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25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250B1
KR102033250B1 KR1020180072913A KR20180072913A KR102033250B1 KR 102033250 B1 KR102033250 B1 KR 102033250B1 KR 1020180072913 A KR1020180072913 A KR 1020180072913A KR 20180072913 A KR20180072913 A KR 20180072913A KR 102033250 B1 KR102033250 B1 KR 10203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landmark
antagonist
occlusa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규옥
조성업
조남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2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2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alizing an occlusal relationship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dental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generating a to-be-worked dental model related to a prosthesis with reference to the dental library of the patient; dividing a screen to display a lateral cross section of a state that the to-be-worked dental model and an antagonist model are occlusal, a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to-be-worked dental model and a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to-be-worked dental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 section in accordance with a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to-be-worked dental model, and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to-be-worked dental model in accordance with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to-be-worked dental model;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antagonist model in the lateral cross section in accordance with a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d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in accordance with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moving a position of the landmark corresponding to a movement command when the movement command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landmarks displayed on the side-directional cross section,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to-be-worked dental model, and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is input, and correcting the to-be-worked dental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moved landmark; and correcting and displaying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to-be-worked dental model, and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corrected to-be-worked dental model.

Description

보철물 디자인 과정에서 교합 관계를 구현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본 발명은 보철물 디자인 과정에서 환자의 치아 모델과 대합치 모델 간의 교합 관계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a dental model and a antagonist model of a patient during a prosthetic design process.

임플란트와 같은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보철물 모델을 디자인해야 한다. 이때, 보철물 모델을 디자인하는 과정은 보철물과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To create a prosthesis, such as an implant, you need to design a prosthesis model. At this time,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prosthesis model includes a process of confirm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antagonist.

종래의 CAD S/W를 이용한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은 대합치 모델을 반투명화 시켜서 대합치 모델과 보철물에 대응하는 작업치 모델 간의 접촉 부위를 확인하고 있으므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정확한 접촉 부위를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경우, 보정된 작업치 모델에 따른 대합치 모델과 작업치 모델 간의 교합 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mplementing occlusion relationship using CAD S / W,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prosthesis model corresponding to the prosthesis is confirmed by semitransparenting the antagonist model. There was a limit not to be. In addition, when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occlu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 value model.

따라서, 사용자가 보정에 따른 작업치의 형상과, 보정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선행 문헌]
일본 등록 특허 제6073227호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hape of the work valu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nd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cted work value and the antagonist.
[Prior literature]
Japanese Patent No. 6073227

본 발명은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한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치 모델의 보정에 따른 변동 사항을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반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정에 따른 작업치의 형상과, 보정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 unit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the occlusal plane of the work unit model and the occlusal plane of the antagonist model on one screen,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work unit model. Is display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lateral cross section and the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hape of the working tooth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nd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cted work and the antagonist. An apparatus and metho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은 랜드 마크가 포함된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보철물과 관련된 작업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대합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표시된 랜드 마크들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랜드 마크의 위치를 이동하고, 이동한 랜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한 작업치 모델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tooth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Generating a work order model associated with the prosthesis with reference to the patient's tooth library; Dividing the screen to display a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work value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landmark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occlusal surface; A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antagonist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landmark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occlusal surface; A position of a landmark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when a user inputs a movement command of a selected landmark among the landmarks displayed on the lateral cross-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Moving and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landmark; And correcting and displaying the lateral cross-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 value mode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의 랜드마크는, 구치부 치아의 교두정(Cusp Tip), 교합점(Occlusal Point)과 중심구(Groove 또는 Fissure), 변연융선(Marginal Ridge)과 전치부 치아의 절단연(Incisal Edge)과 교합점(Occlusal Point), 변연융선(Marginal Rid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Landmarks of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p tip, occlusal point (Occlusal Point) and the center (Groove or Fissure), marginal ridge (Marginal Ridge) and anterior teeth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dge (Incisal Edge), the occlusal point (Occlusal Point), the marginal ridge (Marginal Rid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의 작업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마크 정보에서 대합치의 포사(Fossa)와 커스프(Cusp)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치아 라이브러리에서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와 커스프 및 변연 융선(Marginal ridge)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대합치의 포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커스프 및 변연 융선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합치의 커스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the work value model of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occlus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fossa and Cusp of the antagonist in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Doing; Identifying locations of fossa and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 tooth model in the tooth library;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andpaper of the antagonist teeth;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andpaper of the working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sp of the clam teet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의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Occlusal) 방향, 또는 치경부(Cervical) 방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 방향, 또는 치경부 방향인 경우, 상기 랜드 마크를 이동하지 않고, 이동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ompensating the work value model of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occlus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Occlusal), or cervical direction; And if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the cervical direction, outputting a non-moveable message without moving the landma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의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대합치 방향인 경우, 대합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랜드 마크와 상기 대합치 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 마크와 상기 대합치 간의 거리가 설정한 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랜드 마크를 상기 대합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of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occlus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antagonist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antagonist in accordance with the antagonist parameter Setting up; And moving the landmark in the antagonistic direction until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antagonist becomes a set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의 대합치 파라미터는, 상기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와 접촉하는 접촉, 상기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침범. 및 상기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근접 중 하나일 수 있다.The antagonist parameter of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occlus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of the landmark in contact with the antagonist and an invasion of the landmark into the antagonist. And a proximity located at a place spaced apart from the antagonis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는 랜드 마크가 포함된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보철물과 관련된 작업치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결정하며, 상기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표시된 랜드 마크들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랜드 마크의 위치를 이동하고, 이동한 랜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프로세서; 및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표시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며,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대합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며, 보정한 작업치 모델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tooth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A work tooth model related to a prosthesis is generated with reference to the patient's tooth library, and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teeth of the antagonist model When the occlusal surface is determined, and a user receives a movement command of a landmark selected from among the landmarks displayed on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 processor for moving a position of a corresponding landmark and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landmark; And dividing the screen to display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nd display the later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tooth model. A landmark is displayed on an included work value model, and a landmark is displayed on an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ic model. The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antagonist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and the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occlusal plane of the antagonist model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d an output unit for correcting and displaying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surface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 value model. C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의 랜드마크는, 구치부 치아의 교두정(Cusp Tip), 교합점(Occlusal Point)과 중심구(Groove 또는 Fissure), 변연융선(Marginal Ridge)과 전치부 치아의 절단연(Incisal Edge)과 교합점(Occlusal Point), 변연융선(Marginal Rid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Landmarks of the occlusal relation impl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p tip, occlusal point (Occlusal Point) of the posterior tooth (Groove or Fissure), marginal ridge (Marginal Ridge) and anterior teeth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dge (Incisal Edge), the occlusal point (Occlusal Point), the marginal ridge (Marginal Rid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마크 정보에서 대합치의 포사(Fossa)와 커스프(Cusp)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치아 라이브러리에서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와 커스프 및 변연 융선(Marginal ridge)의 위치를 식별하며, 상기 대합치의 포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커스프 및 변연 융선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대합치의 커스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of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occlus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positions of fossa and cusp of the antagonist in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d in the tooth librar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ossa and cusp and marginal ridge of the working value model, determine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usp and marginal ridge of the working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ossa of the antagonis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andpaper of the working value model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sp of the antagoni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Occlusal) 방향, 또는 치경부(Cervical) 방향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 방향, 또는 치경부 방향인 경우, 상기 랜드 마크를 이동하지 않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불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of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occlus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the cervical direction, and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in the case of the cervical direction, the output unit may output a non-moveable message of the landmark without moving the landma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한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치 모델의 보정에 따른 변동 사항을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반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정에 따른 작업치의 형상과, 보정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re displayed on one screen, and the working tooth model is displayed. By reflecting the changes caused by the correction in the lateral section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the user can determine the shape of the work valu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nd between the corrected work value and the antagonist. The occlusion can be easily recogn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출력부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occlusion relationsh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n occl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landmark included in a tooth libr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at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은 교합 관계 구현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occlusion relationshi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교합 관계 구현 장치(100)는 임플란트와 같은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보철물 모델 디자인 과정에서 보철물에 대응하는 작업치 및 작업치와 교합되는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구현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prosthesis, such as an implant, the 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ing apparatus 100 may implement an occlusion relationship between a work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sthesis and a antagonist meshed with the work value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prosthesis model.

이때, 교합 관계 구현 장치(100)는 보철물 모델 생성 장치, 또는 보철물 모델 디자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교합 관계 구현 장치(100)는 보철물 모델 생성 장치, 또는 보철물 모델 디자인 장치와 독립적인 구성이며, 구현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보철물 모델 생성 장치, 또는 보철물 모델 디자인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ing apparatus 100 may be included in the prosthesis model generating apparatus or the prosthesis model design apparatus. In addition, the 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ing apparatus 100 is an independent configuration of the prosthesis model generating apparatus or the prosthetic model designing apparatus, and may transfer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emented work value and the antagonist to the prosthetic model generating apparatus or the prosthetic model designing apparatus. have.

교합 관계 구현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프로세서(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로 구현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보철물 모델 생성 장치, 또는 보철물 모델 디자인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processor 120, and an output unit 130 as shown in FIG. 1.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30 is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value and the antagonist implemented as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prosthesis model generating device, or prosthetic mode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or for output to the design device.

입력부(110)는 랜드 마크가 포함된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랜드 마크는 환자의 구치부 치아의 교두정(Cusp Tip), 교합점(Occlusal Point)과 중심구(Groove 또는 Fissure), 변연융선(Marginal Ridge)과 전치부 치아의 절단연(Incisal Edge)과 교합점(Occlusal Point), 변연융선(Marginal Rid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dental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At this time, the landmark is the cusp tip, occlusal point and occlusal point (Groove or Fissure), marginal ridge (Incisal Edge) of the posterior tooth and the occlusal point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cclusal Point, Marginal Ridge.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보철물과 관련된 작업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마크 정보에서 대합치의 포사(Fossa)와 커스프(Cusp)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에서 작업치 모델의 포사와 커스프 및 변연 융선(Marginal ridge)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대합치의 포사의 위치에 따라 작업치 모델의 커스프 및 변연 융선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대합치의 커스프의 위치에 따라 작업치 모델의 포사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n operation model related to the prosthesis with reference to the patient's tooth library. In this case, the processor 120 may identify the positions of the fossa and cusp of the antagonist from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ossa,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ing model in the patient's dental library. Next,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ing mode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and of the antagonist.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andpaper of the working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sp of the clam teeth.

이때, 작업치는 보철물을 제작할 대상이 되는 환자의 치아이고, 대합치는 작업치에 교합되는 환자의 치아일 수 있다. 또한,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은 각각 작업치와 대합치에 대응하는 3차원 치아 모델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working tooth may be the tooth of the patient to be produced the prosthesis, and the antagonist may be the tooth of the patient to be occluded in the working tooth. In addition, the work unit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may be three-dimensional tooth models corresponding to the work unit and the antagonist, respectively.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화면을 분할하여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lateral cross-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engaged with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30 may divide the screen to display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on one screen.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 정보를 참조하여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식별한 랜드 마크들의 수직 위치에 따라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 및 대합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식별한 랜드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과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각각 랜드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120 may identify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with reference to the tooth library.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identify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ic model with reference to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ic model.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30 may display the landmarks in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confrontation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landmarks identified by the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may display the landmarks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출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랜드 마크를 선택하고, 선택한 랜드 마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표시된 랜드 마크, 또는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랜드 마크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랜드 마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이동한 랜드 마크의 랜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작업치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select a landmark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display an interface for moving the selected landmark on the screen.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movement command of a landmark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the landmark display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or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 section through the interface. In this case, the processor 120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landmark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ndmark of the moved landmark.

이때,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협면(Buccal surface) 방향, 설면(Labial surface) 방향, 근심면(Mesial surface) 방향, 및 원심면(Distal surface)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하는 명령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이동 명령에 따라 랜드 마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Occlusal) 방향, 또는 치경부(Cervical) 방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거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Occlusal) 방향, 또는 치경부(Cervical) 방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 방향, 또는 치경부 방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를 이동하지 않고, 출력부(130)에서 랜드 마크의 이동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a command to move to one of the buccal surface direction, the labial surface direction, the mesial surface direction, and the distal surface direction, the processor 120 )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landmark according to the movement comman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the cervical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reject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Therefore,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the cervic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the occlusal direction or the cervical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request that the output unit 130 output the landmark movement impossible message without moving the landmark.

또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대합치 방향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대합치 파라미터에 따라 랜드 마크와 대합치 간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와 대합치 간의 거리가 설정한 거리가 될 때까지 랜드 마크를 대합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랜드 마크와 대합치 간의 거리가 설정한 거리와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의 이동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대합치 파라미터는, 랜드 마크가 대합치와 접촉하는 접촉, 랜드 마크가 대합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침범. 및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근접 중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antagonist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set a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antagonist according to the antagonist parameter. The processor 120 may move the landmark in the antagonistic direction until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antagonist becomes a set dist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confrontation is equal to the set distance, the processor 120 may end the movement of the landmark. At this time, the antagonist parameter is a contact where the landmark is in contact with the antagonist, and the landmark is moved inside the antagonist. And a proximity located at a place spaced apart from the antagonis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대합치 파라미터가 접촉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가 대합치의 수직 위치가 동일할 때까지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대합치 파라미터가 침범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대합치 파라미터에 포함된 침범 깊이를 확인하고,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가 대합치의 수직 위치보다 침범 깊이만큼 증가, 또는 감소할 때까지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합치 파라미터가 이격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대합치 파라미터에 포함된 이격 길이를 확인하고,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와 대합치의 수직 위치 간의 차이가 이격 길이와 동일할 때까지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antagonist parameter is a contact, the processor 120 may mov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until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s the same a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antagonist. In addition, when the antagonist parameter is an invasion, the processor 120 checks the invasion depth included in the antagonist parameter, and lands until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reases or decreases by the invasion depth tha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antagoni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rk can be moved. If the antagonist parameter is a distance, the processor 120 checks the separation length included in the antagonist parameter, and landmarks until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antagonist is equal to the separation length. You can move the vertical position of.

이때, 프로세서(120)는 랜드 마크의 이동에 따라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고, 보정한 작업치 모델에 따라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30)는 화면에 표시중인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프로세서(120)가 보정한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으로 변경함으로써, 프로세서(120)에 의한 작업치 모델의 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20 corrects the work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andmark, and corrects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opposing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 tooth model. Can be.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is a side cross-se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eeth model, and the lateral occlusion surface corrected by the processor 120 the dental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the dental occlusal of the work teeth model By changing the plane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ic model,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by the processor 120 can be displayed.

또한, 출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보정한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 간의 교합 관계 구현 정보로 설정하여 보철물 모델 생성 장치, 또는 보철물 모델 디자인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sets the lateral cross-section corrected by the processor 120,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s the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The output may be output to the prosthesis model generating device or the prosthesis model design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장치(100)는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한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치 모델의 보정에 따른 변동 사항을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반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정에 따른 작업치의 형상과, 보정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en showing the occlusal surface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of the lateral direction cross section and the occlusal model in the state where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is occluded And the change caused by the correction of the work value model is reflected on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user displays the shape of the work valu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nd the corre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t working values and the antagonistic valu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 관계 구현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n occl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210)에서 입력부(110)는 랜드 마크가 포함된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In operation 210,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dental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단계(220)에서 프로세서(120)는 단계(210)에서 입력받은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보철물과 관련된 작업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In operation 220,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n operation value model related to the prosthesis with reference to the dental library of the patient received in operation 210.

단계(230)에서 프로세서(120)는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화면을 분할하여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operation 230,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surface model,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surface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in the state where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antagonistic model are occluded.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30 may divide the screen to display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on one screen.

단계(240)에서 프로세서(120)는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 정보를 참조하여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프로세서(120)가 식별한 랜드 마크들의 수직 위치에 따라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 및 대합치 모델에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식별한 랜드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과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각각 랜드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In operation 240, the processor 120 may identify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by referring to the tooth library.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identify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ic model with reference to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ic model.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30 may display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landmarks in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antagonistic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landmarks identified by the processor 120.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may display the landmarks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dentified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단계(250)에서 입력부(110)는 출력부(130)가 화면에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표시된 랜드 마크, 또는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이동 명령에 따라 변경된 랜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작업치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보정한 작업치 모델에 따라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보정할 수 있다. In operation 250, the input unit 110 provides the user with one of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landmarks display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or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landmarks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through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output unit 130. The movement command of the selected landmark may be input. In this case,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ndmark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command. In addition, the processor 120 may correct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opposing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 value model.

단계(260)에서 출력부(130)는 화면에 표시중인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프로세서(120)가 보정한 측면 방향 단면,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으로 변경함으로써, 프로세서(120)에 의한 작업치 모델의 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In step 260, the output unit 130 is a side surface cross-se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teeth model,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ross-sectional surface corrected by the processor 120, the working tooth model By changing to the occlusal surface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ic model,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by the processor 120 can be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일례이다.3 is an example of a landmark included in a tooth libr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치부 치아들 각각에 복수의 교두점(Cusp Tip)(310)들 복수의 교합점(Occlusal Point)(320)들, 중심구(Groove)(330), 및 적어도 하나의 변연융선(Marginal Ridge)(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전치부 치아는 교두점(310)과 중심구(330)를 대신하여 절단연(Incisal Edge)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ooth library of the patient includes a plurality of cusp tips 310, a plurality of occlusal points 320, a groove 330, and a plurality of cusp tips 310. And at least one marginal ridge 240. In addition, the anterior teeth of the patient may include an incisal edge in place of the cusp 310 and the central sphere 3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출력부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4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the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출력부(130)는 화면을 분할하여 작업치 모델 및 대합치 모델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화면(410)의 측면에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420),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430), 및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440)을 더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divides the screen to the side of the main surface 410 for controlling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the side surface 420, the antagonist of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The occlusal surface 430 of the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440 of the working tooth model may be further displayed.

이때, 출력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방향 단면(420)에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421)과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42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430)에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431)를 표시하고,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440)에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441)를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output unit 130 has a vertical position 421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confrontation model and a vertical position 422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ing model as shown in FIG. 4. )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30 displays the horizontal position 431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surface 430 of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work value on the occlusal surface 440 of the working model. The horizontal position 441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model may be displayed.

그리고, 출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랜드 마크를 선택하고, 선택한 랜드 마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450)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select a landmark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display an interface 450 for moving the selected landmark on the screen.

사용자가 마우스나 터치와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421),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422),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431) 및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441)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또는 드래그한 경우, 입력부(110)는 선택되거나, 드래그한 범위에 포함된 랜드 마크를 사용자가 선택한 것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450)에 보정값을 입력하거나, 랜드 마크를 선택한 상태의 입력 수단을 이동시키는 경우, 입력부(110)는 보정값, 또는 입력 수단의 이동에 따라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식별하여 프로세스(12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uses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position 421 of the landmark, the vertical position 422 of the landmark, the horizontal position 431 of the landmark, and the horizontal position 441 of the landmark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r a touch. When the user selects or drags the input unit 110,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selected or selected landmark included in the dragged range. When the user inputs a correction value into the interface 450 or moves the input means in the state where the landmark is selected, the input unit 110 identifies a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or the movement of the input means. To process 120.

예를 들어, 랜드 마크와 랜드 마크에서 일정 거리 안의 영역이 사용자에게 마우스로 드래그 된 경우, 프로세스(120)는 사용자에게 드래그된 영역에 따라 작업치 모델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450)의 슬라이드바를 이용하여 랜드 마크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변경한 경우, 프로세스(120)는 슬라이드바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을 식별하고, 식별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랜드 마크에서 일정 거리 안의 영역의 세부 형상을 보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andmark and the landmark is dragged by the mouse to the user, the process 120 may correct the overall shape of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dragged area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user changes the parameter associated with the landmark using the slide bar of the interface 450, the process 120 identifies the parameter value corresponding to the slide bar, an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andmark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arameter value. The detailed shape of the region can be corrected.

그리고, 프로세스(120)는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에 따라 랜드 마크를 이동하고, 랜드 마크의 이동에 따라 작업치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는 프로세스(120)의 작업치 모델 보정에 따라 메인 화면(410), 측면 방향 단면(420),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430), 및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440)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의 형상을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정에 따른 작업치의 형상과, 보정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process 120 may move the landmark according to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and correct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andmark.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30 is the main screen 410, the lateral cross-section 420, the occlusal surface 430 of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dental occlusal of the working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work value model correction of the process 120 By correcting the shape of the work value model included in the surface 440,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work valu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nd the corrected work value and the antagonist value.

본 발명은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한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치 모델의 보정에 따른 변동 사항을 측면 방향 단면과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반영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정에 따른 작업치의 형상과, 보정된 작업치와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 unit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the occlusal plane of the work unit model and the occlusal plane of the antagonist model on one screen,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work unit model. Is display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lateral cross section and the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hape of the working tooth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nd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cted work and the antagonist. You can do that.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in combinations of them. Implementations may be implemented for processing by,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eg, a programmable processor, a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e an information carrier, for example a machine readable storage. It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a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 programs, such as the computer program (s) described abov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and may be written as standalone programs or in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computing environments.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as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The computer program can be deployed to be processed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Processors suitable for the processing of a computer program include, by way of example, both general purpose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In general,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a read only memory or a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Elements of a comput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executes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memory devices that store instructions and data. In general, a computer may include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that store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or receive data from, transmit data to, or both. It may be combined to be. Information carriers suitable for embody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for exampl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 Optical media such as DVD (Digital Video Disk),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 ROM (Read Only Memory), RAM ,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the like.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luded by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transmission media.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specification include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any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must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while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the claimed combination being a subcombination Or a combination of subcombination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in order to obtain desirable results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devic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device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for clarit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교합 관계 구현 장치
110: 입력부
120: 프로세서
130: 출력부
100: occlusal device
110: input unit
120: processor
130: output unit

Claims (10)

랜드 마크가 포함된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보철물과 관련된 작업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대합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표시된 랜드 마크들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랜드 마크의 위치를 이동하고, 이동한 랜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한 작업치 모델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방법.
Receiving a dental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Generating a work order model associated with the prosthesis with reference to the patient's tooth library;
Dividing the screen to display a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work value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and the landmark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value model.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occlusal surface;
A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antagonist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landmark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Displaying a landmark on the occlusal surface;
A position of a landmark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when a movement command of a selected landmark is receiv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landmarks displayed on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Moving and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landmark; And
Correcting and displaying the lateral cross-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ing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ing value model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는,
구치부 치아의 교두정(Cusp Tip), 교합점(Occlusal Point)과 중심구(Groove 또는 Fissure), 변연융선(Marginal Ridge)과 전치부 치아의 절단연(Incisal Edge)과 교합점(Occlusal Point), 변연융선(Marginal Rid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andmark is,
Cusp Tip, Occlusal Point and Center (Groove or Fissure), Marginal Ridge, and Ancisal Edge and Occlusal Point of Marginal Teeth Marginal Ri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마크 정보에서 대합치의 포사(fossa)와 커스프(cusp)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치아 라이브러리에서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와 커스프 및 변연 융선(Marginal ridge)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대합치의 포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커스프 및 변연 융선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합치의 커스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the work value model,
Identifying the position of fossa and cusp of the antagonist from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Identifying locations of fossa and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 tooth model in the tooth library;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andpaper of the antagonist teeth;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andpaper of the working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sp of the clam teeth;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Occlusal) 방향, 또는 치경부(Cervical) 방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 방향, 또는 치경부 방향인 경우, 상기 랜드 마크를 이동하지 않고, 이동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mpensating the work value model,
Checking whether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an occlusal or cervical direction; And
If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the cervical direction, outputting a non-movement message without moving the landmark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대합치 방향인 경우, 대합치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랜드 마크와 상기 대합치 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 마크와 상기 대합치 간의 거리가 설정한 거리가 될 때까지 상기 랜드 마크를 상기 대합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mpensating the work value model,
Setting a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antagonist according to the antagonist parameter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a antagonist direction; And
Moving the landmark in the antagonistic direction until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mark and the antagonist becomes a set distance;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합치 파라미터는,
상기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와 접촉하는 접촉, 상기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의 내부로 이동하는 침범. 및 상기 랜드 마크가 상기 대합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근접 중 하나인 교합 관계 구현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antagonist parameter is
Contact where the landmark is in contact with the antagonist, and the landmark is moved into the interior of the antagonist. And a proximity in which the landmark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ntagonist.
랜드 마크가 포함된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환자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보철물과 관련된 작업치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과 대합치 모델이 교합된 상태의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결정하며, 상기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표시된 랜드 마크들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랜드 마크의 위치를 이동하고, 이동한 랜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을 보정하는 프로세서; 및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측면 방향 단면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표시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작업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작업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며,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에 포함된 대합치 모델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 마크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에 랜드 마크를 표시하며, 보정한 작업치 모델에 따라 상기 측면 방향 단면, 상기 작업치 모델의 치교합면, 및 상기 대합치 모델의 치교합면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장치.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tooth library of a patient including a landmark;
A work tooth model related to a prosthesis is generated with reference to the patient's tooth library, and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antagonist model are occluded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teeth of the antagonist model When the occlusal surface is determined, and a user receives a movement command of a landmark selected from among the landmarks displayed on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 processor for moving a position of a corresponding landmark and correcting the work value mode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d landmark; And
The screen is divided to display the lateral cross 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tooth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nd include the cross s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work tooth model. Marks the landmarks on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working value models according to horizontal positions of the landmarks included in the working value model, and display the landmarks in the antagonistic models. A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antagonist model included in the later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and a landmark is display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landmark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 output unit for correcting and displaying the lateral cross-secti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work surface model, and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ntagonist model according to the corrected working value model
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는,
구치부 치아의 교두정(Cusp Tip), 교합점(Occlusal Point)과 중심구(Groove 또는 Fissure), 변연융선(Marginal Ridge)과 전치부 치아의 절단연(Incisal Edge)과 교합점(Occlusal Point), 변연융선(Marginal Rid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합 관계 구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andmark is,
Cusp Tip, Occlusal Point and Center (Groove or Fissure), Marginal Ridge, and Ancisal Edge and Occlusal Point of Marginal Teeth Marginal Ridge)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합치 모델에 포함된 랜드마크 정보에서 대합치의 포사(fossa)와 커스프(cusp)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치아 라이브러리에서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와 커스프 및 변연 융선(Marginal ridge)의 위치를 식별하며, 상기 대합치의 포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커스프 및 변연 융선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대합치의 커스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치 모델의 포사의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하는 교합 관계 구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or,
Identify the location of fossa and cusp of the antagonist from the land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ntagonist model, and the fossa, cusp and marginal ridge of the working model in the tooth library. Determine the location and height of the cusp and marginal ridges of the working tooth model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ossa of the antagonist, and determine the location and height of the cusps of the working model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usp of the antagonist. Occlusal relationship implementation device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and heigh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Occlusal) 방향, 또는 치경부(Cervical) 방향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명령이 교합 방향, 또는 치경부 방향인 경우, 상기 랜드 마크를 이동하지 않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랜드 마크의 이동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는 교합 관계 구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or,
Check whether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or cervical direction, and if the movement command of the landmark is in the occlusal or cervical direction, do not move the landmark;
The output unit,
An occlusion relationship implementing device that outputs a non-moveable message of the landmark.
KR1020180072913A 2018-06-25 2018-06-25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KR1020332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913A KR102033250B1 (en) 2018-06-25 2018-06-25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913A KR102033250B1 (en) 2018-06-25 2018-06-25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250B1 true KR102033250B1 (en) 2019-10-16

Family

ID=6842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913A KR102033250B1 (en) 2018-06-25 2018-06-25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25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7478A1 (en) * 2006-08-30 2008-03-06 Anatomage Inc. Patient-specific three-dimensional dentition model
JP5204297B2 (en) * 2008-04-29 2013-06-05 マテリアライズ・デンタル・ナ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act of proposed tooth modification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KR101315032B1 (en) * 2012-11-08 2013-10-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plant image
KR101854732B1 (en) * 2016-12-21 2018-05-04 주식회사 디디에스 A prosthetic design system for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prosthetic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060502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디디에스 Data Conversion Device for Processing Dental fixture And Design Method for Dental fixtur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7478A1 (en) * 2006-08-30 2008-03-06 Anatomage Inc. Patient-specific three-dimensional dentition model
JP5204297B2 (en) * 2008-04-29 2013-06-05 マテリアライズ・デンタル・ナ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mpact of proposed tooth modification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KR101315032B1 (en) * 2012-11-08 2013-10-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plant image
KR20180060502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디디에스 Data Conversion Device for Processing Dental fixture And Design Method for Dental fixture using thereof
KR101854732B1 (en) * 2016-12-21 2018-05-04 주식회사 디디에스 A prosthetic design system for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and a prosthetic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356B1 (en) Dental implant planning guide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33249B1 (en) Intelligent Restorative Desig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Prosthesis Using Order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KR1021236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eeth correction image
CN112470233B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a model
KR102086685B1 (en) Dental implant planning method using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object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83619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lanning of orthodontic treatmen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53341B1 (en) Crown digital design method for processing overlapped reg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332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cclusal relationships in prosthodontic design process
KR102019601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sthesis design using software
KR102138920B1 (en) Method for displaying undercut in prosthesis design and prosthetic CAD apparatus therefor
KR102085852B1 (en) M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workpiece consider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with an antagonistic teeth
KR101806889B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for designing dental restoration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39040B1 (en) Method for generating tooth occlusion sectional imag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404189B1 (en) Method for designing prosthetic insertion path and prosthesis design apparatus therefor
KR20220058371A (en)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thereof
KR102372759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Modifying Adjacent Tooth Contact of Prosthesis
KR102418898B1 (en) Method for Modifying Occlusal Surface of Prosthesis and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4710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s Using CT Images
KR102474298B1 (en) Method for designing prosthetic model and apparatus thereof
KR102292188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Tooth Contact Information
KR102361406B1 (en) Virtual Root Merging Method and Apparatus
EP4238531A1 (en)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same
KR1024136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abutment model
KR202000058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ace-Saving Procedure During Tooth Setup Process
KR1024188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Inlay or On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