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231B1 -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231B1
KR101913231B1 KR1020120091602A KR20120091602A KR101913231B1 KR 101913231 B1 KR101913231 B1 KR 101913231B1 KR 1020120091602 A KR1020120091602 A KR 1020120091602A KR 20120091602 A KR20120091602 A KR 20120091602A KR 101913231 B1 KR101913231 B1 KR 10191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ag
bag
inlet
retain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053A (ko
Inventor
마나부 모리노
나미요시 다나카
마사카즈 세토자키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과제) 배깅 제품(2)을 외장포대(3)에 수용하고, 외장포대(3)의 입구를 부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경우에,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헤드 스페이스부와 밀봉부)의 일부가 외장포대(3)의 밀봉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외장포대(3)내에 포장된 배깅 제품(2)의 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연직인 축부(5a)와 수평인 굴곡부(5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L자형 부재(5)을 외장포대가 개구하는 입구로부터 삽입하고,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의 한 쪽에 배치하고, 축부(5a)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면내에서 선회하는 굴곡부(2b)를 상기 비충전부(2b)에 접촉시키고, 계속하여 반대측으로 접는다. 계속하여 외장포대(3)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닫고, 이에 따라 외장포대(3)의 내면에 의하여 비충전부(2b)를 눌러서 접은 상태로 지지하고, L자형 부재(5, 5)를 반대로 회전시켜 외장포대(3)의 입구에서 상방으로 뽑아낸 후에 외장포대(3)의 입구를 밀봉한다.

Description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THE PACKAGING METHOD AND THE PACKAGING SYSTEM}
본 발명은, 피포장물(被包裝物)이 충전(充塡)된 포장포대(包裝包袋)(배깅 제품(bagging 製品))를 외장포대(外裝包袋)에 수용하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포장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포대라 함은 포대는 물론 자루, 봉지, 봉투 등을 총괄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비교적 딱딱하고 부정형(不定形)의 벌크물(bulk 物) 등의 피포장물을 팽팽하게 충전한 포장포대(배깅 제품)는, 일반적으로 피포장물이 팽팽하게 충전된 충전부(充塡部)와 상기 충전부의 위에 연속해 있는 비충전부(非充塡部)(헤드 스페이스부와 입구 밀봉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배깅 제품은, 유통 등의 과정에서 피포장물에 의하여 포대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동(同) 배깅 제품을 보호하는 목적에서 외장포대에 의하여 더 포장하는 경우가 있다.
배깅 제품을 외장포대에 의하여 포장하는 경우에, 외장포대 포장후의 최종제품의 미감(팽팽한 감 등)을 고려하여 외장포대의 크기는 배깅 제품의 크기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외장포대내에 수용되었을 때의 배깅 제품은, 그 비충전부의 일부가 외장포대의 입구 밀봉 예정부에 도달하고 있고, 그 상태에서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면,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일부가 외장포대의 밀봉부에 끼어지는 등 외장포대의 입구밀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분립체(粉粒體)를 포대에 충전한 후에 포대내에 승강식의 가압봉을 삽입하고, 동(同) 가압봉에 의하여 포대내의 분립체를 스탬프 한 후에 입구를 밀봉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외장포대의 입구밀봉에 있어서,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일부가 외장포대의 밀봉부에 끼이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특허문헌1의 기술을 적용하고, 외장포대내에 수용된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를 가압봉 등에 의하여 스탬프 하여 평평하게 고르고, 그 후에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는 것이 일단 생각된다.
그러나 외장포대로부터 가압봉을 상승시키면,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기 전에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여, 비충전부의 일부가 다시 외장포대의 입구밀봉 예정부에 도달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령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비충전부가 찌그러진 상태에서 외장포대내에 포장되어 있으면, 배깅 제품의 미관이 손상되어 제품가치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62-38809호 공보
본 발명은, 배깅 제품을 외장포대에 수용하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경우에,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헤드 스페이스부와 입구밀봉부)의 일부가 외장포대의 밀봉부에 끼어져, 끼이기 밀봉 등의 밀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외장포대내에 포장된 배깅 제품의 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에 있어서, 배깅 제품은 피포장물이 충전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위에 연속해 있는 비충전부로 이루어지고, 비충전부는 헤드 스페이스부와 밀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의 길이방향이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외장포대내에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은, 이러한 형태에서 배깅 제품을 수용한 외장포대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것으로서, 각각 연직인 축부와 수평인 굴곡부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기 외장포대가 개구하는 입구에서 상기 외장포대내에 삽입하여 상기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한 쪽에 배치하고, 상기 L자형 부재를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면내에서 선회하는 상기 굴곡부를 상기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에 접촉시키고, 계속하여 상기 비충전부를 반대측으로 접어넣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폐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외장포대의 내면에서 상기 비충전부를 눌러서 접어넣은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굴곡부를 상기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평행으로 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승시키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방으로 뽑아낸 후에,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일치'한다고 함은 물리적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물론 거의 일치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동일하다.
또한 '연직', '수평', '수평면', '평행'이라고 함은, 물리적으로 정확히 연직, 수평 또는 평행인 것은 물론 대략 연직, 수평 또는 평행인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동일하다.
또한 'L자형 부재'라고 함은, 물리적으로 정확히 L자형인 부재는 물론 대략 L자형인 부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동일하다.
상기 포장방법의 바람직한 1개의 형태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방으로 뽑아낸 후에,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가 편평한 형상으로 폐쇄된 상태 그대로,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서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팽팽하게 된 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방법에 있어서, 외장포대는 예를 들면 리테이너에 수용되거나 또는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매달어 이송된다. 전자의 경우에,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폐쇄하기 위해서는 입구폐쇄수단이 별도로 필요하며, 후자의 경우에,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장 시스템은, 상기 포장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깅 제품을 수용한 외장포대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내에 수용된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를 접는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구비하는 접기장치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폐쇄하는 입구폐쇄장치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는 입구밀봉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기장치의 L자형 부재는, 연직인 축부와 수평인 굴곡부로 이루어지고, 외장포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승하였을 때에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방에 위치하고, 하강하였을 때에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기 외장포대내로 들어가서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한 쪽에 위치하고, 또한 L자형 부재는 하강한 위치에서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 때에 상기 굴곡부는 수평면내에서 선회하여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에 접촉하고 계속하여 상기 비충전부를 반대측으로 접어넣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가 폐쇄된 후에 회전하여 상기 굴곡부를 상기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평행하게 하고, 계속하여 상승하여 외장포대로부터 빠진다.
상기 포장 시스템은 예를 들면 다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또한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는 좌우의 그리퍼를 구비한다. 이 그리퍼는 L자형 부재가 상승하여 외장포대로부터 빠진 후에 상기 외장포대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고, 계속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넓혀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상기 열판이 상기 외장포대의 팽팽하게 된 입구를 밀봉한다.
(2)외장포대가 리테이너에 수용되어, 상기 외장포대는 리테이너별로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3)입구폐쇄장치가, 외장포대의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입구 근방을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는 정형부재를 구비한다. 이 정형부재는 외장포대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상기 이송장치가 외장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포대가 상기 그리퍼에 협지되어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 좌우의 그리퍼가 상기 입구폐쇄장치를 겸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깅 제품을 외장포대에 수용하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경우에,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일부가 외장포대의 밀봉부에 끼여, 끼이기 밀봉 등의 밀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외장포대내에 포장된 배깅 제품의 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를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에 대하여 도1∼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장포대(1)에 수용되는 배깅 제품(2)은, 피포장물이 팽팽하게 충전된 충전부(2a)와 그 위에 연속해 있는 편평한 모양의 비충전부(2b)로 이루어진다. 비충전부(2b)는 충전부(2a)에 계속되는 헤드 스페이스부와 상단의 밀봉부로 이루어진다. 배깅 제품(2)은, 비충전부(2b)(헤드 스페이스부와 밀봉부)의 길이방향(포대폭방향)의 방향이 외장포대(1)의 포대폭방향과 일치하도록 외장포대(1)내에 수용되어 있다. 외장포대(1)는 거세트 포대(gusset 包袋)이다.
도1에 나타내는 포장 시스템은, 배깅 제품(2)을 수용한 외장포대(1)를 리테이너(3)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별로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경로상에서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를 일방의 측으로 접어넣고, 외장포대(1)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닫고, 또한 외장포대(1)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것이다.
이 포장 시스템은, 리테이너(3)(외장포대(1))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장치(4)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외장포대(1)내에 수용된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를 접는 접기장치(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5, 5) 만을 나타낸다)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외장포대(1)의 입구를 폐쇄하는 입구폐쇄장치(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 만을 나타낸다)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외장포대(1)의 입구를 밀봉하는 입구밀봉장치(열판(15, 15), 열판(16, 16) 및 냉각판(17, 17) 만을 나타낸다) 및 복수조의 좌우 한 쌍의 그리퍼(18, 18)로 이루어진다. 19는, 본 시스템에 의하여 외장포대(1)의 입구를 밀봉한 후에, 이송장치(4)의 이송경로로부터 꺼내진 리테이너(3)(외장포대(1))를 반출하는 콘베이어이다.
이송장치(4)는, 직선적인 이송경로를 구비하는 공급 콘베이어(21)와, 리테이너 이송부재(22)와, 원형의 이송경로를 구비하는 로터리 콘베이어(23)로 이루어진다.
공급 콘베이어(21)는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콘베이어 롤러로 이루어지고, 외장포대(1)를 수용한 리테이너(3)를 직선 모양의 이송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한다. 공급 콘베이어(21)상에서 이송되는 모든 리테이너(3)는, 폭방향(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중심이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중심선(Co)상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된다. 또한, 리테이너(3)는 평평한 바닥판(24)과 사각형의 프레임(25)으로 이루어진다.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상에 리테이너(3)가 정지하는 복수의 정지위치가 등간격으로 설정되고, 그 중에 하나인 포대공급위치(A)에서는, 상방으로부터 접기선이 열린 거세트 포대로 이루어지는 외장포대(1)가, 포대폭방향이 상기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향하도록 리테이너(3)에 삽입된다. 외장포대(1)는 거세트 포대로 이루어지고, 접기선이 열린 상태에서 리테이너(3)에 수용된다. 리테이너(3)의 프레임(25)은, 접기선이 열린 상태의 외장포대(1)보다 평면에서 볼 때에 약간 크게 제작되어 있다.
다음의 정지위치는 수용위치(B)로서, 배깅 제품(2)이 외장포대(1)내에 수용된다.
또한 다음의 정지위치는 접기시작위치(C)이다. 이 접기시작위치(C)에서는 공급 콘베이어(21)의 반송면의 중앙부에 공간(21a)이 형성되고, 이 공간(21a) 내에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대기하고 있다. 공간(21a)의 전방측(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전방측)에는 콘베이어 롤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도5 참조). 또한 접기시작위치(C)의 위에는 상기 접기장치(한 쌍의 L자형 부재(5, 5))와, 상기 입구폐쇄장치(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대기하고 있다.
다음에 리테이너 이송부재(22)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로터리 콘베이어(23)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터리 콘베이어(23)는, 수평으로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8개의 리테이너 지지대(26)를 구비한다. 리테이너(3)는 리테이너 지지대(26)상에 수평으로 재치되고, 리테이너(3)내의 외장포대(1)는, 그 포대폭방향이 상기 이동경로에 대하여 접선방향을 향하고, 리테이너 지지대(2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로터리 콘베이어(23)의 각 리테이너 지지대(26)에 대응하여 좌우 한 쌍의 그리퍼(18, 18)가 설치되어 있다. 각 그리퍼(18, 18)는 리테이너 지지대(26)와 함께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개폐하고 또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힌다. 각 그리퍼(18, 18)는 리테이너(3)에 수용된 외장포대(1)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다. 이하, 그리퍼(18, 18) 및 리테이너 지지대(26)의 이동경로를 특히 구별하지 않고, 로터리 콘베이어(23)의 이동경로라고 할 경우가 있다.
각 리테이너 지지대(26)는, 대응하는 그리퍼(18, 18)와 함께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1회전 하는 사이에 8회 정지(정지위치(D∼K))한다. 정지위치(F, G, H)에 상기 입구밀봉장치(열판(15, 15), 열판(16, 16) 및 냉각판(17, 17))가 배치되어 있다.
최초의 정지위치(D)는, 로터리 콘베이어(23)가 리테이너 이송부재(22)로부터 외장포대(1)를 수용한 리테이너(3)의 공급을 받는 공급위치(이하, 정지위치(D)를 공급위치(D)라고도 한다)이다. 이 공급위치(D)에서 리테이너 지지대(26)의 위에 리테이너(3)가 재치되고, 그리퍼(18, 18)가 닫혀서 외장포대(1)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다. 리테이너 지지대(26) 및 그리퍼(18, 18)가 이동하여 정지위치(F)에 도달하기 전에, 그리퍼(18, 18)가 상호간의 간격을 넓혀 외장포대(1)의 입구를 팽팽하게 한다.
정지위치(F)는 제1밀봉위치(이하, 정지위치(F)를 제1밀봉위치(F)라고도 한다)로서, 동 위치 근방에 입구밀봉용의 한 쌍의 열판(15, 15)이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 지지대(26)가 제1밀봉위치(F)에 정지하였을 때에 열판(15, 15)이 닫혀, 외장포대(1)의 입구를 협지하여 밀봉한다. 정지위치(G)는 제2밀봉위치로서, 한 쌍의 열판(16, 16)이 배치되어, 그리퍼(18, 18)가 동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열판(16, 16)이 닫혀 입구의 2번째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정지위치(H)는 냉각위치로서, 입구를 냉각하는 냉각판(17, 17)이 배치되어, 그리퍼(18, 18)가 동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에 냉각판(17, 17)이 닫혀 입구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리테이너 지지대(26)가 정지위치(J)에 정지했을 때에, 그리퍼(18, 18)가 열려서 외장포대(1)를 해방하고, 계속하여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외장포대(1)를 수용한 리테이너(3)가 콘베이어(19)상에 이송되어, 다음의 공정위치를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퍼(18, 18)는, 리테이너 지지대(26)와 함께 공급위치(D)에 도달하기 전에 상호간의 간격을 좁힌다.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중심선(Co)의 연장선상에, 리테이너 지지대(26) 및 그리퍼(18, 18)의 상기 이동경로의 축심(Ax)이 위치한다. 공급위치(D)에 정지한 좌우의 그리퍼(18, 18)의 중심위치(좌우의 그리퍼(18, 18)의 사이의 중앙위치)(Go)는, 상기 중심선(Co)과 상기 축심(Ax)을 포함하는 연직면상에 위치한다. 공급 콘베이어(21)에 의하여 이송되는 리테이너(3)에 수용된 외장포대(1)의 포대폭방향의 중심위치가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중심선(Co)상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외장포대(1)의 폭대폭방향의 중심위치도 상기 연직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송장치(4)의 일부인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도2 참조), 프레임(27)과, 프레임(27)에 회전하도록 외팔보(cantilever)로 지지된 2개의 롤러(28, 29)로 이루어진다. 롤러(28, 29)는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접기시작위치(C)에 정지한 리테이너(3)를 수평으로 재치하여 로터리 콘베이어(23)의 이동경로의 공급위치(D)까지 이송한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이동하고, 그 이동경로(리테이너(3) 및 외장포대(1)의 이송경로)는, 상기 접기시작위치(C)에서의 연직상승,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와 평행한 수평직선이동, 상기 공급위치(D)에서의 연직하강이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접기시작위치(C)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공급 콘베이어(21)와 상보형상을 구비한다. 즉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상기 접기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21)의 반송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21a)에 삽입되고, 연직상승에 있어서 콘베이어 롤러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공간(21a)내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공간(21a)은 공급 콘베이어(21)의 상기 이송경로의 전방측이 개방되어(도5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후퇴(복귀)하여 오는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콘베이어 롤러의 간섭을 받지 않고 진입 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평면에서 볼 때에 리테이너 지지대(26)와 상보형상을 구비하고, 프레임(27) 및 롤러(28, 29)에 둘러싸인 공간(22a)은 그 이동경로의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터리 콘베이어(23)의 공급위치(D)를 향하여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수평면내를 직선으로 이동하여 온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리테이너 지지대(26)와 서로 간섭하는 않아, 상기 리테이너 지지대(26)를 상기 공간(22a)내로 진입시키고 또한 그 상태에서 연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접기장치는, 도2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굴곡된 로드(rod)의 형태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5, 5)를 구비한다. L자형 부재(5, 5)는, 각각 연직인 축부(5a)와 수평인 굴곡부(5b)로 이루어지고, 리테이너 이송부재(22)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또한 축부(5a)를 중심으로 회전(굴곡부(5b)는 축부(5a)를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선회)한다. 이러한 L자형 부재(5, 5)는, 외장포대(1)내에 수용된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를 일방향으로 접는 작용을 구비한다.
상기 입구폐쇄장치는, 도2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지지축(6a, 6a)을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정형부재(6, 6)와, 마찬가지로 지지축(7a, 7a)을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전하는 다른 한 쌍인 정형부재(7, 7)와, 각각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자세로 배치되어 그 자세인채로 서로 접리(接離)하고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22)에 대하여 승강하는 4개의 판상의 접기용 인너폴(8, 9, 10, 11)과, 마찬가지로 상기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자세로 배치되어 그 자세인채로 서로 접리하는 한 쌍의 판상의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을 구비한다. 거세트 포대의 입구를 정형하는 이러한 부재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제418242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14277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5-7920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0-2539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자체는 공지의 것이다. 이들 부재는 또한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이동경로(리테이너(3) 및 외장포대(1)의 이송경로)를 따라 리테이너 이송부재(22)와 함께 이동한다.
이하, 도2∼11을 참조하여, L자형 부재(5, 5),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접기용 아우터폴(12, 13) 및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기능과 작동 및 이동경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2∼11에는 각 부재의 작동기구 및 이동기구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생략되어 있다.
도2는,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접기시작위치(C)에 리테이너(3) 및 외장포대(1)가 정지했을 때의 L자형 부재(5, 5),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접기용 아우터폴(12, 13) 및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배치(초기위치)를 나타낸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상면(리테이너(3)를 재치하는 면)은, 접기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21)의 반송면의 약간 하방에 위치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22)와 접기시작위치(C)로 이송되는 리테이너(3)의 간섭이 방지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5, 5)는, 접기시작위치(C)에 있어서 동 위치에 정지한 외장포대(1)의 중앙부 상방위치에 굴곡부(5b, 5b)의 선단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 보게 하고, 공급 콘베이어(21)의 상기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인 면내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는, 접기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외장포대(1)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는 각각 수평면내에서 회전하여 개폐하고, 닫혔을 때에 외장포대(1)의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도2에서는,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는 각각 열려서 대피위치에 와 있어, 상기 접기시작위치(C)로 이송되는 리테이너(3) 및 외장포대(1)와의 간섭이 방지되어 있다.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은 서로 접근하여 집합된 상태에서, 이송시작위치(C)에 정지한 포대(2)의 중앙부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은 각각 외측을 향한 홈(8a, 9a, 10a, 11a)을 구비한다.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포대(2)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은 접기용 아우터폴(12, 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정형부재(6, 6, 7, 7)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3은,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리테이너(3)와 외장포대(1)를 재치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연직으로 상승하고, 한편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이 소정의 거리만큼 연직으로 하강하여,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이 외장포대(1)가 개구하는 입구로부터 입구 내부의 소정의 위치(외장포대(1)의 상단과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의 상단이 거의 같은 높이가 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정형부재(6, 6, 7, 7)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승강하지 않는다.
도4는, 계속하여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이 집합상태로부터 동시에 대략 방사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떨어져 소정의 위치로 분산되어서 정지하고, L자형 부재(5, 5)가 연직으로 하강하여 외장포대(1)내에 삽입되어, 굴곡부(5b, 5b)가 배깅 제품(2)의 충전부(2a)의 상단 근방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접기용 인너폴(8, 9)과 접기용 인너폴(10, 11)은,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중심선(Co)을 지나는 연직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대칭성을 유지하면서 접리한다. 사방으로 분산된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은 입구 내면의 네 구석에 접촉하고, 개구한 입구는 내측으로부터 대략 방사방향으로 밀려 4각형상으로 팽팽한 상태가 된다.
계속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와 평행하게 로터리 콘베이어(23)의 공급위치(D)를 향하여 수평이동을 시작한다. 이 수평이동의 사이에, L자형 부재(5, 5),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리테이너 이송부재(22)를 추종하여 같이 수평으로 이동한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상기 공급위치(D)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L자형 부재(5, 5)가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깅 제품(2)의 중앙 부근(폭방향과 수직방향인 중앙 부근), 즉 비충전부(2b) 근방까지 수평으로 이동하고, 계속하여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부(5a, 5a)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중심선(Co)을 지나는 연직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대략 90도 회전한다. 이에 따라 L자형 부재(5, 5)의 굴곡부(5b, 5b)가 수평면내에서 선회하여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에 접촉하고, 계속하여 상기 비충전부(2b)를 일방향(이 예에서는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이동방향전방)으로 접는다.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는, L자형 부재(5, 5)의 굴곡부(5b, 5b)에 의하여 충전부(2a)의 상면으로 평평하게 눌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고, 외장포대(1)의 측부 중앙의 접기라인(1a)에 접촉하여 내측을 향하여 압입하고, 동시에 접기용 인너폴(8, 9) 및 접기용 인너폴(10, 11)이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여, 외장포대(1)의 측부를 접어넣어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한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외장포대(1)의 측부의 접어넣기가 완료한 시점에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형부재(6, 6)와 정형부재(7, 7)가 수평면내에서 회전하여 닫히고, 외장포대(1)의 입구 근방에 있어서 주로 양측부가 접어넣어진 장소를 외측으로부터 수평으로 협지하고,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함과 아울러 그 편평화된 형상을 유지한다. 계속하여 L자형 부재(5, 5)가 축부(5a, 5a)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대략 90도, 이전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원래의 배치(굴곡부(5b, 5b)의 선단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 보게 하고,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에 대하여 수직인 면내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조작에 의하여 배깅 제품(2)의 비충전부(2b)는, L자형 부재(5, 5)의 굴곡부(5b, 5b)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벗어나지만, 외장포대(1)의 입구가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됨으로써 상기 외장포대(1)의 내면에 의하여 눌려져 접어넣어진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다음에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외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떨어진다. 이것은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로터리 콘베이어(23)의 이송경로의 공급위치(D)에 도달했을 때에, 동 위치에 있어서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그리퍼(18, 18)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L자형 부재(5, 5)가 상승하여 외장포대(1)의 입구로부터 빠져나간다. 이 사이에, 좌우의 그리퍼(18, 18)와 리테이너 지지대(26)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접근하고, 계속하여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한다. 그 타이밍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상기 공급위치(D)에 더 접근하여 리테이너 지지대(26)가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상기 공간(22a)내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한다. 이때의 상태를 도8에 나타낸다. 리테이너 지지대(26)가 상기 공간(22a)내로 진입하고 있다.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하면, 즉시 그리퍼(18, 18)가 닫혀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된 외장포대(1)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한다(도9 참조). 또한, 그리퍼(18, 18)가 협지하는 위치는, 정형부재(6, 6, 7, 7)가 협지한 위치를 벗어난 그 상방위치이다. 또한 입구가 접어넣어진 장소에는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이 들어가 있지만, 그리퍼(18, 18)가 협지하는 장소에는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의 홈(8a, 9a, 10a, 11a)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퍼(18, 18)가 실제로 협지하는 것은 외장포대(1) 만이다.
계속하여 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상기 공급위치(D)에서 연직으로 하강하고, 리테이너(3)를 리테이너 지지대(26)상에 재치하고,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를 더 하강한다. 또한, 리테이너(3)의 하강거리(리테이너 이송부재(22)가 상기 공급위치(D)에 정지한 시점에서의 리테이너(3)의 저면과 리테이너 지지대(26)의 상면의 높이의 차이)는 아주 약간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기용 인너폴(8, 9) 및 접기용 인너폴(10, 11)이 내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여 측부의 접어넣기 부분으로부터 벗어나고, 정형부재(6, 6) 및 정형부재(7, 7)가 열려서 외장포대(1)를 해방하고 원래의 대피위치로 되돌아 온다. 한편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와 평행하게 후퇴를 시작한다.
또한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기용 인너폴(8, 9, 10, 11)이 연직으로 상승하여 외장포대(1)의 입구로부터 빠져 나간다. 이에 따라 외장포대(1)의 입구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이후에는, 리테이너 이송부재(22)는 수평면내를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와 평행하게 후퇴하고, 상기 이송경로의 접기시작위치(C)에 있어서 공급 콘베이어(21)의 공간(21a)내로 진입하여, 상기 초기위치(도2 참조)로 복귀한다. L자형 부재(5, 5),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도, 수평면내를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와 평행하게 후퇴하여 상기 초기위치(도2 참조)로 복귀한다.
이상의 예 이외에도,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상기의 예에서는, 정형부재(6, 6, 7, 7)가 닫혀서 외장포대(1)의 입구를 협지하고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한 후에도, L자형 부재(5, 5),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리테이너 이송부재(22) 및 정형부재(6, 6, 7, 7)와 함께 로터리 콘베이어(23)의 이송경로의 공급위치(D)까지 또는 그 근방위치까지 외장포대(1)의 내부에 들어간 채 또는 외장포대(1)의 입구의 접어넣기 부분에 끼인 채로 이동했지만, 정형부재(6, 6, 7, 7)가 닫혀서 외장포대(1)의 입구를 협지한 후에 즉시 외장포대(1)내로부터 빠져나가거나 또는 외장포대(1)의 상기 접어넣기 부분으로부터 벗어나도 좋다.
(2)상기의 예에서는, 정형 및 이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이동중에 L자형 부재(5, 5), 정형부재(6, 6, 7, 7),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이 상기 리테이너 이송부재(22)의 이동에 추종하면서, 접기 및 정형작동을 하였지만, 예를 들면 공급 콘베이어(21)의 이송경로의 접기시작위치(C) 또는 그 바로 위의 위치에서만 동일한 접기 및 정형작동을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상기 (1)의 형태를 같이 채용할 수 있다.
(3)상기의 예는 특히 외장포대(1)가 거세트 포대의 경우에 적용되는 형태로서, 외장포대(1)의 측부를 접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입구폐쇄수단은 4개의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을 구비하고 있었다. 그리고 접기용 인너폴(8, 9, 10, 11) 및 접기용 아우터폴(12, 13)은 개구한 외장포대(1)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는 작용을 구비하고, 정형부재(6, 6, 7, 7)는 주로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된 상기 입구의 형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평포대나 자립포대와 같이, 양쪽 테두리에 사이드 밀봉(side 密封)이 형성되어 있어서, 측부의 접어넣기가 필요하지 않은 포대를 외장포대로 하였을 경우에, 입구폐쇄수단은 이들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없어, 정형부재 자체에 의하여 개구한 입구를 협지하여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고 또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외장포대(1)를 당초부터 리테이너(3)에 수용하여 이송하고, 로터리 콘베이어에 있어서 그리퍼(18, 18)에 의하여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도록 했지만, 리테이너(3)를 사용하지 않고, 당초부터 외장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상기 외장포대를 이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닫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입구폐쇄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좌우의 그리퍼가 입구폐쇄수단을 겸한다).
1 : 외장포대
2 : 배깅 제품
2a : 배깅 제품의 충전부
2b :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
3 : 리테이너
4 : 이송장치
5 : L자형 부재
6, 6, 7, 7 : 정형부재
8, 9, 10, 11 : 접기용 인너폴
12, 13 : 접기용 아우터폴
18, 18 : 좌우의 그리퍼
21 : 공급 콘베이어
22 : 리테이너 이송부재
23 : 로터리 콘베이어
26 : 리테이너 지지대
A∼K : 이송경로의 정지위치

Claims (7)

  1. 피포장물(被包裝物)이 충전된 배깅 제품(bagging製品)을 수용한 외장포대(外裝包袋)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포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깅 제품은 피포장물이 충전된 충전부(充塡部)와 상기 충전부의 위에 연속해 있는 비충전부(非充塡部)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충전부는 헤드 스페이스부(head space)와 밀봉부(密封部)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외장포대내에 수용되어 있고, 각각 연직인 축부(軸部)와 수평인 굴곡부(屈曲部)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기 외장포대가 개구하는 입구에서 상기 외장포대내에 삽입하여 상기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한 쪽에 배치하고, 상기 L자형 부재를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면내에서 선회하는 상기 굴곡부를 상기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에 접촉시키고, 계속하여 상기 비충전부를 반대측으로 접어넣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외장포대의 내면에서 상기 비충전부를 눌러서 접어넣은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굴곡부를 상기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평행으로 하여 상기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방으로 뽑아낸 후에,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방으로 뽑아낸 후에,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한 상태 그대로,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좌우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의 간격을 넓혀서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팽팽하게 된 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방법.
  3. 피포장물이 충전된 배깅 제품을 수용한 외장포대의 입구를 포대폭방향을 따라 밀봉하는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깅 제품은 피포장물이 충전된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의 위에 연속해 있는 비충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충전부는 헤드 스페이스부와 밀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가 상기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외장포대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배깅 제품을 수용한 외장포대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移送裝置)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내에 수용된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를 접는 좌우 한 쌍의 L자형 부재를 구비하는 접기장치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편평한 형상으로 정형하는 입구폐쇄장치(入口閉鎖裝置)와,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밀봉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는 입구밀봉장치(入口密封裝置)를 구비하고, 상기 L자형 부재는 연직인 축부와 수평인 굴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장포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승하였을 때에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방에 위치하고, 하강하였을 때에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에서 상기 외장포대내로 들어가서 상기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의 한 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L자형 부재는 하강한 위치에서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그때에 상기 굴곡부는 수평면내에서 선회하여 상기 배깅 제품의 비충전부에 접촉하고 계속하여 상기 비충전부를 반대측으로 접어넣고,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가 정형된 후에 회전하여 상기 굴곡부를 상기 외장포대의 포대폭방향과 평행으로 하고 계속하여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 근방의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는 좌우의 그리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좌우의 그리퍼는 상기 L자형 부재가 상승한 후에 상기 양 테두리부를 협지하고, 계속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넓혀서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를 팽팽하게 하고, 상기 입구밀봉장치가 상기 외장포대의 팽팽하게 된 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포대가 리테이너에 수용되고, 상기 이송장치가 상기 외장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포대가 리테이너에 수용되고, 상기 이송장치가 상기 외장포대를 수용한 리테이너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스템.
  7. 제3항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폐쇄장치가 상기 외장포대의 입구 근방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입구 근방을 편평한 형상으로 지지하는 정형부재(整形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정형부재는 외장포대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시스템.
KR1020120091602A 2011-10-19 2012-08-22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KR101913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9590A JP5749135B2 (ja) 2011-10-19 2011-10-19 包装方法及び包装システム
JPJP-P-2011-229590 2011-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53A KR20130043053A (ko) 2013-04-29
KR101913231B1 true KR101913231B1 (ko) 2018-10-30

Family

ID=4844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602A KR101913231B1 (ko) 2011-10-19 2012-08-22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49135B2 (ko)
KR (1) KR101913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4236A (zh) * 2019-05-13 2019-08-09 倪娟形 一种食品生产线用自动化装箱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8136B (zh) * 2014-06-21 2017-02-15 厦门佳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包装设备及包装方法
CN107685905A (zh) * 2017-09-27 2018-02-13 厦门博瑞达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包装插角定位装置及其精确定位工艺
JP6979224B2 (ja) * 2019-12-24 2021-12-08 オリオン機械工業株式会社 自動充填包装装置
CN115335215A (zh) * 2020-03-26 2022-11-11 株式会社细川洋行 方底包装袋的制造方法、方底包装袋的制造装置、包装体的制造方法和包装体的制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04A (ja) 1999-07-13 2001-01-23 Kikkoman Corp バックインボックスの封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4624A (en) * 1937-03-18 1938-04-19 Edna May Bergstein Bag or liner sealing device
JPS5716803Y2 (ko) * 1975-07-23 1982-04-08
JP2593755B2 (ja) * 1991-07-15 1997-03-26 株式会社 フジキカイ 集合包装体
JPH06122406A (ja) * 1992-10-09 1994-05-06 Ekusu:Kk 袋口の折りたたみ方法
JP2585188B2 (ja) * 1993-12-11 1997-02-26 洋武株式会社 ダンボールケースの内袋折込装置
JP3471922B2 (ja) * 1994-09-14 2003-12-02 友和産業株式会社 大型ガゼット型袋体への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04A (ja) 1999-07-13 2001-01-23 Kikkoman Corp バックインボックスの封函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4236A (zh) * 2019-05-13 2019-08-09 倪娟形 一种食品生产线用自动化装箱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53A (ko) 2013-04-29
JP2013086850A (ja) 2013-05-13
JP5749135B2 (ja)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1760B (zh) 用一定量松散产品填充可热封材料制成的袋的自动包装机
KR101913231B1 (ko) 포장방법 및 포장 시스템
JP6040406B2 (ja) ガス充填包装方法とその包装機
KR101867108B1 (ko) 봉지 충전포장에서의 봉지입구 개구 방법 및 장치
US10246203B2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nappies or other soft, flat, folded sanitary articles
JP6261514B2 (ja) 収縮包装フィルムを備えたパ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28294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a sealed wrapping about an article
KR20160051526A (ko) 포장기
ITBO20110488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il dosaggio, l'insaccamento e la pallettizzazione di prodotti granulari
CN106553795B (zh) 输液针包装机
CN104290946A (zh) 用于包装物品堆叠的方法和设备
KR101911857B1 (ko) 리테이너에 수용된 포대의 입구의 밀봉방법 및 그 밀봉 시스템
KR101784223B1 (ko) 봉지의 탈기, 밀봉방법 및 장치
KR101347098B1 (ko) 자동포장장치
CN111094134B (zh) 包装***和包装物体的方法
CN106586057A (zh) 汽车内饰件生产用自动装袋机
KR101824941B1 (ko) M자형 파우치 포장장치
JP6109594B2 (ja) 袋包装体の耳折り装置を備えた横型包装機
CN215205761U (zh) 一种热收缩包装机
CN206841759U (zh) 汽车内饰件生产用自动装袋机
CN113104278B (zh) 一种硬板产品的全自动包装工艺
KR20150102201A (ko) 곡물자동포장장치
CN103935542B (zh) 管材自动包装机
JP6125951B2 (ja) 外装フィルム挿入装置
JP5938266B2 (ja) 袋詰め包装における被包装物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