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189B1 -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 Google Patents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189B1
KR102005189B1 KR1020180050291A KR20180050291A KR102005189B1 KR 102005189 B1 KR102005189 B1 KR 102005189B1 KR 1020180050291 A KR1020180050291 A KR 1020180050291A KR 20180050291 A KR20180050291 A KR 20180050291A KR 102005189 B1 KR102005189 B1 KR 10200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ckness
reinforcing layer
base layer
lamina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수
정성진
김혜진
연제원
김흥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189B1/ko
Priority to CN201810917091.3A priority patent/CN110315822A/zh
Priority to CN201821303284.1U priority patent/CN208906630U/zh
Priority to CN202210385821.6A priority patent/CN11467051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4Extrusion nozzles or die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9/00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 B32B2379/08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 등은, 제1말단과 상기 제1말단과 대향(對向)되게 위치하는 제2말단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1말단과 그 일 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의 기초층; 및 상기 제2말단과 그 일 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의 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말단의 일점(一點)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보다 더 큰 값을 갖는 다각형 형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필름은 유리 등과 접합 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이 우수하면서도 차음성능을 갖는 HUD로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LAMINATE FILM FOR BONDING, MANUD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GHT TRANSMITTING LAYERED PRODUCT COMPRI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앞유리(windshield)로 활용 가능한 광투과 적층체에 대한 것으로, 내충격성, 내관통성이 우수하며, 소음차폐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폴리비닐아세탈은 접합 유리(안전 유리) 또는 광투과 라미네이트의 중간층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건축물의 창, 외장재 등과 자동차 창유리 등에 주로 사용되는데, 파손 시에도 그 파편이 비산하지 않고, 일정한 강도의 타격에도 침투를 허용하지 않는 등의 특징으로 그 내부에 위치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가해지는 손상 또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자동차에는 전방표시장치(HUD, Head Up Display)를 장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시보드 영역이나 루프 영역에서의 프로젝터로 차 앞유리(windshield) 상에 이미지를 투영하면, 이 투영된 이미지가 운전자에 의해 지각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전방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전방의 도로를 주시하면서도 현재 주행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경고 메시지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서, 운전의 편의성과 교통 안전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전방표시장치는 프로젝터 이미지가 차 앞 유리에 투영되므로, 앞 유리의 양 표면(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에 상이 반사되고, 운전자는 원하는 1차 이미지뿐만 아니라, 더 약한 강도로 2차 이미지(ghost image)까지 함께 지각하게 된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한 가지 방법은, 유리 사이의 중간층으로 수직 단면이 쐐기형(wedge-shaped) 것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쐐기형 중간층은 얇은 두께에서 자동차 유리에 요구되는 충분한 내 충격성, 내 관통성 성능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소음차폐와 같은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등록번호 제 10-1310022 호, 음향을 감소시키는 쐐기형 폴리머 중간층들 국내공개번호 제 10-2017-0131238 호,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내관통성이 우수한 쐐기형 다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차폐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다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은 제1말단과 상기 제1말단과 대향(對向)되게 위치하는 제2말단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1말단과 그 일 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의 기초층; 및 상기 제2말단과 그 일 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의 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말단의 일점(一點)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보다 더 큰 값을 갖는 다각형 형상인 것이다.
상기 강화층은 제1강화층과 제2강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강화층은, 상기 제2말단과 일 면을 공유하며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인 강화층용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2강화층은, 상기 기초층과 상기 제1강화층의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불균일하게 혼합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강화층용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은 상기 기초층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차음기능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제1말단, 일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는 제1면, 상기 제2말단, 및 일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는 제2면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2말단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θ2)는 1 내지 4 mrad 일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제1말단, 일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는 제1면, 상기 제2말단, 및 일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는 제2면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1말단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0.5 내지 0.8 mrad 일 수 있다.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에서 상기 제2강화층의 일면에 해당하는 부분인 보정영역(P)은 표면 조도가 3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강화층이 접하고 있는 상기 제2말단의 일점(一點)과 상기 제2말단과 가장 먼 위치에 잇는 상기 강화층의 일점 사이의 거리인 강화층의 높이(H500)는 1 내지 250 mm일 수 있다.
상기 제2말단의 두께는 0.38 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2말단의 두께보다 0.2 mm 이상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초층압출구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 그리고 강화층압출구에서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압출단계; 그리고 상기 공압출된 기초층형성용 조성물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이 공급부(feed block)로 이동되고, 압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1말단과 제2말단을 가지며 상기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그 일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기초층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2말단과 그 일면을 공유하고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갖는 강화층을 포함하는 접합용 적층필름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상기 제1말단의 일점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이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보다 더 큰 값을 갖는 다각형 형상이다.
상기 공압출단계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4 내지 76 중량%와 가소제 24 내지 46 중량%를 포함하는 기능층형성용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상기 기초층의 내부에 기능층을 더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적층체는, 제1광투과층;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위에서 설명한 접합용 적층필름; 및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는 내충격성과 내관통성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얇은 두께로 차음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을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는 프로젝터를 이용한 표시정보 투영 시에도 이중이미지를 형성하지 않아 전방표시장치 시스템에도 그 활용도가 크다.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공압출 방식으로 그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인 접합용 적층필름을 제조하여, 비대칭적인 특정 단면 형태를 갖는 적층 구조의 필름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의 단면 모습과 전방표시정치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용 적층필름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용 적층필름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의 단면 모습과 전방표시정치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용 적층필름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용 적층필름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a: 강화층의 높이, b는 각도를 설명).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내관통성 평가와 내충격성 평가를 할 때 구분한 각 구역을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거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단면이 웨지 형태의 접합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접합 필름의 두께가 얇아지는 구간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접합 필름을 적층 유리에 적용하는 경우 이렇게 두께가 얇은 구간의 내충격성이나 내관통성과 같은 강화 유리의 안정성과 관련된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이종 레진을 특정한 구조로 적용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70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700)의 단면 모습과 전방표시정치 시스템(900)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6과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제1말단(120)과 상기 제1말단과 대향(對向)되게 위치하는 제2말단(140)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i) 상기 제1말단(120)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기초층(300); 및 ii) 상기 제2말단(140)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갖는 강화층(500);을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T140)보다 두꺼운 것으로, 상기 제1말단의 일점(一點)(A)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B)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각형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또는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며 그 밑면(밑면과 윗면) 아닌 면 중 한 면의 일부에 꺽임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120)이 상기 제2말단(140)과 비교하여 그 두께가 더 두꺼운, 전체적으로 쐐기형태(wedge-shaped)를 갖는다(도 5 참조).
상기 적층필름(100) 단면의 형상은 상기 제1말단(120)에서 두께에 해당하는 선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기초층(300)의 단면과 상기 제2말단(140)에서 두께에 해당하는 선을 꼭지점 또는 윗면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강화층(500)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의 단면 중 밑면은 상기 기초층(300)의 단면 중 윗면과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은, 상기 제2말단(140)과 일 면을 공유하며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인 강화층용 수지를 함유하는 제1강화층(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6의 (a) 참고).
또한, 상기 강화층(500)은, 상기 제2말단(140)과 일 면을 공유하며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인 강화층용 수지를 함유하는 제1강화층(520) 및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제1강화층(5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강화층용 수지가 불균일하게 혼합된 제2강화층(540);을 포함할 수 있다(도 6의 (b) 참고).
상기 제2강화층(540)의 단면 중 밑면은 상기 기초층(300)의 단면 중 윗면과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강화층(520)의 단면 중 밑면은 상기 제2강화층(540)의 단면 중 윗면과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기능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층(300)은 제1기초층(320) 상기 제1기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기능층(400) 및 상기 기능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2기초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으로는, 구체적으로 차음기능층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다른 기능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쉐이드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의 일점(A)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B)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이,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T140)보다 두꺼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의 단면의 형상은, 기초층(300)의 단면인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밑면의 길이가 강화층(500)의 단면인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밑면의 길이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말단(120)에서 i) 상기 기능층(400)과 ii)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은 1 : 3 내지 10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말단(120)에서 상기 기능층(400)과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은 1 : 4 내지 8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능층(400)이 갖는 차음특성 등의 기능성 특성과 상기 기초층(300)이 갖는 접합력 등 접합용 적층필름에 요구되는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에 유리하다.
상기 적층필름(100) 단면의 형상은 제1말단(120), 일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는 제1면(110), 상기 제2말단(140), 및 일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는 제2면(130)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2말단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제2말단에서의 각도, θ2)는 1 내지 4 mrad일 수 있고, 2 내지 3 mrad일 수 있으며 1.8 내지 2.2 mrad 또는 2.65 내지 2.99 mrad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100) 단면의 형상은 제1말단(120), 일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는 제1면(110), 상기 제2말단(140), 및 일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는 제2면(130)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1말단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제1말단에서의 각도, θ1)는 0.5 내지 0.8 mrad일 수 있고, 0.6 내지 0.7 mrad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는, 최소한의 고분자 수지를 적용하면서 상기 적층필름이 충분한 기계적인 강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이러한 각도를 갖게 되는 경우, 제1면 또는 제2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제1말단에서의 각도로 이어지는 선과 상기 제2말단에서의 각도로 이어지는 선이 만나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꺽이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분은 상기 적층필름(100)을 한 쌍의 유리와 접합 시 기포가 잔존하기 쉬우며 이는 접합유리의 불량을 야기하기 쉽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통상 상기 제2강화층(540)의 일면에 해당하는 위에서 설명한 "꺽이는 부분"에 강한 조도의 표면을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면(110) 또는 상기 제2면(130) 중에서 상기 제2강화층의 일면에 해당하는 부분인 보정영역(P)은 표면 조도가 30 내지 90 ㎛일 수 있고, 40 내지 80 ㎛일 수 있으며, 46 내지 70 ㎛일 수 있고, 50 내지 60 ㎛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보정영역(P)이 비교적 높은 표면조도를 갖는 경우, 유리 접합 과정에서 상기 "꺽이는 부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포 잔존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유리와의 접합 특성이 우수한 적층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이 접하고 있는 상기 제2말단(140)의 일점(一點)과 상기 제2말단(140)과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상기 강화층(500)의 일점 사이의 거리인 강화층의 높이(H500)는 1 내지 250 mm일 수 있고, 10 내지 200 mm일 수 있으며, 20 내지 180 mm일 수 있고, 100 내지 160 mm일 수 있다. 가장 좋게는 상기 강화층의 높이(H500)는 105 내지 145 mm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강화층에 의하여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의 얇은 부분까지도 충분한 내관통성과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강화층과 기초층에 적용되는 고분자 수지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유리면의 미세하게 다른 광투과 특성이 시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이 제1강화층(520)과 제2강화층(540)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높이인 H500은 H520과 H540의 합과 같거나 더 큰 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H520은 1 내지 250 mm일 수 있고, 10 내지 180 mm일 수 있으며, 20 내지 140 mm일 수 있고, 100 내지 130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H540은 0 내지 25 mm일 수 있고, 1 내지 20 mm일 수 있으며, 3 내지 16 mm 일 수 있고, 5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H540 값을 갖는 경우 비교적 꺽이는 부분이 유리와의 접합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는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보다 0.2 mm 이상 두꺼운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2 내지 0.8 mm 더 두꺼운 것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3 내지 0.6 mm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빛의 형태로 투영되는 표시정보가 이중으로 보이지 않는 효과를 가져서 HUD 적용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는 0.38 mm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는 0.1 mm 이상 0.38 mm 미만의 범위일 수 있고, 0.1 내지 0.36 mm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충분한 내충경성, 내관통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이렇게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는 0.95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는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는 0.1 내지 0.85 mm일 수 있고, 0.1 내지 0.75 mm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충분한 내충경성, 내관통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이렇게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성 특성은 상기 규정에 의거하여 접합유리로 제조한 후 평가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그 두께가 0.65 mm 이하인 부분에서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관통성 특성은 상기 규정에 의거하여 접합유리로 제조한 후 평가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그 두께가 0.65 mm 이하인 부분에서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60 내지 76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70 내지 7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층필름(100)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강도와 모듈러스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 함유량이 2 몰% 미만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2 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에 적용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수산기 함유량이 30 몰% 이상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내지 50 몰%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기초층(300)이 유리 등의 기재와 우수하게 접합되면서도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600 내지 3,0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고, 중합도가 1,700 내지 2,5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적용하는 경우 내관통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과 알데하이드를 합성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알데하이드는 그 종류를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데하이드는, n-부틸 알데하이드, 이소부틸 알데하이드, n-배럴 알데하이드, 2-에틸 부틸 알데하이드, n-헥실 알데하이드 및 이들의 블랜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데하이드로 n-부틸 알데하이드를 적용하는 경우 제조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유리의 굴절율과 그 차이가 적은 굴절율 특성을 갖고 유리 등과의 접합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상기 기초층(300)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가소제를 24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24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접합용 적층필름에 적절한 접합력과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면에서 좋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층(400)이 상기 기초층(30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에서의 가소제의 함량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헥사노에이트(3G8),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4G7),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부티레이트(3GH),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헵타노에이트(3G7), 디부톡시에톡시에틸 아디페이트(DBEA), 부틸 카르비톨 아디페이트(DBEEA), 디부틸 세바케이트(DBS), 비스 2-헥실 아디페이트(DH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 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n-헵타노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헥사노에이트(3G8)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시차주사열량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25 ℃인 특징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17 내지 20 ℃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상기 기초층(300)은 실온에서 우수한 차음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54 내지 76 중량% 포함할 수 있고, 60 내지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아세틸기 함유량이 8 몰% 이상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8 내지 30 몰%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중합도가 1,200 내지 3,0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고, 중합도가 1,600 내지 2,4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특성과 가소제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은 가소제 24 내지 46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30 내지 4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의 범위로 상기 가소제를 상기 기능층(400)에 포함하는 경우 적층필름의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의 기초층(300)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특히 상기 기능층(400)은 시사주사열량측정법에 의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을 때 영하 15 ℃ 내지 영상 10 ℃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온에서도 높은 차음성능을 가질 수 있으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차음 성능을 갖는 특성을 접합용 적층필름(100)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상기 기능층(400)을 상기 기초층(300)의 일면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상기 기능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이 상기 기능층(4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초층(300)은 제1기초층(320)과 제2기초층(340)의 사이에 상기 기능층(400)이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의 두께는 제1기초층(320)의 두께와 제2기초층(340)의 두께의 합으로 계산한다. 이렇게 상기 기능층(400)이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시 제조 공정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은,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는 올레핀계 반복단위와 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주합체로, 산성 작용기에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성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이어노머는 올레핀계 아이오노머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탄소수 2 내지 4의 알파 올레핀으로 유도된 반복단위와 탄소수 3 내지 6의 알파,베타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반복단위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는 상기 산성 작용기를 갖는 측쇄에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이온성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는 상기 올레핀계 반복단위를 2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20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4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40 내지 7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계 반복단위는 5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5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25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으로는, 1가, 2가 또는 3가 금속 이온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Na+, K+, Li+, Cs+, Ag+, Hg+, Cu+, Be2+, Mg2+, Ca2+, Sr2+, Ba2+, Cu2+, Cd2+, Hg2+, Pb2+, Fe2+, Co2+, Ni2+, Zn2+, Al2+, Sc3+, Fe3+, Al3+ 및 Yt3+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이온으로는 Mg2+, Na+ 및 Zn2+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이오노머는 탄소수 2 내지 4의 에틸렌계 반복단위와 탄소수 3 내지 6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반복단위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산성 측쇄를 5 몰% 이상 포함하고, 상기 산성 측쇄가 상기 금속이온과 결합가능한 이온성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화도가 0% 내지 80%인 것일 수 있고, 10% 내지 70%인 것이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6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공중합 수지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글리콜 성분으로써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이 공중합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방향족 디안하이드라이드와 방향족 디아민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용액중합하여 폴리아믹산 유도체를 제조한 후 이미드화하여 제조되는 수지로, 구체적으로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이무수물을 포함하는 방향족 산 이무수물과 파라-페닐렌 디아민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합성한 폴리아믹산 수지를 이미드화 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폴리비닐아세틸 수지와 함께 별도의 층으로 이종 레진을 특정한 형상을 갖도록 적용하여 유리 등의 재료와의 접합력 등도 유지하면서 기계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두께는 더욱 얇게 구현 가능한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HUD로 적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기존과 동등 이상의 차음 성능을 가질 수 있어서, 접합유리와 같은 광투과 적층체의 제조에 적용 시 차음성, 내충격성, 내관통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당히 얇은 두께에도 상당한 기계적인 강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접합유리에 적용시 유리의 두께 자체를 얇게 적용할 수 있고, 접합유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초층압출구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 그리고 강화층압출구에서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압출단계; 그리고 상기 공압출된 기초층형성용 조성물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이 공급부(feed block)로 이동되고, 압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1말단(120)과 제2말단(140)을 가지며 상기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그 일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기초층(300)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2말단과 그 일면을 공유하고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갖는 강화층(500)을 포함하는 접합용 적층필름(100)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의 일점(A)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B)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의 형상이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T140)보다 두꺼운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공압출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하여 기초층(300)과 강화층(500)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100)을 효율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하다.
상기 공압출단계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4 내지 76 중량%와 가소제 24 내지 46 중량%를 포함하는 기능층형성용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기능층(400)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초층형성용 조성물, 상기 기능층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은 각각 위에서 설명한 기초층의 조성, 기능층의 조성. 및 강화층에 포함되는 성분의 조성 또는 이들 각각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용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된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위에서 설명한 두께, 단면의 형상, 각 층의 제1말단과 제2말단에서의 두께의 비율 등을 가지며,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70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투과 적층체(700)의 단면 모습과 전방표시정치 시스템(900)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과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제1말단(120)과 상기 제1말단과 대향(對向)되게 위치하는 제2말단(140)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i) 상기 제1말단(120)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기초층(300); 및 ii) 상기 제2말단(140)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강화층(500);을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T140)보다 두꺼운 것으로, 상기 제1말단의 일점(一點)(A)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B)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120)이 상기 제2말단(140)과 비교하여 그 두께가 더 두꺼운, 전체적으로 쐐기형태(wedge-shaped)를 갖는다(도 2 참조).
상기 적층필름(100) 단면의 형상은 상기 제1말단(120)에서 두께에 해당하는 선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기초층(300)의 단면과 상기 제2말단(140)에서 두께에 해당하는 선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강화층(500)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의 단면 중 밑면을 제외한 일면은 상기 기초층(300)의 단면 중 밑면을 제외한 일면과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의 단면 중 밑면을 제외한 일면은 상기 기초층(300)의 단면 중 밑면을 제외한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의 단면 중 밑면을 제외한 일면과 상기 기초층(300)의 단면사이 중 밑면을 제외한 일면 사이에는 다른 기능성층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쉐이드밴드층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은 그 내부에 또는 상기 강화층(500)과 상기 기초층(300)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기능층(400)은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강화층(500)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은 상기 기초층(300)의 외면과 그 일면을 공유하며 상기 강화층(500)의 일면과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층(400)으로는, 구체적으로 차음기능층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말단(120)에서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강화층(500)은 10 : 0 내지 2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말단(120)에서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강화층(500)은 10 : 0 내지 1.3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강화층(500)은 10 : 0.1 내지 1.3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말단(120)에서 상기 강화층의 두께(T500)가 상기 기초층 두께(T300) 10을 기준으로 0이라는 의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말단(120)의 두께 면에서 상기 강화층(50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면(A-B 따라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강화층(500)이 제2말단(140)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고, 상기 제1말단(120)에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져서 상기 제2말단(140)에 접하는 강화층(500)을 밑면으로 하고 상기 제1말단(120)에 접하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의 말단을 강화층(500)의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말단(120)에서 상기 강화층의 두께(T500)가 상기 기초층 두께(T300) 10을 기준으로 0이 아니라는 의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 면에서 상기 강화층(500)이 일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면(A-B 따라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강화층(500)이 제2말단(140)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고, 상기 제1말단(120)에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져서 상기 제2말단(140)에 접하는 강화층(500)을 밑면으로 하고 상기 제1말단(120)에 접하는 강화층(500)을 윗면으로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말단(140)에서 상기 강화층(500)과 상기 기초층(300)은 10 : 0 내지 4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말단(140)에서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강화층(500)은 10 : 0 내지 3.3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말단(140)에서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강화층(500)은 10 : 0 내지 2.5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10 : 0.1 내지 2.5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말단(140)에서 상기 기초층의 두께가(T300) 상기 강화층 두께(T500) 10을 기준으로 0이라는 의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 면에서 상기 기초층(30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면(A-B 따라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초층(300)이 제1말단(120)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고, 상기 제2말단(140)에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져서 상기 제1말단(120)에 접하는 기초층(300)을 밑면으로 하고 상기 제2말단(140)에 접하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의 말단을 기초층(300)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말단(140)에서 상기 기초층의 두께(T300)가 상기 강화층 두께(T500) 10을 기준으로 0이 아니라는 의미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 면에서 상기 기초층(300)이 일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단면(A-B 따라 절단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초층(300)이 제1말단(120)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고, 상기 제2말단(140)에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져서 상기 제1말단(120)에 접하는 기초층(300)을 밑면으로 하고 상기 제2말단(140)에 접하는 기초층(300)을 윗면으로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의 일점(A)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B)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이,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T140)보다 두꺼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층필름의 단면의 형상은, 기초층(300)의 단면인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밑면의 길이가 강화층(500)의 단면인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밑면의 길이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말단(120)에서 i) 상기 기능층(400)과 ii)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은 1 : 3 내지 10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말단(120)에서 상기 기능층(400)과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은 1 : 4 내지 8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능층(400)이 갖는 차음특성 등의 기능성 특성과 상기 기초층(300)이 갖는 접합력 등 접합용 적층필름에 요구되는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에 유리하다.
상기 제2말단(140)에서 i) 상기 기능층(400)과 ii)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은 1 : 0.1 내지 2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말단(140)에서 상기 기능층(400)과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은 1 : 0.3 내지 1.5의 두께 비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상기 기능층(400)을 상기 기초층(30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성과 함께 기초층(300)에 요구되는 접합력 등 접합용 적층필름의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기능층(400) 1을 기준으로 상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의 두께가 2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차음 특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0.1 미만인 경우에는 기계적인 특성이나 유리 등의 기재와의 접합력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는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보다 0.2 mm 이상 두꺼운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2 내지 0.8 mm 더 두꺼운 것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0.3 내지 0.6 mm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빛의 형태로 투영되는 표시정보가 이중으로 보이지 않는 효과를 가져서 HUD 적용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는 0.38 mm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말단의 두께(T140)는 0.1 mm 이상 0.38 mm 미만의 범위일 수 있고, 0.1 내지 0.36 mm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충분한 내충경성, 내관통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이렇게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는 0.95 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는 상기 제1말단의 두께(T120)는 0.1 내지 0.85 mm일 수 있고, 0.1 내지 0.75 mm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충분한 내충경성, 내관통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이렇게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내충격성 특성은 상기 규정에 의거하여 접합유리로 제조한 후 평가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그 두께가 0.65 mm 이하인 부분에서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관통성 특성은 상기 규정에 의거하여 접합유리로 제조한 후 평가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그 두께가 0.65 mm 이하인 부분에서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의 조성, 각 성분들의 특징, 기초층의 특징 등에 대해서는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기능층(400)의 조성, 각 성분들의 특징, 기능층의 특징 등에 대해서는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기초층(300)은 상기 기능층(400)을 상기 기초층(300)의 일면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상기 기능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층(300)이 상기 기능층(400)의 일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능층(400)은 상기 기초층(300)과 상기 강화층(5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적층필름(100)의 접합력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도 3 참고).
상기 기초층(300)이 상기 기능층(4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기초층(300)은 제1기초층(320)과 제2기초층(340)의 사이에 상기 기능층(400)이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능층(400)을 제외한 기초층(300)의 두께는 제1기초층(320)의 두께와 제2기초층(340)의 두께의 합으로 계산한다. 이렇게 상기 기능층(400)이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공압출 방식으로 제조시 제조 공정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강화층(500)은,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오노머,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폴리비닐아세틸 수지와 함께 별도의 층으로 이종 레진을 특정한 형상을 갖도록 적용하여 유리 등의 재료와의 접합력 등도 유지하면서 기계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두께는 더욱 얇게 구현 가능한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HUD로 적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기존과 동등 이상의 차음 성능을 가질 수 있어서, 접합유리와 같은 광투과 적층체의 제조에 적용 시 차음성, 내충격성, 내관통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당히 얇은 두께에도 상당한 기계적인 강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접합유리에 적용시 유리의 두께 자체를 얇게 적용할 수 있고, 접합유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초층압출구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 그리고 강화층압출구에서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압출단계; 그리고 상기 공압출된 기초층형성용 조성물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이 공급부(feed block)로 이동되고, 압출 진행 방향(제조되는 접합용 적층필름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1말단(120)과 제2말단(140)을 가지며 상기 기초층형성용 조성물로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기초층(300)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로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강화층(500)을 포함하는 접합용 적층필름(100)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제1말단의 일점(A)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B)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의 형상이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T120)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T140)보다 두꺼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공압출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하여 기초층(300)과 강화층(500)을 갖는 접합용 적층필름(100)을 효율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하다.
상기 공압출단계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4 내지 76 중량%와 가소제 24 내지 46 중량%를 포함하는 기능층형성용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또는 상기 강화층(500)과 상기 기초층(300) 사이에 기능층(400)을 더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상기 기초층(300)의 내부에 또는 상기 강화층(500)과 상기 기초층(300)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층(40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초층형성용 조성물, 상기 기능층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은 각각 위에서 설명한 기초층의 조성, 기능층의 조성. 및 강화층에 포함되는 성분의 조성 또는 이들 각각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용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된 접합용 적층필름(100)은, 위에서 설명한 두께, 단면의 형상, 각 층의 제1말단과 제2말단에서의 두께의 비율 등을 가지며,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광투과 적층체(700)는, 제1광투과층(200);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100); 및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6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투과층(200)과 상기 제2광투과층(600)은 각각 독립적으로 광투과성 유리, 또는 광투과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는, 제1광투과층(200)과 제2광투과층(600)이 갖는 광투과 특성은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에 의하여 양측의 광투과층이 접합되고 내충격성, 내관통성과 같은 안전유리 등에 필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는 그 내부에 포함되는 접합용 적층필름(100)의 특성에 따라 안전유리로 적용하기에 적절한 물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HUD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800) 등으로 송출하는 표시정보가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에 투영되었을 때, 그 두께나 반사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2차이미지 형성이 없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는 차음특성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자동차의 유리(윈드실드 포함), 건축물 소재 등으로 적용 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표시장치 시스템(900)은, 위에서 설명한 광투과 적층체(700), 및 프로젝터(800)를 포함한다(도 2, 도 5 참고).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등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는, 자동차 등 이동수단의 앞유리나,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할 때 시야 내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표시장치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적층체(700)는, 프로젝트(800)에 의하여 송출되는 이미지를 투영하여 고스트 이미지가 발생하지 않는 일 차원의 이미지로 표시하며, 이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전방표시장치의 표시장치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들은 아래와 같다.
제1폴리비닐부틸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중합도 1700, 수산기 함량 45 몰%, 아세틸기 함량 1 몰%
제2폴리비닐부틸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중합도 2400, 수산기 함량 20 몰%, 아세틸기 함량 11 몰%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 2-에틸렌헥사노에이트(3G8)(입수처: PROVIRON사 PROVIST 1766)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릭산)염(입수처: SK이노베이션)
1) 실험예 1
실시예
기초층은 제1폴리비닐부틸알 수지 73 중량%와 가소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하고, 기능층은 제2폴리비닐부틸알 수지 65 중량%와 가소제 35 중량%를 포함하는 기능층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하며, 강화층은 아이오노머 100 중량%를 포함하는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하여, 각각 압출구를 통해 공압출되고 기초층, 기능층, 그리고 강화층의 세 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세 층은 각각 피트블록으로 이동되어 만나며 도 3의 구조와 형태를 갖는 실시예의 접합용 적층필름으로 성형되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다른 조건들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되, 실시예의 강화층 대신 실시예의 기초층과 동일한 조성는 비교예의 강화층을 실시예의 강화층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하여, 비교예의 접합용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물성평가
내관통성의 평가
KS L 2007에 의거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접합용 적층필름을 접합된 접합 유리(광투과 적층체)의 내관통성을 평가하였다.
300 mm × 300 mm의 2.1 cm 두께의 유리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합용 적층필름을 유리-접합용 적층필름-유리의 적층구조로 적층체를 제조하고, 진공으로 예비 접합하여 탈기 및 엣지 실링(Edge sealing)하였다. 이후, 고압 멸균기(autoclave)를 이용하여 150 ℃에서 2 시간 동안 본 접합을 진행하여 물성평가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기 물성평가용 샘플은 20 ℃에서 도 8에 표시된 각 구역의 위치에 2.27 kg의 강구를 낙구 시켜, 시편이 관통이 되는 높이(MBH)를 측정하였다. 이때 높이 4 m 미만에서 관통되었을 때에는 fail로, 4 m 이상에서 관통되었을 때에는 pass로 표기하였다.
내충격성의 평가
KS L 2007:2008에 의거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접합용 적층필름을 접합된 접합 유리(광투과 적층체)의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적층체는 적층필름을 유리- 접합용 적층필름- 유리의 적층구조로 위의 내관통성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평가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저온 평가는, 227 g의 강구를 영하 20 ℃에서 4 시간 보관 후 9 m 높이에서 도 8에 표시된 각 구역의 위치에 낙하시키고, 충격을 받은 시편이 깨져서 유리가 비산되거나 시트에서 떨어지는 유리의 양이 15 g 이상인 경우 fail로, 충격을 받은 시편이 깨지지 않거나 유리가 비산되어 시트에서 떨어지는 유리의 양이 15 g 미만인 경우 pass로 표기하였다.
상온평가는, 227 g의 강구를 40 ℃에서 4 시간 동안 보관한 후 10 m 높이에서 도 8에 표시된 각 구역의 위치에 낙하시키고, 충격을 받은 시편이 깨져서 유리가 비산되거나 시트에서 떨어지는 유리의 양이 15 g 이상인 경우 fail로, 충격을 받은 시편이 깨지지 않거나 유리가 비산되어 시트에서 떨어지는 유리의 양이 15 g 미만인 경우 pass로 표기하였다.
차음성의 평가
300 mm × 25 mm의 2.1 cm 두께 유리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합용 적층필름을 각각을 2.1T 유리- 접합용 적층필름 - 2.1T 유리의 적층구조로 라미네이터에서 130 ℃의 온도로 15 분간 가열·가압을 통해 접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0 ℃, 20 ℃ 또는 30 ℃ 항온 챔버에서 각각 1시간 에이징(aging)시켰다.
상기 시편을 댐핑 시험용 진동 발생기에 의해 가진하고, 얻어지는 진동 특성을 기계 임피던스 앰프에 증폭하고 얻어진 진동 스펙트럼을 FFT(fast Fourier transform) 스펙트럼 분석기로 분석하여 그래프를 그렸다. 상기 도출한 그래프를 1dB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2,000 내지 4,000 Hz 부근에서의 손실계수(Loss factor)를 산출하였다.
손실 계수가 높을수록 차음 성능이 우수한 것이며 통상의 차음 필름은 20 ℃에서 0.35의 손실계수를 갖는다. 평가 결과, 0손실계수가 0.35 이상인 경우는 pass로 0.35 미만인 경우에는 fall로 표시했다.
이중이미지 유무 평가
위의 내관통성 테스터와 동일하게 제조한 접합 유리(광투과 적층체)를 윈드쉴드로 자동차 앞 유리에 위치시키고 하부에 프로젝터를 설치한 후 상기 접합 유리에 표시정보를 투영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보를 표시시킨 후, 육안으로 이중 이미지 유무를 평가했고, 이중 이미지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pass, 이중 이미지가 확인된 경우는 fail로 평가했다.
평균두께 평가
제막 내의 두께 프로파일(X-Ray)을 통해서 실시간 두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확인한 후 이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기포발생여부
유리 접합 시편을 제조하고, 보정영역을 포함하는 면적 전체적으로 접합된 유리에 기포가 잔존하는지를 평가하였고, 기포가 잔존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 기포가 잔존하나 기포의 최대 지름이 50 um 이하인 경우에는 △, 그리고 기포가 존재하며 그 최대 지름이 50 um 초과인 경우에는 X로 평가했다.
또한, 130 ℃에서 2 시간 동안 시편을 방치한 후 접합유리에 기포 잔존 유무를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했다.
물성평가 결과
비교예와 실시예 샘플을 이용하여 위의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역
적층필름
평균두께
내충격성
(저온)
내충격성
(상온)
내관통성 차음성 이중
이미지
1-1 750 um pass pass pass pass pass
1-2 pass pass pass
1-3 pass pass pass
1-4 pass pass pass
2-1 600 um pass pass pass
2-2 pass pass pass
2-3 pass pass pass
2-4 pass pass pass
3-1 350 um pass pass pass
3-2 pass pass pass
3-3 pass pass pass
3-4 pass pass pass
비교예
구역
적층필름
평균두께
내충격성
(저온)
내충격성
(상온)
내관통성 차음성 이중
이미지
1-1 750 um pass pass pass pass pass
1-2 pass pass pass
1-3 pass pass pass
1-4 pass pass pass
2-1 600 um fail fail fail
2-2 fail pass pass
2-3 fail fail fail
2-4 fail fail fail
3-1 350 um fail fail fail
3-2 fail fail fail
3-3 fail fail fail
3-4 fail fail fail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접합 유리와 비교예의 접합유리는 모두 차음성 평가와 이중 이미지 평가 결과는 우수하나, 내관통성과 내충격성 부분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비교에의 샘플은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인 웨지형태를 갖는 필름의 특성상 그 평균 두께가 600 um와 300 um로 측정된 2-1 내지 2-4, 3-1 내지 3-4 구역에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강화유리 등으로 활용 시에는 그 두께가 얇은 부분에서는 충분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 특성을 갖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반면에, 실시예의 샘플들은 평균 두께가 750 um인 1-1 내지 1-4 구역에서뿐만 아니라 평균 두께가 각각 600 um와 300 um로 측정된 2-1 내지 2-4, 3-1 내지 3-4 구역에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강화층을 적용하여 얇은 두께에서도 충분한 내충격, 내관통 성능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차음성능과 이중이미지 여부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된다.
2) 실험예 2
실시예
기초층은 제1폴리비닐부틸알 수지 73 중량%와 가소제 27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하고, 기능층은 제2폴리비닐부틸알 수지 65 중량%와 가소제 35 중량%를 포함하는 기능층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하며, 강화층은 아이오노머 100 중량%를 포함하는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적용하여, 각각 압출구를 통해 공압출되고 기초층, 기능층, 그리고 강화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세 층은 각각 피트블록으로 이동되어 만나며 도 3의 (b)에 해당하는 구조와 형태를 갖는 실시예의 접합용 적층필름으로 성형되었다. 형성된 접합용 적층필름의 보정영역(P)는 제2강화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40 내지 70 um의 표면조도를 부여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다른 조건들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되, 실시예의 강화층 대신 실시예의 기초층과 동일한 조성는 비교예의 강화층을 실시예의 강화층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하여, 비교예의 접합용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물성평가 결과
물성평가의 방법은 위의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적용했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구역
적층필름
평균두께
내충격성
(저온/상온)
내관통성 기포발생
(접합직후/ 방치후)
차음성 이중
이미지
1-1 750 um pass/ pass pass ○/○ pass pass
1-2 pass/ pass pass
1-3 pass/ pass pass
1-4 pass/ pass pass
2-1 600 um pass/ pass pass
2-2 pass/ pass pass
2-3 pass/ pass pass
2-4 pass/ pass pass
3-1 350 um pass/ pass pass
3-2 pass/ pass pass
3-3 pass/ pass pass
3-4 pass/ pass pass
비교예
구역
적층필름
평균두께
내충격성
(저온/상온)
내관통성 기포발생
(접합직후/ 방치후)
차음성 이중
이미지
1-1 750 um pass/ pass pass ○/○ pass pass
1-2 pass/ pass pass
1-3 pass/ pass pass
1-4 pass/ pass pass
2-1 600 um pass/ pass fail
2-2 pass/ pass pass
2-3 pass/ pass fail
2-4 pass/ pass fail
3-1 350 um pass/ pass fail
3-2 pass/ pass fail
3-3 pass/ pass fail
3-4 pass/ pass fail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접합 유리와 비교예의 접합유리는 모두 차음성 평가와 이중 이미지 평가 결과는 우수하나, 내관통성과 내충격성 부분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비교에의 샘플은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인 웨지형태를 갖는 필름의 특성상 그 평균 두께가 600 um와 300 um로 측정된 2-1 내지 2-4, 3-1 내지 3-4 구역에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강화유리 등으로 활용 시에는 그 두께가 얇은 부분에서는 충분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 특성을 갖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반면에, 실시예의 샘플들은 평균 두께가 750 um인 1-1 내지 1-4 구역에서 뿐만 아니라 평균 두께가 각각 600 um와 300 um로 측정된 2-1 내지 2-4, 3-1 내지 3-4 구역에서 내충격성과 내관통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강화층을 적용하여 얇은 두께에서도 충분한 내충격, 내관통 성능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차음성능과 이중이미지 여부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된다.
이종수지 강화층을 제2말단에 위치시키는 본 발명의 접합용 적층필름은 강화층과 기초층이 접하는 부분에 상기 강화층과 상기 기초층의 두께 증가율 차이에서 기인하는 일종의 "꺽이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부분은 평평한 유리 면과 접할 때 그 사이에 기포 형성이 쉽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꺽이는 부분에 보정영역을 설정하고 표면조도를 높여 상기 꺽임을 보정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리 접합 시에도 기포 형성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점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접합용 적층필름 110: 제1면
120: 제1말단 130: 제2면
140: 제2말단 160: 셰이드밴드
200: 제1광투과층 300: 기초층
320: 제1기초층 340: 제2기초층
400: 기능층 500: 강화층
520: 제1강화층 540: 제2강화층(불균일강화층)
600: 제2광투과층 700: 광투과 적층체
800: 프로젝터 900: 전방표시장치 시스템
A: 제1말단의 일점 B: 제2말단의 일점
T120: 제1말단에서 접합용 적층필름의 두께
(A-B 선으로 자른 단면에서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거리)
T140: 제2말단에서 접합용 적층필름의 두께
(A-B 선으로 자른 단면에서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거리)
T300: 기초층의 두께 T400: 기능층의 두께
T500: 강화층의 두께
H500: 강화층의 높이 H520: 제1강화층의 높이
H540: 제2강화층(불균일강화층)의 높이
P: 보정영역

Claims (14)

  1. 제1말단과 상기 제1말단과 대향(對向)되게 위치하는 제2말단을 갖는 적층필름으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1말단과 그 일 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의 기초층; 및 상기 제2말단과 그 일 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의 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말단의 일점(一點)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보다 더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2말단의 두께는 0.38mm 미만인 다각형 형상인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
  2. 제1항에있어서,
    상기 강화층은 제1강화층과 제2강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강화층은, 상기 제2말단과 일 면을 공유하며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인 강화층용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제2강화층은, 상기 기초층과 상기 제1강화층의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불균일하게 혼합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강화층용 수지를 함유하는, 접합용 적층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은 상기 기초층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능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차음기능성을 갖는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제1말단, 일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는 제1면, 상기 제2말단, 및 일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는 제2면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2말단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θ2)는 1 내지 4 mrad 인, 접합용 적층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은 제1말단, 일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는 제1면, 상기 제2말단, 및 일 말단이 상기 제2말단과 연결되고 타 말단이 상기 제1말단과 연결되는 제2면이 연결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1말단에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0.5 내지 0.8 mrad 인, 접합용 적층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에서 제2강화층의 일면에 해당하는 부분인 보정영역(P)은 표면 조도가 30 내지 90 ㎛인, 접합용 적층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층이 접하고 있는 상기 제2말단의 일점(一點)과 상기 제2말단과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상기 강화층의 일점 사이의 거리인 강화층의 높이(H500)는 1 내지 250 mm인, 접합용 적층필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는 상기 제2말단의 두께보다 0.2 mm 이상 두꺼운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KS L 2007:2008에 의거한 내충격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KS L 2007에 의거한 내관통성 특성을 만족하는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
  12. 기초층압출구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 그리고 강화층압출구에서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압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압출단계; 그리고
    상기 공압출된 기초층형성용 조성물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이 공급부(feed block)로 이동되고, 압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제1말단과 제2말단을 가지며 상기 기초층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그 일면을 공유하며 상기 제1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를 갖는 기초층과 강화층형성용 조성물을 함유하며 상기 제2말단과 그 일면을 공유하고 상기 제2말단과 가까울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형태를 갖는 강화층을 포함하는 접합용 적층필름을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상기 제1말단의 일점과 상기 제2말단의 일점을 서로 연결한 직선을 따라 절단된 적층필름 단면의 형상이 상기 제1말단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2말단에서의 두께보다 더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2말단의 두께는 0.38mm 미만인 다각형 형상인, 접합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출단계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4 내지 76 중량%와 가소제 24 내지 46 중량%를 포함하는 기능층형성용 조성물을 공압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은 상기 기초층의 내부에 기능층을 더 형성하는 것인, 접합용 적층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광투과층; 상기 제1광투과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항에 따른 접합용 적층필름; 및 상기 접합용 적층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광투과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0180050291A 2018-03-30 2018-04-30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00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291A KR102005189B1 (ko) 2018-04-30 2018-04-30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201810917091.3A CN110315822A (zh) 2018-03-30 2018-08-13 接合用层压膜及包含该接合用层压膜的透光层压体
CN201821303284.1U CN208906630U (zh) 2018-03-30 2018-08-13 接合用层压膜及包含该接合用层压膜的透光层压体
CN202210385821.6A CN114670518B (zh) 2018-03-30 2018-08-13 接合用层压膜及透光层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291A KR102005189B1 (ko) 2018-04-30 2018-04-30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189B1 true KR102005189B1 (ko) 2019-07-29

Family

ID=674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91A KR102005189B1 (ko) 2018-03-30 2018-04-30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1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18B1 (ko) * 2019-11-13 2021-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231719B1 (ko) * 2019-11-13 2021-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252498B1 (ko) * 2020-10-05 2021-05-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티오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필름, 티오우레탄층 제조용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4379178A (zh) * 2020-10-05 2022-04-22 Skc株式会社 玻璃接合用薄膜、薄膜的制备方法以及透光层叠体
US11548262B2 (en) 2019-08-09 2023-01-10 Skc Co., Ltd. Bonding film, and light-transmitting laminate includ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291A (ko) * 2005-12-26 2007-06-2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적층 유리
KR101310022B1 (ko) 2005-03-17 2013-09-24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음향을 감소시키는 쐐기형 폴리머 중간층들
KR20170131238A (ko) 2016-05-19 2017-11-29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22B1 (ko) 2005-03-17 2013-09-24 솔루티아 인코포레이티드 음향을 감소시키는 쐐기형 폴리머 중간층들
KR20070068291A (ko) * 2005-12-26 2007-06-2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적층 유리
KR20170131238A (ko) 2016-05-19 2017-11-29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8262B2 (en) 2019-08-09 2023-01-10 Skc Co., Ltd. Bonding film, and light-transmitting laminate including same
KR102231718B1 (ko) * 2019-11-13 2021-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231719B1 (ko) * 2019-11-13 2021-03-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WO2021096085A1 (ko) * 2019-11-13 2021-05-2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적층체
KR102252498B1 (ko) * 2020-10-05 2021-05-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티오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필름, 티오우레탄층 제조용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4379178A (zh) * 2020-10-05 2022-04-22 Skc株式会社 玻璃接合用薄膜、薄膜的制备方法以及透光层叠体
US11434336B2 (en) 2020-10-05 2022-09-06 Skc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comprising thiourethane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670B1 (ko)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005189B1 (ko) 접합용 적층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US10406785B2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22615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9427932B2 (en)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22095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1078314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029916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1924555B1 (ko) 다층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US11130316B2 (en) Laminated glass
JP201300161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6731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14670518B (zh) 接合用层压膜及透光层压体
KR102005673B1 (ko) 유리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KR102050665B1 (ko) 유리접합용 필름, 유리접합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JP2013001595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005190B1 (ko) 다층차음필름,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7936B1 (ko) 유리접합용 필름, 유리접합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KR102005672B1 (ko) 다층차음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KR102153239B1 (ko) 유리접합용 필름, 유리접합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KR102223185B1 (ko)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1532340B1 (ko) 합지 유리용 필름
JP628600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8108928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