은 도 18의 연마홈(310)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연마홈(610)을 포함한다.
연마홈(610)은 내측면(611)과, 내측면(611)의 하측에 내측면(611)과 연결되는 제1 내측 경사면(612)과, 내측면(611)의 상측에 내측면(611)과 연결되는 제2 내측 경사면(6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마휠(600)의 연마홈(610)을 제2 챔퍼부(180c)에 대향시, 연마홈(610)에서 내측면(611)의 중심과, 제1 표시 기판(110)의 제1 상면(111)과 제1 하면(112) 사이의 중심을 맞추도록 얼라인한다. 이러한 얼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축(CA)과 제1 내측 경사면(612)이 이루는 제1 각(Gθ41)은, 수평축(CA)과 제2 내측 경사면(613)이 이루는 제2 각(Gθ42)과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각(Gθ42)이 제1 각(Gθ41)보다 클 수 있다. 제2 각(Gθ42)은 도 23의 제2 각(Gθ32) 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각((Gθ42)은 도 23의 제1 각(Gθ3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휠(600)의 연마홈(610)을 이용하여 제2 챔퍼부(180c)를 연마시키면, 도 26과 같이 제2 챔퍼부(180c)에 경사면들(114bc, 115bc, 214b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퍼부(180c)의 연마후 수행되는 제1 챔퍼부(도 13의 170c)의 연마 공정은 도 20에서 제1 챔퍼부(170)의 연마 공정과 동일한 방식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3: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20: 회로 보드 110: 제1 표시 기판
210: 제2 표시 기판 SM: 실링 부재
CF: 챔퍼부 170, 170a, 170b, 170c: 제1 챔퍼부
180, 180a, 180b, 180c: 제2 챔퍼부

Claims (27)

  1. 제1 상면, 상기 제1 상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하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상부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표시 기판; 및
    상기 제1 상면과 대향하는 제2 하면, 상기 제2 하면의 반대면인 제2 상면, 상기 제2 하면과 상기 제2 상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하면과 상기 제2 상면을 연결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표시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직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측면을 연결하는 제1 하부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 직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제1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표시 장치.
  6.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표시 기판 및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이 중첩하는 중첩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서 상기 중첩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돌출 영역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와,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챔퍼부와 인접한 제2 챔퍼부를 포함하는 챔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의 끝단이 상기 제2 표시 기판의 끝단보다 외측에 있고,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1 상면 및 제1 하면과,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2 상면 및 제2 하면과,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이 대향하고,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경사면과,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의 끝단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으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의 끝단은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 사이에 있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한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의 폭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한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제2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상부 경사각과 동일한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상이한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부 경사각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프릿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표시 기판 및 제2 표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이 중첩하는 중첩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상기 제2 표시 기판 사이에서 상기 중첩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돌출 영역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챔퍼부와, 상기 중첩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챔퍼부와 인접한 제2 챔퍼부를 포함하는 챔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상기 실링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표시 기판과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기판 중 상기 제2 표시 기판과 비중첩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퍼부와 상기 제2 챔퍼부는 평면상에서 연속적인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부는 평면상에서 상기 돌출 영역의 일 변에 대해 경사지며,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인 표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1 상면 및 제1 하면과,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서로 평행한 제2 상면 및 제2 하면과,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2 하면이 대향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퍼부에서,
    상기 제1 표시 기판은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경사면과,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기판은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한 표시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의 폭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경사면의 폭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의 폭이 상이한 표시 장치.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제2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면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상부 경사각과 동일한 표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동일한 표시 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경사각은 상기 제1 하면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이루는 제1 하부 경사각과 상이한 표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경사각이 상기 제1 상부 경사각보다 큰 표시 장치.
  2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프릿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05883A 2017-08-22 2017-08-22 표시 장치 KR10236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83A KR102369938B1 (ko) 2017-08-22 2017-08-22 표시 장치
US15/953,193 US10547024B2 (en) 2017-08-22 2018-04-13 Display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chamfered substrates
CN201810947561.0A CN109427857B (zh) 2017-08-22 2018-08-20 显示装置
US16/746,480 US10734604B2 (en) 2017-08-22 2020-01-17 Display device
US16/943,946 US10903447B2 (en) 2017-08-22 2020-07-30 Display device
KR1020220025223A KR102430307B1 (ko) 2017-08-22 2022-02-25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83A KR102369938B1 (ko) 2017-08-22 2017-08-22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223A Division KR102430307B1 (ko) 2017-08-22 2022-02-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09A KR20190021509A (ko) 2019-03-06
KR102369938B1 true KR102369938B1 (ko) 2022-03-03

Family

ID=65437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883A KR102369938B1 (ko) 2017-08-22 2017-08-22 표시 장치
KR1020220025223A KR102430307B1 (ko) 2017-08-22 2022-02-25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223A KR102430307B1 (ko) 2017-08-22 2022-02-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547024B2 (ko)
KR (2) KR102369938B1 (ko)
CN (1) CN109427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091B1 (ko) * 2016-10-07 202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7975B1 (ko) * 2017-11-29 2022-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7268B1 (ko) * 2018-07-16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US20200064670A1 (en) * 2018-08-22 2020-02-27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71907A (ko) * 2018-12-11 2020-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US11056630B2 (en) * 2019-02-13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having glass substrate on which side wirings are forme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099442B2 (en) * 2019-07-01 2021-08-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210059146A (ko) * 2019-11-14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유리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CN113193015B (zh) * 2021-04-16 2022-07-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0336A (ja) 2001-12-27 2003-07-15 Optrex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面取り方法
DE10219951A1 (de) * 2002-05-03 2003-11-1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r Verkapselung eines Bauelements auf Basis organischer Halbleiter
JP4845749B2 (ja) * 2006-01-31 2011-12-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2007287669A (ja) * 2006-03-23 2007-11-01 Canon Inc 有機発光装置及び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5153383B2 (ja) * 2008-02-26 2013-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073563B1 (ko) * 2010-02-08 2011-10-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WO2013136771A1 (ja) * 2012-03-12 2015-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931553B2 (ja) * 2012-04-13 2016-06-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076503B1 (ko) * 2013-01-24 2020-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356087B1 (en) * 2014-12-10 2016-05-3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ridged wire traces
KR102430346B1 (ko) * 2014-12-16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61278B1 (ko) 2015-07-14 2016-09-29 에스피텍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의 가공방법
WO2017022622A1 (ja) * 2015-07-31 2017-02-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102525345B1 (ko) * 2015-09-01 202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KR20180061483A (ko) *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307B1 (ko) 2022-08-08
US20200152909A1 (en) 2020-05-14
US10903447B2 (en) 2021-01-26
US20200358028A1 (en) 2020-11-12
CN109427857B (zh) 2023-10-20
US10734604B2 (en) 2020-08-04
KR20220030980A (ko) 2022-03-11
US20190067630A1 (en) 2019-02-28
US10547024B2 (en) 2020-01-28
KR20190021509A (ko) 2019-03-06
CN109427857A (zh)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307B1 (ko) 표시 장치
TWI546953B (zh) 可撓性顯示裝置
KR102403234B1 (ko) 표시 장치
US11063100B2 (en) Display device to prevent a cathode electrode from being shorted
US1099839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9135860B2 (en) Array substrate for gate-in-panel-typ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33294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355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50067B1 (ko) 표시 장치
KR10073906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058928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50055377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TWI768594B (zh) 透明顯示裝置
JP6417017B2 (ja) 高開口率を有する超高解像度平板表示装置
US11538869B2 (en) Display device
KR20150078344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70015699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0118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1318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8354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59044B1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103148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한 표시패널
KR2017005861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50051816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