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692B1 -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692B1
KR101688692B1 KR1020140151636A KR20140151636A KR101688692B1 KR 101688692 B1 KR101688692 B1 KR 101688692B1 KR 1020140151636 A KR1020140151636 A KR 1020140151636A KR 20140151636 A KR20140151636 A KR 20140151636A KR 101688692 B1 KR101688692 B1 KR 10168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valve
room
center ro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485A (ko
Inventor
이종천
Original Assignee
이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천 filed Critical 이종천
Priority to KR102014015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6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센터로드 룸, 센터로드 룸 하부에 형성된 메인 밸브포트 및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센터로드 룸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메인 몸체; 센터로드 룸에 설치되되, 메인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말단 개폐부 및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로드 안착부를 포함하는 센터 로드; 및 말단 개폐부에 의한 메인 밸브포트 차단 시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 및 커넥팅 룸으로부터 분리가 수행되되, 커넥팅 튜브 및 일측이 커넥팅 튜브 내에 삽입되어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고 타측이 커넥팅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 시 로드 안착부에 안착하는 밸브 로드를 포함하는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리형 밸브 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공조 기기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SEPARABLE TYPE VALVE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배관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밸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흐르게 하는데 사용된다. 유체가 흐르는 배관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거나 남아있어 분리하는 경우 유체가 배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연결 배관을 분리하는 경우에 배관 내부에 남아있는 유체를 실질적으로 손실없이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나 냉동장치 등의 경우 예컨대 열교환기들 사이의 연결배관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의 경우,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수리, 이사 등의 이유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연결배관에서 분리하는 냉매 순환관 내의 냉매가 모두 유출될 수 있고, 다시 연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분리 또는 연결이 간편하지 않다.
에어컨, 냉동장치 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도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시켜 분리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차단하여 분리하거나 연결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793호(2010. 06. 1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밸브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배관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밸브 장치에 있어서, 센터로드 룸, 센터로드 룸 하부에 형성된 메인 밸브포트 및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센터로드 룸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메인 몸체; 센터로드 룸에 설치되되, 메인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말단 개폐부 및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로드 안착부를 포함하는 센터 로드; 및 말단 개폐부에 의한 메인 밸브포트 차단 시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 및 커넥팅 룸으로부터 분리가 수행되되, 커넥팅 튜브 및 일측이 커넥팅 튜브 내에 삽입되어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고 타측이 커넥팅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 시 로드 안착부에 안착하는 밸브 로드를 포함하는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리형 밸브 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센터로드 룸 내에서 센터 로드의 최대 하강 시, 메인 밸브포트가 차단되고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 내의 커넥팅 유로는 차단되고 밸브 로드의 타측은 최대 전진 상태로 로드 안착부에 안착되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의 커넥팅 룸에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른 메인 밸브포트의 오픈 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커넥팅 룸에 고정되고 밸브 로드는 로드 안착부의 상승에 의해 후퇴하면서 커넥팅 유로를 개방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볼 안착 홈이 형성되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밸브 로드의 후퇴 시 볼 안착 홈에 안착되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를 커넥팅 룸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커넥팅 튜브의 둘레에 고정용 볼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구멍이 형성되고, 밸브 로드의 둘레에 고정용 볼이 안착되는 제1 환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밸브 로드의 후퇴 시, 고정용 볼은 볼 구멍을 관통하며 제1 환형 홈을 벗어나 밸브 로드의 둘레에 그리고 볼 안착 홈에 안착되고, 밸브 로드의 최대 전진 돌출에 따른 로드 안착부로의 안착 시, 고정용 볼은 제1 환형 홈과 볼 구멍에 안착되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커넥팅 룸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환형 홈에 오링을 구비하고, 오링은 커넥팅 튜브의 둘레와 커넥팅 룸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고, 커넥팅 튜브는 볼 구멍이 형성된 전방부분의 내경이 후방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밸브 로드는 작은 직경의 후방 로드부, 제1 환형 홈이 형성되고 후방 로드부보다 큰 직경의 전방 로드부 및 후방 및 전방 로드부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밸브 로드의 최대 전진 시 커넥팅 튜브의 전방부분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밀폐시켜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는 실링링이 전방 로드부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커넥팅 튜브의 후방부분 내에서 후방 로드부를 안내하는 상부 로드 가이드 및 커넥팅 튜브 내의 상부 로드 가이드와 걸림턱 사이에 설치되며 밸브 로드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밸브 로드를 전진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커넥팅 튜브의 후방 측에 나사 결합되는 커넥터 및 일단이 커넥팅 튜브와 커넥터의 나사결합 부위에 끼워지고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체결 시 타단이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수 나사산에 체결되는 플레어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은 센터로드 룸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센터 로드의 로드 안착부는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이고,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라, 원뿔대 형상의 곡면에 안착되어 있는 밸브 로드의 말단이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밸브 로드가 후퇴한다.
또는,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의 로드 안착부는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 홈 구조로, 말단 개폐부 방향의 제1 곡면과 제1 곡면과 마주하는 제2 곡면을 구비하며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고,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라, 제1 곡면에 안착되어 있는 밸브 로드의 말단이 제1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밸브 로드가 후퇴한다.
게다가, 또 하나의 예에서, 센터로드 룸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고, 센터 로드는 암 나사산과 치합하도록 로드 안착부의 상측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더 포함하고 나선 회전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말단 개폐부는 승강에 따라 메인 밸브포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드된 원뿔대 구조를 구비하고, 센터 로드의 상부 말단면에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 홈이 형성되고, 메인 몸체는 센터로드 룸의 오픈된 후방 말단을 막는 후방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는 센터로드 룸과 연결되는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또는 센터로드 룸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된 서비스 밸브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분리형 밸브 장치는 서비스 밸브포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서비스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서비스 로드를 더 포함하고, 서비스 밸브포트를 통해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거나 유체가 충전 주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연결 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기기에 있어서, 연결 배관에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가 설치된 공조 기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형 밸브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후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를 부분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를 부분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의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b의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에 따른 고정용 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에 따른 고정용 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커넥팅 튜브와 고정용 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센터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센터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상측에', '하부에', '하측에' 등의 용어들의 경우에도 접속되는 위치뿐만 아니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 방향이 바뀌는 경우 그에 따른 대응되는 상대적인 방향 개념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를 부분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를 부분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도 1a의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b의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에 따른 고정용 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에 따른 고정용 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차단상태 시의 커넥팅 튜브와 고정용 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개방상태 시의 커넥팅 튜브와 고정용 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게다가, 도 5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센터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센터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밸브 장치는 메인 몸체(10), 센터 로드(30),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은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고, 도 1a, 1b, 2a, 2b 및/또는 6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또는 다른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는 유체 배관 상에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손실없이 유체 배관을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배관으로 연결되는 각종 기기들을 배관에 남아있는 유체의 손실없이 쉽게 분리하고 쉽게 재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기에서, 냉각기기를 이루어는 에어컨 본체와 방열기기를 이루는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배관에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냉매의 손실없이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를 분리하고 재결합시킬 수 있다. 각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메인 몸체(10)는 센터로드 룸(11), 메인 밸브포트(13) 및 커넥팅 룸(15)을 구비한다. 예컨대, 메인 몸체(10)는 황동이나 기타 다른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의 센터로드 룸(11), 메인 밸브포트(13) 및 커넥팅 룸(1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는 서비스 밸브포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밸브포트(17)도 센터로드 룸(11), 메인 밸브포트(13) 및 커넥팅 룸(15)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로드 룸(11), 메인 밸브포트(13) 및 커넥팅 룸(15)을 먼저 살펴보고, 서비스 밸브포트(17)를 나중에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 몸체(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센터로드 룸(11)은 센터 로드(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센터로드 룸(11)의 하부에 메인 밸브포트(13)가 연결되고, 센터로드 룸(11)의 하측 둘레에 커넥팅 룸(15)이 연결된다.
예컨대, 센터로드 룸(11)은 후방이 오픈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는 센터로드 룸(11)의 오픈된 후방 말단을 막는 후방캡(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터로드 룸(11)에 삽입 설치된 센터 로드(30)의 후방에서 육각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센터 로드(30)를 나선 회전시키며 센터 로드(30)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센터로드 룸(11)의 후방은 말단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후방캡(12)과 별도로 센터로드 룸(11)에 삽입 설치된 센터 로드(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후방캡(12)은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몸체(10)의 메인 밸브포트(13)를 살펴본다. 메인 밸브포트(13)는 센터로드 룸(11) 하부에 형성된다. 메인 밸브포트(13)는 센터로드 룸(11)에 삽입되는 센터 로드(30)의 말단 개폐부(31)에 의해 개폐된다. 메인 밸브포트(13)는 센터로드 룸(11)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메인 밸브포트(13)에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배관(14)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배관(14)은 예컨대 공조기기의 에어컨 본체(냉각기기) 또는 에어컨 실외기(방열기기)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메인 몸체(10)의 커넥팅 룸(15)을 살펴본다. 커넥팅 룸(15)은 센터로드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다. 커넥팅 룸(15)의 일측은 개방되며, 개방구를 통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삽입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커넥팅 룸(15)의 타측이 센터로드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되어 있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삽입 설치되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커넥팅 유로가 커넥팅 룸(15)과 센터로드 룸(11)을 통해 메인 밸브포트(13)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15)은 센터로드 룸(11)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룸(15)은 센터로드 룸(11)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룸(15)이 센터로드 룸(11)과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센터로드 룸(11) 내의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커넥팅 룸(15)에 삽입 설치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밸브 로드(53)가 용이하게 후퇴될 수 있다.
도 1a, 1b, 2a, 2b 및/또는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팅 룸(15)이 센터로드 룸(11)과 거의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터 로드(30)의 로드 안착부(33)가 단면상 수직하게 세워진 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밸브 로드(53)의 말단이 로드 안착부(33)에 단면상 대응되게 수직하게 세워진 등변 사다리꼴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밸브 로드(53)의 말단이 슬라이딩되게 수평하게 후퇴되고, 수평 후퇴 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커넥팅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커넥팅 룸(15)이 센터로드 룸(11)과 거의 수직하게 설치된 경우보다 도 1a, 1b, 2a, 2b 및/또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구조가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보다 용이하게 밸브 로드(53)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a, 2b, 3a,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15)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볼 안착 홈(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b, 2b,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볼 안착 홈(15a)에는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고정용 볼(55)이 안착되어, 커넥팅 룸(15)에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를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볼 안착 홈(15a)은 커넥팅 룸(15)의 타측 개방구 측보다 센터로드 룸(11)과의 연결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a,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볼 안착 홈(15a)과 커넥팅 룸(15)의 내주면과의 적어도 개방구측 연결부위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분리 시 고정용 볼(55)이 볼 안착 홈(15a)으로부터 부드럽게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15)의 내주면에 제2 환형 홈(1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환형 홈(15b)에는 오링(115)이 구비될 수 있다. 오링(115)은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커넥팅 튜브(51)의 둘레와 커넥팅 룸(15)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예컨대, 오링(115)의 삽입되는 제2 환형 홈(15b)은 커넥팅 룸(15)의 타측 개방구 측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고, 볼 안착 홈(15a)은 커넥팅 룸(15)의 센터로드 룸(11)과의 연결측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커넥팅 룸(15)의 개방구 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와 너트(58)에 의해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커넥팅 룸(15)의 개방구는 보호캡(215)으로 막을 수 있다. 보호캡(215)으로 커넥팅 룸(15)의 개방구를 밀폐시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를 살펴보면, 메인 몸체(10)는 서비스 밸브포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밸브포트(17)는 예컨대 도 1a, 1b,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로드 룸(11)과 연결되는 커넥팅 룸(15)의 연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밸브포트(17)는 센터로드 룸(11)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커넥팅 룸(15)의 연결측에 커넥팅 룸(15)의 방향과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룸(15)의 방향과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연결되는 서비스 밸브포트(17)는 상향 경사지거나 수평으로 커넥팅 룸(15)의 연결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밸브포트(17)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로드 룸(11)의 하측에 커넥팅 룸(15)과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밸브포트(17)는 센터로드 룸(11)의 하측 둘레에 수직하게 또는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밸브포트(17)는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유체를 주입하거나 유체를 배내기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메인 몸체(10)는 서비스 밸브포트(17)의 개방구를 막는 포트 캡이나 서비스 밸브포트(17)의 개방구에 예컨대 압력센서나 유체 주입용 배관 등을 연결하기 위한 포트 커넥터(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포트 캡 또는 포트 커넥터(18)는 서비스 밸브포트(17)의 외곽 둘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는 서비스 밸브포트(17)를 개폐하는 서비스 로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로드(70)는 서비스 밸브포트(17)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예컨대, 서비스 로드(70)는 둘레에 밀폐링이 구비되며, 서비스 밸브포트(17)에 형성된 내부공간에서 서비스 로드(70)의 전후진에 따라 서비스 밸브포트(17)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밸브포트(17)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거나 또는 서비스 밸브포트(17)를 통해 커넥팅 룸(15)의 연결측 또는 센터로드 룸(11)으로 유체가 충전 주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a, 1b, 2a, 2b, 5a, 5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센터 로드(30)를 살펴본다. 센터 로드(30)는 센터로드 룸(11)에 설치된다. 센터 로드(30)는 말단 개폐부(31)와 로드 안착부(3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a, 2b, 5a, 5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는 나사산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단 개폐부(31)와 로드 안착부(33)를 먼저 살펴볼 것이다.
말단 개폐부(31)는 센터로드 룸(11)의 하부에 형성된 메인 밸브포트(13)를 개폐한다. 예컨대, 센터로드 룸(11) 내에서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에 따라 말단 개폐부(31)는 메인 밸브포트(13)를 차단하고,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말단 개폐부(31)는 메인 밸브포트(13)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말단 개폐부(31)는 도 1a, 1b, 2a, 2b 및/또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테이퍼드된 원뿔대 구조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말단 개폐부(31)의 승강에 따라 메인 밸브포트(13)의 개폐가 가능해진다.
계속하여, 센터 로드(30)의 로드 안착부(33)를 살펴본다. 로드 안착부(33)는 말단 개폐부(31)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때, 로드 안착부(33)는 말단 개폐부(31)의 상측에서 센터 로드(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로드 안착부(33)에는 커넥팅 룸(15)에 삽입 설치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밸브 로드(53)가 안착된다. 이에 따라, 로드 안착부(33)에 안착된 밸브 로드(53)가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후퇴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에 밸브 로드(53)가 로드 안착부(33)의 내측으로 안착되며 전진될 수 있다.
예컨대, 센터로드 룸(11) 내에서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로드 안착부(33)에 밸브 로드(53)가 안착되며 최대 전진하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게 되고,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에 로드 안착부(33)에 안착된 밸브 로드(53)는 후퇴하면서 커넥팅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의 로드 안착부(33)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즉, 로드 안착부(33)는 원뿔대 구조로, 말단 개폐부(31)의 상측에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원뿔대 곡면(33a)에 안착되어 있는 밸브 로드(53)의 말단이 원뿔대 곡면(33a)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밸브 로드(53)가 후퇴한다. 밸브 로드(53)의 후퇴 시 커넥팅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원뿔대 곡면(33a)에서 밸브 로드(53) 말단이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밸브 로드(53)가 후퇴하는 구조는 도 1b 및 2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또는, 도 1a, 1b, 2a, 2b, 5a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의 로드 안착부(33)는 말단 개폐부(31)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 홈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로드 안착부(33)는 말단 개폐부(31) 방향의 제1 곡면(33a)과 제1 곡면(33a)과 마주하는 제2 곡면(33b)을 구비한다. 또한, 이때, 로드 안착부(33)는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진다. 제1 곡면(33a)은 도 5b의 원뿔대 곡면(33a)에 대응한다. 이때, 도 1b 및 2b를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제1 곡면(33a)에 안착되어 있는 밸브 로드(53)의 말단이 제1 곡면(33a)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밸브 로드(53)가 후퇴할 수 있다. 밸브 로드(53)의 후퇴시 커넥팅 유로가 개방된다.
또한, 도 2a, 2b, 5a, 5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는 나사산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부(35)는 로드 안착부(33)의 상측의 둘레에 형성된다. 이때, 센터로드 룸(11)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터 로드(30)의 나사산부(35)는 센터로드 룸(11) 내주면의 암 나사산과 치합하고, 나사산부(35)에 의한 나선 회전에 따라 센터 로드(30)가 승강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a, 1b, 2a, 2b, 5a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의 상부 말단면에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 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로드 룸(11)의 오픈된 후방을 통해 센터 로드(30)의 도구 홈(37)에 육각 렌치 또는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삽입하여 센터 로드(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센터 로드(30)의 회전 시 나선 회전에 의해 센터 로드(30)가 승강된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5a, 5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후방부 측 둘레에 제3 환형 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환형 홈(36)은 나사산부(35)보다 상측(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환형 홈(36)에는 오링(39)이 설치되어 센터 로드(30)와 센터로드 룸(1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3 환형 홈(36)이 형성된 센터 로드(30)의 후방부 직경은 나사산부(35)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센터로드 룸(11)의 상부측 직경이 하부측 직경보다 크고, 제3 환형 홈(36)에 설치된 오링(39)은 센터로드 룸(11)의 상부측 내벽과의 사이를 밀폐시킨다.
다음으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a, 2a 및 6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센터 로드(30)의 말단 개폐부(31)에 의한 메인 밸브포트(13) 차단 시 커넥팅 룸(15)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고, 메인 밸브포트(13) 차단 시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커넥팅 튜브(51) 및 밸브 로드(53)를 포함한다. 또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볼(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상부 로드 가이드(57a) 및 스프링(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커넥터(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튜브(51) 및 밸브 로드(53)를 먼저 살펴본다.
커넥팅 튜브(51)는 커넥팅 룸(15)으로 삽입 설치되는 부분이다. 커넥팅 튜브(51) 내부로 커넥팅 유로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3a, 3b, 4a, 4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튜브(51)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구멍(51a)이 형성될 수 있다. 볼 구멍(51a)은 밸브 로드(53)와 커넥팅 룸(15)의 내부면 사이에서 고정용 볼(55)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즉, 볼 구멍(51a)의 최대 직경은 고정용 볼(55)의 직경보다 작다. 이에 따라, 밸브 로드(53)의 후퇴 시 밸브 로드(53)의 둘레에 안착되는 고정용 볼(55)이 볼 구멍(51a)에 안착되며 부분적으로 돌출된 부위가 커넥팅 룸(15) 내주면에 형성된 볼 안착 홈(15a)에 안착되고, 이때,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도 3b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55)이 볼 구멍(51a)를 관통하여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분리형 밸브 장치가 닫히는 경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튜브(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도 3a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55)이 밸브 로드(53)의 제1 환형 홈(53a) 및 볼 구멍(51a)에 안착되며, 볼 구멍(51a)을 통한 돌출부위가 들어가거나 줄어들게 된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4a, 4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튜브(51)는 볼 구멍(51a)이 형성된 전방부분(151)의 내경이 후방부분(25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내경이 작은 커넥팅 튜브(51)의 전방부분(151)이 밸브 로드(5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밸브 로드(53)를 살펴본다. 밸브 로드(53)는 일측이 커넥팅 튜브(51) 내에 삽입되어 커넥팅 유로를 개폐한다. 밸브 로드(53)의 타측은 커넥팅 튜브(51)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팅 룸(15)으로 삽입 설치 시 센터 로드(30)의 로드 안착부(33)에 안착한다. 로드 안착부(33)에 안착된 밸브 로드(53)는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돌출 부분이 후퇴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시에 로드 안착부(33)의 내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예컨대, 센터로드 룸(11) 내에서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메인 밸브포트(13)가 차단되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에 삽입 설치되거나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커넥팅 룸(15)으로 삽입 설치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 내의 커넥팅 유로는 차단되고, 밸브 로드(53)의 타측은 최대 전진 상태로 로드 안착부(33)에 안착될 수 있다.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커넥팅 룸(15)에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른 메인 밸브포트(13)의 오픈 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커넥팅 룸(1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밸브 로드(53)는 로드 안착부(33)의 상승에 의해 후퇴하면서 커넥팅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3a,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밸브 로드(53)는 제1 환형 홈(53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환형 홈(53a)은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밸브 로드(53)의 둘레에 실링링(53b)이 설치될 수 있다. 실링링(53b)은 밸브 로드(53)의 최대 전진 시 커넥팅 튜브(51)의 전방부분(15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밀폐시켜 커넥팅 유로를 차단한다. 예컨대, 밸브 로드(53)의 전진 시 실링링(53b)이 설치된 부분이 커넥팅 튜브(51)의 후방부분(251)에서 직경이 작아지는 커넥팅 튜브(51)의 전방부분(151)으로 이동하며 커넥팅 튜브(51)의 전방부분(15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킨다. 예컨대, 실링링(53b)은 밸브 로드(53)의 둘레에 형성된 환형 홈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실링링(53b)이 설치되는 환형 홈은 후술하는 걸림턱(253) 아래에 전방 로드부(353)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릭턱(253)이 실링링(53b)이 안착되는 환형 홈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또 하나의 예에서, 밸브 로드(53)는 후방 로드부(153), 전방 로드부(353) 및 걸림턱(2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 로드부(153)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전방 로드부(353)는 후방 로드부(153)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 로드부(353)에는 제1 환형 홈(5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링(53b)이 전방 로드부(353)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걸림턱(253)은 후방 로드부(153) 및 전방 로드부(353) 사이에 형성된다. 걸림턱(253)은 후술하는 스프링(5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3a,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볼(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고정용 볼(55)은 스테인레스나 강철 등의 강도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 로드(53)의 후퇴 시, 고정용 볼(55)은 커넥팅 룸(15)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볼 안착 홈(15a)에 안착되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를 커넥팅 룸(15)에 고정한다.
예컨대, 도 1a, 1b, 2a, 2b, 3a,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밸브 로드(53)는 둘레에 고정용 볼(55)이 안착되는 제1 환형 홈(5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환형 홈(53a)의 깊이는 커넥팅 룸(15)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 안착 홈(15a)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잇다.
예컨대, 밸브 로드(53)의 후퇴 시, 고정용 볼(55)은 커넥팅 튜브(51)에 형성된 볼 구멍(51a)을 관통하며 제1 환형 홈(53a)을 벗어나 밸브 로드(53)의 둘레에 그리고 커넥팅 룸(15) 내주면에 형성된 볼 안착 홈(15a)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에 고정되며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즉, 밸브 로드(53) 후퇴 시 커넥팅 유로가 개방되는데, 이때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커넥팅 룸(15)에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반면, 밸브 로드(53)의 최대 전진하여 돌출하면 로드 안착부(33)에 최대 깊게 안착되고, 이때, 고정용 볼(55)은 제1 환형 홈(53a)과 볼 구멍(51a)에 안착되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된다. 즉, 고정용 볼(55)이 커넥팅 룸(15) 내주면 상의 볼 안착 홈(15a)보다 깊게 형성된 제1 환형 홈(53a)에 안착되면, 볼 안착 홈(15a)으로부터 고정용 볼(55)이 보다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되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가 커넥팅 룸(15)으로부터 분리가능해진다.
또한,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상부 로드 가이드(57a) 및 스프링(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로드 가이드(57a)는 커넥팅 튜브(51)의 후방부분(251) 내에서 밸브 로드(53)의 후방 로드부(153)를 안내한다. 즉, 밸브 로드(53)는 케넥팅 튜브 내에서 전후진 시 후방 로드부(153)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커넥팅 튜브(51)의 전방부분(151)에 대한 개폐를 요동없이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로드 가이드(57a)는 밸브 로드(53)의 후방 로드부(153)가 관통하는 안내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로드 가이드(57a)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스프링(54)은 커넥팅 튜브(51) 내의 상부 로드 가이드(57a)와 밸브 로드(53)의 걸림턱(253)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54)은 밸브 로드(53)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밸브 로드(53)를 전진시켜 로드 안착부(33)에 깊게 안착시킨다.
또한, 도 2b, 3a, 3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하부 로드 가이드(5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로드 가이드(57b)는 커넥팅 튜브(51)의 전방부분(151)에 설치되며 밸브 로드(53)의 전방 로드부(353)의 전후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로드 가이드(57b)는 밸브 로드(53)의 전방 로드부(353)가 관통하는 안내홀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로드 가이드(57b)도 상부 로드 가이드(57a)와 마찬가지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계속하여, 도 1a, 1b,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커넥터(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56)는 커넥팅 튜브(51)의 후방 측에 나사 결합된다.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를 외부 배관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커넥터(56)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커넥팅 튜브(51)의 후방부분(251)의 말단영역(251a)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플레어 너트(58)의 체결 시, 커넥팅 튜브(51)의 후방부분(251)에 플레어 너트(58)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턱(25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턱(251b)은 커넥팅 튜브(51)의 커넥팅 룸(15)으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커넥터(56)는 예컨대 플레어형 커텍터 또는 유니언 등의 양측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는 플레어 너트(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어 너트(58)는 일단이 커넥팅 튜브(51)와 커넥터(56)의 나사결합 부위에 끼워지고,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50)의 커넥팅 룸(15)으로의 삽입 체결 시 타단이 커넥팅 룸(15)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수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 기기를 살펴본다. 공조 기기(도시되지 않음)는 연결 배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전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배관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기기측인 에어컨 본체와 방열기기측인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 배관으로 연결되고 연결배관에 전술한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냉매의 손실이 거의 없이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추후 재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설치되는 분리형 밸브 장치는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실시예에 설명된 바를 참조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 메인 몸체 11: 센터로드 룸
12: 후방캡 13: 메인 밸브포트
15: 커넥팅 룸 15a: 볼 안착 홈
17: 서비스 밸브포트 30: 센터 로드
31: 말단 개폐부 33: 로드 안착부
33a: 제1 곡면 또는 원뿔대 곡면 33b: 제2 곡면
35: 나사산부 50: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
51: 커넥팅 튜브 51a: 볼 구멍
53: 밸브 로드 53a: 제1 환형 홈
53b: 실링링 54: 스프링
55: 고정용 볼 56: 커넥터
57a: 상부 로드 가이드 70: 서비스 로드

Claims (15)

  1. 배관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밸브 장치에 있어서,
    센터로드 룸, 상기 센터로드 룸 하부에 형성된 메인 밸브포트 및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센터로드 룸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메인 몸체;
    상기 센터로드 룸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말단 개폐부 및 상기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로드 안착부를 포함하는 센터 로드; 및
    상기 말단 개폐부에 의한 메인 밸브포트 차단 시 상기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 및 상기 커넥팅 룸으로부터 분리가 수행되되, 커넥팅 튜브 및 일측이 상기 커넥팅 튜브 내에 삽입되어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고 타측이 상기 커넥팅 튜브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 시 상기 로드 안착부에 안착하는 밸브 로드를 포함하는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로드 룸 내에서 상기 센터 로드의 최대 하강 시, 상기 메인 밸브포트가 차단되고 상기 커넥팅 룸으로 삽입 설치된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 내의 상기 커넥팅 유로는 차단되고 상기 밸브 로드의 타측은 최대 전진 상태로 상기 로드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의 상기 커넥팅 룸에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른 상기 메인 밸브포트의 오픈 시,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팅 룸에 고정되고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로드 안착부의 상승에 의해 후퇴하면서 상기 커넥팅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커넥팅 룸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볼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로드의 후퇴 시 상기 볼 안착 홈에 안착되며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를 상기 커넥팅 룸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커넥팅 튜브의 둘레에 상기 고정용 볼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로드의 둘레에 상기 고정용 볼이 안착되는 제1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로드의 후퇴 시, 상기 고정용 볼은 상기 볼 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제1 환형 홈을 벗어나 상기 밸브 로드의 둘레에 그리고 상기 볼 안착 홈에 안착되고,
    상기 밸브 로드의 최대 전진 돌출에 따른 상기 로드 안착부로의 안착 시, 상기 고정용 볼은 상기 제1 환형 홈과 상기 볼 구멍에 안착되고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팅 룸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커넥팅 룸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환형 홈에 오링을 구비하고, 상기 오링은 상기 커넥팅 튜브의 둘레와 상기 커넥팅 룸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고,
    상기 커넥팅 튜브는 상기 볼 구멍이 형성된 전방부분의 내경이 후방부분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밸브 로드는 작은 직경의 후방 로드부, 상기 제1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로드부보다 큰 직경의 전방 로드부 및 상기 후방 및 전방 로드부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로드의 최대 전진 시 상기 커넥팅 튜브의 전방부분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는 실링링이 상기 전방 로드부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팅 튜브의 후방부분 내에서 상기 후방 로드부를 안내하는 상부 로드 가이드 및 상기 커넥팅 튜브 내의 상기 상부 로드 가이드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로드의 후퇴 시 압축되고 상기 센터 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상기 밸브 로드를 전진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커넥팅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팅 튜브의 후방 측에 나사 결합되는 커넥터 및 일단이 상기 커넥팅 튜브와 상기 커넥터의 나사결합 부위에 끼워지고 상기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체결 시 타단이 상기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수 나사산에 체결되는 플레어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7. 청구항 1, 3, 4, 5, 6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커넥팅 룸은 상기 센터로드 룸과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8. 청구항 1, 3, 4, 5, 6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센터 로드의 상기 로드 안착부는 상기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이고,
    상기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뿔대 형상의 곡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밸브 로드의 말단이 상기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밸브 로드가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9. 청구항 1, 3, 4, 5, 6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센터 로드의 상기 로드 안착부는 상기 말단 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 홈 구조로, 상기 말단 개폐부 방향의 제1 곡면과 상기 제1 곡면과 마주하는 제2 곡면을 구비하며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고,
    상기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라, 상기 제1 곡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밸브 로드의 말단이 상기 제1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밸브 로드가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10. 청구항 1, 3, 4, 5, 6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센터로드 룸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로드는 상기 암 나사산과 치합하도록 상기 로드 안착부의 상측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부를 더 포함하고 나선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말단 개폐부는 승강에 따라 상기 메인 밸브포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드된 원뿔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로드의 상부 말단면에 상기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 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센터로드 룸의 오픈된 후방 말단을 막는 후방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12. 청구항 1, 3, 4, 5, 6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센터로드 룸과 연결되는 상기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또는 상기 센터로드 룸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된 서비스 밸브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13. 청구항 9에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센터로드 룸과 연결되는 상기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또는 상기 센터로드 룸의 하측에 일측이 연결된 서비스 밸브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14. 청구항 12에서,
    상기 분리형 밸브 장치는 상기 서비스 밸브포트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서비스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서비스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밸브포트를 통해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거나 유체가 충전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밸브 장치.
  15. 연결 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에 청구항 1, 3, 4, 5,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리형 밸브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기.
KR1020140151636A 2014-11-03 2014-11-03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168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636A KR101688692B1 (ko) 2014-11-03 2014-11-03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636A KR101688692B1 (ko) 2014-11-03 2014-11-03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485A KR20160051485A (ko) 2016-05-11
KR101688692B1 true KR101688692B1 (ko) 2017-01-02

Family

ID=5602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636A KR101688692B1 (ko) 2014-11-03 2014-11-03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12B1 (ko) * 2017-05-18 2019-10-24 최상진 분리형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615A (ja) * 1998-10-28 2000-05-12 Saginomiya Seisakusho Inc 混合比例弁
JP3494999B2 (ja) 2001-01-26 2004-02-09 仁吉 合澤 流体機器接続装置、及び流体機器
JP2011027180A (ja) * 2009-07-24 2011-02-10 Ckd Corp 樹脂製逆止弁及びそれを使用する流体機器ユニット
JP2012172805A (ja) * 2011-02-23 2012-09-10 Nasco Fitting Kk 閉鎖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6793A (ko) 2008-12-10 2010-06-18 한국원자력연구원 분리형 볼밸브장치 및 볼밸브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615A (ja) * 1998-10-28 2000-05-12 Saginomiya Seisakusho Inc 混合比例弁
JP3494999B2 (ja) 2001-01-26 2004-02-09 仁吉 合澤 流体機器接続装置、及び流体機器
JP2011027180A (ja) * 2009-07-24 2011-02-10 Ckd Corp 樹脂製逆止弁及びそれを使用する流体機器ユニット
JP2012172805A (ja) * 2011-02-23 2012-09-10 Nasco Fitting Kk 閉鎖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485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0667B2 (ja) 洗濯機用水栓及び洗濯機
ES2799424T3 (es) Válvula reductora de presión
US10641420B2 (en) Pipe connectors and systems
CN107208811B (zh) 具有槽形内部刚性结构的主阀
KR101688692B1 (ko)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A2993237C (en) Push plug type line stop branch assembly
TWI237680B (en) Sluicing valve device
KR101568793B1 (ko) 배관의 연결구조
KR101903488B1 (ko)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KR101750104B1 (ko) 배관용 분리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1618639B1 (ko)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JP2015178907A (ja) 伸縮継手
JP5557592B2 (ja) 接続継手及び接続構造
CN107366750B (zh) 一种制冷***用截止阀
KR101847719B1 (ko)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JP4176445B2 (ja) 保護キャップ付配管継手
JP4937123B2 (ja) ガスプラグコネクタ
JP6532000B2 (ja) 配管用継手
KR101420641B1 (ko) 파이프 회전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
CA3058842C (en) Faucet device
US11035108B2 (en) Faucet device
JP3944029B2 (ja) 配管継手による配管端部の固定構造
KR200482924Y1 (ko) 오토 드립 밸브
JP7398086B2 (ja) 検圧プラグ及びバネ兼用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