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206B1 -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206B1
KR102205206B1 KR1020200009143A KR20200009143A KR102205206B1 KR 102205206 B1 KR102205206 B1 KR 102205206B1 KR 1020200009143 A KR1020200009143 A KR 1020200009143A KR 20200009143 A KR20200009143 A KR 20200009143A KR 102205206 B1 KR102205206 B1 KR 10220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extract
fermentation
antibacterial
deodor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825A (ko
Inventor
윤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Publication of KR2020009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악취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현저하게 향상된 항균력 및 살균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M 발효 대사산물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도 부여되어 활성산소와 프리라디칼의 발생을 억제하여 친환경적이며, 대마추출물과 같은 천연자연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하여 무독성 및 무자극성으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Antibacterial deodorization composition comprising EM fermentation metabolites and cannabis extracts and composi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M(effective microorganis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또는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과 대마줄기 추출물 및 대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오염물 등을 미생물, 세균이 섭취하여 분해한 경우에는 강한 피부자극에 의한 염증이 유발되고,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의 세균들에 의해 심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인체의 분비물에 오염된 의류, 침구류, 신발 등 일상용품에서도 세균들이 번식하여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 또는 주택 등의 경우, 습도 및 온도 조건이 맞는 구석진 곳 또는 옷장, 신발장, 침대 밑 등에서는 세균이 섭취할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박테리아, 진균류, 병원성균, 곰팡이균 등과 같은 각종의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호흡기질환, 가려움증, 발진 등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실내에 악취를 발생시킨다.
한편, 위와 같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미생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유기계 또는 무기계 합성 항균 탈취제가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이런 종래의 화학약품을 합성하여 항균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국내 특허등록 제10-118011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학약품으로 합성된 항균 탈취제는 옷장, 신발장, 사무실, 거실 등에서 비치하여 사용될 때 방출되는 항균 탈취제에 의한 호흡기질환, 가려움증, 발진 등 인체에 유해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피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에는 피부를 부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균 탈취제는 염소계 소독제인 락스(Rox)류가 대표적이다. 락스는 차아염소산(HClO)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항균 및 탈취효과를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지만, 사용시 발생하는 염소가스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불쾌감과 인체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므로 주방과 주방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주방용 세정제는 주로 계면활성제, 세정보조제, 유효성분, 향, 물 등으로 조성된다. 이들 세정제 성분들 중 세척 성능과 기포성을 갖는 것은 주로 계면활성제이며, 특히 액체 세정제에서는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주방 오염 중의 주요인인 유성 오염 및 찌든 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충분한 제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특히, 생선, 육류, 물비린내, 조리 후에 나는 음식 냄새 특히 음식 조리 및 식기 세척 시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하여 많은 종류의 세균이 번식하며 생기는 염기성의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등의 아민화합물, 산성의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 등의 황화 화합물, 그리고 휘발점이 낮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의 냄새는 종래의 주방용 세정제로 제거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탈취 효과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첫째, 화학적 제거방법으로는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항균 및 악취 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항균 및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항균 및 냄새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둘째, 물리 화학적 제거방법으로는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항균 및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시키거나, 고비점의 용제,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유동 파라핀, 고급 알코올,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항균 및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셋째, 생물 화학적 제거방법으로서는 양성 계면활성제, 살균제 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 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 효소, 세균, 효모등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이 유기산을 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넷째, 감각적 항균 및 탈취방법으로는 주로 암모니아, 아민, 산,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페놀, 인돌, 방향족, 폴리아로마틱 등의 염기성 화합물 또는 휘산성 화합물과 티올, 머캅탄, 설파이드와 같은 황화 화합물 등이다.
지금까지 항균 및 탈취 기술은 성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제거가 아니라, 주로 향을 이용하여 악취 등이 발현되는 것을 막는 마스킹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는데, 이 방법은 향이 휘발 되면 악취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최근에는 항균 및 탈취를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항균 탈취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환상 다당류인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금속미네랄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스킹 향을 첨가하여 의류 및 섬유표면에 분무하여 탈취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이것은 향으로 마스킹하는 동안 금속이온이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키고 수분이 건조되는 동안 사이클로 텍스트린이 분해되 항균 및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섬유에 대한 손상이 거의 없고, 실내의 생활 악취와 담배 냄새 등의 휘산성 취기 물질에 대해서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나, 피지 오염이나, 배설물 등의 악취 등의 염기성 악취와 주방 내의 수분으로 인한 세균 번식에 의한 부패취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코즈로 구성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항균제와 방부제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미생물이 발생하여 번식될 수 있고 장기간 남아 있을 경우에도 곰팡이가 쉽게 증식하게 되어 냄새가 나거나 변색시키게 되는 원인이 됨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EM(Effective Micro-organisms, 유용 미생물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생물 중에서 예전부터 인류가 음식과 의료분야에 사용해온 유용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배양한 미생물 복합체를 말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이 EM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균종이며, 이들 균들 간의 복잡한 공존공생관계에서 만들어 내는 발효 생성물의 항산화력이 EM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EM은 1982년 일본 류큐대학 농학부 히가 테루오 교수에 의해 처음 개발된 액상의 배양액으로 1970년대부터 근대농업이 결점 (연작장애, 약제내성 병충해문제와 농약과 화학비료에 의한 환경오염과 파괴문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생물 응용에 착수했다. 행운도 뒤따라서 1980년에 완성하여 1982년부터 보급하기 시작한 복합 유용미생물 공생체이다.
시험해 본 미생물은 2000여종, 그 중에서 최종적으로 안정성이 확인되고 PH 3.5이하에서 공존할 수 있는 미생물 5과 10속 81종이 남았고 그것을 그대로 EM으로서 실용화 시켜 처음에는 주로 농업 분야에 많이 사용 되었다.지금에 와서는 EM의 효능과 능력이 검증 됨에 따라 국내외의 생활분야, 건축 및 인테리어분야, 식품 분야와 의류분야까지 그 용도의 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55개국에서 제조를 하며 150여개 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EM은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천연물 100%의 재료로 만들어 진다.
1) 효모균 : 효모균은 주로 발효와 합성을 주도하는 균으로 17세기 네덜란드인 리우벤훅(Antony van Leeuwenhoek, 1632∼1723)이 발견하고, 세상을 놀라게 한 미생물이다. 우리에게 친숙한 빵, 맥주, 와인, 막걸리 등 알코올의 합성에 없어서는 안될 미생물이다. 효모균은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대량 합성하는 능력이 있으며 토양 속에서는 질 좋은 미생물을 생산하기 위한 먹이가 된다.
2) 유산균 : 유산균은 분류상 세균의 일종으로 당분을 유산(乳酸)으로 바꾸는 작용을 한다. 다른 미생물과 비교적 잘 공존 공생하는 특징이 있다. 1857년 파스퇴르(Pasteur)가 최초로 발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임이 확인되고 있다. 유산균은 요구르트 치즈 등을 만들때 많이 사용되는 미생물로 부패하기 쉬운 물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장(整腸)작용, 면역기능향상, 항(抗)종양성, 콜레스트롤 억제, 혈압조정작 용 등을 한다.EM에서는 유기물을 최초로 발효, 분해 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유해균을 억제하고 좋은 균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3) 광합성 세균 : 광합성 세균은 약 35억년 전, 지구에 찾아온 최초의 생물로 식품 가공에서는 치즈와 어장(열대지역에서 생선으로 만든 간강)에 일부 존재하는 미생물로 효모, 유산균과 공존함으로써 빠른 합성과 발효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EM속의 장노(長老)격인 미생물로서 호기성, 혐기성미생물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 유기영양균(아조토박타, 효모, 유산균 따위)과 공생하면서 질소를 고정한다.
4)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의 상관 관계 : 그림에와 같이 이들 미생물들은 상호 공존 관계에 있으며 광합성 세균이 유독 물질을 먹고 유익한 물질을 생산 하면 유산균과 효모가 이를 먹고 또다시 유해 물질을 뱉어 내고 다시 광합성 세균이 유해 물질을 먹어 치우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주변 환경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5) 사상균군
사상균(곰팡이)이라면 부패,변질을 연상하지만 유효미생물에 사용되고 있는 사상균은 알콜발효에 사용되는 아스펠지루스속이 중심되어 효과적이다. 알콜의 생성력이 강하기 때문에, 구더기나 그 밖의 유해곤충의 발생을 방지하는 힘이 있으며, 악취의 분리에도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EM은 항산화물질 생성, 항산화 파동 생성, 비이온화, 저분자화의 핵심적 기능으로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데 있다. 각종 미생물들의 상관관계에서 생성된 항산화 물질은 인체 및 각종 음식류, 과일, 건축물, 금속류 등에 발생하는 활성 산소를 말끔이 제거해 주는 탁월한 능력이 있다. 또한, 여기서 생성된 항산화 파동은 강력한 항산화력을 지니고 있고, 해로운 중금속의 이온화를 방지해 주며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여 저분자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EM은 친환경성, 고품질성, 대중성, 지속 가능성이 있으며, EM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십만 종의 미생물 중에서 인체에 무해한 미생물만을 엄선하여 만든 미생물 복합체로 친환경적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미생물이다. 아울러 항산화물질의 생성으로 보존성이 높아 고품질이 오래 지속되며 누구라도 쉽게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사용으로 건강과 생활의 질을 높일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항균 및 탈취 성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산균 또는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과 대마추출물을 특정한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이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곰팡이, 세균 등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및 탈취기능이 우수한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effective microorganis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마추출물은 대마줄기 추출물 및 대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과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거나,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과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이 1:1 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거나,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과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이 1:1:1 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이 10 중량 10,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이 0.5 중량%,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이 0.5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또는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EM(effective microorganis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방법은 대마줄기 또는 대마뿌리를 건조한 후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로 72시간동안 상온추출하는 단계, 상기 상온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대마줄기 추출물 또는 대마뿌리 추출물을 조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및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와 EM(effective microorganism) 발효 대사산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우수한 악취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현저하게 향상된 항균력 및 살균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M 발효 대사산물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도 부여되어 활성산소와 프리라디칼의 발생을 억제하여 친환경적이며, 대마추출물과 같은 천연자연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하여 무독성 및 무자극성으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디스크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assay)에 의한 실시예 4의 배합물의 항균 활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최소저해농도법(MIC assay)에 의한 실시예 4의 배합물의 항균 활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이하 '항균 탈취제 조성물'이라 함)은 EM(Effective Microorganism, 유용미생물)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마추출물은 대마줄기 추출물 및 대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와 같은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 대사산물일 수 있다. 각 유용 미생물에 의한 발효 대사산물의 조성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 대사산물일 수도 있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1
본 발명의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액체, 고체 또는 반고체와 같은 젤리형으로서 그 형상에 무관하게 임의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액체 제제로 제형될 경우 분무 또는 스프레이 방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체 또는 젤리형으로 제형화될 경우에는 공기 중에서 자연스럽게 휘발되거나 물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액체, 분말 또는 젤리형 세정제 또는 세척제에 추가의 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세정제 또는 세척제에 항균 및 탈취 효능을 부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악취 원인 물질을 단순히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악취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현저하게 향상된 항균력 및 살균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M 발효 대사산물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도 부여되어 활성산소와 프리라디칼의 발생을 억제하여 친환경적이며, 단삼 추출물과 같은 천연자연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하여 무독성 및 무자극성으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에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가려움증을 진정 및 완화할 뿐 아니라, 피부에 분무할 경우 피부의 매끄러움 및 부드러움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과 대마줄기 추출물을 1 : 1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과 대마뿌리 추출물을 1 : 1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 대마줄기 추출물 및 대마뿌리 추출물을 1 : 1 : 1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및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마줄기와 대마뿌리는 수확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햇볕이 들지 않는 건냉한 곳에서 자연건조한 후 추출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건조된 상기 대마줄기 및 상기 대마뿌리를 잘게 자르고 일정량을 취하여 각 시료에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로 72시간동안 상온추출 하였다. 추출물을 감압농축기(Rotary evaporatio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항균 효능 평가를 위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시료의 추출 수율은 대마줄기 2.00%, 대마뿌리 0.70% 로 나타났다.
한편 이렇게 제조된 상기 대마추출물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각각 배합하여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에의 실험에서는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에버미라클의 EM-1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원액을 1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효능검증에 사용한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와 같은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 대사산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세균감소율 측정
시험예 1에서 항균활성 평가를 위해 사용된 균주는 KCTC(Korea Collection for Type Cultures)로부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균주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배합물의 항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세레우스균 균주는 모두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등 최적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예비실험을 통하여 배양액의 탁도와 집락(colony) 개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농도가 조절된 각각의 균주 배양액을 한천평판(agar plate) 위에 1mL씩 분주하여 도말하고 24시간 후 집락(colony)를 카운트하여 초기의 세균농도로 하였고, 배양액에 항균활성이 있는 배합물을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초기세균농도 측정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한천평판(agar plate)에 도말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집락(colony)을 카운트하여 세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추출물의 용매인 0.5% DMSO 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알려진 바와 같이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57.2%~ 71.6%의 세균감소율을 나타냈다. 또한,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을 혼합한 배합물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모두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세레우스균 각각에 대해 99.9% 이상의 세균 감소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같이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탈취제를 제조할 경우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2
<시험예 2>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 효능 평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의 배합물의 탈취 효능 평가는 환경부의 환경표지 인증기준 EL608:2017. 탈취제에서 규정한 품질관련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SPS-KCLI2218-6218, 검지관식 가스측정기 방법으로 탈취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용기는 냄새 성분이 흡착되거나 방출되지 않는 10 L 크기의 밀폐 용기를 사용하였고, 탈취제 시험 시료를 분사할 시료 분사구와 시험용기 내의 가스를 채취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분사구를 부착하여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였다.
초기 냄새 성분을 일정하게 하기위해 암모니아를 아세톤 용매로 희석하여(50 μmol/mol) 사용하였다. EM과 대마부산물 추출물의 배합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시료 분사구를 통하여 일정량 분사주입하고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잔존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냄새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바탕시험(Blank test)을 실시하고, 냄새성분의 농도 감소율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함으로서 탈취효과를 평가하였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3
가스 검지관 상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 중의 특정 가스와 검지제가 반응하여 색이 변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반응하기 때문에 변색층이 끊임없이 생겨서 변색층의 끝부분의 눈금을 읽으면 특정 가스의 농도(ppm:part per million, 백만 분의 1)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가스 채취기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냄새 성분과 예상 농도 범위에 해당하는 직독식 검지관(암모니아 검지관, 측정범위 : 2.5-200 ppm)을 끼워 사용하였다. 정해진 시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잔존 가스농도를 측정하고, 가스 검지관으로 가스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는 99% 이상으로 표현했다. 99% 이상으로 표현하는 것은 소수점 단위의 가스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즉,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만 분사하였을 경우 오히려 냄새성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의 발효에 의한 냄새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탈취효능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을 혼합한 배합물을 처리하여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측정한 값은 암모니아 가스의 탈취율이 처음 30분 후부터 98% 이상을 나타내어 탈취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마줄기와 대마뿌리 부산물을 모두 첨가한 실시예 3의 경우 탈취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4
<시험예 4>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 효능 평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의 배합물의 탈취 효능 평가는 환경부의 환경표지 인증기준 EL608:2017. 탈취제에서 규정한 품질관련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SPS-KCLI2218-6218, 검지관식 가스측정기 방법으로 탈취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용기는 냄새 성분이 흡착되거나 방출되지 않는 10 L 크기의 밀폐 용기를 사용하였고, 탈취제 시험 시료를 분사할 시료 분사구와 시험용기 내의 가스를 채취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분사구를 부착하여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였다.
초기 냄새 성분을 일정하게 하기위해 트리메틸아민을 아세톤 용매로 희석하여(50 μmol/mol) 사용하였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의 배합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시료 분사구를 통하여 일정량 분사주입하고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가스검지관(Gas Tec Co, Japan)을 사용하여 잔존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냄새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바탕시험(Blank test)을 실시하고, 냄새성분의 농도 감소율은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함으로서 탈취효과를 평가하였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5
가스 검지관 상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 중의 특정 가스와 검지제가 반응하여 색이 변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반응하기 때문에 변색층이 끊임없이 생겨서 변색층의 끝부분의 눈금을 읽으면 특정 가스의 농도(ppm:part per million, 백만 분의 1)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가스 채취기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냄새 성분과 예상 농도 범위에 해당하는 직독식 검지관(트리메틸아민 검지관, 측정범위 : 3.5-70 ppm)을 끼워 사용하였다. 정해진 시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잔존 가스농도를 측정하고, 가스 검지관으로 가스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는 99% 이상으로 표현했다. 99% 이상으로 표현하는 것은 소수점 단위의 가스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즉,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만 분사하였을 경우 오히려 냄새성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의 발효에 의한 냄새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탈취효능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을 혼합한 배합물을 처리하여 시간에 따른 트리메틸아민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값은 트리메틸아민 가스의 탈취율이 처음 30분 후부터 94% 이상을 나타내어 탈취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마줄기와 대마뿌리 부산물을 모두 첨가한 실시예 3의 경우 탈취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활성산소(radical) 소거능력 평가
대마 줄기와 대마 뿌리의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Bios(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1954))의 방법을 변형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에 대한 전자공여 효과로 그 활성을 측정하였다. 0.13 mM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용액을 제조하여 여과한 후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DPPH 용액 4 ml에 일정농도로 제조한 시료 1 ml를 가하여 10초간 혼합하고, 암소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시킨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 효과는 시료첨가구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수소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을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6
DPPH 시험법은 diphenylpicrylhydrazyl(free radical)이 항산화제와 반응하여 diphenylpicrylhydrazine(nonradical, reduced form)로 전환되면서 자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파장(wavelength)을 스캔해보면 자색의 DPPH 활성산소(radical)는 515-525 nm에서 최대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515-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서 항산화성 물질로 인해 소거된 DPPH 활성산소(radical)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대마 줄기와 대마 뿌리의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2 mg/ml 농도로 제조한 후 평가를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표 4와 같이 대마줄기 추출물은 약 56.11%, 대마뿌리 추출물은 약 83.27%의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과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분석하였을 때 약 75.02%의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합성 또는 천연 항산화제와 비교하기 위하여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와 트롤록스(Trolox)의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측정한 후 대마추출물과 비교한 결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53.61%, 트롤록스(Trolox)는 74%의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7
또한,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추출물의 배합물을 제조하여 DPPH 활성산소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아래의 표 5를 참조하면, 각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합물에서 각 추출물의 라디컬 소거능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다소 소거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8
<시험예 6> 폴리페놀(polyphenol) 함량분석
식물유래 생리활성 물질의 종류는 무수히 많은데 그 중 폴리페놀 그룹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산류, 기타 폴리페놀(리그닌과 레스베라트롤 등)로 구분하고 있다. 폴리페놀류는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 즉 항산화 기능을 갖고 있다. 최근 폴리페놀류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이 기능이 생체 내에서도 항산화제로 작용함으로써 건강유지와 질병예방 등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페놀류는 콜레스테롤이 소화관으로 흡수되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게 해 주는 작용도 한다.
폴리페놀은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로,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류가 대표적인 폴리페놀화합물이다. 벤젠고리(C6H6)의 수소 중 하나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물질을 페놀이라고 하는데,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폴리페놀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한다.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류(catechins), 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로겐산, 딸기나 가지, 포도, 검은콩, 팥 따위 붉은색이나 자색의 안토시아닌계 색소, 커피산, 카테콜, 몰식자산, 플라본, 탄닌 등은 모두 폴리페놀화합물이다. 이 밖에도 폴리페놀화합물은 야채나 과일, 카카오, 적포도주 등 여러 가지에 포함되어 있다.
대마 줄기 및 대마뿌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AOAC의 Folin-Denis 방법(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을 일부 변형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일정한 농도로 제조한 시료 1 mL에 2% Na2CO3용액 2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방치한 후, 1 N Folin reagent 1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다음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카테킨(catechine)을 표준물질로 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고 얻은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환산하였고 희석배수를 고려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과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표 6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은 약 2.84%,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은 약 4.12%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료로부터 추출물의 추출 수율을 고려하여 대마 줄기와 뿌리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계산한 결과 대마 줄기는 약 56.80 mg%, 대마뿌리는 약 28.69 mg% 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과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했을 때 3.38%로 분석되었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09
한편 표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약 1.5%의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으며 상기 대마줄기 추추물 또는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과 혼합했을 때 추출물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나 상쇄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10
<시험예 7>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분석
플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 계열의 화합물로 과일, 채소, 곡류 및 허브류 등 식물세포의 액포 중에 유리상태나 배당체(glycoside)의 형태로 존재한다. 현재까지 5,0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식물의 성장, 생식, 병원체에 대한 방어 및 발아작용 중에 생성되는 이차대사산물이다.
과일, 채소, 곡물, 나무 껍질, 뿌리, 줄기, 꽃, 와인, 차 등의 다양한 식물에 존재하며, 인체의 세포-신호전달(cell-signaling) 조절에 다양하게 관여한다. 항산화, 항혈전(antithrombogenic), 항염증, 항당뇨, 항암, 신경보호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인체에 매우 유익한 물질이다.
플라보노이드는 2개의 페닐기가 피란고리 혹은 그와 유사한 구조의 탄소원자 3개를 매개로 결합하고 있는 물질군을 총칭한다. 중앙의 피론고리의 산화상태에 따라 넓은 의미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놀(flavonols), 플라본(flavones), 플라반-3-올(flavan-3-ols, catechins), 플라바논(flavanones), 플라바노놀(flavanonols),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s), 이소플라본(isoflavones), 류코잔틴(leucoxanthin) 등이 포함되나, 좁은 의미에서는 그리스어의 anthos(꽃)와 xanthos(황색)에서 유래된 황색 색소인 안토잔틴(anthoxanthins)만을 의미하며,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바노놀, 이소플라본과 같은 화합물이 이에 속한다.
상기 대마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합분석검정센터에 분석의뢰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8과 같다. (시료 A - 대마줄기 추출물 / 시료 B - 대마뿌리 추출물)
Figure 112020008056465-pat00011
즉, 표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516.74 mg/100g 이고,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133.49 mg/100g 으로 분석되었다.
상기 시험예 6에서 분석했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결과에 따르면,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은 2840 mg/100g,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은 4120 mg/100g 로 나타났는데, 플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 계열의 화합물로 총 폴리페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의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이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의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을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대마줄기 추출물을 총 중량 대비 0.5 중량%, 대마뿌리 추출물을 총 중량 대비 0.5%, 70% 에탄올을 총 중량 대비 89%의 비율로 혼합하여 항균탈취제용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및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마줄기와 대마뿌리는 수확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햇볕이 들지 않는 건냉한 곳에서 자연건조한 후 추출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건조된 상기 대마줄기 및 상기 대마뿌리를 잘게 자르고 일정량을 취하여 각 시료에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로 72시간동안 상온추출 하였다. 추출물을 감압농축기(Rotary evaporatio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항균 효능 평가를 위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시료의 추출 수율은 대마줄기 2.00%, 대마뿌리 0.70% 로 나타났다.
한편 이렇게 제조된 상기 대마추출물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각각 배합하여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에의 실험에서는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에버미라클의 EM-1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원액을 1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효능검증에 사용한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와 같은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된 발효 대사산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8> 항균활성 평가 - 디스크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assay)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균주는 모두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등 최적배지에서 6시간 정도 배양하여 배양액의 탁도를 600 nm에서 1이 되도록 맞추어 균의 생육정도를 조절하여 항균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탈취제 개발을 위한 배합물의 항균성을 디스크확산법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한천평판(agar plate)에 미리 배양하여 농도를 조절한 균주 배양액 1 mL를 분주하여 도말하고 시료액(배합물)을 1배, 2배, 4배, 8배, 6배 희석하여 주입한 직경 5 mm의 페이퍼디스크(paper disc)를 균주가 도말된 플레이트(plate) 표면에 올려놓은 후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disc 주위에 생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직경(mm)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검사하였다.
항균탈취제 개발을 위한 배합물을 일정한 배율로 희석한 후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도 1 및 표 9와 같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12
상기 결과에 따르면 상기 배합물을 원액, 또는 2배 희석하였을 경우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4배, 8배, 16배 희석 했을 경우 생육저해환(clear zone)이 나타나지 않았다. 균주별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22.8~23.5 mm,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17.2~17.9 mm,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은 23.2~23.4mm 의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나타냈다.
<시험예 9> 항균활성 평가 - 최소저해농도법(MIC assay)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균주는 모두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등 최적배지에서 6시간 정도 배양하여 배양액의 탁도를 600 nm에서 1이 되도록 맞추어 균의 생육정도를 조절하여 항균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탈취제 개발을 위한 배합물의 항균성을 최소저해농도법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10 ml에 각 균주를 1% 접종한 후, 항균탈취제 개발을 위해 제조한 배합물을 0, 25, 50, 100μl씩 첨가하였다. 최적 배양 온도에서 24시간 배양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소 저해 농도를 결정하였다.
항균탈취제 개발을 위해 제조한 배합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소저해농도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2 및 표 10과 같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13
상기 결과에 따르면 배합물 25μl 이상 첨가에서 시험균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에 대하여 23% 생장 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배합물 25μl 이상 첨가에서 시험균주 대장균(E. coli)에 대하여 20% 생장 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배합물 50μl 이상 첨가에서 시험균주 세레우스균(B. cereus)에 대하여 15% 생장 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10> 탈취 효능 평가
실시예 4의 배합물에 대한 탈취효능을 평가하고자 실시예 4의 배합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제조하여 한국화합융합시험연구원에 분석 의뢰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질소화합물로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을, 황화합물로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에 대해 본 실험의 결과를 참고하여 탈취시작 30분 후의 탈취효능을 평가하였다.
한국화합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분석 결과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에 대해 99% 이상의 탈취효과가 나타났으며,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에 대해서는 10%, 12.5%의 탈취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부의 환경표지 인증기준 EL608:2017. 탈취제 에서 규정한 품질관련기준(표 11)에 따르면 암모니아는 초기농도 대비 60%이상 감소, 트리메틸아민은 50%이상 감소되어야 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 개발을 위한 배합물의 경우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에 대한 탈취 성능이 환경부의 기준보다 월등한 탈취효과를 나타내므로 분무식 항균탈취제로서 그 효능이 인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0008056465-pat00014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EM(effective microorganis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대마추출물은 대마줄기 추출물 및 대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또는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과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과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과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이 1:1:1 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은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및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 탈취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이 10 중량 %,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이 0.5 중량%,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이 0.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 발효 대사산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EM 발효 대사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6. 대마줄기 또는 대마뿌리를 건조한 후 중량대비 10배의 70% 에탄올로 72시간동안 상온추출하는 단계;
    상기 상온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대마줄기 추출물 또는 대마뿌리 추출물을 조성하는 단계;
    상기 대마줄기 추출물 및 상기 대마뿌리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와 EM(effective microorganism) 발효 대사산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 방법.
KR1020200009143A 2019-01-23 2020-01-23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102205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82 2019-01-23
KR20190008582 2019-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825A KR20200091825A (ko) 2020-07-31
KR102205206B1 true KR102205206B1 (ko) 2021-01-20

Family

ID=7183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143A KR102205206B1 (ko) 2019-01-23 2020-01-23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191A (ko) 2022-03-31 2023-10-10 박부덕 햄프씨드 추출물을 이용한 초산발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010A1 (ko) * 2020-12-22 2022-06-30 농업회사법인 (주)헴프앤알바이오 항균력이 개선된 대마 입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94B1 (ko) * 2015-07-02 2016-04-19 이엠생활환경 주식회사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JP2019510527A (ja) 2016-08-08 2019-04-18 ワン,ジンニン 空気清浄剤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21B1 (ko) * 2014-10-24 2016-09-0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황백 유효 성분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황백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위생 용품
KR20180051763A (ko) * 2016-11-09 2018-05-17 김규리 항균 탈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94B1 (ko) * 2015-07-02 2016-04-19 이엠생활환경 주식회사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JP2019510527A (ja) 2016-08-08 2019-04-18 ワン,ジンニン 空気清浄剤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191A (ko) 2022-03-31 2023-10-10 박부덕 햄프씨드 추출물을 이용한 초산발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825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8129B (zh) 抗微生物组合物及相关的应用方法
KR101955683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손소독제 조성물
KR101989280B1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8304B1 (ko) 과채류 병해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
KR101613294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CN104738033A (zh) 一种植物来源的防腐剂组方
KR102205206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KR20100070265A (ko) 과수 병해 방제용 미생물 살균제
Mohamed et al. Recent approaches for controlling downy mildew of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s
CN109497094A (zh) 一种含蓖麻油酸锌的鞋袜除臭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151753B1 (ko) 실내 유해화학물질 분해 소독제
CN104413073A (zh) 衣物防霉护理剂
KR20130050698A (ko) 은행 외과피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180051763A (ko) 항균 탈취제 조성물
KR101170810B1 (ko) 베타-시토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1632392A (zh) 苔藓植物作为植物外植体消毒剂的用途、及该消毒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1477078B1 (ko)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 및 살균제와 그 제조방법
Saffidine et al.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Synergistic Effect with Antibiotics of Fruits and Stems Extracts from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KR100799270B1 (ko) 산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항균조성물
CN106176336B (zh) 聚六亚甲基双胍消毒剂与复方中草药蚊蝇驱避剂二合一凝胶制造方法
KR100615892B1 (ko)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KR101161607B1 (ko) 식물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yaefullah et al. Maja Fruit Extracts Inhibit Escherichia coli, Reduce Fly Larvae Population, and Ammonia Emission of Chicken Excreta
KR101633290B1 (ko) 친환경 작물병 예방 및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20130013950A (ko) 우엉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