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49B1 - 모래 살포기 - Google Patents

모래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49B1
KR101991349B1 KR1020180164990A KR20180164990A KR101991349B1 KR 101991349 B1 KR101991349 B1 KR 101991349B1 KR 1020180164990 A KR1020180164990 A KR 1020180164990A KR 20180164990 A KR20180164990 A KR 20180164990A KR 101991349 B1 KR101991349 B1 KR 10199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and
plate
ratchet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철
Original Assignee
민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철 filed Critical 민병철
Priority to KR102018016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49B1/ko
Priority to JP2021556200A priority patent/JP7166684B2/ja
Priority to PCT/KR2019/017004 priority patent/WO20201304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01B35/28Rotating tools; Mounting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이동되면서 모래를 살포하는 모래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휠과 일측에 이송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와 상부면 일부영역에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갖는 이동바디와, 이동바디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 일부영역에 형성되어 힌지결합부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일단이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이동바디의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승하강실린더를 갖는 승하강바디와, 승하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모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적재함과, 승하강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설치되어 적재함에 수용된 모래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모래를 살포하는 살포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래 살포기{sand spreading apparatus}
본 개시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또는 농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작지 등에 모래를 살포하기 위한 모래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모래 살포기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또는 농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작지 등에 모래를 살포하기 위한 장치로서 트랙터 등에 연결하여 이동하면서 모래를 살포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4373호에 모래 살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의 모래 살포기는 대차에 설치된 적재함에 적재된 모래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대차의 후방에 설치된 설치프레임에 고정 배치된 원판스캐터를 통해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지반구배가 심한 곳이나 언덕의 경우 경사에 의해 모래가 균일하게 분산 살포되지 않고 한 곳에 집중되어 살포되거나, 트랙터와 대차의 연결부위가 경사면에 부딪혀 장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재함에 모래를 적재하고자 할 경우 대차를 모래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해 모래를 적재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모래를 균일하게 분산 살포하고, 살포되는 모래의 비산거리를 높일 수 있는 모래 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래를 작업영역에서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래 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의한 모래 살포기는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이동되면서 모래를 살포하는 것으로서, 양측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휠과, 일측에 상기 이송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와, 상부면 일부영역에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갖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 일부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일단이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바디의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승하강실린더를 갖는 승하강바디; 상기 승하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모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적재함; 상기 승하강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수용된 모래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모래를 살포하는 살포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휠은 상기 이동바디의 측면에 일단이 결합된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동바디의 측면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1 회전단부와 상기 제1 회전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휠의 중심에 결합된 제2 회전단부와 상기 제1 회전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실린더와 결합되는 제3 회전단부를 갖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작동유니트를 통해 상기 이동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바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단부와, 상기 회동단부로부터 이격된 자유단부를 가지며, 길이방향 소정 위치가 상기 이동바디의 일측에 상기 회동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일단이 결합된 제2 실린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포 유니트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원판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 상면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상기 체결프레임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결합되는 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공간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판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영역 하부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가 상기 한 쌍의 회전원판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분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분산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영역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중심부가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회전원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포유니트와 마주보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영역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량조절부재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모래가 이송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모래가 이송되도록 하는 개방위치간을 이동하는 배토판과, 상기 적재함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배토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토판이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개방위치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작동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체결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배토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함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타단 외측면에 형성된 식별부를 갖는 작동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배토판이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단부 영역에는 보호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외측 일부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측과 상측에 형성된 제1 결합단부 및 제2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제1 결합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며, 외측면 일부영역에 제1 손잡이가 결합된 제1 라쳇과, 상기 제2 결합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며, 외측면 일부영역에 제2 손잡이가 결합된 제2 라쳇 및,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라쳇과 상기 제2 라쳇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라쳇의 내측면은 상기 안전바를 감쌀수 있도록 상기 안전바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라쳇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안전바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라쳇의 두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압볼트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라쳇의 내측면에는 탄성패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모래를 균일하게 분산 살포하고, 살포되는 모래의 비산거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래를 작업영역에서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 살포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호부재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부재의 작동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량조절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출량조절부재의 작동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살포유니트의 확대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동바디의 승하강을 도시하는 작동도.
도 9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재의 작동도.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이드유니트의 확대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 살포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호부재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부재의 작동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출량조절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출량조절부재의 작동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살포유니트의 확대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동바디의 승하강을 도시하는 작동도, 도 9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재의 작동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래 살포기(10)는 이송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동되면서 모래를 살포하는 것으로서, 이동바디(100), 승하강바디(200), 적재함(300), 이송컨베이어(400), 살포유니트(500)로 구성된다.
이동바디(100)는 기본 골격이 되는 것으로, 양측면에 복수개의 휠(102)이 배치되고, 일측에는 이송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104)가 설치되고, 상부면 일부영역에는 힌지결합부(106)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휠(102)은 이동바디(100)에 작동유니트(110)를 통해 연결된다. 작동유니트(110)는 이동바디(100)가 지면에 대해 승하강되게 하는 것으로서, 제1 실린더(112)와 연결링크(114)로 이루어진다.
제1 실린더(112)는 이동바디(100)의 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탄은 후술하는 연결링크(114)에 구비된 제3 회전단부(114c)에 결합된다.
연결링크(114)는 제1 실린더(112)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바디(100)의 측면에 회전되게 결합된 제1 회전단부(114a)와, 제1 회전단부(114a)로부터 이격되어 휠(102)의 중심에 결합되는 제2 회전단부(114b)와, 제1 회전단부(114a)로부터 이격되게 제1 실린더(112)와 결합되는 제3 회전단부(114c)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04)는 이동바디(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단부(104a)와, 회동단부(104a)로부터 이격되어 이송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자유단부(104b)를 가진다. 연결부(104)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는 이동바디(100)의 일측에 회동단부(104a)로부터 이격되게 일단이 결합된 제2 실린더(108)의 타단에 결합된다. 즉, 연결부(104)의 자유단부(104b)는 이송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실린더(108)에 의해 지면에 대해 상하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바디(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밀착되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승하강된다.
또한, 이동바디(100)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모래를 실은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20)이 후술하는 적재함(300)에 모래를 용이하게 공급하게 하는 받침부재(120)가 설치된다.
도 9와 도 10를 참조하면, 받침부재(120)는 이동바디(100)의 길이방향 측면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122)과, 일단이 회전축(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바디(100)에 대해 직립되게 위치되는 대기위치와 지면을 향해 펼쳐지는 작동위치간을 이동하는 제1 받침대(124)와, 제1 받침대(124)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제1 받침대(124)가 대기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제1 받침대(124)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1 받침대(124)가 작동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제1 받침대(124)와 동일한 축상에 위치되어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제2 받침대(126)와, 이동바디(100)의 폭 방향 일측면에 설치되고, 단부가 회전축(122)의 축선방향 일부영역에 설치된 작동링크(122a)에 결합된 제1 가동실린더(128)와, 일단이 제1 받침대(124)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4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 받침대(126)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결합부(126a)에 힌지결합된 제2 가동실린더(129)로 이루어진다.
상술하 바와 같이, 이동바디(100)가 이송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상하 이동가능함에 따라 모래를 살포하는 중 적재함(300)에 모래를 채워야 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모래 살포기(10)를 별도로 모래가 저장된 위치로 이동할 필요없이 모래를 실은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20)을 작업영역으로 바로 이동시켜 적재함(300)에 모래를 손쉽게 공급할 수 있고, 적재함(300)에 모래가 가득 채워진 후에는 곧바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래 살포기(10)의 이동바디(100)가 이송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상태에서 모래를 실은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20)을 통해 후술하는 적재함(300)에 모래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 먼저 작동유니트(110) 및 제2 실린더(108)를 작동시켜 이동바디(100)의 저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받침부재(120)의 제2 가동실린더(129)를 작동시켜 제1 받침대(124)와 제2 받침대(126)가 동일한 축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제1 가동실린더(128)를 작동시키면 제1 받침대(124)가 대기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여 제2 받침대(126)의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게 하면 모래 실은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20)이 받침부재(120)를 타고 올라가 적재함(300)에 손쉽게 모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적재함(300)에 모래가 가득채워진 후에는 받침부재(120)의 제1 받침대(124)를 대기위치로 위치시킨 후 제2 받침대(126)가 제1 받침대(124)와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한 다음 이동바디(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승시시킨 후 이송장치를 이동시키면 모래 살포작업을 계속해서 할 수 있다.
승하강바디(200)는 이동바디(100)의 상부에 일측이 이동바디(100)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승하강바디(100)는 하부 일부영역에 형성되어 이동바디(100)의 힌지결합부(106)와 결합되는 힌지부(202)와, 일측 양단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살포 유니트(500)를 고정하는 결합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승하강바디(200)는 일단이 승하강바디(200)의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이동바디(100)의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승하강실린더(204)를 갖는다.
승하강실린더(204)는 승하강바디(20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210)를 이동바디(100)에 대해 승하강시켜 후술하는 살포 유니트(5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210)는 승하강바디(200)의 일측 양단부 상면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하판(212)과, 하판(212)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판(214)과, 하판(212)과 상판(214) 사이에 후술하는 살포유니트(500)의 체결프레임(508)이 삽입되는 공간부(218)가 형성되도록 상판(214)과 하판(212) 사이에 결합되는 중판(21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판(216)의 일측 단부에는 공간부(218) 상에 위치되어 체결프레임(508)이 공간부(218)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돌출부(21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판(216)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216b)가 설치되고, 체결프레임(508)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216b)와 결합되는 고정구(508a)가 설치된다.
아울러, 승하강바디(200)의 일측단부 영역에는 모래를 살포하고자 하는 작업영역에 위치하는 구조물 또는 장치와 충돌시 살포유니트(50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부재(2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보호부재(220)는 몸체부(222), 제1 라쳇(224), 제2 라쳇(226), 안전바(228)로 구성된다.
몸체부(222)는 승하강바디(200)의 일측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단부와, 고정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외측 일부영역에 형성된 개구부(222a)와, 개구부(222a)의 하측과 상측에 형성된 제1 결합단부(222b) 및 제2 결합단부(222c)를 구비하는 자유단부를 갖는다.
제1 라쳇(224)은 제1 결합단부(222b)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부(224a)가 형성되며, 외측면 일부영역에 제1 손잡이(224b)가 결합된다.
제2 라쳇(226)은 제2 결합단부(222c)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부(224a)에 걸림되는 걸림돌출부(226a)가 형성되며, 외측면 일부영역에 제2 손잡이(226b)가 결합된다.
안전바(228)는 개구부(222a)에 삽입되어 제1 라쳇(224)과 제2 라쳇(226)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개구부(222a)의 내측면과 제1 라쳇(224)의 내측면은 안전바(228)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안전바(228)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라쳇(224)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가압볼트(225)가 제1 라쳇(224)의 두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볼트(225)는 개구부(222a)에 삽입된 안전바(228)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안전바(228)가 개구부(222a)에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개구부(222a)의 내측면 및 제1 라쳇(224)의 내측면에는 탄성패드(229)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패드(229)는 안전바(228)가 제1 라쳇(224) 및 제2 라쳇(226)에 의해 개구부(222a)에 고정되었을 안전바(228)의 외주면을 탄성 지지하여 모래 살포기(1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안전바(228)가 개구부(222a)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적재함(300)은 승하강바디(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모래가 수용되는 수용부(미도시)를 갖는다.
또한, 적재함(300)의 일측영역에는 후술하는 살포유니트(500)와 마주보도록 배출량조절부재(310)가 설치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배출량조절부재(310)는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배토판(312), 작동실린더(314), 작동표시부(316)로 이루어진다.
배토판(312)은 적재함(300)의 일측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모래가 살포유니트(500)로 이송되지 않게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모래가 살포유니트(500)로 이송되게 하는 개방위치간을 이동한다.
작동실린더(314)는 적재함(30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단부가 배토판(312)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312a)에 힌지결합되어 배토판(312)이 차단위치와 개방위치간을 이동되게 한다.
작동표시부(316)는 작업자가 배토판(312)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으로서, 일단이 제1 체결부(312a)로부터 이격되게 배토판(312)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312b)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적재함(3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커버부(302)의 내부에 위치되는 작동바(316a)와, 작동바(316a)의 타단 외측면에 형성된 식별부(316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식별부(316b)는 배토판(312)이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부(302)의 외부로 돌출되며, 식별부(316b)는 식별부(316b)가 커버부(302)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작업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램프 또는 반사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컨베이어(400)는 적재함(300)의 수용부에 수용된 모래를 후술하는 살포유니트(500)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승하강바디(200)의 내부에 승하강바디(20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설치된다.
살포유니트(500)는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살포되게 하는 것으로서, 승하강바디(200)의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살포유니트(500)는 메인프레임(502)과, 메인프레임(502)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메인프레임(50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504a)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구동모터(504)와, 회전축(504a)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506a)를 각각 갖는 한 쌍의 회전원판(506)과, 메인프레임(502)의 양단부 하측에 결합되어 승하강바디(200)의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결합되는 체결프레임(508)으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블레이드(506a)는 회전원판(506)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를 타격하여 흩뿌림으로서 균일하게 분산 살포되게 한다.
메인프레임(502)의 중앙영역 하부에는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가 한 쌍의 회전원판(506)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분산부재(510)가 설치된다.
분산부재(510)는 메인프레임(502)의 중앙영역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512)과, 지지프레임(512)의 단부에 중심부가 결합되고, 양단부가 한 쌍의 회전원판(506)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산판(514)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이드유니트의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승하강바디(200)의 일측 양단부에는 배출가이드유니트(6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승하강바디(200)의 일측 양단부 하면 일부영역에는 상면에 체결고리(232)가 구비된 결합프레임(230)이 결합부(210)와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설치되고, 결합부(210)에 설치된 살포유니트(500)는 결합부(21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배출가이드유니트(600)는 이송컨베이어(400)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를 일정한 장소에 모래가 적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배출부(602a)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배출프레임(602)과, 배출부(602a)의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 한 쌍의 배출가이드(604)와, 배출프레임(602)의 길이방향 양측 상면에 설치된 고정부(606)로 이루어진다.
고정부(606)는 배출프레임(602)의 길이방향 양측 상면에 설치된 하부고정판(606a)과, 하부고정판(606a)의 설치되어 배출프레임(602)의 상부영역에 삽입부(607)가 형성되게 하는 상부고정판(606b)과, 상부고정판(606b)의 상면에 체결고리(232)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고정클램프(606c)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이동바디
110; 작동유니트
120; 받침부재
200; 승하강바디
210; 결합부
220; 보호부재
300; 적재함
400; 이송컨베이어
500; 살포유니트
600; 배출가이드유니트

Claims (12)

  1.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이동되면서 모래를 살포하는 살포기에 있어서,
    양측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휠과, 일측에 상기 이송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와, 상부면 일부영역에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갖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 일부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부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일단이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바디의 양측면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승하강실린더를 갖는 승하강바디;
    상기 승하강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모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적재함;
    상기 승하강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수용된 모래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모래를 살포하는 살포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살포유니트와 마주보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영역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이동바디의 측면에 일단이 결합된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이동바디의 측면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1 회전단부와 상기 제1 회전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휠의 중심에 결합된 제2 회전단부와 상기 제1 회전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실린더와 결합되는 제3 회전단부를 갖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작동유니트를 통해 상기 이동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동바디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단부와, 상기 회동단부로부터 이격된 자유단부를 가지며, 길이방향 소정 위치가 상기 이동바디의 일측에 상기 회동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일단이 결합된 제2 실린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포 유니트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원판;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체결프레임;를 포함하는 모래 살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 상면 일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상기 체결프레임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결합되는 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공간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프레임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판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영역 하부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모래가 상기 한 쌍의 회전원판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분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분산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영역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중심부가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회전원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산판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재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모래가 이송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모래가 이송되도록 하는 개방위치간을 이동하는 배토판;
    상기 적재함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배토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토판이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개방위치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작동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체결부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배토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함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커버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타단 외측면에 형성된 식별부를 갖는 작동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배토판이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램프 또는 반사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단부 영역에는 보호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승하강바디의 일측 양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단부와,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외측 일부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측과 상측에 형성된 제1 결합단부 및 제2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제1 결합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며, 외측면 일부영역에 제1 손잡이가 결합된 제1 라쳇;
    상기 제2 결합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며, 외측면 일부영역에 제2 손잡이가 결합된 제2 라쳇; 및,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라쳇과 상기 제2 라쳇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라쳇의 내측면은 상기 안전바를 감쌀수 있도록 상기 안전바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쳇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안전바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라쳇의 두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압볼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1 라쳇의 내측면에는 탄성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살포기.
KR1020180164990A 2018-12-19 2018-12-19 모래 살포기 KR10199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90A KR101991349B1 (ko) 2018-12-19 2018-12-19 모래 살포기
JP2021556200A JP7166684B2 (ja) 2018-12-19 2019-12-04 砂散布機
PCT/KR2019/017004 WO2020130429A1 (ko) 2018-12-19 2019-12-04 모래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90A KR101991349B1 (ko) 2018-12-19 2018-12-19 모래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349B1 true KR101991349B1 (ko) 2019-06-20

Family

ID=6710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990A KR101991349B1 (ko) 2018-12-19 2018-12-19 모래 살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66684B2 (ko)
KR (1) KR101991349B1 (ko)
WO (1) WO2020130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687B1 (ko) * 2023-02-13 2023-08-14 이희 골프장, 운동장, 공원, 체육시설의 잔디교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42Y1 (ko) * 2004-04-26 2004-07-06 문진흥 모래 살포기
KR20070090597A (ko) * 2006-03-03 2007-09-06 김완수 다목적 비료 살포기
KR20110000461U (ko) * 2009-07-09 2011-01-17 문진흥 모래살포기
KR101504099B1 (ko) * 2014-02-04 2015-03-24 서경산업주식회사 고형물 살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30B2 (ja) * 1979-03-30 1984-02-29 株式会社土屋機械製作所 目土散布車
JPH0644362Y2 (ja) * 1990-11-27 1994-11-16 初田拡撒機株式会社 目土散布車
JPH0717028U (ja) * 1993-09-08 1995-03-28 スター農機株式会社 登車用踏板
JP4411534B2 (ja) * 2004-10-25 2010-02-10 有限会社 ヤブタ 目土散布機
US8202343B2 (en) * 2007-11-13 2012-06-19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Sand based fungicides
JP4742115B2 (ja) * 2008-05-20 2011-08-10 順一 濱田 フェアウェイ用目砂散布機
KR200444373Y1 (ko) * 2008-11-05 2009-05-08 문진흥 모래 살포기
KR101426492B1 (ko) * 2011-11-28 2014-08-05 장길석 농업용 굴삭기를 이용한 퇴비 살포기
DE102013004948B4 (de) * 2013-03-21 2021-09-02 Bomag Gmbh Arbeitszug mit von einer Bodenfräsmaschine gezogenem Siloanhänger und Anhängeeinrichtung für einen solchen Arbeitszug
JP5431614B1 (ja) * 2013-08-30 2014-03-05 初田拡撒機株式会社 目砂・肥料の散布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442Y1 (ko) * 2004-04-26 2004-07-06 문진흥 모래 살포기
KR20070090597A (ko) * 2006-03-03 2007-09-06 김완수 다목적 비료 살포기
KR20110000461U (ko) * 2009-07-09 2011-01-17 문진흥 모래살포기
KR101504099B1 (ko) * 2014-02-04 2015-03-24 서경산업주식회사 고형물 살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66684B2 (ja) 2022-11-08
JP2022515296A (ja) 2022-02-17
WO2020130429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7817B (fi) Anordning foer att lossa massmaterial
US2697609A (en) Road sanding machine
KR101991349B1 (ko) 모래 살포기
US20190300291A1 (en) Trailer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material
JP2007131308A (ja) 肥料配送用コンテナ装置
KR101723519B1 (ko) 전동대차
US4169559A (en) Distributor for particulate material
KR101541601B1 (ko) 다목적 운반 겸용 살포기
GB1468902A (en) Machine for the handling conveying and distributing of materials
KR20080070944A (ko) 유기질 비료살포기의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
JP2014008855A (ja) バラスト散布機
KR200300178Y1 (ko) 대형 농기계 운반용 트레일러
US2290126A (en) Distributor truck
ES2752027B2 (es) Maquina para horticultura
JP3542778B2 (ja) 肥料散布機
CN221218667U (zh) 一种叉车专用撒布机及叉车
KR100257897B1 (ko) 곡물승강기
KR100343748B1 (ko) 산포기
JP3111822U (ja) 汎用型ペレット堆肥散布機
JPH0638909Y2 (ja) 搭載式散布機
KR200357024Y1 (ko) 자주식 수레의 적재장치
KR102296718B1 (ko) 뒷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유압 덤프 트레일러
KR20020073730A (ko) 퇴비살 포기를 갖는 다목적 소형트럭
JPH0439845Y2 (ko)
JP3831767B2 (ja) 埋め戻し材投入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