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591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591B1
KR101978591B1 KR1020177030508A KR20177030508A KR101978591B1 KR 101978591 B1 KR101978591 B1 KR 101978591B1 KR 1020177030508 A KR1020177030508 A KR 1020177030508A KR 20177030508 A KR20177030508 A KR 20177030508A KR 101978591 B1 KR101978591 B1 KR 10197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conveyor
conveying device
rotates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925A (ko
Inventor
토시로 와다
아키히코 쿠보타
다이스케 아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2Endless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2)와, 예취한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3)와, 반송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4)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장치(2)와 상기 반송 장치(3)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한 콤바인(100)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3)가 상기 예취 장치(2)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4)로 곡간을 반송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반송 장치(3)는 상기 예취 장치(2)와 상기 반송 장치(3)의 회동 동작을 이용해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했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주행하면서 곡물의 줄기(이하, 곡간(穀稈)이라고 한다)를 예취하면서, 예취한 곡간을 탈곡하는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콤바인은, 예취 장치로부터 탈곡 장치까지 곡간을 반송하기 위해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는 곡간이 막히는 경우에 대비해 역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복잡하여,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한편, 예취 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취 장치와 반송 장치는 일체가 된 상태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는 곡간에 따라 예취 높이를 조절하거나 원활한 선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회동 동작을 이용하여 반송 장치를 역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콤바인이 요구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4-8301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4-176342호 공보
본 발명은, 예취 장치와 반송 장치의 회동 동작을 이용함으로써, 반송 장치를 역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예취 장치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에 곡간을 반송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예취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의 회동 동작을 이용해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축 혹은 상기 반송 장치에 연동하는 회전축에 한 방향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상기 회동 동작을 이용해 상기 회전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상기 로터의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2 형태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한 형태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컨트롤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기구는,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반송 장치는 예취 장치와 반송 장치의 회동 동작을 이용해 역방향으로 가동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응용한 콤바인은, 반송 장치에 곡간이 막혀도 반송 장치를 역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곡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축 혹은 반송 장치에 연동하는 회전축에 한 방향 회전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예취 장치와 반송 장치의 회동 동작을 이용해 회전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응용한 콤바인은 확실하게 반송 장치를 역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로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방향 회전 기구는 로터의 회전축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응용한 콤바인은 확실하게 로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컨베이어의 회전축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응용한 콤바인은 확실하게 컨베이어를 역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컨트롤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컨트롤 기구는 한 방향 회전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응용한 콤바인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반송 장치를 역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L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R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동력 전달 기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유압 작동 기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유압 작동 기구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유압 작동 기구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예취 장치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역가동 구조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역가동 구조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컨트롤 기구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역가동 구조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역가동 구조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은 컨트롤 기구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콤바인의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다른 콤바인의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콤바인(1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1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L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 R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한편, 도면에는 콤바인(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콤바인(100)은 주로 주행 장치(1), 예취 장치(2), 반송 장치(3), 탈곡 장치(4), 선별 장치(5), 저장 장치(6) 및 동력 장치(7)로 구성된다.
주행 장치(1)는 섀시(10)의 하방으로 마련된다. 주행 장치(1)는 트랜스미션(11) 및 크롤러 장치(12·12)로 구성된다. 트랜스미션(11)은 후술하는 엔진(71)의 회전 동력을 크롤러 장치(12·12)에 전달한다. 크롤러 장치(12·12)는 콤바인(100)을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킨다. 또한, 크롤러 장치(12·12)는 콤바인(100)을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예취 장치(2)는 주행 장치(1)의 전방에 마련된다. 예취 장치(2)는 릴(21), 커터(22) 및 오거(23)로 구성된다. 릴(21)은 논밭의 곡간을 일으킨다. 커터(22)는 릴(21)에 의해 일으켜진 곡간을 절단한다. 오거(23)는 커터(22)에 의해 절단된 곡간을 집합시켜 반송 장치(3)로 보낸다.
반송 장치(3)는 예취 장치(2)의 후방에 마련된다. 반송 장치(3)는 컨베이어(31)와 로터(32)로 구성된다. 컨베이어(31)는 오거(23)에 의해 이송된 곡간을 로터(32)까지 반송한다. 로터(32)는 컨베이어(31)가 반송해 온 곡간을 탈곡 장치(4)로 보낸다.
탈곡 장치(4)는 반송 장치(3)의 후방에 마련된다. 탈곡 장치(4)는 탈곡 로터(41)와 시브 메쉬(42)로 구성된다. 탈곡 로터(41)는 로터(32)에 의해 이송된 곡간을 탈곡한다. 또한, 탈곡 로터(41)는 곡간을 반송한다. 시브 메쉬(42)는 탈곡 로터(41)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을 지지함과 함께, 탈곡물을 선별 장치(5)로 낙하시킨다.
선별 장치(5)는 탈곡 장치(4)의 하방으로 마련된다. 선별 장치(5)는 요동 장치(51)와 송풍 장치(52)로 구성된다. 요동 장치(51)는 탈곡물을 체망에 쳐 곡립을 선별한다. 송풍 장치(52)는 곡립과 함께 낙하한 곡간이나 요동 장치(51) 위에 남은 곡간을 날려 버린다. 그 후, 곡간은 커터에 의해 재단되어 지푸라기로서 배출된다.
저장 장치(6)는 탈곡 장치(4) 및 선별 장치(5)의 측방에 마련된다. 저장 장치(6)는 곡물 탱크(61)와 오거(62)로 구성된다. 곡물 탱크(61)는 선별 장치(5)로부터 반송되어 온 곡립을 저장한다. 오거(62)는 곡물 탱크(61) 내의 곡립을 배출할 때 이용된다.
동력 장치(7)는 저장 장치(6)의 전방에 마련된다. 동력 장치(7)는 엔진(71)으로 구성된다. 엔진(71)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엔진(71)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회전 동력으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콤바인(100)의 동력 전달 기구(8)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동력 전달 기구(8)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동력 전달 기구(8)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8)는 트랜스미션(11) 외에 각종 전달 기구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예취 장치(2), 반송 장치(3) 및 탈곡 장치(4)를 구동하는 전방 전달 기구(8F) 및 선별 장치(5)를 구동하는 후방 전달 기구(8R)에 착안해 설명한다.
전방 전달 기구(8F)는 엔진(71)의 회전 동력을 이용해 예취 장치(2), 반송 장치(3) 및 탈곡 장치(4)를 구동한다. 전방 전달 기구(8F)에는 송풍 팬(521)의 센터 샤프트(522)를 개재해 엔진(71)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센터 샤프트(522)에는 풀리(811)가 장착되고, 풀리(811)에 벨트(812)가 걸려 있다.
전방 전달 기구(8F)는 로터리 샤프트(82)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2)에는 풀리(821)가 장착되고, 풀리(821)에 벨트(812)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2)는 센터 샤프트(522)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2)에는 풀리(822)가 장착되고, 풀리(822)에 벨트(823)가 걸려 있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2)는 기어 유니트(824)를 개재해 탈곡 로터(4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탈곡 로터(41)는 로터리 샤프트(82)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전방 전달 기구(8F)는 로터리 샤프트(83)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3)에는 풀리(831)가 장착되고, 풀리(831)에 벨트(823)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3)는 로터리 샤프트(82)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3)에는 스프로킷(832)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32)에 체인(833)이 걸려 있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3)는 로터(32)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로터(32)는 로터리 샤프트(83)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로터(32)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방 전달 기구(8F)는 로터리 샤프트(84)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4)에는 스프로킷(841)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41)에 체인(833)이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4)는 로터리 샤프트(83)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4)에는 스프로킷(842)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42)에 체인(843)이 걸려 있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4)는 컨베이어(31)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31)는 로터리 샤프트(84)와 일체가 된 상태로 가동한다. 컨베이어(3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방 전달 기구(8F)는 로터리 샤프트(85)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5)에는 스프로킷(851)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51)에 체인(843)이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5)는 로터리 샤프트(84)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5)에는 스프로킷(852)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52)에 체인(853)이 걸려 있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5)는 링크 유니트(854), 스윙 샤프트(855) 및 링크 유니트(856)를 개재해 커터(2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커터(22)는 로터리 샤프트(85)의 회전에 수반해 가동한다.
또한, 전방 전달 기구(8F)는 로터리 샤프트(86)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6)에는 스프로킷(861)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61)에 체인(853)이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6)는 로터리 샤프트(85)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6)에는 스프로킷(862)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62)에 체인(863)이 걸려 있다. 체인(863)은 별도로 마련된 스프로킷(864)에 걸려 있고, 스프로킷(864)과 함께 회전하는 스프로킷(865)에 체인(866)이 걸려 있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6)는 오거(23)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오거(23)는 로터리 샤프트(86)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또한, 전방 전달 기구(8F)는 로터리 샤프트(87)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7)에는 스프로킷(871)이 장착되고, 스프로킷(871)에 체인(866)이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7)는 로터리 샤프트(86)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7)에는 링크 유니트(872)가 장착되고, 링크 유니트(872)에 릴(21)이 장착된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7)는 릴(21)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릴(21)은 로터리 샤프트(87)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후방 전달 기구(8R)는 엔진(71)의 회전 동력을 선별 장치(5)에 전달한다. 후방 전달 기구(8R)에는, 송풍 팬(521)의 센터 샤프트(522)를 개재해 엔진(71)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센터 샤프트(522)에는 풀리(813)가 장착되고, 풀리(813)에 벨트(814)가 걸려 있다.
후방 전달 기구(8R)는 로터리 샤프트(88)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8)에는 풀리(881)가 장착되고, 풀리(881)에 벨트(814)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8)는 센터 샤프트(522)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8)는 컨베이어(53)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53)는 로터리 샤프트(88)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컨베이어(53)는 곡립을 곡물 탱크(61)로 반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후방 전달 기구(8R)는 로터리 샤프트(89)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샤프트(89)에는 풀리(891)가 장착되고, 풀리(891)에 벨트(814)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샤프트(89)는 센터 샤프트(522)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89)에는 풀리(892)가 장착되고, 풀리(892)에 벨트(893)가 걸려 있다. 한편, 로터리 샤프트(89)는 컨베이어(54)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54)는 로터리 샤프트(89)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컨베이어(54)는 곡립을 요동 장치(51)에 반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후방 전달 기구(8R)는 크랭크 샤프트(90)를 구비하고 있다. 크랭크 샤프트(90)에는 풀리(901)가 장착되고, 풀리(901)에 벨트(893)가 걸려 있다. 이 때문에, 크랭크 샤프트(90)는 로터리 샤프트(89)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한다. 한편, 크랭크 샤프트(90)는 요동 장치(51)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요동 장치(51)는 크랭크 샤프트(90)와 일체가 된 상태로 가동한다.
여기에서, 반송 장치(3)의 상세한 구조와 동작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컨베이어(31)의 구조와 로터(32)의 구조에 착안해 설명한다.
도 7은 반송 장치(3)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의 화살표 Dc는 반송 장치(3)를 구성하는 컨베이어(31)의 가동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화살표 Dr은 반송 장치(3)를 구성하는 로터(32)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장치(3)는 컨베이어(31)와 로터(32)로 구성된다.
컨베이어(31)는 평행으로 걸쳐진 2개의 체인(845)에 복수의 플레이트(846)가 건너놓인 구조로 되어 있다. 컨베이어(31)는 로터리 샤프트(84)와 일체가 된 상태로 가동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터리 샤프트(84)에는 2개의 스프로킷(844·844)이 장착되어 있다. 각 스프로킷(844·844)에는 각각 체인(845·845)이 걸려 있다. 그리고, 각 체인(845·845)에는 합계 10매의 플레이트(846)가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컨베이어(31)는 로터리 샤프트(84)가 회전하면, 로터리 샤프트(84)와 일체가 된 상태로 가동하는 것이다(화살표 Dc 참조). 이 때문에, 곡간은 플레이트(846)에 걸린 상태로 후방으로 반송된다. 한편, 컨베이어(31)는 곡간의 반송로가 되는 컨베이어 하우징(33)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오거(23)에 의해 이송된 곡간은 컨베이어 하우징(33)의 내부를 지나 로터(32)까지 반송된다.
로터(32)는 원통 형상 드럼(321)의 외주에 복수의 브레이드(322)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로터(32)는 로터리 샤프트(83)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터리 샤프트(83)에는 2개의 플랜지(834·834)가 장착된다. 한편, 드럼(321)에는 그 양단에 커버(321c·321c)가 장착된다. 그리고, 각 커버(321c·321c)에는 각각 플랜지(834·834)가 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로터(32)는 로터리 샤프트(83)가 회전하면, 로터리 샤프트(83)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다(화살표 Dr 참조). 이 때문에, 곡간은 브레이드(322)에 걸린 상태로 후방으로 반송된다. 한편, 로터(32)는 곡간의 반송로가 되는 로터 하우징(34)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31)가 반송해 온 곡간은 로터 하우징(34)의 내부를 지나 탈곡 장치(4)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콤바인(100)의 유압 작동 기구(9)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유압 작동 기구(9)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유압 작동 기구(9)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유압 작동 기구(9)는, 트랜스미션(11)에 내장된 무단 변속 장치(미도시) 외에, 각종 작동 기구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예취 장치(2)를 승강하는 예취 장치 작동 기구(9R) 및 예취 장치(2)의 릴(21)을 승강하는 릴 작동 기구(9S)에 착안해 설명한다.
예취 장치 작동 기구(9R)는 압력을 높인 작동유를 이용해 예취 장치(2)를 승강시킨다. 예취 장치 작동 기구(9R)에는 작동유 펌프(91)로부터 송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작동유 펌프(91)에는 작동유 배관(911)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11)에 분류판(912)이 접속된다. 또한, 분류판(912)에는 작동유 배관(913)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13)에 접속된 작동유 배관(914)을 개재해 분류 밸브(915)가 접속된다.
예취 장치 작동 기구(9R)는 전자기 절환 밸브(92)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기 절환 밸브(92)에는 작동유 배관(921)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21)이 분류 밸브(915)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전자기 절환 밸브(92)에는 작동유 펌프(91)로부터 송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또한, 전자기 절환 밸브(92)에는 작동유 배관(922·923)이 접속되고, 각각의 작동유 배관(922·923)이 파일럿 체크 밸브(924)에 접속된다. 또한, 전자기 절환 밸브(92)에는 작동유 배관(925)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25)이 다른 작동유 배관을 개재해 탱크(96)에 접속된다.
또한, 예취 장치 작동 기구(9R)는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에는 작동유 배관(931)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31)이 슬로우 리턴 체크 밸브(932)에 접속된다. 또한, 슬로우 리턴 체크 밸브(932)는 작동유 배관(933)을 개재해 파일럿 체크 밸브(924)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전자기 절환 밸브(92)가 작동했을 경우,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에는 전자기 절환 밸브(92)로부터 보내져 온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는 실린더(93S)로부터 로드(93R)가 밀려나와 신장된다. 한편, 슬로우 리턴 체크 밸브(932)는 작동유를 천천히 역류시킬 수 있어, 파일럿 체크 밸브(924)는 파일럿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작동유를 역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전자기 절환 밸브(92)가 작동했을 경우,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 내의 작동유는 전자기 절환 밸브(92)를 지나 탱크(96)로 되돌려진다. 이렇게 하여,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는 실린더(93S)로 로드(93R)가 끌어당겨져 수축된다.
릴 작동 기구(9S)는 전자기 절환 밸브(94)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기 절환 밸브(94)에는 작동유 배관(941)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41)이 분류 밸브(915)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전자기 절환 밸브(94)에는 작동유 펌프(91)로부터 송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또한, 전자기 절환 밸브(94)에는 작동유 배관(942·943)이 접속되고, 각각의 작동유 배관(942·943)이 파일럿 체크 밸브(944)에 접속된다. 또한, 전자기 절환 밸브(94)에는 작동유 배관(945)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45)이 다른 작동유 배관을 개재해 탱크(96)에 접속된다.
또한, 릴 작동 기구(9S)는 릴 승강용 실린더(95·95)를 구비하고 있다. 릴 승강용 실린더(95·95)에는 작동유 배관(951)이 접속되고, 작동유 배관(951)에 접속된 작동유 배관(952)을 개재해 슬로우 리턴 체크 밸브(953)에 접속된다. 또한, 슬로우 리턴 체크 밸브(953)는 작동유 배관(954)을 개재해 파일럿 체크 밸브(944)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전자기 절환 밸브(94)가 작동한 경우, 릴 승강용 실린더(95·95)에는 전자기 절환 밸브(94)로부터 송출된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릴 승강용 실린더(95·95)는 각각의 실린더(95S)로부터 로드(95R)가 밀려나와 신장되는 것이다. 한편, 슬로우 리턴 체크 밸브(953)는 작동유를 천천히 역류시킬 수 있어, 파일럿 체크 밸브(944)는 파일럿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작동유를 역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전자기 절환 밸브(94)가 작동한 경우, 릴 승강용 실린더(95·95) 내의 작동유는 전자기 절환 밸브(94)를 지나 탱크(96)로 되돌려진다. 이렇게 하여, 릴 승강용 실린더(95·95)는 각각의 실린더(95S)에 로드(95R)가 끌어당겨져 수축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예취 장치(2) 및 반송 장치(3)의 상세한 구조와 동작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예취 장치(2)의 승강에 관한 구조와 릴(21)의 승강에 관한 구조에 착안해 설명한다.
도 11은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면의 화살표 Lr은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의 회동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화살표 Ls는 릴(21)의 회동 방향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취 장치(2)는 릴(21), 커터(22) 및 오거(23)로 구성된다. 이 중 커터(22)와 오거(23)는 복잡하게 짜여진 프레임(25)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장치(3)는 컨베이어(31)와 로터(32)로 구성된다. 이 중 컨베이어(31)는 로터리 샤프트(84)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프레임(35)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25)과 프레임(35)은 용접되어 일체가 되어 있다.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는 실린더(93S)의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어 있고, 그 피스톤에 로드(93R)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93S)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피스톤의 슬라이딩과 함께 로드(93R)가 밀려나와 신장되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93S)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면 피스톤의 슬라이딩과 함께 로드(93R)가 끌어당겨져 수축되게 된다.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는 실린더(93S)에 마련된 클레비스의 핀홀과 섀시(10)에 고정된 브래킷(10B)의 핀홀을 겹친 상태로 핀(10P)이 삽입됨으로써, 그 핀(10P)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는 로드(93R)에 장착된 클레비스의 핀홀과 프레임(35)에 고정된 브래킷(35B)의 핀홀을 겹친 상태로 핀(35P)이 삽입됨으로써, 그 핀(35P)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는 예취 장치 승강용 실린더(93)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상하로 회동한다(화살표 Lr 참조). 즉, 이것이 예취 장치(2)의 승강에 관한 구조이다.
또한, 릴(21)은 프레임(26)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26)은 프레임(25)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 승강용 실린더(95)는 실린더(95S)의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어 있고, 피스톤에 로드(95R)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95S)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피스톤의 슬라이딩과 함께 로드(95R)가 밀려나와 신장되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95S)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면 피스톤의 슬라이딩과 함께 로드(95R)가 끌어당겨져 수축되게 된다. 릴 승강용 실린더(95)는 실린더(95S)에 장착된 클레비스의 핀홀과 프레임(25)에 고정된 브래킷(25B)의 핀홀을 겹친 상태로 핀(25P)이 삽입됨으로써, 그 핀(25P)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릴 승강용 실린더(95)는 로드(95R)에 마련된 클레비스의 핀홀과 프레임(26)에 고정된 브래킷(26B)의 핀홀을 겹친 상태로 핀(26P)이 삽입됨으로써, 그 핀(26P)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릴(21)은 릴 승강용 실린더(95)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상하로 회동한다(화살표 Ls 참조). 즉, 이것이 릴(21)의 승강에 관한 구조이다.
다음으로,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의 회동 동작을 이용함으로써, 반송 장치(3)를 역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3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36)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역가동 구조(36)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원에서는, 반송 장치(3)가 예취 장치(2)로부터 탈곡 장치(4)로 곡간을 반송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정의하고, 그 반대를 '역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역가동 구조(36)는 주로 한 방향 회전 기구(이후, '라체트(ratchet) 기구(37)'라고 한다)로 구성된다. 라체트 기구(37)는 캠 플레이트(371)와 레버(372)를 갖고 있다.
캠 플레이트(371)는 그 중심부에 로터리 샤프트(83)가 끼워진 상태로, 로터리 샤프트(83)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캠 플레이트(371)는 로터리 샤프트(83)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캠 플레이트(371)는 그 외주에 복수의 캠(371c)이 형성되어 있다. 캠(371c)은 순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위상의 변화에 따라, 캠 플레이트(371)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급격하게 멀어지는 평면과 거리가 서서히 가까워지는 평면으로 형성된 캠 페이스를 갖고 있다.
레버(372)는 그 지지단의 링부에 로터리 샤프트(83)가 끼워진 상태로, 로터리 샤프트(8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372)는 로터리 샤프트(83)나 캠 플레이트(371)의 회전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한다. 레버(372)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래치(373)를 구비한다. 래치(373)는 레버(37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374)에 의해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대해 맞닿도록 바이어스 되고 있다.
또한, 역가동 구조(36)는 링크 기구(38)를 구비한다. 링크 기구(38)는 브래킷(381)과 로드(382)를 갖고 있다.
브래킷(381)은 컨베이어 하우징(3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382)는 일단이 레버(37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브래킷(38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 역가동 구조(36)의 작동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당기기 때문에, 레버(372)가 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화살표 Ma 참조). 이때, 레버(372)와 함께 래치(373)도 회동하므로, 래치(373)가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눌러 캠 플레이트(371)를 회전시킨다(화살표 Mb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로터리 샤프트(8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아가서는 로터(3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화살표 Rr 참조). 또한, 로터리 샤프트(84)는 로터리 샤프트(83)의 회전에 연동하므로, 나아가서는 컨베이어(31)도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화살표 Rc 참조).
그 후,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누르기 때문에, 레버(372)가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화살표 Mc 참조). 이때, 레버(372)와 함께 래치(373)도 회동하지만, 래치(373)는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밀지 않고 미끄러져 인접하는 캠(371c)으로 이동한다(화살표 Md 참조). 따라서, 로터리 샤프트(83)는 순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로터(32)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컨베이어(31)도 가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로터(32)는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의 회동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조금씩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31)도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의 회동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조금씩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반송 장치(3)는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의 회동 동작을 이용해 역방향으로 가동한다. 이에 따라, 본 콤바인(100)은 반송 장치(3)에 곡간이 막혀도 반송 장치(3)를 역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곡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36)는, 컨베이어 하우징(33)의 내부에서 곡간이 막혔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곡간이 막혀 컨베이어 하우징(33)에 대한 컨베이어(31)의 마찰 저항이 커지는 것으로부터,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하방으로 회동시켰을 때, 그에 따라 컨베이어(31)가 순방향으로 가동되어, 역방향으로 가동하기 전의 위치(위상)로 돌아가 버리는 것이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로터(32)도 순방향으로 회전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의 위치(위상)로 돌아가 버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제2 래치(375)를 마련한 구조로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도 14 참조).
래치(375)는 로터 하우징(34) 등의 무가동의 구조체에 구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래치(375)는 로터 하우징(3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376)에 의해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대해 맞닿도록 바이어스 되고 있다.
이하, 제2 래치(375)를 마련한 역가동 구조(36)의 작동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당기기 때문에, 레버(372)가 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화살표 Ma 참조). 이때, 레버(372)와 함께 래치(373)도 회동하므로, 래치(373)가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눌러 캠 플레이트(371)를 회전시킨다(화살표 Mb 참조). 동시에, 래치(375)는 로터 하우징(34)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누르지 않고 미끄러져 인접하는 캠(371c)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터리 샤프트(8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아가서는 로터(3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화살표 Rr 참조). 또한, 로터리 샤프트(84)는 로터리 샤프트(83)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므로, 나아가서는 컨베이어(31)도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화살표 Rc 참조).
그 후,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누르기 때문에, 레버(372)가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화살표 Mc 참조). 이때, 레버(372)와 함께 래치(373)도 회동하지만, 래치(373)는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밀지 않고 미끄러져 인접하는 캠(371c)으로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Md 참조). 이는 래치(375)가 캠(371c)에 걸림으로써, 로터리 샤프트(83)의 회전을 멈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터리 샤프트(83)는 순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로터(32)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컨베이어(31)도 가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역가동 구조(36)는 컨트롤 기구(39)를 구비해도 된다(도 15 참조). 컨트롤 기구(39)는 라체트 기구(37)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래치(373)는 스프링(374)에 의해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바이어스 되고 있다.
컨트롤 기구(39)는 레버(391)와 와이어(392)를 갖고 있다.
레버(391)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 좌석의 근방에 배치된다. 와이어(392)는 일단이 레버(391)에 장착되고, 타단이 래치(373)에 장착된다. 와이어(392)는 스프링(374)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해 래치(373)를 당길 수 있다. 즉, 와이어(392)는 래치(373)가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대해 맞닿도록 래치(373)를 당길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래치(373)는 오퍼레이터가 레버(391)를 조작한 경우에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맞닿아, 캠(371c)에 걸리게 된다(화살표 Fa∼Fc 참조). 한편, 래치(375)를 갖는 경우는, 로드를 이용해 래치(375)와 래치(373)를 연결하고, 래치(373)에 연동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상으로부터, 컨트롤 기구(39)는 라체트 기구(37)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콤바인(100)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반송 장치(3)를 역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3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36)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역가동 구조(36)의 작동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원에서는 반송 장치(3)가 예취 장치(2)로부터 탈곡 장치(4)로 곡간을 반송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정의하고, 그 반대를 '역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역가동 구조(36)는 주로 라체트 기구(37)로 구성된다. 라체트 기구(37)는 캠 플레이트(371)와 레버(372)를 갖고 있다.
캠 플레이트(371)는 그 중심부에 로터리 샤프트(84)가 끼워진 상태로, 로터리 샤프트(8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캠 플레이트(371)는 로터리 샤프트(84)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캠 플레이트(371)는 그 외주에 복수의 캠(371c)이 형성되어 있다. 캠(371c)은 순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위상의 변화에 따라, 캠 플레이트(371)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급격하게 멀어지는 평면과 거리가 서서히 가까워지는 평면으로 형성된 캠 페이스를 갖고 있다.
레버(372)는 그 지지단의 링부에 로터리 샤프트(84)가 끼워진 상태로, 로터리 샤프트(84)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버(372)는 로터리 샤프트(84)나 캠 플레이트(371)의 회전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한다. 레버(372)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래치(373)를 구비한다. 래치(373)는 레버(37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374)에 의해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대해 맞닿도록 바이어스 되고 있다.
또한, 역가동 구조(36)는 링크 기구(38)를 구비한다. 링크 기구(38)는 브래킷(381)과 로드(382)를 갖고 있다.
브래킷(381)은 로터 하우징(34)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382)는 일단이 레버(37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브래킷(38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 역가동 구조(36)의 작동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밀어 고정하기 때문에, 레버(372)에 대해 캠 플레이트(371)만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화살표 Mh 참조). 이때, 캠 플레이트(371)는 레버(372)에 지지되는 래치(373)에 대해서도 회전하므로, 래치(373)가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미끄러져 인접하는 캠(371c)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터리 샤프트(8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아가서는 컨베이어(31)가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화살표 Rc 참조). 또한, 로터리 샤프트(83)는 로터리 샤프트(84)에 연동하므로, 나아가서는 로터(32)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화살표 Rr 참조).
그 후,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당겨 고정하기 때문에, 레버(372)에 대해 캠 플레이트(371)만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래치(373)가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걸려있으므로, 캠 플레이트(371)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터리 샤프트(84)는 순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컨베이어(31)도 가동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로터(32)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31)는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의 회동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조금씩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 또한, 로터(32)도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의 회동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조금씩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반송 장치(3)는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의 회동 동작을 이용해 역방향으로 가동한다. 이에 따라, 본 콤바인(100)은 반송 장치(3)에 곡간이 막혀도 반송 장치(3)를 역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곡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역가동 구조(36)는, 로터 하우징(34)의 내부에서 곡간이 막혔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즉, 곡간이 막혀 로터 하우징(34)에 대한 로터(32)의 마찰 저항이 커지면 컨베이어(31)도 움직이지 않게 되어,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상방으로 회동시켜도 컨베이어(31)가 정지한 상태가 되어 버린다.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로터(32)도 정지한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제2 브래킷(383)을 마련해 로드(382)를 장착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도 18 참조).
브래킷(383)은 컨베이어 하우징(33)에 구비된다. 그리고, 로드(382)는 일단이 레버(37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브래킷(381) 혹은 브래킷(383)의 어느 한 쪽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로드(382)를 브래킷(383)에 바꾸어 장착한 경우에서의 역가동 구조(36)의 작동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밀기 때문에, 레버(372)가 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화살표 Mi 참조). 이때, 레버(372)와 함께 래치(373)도 회동하므로, 래치(373)가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밀어 캠 플레이트(371)를 회전시킨다(화살표 Mj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로터리 샤프트(8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아가서는 컨베이어(31)가 역방향으로 가동하게 된다(화살표 Rc 참조). 또한, 로터리 샤프트(83)는 로터리 샤프트(84)의 회전에 연동하므로, 나아가서는 로터(32)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화살표 Rr 참조).
그 후, 예취 장치(2)와 반송 장치(3)(정확하게는 반송 장치(3)의 컨베이어(31))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도 11의 화살표 Lr 참조). 그러면,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82)가 레버(372)를 당기기 때문에, 레버(372)가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화살표 Mk 참조). 이 때, 레버(372)와 함께 래치(373)도 회동하지만, 래치(373)는 캠(371c)(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을 밀지 않고 미끄러져 인접하는 캠(371c)으로 이동한다(화살표 Ml 참조). 따라서, 로터리 샤프트(84)는 순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컨베이어(31)도 가동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로터(32)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역가동 구조(36)는 컨트롤 기구(39)를 구비해도 된다(도 19 참조). 컨트롤 기구(39)는 라체트 기구(37)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래치(373)는 스프링(374)에 의해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로부터 이격되도록 바이어스 되고 있다.
컨트롤 기구(39)는 레버(391)와 와이어(392)를 갖고 있다.
레버(391)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 좌석의 근방에 배치된다. 와이어(392)는 일단이 레버(391)에 장착되고, 타단이 래치(373)에 장착된다. 와이어(392)는 스프링(374)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해 래치(373)를 당길 수 있다. 즉, 와이어(392)는 래치(373)가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대해 맞닿도록 래치(373)를 당길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래치(373)는 오퍼레이터가 레버(391)를 조작한 경우에 캠 플레이트(371)(정확하게는 캠 페이스)에 맞닿아, 캠(371c)에 걸리게 된다(화살표 Fa∼Fc 참조).
이상으로부터, 컨트롤 기구(39)는 라체트 기구(37)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콤바인(100)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기초해 반송 장치(3)를 역방향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콤바인(20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다른 콤바인(200)의 반송 장치(3E)를 나타내고 있다.
반송 장치(3E)는, 전술한 반송 장치(3)와 비교해 거의 같은 구조이지만, 로터(32)를 구비하지 않은 점에서 상이하다. 이와 같은 반송 장치(3E)에 있어서도,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하는 것은 용이하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31)에 연동하는 로터리 샤프트(84E)에 라체트 기구(37)를 구비한다면,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31)를 구성하는 로터리 샤프트(84)에 라체트 기구(37)를 구비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콤바인의 기술에 이용 가능하다.
100 콤바인
3 반송 장치
31 컨베이어
32 로터
33 컨베이어 하우징
34 로터 하우징
37 라체트 기구(한 방향 회전 기구)
371 캠 플레이트
372 레버
373 래치
374 스프링
38 링크 기구
381 브래킷
382 로드
39 컨트롤 기구
391 레버
392 와이어

Claims (5)

  1.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예취한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컨베이어 하우징과 컨베이어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컨베이어를 갖고,
    상기 반송 장치의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로부터 상기 탈곡 장치에 곡간을 반송하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는 경우,
    상기 예취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 하우징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축 혹은 상기 반송 장치에 연동하는 회전축에 한 방향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상기 회동 동작을 이용해 상기 회전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를 구성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상기 로터의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트롤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 기구는, 상기 한 방향 회전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77030508A 2015-03-25 2016-03-09 콤바인 KR101978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3433 2015-03-25
JP2015063433A JP6215249B2 (ja) 2015-03-25 2015-03-25 コンバイン
PCT/JP2016/057289 WO2016152514A1 (ja) 2015-03-25 2016-03-09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25A KR20170129925A (ko) 2017-11-27
KR101978591B1 true KR101978591B1 (ko) 2019-05-14

Family

ID=5697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508A KR101978591B1 (ko) 2015-03-25 2016-03-09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5249B2 (ko)
KR (1) KR101978591B1 (ko)
CN (1) CN107426965B (ko)
WO (1) WO20161525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75A (ko) * 2020-01-15 2021-07-23 김상혁 콩 콤바인의 수확물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9371B2 (ja) * 2017-02-17 2019-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25580B2 (ja) * 2017-03-28 2019-12-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19377B2 (ja) * 2017-03-28 2019-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893158B2 (ja) * 2017-10-23 2021-06-23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0352697B (zh) * 2018-04-09 2022-05-17 迪尔公司 用于控制收割割台的操作参数的***以及农业收割机
CN113196938B (zh) * 2021-03-25 2022-05-03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药材植物的快速采收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862A (ja) 2000-09-07 2002-03-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5168324A (ja) 2003-12-08 2005-06-3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モニタ装置
JP2014176342A (ja) 2013-03-14 2014-09-25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46A (ja) * 1994-06-29 1996-01-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駆動装置
JP2001251946A (ja) * 2000-03-14 2001-09-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汎用コンバイン
JP3859570B2 (ja) * 2002-10-03 2006-12-2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1718542B1 (ko) * 2009-03-16 2017-03-2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곡립 반출 장치
JP2013128448A (ja) * 2011-12-21 2013-07-04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4083018A (ja) 2012-10-25 2014-05-1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6148512B2 (ja) * 2013-03-25 2017-06-1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3621246B (zh) * 2013-12-05 2017-06-23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防缠草的谷物联合收割机
CN203840767U (zh) * 2014-04-30 2014-09-24 柳州五菱柳机动力有限公司 一种全喂入联合收割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862A (ja) 2000-09-07 2002-03-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5168324A (ja) 2003-12-08 2005-06-3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モニタ装置
JP2014176342A (ja) 2013-03-14 2014-09-25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75A (ko) * 2020-01-15 2021-07-23 김상혁 콩 콤바인의 수확물 이송장치
KR102361533B1 (ko) * 2020-01-15 2022-02-10 김상혁 콩 콤바인의 수확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25A (ko) 2017-11-27
WO2016152514A1 (ja) 2016-09-29
CN107426965B (zh) 2020-01-21
JP6215249B2 (ja) 2017-10-18
CN107426965A (zh) 2017-12-01
JP2016182055A (ja)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591B1 (ko) 콤바인
US4063375A (en) Conveyor folding and moldboard operation for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s
KR102307155B1 (ko) 콤바인
JP4944541B2 (ja) グラブバケット式揚土装置およびスラリ状土砂の空気圧式輸送システム
JP4401785B2 (ja) 公道外運搬装置用の後部排出ボディ
US20130334864A1 (en) Foldable conveyor
US4183158A (en) Conveyor folding and deflector operation for excavating and loading systems
JP2013183714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貯留構造
JP6693862B2 (ja) コンバイン
JP5932600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06238799A (ja) 走行型芝刈機
JP6837422B2 (ja) コンバイン
JP2006296332A (ja) 野菜収穫機
CA2995806C (en) Portable bulk material conveyor with arrangement for positioning discharge
JP2012235762A (ja) コンバイン
JP5130807B2 (ja) 根菜掘取機
JP4507800B2 (ja) コンバイン
JP6571427B2 (ja) ロールベーラ
JP6073057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6832838B2 (ja) コンバイン
JP6837421B2 (ja) コンバイン
JP2015144587A (ja) コンバインの排藁処理装置
JP4136707B2 (ja) コンバイン
JP2006238796A (ja) 走行型芝刈機
JP2013090591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