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261B1 -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 Google Patents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261B1
KR101994261B1 KR1020120144744A KR20120144744A KR101994261B1 KR 101994261 B1 KR101994261 B1 KR 101994261B1 KR 1020120144744 A KR1020120144744 A KR 1020120144744A KR 20120144744 A KR20120144744 A KR 20120144744A KR 101994261 B1 KR101994261 B1 KR 10199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ionic liquid
metal oxide
porous metal
sila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325A (ko
Inventor
김상미
이현철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61B1/ko
Priority to US14/421,055 priority patent/US9768469B2/en
Priority to EP13862533.0A priority patent/EP2933867B1/en
Priority to PCT/KR2013/008738 priority patent/WO2014092312A1/ko
Priority to JP2015547833A priority patent/JP6319852B2/ja
Publication of KR2014007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25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를 다공성 금속 산화물에 효과적으로 내재화하여 이온성 액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내에 이온성 액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Si(R1)x(OR2)y(CR3=CR4R5)(4-x-y)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0≤x≤3의 정수이고,
1≤y≤4의 정수이며,
2≤x+y≤4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 containing ionic liquid}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 EDLC) 또는 리튬이차전지 (Lithium secondary battery) 에 적용되는 고체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 유연성(Flexibility) 있는 겔형(gel-type)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리튬 이차 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사용되는 유기 전해질은 리튬염을 용해하기 쉽고, 또한 전기 분해하기 어려운 극성 비프로톤성의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류,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탄산에스테르류, γ-부티로락톤, 3-메틸-γ-발레로락톤 등의 락톤류, 포름산 메틸, 아세트산 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소란 등의 에테르류 등의 유기 용매에 LiPF6, LiBF4, LiN(CF3SO2)2, LiClO4, LiCF3SO3 등의 리튬염을 용해시킨 액체 전해질로 현재 리튬 이온 이차전지 (Lithium ion battery) 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 ; EDLC)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전해질은 높은 이온전도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휘발성과 전극에서의 분해반응 등에 의한 낮은 안정성, 액체 상태에 기인한 공정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용매 중, 특히 디메틸카보네이트나 1,2-디메톡시에탄 등은 인화점이 매우 낮으므로 과충전이나 단락시의 발열에 의해 인화나 폭발 등의 전지의 안전성에 대해서 큰 문제를 안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대용량, 고출력의 리튬 이차 전지의 개발이 급선무가 되어, 안전성의 문제는 점점 중요한 해결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수전해액으로 인산 에스테르와 에스테르류, 특정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95544호,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1-126726호), 또는 비프로톤성 용매에 특정의 불소화 케톤을 포함하는 전해액(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76517호) 등의 난연성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한편 이온성 액체 (Ionic liquid) 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상온 용융염으로서 비휘발성, 난연성, 불연성, 넓은 전위창과 화학적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가지므로 유기 전해질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전해질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온성 액체 역시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므로 전해질로 적용할 때에 가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10-225511호에서는 이온성 액체를 다공성 입자에 내재시켜 형성되는 내구성이 향상된 겔형의 전해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다공성 금속산화물만 사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고체 전해질은 유연성이 없어 외부의 충격 또는 제품에의 적용시에 깨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 (Lithium ion battery) 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 ; EDLC)에 사용되는 고체 전해질로서 기존의 이온성 액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유연성(flexibility)이 향상된 겔형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내에 이온성 액체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Si(R1)x(OR2)y(CR3=CR4R5)(4-x-y)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0≤x≤3의 정수이고,
1≤y≤4의 정수이며,
2≤x+y≤4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상기 화학식 1에서 2≤x+y≤3인 실란 화합물을 30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의 산(acid) 존재하에서의 가수분해 반응으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은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50 부피부의 범위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Figure 112012103497179-pat00001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으로 이미다졸륨(imidazolium), 암모늄(ammonium),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또는 피페리디늄(piperidinium)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bis(fluorosulfonyl)imide), 비스(플루오로설포닐)아미드(bis(fluorosufonyl)amide), 플루오로보레이트(fluoroborate), 또는 플루오로포스페이트(fluorophosphat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성 액체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PF6, LiBF4, LiAsF6, LiSbF6, LiCF3SO3, LiC2F5SO3, LiC4F9SO3, LiN(CF3SO2)2, LiN(C2F5SO2)2, LiC(CF3SO2)3, 및 LiPF2{(COO)2}2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리튬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튬염은 고체 전해질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유연성이 향상된 겔형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함으로써 이온성 액체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해질은 이온성 액체의 장점을 이용하고자 하는 리튬이차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제조 과정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전해질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적용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서 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를 다공성 금속산화물에 효과적으로 내재화함으로써 이온성 액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겔형(gel-type)의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제조된다:
[화학식 1]
Si(R1)x(OR2)y(CR3=CR4R5)(4-x-y)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0≤x≤3의 정수이고,
1≤y≤4의 정수이며,
2≤x+y≤4의 정수이다.
일반적으로 실란 화합물은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망상 구조의 실란 옥사이드 화합물을 이룬다.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를 내재시키기 위한 다공성 금속산화물로서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에 상기 화학식 1에서 2≤x+y≤3인 경우인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은 실란 옥사이드 화합물 사이 사이에 포함되어 망상 구조의 일부로서 예로서 하기와 같은 구조를 이룬다:
Figure 112012103497179-pat00002
본 발명의 다공성 금속산화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로부터 망상 구조가 형성되며 이때 구조의 중간 중간에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이 도입되어 망상 구조의 종결을 이루게 된다. 즉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망상 구조가 계속하여 생성되므로 얻어지는 물질의 점성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결국 가공이 곤란한 하드(hard)한 상태가 된다. 비닐기는 이러한 망상 구조의 종결을 유도하여 가공이 용이한 유연성 있는 상태의 결과물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유연성 있는 고체 전해질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다공성 금속산화물에 이온성 액체를 내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을 제공한다. 이때 고체 전해질의 유연성 향상의 효과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 즉 화학식 1에서 2≤x+y≤3인 경우의 실란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30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비닐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을 상기 범위보다 적은 양으로 사용되면 유연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여 고체 전해질로 사용하기 위한 과정에서 부서지는 등 가공성이 떨어진다. 반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양으로 과량 사용될 경우에는 바람직한 수준으로 겔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이 또한 가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을 위해 바람직하게 산성 조건 하에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러한 산으로는 포름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50 부피부의 범위이다. 산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바람직한 수준으로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얻어지는 겔형의 다공성 금속산화물의 점성이 너무 높아져서 이후 이온성 액체와의 혼합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 및 산을 포함하는 반응물에서 가수분해가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처리는 40KHz의 조건에서 1분 내지 20분간 수행할 수 있다. 초음파처리 후에는 용액을 0oC 내지 10 oC 에서 1분 내지 120분 냉각시킨다.
그런 다음 이온성 액체를 첨가하여 겔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겔형의 고체 전해질은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이 가수분해되어 망상 구조의 다공성 금속산화물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이온성 액체의 함침이 일어남으로써 다공성 금속산화물 구조 내에 이온성 액체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상온(25℃)에서 용융 상태인 이온성 물질로,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미다졸륨(imidazolium), 암모늄(ammonium),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또는 피페리디늄(piperidinium)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bis(fluorosulfonyl)imide), 비스(플루오로설포닐)아미드(bis(fluorosufonyl)amide), 플루오로보레이트(fluoroborate), 또는 플루오로포스페이트(fluorophosphate)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양이온의 예로서는 트리에틸암모늄 등의 알킬암모늄, 에틸메틸이미다졸륨, 부틸메틸이미다졸륨 등의 이미다졸륨,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 등의 피롤리디늄 또는 메틸프로필피페리디늄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TFSI)), 비스(펜타플루오로에틸설포닐)아미드(bis(pentafluoroethylsufonyl)amide(BET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trafluoroborate(BF4)), 또는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exafluorophosphate(PF6))를 들 수 있다.
이온성 액체는 별도의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온 전도도 및 용량 특성을 위하여 이온성 액체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범위로 고체 전해질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금속산화물과 이온성 액체의 겔화 후에는 상온에서 1시간 이상 건조시키거나 300 oC 내지 600 oC 의 온도 범위에서 5 내지 10 분간 열처리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지는 전해질은 유연성이 향상된 겔형의 고체이므로 가공이 용이하다. 따라서 리튬이차전지 또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제작 과정에서 고체 전해질로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은 LiPF6, LiBF4, LiAsF6, LiSbF6, LiCF3SO3, LiC2F5SO3, LiC4F9SO3, LiN(CF3SO2)2, LiN(C2F5SO2)2, LiC(CF3SO2)3, 및 LiPF2{(COO)2}2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리튬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이 포함된 고체 전해질은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튬염은 고체 전해질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리튬염을 포함시킬 때에는 실란 화합물, 비닐 실란 화합물 및 산을 포함하는 반응물에 이온성 액체를 투입하는 과정 중에 이온성 액체와 함께 첨가하여 고체 전해질 형성을 위한 겔화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튬염은 다공성의 금속 산화물 구조 내에 이온성 액체와 함께 포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리튬염을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이온성 액체에 리튬염을 Ar 분위기 글러브 박스에서 24시간 이상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시킨 후 리튬염이 용해된 이온성 액체를 상기 겔화 과정에 투입하여 리튬염과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겔형 고체전해질을 합성한다. 또는 리튬염은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메틸에틸카보네이트(MEC), 에틸렌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이들 혼합물 등의 용매 상에 용해된 전해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액상의 리튬염이 다공성의 금속 산화물 구조 내에 포함된 후에는 건조 또는 열처리 과정에서 용매가 휘발되어 제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반응 용기에 1M의 포름산(formic acid) 1 mL 넣고 교반하면서 테트라메톡시실란(Tetramethoxysilane(TMOS)) 1 mL 및 트리에톡시 비닐실란(Triethoxyvinylsilane) 1 mL 을 첨가했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을 ultrasonic cleaner 에서 40KHz 의 조건으로 30분간 초음파 처리한 후 5oC 에서 20분간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이온성 액체로 부틸메틸 이미다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utyl methyl 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4)) 1 mL 을 넣고 함께 겔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상기 얻어진 수득물을 실온에서 1시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겔형의 고체전해질
을 얻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에서 테트라메톡시실란(Tetramethoxysilane(TMOS)) 1mL 및 트리에톡시비닐실란(Triethoxyvinylsilane) 1mL 을 대신하여 테트라메톡시실란 2mL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고체 전해질을 얻었다.
평가
1) 전기적 특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고체 전해질에 대하여 이온 전도도 및 전기적 용량을 측정하였다.
우선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테인리스 스틸 전극(2)으로 구성된 전도도 측정 셀(Swagelok cell) 내에 고체 전해질(1)을 삽입한 다음 2×10-2 Hz 부터 106 Hz 범위까지 Impedance를 수행하여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장치 및 조건에서 측정된 이온성 액체 BMIMBF4의 이온 전도도를 함께 나타냈다.
이온전도도 ( mS/cm )
BMIMBF4 1.70
실시예 0.44
비교예 0.4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질은 모두 이온성 액체 부틸메틸 이미다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utyl methyl 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4))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해질로서 사용되기에 충분한 이온 전도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고체 전해질을 적용하여 제작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용량을 측정하였다. 작업 전극(3)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메쉬 상에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전극(CNT)을 사용하였고, 카운터 전극 또는 기준 전극(4)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포일(foil) 사용하였다. 용량측정은 CV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였고 100mV/s 의 scan rate 으로 0V 에서 2.7V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장치 및 조건에서 측정된 이온성 액체 BMIMBF4의 용량을 함께 나타냈다.
Capacitance (F/g)
BMIMBF4 30
실시예 25
비교예 2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질은 모두 이온성 액체 부틸메틸 이미다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utyl methyl 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4))에 비해 용량의 감소가 미미하였다.
2) 기계적 특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시된 고체 전해질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유연성 정도를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체 전해질을 각각 70mm (가로) x 150mm (세로) x 30mm (두께)의 틀로 제작했다. 그런 다음 시료의 중앙을 고정시키고 양쪽 끝에서 동일 방향으로 10N의 힘을 가해 깨짐(crack)이 나타날 때까지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깨짐(crack)각도
실시예 40
비교예 2
비교예의 전해질은 휘어지는 성질이 거의 없는 것에 비해 실시예의 전해질은 최대 40도까지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 고체 전해질
2: 스테인리스 스틸 전극
3: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
4: 상대전극 또는 기준전극(counter electrode, reference electrode)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실란 화합물로부터 제조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내에 이온성 액체를 포함시킨 것이며,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상기 화학식 1에서 2≤x+y≤3인 실란 화합물을 30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화학식 1]
    Si(R1)x(OR2)y(CR3=CR4R5)(4-x-y)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0≤x≤3의 정수이고,
    1≤y≤4의 정수이며,
    2≤x+y≤4의 정수이다.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의 산(acid) 존재하에서의 가수분해 반응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4. 제3항에서,
    상기 산은 화학식 1의 실란 화합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50 부피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5. 제1항에서,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은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Figure 112012103497179-pat00003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6. 제1항에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으로 이미다졸륨(imidazolium), 암모늄(ammonium),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또는 피페리디늄(piperidinium)을 포함하고, 음이온으로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bis(fluorosulfonyl)imide), 비스(플루오로설포닐)아미드(bis(fluorosufonyl)amide), 플루오로보레이트(fluoroborate), 또는 플루오로포스페이트(fluorophosph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7. 제1항에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0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8. 제1항에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PF6, LiBF4, LiAsF6, LiSbF6, LiCF3SO3, LiC2F5SO3, LiC4F9SO3, LiN(CF3SO2)2, LiN(C2F5SO2)2, LiC(CF3SO2)3, 및 LiPF2{(COO)2}2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리튬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9. 제8항에서,
    상기 리튬염은 고체 전해질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의 고체 전해질.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1.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KR1020120144744A 2012-12-12 2012-12-1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KR10199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44A KR101994261B1 (ko) 2012-12-12 2012-12-1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US14/421,055 US9768469B2 (en) 2012-12-12 2013-09-30 Solid electrolyte containing ionic liquid
EP13862533.0A EP2933867B1 (en) 2012-12-12 2013-09-30 Solid electrolyte containing ionic liquid
PCT/KR2013/008738 WO2014092312A1 (ko) 2012-12-12 2013-09-30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JP2015547833A JP6319852B2 (ja) 2012-12-12 2013-09-30 イオン性液体を含む固体電解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44A KR101994261B1 (ko) 2012-12-12 2012-12-1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325A KR20140076325A (ko) 2014-06-20
KR101994261B1 true KR101994261B1 (ko) 2019-06-28

Family

ID=5093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44A KR101994261B1 (ko) 2012-12-12 2012-12-1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8469B2 (ko)
EP (1) EP2933867B1 (ko)
JP (1) JP6319852B2 (ko)
KR (1) KR101994261B1 (ko)
WO (1) WO2014092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1412A1 (en) 2014-07-17 2016-01-21 Ada Technologies, Inc. Extreme long life, high energy density batterie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60268064A1 (en) * 2015-03-09 2016-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16209460A2 (en) 2015-05-21 2016-12-29 Ada Technologies, Inc. High energy density hybrid pseudocapacitor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996564B2 (en) 2015-06-01 2024-05-28 Forge Nano Inc. Nano-engineered coatings for anode active materials, cathode active materials, and solid-state electrolytes and methods of making batteries containing nano-engineered coatings
WO2017023797A1 (en) 2015-07-31 2017-02-09 Ada Technologies, Inc. High energy and power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70047659A (ko) 2015-10-23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047656A (ko) 2015-10-23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25829B1 (ko) 2015-10-23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90866B1 (ko) 2015-10-23 2023-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7012660B2 (ja) 2016-04-01 2022-02-14 ノームズ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ン含有修飾イオン性液体
KR102127081B1 (ko) * 2016-08-12 2020-06-25 주식회사 메디포럼제약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KR20190042706A (ko) * 2016-10-20 2019-04-2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리튬 이차전지
US11024846B2 (en) 2017-03-23 2021-06-01 Ada Technologies, Inc. High energy/power density, long cycle life, safe lithium-ion battery capable of long-term deep discharge/storage near zero volt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0546802B (zh) * 2017-04-24 2023-03-24 Imec 非营利协会 固体纳米复合电解质材料
CN107293780B (zh) * 2017-06-01 2019-08-02 北京理工大学 一种锂电池用基于离子液体的准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10915037B (zh) 2017-07-17 2023-11-07 诺姆斯科技公司 含磷电解质
JP7134948B2 (ja) * 2017-11-02 2022-09-12 アイメック・ヴェーゼットウェー 固体電解質、電極、蓄電素子及び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WO2019088197A1 (ja) * 2017-11-02 2019-05-09 アイメック・ヴェーゼットウェー 固体電解質、電極、蓄電素子及び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CN112262442B (zh) 2018-06-12 2022-05-13 Imec 非营利协会 固体电解质、电极以及蓄电元件
US11267707B2 (en) 2019-04-16 2022-03-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urification of bis(fluorosulfonyl) imide
CN111952551A (zh) 2019-05-17 2020-11-17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固态锂硫电池的改进复合正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239A (ja) * 2002-03-06 2003-09-12 Daiso Co Ltd 架橋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544A (ja) 1998-12-25 2000-07-14 Mitsui Chemicals Inc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1126726A (ja) 1999-10-25 2001-05-11 Mitsui Chemicals Inc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040224233A1 (en) * 2003-05-05 2004-11-11 Show -An Chen Method for preparation of chemically crosslinked polyacrylonitrile polymer electrolyte as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JP4660104B2 (ja) 2004-03-23 2011-03-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非水性混合溶媒及びそれを含む非水性電解液
KR100793011B1 (ko) 2007-02-16 2008-01-0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09181788A (ja) * 2008-01-30 2009-08-13 Sekisui Chem Co Ltd 電解質膜の製造方法、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WO2009120872A2 (en) 2008-03-26 2009-10-01 Ada Tech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batteries with carbon nanomaterials and ionic liquids
KR20110069747A (ko) * 2008-07-03 2011-06-23 보드 오브 거버너즈 포 하이어 에듀케이션, 스테이트 오브 로드아일랜드 앤드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즈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
JP5359440B2 (ja) 2009-03-25 2013-1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解質及び二次電池
JP5329310B2 (ja) * 2009-06-10 2013-10-30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イオン液体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US20110076572A1 (en) * 2009-09-25 2011-03-31 Khalil Amine Non-aqueous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11070997A (ja) * 2009-09-28 2011-04-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解質組成物及び二次電池
JP5834008B2 (ja) * 2010-08-31 2015-12-16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電池又は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集電体コート用導電性組成物、電池又は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集電体、電池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12129484A (ja) * 2010-12-16 2012-07-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複合固体電解質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複合固体電解質膜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239A (ja) * 2002-03-06 2003-09-12 Daiso Co Ltd 架橋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3867A1 (en) 2015-10-21
US20150194701A1 (en) 2015-07-09
JP2016508279A (ja) 2016-03-17
KR20140076325A (ko) 2014-06-20
JP6319852B2 (ja) 2018-05-09
US9768469B2 (en) 2017-09-19
WO2014092312A1 (ko) 2014-06-19
EP2933867B1 (en) 2019-01-02
EP2933867A4 (en)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261B1 (ko)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JP5279764B2 (ja) 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2107B2 (ja) 第4級アンモニウム塩、電解質、電解液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
EP3396768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rovided therewith
JP5725510B2 (ja) 電解液用溶媒、電解液、及びゲル状電解質
JP4917178B2 (ja) 電解質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新規なリチウム塩
JP4645648B2 (ja) 電解液
WO2010107034A1 (ja) イオン液体、電解質、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イオン液体の製造方法
KR20070119715A (ko) 전해액
KR20160121521A (ko) 2차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그것을 구비한 2차 전지
JP2001220393A (ja) 電気化学セルに使用するアルキルスピロホウ酸塩
JP4929766B2 (ja) 電解液
JP5150954B2 (ja) 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50096729A (ko) 전해질 성분으로서의 n-함유 복소환 음이온들의 염들
EP2833383B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capacitor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lithium ion capacitor
JP2010215512A (ja) イオン液体、イオン液体の製造方法、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4858107B2 (ja) 電解液
KR20010040169A (ko) 전기화학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착체 염
JP2012248515A (ja) 金属塩、電極保護膜形成剤、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用電解質、及び二次電池
KR101614017B1 (ko) 에테르 작용기가 치환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상 또는 겔 전해질
JP2010235583A (ja) イオン液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9105028A (ja) アンモニウム塩、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解質、電解液、添加剤及び蓄電デバイス
JP2018006290A (ja) イオン伝導性組成物およびイオン伝導膜
CN114221023A (zh) 用于吸附锂电池电解液中水并消除氢氟酸的离子液体、锂电池电解质和锂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