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88B1 -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 Google Patents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88B1
KR101903488B1 KR1020160154710A KR20160154710A KR101903488B1 KR 101903488 B1 KR101903488 B1 KR 101903488B1 KR 1020160154710 A KR1020160154710 A KR 1020160154710A KR 20160154710 A KR20160154710 A KR 20160154710A KR 101903488 B1 KR101903488 B1 KR 10190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oom
shuttle
ro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339A (ko
Inventor
이종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하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하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하정밀
Priority to KR102016015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 F24F2140/12Heat-exchange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센터 룸, 센터 룸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 및 센터 룸의 하측 둘레에서 경사지게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분리형 밸브몸체; 센터 룸에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로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커넥팅 룸에 삽입 설치되어 밸브로드의 상승 및 하강 시 후퇴 및 전진하는 셔틀 유닛; 및 커넥팅 룸 측과 연결 및 분리 가능하고, 커넥팅 룸에 결합 시 셔틀 유닛의 후퇴에 따라 내부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며 셔틀 유닛을 전진시키고, 커넥팅 룸과 분리 시 커넥팅 유로가 차단되는 커넥팅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공조 설비가 제안된다.

Description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VALVE APPARATUS FOR SEPARATING AIR-CONDITIONING PIPE AND AIR-CONDITION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컨 등의 공조배관을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분리할 수 있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흐르게 하는데 사용된다. 유체가 흐르는 배관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거나 남아있어 분리하는 경우 유체가 배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연결 배관을 분리하는 경우에 배관 내부에 남아있는 유체를 실질적으로 손실없이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나 냉동장치 등의 경우 예컨대 열교환기들 사이의 연결배관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의 경우,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수리, 이사 등의 이유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연결배관에서 분리하는 냉매 순환관 내의 냉매가 모두 유출될 수 있고, 다시 연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분리 또는 연결이 간편하지 않다.
에어컨, 냉동장치 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도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시켜 분리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차단하여 분리하거나 연결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793호(2010. 06. 1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설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센터 룸, 센터 룸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 및 센터 룸의 하측 둘레에서 경사지게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분리형 밸브몸체; 센터 룸에 설치되어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밸브로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커넥팅 룸에 삽입 설치되어 밸브로드의 상승 및 하강 시 후퇴 및 전진하는 셔틀 유닛; 및 커넥팅 룸 측과 연결 및 분리 가능하고, 커넥팅 룸에 결합 시 셔틀 유닛의 후퇴에 따라 내부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며 셔틀 유닛을 전진시키고, 커넥팅 룸과 분리 시 커넥팅 유로가 차단되는 커넥팅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밸브로드는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제1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셔틀 지지부를 포함하고, 커넥팅 밸브체는, 일측이 커넥팅 룸에 삽입되고 내부에 커넥팅 유로를 구비한 커넥팅 바디 및 커넥팅 바디 내에 설치되며 셔틀 유닛의 후퇴에 따라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는 커넥팅밸브부를 포함하고, 커넥팅 바디의 삽입 부위는 셔틀 유닛의 후방부 둘레와 커넥팅 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고, 셔틀 유닛은 일단이 셔틀 지지부에 안착되어 밸브로드의 상승에 따라 후퇴하며 타단 측에 연결되는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셔틀 지지부에 안착 상태로 전진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의 내주면 또는 커넥팅 바디의 삽입 부위 외주면에 형성된 커넥팅 환형홈에 커넥팅 실링링이 구비되어 커넥팅 바디와 커넥팅 룸의 결합을 밀폐시키고, 셔틀 유닛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셔틀 지지부에 안착되는 셔틀 튜브, 셔틀 튜브의 타단 측에 형성되어 커넥팅밸브부를 지지하며 후퇴 시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커넥팅밸브부의 전진력을 전달받는 커넥팅지지부 및 셔틀 튜브의 둘레에 설치되며 셔틀 튜브의 후퇴 시 압축되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셔틀 튜브를 전진시키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밸브부는 셔틀 유닛의 타단 측에 전방부가 지지되는 로드부 및 로드부 둘레에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개폐부를 구비하고, 커넥팅 밸브체는 제2 개폐부의 후방 측 로드부 후방 둘레에 설치되되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시 압축되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커넥팅밸브부를 전진시키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커넥팅 바디는 중간부위 내측에 제2 개폐부가 안착되는 안착시트부를 구비하고, 커넥팅밸브부는 후퇴 시 제2 개폐부가 안착시트부에서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가 개방되고 제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전진 시 제2 개폐부가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한다.
또한, 셔틀 유닛을 셔틀 지지부에 안착 상태로 전진시키는 탄성력은 셔틀 유닛 바디의 둘레에 설치된 제1 스프링의 탄성력과 제2 스프링에 의한 커넥팅밸브부의 전진 시의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을 포함하고,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은 제1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크다.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체는, 커넥팅 바디의 후방 내측에 고정되며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및 전진 시 커넥팅밸브부의 로드부 후방을 가이드하는 후방 가이드 및 커넥팅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져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체결 시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너트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더 포함하고, 제2 스프링의 일단이 후방 가이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개폐부 측에 지지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2 개폐부는 원판형 구조의 전면 측에 안착된 실링부 및 실링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실링부가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를 밀폐하고, 커넥팅 밸브체는 커넥팅 바디의 후방 측에 나사결합방식 체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후방 가이드는 커넥팅 바디의 내측 단턱 내지 홈에 설치되는 후방 스냅링 및 로드부 후방가 관통하는 중앙부위 홀과 홀 주위에 후방 스냅링 상에 지지되는 방사상 돌기가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스프링은 일단이 셔틀 유닛 바디의 둘레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커넥팅 룸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방식 체결되는 링형상의 지지대에 지지되고, 셔틀 유닛 바디는 지지대를 관통하며 전후진 슬라이딩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셔틀 지지부는 제1 개폐부 상측의 밸브로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 구조이고, 밸브로드의 상승에 따라,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에 안착되어 있는 셔틀 유닛의 일단이 사면의 경사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되면서 셔틀 유닛이 후퇴하고, 밸브로드의 하강 시 셔틀 유닛이 전진하며 셔틀 유닛의 일단이 사면의 경사를 따라 상향 슬라이딩되고, 셔틀 유닛의 후퇴 및 전진 시의 슬라이딩 범위는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 구간 내이고, 제1 개폐부는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에 원판 고리형 실링재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혹은 원뿔대 구조를 구비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밸브로드는 상단면에 형성된 도구 홈을 더 포함하고, 센터 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밸브로드의 몸체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이 치합하고 도구 홈에 도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로드가 센터 룸의 내주면 나사산을 따라 나선 회전하며 승강하고, 밸브로드의 상부 둘레면 또는 센터 룸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로드실링 환형홈에 설치된 로드 실링링이 밸브로드의 둘레와 센터 룸의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분리형 밸브몸체는 센터 룸의 상단을 막는 후방캡을 더 포함하고, 센터 룸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된 몸체 스냅링은 밸브로드의 상승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게다가, 또 하나의 예에서, 분리형 밸브몸체는 센터 룸의 하측에 또는 센터 룸과 연결되는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연결된 서비스 포트 및 서비스 포트 내에 삽입되어 서비스 포트를 개폐시키는 서비스 로드를 더 포함하고, 서비스 포트를 통해 유체의 충전 및 잔여유체의 배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거나 유체의 압력이 측정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설비에 있어서, 연결 배관에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어느 하나의 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설치되며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분리에 의한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후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a 및 1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유로개방 시 일부 구성들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유로차단 시 일부 구성들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상측에', '하부에', '하측에' 등의 용어들의 경우에도 접속되는 위치뿐만 아니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 방향이 바뀌는 경우 그에 따른 대응되는 상대적인 방향 개념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a 및 1b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유로개방 시 일부 구성들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유로차단 시 일부 구성들의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는 분리형 밸브몸체(10), 밸브로드(30), 셔틀 유닛(50) 및 커넥팅 밸브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2 및 3은 대표적인 실시예에서의 유로개방 및 유로차단 상태를 예시하는 것이고, 도 2 및/또는 3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또는 다른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분리형 밸브몸체(10)는 센터 룸(11), 센터 룸(11)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12) 및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서 경사지게 연결된 커넥팅 룸(13)을 구비한다. 밸브로드(30)는 센터 룸(11)에 설치되되,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를 개폐한다. 셔틀 유닛(5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커넥팅 룸(13)에 삽입 설치되어 밸브로드(30)의 상승 및 하강 시 후퇴 및 전진한다. 그리고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팅 룸(13) 측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다.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팅 룸(11)에 결합 시 셔틀 유닛(50)의 후퇴에 따라 내부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하고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하며 셔틀 유닛(50)을 전진시킨다. 또한, 커넥팅 밸브체(70)가 커넥팅 룸(13)과 분리 시 커넥팅 유로(70a)가 차단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는 공조배관 상에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손실없이 유체 배관을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기에서, 냉각기기를 이루어는 에어컨 본체와 방열기기를 이루는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배관에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냉매의 손실없이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를 분리하고 재결합시킬 수 있다. 각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분리형 밸브몸체 (10)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분리형 밸브몸체(10)는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을 구비한다. 센터 룸(11)은 밸브로드(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센터 룸(11)의 하부에 밸브포트(12)가 연결되고,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커넥팅 룸(13)이 연결된다.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 하부에 형성된다. 커넥팅 룸(13)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다.
예컨대, 분리형 밸브몸체(10)는 황동이나 기타 다른 금속 또는 합금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형 밸브몸체(10)의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분리형 밸브몸체(10)는 후방캡(14) 및/또는 서비스 포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후방캡(14) 및/또는 서비스 포트(15)도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센터 룸(11)에 밸브로드(30)가 삽입된다. 센터 룸(11)의 내벽에는 밸브로드(30)의 외주면 나사산(30a)과 치합되는 나사산(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로드(30)는 나선 회전하며 센터 룸(11) 내에서 승강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센터 룸(11)은 나사산(11a)이 형성된 부분보다 상부측의 직경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센터 룸(11)의 상부 내측면과 밸브로드(30) 간에 로드 실링링(35)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로드(30)의 상부 둘레면 또는 센터 룸(11)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로드실링 환형홈(30b)에 로드 실링링(3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드 실링링(35)은 밸브로드(30)의 둘레, 즉 외주면과 센터 룸(11)의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도 2 및 3에서는 밸브로드(30)의 상부 외주면에 로드실링 환형홈(30b)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분리형 밸브몸체(10)는 후방캡(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 1b,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후방캡(14)은 센터 룸(11)의 상단을 막는다. 즉, 센터 룸(11)의 상단부는 제조 또는 수리 시 밸브로드(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오픈되는데, 이때, 후방캡(14)이 센터 룸(11)의 오픈된 상부 말단을 밀폐할 수 있다. 후방캡(14)을 열고, 센터 룸(11)에 설치된 밸브로드(30)의 후방에서 육각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밸브로드(30)를 나선 회전시키며 밸브로드(30)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센터 룸(11)의 상부 내주면에 링홈(11b)이 형성된다. 이때, 센터 룸(11)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11b)에 몸체 스냅링(111)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 스냅링(111)은 센터 룸(11) 내에서 밸브로드(30)의 상승 범위를 제한한다. 예컨대, 밸브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셔틀 유닛(50)의 선단이 셔틀 지지부(33)의 사면(33a)을 적어도 완전히 벗어나지 않도록 몸체 스냅링(111)이 밸브로드(30)의 상승 범위를 제한한다. 또는, 다른 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터 룸(11)의 상부는 말단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몸체 스냅링(111)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 하부에 형성된다.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에 연결되며 센터 룸(11) 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된다. 밸브포트(12)의 하부에는 예컨대 연결배관(120)이 연결되는 배관연결홈(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관연결홈(12a)은 밸브포트(12) 보다 확관되며 경계에 단턱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에 삽입되는 밸브로드(30)의 제1 개폐부(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포트(12)는 제1 개폐부(31)에 의한 차단 시 제1 개폐부(31)의 접촉부위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기밀유지부(1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폐부(31)의 접촉부위가 실링재(31a)인 경우 밸브포트(12)의 기밀유지부(12b)는 돌기형상일 수 있다.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과 배관을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예컨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밸브포트(12)에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배관(12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배관(120)은 예컨대 공조기기의 에어컨 본체(냉각기기) 또는 에어컨 실외기(방열기기)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속 살펴보면, 커넥팅 룸(13)은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다. 커넥팅 룸(13)의 일측은 개방되며, 개방구(13d)에 커넥팅 밸브체(70)가 삽입 설치되거나 개방구(13d)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커넥팅 룸(13)의 타측이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되어 있어, 커넥팅 밸브체(70)가 삽입 설치되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커넥팅 밸브체(70)의 커넥팅 유로(70a)가 커넥팅 룸(13)과 센터 룸(11)을 통해 밸브포트(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1b,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커넥팅 룸(13)은 센터 룸(11)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룸(13)은 센터 룸(11)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룸(13)이 센터 룸(11)과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센터 룸(11) 내의 밸브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커넥팅 룸(13)에 삽입 설치된 셔틀 유닛(50)이 용이하게 후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또는 커넥팅 바디(71)의 삽입 부위 외주면에 커넥팅 환형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환형홈(13a)에 커넥팅 실링링(113)이 구비된다. 커넥팅 실링링(113)은 커넥팅 바디(71)와 커넥팅 룸(13)의 결합을 밀폐시킨다.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커넥팅 실링링(113)의 삽입되는 커넥팅 환형홈(13a)은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상에서 개방측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커넥팅 룸(13)의 개방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3b)이 형성되며, 커넥팅 밸브체(70)의 커넥팅 너트(77)에 의해 커넥팅 밸브체(70)가 커넥팅 룸(13)에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 밸브체(70)가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커넥팅 룸(13)의 개방구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으로 막을 수 있다. 보호캡으로 커넥팅 룸(13)의 개방구를 밀폐시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분리된 커넥팅 밸브체(70)의 개방구도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 및/또는 3을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분리형 밸브몸체(10)는 서비스 포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포트(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터 룸(11)과 연결되는 커넥팅 룸(13)의 연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포트(15)는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또는 커넥팅 룸(13)의 연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포트(15)를 통해 유체의 충전 및 잔여유체의 배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거나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유체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분리형 밸브몸체(10)는 서비스 포트(15) 내에 삽입되어 서비스 포트(15)를 개폐시키는 서비스 로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서비스 포트(15)는 서비스 캡(17)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분리형 밸브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8)를 통해 벽체나 브라켓 등의 외부 지지체에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를 고정시키거나 커넥팅 밸브체(70)가 분리된 분리형 밸브몸체(10)를 포함하는 부부만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고정부(18)는 예컨대 날개형상으로 분리형 밸브몸체(10)의 둘레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8)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분리형 밸브몸체(10)는 센터 룸(11)의 상측 둘레에 사이트글라스(1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이트글라스(19)를 통해 센터 룸(11) 내부에서의 밸브로드(30) 상단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후방 캡(14)을 열지 않고서도 밸브포트(12)가 차단상태인지 개방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밸브로드(30)의 상단부는 돌출된 구조이고 사이트글라스(19)의 최하부 위치가 밸브로드(30)의 상승 시 로드실링 환형홈(30b) 및/또는 로드 실링링(35)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어 사이트글라스(19)를 통해 밸브로드(30)의 돌출된 상단부의 위치를 확인하여 차단 및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밸브로드 (30)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밸브로드(30)는 센터 룸(11)에 설치되며,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를 개폐한다.
예컨대,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밸브로드(30)는 제1 개폐부(31)와 셔틀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31)는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를 개폐한다. 셔틀 지지부(33)는 제1 개폐부(31)의 상측에서 밸브로드(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밸브로드(30)는 도구 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부(31)는 밸브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센터 룸(11)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12)를 개폐한다. 예컨대, 센터 룸(11) 내에서 밸브로드(30)의 하강에 따라 제1 개폐부(31)는 밸브포트(12)를 차단하고, 밸브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제1 개폐부(31)는 밸브포트(12)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폐부(31)는 밸브로드(30)의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 2, 3, 4 및/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원판 고리형 실링재(31a)를 구비할 수 있다. 원판 고리형 실링재(31a)는 고정재(31b)에 의해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개폐부(31)는 밸브포트(1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혹은 원뿔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폐부(31)의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의 개폐가 가능해진다.
계속하여, 밸브로드(30)의 셔틀 지지부(33)를 살펴본다. 셔틀 지지부(33)는 제1 개폐부(31)의 상측에 밸브로드(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예컨대, 셔틀 지지부(33)는 밸브로드(30)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 구조이다. 이때, 밸브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33a)에 안착되어 있는 셔틀 유닛(50)의 일단이 사면(33a)의 경사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되면서 셔틀 유닛(50)이 후퇴한다. 또한,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셔틀 유닛(50)이 전진하며 셔틀 유닛(50)의 일단이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 경사를 따라 상향 슬라이딩한다. 이때, 셔틀 유닛(50)의 후퇴 및 전진 시의 슬라이딩 범위는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33a) 구간 내이다.
예컨대,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셔틀 지지부(33)는 밸브로드(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 홈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셔틀 지지부(33)는 제1 개폐부(31) 방향의 제1 곡면(33a)과 제1 곡면(33a)과 마주하는 제2 곡면(3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곡면(33a)은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33a)에 대응한다. 예컨대, 셔틀 지지부(33)는 밸브로드(30)의 둘레를 따라 중심쪽으로 오목한 "<" 또는 ">" 형 단면의 환형 홈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밸브로드(30)는 도구 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구 홈(37)은 밸브로드(30)의 상단면에 형성된다. 도구 홈(37)은 밸브로드(30)의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공간이 된다. 한편, 센터 룸(11)의 내주면에 나사산(11a)이 형성되고, 밸브로드(30)의 몸체 둘레에도 나사산(30a)이 형성되어 센터 룸(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a)과 치합한다. 이때, 도구 홈(37)에 도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로드(30)가 센터 룸(11)의 내주면 나사산(11a)을 따라 나선 회전하며 승강할 수 있다. 예컨대, 센터 룸(11)의 오픈된 상부측(후방)을 통해 밸브로드(30)의 도구 홈(37)에 육각 렌치 또는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삽입하여 밸브로드(30)를 나선 회전시켜 밸브로드(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도 2, 3, 4 및/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로드(30)의 상부 둘레면에 로드실링 환형홈(30b)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터 룸(11)의 상부 내측면에 로드실링 환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로드실링 환형홈(30b)에 로드 실링링(35)이 설치되어 밸브로드(30)의 둘레, 즉 외주면과 센터 룸(11)의 상부측 내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로드실링 환형홈(30b)이 형성된 밸브로드(30)의 상부 직경은 나사산(30a) 형성부위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센터 룸(11)의 상부측 직경이 하부측 직경보다 크다.
셔틀 유닛(50)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셔틀 유닛(5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커넥팅 룸(13)에 삽입 설치되어 밸브로드(30)의 상승 및 하강 시 후퇴 및 전진한다.
예컨대, 셔틀 유닛(50)은 일단이 셔틀 지지부(33)에 안착되어 밸브로드(30)의 상승에 따라 후퇴하며 타단 측에 연결되는 커넥팅밸브부(73)를 후퇴시키고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셔틀 지지부(33)에 안착 상태로 전진한다. 예컨대, 셔틀 유닛(50)을 셔틀 지지부(33)에 안착 상태로 전진시키는 탄성력은 셔틀 유닛 바디, 즉 셔틀 튜브(51)의 둘레에 설치된 제1 스프링(55)의 탄성력과 제2 스프링(75)에 의한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 시의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은 제1 스프링(55)의 탄성력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밸브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33a)에 안착되어 있는 셔틀 유닛(50)의 일단이 사면(33a)의 경사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되면서 셔틀 유닛(50)이 후퇴한다. 또한,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셔틀 유닛(50)이 전진하며 셔틀 유닛(50)의 일단이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 경사를 따라 상향 슬라이딩한다. 이때, 셔틀 유닛(50)의 후퇴 및 전진 시의 슬라이딩 범위는 셔틀 지지부(33)의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 구간 내이다.
또한,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셔틀 유닛(50)은 셔틀 튜브(51), 커넥팅지지부(53) 및 제1 스프링(5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셔틀 튜브(51)와 커넥팅지지부(53)는 도 2, 3, 4 및/또는 5에서와 같이 별도로 이루어지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틀 튜브(51)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셔틀 지지부(33)에 안착된다.
커넥팅지지부(53)는 셔틀 튜브(51)의 타단 측에 형성되어 커넥팅밸브부(73)를 지지한다. 이때, 커넥팅지지부(53)는 셔틀 튜브(51)의 후퇴 시 커넥팅밸브부(73)를 후퇴시킨다.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에 따라 커넥팅 밸브체(70) 내의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된다. 또한, 커넥팅지지부(53)는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력을 전달받는다. 커넥팅지지부(53)에서 전달받은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력은 후술되는 제1 스프링(55)에 의한 탄성력과 함께 셔틀 유닛(50)의 전진을 도모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지지부(53)은 셔틀 튜브(51)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셔틀 튜브(51)의 후방 단턱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팅지지부(53)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고 커넥팅밸브부(73)의 로드 선단이 커넥팅지지부(53)의 홈에 지지되며 커넥팅밸브부(73)가 후퇴 및 전진할 수 있다. 커넥팅지지부(53)도 후방 가이드(74)와 마찬가지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제1 스프링(55)은 셔틀 튜브(51)의 둘레에 설치되며 셔틀 튜브(51)의 후퇴 시 압축되고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셔틀 튜브(51)를 전진시킨다. 즉, 밸브로드(30)의 상승 시 압축된 제1 스프링(53)이 밸브로드(30)의 하강에 따라 탄성력을 셔틀 튜브(51)에 제공하며 셔틀 튜브(51)를 커넥팅 룸(12) 내부에서 슬라이딩되게 전진시킨다. 예컨대, 제1 스프링(55)의 일단은 셔틀 유닛 바디, 예컨대 셔틀 튜브(51)의 외주면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은 커넥팅 룸(13)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55)의 타단은 커넥팅 룸(13)에 끼움 체결(예컨대, 커넥팅 룸(13) 내주면과 나사결합방식 체결)되는 링형상의 지지대(13c)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링형상의 지지대(13c)를 셔틀 유닛 바디, 예컨대 셔틀 튜브(51)가 관통하며 전후진 슬라이딩하고, 지지대(13c)는 커넥팅 룸(13)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대(13c)는 외주면이 단턱지게 형성되고 하단측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나사산과 체결되고 상단측은 보다 직경이 크고 나사결합 없이 커넥팅 룸(13)의 내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3c)의 후방측 환형 단면 상에 홈이 구비되어 도구를 홈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대(13c)를 커넥팅 룸(13)의 내주면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스프링(55)의 타단은 커넥팅 룸(13)에 삽입 설치되는 커넥팅 밸브체(70)의 선단부위에 지지될 수도 있다.
커넥팅 밸브체 (70)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팅 룸(13) 측과 연결 및 분리 가능하다.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팅 룸(11)에 결합 시 셔틀 유닛(50)의 후퇴에 따라 내부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하고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하며 셔틀 유닛(50)을 전진시킨다. 또한, 커넥팅 밸브체(70)가 커넥팅 룸(13)과 분리 시 커넥팅 유로(70a)가 차단된다.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팅 룸(13)에 삽입 결합 시 전방부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팅 바디(71) 및 커넥팅밸브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팅 밸브체(70)는 제2 스프링(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체(70)는 후방 가이드(74) 및 커넥팅 너트(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커넥팅 바디(71)와 커넥팅밸브부(73)를 살펴보고, 나중에 후방 가이드(74), 제2 스프링(75) 및 커넥팅 너트(77)를 살펴본다.
커넥팅 바디(71)는 일측이 커넥팅 룸(13)에 삽입되고 내부에 커넥팅 유로(70a)를 구비한다. 이때, 커넥팅 바디(71)의 삽입 부위는 셔틀 유닛(50)의 후방부 둘레, 즉 외주면과 커넥팅 룸(13)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바디(71)의 삽입 부위 선단은 커넥팅 룸(13)의 내측 단턱(13d)에 지지되게 삽입되거나 또는/그리고 커넥팅 바디(71)의 외주면 차단턱(71b)에 의해 삽입이 멈춰지는 지점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도 2 및 3의 도시와 같이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 바디(71)의 삽입 부위 외주면에 커넥팅 환형홈(13a)이 형성되고, 커넥팅 환형홈(13a)에 커넥팅 실링링(113)이 구비되어 커넥팅 바디(71)와 커넥팅 룸(13)의 결합을 밀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바디(71)는 중간부위에 커넥팅밸브부(73)가 안착되도록 내경이 작아지며 형성된 안착시트부(71a)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시트부(71a)는 중심방향으로만 돌출된 형상이거나 또는 도 2 및/또는 3에서와 같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의 후방 방향 표면에서 커넥팅 바디(71)의 후방측으로 재돌출된 돌기(171a)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팅밸브부(73)는 커넥팅 바디(71) 내에 설치된다. 커넥팅밸브부(73)는 셔틀 유닛(50)의 후퇴에 따라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한다. 또한, 커넥팅밸브부(73)는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바디(71)의 내측에 안착시트부(71a)가 구비되고, 커넥팅밸브부(73)가 후퇴 시 안착시트부(71a)로부터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되고 전진 시 안착시트부(71a)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70a)가 차단될 수 있다.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밸브부(73)는 로드부(173) 및 제2 개폐부(273)를 구비할 수 있다. 로드부(173)의 전방, 즉 전방부(173a)는 셔틀 유닛(50)의 타단 측, 예컨대 커넥팅지지부(53)에 지지된다. 예컨대, 로드부(173)는 후방부(173b)가 후술되는 후방 가이드(74)에 삽입 지지되고 전방부(173a)가 셔틀 유닛(50)에 지지될 수 있다. 로드부(173)는 커넥팅밸브부(73)의 중심 몸체를 형성한다.
제2 개폐부(273)는 로드부(173) 둘레에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예컨대, 제2 개폐부(273)는 로드부(173)의 후방부(173b)와 전방부(173a) 사이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부(273)의 원판형 돌출부위와 로드부(17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바디(71)의 중간부위 내측에 안착시트부(71a)가 구비되는 경우, 제2 개폐부(273)은 안착시트부(71a)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하고 안착시트부(71a)로부터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한다. 즉, 커넥팅밸브부(73)는 후퇴 시 제2 개폐부(273)가 안착시트부(71a)에서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되고 후술되는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한 전진 시 제2 개폐부(273)가 안착시트부(71a)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한다.
예컨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제2 개폐부(273)는 실링부(273a) 및 고정부(273b)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273a)는 원판형 구조의 전면 측에 안착된다. 실링부(273a)가 안착시트부(71a)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70a)를 밀폐한다. 예컨대, 실링부(273a)는 제2 개폐부(273)의 커넥팅 룸 방향의 원판 형상 표면에 또는 그 표면에 형성된 홈 상에 환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273b)는 실링부(273a)를 고정시킨다. 예컨대, 고정부(273b)는 환형의 실링부(273a)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실링부(273a)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 시 실링부(273a)가 안착시트부(71a)에 안착되며 밀폐되어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하고,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에 따라 실링부(273a)가 안착시트부(71a)에 떨어지면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시킨다.
또한, 도 2, 3, 4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체(70)는 제2 스프링(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팅 밸브체(70)는 후방 가이드(74) 및 커넥팅 너트(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가이드(74)는 커넥팅 바디(71)의 후방 내측에 고정되며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 및 전진 시 커넥팅밸브부(73)를 가이드한다. 예컨대, 후방 가이드(74)는 커넥팅밸브부(73)의 로드부 후방(173b)가 관통하는 관통홀(174a)을 중앙부에 구비하여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 및 전진 시 커넥팅밸브부(73)의 로드부 후방(173b)를 가이드한다. 즉, 커넥팅밸브부(73)는 커넥팅 바디(71) 내에서 후퇴 및 전진 시 후방 가이드(74)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커넥팅 유로(70a)에 대한 개폐를 요동없이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 가이드(74)를 커넥팅밸브부(73)와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후방 가이드(74)가 커넥팅밸브부(73)의 일부 구성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후방 가이드(74)는 후방 스냅링(74a) 및 가이드부(74b)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스냅링(74a)은 커넥팅 바디(71)의 내측 단턱 내지 홈에 설치된다. 가이드부(74b)는 후방 스냅링(74a) 상에 지지된다. 가이드부(74b)는 로드부 후방(173b)가 관통하는 중앙부위 홀(174a)과 홀 주위에 후방 스냅링 상에 지지되는 방사상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커넥팅밸브부(73)의 로드부 후방(173b)가 가이드부(74b)의 중앙부위 홀(관통홀)(174a)을 관통하며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 및 전진이 가이드된다. 후방 가이드(74)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다른 예에서, 가이드부(74b)는 커넥팅밸브부(73)의 일부 구성이 되고 후방 스냅링(74a)은 커넥팅밸브부(73)의 후방 지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
다음, 제2 스프링(75)은 커넥팅 바디(71) 내에서 커넥팅밸브부(73)의 둘레에 설치된다. 예컨대, 제2 스프링(75)은 제2 개폐부(273)의 후방 측 로드부 후방(173b) 둘레에 설치된다. 제2 스프링(75)은 일단이 후방 가이드(74)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개폐부(273) 측, 예를 들면, 제2 개폐부(273)의 배면 또는 그 배면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며,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 시 압축되고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커넥팅밸브부(73)를 전진시킨다.
예컨대,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이 제1 스프링(55)의 탄성력보다 세다. 이에 따라, 밸브로드(30)의 하강 시 제2 스프링(75)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커넥팅밸브부(73)가 전진하며 제1 스프링(55)에 의해 전진하는 셔틀 듀브(51)를 커넥팅지지부(53)를 통해 박차를 가하여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75)의 탄성력이 제1 스프링(55)보다 센 경우 커넥팅지지부(53)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단순히 셔틀 튜브(51)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더라도 제1 스프링(55)에 의한 셔틀 튜브(51)의 전진 시 제2 스프링(75)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커넥팅밸브부(73)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하여, 커넥팅 너트(77)는 커넥팅 바디(71)의 외주면에 끼워져, 커넥팅 밸브체(70)의 커넥팅 룸(13)으로의 삽입 체결 시 커넥팅 룸(13)의 외곽 둘레(13b)에 너트 체결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커넥팅 너트(77)의 체결 시, 커넥팅 너트(77)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턱(71b)이 커넥팅 바디(71)의 중간부위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턱(71b)은 커넥팅 바디(71)의 커넥팅 룸(13)으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a를 참조하면, 커넥팅 너트(77)는 커넥팅 룸(13) 외곽 둘레(13b)와 너트 체결하는 내측 부위에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잔압제거홈(77a)을 구비할 수 있다. 잔업제거홈(77a)은 커넥팅 룸(13)으로부터 커넥팅 밸브체(70)를 분리하는 경우 완전히 분리 전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또한, 도 1a, 1b, 2 및/또는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체(70)는 커넥터(7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커넥터(78)는 커넥팅 바디(71)의 후방 측, 예컨대 도 2 및 3의 도시와 같이 후방부 외주면(71c)에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방부 내주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바디(71)와 결합하는 커넥터(78)의 결합부위에 링홈(78a)이 형성되고 링홈(78a)에 실링링(78b)이 설치되어 커넥터(78)와 커넥팅 바디(7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78)는 커넥팅 밸브체(70)를 외부 배관과 연결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니플 또는 유니언 등의 양측을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공조 설비]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 설비를 살펴본다. 공조 설비는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설비이다. 예컨대, 제1 열교환장치인 본체와 제2 열교환장치인 응측기(실외기)가 연결배관으로 연결된 에어컨일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전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분리에 의해 연결 배관이 분리되며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 배관으로 연결되고 연결배관에 전술한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냉매의 손실이 거의 없이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추후 재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설치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는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실시예에 설명된 바를 참조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분리형 밸브몸체 11: 센터 룸
12: 밸브포트 13: 커넥팅 룸
15: 서비스 포트 14: 후방캡
30: 밸브로드 31: 제1 개폐부
33: 셔틀 지지부 35: 로드 실링링
37: 도구 홈 50: 셔틀 유닛
51: 셔틀 튜브 53: 커넥팅지지부
55: 제1 스프링 70: 커넥팅 밸브체
71: 커넥팅 바디 73: 커넥팅밸브부
74: 후방 가이드 75: 제2 스프링
77: 커넥팅 너트 78: 커넥터

Claims (10)

  1. 센터 룸, 상기 센터 룸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 및 상기 센터 룸의 하측 둘레에서 경사지게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분리형 밸브몸체;
    상기 센터 룸에 설치되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셔틀 지지부를 포함하는 밸브로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룸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밸브로드의 상승 및 하강 시 후퇴 및 전진하는 셔틀 유닛; 및
    상기 커넥팅 룸 측과 연결 및 분리 가능하고, 상기 커넥팅 룸에 결합 시 상기 셔틀 유닛의 후퇴에 따라 내부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강 시 상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며 상기 셔틀 유닛을 전진시키고, 상기 커넥팅 룸과 분리 시 상기 커넥팅 유로가 차단되는 커넥팅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팅 밸브체는, 일측이 상기 커넥팅 룸에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커넥팅 유로를 구비한 커넥팅 바디 및 상기 커넥팅 바디 내에 설치되며 상기 셔틀 유닛의 후퇴에 따라 상기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는 커넥팅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바디의 삽입 부위는 상기 셔틀 유닛의 후방부 둘레와 상기 커넥팅 룸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팅 룸의 내주면 또는 상기 커넥팅 바디의 삽입 부위 외주면에 형성된 커넥팅 환형홈에 커넥팅 실링링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 바디와 상기 커넥팅 룸의 결합을 밀폐시키고,
    상기 셔틀 유닛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셔틀 지지부에 안착되는 셔틀 튜브, 상기 셔틀 튜브의 타단 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지지하며 후퇴 시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강 시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전진력을 전달받는 커넥팅지지부 및 상기 셔틀 튜브의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셔틀 튜브의 후퇴 시 압축되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셔틀 튜브를 상기 셔틀 지지부에 안착되게 전진시키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밸브부는 상기 셔틀 유닛의 타단 측에 전방부가 지지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 둘레에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2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팅 바디는 중간부위 내측에 상기 제2 개폐부가 안착되는 안착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팅 밸브체는 상기 제2 개폐부의 후방 측 로드부 후방 둘레에 설치되되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시 압축되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전진시키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밸브부는 후퇴 시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안착시트부에서 떨어지며 상기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전진 시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상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셔틀 유닛을 상기 셔틀 지지부에 안착 상태로 전진시키는 탄성력은 셔틀 유닛 바디의 둘레에 설치된 제1 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한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전진 시의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커넥팅 밸브체는, 상기 커넥팅 바디의 후방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및 전진 시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로드부 후방을 가이드하는 후방 가이드 및 상기 커넥팅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체결 시 상기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너트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후방 가이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개폐부 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개폐부는 원판형 구조의 전면 측에 안착된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가 상기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상기 커넥팅 유로를 밀폐하고,
    상기 커넥팅 밸브체는 상기 커넥팅 바디의 후방 측에 나사결합방식 체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가이드는 상기 커넥팅 바디의 내측 단턱 내지 홈에 설치되는 후방 스냅링 및 상기 로드부 후방가 관통하는 중앙부위 홀과 홀 주위에 상기 후방 스냅링 상에 지지되는 방사상 돌기가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셔틀 유닛 바디의 둘레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팅 룸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방식 체결되는 링형상의 지지대에 지지되고,
    상기 셔틀 유닛 바디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며 전후진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7. 청구항 1 또는 4에서,
    상기 셔틀 지지부는 상기 제1 개폐부 상측의 상기 밸브로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 구조이고,
    상기 밸브로드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셔틀 유닛의 일단이 상기 사면의 경사를 따라 하향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셔틀 유닛이 후퇴하고, 상기 밸브로드의 하강 시 상기 셔틀 유닛이 전진하며 상기 셔틀 유닛의 일단이 상기 사면의 경사를 따라 상향 슬라이딩되고,
    상기 셔틀 유닛의 후퇴 및 전진 시의 슬라이딩 범위는 상기 원뿔대 형상 구조의 사면 구간 내이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포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에 원판 고리형 실링재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혹은 원뿔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밸브로드는 상단면에 형성된 도구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 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밸브로드의 몸체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이 치합하고 상기 도구 홈에 도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밸브로드가 상기 센터 룸의 내주면 나사산을 따라 나선 회전하며 승강하고,
    상기 밸브로드의 상부 둘레면 또는 상기 센터 룸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로드실링 환형홈에 설치된 로드 실링링이 상기 밸브로드의 둘레와 상기 센터 룸의 내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분리형 밸브몸체는 상기 센터 룸의 상단을 막는 후방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 룸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된 몸체 스냅링은 상기 밸브로드의 상승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분리형 밸브몸체는 상기 센터 룸의 하측에 또는 상기 센터 룸과 연결되는 상기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연결된 서비스 포트 및 상기 서비스 포트 내에 삽입되어 상기 서비스 포트를 개폐시키는 서비스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포트를 통해 유체의 충전 및 잔여유체의 배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거나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10.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에 청구항 1, 4,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의 분리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설비.
KR1020160154710A 2016-11-21 2016-11-21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KR101903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10A KR101903488B1 (ko) 2016-11-21 2016-11-21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10A KR101903488B1 (ko) 2016-11-21 2016-11-21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39A KR20180068339A (ko) 2018-06-22
KR101903488B1 true KR101903488B1 (ko) 2018-10-02

Family

ID=6276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10A KR101903488B1 (ko) 2016-11-21 2016-11-21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551B1 (ko) * 2018-12-18 2019-02-26 박문수 센서피팅부를 구비한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050Y1 (ko) 2002-02-21 2002-05-09 김종진 커플러 조립체
KR200333477Y1 (ko) 2003-08-22 2003-11-14 이상봉 개량된 동력분무기의 자동감압변
JP4058707B2 (ja) 1998-10-28 2008-03-1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混合比例弁
JP4866968B1 (ja) 2011-02-23 2012-02-01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閉鎖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793A (ko) 2008-12-10 2010-06-18 한국원자력연구원 분리형 볼밸브장치 및 볼밸브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8707B2 (ja) 1998-10-28 2008-03-1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混合比例弁
KR200275050Y1 (ko) 2002-02-21 2002-05-09 김종진 커플러 조립체
KR200333477Y1 (ko) 2003-08-22 2003-11-14 이상봉 개량된 동력분무기의 자동감압변
JP4866968B1 (ja) 2011-02-23 2012-02-01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閉鎖バルブ
JP2012172805A (ja) 2011-02-23 2012-09-10 Nasco Fitting Kk 閉鎖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39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9431A1 (en) High flow valved fitting
KR101936290B1 (ko) 오염 저항성 충전 밸브
KR101570232B1 (ko) 유량조절밸브
CN107208811B (zh) 具有槽形内部刚性结构的主阀
US20180120197A1 (en) Method of making three-flow-passage valve with a pressure indicator
WO2013000389A1 (zh) 一种流量调节阀
KR101903488B1 (ko)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KR20170110098A (ko) 차단 밸브
JP7058744B2 (ja) 電子膨張弁
US20080072967A1 (en) Self-sealing floor drain
CN106795971A (zh) 带有更换基座***的配件
JP5945576B2 (ja) バルブ装置
KR200486028Y1 (ko)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KR101688692B1 (ko)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N107366750B (zh) 一种制冷***用截止阀
KR101750104B1 (ko) 배관용 분리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1618639B1 (ko)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KR101847719B1 (ko)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CN104708164A (zh) 一种接头及使用该接头的充氮焊接联接装置
KR20110016557A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US9383026B2 (en) Method of repairing leaky HVAC service valves and an improved HVAC service valve which prevents leaks
KR20010025882A (ko)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CA3058842C (en) Faucet device
US11035108B2 (en) Fauce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