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84B1 -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84B1
KR102144784B1 KR1020190143506A KR20190143506A KR102144784B1 KR 102144784 B1 KR102144784 B1 KR 102144784B1 KR 1020190143506 A KR1020190143506 A KR 1020190143506A KR 20190143506 A KR20190143506 A KR 20190143506A KR 102144784 B1 KR102144784 B1 KR 102144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using
slider
vehicle do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327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US16/971,46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43856B2/en
Priority to CN202080001585.2A priority patent/CN111771038B/zh
Priority to DE112020000021.4T priority patent/DE112020000021T5/de
Priority to JP2020546912A priority patent/JP6986164B2/ja
Priority to PCT/KR2020/000980 priority patent/WO2020153695A1/ko
Publication of KR2020009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5Actuator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lock and controlling the lock functions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40Nuts or nut-like elements moving along a driven threaded ax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50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에 관한 것으로써,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수납되는 핸들부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핸들부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장치의 부피가 최소화되고, 조립성이 보다 향상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Flush Handle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에 인출 또는 인입되는 플러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은 차량용 도어 패널의 바깥쪽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핸들이다.
종래의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1313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1313호'의 차량용 도어 손잡이는 2개의 링크 및 회전 조인트들을 통해 손잡이 지지부에 연결되어, 도어 잠금구 또는 도어 잠금구 기능을 기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도어 손잡이의 이동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도어 잠금구 또는 도어 잠금구 기능을 전자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1313호'의 차량용 도어 손잡이에는 링크 및 회전 조인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회전 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고, 조립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13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부피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은,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수납되는 핸들부 및 차량의 길이방향을 x방향, 차량의 폭방향을 y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슬라이더의 x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핸들부를 y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핸들부의 y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핸들부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경사장공과, 상기 경사장공을 따라 이동되게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 내에 회전되지 않게 배치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에 체결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사장공은 상기 x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가 형성되고, 제1경사장공에는 제1핀이, 제2경사장공에는 제2핀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핀에 대해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를 복귀시키는 연장부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1핀이 설치되는 슬롯이 상기 길이조절방향에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2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을 변경하는 피벗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상기 피벗부에는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는 피벗핀이 설치되고, 상기 피벗핀은 상기 제2핀보다 차량의 외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피벗부는 상기 핸들부가 차량 외측에서 눌리면 상기 하우징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장공은 차량의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인입부와, 차량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장공의 인입부는 상기 제2핀이 상기 피벗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핀 설치홈은 상기 피벗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x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너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센서를 누를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제2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를 차량용 도어에 인입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핸들부가 인출되어야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를 차량용 도어에서 인출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를 상기 y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버튼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범퍼가 설치되고, 상기 범퍼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후방핸들부와, 상기 후방핸들부와 피벗핀으로 결합되는 전방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핸들부는 상기 피벗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사장공은 상기 핸들부가 인출될 때 상기 핀이 초반에 지나가는 제1구간과, 상기 핀이 후반에 지나가는 제2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간의 경사는 상기 제2구간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외측에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단차조절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조절볼트는 상기 핸들부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차조절볼트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핸들부가 상기 y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는 상기 x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홈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x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웨이트밸런스를 더 포함하고, 차량용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웨이트밸런스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의해 잠기거나 잠금 해제되는 전동식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래치부를 수동으로 구동하는 키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실린더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를 따라 회전되는 기어로드와, 상기 기어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식 래치부에 설치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전에 의해 수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의해 열리는 수동식 래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을 상기 수동식 래치부에 전달하는 레버와, 초기 상태인 제1위치와, 상기 레버의 동작을 저지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웨이트밸런스를 더 포함하고, 차량용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웨이트밸런스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슬라이더가 핸들부를 수납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장치가 전체적으로 컴팩트해진다.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상기 핸들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변환시켜주는 직선운동변환기구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핸들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컴팩트해진다.
상기 슬라이더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장치가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컴팩트해진다.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로 인해, 상기 핸들부가 전동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으로 인해, 상기 핸들부가 수동으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의해 전동식 래치부를 기계적/전기적으로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어, 상기 전동식 래치부의 전기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포함된 이동너트를 상기 슬라이더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핸들부에 끼었을 경우에 상기 핸들부를 당겨 손을 빼낼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경사장공에 설치되는 핀을 포함하여, 상기 핸들부와 상기 슬라이더 간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외부와 접촉하는 상기 핸들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구동부의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공간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핸들부를 인입시킬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를 간편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핸들부가 인출되어야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부의 후방에 상기 핸들부를 인출시킬 수 있는 버튼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를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손쉽게 상기 핸들부를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 범퍼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막음판 사이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동식 래치 또는 수동식 래치와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원하는 래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래치 또는 상기 수동식 래치를 수동으로 잠금해제할 수 있는 키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용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전동식 래치 또는 상기 수동식 래치와 상기 키 실린더를 기어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자동차의 외부 디자인에 따라 변하는 키 장착 위치에 대해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키 실린더를 돌리는 키의 회전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전동식 래치 또는 상기 수동식 래치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수동식 래치를 이용할 경우,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을 상기 수동식 래치부에 전달하는 레버와, 차량용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레버의 동작을 저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웨이트밸런스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용 도어가 열리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동식 래치를 이용할 경우, 차량용 도어에 충격에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저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웨이트밸런스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용 도어가 열리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가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후방핸들부와, 상기 후방핸들부와 핀결합되어 당김작동이 가능한 전방핸들부로 분리되어, 슬라이딩 작동과 당김 작동 사이에 엉킴이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범퍼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정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막음판의 배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 들림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 들림 상태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수동인출 상태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전동인출 상태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당김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당김 상태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 들림 상태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수동인출 상태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전동인출 상태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당김 상태의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정면도(하우징 제외).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래치의 우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래치의 좌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전동인출 상태의 정면도(하우징 제외).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전동인출 상태의 래치의 우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전동인출 후 전동도어오픈 기능을 작동한 상태의 래치의 좌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수동인출 후 전동도어오픈 기능을 작동한 상태의 정면도(하우징 제외).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하우징의 후면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 들림 상태의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4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후면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범퍼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5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5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5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막음판의 후면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6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2하우징의 후면 사시도.
도 6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2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2막음판의 후면 사시도.
도 6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 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6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키잠금부의 정면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키잠금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부분 정면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7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부분 정면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7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부분 배면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7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의 부분 배면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7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부분 단면도.
도 7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모터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7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
도 7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후면 사시도.
도 7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7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후 당김 상태의 정면 사시도(하우징,막음판 제외).
도 8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레버 및 웨이트밸런스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8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레버 및 웨이트밸런스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8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의 평면도(커버 제외).
도 8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후 당김 상태의 평면도(커버 제외).
도 8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인출됐을 때의 평면도(커버 제외).
도 8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
도 8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정면 사시도(하우징, 막음판 제외).
도 8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
도 8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배면 사시도(하우징, 막음판 제외).
도 8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9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9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9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9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후방핸들부의 정면 사시도.
도 9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후방핸들부의 배면 사시도.
도 9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배면 사시도.
도 9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슬라이더의 평면도.
도 9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9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제1막음판의 배면 사시도.
도 9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구동부의 정면 사시도.
도 1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웨이트밸런스의 분해 사시도.
도 10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웨이트밸런스가 제1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도.
도 10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웨이트밸런스가 제2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도.
도 10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단차조절볼트의 조립도.
도 10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10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핸들 들림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10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후 당김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10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입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10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인출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10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5˚ 당김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1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10˚ 당김 상태일 때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며, 좌우방향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하고, 상하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은 하우징(1100)과, 하우징(1100)에 설치되는 슬라이더(1600)와, 슬라이더(1600)에 수납되는 핸들부(1200) 및 슬라이더(16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핸들부(1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핸들부(120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더(160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슬라이더(1600)와 핸들부(1200)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슬라이더(16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1700)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슬라이더(1600)에 형성되는 제1,2경사장공(1601,1602)과,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핸들부(1200)에 설치되는 제1,2핀(1301,130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하우징(1100)은 도 6 내지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100)은 전체적으로 후방 및 좌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로 구성된다.
하우징(1100)의 중앙부에는 핸들부(1200) 및 슬라이더(1600)가 배치되고, 하우징(1100)의 우측부에는 구동부(1700)가 배치되고, 하우징(1100)의 좌측부에는 키실린더(1900)가 배치된다.
하우징(1100)에는 핸들부 관통공(1101)이 하우징(1100)의 중앙부에서 좌측부까지 길게 형성된다. 핸들부 관통공(1101)은 핸들부(1200)의 전면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본 제1실시예에서는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핸들부 관통공(1101)은 핸들부(1200)의 전면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핸들부 관통공(1101)과 핸들부(12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해준다.
하우징(1100) 둘레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가이드부(1102) 및 제2가이드부(1105)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02)는 핸들부 관통공(1101)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핸들부(1200) 및 슬라이더(1600)에 삽입된 제1,2핀(1301,1302)과,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제1가이드부(1102)는 각각이 좌측과 우측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제1가이드부(1102)의 우측은 전후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1102)의 좌측은 후방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102)에 의해 제1,2핀(1301,1302)은 후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핸들부(1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반경에 따라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전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105)는 핸들부 관통공(110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상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105)는 전후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105)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전후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제1직선부의 후방에 아랫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제2직선부가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직선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되게 홈이 형성되어, 후술할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끼워진다.
하우징(1100) 중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105)의 좌측 부분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된 공간의 좌측 하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이 형성되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부가 설치된다.
하우징(1100)의 우측 하부에는 2개의 제3센서 설치홈(1103)이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된다. 제3센서 설치홈(1103)은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센서(23a,23b)는 제3센서 설치홈(1103)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방된 부위를 통해 눌리게 된다.
하우징(1100)의 우측 중앙에는 3개의 제3가이드부(1106)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106)는 핸들부 관통공(1101)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가이드부(1106)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측 및 중앙부의 폭의 길이는 우측의 폭의 길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및 중앙의 후방에는 리드스크류 설치홈(1131)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의 후방에는 범퍼 설치홈(1136)이 형성된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중간부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부(1106)의 전후 폭의 길이는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부(1106)의 전후 폭의 길이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리드스크류 설치홈(1131)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1724) 및 리드스크류(1724)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과, 범퍼 설치홈(1136)에 설치되는 범퍼(1740) 각각의 중간부 및 상부와 하부가 제3가이드부(1106)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의 전면 외측은 후술할 범퍼부재(1500)와 결합된다. 핸들부 관통공(1101)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제1범퍼체결부(1113)가 형성된다. 핸들부 관통공(1101)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복수의 제2범퍼체결부(1114)가 형성된다. 제2범퍼체결부(1114)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이 핸들부 관통공(1101)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제1범퍼체결부(1113)와 제2범퍼체결부(1114) 사이 및 제2범퍼체결부(1114)와 제2범퍼체결부(1114) 사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로 제3범퍼체결부(1115)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0)과 범퍼부재(1500)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00)의 우측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0)의 우측 하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제1모터 설치홈(1121)이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상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웜기어 설치홈(1122)이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은 제3가이드부(1106)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과 제3가이드부(1106)사이에는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와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상부 및 하부가 하우징(1100)의 둘레부와 연결되게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우측 및 하측은 하우징(1100)의 둘레부에 의해 막히고,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상측은 제1모터 설치홈(1121)과 웜기어 설치홈(1122)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에 막히고, 제1모터 설치홈(1121)의 좌측은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에 의해 막힌다.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홈이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724)의 우측이 설치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의 하부에는 제1모터 지지부(1124)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모터 설치홈(1121)에 삽입되는 모터(1710) 하부의 일부가 제1모터 지지부(1124)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웜기어 설치홈(1122)의 하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모터(17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웜(1721)이 상기 홈을 통해 웜기어 설치홈(1122)에 설치된다.
웜기어 설치홈(1122)의 상부에는 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게 홈이 형성되는 제1모터축 설치부(1123)가 형성되어, 웜(1721)의 상부가 설치된다.
웜기어 설치홈(1122)의 우측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홈이 형성되는 리드스크류 설치부(1133)가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724) 축의 우측이 설치된다.
하우징(1100) 둘레부의 우측면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리드스크류 지지부(1134)가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지지부(1134)는 리드스크류 설치부(1133)의 우측에 배치된다. 리드스크류 지지부(1134)에 의해 리드스크류(1724)의 우측단이 지지되어, 리드스크류(1724)가 그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제3가이드부(1106)와 핸들부 관통공(1101) 사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가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의 우측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724)가 그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또한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의 좌측은 우측이 볼록한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어,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와 핸들부(12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의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리드스크류(1724) 축의 좌측이 설치된다.
하우징(1100) 둘레부의 우측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1141)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1141)은 제3센서 설치홈(1103)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센서 설치홈(1103)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전선 가이드부(1142)가 형성되어, 좌측 제3센서 설치홈(1103)과 우측 제3센서 설치홈(1103)은 전선 가이드부(1142)에 의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전선(20)은 전선 관통홈(1141)을 통해 하우징(1100) 내부로 삽입되고, 전선(20) 중 일부는 전선 가이드부(1142) 하부를 통해 제3센서(23a,23b)와 연결된다.
하우징(1100) 둘레부에는 후술할 막음판(180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1151)와, 제2체결부(1152)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151)는 볼트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1151)의 일부는 하우징(1100) 둘레부의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체결부(1151)의 나머지는 하우징(1100)의 좌측 및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 우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1152)는 하우징(11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115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1100) 둘레부에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3체결부(1153)가 형성된다.
제3체결부(1153)는 하우징(11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체결부(1153)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통해 도어 패널과 결합된다. 상기 홈에는 도넛 형태의 금속 패드(1154)가 설치되어, 하우징(1100)과 도어 패널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고 풀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핸들부>
핸들부(1200)는 도 8 내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핸들부(12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좌우 양측이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부(1200)는 상기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핸들부 본체(1220)와 상기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핸들부 좌측부(1230) 및 핸들부 우측부(1240)를 포함한다.
핸들부(1200)의 좌측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연장부 설치홈(1201)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핸들부(1200)의 우측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피벗부 설치홈(1202)이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연장부 설치홈(1201) 및 피벗부 설치홈(1202)은 좌우 및 상하 방향이 핸들부(1200)에 의해 막힌다. 이로 인해 후술할 연장부(1310)는 연장부 설치홈(1201) 내에서 연장부 설치홈(1201)을 따라 이동하고, 피벗부(1320)는 피벗부 설치홈(1202) 내에서 제3핀설치홈(1214) 또는 피벗핀(132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피벗부 설치홈(1202) 전방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LED 설치홈(1203)이 형성된다. LED 설치홈(1203)에는 후술할 LED(24)의 하부가 삽입되어, 핸들부(1200) 인출시 사용자가 핸들부(1200) 바깥에서 LED(24)의 불빛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피벗부 설치홈(1202) 후방의 좌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1242)이 형성된다. 후술할 막음판(1800)의 전선 삽입홈(1801)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 전선(20)은 전선 관통홈(1242)을 통해 핸들부(1200)의 각 센서에 연결되고, 그 중 일부는 LED(24)에 연결된다.
핸들부 본체(1220)의 전면에는 핸들커버 설치부(1210)가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부(1210)는 핸들부 본체(1220)보다 좌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부(1210)는 핸들부 관통공(1101)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둘레에서 안쪽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핸들커버 설치부(1210)의 중앙부에는 버튼센서 설치홈(1211) 및 전선 설치부(1212)가 형성된다.
버튼센서 설치홈(1211)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버튼(25) 및 버튼센서(26)가 설치된다. 버튼(25)은 버튼센서(26)의 전방에 배치되어, 버튼(25)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눌리면, 버튼센서(26)가 눌리게 된다. 버튼(25) 및 버튼센서(26)는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전선 설치부(1212)는 전방 및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피벗부 설치홈(1202)을 통해 들어온 전선(20)이 설치된다. 전선(20)은 전선 설치부(1212)를 통해 버튼센서(26)에 연결된다.
핸들커버 설치부(1210)의 둘레부의 상하좌우에는 후크 형태의 핸들커버 체결부(1213)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 체결부(1213)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핸들커버 설치부(1210)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양쪽에 상기 돌기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내외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후술할 핸들커버(1400)는 핸들커버 설치부(1210) 둘레부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핸들커버 설치부(1210) 둘레부 우측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핀 설치홈(1214)이 형성된다.
핸들부 본체(122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관통공(1221)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1221)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관통공(1221)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1관통공(1221)에 손을 넣어 핸들부(1200)를 당길 수 있다. 이 때, 제1관통공(1221)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된다.
핸들부 본체(1220)의 후면에는 전선 설치부(122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선 설치부(1222)는 후방으로 연장된 후 위쪽으로 절곡되거나, 아래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위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전선 설치부(1222)와 상기 아래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전선 설치부(1222)는 번갈아가면서 배치되어, 전선(20)을 설치하기 용이한 동시에 전선(20)이 위아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술할 막음판(1800)의 전선 삽입홈(1801)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전선(20)은 전선 설치부(1222)를 통해 핸들부(1200)의 좌측 후방에 설치되는 제2센서(22)에 연결된다.
핸들부 좌측부(1230)의 전방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연장부 설치홈(1201)과 연통된다.
핸들부 좌측부(1230)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핸들부 좌측부(123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핀 설치홈을 포함한다.
핸들부 좌측부(1230)의 우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센서 설치홈(1232)이 형성된다. 제2센서 설치홈(1232)의 좌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으로 인해 제2센서 설치홈(1232)과 연장부 설치홈(1201)은 서로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2센서 설치홈(1232)에 설치되는 제2센서(22)는 상기 홈을 통해 후술할 연장부(1310)에 의해 눌리게 된다.
핸들부 우측부(1240)는 후방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1200)가 핸들부 우측부(124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핸들부(1200)와 하우징(1100) 후면에 설치되는 막음판(1800)이 간섭되는 일이 방지된다.
핸들부 우측부(1240)의 좌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핀 설치홈(1241)이 형성된다. 핸들부(1200)는 제2핀 설치홈(1241)에 삽입되는 제2핀(1302)에 의해 슬라이더(1600)와 연결된다.
<연장부>
연장부(1310)는 도 8 내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연장부(1310)는 제1핀(1301)에 대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핸들부(1200)의 좌측에 설치된다.
연장부(1310)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1311)와, 헤드부(1311)의 후방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길이부(1313)를 포함한다. 길이부(1313)의 지름의 길이는 헤드부(1311)의 한 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헤드부(1311)는 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헤드부(1311)의 내측면과 길이부(1313)의 외측면 사이에는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1312)이 형성된다.
길이부(1313)의 후방에는 좌측면 및 우측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길이부(1313)의 중심으로 경사지게 제2센서 눌림방지부(1314)가 형성된다. 제2센서(22)는 하나의 제2센서 눌림방지부(1314)의 우측에 배치되지만, 좌우 양쪽에 제2센서 눌림방지부(1314)를 형성함으로서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길이부(1313)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슬롯(1315)이 형성된다. 슬롯(131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길이부(1313)의 외측에는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이 끼워진다.
연장부(1310)는 핸들부(1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워진다. 연장부(1310)의 후방은 핸들부 좌측부(123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격벽에 가로막힌다.
이 때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의 전방은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1312)에 끼워지고, 후방은 핸들부 좌측부(123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격벽에 가로막혀, 핸들부(1200)의 움직임에 따라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1312)과 상기 격벽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된다.
상기 조립 후 제1핀(1301)이 핸들부(12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1310)의 슬롯(1315) 및 슬라이더(1600)의 제1경사장공(1601)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핸들부(1200)의 좌측부는 슬라이더(1600)와 연결된다.
이 때 슬롯(1315)의 형상으로 인해, 제1핀(1301)은 핸들부(1200)가 회전할 때 슬롯(1315)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 된다. 이로 인해 제1경사장공(1601)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핸들부(1200)가 회전되게 할 수 있다.
<피벗부>
피벗부(1320)는 도 8 내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피벗부(1320)는 핸들부(1200)의 회전축을 변경 가능하게 핸들부(1200)의 우측에 설치된다.
피벗부(13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1321)과, 회전축(1321)을 중심으로 회전축(1321)의 상부 및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부(1322)와, 상부 회전부(1322) 및 하부 회전부(1322)를 서로 연결하는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1325) 및 보강부(1326)를 포함한다.
회전축(1321)의 중앙부의 지름은 회전축(1321)의 상부 및 하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회전축(1321)은 피벗부(1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회전축(1321)의 외측에는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이 감긴다. 회전축(1321)의 형상으로 인해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회전축(1321)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피벗핀(1327)이 삽입된다. 피벗핀(1327)의 높이방향 길이는 회전축(1321)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설치 후 피벗핀(1327)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회전축(1321)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회전부(1322)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부(1322)는 회전부(1322)의 후단은 핸들부(12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후술할 막음판(1800)의 피벗부 걸림부(1803)에 닿아 있을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회전부(1322) 후방의 좌측에는 오목하게 제2핀 걸림방지홈(1323)이 형성된다. 회전부(1322)의 좌측면이 핸들부(1200)의 피벗부 설치홈(1202)의 내측면에 맞닿아있을 때, 제2핀(1302)은 제2핀 걸림방지홈(1323)에 위치하게 된다.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1325)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넓은 면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1325)는 회전축(1321)의 후방에 배치된다.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의 일측은 후술할 핸들커버(1400)의 후면에 닿고, 타측은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1325)의 우측면에 닿는다.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은 일측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긴다. 즉,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으로 인해 피벗부(1320)는 회전축(132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보강부(1326)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넓은 면이 전후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보강부(1326)는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1325)의 후방에 배치된다. 보강부(1326)로 인해 피벗부(1320)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될 수 있다.
피벗부(1320)는 핸들부(1200)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된다. 피벗부(1320)의 전방은 이후 핸들부(1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핸들커버(1400)에 의해 막히고, 핸들부(1200)의 제3핀 설치홈(1214)에 상부와 하부가 설치되는 피벗핀(1327)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핸들커버>
핸들커버(1400)는 도 10 내지 도 1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핸들커버(1400)는 핸들부(1200)의 핸들커버 설치부(1210)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커버(1400)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1400)의 좌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버튼 설치홈(1401)이 설치된다. 버튼 설치홈(1401)은 핸들부(1200)의 버튼센서 설치홈(1211)의 전방에 배치된다. 버튼 설치홈(1401)에는 버튼(25)의 일부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버튼(25)의 일부를 누를 수 있다.
핸들커버(1400) 우측의 상부와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3핀 지지부(1402)가 형성된다.
제3핀 지지부(1402)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T'자에서 세로변의 끝이 핸들커버(1400)의 내측면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끝은 나머지 부분보다 후방으로 보다 돌출되어, 피벗핀(1327)의 상부와 하부에 닿는다. 이로 인해 피벗핀(1327)은 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핸들커버(1400)의 좌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부 지지부(1403)가 형성된다. 연장부 지지부(1403)의 후면은 연장부(1310)의 전면과 맞닿는다.
핸들커버(1400) 상하좌우에는 후크 형태의 핸들 체결부(1404)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핸들 체결부(1404)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핸들커버(1400) 조립시, 핸들커버(1400)의 핸들 체결부(1404)의 경사부는 핸들부(1200)의 핸들커버 체결부(1213)의 경사부를 밀어 핸들커버 체결부(1213)가 점차적으로 탄성변형 될 수 있게 한다.
<범퍼부재>
범퍼부재(1500)는 도 1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범퍼부재(1500)의 중앙부에는 핸들부(1200) 및 핸들커버(1400)가 슬라이딩 되는 핸들 관통공(15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핸들 관통공(1501)은 핸들부(1200) 전방 및 핸들커버(1400)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은 다단으로 구성되며, 범퍼부재(15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형상의 크기가 커진다. 이로 인해 범퍼부재(1500)의 후방에 형성되는 핸들 관통공(1501)과 전방에 형성되는 핸들 관통공(1501) 사이에는 핸들커버 설치홈(1502)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홈(1502)으로 인해 핸들부(1200)의 수동 조작이 보다 용이해지고, 키실린더(1900)에 키를 삽입하기가 보다 수월해진다.
범퍼부재(1500)의 후방은 하우징(1100)의 전면과 결합된다. 핸들 관통공(1501)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제1하우징체결부(1503)가 형성된다. 핸들 관통공(1501)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는 복수의 제2하우징체결부(1504)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체결부(1504)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하우징(1100)의 제2범퍼체결부(1114)의 중앙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체결부(1503)와 제2하우징체결부(1504) 사이 및 제2하우징체결부(1504)와 제2하우징체결부(1504) 사이에는 하우징(1100)의 제3범퍼체결부(1115)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범퍼부재(1500)와 하우징(1100)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부재(1500)로 인해 하우징(1100)은 도어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수분이 하우징(1100)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진,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더>
슬라이더(1600)는 도 13 내지 도 1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1600)는 우면(1630)과 우면(1630)의 상하 양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면(1610)과 하면(1620)을 포함한다. 즉, 슬라이더(1600)는 좌측과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핸들부(1200)가 수납될 수 있다.
상면(1610) 및 하면(162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면(1610) 및 하면(1620)의 좌측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우측에는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게 하우징 간섭방지부(1607)가 형성된다. 하우징 간섭방지부(1607)의 좌측면은 상면(1610) 및 하면(1620)의 좌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600) 좌측 후방의 공간이 확보되어 키실린더(1900)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더(1600)와 하우징(1100)이 간섭되지 않은 선에서, 하우징(1100) 우측의 앞뒤 간격을 최대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면(1610) 및 하면(1620)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2경사장공(1601,1602)이 형성된다. 제1,2경사장공(1601,1602)은 상면(1610) 및 하면(1620)의 좌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1601)은 슬라이더(1600)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경사장공(1602)은 슬라이더(1600)의 우측에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1601)은 전방부터 후방까지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폭의 너비는 제1핀(1301)의 지름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제2경사장공(1602)은 제2경사장공(1602)의 후방에 형성되는 인입부와, 제2경사장공(1602)의 전방에 형성되는 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부의 폭은 제2핀(1302)의 지름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제2경사장공(1602)의 좌측면은 중반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인입부의 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진다. 제2경사장공(1602)의 후면은 슬라이더(1600)의 후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2경사장공(1602)에 삽입되는 제2핀(1302)은 핸들부(1200)가 피벗부(1320)의 회전축(132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슬라이더(1600)를 이동시키지 않고 제2경사장공(160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하면(1620) 후방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ㄷ'자의 오목한 부분이 후방을 향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는 하우징(11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의 우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상면(1610)과 하면(1620)의 후방에는 상면(1610)과 하면(1620)을 연결하는 형태로 보강부(1606)가 형성된다. 보강부(1606)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의 상부에 형성된다. 보강부(1606)로 인해 슬라이더(1600)의 강성이 향상된다.
우면(163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면(1630)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와,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상부와 하부에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을 포함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는 오목한 부분이 전방을 향하게 형성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내측에는 후술할 리드스크류(1724)가 배치되고,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외측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이 끼워진다. 즉,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는 리드스크류(1724)와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의 내측 지름은 리드스크류(1724)에 끼워지는 이동너트(1750)의 외측 지름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와 리드스크류(1724)는 서로 닿지 않는다.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 하부의 내측면은 하우징(1100)의 제3가이드부(1106)와 접촉하여 제3가이드부(1106)에 의해 가이드 되고, 상부의 내측면은 제3가이드부(1106)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은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 삽입홈(1605)과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 삽입홈(1605)과 제3가이드부(1106) 사이에는 이동너트(17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동너트(1750) 설치 후 이동너트(1750)의 내측면과 제3가이드부(1106)의 외측면은 서로 접촉한다.
<구동부>
구동부(1700)는 도 15 내지 도 1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1700)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는 웜(1721)과, 웜(1721)에 의해 회전되는 더블기어(1722)와, 더블기어(1722) 및 하우징(11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너트(175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1710)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700)는 하우징(1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모터(1710)는 상하방향으로 하우징(1100)에 설치된다.
모터(171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되거나 작동을 멈춘다.
모터(1710)의 축에는 웜(1721)이 설치된다.
더블기어(1722)는 웜휠(1723)과 웜휠(1723)의 좌측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1724)를 포함한다. 웜휠(1723)과 리드스크류(1724)는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한다. 웜휠(1723)과 리드스크류(1724) 사이에는 일면이 웜휠(1723)과 연결되고, 타면이 리드스크류(1724)와 연결되는 원판이 형성된다.
웜(1721)은 웜휠(1723)과 치합된다. 더블기어(1722)는 웜(1721)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드스크류(1724)의 외측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이 설치된다. 조립 완료 후,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일측은 슬라이더(1600)의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1604)에 설치되고,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타측은 리드스크류 관통부(1132)의 좌측면에 접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외측에는 범퍼(1740)가 설치된다.
범퍼(1740)는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범퍼(174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범퍼(1740)의 전방에는 앞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741)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부(1741)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741)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의 가이드부(1741)와 하부의 가이드부(174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두 가이드부(1741) 사이에는 하우징 삽입홈(1742)이 형성된다.
범퍼(1740)는 하우징(1100)의 범퍼 설치홈(1136)에 설치된다. 하우징 삽입홈(1742)에는 중간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1106)가 삽입된다. 상부 가이드부(1741)의 상면은 상부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1106)의 밑면과 접하고, 하부 가이드부(1741)의 하면은 하부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1106)의 윗면과 접한다. 즉, 범퍼(1740)는 제3가이드부(1106)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범퍼(1740)는 제3가이드부(1106)의 형상에 의해 일정 범위 이상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범퍼(1740)로 인해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은 일정량 이상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등이 흡수된다.
이동너트(175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너트(1750)는 넓은 면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동너트(1750)의 중앙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하우징 삽입홈(1754)과, 제2하우징 삽입홈(1754)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752)와, 제2가이드부(1752)의 상부 및 하부에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하우징 삽입홈(1753)과, 제1하우징 삽입홈(1753)의 상부 및 하부에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751)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 삽입홈(1753)의 전후방향 깊이는 제2하우징 삽입홈(1754)의 전후방향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 삽입홈(1753)과 제2하우징 삽입홈(1754)에는 하우징(1100)의 제3가이드부(1106)가 삽입된다.
제1가이드부(1751)의 후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더(16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이동너트(1750)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동너트(1750)는 중앙부에서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드스크류 삽입부(1755)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 삽입부(1755)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에 리드스크류(1724)가 끼워진다.
리드스크류(1724)가 회전하면, 이동너트(1750)는 일측이 하우징(110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3가이드부(1106)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된다.
이동너트(1750)는 슬라이더(1600)의 우면(1630)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17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1600)는 이동너트(1750)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고,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1600)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에 의해 좌측으로 밀린다.
하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751)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제3센서 누름부(1756)가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1756)는 이동너트(175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제3센서(23a,23b)의 상부를 누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돌출된다.
이동너트(1750)는 제3센서 누름부(1756)가 슬라이더(1600)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슬라이더(1600) 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1750)와 별개로 슬라이더(16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더(1600)와 제3센서 누름부(1756)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막음판>
하우징(1100)은 하우징(1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막음판(1800)을 포함한다.
막음판(1800)은 도 17 내지 도 1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막음판(1800)은 전체적으로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로 구성된다.
막음판(18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하우징(110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막음판(1800)의 좌측부(1810) 및 우측부(1820)는 막음판(1800)의 중앙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막음판(1800)의 중앙에는 전선 삽입홈(18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전선(20)의 일부는 전선 삽입홈(1801)을 통해 하우징(1100) 내부로 연결된다.
막음판(1800)의 중앙에는 하우징 지지부(1802)와 피벗부 걸림부(180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피벗부 걸림부(1803)는 전선 삽입홈(1801)보다 우측에 배치되고, 하우징 지지부(1802)는 피벗부 걸림부(1803)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지지부(1802)의 좌측은 좌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원호 모양으로 돌출되고, 하우징 지지부(1802)의 우측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 모양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하우징 지지부(1802)에는 하우징(1100)의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드스크류 설치부(1135)는 보다 견고하게 리드스크류(1724)를 지지할 수 있다.
피벗부 걸림부(1803)의 우측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로 인해 사용자가 핸들부(1200)의 우측을 눌러 피벗부(1320)가 힘을 받게 되더라도, 피벗부(1320)는 피벗부 걸림부(1803) 이상 우측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피벗부(1320)는 피벗부(1320)에 설치되는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으로 인해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피벗부 걸림부(1803)에 접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피벗부 걸림부(1803)보다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막음판(1800)의 좌측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804)이 형성되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부가 설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804)은 하우징(11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04)의 후방에 배치된다.
좌측부(1810)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키실린더 설치홈(1811)이 형성된다.
키실린더 설치홈(1811)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키실린더 체결부(1812)가 형성된다. 키실린더 체결부(1812)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키실린더(1900)를 키실린더 체결부(1812)에 볼팅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키실린더 설치홈(1811)의 우측면 및 키실린더 체결부(181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키실린더(1900)도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1200)의 좌측이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 사용자가 키실린더(19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핸들부(1200)와 범퍼부재(1500) 사이의 틈이 최소화될 수 있다.
두 키실린더 체결부(1812) 사이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키실린더 관통홈(1813)이 형성된다. 키실린더 관통홈(1813)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키실린더(1900)의 전방은 키실린더 관통홈(1813)을 통해 하우징(1100) 내부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1200)의 좌측이 전방으로 들려 하우징(1100)의 내부가 드러나면, 키실린더(19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키실린더 설치홈(1811) 내부의 좌측 하단에는 도어키 연결부 설치부(1814)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키 연결부 설치부(1814)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키 연결부 설치부(1814)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후술할 도어키 연결부(50)의 일부가 설치된다.
우측부(1820)에는 모터 지지부(1821)와, 모터축 지지부(1822)와, 범퍼 지지부(182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지지부(1821)는 우측부(1820)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다.
모터 지지부(1821)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모터 지지부(1821)는 보다 경량화 된다.
모터 지지부(1821)의 전면은 하우징(1100)에 설치되는 모터(1710)의 후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모터(1710)는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모터축 지지부(1822)는 넒은 면이 상하방향을 향하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모터축 지지부(1822)는 모터 지지부(1821)의 상부에 배치된다.
모터축 지지부(1822)의 전면은 하우징(1100)의 제1모터축 설치부(1123)의 후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모터(1710)의 축은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범퍼 지지부(1823)는 우측보다 좌측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범퍼 지지부(1823)는 모터 지지부(1821) 및 모터축 지지부(1822)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범퍼 지지부(1823) 좌측의 전면은 하우징(1100)의 제3가이드부(1106)의 후면과 접하고, 범퍼 지지부(1823) 우측의 전면은 하우징(1100)에 설치되는 범퍼(1740)의 후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범퍼(1740)는 후방 및 좌측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막음판(1800)의 둘레부에는 하우징(110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1831)와, 제2체결부(1832)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831)는 볼트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1831)의 일부는 막음판(1800) 둘레부의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체결부(1831)의 나머지 일부는 막음판(1800)의 좌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체결부(1831)의 나머지는 좌측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1832)는 막음판(18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1832)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하우징(1100)의 제2체결부(115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막음판(1800)과 하우징(1100)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막음판(1800)의 전면과 하우징(1100)의 후면 사이에는 실링부재(1850)가 삽입된다. 실링부재(1850)는 막음판(1800)과 하우징(1100) 사이의 틈을 메워 방수, 방진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도 5 및 도 31 내지 도 3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은 슬라이더(1600)에, 타단은 전동식 래치부(2000)에 연결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3)과 케이블(33)을 감싸고 있는 튜브(32)를 포함하여, 케이블(33)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케이블(33)은 슬라이더(1600)의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에 설치되어, 걸림돌기(31)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보다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의 홈의 폭은 케이블(33)의 지름보다는 크고,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므로, 걸림돌기(31)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1603)에 의해 우측으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튜브(32)의 일측 둘레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하우징(1100)의 제2가이드부(1105)의 홈에 끼움으로써 튜브(32)는 하우징(1100)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600)가 슬라이딩 되면, 튜브(32)는 그대로 있고, 튜브(32) 안에 설치된 케이블(33)만 이동하게 된다.
케이블(33)의 타단에는 전동식 래치부(2000)의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플레이트(2400)와 연결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하면 안전 플레이트(2400)도 그에 따라 슬라이딩 한다.
안전 플레이트(2400)의 일측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따라 당겨지면 안전 플레이트(2400)가 잠금부재(2615)에서 이탈하여 잠금부재(2615)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안전 플레이트(2400)에 의해 제1센서(21)가 눌려 모터(261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2610)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즉, 전동식 래치부(20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 때 특정 센서의 눌림, 리모콘 작동 등에 의해 모터(2610)에 작동 명령이 내려지면 모터(2610)가 작동하고, 모터(2610)의 축에 설치된 웜과 치합되어 있는 잠금부재(2615)가 회전하며, 잠금부재(2615)에 삽입되어 있는 오픈레버(2350)를 회전시킨다. 즉,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오픈레버(2350)가 회전하면, 오픈레버(2350)가 래치(2200)에 걸려있는 회동부재(2370)를 회전시켜 회동부재(2370)가 래치(2200)에서 이탈된다. 그로 인해 래치(2200)가 래치(2200)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면, 래치(2200)에 의해 걸려있던 차체의 스트라이커(2100)가 래치(2200)가 이탈되며 도어 패널이 열리게 된다. 즉,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어키 연결부(5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어키 연결부(50)도 도어래치 연결부(30)와 형태 및 작동 원리가 동일하다. 다만, 도어키 연결부(50)의 일단은 키실린더(1900)에 연결되어 있어, 키실린더(1900)가 키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위쪽으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도어키 연결부(50)의 타단은 오픈레버(2350)와 연동되는 오픈 플레이트(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어, 오픈레버(235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래치(22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동식 작동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부(1200)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1200)의 우측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누르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0)의 우측을 중심으로 핸들부(1200)의 좌측이 전방으로 회전해 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1200)의 좌측 후방으로 하우징(1100)의 내부가 노출 된다. 핸들부(1200)의 좌측 후방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실린더(1900)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핸들부(1200)와 범퍼부재(1500) 사이로 키를 삽입하여 키실린더(1900)를 조작할 수 있다.
키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방으로 돌출된 핸들부(1200)를 잡아당길 수 있다. 핸들부(1200)를 충분히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0)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로 인출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핸들부(1200)와 범퍼부재(1500) 사이로 키를 삽입하여 키실린더(190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핸들부(1200)를 인출할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은 슬라이더(1600)에 의해 우측으로 압축되고, 이동너트(1750)의 위치는 유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핸들부(1200)를 놓으면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에 의해 핸들부(1200)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수동 인출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상술한 핸들부(1200)의 수동 인출 인입 과정에 대해 단면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동 인출 인입 과정은 도 26 내지 도 2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핸들부(1200)의 우측을 누르면 핸들부(1200)의 우측에 설치된 피벗부(1320)의 후방이 막음판(1800)에 밀착된다. 피벗부(1320)는 사용자와 막음판(18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는다.
상기 압축력에 의해 피벗부(1320)와 막음판(180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상기 마찰력이 피벗부(1320)의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에 의한 복원력보다 커지면, 피벗부(1320)가 피벗핀(1327)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아 피벗핀(1327)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피벗핀(1327)의 우측에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들부(1200)가 피벗핀(13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핸들부(1200)가 회전하면, 제2핀(1302)은 제2경사장공(1602)의 후측면을 따라 좌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한 후, 제2핀(1302)의 상부 및 하부가 삽입되어 있는 제1가이드부(1102)의 경사면에 가로막히게 된다.
제2핀(1302)의 위치가 고정되면, 핸들부(120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핸들부(1200)가 회전하면, 제1핀(1301)은 제1경사장공(1601)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한 후, 제1핀(1301)의 상부 및 하부가 삽입되어 있는 제1가이드부(1102)의 경사면에 가로막히게 된다.
제1핀(1301)의 위치가 고정되면, 핸들부(1200)는 연장부(1310)에 대해 슬라이딩 되며 회전한다. 연장부(1310) 내부의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은 핸들부(1200)가 슬라이딩되는만큼 압축된다.
연장부(1310)는 제1핀(1301)에 대해 슬라이딩되며 회전한다.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은 핸들부(12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제1,2경사장공(1601,1602)과 제1가이드부(1102)의 홈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만 슬라이딩 된다. 즉, 제1핀(1301) 및 제2핀(1302)으로 인해 슬라이더(1600)에 작용하는 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슬라이더(1600)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핸들부(1200)에서 손을 떼면, 핸들부(1200)는 연장부(1310)의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의 복원력에 의해 인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120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은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1600)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이 압축된다.
핸들부(1200)의 인출이 완료되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연장부(1310) 내부의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은 제1핀(1301)이 자유롭게 이동함에 따라 원상태로 복원된다. 피벗부(1320)는 피벗부(1320)와 막음판(1800) 사이의 마찰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피벗부복귀스프링(1324)의 복원력에 의해 피벗핀(13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부(1700)에 의해 슬라이더(1600)가 슬라이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동너트(1750)는 원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즉, 핸들부(1200)가 수동으로 작동될 때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너트(1750)는 좌측의 제3센서(23b)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당겨진다. 그로 인해 전동식 래치부(2000)의 잠금이 해제된다.
하지만 좌측의 제3센서(23b)가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전동식 래치부(2000)의 모터(261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후술할 전동식 작동 과정과 달리, 핸들부(1200)의 좌측을 잡아당겨 연장부(1310)가 제2센서(22)를 누르더라도, 도어 패널이 전동으로 열리지 않는다. 즉, 도어 패널을 열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전동식 래치부(2000)를 작동시켜야 한다.
핸들부(1200)에서 사용자가 키실린더(1900)에 키를 넣고 돌리면, 도어키 연결부(50)에 의해 전동식 래치부(2000)가 수동으로 작동하여 스트라이커(2100)가 래치(2200)에서 빠져나와 도어 패널이 열리게 된다. 또한, 전동식 래치부(2000)의 수동 오픈 케이블을 잡아당겨 도어 패널을 열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1200)를 놓으면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이 슬라이더(1600)의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핸들부(1200)가 인입된다.
<전동식 작동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부(1200)가 전동으로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나 리모컨, 버튼 등을 통해 핸들부(1200)의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에 의해 모터(1710)가 작동된다.
모터(1710)가 작동되면, 웜(1721)이 회전하게 되고, 웜(1721)이 회전함에 따라 더블기어(1722)의 웜휠(1723)이 회전하게 되고, 웜휠(1723)과 함께 리드스크류(1724)도 회전하게 된다.
리드스크류(1724)가 회전하면, 리드스크류(1724)와 치합되어 있는 이동너트(175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너트(1750)에 의해 슬라이더(1600)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이 슬라이더(1600)의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핸들부(1200)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도 23, 도 29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동너트(175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이동너트(1750)의 제3센서 누름부(1756)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제3센서(23a)를 누르게 된다. 제3센서(23a)가 눌리면 모터(1710)의 작동이 멈춘다.
또한, 슬라이더(16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당겨진다. 도어래치 연결부(30)에 따라 안전 플레이트(2400)의 일측이 당겨지면, 안전 플레이트(2400)가 잠금부재(2615)에서 이탈하여 잠금부재(2615)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안전 플레이트(2400)에 의해 제1센서(21)가 눌려 모터(2610)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즉, 전동식 래치부(20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상술한 수동식 작동 방법과 마찬가지로 핸들부(1200)와 범퍼부재(1500) 사이로 키를 삽입하여 키실린더(1900)를 조작하여 도어 패널을 열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전동식으로 도어 패널을 열고자 할 때는, 도 24, 도 25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0)의 좌측을 전방으로 당기면 된다.
핸들부(1200)의 좌측을 전방으로 당기면, 핸들부(1200)가 인입되어있을 때와 달리 피벗부(1320)의 후방이 고정되지 않으므로 핸들부(1200)는 제2핀(130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핸들부(1200)의 좌측이 회전함에 따라 연장부(1310) 내의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은 압축된다. 핸들부(1200)가 연장부(13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핸들부(1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2센서(22)가 연장부(13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센서 눌림방지부(1314)에서 이탈하여 연장부(1310)의 길이부(1313)의 외측면에 의해 눌리게 된다.
제1센서(21), 제2센서(22) 및 우측의 제3센서(23a)가 전부 눌리면, 전동식 래치부(2000)의 모터(2610)가 작동하여 도 35 내지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패널이 열린다.
사용자가 핸들부(1200)를 놓으면, 연장부(1310)의 연장부복귀스프링(1316)에 의해 핸들부(12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 모터(1710)가 핸들부(12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복귀스프링(17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핀(1301) 및 제2핀(1302)이 슬라이더(1600)의 제1,2경사장공(1601,160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너트(1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너트(1750)의 제3센서 누름부(1756)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3센서(23b)를 누르게 된다. 제3센서(23b)가 눌리면 모터(1710)의 작동이 멈춘다.
슬라이더(16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를 따라 안전 플레이트(240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플레이트(2400)가 잠금부재(2615)에서 삽입되어 잠금부재(2615)의 회전이 저지되고, 안전 플레이트(2400)가 제1센서(21)에서 벗어나 모터(2610)에 전원이 차단된다. 즉, 전동식 래치부(2000)가 잠기게 된다. 이로 인해 전동식 래치부(2000)의 전기적 오작동으로 인한 도어 패널의 오픈이 방지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플레이트(240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기 위해서는, 전동식 래치부(2000)의 모터(2610)가 도어 패널이 열릴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회동부재(2370)의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잠금부재(2615) 및 오픈레버(2350)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은 슬라이더(3600)와, 슬라이더(3600)에 수납되는 핸들부(3200) 및 슬라이더(36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핸들부(3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핸들부(320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더(360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슬라이더(3600)와 핸들부(3200)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슬라이더(36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3700)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슬라이더(3600)에 형성되는 제1,2경사장공(3601,3602)과, 제1,2경사장공(3601,3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핸들부(3200)에 설치되는 제1,2핀(3301,3302)을 포함한다.
<하우징>
슬라이더(3600)가 설치되는 하우징(3100)은 도 3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100)은 제1실시예의 하우징(1100)과 전반적으로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하우징(3100) 둘레부의 상부와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3102)는 전후방향으로 곧게 이어지는 2개의 직선으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부(3102)에는 제1,2핀(3301,3302)의 일부가 삽입되어, 제1가이드부(310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된다.
하우징(3100) 좌측에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부분의 좌측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3107)이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서 전선(20)의 일부가 막음판(1500)을 통해 핸들부(1200)의 각 센서에 연결된 것과 달리, 제2실시예에서 전선(20)의 일부는 하우징(3100)의 전선 관통홈(3107)을 통해 핸들부(3200)의 각 센서에 연결된다.
하우징(310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되는 리드스크류 설치부(3133)에는 부시 설치부(3125)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부시 설치부(3125)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3개의 직선으로 구성된다.
부시 설치부(3125)에는 후술할 리드스크류(3724)의 우측에 설치되는 부시(3762)의 상단, 하단 및 전단이 접하게 된다.
리드스크류 설치부(3135)의 우측면에는 후술할 리드스크류(3724)의 좌측에 설치되는 부시(3762)가 끼워지는 부시 설치홈(3135a)이 더 형성된다. 부시 설치홈(3135a)에는 부시(3762)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지름은 부시 설치홈(3135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핸들부>
핸들부(3200)는 도 4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핸들부(3200)는 제1실시예의 핸들부(3200)와 전반적으로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핸들부(3200)의 우측 후방에 형성되는 제2핀 설치홈(3241)은 핸들부(3200)에 설치되는 피벗핀(332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3200)는 핸들부(3200)의 우측이 외부에서 눌렸을 때 제2핀(3302)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피벗핀(332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핀(3302)은 핸들부(3200)의 회전시에는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핸들부(320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만 하우징(3100)의 제1가이드부(310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핸들부(3200)의 후면에는 제1실시예의 핸들부(1200) 후면에 전선 설치부(1222)가 형성된 것과 달리 별도의 전선 설치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 핸들부(3200) 후방의 우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보강부(3222)가 각각 형성된다. 보강부(3222)는 제2핀 설치홈(3241)의 좌측에 형성되어, 제2핀 설치홈(3241)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또한, 하우징(3100)의 전선 관통홈(3107)과 핸들부(3200) 후방의 좌측과 핸들부 우측부(3240)의 전선 관통홈(3242)을 통해 연결되는 전선(20)이 핸들부(3200) 아래로 쳐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
구동부(3700)는 도 41 내지 도 42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3700)는 제1실시예의 구동부(3700)와 전반적으로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모터(3710)에 형성되는 웜(3721)의 상단에는 축범퍼(3763)가 더 설치된다. 축범퍼(3763)로 인해 웜(3721)이 회전하여 하우징(3100)의 웜기어 설치홈(3122)과 마찰될 때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된다.
더블기어(3722)는 웜휠(3723)과, 웜휠(3723)의 좌측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3724)와, 웜휠(3723)과 리드스크류(3724)를 관통하는 더블기어축(3725)을 포함한다. 웜휠(3723)과 리드스크류(3724)는 하나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한다. 웜휠(3723)과 리드스크류(3724) 사이에는 일면이 웜휠(3723)과 연결되고, 타면이 리드스크류(3724)와 연결되는 도넛 형태의 판이 형성된다.
더블기어축(3725)은 웜휠(3723)과 리드스크류(3724)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동너트(3750)의 좌측면에는 우측으로 함몰되게 와셔 설치홈(3757)이 형성된다. 와셔 설치홈(3757)은 리드스크류 삽입부(3755)와 연통된다.
더블기어축(3725)의 양측에는 와셔(3761) 및 부시(3762)가 더 끼워진다. 부시(3762)는 와셔(3761)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와셔(3761) 및 부시(3762)로 인해 더블기어(3722)가 회전하여 하우징(3100)과 마찰될 때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된다.
와셔(3761)는 도넛 모양의 판으로 형성되고, 부시(3762)는 도넛 모양의 판에 반구 형태의 덮개가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시(3762)의 도넛부의 지름은 반구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더블기어축(3725)의 좌측에 설치되는 와셔(3761) 및 부시(3762)는 더블기어(3722)에 설치되는 이동너트(3750)보다 좌측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3750)가 리드스크류(3724) 좌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부시(3762)는 하우징(3100)의 부시 설치홈(3135a)에 삽입되어 리드스크류 설치부(3135)의 좌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작동 방법은 제1실시예의 작동 방법과 동일하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5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슬라이더(4600)와, 슬라이더(4600)에 수납되는 핸들부(4200) 및 슬라이더(46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핸들부(42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핸들부(420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더(460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슬라이더(4600)와 핸들부(4200)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슬라이더(46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4700)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슬라이더(4600)에 형성되는 제1,2경사장공(4601,4602)과, 제1,2경사장공(4601,4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핸들부(4200)에 설치되는 제1,2핀(4301,430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45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4100)과 제1하우징(410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416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4100)은 도 50 내지 도 5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하우징(4100)은 전체적으로 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하우징(4100)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4100)의 중앙부에는 핸들부(4200) 및 슬라이더(4600)가 배치되고, 제1하우징(4100)의 우측부에는 구동부(4700)의 일부가 배치되고, 제1하우징(4100)의 좌측부에는 키잠금부(4900)가 배치된다.
제1하우징(4100)에는 핸들부 관통공(4101)이 제1하우징(4100)의 중앙부에서 좌측부까지 길게 형성된다.
핸들부 관통공(4101)은 핸들부(4200)의 전면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본 제3실시예에서는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핸들부 관통공(4101)은 핸들부(4200)의 전면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핸들부 관통공(4101)과 핸들부(42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해준다.
제1하우징(4100) 둘레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가이드부(410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4102)는 핸들부 관통공(4101)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핸들부(4200) 및 슬라이더(4600)에 삽입되는 제1,2핀(4301,430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제1가이드부(4102)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가이드부(4102)의 내측에는 제1,2핀(4301,4302)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2핀(4301,4302)의 양단은 상기 홈에 삽입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하우징(4100)의 우측 하부에는 2개의 제3센서 설치홈(4103)이 서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된다. 제3센서 설치홈(4103)은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3센서(23a,23b)는 제3센서 설치홈(4103)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치되어, 제3센서 설치홈(4103)의 상부를 통해 눌리게 된다.
제1하우징(4100)의 우측하단은 제1하우징(4100)의 중앙부 하단보다 아래쪽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4100)의 우측하단과 제1하우징(4100)의 중앙부 하단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4104)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4104)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부가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4104)의 우측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4105)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4105)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튜브(32)가 설치되어, 튜브(32)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1하우징(4100)의 우측 중앙에는 2개의 제3가이드부(4106)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4106)는 핸들부 관통공(4101)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가이드부(4106)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4106)의 좌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너트 막음부(4107)가 형성된다.
이동너트 막음부(4107)는 제3가이드부(4106)의 좌측단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4106)의 좌측은 이동너트 막음부(4107)에 의해 가로막히고, 제3가이드부(4106)의 우측은 제1하우징(4100) 둘레부의 우측에 의해 가로막힌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4106)에 의해 후술할 구동부(4700)의 이동너트(4750) 및 이동너트 범퍼(4760)가 일정 범위 안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하우징(4100)의 우측 둘레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이 형성된다.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제1하우징(4100)의 우측 둘레부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제2하우징 설치부(4109)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 설치부(4109)는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 설치부(4109)의 지름은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하우징 설치부(4109)는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제2하우징 설치부(4109)와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된다.
후술할 제2하우징(4160)은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과 제2하우징 설치부(4109) 사이에 설치된다.
제1하우징(4100)의 전면 외측은 후술할 범퍼부재(4500)와 결합된다.
핸들부 관통공(4101)의 둘레에는 제1,2,3범퍼체결부(4113,4114,4115)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제2범퍼체결부(4114)는 제1하우징(4100)의 전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범퍼체결부(4114)에는 핸들부 관통공(4101) 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제1범퍼체결부(4113)가 형성된다.
제1,2범퍼체결부(4113,4114)로 인해 범퍼부재(4500)를 제1하우징(4100) 전면부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움결합할 수 있다.
제3범퍼체결부(4115)는 전방으로 돌출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3범퍼체결부(4115)로 인해 범퍼부재(4500)를 제1하우징(4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움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4100)과 범퍼부재(4500)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4100)의 좌측 둘레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키실린더 설치부(4121)가 형성된다.
키실린더 설치부(4121)는 우측은 원형으로 좌측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키실린더 설치부(4121)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키실린더 설치홈(4122)이 형성된다.
키실린더 설치부(4121)의 좌측에는 키실린더 체결부(4123)가 형성된다. 키실린더 체결부(4123)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4100)의 상측 둘레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제4체결부(4131)가 형성된다.
제4체결부(4131)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레버 관통홈(4132)이 형성된다.
레버 관통홈(4132)은 후술할 레버(4950)의 회전 반경에 맞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4체결부(4131)의 좌측에는 케이블 설치홈(4133)과, 걸림돌기 설치홈(4134)과, 튜브 설치홈(4135)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케이블 설치홈(4133)은 레버 관통홈(4132)의 좌측에 형성된다. 케이블 설치홈(4133)은 후방 및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 설치홈(4134)은 케이블 설치홈(4133)의 좌측에 형성된다. 걸림돌기 설치홈(4134)은 후방 및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튜브 설치홈(4135)은 걸림돌기 설치홈(4134)의 좌측에 형성된다. 튜브 설치홈(4135)은 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케이블 설치홈(4133)과, 걸림돌기 설치홈(4134)과, 튜브 설치홈(4135)은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한다.
제1하우징(4100)의 상측 둘레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레버 설치돌기(4136a)와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가 형성된다.
레버 설치돌기(4136a)와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는 제4체결부(4131)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레버 설치돌기(4136a)와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는 상하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레버 설치돌기(4136a)는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의 좌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레버 설치돌기(4136a)와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레버 가이드홈(4137)이 형성된다.
레버 가이드홈(4137)은 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레버(4950)의 걸림부(4954)가 레버 가이드홈(4137)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레버 설치돌기(4136a)의 좌측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레버 가이드부(4138)가 형성된다.
레버 가이드부(4138)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의 우측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가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는 후술할 웨이트밸런스(4960)의 형태를 따라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는 웨이트밸런스(4960)의 후면과 닿게 형성되어, 웨이트밸런스(4960)의 초기위치를 결정하고 웨이트밸런스(4960)가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보다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한다.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의 높이는 레버 가이드부(4138)의 높이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제3센서 설치홈(4103)의 사이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전선 관통홈(4141)이 형성된다.
전선(20)은 제1전선 관통홈(4141)을 통해 제1하우징(4100) 내부로 삽입되어 제3센서(23a,23b)에 연결된다.
제1하우징(4100)의 하측 둘레부에는 후방 및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전선 관통홈(4142)이 형성된다.
제2전선 관통홈(4142)은 제1하우징(4100)의 중앙에 배치된다.
전선(20)은 제2전선 관통홈(4142)을 통해 제1하우징(4100) 내부로 삽입되어 제2센서(22), LED(24), 버튼센서(26) 및 제4센서(27)에 연결된다.
제1하우징(4100) 둘레부에는 후술할 제1막음판(480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4151), 제2체결부(4152)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4151)는 볼트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4151)의 일부는 제1하우징(41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체결부(4151)의 나머지는 제1하우징(4100)의 좌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4152)는 제1하우징(41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415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제1하우징(4100)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제1하우징(4100) 둘레부에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3체결부(4153)가 형성된다.
제3체결부(4153)는 제1하우징(41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체결부(4153)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을 통해 도어 패널과 결합된다. 상기 홈에는 도넛 형태의 금속 패드(4154)가 설치되어, 제1하우징(4100)과 도어 패널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제1하우징(4100) 우측 둘레부에는 제2하우징 체결부(4155)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 체결부(4155)는 제2하우징 설치부(4109)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2하우징 체결부(4155)는 우측으로 돌출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 체결부(4155)는 2개의 상기 직육면체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하우징 체결부(4155)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4100)의 둘레부 안쪽에는 제1막음판 끼움홈(4156)이 형성된다.
제1막음판 끼움홈(4156)에는 후술할 제1막음판(4800)의 제1하우징 끼움돌기(4805)가 삽입된다.
<제1막음판>
제1하우징(4100)은 제1하우징(4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막음판(4800)을 포함한다.
제1막음판(4800)은 도 58 내지 도 5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막음판(4800)은 전체적으로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로 구성된다.
제1막음판(4800) 둘레부는 제1하우징(4100)의 둘레부의 후방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된다.
제1막음판(4800)의 좌측부(4810) 및 우측부(4820)는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막음판(4800)의 중앙 하부에는 제3전선 관통홈(4801)이 전방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3전선 관통홈(4801)은 제1하우징(4100)의 제2전선 관통홈(4142)과 연통한다.
제1막음판(4800)의 중앙에는 제4센서 누름부(4802)와 피벗부 걸림부(480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4센서 누름부(4802)는 제3전선 관통홈(4801)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피벗부 걸림부(4803)는 제3전선 관통홈(4801)보다 우측에 배치된다.
제4센서 누름부(4802)는 납작한 반구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4센서 누름부(4802)는 핸들부(4200)에 설치되는 제4센서(27)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4센서 누름부(4802)는 초기상태에서 제4센서 누름부(4802)가 제4센서(27)를 누르지 않게 형성된다.
피벗부 걸림부(4803)는 제1막음판(48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사각형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피벗부 걸림부(4803)는 피벗부(4320)의 회전부(4322)의 후방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핸들부(4200)의 우측을 눌러 피벗부(4320)가 힘을 받게 될 때, 피벗부(4320)는 피벗부 걸림부(4803)로 인해 좌측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제1막음판(4800)의 우측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홈(4804)이 형성된다.
제1막음판(4800)의 둘레부 안쪽에는 제1하우징 끼움돌기(4805)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 끼움돌기(4805)는 제1막음판(4800)의 둘레부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격되는 거리는 제1하우징(4100)의 제1막음판 끼움홈(4156)의 두께와 유사하다.
제1막음판(4800)의 둘레부와 제1하우징 끼움돌기(4805) 사이에는 제1하우징(4100)의 제1막음판 끼움홈(4156)이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실링부재 없이 제1하우징(4100)과 제1막음판(4800) 사이의 틈이 메워질 수 있어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하다.
좌측부(4810)에는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키실린더 설치홈(4811)이 형성된다.
키실린더 설치홈(4811)에는 제1하우징(4100)의 키실린더 설치부(4121)가 끼워진다.
키실린더 설치홈(4811)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키실린더 관통홈(4813)이 형성된다. 키실린더 관통홈(4813)의 지름은 키실린더(493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좌측부(481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어설치홈(4814)이 형성된다.
제2기어설치홈(4814)은 키실린더 설치홈(4811)의 하부에 위치한다.
우측부(4820)에는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과 제2막음판 설치부(4822)와 제2막음판 체결부(4823)가 형성된다.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은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은 제1하우징(4100)의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과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과 연통된다.
제2막음판 설치부(4822)는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제2막음판 설치부(4822)의 지름은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막음판 설치부(4822)는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제2막음판 설치부(4822)와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된다.
후술할 제2막음판(4170)은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과 제2막음판 설치부(4822) 사이에 설치된다.
우측부(4820)에는 제2막음판 체결부(4823)가 형성된다.
제2막음판 체결부(4823)는 제2막음판 설치부(482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2막음판 체결부(4823)는 우측으로 돌출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2막음판 체결부(4823)는 2개의 상기 직육면체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막음판 체결부(4823)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제1막음판(4800)의 둘레부에는 제1하우징(4100)과 결합되는 제1체결부(4831)와, 제2체결부(4832)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4831)는 볼트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4831)의 일부는 제1막음판(48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 일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체결부(4831)의 나머지는 좌측 상부 및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4832)는 제1막음판(4800) 둘레부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부(4832)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제1하우징(4100)의 제2체결부(415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막음판(4800)과 제1하우징(4100)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부(4832)의 내측에는 핀 간섭방지홈(4833)이 형성된다.
핀 간섭방지홈(4833)은 전방 및 내측방향이 개방되도록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핀 간섭방지홈(4833)은 제1하우징(4100)의 제1가이드부(4102)의 홈과 연통된다.
핀 간섭방지홈(4833)으로 인해 제1핀(4301)과 제2핀(4302)은 제1막음판(4800)과 간섭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막음판(4800)의 상측 둘레부에는 레버 간섭방지홈(4834)이 형성된다.
레버 간섭방지홈(4834)은 좌측의 핀 간섭방지홈(4833)과 우측의 핀 간섭방지홈(4833)의 사이에 형성된다.
레버 간섭방지홈(4834)은 후방이 오목한 호의 형태로 전방 및 상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호는 레버(4950)의 회전반경에 따라 형성된다.
제1하우징(4100)과 제1막음판(4800)이 결합하면 레버 간섭방지홈(4834) 하부에는 제1하우징(4100)의 둘레부가 위치하게 된다.
<제2하우징>
제2하우징(4160)은 도 60 내지 도 6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2하우징(4160)은 전체적으로 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하우징(4100)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로 구성된다.
제2하우징(4160)은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416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1하우징 체결부(4161)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 체결부(4161)는 제1하우징(4100)의 두 제2하우징 체결부(4155)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하우징 체결부(4161)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하우징(4160)의 제1하우징 체결부(4161)와, 제1하우징(4100)의 제2하우징 체결부(4155)는 볼트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4160)의 좌측에는 후방 및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리드스크류 관통홈(4162)이 형성된다.
제1리드스크류 관통홈(4108)과 제2리드스크류 관통홈(4162)은 전후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제2하우징(4160)의 하부에는 후방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63)이 형성된다.
제2하우징(4160)의 둘레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들어가게 제2막음판 결합홈(4164)이 형성된다.
제2막음판 결합홈(4164)은 제2하우징(4160) 둘레부에서 제2리드스크류 관통홈(4162)과 제1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63)이 형성되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형성된다.
제2하우징(4160) 둘레부의 좌측에는 제2막음판 걸림돌기(4164a)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막음판 걸림돌기(4164a)는 제2막음판 결합홈(4164)보다 제2하우징(4160)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막음판 걸림돌기(4164a)는 제2하우징(4160)의 모서리에 위치한다.
제2막음판 걸림돌기(4164a)의 좌측면은 후술할 제2막음판(4170) 둘레부의 내측면에 닿는다.
이로 인해 제2막음판 걸림돌기(4164a)는 제2하우징(4160)과 제2막음판(4170)이 결합할 때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하우징(4160)의 상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제1리드스크류 설치홈(4165)이 형성된다.
제1리드스크류 설치홈(4165)은 반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하우징(4160)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더블기어설치부(4166a)가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설치부(4166a)는 제1리드스크류 설치홈(4165)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설치부(4166a)에는 후술할 제1더블기어(4722) 축의 상부가 설치될 수 있는 반원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제2하우징(4160)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2더블기어설치부(4166b)가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설치부(4166b)는 제1리드스크류 설치홈(4165)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설치부(4166b)에는 제1더블기어(4722) 축의 중앙부가 설치될 수 있는 반원통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제2하우징(4160)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3더블기어설치부(4166c)가 형성된다.
제3더블기어설치부(4166c)에는 제1더블기어(4722) 축의 하부가 설치될 수 있는 반원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제1,2,3더블기어설치부(4166a,4166b,4166c)는 상하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한다.
제2하우징(4160)의 좌측 하부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제1모터설치홈(4167)이 형성된다.
제1모터설치홈(4167)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모터설치홈(4167)의 우측에는 제1모터축설치홈(4168a)과 제2모터축설치부(4168b)가 형성된다.
제1모터축설치홈(4168a)은 제2하우징(4160) 우측 하부에 형성된다.
제1모터축설치홈(4168a)은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모터축설치홈(4168a)에는 후술할 제1웜(4721)의 축의 우측이 설치된다.
제2모터축설치부(4168b)는 제3더블기어설치부(4166c)의 좌측 상단에 형성된다.
제2모터축 설치홈(4168a)에는 후술할 모터(4710)의 축의 좌측이 설치될 수 있는 홈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막음판>
제2하우징(4160)은 제2하우징(416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막음판(4170)을 포함한다.
제2막음판(4170)은 도 62 내지 도 6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2막음판(4170)은 전체적으로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막음판(4170)은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로 구성된다.
제2막음판(4170)은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막음판(4170)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막음판 체결부(4171)가 형성된다.
제1막음판 체결부(4171)는 제1막음판(4800)의 두 제2막음판 체결부(482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막음판 체결부(4171)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막음판(4170)의 제1막음판 체결부(4171)와, 제1막음판(4800)의 제2막음판 체결부(4823)는 볼트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막음판(4170)의 좌측에는 전방 및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4리드스크류 관통홈(4172)이 형성된다.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은 제2하우징(4160)의 제2리드스크류 관통홈(4162)과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2리드스크류 관통홈(4162)과 연통된다.
제3리드스크류 관통홈(4821)과 제2막음판(4170)의 제4리드스크류 관통홈(4172)은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즉, 제1,2,3,4리드스크류 관통홈(4108,4162,4821,4172)은 서로 연통된다.
제2막음판(4170)의 하부에는 전방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73)이 형성된다.
제2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73)은 제2하우징(4160)의 제1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63)과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1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63)과 연통된다.
제2막음판(4170)의 둘레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2하우징 결합돌기(4174)가 형성된다.
제2하우징 결합돌기(4174)는 제2막음판(4170) 둘레부에서 제4리드스크류 관통홈(4172)과 제2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73)이 형성되는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형성된다.
제2하우징 결합돌기(4174)는 제2하우징(4160)의 제2막음판 결합홈(416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별도의 실링부재 없이 제2하우징(4160)과 제2막음판(4170) 사이의 틈이 메워질 수 있어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하다. 또한, 제2하우징(4160)이 차량용 도어에 인출 및 인입되는 핸들부(4200)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4100)과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됨으로, 제2하우징(4160)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4700)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구동부(4700)의 소음이 핸들부(4200)를 통해 밖으로 노출되는 양이 줄어든다는 장점 또한 있다.
제2하우징(4160)의 상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게 제2리드스크류 설치홈(4175)이 형성된다.
제2리드스크류 설치홈(4175)은 반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막음판(4170)의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더블기어설치홈(4176)이 형성된다. 더블기어설치홈(4176)은 반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더블기어설치홈(4176)의 내측에는 제1더블기어(4722)의 축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제2막음판(4170)의 좌측 하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게 제2모터설치홈(4177)이 형성된다.
제2모터설치홈(4177)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2모터설치홈(4177)의 우측에는 제2모터축설치홈(4178a)과 제2모터축설치부(4178b)가 형성된다.
제2모터축설치홈(4178a)은 제2막음판(4170) 우측 하부에 형성된다.
제2모터축설치홈(4178a)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모터축설치홈(4178a)에는 후술할 제1웜(4721)의 축의 우측이 설치된다.
제2모터축설치부(4178b)는 더블기어설치홈(4176)의 좌측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모터축설치부(4178b)에는 후술할 모터(4710)의 축의 좌측이 설치될 수 있는 홈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핸들부>
핸들부(4200)는 도 52 내지 도 5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핸들부(42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좌우 양측이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핸들부(4200)는 상기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핸들부 본체(4220)와 상기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핸들부 좌측부(4230) 및 핸들부 우측부(4240)를 포함한다.
핸들부(4200)의 좌측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연장부 설치홈(4201)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핸들부(4200)의 우측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피벗부 설치홈(4202)이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연장부 설치홈(4201) 및 피벗부 설치홈(4202)은 좌우 및 상하 방향이 핸들부(4200)에 의해 막힌다. 이로 인해 후술할 연장부(4310)는 연장부 설치홈(4201) 내에서 연장부 설치홈(4201)을 따라 이동하고, 피벗부(4320)는 피벗부 설치홈(4202) 내에서 피벗핀(432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연장부 설치홈(4201)의 후방에는 연장부 걸림판(4201a)이 설치된다.
연장부 걸림판(4201a)은 연장부 설치홈(4201)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중간에 형성된다.
연장부 걸림판(4201a)은 후술할 연장부(4310)의 후방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홈을 포함한다.
피벗부 설치홈(4202) 전방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LED 설치홈(4203)이 형성된다. LED 설치홈(4203)에는 후술할 LED(24)의 하부가 삽입되어, 핸들부(4200) 인출시 사용자가 핸들부(4200) 바깥에서 LED(24)의 불빛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LED 설치홈(4203)의 좌측 및 우측에는 LED 설치부(4205)가 형성된다.
LED 설치부(4205)의 하단은 피벗부 설치홈(4202)의 하부 내측면에 연결된다.
LED 설치부(4205)의 상부에는 LED 설치홈(4203) 쪽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LED(24)는 LED 설치부(4205)에 후크결합 될 수 있다.
LED 설치부(4205)의 상부에는 버튼센서 설치부(4204)가 형성된다.
버튼센서 설치부(4204)는 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버튼센서(26)가 버튼센서 설치부(4204)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버튼센서 설치부(4204)의 상단은 피벗부 설치홈(4202)의 상부 내측면에 연결된다.
버튼센서 설치부(4204)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버튼관통홈(4206)이 형성된다.
버튼관통홈(4206)은 핸들부(4200) 우측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버튼센서(26) 상부에는 버튼(25)이 설치되고, 버튼(25)의 일부는 버튼관통홈(420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4200)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버튼(25)을 누를 수 있다. 버튼(25)이 눌리면 버튼센서(26)가 눌려, 버튼센서(26)가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한다.
피벗부 설치홈(4202) 후방의 좌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 관통홈(4242)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4242)의 상부는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선(20)을 전선 관통홈(4242)에 삽입할 수 있다.
제1막음판(4800)의 제3전선 관통홈(4801)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 전선(20)은 전선 관통홈(4242)을 통해 핸들부(4200)의 각 센서에 연결되고, 그 중 일부는 LED(24)와 버튼센서(26)에 연결된다.
핸들부 본체(4220)의 전면에는 핸들커버 설치부(4210)가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부(4210)는 핸들부 본체(4220)보다 좌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부(4210)는 핸들부 관통공(4101)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둘레에서 안쪽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핸들커버 설치부(4210)의 둘레부의 상하좌우에는 후크 형태의 핸들커버 체결부(4213)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 체결부(4213)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핸들커버 설치부(4210)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양쪽에 상기 돌기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내외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후술할 핸들커버(4400)는 핸들커버 설치부(4210) 둘레부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핸들커버 설치부(4210) 둘레부 우측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피벗핀 설치홈(4214)이 형성된다.
핸들부 본체(422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관통공(4221)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4221)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관통공(4221)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1관통공(4221)에 손을 넣어 핸들부(4200)를 당길 수 있다. 이 때, 제1관통공(4221)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된다.
제1관통공(4221)의 후방 상부에는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게 레버 걸림홈(4223)이 형성된다. 레버 걸림홈(4223)에는 제1하우징(4100) 상면에 설치될 수 있는 레버(4950)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4200)와 레버(4950)는 서로 연동 될 수 있다.
핸들부 본체(4220)의 후면에는 전선 설치부(422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선 설치부(4222)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2개의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막음판(4800)의 제3전선 관통홈(4801)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전선(20)은 전선 설치부(4222)를 통해 핸들부(4200)의 좌측 후방에 설치되는 제2센서(22)와 제4센서(27)에 연결된다.
핸들부 좌측부(4230)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핸들부 좌측부(423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핀 설치홈(4231)을 포함한다.
제1핀 설치홈(4231)은 연장부 설치홈(4201)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핸들부 좌측부(4230)의 우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2센서 설치홈(4232)이 형성된다. 제2센서 설치홈(4232)의 좌측에는 전방으로 들어가게 홈이 형성되어, 제2센서 설치홈(4232)에 설치되는 제2센서(22)는 상기 홈을 통해 후술할 연장부(4310)에 의해 눌리게 된다.
제2센서 설치홈(4232)보다 우측에는 제4센서 설치부(4233)가 형성된다.
제4센서 설치부(4233)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이격된 2개의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4센서 설치부(4233)의 후방에는 상기 사각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4센서(27)는 제4센서 설치부(4233)에 후크 결합된다.
핸들부 우측부(4240)는 후방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핸들부(4200)가 핸들부 우측부(424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핸들부(4200)와 제1하우징(4100) 후면에 설치되는 제1막음판(4800)이 서로 간섭되는 일이 방지된다.
핸들부 우측부(4240)의 좌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핀 설치홈(4241)이 형성된다. 제2핀 설치홈(4241)은 피벗부 설치홈(4202)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피벗부 설치홈(4202)과 연통된다.
핸들부(4200)는 제2핀 설치홈(4241)에 삽입되는 제2핀(4302)에 의해 슬라이더(4600)와 연결된다.
<연장부>
연장부(4310)는 도 52 내지 도 5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연장부(4310)는 제1핀(4301)에 대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핸들부(4200)의 좌측에 설치된다.
연장부(4310)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4311)와, 헤드부(4311)의 후방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길이부(4313)를 포함한다. 길이부(4313)의 지름의 길이는 헤드부(4311)의 한 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헤드부(4311)는 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헤드부(4311)의 내측면과 길이부(4313)의 외측면 사이에는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4312)이 형성된다.
길이부(4313)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길이부(4313)의 중심으로 경사지게 제2센서 눌림방지부(4314)가 형성된다. 제2센서(22)는 양쪽 제2센서 눌림방지부(4314) 중 한 쪽과만 접촉되지만, 좌우 양쪽에 제2센서 눌림방지부(4314)를 형성함으로서 조립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길이부(4313)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슬롯(4315)이 형성된다. 슬롯(431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길이부(4313)의 외측에는 연장부복귀스프링(4316)이 끼워진다.
연장부(4310)는 핸들부(4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워진다. 연장부(4310)의 후방은 핸들부 좌측부(4230)의 연장부 걸림판(4201a)에 의해 가로막힌다.
이 때 연장부복귀스프링(4316)의 전방은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4312)에 끼워지고, 후방은 연장부 걸림판(4201a)에 가로막혀, 핸들부(4200)의 움직임에 따라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4312)과 연장부 걸림판(4201a)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된다.
상기 조립 후 제1핀(4301)이 핸들부(42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4310)의 슬롯(4315) 및 슬라이더(4600)의 제1경사장공(4601)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핸들부(4200)의 좌측부는 슬라이더(4600)와 연결된다.
이 때 슬롯(4315)의 형상으로 인해, 제1핀(4301)은 핸들부(4200)가 회전할 때 슬롯(4315)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 된다. 이로 인해 제1경사장공(4601)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핸들부(4200)가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1핀(430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핀범퍼(4301a)가 끼워질 수 있다. 제1핀범퍼(4301a)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핀범퍼(4301a)는 각각 제1핀 설치홈(4231)에 배치되어, 핸들부(4200)의 회전에 따른 핸들부(4200)와 제1핀(4301)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피벗부>
피벗부(4320)는 도 52 내지 도 5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피벗부(4320)는 핸들부(4200)의 회전축을 변경 가능하게 핸들부(4200)의 우측에 설치된다.
피벗부(4320)는 'C'자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축(4321)과,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회전축(4321)의 상부 및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부(4322)와, 상부 회전부(4322) 및 하부 회전부(4322)를 서로 연결하는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4325)를 포함한다.
회전축(4321)은 상향방향으로 마주보게 이격되게 형성되는 2개의 원판과, 상기 원판을 서로 잇는 바를 포함한다.
회전축(4321)의 원판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피벗핀(4327)이 삽입된다. 피벗핀(4327)의 높이방향 길이는 회전축(4321)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설치 후 피벗핀(4327)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회전축(4321)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회전축(4321)의 두 원판 사이에는 피벗부복귀스프링(4324)이 설치된다.
피벗부복귀스프링(4324)의 중앙에는 피벗핀(4327)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피벗부복귀스프링(4324)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회전부(4322)는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부(4322)는 핸들부(42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제1막음판(4800)의 피벗부 걸림부(4803)의 우측에 회전부(4322)의 후방이 걸려있을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회전부(4322) 후방의 좌측에는 오목하게 제2핀 걸림방지홈(4323)이 형성된다. 회전부(4322)의 좌측면이 핸들부(4200)의 피벗부 설치홈(4202)의 내측면에 맞닿아있을 때, 제2핀(4302)은 제2핀 걸림방지홈(4323)에 닿게 된다.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4325)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4325)는 피벗부(4320)의 좌측면을 형성한다.
피벗부복귀스프링(4324)의 일측은 핸들부(4200)의 피벗설치홈(4202)의 내측면에 닿고, 타측은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4325)의 우측면에 닿는다. 피벗부복귀스프링(4324)은 일측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감긴다. 즉, 피벗부복귀스프링(4324)으로 인해 피벗부(4320)는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피벗부(4320)는 핸들부(4200)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된다. 피벗부(4320)의 전방은 이후 핸들부(4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핸들커버(4400)에 의해 막히고, 핸들부(4200)의 피벗핀 설치홈(4214)에 상부와 하부가 설치되는 피벗핀(4327)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핸들커버>
핸들커버(4400)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핸들커버(140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제3실시예의 핸들커버(4400)에는 제1실시예의 핸들커버(1400)와 같이 제3핀 지지부(4402), 연장부 지지부(4403) 및 핸들 체결부(4404)가 형성되나, 도 10에 도시된 버튼 설치홈(1401)과 유사한 구성은 형성되지 않는다.
<범퍼부재>
범퍼부재(4500)는 도 5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범퍼부재(4500)의 중앙부에는 핸들부(4200) 및 핸들커버(4400)가 슬라이딩 되는 핸들 관통공(450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핸들 관통공(4501)은 핸들부(4200) 전방 및 핸들커버(4400)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이 원호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범퍼부재(4500)의 후방은 제1하우징(4100)의 전면과 결합된다.
핸들 관통공(4501)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2하우징체결부(4504,4505)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체결부(4504)는 범퍼부재(4500)의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제1하우징(4100)의 제2범퍼체결부(4114)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하우징체결부(4505)는 제1하우징체결부(4504)와 핸들 관통공(4501) 사이에 배치된다.
제2하우징체결부(4505)는 제1하우징(4100)의 제3범퍼체결부(4115)가 삽입될 수 있게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범퍼부재(4500)와 제1하우징(4100)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부재(4500)로 인해 제1하우징(4100)은 도어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또한 범퍼부재(4500)는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수분이 제1하우징(4100)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진, 방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더>
슬라이더(4600)는 도 56 내지 도 5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4600)는 우면(4630)과 우면(4630)의 상하 양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면(4610)과 하면(4620)을 포함한다. 즉, 슬라이더(4600)는 좌측과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핸들부(4200)를 수납할 수 있다.
상면(4610) 및 하면(462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면(4610) 및 하면(4620)의 좌측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우측에는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게 하우징 간섭방지부(4607)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600)의 좌측 후방과 우측 전방에는 공간이 확보되어 차량 도어판넬에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슬라이더(46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더(4600)와 제1하우징(4100)이 간섭되지 않은 선에서, 제1하우징(4100) 우측의 앞뒤 간격을 최대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면(4610) 및 하면(4620)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2경사장공(4601,4602)이 형성된다.
제1,2경사장공(4601,4602)은 상면(4610) 및 하면(4620)의 좌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4601)은 슬라이더(4600)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경사장공(4602)은 슬라이더(4600)의 우측에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4601)과 제2경사장공(4602)은 전방부터 후방까지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폭의 너비는 제1핀(4301) 및 제2핀(4302)의 지름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4601)과 제2경사장공(4602)의 뒤쪽 단부에는 제1핀(4301) 및 제2핀(4302)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면(4610)에는 전방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레버 가이드홈(4605)이 형성된다.
하면(4620)의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전선관통홈(4603)이 형성된다. 전선관통홈(4603)은 슬라이더(4600)의 슬라이딩에 전선(20)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면(4610) 및 하면(462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슬라이더범퍼 삽입홈(4606)이 형성된다. 슬라이더범퍼 삽입홈(4606)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면(4610)에 형성되는 슬라이더범퍼 삽입홈(4606)은 상부의 일부와,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면(4620)에 형성되는 슬라이더범퍼 삽입홈(4606)은 하부의 일부와,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범퍼 삽입홈(4606)에는 슬라이더범퍼(4650)가 삽입된다.
제3실시예에서 슬라이더범퍼(4650)는 총 8개가 삽입된다.
슬라이더범퍼(4650)는 'L'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면(46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더범퍼(465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더범퍼(4650)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직부 하부의 후방에 연결된다. 상기 수직부의 상면과 전면 하부는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슬라이더범퍼(4650)를 슬라이더범퍼 삽입홈(4606)에 삽입하면, 슬라이더범퍼(4650) 수직부의 상면과 전면 하부는 슬라이더(46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슬라이더범퍼(4650)는 슬라이더(4600)의 상면(4610)과 하면(462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므로, 슬라이더(4600)의 전후면 및 상하면은 제1하우징(4100) 및 제1막음판(4800)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슬라이더범퍼(4650)는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4600)가 슬라이딩 될 때 마찰에 의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우면(463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면(4630)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귀스프링 범퍼 설치부(4604)를 포함한다.
복귀스프링 범퍼 설치부(4604)는 오목한 부분이 후방을 향하게 형성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범퍼 설치부(4604)의 내측에는 후술할 복귀스프링 범퍼(4740)가 끼워진다.
<구동부>
구동부(4700)는 도 64 내지 도 6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4700)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4721)과, 제1웜(47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더블기어(4722)와, 제1더블기어(4722)에 의해 회전되는 제2더블기어(4725)와, 제2더블기어(4725) 및 제1하우징(41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너트(475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4710)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4700)는 제2하우징(4160)과 제2막음판(4170)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4710)는 제2하우징(4160)의 제1모터설치홈(4167)과 제2막음판(4170)의 제2모터설치홈(4177)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모터(471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거나 작동을 멈춘다.
모터(4710)의 축에는 제1웜(4721)이 설치된다.
모터(4710) 축의 단부에는 모터축범퍼(4710a)가 설치된다.
모터축범퍼(4710a)는 일측에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모터축범퍼(4710a)는 제2하우징(4160)의 제1모터축설치홈(4168a)과 제2막음판(4170)의 제2모터축설치홈(4178a) 사이에 끼워진다.
모터(4710)의 하부에는 엔코더 커넥터(4711)가 설치될 수 있다.
엔코더 커넥터(4711)의 중앙부는 제2하우징(4160)의 제1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63)과 제2막음판(4170)의 제2엔코더커넥터 설치홈(4173) 사이에 설치되고, 엔코더 커넥터(4711)의 하부는 제2하우징(4160) 및 제2막음판(4170)의 하부로 돌출된다.
엔코더 커넥터(4711)의 중앙부에는 엔코더 커넥터 범퍼(4714)가 설치된다. 엔코더 커넥터 범퍼(4714)는 고무재질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4160)과 제2막음판(417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엔코더 커넥터(4711)의 상부에는 상부 및 우측이 개방되게 모터 설치부(4712)가 형성된다.
엔코더 커넥터(4711)는 모터 설치부(4712)에 설치되는 모터(4710)의 좌측면과 하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엔코더 커넥터(4711)의 좌측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엔코더 설치부(4713)가 형성된다.
엔코더 설치부(4713)는 엔코더 커넥터(471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엔코더 설치부(4713)의 상부에는 내측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모터 설치부(4712)에 설치되는 모터(4710)의 축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엔코더(471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더블기어(4722)는 제2웜(4723)과 제2웜(472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웜휠(4724)을 포함한다.
제2웜(4723)과 제1웜휠(4724)은 하나로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제2웜(4723)과 제1웜휠(4724)은 서로 이격되어, 제2웜(4723)과 제1웜휠(4724) 사이에는 상기 축의 일부가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4722)는 제1웜(4721)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웜(4721)은 제1웜휠(4724)과 치합된다.
제1더블기어(4722) 축의 상부는 제2하우징(4160)의 제1더블기어설치부(4166a)에 끼워지고, 제1더블기어(4722) 축의 중앙부는 제2더블기어설치부(4166b)에 끼워지고, 제1더블기어(4722) 축의 하부는 제3더블기어설치부(4166c)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제1더블기어(4722)의 전방은 제2하우징(4160)에 의해 가로막힌다.
제1더블기어(4722)의 후방은 제2막음판(4170)의 더블기어설치홈(4176)에 의해 가로막힌다.
제1더블기어(4722)의 상단 및 하단은 제2막음판(4170)의 내측면에 닿아 제1더블기어(4722)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2더블기어(4725)는 제2웜휠(4726)과 제2웜휠(4726)의 좌측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4727)를 포함한다.
제2웜휠(4726)과 리드스크류(4727)는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제2웜휠(4726)과 리드스크류(4727)는 서로 이격되어, 제2웜휠(4726)과 리드스크류(4727) 사이에는 상기 축의 일부가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4725)는 제2웜(4723)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웜(4723)은 제2웜휠(4726)과 치합된다.
제2웜휠(4726)과 리드스크류(4727) 사이에는 하우징 걸림판(4728)이 형성된다.
하우징 걸림판(4728)의 지름은 제2더블기어(4725)의 축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 걸림판(4728)의 우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하우징 걸림판(4728)의 좌측은 제2하우징(4160)의 제2리드스크류 관통홈(4162)과 제2막음판(4170)의 제4리드스크류 관통홈(4172) 사이에 삽입된다.
하우징 걸림판(4728)의 걸림턱의 지름은 제2,4리드스크류 관통홈(4162,417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 걸림판(4728)의 우측은 제2하우징(4160)과 제2막음판(4170) 내측에 걸려 좌측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2더블기어(4725)의 우측에는 제2더블기어 헤드(4725a)가 설치된다.
제2더블기어 헤드(4725a)의 좌측에는 제2더블기어(4725)의 우측을 끼울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헤드(4725a)의 우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하우징 걸림판(4728)의 걸림턱과 제2하우징(4160) 및 제2막음판(417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2더블기어 범퍼(4725b)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더블기어 범퍼(4725b)는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하우징(4160)과 제2막음판(417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은 제1하우징(4100)과 제1막음판(480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과 분리되게 밀폐되므로, 수밀성이 향상된다. 또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킨다.
제2더블기어 헤드(4725a)의 걸림턱과 제2하우징(4160) 및 제2막음판(417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2더블기어 범퍼(4725b)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더블기어 범퍼(4725b)의 지름은 하우징 걸림판(4728)의 걸림턱 및 제2더블기어 헤드(4725a)의 걸림턱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더블기어 범퍼(4725b)에 의해 제2더블기어(4725)의 좌우유동이 및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리드스크류(4727)의 외측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이 설치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의 양측에는 복귀스프링 범퍼(4740)가 설치된다.
복귀스프링 범퍼(4740)는 전체적으로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범퍼(4740)에는 가이드부(474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부(4741)는 상부 및 하부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및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하우징 삽입홈(4742)이 형성된다.
하우징 삽입홈(4742)에는 제1하우징(4100)의 제3가이드부(4106)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복귀스프링 범퍼(4740)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복귀스프링 범퍼(4740)에는 좌우방항으로 관통되게 리드스크류 설치홈(4743)이 형성된다.
하우징 삽입홈(4742)의 일측에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 설치홈(4744)이 형성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 설치홈(4744)은 리드스크류 설치홈(4743)의 둘레에 리드스크류 설치홈(4743)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의 좌측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 범퍼(4740)는 슬라이더(4600)의 복귀스프링 범퍼 설치부(4604)에 설치되어, 후방이 복귀스프링 범퍼 설치부(4604)에 의해 가로막힌다.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 범퍼(4740)의 후방은 제1막음판(4800)에 의해 가로막힌다.
복귀스프링 범퍼(4740)로 인해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등이 복귀스프링 범퍼(4740)에 흡수된다.
이동너트(475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너트(4750)는 넓은 면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동너트(475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가 형성된다.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복귀스프링범퍼 설치부(4751)가 형성된다.
복귀스프링범퍼 설치부(4751)의 내측면은 복귀스프링 범퍼(4740) 설치 후 복귀스프링 범퍼(4740)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에는 전방이 개방되게 이동너트범퍼 삽입홈(4753)이 형성된다.
이동너트범퍼 삽입홈(4753)은 후술할 이동너트 범퍼(4760)가 삽입될 수 있게 사각형의 양측이 상하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너트(475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막음판 접촉돌기(4754)가 형성된다.
막음판 접촉돌기(4754)로 인해 이동너트(4750)는 제1막음판(4800)과 선접촉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475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이동너트(4750)와 제1막음판(48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동너트(4750)의 중앙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리드스크류 삽입홈(4755)이 형성된다. 리드스크류 삽입홈(4755)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리드스크류(4727)와 치합될 수 있다.
이동너트(4750)의 하부에는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와 복귀스프링범퍼 설치부(4751)에 걸쳐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제3센서 누름부(4756)가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4756)는 이동너트(475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제3센서(23a,23b)의 상부를 누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돌출된다.
이동너트(4750)는 제3센서 누름부(4756)가 슬라이더(4600)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슬라이더(4600) 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4750)는 고정시킨 채로 슬라이더(4600)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더(4600)와 제3센서 누름부(4756)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동너트(475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도어래치연결부 설치부(4757)가 형성된다.
도어래치연결부 설치부(4757)는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도어래치연결부 설치부(4757)는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연결부 설치부(4757)는 걸림돌기 삽입홈(4758)과 케이블 관통홈(4759)을 포함한다.
걸림돌기 삽입홈(4758)은 후방 및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케이블 관통홈(4759)은 걸림돌기 삽입홈(4758)의 중앙부에 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케이블 관통홈(4759)의 상하방향 폭은 걸림돌기 삽입홈(4758)의 상하방향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 및 케이블(33)은 도어래치연결부 설치부(4757)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설치 후 걸림돌기(31)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아, 이동너트(475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걸림돌기(31) 또한 이동너트(475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튜브(32)는 제1하우징(4100)의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4105)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걸림돌기(31)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튜브(32)는 고정된 채로 케이블(33)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된다.
이동너트(4750)는 슬라이더(4600)의 우면(4630)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47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4600)는 이동너트(475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동너트(4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4600)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슬라이더(4600)가 아닌 이동너트(4750)에 연결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핸들부(4200)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4600)보다 안전성이 형상된다.
이동너트 범퍼(476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너트 범퍼(4760)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이동너트 끼움홈(4761)이 형성된다.
제1이동너트 끼움홈(4761)은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이동너트(4750)의 중간에 형성되는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에 끼워진다.
이동너트 범퍼(476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3가이드부 삽입홈(4762)과 제2이동너트 끼움홈(4763)이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 삽입홈(4762)은 전방이 개방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 삽입홈(4762)은 제1하우징(4100)의 제3가이드부(4106)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 범퍼(4760)는 제3가이드부(4106)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2이동너트 끼움홈(4763)은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이동너트 끼움홈(4763)은 제3가이드부 삽입홈(4762)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제2이동너트 끼움홈(4763)은 이동너트(475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너트범퍼 설치부(4752)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이동너트 범퍼(4760)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이동너트(4750)에 끼워지고, 이동너트(4750) 또한 제3가이드부(4106)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동너트 범퍼(4760)에 의해 이동너트(475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마찰에 의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 범퍼(4740) 및 이동너트 범퍼(4760)는 제3가이드부(4106)에 의해 리드스크류(4727)가 회전될 때 리드스크류(4727)와 같이 회전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제1실시예의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동일한 형태이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은 이동너트(4750)에, 타단은 전동식 래치부(5000)에 연결된다.
튜브(32)의 일측 둘레에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을 제1하우징(4100)의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4105)에 끼움으로써 튜브(32)는 제1하우징(4100)에 고정된다.
<키잠금부>
키잠금부(4900)는 도 67 내지 도 6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키잠금부(4900)는 사용자가 키로 조작할 수 있는 키실린더(4930)와, 키실린더(4930)와 연동되는 제1기어(4910)와, 제1기어(491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4920)와, 제2기어(4920)와 전동식 래치부(5000)를 연결하는 기어로드(4940)를 포함한다.
키실린더(4930)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제1하우징 체결부(4931)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 체결부(4931)에는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제1하우징(4100)의 키실린더 체결부(4123)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4100)과 키실린더(4930)는 볼트로 체결된다.
키실린더(4930)의 전방에는 키를 삽입하여 돌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키실린더(4930)의 후방에는 제1기어 설치축(4932)이 형성된다.
제1기어 설치축(4932)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기어 설치축(4932)은 상기 키를 삽입하고 돌릴 때 키실린더(4930)에서 회전되는 부분과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1기어 설치축(4932)의 후방에는 제1기어클립 걸림부(4932a)가 형성된다.
제1기어클립 걸림부(4932a)는 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기어클립 걸림부(4932a)의 지름은 제1기어 설치축(4932)의 한 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기어(4910)는 제1기어클립 걸림부(4932a)를 통과하여 제1기어 설치축(4932)에 설치될 수 있고, 제1기어 설치축(4932)의 형태로 인해 제1기어(4910)는 상기 키의 회전과 연동되어 헛돌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제1기어클립 걸림부(4932a)에서 제1기어 설치축(4932)과 연결되는 부분의 둘레에는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기어(4910)를 제1기어 설치축(4932)에 끼운 상태에서 제1기어클립 걸림부(4932a)의 홈에 제1기어 클립(4915)을 끼우면 제1기어(4910)의 후방이 제1기어 클립(4915)에 가로막혀 제1기어(4910)가 제1기어 설치축(493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제1기어(4910)와 제2기어(4920)는 평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491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키실린더 삽입홈(4911)이 형성된다.
키실린더 삽입홈(4911)은 제1기어(4910)가 키실린더(4930)의 제1기어 설치축(4932)에 끼워질 수 있게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2기어(4920)에는 후방이 개방되게 기어로드 설치홈(4921)이 형성된다.
제2기어(4920)의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설치핀 삽입홈(4923)이 형성된다. 제1설치핀 삽입홈(4923)은 기어로드 설치홈(4921)과 연통된다.
제2기어(4920)의 전방에는 제2기어축(492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기어축(4922)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는 전방 및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기어축(4922)은 제1막음판(4800)의 제2기어설치홈(4814)에 후크결합된다.
기어로드(4940)는 로드(4941)와 로드(4941) 양쪽에 형성되는 삽입부(4942)를 포함한다.
로드(494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부(4942)는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쪽 삽입부(4942)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설치핀 삽입홈(4943)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설치핀 삽입홈(4943)이 형성되는 삽입부(4942)를 제2기어(4920)의 기어로드 설치홈(4921)에 넣고 설치핀(4945)을 제2기어(4920)의 제1설치핀 삽입홈(4923) 및 기어로드(4940)의 제2설치핀 삽입홈(4943)에 통과시키면 제2기어(4920)와 기어로드(4940)가 서로 연결된다.
기어로드(4940)의 나머지 한쪽 삽입부(4942)는 전동식 래치부(5000)의 도어래치 키(5010)에 연결된다.
도어래치 키(5010)에는 삽입부(4942)가 설치될 수 있는 십자 형태의 기어로드 삽입홈(501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키를 삽입하여 키실린더(4930)의 일부를 돌리면 제1기어(4910)가 회전되고, 제1기어(4910)와 맞물린 제2기어(4920)가 회전되고, 제2기어(4920)에 설치된 기어로드(4940)가 회전되고, 기어로드(4940)에 의해 도어래치 키(5010)가 회전되며 전동식 래치부(500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수동식 작동 과정>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수동식 작동 과정은 제1실시예의 작동 방법과 동일하다.
<전동식 작동 과정>
이하에서는 핸들부(4200)가 전동으로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5 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420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나 리모컨, 버튼 등을 통해 핸들부(4200)의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에 의해 모터(4710)가 작동된다.
버튼을 이용한 핸들부(4200)의 인출 신호 입력 도 7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인입되어 있는 핸들부(4200)를 차량 내측으로 누르면, 제1핀(4301)이 슬라이더(4600)의 제1경사장공(4601)의 후방에 있는 홈에 삽입되며 핸들부(4200)가 후방으로 밀린다.
핸들부(4200)가 후방으로 밀리면 제1막음판(4800)의 제4센서 누름부(4802)에 의해 제4센서(27)가 눌리고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된다.
모터(4710)가 작동되면, 제1웜(4721)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4721)에 맞물린 제1더블기어(4722)의 제1웜휠(4724)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휠(4724)과 함께 제2웜(4723)이 회전하면, 제2웜(4723)에 맞물린 제2더블기어(4725)의 제2웜휠(4726)이 회전하고, 제2웜휠(4726)과 함께 리드스크류(4727)가 회전된다.
리드스크류(4727)가 회전하면, 리드스크류(4727)와 치합되어 있는 이동너트(475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너트(4750)에 의해 슬라이더(4600)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460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핀(4301) 및 제2핀(4302)이 슬라이더(4600)의 제1,2경사장공(4601,460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핸들부(4200)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도 69, 도 71 및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동너트(475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이동너트(4750)의 제3센서 누름부(4756)가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제3센서(23a)를 누르게 된다. 제3센서(23a)가 눌리면 모터(4710)의 작동이 멈춘다.
또한, 이동너트(475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당겨져서 전동식 래치부(50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전동식 래치부(5000)의 잠금이 해제되는 원리는 제1실시예의 작동 방법과 동일하다.
도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4200)의 좌측을 전방으로 당기면, 핸들부(4200)가 인입되어있을 때와 달리 피벗부(4320)의 후방이 고정되지 않으므로 핸들부(4200)는 제2핀(430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핸들부(4200)의 좌측이 회전함에 따라 연장부(4310) 내의 연장부복귀스프링(4316)은 압축된다. 핸들부(4200)가 연장부(43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핸들부(4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2센서(22)가 연장부(43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센서 눌림방지부(4314)에서 이탈하여 연장부(4310)의 길이부(4313)의 외측면에 의해 눌리게 된다.
전동식 래치부(5000)의 제1센서(21), 핸들부(4200)의 제2센서(22) 및 우측의 제3센서(23a)가 전부 눌리면, 전동식 래치부(5000)가 구동되어 도어 패널이 열린다.
사용자가 핸들부(4200)를 놓으면, 연장부(4310)의 연장부복귀스프링(4316)에 의해 핸들부(4200)는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 버튼입력에 의해 모터(4710)가 핸들부(42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너트(475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복귀스프링(473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46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46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핀(4301) 및 제2핀(4302)이 슬라이더(4600)의 제1,2경사장공(4601,460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너트(4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너트(4750)의 제3센서 누름부(4756)가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3센서(23b)를 누르게 된다. 제3센서(23b)가 눌리면 모터(4710)의 작동이 멈춘다.
이동너트(47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원상태로 복귀되고, 전동식 래치부(5000)가 잠기게 된다. 전동식 래치부(5000)가 잠기는 원리는 제1실시예의 작동 방법과 동일하다.
======제4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의 구성은 제3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의 제3센서(23a,23b)를 사용하는 대신 엔코더 커넥터(4711)에 엔코더(4715)를 설치하여 모터(4710)의 구동에 의해 핸들부(4200)가 움직이는 범위를 조절한다.
엔코더(4715)는 설치 후 모터(4710) 축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엔코더(4715)는 모터(4710) 축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모터(4710)가 일정 회전수만큼 돌아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핸들부(4200)가 인출 및 인입되는 거리를 모터(4710)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계산 후 필요한 회전수만큼 모터(47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5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76 내지 도 84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5실시예의 구성은 제3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제5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의 전동식 래치부 대신 수동식 래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식 래치부는 레버(4950)를 통해 핸들부(4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열릴 수 있다.
레버(4950)는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레버(4950)는 상기 직각삼각형 중 직각 부분이 우측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레버(4950)의 상기 직각삼각형 중 전방에 형성되는 꼭지점에는 커버 결합부(4951)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결합부(4951)는 제1하우징(4100)의 레버 설치돌기(4136a)에 끼워져, 레버(4950)와 제1하우징(4100)은 끼움 결합된다.
레버(4950)는 레버 설치돌기(4136a)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4950)의 상기 직각삼각형 중 후방에 형성되는 꼭지점에는 상부가 개방되게 도어래치 연결부 삽입홈(4952)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삽입홈(4952)은 우측이 일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우측 부분의 하부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약 반 바퀴 정도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도어래치 연결부 삽입홈(4952)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케이블(33)이 걸림돌기(31)의 좌측에 위치하게 설치하면, 걸림돌기(31)가 도어래치 연결부 삽입홈(4952)의 좌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제1커버 결합부(4951)와 레버(495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1스프링 삽입홈(4953)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 삽입홈(4953)에 끼워지는 제1스프링(497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프링(4970)의 양단에는 제1절곡부(4971)와 제2절곡부(4972)가 각각 형성된다.
제1절곡부(4971)는 제2절곡부(4972)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제1절곡부(4971)는 레버(4950)의 내측면에 접하고, 제2절곡부(4972)는 제1하우징(4100)의 레버 관통홈(4132)의 내측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레버(49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절곡부(4971)가 제2절곡부(4972)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제1스프링(4970)이 압축된다.
레버(4950)의 상기 직각삼각형 중 직각이 형성되는 꼭지점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걸림부(4954)가 형성된다.
걸림부(4954)는 원기둥 형상의 레버돌기(4955)와, 레버돌기(4955)의 하부에 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4956)와, 연장부 우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핸들부 걸림돌기(4957)를 포함한다.
레버돌기(4955)는 제1하우징(4100)의 레버 가이드홈(4137)에 삽입되어, 레버 가이드홈(4137)을 따라 회전된다.
핸들부 걸림돌기(4957)는 핸들부(4200)의 레버 걸림홈(4223)의 전방에 위치하여, 핸들부(4200)가 인출되면 핸들부 걸림돌기(4957)는 레버 걸림홈(4223)에 걸리게 된다.
핸들부(4200)가 인출된 상태에서 도 79 또는 도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4200)의 일측을 당겨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 걸림홈(4223)이 회전함에 따라 레버 걸림홈(4223)에 걸려있는 핸들부 걸림돌기(4957)가 핸들부 걸림돌기(4957)의 회전반경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레버(4950)는 핸들부(420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레버(4950)에 걸려있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당겨져서 도어래치 연결부(30)와 연결된 수동식 래치가 열려 차량용 도어가 개방된다.
레버(4950)의 우측에는 핸들부(4200)에 의한 레버(495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웨이트밸런스(4960)가 설치될 수 있다.
웨이트밸런스(4960)는 계란모양으로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4960)는 상기 계란모양 중 둥근 부분이 전방에 위치하고 뾰족한 부분이 좌측 후방을 향하게 설치된다.
웨이트밸런스(4960)에서 상기 계란모양 중 둥근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커버 결합홈(4961)이 형성된다.
커버 결합홈(4961)은 제1하우징(4100)의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웨이트밸런스(4960)와 제1하우징(4100)은 끼움결합된다.
웨이트밸런스(4960)는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웨이트밸런스(4960)에서 상기 계란모양 중 뾰족한 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제2스프링 설치부(4962)가 형성된다.
제2스프링 설치부(4962)로 인해 웨이트밸런스(4960)의 무게중심은 제2스프링 설치부(4962) 쪽으로 치우친다.
제2스프링 설치부(4962)의 하부에는 좌측이 개방되게 제2스프링 설치홈(4963)이 형성된다.
제2스프링 설치부(4962)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498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프링(4980)의 양단에는 제1절곡부(4981)와 제2절곡부(4982)가 각각 형성된다.
제1절곡부(4981)는 제2절곡부(4982)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제1절곡부(4981)는 웨이트밸런스(4960)의 제2스프링 설치홈(4963)에 접하고, 제2절곡부(4972)는 제1하우징(4100)의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의 전방에 접한다.
이로 인해 웨이트밸런스(49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절곡부(4981)가 제2절곡부(4982)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제2스프링(4980)이 압축된다.
커버(4990)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좌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막음부(4992)와, 상기 상판의 우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2막음부(4993)와, 제1막음부(4992) 및 제2막음부(4993)의 전방을 연결하는 전방판과, 제1막음부(4992)의 후방과 제2막음부(4993)의 후방 사이에 형성되는 레버 관통홈(4994)을 포함한다.
커버(4990)의 상판의 좌측 및 우측에는 볼트관통홈(499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커버(4990)는 볼트를 볼트관통홈(4991)에 삽입하고, 제1하우징(4100)의 레버 설치돌기(4136a) 및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4136b)에 체결함으로써, 제1하우징(4100)과 볼트체결된다.
제1막음부(4992)는 제1하우징(4100)의 레버 가이드부(4138)의 좌측에 끼워지고, 제2막음부(4993)는 제1하우징(4100)의 웨이트밸런스 가이드부(4139)의 우측에 끼워진다.
레버 관통홈(4994)을 통해 커버(4990) 내측에 설치되는 레버(4950)의 후 방이 커버(4990)의 밖으로 돌출되어 도어래치 연결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웨이트밸런스(4960)의 중량은 차량 측면 충돌시 관성에 의해 즉각 반응할 수 있게 형성된다.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발생하여 핸들부(4200)가 인출되면,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밸런스(496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스프링 설치부(4962)가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된 웨이트밸런스(4960)가 레버(495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게 되어 레버(4950)의 회전이 저지된다. 레버(4950)가 끝까지 회전되지 않으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완전히 당겨지지 않아, 상기 수동식 래치부가 열리지 않게 된다. 즉, 웨이트밸런스(4960)로 인해 상기 수동식 래치부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6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바람직한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5 내지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은 하우징에 설치되는 슬라이더(6600)와, 슬라이더(6600)에 수납되는 핸들부 및 슬라이더(660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핸들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핸들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슬라이더(660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슬라이더(6600)와 상기 핸들부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슬라이더(66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6700)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슬라이더(6600)에 형성되는 제1,2경사장공(6601,6602)과, 제1,2경사장공(6601,6602)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제1,2핀(6301,6302)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6100)과 제1하우징(610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616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6100)은 도 89 내지 도 9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하우징(61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제1하우징(410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6100)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제1하우징(4100)과 다르게 형성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하우징(6100) 둘레부의 하부에 다수의 저면통공(6130)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6100)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분 유입시 저면통공(6130)으로 인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1하우징(6100) 둘레부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에 차이가 있다.
제1하우징(6100) 둘레부의 상측면에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는 제3체결부(6153)가 형성된다.
제3체결부(6153)는 제1하우징(6100) 둘레부의 상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제3체결부(6153)의 형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제3체결부(4153)와 유사하다.
제1하우징(6100)의 상측 둘레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와, 제1커버끼움부(6138)와, 제2커버끼움부(6139)와, 커버 걸림돌기(6139a)가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는 상부의 지름이 하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의 좌측부와 우측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웨이트밸런스(6960)가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의 하부에 설치된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커버끼움부(6138)는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커버끼움부(6138)는 전후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커버끼움부(6138)는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커버(6990)의 돌출끼움판(6991a)이 삽입될 수 있다.
제2커버끼움부(6139)는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커버끼움부(6139)는 제1하우징(6100)의 상측 둘레부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제2커버끼움부(6139)의 상부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두 제2커버끼움부(6139)의 사이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커버 걸림돌기(6139a)는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와 제2커버끼움부(6139) 사이에 형성된다.
커버 걸림돌기(6139a)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커버 걸림돌기(6139a)의 높이는 제1커버끼움부(6138) 및 제2커버끼움부(6139)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와 제1커버끼움부(6138)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웨이트밸런스 가이드홈(6137)이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 가이드홈(6137)은 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할 웨이트밸런스(6960)의 제1암(6962)이 웨이트밸런스 가이드홈(6137)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1막음판>
제1하우징(6100)은 제1하우징(6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1막음판(6800)을 포함한다.
제1막음판(6800)은 도 97 내지 도 98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막음판(68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제1막음판(480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제1막음판(6800)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제1막음판(4800)과 다르게 형성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제1막음판(6800)의 중앙의 좌우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단차조절보스(6803)가 형성된다.
단차조절보스(6803)에는 후술할 단차조절볼트(4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차조절보스(6803)의 전후방향 길이는 단차조절볼트(4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단차조절볼트(40)가 단차조절보스(6803)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막음판(6800)의 우측 중앙에는 2개의 제4가이드부(6806)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4가이드부(6806)는 제1하우징(6100)의 제3가이드부(6106)와 전후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되고, 형상이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제4가이드부(6806)의 좌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이동너트 막음부(6807)가 형성된다. 제2이동너트 막음부(6807)는 제1하우징(6100)의 제1이동너트 막음부(6107)와 전후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되고, 형상이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제4가이드부(6806)의 좌측은 제2이동너트 막음부(6807)에 의해 가로막히고, 제4가이드부(6806)의 우측은 제1막음판(6800) 둘레부의 우측에 의해 가로막힌다.
이러한 제4가이드부(6806)에 의해 후술할 구동부(6700)의 이동너트(6750)가 일정 범위 안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막음판(6800)의 상측 둘레부에는 레버 간섭방지홈(4834) 대신 제3결합부 간섭방지홈(6834)이 형성된다.
제3결합부 간섭방지홈(6834)은 전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전방 및 상하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6100)과 제1막음판(6800)이 결합하면 제3결합부 간섭방지홈(6834) 하부에는 제1하우징(6100)의 둘레부가 위치하게 된다.
키실린더 관통홈(68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키실린더 관통홈(4813)보다 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키실린더 관통홈(6813)의 우측에는 도어외측연결부 고정부(6835)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외측연결부 고정부(6835)는 'C'자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외측연결부 고정부(6835)의 좌측에 형성되는 공간은 키실린더 관통홈(6813)에 연통된다.
도어외측연결부 고정부(6835)에는 'C'자 형태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판이 형성된다. 상기 판에는 도어외측 연결부(60)의 튜브(62)가 끼움결합되어,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2하우징, 제2막음판>
제2하우징(6160) 및 제2막음판(617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제2하우징(4160) 및 제2막음판(4170)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핸들부>
상기 핸들부는 도 91 내지 도 9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는 전방핸들부(6200)와, 전방핸들부(6200)의 후방에 핀결합 되는 후방핸들부(6250)를 포함한다.
전방핸들부(6200)는 전체적으로 상하부 및 후방에 개구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전방핸들부(6200)는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핸들부 본체(6220)와,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 및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를 포함한다.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이 형성되고,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후방핸들부 우측부 삽입홈(6241)이 형성된다.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은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 후방의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의 전방에는 도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가 형성된다.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는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 좌측의 상부 및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에 형성되는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는 후방핸들부(6250)가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에 걸려 그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라도 좋다.
후방핸들부 우측부 삽입홈(6241)의 좌우방향 폭은 후방핸들부(6250)의 우측부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방핸들부(6200)가 후술할 피벗핀(6327)이 설치되는 전방핸들부(6200)의 우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전방핸들부(6200)와 후방핸들부(6250)가 간섭되지 않는다.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의 좌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이 형성된다.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은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의 좌측에 배치되며,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후방은 열쇠구멍 형태로 상부는 원형으로 하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원형의 지름은 상기 직사각형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어외측 연결부(60)의 걸림돌기(61) 및 케이블(63)은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상부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치된다. 이후 걸림돌기(61) 및 케이블(63)을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하부로 이동하면,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형태에 의해 걸림돌기(61)가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 전방의 상측 및 하측에는 연장부핀 걸림홈(6202)이 형성된다.
연장부핀 걸림홈(6202)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연장부핀 걸림홈(6202)은 연장부핀(6317)이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의 안쪽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핀(6317)은 연장부핀 걸림홈(620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치될 수 있다.
후방핸들부 우측부 삽입홈(6241) 전방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LED 설치홈(6203)이 형성된다.
제1LED 설치홈(6203)에는 LED(24)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방핸들부(6200) 인출시 사용자가 전방핸들부(6200) 외부에서 LED(24)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후방핸들부 우측부 삽입홈(6241) 전방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버튼관통홈(6206)이 형성된다.
버튼관통홈(6206)에는 버튼(25)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방핸들부(6200)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버튼(25)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전방핸들부 본체(6220)의 전면에는 핸들커버 설치부(6210)가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부(62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핸들커버 설치부(4210)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 설치부(6210) 우측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방 및 내측이 개방되게 제1피벗핀 설치홈(6214)이 형성된다.
전방핸들부 본체(6220)의 후방과,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 및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 사이에는 제1손삽입부(6221)가 형성된다.
제1손삽입부(6221)는 상하방향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1손삽입부(6221)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전방핸들부 본체(6220)와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가 만나는 모서리 또한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후방핸들부(6250)는 도 93 내지 도 9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후방핸들부(6250)는 전체적으로 상하부 및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후방핸들부(6250)는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핸들부 본체(6270)와,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 및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를 포함한다.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의 우측은,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의 외측면이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의 외측면과 같은 선상에 놓이도록, 후방핸들부 좌측부 삽입홈(6231)의 우측에 배치된다.
즉,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의 우측면의 전방은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의 우측면에 의해 가로막히고,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의 좌측면은 전방핸들부 좌측부(6230)의 후방핸들부 걸림부재(6232)에 의해 가로막힌다.
이로 인해 후방핸들부(625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전방핸들부(6200) 또한 전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연장부 설치홈(6251)이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연장부 설치홈(6251)은 후술할 연장부(6310)의 헤드부(6311) 단면의 형태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연장부 설치홈(6251)은 좌우 및 상하 방향이 후방핸들부(6250)에 의해 막힌다. 이로 인해 연장부(6310)는 연장부 설치홈(6251) 내에서 연장부 설치홈(6251)을 따라 이동한다.
연장부 설치홈(6251)의 전방에는 연장부 걸림부(6251a)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부 걸림부(6251a)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장부 걸림부(6251a)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원형의 홈이 형성된다.
연장부 걸림부(6251a) 홈의 지름은 연장부 설치홈(6251)의 좌우 및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연장부 걸림부(6251a)의 홈은 후술할 연장부(6310)의 길이부(6313) 단면의 형태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6310)는 연장부 설치홈(6251)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연장부 설치홈(6251)의 전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후방 및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의 내부에 걸쳐 센서 설치홈(6252)이 형성된다.
센서 설치홈(6252)은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후방이 개방되고,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센서 설치홈(6252)의 우측 전방에는 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버튼센서 설치부(6254)와 LED 설치부(6255)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버튼센서 설치부(6254)에는 버튼센서(26)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고, LED 설치부(6255)에는 LED(24)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버튼센서 설치부(6254)는 LED 설치부(6255)의 상부에 배치된다.
버튼센서 설치부(6254)의 후방에는 버튼센서 설치부(6254)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버튼센서(26)는 버튼센서 설치부(6254)에 후크결합 되어 후방으로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다.
버튼센서 설치부(6254)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버튼설치홈(6256)이 형성된다.
버튼설치홈(6256)은 버튼(25)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버튼(25)은 버튼설치홈(6256)에 위에서 아래로 놓일 수 있다.
버튼(25)은 버튼설치홈(6256)을 통해 버튼센서(26)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버튼(25)이 눌리면 버튼센서(26)가 눌려, 버튼센서(26)가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한다.
LED 설치부(6255)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LED 설치홈(6253)이 형성된다.
제2LED 설치홈(6253)은 제1LED 설치홈(6203)과 유사 동일하게 형성되며 서로 연통된다.
제2LED 설치홈(6253)에는 LED(24)의 하부가 삽입된다.
센서 설치홈(6252)의 우측 후방에는 제2센서 하우징가이드부(6257)와, 제2센서 하우징설치홈(6258)이 형성된다.
제2센서 하우징가이드부(6257)는 센서 설치홈(6252) 하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제2센서 하우징가이드부(6257)는 제2센서 하우징(22a)의 하부 형태에 따라 계단형태로 형성된다.
제2센서 하우징설치홈(6258)은 센서 설치홈(6252)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센서 하우징설치홈(6258)은 제2센서 하우징(22a)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된 돌기 형태에 맞게 형성되어, 제2센서 하우징(22a)의 돌기는 제2센서 하우징설치홈(6258)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센서 하우징(22a)은 제2센서 하우징가이드부(6257) 및 제2센서 하우징 설치홈(6258)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2센서 하우징(22a)에는 제2센서(22)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워지고, 제2센서(22)는 우측이 전방핸들부(6200)의 내벽에 의해 눌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의 전방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 전방의 좌측은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의 내측벽의 형태에 따라 호 형상으로 휘어진다.
상기 호 형상으로 휘어진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피벗핀 설치홈(6264)이 형성된다.
제2피벗핀 설치홈(6264)은 제1피벗핀 설치홈(6214)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는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를 일부 받쳐주게 되어, 전방핸들부(6200)가 제1,2피벗핀 설치홈(6214,6264)에 설치되는 피벗핀(6327)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전방핸들부 우측부(6240)의 회전을 가이드해주게 된다.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전방과,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 및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 사이에는 제2손삽입부(6271)가 형성된다.
제2손삽입부(6271)는 상하방향 및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손삽입부(6271)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핸들부(6200)에 후방핸들부(6250)가 결합되면, 제1손삽입부(6221)와 제2손삽입부(6271)는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폐곡선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폐곡선에 손을 넣어 전방핸들부(6200)를 당길 수 있다. 이 때, 제1,2손삽입부(6221,6271)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그립감이 향상된다.
후방핸들부 본체(6270) 중앙의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되게 전선 관통홈(6276)이 형성된다.
전선 관통홈(6276)으로 인해 후방핸들부(6250)가 인입되어 있을 때 후방핸들부(6250)와 제1막음판(68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선 관통홈(6276)을 통해 전선(20)을 설치할 수 있다.
전선 관통홈(6276)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 전선(20)은 후방핸들부(6250)의 각 센서에 연결된다.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우측에는 전선 설치부(6272)와 단차조절돌기(6274)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선 설치부(6272)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된 2개의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선 설치부(6272)의 후방에는 마주보는 상기 네모판을 향해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로 인해 전선 설치부(6272)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20)이 후방으로 빠지기 어려워진다.
단차조절돌기(627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단차조절볼트(40)와 접할 수 있을만큼 돌출된다.
단차조절돌기(6274)는 전선 설치부(6272)의 우측에 배치된다.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좌측에는 제4센서 걸림턱(6273)과 판스프링 끼움돌기(6275)가 형성된다.
제4센서 걸림턱(6273)은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상부 및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
제4센서 걸림턱(6273)의 제1부분은 후방핸들부 본체(6270)의 후방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4센서 걸림턱(6273) 내측에 설치되는 제4센서(27)가 후방으로 빠지는 걸 방지하고, 제4센서 걸림턱(6273)의 제2부분은 제4센서(27)가 좌측으로 빠지는 걸 방지한다.
판스프링 끼움돌기(6275)는 제4센서 걸림턱(6273)보다 우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4센서(27)가 우측으로 빠지는 걸 방지한다.
판스프링 끼움돌기(6275)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4센서(27)의 전후방향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판스프링 끼움돌기(6275)에는 제4센서(27)의 후방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7a)이 설치될 수 있다.
판스프링(27a)은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판스프링(27a)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스프링(27a)은 측면에서 봤을 때 중앙부가 후방으로 튀어나오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스프링(27a)은 제4센서 걸림턱(6273)의 제1부분과 제4센서(27)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판스프링(27a)으로 인해 과도한 힘에 의한 제4센서(27)의 파손이 최소화되며, 상기 핸들부를 인입 방향으로 눌렀을 때의 눌림 절도감이 개선된다.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핀 설치홈(6281)이 형성된다.
제1핀 설치홈(6281)은 센서 설치홈(6252) 좌측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제1핀 설치홈(6281)이 형성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함몰된 부분에 제1핀범퍼(6301a)를 설치할 수 있다.
후방핸들부 우측부(629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핀 설치홈(6291)이 형성된다.
제2핀 설치홈(6291)은 센서 설치홈(6252) 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제2핀 설치홈(6291)이 형성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핀범퍼(6301a)를 설치한 것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후방핸들부(6250)는 제1핀 설치홈(6281)에 설치되는 제1핀(6301)과, 제2핀 설치홈(6291)에 설치되는 제2핀(6302)에 의해 슬라이더(6600)와 연결된다.
<연장부>
연장부(6310)는 도 91 내지 도 9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연장부(6310)는 연장부핀(6317)에 대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후방핸들부 좌측부(6280)의 내부에 설치된다.
연장부(6310)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6311)와, 헤드부(6311)의 전방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길이부(6313)를 포함한다. 길이부(6313)의 지름의 길이는 헤드부(6311)의 한 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헤드부(6311)는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헤드부(6311)의 내측면과 길이부(6313)의 외측면 사이에는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6312)이 형성된다.
길이부(6313)의 내측에는 도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조절판(6314)이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단차조절판(6314)은 후방핸들부(6250)가 인입 상태일 때, 단차조절판(6314)의 후면이 후방핸들부(6250)의 단차조절돌기(6274)의 후면과 같은 선상에 높이도록 형성된다.
길이부(6313)의 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슬롯(6315)이 형성된다. 슬롯(631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길이부(6313)의 외측에는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이 끼워진다.
연장부(6310)는 후방핸들부(625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끼워진다. 연장부(6310)의 후방은 연장부 걸림부(6251a)에 의해 가로막힌다.
이 때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의 전방은 연장부 걸림부(6251a)에 가로막히고, 후방은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6312)에 끼워지고, 연장부핀(6317)은 연장부(6310)의 슬롯(6315) 및 전방핸들부(6200)의 연장부핀 걸림홈(6202)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은 전방핸들부(6200)의 움직임에 따라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6312)과 연장부 걸림부(6251a)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압축 및 복원된다.
<핸들커버>
핸들커버(64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핸들커버(140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핸들커버(6400)는 도 103에 도시되어 있다.
핸들커버(6400)의 우측에는 피벗핀 지지부(640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피벗핀 지지부(6402)는 피벗핀(6327)의 전방을 가로막아 피벗핀(6327)이 전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피벗핀(6327)이 전방핸들부(62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막아준다.
핸들커버(6400)의 좌측에는 연장부핀 지지부(6403)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장부핀 지지부(6403)는 연장부핀(6317)의 전방을 가로막아 연장부핀(6317)이 전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연장부핀(6317)이 전방핸들부(62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막아준다.
<범퍼부재>
범퍼부재(65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범퍼부재(4500)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
슬라이더(6600)는 도 95 내지 도 9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66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슬라이더(46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6600)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슬라이더(4600)와 다르게 형성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제1경사장공(6601)은 상기 핸들부가 인출될 때, 제1핀(6301)이 초반에 지나가는 제1경사장공 1구간(6601a)과, 제1핀(6301)이 후반에 지나가는 제1경사장공 2구간(6601b)을 포함한다.
즉, 제1경사장공 1구간(6601a)은 슬라이더(66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1경사장공 2구간(6601b)은 슬라이더(6600)의 전방에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 1구간(6601a)의 경사는 제1경사장공 2구간(6601b)의 경사보다 원만하게 형성된다.
제1경사장공 1구간(6601a)의 경사는 30도이고, 제1경사장공 2구간(6601b)의 경사는 5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장공 1구간(6601a)과 제1경사장공 2구간(6601b)은 곡선으로 연결된다.
제2경사장공(6602)도 제2경사장공 1구간(6602a)과 제2경사장공 2구간(6602b)을 포함하고, 제1경사장공(660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2경사장공(6601,6602)의 형태에 의해, 상기 핸들부 인출 초기에 각도에 따른 저항이 적어지므로 상기 핸들부를 더욱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슬라이더(6600)의 상면(6610) 및 하면(662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더(6600)의 강도 향상을 위해 격자 형태로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 후술할 웨이트밸런스(6960)가 삽입되는 홈을 웨이트밸런스 삽입홈(6605)이라 한다.
웨이트밸런스 삽입홈(6605)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우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한다.
웨이트밸런스 삽입홈(6605)의 걸림홈의 우측에는 웨이트밸런스 걸림판(6605a)이 형성된다.
웨이트밸런스(6960)가 웨이트밸런스 삽입홈(6605)의 걸림홈에 위치하면, 웨이트밸런스(6960)가 웨이트밸런스 걸림판(6605a)에 접하게 되어 슬라이더(6600)가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기재된 슬라이더범퍼(465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슬라이더(6600) 자체에 슬라이더범퍼(6606)를 형성한다.
상면(6610)에 형성되는 슬라이더범퍼(6606)는 상부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면(6620)에 형성되는 슬라이더범퍼(6606)는 하부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범퍼(6606)는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더(6600)가 슬라이딩 될 때 마찰에 의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슬라이더(6600)의 우면에 형성되는 복귀스프링 범퍼 설치부(6604)의 후방에는 가이드홈(6608)이 더 형성된다.
가이드홈(6608)은 슬라이더(6600)의 우면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가이드홈(6608)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2개로 형성된다.
가이드홈(6608)에는 제1막음판(6800)의 제4가이드부(6806)가 삽입된다.
<구동부>
구동부(6700)는 도 9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67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구동부(47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구동부(6700)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구동부(4700)와 다르게 형성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의 이동너트(675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이동너트(4750)와 이동너트 범퍼(4760)가 합쳐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너트(6750)의 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이 개방되게 제1하우징 가이드홈(6753)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 가이드홈(6753)은 이동너트(6750)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제1하우징 가이드홈(6753)은 이동너트(6750)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 범퍼(6740)의 제1하우징 삽입홈(6742)과 같은 선상에 형성된다.
제1하우징 가이드홈(6753) 및 제1하우징 삽입홈(6742)에는 제1하우징(6100)의 제3가이드부(6106)가 삽입된다.
이동너트(6750)의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되게 제1막음판 가이드홈(6754)이 형성된다.
제1막음판 가이드홈(6754)은 이동너트(6750) 후방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제1막음판 가이드홈(6754)에는 제1막음판(6800)의 제4가이드부(6806)가 삽입된다.
즉, 제3가이드부(6106)와 제4가이드부(6806)에 의해 이동너트(6750)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이 가이드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동일한 형태이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일단은 이동너트(6750)에, 타단은 전동식 래치부(5000)에 연결되어, 이동너트(6750)의 이동에 의해 전동식 래치부(500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어외측 연결부>
도어외측 연결부(60)는 도 107 내지 도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전방핸들부(6200)의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에 삽입되고, 타단은 전동식 래치부(5000)에 연결된다.
도어외측 연결부(60)의 튜브(62)를 제1막음판(6800)의 도어외측연결부 고정부(6835)에 끼워 고정시키고, 튜브(62)의 위치에 맞게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에 삽입한 걸림돌기(61)를 하부로 내리면 걸림돌기(61)는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후방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핸들부(6200)가 인출되었을 때,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후방에 걸림돌기(61)가 걸리지 않도록, 걸림돌기(61)는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10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핸들부(6200)가 인출되어,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에 의해 전동식 래치(50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핸들부(6200)를 5˚ 정도 잡아당기면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센서(22)가 눌리고 전동식 래치(50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용 도어가 전기적으로 오픈된다.
이 때 도어외측 연결부(60)의 걸림돌기(61)는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후방에 의해 잡아당겨지나, 전동식 래치(5000)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도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핸들부(6200)를 10˚ 정도 잡아당기면, 도어외측 연결부(60)의 걸림돌기(61)가 도어외측 연결부 설치홈(6201)의 후방에 의해 더욱 잡아당겨지며, 전동식 래치(5000)를 기계적으로 작동시켜 차량용 도어를 오픈한다.
즉, 사용자는 전동식 래치(5000)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핸들부(6200)를 완전히 잡아당겨 기계적으로 차량용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키잠금부>
키잠금부(69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키잠금부(4900)와 동일한 형태이다.
<웨이트밸런스>
웨이트밸런스(6960)는 도 100 내지 도 10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웨이트밸런스(6960)는 도넛 형태의 제1하우징 끼움부(6961)와, 제1하우징 끼움부(6961)에 연결되는 제1암(6962) 및 제2암(6963)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 끼움부(6961)의 중심에 형성되는 홈은 제1하우징(6100)의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에 끼워진다.
제1하우징 끼움부(6961)는 웨이트밸런스 설치돌기(613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하우징 끼움부(6961)는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제1하우징 끼움부(6961)의 하부에는 스프링(6970)이 설치된다.
제1암(6962)은 제1하우징 끼움부(6961)의 좌측에 연결된다.
제1암(6962)은 좌측이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암(6962)의 하부는 조립 후 제1하우징(6100)의 웨이트밸런스 가이드홈(6137)을 통해 슬라이더(6600)의 웨이트밸런스 삽입홈(6605) 내에 위치하게 된다.
제2암(6963)은 제1하우징 끼움부(6961)의 전방에 연결된다.
스프링(697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6970)의 양단에는 제1절곡부(6971)와 제2절곡부(6972)가 각각 형성된다.
제1절곡부(6971)는 제2절곡부(6972)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제1절곡부(6971)는 제2암(6963)의 외측면에 접하고, 제2절곡부(6972)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6151)의 외측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웨이트밸런스(69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절곡부(6971)가 제2절곡부(6972)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스프링(6970)이 압축된다.
초기 상태일 때 웨이트밸런스(6960)의 제1암(6962)은 슬라이더(6600)의 웨이트밸런스 삽입홈(6605)의 가이드홈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더(6600)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발생하면, 도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밸런스(69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더(6600)의 웨이트밸런스 걸림판(6605a)의 우측에 제1암(6962)이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더(6600)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슬라이더(6600)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슬라이더(6600)와 연동되는 후방핸들부(6250)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후방핸들부(6250)에 연결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당겨지지 않으므로 상기 수동식 래치부가 열리지 않게 된다.
즉, 웨이트밸런스(6960)로 인해 상기 수동식 래치부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커버>
웨이트밸런스(6960)의 커버(6990)는 도 10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커버(699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6990)의 하부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커버(6990)의 좌측에는 제1끼움부(6991)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끼움부(6991)는 제1하우징(6100)의 제1커버끼움부(6138)의 우측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1끼움부(6991)로 인해 커버(6990)는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제1끼움부(6991)의 하부에는 돌출끼움판(6991a)이 형성된다.
돌출끼움판(6991a)은 제1끼움부(6991)보다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하우징(6100)의 제1커버끼움부(6138) 내에 삽입된다.
돌출끼움판(6991a)으로 인해 커버(6990)의 좌측은 상측으로 들리지 않게 된다.
커버(6990)의 우측에는 제2끼움부(699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끼움부(6992)는 커버(699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제2끼움부(6992)는 제1하우징(6100)의 제2커버끼움부(6139)의 내측면에 후크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2끼움부(6992)로 인해 커버(6990)의 우측은 상측으로 들리지 않게 된다.
커버(6990)우측의 하부는 제1하우징(6100)의 커버 걸림돌기(6139a)에 접하게 되어, 커버(6990)가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우선, 커버(6990)의 돌출끼움판(6991a)을 제1커버끼움부(6138) 내에 삽입한 후, 커버(6990)의 우측을 내려 제2끼움부(6992)를 제2커버끼움부(6139)를 후크 결합하면, 커버(6990)의 위치가 고정된다.
<단차조절볼트>
단차조절볼트(40)는 도 10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단차조절볼트(40)는 제1막음판(6800)의 단차조절보스(6803)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체결가능하다.
좌측의 단차조절보스(6803) 전방에는 후방핸들부(6250)의 단차조절돌기(6274)가 배치되고, 우측의 단차조절보스(6803) 전방에는 연장부(6310)의 단차조절판(6314)이 배치된다.
전방핸들부(6200)는 후방핸들부(6250) 및 연장부(6310)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변동된다.
단차조절볼트(40)가 단차조절보스(6803) 앞으로 돌출되는 양을 조절하면, 전후방향에서의 전방핸들부(6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을 조립할 때 차량용 도어의 디자인에 맞게 전방핸들부(6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차량용 도어의 외측면과 전방핸들부(6200)의 전면 간의 일체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의 작동 방법을 도 104 내지 도 10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핸들부(6200)의 우측을 누르면, 도 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핸들부(6200)가 피벗핀(632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전방핸들부(6200)가 회전되면, 전방핸들부(6200)에 연결되어 있는 연장부(6310)가 전방으로 끌어당겨지고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이 압축된다. 전방핸들부(6200)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이 인장되며 전방핸들부(620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이 때, 후방핸들부(6250)는 슬라이더(6600)에 제1,2핀(6301,6302)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는 도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전방핸들부(6200)를 전방으로 잡아당길 때도 마찬가지이다.
슬라이더(6600)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방핸들부(6250)가 인출되면, 전방핸들부(6200) 또한 그를 따라 인출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사용자가 전방핸들부(6200)를 잡아당기면, 전방핸들부(6200)만 피벗핀(632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후방핸들부(6250)는 인출된 위치에 고정된다.
즉, 슬라이더(6600)에 연결되어 인입 및 인출 작동을 하는 후방핸들부(6250)와, 당김 작동을 하는 전방핸들부(6200)를 이용하여 각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핸들부의 기능이 서로 엉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이 전방핸들부(6200)만을 작동시키므로, 연장부복귀스프링(6316)의 작동력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 전선 21: 제1센서
22: 제2센서 23a: 제3센서
23b: 제3센서 24: LED
25: 버튼 26: 버튼센서
30: 도어래치 연결부 31: 걸림돌기
32: 튜브 33: 케이블
50: 도어키 연결부
60: 도어외측 연결부 61: 걸림돌기
62: 튜브 63: 케이블
1100: 하우징 1101: 핸들부 관통공
1102: 제1가이드부 1103: 제3센서 설치홈
1104: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1105: 제2가이드부
1106: 제3가이드부 1113: 제1범퍼체결부
1114: 제2범퍼체결부 1115: 제3범퍼체결부
1121: 제1모터 설치홈 1122: 웜기어 설치홈
1123: 제1모터축 설치부 1124: 제1모터 지지부
1131: 리드스크류 설치홈 1132: 리드스크류 관통부
1133: 리드스크류 설치부 1134: 리드스크류 지지부
1135: 리드스크류 설치부 1136: 범퍼 설치홈
1141: 전선 관통홈 1142: 전선 가이드부
1151: 제1체결부 1152: 제2체결부
1153: 제3체결부 1154: 금속 패드
1200: 핸들부 1201: 연장부 설치홈
1202: 피벗부 설치홈 1203: LED 설치홈
1210: 핸들커버 설치부 1211: 버튼센서 설치홈
1212: 전선 설치부 1213: 핸들커버 체결부
1214: 제3핀 설치홈 1220: 핸들부 본체
1221: 제1관통공 1222: 전선 설치부
1230: 핸들부 좌측부 1231: 제1핀 설치홈
1232: 제2센서 설치홈 1240: 핸들부 우측부
1241: 제2핀 설치홈 1242: 전선 관통홈
1301: 제1핀 1302: 제2핀
1310: 연장부 1311: 헤드부
1312: 연장부복귀스프링 삽입홈 1313: 길이부
1314: 제2센서 눌림방지부 1315: 제2장공
1316: 연장부복귀스프링 1320: 피벗부
1321: 회전축 1322: 회전부
1323: 제2핀 걸림방지홈 1324: 피벗부복귀스프링
1325: 피벗부복귀스프링 설치부 1326: 보강부
1327: 피벗핀
1400: 핸들커버 1401: 버튼 설치홈
1402: 제3핀 지지부 1403: 연장부 지지부
1404: 핸들 체결부
1500: 범퍼부재 1501: 핸들 관통공
1502: 핸들커버 설치홈 1503: 제1하우징체결부
1504: 제2하우징체결부 1505: 제3하우징체결부
1600: 슬라이더 1601: 제1경사장공
1602: 제2경사장공 16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
1604: 슬라이더복귀스프링 끼움부 1605: 이동너트 삽입홈
1606: 보강부 1607: 하우징 간섭방지부
1610: 상면 1620: 하면
1630: 우면
1700: 구동부 1710: 모터
1721: 웜 1722: 더블기어
1723: 웜휠 1724: 리드스크류
1730: 슬라이더복귀스프링 1740: 범퍼
1741: 가이드부 1742: 하우징 삽입홈
1750: 이동너트 1751: 제1가이드부
1752: 제2가이드부 1753: 제1하우징 삽입홈
1754: 제2하우징 삽입홈 1755: 리드스크류 삽입부
1756: 제3센서 누름부
1800: 막음판 1801: 전선 삽입홈
1802: 하우징 지지부 1803: 피벗부 걸림부
1804: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1810: 좌측부
1811: 키실린더 설치홈 1812: 키실린더 체결부
1813: 키실린더 관통홈 1814: 도어키 연결부 설치부
1820: 우측부 1821: 모터 지지부
1822: 모터축 지지부 1823: 범퍼 지지부
1831: 제1체결부 1832: 제2체결부
1850: 실링부재 1900: 키실린더
2000: 전동식 래치부 2100: 스트라이커
2200: 래치 2350: 오픈레버
2370: 회동부재 2400: 안전 플레이트
2610: 모터 2615: 잠금부재

Claims (29)

  1.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수납되는 핸들부; 및
    차량의 길이방향을 x방향, 차량의 폭방향을 y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슬라이더의 x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핸들부를 y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핸들부의 y방향 슬라이딩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를 x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직선운동변환기구;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핸들부가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직선운동변환부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변환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경사장공과, 상기 경사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상기 핸들부에 설치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더 내에 회전되지 않게 배치되는 이동너트와, 상기 이동너트에 체결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복귀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장공은 상기 x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가 형성되고,
    제1경사장공에는 제1핀이, 제2경사장공에는 제2핀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핀에 대해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를 복귀시키는 연장부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1핀이 설치되는 슬롯이 상기 길이조절방향에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2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을 변경하는 피벗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상기 피벗부에는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는 피벗핀이 설치되고,
    상기 피벗핀은 상기 제2핀보다 차량의 외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피벗부는 상기 핸들부가 차량 외측에서 눌리면 상기 하우징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장공은 차량의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인입부와, 차량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장공의 인입부는 상기 제2핀이 상기 피벗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핀 설치홈은 상기 피벗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접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x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너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너트에는 상기 센서를 누를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제2하우징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를 차량용 도어에 인입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핸들부가 인출되어야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부를 차량용 도어에서 인출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를 상기 y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버튼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범퍼가 설치되고,
    상기 범퍼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직선운동변환기구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후방핸들부와, 상기 후방핸들부와 피벗핀으로 결합되는 전방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핸들부는 상기 피벗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장공은 상기 핸들부가 인출될 때 상기 핀이 초반에 지나가는 제1구간과, 상기 핀이 후반에 지나가는 제2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간의 경사는 상기 제2구간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외측에 결합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단차조절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조절볼트는 상기 핸들부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차조절볼트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핸들부가 상기 y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는 상기 x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홈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x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웨이트밸런스를 더 포함하고,
    차량용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웨이트밸런스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의해 잠기거나 잠금 해제되는 전동식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래치부를 수동으로 구동하는 키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키 실린더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를 따라 회전되는 기어로드와,
    상기 기어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식 래치부에 설치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부는 상기 삽입부의 회전에 의해 수동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의해 열리는 수동식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회전력을 상기 수동식 래치부에 전달하는 레버와,
    초기 상태인 제1위치와, 상기 레버의 동작을 저지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웨이트밸런스를 더 포함하고,
    차량용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웨이트밸런스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KR1020190143506A 2019-01-22 2019-11-11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KR10214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71,467 US11643856B2 (en) 2019-01-22 2020-01-21 Flush handle for vehicle door actuated by a slider
CN202080001585.2A CN111771038B (zh) 2019-01-22 2020-01-21 用于车门的嵌入式把手
DE112020000021.4T DE112020000021T5 (de) 2019-01-22 2020-01-21 Bündig versenkbarer Griff für eine Fahrzeugtür
JP2020546912A JP6986164B2 (ja) 2019-01-22 2020-01-21 車両ドア用フラッシュハンドル
PCT/KR2020/000980 WO2020153695A1 (ko) 2019-01-22 2020-01-21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65 2019-01-22
KR20190007865 2019-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327A KR20200091327A (ko) 2020-07-30
KR102144784B1 true KR102144784B1 (ko) 2020-08-18

Family

ID=7183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06A KR102144784B1 (ko) 2019-01-22 2019-11-11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43856B2 (ko)
JP (1) JP6986164B2 (ko)
KR (1) KR102144784B1 (ko)
CN (1) CN111771038B (ko)
DE (1) DE112020000021T5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451B1 (ko) 2023-05-19 2024-05-13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058B2 (en) * 2018-08-31 2022-12-27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for connecting door latch cable to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FR3094737B1 (fr) * 2019-04-08 2021-04-09 Akwel Vigo Spain Système de poignée avec dispositif de sécurité.
JP7313996B2 (ja) * 2019-09-11 2023-07-25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20210076350A (ko) *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D1022658S1 (en) * 2020-07-08 2024-04-16 Atieva Inc. Vehicular exterior door handle
FR3129170A1 (fr) * 2021-11-15 2023-05-19 Akwel Vigo Spain Sl Agencement de verrou pour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CN114961461B (zh) * 2022-06-24 2023-05-2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外开拉手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58B1 (ko)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819B1 (ko) 1996-05-29 1999-04-01 김태구 자동차의 보조 도어록 장치
CN1214170C (zh) 1997-12-12 2005-08-10 约翰·菲利普·薛瓦利埃 汽车门或闭合件的闩锁装置
US6094952A (en) * 1998-01-02 2000-08-01 Sargent & Greenleaf, Inc. Dead bolt combination lock with integrated re-locking features
US6575508B2 (en) * 2000-04-21 2003-06-10 Adac Plastics, Inc. Handle with unidirectional counterweight
KR200359130Y1 (ko) 2004-02-04 2004-08-21 이초기 다목적 바지
KR200359913Y1 (ko) * 2004-05-28 2004-08-21 조재현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GB2453580B (en) * 2007-10-11 2012-06-06 Dall Production Aps A Rotary encoder
US9080352B2 (en) * 2011-09-26 2015-07-14 Tesla Motors, Inc. Controller apparatus and sensors for a vehicle door handle
KR101327412B1 (ko) * 2012-02-24 2013-11-08 김영희 폐쇄형 힘 전달기구 및 그를 이용한 안전 도어록
US9322198B2 (en) * 2012-05-25 2016-04-26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latch mechanism
GB2517348B (en) 2012-09-25 2015-09-23 Jaguar Land Rover Ltd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DE102013112706A1 (de)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us einem Türgriff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Türgriff
DE102015002053A1 (de) * 2014-02-24 2015-08-27 Magna Closures Inc. Schloss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113495A1 (de) * 2014-09-18 2016-03-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CN108012549B (zh) * 2015-06-08 2020-04-10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不同类型的门锁操作的门锁操作器
KR101808547B1 (ko) 2015-06-26 2017-12-13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CN108474221B (zh) * 2015-10-21 2021-03-0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车辆的门把手
DE102016112689A1 (de) * 2016-07-11 2018-01-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mit einem flächenbündigen Griff
CN106567630B (zh) * 2016-11-09 2019-10-1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和具有它的车辆
FR3060630B1 (fr) * 2016-12-20 2019-11-22 Akwel Commande d'ouverture affleurante a ejection et retraction mecanique ou electrique.
DE102017109113A1 (de) * 2017-04-27 2018-10-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ahrzeugtürgriff
EP3404176B1 (fr) 2017-05-16 2022-08-10 U-Shin Italia S.p.A. Dispositif de déverrouillage d'un serrure de porte
DE102017117722A1 (de) * 2017-07-13 2019-01-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010196B3 (de) * 2017-10-30 2019-04-25 Daimler Ag Griff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7028627B2 (ja) * 2017-12-19 2022-03-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CN109958348B (zh) * 2017-12-25 2022-01-2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一种隐藏式的把手总成
CN108193961A (zh) 2018-02-05 2018-06-22 东方久乐汽车电子(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隐藏式汽车门把手机构
CN108561034A (zh) * 2018-03-26 2018-09-2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和车辆
CN108374615B (zh) * 2018-05-11 2023-07-28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门把手
EP3581742B1 (fr) * 2018-06-11 2020-05-27 U-Shin Italia S.p.A. Poignée de porte affleurante et son procédé de fonctionnement
CN108843162A (zh) * 2018-08-10 2018-11-20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隐藏式汽车门把手
US11680432B2 (en) * 2018-10-02 2023-06-2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KR20200041004A (ko) * 2018-10-11 2020-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DE102018127805A1 (de) * 2018-11-07 2020-05-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58B1 (ko)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451B1 (ko) 2023-05-19 2024-05-13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6019A1 (en) 2020-12-10
US11643856B2 (en) 2023-05-09
CN111771038B (zh) 2021-09-24
JP6986164B2 (ja) 2021-12-22
KR20200091327A (ko) 2020-07-30
CN111771038A (zh) 2020-10-13
JP2021515857A (ja) 2021-06-24
DE112020000021T5 (de)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784B1 (ko)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JP6343401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KR102319327B1 (ko)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JP6518011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JP654540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システム
US20100077810A1 (en) Multifunctional locking device and servomotor with actuator which can be up wound up around an interchangeable reel
KR102363862B1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US20060175023A1 (en) Pulling cord winding apparatus for window shades
CN105431602A (zh) 用于可电锁定滑块的柜子联轴锁定***
KR10197250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281087B1 (ko) 케이블형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102173000B1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JP7162667B2 (ja) 非常解除可能な車両用電動式ドアラッチ
JP6083791B2 (ja) 折戸
KR101202987B1 (ko)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KR102363859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CN217495732U (zh) 一种中央刹车***、底盘***和医疗设备
KR102631736B1 (ko)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KR102172999B1 (ko) 복수 개의 마찰판을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JP4933806B2 (ja) シャッターの防犯錠装置
KR101358982B1 (ko) 블라인드 작동방법
JP6084806B2 (ja) 機械式避難時停止装置付きシャッター
KR101654563B1 (ko) 자물쇠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