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575B1 -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 Google Patents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575B1
KR102205575B1 KR1020207005961A KR20207005961A KR102205575B1 KR 102205575 B1 KR102205575 B1 KR 102205575B1 KR 1020207005961 A KR1020207005961 A KR 1020207005961A KR 20207005961 A KR20207005961 A KR 20207005961A KR 102205575 B1 KR102205575 B1 KR 10220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ail
longitudinal adjustment
rail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95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회프너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20005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36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who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81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mechanical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72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 B60N2/427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characterised by the triggering system electric or electronic trigg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 좌석(1)을 안내하고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길이방향 조절 레일(10),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에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는 변형 유닛(18), 및 차체의 하부에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25)를 포함하는, 상기 좌석 레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 좌석(1)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변형 유닛(18)은 충돌 시 상기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량 좌석이 변위되는 경우 주 이동 방향으로 변형 부재(19)를 변형시키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 부재(25)가 잠금에 의해 차체의 하부에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체결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차량 좌석(1)의 길이방향 조절 동안 상기 체결 부재(25)가 미리 결정된 제한선(8)을 넘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좌석이 예를 들어, 미래에 "자율 주행"을 위해 또는 이완 위치로서 가능하게 이루어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멀리 변위된 좌석 위치를 갖는 후방 영역에서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에도, 이 영역에서 충분한 정도로 탑승자를 보호하는 조치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좌석용, 특히 자동차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시 기계적으로만 트리거되는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해, 특히 종래의 전방 승객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의 작동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좌석 레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 설계는 탑승자 안전 조치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차량의 전방 좌석의 경우, 이것은 주로 좌석 안전 벨트 시스템, 벨트 인장기(belt tensioner) 및 전방 에어백과 같은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을 통해 달성되는데, 이는 충돌 후 비교적 늦은 단계에서 탑승자를 구속(restrain)하고 특히 머리와 목 부분에 대한 추가 보호 기능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인 보호 조치는 좌석 레일 모듈에 결합된 소위 좌석 기반 구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충돌 시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제어된 방식으로 충돌 임펄스를 생성한다.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닛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DE 10 2012 218 722 A1은, 차량 좌석의 전방 단부 및/또는 후방 단부에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고 충돌 시에 충격 에너지를 제어된 방식으로 소산시키기 위해 양 단부에서 관형 및 원추형으로 테이퍼(taper)진 변형 부재와 협력하는 변형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유닛에 센서 시스템 및 전자 제어 유닛이 할당된다. 센서 시스템은 관성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하고, 이 센서는 충돌의 매우 초기 단계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충돌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레이더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와 같은 예측 센서의 센서 신호도 추가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충돌의 심각성에 기초하여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유닛의 강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루프가 사용되는데, 이 루프는 관형 변형 부재의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단부를 둘러싸고 축 방향으로 조절된다.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유닛을 작동시키려면 적절한 전자 장치 및 제어 시스템을 요구하는데, 이는 전자 장치 또는 제어 시스템 또는 차량 전기 장치의 고장 시 추가적인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차의 새로운 내부 컨셉, 특히 '자율 주행'과 관련하여, 미래에는 일부 경우에 이전의 '종래의 좌석 위치'에 비해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의 작동 범위 밖에, 특히 전방 에어백의 작동 범위 밖에 있을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운전자 또는 전방 승객의 좌석 위치가 생길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주행하는 동안, 전방 승객은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효과적인 운전석 위치 '뒤에' 명백히 놓이고 직립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이완 위치(relax position)를 차량의 좌석 위치로 취할 수도 있다.
운전자와 전방 승객은 일반적으로 후방 좌석 행에 탑승자가 없거나 '적재 위치(stowage position)'로 다시 이동된 경우에만 언급한 새로운 좌석 및 탑승자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운전석 또는 전방 승객 좌석은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의 작동 범위를 벗어나 후방으로 매우 멀리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 시 추가적인 거리 및 이동 공간을 생성하여 탑승자 구속 시스템의 효과를 저하시켜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미래에 예를 들어 '자율 주행'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특히 새로운 유형의 운전자 또는 전방 승객의 좌석 위치에 있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간단하고 신뢰성 있고 효과적인 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제조되어 차량에 장착될 수 있고 차량 좌석의 매우 넓은 조절 범위에 걸쳐 승객 안전을 위한 신뢰성 있고 효과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 좌석용 개선된 좌석 레일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청구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좌석, 특히 자동차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이 제공되고,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은 상기 차량 좌석을 안내하고 길이 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길이방향 조절 레일,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에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는 변형 유닛, 및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차체의 바닥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좌석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변형 유닛은 충돌 시 상기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 좌석이 차량의 주 이동 방향으로 변위될 때 변형 부재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 부재는 잠금에 의해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상기 차체의 바닥에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차량 좌석이 미리 결정된 제한선을 넘어 상기 차량의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된다.
차량의 '주 이동 방향'이라는 용어는 특히, 차량이 운행 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일반적으로 전방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방에 대응하는 대부분의 운행 동안 차량이 주행하는 차량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각 길이방향 조절 레일은 일반적으로 차체의 바닥에 단단히 체결될 수 있는 하부 레일, 및 상기 하부 레일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차량 좌석이 체결되는 상부 레일을 갖는다. 적절한 좌석 위치는 잠금 장치에 의해 표준 방식으로 상부 레일을 하부 레일에 잠그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변형 유닛의 변형 부재는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변형에 의해 목표에 맞게 소산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변형 유닛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전방 단부와 차체 구획 사이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전방 단부와 차체의 관련 구획 사이에 그리고 또한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후방 단부와 차체의 관련 구획 사이에 배열된다.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특히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변형 부재는 특히 비-탄성적이고 비-가역적으로 변형되는 것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차량 좌석을 정상 상태에서 차체에 충분히 단단히 결합시키기 위해, 좌석 레일 모듈은 체결 부재에 의해 차체의 바닥에 잠겨진다. 이를 위해, 체결 부재는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정합 부재(mating member)에 억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부재 자체는 수형 억지 끼워맞춤 구조물, 특히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암형 억지 끼워맞춤 구조물, 특히 개구부 또는 수용부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정합 부재는 이에 대응하여 암형 억지 끼워맞춤 구조물, 특히 개구부 또는 수용부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수형 억지 끼워맞춤 구조물, 특히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좌석과 차체를 잠그고 견고히 결합시키는 이 잠금 효과는, 차량 좌석이 상기 언급된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제한선을 넘어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간단히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위치를 이렇게 해제하는 것은, 복잡하고 고장 나기 쉬운 전자 장치 및 센서 없이 좌석 레일 모듈이 체결 부재 또는 관련 잠금 해제 부재와 순수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언급된 제한선은 상기 언급된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분한 정도로 동작될 수 있는 전방 영역과, 상기 언급된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운전자 또는 전방 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더 이상 동작할 수 없는 후방 영역, 즉 주 이동 방향으로 후방으로 더 이동된 후방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 의해 적절히 규정된다. 이 후방 영역은 특히 차량 좌석이 예를 들어 미래에 '자율 주행'을 위해 채택될 수 있는 위치와 같은, 후방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변위된 좌석 위치를 차지하는 영역이거나, 또는 임의의 경우에 전방 좌석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효과적인 운전석 위치 '뒤'에 명백히 있고 직립해 있지 않을 수 있는 이완 위치를 좌석 위치로 차지하는 영역이다.
이 전이 영역과 상기 언급한 제한선의 정확한 위치는 차량 및 차량 좌석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존하고, 전방 승객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의 기술적 및 기하학적 설계에 의존하고, 차량 제조사의 사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좌석 레일 모듈의 간단한 기하학적 설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모든 요구 사항은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충족될 수 있다. 전술한 후방 영역에서는 운전자 또는 전방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추가 거리 및 이동 공간이 있어서, 차량 좌석의 편안한 거동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후방 영역에서 충돌 시, 즉 사전 설정될 수 있는 임계값보다 더 높은 가속도 발생 시, 변형 부재의 변형 가능성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소실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전방 영역에 도달할 때, 운전자 또는 전방 승객이 탑승자 보호 시스템을 통해, 특히 전방 에어백을 통해 적절히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좌석의 모든 위치에서 충분한 탑승자 안전이 적절히 보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underside) 상의 대응하여 형성된 정합 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차량 좌석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한선을 넘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정합 부재와 더 이상 맞물리지 않는다. 기계적 선-인장력(pretension)으로 인해, 상기 체결 부재는 차량 좌석과 차체 사이에 충분히 견고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정상 상태에서 정합 부재와 자동적으로 맞물린다. 그러나, 차량 좌석이 후방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고 전술한 '후방 영역'에 도달될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맞물림은 자동적으로 기계적으로 해제되어, 추가 보호 수단은, 특히 후술하는 2차 체결 부재에 의해 후방 영역에서도 차량 좌석과 차체 사이에 충분히 견고한 결합을 보장할 수 있어서, 이 기계적 결합은 상기 언급한 '전방 영역'에서보다 '후방 영역'에서 덜 강하다.
기계적 선-인장력을 통해, 체결 부재는 주 이동 방향으로 보았을 때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위치를 사실상 스캔할 수 있고, 체결 부재가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 또는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일이 전술한 후방 영역에서 구현되고, 체결 부재는 상기 전방 영역에서의 기계적 선-인장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되고, 이 제2 위치에서 체결 부재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정합 부재 사이의 전술한 기계적 맞물림이 신뢰성 있게 달성된다. 체결 부재가 길이방향 조절 레일에 기계적 선-인장력을 가하는 것으로 인해, 이러한 맞물림은 의도치 않게 다시 해제될 수 없지만, 길이방향 조절 레일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차량 좌석이 전술한 제한선을 넘어서 상기 언급한 후방 영역으로 다시 변위되는 경우에만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응하여 형성된 정합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에 슬롯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언급한 전방 영역에서 체결 부재로서 작용하는 수형 억지 끼워맞춤 구조물, 특히 스프링으로 바이어싱된 잠금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체결 부재가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에 기계적으로 선-인장력을 가하는 것으로 인해, 체결 부재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의 슬롯 구멍의 위치를 영구적으로 스캔한다. 차량 좌석을 후방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후방 영역을 규정하는 제한선이 오버런되면, 체결 부재의 잠금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여기서, 전방 영역은 단순히 주 이동 방향으로 슬롯 구멍의 위치에 의해 규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좌석에 결합되어 상기 주 이동 방향으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은 체결 또는 잠금 부재를 아래로 누르기 위해 프레서(presser)를 수용하고, 상기 프레서는, 상기 차량 좌석이 미리 결정된 제한선을 넘어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즉 상기 언급한 후방 영역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정합 부재의 맞물림을 해제하거나 잠금 해제한다.
상기 차량 좌석이 수동으로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상기 프레서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상부 좌석 레일에 의해 간단히 함께 운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서는 또한 상부 좌석 레일에 견고히 체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레서는 그 바로 위에 돌출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조절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상기 프레서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 내에 수용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길이방향 조절 장치의 구획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핀들 또는 웜 구동부의 구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러한 스핀들 또는 웜 구동부의 하우징의 구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하우징 구획에 직접 제공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구획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차량 좌석이 전기적으로 동작되어 변위되는 동안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또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을 따라 차량 좌석의 위치를 명확히 나타낸다. 이 위치는 체결 부재가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내부로 연장될 때 체결 부재의 기계적 선-인장력에 의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길이방향 변위 장치의 경우, 상기 프레서가,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핀들 또는 웜 구동부(15)의 구획으로 직접 형성되고, 차량이 변위될 때 또한 변위되는 경우, 특히 유리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설계가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서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경사져 있다. 상기 프레서의 전방 에지 또는 후방 에지에 도달하고 추가의 길이방향 조절이 수행될 때,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정합 부재와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프레서에 의해 점차적으로 점점 더 아래로 눌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합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그 후방 단부 근처에 배열되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전술한 전방 영역과 전술한 후방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을 규정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정합 부재, 특히 슬롯 구멍의 위치 및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전술한 제한선의 위치 및 전술한 후방 영역의 길이를 쉽게 규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부재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경사져 있다. 상기 프레서에 의해 더 아래로 눌려져 전술한 정합 부재, 특히 슬롯 구멍의 전방 에지 또는 후방 에지에 도달할 때,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정합 부재와의 맞물림이 최종적으로 완전히 해제될 때까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에 의해 점진적으로 점점 더 아래로 눌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한선의 위치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차량 좌석이 전방 에어백의 작용 범위 밖에 위치된 차량 영역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데, 여기서 전방 에어백의 작용 범위 밖에 위치된 차량 영역은 '자율 주행'과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새로운 좌석 위치의 범위에 대응하거나 또는 차량 좌석이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효과적인 운전자 좌석 위치 '뒤에' 명백히 위치된 상기 언급된 이완 위치의 범위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차량 좌석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30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0㎜ 초과하여 변위될 때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분히 효과적인 영역은,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의 조절 길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형 부재는 금속 벨로우즈(bellows)로 구성되고, 동일한 구성의 벨로우즈, 특히 대칭 윤곽을 갖는 벨로우즈가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 부재를 통해, 충돌 시 적절한 변형 특성 곡선은 간단하고 저렴한 표준 요소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벨로우즈는 바람직하게는 그 자체가 윤곽 대칭이어서, 인장 부하(tensile load) 및 압축 부하(compressive load)를 모두 견딜 수 있다. 벨로우즈를 전방 및 후방에서 변형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변형 특성이 쉽게 지정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변형 부재는 상호 교환 가능하여서, 심지어 좌석 레일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에 동일한 부품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로우즈에는 또한 상기 벨로우즈의 변형 특성을 적합한 방식으로 추가로 수정하기 위해 압축 또는 인장 로드가 할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벨로우즈의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점점 감소되는 제1 변형 범위를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이 변형 범위가 예를 들어 특히 심한 충돌 시 다 사용되면, 벨로우즈의 변형 특성 곡선은 제2 변형 범위에서 급격히 상승하여, 추가 압축 또는 인장 로드를 변형하기 위해 상당히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 도달하면 상당히 더 많은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변형 특성 곡선은 좌굴 거동(buckling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 직경/길이 비율, 및 다른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제2 변형 범위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 또는 인장 로드는 상기 벨로우즈의 중간에 수용된다. 상기 벨로우즈의 벽은 추가 압축 또는 인장 로드를 안내하고 고정하며, 특히 심한 충돌 시 상기 압축 또는 인장 로드가 좌굴되는 경우 파편 주변으로 제어되지 않게 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차량 좌석이 미리 결정된 제한선을 넘어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체결 부재의 잠금이 해제된 후에도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상기 차체의 바닥에 영구적으로 체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2차 체결 부재가 더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차량 좌석을 차체 바닥에 덜 견고하게 결합시켜서, 충돌 시, 즉 주 이동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최소 힘이 초과될 때 2차 체결 부재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충돌 시 2차 체결 부재가 해제될 때, 상기 차량 좌석의 언급된 후방 영역이 점유될 때, 충격 에너지는 전술한 변형 부재의 추가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추가로 소산되기 전에 2차 체결 부재에 의해 이미 소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차량 좌석이 전자 제어 시스템 및 센서 없이 "자율 주행"과 관련하여 전술한 새로운 좌석 위치 또는 전술한 이완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위치되더라도 충분한 승객 안전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으로부터 또는 상기 차체의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차체의 바닥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에 형성된 정합 원통형 수용부에 맞물리는 핀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 또는 돌출부의 기계적 특성 및 상기 핀이 대응하는 수용부에 억지로 맞물리면 전술한 후방 영역에서 차량 좌석의 바닥과 차량 좌석의 기계적 결합의 강성을 유리하게는 간단한 방식으로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주행 동안 또는 차량 좌석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정상 부하의 경우, 2차 체결 부재는 차량 좌석을 신뢰성 있게 고정시킨다. 충돌 시 가속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핀 또는 돌출부가 최종적으로 전단(sheared off)되어서, 이로 인해 충돌 시 핀 또는 돌출부가 전단될 때, 차량 좌석이 전방 승객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돌 시점에서 아직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은 영역에 초기에 위치된 경우에도 충격 에너지를 매우 상당히 소산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중심 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핀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근처의 핀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특히 실질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고, 상기 중심 핀은 정합 원통형 수용부에 유격 없이 또는 실질적으로 유격 없이 각각 수용된다. 상기 중심 핀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잠금 또는 체결 부재와 최단 공차 체인을 나타내어서, 상기 중심 핀이 충돌 시 제1 트리거 값을 직접 제공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근처의 핀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중심 핀보다 정합 원통형 수용부에 더 큰 유격을 두고 각각 수용되어, 이에 따라 충돌 시 지연된 방식으로 추가 트리거 값이 규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며, 이로부터 추가적인 특징, 장점 및 해결 과제들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승객 실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 및 그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2a는 체결 부재를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하기 직전의 상태에서 좌석 레일 모듈이 차체의 바닥에 비교적 견고히 결합된 정상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차량 좌석을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방으로 조절함으로써 체결 부재를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한 후의 상태에 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차량 좌석을 미리 결정된 제한선을 넘어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방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체결 부재를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한 후의 상태에서 및 충돌 시, 특히 전방 충돌 후 변형 부재가 변형된 후의 상태에서 도 2a의 좌석 레일 모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d 및 도 2e는 충돌 전 및 충돌 후, 특히 전방 충돌 후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의 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a는 충돌 전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충돌 동안 또는 충돌 후의 상태에서 도 3a의 좌석 레일 모듈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3c는 차량 좌석이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후방으로 변위된 후의 상태에서 도 3a의 좌석 레일 모듈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및
도 4b는 2차 체결 부재가 도 4a의 좌석 레일 모듈의 관련 수용부에 수용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본질적으로 동등한 요소 또는 요소 그룹을 나타낸다.
도 1은 자동차의 승객 실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100) 및 그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차량의 바닥(2) 및 그 전방 연결 구획(3)은 여기서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차량 제조사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구성된다. 특히, 전방 연결 구획(3)은 충돌 시 전방 방향으로, 즉 주 이동 방향(7)의 방향으로 좌석 레일 모듈(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다. 도 1에 따르면, 좌석 레일 모듈(100)은 2개의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을 포함하고, 2개의 길이방향 조절 레일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차량 바닥(2)에 체결되고, 각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은 차량 바닥(2)에 연결된 하부 레일, 및 이 하부 레일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연결 레버(11)에 의해 차량 좌석(1)이 체결된 상부 레일을 포함한다.
도 1의 경우, 좌석 레일 모듈(100)의 좌측 부분에서는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분히 효과적이지만, 차량 좌석(1)이 제한선(8)을 넘어 후방으로, 즉 좌석 레일 모듈(100)의 우측 부분으로 변위될 때에는,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최종적으로 더 이상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가정된다. 차량 좌석(1)을 차량의 후방으로 변위시키려면, 전방 차량 좌석(1)이 후방으로 변위되는 정도를 확장시키기 위해, 후방 차량 좌석(1)을 접거나 또는 전방 차량 좌석을 참조 부호(1')로 표시된 파선 영역으로 표시된 적재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후방 영역은 차량 좌석이 후방으로 상당히 변위될 수 있는 '자율 주행'과 관련하여 자동차의 새로운 내부 컨셉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이완 위치를 특히 전방 승객의 좌석 위치로 채택하는 것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위치에서 차량 좌석(1)은 반드시 직립된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어서, 이 좌석은 전방 승객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효과적인 운전석 위치 '뒤에' 명백히 위치될 수 있다.
도 2a는 좌석 레일 모듈이 차체의 바닥에 비교적 견고히 결합된 정상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의 추가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차량 좌석(1)이 전기적으로 작동되어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능 위치에서, 각각의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에 의해 공동이 형성되며, 이 공동에는 좌석의 위치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나사산 형성된 스핀들(13)이 수용된다. 나사산 형성된 스핀들은 기어 또는 구동 모듈(15)과 협력하고, 이 기어 또는 구동 모듈은 또한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공동에 수용되고 하우징(14)에 수용될 수 있다. 기어 또는 구동 모듈(15)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좌석이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은 구동 모듈(15)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나사산 형성된 스핀들(13)과 함께 기어 모듈(15)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길이방향 조절 레일이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구획(14)은 상부 레일의 내부에 돌출부 등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좌석 레일 모듈(100)의 길이 방향으로 차량 좌석(1)의 위치를 직접 나타낸다.
도 2a에 따르면,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에 슬롯 구멍(17)이 형성되고, 차량 바닥(2) 위 또는 내 리세스(26)에 체결 또는 잠금 부재(25)가 수용되며, 이 체결 또는 잠금 부재는 압축 스프링(27)에 의해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으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싱된다.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정상 상태에서, 전술한 제한선을 초과하지 않거나 후방으로 오버런하지 않을 때 및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분히 효과적일 때 잠금 부재(25)의 상부 구획은 하우징(14) 또는 돌출부의 하부 에지를 넘어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공동 내로 돌출된다.
차량 좌석(1) 및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상부 레일이 후방으로 더 변위될 때, 하우징 또는 돌출부(14)(이하, 일반적으로 프레서(14)라고 함)의 하부 에지는 최종적으로 잠금 부재(25)의 경사진 전방 에지와 접촉하게 된다. 도 2a에 따른 위치는 도 1에 따른 미리 결정된 제한선(8)의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데, 즉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분히 효과적인 전방 영역과,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더 이상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은 후방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 대응한다.
차량 좌석(1) 및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상부 레일이 후방으로 더 변위될 때, 잠금 부재(25)의 경사진 전방 에지는 최종적으로 프레서(14)의 후방 에지를 따라 슬라이딩한. 이를 위해, 프레서(14)의 후방 에지는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거나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좌석(1) 및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상부 레일이 후방으로 더 변위될 때, 잠금 부재(25)는 차량 좌석(1)이 미리 결정된 제한선(8)(도 1 참조)을 넘어 후방으로, 즉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더 이상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은 영역으로 더 변위될 수 있도록 프레서(14)에 의해 최종적으로 완전히 아래로 눌려진다.
이 상태에서, 잠금 부재의 경사진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여전히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에 있는 슬롯 구멍(17)의 영역에 위치된다.
차량 좌석(1)의 정상 상태에서, 즉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충분히 효과적인 상태인 미리 결정된 제한선(8)(도 1 참조) 전방 영역에서, 차량 좌석(1)은 길이방향 조절 레일(10) 및 잠금 부재(25)를 통해 차체 바닥(2)에 비교적 견고히 결합된다. 또한,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은,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이 레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차체 바닥(2)에 형성된 정합 수용부에 맞물리는 2차 체결 부재(20)를 통해 차체 바닥(2)에 체결됨으로써, 차량 좌석(1)과 차체 바닥(2)이 결합하는 강성을 더 증가시킨다.
도 2b에 따른 상태에서, 즉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더 이상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은 상태인, 미리 결정된 제한선(8)(도 1 참조)을 초과하거나 오버런한 후의 후방 영역에서, 잠금 부재(25)는 결합 해제되고, 차량 좌석(1)은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에 있는 2차 체결 부재(20)를 통해서만 정상 상태에서보다 덜 견고히 차체 바닥(2)에 결합된다.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후방 단부에 배열되고, 충돌 시 변형되는 변형 유닛(18)은,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이 높은 가속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인해 전방 연결 구획(3) 쪽으로 변위될 때, 충격 에너지를 추가로 줄이고 변형에 의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충돌 발생 시 두 영역에서 구속 수단으로 작용한다. 도 2b에 따르면, 변형 유닛(18)은 이를 위해 금속으로 만들어진 벨로우즈(19)를 포함한다. 벨로우즈는 산업 생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샤프트 단부들이 고정 정렬되지 않은 경우 토크 전달을 위해 특히 유연한 파이프 커넥터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또한 샤프트 결합부로서 사용된다. 전방 충돌 시, 압축력은 전방 변형 부재(19)에 작용하고, 대응하는 인장력은 후방 변형 부재(19)에 작용한다. 후방 충돌 시, 반대 상황이 발생하는데, 즉 전방 변형 부재(19)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후방 변형 부재(19)에 압축력이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디자인의 금속 벨로우즈가 전방 및 후방 변형 부재(19)에 사용된다. 따라서, 여기서 방향과 독립적인 모듈식 특성이 제공되며, 이에 동일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전방 변형 부재(19)와 2개의 후방 변형 부재(19)는 항상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는 대응하여 더 낮은 개별 부하를 갖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c는 충돌 시 변형 부재(19)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후의 상태에서 도 2a의 좌석 레일 모듈의 상태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c는 전방 충돌 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에 있는 금속 벨로우즈(19)는 비-가역적으로 압축되어,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은 연결 구획(3) 쪽으로 훨씬 더 전방으로 변위된다. 슬롯 구멍(17)의 후방 에지는 최종적으로 잠금 부재(25)의 경사진 후면 에지 위로 슬라이딩하고, 최종적으로 잠금 부재(25)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25)의 하면에 의해 수용부(26) 내로 더 아래로 눌려진다. 이 상태에서, 충돌에 의해 유도된 충격 에너지는 2차 체결 부재(20, 21)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특히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으로부터 핀(20, 21)이 굴곡되거나 심지어 전단되는 것에 의해 더욱 감소된다. 도 2b 및 도 2c를 비교하면 충돌에 의해 야기된 체결 부재(20, 21)의 위치가 상당히 변경되어 있는 것을 명확히 볼 수 있다.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의 상태에 대응하여, 도 2d 및 도 2e는 충돌에 의해 유도된 변형, 특히 전방 충돌에 의해 야기된 변형 전 및 후에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d 및 도 2e를 비교하면 충돌에 의해 야기된 2차 체결 부재(20)의 위치가 상당히 변경되어 있는 것을 명확히 볼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는 명백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는 후방 충돌 시에 신장되고,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는 후방 충돌 시에 압축된다.
도 3a는 충돌(전방 충돌) 전의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다. 금속, 특히 강철로 제조된 원통형 로드로서 편의상 구성되는 압축 로드(30)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와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압축 로드(30)는 변형 유닛(19) 내에 배열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 벨로우즈로 구성된 변형 부재(19)의 공동 내에 배열된다. 압축 로드(30)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상부 레일에 견고히 연결되고 또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공동 내에 수용되는 하우징 또는 프레서(14)에 견고히 연결된다. 후방 영역의 시작 시에, 즉 충돌 시 미리 결정된 제한선(8)(도 1 참조)이 초과되거나 오버런된 후 및 변형 부재(19)가 변형되기 시작할 때, 압축 로드(19)의 전방 단부는 차량 바닥(2)의 전방 단부에 있는 연결 구획(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여전히 배열된다. 충돌 시 변형 부재(19)가 더 변형될 때에만 그리고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이 전방 단부 쪽으로 더 전방으로 가압될 때 변형 부재(19)는 최종적으로 차량 바닥(2)의 전방 단부에 있는 연결 구획(3)과 접촉하고 나서, 최종적으로 파손되거나 좌굴될 때까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변형 부재(19)와 압축 로드(30)를 결합함으로써, 훨씬 더 강력한 제동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훨씬 더 줄일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는 명백한 바와 같이, 인장 로드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와 관련될 수 있다. 편리하게, 인장 로드는 금속, 특히 강철로 제조된 원통형 로드로서 설계되어,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력을 또한 대응하여 반대 방향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전방 탑승자 보호 시스템, 특히 전방 에어백이 효과적인 전방 영역,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5)가 잠긴 상태에 있는 전방 영역 내에 차량 좌석이 위치될 때 이러한 압축 또는 인장 로드(30)는 차체 바닥(2)을 통해 연결 구획(3)과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변형 부재(19)에 대해 배열된다. 압축 또는 인장 로드(30)의 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의 위치에 의해, 변형 부재(19)의 특성 곡선 경로는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석 레일 모듈을 도시하는 매우 단순화된 개략 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4b는 도 4a의 좌석 레일 모듈 상의 할당된 수용부(36)에 2차 체결 부재(20, 21)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다. 도 4b의 좌측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체결 부재는 중심 핀(21)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 중심 핀 또는 돌출부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근처 핀(20)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는데, 특히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배열된다.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각 중심 핀(21)은 정합 수용부(36)에 유격없이 또는 실질적으로 유격없이 수용된다. 이 중심 수용부(36)는 심지어 본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중심 핀(21)의 프로파일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근처의 각 핀(20)은 중심 핀(21)보다 정합 전방 및 후방 원통형 수용부(36)에 더 큰 유격을 두고 수용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21)으로 설계된 2차 체결 부재가 전단되거나 변형되기 위한 특정 트리거 임계값이 설정되도록 한다.
차량에 좌석 레일 모듈을 장착할 때, 대응하는 정렬 개념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베이스(A, B 및 C)가 사용된다. 좌석 레일 모듈의 바닥 지지 표면이 베이스(A)를 나타내고, 전방 및 후방 핀 연결부(20)가 베이스(B1 및 B2)를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좌석 레일 모듈(100)과 중심 전단 핀(21)이 최종 정렬된 것은 베이스(C)로 표현된다. 중심 전단 핀(21)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잠금 부재(25)와 가장 짧은 공차 체인을 나타낸다. 최소 조인트 간극(전이 끼워맞춤)을 제외하고는 상대적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심 전단 핀(21)은 또한 트리거 임계값을 한정하기 위한 1차 요소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 핀은 주로 직경, 재료 등에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잠금 부재(25)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잠금 부재(25)가 차단 또는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차체에 대해 좌석 레일 모듈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베이스(A, B 및 C)를 통해 좌석 레일 모듈을 정렬함으로써, 베이스는 또한 잠금 부재(25)와 기계적/기하학적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매우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어서, 그 동작의 안전성, 기능 유격, 조립 등이 또한 높은 안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조립, 정렬 및 공차 보상에 대한 상기 개념으로 인해, 전방 및 후방 전단 핀(20)은 좌석 레일 모듈이 충돌에 의해 변위할 때 시간과 공간 면에서 중간 전단 핀(21) 후에서만 능동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제1 능동 맞물림의 경로는 또한 장착 슬롯(36)의 설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시스템의 힘/변위 특성이 점차 변하는 방식은 또한 전체 장착 공간 면에서 중립인 최소 윤곽을 적응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임의의 경우에 제공되어야 하는 위치 설정 부재(위치, 개별 레일들 간의 상호 평행성, 정지 규정 등) 또는 이들의 논리적 정렬 설계 및 위치 보상이 여기서 원칙적으로 추가 비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분명한 기능적 부가 가치와 배가된 이익을 가져다주는 추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중간 전단 핀(21)의 영역에서는 주 이동 방향으로 정밀한 정렬이 달성되는 것에 의해, 측방향 유격만이 허용된다. 전방 및 후방 전단 핀(20)의 영역에서는, 장착을 위해 더 큰 슬롯 구멍(36)에 적절히 맞물리는 것에 의해 주 이동 방향으로 충분한 유격이 존재한다.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있는 변형 부재(19)는 전단 핀(20, 21)과 연결 구획(3)이 정렬된 부분과 차체에 고정 연결된 부분 사이의 위치 보상을 제공한다. 좌석 레일 모듈(1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서, 변형 부재(19), 특히 벨로우즈는 차체에 고정 연결되기 위해 정밀하게 정렬된 좌석 레일 모듈(10)의 추가 공차 체인을 보상하기 위해 유연한 인터페이스를 자동적으로 제공한다.
전방 및 후방 전단 핀(20)을 장착하기 위해 슬롯 구멍(36)은 전방 충돌 및 후방 충돌 시 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부하 영향의 특정 차이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보상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좌석 레일 모듈에서 후방 전단 핀(20) 및 그 슬롯 구멍(36)의 특정 설계와 함께, 예를 들어, 2개의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가 여기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매우 섬세한 적응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도, 제안된 시스템의 단순성이 자명함과 동시에 최대의 적응성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다단 시스템은 충돌 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고 내부 논리 구조에 의해 완전히 제어된다. 충돌 시 거동을 설정하고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특히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중심 전단 핀(21)에 의해 한정되는 초기 트리거 임계값;
- 전방 전단 핀(20)에 의해 한정되는 제2 트리거 임계값;
- 후방 전단 핀(20)에 의해 한정되는 제3 트리거 임계값;
- 전방 전단 핀(20)이 변위하는 것을 정지부로 제한하는 장착부에 사용되는 전방 슬롯 구멍(36)에 의해 한정되는 제4 트리거 임계값;
- 후방 전단 핀(20)이 변위하는 것을 정지부로 제한하는 장착부에 사용되는 후방 슬롯 구멍(36)에 의해 한정되는 제5 트리거 임계값;
- 전방 변형 부재(19)(도 2a 참조)에 의해 한정되는 제6 트리거 임계값; 및
- 후방 변형 부재(19)(도 2d 참조)에 의해 한정되는 제7 트리거 임계값.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핀(20, 21)은 표준화된 좌석 레일 모듈에 의해 차량에 따라 심지어 다른 트리거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도록 수, 재료(전단 강도) 및 직경이 추가로 적응되고 변경될 수 있다.
1: 차량 좌석(좌석 등받이 직립)
1': 차량 좌석(좌석 등받이 접힘)
2: 차체 바닥
3: 바닥(2)의 전방 단부에 있는 연결 구획
4: 좌석 레일 모듈의 후방 단부에 있는 연결 구획
6: 탑승자
7: 주 이동 방향
8: 제한선
10: 길이방향 조절 레일
11: 연결 레버
12: 연결 소켓
13: 나사산 형성된 스핀들
14: 하우징/프레서
15: 기어 또는 구동 모듈/스핀들 구동부
16: 스핀들(13)용 연결 구획
17: 리세스
18: 변형 유닛
19: 변형 부재, 특히 금속 벨로우즈
20: 2차 체결 부재
21: 중심 2차 체결 부재
25: 잠금 부재
26: 차체 바닥(2)의 수용부
27: 압력 스프링
30: 추가 변형 부재
35: 좌석 레일 모듈의 구획
36: 슬롯 구멍
100: 좌석 레일 모듈

Claims (21)

  1.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로서,
    상기 차량 좌석(1)을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 좌석(1)을 안내하고 길이 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길이방향 조절 레일(10),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에 체결되거나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변형 유닛(18), 및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차체의 바닥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25)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 유닛(18)은 충돌 시 상기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 좌석이 주 이동 방향으로 변위될 때 변형 부재(19)를 변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25)는 잠금에 의해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상기 차체의 바닥에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25)는 상기 차량 좌석(1)이 미리 결정된 제한선(8)을 넘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레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25)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싱되고,
    상기 체결 부재(25)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 상의 대응하여 형성된 정합 부재(17)와 맞물리고,
    상기 체결 부재(25)와 상기 정합 부재(17)의 맞물림은 상기 차량 좌석(1)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한선(8)을 넘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해제되는, 좌석 레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여 형성된 정합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에 슬롯 구멍(17)으로서 형성되는, 좌석 레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좌석에 결합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 내에 프레서(presser)(14)가 수용되고, 상기 프레서(14)는 상기 차량 좌석(1)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한선(8)을 넘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체결 부재(25)와 상기 정합 부재(17)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좌석 레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서는 상기 차량 좌석이 수동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는 동안 운반되는, 좌석 레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서는,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에 수용되는 길이방향 조절 장치(15)의 구획으로서 형성되는, 좌석 레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서는,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에 수용되는 스핀들 또는 웜 구동부(15)의 구획으로서 형성되는, 좌석 레일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프레서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경사져 있는, 좌석 레일 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17)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후방 단부 근처에 배열되는, 좌석 레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25)의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경사져 있는, 좌석 레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선(8)의 위치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차량 좌석이 전방 에어백의 작동 범위 밖에 배열되는 차량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좌석 레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25)는 상기 차량 좌석(1)이 상기 주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300mm 초과하여 변위될 때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좌석 레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25)는 상기 차량 좌석(1)이 상기 주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350mm 초과하여 또는 400mm 초과하여 변위될 때 기계적으로 잠금 해제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좌석 레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벨로우즈(19)로서 형성되고, 동일하게 형성된 벨로우즈(19)가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제공되는, 좌석 레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19)의 변형 특성을 수정하기 위해 압축 또는 인장 로드(30)가 상기 벨로우즈(19)와 관련되는, 좌석 레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또는 인장 로드(30)는 상기 벨로우즈(19)의 중간에 수용되는, 좌석 레일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레일 모듈을 상기 차체의 바닥에 영구적으로 체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2차 체결 부재(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상기 주 이동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최소 힘이 초과될 때 해제되는, 좌석 레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하면으로부터 또는 상기 차체의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차체의 바닥에 또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하면에 형성된 원통형 수용부에 맞물리는 핀(20, 21) 또는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좌석 레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중심 핀(21)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핀 또는 돌출부는,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근처의 핀(20)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중심 핀(21)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대응하여 형성된 원통형 수용부(36)에 유격 없이 또는 실질적으로 유격 없이 각각 수용되는, 좌석 레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근처의 핀(20)은, 상기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중심 핀(21)보다 대응하여 형성된 원통형 수용부(36)에 더 큰 유격을 두고 각각 수용되는, 좌석 레일 모듈.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체결 부재는 길이방향 조절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 위치에 각각 배열된 중심 핀(21)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좌석 레일 모듈.
KR1020207005961A 2017-08-02 2018-07-31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KR102205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7534.2A DE102017117534A1 (de) 2017-08-02 2017-08-02 Sitzschienen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zur Fahrzeugsitzverzögerung im Crashfall
DE102017117534.2 2017-08-02
PCT/EP2018/070674 WO2019025408A1 (de) 2017-08-02 2018-07-31 Sitzschienen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zur fahrzeugsitzverzögerung im crashf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956A KR20200054956A (ko) 2020-05-20
KR102205575B1 true KR102205575B1 (ko) 2021-01-20

Family

ID=6314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961A KR102205575B1 (ko) 2017-08-02 2018-07-31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12179B2 (ko)
KR (1) KR102205575B1 (ko)
CN (1) CN111132871B (ko)
DE (1) DE102017117534A1 (ko)
WO (1) WO2019025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8398B4 (de) * 2018-07-30 2020-10-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schienen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zur Fahrzeugsitzverzögerung im Crashfall
JP7247626B2 (ja) * 2019-02-12 2023-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構造
DE102020122698A1 (de) 2020-08-31 2022-03-03 Sitech Sitztechnik Gmbh Elektrische Ver- und Entriegelungseinrichtung einer Sitzschiene
DE102020124396A1 (de) 2020-09-18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Sitzschienendämpfer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EP4052959A1 (de) * 2021-03-04 2022-09-07 IMS Gear SE & Co. KGaA Sitzlängsverstelleinheit, sitzanordnung und kraftfahrzeug
DE102021106948A1 (de) 2021-03-22 2022-09-22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mindestens einem Insassen und/oder Gepäck in einem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Vorrichtung
CN114604142B (zh) * 2022-03-10 2023-07-07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驾驶安全保护的实时监测警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9772A (en) 2000-12-08 2002-06-12 Ford Global Tech Inc Motor vehicle safety seat arrangement
EP2949503A1 (en) 2013-01-23 2015-12-02 Delta Tooling Co., Ltd. Vehicle seat
EP3243695A1 (en) 2016-05-10 2017-11-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020A (en) * 1971-09-20 1975-11-04 Amin Melhem Saab Vehicle safety apparatus
DE2216378A1 (de) * 1972-03-30 1973-10-18 Reinhard Hilkhausen Auffangsitz
US5222402A (en) 1991-09-05 1993-06-2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Horizontal seat position adjuster
US5482351A (en) * 1993-07-19 1996-01-09 Erda, Inc. Aircraft seat with crash absorbsion mechanism
DE19815283C2 (de) 1998-04-06 2000-07-13 Brose Fahrzeugteile Spindel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SE0403155D0 (sv) * 2004-12-22 2004-12-22 Volvo Lastvagnar Ab Force-limiting seat mounting means
DE202007006908U1 (de) 2007-05-14 2008-09-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höhenver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sowie ein Kraftfahrzeugsitz
DE112010005253B4 (de) * 2010-02-11 2024-03-1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vorrichtung mit einem an einer Führungsschiene angeordneten Verstellgetrieb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rstellvorrichtung
JP5545835B2 (ja) * 2010-04-28 2014-07-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DE102011103225B4 (de) * 2011-06-01 2013-04-25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DE102011113789B4 (de) * 2011-08-29 2014-04-2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KR101272933B1 (ko) 2011-12-09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DE102012218722A1 (de) 2012-10-15 2014-04-17 Robert Bosch Gmbh Fahrzeugsitzverzögerungseinheit und Verfahren zum Aktuieren einer Fahrzeugsitzverzögerungseinheit
CN202966008U (zh) * 2012-11-23 2013-06-05 长丰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座椅固定支架的加强装置
DE102013102224B4 (de) 2013-03-06 2018-05-30 Faurecia Autositze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Schienenführung eines Fahrzeugsitzes und Schienenführung
JP5846391B2 (ja) 2013-03-14 2016-01-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EP3789238B1 (en) * 2019-09-04 2022-12-07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n energy absorbing mounting structure
DE102020108799B3 (de) * 2020-03-30 2021-07-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tzschienenpaar zur Längs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9772A (en) 2000-12-08 2002-06-12 Ford Global Tech Inc Motor vehicle safety seat arrangement
EP2949503A1 (en) 2013-01-23 2015-12-02 Delta Tooling Co., Ltd. Vehicle seat
EP3243695A1 (en) 2016-05-10 2017-11-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5408A1 (de) 2019-02-07
KR20200054956A (ko) 2020-05-20
CN111132871A (zh) 2020-05-08
US20200307425A1 (en) 2020-10-01
DE102017117534A1 (de) 2019-02-07
CN111132871B (zh) 2020-10-30
US11912179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575B1 (ko) 충돌 시 차량 좌석을 감속시키기 위한 차량 좌석용 좌석 레일 모듈
EP1700776B1 (en) Side impact load transmitting structure
US9718386B2 (en) Vehicle seat having a seatbelt anchor bracket
CN109476244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JP4833261B2 (ja) 自動車用制御盤装置
CN112533789B (zh) 用于在碰撞事件中车辆座椅减速的车辆座椅的座椅导轨模块
WO2021043071A1 (en) An energy absorbing mounting structure
US6983954B2 (en) Airbag module for motor vehicles
US6719369B1 (en) Child seat arrangement on a motor vehicle seat
JP7063287B2 (ja) 車両用シートの乗員保護構造
KR20140105580A (ko) 사고시 차량 시트의 후방 변위를 선택적으로 감시 및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US8398144B2 (en)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KR102234593B1 (ko) 차량용 시트 구조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US20200223488A1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CN113994060A (zh) 包括用于在碰撞情况下阻止车门打开的装置的车门
CN111016753A (zh) 一种车辆及安全座椅
JP3489160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アンカ配設構造
KR200227060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
KR10080284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앵커플레이트 조립구조
JP4272090B2 (ja) 乗員保護装置
US10583800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1972332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
KR100536374B1 (ko) 차량 시트 레일 보강 구조
JP2021133791A (ja) ラッププリテンショナ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