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748B1 - 산포기 - Google Patents

산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748B1
KR100343748B1 KR1019990001954A KR19990001954A KR100343748B1 KR 100343748 B1 KR100343748 B1 KR 100343748B1 KR 1019990001954 A KR1019990001954 A KR 1019990001954A KR 19990001954 A KR19990001954 A KR 19990001954A KR 100343748 B1 KR100343748 B1 KR 10034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body frame
hopper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073A (ko
Inventor
고켄지
스즈키시게루
스즈키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기켄 코., 엘티디.
가부시키가이샤 스즈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치가와고무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기켄 코., 엘티디., 가부시키가이샤 스즈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치가와고무텐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기켄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1999006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 간단한 기구로 산포판(散布板)의 회전 또는 정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산포기(散布機)를 제공하는 것이다.
호퍼(16)는 융설제(融雪劑) 분말을 수용한다. 산포판(25)은, 호퍼(16)의 밑에 형성된 개구(16a)의 아래쪽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차륜(18)은 본체 프레임(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차륜(18)은 차축(19), 차동장치(20) 및 드라이븐 샤프트(21)를 통하여 산포판(25)에 구동연결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3)은 가이드레일(12)을 통하여 트럭(T)에 장착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3)은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차륜(18)의 접지위치와 비접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다.

Description

산포기{distribu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융설제 분말과 같은, 입자 및 분말을 산포하기 위한 산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럭(T)에 견인되는 산포기(100)가 존재한다. 산포기(100)는, 트레일러(101) 및 깔때기형의 호퍼(102)를 가지고 있다. 호퍼(102)는 트레일러(101)에 실려 있다. 호퍼(102)에는 예를 들면 융설제 분말이 수용되어 있다. 개구(102a)가 호퍼(102)의 밑에 형성되어 있다. 융설제 분말은 개구(102a)로부터 아래쪽으로 산포된다. 트레일러(101)는 트럭(T)의 후부(後部)에 연결되어 있다.
트레일러(101)는 차축(104a)과, 그 양 끝에 지지된 차륜(104)을 가지고 있다. 디퍼렌셜 베벨기어장치(103)는 차축(104a)에 끼워져 있다. 드라이븐 샤프트(103a)는 차축(104a)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한, 호퍼(102)로 향하여 뻗어 있다. 드라이븐 샤프트(103a)는 그 일단에 있어서, 디퍼렌셜 베벨기어장치(103)에 맞물린 베벨기어를 가지고 있다. 산포판(105)이 드라이븐 샤프트(103a)에 고정되어있다. 산포판(105)은, 개구(102a)의 아래쪽에 있어서, 개구(102a)에 대향하도록 배치 되어 있다. 융설제 분말은 자중(自重)에 의해 개구(102a)로부터 산포판(105) 위로낙하한다. 트럭(T)이 이동하면, 차륜(104)의 회전이 차축(104a), 디퍼렌셜 베벨기어장치(103), 및 드라이븐 샤프트(103a)를 통하여 산포판(105)에 전달된다. 이로써 산포판(105)이 회전한다. 그러면, 산포판(105) 위의 융설제 분말은 원심력에 의해 산포기(100)의 주위에 비산(飛散)된다.
그러나, 산포판(105)은, 디퍼렌셜 베벨기어장치(103)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드라이븐 샤프트(103a)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즉, 산포판(105)은 트럭(T)의 주행중에는 항상 회전한다. 이는, 트럭(T)이 산포기(100)를 견인하면서, 산포작업하지 않고 이동할 때에는 부적합하다. 예를 들면, 산포목적지로의 이동시 또는 산포 후의 귀로시에, 트럭(T)이 고속으로 주행하면 산포판(105)도 고속으로 회전한다. 산포판(105)은 제조상 불가피한 치수오차를 가지므로, 그 회전시에는 진동이 생긴다. 따라서, 특히 산포판(105)이 고속회전하면 산포판(105)과 드라이븐 샤프트(103a)와의 고정부분에, 진동에 따르는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고, 이 고정부분이 파손되기 쉬웠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륜(104)으로부터 산포판(105)까지의 동력전달 경로상에 클러치기구를 넣는 것도 생각되었다. 그러나, 클러치기구는 구조가 복잡하다. 그러므로, 관리를 소홀히 하면 융설제 분말의 침입 등에 의한 동작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주행시에 있어서 산포판의 회전 및 정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산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산포할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호퍼(16)와, 상기 호퍼(16)의 아래쪽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질의 산포시에 상기 물질이 상기 호퍼(16)로부터 공급되는 산포판(25)과, 상기 산포판(25)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13)과, 상기 본체 프레임(1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차륜(18)과, 상기 차륜(18)의 회전운동을 상기 산포판(25)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19,20,21)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호퍼(16)는 그 밑에 개구(16a)를 가지고 있다. 이 동력 전달기구(19,20,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산포판(25)은 회전하고, 이로써 상기 물질이 산포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2)이 차량(T)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13)은 이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승강가능하고, 상기 차륜(18)이 접지하는 접지위치와, 이 접지위치보다 위쪽의 비접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호퍼(16) 및 동력 전달기구(19,20,21)는 상기 본체 프레임(13)에 장착되고, 이 본체 프레임(13)은 상기 가이드레일(12)에 대하여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상기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차륜(18)을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차륜(18)을 인력(人力)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가능하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인력으로 이동될 때에 운반자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들(22)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상기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자립한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14a)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산포판(25)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하의 경우에 상기 개구(16a)를 폐쇄하는 폐쇄수단(31,32,33)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개구(16a)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체(32)와, 상기 개구(16a)를 폐쇄하도록 이 덮개체(32)를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수단(33)과를 포함하는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폐쇄수단(31,32,33)을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체(32)는 상기 산포판(25)의 회전에 따라서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수단(33)의 바이어스힘에 대항하여 상기 개구(16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상기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23,Ga)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비접지위치로 이동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그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4,12a)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호퍼(16)내에 있어서, 상기호퍼(16)로부터 상기 산포판(25) 위로 상기 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5,35a)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관한 산포기는, 상기 산포판(25)과 차량(T)과의 사이에, 상기 물질이 상기 차량(T)으로 향하여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遮蔽板)(2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산포기가 트럭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산포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산포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산포기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산포기의 산포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파단도(破斷圖).
도 6은 도 5의 6-6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산포기의 요부(要部) 확대도.
도 8은 비접지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산포기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비접지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산포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산포기의 산포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a)는 덮개체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덮개체가 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산포기의 호퍼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산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 파단도.
도 13은 트럭에 견인된 종래의 산포기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산포기, 12 : 가이드레일, 13 : 본체 프레임, 16 : 호퍼, 16a : 개구, 18 : 차륜, 19 : 차축, 20 : 차동장치, 21 : 드라이븐 샤프트, 25 : 산포판, T : 트럭.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산포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럭(T)은 짐받이(N)를 가지고 있다. 그 짐받이(N)에는 리어게이트(G)가 구비되어 있다. 리어게이트(G)에 제1 실시형태의 산포기(11)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포기(11)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을 가지고 있다. 이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은 트럭(T)의 리어게이트(G)의 외면에 연직방향으로 뻗도록 고정되어 있다. 각 가이드레일(12)은 그 길이 방향에 따른 홈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은 서로 홈이 마주보도록,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3)은, 메인프레임(14) 및 메인프레임(14)에 고정된 호퍼프레임(15)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3)은 가이드레일(12)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호퍼프레임(15)은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뻗어 있다. 호퍼프레임(15)의 양 외측면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롤러(15a)가 장착되어 있다.각 가이드롤러(15a)는 가이드레일(12)의 홈의 측면에 따라서 회동가능하다. 이로써, 본체 프레임(13)은 가이드롤러(15a)를 통하여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승강가능하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13)을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예를 들면 인력이나 크레인장치에 의해 본체 프레임(13)을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하측의 가이드롤러(15a)가 가이드레일(12)의 홈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나기까지 상승시킨다. 반대로, 본체 프레임(13)을 가이드레일(12)에 장착할 때에는, 하측의 가이드롤러(15a)를 가이드레일(12)의 홈의 상단으로부터 이 홈에 따라서 하강시킨다.
융설제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호퍼(16)는, 호퍼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6a)가 호퍼의(16)의 밑에 형성되어 있다. 호퍼(16)는 개구(16a)로 향하여 모아진 테이퍼형의 하부를 가지고 있다. 호퍼(16)의 외측 저면에는, 개구(16a)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체(17)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체(17)는, 그 일단에 레버(17a)를 가지고, 타단에 있어서 거의 수직 축선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호퍼(16)에 장착되어 있다. 레버(17a)를 조작하면, 덮개체(17)는 수평면내에서 회동한다. 이로써, 개구(16a)의 개방각도가 조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4)의 외측에는, 한쌍의 차륜(18)이 차축(1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벨기어를 가지는 주지의 차동장치(20)가 차축(19)상에 끼워져 있다. 차동장치(20)에 의해 양 차륜(18)간의 회전차가 흡수된다. 드라이븐 샤프트(21)는, 차동장치(20)로부터 차축(1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차축(19), 차동장치(20) 및 드라이븐 샤프트(21)는 차륜(18)의 회전을 드라이븐 샤프트(21)에 전달한다.
스탠드(14a)가 메인프레임(14)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스탠드(14a)는, 산포기(11)가 트럭(T)에 장착된 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산포기(11)가 트럭(T)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본체 프레임(13)이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차륜(18)이 접지된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인력에 의해 본체 프레임(13)이 이동될 수 있다. 산포기(11)를 스탠드(14a)측으로 약간 기울이면, 스탠드(14a)가 접지한다. 이로써, 본체 프레임(13)은 전도(轉倒)되지 않고, 양 차륜(18) 및 스탠드(14a)에 의해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2)은 메인프레임(14)의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22)은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사용하지 않는 위치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사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산포기(11)자체를 인력에 의해 이동할 때에, 핸들(22)은 사용위치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핸들(22)을 파지하고 본체 프레임(13)을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게이트(G)에는 잭시트(G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호퍼프레임(15)의 잭시트(Ga)와 대향하는 위치에 잭(23)이 장착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륜(19)이 접지되고, 또한, 잭(23)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잭(23)은 잭시트(Ga)와 맞닿지 않는다. 즉, 산포기(11)는 도 1∼도 5에 나타낸 접지위치에 배치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잭(23)을 신장시키면, 잭(23)은 잭시트(Ga)에 맞닿고, 잭시트(Ga)를 기점으로 하여 본체프레임(13)을 밀어 올린다. 그러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3)이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상승되고, 차륜(18)이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간다. 즉, 산포기(11)는 비접지위치에 배치된다.
각 가이드레일(12)에는 예를 들면 체인을 통하여 록핀(24)이 장착되어 있다. 각 가이드레일(12)에는 록용 구멍(12a)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포기(11)가 접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록용 구멍(12a)은 상측의 가이드롤러(15a)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포기(11)가 비접지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록용 구멍(12a)은 상측의 가이드롤러(15a)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록핀(24)을 록용 구멍(12a)에 삽입하면, 가이드롤러(15a)가 록핀(24)에 맞닿기 때문에 본체 프레임(13)은 비접지위치보다 아래쪽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잘못하여 잭(23)의 지지가 해제되어 버려도 차륜(18)은 접지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포판(25)은 메인프레임(14) 및 호퍼(16)의 사이에 있어서, 개구(16a)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산포판(25)은 원판형의 플레이트(25a) 및 복수의 휜(25b)을 가지고 있다. 휜(25b)은 플레이트(25a)의 상면에 있어서, 플레이트(25a)의 중심부근에서 지름방향에 따라서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드라이븐 샤프트(21)는 산포판(25)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차륜(18)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차축(19), 차동장치(20) 및 드라이븐 샤프트(21)를 통하여 산포판(25)에 전달된다. 차폐판(26)은, 메인프레임(14)의 상면에 있어서 산포판(25)과 트럭(T)과의 사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산포기(11)를 사용한 융설제 분말의 산포작업에 대하여, 그 일예를 설명한다.
트럭(T)은 융설제 분말의 산포작업 이외의 용도에도 사용된다. 그러므로, 융설제 분말의 산포작업 이외의 때에는, 본체 프레임(13)이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되고, 본체 프레임(13)은 창고 등에 격납되어 있다. 이 때, 차륜(18) 및 스탠드(14a)의 지지에 의해, 본체 프레임(13)을 창고의 벽면에 세워 걸거나 옆으로 눕이지 않고, 본체 프레임(13)을 격납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융설제 분말의 산포작업시에는, 처음에 본체 프레임(13)을 출고시켜서 트럭(T)에 장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본체 프레임(13)을 트럭(T)근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우선, 스탠드(14a)를 지면으로부터 이간(離間)시키기 위해, 본체 프레임(13)을 기울인다. 그러면, 본체 프레임(13)은 차륜(18)에 의해서만 접지된 상태로 되므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본체 프레임(13)을 이동할 때에 핸들(22)을 사용위치에 배치하면, 이동은 용이해진다.
트럭(T)의 근방에 이동된 본체 프레임(13)을,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에 장착한다. 장착 후, 잭(23)을 신장시킴으로써, 본체 프레임(13)을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상승시켜, 비접지위치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록핀(24)을 록용 구멍(12a)에 삽입하여 본체 프레임(13)을 비접지위치에서 록한다. 개구(16a)를 덮개체(17)에 의해 폐쇄한 상태에서, 호퍼(16)에 융설제 분말을 투입한다. 보충용의 융설제 분말은 트럭(T)의 짐받이(N)에 적재해 두면 된다.
이상과 같은 상태로, 트럭(T)은 산포목적지까지 이동된다. 이 이동시에는,트럭(T)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일도 있지만, 차륜(18)은 비접지위치에 배치되므로 회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산포판(25)이 회전하는 일은 없다.
산포목적지에 도착하면, 록핀(24)을 떼고 본체 프레임(13)의 록을 해제한다. 그 후, 잭(23)을 수축시켜서 본체 프레임(13)을 자중에 의해 하강시켜, 접지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덮개체(17)를 회동조작하여 개구(16a)를 개방한다. 그러면, 융설제 분말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호퍼(16)로부터 산포판(25)상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트럭(T)이 주행하면, 접지위치에 있는 차륜(18)이 회전한다. 이 회전은 차축(19), 차동장치(20) 및 드라이븐 샤프트(21)를 통하여 산포판(25)에 전달된다. 그러면, 산포판(25)이 회전하므로, 산포판(25) 위에 공급된 융설제 분말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주위에 비산된다. 트럭(T)으로 향하여 비산된 융설제 분말은, 차폐판(26)에 의해 되튀긴다. 따라서, 융설제 분말은 트럭(T)의 진행방향의 후방으로 부채형으로 비산된다.
산포작업의 종료 후에는, 레버(17a)를 조작하여 개구(16a)를 폐쇄한다. 잭(23)을 신장시켜서 본체 프레임(13)을 비접지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록핀(24)을 록용 구멍(12a)에 삽입하고, 본체 프레임(13)을 비접지위치에서 록한다. 이렇게 하여, 차륜(18)을 비접지위치에 배치한다. 그러므로, 산포목적지에서 귀로시에 있어서, 트럭(T)이 고속주행되었다고 해도, 차륜(18)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산포판(25)이 회전하는 일은 없다.
제1 실시형태의 산포기(11)는,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트럭(T)의 주행시에 있어서, 산포판(25)을 회전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본체프레임(13)을 접지위치에 배치하고, 산포판(25)을 회전시키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 프레임(13)을 비접지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따라서, 클러치기구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채용하지 않고, 트럭(T)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산포판(25)의 회전/정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기구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채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빈번한 관리를 행하지 않아도 산포기(11)의 동작불량이 생기기 어렵고, 산포기(11)의 신뢰성은 향상된다.
호퍼(16), 산포판(25), 동력전달기구(19∼21) 및 차륜(18)은 본체 프레임(13)에 장착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3)은 가이드레일(12)에 대하여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13)을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의하여, 트럭(T)을 산포작업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차폐판(26)이 산포판(25)과 트럭(T)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럭(T)측에 융설제 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낭비를 막아 산포작업을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산포기에 대하여,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17)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17)는 수동조작에 의해 개구(16a)를 개폐한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32)는 산포판(25)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개구(16a)를 개폐한다.
산포판(25)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휜(25b)의 상단에, 가이드프레임(31)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프레임(31)은 직사각형이다. 한쌍의 덮개체(32)가 가이드프레임(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덮개체(32)는 가이드프레임(31)의 길이변에 따라서 슬라이드가능하다. 스프링(33)은 각 덮개체(32)를 가이드프레임(31)의 중앙으로 향하여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로써,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덮개체(32)는 서로 맞닿아 있다.
차륜(18)을 접지위치에 배치한 상태로, 트럭(T)이 주행하면, 산포판(25)이 회전한다. 산포판(25)이 회전하면, 가이드프레임(31)도 산포판(25)과 함께 회전한다. 이 때, 각 덮개체(32)에는, 각 덮개체(32)를 가이드프레임(31)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 즉, 개구(16a)를 개방하는 방향의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 원심력은, 산포판(25)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이 원심력이 스프링(33)의 바이어스힘보다 커지면, 각 덮개체(32)는 서로 이간된다. 이로써, 개구(16a)가 개방된다. 스프링(33)의 바이어스힘은, 트럭(T)의 주행속도가 소정치(예를 들면 3∼5km/h)를 넘었을 때에, 덮개체(32)가 서로 이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트럭(T)의 주행속도가 소정치에 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덮개체(32)는 서로 맞닿아 있다. 트럭(T)의 주행속도가 소정치를 넘으면, 각 덮개체(32)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스프링(33)의 바이어스힘을 상회한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덮개체(32)가 스프링(33)의 바이어스힘에 대항하여 이간되고, 개구(16a)가 개방되어, 융설제가 산포판(25) 위로 공급된다.
예를 들면 도로신호에 의해 정지할 때에, 트럭(T)의 주행속도가 소정치 이하로 되면, 산포판(25)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고, 각 덮개체(32)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스프링(33)의 바이어스힘을 하회한다. 따라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2)가 스프링(33)의 바이어스힘에 의해 개구(16a)를 폐쇄하고, 융설제 분말의 산포판(25) 위로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 결과, 신호대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회전하고 있지 않은 산포판(25) 위에 융설제 분말이 계속 공급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호퍼(16)내의 개구(16a)부근에 나선형의 스크류(35)가 배치되어 있다. 스크류(35)의 외경은 개구(16a)의 내경보다 크고, 개구(16a)를 폐쇄할 수 있다. 스크류(35)는 축(35a)을 가지고, 이 축(35a)은 플레이트(25a)를 통하여 드라이븐 샤프트(21)와 동축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35)는 산포판(25)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차륜(18)을 접지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트럭(T)이 주행하면, 호퍼(16)내의 융설제 분말이 스크류(35)의 나선형상에 따라서 개구(16a)로 향하여 순차 이송되고, 산포판(25)에 공급된다.
산포판(25)의 회전이 정지하면 스크류(35)의 회전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스크류(35)의 나선형상의 복잡함때문에, 호퍼(16)내의 융설제 분말은 개구(16a)로 향하여 이동되기 어렵고, 산포판(25) 위에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즉, 개구(16a)는 스크류(35)의 회전이 정지하면,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의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호퍼(16)를 본체 프레임(13)과 별체로 하는 것. 이 경우, 호퍼(16)는 트럭(T)의 짐받이(N) 위에 얹혀진다.
덮개체(17)에 조작케이블을 접속하고, 예를 들면 트럭(T)의 운전실로부터 덮개체(17)의 개폐를 조작가능하게 하는 것.
덮개체(17)에 액튜에이터를 접속하고, 예를 들면, 트럭(T)의 운전실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해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덮개체(17)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
잭(23)을 전동모터나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 이 경우, 본체 프레임(13)의 승강작업이 간단해 진다.
산포기(11)는, 융설제 분말 이외에, 예를 들면 종자, 농약, 비료와 같은 입자 및 분말을 산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포기에 의하면, 클러치기구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채용하지 않고, 트럭의 주행시에 있어서의 산포판의 회전/정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기구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채용하지 않으므로, 빈번한 관리를 행하지 않아도 산포기의 동작불량이 생기기 어렵고, 산포기의 신뢰성은 향상된다.

Claims (12)

  1. 산포할 물질을 수용하는 호퍼(16)와, 이 호퍼(16)는 밑에 개구(16a)를 가지고 있는 것과,
    상기 개구(16a)의 아래쪽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산포판(25)과, 상기 물질의 산포시에는, 상기 물질이 상기 호퍼(16)로부터 이 산포판(25) 위로 공급되는 것과,
    상기 산포판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13)과,
    상기 본체 프레임(1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차륜(18)과,
    상기 차륜(18)의 회전운동을 상기 산포판(25)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기구(19,20,21)와, 이 동력 전달기구(19,20,21)에 의해 상기 산포판(25)은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물질이 산포되는 산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T)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2)과, 상기 본체 프레임(13)은 이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승강가능하고, 상기 차륜(18)이 접지하는 접지위치와, 이 접지위치보다 위쪽의 비접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되는 것과를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16) 및 동력전달기구(19,20,21)는, 상기 본체 프레임(13)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3)은 상기 가이드레일(12)에 대하여 장착과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상기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차륜(18)을 설치한 상태에서, 차륜(18)을 인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산포기(11)는 인력으로 이동될 때에 운반자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들(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상기 가이드레일(1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자립한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14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포판(25)의 회전속도가 소정치 이하의 경우에 상기 개구(16a)를 폐쇄하는 폐쇄수단(31,32,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31,32,33)은, 상기 개구(16a)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체(32)와, 상기 개구(16a)를 폐쇄하도록 이 덮개체(32)를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수단(33)과, 이 덮개체(32)는 상기 산포판(25)의 회전에 따라서 생기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수단(33)의 바이어스힘에 대항하고, 상기 개구(16a)를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를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상기 가이드레일(12)에 따라서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23,G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지위치로 이동된 상기 본체 프레임(13)을, 그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4,12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16)내에 있어서, 상기 호퍼(16)로부터 상기 산포판(25) 위에 상기 물질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5,35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포판(25)과 차량(T)과의 사이에, 상기 물질이 상기 차량(T)으로 향하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포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분말형의 융설제인 산포기.
KR1019990001954A 1998-01-23 1999-01-22 산포기 KR100343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998-11464 1998-01-23
JP10011464A JPH11207223A (ja) 1998-01-23 1998-01-23 散布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73A KR19990068073A (ko) 1999-08-25
KR100343748B1 true KR100343748B1 (ko) 2002-07-19

Family

ID=1177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954A KR100343748B1 (ko) 1998-01-23 1999-01-22 산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207223A (ko)
KR (1) KR100343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3188B (zh) * 2010-07-14 2012-0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及显示装置
CN108849829B (zh) * 2018-08-21 2021-05-14 江苏松阳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治树木虫害的树木保护设备
CN109183703A (zh) * 2018-10-31 2019-01-11 新乡市时瑞公路养护技术有限公司 一种公路养护用融雪剂泼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73A (ko) 1999-08-25
JPH11207223A (ja) 199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2978B2 (ja) 搬送車両
US3693890A (en) Material spreader attachment for trucks
US4415303A (en) Auger wagon
EP3845482B1 (de) Fahrerloses transportfahrzeug mit einer mittels eines gewindespindelantriebs anhebbaren und absenkbaren lastaufnahmeplattform
KR100343748B1 (ko) 산포기
FR2528085A1 (fr) Dispositif gravillonneur porte
EP0948680B1 (en) Grinding machine for removing markings from paved surfaces
JPH02240307A (ja) 前方荷積み型損傷路面切断装置
US4861069A (en) Adjustable vehicle counterweight device with cylinder positioning means
US4157188A (en) Tag axle support for concrete mixer units
WO2021083628A1 (de) Fahrerlose transportvorrichtung und fahrerloses transportsystem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ahrerlosen transportvorrichtung und eines fahrerlosen transportsystems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EP3815956A1 (de) Fahrerlose transportvorrichtung und fahrerloses transportsystem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WO1988009614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tock feed
CA2852430A1 (en) Belly dump trailer
US5431481A (en) Side dumping trailer
KR100839897B1 (ko)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US3774709A (en) Live axle drive system
US3428200A (en) Spare tire carrier
US5180112A (en) Drive arm for a spreader
US5855466A (en) Vehicle discharge system
CN221137406U (zh) 小型搬运车、及其万向轮的锁向机构与车轮组件
CN107471930A (zh) 用于安装大型轮胎的防护物的装置及方法
CN213323793U (zh) 一种便于氰基咪唑生产下料用装取装置
DE19802427A1 (de) Streuvorrichtung mit einem Schleuderrad
KR200293755Y1 (ko) 트랙터의 트레일러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