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275B1 -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275B1
KR102592275B1 KR1020230069687A KR20230069687A KR102592275B1 KR 102592275 B1 KR102592275 B1 KR 102592275B1 KR 1020230069687 A KR1020230069687 A KR 1020230069687A KR 20230069687 A KR20230069687 A KR 20230069687A KR 102592275 B1 KR102592275 B1 KR 10259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erver
safety
hazards
ris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룡
Original Assignee
임종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룡 filed Critical 임종룡
Priority to KR102023006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다른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위해·위험요인의 위험성에 대한 의견 정보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따른 직무별 직무 수행 및 평가와 사업장에서의 위해·위험요인 파악 및 후속 조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 뿐만 아니라, 현장의 위해·위험 요인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보건 업무 참여를 증대 및 도급에 따른 안전보건확보 의무를 다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Safety Management System Operating Method Using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따른 직무별 직무 수행 및 평가와 사업장에서의 위해·위험요인 파악 및 후속 조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 뿐만 아니라, 현장의 위해·위험 요인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보건 업무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근로자 참여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안전을 담당하는 부서나 개인에게는 법에서 요구하는 각종 문서 관리의 증대로 인해 관리 효율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되는 안전보건관리체제의 사업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담당자, 관리감독자 직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이들의 직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일선 산업현장에서는 혼란과 어려움이 업무에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현장의 위해·위험 요인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보건 업무 참여 확대가 필요함에도 이를 활성화하기에는 아직 어려운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도급에 대한 사고의 책임을 원청에서 요구되는 현실에 따라 도급에 대한 안전보건의무가 중요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따른 직무별 직무 수행 및 평가와 사업장에서의 위해·위험요인 파악 및 후속 조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 뿐만 아니라, 현장의 위해·위험 요인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보건 업무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다른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위험성에 대한 의견 정보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근로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다른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위험성에 대한 의견 정보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근로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따른 직무별 직무 수행 및 평가와 사업장에서의 위해·위험요인 파악 및 후속 조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 뿐만 아니라, 현장의 위해·위험 요인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보건 업무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체계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 및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체계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시스템은 안전 관리 대상 현장인 각종 사업장의 근로자가 소지하고 있는 근로자 단말기(100), 해당 사업장의 관리자(근로자를 관리 감독하는 관리 감독자, 안전 관리 대상 현장의 사업주인 안전보건관리 책임자, 각 직무를 보좌 및 지원하는 안전 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담당자 등)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200)는 후술하는 총 5개의 기능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각 단말기(100,300)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하여 근로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3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망은 관리 서버(200), 근로자 단말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근로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된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기능 모듈(경영방침·목표·실행관리 모듈)-
관리 서버(200)에 구비된 1 기능 모듈에는 목표 계획 수립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안전 관리자 또는 안전 관리 책임자 등의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목표 계획 수립부에 도 2에서와 같이 목표에 따른 세부추진계획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세부추진계획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에 따라 관리 서버(200)가 계획 이행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제1 기능 모듈은 기 입력된 세부추진 계획 정보와 계획 이행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정량적 성과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기능 모듈(안전보건조직 및 직무관리 모듈)-
도 5에서와 같이 관리 서버(200)에 생성 및 저장되어 있는 안전보건관리 책임자 등의 담당자 선임계에 해당 사업장의 대표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직책(직급) 정보를 입력하면, 제2 기능 모듈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안전보건관리체제에 따른 직무(직급)에서의 해당 직무(직급) 정보에 대응되는 업무 목록을 도 5에서와 같이 생성하여 담당자 선입계에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업장의 대표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담당자의 소속, 이름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하고 서명(날인)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제2 기능 모듈은 이와 같이 입력이 완료된 선임계를 저장함으로써 담당자의 선임 절차를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2 기능 모듈은 이와 같이 저장된 각 선임계에 포함되어 있는 선임 정보(소속, 직책, 이름, 업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선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체제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기능 모듈은 각 선임계에 포함되어 있는 선임 정보(소속, 직책, 이름)에 해당하는 감독자, 관리자, 책임자 등의 관리자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의 DB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관리자 단말기(300)로 해당 선임계를 각각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후 감독자, 관리자, 책임자 등의 각 선임된 담당자에 대한 사업장 내부 또는 외부의 평가자에 의한 평가 정보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평가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도 4에서와 같이 관리 서버(200)에 입력됨에 따라 제2 기능 모듈은 각 항목별로 입력된 평가 점수(예를 들어, 상급자에 의한 1차 평가 점수 및 외부 평가자에 의한 2차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담당자별 최종 평가 점수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 기능 모듈(위험성 평가 모듈)-
관리 서버(200)에 구비된 제3 기능 모듈은 사전 준비부, 위험성 평가회의 관리부, 위험성 평가부, 간이(쉬운) 평가부, 아차위험 신고부, 및 감소대책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전 준비부]
사전 준비부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관리 대상 사업장 관련 기본 정보(공정명, 세부작업명, 작업설명, 주요설비, 평가척도 등)와 기타 안전보건 정보(재해발생사례 유무, 운반수단 유형, 도급작업 유무, 작업허가 유무, 교대작업 유무, 작업환경측정 유무 등)이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 및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업무에서의 유해·위험요인을 가장 잘 알고 해당 업무를 진행하는 근로자가 위험성 평가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근로자 단말기(100)를 통해 참여 의견을 관리 서버(200)에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위험성 평가의 사전준비 진행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험성 평가회의 관리부]
위험성 평가회의 관리부에는 위험성 평가 실시 일정, 평가 방법 등의 위험성 평가회의에서의 회의록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 및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위험성 평가부]
한편, 사업장을 점검함으로써 위해·위험요인을 파악한 안전 관리자가 도 7에서와 같이 자신의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위험성 평가부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도 7에서와 같은 위해·위험요인 파악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자 단말기(300)의 화면을 통해 관리자가 도 7에서의 위험성 결정(다음단계) 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300)의 화면에는 위험성 결정을 위한 의견 입력 항목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자가 위험성 결정을 위한 의견 정보(예를 들면, 위험성 결정에 대한 찬반 의견, 위해·위험 결정의 필요성 및 개선 방향 등)를 입력함에 따라 위험성 평가부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위험성 평가부는 도 7에서의 위해·위험요인 파악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기 저장 및 등록되어 있는 다른 관리자의 단말기(300)로 송신하고, 이에 다른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다른 관리자가 입력한 위험성 결정을 위한 의견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위험성 평가부는 이와 같이 각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위험성 결정을 위한 의견 정보를 취합함으로써, 위험성 결정에 대한 각 관리자의 찬반 의견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결 등의 방식으로 위험요인 개선 필요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위험성 평가부가 위험요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위험성 평가부는 도 9에서와 같이 위험요인 감소대책 수립계획서를 생성하고, 이를 각 관리자의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각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300)를 통해 도 9에서와 같은 감소대책 수립계획서의 각 세부 항목을 입력함에 따라 위험성 평가부는 각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각 세부 항목이 입력된 감소대책 수립계획서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감소대책수립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감소대책 실행 담당자 및 실행 일정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해당 담당자의 단말기로 감소대책 실행 안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 서버는(200)는 업무별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QR코드를 생성 및 저장하며, 해당 업무를 진행하는 근로자가 업무 현장에 표시되어 있는 QR코드를 근로자 단말기(100)를 통해 독출하고, 이후 근로자 단말기(100)에 근로자의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참여 의견을 입력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근로자의 의견을 QR코드와 함께 근로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함으로써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간이(쉬운) 평가부]
한편, 관리자가 도 10에서와 같이 간이 평가부에 검색 키워드(예를 들면, 통로)를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하는 경우에 간이 평가부는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연관성이 있는 위해·위험요인(점검 항목)을 관리 서버(200)의 DB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위해·위험요인(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체크 리스트를 도 10에서와 같이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관리자는 각 점검 항목의 상하 이동 버튼을 통해 각 점검 항목의 순서(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점검 항목을 추가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간이 평가부는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도 11에서와 같은 체크 리스트법에 의한 수시 위험성 평가표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가 각 위해·위험요인에 대한 현재 위험성 검토 의견을 체크함에 있어서 '보완'으로 체크하는 경우에 '보완'으로 체크된 위해·위험요인에 대응되는 위험성 감소대책을 관리 서버(200)의 DB를 통해 검색하고, 이를 도 11에서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해당 위해·위험요인에 대한 개선 예정일자 정보를 입력하고 담당자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간이 평가부는 이후 개선 예정일자가 도래되는 경우에 관리자가 입력한 담당자의 단말기(300)로 도 11에서의 평가 대상 정보, 위해·위험요인 정보, 위험성 감소 대책, 개선 예정일 정보를 포함하는 개선 작업 지시 안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체크리스트법, 3단계법(상중하법) 등에 의한 간이 위험성 평가는 안전보건관리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중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위험성 평가 및 관리에 적합할 것이다.
[아차위험 신고부]
본 명세서에서 '아차위험'이란 근로자가 다치지는 않았으나 다칠뻔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의 위험을 말한다.
근로자는 작업중 아차위험을 경험한 경우 근로자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아차위험의 발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아차위험 신고부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
[감소대책관리부]
상술한 바와 같은 감소대책의 수립 정보에 기초하여 감소대책관리부는 도 12에서와 같은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담당자가 감소대책의 실행 완료일 정보 등을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감소대책관리부에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1 기능 모듈은 도 2에서와 같은 정량적 성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2에서와 같은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근로자 단말기(100)를 통해 근로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근로자는 감소대책 및 담당자의 감소대책 실행에 대한 각종 의견을 근로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근로자의 의견은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에 연관 저장되어 관리되고, 필요시 각 관리자들은 자신의 단말기(300)를 통해 각 근로자의 의견을 열람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4 기능 모듈(안전점검모듈)-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4 기능 모듈은 작업 시작전 점검부, 및 검사일정 관리모듈을 포함한다.
[작업 시작전 점검부]
사업장에서의 근로자의 작업 시작 전에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300)를 통해 위험성 평가 실시여부에서 '예'를 선택하고, 관리 서버(200)가 해당 선택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작업 시작전 점검부는 도 10에서의 위해·위험요인(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체크 리스트를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로 송신함으로써, 각 근로자는 작업전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관리감독자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근로자의 작업전 건강상태, 안전복장 및 보호구 착용상태를 사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검사일정 관리모듈]
검사일정 관리모듈에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한 위험기계기구설비에 대한 안전검사 관리 일정이 저장되어 있으며, 향후 안전검사 관리 일정이 도래되는 경우 검사일정 관리모듈은 사전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송신함으로써 안전검사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5 기능 모듈(도급용역 관리모듈)-
제5 기능 모듈은 수준 평가부, 안전보건 협의체부, 순회 점검부, 합동 점검부를 포함한다.
[수준 평가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자가 하도급(수급인) 업체의 정보(업체명, 사업자 등록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수준 평가부는 하도급(수급인) 업체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업체의 업종(예를 들면, 제조업 등) 및 신규 업체 여부 등의 업체 분류 정보를 DB를 통해 검색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업체 분류 정보에 대응되는 하도급 업체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 평가 항목을 DB를 통해 검색하여 도 13에서와 같이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수급인과의 주거래 업종에 따라 수급인에 대한 평가 기준을 상이하게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200)는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의 주거래 업종과, 신규거래, 계속거래 등의 거래 분류 정보에 따라 평가 지표를 차등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급업체에 대한 평가 점수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입력됨에 따라 제5 기능 모듈은 각 항목별로 입력된 평가 점수(예를 들어, 구매 담당자에 의한 1차 평가 점수 및 외부 평가자에 의한 2차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수급업체의 안전보건의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보건 협의체부]
안전보건협의체부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한 도급자와 수급자의 협의체의 회의 기록을 저장 및 관리한다.
[순회 점검부]
순회점검부는 하도급 업체에 대한 순회 점검 기록을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합동 점검부]
합동 점검부는 하도급 업체에 대한 도급인과 수급인의 합동 점검 기록을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관리 체계 운영 서비스가 구현된 어플리케이션(App) 또는 웹(Web)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근로자 단말기(100) 및 관리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의 관리 서버(200) 및 이에 포함된 각 모듈(module),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200)에 설치되거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근로자 단말기, 200: 관리 서버,
3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4)

  1. (a) 관리 서버가,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다른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위험성 결정을 위한 찬반 의견 정보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된 위험성 결정을 위한 찬반 의견 정보에 기초하여 위해·위험요인 개선 필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감소대책 실행 완료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감소대책의 정량적 성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제공받은 근로자가 근로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감소대책에 대한 의견을 상기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에 연관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인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3. 관리 서버에 있어서,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위해·위험요인 관련 정보를 다른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위험성 결정을 위한 찬반 의견 정보를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된 위험성 결정을 위한 찬반 의견 정보에 기초하여 위해·위험요인 개선 필요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감소대책 실행 완료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감소대책의 정량적 성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제공받은 근로자가 근로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감소대책에 대한 의견을 상기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에 연관 저장하는 것인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위해·위험요인의 감소대책 관리 테이블을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인 관리 서버.
KR1020230069687A 2023-05-31 2023-05-31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59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687A KR102592275B1 (ko) 2023-05-31 2023-05-31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687A KR102592275B1 (ko) 2023-05-31 2023-05-31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275B1 true KR102592275B1 (ko) 2023-10-19

Family

ID=8850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687A KR102592275B1 (ko) 2023-05-31 2023-05-31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2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36B1 (ko) *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47941B1 (ko) *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312738B1 (ko) *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941B1 (ko) *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235036B1 (ko) *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12738B1 (ko) * 2020-12-23 2021-10-14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aru et al. Rationale and criteria development for risk assessment tool selection in work environments.
KR102247941B1 (ko)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220027B1 (ko) 사업장 안전관리수준 평가 시스템
Nwankwo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systems in the process industry
JP6747936B2 (ja) 経営支援装置、経営支援プログラム及び経営支援方法
KR102438757B1 (ko)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KR102481223B1 (ko)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20133620A (ko)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KR20230041621A (ko)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 근로자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869B1 (ko) Tbm 전산화 및 안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07467B1 (ko) 능동형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2592275B1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체제를 이용한 안전 관리 체계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eñaloza et al. Safety-I and safety-II: opportunities for an integrated approach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R102421978B1 (ko) 공정안전관리 기반 디지털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Mutegi et al. Workplace safety, Employee safety attitudes and employee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firms
KR20210088369A (ko) 제어it 위탁운영 협력사의 업무보안 리스크관리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680B1 (ko)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Wilbanks Contractor safety prequalification: Background, current practice & new paths
KR20240092262A (ko)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ujawski et al. The mission dependency index: Fallacies and misuses
Ramalan et al. A Study on Human Factor That Lead To Tower Crane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 In Malaysia
Misztal et al. Model of areas for identifying risks influencing the compliance of technological processes and products
Chung et al. The application of RFID monitoring technology to patrol management system in petrochemical industry
Mohammad et al. Study on Safety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