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98B1 -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 Google Patents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98B1
KR102029998B1 KR1020180036992A KR20180036992A KR102029998B1 KR 102029998 B1 KR102029998 B1 KR 102029998B1 KR 1020180036992 A KR1020180036992 A KR 1020180036992A KR 20180036992 A KR20180036992 A KR 20180036992A KR 102029998 B1 KR102029998 B1 KR 10202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m
valve body
slid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신보이엔지
이전한
이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보이엔지, 이전한, 이상봉 filed Critical (주)신보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3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4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each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s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조인트 및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 커넥팅 장치에 있어서, 제1 유닛은: 둘레 일측에서 내부의 제1 관통홀로 관통하는 캠홀을 구비하는 제1 몸체; 캠홀을 관통하는 캠샤프트 및 제1 관통홀 내에 캠샤프트 둘레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는 조작캠;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제1 관통홀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가이드;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캠의 회전에 따라 제1 관통홀 내에서 전진 및 후퇴하는 제1 밸브체; 및 제1 관통홀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캠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제1 밸브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방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몸체의 제1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밀어 전방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몸체; 및 제2 관통홀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2 관통홀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제2 관통홀을 차단하고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캠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제1 밸브체에 맞닿아 밀리며 제2 관통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WITH CAM}
본 발명은 배관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배관을 분리할 수 있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유체가 흐르는 통로이다. 배관은 냉/난방 공조기 등 유체를 사용하는 다양한 장치, 유체가 사용되는 다양한 설비 또는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배관은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로는 통상 가스나 액체 등이 있다.
배관을 구비한 다양한 기기, 장치, 설비 또는 시스템에서 배관의 분리 및 재설치 또는 분리배관의 연결 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배관 용도는 공기조화, 냉난방, 급배수, 통기/환기, 도시가스, 공장 또는 산업 설비 등 다양하다. 이러한 용도에 따라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 장소의 형태, 관의 길이 제한, 분해 및 조립 등의 이유로 두 개 이상의 관을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이음 방식으로는 플랜지 이음, 끼워맞춤 이음, 나사식 이음, 용접 이음, 접착 이음 등이 있으며, 이러한 관이음 방식은 재분리 시 배관 내의 유체가 누설될 수 밖에 없다.
배관 분리 시 유체의 누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이음의 하나의 방식으로 배관을 신속하게 연결 혹은 분리하기 위해 퀵 커넥터(quick connector)가 사용되고 있다. 배관 퀵 커넥터는 배관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누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분리 시 유체의 누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해야 한다.
한편, 배관 퀵 커넥터로 연결된 배관의 분리 시 뿐만 아니라 분리 후에도 분리된 배관 측에서 실수로 누르는 등에 의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분리된 배관 중 유체가 공급되는 측 또는 유체 압력이 높은 측 분리배관에서 실수 등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6148호(2009. 06. 03.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449호(2017. 04. 2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분리 시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캠 구조를 구비하여 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된 후에도 캠 구조가 구비된 일측에서 실수에 의한 유체 누설도 방지할 수 있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 커넥팅 장치에 있어서, 제1 유닛은: 둘레 일측에서 내부의 제1 관통홀로 관통하는 캠홀을 구비하는 제1 몸체; 캠홀을 관통하는 캠샤프트 및 제1 관통홀 내에 캠샤프트 둘레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는 조작캠; 제1 관통홀 내에 형성되며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가이드;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캠의 회전에 따라 제1 관통홀 내에서 전진 및 후퇴하는 제1 밸브체; 및 제1 관통홀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캠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제1 밸브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방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몸체의 제1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밀어 전방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몸체; 및 제2 관통홀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2 관통홀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제2 관통홀을 차단하고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캠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제1 밸브체에 맞닿아 밀리며 제2 관통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 소통은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및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상태에서 캠 돌출부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가 전진하며 슬라이더로부터 전방부가 떨어져 슬라이더의 내부유로와 전방 유로가 연결되는 경우에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관통홀의 연결유로 차단은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가 분리되며 슬라이더가 전방 유로를 차단하고 더불어 제2 밸브체가 제2 관통홀을 차단하는 경우 및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상태에서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가 후퇴하며 슬라이더에 제1 밸브체의 전방부가 밀착되어 슬라이더의 내부유로가 차단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가이드는 제1 관통홀 내에 고정 설치되고, 제1 유닛은, 일단이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에 또는 제1 관통홀의 내면에 지지되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슬라이더의 후퇴에 따라 수축하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전방 유로가 차단되도록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제1 밸브체의 후퇴에 따라 슬라이더의 후퇴와 함께 수축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제2 유닛은: 제2 밸브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제2 관통홀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및 제2 밸브체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2 밸브체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에 또는 제2 관통홀의 내면에 지지되며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2 밸브체에 의해 제2 관통홀의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2 밸브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2 몸체는 제2 관통홀의 내주면 상에서 후방측보다 전방측이 내경이 작아지며 형성된 밸브안착부를 구비하고, 제2 가이드는 최외곽 둘레에서 제2 관통홀의 후방측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제2 가이드홀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키고, 제2 밸브체는, 후방측이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 샤프트부, 제2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 소통 시 제1 밸브체에 맞닿는 제2 밸브체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제2 관통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밸브안착부의 최소 내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2 밸브부, 및 제2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2 몸체의 분리 시 밸브안착부와 제2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제2 스프링은 제2 샤프트부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2 밸브부의 후방 측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은, 제2 몸체의 후방 측에 체결되며 배관과 연결되는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은, 제1 밸브체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1 밸브체의 후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에 또는 제1 관통홀의 내면에 지지되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의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의 후방부는 캠과 결합되는 캠 결합부를 형성하고,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 돌출부의 반대측이 캠 결합부에 체결되며,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이 제1 밸브체를 당기며 후퇴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캠은 캠 돌출부의 반대측에서 상하로 돌출된 걸이부를 구비하고, 캠 결합부는 수평상 후방측으로 오목한 호형상 단부 및 호형상 단부에서 수직 돌출되어 걸이부에 의해 당겨지는 걸림턱을 구비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상하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캠홀은 제1 몸체의 둘레에서 주위 외주면보다 돌출된 부위에서 제1 관통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조작캠은 캠홀에서 돌출된 캠샤프트의 상단부 둘레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핀을 더 포함하고, 제1 몸체는 캠홀과 마주하는 제1 관통홀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캠샤프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홈, 캠홀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걸림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캠홀이 형성된 돌출된 부위에 체결되어 조작캠을 덮는 캠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는 제1 관통홀의 직경이 슬라이더의 외경보다 작아지며 단턱지되 슬라이더의 후퇴를 한정하거나 또는 슬라이더의 탄성 지지체를 지지하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제1 가이드는 최외곽 둘레에서 제1 관통홀의 단턱부 후방측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제1 가이드홀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키고, 제1 밸브체는,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제1 샤프트부, 제1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 소통 시 제2 밸브체에 맞닿는 제1 밸브체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제1 가이드의 전방 측에서 제1 관통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고 슬라이더의 내부유로 직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1 밸브부, 및 제1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전방 유로 내지 내부유로의 차단 시 슬라이더와 제1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슬라이더는 내부유로의 내주면 상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경사면 내지 곡면을 이루며 제1 실링부와 밀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체의 일단이 안착부의 내측 돌출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부의 후방면 내지 후방면에 형성된 홈에 지지되고, 슬라이더의 전방 단부와 제2 몸체의 전방 단부 각각의 사이즈, 제1 밸브부의 전방면과 제2 밸브체의 전방면 각각의 사이즈, 그리고 슬라이더의 내부유로 차단시 슬라이더의 전방 단부보다 돌출된 제1 밸브부의 전방면의 돌출길이와 제2 관통홀 차단시 제2 몸체의 전방 단부보다 후퇴된 제2 밸브체의 전방면의 후퇴길이 각각의 사이즈는 각각 서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은, 제1 관통홀의 전방 결합측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링홈에 설치되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 슬라이더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 제2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관통홀 실링링들 및 캠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홈에 설치되며 캠홀의 내주면과 캠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은, 제2 몸체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제2 몸체가 끼움 결합된 제1 몸체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배관 분리 시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캠 구조를 구비하여 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된 후에도 캠 구조가 구비된 일측에서 실수에 의한 유체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들에 포함되는 구성 내지 다양한 구성들의 특징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다양한 특징적 효과가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캠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서 연결 내지 결합 등의 결합관계 등을 형성하는 경우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적인' 결합관계 등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관계됨으로써 매개체에 의한 결합관계 등의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에', '상측에', '하부에', '하측에' 등의 '접촉'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는 용어들이 포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일단'과 '타단', '일측'과 '타측'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서로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고, '전방'과 '후방'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록 단수로 표현된 구성일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들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의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는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나아가, '구비하다', '구성되다' 등의 의미를 갖는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도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이 자신의 특징, 기능 및/또는 성질이 상실되지 않는 경우라면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내지 결합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실시예의 구성들 중의 일부는 발명 전체의 이해 내지 나머지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되거나 또는 설명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배관 커넥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는 발명의 필수적 구성이라고 할지라도 다른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되어 설명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3 각각은 도 1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분리된 상태에서 캠(122)의 캠돌출부(122a)가 제1 밸브체(130)를 전진시키고 있고, 도 3에서는 분리된 상태에서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후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의 캠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 커넥팅 장치는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하나에 따른 배관 커넥팅 장치는 캠(122)을 구비한다. 제1 유닛(100) 및 제2 유닛(200)이 분리되는 경우 각각은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은 각각 일측이 배관측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체결에 따라 배관이 연결되게 된다. 배관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을 분리시키면 배관이 분리되며 분리된 배관의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배관 커넥팅 장치는 커넥팅 너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닛(100)은 제1 몸체(110), 조작캠(120), 제1 가이드(150), 제1 밸브체(130) 및 슬라이더(140)를 포함하고, 제2 유닛(200)은 제2 몸체(210) 및 제2 밸브체(23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체결에 따라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 제1 몸체(110) 내의 제1 관통홀(110a) 및 제2 몸체(210) 내의 제2 관통홀(210a)의 유로가 소통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제1 스프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2 가이드(250) 및 제2 스프링(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닛(100)은 제3 스프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관통홀 실링링들(181) 및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커넥팅 너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 커넥팅 장치는 다양한 배관의 결합 및 분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 커넥팅 장치는 유체 누설이 거의 없는 점에서 유체가 기체나 액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액화가스 배관, 냉매배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유닛(100)의 구성들과 제2 유닛(200)의 구성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제1 유닛(100)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방' 및 '후방'은 제2 유닛(200)과의 결합 측을 '전방'으로 한 개념이고, '전진' 및 '후퇴'는 제2 유닛(200)과의 결합 측인 '전방'을 향하여 나아가는 경우와 '전방' 반대 방향으로 물러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반면, 제2 유닛(200)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에서, '전방', '후방', '전진', '후퇴' 등은 제1 유닛(100)과의 결합 측을 '전방'으로 한 개념으로, 제1 유닛(100)에서의 개념과 상대적이고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시 서로 방향이 반대가 된다. 즉, 제1 및 제2 유닛(100, 200)에서 세부 구성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제1 및 제2 유닛(100, 200)의 결합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유닛(100)]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제1 몸체(110), 조작캠(120), 제1 가이드(150), 제1 밸브체(130) 및 슬라이더(14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유닛(100)은 제1 스프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제3 스프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관통홀 실링링들(181) 및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측 또는 분리 후 유체압력이 높아지는 배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닛(100)에 포함된 조작캠(120)의 조작에 따라 배관 분리 후에도 실수 등에 의한 유체 누설을 방지하거나 누설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유닛(100)은 분리 후 제1 몸체(110)의 전방 측을 막을 수 있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되는 제2 유닛(20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몸체(210)의 전방 측을 막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캡은 각각 제1 및 제2 몸체(110, 210) 각각과 연결선 등으로 연결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1 유닛(100)의 세부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제1 유닛(100)의 세부구성들의 다양한 구현 예들의 조합을 통하여 제1 유닛(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몸체(110)
도 1 내지 4, 그리고 6을 참조하면, 제1 몸체(110)는 내부에 제1 관통홀(110a)을 구비하고, 둘레 일측에서 제1 관통홀(110a)로 관통하는 캠홀(110b)을 구비한다. 제1 관통홀(110a)은 유체가 흐르는 유로이고, 제1 관통홀(110a) 내에 제1 가이드(150), 제1 밸브체(130) 및 슬라이더(140) 등이 설치된다. 또한, 제1 관통홀(110a) 내에 조작캠(120)의 캠샤프트(121)의 일부와 캠(122)이 위치된다. 캠홀(110b)은 조작캠(120)의 캠샤프트(121)에 의해 관통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을 더 살펴본다. 예컨대, 제1 관통홀(110a)의 전방측 내주면에 링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홈들에 관통홀 실링링들(181)이 설치되어 내주면과 슬라이더(140) 또는/및 제2 몸체(210)의 외주면과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링홈들의 위치는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시 제2 몸체(210)의 외주면이 최전방측 링홈에 설치되는 최전방 관통홀실링링(18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슬라이더(140)의 외주면이 최후방측 링홈에 설치되는 최후방 관통홀실링링(18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는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에 단턱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단턱부(111)는 제1 관통홀(110a)의 직경이 슬라이더(140)의 외경보다 작아지며 단턱지게 형성된다. 단턱부(111)는 슬라이더(140)의 후퇴를 한정하거나 또는 슬라이더(140)의 탄성 지지체, 예컨대 제1 스프링(160)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단턱부(111)는 슬라이더(140)의 후퇴를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턱부(111)의 후방측에 제1 가이드(150)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과 체결되는 제1 가이드(150)에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부(111)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동일면 상에 제1 스프링(160)이 지지되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는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 상에 지지홈(1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홈(112)은 캠홀(110b)과 마주하는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캠샤프트(121)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즉, 조작캠(120)의 회전 조작 시 지지홈(112)에 캠샤프트(12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예컨대 캠홀(110b) 내에 설치되는 후술되는 캠홀 실링링(182)에 의한 캠홀(110b) 내주면과 캠샤프트(121) 사이의 간극에 따른 조작캠(12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캠홀(110b)을 더 살펴본다. 예컨대, 캠홀(110b)의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캠홀(110b)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182)에 의해 캠샤프트(121)와 캠홀(110b) 내주면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캠홀(110b)은 제1 몸체(110)의 둘레에서 주위 외주면보다 돌출된 부위에서 제1 관통홀(110a)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위 외주면보다 돌출된 부위에 후술되는 캠마개(115)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10)는 캠홀(110b)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13)는 캠홀(110b)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어 후술되는 조작캠(120)의 걸림핀(123)의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예컨대, 스토퍼(113)는 걸림핀(123)이 180도로 회전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캠(120)의 캠(122)의 캠돌출부(122a)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게다가, 제1 몸체(110)는 캠마개(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캠마개(115)는 캠홀(110b)이 형성된 돌출된 부위에 체결되어 조작캠(120)을 덮는다. 캠마개(115)를 열어 조작캠(120)의 캠샤프트(121) 상단부를 회전시켜 캠(122)의 캠돌출부(122a)가 전방측으로 향하거나 후방측으로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의 전방측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커넥팅 너트(270)과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 너트(270)가 제1 몸체(110)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2 몸체(210)의 둘레에 나사체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의 후방부는 배관측과 연결되도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의 후방측에 제2 유닛(200)의 관 커넥터(280)와 같은 구성이 체결될 수 있다. 관 커넥터(280)가 제1 몸체(110)의 후방측에 체결되는 경우 관 커넥터(280)를 통해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배관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조작캠(120)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조작캠(120)은 제1 몸체(110)의 캠홀(110b)을 관통하는 캠샤프트(121) 및 제1 관통홀(110a) 내에 캠샤프트(121) 둘레에 형성된 캠(122)을 포함한다. 조작캠(120)은 캠(122)을 구비하여 제1 밸브체(130)를 전방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캠(120)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 내의 제1 관통홀(110a) 및 제2 몸체(210) 내의 제2 관통홀(210a)의 유로 소통은 캠(122)의 회전, 예컨대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제1 밸브체(130)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210)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에 이루어지고, 또한,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후 조작캠(120)의 회전, 즉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전진하며 슬라이더(140)로부터 제1 밸브체(130)의 전방부가 떨어지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 관통홀(110a, 210a)의 연결유로 차단은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제1 밸브체(130)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210)가 분리되며 슬라이더(140)가 전방 유로를 차단하는 경우에 이루어지고, 또한,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상태에서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후퇴하며 슬라이더(140)에 제1 밸브체(130)의 전방부가 밀착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캠(122)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예컨대, 캠(122)은 제1 관통홀(110a)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도록 캠샤프트(121)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캠샤프트(121)의 회전에 의한 캠(122)의 회전에 따라 캠돌출부(122a), 소위 캠노즈(Cam Nose)가 전방측으로 회전하며 제1 밸브체(130)를 전방측으로 푸싱할 수 있다. 캠돌출부(122a)가 후방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캠(122)은 캠돌출부(122a)의 반대측에서 상하로 돌출된 걸이부(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캠(122)의 걸이부(122b)는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를 이루는 캠결합부(135)에 체결되며 캠리프트에 의해 제1 밸브체(130)를 당기며 제1 밸브체(130)를 후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캠샤프트(121)를 더 살펴본다. 캠샤프트(121)는 캠홀(110b)을 관통하고, 제1 관통홀(110a)의 중심축 부위에서 캠샤프트(121) 둘레에 캠(122)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캠샤프트(121)는 캠홀(110b)을 관통하며 제1 관통홀(110a) 내에서 캠홀(110b)과 마주하는 내주면 상에 형성된 지지홈(112)에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캠샤프트(121)는 캠(122)이 설치되는 부위는 캠(122)이 캠샤프트(121)와 별도로 회전하지 못하게 캠(122)에 형성된 끼움홈과 매칭되는 다각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캠샤프트(121)의 캠(122) 체결부위 하측의 캠샤프트(121) 하단부는 지지홈(112)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캠샤프트(121)의 캠 체결부위 하단, 즉 캠(122)의 하단에는 스냅링을 체결하여 캠(122)이 캠샤프트(121)에서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조작캠(120)은 캠홀(110b)에서 돌출된 캠샤프트(121)의 상단부 둘레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핀(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핀(123)은 캠홀(110b) 상부로 돌출된 캠샤프트(121)의 둘레에 형성되고, 조작캠(120)의 회전 시 캠홀(110b)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113)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걸림핀(123) 자체를 조작캠(120) 회전을 조절하는 손잡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캠샤프트(121)의 상단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캠(1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각, 육각 등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조작캠(120)의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상태에서 유로의 개폐가 가능하고,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분리 전 및 분리 후 모두에서 제1 몸체(110) 내의 제1 밸브체(130)를 후퇴시켜 슬라이더(140)가 실수로 눌러지지 않도록 하며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를 통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밸브체(130)의 제1 관통홀(110a) 내부로의 후퇴에 따라 실수로 유체가 배출되게 조작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질뿐만 아니라, 하나의 예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의 실질적 개방 가능성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분리 전 및 분리 후, 조작캠(120)의 조작에 따라 제1 몸체(110) 내의 제1 밸브체(130)를 후퇴시켜 슬라이더(140)를 제1 관통홀(110a)의 단턱부(111)까지 최대로 후퇴시킴으로써 슬라이더(140)가 더 후퇴되지 않아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의 실질적 개방 가능성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닛(100) 측 배관에서 확실하게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15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150)는 제1 관통홀(110a) 내에 형성되며 제1 가이드홀(151)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150)는 제1 가이드홀(151)을 관통하는 제1 밸브체(130)의 전진과 후진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예컨대, 제1 가이드(150)는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돌출되며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배관 커넥팅 장치의 제작의 편의성 면에서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1 관통홀(110a) 내에 나사결합방식 등으로 고정 체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가이드(150)는 제1 관통홀(110a)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50)는 제1 밸브체(1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함과 함께 제1 가이드(150)의 후방면측에서 제1 스프링(16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50)의 제1 관통홀(110a) 내주면과의 결합부위에서 제1 스프링(160)을 지지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가이드(150)에 형성되는 단턱 등에서 제1 스프링(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가이드(150)는 전방면측에서 후술되는 제3 스프링(17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150)의 후방면측에는 제1 스프링(160)이 지지되고 전방면측에는 제3 스프링(170)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150)의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은 하나의 기준선에 따라 나눠지는 개념이 아니라 전방측에서 바라본 평면측이 전방면측이 되고 후방측에서 바라본 평면측이 후방면측이 된다. 예컨대, 제1 가이드(150)의 전방측으로 오목한 단턱으로 형성된 전방면측에 제3 스프링(170)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가이드(150)는 최외곽 둘레에서 제1 관통홀(110a)의 단턱부(111) 후방측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제1 가이드홀(151)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150)는 제1 가이드홀(151) 주위에서 삼발이 등과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지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각 가지부의 말단이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가지부 사이의 공간은 제1 가이드홀(151) 주위의 유로가 된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가이드(150)는 평면상 원판 구조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제1 가이드홀(151)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다수의 유로홀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제1 밸브체(13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밸브체(130)는 제1 가이드홀(151)을 관통하며 캠(122)의 회전에 따라 제1 관통홀(110a) 내에서 전진 및 후퇴한다. 제1 및 제2 몸체(110, 210)가 결합된 경우, 제1 밸브체(130)는 제1 가이드홀(151)을 통한 전진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더(140)로부터 떨어지며 제1 관통홀(110a)의 유로가 개방되고, 제1 밸브체(130)는 후퇴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더(140)에 밀착되며 제1 관통홀(110a)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는 캠(122)과 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가 캠(122)에 접하는 경우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가 전방으로 푸싱되고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는 예컨대 제3 스프링(170)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또는,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가 캠(122)에 결합되는 경우,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는 전방으로 푸싱되고,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는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는 캠(122)과 결합되는 캠결합부(13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돌출부(122a)의 반대측이 캠결합부(135)에 체결되며,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캠(122)에 의해 제1 밸브체(130)가 당겨지며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캠(122)은 캠돌출부(122a)의 반대측에서 상하로 돌출된 걸이부(122b)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캠결합부(135)는 걸이부(122b)에 의해 걸려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캠(122)에 의해 당겨지며 후퇴될 수 있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예컨대, 캠결합부(135)는 수평상 후방측으로 오목한 호형상 단부(135a) 및 호형상 단부(135a)에서 수직 돌출되어 걸이부(122b)에 의해 당겨지는 걸림턱(135b)을 구비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상하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캠결합부(135)의 걸림턱(135b)은 캠(122)의 걸이부(122b)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캠(122) 걸이부(122b)가 전방측으로 위치된 경우 걸이부(122b)에 의해 걸리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캠결합부(135)를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는 체결핀(135c)에 의해 후술되는 제1 샤프트부(131)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밸브체(130)는 제1 샤프트부(131), 제1 밸브부(132) 및 제1 실링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제1 샤프트부(131)의 후단부에는 캠결합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샤프트부(131)의 후단부에 캠(122)이 접촉될 수도 있다. 제1 샤프트부(131)는 제1 가이드홀(151)을 관통한다. 예컨대, 이때, 제1 샤프트부(131)의 둘레 주위에는 제3 스프링(17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밸브부(132)는 제1 샤프트부(131)의 전방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밸브부(132)는 제1 샤프트부(131)의 전방부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제1 샤프트의 전단에 형성된 체결홈(131a)에 체결되며 결합될 수 있다. 제1 밸브부(132)는 제1 및 제2 관통홀(110a, 210a)의 유로 소통 시 제2 밸브체(230)에 맞닿는 제1 밸브체(130)의 전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1 밸브부(132)는 제1 가이드(150)의 전방 측에서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 방향으로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고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 직경보다 크게 확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어서,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과 제2 밸브체(230)의 전방면은 각각의 사이즈가 동일하게 내지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평면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2 밸브체(230)와 맞닿는 제1 밸브부(132)의 전단은 제1 실링부(133)가 설치되는 제1 밸브부(132)의 둘레보다 돌출된 구조일 수도 있다.
제1 실링부(133)는 제1 밸브부(132)의 둘레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실링부(133)는 전방 유로 내지 내부유로의 차단 시 슬라이더(140)와 제1 밸브부(13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때, 전방 유로는 제1 밸브부(132)의 둘레 주위의 유로를 의미하고, 내부유로는 슬라이더(140)의 내부 유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방 유로의 차단은 제1 및 제2 관통홀(110a, 210a) 사이의 유로 소통 후 제2 몸체(210)의 분리에 따라 제2 몸체(210)의 전방단부와 맞닿아 있던 슬라이더(140)가 제1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며 제1 밸브부(132) 주위의 전방 유로를 차단하는 것이고, 내부유로의 차단은 제1 및 제2 관통홀(110a, 210a) 사이의 유로 소통 후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상태에서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후방으로 후퇴하며 제1 밸브부(132)가 슬라이더(140)에 밀착되며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1 실링부(133)는 제1 밸브부(132)의 둘레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는 실링링일 수 있다. 이때, 제1 밸브부(132)의 둘레는 슬라이더(140)에 형성된 안착부(141)의 경사면 내지 곡면에 제1 실링부(133)가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141)의 경사면 내지 곡면과 나란하거나 마주하는 경사면 내지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밸브부(132)의 둘레를 이루는 경사면 내지 곡면 상에 링홈이 형성되고 링홈에 제1 실링부(133), 예컨대 실링링이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4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40)는 제1 관통홀(110a) 내에서 탄성 지지되며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더(140)는 슬라이딩 이동하며 캠(122)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제1 밸브체(130)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방 유로를 개폐한다. 예컨대, 전방 유로는 제1 밸브체(130)의 제1 밸브부(132) 둘레 주위에 형성된다. 전방 유로는 개방 상태인 경우 제1 밸브부(132)의 둘레와 제2 몸체(2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차단 상태인 경우 제1 밸브부(132)의 둘레와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나 슬라이더(140)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예컨대, 차단 상태에서 슬라이더(140)의 전방단부보다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이 소정의 돌출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예컨대, 슬라이더(140)는 외형이 원통형 구조이고 내측에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내주면 상에 제1 밸브체(130)의 제1 실링부(133)가 안착되는 안착부(141)가 내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밸브체(130)의 제1 실링부(133)가 안착되는 안착부(141)의 안착면은 경사면이거나 곡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슬라이더(140)는 내부유로의 내주면에 안착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140)의 안착부(141)는 내부유로 내주면 상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경사면 내지 곡면을 이루며 내부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안착부(141)는 테이퍼진 경사면 내지 곡면을 이루어 제1 실링부(133)와 밀착된다. 안착부(141)의 곡면은 외측이 아닌 내측으로 볼록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더(14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체, 예컨대 제1 스프링(160)의 일단이 안착부(141)의 내측 돌출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부(141) 후방면 내지 안착부(141) 후방면에 형성된 홈에 지지될 수 있다. 안착부(141) 후방면은 내부유로의 내주면에서 수직한 면을 형성하고, 이때, 안착부(141) 후방면에 제1 스프링(160)이 지지되거나 안착부(141) 후방면에 홈이 형성되고 해당 홈에 제1 스프링(160)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는 안착부(141) 후방면에 형성된 홈에 제1 스프링(160)이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슬라이더(140)의 전방 단부와 그와 맞닿는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부 각각의 사이즈는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서로 매칭되고,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 차단시 슬라이더(140)의 전방 단부보다 돌출된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의 돌출길이와 제2 관통홀(210a) 차단시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부보다 후퇴된 제2 밸브체(230)의 전방면의 후퇴길이 각각의 사이즈도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210a) 차단시 전방측으로 노출된 제2 밸브체(230)의 전방면과 그와 맞닿는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은 각각 평면으로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매칭되며, 제2 몸체(210)의 분리 과정에서 제2 몸체(210)의 전방 단부가 슬라이더(140)의 전방 단부로부터 떨어지기 직전에 전방 유로가 슬라이더(140)의 전방 단부와 제2 몸체(210)의 전방부에 의해 막히고 제1 밸브체(130)와 제2 밸브체(230)가 사이에 유체가 실질적으로 남아있지 않아 분리 후 누설되는 유체가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60)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이때, 제1 유닛(100)은 제1 스프링(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스프링(160)은 일단이 슬라이더(14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150)에 또는 제1 관통홀(110a)의 내면에 지지된다. 제1 밸브체(130)의 전진 상태에서, 제1 스프링(160)은 제2 몸체(210)의 끼움 결합 시 슬라이더(140)의 후퇴에 따라 수축하고,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전방 유로가 차단되도록 슬라이더(1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제1 스프링(160)은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제1 밸브체(130)의 후퇴에 따라 슬라이더(140)의 후퇴와 함께 수축한다.
예컨대, 제1 스프링(160)의 타단은 제1 관통홀(110a)의 내면에 형성된 단턱부(11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10a)의 단턱부(111)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조한다. 또는 제1 스프링(160)의 타단은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150)에 형성된 단턱 또는 수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프링(160)의 타단이 지지되는 제1 가이드(150)의 단턱 또는 수직면은 제1 관통홀(110a)의 단턱부(111)와 동일면을 형성하거나 제1 관통홀(110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1 관통홀(110a)의 단턱부(111)는 슬라이더(140)의 후방으로의 후퇴를 제한할 수 있다.
제3 스프링(17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제3 스프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프링(170)은 제1 밸브체(130)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가이드(150)에 또는 제1 관통홀(110a)의 내면에 지지된다. 제3 스프링(170)은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의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스프링(170)은 제1 가이드(150)를 기준으로 전방면측에 지지되는 반면, 제1 스프링(160)은 제1 가이드(150)의 후방면측에 지지되고, 이때, 제1 가이드(150)의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은 수직평면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으나 전방에서 바라보는 면과 후방에서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예컨대, 전방에서 바라보는 면은 오목하고 후방에서 바라보는 면은 볼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3 스프링(170)의 일단은 제1 밸브체(130)의 후방부인 캠결합부(135)의 후방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캠결합부(135)의 후방면은 호형상 단부(135a) 및 걸림턱(135b)을 구비하고 상하대칭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의 측면이거나 또는 그러한 한 쌍의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제1 샤프트부(131)가 관통되는 수직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3 스프링(170)의 타단은 제1 가이드(150)의 전방면측에 지지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관통홀(110a)의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에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스프링(170)의 탄성계수는 제1 스프링(160)의 탄성계수보다 클 수 있다.
관통홀 실링링(181) 및 캠홀 실링링(182)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관통홀 실링링들(181) 및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 실링링들(181)은 제1 관통홀(110a)의 전방 결합측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링홈에 설치된다. 관통홀 실링링들(181)은 제2 몸체(210)의 끼움 결합 시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과 슬라이더(140)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과 제2 몸체(210)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예컨대, 관통홀 실링링들(181) 및 링홈들의 배치는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시 제2 몸체(210)의 외주면이 최전방측 링홈에 설치되는 최전방 실링링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슬라이더(140)의 외주면이 최후방측 링홈에 설치되는 최후방 실링링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통홀 실링링들(181) 중 적어도 하나는 항상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과 슬라이더(140)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으로 회전에 따른 제1 밸브체(130)의 전진과 제1 몸체(110)의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최전방 관통홀실링링(181) 넘어까지 슬라이더(140)가 탄성에 의해 전진하며 최전방 관통홀실링링(181)에 의해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과 슬라이더(140)의 외주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관통홀(110a)의 내주면상의 링홈들 및 관통홀 실링링들(181)은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182)은 캠홀(110b)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홈에 설치되며 캠홀(110b)의 내주면과 캠샤프트(121)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캠홀(110b)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링홈과 캠홀 실링링(182)은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 실링링들(181)과 캠홀 실링링(182)은 고무나 다른 수지재질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 너트(27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유닛(200)이 아닌 제1 유닛(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몸체(110)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제1 몸체(110)에 끼움 결합되는 제2 몸체(210)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10)의 둘레 전방측에 커넥팅 너트(270)가 제2 몸체(210)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커넥팅 너트(270)의 절곡부위가 걸리는 전방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4,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유닛(100)은 고정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190)는 제1 몸체(110)의 둘레 일측에 결합되며 제1 유닛(100)이 고정체, 예컨대 건물, 설비 등의 벽, 기둥, 바닥, 프레임, 다른 기기나 장치 등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대(190)는 제1 유닛(100)이 아닌 후술되는 제2 유닛(200)의 제2 몸체(210) 둘레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유닛(200)]
다음으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제2 유닛(200)을 살펴본다. 예컨대,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 측에 일부가 삽입되며 제1 유닛(100)과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제2 몸체(210) 및 제2 밸브체(230)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제2 가이드(250) 및 제2 스프링(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커넥팅 너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관 커넥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200)의 세부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제2 유닛(200)의 세부구성들의 다양한 구현 예들의 조합을 통하여 제2 유닛(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제2 몸체(210)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제2 몸체(210)는 제1 몸체(11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 몸체(210)는 내부에 제2 관통홀(210a)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0)의 제1 관통홀(110a)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제2 몸체(210)는 제1 몸체(110)에 끼움 결합 시 제1 밸브체(130)의 전진 상태에서 슬라이더(140)를 밀어 전방 유로를 개방시킨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끼움 결합에 따라 슬라이더(140)를 푸싱하며 전방 유로를 개방시키는 동작과 함께 전진 상태의 제1 밸브체(130)가 제2 밸브체(230)를 푸싱하며 제2 관통홀(210a)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제2 몸체(210)의 슬라이더(140) 푸싱방향과 제1 밸브체(130)의 제2 밸브체(230) 푸싱방향으로 서로 반대가 된다. 전방 유로는 제1 밸브체(130) 둘레 외측의 유로를 의미하고, 제2 밸브체(230)에 의해 개방되는 제2 관통홀(210a)의 유로는 제2 밸브체(230)의 둘레 외측과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 사이의 유로를 의미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10) 내의 제1 관통홀(110a) 및 제2 몸체(210) 내의 제2 관통홀(210a)의 유로 소통은 제1 밸브체(130)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210)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및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상태에서 캠돌출부(122a)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전진하며 슬라이더(140)로부터 전방부가 떨어져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와 전방 유로가 연결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게다가, 제1 및 제2 관통홀(110a, 210a)의 연결유로 차단은 제1 밸브체(130)의 전진 상태에서 제2 몸체(210)가 분리되며 슬라이더(140)가 전방 유로를 차단하고 더불어 제2 밸브체(230)가 제2 관통홀(210a)을 차단하는 경우 및 제1 및 제2 몸체(110, 210)의 결합 상태에서 캠돌출부(122a)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밸브체(130)가 후퇴하며 슬라이더(140)에 제1 밸브체(130)의 전방부가 밀착되어 슬라이더(140)의 내부유로가 차단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2 몸체(210)는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 상에서 후방측보다 전방측 내경이 작아지며 형성된 밸브안착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안착부(211)에는 전방으로 전진된 제2 밸브체(230), 예컨대 제2 밸브체(230)의 제2 실링부(233)가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안착부(211)는 제2 관통홀(210a)의 전방측 내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밸브안착부(211)는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에서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또는 순차단차를 이루며 내경이 작아지거나 후방측보다 전방측 내경이 작게 단차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이 단차를 이루며 밸브안착부(211)를 형성하는 경우 제2 밸브체(230)의 제2 실링부(233)는 예컨대 제2 밸브부(232)의 전방면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한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밸브안착부(211)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이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작아지며 밸브안착부(211)를 형성하는 경우, 밸브안착부(211)는 하나의 경사면 또는 순차로 단차지며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면 또는 곡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밸브체(230)의 제2 밸브부(232)는 밸브안착부(211)의 구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둘레에 링홈을 형성하고 링홈에 제2 실링부(233)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2 몸체(210)의 제2 관통홀(210a)의 후방 내주면에는 제2 가이드(250)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는 전방측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제2 몸체(210)의 제1 몸체(110)로의 끼움 내지 삽입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전방측 둘레에 형성된 돌출 단턱은 단면상 돌기형태로 형성되며 돌기의 전방 단턱은 제2 몸체(210)의 끼움 내지 삽입 길이를 한정하고, 돌기의 후방 단턱은 커넥팅 너트(270)의 일단이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전방측 둘레에 걸림돌기(213)가 형성되어 걸림돌기(213)의 전방면은 제2 몸체(210)의 끼움 내지 삽입 길이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고, 걸림돌기(213)의 후방면은 커넥팅 너트(270)의 체결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달리 제2 몸체(210)의 전방측 둘레에, 예컨대, 제2 몸체(210)의 끼움 내지 삽입을 한정하는 돌출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몸체(110)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는 커넥팅 너트(270)의 타단이 제2 몸체(210)의 외주면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몸체(210)의 후방에 관 커넥터(280)가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제2 몸체(210)의 외주면 둘레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링이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 커넥터(280)와 나사결합하며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제2 밸브체(23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 밸브체(230)는 제2 몸의 제2 관통홀(210a) 내에서 탄성 지지된다. 제2 밸브체(230)는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제2 관통홀(210a)을 차단한다. 또한, 제2 밸브체(230)는 제2 몸체(210)의 끼움 결합 시 캠(122)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제1 밸브체(130)에 맞닿아 밀리며 제2 관통홀(210a)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2 밸브체(230)는 제2 샤프트부(231), 제2 밸브부(232) 및 제2 실링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부(231)는 후방측이 제2 가이드홀(25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제2 샤프트의 전방에 제2 밸브부(23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나사체결되며 제2 밸브부(23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밸브부(232)는 제2 샤프트부(231)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관통홀(110a, 210a)의 유로 소통 시 제1 밸브체(130)에 맞닿는 제2 밸브체(230)의 전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2 밸브부(232)는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 방향으로 밸브안착부(211)의 최소 내경보다 크게 확대된다. 예컨대, 밸브안착부(211)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단일 경사면, 순차 경사면 내지 곡면 구조이거나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에서 수직한 수직면일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제2 밸브부(232)의 둘레는 밸브안착부(211)의 안착면과 나란하게 또는 마주보도록 제2 실링부(233)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구비하고, 설치면 상에 제2 실링부(233)가 설치되는 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밸브부(232)의 후방면측에 제2 스프링(260)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밸브부(232)의 후방면에 홈구조가 형성되도록 하고 제2 스프링(260)의 일단이 홈구조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관통홀(210a)의 유로 차단 시 전방측에서 노출되는 제2 밸브부(232)의 전방면은 평면이고 예컨대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과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매칭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유로 소통 후 슬라이더(140)의 전방 단부로부터 제2 몸체(210)가 떨어지기 직전에 제1 밸브부(132)의 둘레 외측의 전방유로와 제2 밸브부(232)의 둘레 외측의 유로 외에 제1 밸브체(130)와 제2 밸브체(230) 사이에 유체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2 밸브부(232)의 전방면과 제1 밸브부(132)의 전방면이 맞닿도록 하여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유체의 누설이 없도록 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실링부(233)는 제2 밸브부(232)의 둘레에 설치되며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밸브안착부(211)와 제2 밸브부(23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예컨대, 제2 실링부(233)는 고무 또는 수지재질의 실링링일 수 있다.
제2 가이드(25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제2 가이드(250) 및 제2 스프링(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26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가이드(250)는 제2 밸브체(2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251)을 구비한다. 예컨대, 제2 가이드(250)는 제2 관통홀(210a) 내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가지에 의해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홀(251)과 제2 가이드홀(251)을 형성하는 다수의 가지들에 의해 제2 가이드(2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가이드(250)는 제2 관통홀(210a)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50)는 제2 몸체(210)의 후방측에서 삽입 내지 나사결합시키며 고정 설치하거나 제2 몸체(210)의 전방측에서 제2 관통홀(210a)의 후방 내주면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50)는 제1 가이드(150)와 동일 또는 유사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2 가이드(250)는 최외곽 둘레에서 제2 관통홀(210a)의 후방측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제2 가이드홀(251)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50)는 제2 가이드홀(251) 주위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지들이 돌출되어 예컨대 삼발이 등과 같은 형상을 이루며 최외각 둘레가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 예컨대 나사결합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가지들과 제2 관통홀(210a)의 내주면과 사이의 빈 공간이 유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달리 제2 가이드홀(251) 주위의 원판 플레이트에 다수의 관통형 유로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가이드(250)의 제2 가이드홀(251) 주위의 방사상 가지들 내지 원형 플레이트 상에 제2 스프링(260)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제2 스프링(260)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 스프링(260)은 제2 밸브체(230)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2 밸브체(23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250)에 또는 제2 관통홀(210a)의 내면에 지지된다. 제2 스프링(260)은 제2 몸체(210)의 분리 시 제2 밸브체(230)에 의해 제2 관통홀(210a)의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2 밸브체(2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제1 몸체(110)의 제1 관통홀(110a) 내로 제2 몸체(210)가 삽입되며 체결되는 경우 제1 밸브체(130)의 전방부, 예컨대 제1 밸브부(132)에 의해 제2 밸브체(230)가 밀리며 제2 스프링(260)이 수축하고, 제2 몸체(210)가 분리되며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우 제2 스프링(260)이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2 밸브체(230)가 제2 관통홀(210a)을 차단하도록 하고, 또한 제2 몸체(210)의 결합상태에서 캠돌출부(122a)가 후방측(제2 몸체(210)의 후방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스프링(260)이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2 밸브체(230)가 제2 관통홀(210a)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스프링(260)은 제2 샤프트부(231)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2 밸브부(232)의 후방 측에 지지될 수 있다.
커넥팅 너트(270)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배관 커넥팅 장치는 커넥팅 너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너트(270)는 제2 몸체(210)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제2 몸체(210)가 끼움 결합된 제1 몸체(110)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제2 몸체(210)의 끼움 결합 시 커넥팅 너트(270)을 돌림에 따라 제2 몸체(21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너트(270)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2 몸체(210)의 둘레에는 커넥팅 너트(270)가 제1 몸체(110)의 외주면과 체결되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전방측에 단턱, 예컨대 걸림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13)는 전방측에서 제2 몸체(210)의 끼움 내지 삽입길이를 한정하고, 후방측에서 커넥팅 너트(270)의 체결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너트(270)는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위가 제2 몸체(210)의 전방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돌기(213)의 후방면에 걸리고 커넥팅 너트(27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제1 몸체(110)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이 체결되며,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2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관 커넥터(280)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유닛(200)은 관 커넥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 커넥터(280)는 제2 몸체(210)의 후방 측에 체결되며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연결부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링이 제2 몸체(210)의 후방측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관 커넥터(280)는 너트결합방식으로 제2 몸체(210)의 후방 측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관 커넥터(280)는 다양한 배관의 직경에 따라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배관측과 연결되는 부위의 직경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유닛(200)이 관 커넥터(28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제2 몸체(210)의 후방측이 배관측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 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이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전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 실시 예들을 포함하고 있다.
100: 제1 유닛 110: 제1 몸체
110a: 제1 관통홀 110b: 캠홀
111: 단턱부 112: 지지홈
113: 스토퍼 115: 캠마개
120: 조작캠 121: 캠샤프트
122: 캠 122a: 캠 돌출부
122b: 걸이부 123: 걸림핀
130: 제1 밸브체 131: 제1 샤프트부
131a: 체결홈 132: 제1 밸브부
133: 제1 실링부 135: 캠결합부
135a: 플레이트의 호형상 단부 135b: 걸림턱
135c: 체결핀 140: 슬라이더
141: 안착부 150: 제1 가이드
151: 제1 가이드홀 160: 제1 스프링
170: 제3 스프링 181: 관통홀 실링링
182: 캠홀 실링링 190: 고정대
200: 제2 유닛 210: 제2 몸체
210a: 제2 관통홀 211: 밸브안착부
213: 걸림돌기 230: 제2 밸브체
231: 제2 샤프트부 232: 제2 밸브부
233: 제2 실링부 250: 제2 가이드
251: 제2 가이드홀 260: 제2 스프링
270: 커넥팅 너트 280: 관 커넥터

Claims (12)

  1.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 커넥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둘레 일측에서 내부의 제1 관통홀로 관통하는 캠홀을 구비하는 제1 몸체;
    상기 캠홀을 관통하는 캠샤프트 및 상기 제1 관통홀 내에 상기 캠샤프트 둘레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는 조작캠;
    상기 제1 관통홀 내에 형성되며 제1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관통홀 내에서 전진 및 후퇴하는 제1 밸브체; 및
    상기 제1 관통홀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상기 제1 밸브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전방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내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제1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상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상기 전방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관통홀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전진된 상기 제1 밸브체에 맞닿아 밀리며 상기 제2 관통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 소통은 상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상태에서 캠 돌출부의 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밸브체가 전진하며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전방부가 떨어져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유로와 상기 전방 유로가 연결되는 경우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의 연결유로 차단은 상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가 분리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전방 유로를 차단하고 더불어 상기 제2 밸브체가 상기 제2 관통홀을 차단하는 경우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밸브체가 후퇴하며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1 밸브체의 전방부가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내부유로가 차단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관통홀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에 또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밸브체의 전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슬라이더의 후퇴에 따라 수축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전방 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밸브체의 후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의 후퇴와 함께 수축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밸브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홀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2 밸브체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 밸브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이드에 또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내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밸브체에 의해 상기 제2 관통홀의 유로가 차단되도록 상기 제2 밸브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주면 상에서 후방측보다 전방측이 내경이 작아지며 형성된 밸브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최외곽 둘레에서 상기 제2 관통홀의 후방측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홀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 밸브체는, 후방측이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 샤프트부, 상기 제2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 소통 시 상기 제1 밸브체에 맞닿는 상기 제2 밸브체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상기 밸브안착부의 최소 내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2 밸브부, 및 상기 제2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밸브안착부와 상기 제2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샤프트부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 밸브부의 후방 측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몸체의 후방 측에 체결되며 배관과 연결되는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5.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밸브체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 밸브체의 후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에 또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면에 지지되며 상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밸브체의 후퇴용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6.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밸브체의 후방부는 상기 캠과 결합되는 캠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 돌출부의 후방측으로의 회전 시 상기 캠 돌출부의 반대측이 상기 캠 결합부에 체결되며, 후방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제1 밸브체를 당기며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캠은 상기 캠 돌출부의 반대측에서 상하로 돌출된 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결합부는 수평상 후방측으로 오목한 호형상 단부 및 상기 호형상 단부에서 수직 돌출되어 상기 걸이부에 의해 당겨지는 걸림턱을 구비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상하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캠홀은 상기 제1 몸체의 둘레에서 주위 외주면보다 돌출된 부위에서 상기 제1 관통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작캠은 상기 캠홀에서 돌출된 상기 캠샤프트의 상단부 둘레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캠홀과 마주하는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캠샤프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홈, 상기 캠홀의 상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캠홀이 형성된 상기 돌출된 부위에 체결되어 상기 조작캠을 덮는 캠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이 상기 슬라이더의 외경보다 작아지며 단턱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후퇴를 한정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탄성 지지체를 지지하는 단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는 최외곽 둘레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의 상기 단턱부 후방측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홀의 주위로 유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 밸브체는, 상기 제1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제1 샤프트부, 상기 제1 샤프트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 소통 시 상기 제2 밸브체에 맞닿는 상기 제1 밸브체의 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가이드의 전방 측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 방향으로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유로 직경보다 크게 확대된 제1 밸브부, 및 상기 제1 밸브부의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 유로 내지 상기 내부유로의 차단 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 밸브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제1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내부유로의 내주면 상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경사면 내지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실링부와 밀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체의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내측 돌출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의 후방면 내지 상기 후방면에 형성된 홈에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 단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전방 단부 각각의 사이즈, 상기 제1 밸브부의 전방면과 상기 제2 밸브체의 전방면 각각의 사이즈,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유로 차단시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 단부보다 돌출된 상기 제1 밸브부의 전방면의 돌출길이와 상기 제2 관통홀 차단시 상기 제2 몸체의 전방 단부보다 후퇴된 상기 제2 밸브체의 전방면의 후퇴길이 각각의 사이즈는 각각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관통홀의 전방 결합측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링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관통홀 실링링들 및 상기 캠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링홈에 설치되며 상기 캠홀의 내주면과 상기 캠샤프트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캠홀 실링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몸체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가 끼움 결합된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KR1020180036992A 2018-03-30 2018-03-30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KR10202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92A KR102029998B1 (ko) 2018-03-30 2018-03-30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92A KR102029998B1 (ko) 2018-03-30 2018-03-30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98B1 true KR102029998B1 (ko) 2019-10-08

Family

ID=6820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92A KR102029998B1 (ko) 2018-03-30 2018-03-30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94Y1 (ko) 2021-08-17 2023-04-0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체 연결 커플러
KR102683461B1 (ko) 2022-05-03 2024-07-09 김석 고압 가스 개폐 밸브에 사용되는 샤프트 및 실링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KR20170004277A (ko) * 2015-07-01 2017-01-11 이종천 퀵 분리형 볼밸브 장치
KR20170001449U (ko)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기하정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KR20180006766A (ko) * 2016-07-11 2018-01-19 이종천 잔압제거형 배관 커넥팅 장치 및 공조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KR20170004277A (ko) * 2015-07-01 2017-01-11 이종천 퀵 분리형 볼밸브 장치
KR20170001449U (ko)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기하정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KR20180006766A (ko) * 2016-07-11 2018-01-19 이종천 잔압제거형 배관 커넥팅 장치 및 공조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694Y1 (ko) 2021-08-17 2023-04-05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유체 연결 커플러
KR102683461B1 (ko) 2022-05-03 2024-07-09 김석 고압 가스 개폐 밸브에 사용되는 샤프트 및 실링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233B2 (en) Faucet valve housing assembly
EP1781977B1 (en) Water supply shut off valve with quick connect having flow regulation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JP5530360B2 (ja) 分割型弁
JP7411273B2 (ja) 弁ケース分割部の固定治具の取付方法
US9022431B2 (en) Pipe fitting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KR20170141338A (ko) 가스실린더 연결장치
KR20200084132A (ko) 클램프 결합형 버터플라이 밸브 및 조립 방법
US8959674B2 (en) Drain valve assembly
US20170307123A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38690Y1 (ko) 유니온 타입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JP5631518B1 (ja) 水栓蛇口
KR101903488B1 (ko)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KR102075113B1 (ko) 각도 가변형 밸브
JPH07217784A (ja) 分岐口の閉塞装置およびその装着装置
KR20160058548A (ko) 발사체의 배관 커넥터
KR101688692B1 (ko)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1455340B1 (ko) 배관의 압력시험용 마감캡
US20090045369A1 (en) Plumbing Fitting
JP2018059561A (ja) 管継手および逆流防止器ユニット
EP4198369A1 (en) Polyethylene pipe service system including quick connect means for polyethylene pipe tapping, plugging, and completion operations background
JP6550295B2 (ja) 弁体離脱型バタフライ弁
ES1219265U (es) Conector de doble seguridad con regulador de fluido
KR20200103461A (ko) 배관 압력시험용 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