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036B1 -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036B1
KR102235036B1 KR1020200102219A KR20200102219A KR102235036B1 KR 102235036 B1 KR102235036 B1 KR 102235036B1 KR 1020200102219 A KR1020200102219 A KR 1020200102219A KR 20200102219 A KR20200102219 A KR 20200102219A KR 102235036 B1 KR102235036 B1 KR 10223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safety
terminal
result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036B9 (ko
Inventor
정종찬
정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대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대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2001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036B1/ko
Publication of KR10223503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03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06K9/62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안전 관리 서버를 통해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상기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로 상기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점검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로 전달하는 제1 전달 단계 및 상기 제3 단말로부터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전달하는 제2 전달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CONSTRUCTION SITE SAF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은 건축법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건축물 건축설비 또는 공작물이 설계 도서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확인하고, 품질 관리, 공사 관리 및 안전 관리 등에 대하여 지도 감독하는 감리가 요구된다. 안전 관리는 시공 단계의 세부 공종 별로 수행되며, 대형 건축물이나 대형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경우에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등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가 기본적으로 구축되므로, 이러한 풍부한 전산 정보를 활용하여 건설현장의 감리 및 감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감리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다.
그러나 풍부한 전산 정보를 활용하더라도 건설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세부 항목 별 체크리스트나, 검측 요청서, 결과 보고서 등을 제출해주지 않는다면, 감리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없다.
또한, 2차원 설계도면 만으로도 전체 시공에 무리가 없는 중소 건설 현장은 안전관리자 의무가 없기 때문에 안전 관리 공백이 발생할 수 있어 대형 건설현장에 비해 안전사고에 취약하다. 또한, 아직까지 중소 건설현장에서는 사용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수많은 문서가 오프라인으로 작성되고 관리되고 있어, 현장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건설 현장에서 각 실무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안전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는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및 통합 관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 일상 안전 책임자), 처리 담당자 외 기타 건설 현장에서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이, 본인에게 할당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점검 결과를 작성 및 등록하며, 내용을 공유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 점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건설 현장의 공종 별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만으로도, 조치가 필요한 항목인지 자동으로 판단해주고, 점검 결과에 따른 대처를 진행해 줄 수 있도록 방법을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 노무자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착실하게 수행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근로자, 노무자들이 작성한 점검 결과가 유효한 점검인지 판단함과 동시에 근로자, 노무자, 장비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위험지역 및 장비와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의 관리 감독이 꼼꼼하게 진행될 수 있는 새로운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안전 관리 서버를 통해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상기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로 상기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점검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로 전달하는 제1 전달 단계 및 상기 제3 단말로부터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전달하는 제2 전달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점검 결과는, 공종, 시설물의 위치, 점검 이미지, 위험 요인, 개선 대책, 처리 담당 업체 정보, 점검 의견, 점검 실시 여부, 점검 통과 여부 및 현장 조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전달 단계 이후에, 상기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텍스트 분석하여, 현장 조치 사항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점검 이미지,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포함된 조치 사항 이미지 각각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기준으로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변화 정보가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항목에 대한 안전 점검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미지 변화 정보가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개선 대책 또는 상기 점검 의견을 포함하는 현장 재조치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말로 해당 항목을 우선 순위로 하는 중점 관리 항목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전달 단계는, 수신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현장 조치가 필요한 항목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점검 결과에 따라, 점검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의 점검 이미지와 해당 항목에 대한 기준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현장 조치가 필요한 항목으로 재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의 안전 주의 요소에 대한 추가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점검 결과의 수신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추가 점검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추가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점검 결과에 따라, 현장 조치가 건설 공종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현장 조치가 건설 공종에 속하는 경우, 처리 담당자의 성과 점수에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하나의 건설 현장에 설정된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공종 코드 또는 공종 명칭을 기초로 다른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4 단말로부터 추가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추가 점검 결과를 해당 항목에 대한 관리 감독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은,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검 결과는, 건설 현장 내 근로자 또는 시설물에 부착된 안전 장치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저장부,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상기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로 상기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점검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제3 단말로부터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안전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일일 중점 관리 항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일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일일 중점 관리 항목과 관련된 점검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수신된 점검 이미지를 기초로 하는 점검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점검 결과에 따른 처리 담당자의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점검 이미지를 분석하여, 조치가 필요한 객체 후보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를 기초로 해당 항목에 대해 미리 학습된 조치 요구 사항 또는 점검 의견을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어느 하나의 객체도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점검 이미지를 상기 일일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는, 미리 할당된 일일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며, 상기 목록은, 공종명, 공종 코드, 현장 위치 정보, 위험 요인, 안전 대책 및 조치 완료 여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서버가 건설 현장에서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 일상 안전 책임자), 처리 담당자에게 할당된 업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담당자들이 입력한 정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담당자에게 전달해줌으로써, 할당된 업무들이 빠짐없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각 담당자들은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이 담당하고 있는 공종 항목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현장의 조치 여부와 그에 따른 점검 결과를 자동으로 작성 및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각종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건설 현장에서 휴대 단말에 집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 기민하게 움직일 수 있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서버가, 안전 관리자가 작성한 일일 안전 점검 보고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관리 감독자가 필수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판단한 항목 별 점검 결과, 조치 방안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처리 담당자가 조치한 사항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점검함으로써, 하나의 결과에 대해 두 번의 검증 과정을 거칠 수 있어,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근로자 또는 시설물에 안전 장치가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판단하고,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는 경고 알림을 송신하여, 근로자의 노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건설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로자와 노무자가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근로자, 노무자, 장비의 위치 및 장비의 가동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사고 위험 반경 안에 위치한 근로자, 노무자에게 충돌 위험 알림을 송신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안전 점검 결과를 전달하고, 검토 결과를 주고 받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자,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1, 제2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일 안전 책임자, 처리 담당자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14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점검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S22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해석의 명확함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1000)은 건설 현장을 관리 감독하는 안전 관리 서버(10) 및 다수의 근로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이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에 의해 다수의 건설 현장을 관리할 수 있으며, 다수의 근로자들이 실제로 건설 현장을 둘러보며 점검한 내용들을 입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근로자 단말(20)에 설치되어 실행되거나, URL, 이미지 코드 등을 통해 별도의 설치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을 위해 필요한 위험성 평가 회의, 일일/일상 점검 활동, 부적합 보고서 작성, 시정 지시 요구서 작성용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건설 현장에서 사용자의 권한 별로 서로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다수의 근로자 단말(20)들이 입력하는 안전 점검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담당하는 근로자들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0)는 건설 현장 별로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진행 상황에 대응되는 공종 별 중점 관리 항목들을 저장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안전 점검을 정확하고, 성실하게 이행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10)는 건설 현장의 공종 별 중점 관리 항목을 기준으로 근로자 단말(20)로부터 안전 점검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안전 점검 결과를 기초로 근로자들이 본인에게 할당된 일일 안전 관리 업무를 수행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10)는 근로자들이 제공하는 점검 결과에 대해서 안전 점검 모델을 이용하여 점검 결과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관리 서버(10)는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공종 별 안전 점검 결과와 그에 따른 현장 조치 결과를 미리 학습하고, 안전 점검 결과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안전 점검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점검 결과는 중점 관리 항목 또는 안전 주의 요소에 대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점검 결과이거나, 조치가 필요한 항목에 대한 처리 담당자의 현장 조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근로자들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을 1차 점검하고, 근로자들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건설 현장의 안전을 2차 점검할 수 있어, 일일 안전 점검 활동이 누락되거나, 조치가 미흡하여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10)는 다수의 근로자 단말(20)을 이용하여 건설 현장 내 장비들과 근로자들의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0)는 금일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근로자들과, 근로자들의 근무 영역, 근로자 별로 중장비의 사용 여부, 중장비의 사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서버(10)는 실시간으로 다수의 근로자 단말(20)의 위치를 파악하고, 중장비를 사용하는 근로자 단말(20)에 탑재된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중장비 가동에 따른 근로자의 움직임(상하 진동, 이동 속도)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10)는 근로자들의 위치와 가동중인 중장비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장비의 위험 반경 안에 근로자가 위치할 경우, 해당 근로자 단말(20)로 위험 알림을 송신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20)은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에 참여하는 근로자들이 소지한 단말로서,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자는 일일 안전 책임자와 처리 담당자를 지정하고, 안전 점검 항목을 지정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20)은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로자들이 수행한 안전 점검 결과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점검 결과에 대한 상위 근로자들의 답변(예. 보고서 제출 승인, 조치 완료)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 단말(20)은 건설 현장을 촬영하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항공기는 건설 현장에서 지정된 영역을 순회하며, 건설 현장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는 무인 항공기가 제공한 이미지에서 안전 장치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설 현장 내 근로자가 안전 장치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 건설 현장 내 시설물들에 안전 장치가 제대로 장착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1000)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설 현장을 종합 관리할 수 안전 관리 서버(10)는 저장부(11), 통신부(12) 및 프로세서(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는 현재 진행 중인 건설 현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는 건설 현장 별로 업체들에게 할당된 고유 코드 정보, 건설 현장 명칭, 현장 주소, 담당자 이름, 식별 정보, 착공일, 준공일, 현장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는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 협력 업체(처리 담당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1)는 건설 현장에서 다루는 모든 공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종은 기초 공사, 콘크리트 공사, 창호 공사, 방수 공사, 전기 공사 등과 같이 공사를 종류 별로 구분한 것으로서, 저장부(11)는 공종 명칭과 함께 공종 별 식별코드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는 통신부(12)를 통해 수신된 근로자들의 각종 선택 정보 및 안전 점검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정보는 어느 한 현장을 담당하는 안전 관리자가 지정한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 관리자는 일상 안전 책임자를 지정할 수 있는 바, 저장부(11)는 일상 안전 책임자와 일상 안전 책임자의 일상 점검 활동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저장부(11)는 안전 관리자 또는 일일 안전 책임자에게 지정된 안전 주의 요소(추가 위험 요소) 발굴 할당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할당량을 채우지 못할 경우, 각 단말로 알림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1)는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공종 별로 발생하는 안전 점검에 따른 현장 조치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학습한 안전 점검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는 안전 점검 모델을 이용하여 근로자들이 제공한 점검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1)는 건설 현장에서 일일 안전 점검을 수행하기 전, 근로자들이 작성하는 회의록이나, 회의록을 기반으로 설정된 안전 점검 결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의록은 회의 일시, 차기 회의 일시, 회의 자료, 회의에서 논의된 건설 현장의 위험 요소(설명, 이미지), 이에 대한 안전 대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 점검 결과,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의 부적합 보고서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적합 보고서는 부적합 사항에 대한 이미지, 일일 안전 책임자의 조치 요구 내용(설명,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부적합 보고서는 고유 식별 번호를 가지고 저장될 수 있으며,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담당자는 제3 단말(300)에서 부적합 보고서에 대한 수신 알림을 확인하고, 고유 식별 번호를 선택하는 즉시, 해당 부적합 보고서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11)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는 안전 관리 서버(10)와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11)는 근로자들에게 안전 점검과 관련된 정보,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부(12)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근로자 단말(20)로부터 건설 현장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안전 점검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는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일일 안전 책임자로 선택된 제2 단말(200)로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는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로부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점검 결과에 따라, 해당 결과를 선택적으로 제1 단말(100)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2)는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현장 조치 결과를 제1 단말(100) 또는 제2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2)는 조치가 미흡하거나, 점검 결과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각 근로자 단말(20)로 재조치, 재점검 알림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상위 근로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담당자의 상위 근로자는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관리 감독자)일 수 있으며,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관리 감독자)의 상위 근로자는 안전 관리자이고, 안전 관리자의 상위 근로자는 현장 소장일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저장부(11) 및 통신부(12)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 관리 서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부(11)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근로자들에게 안전 점검과 관련된 정보,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는 안전 점검 결과들을 각 담당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안전 점검 결과를 전달하고, 검토 결과를 주고 받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는 건설 현장을 총괄하는 현장 소장 단말(400)로 안전 관리자의 일일 안전 점검 결과를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중점 관리 항목을 할당한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에는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조치가 필요한 항목들을 지정한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에는 현장 조치 결과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정보는 단말에서 단말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말에서 생성하는 정보는 안전 관리 서버(10)를 통해 송수신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10)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해주는 기능 외에도 근로자들이 생성한 안전 점검 결과를 검토하여, 안전 점검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가 작성한 점검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점검 결과는, 공종, 시설물의 위치, 점검 이미지, 위험 요인, 개선 대책, 처리 담당 업체 정보, 점검 의견, 점검 실시 여부, 점검 통과 여부 및 현장 조치 여부를 포함하며, 현장 조치 여부는 해당 항목을 두 번 점검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이다.
프로세서(13)는 제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1차적으로 조치가 필요한 항목을 분류할 수 있다. 즉, 점검 결과에 명시되어 있는 점검 통과 여부에 따라, 중점 관리 항목을 분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로세서(13)는 점검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의 점검 결과 이미지와 해당 항목에 대한 기준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간의 유사도는 공지된 다양한 딥러닝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기준 이미지는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획득된 항목 별 점검 통과 이미지 또는 탈락 이미지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는 계산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통과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 또는 탈락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항목을 현장 조치가 필요한 항목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3)는 처리 담당자가 작성한 현장 조치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점검 결과 내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텍스트 분석하여, 현장 조치 사항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는 미리 학습된 안전 점검 모델을 기초로 텍스트 분석된 데이터에서 건설 현장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선 대책이 “복공판과 복공판은 빈틈이 없도록 밀실하게 설치한다”인 경우, 프로세서(13)는 여기서, “복공판”, “빈틈”, “밀실”, “설치”라는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점검 결과에 포함된 점검 이미지와, 현장 조치 결과에 포함된 조치 사항 이미지에서 각각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기준으로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는 점검 이미지와 조치 사항 이미지에서 이미지 중앙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시설물을 인식하고, 각각의 시설물의 종류가 동일한지, 상이한지, 시설물의 위치가 변화했는지 등의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변화 정보는 복공판의 제거, 복공판과 복공판의 간격 조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3)는 이미지 변화 정보와 미리 선정된 키워드가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변화 정보와 키워드가 대응된다면, 현장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져 안전 점검을 종료할 수 있을 것이고, 이미지 변화 정보와 키워드가 대응되지 않는다면, 현장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포함하는 현장 재조치 알림을 생성하여, 통신부(12)를 통해 송신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로는 해당 항목을 우선 순위로 하는 중점 관리 항목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의, 중점 관리 항목 목록은 안전 관리자에게 익일에 제공될 중점 관리 항목 선택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는 건설 현장의 안전 주의 요소에 대한 추가 점검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점검 결과란, 건설 현장의 안전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서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가 의무적으로 찾아 내어야 하는 '추가 위험 발굴 결과'일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추가 점검 결과를 텍스트 분석하여, 추가 점검 결과에 따른 현장 조치가 건설 공종에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점검 결과가 “용벽 낙하 위험”이고, 현장 조치가 “낙하물 방지망 설치”인 경우, 이는 “낙하물 방지공”이라는 공종에 속할 수 있으며, 추가 점검 결과가 “화기 물질 미제거”이고, 현장 조치가 “화기 물질 제거 요청”인 경우, 이는 공종에 속하지 않는 현장 조치일 수 있다.
추가 점검 결과에 따른 현장 조치가 건설 공종에 속할 경우, 공사가 정석대로 진행된 것이 아니고, 현장 조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프로세서(13)는 처리 담당자의 성과 점수에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성과 점수는 안전 관리 감독을 수행한 회차 별로 산출될 수 있으며, 처리 담당자 외에도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일일/일상 안전 책임자)도 검토 결과에 따른 성과 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의 추가 점검 결과를 다른 건설 현장의 관리 감독자와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는 A, B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4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추가 점검 결과를 C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추가 점검 결과를 공유하는 것은 프로세서(13)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3)는 관리 감독자가 점검한 추가 점검 결과 중에서도 공종 코드 또는 공종 명칭이 일치하는 추가 점검 결과를 건설 현장 내 관리 감독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점검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해 대비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1 내지 제3 단말(100)(200)(300)은 순서대로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 처리 담당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등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은 저장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자는 회의록을 등록하고, 관리 감독자(일일/일상 안전 책임자) 및 처리 담당자가 수행하는 업무를 관리 감독하는 근로자일 수 있다.
저장부(110)는 일일 안전 점검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 건설 현장에서 일일 안전 점검을 수행하기 전, 후의 안전 점검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는 건설 현장에서 일일 안전 점검을 수행하기 전, 현장 소장, 관리 감독자 및 협력 업체(처리 담당자)와 논의된 회의록(회의 일시, 차기 회의 일시, 회의 자료, 회의에서 논의된 건설 현장의 위험 요소(설명, 이미지), 이에 대한 안전 대책 정보 등),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 선택 정보 및 안전 책임자 별 중점 관리 항목을 저장할 수 있으며, 건설 현장에서 일일 안전 점검을 수행한 후,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 점검 결과에 따른 부적합 보고서(내용, 고유 식별 번호), 처리 담당자의 현장 조치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안전 관리자 고유의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제1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110)는 일일 안전 점검 결과, 관리 감독자들을 지정 및 업무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부(12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서버(10),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로부터 건설 현장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안전 점검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안전 관리 서버(10)로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 또는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안전 관리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 안전 점검 불량에 따른 시청 조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안전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음향 출력 장치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건설 현장의 중점 관리 항목, 일상 점검 활동, 이에 대한 점검 결과, 시정 조치 요구서, 공지 사항, 현장 구성원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일일 안전 점검 결과 미제출에 따른 시/청각적 알림(예. 일상 점검 활동이 미제출 상태입니다)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시각적 출력 장치는 안전 관리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입력부(130)와 출력부(140)는 하나의 물리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시각적 출력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및 출력부(14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부(1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건설 현장의 일일 안전 점검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200)은 저장부(210), 통신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감독자는 안전 관리자에 의해 할당된 중점 관리 항목을 검토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또는 일상 점검 항목을 검토하는 일상 안전 책임자일 수 있다.
저장부(210)는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에게 할당된 중점 관리 항목 또는 일상 점검 항목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10)는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검토 내용(점검 이미지, 위험 요인, 개선 대책, 점검 의견, 점검 실시 여부, 점검 통과 여부, 현장 조치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점검 결과, 위험 요소가 존재하여 안전 점검 탈락으로 분류된 중점 관리 항목의 조치 검수 내용, 부적합 보고서(내용, 고유 식별 번호), 처리 담당자의 현장 조치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10)는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 고유의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210)는 일일 안전 책임자가 촬영한 점검 이미지를 기초로 점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학습된 점검 결과 생성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점검 결과 생성 모델은, 건설 현장 내 어느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면, 객체와 관련된 조치 요구 사항 또는 점검 의견을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10)는 제2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210)는 중점 관리 항목, 일상 점검 항목에 대한 검토 결과를 작성하고, 조치를 검수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서버(10),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로부터 검토 결과를 작성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일일 중점 관리 항목을 수신하고, 수신된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220)는 점검 결과를 송신한 이후에,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처리 담당자의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여 점검에 따른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입력부(230)는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건설 현장에서의 공종 별 위험 요인, 안전 대책, 점검 이미지, 점검 의견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0)는 점검 이미지에서 조치가 필요한 일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 정보는 점검 이미지 내에서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객체 후보 중 어느 하나의 객체 후보를 선택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미지에서 화물차, 적재된 파일, 시멘트 포대 등의 객체가 존재한다면,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는 이 중 조치가 필요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입력부(230)는 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건설 현장에서 본인에게 지정된 항목들을 검토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음향 출력 장치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40)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점 관리 항목, 일상 점검 항목에 대한 리스트, 추가 위험 발굴 리스트, 안전 작업 허가서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안전 주의 요소(추가 위험 발굴) 할당 건 미달에 따른 시/청각적 알림(예. 일상 점검 활동 미점검 1건이 있습니다, 추가 위험 발굴 2건이 등록되지 않았습니다)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시각적 출력 장치는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입력부(230)와 출력부(240)는 하나의 물리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시각적 출력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입력부(230) 및 출력부(24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부(2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안전 점검 검토 결과를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일일 안전 책임자가 촬영한 점검 이미지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점검 이미지를 분석하여, 일일 안전 책임자에게 조치가 필요한 객체 후보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미리 학습된 건설 현장의 객체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점검 이미지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일일 안전 책임자가 조치가 필요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객체가 위치한 중심을 기준으로 점검 이미지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50)는 인식된 객체 별로 종래의 검토 결과와 실제 조치 방안을 함께 표시해주어, 일일 안전 책임자의 업무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50)는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점검 결과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일일 안전 책임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객체 선택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면, 선택된 객체를 기초로 해당 항목에 대해 미리 학습된 점검 결과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점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일 안전 책임자가 점검 이미지에서 방지망을 선택하였다면, 프로세서(250)는 점검 결과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방지망과 관련된 조치 요구 사항 또는 점검 의견을 획득하고, 이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250)가 일일 안전 책임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객체 선택 정보도 획득하지 못하였다면, 해당 점검 이미지 및 이에 대응되는 항목은 안전 점검을 통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250)는 해당 점검 이미지를 일일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결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은 저장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및 프로세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담당자는 관리 감독자의 점검 결과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각종 현장 조치를 취하는 근로자일 수 있다.
저장부(310)는 조치 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310)는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처리 담당자들이 수행한 조치 사항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공종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0)는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기 위한 처리 담당자 고유의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0)는 제3 단말(30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저장부(310)는 조치 사항을 입력하고, 조치 사항에 대한 검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서버(10),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부터 건설 현장의 위험 요소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현장 조치 결과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처리 담당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30)는 처리 담당자로부터 조치 사항 이미지, 조치 사항,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현장 조치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음향 출력 장치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340)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일일/일상 안전 책임자)에 의해 조치 요구된 공종 목록을 출력할 수 있으며, 미조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시/청각적 알림(예. 미 조치된 부적합보고서 1건이 있습니다, 미조치된 추가위험발견 1건이 있습니다)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시각적 출력 장치는 처리 담당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입력부(330)와 출력부(340)는 하나의 물리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시각적 출력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입력부(330) 및 출력부(34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부(3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건설 현장에서 안전 점검에 따른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를 등록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안전 관리자는 일일 안전 책임자 지정 인터페이스에서 ①회차 또는 일자를 선택한 후, ②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점검 항목 별로 서로 다른 안전 책임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자는 제1 단말(100)에 저장된 선택 정보를 ③오프라인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안전 관리자는 공종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건설 현장에서 수행 가능한 공종을 확인하고, 공종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공종은 가설 공사, 기초 공사와 같은 상위 개념을 기준으로, 추락 방지망 설치 작업, 가설 방음벽 설치 작업 등등의 하위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관리자는 ①건설 현장에서 사용할 공종을 선택하고, ②저장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의 저장부(11)는 건설 현장 별로 진행될 예정인 공종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안전 관리자는 안전 관리 메인 인터페이스에서 ①금일 처리해야 하는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리자는 검토해야 하는 부적합 보고서, 시정 조치 요구서, 시정 조치 불량 건들을 메인 화면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 관리자 외에도 일일 안전 책임자의 경우, 금일 중점 점검 활동, 안전 주의 요소(추가 위험 발굴), 일상 점검 활동 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들은 ②안전 관리 서버(10) 또는 건설 현장의 공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자의 경우, 건설 현장에 파견된 ③현장 구성원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안전 관리자가 관리하는 건설 현장이 두 군데 이상인 경우, ④지도 아이콘을 클릭하여 안전 관리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현장에 맞게 전환할 수 있으며, ⑤메뉴 아이콘을 통해 기타 부가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순서대로 참조하면, 일일 안전 책임자는 중점 점검 활동 인터페이스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금일 할당된 중점 점검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실선으로 도시된 등록 아이콘을 선택하여, 점검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일일 안전 책임자는 점검 결과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점검 이미지를 촬영하여 첨부하고, 점검 결과, 조치 요구 사항, 조치 기한 및 점검 의견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점검 결과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일 안전 책임자가 점검 이미지를 촬영하여 첨부하게 되면, 안전 관리 서버(10)로 점검 이미지가 송신되고,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자동으로 조치가 필요한 객체 후보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객체 선택에 따른 점검 결과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일 안전 책임자는 중점 점검 항목에서 순차적으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점검 결과를 생성하고 등록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순서대로 참조하면, 처리 담당자는 검토 결과, 조치가 필요한 건으로 분류되어 부적합 보고서가 발행된 항목을 확인하고, 실선으로 도시된 조치 등록 아이콘을 선택하여, 현장 조치 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처리 담당자는 현장 조치 결과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조치 이미지를 촬영하여 첨부하고, 조치 사항, 재발 방지 대책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현장 조치 결과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관리자,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1, 제2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 관리자 또는 일일 안전 책임자는 조치 검수 인터페이스에서 ①현장 조치가 미흡한 항목에 대한 시정 조치를 하기 위해, 조치 불량 아이콘을 선택하고, ②시정 조치 내용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③팝업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안전 관리자는 모든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해 시정 조치 요구를 할 수 있으며, 일일 안전 책임자는 자신이 조치 불량인 건으로 등록한 항목에 한해서 시정 조치 요구를 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 관리자 또는 일일 안전 책임자는 ④출력 아이콘을 선택하여 부적합 보고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일 안전 책임자, 처리 담당자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순차적으로 참조하면, 일일 안전 책임자 또는 처리 담당자는 안전 작업 허가 인터페이스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등록 아이콘을 선택하여 건설 현장에서 진행할 작업에 대한 허가를 결재 받을 수 있다. 일일 안전 책임자 또는 처리 담당자는 작업 위치, 작업 인원, 작업 책임자, 작업 내용(예. 위험 요인, 재해 형태, 개선 대책)과 함께 검토자, 조치자, 승인자를 선택하고, 실선으로 도시된 결재 지정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안전 작업 별로, 검토자, 조치자, 승인자를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며, 작성 확인 아이콘을 통해 작업 내용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일일 안전 책임자 또는 처리 담당자는 작업의 우선 순위에 따라 검토, 조치, 승인 순서를 바꿔, 결재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하에서는,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1000)의 각 구성 요소들과, 안전 관리 서버(1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일일/일상 안전 책임자), 처리 담당자는 간단한 클릭만으로 본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를 안전 관리 서버(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10)는 등록된 업무 결과를 각 담당자들에게 즉각 공유해줌으로써, 안전 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S14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전 관리 서버(10)는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100)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S110), 일일 안전 책임자로 선택된 제2 단말(200)로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한다(S120). 즉, 안전 관리 서버(10)는 회차 또는 일별로 건설 현장에 존재하는 근로자를 확인하고, 인력들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확인한 후, 이를 각 근로자들에게 알릴 수 있다.
S120 단계 이후,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로부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S130), 점검 결과를 제1 단말(100)로 송신하거나(S140), 제3 단말(300)로 송신한다(S140).
실시 예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10)는 건설 현장의 점검 결과를 무인 항공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자가 무인 항공기를 제2 단말(200)로 지정하고, 무인 항공기의 활동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무인 항공기를 통해 획득한 건설 현장의 이미지에서 근로자 또는 시설물에 부착된 안전 장치에 대한 이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미지를 기초로 안전 장치가 지침에 맞게 부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장치가 안전 고리이고, 안전 고리가 지침에 맞게 장착되었다면, 이미지에서 안전 고리가 완전한 고리 형태로 식별되지 않고, 일 영역이 끊겨 있는 형태로 식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10)는 무인 항공기가 송신한 안전 고리에 대한 이미지 내에서 일 영역이 끊겨져 있지 않는 고리를 식별하고, 건설 현장에서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안전 관리자, 일일/일상 안전 책임자 또는 처리 담당자의 단말로 안전 고리 장착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 관리자가 무인 항공기를 제2 단말(200)로 지정할 경우, 안전 관리 서버(100)는 제2 단말(200)로 건설 현장 내 근로자들의 위치 정보와 최대 활동 범위를 송신하여, 무인 항공기가 배치됨에 따라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획득한 점검 결과가 무인 항공기를 통해 획득한 건설 현장의 이미지인 경우, 안전 관리 서버(10)는 점검 결과를 분석하여, 제1 단말(100) 내지 제3 단말(300)로 검토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 단말(20)은 건설 현장을 촬영하는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항공기는 건설 현장에서 지정된 영역을 순회하며, 건설 현장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서버(10)는 무인 항공기가 제공한 이미지에서 안전 장치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설 현장 내 근로자가 안전 장치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 건설 현장 내 시설물들에 안전 장치가 제대로 장착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안전 관리 서버(10)는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가 작성한 점검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점검 결과는, 공종, 시설물의 위치, 점검 이미지, 위험 요인, 개선 대책, 처리 담당 업체 정보, 점검 의견, 점검 실시 여부, 점검 통과 여부 및 현장 조치 여부를 포함하며, 현장 조치 여부는 해당 항목을 두 번 점검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이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제2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1차적으로 조치가 필요한 항목을 분류할 수 있다(S140-1). 즉, 점검 결과에 명시되어 있는 점검 통과 여부에 따라, 중점 관리 항목을 분류할 수 있다.
S140-1 단계 이후, 안전 관리 서버(10)는 점검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의 점검 결과 이미지와 해당 항목에 대한 기준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S140-2). 여기서, 이미지 간의 유사도는 공지된 다양한 딥러닝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기준 이미지는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획득된 항목 별 점검 통과 이미지 또는 점검 탈락 이미지일 수 있다.
S140-2 단계 이후, 안전 관리 서버(10)는 계산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0-3). 만약, 계산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통과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 또는 탈락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 안전 관리 서버(10)는 점검 결과 이미지에 대응되는 항목을 현장 조치가 필요한 항목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S140-4, 아니오).
이와 반대로, 계산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점검이 올바르게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점검 결과에 따른 조치 요청을 하지 않고, 제1 단말(100)로 점검 결과만을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S140, S140-4 단계 이후, 안전 관리 서버(10)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부터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S150), 현장 조치 결과를 제1 단말(100) 또는 제2 단말(200)로 전달한다(S160).
아울러, 안전 관리 서버(10)는 현장 조치 결과를 분석하여, 조치가 미흡하거나, 점검 결과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제3 단말(300)로 재조치, 재점검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 담당자가 작성한 현장 조치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안전 관리 서버(10)는 점검 결과 내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텍스트 분석하여, 현장 조치 사항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 서버(10)는 미리 학습된 안전 점검 모델을 기초로 텍스트 분석된 데이터에서 건설 현장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선 대책이 “복공판과 복공판은 빈틈이 없도록 밀실하게 설치한다”인 경우, 안전 관리 서버(10)는 여기서, “복공판”, “빈틈”, “밀실”, “설치”라는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서버(10)는 점검 결과에 포함된 점검 이미지와, 현장 조치 결과에 포함된 조치 사항 이미지에서 각각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기준으로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서버(10)는 점검 이미지와 조치 사항 이미지에서 이미지 중앙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시설물을 인식하고, 각각의 시설물의 종류가 동일한지, 상이한지, 시설물의 위치가 변화했는지 등의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변화 정보는 복공판의 제거, 복공판과 복공판의 간격 조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안전 관리 서버(10)는 이미지 변화 정보와 미리 선정된 키워드가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변화 정보와 키워드가 대응된다면, 현장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져 안전 점검을 종료할 수 있을 것이고, 이미지 변화 정보와 키워드가 대응되지 않는다면, 현장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점검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S22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200)은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일일 중점 관리 항목을 수신하고(S210), 일일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210 단계 이후, 제2 단말(200)은 일일 중점 관리 항목과 관련된 점검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안전 관리 서버(10)로 송신하며(S220), 일일 안전 책임자로부터 점검 이미지를 기초로 하는 점검 결과를 입력 받아, 안전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230).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단말(200)는 점검 이미지를 기초로 점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러, 제2 단말(200)은 점검 이미지를 분석하여, 일일 안전 책임자에게 조치가 필요한 객체 후보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S220-1). 예를 들어, 제2 단말(200)은 미리 학습된 건설 현장의 객체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점검 이미지에서 객체를 인식하고, 일일 안전 책임자가 조치가 필요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객체가 위치한 중심을 기준으로 점검 이미지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S220-1 단계 이후, 제2 단말(200)은 일일 안전 책임자가 어느 하나의 객체 후보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S230-1). 만약, 제2 단말(200)이 일일 안전 책임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객체 선택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면, 선택된 객체를 기초로 해당 항목에 대해 미리 학습된 점검 결과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점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S220-3, 예).
이와 반대로, 제2 단말(200)이 일일 안전 책임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객체 선택 정보도 획득하지 못하였다면, 해당 점검 이미지 및 이에 대응되는 항목은 안전 점검을 통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단말(200)은 해당 점검 이미지를 일일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결과로 생성할 수 있다(S220-4, 아니오).
S220, S220-3 단계 이후, 안전 관리 서버(10)는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300)로부터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S230-1), 제2 단말(200)은 안전 관리 서버(10)로부터 점검 결과에 따른 처리 담당자의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한다(S240).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안전 점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관리 서버가 건설 현장에서 안전 관리자, 관리 감독자(일일 안전 책임자, 일상 안전 책임자), 처리 담당자에게 할당된 업무를 관리하고, 각 담당자들이 입력한 정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담당자에게 전달해줌으로써, 할당된 업무들이 빠짐없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가, 안전 관리자가 작성한 일일 안전 점검 보고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관리 감독자가 필수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판단한 항목 별 점검 결과, 조치 방안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처리 담당자가 조치한 사항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점검함으로써, 하나의 결과에 대해 두 번의 검증 과정을 거칠 수 있어,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사고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10: 안전 관리 서버
11: 저장부 12: 통신부
13: 프로세서
20: 근로자 단말
100: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
110: 저장부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출력부
150: 프로세서
200: 관리 감독자의 제2 단말
210: 저장부 220: 통신부
230: 입력부 240: 출력부
250: 프로세서
300: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
310: 저장부 320: 통신부
330: 입력부 340: 출력부
350: 프로세서
400: 현장 소장 단말

Claims (15)

  1.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안전 관리 서버를 통해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상기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로 상기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점검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로 전달하는 제1 전달 단계; 및
    상기 제3 단말로부터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전달하는 제2 전달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결과는,
    공종, 시설물의 위치, 점검 이미지, 위험 요인, 개선 대책, 처리 담당 업체 정보, 점검 의견, 점검 실시 여부, 점검 통과 여부 및 현장 조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달 단계 이후에,
    상기 점검 결과 중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텍스트 분석하여, 현장 조치 사항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점검 이미지,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포함된 조치 사항 이미지 각각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기준으로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변화 정보가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항목에 대한 안전 점검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미지 변화 정보가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단말로 상기 개선 대책 또는 상기 점검 의견을 포함하는 현장 재조치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와
    상기 제1 단말로 해당 항목을 우선 순위로 하는 중점 관리 항목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단계는,
    수신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현장 조치가 필요한 항목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점검 결과에 따라, 점검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의 점검 이미지와 해당 항목에 대한 기준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 와
    계산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현장 조치가 필요한 항목으로 재분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의 안전 주의 요소에 대한 추가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가 점검 결과의 수신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단말로 추가 점검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가 점검 결과에 따라, 현장 조치가 건설 공종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와
    판단 결과, 현장 조치가 건설 공종에 속하는 경우, 처리 담당자의 성과 점수에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하나의 건설 현장에 설정된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공종 코드 또는 공종 명칭을 기초로 다른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4 단말로부터 추가 점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와
    수신된 추가 점검 결과를 해당 항목에 대한 관리 감독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검 결과는, 건설 현장 내 근로자 또는 시설물에 부착된 안전 장치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관리 방법.
  10. 저장부;
    통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안전 관리자의 제1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을 감독하는 일일 안전 책임자 및 상기 일일 안전 책임자의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일일 안전 책임자의 제2 단말로 상기 중점 관리 항목을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중점 관리 항목에 대한 점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점검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처리 담당자의 제3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제3 단말로부터 현장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 항목에 대한 현장 조치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현장 조치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점검 결과는,
    공종, 시설물의 위치, 점검 이미지, 위험 요인, 개선 대책, 처리 담당 업체 정보, 점검 의견, 점검 실시 여부, 점검 통과 여부 및 현장 조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결과 중 개선 대책 또는 점검 의견을 텍스트 분석하여, 현장 조치 사항과 관련된 키워드를 선정하고, 상기 점검 결과에 포함된 점검 이미지, 상기 현장 조치 결과에 포함된 조치 사항 이미지 각각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기준으로 이미지 변화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이미지 변화 정보가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항목에 대한 안전 점검 종료를 결정하는, 안전 관리 서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02219A 2020-08-14 2020-08-14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3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19A KR102235036B1 (ko) 2020-08-14 2020-08-14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19A KR102235036B1 (ko) 2020-08-14 2020-08-14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036B1 true KR102235036B1 (ko) 2021-04-01
KR102235036B9 KR102235036B9 (ko) 2023-06-14

Family

ID=7544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219A KR102235036B1 (ko) 2020-08-14 2020-08-14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036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18B1 (ko) * 2021-06-17 2022-02-1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382648B1 (ko) * 2021-06-17 2022-04-0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82649B1 (ko) * 2021-06-17 2022-04-0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14386939A (zh) * 2021-12-27 2022-04-22 浙江新导向标识有限公司 一种施工监管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KR2022013574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30055453A (ko)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CN116055675A (zh) * 2022-08-29 2023-05-0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卷积神经网络的施工现场安全防护网安装监测方法
CN116070877A (zh) * 2023-03-06 2023-05-05 中建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驾驶舱的智慧建造管理方法和***
WO2023121158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복수의 설계 도면을 위치 기반의 지도 콘텐츠로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3121159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설계 도면의 정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3121156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건축 프로젝트의 협업툴 내에서 작성된 메모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하여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98957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안전업무를 온라인을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KR20230107988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KR102557127B1 (ko) * 2022-10-31 2023-07-20 디알씨티에스(주) 보안성이 강화된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KR102573540B1 (ko) * 2023-02-24 2023-09-01 (주)클라우드랩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KR102592275B1 (ko) * 2023-05-31 2023-10-19 임종룡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N117035564A (zh) * 2023-10-10 2023-11-10 江西恒信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程监理的施工质量监管***
KR10261656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엔서치랩 관리 시설물 운영 관리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034B1 (ko) * 2016-03-07 2016-11-11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8533097A (ja) * 2016-08-16 2018-11-08 テ キム,ヨン 動映像基盤の建物施工及び維持保守の統合管理方法
KR102041784B1 (ko) * 2018-11-26 2019-11-07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Ioe와 드론을 융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034B1 (ko) * 2016-03-07 2016-11-11 주식회사 씨엠엑스건축사사무소 건물에 대한 실시간 공사 감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8533097A (ja) * 2016-08-16 2018-11-08 テ キム,ヨン 動映像基盤の建物施工及び維持保守の統合管理方法
KR20200036531A (ko) * 2018-09-28 2020-04-07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41784B1 (ko) * 2018-11-26 2019-11-07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Ioe와 드론을 융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741A (ko) *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KR102564687B1 (ko) * 2021-03-31 2023-08-07 주식회사 포스코디엑스 위험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
WO2022265374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382648B1 (ko) * 2021-06-17 2022-04-0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82649B1 (ko) * 2021-06-17 2022-04-0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363618B1 (ko) * 2021-06-17 2022-02-1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22265373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22265371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30055453A (ko) * 2021-10-18 202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KR102539838B1 (ko) 2021-10-18 2023-06-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 기반의 건설 현장 안전 점검 장치
WO2023121156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건축 프로젝트의 협업툴 내에서 작성된 메모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하여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3121158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복수의 설계 도면을 위치 기반의 지도 콘텐츠로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3121159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설계 도면의 정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4386939A (zh) * 2021-12-27 2022-04-22 浙江新导向标识有限公司 一种施工监管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14386939B (zh) * 2021-12-27 2022-11-25 浙江新导向标识有限公司 一种施工监管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KR20230098957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안전업무를 온라인을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KR20230107988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N116055675A (zh) * 2022-08-29 2023-05-0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卷积神经网络的施工现场安全防护网安装监测方法
KR102557127B1 (ko) * 2022-10-31 2023-07-20 디알씨티에스(주) 보안성이 강화된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KR102573540B1 (ko) * 2023-02-24 2023-09-01 (주)클라우드랩 도면 연계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CN116070877A (zh) * 2023-03-06 2023-05-05 中建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驾驶舱的智慧建造管理方法和***
KR102592275B1 (ko) * 2023-05-31 2023-10-19 임종룡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61656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엔서치랩 관리 시설물 운영 관리 플랫폼 시스템
CN117035564A (zh) * 2023-10-10 2023-11-10 江西恒信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程监理的施工质量监管***
CN117035564B (zh) * 2023-10-10 2024-01-05 江西恒信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程监理的施工质量监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036B9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036B1 (ko)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US99165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based on dynamic assessment parameters
US202301774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d tracking asset inspections
KR101887056B1 (ko) 검측 업무용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20316930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reporting construction, completion, and inspection status
US8527550B1 (en) Bridge inspection diagnostic system
Guo et al. Improved safety checklist analysis approach using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case study
KR102287225B1 (ko) 전자근로계약을 위한 비콘 기반 노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3620A (ko)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KR20200017605A (ko)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10113103A (ko)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288903A (zh) 一种打卡***、方法和设备
KR101584485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스마트검사 시스템
US20170308869A1 (en) Workflow, assessment, verification, and evaluation (wave) system and method
WO2009158017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CN107219825B (zh) 提供检查指令的方法、施工现场管理***、存储介质
US20220188955A1 (en) Fire Service and Equipment Inspection Test an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US202003117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alidating order request
AU20152019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KR102046072B1 (ko) 노후 건축물의 화재 위험도 진단 평가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59579B1 (ko) 재난 발생 신고의 수보 정보에 따른 재난 대응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532723B1 (ko) 건설현장의 시공별 업무 관리를 적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Ângelo et al. Pay-Per-Sustainable-Use: A Case of Product Service System Innovation
KR102613526B1 (ko)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이음부 생애주기 관리방법
KR102639250B1 (ko) 공사 현장에 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서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