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492B1 -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92B1
KR101900492B1 KR1020180052399A KR20180052399A KR101900492B1 KR 101900492 B1 KR101900492 B1 KR 101900492B1 KR 1020180052399 A KR1020180052399 A KR 1020180052399A KR 20180052399 A KR20180052399 A KR 20180052399A KR 101900492 B1 KR101900492 B1 KR 10190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tube
tubular body
block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이정우
이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이재환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8005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번의 프레스작업으로 케이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는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a)에는 결합공(21b)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와, 상기 성형홈(21a)에 승강가능하게 된 지지블록(22)과,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단이 상기 성형홈(2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금형(3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에 관체(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승강대(12)를 하강시키면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이 상기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의 성형홈(21a)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블록(2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정확한 형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한번의 작업으로 케이지(2)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cag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한번의 프레스작업으로 케이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등곡조인트에는 내부의 볼과 이너레이스를 지지하는 케이지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에 개구부(3)가 형성된 구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관체(1)의 양단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양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변형시켜 제작된다
도 2는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1차 성형프레스(4)를 이용하여 관체(1)의 상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성형한 후,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1)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어 2차 성형프레스(5)에 공급하여 상단을 재차 가공함으로써,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이 라운드진 구형상의 케이지(2)를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지(2)를 제조할 경우, 2종류의 성형프레스를 이용하여 2번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증가될 뿐 아니라, 2세트의 성형프레스와 금형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방법의 경우, 케이지(2)를 제조하는 과정을 자동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4493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번의 프레스작업으로 케이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관체(1)의 상하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하단에 개구부(3)가 형성된 구형상의 케이지(2)를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을 가압하여 케이지(2)를 제조하는 성형프레스(A)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프레스(A)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13)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12)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하부금형(20)과,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상기 하부금형(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 상부금형(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a)에는 결합공(21b)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와, 상기 성형홈(21a)에 승강가능하게 된 지지블록(22)과,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단이 상기 성형홈(2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3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성형홈(31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고정된 금형본체(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21b)의 상측에는 걸림턱(21c)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2)은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턱(21c)에 걸리는 돌출턱(22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경사부(22b)와, 상기 경사부(22b)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c)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c)의 직경은 상기 케이지(2)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체(1)는 상하방향의 높이에 비해 외경이 크게 구성되며, 상기 관체(1)를 공급하는 관체공급수단(40)과, 상기 관체공급수단(40)에서 공급된 관체(1)를 상기 성형프레스(A)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5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이송되는 관체(1)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가이드(60)와, 상기배출가이드(6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고 높이가 규정을 벗어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불량감지수단(70)과,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된 관체(1)를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81,82,83)과, 상기 성형프레스(A)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성형된 케이지(2)를 배출하는 배출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가이드(6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부에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가이드(60)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관체(1)의 높이에 비해 높고 상기 관체(1)의 지름에 비해 낮게 구성되며,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1a)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71)과, 상기 고정핀(71)에서 상기 관체(1)의 지름의 1~2배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2a)에 의해 승강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후측 둘레면에 걸려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블록(72)과, 상기 고정핀(71)과 고정블록(7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에어실린더(73a)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는 높이측정블록(73)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이 하강되어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었을 때 높이측정블록(73)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4)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의 측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하는 배출실린더(75)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측정수단(74)에 의해 측정된 관체(1)의 높이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 상기 배출실린더(75)가 신축되어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블록(22)의 돌출부(22c)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2)은 상승시 돌출부(22c)의 상면이 상기 금형본체(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수단(81,82,83)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연장된 이송가이드(81)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밀어 공급하는 푸셔(82)와, 상기 푸셔(82)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금형(20)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푸셔(82)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에어실린더(83a)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후진되는 가이드블록(83)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82)를 이용하여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할 때, 상기 가이드블록(83)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진되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된 관체(1)가 상기 성형홈(21a)의 상측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90)은 피스톤로드(91)가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의 상단 둘레부를 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배치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하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케이지(2)가 성형되면, 피스톤로드(91)가 케이지(2)의 상단둘레부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가격하여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가 측방향으로 튕겨져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90)의 피스톤로드(91)의 선단부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피스톤로드(91)가 전진되면 전면이 상기 케이지(2)의 둘레면에 충돌하는 충돌부재(94)가 구비되고, 상기 충돌부재(94)의 내부에는 충돌부재(94)의 전면으로 개방된 배기공(94a)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94a)에는 배기공(94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5)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는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a)에는 결합공(21b)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와, 상기 성형홈(21a)에 승강가능하게 된 지지블록(22)과,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단이 상기 성형홈(2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금형(3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에 관체(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승강대(12)를 하강시키면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이 상기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의 성형홈(21a)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블록(2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정확한 형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한번의 작업으로 케이지(2)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에 케이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구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성헝프레스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성형프레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성형프레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배출가이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불량감지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불량감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불량감지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이송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배출수단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케이지(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관체(1)의 상하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하단에 개구부(3)가 형성된 구형상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관체(1)는 상하방향의 높이에 비해 외경이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관체(1)는 길이가 긴 금속재질의 파이프를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을 가압하여 케이지(2)를 제조하는 성형프레스(A)와, 상기 관체(1)를 공급하는 관체공급수단(40)과, 상기 관체공급수단(40)에서 공급된 관체(1)를 상기 성형프레스(A)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5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이송되는 관체(1)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가이드(60)와, 상기배출가이드(6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고 높이가 규정을 벗어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불량감지수단(70)과,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된 관체(1)를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81,82,83)과, 상기 성형프레스(A)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성형된 케이지(2)를 배출하는 배출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프레스(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13)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12)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하부금형(20)과,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상기 하부금형(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 상부금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1)와 승강대(12) 및 승강구동수단(13)은 일반적인 프레스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금형(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a)에는 결합공(21b)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와, 상기 성형홈(21a)에 승강가능하게 된 지지블록(22)과,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단이 상기 성형홈(2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홈(21a)은 제작할 케이지(2)의 하단둘레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의 입구부분의 지름은 상기 관체(1)의 지름에 비해 조금 크게 구성되어, 성형홈(21a)으로 관체(1)가 공급되면 관체(1)의 하단이 약간 성형홈(21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21b)은 상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구명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공(21b)의 상측에는 걸림턱(21c)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록(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금속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외경은 제작할 케이지(2) 하단의 개구부(3)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블록(22)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턱(21c)에 걸리는 돌출턱(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경사부(22b)와, 상기 경사부(22b)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c)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2c)의 직경은 상기 케이지(2)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지지블록(22)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지지블록(22)의 돌출부(22c)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2)은 상승시 돌출부(22c)의 상면이 상기 금형본체(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3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성형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31a)에는 결합공(31b)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금형(30)의 하측면에 고정된 금형본체(31)와, 상기 결합공(31b)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블록(32)과, 상기 지지블록(32)의 상면측에 구비되어 지지블록(32)의 하단이 상기 성형홈(3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금형(30)의 구조는 상기 하부금형(20)을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81,82,83)에 의해 관체(1)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대(12)가 하강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1)의 상하단이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에 형성된 성형홈(21a,31a)에 압입되면서, 성형홈(21a,31a)의 형태대로 관체(1)의 상하단이 내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12)가 더욱 하강되면, 상기 지지블록(22)이 관체(1)의 상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측으로 후퇴되고, 승강대(12)가 완전히 하강되어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이 상호 맞물리면,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이 상기 성형홈(21a,31a)의 형태대로 변형되어, 상하단에 개구부(3)가 형성된 구형상의 케이지(2)가 제조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12)와 상부금형(30)이 상승되면, 상기 탄성부재(23)에 의해 지지블록(2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이에 따라, 하부금형(20)의 성형홈(21a)에 삽입된 케이지(2)가 지지블록(22)과 함께 상승된다.
이때, 상기 케이지(2) 하단의 개구부(3)는 하부금형(20)의 지지블록(22)에 구비된 돌출부(22c)에 끼워진 상태로 상승된다.
상기 관체공급수단(40)은 다수개의 관체(1)가 저장된 저장통에서 관체(1)를 적정 개수씩 정렬하여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기단부 상면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관체공급수단(40)은 공급컨베이저장치의 이송방향의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는 상기 성형프레이스의 전방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여러개의 금속판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가이드(6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이송방향 좌측에 위치된 지지판의 후단부에서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부를 가로질러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이송방향의 우측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가이드(60)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관체(1)의 높이에 비해 높고 상기 관체(1)의 지름에 비해 낮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이송될 경우, 관체(1)가 상기 배출가이드(60)에 걸려 배출가이드(60)의 단부쪽으로 밀려나가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관체(1)는 상하방향의 높이에 비해 외경이 크게 구성됨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올려진 경우, 상기 배출가이드(60)의 하측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송되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체(1)가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이송될 경우, 관체(1)의 상단이 상기 배출가이드(60)에 걸려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측방향으로 밀려나 배출된다.
한편,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가이드(60)에 의해 배출된 관체(1)를 상기 관체공급수단(40)의 저장통으로 안내하는 슈트(51)가 구비되어, 배출가이드(60)에 의해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측방향으로 밀려나 배출된 관체(1)가 상기 관체공급수단(40)으로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은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1a)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71)과, 상기 고정핀(71)에서 상기 관체(1)의 지름의 1~2배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2a)에 의해 승강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후측 둘레면에 걸려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블록(72)과, 상기 고정핀(71)과 고정블록(7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에어실린더(73a)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는 높이측정블록(73)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이 하강되어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었을 때 높이측정블록(73)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4)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의 측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하는 배출실린더(75)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일측에 상기 배출실린더(75)에 대응되도록 구비된 배출가이드(76)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측정수단(74)은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을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73a)에 구비되어, 에어실린더(73a)의 피스톤로드가 하강되는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고정핀(71)의 높이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높이측정수단(74)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불량감지수단(7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관체(1)가 일렬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72)이 하강되어 관체(1)의 후방을 막음으로써, 관체(1)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관체(1)가 정지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72)이 하강되어 정지된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된 후 상승되며, 이때, 상기 높이측정수단(74)이 상기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관체(1)의 높이가 규정을 벗어난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실린더(75)가 신장되어 규정을 벗어난 관체(1)를 상기 배출가이드(76)쪽으로 밀어 배출한다.
반대로, 측정된 관체(1)의 높이가 규정이내인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71)이 하강되어 정지된 관체(1)의 전방에 있는 다른 관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방의 관체(1)가 전진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72)이 상승되어, 높이가 측정된 관체(1)가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고정블록(72)이 하강되고, 상기 고정핀(71)이 상승되어, 고정핀(71)에 의해 정지되었던 관체(1)가 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관체(1)의 높이를 전수검사하고, 불량품을 배출하여, 높이에 불량이 발생된 관체(1)가 상기 성형프레스(A)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81,82,83)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연장된 이송가이드(81)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밀어 공급하는 푸셔(82)와, 상기 푸셔(82)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금형(20)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푸셔(82)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에어실린더(83a)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후진되는 가이드블록(8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셔(82)의 전방으로 상기 관체(1)가 공급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82)가 작동되어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부로 밀어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블록(83)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진되어 관체(1)의 둘레부를 지지함으로써,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된 관체(1)가 상기 성형홈(21a)의 상측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관체(1)가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되면, 푸셔(82)와 가이드블록(83)은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배출수단(9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1)에 피스톤로드(91)가 상기 하부금형(20)을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배출수단(90)은 피스톤로드(91)가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의 상단 둘레부를 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성형프레스(A)에 의해 케이지(2)가 성형된 후, 피스톤로드(91)가 신상되면, 도 19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91)의 단부가 케이지(2)의 상단둘레부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가격하여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가 측방향으로 튕겨져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1)의 일측에는 별도의 배출가이드(92)와 수집통(93)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수단(90)에 의해 배출된 케이지(2)가 배출가이드(92)를 통해 수집통(93)에 수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는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a)에는 결합공(21b)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와, 상기 성형홈(21a)에 승강가능하게 된 지지블록(22)과,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단이 상기 성형홈(2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금형(3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에 관체(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승강대(12)를 하강시키면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이 상기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의 성형홈(21a)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블록(2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정확한 형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한번의 작업으로 케이지(2)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21b)의 상측에는 걸림턱(21c)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2)은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턱(21c)에 걸리는 돌출턱(22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경사부(22b)와, 상기 경사부(22b)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c)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c)의 직경은 상기 케이지(2)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이 맞물려 관체(1)의 상하단을 가압성형할 때, 관체(1)의 하단이 상기 경사부(22b)와 돌출부(22c)에 의해 지지되어, 관체(1)를 더욱 정확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체(1)는 상하방향의 높이에 비해 외경이 크게 구성되며, 상기 관체(1)를 공급하는 관체공급수단(40)과, 상기 관체공급수단(40)에서 공급된 관체(1)를 상기 성형프레스(A)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5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이송되는 관체(1)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가이드(60)와, 상기배출가이드(6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고 높이가 규정을 벗어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불량감지수단(70)과,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된 관체(1)를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81,82,83)과, 상기 성형프레스(A)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성형된 케이지(2)를 배출하는 배출수단(9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이드(6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부에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가이드(60)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관체(1)의 높이에 비해 높고 상기 관체(1)의 지름에 비해 낮게 구성되며,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1a)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71)과, 상기 고정핀(71)에서 상기 관체(1)의 지름의 1~2배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2a)에 의해 승강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후측 둘레면에 걸려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블록(72)과, 상기 고정핀(71)과 고정블록(7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에어실린더(73a)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는 높이측정블록(73)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이 하강되어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었을 때 높이측정블록(73)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4)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의 측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하는 배출실린더(75)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측정수단(74)에 의해 측정된 관체(1)의 높이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 상기 배출실린더(75)가 신축되어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한다.
따라서, 관체(1)가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성형프레스(A)로 공급되거나, 높이가 규정치를 벗어난 관체(1)가 성형프레스(A)로 공급되어, 완성된 케이지(2)에 불량이 발생되거나, 성형프레스(A)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22)의 돌출부(22c)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2)은 상승시 돌출부(22c)의 상면이 상기 금형본체(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수단(81,82,83)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연장된 이송가이드(81)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밀어 공급하는 푸셔(82)와, 상기 푸셔(82)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금형(20)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푸셔(82)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에어실린더(83a)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후진되는 가이드블록(83)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82)를 이용하여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할 때, 상기 가이드블록(83)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진되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된 관체(1)가 상기 성형홈(21a)의 상측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체(1)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에 정확히 위치되지 못하여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이 맞물려 관체(1)를 성형할 때, 관체(1)가 정확히 성형되지 못하거나, 하부금형(20) 또는 상부금형(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90)은 피스톤로드(91)가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의 상단 둘레부를 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배치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하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케이지(2)가 성형되면, 피스톤로드(91)가 케이지(2)의 상단둘레부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가격하여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가 측방향으로 튕겨져 배출되도록 함으로, 성형프레스(A)에 의해 성형된 케이지(2)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출부(22c)의 직경은 상기 케이지(2)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돌출부(22c)의 직경은 상기 케이지(2)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의 내경에 비해 약간, 예를 들어, 0.5mm 정도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1 및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출수단(90)의 피스톤로드(91)의 선단부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피스톤로드(91)가 전진되면 전면이 상기 케이지(2)의 둘레면에 충돌하는 충돌부재(94)가 구비된다
상기 충돌부재(94)는 강도가 높은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부재(94)의 내부에는 충돌부재(94)의 전면으로 개방된 배기공(94a)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94a)에는 배기공(94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5)이 연결된다.
상기 배기공(94a)은 상기 피스톤로드(91)가 전진될 경우, 외측단이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기수단(95)은 급기관(95a)을 통해 상기 배기공(94a)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공(94a)으로 지속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를 배출하기 위해 피스톤로드(91)가 전진되면, 상기 충돌부재(94)가 케이지(2)의 둘레면에 충돌하면서 배기공(94a)의 단부가 순간적으로 밀폐되며, 이때, 상기 급기수단(95)에 의해 배기공(94a)으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배기공(94a) 내부의 기압이 순간적으로 상승되며, 이와 같이 상승된 기압에 의해, 상기 케이지(2)가 측방향으로 튕겨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2)를 더욱 효과적으로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스톤로드(91)가 케이지(2)의 둘레면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성형프레스 40. 관체공급수단
50. 공급컨베이어장치 50. 공급컨베이어장치
60. 배출가이드 70. 불량감지수단
81,82,83. 이송수단 90. 배출수단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관체(1)의 상하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하단에 개구부(3)가 형성된 구형상의 케이지(2)를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 관체(1)의 상하단을 가압하여 케이지(2)를 제조하는 성형프레스(A)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프레스(A)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구동수단(13)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12)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구비된 하부금형(20)과,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상기 하부금형(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 상부금형(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성형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a)에는 결합공(21b)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된 금형본체(21)와,
    상기 성형홈(21a)에 승강가능하게 된 지지블록(22)과,
    상기 지지블록(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록(22)의 상단이 상기 성형홈(2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30)은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한 성형홈(31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12)의 하측면에 고정된 금형본체(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1b)의 상측에는 걸림턱(21c)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블록(22)은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턱(21c)에 걸리는 돌출턱(22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경사부(22b)와, 상기 경사부(22b)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c)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c)의 직경은 상기 케이지(2)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는 상하방향의 높이에 비해 외경이 크게 구성되며,
    상기 관체(1)를 공급하는 관체공급수단(40)과,
    상기 관체공급수단(40)에서 공급된 관체(1)를 상기 성형프레스(A)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장치(5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측방향으로 쓰러진 상태로 이송되는 관체(1)가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가이드(60)와,
    상기배출가이드(6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고 높이가 규정을 벗어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불량감지수단(70)과,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된 관체(1)를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81,82,83)과,
    상기 성형프레스(A)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성형된 케이지(2)를 배출하는 배출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가이드(6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부에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가이드(60)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관체(1)의 높이에 비해 높고 상기 관체(1)의 지름에 비해 낮게 구성되며,
    상기 불량감지수단(70)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중간부 상측에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1a)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71)과,
    상기 고정핀(71)에서 상기 관체(1)의 지름의 1~2배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에어실린더(72a)에 의해 승강되어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의 후측 둘레면에 걸려 관체(1)가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블록(72)과,
    상기 고정핀(71)과 고정블록(7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위치되며 에어실린더(73a)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는 높이측정블록(73)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이 하강되어 관체(1)의 상면에 밀착되었을 때 높이측정블록(73)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관체(1)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74)과,
    상기 높이측정블록(73)의 측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72)에 의해 이송되지 않도록 고정된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하는 배출실린더(75)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측정수단(74)에 의해 측정된 관체(1)의 높이가 규정을 벗어날 경우 상기 배출실린더(75)가 신축되어 관체(1)를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22)의 돌출부(22c)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2)은 상승시 돌출부(22c)의 상면이 상기 금형본체(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수단(81,82,83)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연장된 이송가이드(81)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장치(5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급컨베이어장치(50)에 의해 이송되는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밀어 공급하는 푸셔(82)와,
    상기 푸셔(82)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금형(20)을 향하는 쪽에는 상기 푸셔(82)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에어실린더(83a)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후진되는 가이드블록(83)을 포함하며,
    상기 푸셔(82)를 이용하여 관체(1)를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할 때, 상기 가이드블록(83)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전진되어 하부금형(20)의 상측으로 공급된 관체(1)가 상기 성형홈(21a)의 상측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90)은 피스톤로드(91)가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의 상단 둘레부를 향하도록 상향경사지게 배치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하며, 성형프레스(A)에 의해 케이지(2)가 성형되면, 피스톤로드(91)가 케이지(2)의 상단둘레부를 상측으로 경사지게 가격하여 상기 하부금형(20)에 올려진 케이지(2)가 측방향으로 튕겨져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90)의 피스톤로드(91)의 선단부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피스톤로드(91)가 전진되면 전면이 상기 케이지(2)의 둘레면에 충돌하는 충돌부재(94)가 구비되고,
    상기 충돌부재(94)의 내부에는 충돌부재(94)의 전면으로 개방된 배기공(94a)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94a)에는 배기공(94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95)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KR1020180052399A 2018-05-08 2018-05-08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KR10190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399A KR101900492B1 (ko) 2018-05-08 2018-05-08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399A KR101900492B1 (ko) 2018-05-08 2018-05-08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492B1 true KR101900492B1 (ko) 2018-09-19

Family

ID=6371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399A KR101900492B1 (ko) 2018-05-08 2018-05-08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69B1 (ko) * 2019-02-15 2019-08-09 주식회사 가연건축 인테리어용 세라믹 타일 제조장치
KR102160359B1 (ko) * 2019-04-22 2020-09-25 김귀옥 스틱형 화장품케이스의 성형장치
CN113369403A (zh) * 2021-06-29 2021-09-10 罗信精密零件(上海)有限公司 一种圆帽类零件的防脱模卡死的冲压底模
KR20220041437A (ko) * 2020-09-25 2022-04-01 이준원 단관용 정렬공급장치
CN114733983A (zh) * 2022-04-02 2022-07-12 东莞厚街金多利五金制品有限公司 铜线安装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729A (ja) 2000-07-14 2002-01-29 Silver Tekku Kk 金属管の成形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金属管
KR101091517B1 (ko) 2009-08-26 2011-12-08 이해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용 케이스의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729A (ja) 2000-07-14 2002-01-29 Silver Tekku Kk 金属管の成形方法並びに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金属管
KR101091517B1 (ko) 2009-08-26 2011-12-08 이해우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용 케이스의 성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69B1 (ko) * 2019-02-15 2019-08-09 주식회사 가연건축 인테리어용 세라믹 타일 제조장치
KR102160359B1 (ko) * 2019-04-22 2020-09-25 김귀옥 스틱형 화장품케이스의 성형장치
KR20220041437A (ko) * 2020-09-25 2022-04-01 이준원 단관용 정렬공급장치
KR102422694B1 (ko) * 2020-09-25 2022-07-18 이준원 단관용 정렬공급장치
CN113369403A (zh) * 2021-06-29 2021-09-10 罗信精密零件(上海)有限公司 一种圆帽类零件的防脱模卡死的冲压底模
CN113369403B (zh) * 2021-06-29 2022-08-09 罗信精密零件(上海)有限公司 一种圆帽类零件的防脱模卡死的冲压底模
CN114733983A (zh) * 2022-04-02 2022-07-12 东莞厚街金多利五金制品有限公司 铜线安装装置
CN114733983B (zh) * 2022-04-02 2024-04-02 东莞厚街金多利五金制品有限公司 铜线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492B1 (ko) 조인트용 케이지 제조장치
KR101815789B1 (ko) 스템 가이드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101818528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성형장치
CN108716511B (zh) 一种平面压力轴承装配设备及其装配方法
CN210632766U (zh) 一种料件偏位自动复位停机保护的连续冲压模具
KR101737743B1 (ko) 버 제거기능을 가지는 평와셔 제조장치
CN109904698A (zh) 一种插针折弯机
KR101596311B1 (ko) 파이프형 로드 널링장치
CN109664085B (zh) 一种自动化油泵端盖销钉装配装置
KR101686482B1 (ko) 자동차 머플러 고정용 행거 제조장치
CN107214417B (zh) 一种激光焊接质检一体设备
KR101025853B1 (ko) 금속튜브 성형장치
CN113967829B (zh) 一种适用于压铸件不同材料销钉的压装装置
CN106895808B (zh) 一种轴检测设备中轴的长度检测装置
KR101811963B1 (ko) 컴파운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및 그 장치
CN111745119A (zh) 穿刺铆接散钉的送料装置
CN212737143U (zh) 拉锁套管自动组装设备用塑件组装和压力传感一体装置
KR102422694B1 (ko) 단관용 정렬공급장치
KR101672585B1 (ko) 리벳압입방법
CN107063141B (zh) 一种轴检测设备中轴的内孔检测装置
CN220933194U (zh) 一种***内药剂高度检测装置
CN220387650U (zh) 一种级进模具末端检测装置
JP2003225723A (ja) ブランク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4133807U (zh) 一种自动送铆模具机构
CN220049919U (zh) 一种分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