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975B1 -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975B1
KR102119975B1 KR1020180150706A KR20180150706A KR102119975B1 KR 102119975 B1 KR102119975 B1 KR 102119975B1 KR 1020180150706 A KR1020180150706 A KR 1020180150706A KR 20180150706 A KR20180150706 A KR 20180150706A KR 102119975 B1 KR102119975 B1 KR 10211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low
rolling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975B1/ko
Priority to CA3120930A priority patent/CA3120930C/en
Priority to PCT/KR2019/016374 priority patent/WO2020111732A1/ko
Priority to JP2021530072A priority patent/JP7244718B2/ja
Priority to RU2021118695A priority patent/RU2768842C1/ru
Priority to EP19889066.7A priority patent/EP3889304B1/en
Priority to CN201980079001.0A priority patent/CN11316690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56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characterised by the quenching agents
    • C21D1/60Aqueous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C: 0.03~0.055%, Si: 0.1~0.35%, Mn: 1.7~2.2%, Al: 0.01~0.04%, Ti: 0.005~0.025%, N: 0.008% 이하, Nb: 0.08~0.12%, Cr: 0.2~0.45%, Ni: 0.2~0.35%, Cu: 0.05~0.3%, Mo: 0.2~0.4%, P: 0.02%이하, S: 0.002%이하, Ca: 0.0005~0.004%, V: 0.01~0.04%, B: 0.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내지 4의 조건을 만족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로, 폴리고날 페라이트: 1~5%, 애시큘러 페라이트: 60~75%, 베이니틱 페라이트: 20~30% 및 도상 마르텐사이트: 5% 이하를 포함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관계식 1] 19 ≤ (Mo/96)/(P/31) ≤ 30
[관계식 2] 1.42 ≤ Cr+2Mo+Cu+Ni+1000B ≤ 1.75
[관계식 3] 4 < {3C/12+Mn/55}×100 ≤ 4.9
[관계식 4] 600 ≤ 400C+6800Nb+600V+800Ti+300Al ≤ 820
(단, 상기 관계식 1 내지 4에 기재된 합금원소의 함량은 중량%임.)

Description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HIGH STRENGTH THICK STEEL PLATE FOR LINEPIP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DUCTILITY AS WELL AS LOW YIELD RATIO}
본 발명은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라인파이프 및 해양구조물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한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굴 및 수송환경이 가혹해짐에 따라 고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API 강재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원유 또는 가스 수송용 강관 사용시 수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송압력을 높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송압력이 120기압에 이르고 있다. 특히, 기후조건이 열악한 시베리아, 알래스카 등의 한랭지역을 중심으로 유전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유전지역의 풍부한 가스 자원을 라인파이프를 통해 소비지역으로 수송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라인파이프 프로젝트는 높은 수송가스의 압력뿐만 아니라 극저온과 지반의 변형에 대한 내구성을 고려하여 주로 후물재이면서 저온파괴인성과 저항복비 특성을 동시에 보유한 강재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두께 20mm 이상의 후물 강재의 경우, 두께 중심부의 파괴전파 저항성 보증이 매우 중요하다. 강재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면, 압연시 절대 압하량이 부족하고 충분한 냉각속도를 확보하기 어려워 페라이트 결정립이 조대해지고, 또한 중심부 편석 및 연주시 내부 크랙에 편석된 불순물에 의해 저온인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생긴다.
기존 라인파이프용 후물 강재에 대한 우수한 DWTT 연성파면율을 구현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물 라인파이프 강재는 중심부 파괴전파 저항성 보증을 위해 초기 오스테나이트 입도를 미세화하거나 페라이트 변태 개시 온도(Ar3) 직상까지 저온 압연을 해야만 보증온도 -30℃ 수준의 중심부 파괴전파 저항성(DWTT 특성)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강재는 슬라브 내에 석출 혹은 정출되어 있는 Nb(C,N)을 충분히 고용시키지 못하므로 Nb(C,N)의 재석출을 통한 석출강화 효과가 미비하다. 따라서 고가의 Mo나 Ni 등을 다량 합금 첨가하여 강도와 인성을 보상하는 제조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들 중 대표적인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기술은 슬라브 추출온도를 1000~1150℃로 하고 있으며, 압연은 Ar3이상에서 종료 후 냉각개시를 Ar3이하에서 수행하는 제조조건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냉각개시온도를 Ar3-50℃~Ar3로 제한하고 있으며, 냉각종료는 300~550℃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조건을 통하여 평균입경이 5㎛ 이하인 페라이트를 50~80% 가지며, 종횡비가 6 이하인 베이나이트를 갖는 Dual phase(이상) 조직을 구현하여 DWTT 85% 연성파면율 천이온도 -20~-30℃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 조직으로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최소 조건인 압연 방향 30도 방향에서의 항복강도가 54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670MPa 이상이며, -60℃에서 충격에너지가 190J 이상이고, DWTT 연성파면율 85% 이상을 만족하는 최저온도가 -18℃ 이하이며, 항복비가 0.85 미만이고, 총연신율이 39% 이상인 강재를 제조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07749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C: 0.03~0.055%, Si: 0.1~0.35%, Mn: 1.7~2.2%, Al: 0.01~0.04%, Ti: 0.005~0.025%, N: 0.008% 이하, Nb: 0.08~0.12%, Cr: 0.2~0.45%, Ni: 0.2~0.35%, Cu: 0.05~0.3%, Mo: 0.2~0.4%, P: 0.02%이하, S: 0.002%이하, Ca: 0.0005~0.004%, V: 0.01~0.04%, B: 0.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내지 4의 조건을 만족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로, 폴리고날 페라이트: 1~5%, 애시큘러 페라이트: 60~75%, 베이니틱 페라이트: 20~30% 및 도상 마르텐사이트: 5% 이하를 포함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를 제공한다.
[관계식 1] 19 ≤ (Mo/96)/(P/31) ≤ 30
[관계식 2] 1.42 ≤ Cr+2Mo+Cu+Ni+1000B ≤ 1.75
[관계식 3] 4 < {3C/12+Mn/55}×100 ≤ 4.9
[관계식 4] 600 ≤ 400C+6800Nb+600V+800Ti+300Al ≤ 820
(단, 상기 관계식 1 내지 4에 기재된 합금원소의 함량은 중량%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중량%로, C: 0.03~0.055%, Si: 0.1~0.35%, Mn: 1.7~2.2%, Al: 0.01~0.04%, Ti: 0.005~0.025%, N: 0.008% 이하, Nb: 0.08~0.12%, Cr: 0.2~0.45%, Ni: 0.2~0.35%, Cu: 0.05~0.3%, Mo: 0.2~0.4%, P: 0.02%이하, S: 0.002%이하, Ca: 0.0005~0.004%, V: 0.01~0.04%, B: 0.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내지 4의 조건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60~1300℃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1070~1140℃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강 슬라브를 930~960℃에서 압연 종료하여 강재를 얻는 1차 압연 단계; 상기 강재를 890~925℃까지 1차 수냉하는 단계; 상기 1차 수냉된 강재를 압연하고 840~860℃에서 종료하는 2차 압연 단계; 상기 2차 압연된 강재를 압연하고 770~820℃에서 종료하는 3차 압연 단계; 상기 3차 압연된 강재를 740~760℃에서 냉각 개시하여 2차 수냉하는 단계; 상기 2차 수냉된 강재를 400~520℃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강재를 10~40℃/s의 냉각속도로 100초 이상 3차 수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관계식 1] 19 ≤ (Mo/96)/(P/31) ≤ 30
[관계식 2] 1.42 ≤ Cr+2Mo+Cu+Ni+1000B ≤ 1.75
[관계식 3] 4 < {3C/12+Mn/55}×100 ≤ 4.9
[관계식 4] 600 ≤ 400C+6800Nb+600V+800Ti+300Al ≤ 820
(단, 상기 관계식 1 내지 4에 기재된 합금원소의 함량은 중량%임.)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하기 설명되는 합금조성의 단위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C: 0.03~0.055%
C는 강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원소이나 다량 첨가되는 경우 슬라브를 주조할 때 두께 중심부에 편석을 조장하여 용접성, 성형성 및 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다. 상기 C가 0.03%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강도를 얻기 위하여 다른 합금원소를 상대적으로 다량 첨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며, 0.05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성, 성형성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의 함량은 0.03~0.05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함량의 하한은 0.03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3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 함량의 상한은 0.05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1%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49%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i: 0.1~0.35%
Si는 용강을 탈산시키기 위해서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용강화 효과도 나타내는 원소이다. 상기 Si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용강의 탈산이 충분하지 않아 청정한 강을 얻기 어려우며, 0.35%를 초과하면 열간압연시 Si에 의한 적스케일이 형성되어 강판표면 형상이 매우 나쁘게 되며 연성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Si의 함량은 0.1~0.3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 함량의 하한은 0.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1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Si 함량의 상한은 0.3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3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Mn: 1.7~2.2%
Mn은 강을 고용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로서, 1.7% 이상 첨가되어야 소입성 증가효과와 더불어 고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2.2%를 초과하면 제강공정에서 슬라브를 주조시 두께 중심부에서 편석부가 크게 발달되고 최종제품의 용접성을 해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Mn의 함량은 1.7~2.2%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n 함량의 하한은 1.7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7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7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Mn 함량의 상한은 2.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2.0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l: 0.01~0.04%
Al은 제강시 Si과 함께 탈산제로 첨가되며, 고용강화 효과도 있으나, 0.04% 초과시 저온 충격인성을 저해하고, 0.01% 미만에서는 탈산 효과가 불충분하여 인성이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Al의 함량은 0.01~0.04%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l 함량의 하한은 0.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Al 함량의 상한은 0.03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3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i: 0.005~0.025%
Ti은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데 아주 유용한 원소로써 강 중에 TiN으로 존재하여 열간압연을 위한 가열 과정에서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질소와 반응하고 남은 Ti이 강 중에 고용되어 탄소와 결합하여 TiC의 석출물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TiC의 형성은 매우 미세하여 강의 강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이러한 TiN 석출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 억제 효과 및 TiC 형성에 의한 강도 증가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5% 이상의 Ti이 첨가되어야 하나, 0.0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판을 용접하여 강관으로 제조시 용융점까지 급열됨에 의해서 TiN이 재고용됨에 따라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Ti의 함량은 0.005~0.02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 함량의 하한은 0.0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Ti 함량의 상한은 0.02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2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N: 0.008% 이하
N의 성분 한정 사유는 상기 Ti 첨가에 기인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은 강 중에 고용되었다가 석출되어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능력은 탄소보다도 훨씬 크다. 그러나, 강 중에 질소가 존재하면 할수록 인성은 크게 저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가급적 질소 함유량을 감소시키려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적정량의 질소를 존재하게 하여 Ti과 반응시켜 TiN를 형성함으로써 재가열 과정에서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Ti의 일부는 N와 반응하지 않고 남아 이후의 공정에서 탄소와 반응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N의 함량은 0.008%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 함량의 상한은 0.00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N 함량의 하한은 0.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Nb: 0.08~0.12%
Nb은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데 아주 유용한 원소이며 동시에 강의 강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Nb를 적어도 0.08%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0.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Nb 탄질화물이 석출하여 강재의 인성에 유해하므로, 상기 Nb의 함량은 0.08~0.12%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b 함량의 하한은 0.08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0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8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Nb 함량의 상한은 0.11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4%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11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Cr: 0.2~0.45%
Cr은 일반적으로 직접 급냉시 강의 경화능을 증가시킨다. 또한, Cr은 일반적으로 내부식성 및 내수소 균열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시멘타이트와 탄화물이 집적되어 있어 열화한 충격특성을 보이며 조관 후 항복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펄라이트 조직의 생성을 억제하여 양호한 충격인성을 얻을 수 있고, 조관 후 항복강도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Cr은 0.2%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0.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장 용접 후 냉각 균열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고, 강재 및 HAZ 인성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Cr의 함량은 0.2~0.4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r 함량의 하한은 0.2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1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2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r 함량의 상한은 0.4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1%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39%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Ni: 0.2~0.35%
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펄라이트 형성을 억제하며, 저온변태 조직인 침상형(acicular) 페라이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원소로서 0.2%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0.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불리하고, 용접부 인성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Ni의 함량은 0.2~0.3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i 함량의 하한은 0.2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2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Ni 함량의 상한은 0.3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3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Cu: 0.05~0.3%
Cu는 강 중에 고용되어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0.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슬라브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Cu의 함량은 0.05~0.3%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u 함량의 하한은 0.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u 함량의 상한은 0.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2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Mo: 0.2~0.4%
Mo는 소재의 강도를 상승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며, 저온변태 조직인 침상형(acicular) 페라이트 생성을 조장함에 의해 항복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시멘타이트와 탄화물이 집적되어 있어 열화한 충격특성을 보이며 조관 후 항복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펄라이트 조직의 생성을 억제하여 양호한 충격인성을 얻을 수 있고, 조관 후 항복강도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Mo은 0.2%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불리하고, 용접저온 균열을 억제하고, 모재에 저온변태상이 생성되어 인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Mo는 0.2~0.4%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o 함량의 하한은 0.2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2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Mo 함량의 상한은 0.3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9%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38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P: 0.02%이하
P은 강 제조시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P의 함량을 최대한 낮게 제어하여야 한다. P이 첨가되면 강판의 중심부에 편석되고 균열 개시점 또는 진전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론상 P의 함량을 0%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불순물로서 첨가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P 함량을 0.02중량%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 함량은 0.01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3%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1%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 0.002%이하
S도 역시 강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원소로서 Mn 등과 결합하여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강의 인성 및 강도를 크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가급적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S의 함량을 0.02%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 함량은 0.001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17%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1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Ca: 0.0005~0.004%
Ca는 MnS 비금속 개재물을 구상화하는데 유용한 원소로서, 상기 MnS 개재물 주위에서의 균열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Ca의 함량이 0.0005% 미만인 경우 MnS 개재물의 구상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그 함량이 0.0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CaO계 개재물이 다량 생성되어 충격인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Ca의 함량은 0.0005~0.004%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a 함량의 하한은 0.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1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1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a 함량의 상한은 0.003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3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V: 0.01~0.04%
V은 Nb과 유사하지만 이보다는 덜 명백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V을 Nb과 함께 첨가하는 경우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며, 강의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킨다. 상기 효과를 위해서는 적어도 0.01% 이상을 첨가하여야 하나, 0.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V 탄질화물이 석출하여 강재의 인성에 유해하며, 특히 용접열 영향부의 인성 및 이에 따른 현장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기 V의 함량은 0.01~0.04%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 함량의 하한은 0.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2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V 함량의 상한은 0.03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8%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3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 0.0005%이하
상기 B는 저탄소강에서 경화능을 매우 향상시켜 저온 변태상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Mo 및 Nb의 경화능 향상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정립계의 강도를 증가시켜 입내균열을 억제한다. 그러나, 과도한 B의 첨가는 Fe23(C,B)6 석출에 의한 취화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B의 함량은 다른 경화능 원소의 함량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상기 B의 함량은 0.0005%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함량의 상한은 0.000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04%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03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 함량의 하한은 0.0000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00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009%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합금조성 뿐만 아니라 하기 관계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관계식 1 내지 4에 기재된 합금원소의 함량은 중량%이다.
[관계식 1] 19 ≤ (Mo/96)/(P/31) ≤ 30
관계식 1은 P의 입계편석을 막기 위한 것이다. 관계식 1의 값이 19 미만인 경우 Fe-Mo-P 화합물 형성에 의한 P 입계편석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관계식 1의 값이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능이 증가에 따른 저온 변태상 형성으로 충격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관계식 2] 1.42 ≤ Cr+2Mo+Cu+Ni+1000B ≤ 1.75
관계식 2는 미세한 침상형 페라이트를 얻기 위한 것이다. 관계식 2의 값이 1.42 미만이면 강도 확보가 곤란해지며, 1.75를 초과하면 되면 충격인성에 해가 되는 세퍼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관계식 3] 4 < {3C/12+Mn/55}×100 ≤ 4.9
관계식 3은 경한 제2상 조직인 도상 마르텐사이트(MA) 상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C과 Mn의 증가는 슬라브의 응고온도를 낮추어 슬라브 중심의 편석을 조장하며, 델타 페라이트의 형성 구간을 좁게 하여 연주 중 슬라브의 균질화를 어렵게 한다. 또한 Mn은 슬라브 중심부에 편석되는 대표적인 원소로서 파이프의 연성을 해치는 제2상의 형성을 조장하며, C의 증가는 연주시 고상 및 액상의 공존 구간을 넓혀 편석을 심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관계식 3의 값이 4.9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는 증가하나 상기의 이유로 슬라브의 비균질성이 증가하여 슬라브에 경한 제 2상이 형성되게 되어 강재 및 파이프의 저온인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반면, 상기 관계식 3의 값이 4 이하인 경우에는 강재의 충격인성 확보에는 유리하나 강도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관계식 4] 600 ≤ 400C+6800Nb+600V+800Ti+300Al ≤ 820
관계식 4는 미세한 고용강화 및 석출강화를 통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관계식 4의 값이 600 미만이면 강도 확보가 곤란해 지며, 820을 초과하면 되면 조직의 강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연신율 및 충격인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라인파이프용 강재는 미세조직이 면적%로, 폴리고날 페라이트: 1~5%, 애시큘러 페라이트: 60~75%, 베이니틱 페라이트: 20~30% 및 도상 마르텐사이트: 5% 이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인성과 연신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분율이 1면적% 미만인 경우에는 인성과 연신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고, 5면적%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애시큘러 페라이트는 강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애시큘러 페라이트의 분율이 60면적%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고, 75면적%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인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베이니틱 페라이트는 강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니틱 페라이트의 분율이 20면적%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고, 30면적%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인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상 마르텐사이트는 저온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불순조직이다. 다만, 제조공정상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 분율의 상한을 5면적%로 제어한다.
상기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저온인성을 증가 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애시큘러 페라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1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하며 저온인성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베이니틱 페라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하며 저온인성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저온인성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평균 유효 결정립이란 결정립을 구형으로 가정한 후 EBSD를 이용하여 평균하여 구한 값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라인파이프용 강재는 상기 강재는 압연방향에 대하여 30도 방향에서의 항복강도가 55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660MPa 이상이며, 항복비가 0.83 이하이고, -10℃에서의 세퍼레이션 길이가 5mm 미만이며, -10℃에서의 충격에너지가 320J 이상이고, 총연신율이 42% 이상이며, DWTT 연성파면율 85% 이상을 만족하는 최저온도가 -30℃ 이하로서 저항복비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강도, 저온인성 및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강재의 압연방향에 대하여 30도 방향에서의 항복강도는 강재의 항복강도 중 가장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높은 항복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재는 두께가 20mm 이상인 후물재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합금조성과 관계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60~1300℃에서 가열한다. 만약, 상기 강 슬라브 가열온도가 연주과정에서 석출된 첨가 합금원소들이 충분히 재고용되는 온도인 1160℃ 미만인 경우에는 열간압연 이후의 공정에서 (Ti,Nb)C, NbC 등의 석출물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 슬라브 가열온도를 1160℃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석출물의 재고용을 조장하고 적당한 크기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를 유지함으로써 소재의 강도도 향상시키면서 코일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상기 강 슬라브 가열온도가 1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이상입 성장에 의하여 강도가 저하되고 인성이 열위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강 슬라브 가열온도는 1160~1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온도의 하한은 11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7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18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온도의 상한은 12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6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24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강 슬라브 가열시 가열시간은 55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시간인 55분 미만인 경우에는 연주과정에서 석출된 합금원소들을 충분히 고용시키기 어려우며, 슬라브 두께와 길이 방향의 균열도가 낮아 압연성이 열위하고 최종 강판의 물성편차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 슬라브 가열시 가열시간은 55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많은 시간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생산성을 고려하여 90분 이하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1070~1140℃에서 추출한다. 상기 추출온도가 1070℃ 미만인 경우에는 압연 하중이 증가하여 설비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고, 11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결정 오스테나이트 크기가 조대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온도는 1070~114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온도의 하한은 1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9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1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온도의 상한은 113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3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13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추출된 강 슬라브를 930~960℃에서 압연 종료하여 강재를 얻는 1차 압연을 수행한다. 상기 1차 압연종료온도가 930℃ 미만인 경우에는 압연하중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9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해 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압연종료온도는 930~96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압연종료온도의 하한은 93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37℃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4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압연종료온도의 상한은 95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5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압연시 강 슬라브를 패스당 12% 이상의 압하율로 3회 이상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당 12% 이상의 압하율로 3회 이상 압연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결정이 100%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재결정 조직을 미세화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후, 상기 강재를 890~925℃까지 1차 수냉한다. 상기 1차 냉각정지온도가 890℃ 미만인 경우에는 압연하중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9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이 조대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냉각정지온도는 890~92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냉각정지온도의 하한은 8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냉각정지온도의 상한은 92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21℃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냉각시, 냉각속도는 20~40℃/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냉각속도가 20℃/s 미만일 경우에는 슬라브 두께 방향으로 균열도가 낮아 최종 강판의 물성편차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슬라브 중심부의 온도 감소가 미비하여 재결정역 저온 압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최종 강판의 두께 중심부에 조대 베이나이트가 형성되어 DWTT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속도는 설비 특성상 40℃/s를 초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1차 수냉시 냉각속도는 20~40℃/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수냉시 냉각속도의 하한은 22℃/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s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25℃/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수냉시 냉각속도의 상한은 38℃/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6℃/s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5℃/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1차 수냉된 강재를 압연하고 840~860℃에서 종료하는 2차 압연한다. 상기 2차 압연종료온도가 8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연 중 형성된 변형대가 소멸되어 압연의 효과가 사라지게 되며, 840℃ 미만인 경우에는 3차 압연시 압연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압연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2차 압연종료온도의 하한은 84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44℃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46℃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압연종료온도의 상한은 85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5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압연시 강재를 패스당 20% 이상의 압하율로 3회 이상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물재의 경우 슬라브 중심부 조직을 균일하게 미세화하는 게 중요하며, 중심부까지 압하량을 충분히 가하기 위해서는 패스당 20% 이상의 압하율로 3회 이상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2차 압연된 강재를 압연하고 770~820℃에서 종료하는 3차 압연한다. 상기 3차 압연종료온도가 8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미세조직이 조대하여 원하는 강도 및 충격인성을 얻을 수 없으며, 770℃ 미만인 경우에는 항복비가 열화될 수 있고, 마무리 압연기의 설비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3차 압연종료온도의 하한은 7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78℃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79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압연종료온도의 상한은 81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1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1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2차 및 3차 압연이 미재결정역 압연에 해당한다. 미재결정역 압연에 해당하는 상기 2차 및 3차 압연시 누적압하율은 8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적압하율이 80% 이하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가 충분히 찌그러지지 않아 미세한 변태 조직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차 및 3차 압연시 누적압하율은 8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및 3차 압연시 누적압하율은 8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4%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3차 압연된 강재를 740~760℃에서 냉각 개시하여 10~40℃/s의 냉각속도로 2차 수냉한다. 상기 2차 수냉 개시온도가 740℃ 미만이거나 7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애시큘러 페라이트 및 베이니틱 페라이트 분율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석출물을 얻기 위하여 합금조성 및 기타 제조조건을 제어하더라도 상기 2차 수냉시 냉각속도가 10℃/s 미만이면 석출물의 평균 크기가 조대해질 수 있다. 이는 냉각속도가 빨라질수록 많은 수의 핵이 생성하여 석출물이 미세해지기 때문이다. 냉각속도가 빨라질수록 석출물의 크기가 미세해지므로 냉각속도의 상한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냉각속도가 40℃/s 보다 빨라지더라도 석출물 미세화 효과가 더 이상 커지지 않으므로 상기 수냉시 2차 냉각속도는 10~40℃/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수냉 개시온도의 하한은 74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44℃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746℃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수냉 개시온도의 상한은 75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75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수냉시 냉각속도의 하한은 12℃/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s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6℃/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수냉시 냉각속도의 상한은 38℃/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6℃/s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5℃/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2차 수냉된 강재를 400~520℃에서 권취한다. 상기 권취온도가 5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애시큘러 페라이트 및 베이니틱 페라이트 분율이 줄어들고 도상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증가하고, 석출물이 너무 조대하게 성장하여 강도와 저온인성 확보가 곤란하며, 반면, 400℃ 미만인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 등이 형성되어 충격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온도는 400~52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온도의 하한은 4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3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44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온도의 상한은 5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49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권취된 강재를 100초 이상 3차 수냉한다. 상기 3차 수냉을 100초 이상으로 실시함으로써 권취후 코일의 복열을 방지하여 내권부가 추가 석출에 의해 인성이 저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3차 수냉 시간은 105초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초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15초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수냉 시간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3차 수냉시 냉각속도는 10~40℃/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수냉시 냉각속도가 10℃/s 미만인 경우에는 코일 내부의 잠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40℃/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일 외권부에 도상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3차 수냉시 냉각속도는 10~40℃/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수냉시 냉각속도의 하한은 12℃/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s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6℃/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수냉시 냉각속도의 상한은 38℃/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6℃/s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4℃/s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합금조성을 갖는 용강을 연속주조법에 의해 강 슬라브로 제조한 뒤, 상기 강 슬라브를 1160~1300℃에서 가열한 뒤, 하기 표 3 및 4에 기재된 조건으로 추출한 뒤, 압연, 귄취 및 냉각하여 두께 21.6mm의 열연강재를 제조하였다. 이 때, 1차 압연 즉, 재결정역 압연 종료 온도는 930~960℃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열연강재에 대하여 미세조직의 종류 및 분율과 유효 결정립 크기, 그리고 기계적 물성들을 측정한 뒤,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이 때, 항복강도는 압연방향에 대하여 30도 방향에서의 항복강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세퍼레이션 길이 및 DWTT 연성파면율은 열연강재의 파단면을 촬영한 뒤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강종No. 합금조성(중량%)
C Mn Si Nb Ti V Cr Mo Ni Cu
발명강1 0.04 1.89 0.29 0.089 0.019 0.025 0.25 0.28 0.30 0.20
발명강2 0.043 1.79 0.31 0.095 0.018 0.024 0.23 0.34 0.28 0.18
발명강3 0.035 2.0 0.20 0.082 0.017 0.034 0.25 0.38 0.28 0.18
발명강4 0.05 1.88 0.28 0.11 0.019 0.028 0.38 0.32 0.33 0.21
발명강5 0.048 2.0 0.19 0.10 0.02 0.036 0.32 0.31 0.28 0.22
비교강1 0.05 1.7 0.32 0.08 0.015 0.028 0.12 0.26 0.41 0.22
비교강2 0.063 2.1 0.28 0.11 0.022 0.038 0.21 0.33 0.43 0.16
비교강3 0.085 2.2 0.32 0.11 0.012 0.022 0.23 0.30 0.43 0.22
비교강4 0.063 2.1 0.28 0.12 0.021 0.023 0.20 0.32 0.45 0.13
비교강5 0.044 1.9 0.29 0.12 0.022 0.021 0.20 0.48 0.71 0.22
강종No. 합금조성(중량%)
Al P S N Ca B 관계식1 관계식2 관계식3 관계식4
발명강1 0.030 0.0043 0.0009 0.0044 0.0020 0.0002 21 1.51 4.44 660.4
발명강2 0.031 0.0056 0.0012 0.0038 0.0025 0.0003 19.6 1.67 4.33 701.3
발명강3 0.031 0.0052 0.0011 0.0041 0.0022 0.0002 23.6 1.67 4.51 614.9
발명강4 0.034 0.0049 0.0014 0.0043 0.0023 0.0001 21.1 1.66 4.67 810.2
발명강5 0.031 0.0048 0.0008 0.0032 0.0023 0.0003 20.9 1.74 4.84 746.1
비교강1 0.010 0.016 0.0019 0.0031 0.0032 0.0002 5.2 1.47 4.34 595.8
비교강2 0.040 0.017 0.0012 0.0030 0.0028 0.0001 6.3 1.56 5.39 825.6
비교강3 0.050 0.021 0.0014 0.0038 0.0031 0.0001 4.6 1.58 6.13 819.8
비교강4 0.048 0.013 0.0015 0.0040 0.0025 0.0001 7.9 1.52 5.39 886.2
비교강5 0.042 0.003 0.0016 0.0030 0.0029 0.0002 51.7 2.29 4.55 876.4
[관계식 1] (Mo/96)/(P/31)
[관계식 2] Cr+2Mo+Cu+Ni+1000B
[관계식 3] {3C/12+Mn/55}×100
[관계식 4] 400C+6800Nb+600V+800Ti+300Al
구분 강종No. 가열
시간
(분)
추출
온도
(℃)
1차 압연시
패스당 압하율
12% 이상의
압연 횟수(회)
1차
압연
종료
온도
(℃)
1차
냉각
속도
(℃/s)
1차 냉각
정지온도
(℃)
2차 압연시
패스당 압하율
20% 이상의
압연 횟수(회)
2차 압연
종료온도
(℃)
발명예1 발명강1 61 1120 3 951 24 921 3 842
발명예2 발명강2 60 1106 3 945 36 925 3 858
발명예3 발명강3 60 1111 3 940 24 918 3 852
발명예4 발명강4 62 1127 3 943 35 917 3 849
발명예5 발명강5 84 1132 3 934 27 922 3 842
비교예1 비교강1 58 1198 3 942 25 924 3 841
비교예2 비교강2 66 1146 3 953 17 922 2 844
비교예3 비교강3 65 1151 3 936 27 918 3 852
비교예4 비교강4 58 1153 3 941 18 924 3 851
비교예5 비교강5 42 1201 3 934 25 911 2 857
비교예6 발명강1 50 1210 2 928 22 898 2 884
비교예7 발명강2 51 1206 2 972 17 945 2 876
비교예8 발명강3 43 1232 2 965 18 934 1 899
구분 3차 압연
종료온도
(℃)
2차 및 3차 압연시 누적 압하율
(%)
2차 냉각
개시온도
(℃)
2차
냉각속도
(℃/s)
권취온도
(℃)
3차
냉각속도
(℃/s)
3차
수냉시간
(초)
발명예1 798 81 756 11 478 22 110
발명예2 803 83 746 18 512 13 121
발명예3 813 82 748 15 445 31 118
발명예4 811 82 753 16 412 38 103
발명예5 812 85 751 14 493 25 102
비교예1 798 81 758 14 562 8 102
비교예2 799 83 755 16 476 22 112
비교예3 805 83 756 12 478 21 125
비교예4 812 81 748 15 456 31 120
비교예5 811 81 749 7 523 11 145
비교예6 859 74 832 8 560 7 12
비교예7 846 72 822 10 546 8 23
비교예8 858 71 836 11 601 7 24
구분 폴리고날 페라이트 애시큘러 페라이트 베이니틱 페라이트 도상 마르텐사이트
분율
(면적%)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
(㎛)
분율
(면적%)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
(㎛)
분율
(면적%)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
(㎛)
분율
(면적%)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
(㎛)
발명예1 2 12 75 8 22 13 1 0.5
발명예2 3 11 74 9 22 14 1 0.7
발명예3 2 12 71 11 26 12 1 0.4
발명예4 5 10 68 8 26 12 1 0.8
발명예5 4 13 66 10 29 12 1 0.5
비교예1 2 18 55 13 41 22 2 1
비교예2 3 15 60 9 33 16 4 1.2
비교예3 5 14 61 8 29 15 5 1.4
비교예4 2 12 66 7 26 15 6 1.2
비교예5 6 18 61 14 28 23 5 2.2
비교예6 12 22 53 16 27 26 8 3
비교예7 15 23 35 17 43 28 7 3
비교예8 14 28 36 19 45 35 5 2
구분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항복비 총연신율
(%)
충격에너지
(J, @-10℃)
세퍼레이션
길이
(mm, @-10℃)
DWTT 연성파면율이 85% 이상을
만족하는
최저온도(℃)
발명예1 573 735 0.78 44 366 0 -30
발명예2 560 693 0.81 42 360 0 -30
발명예3 575 722 0.80 42 336 2 -30
발명예4 590 715 0.83 44 356 0 -30
발명예5 576 723 0.80 45 363 1 -30
비교예1 532 648 0.82 36 145 9 -5
비교예2 543 655 0.83 38 189 8 -7
비교예3 542 651 0.83 39 184 5 -10
비교예4 551 648 0.85 37 187 7 -9
비교예5 547 648 0.84 38 165 5 -3
비교예6 513 657 0.78 44 185 8 -11
비교예7 509 665 0.77 44 183 9 -12
비교예8 598 632 0.95 45 176 15 -5
상기 표 1 내지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5의 경우에는 미세한 유효 결정립 크기를 갖는 폴리고날 페라이트, 애시큘러 페라이트, 베이니틱 페라이트 및 도상 마르텐사이트를 적정 분율로 확보함에 따라 항복강도가 55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660MPa 이상이며, 항복비가 0.83 이하이고, -10℃에서의 세퍼레이션 길이가 5mm 미만이며, -10℃에서의 충격에너지가 320J 이상이고, 총연신율이 42% 이상이며, DWTT 연성파면율 85% 이상을 만족하는 최저온도가 -30℃ 이하로서 우수한 강도, 저온인성 및 연신율은 물론 저항복비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본 발명의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계적 물성 또한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 내지 8의 경우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은 만족하나,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본 발명의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기계적 물성 또한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중량%로, C: 0.03~0.055%, Si: 0.1~0.35%, Mn: 1.7~2.2%, Al: 0.01~0.04%, Ti: 0.005~0.025%, N: 0.008% 이하, Nb: 0.08~0.12%, Cr: 0.2~0.45%, Ni: 0.2~0.35%, Cu: 0.05~0.3%, Mo: 0.2~0.4%, P: 0.02%이하, S: 0.002%이하, Ca: 0.0005~0.004%, V: 0.01~0.04%, B: 0.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내지 4의 조건을 만족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로, 폴리고날 페라이트: 1~5%, 애시큘러 페라이트: 60~75%, 베이니틱 페라이트: 20~30% 및 도상 마르텐사이트: 5% 이하를 포함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관계식 1] 19 ≤ (Mo/96)/(P/31) ≤ 30
    [관계식 2] 1.42 ≤ Cr+2Mo+Cu+Ni+1000B ≤ 1.75
    [관계식 3] 4 < {3C/12+Mn/55}×100 ≤ 4.9
    [관계식 4] 600 ≤ 400C+6800Nb+600V+800Ti+300Al ≤ 820
    (단, 상기 관계식 1 내지 4에 기재된 합금원소의 함량은 중량%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13㎛ 이하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시큘러 페라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11㎛ 이하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니틱 페라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14㎛ 이하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는 평균 유효 결정립 크기가 0.8㎛ 이하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압연방향에 대하여 30도 방향에서의 항복강도가 550MPa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660MPa 이상이며, 항복비가 0.83 이하이고, -10℃에서의 세퍼레이션 길이가 5mm 미만이며, -10℃에서의 충격에너지가 320J 이상이고, 총연신율이 42% 이상이며, DWTT 연성파면율 85% 이상을 만족하는 최저온도가 -30℃ 이하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7. 중량%로, C: 0.03~0.055%, Si: 0.1~0.35%, Mn: 1.7~2.2%, Al: 0.01~0.04%, Ti: 0.005~0.025%, N: 0.008% 이하, Nb: 0.08~0.12%, Cr: 0.2~0.45%, Ni: 0.2~0.35%, Cu: 0.05~0.3%, Mo: 0.2~0.4%, P: 0.02%이하, S: 0.002%이하, Ca: 0.0005~0.004%, V: 0.01~0.04%, B: 0.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내지 4의 조건을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60~1300℃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1070~1140℃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강 슬라브를 930~960℃에서 압연 종료하여 강재를 얻는 1차 압연 단계;
    상기 강재를 890~925℃까지 1차 수냉하는 단계;
    상기 1차 수냉된 강재를 압연하고 840~860℃에서 종료하는 2차 압연 단계;
    상기 2차 압연된 강재를 압연하고 770~820℃에서 종료하는 3차 압연 단계;
    상기 3차 압연된 강재를 740~760℃에서 냉각 개시하여 10~40℃/s의 냉각속도로 2차 수냉하는 단계;
    상기 2차 수냉된 강재를 400~520℃에서 권취하는 단계; 및
    상기 권취된 강재를 100초 이상 3차 수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관계식 1] 19 ≤ (Mo/96)/(P/31) ≤ 30
    [관계식 2] 1.42 ≤ Cr+2Mo+Cu+Ni+1000B ≤ 1.75
    [관계식 3] 4 < {3C/12+Mn/55}×100 ≤ 4.9
    [관계식 4] 600 ≤ 400C+6800Nb+600V+800Ti+300Al ≤ 820
    (단, 상기 관계식 1 내지 4에 기재된 합금원소의 함량은 중량%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 시간은 55분 이상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1차 압연시 강 슬라브를 패스당 12% 이상의 압하율로 3회 이상 압연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1차 수냉시, 냉각속도는 20~40℃/s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차 압연시 강재를 패스당 20% 이상의 압하율로 3회 이상 압연하는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차 및 3차 압연시 누적압하율은 80% 초과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3차 수냉시, 냉각속도는 10~40℃/s인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의 제조방법.
KR1020180150706A 2018-11-29 2018-11-29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06A KR102119975B1 (ko) 2018-11-29 2018-11-29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A3120930A CA3120930C (en) 2018-11-29 2019-11-26 High strength thick steel plate for linepip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ductility as well as low yield ratio, and method thereof
PCT/KR2019/016374 WO2020111732A1 (ko) 2018-11-29 2019-11-26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2021530072A JP7244718B2 (ja) 2018-11-29 2019-11-26 低温靭性と延伸率に優れ降伏比が小さい厚物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RU2021118695A RU2768842C1 (ru) 2018-11-29 2019-11-26 Высокопрочный толст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имеющий превосходную низкотемпературную ударную вязкость и пластичность, а также низкое отношение предела текучести к пределу прочности,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P19889066.7A EP3889304B1 (en) 2018-11-29 2019-11-26 High strength thick steel plate for linepipe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ductility as well as low yield ratio, and method thereof
CN201980079001.0A CN113166905B (zh) 2018-11-29 2019-11-26 低温韧性和伸长率优异且屈服比小的用于高强度厚管线的钢材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06A KR102119975B1 (ko) 2018-11-29 2018-11-29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975B1 true KR102119975B1 (ko) 2020-06-08

Family

ID=7085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06A KR102119975B1 (ko) 2018-11-29 2018-11-29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889304B1 (ko)
JP (1) JP7244718B2 (ko)
KR (1) KR102119975B1 (ko)
CN (1) CN113166905B (ko)
CA (1) CA3120930C (ko)
RU (1) RU2768842C1 (ko)
WO (1) WO20201117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97A1 (ko) * 2020-09-25 2022-03-31 주식회사 포스코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086166A1 (ko) * 2020-10-23 2022-04-28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591212B1 (ko) * 2023-05-24 2023-10-19 넥스틸 주식회사 용접부 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2459B (zh) * 2020-09-02 2021-12-21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耐低温风电法兰用钢及其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6316A (ja) * 1997-04-28 1998-11-17 Nippon Steel Corp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JP2001207220A (ja) * 2000-01-26 2001-07-31 Kawasaki Steel Corp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鋼管用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2010077492A (ja) 2008-09-26 2010-04-08 Jfe Steel Corp ラインパイプ用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5936A (ko) * 2015-12-23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655A (en) * 1979-06-25 1981-01-14 Kobe Steel Ltd Line pipe steel having superior hydrogen induced crack resistance
JPS6123714A (ja) * 1984-07-12 1986-02-01 Nippon Steel Corp 溶接熱影響部における低温靭性の優れた鋼の製造法
JPS6134116A (ja) * 1984-07-24 1986-02-18 Sumitomo Metal Ind Ltd 強靭性熱間圧延コイルの製造法
JP3793478B2 (ja) * 2002-04-01 2006-07-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粗大結晶粒の含有を抑制し、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鋼管の製造方法
JP4305216B2 (ja) * 2004-02-24 2009-07-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部の靭性に優れる耐サワー高強度電縫鋼管用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6305841A1 (en) * 2005-10-24 2007-05-0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High strength dual phase steel with low yield ratio, high toughness and superior weldability
US7608155B2 (en) * 2006-09-27 2009-10-27 Nucor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dip coat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BRPI0718935B1 (pt) * 2006-11-30 2016-08-2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tubos soldados para tubulação de alta resistência superior em tenacidade à baixa temperatura e método de produção dos mesmos.
JP5223375B2 (ja) * 2007-03-01 2013-06-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る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3108B2 (ja) * 2007-05-21 2011-10-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145328A1 (ja) * 2008-05-26 2009-12-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低温靭性と延性破壊停止性能に優れる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203301B (zh) * 2008-11-06 2013-06-12 新日铁住金株式会社 超高强度管线管用钢板及钢管的制造方法
WO2011040624A1 (ja) * 2009-09-30 2011-04-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降伏比、高強度および高靭性を有し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60099B (zh) * 2009-10-16 2011-12-21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高强度低合金热轧铁素体贝氏体耐候钢及其生产方法
JP5573265B2 (ja) * 2010-03-19 2014-08-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引張強度590MPa以上の延靭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2123B2 (ja) * 2010-07-16 2015-07-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溶接鋼管向け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79114B2 (ja) * 2011-02-24 2015-03-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8707B1 (ko) * 2011-07-20 2016-07-1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BR112014002875B1 (pt) * 2011-08-09 2018-10-2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hapas de aço laminadas a quente, e métodos para produção das mesmas
WO2013103125A1 (ja) * 2012-01-05 2013-07-1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305770B (zh) * 2012-03-14 2015-12-0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薄带连铸550MPa级高强耐大气腐蚀钢带的制造方法
JP5516785B2 (ja) * 2012-03-29 2014-06-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降伏比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高強度溶接鋼管
CA2882333C (en) * 2012-09-26 2018-03-2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Dual phase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49776B2 (ja) * 2014-03-28 2017-06-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靭性高延性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357749A (zh) * 2014-11-14 2015-02-18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螺旋埋弧焊管用高强韧性x90热轧钢带及生产方法
CN104789863B (zh) * 2015-03-20 2017-01-1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具有良好抗应变时效性能的x80管线钢、管线管及其制造方法
KR102051199B1 (ko) * 2015-03-31 2019-12-0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5568143B (zh) * 2016-03-15 2017-11-17 首钢总公司 一种易卷取且低温性能优异的厚规格管线钢热连轧钢带及其制造方法
US11946111B2 (en) * 2016-03-31 2024-04-02 Jfe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coat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hot-roll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full har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heat-treat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ed steel sheet
JP6519024B2 (ja) * 2016-05-31 2019-05-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PL3476960T3 (pl) * 2016-06-22 2021-05-04 Jfe Steel Corporation Blacha stalowa walcowana na gorąco do grubościennych rur przewodowych o wysokiej wytrzymałości, spawana rura stalowa do grubościennych rur przewodowych o dużej wytrzymałości oraz sposób wytwarzania spawanej rury stalowej
CN106119685A (zh) * 2016-06-23 2016-11-16 宝鸡石油钢管有限责任公司 一种抗深水压溃海洋钻井隔水管及其制造方法
JP6565890B2 (ja) * 2016-12-20 2019-08-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858857B1 (ko) * 2016-12-21 2018-05-17 주식회사 포스코 Dwtt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6316A (ja) * 1997-04-28 1998-11-17 Nippon Steel Corp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JP2001207220A (ja) * 2000-01-26 2001-07-31 Kawasaki Steel Corp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鋼管用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4277405B2 (ja) * 2000-01-26 2009-06-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鋼管用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2010077492A (ja) 2008-09-26 2010-04-08 Jfe Steel Corp ラインパイプ用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5936A (ko) * 2015-12-23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97A1 (ko) * 2020-09-25 2022-03-31 주식회사 포스코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086166A1 (ko) * 2020-10-23 2022-04-28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591212B1 (ko) * 2023-05-24 2023-10-19 넥스틸 주식회사 용접부 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6905A (zh) 2021-07-23
WO2020111732A1 (ko) 2020-06-04
CN113166905B (zh) 2023-03-24
EP3889304A4 (en) 2021-10-06
JP2022510199A (ja) 2022-01-26
EP3889304C0 (en) 2023-09-27
JP7244718B2 (ja) 2023-03-23
RU2768842C1 (ru) 2022-03-24
EP3889304B1 (en) 2023-09-27
EP3889304A1 (en) 2021-10-06
CA3120930C (en) 2023-08-22
CA3120930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8069C (en) Steel plate for linepipe having ultra-high strength and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4521258A (en) Method of making wrought high tension steel having superior low temperature toughness
KR100868423B1 (ko) 조관후 강도변화가 작은 스파이럴 강관용 후물 열연 고강도api-x80 급 강재 및 제조방법
KR102119975B1 (ko) 저온인성과 연신율이 우수하며, 항복비가 작은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859B1 (ko) 표면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60467B1 (ko) 저온 파괴인성 및 균일연신율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43B1 (ko)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844B1 (ko) 균열성장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그 제조방법
JP2001152248A (ja) 低温靱性の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鋼管の製造方法
KR101778406B1 (ko)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제조방법
KR101585724B1 (ko) 중심부 저온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후물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3408A (ko) 우수한 파괴전파 저항성 및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1396689B2 (en) Steel material for low yield ratio, high-strength steel pipe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889182B1 (ko) 길이방향 균일 연신율 및 저온 인성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관
KR100723156B1 (ko) 변형능 및 취성파괴 정지 특성이 우수한 항복강도552MPa 급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5279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9192B1 (ko) 파괴전파 저항성 및 dwtt 역파면 억제능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25650B1 (ko) 판 변형특성이 우수한 저 Mo형 후물광폭 후판 및 그제조방법
KR20230094390A (ko)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곡관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곡관 라인파이프와 이들의 제조방법
JPH09316534A (ja) 低温靭性の優れた溶接性高強度鋼の製造方法
KR20230026017A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8562A (ko)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98520A (ko)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2885A (ko) Dwtt 연성파연율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8648A (ko)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