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125B1 -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125B1
KR101884125B1 KR1020170073647A KR20170073647A KR101884125B1 KR 101884125 B1 KR101884125 B1 KR 101884125B1 KR 1020170073647 A KR1020170073647 A KR 1020170073647A KR 20170073647 A KR20170073647 A KR 20170073647A KR 101884125 B1 KR101884125 B1 KR 10188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watch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7007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257
    • H04N5/23203
    • H04N5/23216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조정하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비행하거나 또는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 및 터치입력의 감지가 가능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 상태정보 또는 시간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젤부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베젤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달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어장치가 손목시계형으로 마련되어 소지하기 편리하고, 셀카 촬영 시,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에 대한 세부설정들을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불어,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무인 비행체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System for Self-Camera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조정하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의 보급과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타그램과 같은 사진 공유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을 촬영하는 것은 '셀프 카메라(Self camera)' 또는 '셀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일상화가 되었다.
최근에는 한 화면에 많은 사물이나 인물을 담아내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셀카봉을 이용하여,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등장였으나, 셀카봉 역시, 그 길이가 물리적으로 한정되고, 직접 스마트폰이 연결된 셀카봉을 들고 촬영해야 함에 따라, 촬영 시 포즈가 한정되고, 물리적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사물이나 인물을 담아야 하는 기술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무인 비행체용 제어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무인 비행체용 제어장치를 항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더욱이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의 줌인, 줌아웃, 보정 기능 적용 여부, 보정 정도 같은 세부설정들을 변경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용 제어장치를 소지함에 있어,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에 대한 세부설정들을 변경하기에도 편리한 무인 비행체 제어장치 또는 무인 비행체 제어방법에 대한 모색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4285호(발명의 명칭: 휴대용 셀카 드론)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9986호(발명의 명칭: 드론에 승선된 카메라의 타깃 궤적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지하기 편리한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통해,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여 비행 및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의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에 대한 세부설정들을 쉽고 편리하게 변경하도록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의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무인 비행체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비행하거나 또는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 및 터치입력의 감지가 가능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 상태정보 또는 시간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젤부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베젤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달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갱신 가능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보정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베젤부가 회전되면,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하는 포커싱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2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및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손목시계의 용두(龍頭) 형상으로 마련되되,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테나가 구비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비행하도록 하되, 상기 무인 비행체와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통신부에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달된 신호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고, 상기 비행 중인 무인비행체가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인 비행체는,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하며,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포커싱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하며,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터치입력과 상기 베젤부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이 조정되도록,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유지하되, 상기 베젤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주변을 회전하며 비행하도록 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유지하되, 상기 베젤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주변을 회전하며 비행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이 지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입력과 상기 베젤부의 회전 동작 중 어느 하나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터치입력과 상기 통신부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이 설정된 연속촬영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촬영되어, 상기 영상정보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연속촬영시간은 상기 통신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은 터치입력의 감지가 가능하고, 영상정보, 상태정보 또는 시간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젤부가 구비된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의해,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비행 제어신호가 무인 비행체에 전달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하는 단계;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의해,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촬영 제어신호가 무인 비행체에 전달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어장치가 손목시계형으로 마련되어 소지하기 편리하고, 셀카 촬영 시,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카메라에 대한 세부설정들을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불어,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무인 비행체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연속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연속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초점 거리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셀피용 촬영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100)와 무인 비행체(100)를 제어하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 구성되어,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 중인 상태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셀피용 촬영 시스템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의 베젤을 입력장치로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100)의 카메라에 대한 세부설정들을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하거나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영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구동부(110), 촬영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거리 측정부(15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무인 비행체(100)의 상측에 복수의 회전 날개가 구비되고, 복수의 회전 날개가 회전됨으로써, 항력이 발생되면, 발생된 항력에 의해 이륙하여, 비행할 수 있다.
촬영부(12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20)는, 무인 비행체(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인 비행체(100)의 구성요소들인 구동부(110), 촬영부(120), 통신부(140), 거리 측정부(15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부터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고,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부터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촬영부(120)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고,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촬영부(120)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을 조정하거나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비콘(Beacon)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50)는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거리 측정부(150)는, 무인 비행체(100)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까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여,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고,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가 전달된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신호를 전달하면,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거리 측정부(150)는, 수신된 응답신호의 세기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용 신호는 거리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세지거나 약해지기 때문에,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나면,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약해지게 된다. 이를 통해, 거리 측정부(150)는,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지속적이며,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거리 측정부(15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도, 레이저 또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예를 들면, 거리 측정부(150)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하여 응답하는 응답 전파신호를 수신하며, 전파 신호가 전송된 시점과 응답 전파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한 시간을 측정하여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의해,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되, 비행 중인 무인비행체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접근하도록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거나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터치스크린부(210), 베젤부(220), 제어부(230), 통신부(240), 위치정보 생성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부(210)는 출력수단 및 입력수단으로 이용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부(21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 상태정보 또는 시간정보를 출력하고, 터치입력의 감지가 가능하여, 출력수단 및 입력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정보는 현재시간, 날짜 및 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보이고, 상태정보는 실시간 현재 위치, 주변 온도, 습도, 날씨, 지도, 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보이다.
베젤부(220)는 터치스크린부(210)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되, 입력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젤부(220)는, 터치스크린부(210)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회전되는 동작이 의미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입력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부(210), 베젤부(220), 통신부(240), 위치정보 생성부(250) 및 저장부(260)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부(210) 및 베젤부(220)를 이용하여 비행 제어신호 또는 촬영 제어신호와 같은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하여,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거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부(210)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촬영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제어신호는, 무인 비행체(100)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2 촬영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터치스크린부(210) 및 베젤부(22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갱신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인 비행체(100)가 상기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보정 기능이 요청되면,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획득된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태로, 도 3b 또는 도 3c와 같이 베젤부(2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촬영되는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하는 포커싱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초점 거리가 변경된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터치스크린부(210)를 보면서, 초점 거리가 변경된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고 싶다면, 터치스크린부(210)를 터치하여, 제어부(230)가 제2 촬영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초점 거리가 변경된 영상데이터가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상태로, 터치스크린부(210)에 의해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터치스크린부(210) 및 베젤부(220)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무인 비행체(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40)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손목시계의 용두(龍頭) 형상으로 마련되되,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테나가 구비되어, 무인 비행체(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체(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무인 비행체(1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거나,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40)는,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경우보다,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통신부(240)는, 거리 측정부(150)로부터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에 대하여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거리 측정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40)는, 거리 측정부(150)가 특정 주파수의 전파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 신호에 대하여 응답하는 응답 전파신호를 거리 측정부(150)로 전달하도록, 전파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위치정보 생성부(250)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GPS 좌표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위치정보 생성부(250)에 의해, 위치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되, 터치스크린부(210) 및 베젤부(220)에 의해 비행경로를 변경하고자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설정된 비행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60)는, 카메라 모드가 동작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사진 및 동영상과 같은 영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410),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되도록 한다(S415).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 이후,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모드를 실행시키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가 비행 제어신호를 생성하고(S420), 생성된 비행 제어신호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출력되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비행 모드용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으며, 비행 모드용 아이콘을 터치하여,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비행경로를 요청하고(S425),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S430),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S435).
무인 비행체(100)는, 설정된 비행경로를 수신하면,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S440).
여기서,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하도록 하되, 비행 중인 상태로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한 것인지 판단하게 되며(S450),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S450-YES),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접근하도록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비행할 수 있다(S455).
한편,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450-NO),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를 유지하되,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부터 무인 비행체(100)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제1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60).
이때, 무인 비행체(100)는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여 피사체의 얼굴의 이미지가 명확하게 획득되도록 초점을 자동 조정하며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영상데이터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전달되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의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제2 촬영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촬영 제어신호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무인 비행체(10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S470).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셀프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710),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되도록 한다(S715).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 이후,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모드를 실행시키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가 비행 제어신호를 생성하고(S720), 생성된 비행 제어신호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비행경로를 요청하고(S725),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S730),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S735).
무인 비행체(100)는, 설정된 비행경로를 수신하면,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S740).
여기서, 무인 비행체(100)는,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한 것인지 판단하게 되며(S750),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S750-YES),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접근하도록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비행할 수 있다(S755).
한편,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750-NO),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를 유지하되,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부터 무인 비행체(100)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제1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760).
이때,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무인 비행체(100)가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터치입력과 베젤부(220)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무인 비행체(100)의 촬영 방향이 조정되도록, 촬영 방향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S765-YES).
무인 비행체(100)는 촬영 방향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전달되면(S765-YES), 도 6a에 도시된 위치에서 수신된 촬영 방향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도 6b와 같이 피사체 주변을 회전하며, 피사체의 촬영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S770).
구체적으로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촬영 방향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전달되면, 수신된 촬영 방향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무인 비행체(100)가 피사체와의 거리는 유지하되, 베젤부(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피사체의 주변을 회전하며 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의해 생성되어, 무인 비행체(100)로 전달되는 촬영 방향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에는 베젤부(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재설정되도록 하는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100)는, 설정된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피사체와의 거리를 유지하되, 베젤부(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주변을 회전하며 비행하는 경우에,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여 피사체의 얼굴이 지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 터치입력과 베젤부(220)의 회전 동작 중 어느 하나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비행체(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된 촬영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775).
그리고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제2 촬영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촬영 제어신호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무인 비행체(100)는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S780).
이에 의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소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부(210)와 베젤부(220)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경로와 무인 비행체(100)의 촬영 방향 및 초점 거리등을 쉽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연속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연속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셀피용 촬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셀피용 촬영 방법 중 연속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910),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되도록 한다(S915).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 무인 비행체(100)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 이후, 터치스크린부(21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모드를 실행시키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가 비행 제어신호를 생성하고(S920), 생성된 비행 제어신호를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비행경로를 요청하고(S925),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하여(S930),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S935).
무인 비행체(100)는, 설정된 비행경로를 수신하면,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S940).
여기서, 무인 비행체(100)는,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한 것인지 판단하게 되며(S950),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S950-YES),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에 접근하도록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비행할 수 있다(S955).
한편, 무인 비행체(100)와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950-NO),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를 유지하되,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로부터 무인 비행체(100)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제1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960).
손목시계형 제어장치(200)는 무인 비행체(100)가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터치입력과 통신부(240)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연속 촬영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인 비행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S965-YES).
무인 비행체(100)는,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에서, 연속 촬영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고, 피사체의 얼굴을 설정된 연속촬영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각각의 영상정보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S970). 이때, 연속촬영시간은 통신부(24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무인 비행체 110 : 구동부
120 : 촬영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거리 측정부
200 : 손목시계형 제어장치 210 : 터치스크린부
220 : 베젤부 230 : 제어부
240 : 통신부 250 : 위치정보 생성부
260 : 저장부

Claims (10)

  1.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비행하거나 또는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무인 비행체; 및
    터치입력의 감지가 가능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 상태정보 또는 시간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젤부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베젤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달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는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갱신 가능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보정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베젤부가 회전되면,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하는 포커싱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2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실시간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및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손목시계의 용두(龍頭) 형상으로 마련되되,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테나가 구비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행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비행하도록 하되,
    상기 무인 비행체와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통신부에 거리 측정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전달된 신호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고,
    상기 비행 중인 무인비행체가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 기설정된 거리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하며,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포커싱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하며,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터치입력과 상기 베젤부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이 조정되도록,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는 유지하되, 상기 베젤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주변을 회전하며 비행하도록 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가 갱신되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유지하되, 상기 베젤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주변을 회전하며 비행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이 지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입력과 상기 베젤부의 회전 동작 중 어느 하나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갱신하여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손목시계의 용두(龍頭) 형상으로 마련되되,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테나가 구비되어, 무인 비행체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터치입력과 상기 통신부의 회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감지하여 상기 피사체의 얼굴이 설정된 연속촬영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촬영되어, 상기 영상정보가 연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된 연속촬영시간은 상기 통신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시스템.
  10. 터치입력의 감지가 가능하고, 영상정보, 상태정보 또는 시간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젤부가 구비된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의해,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비행 제어신호가 무인 비행체에 전달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하는 단계;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의해,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촬영 제어신호가 무인 비행체에 전달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하도록 하는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비행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손목시계형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무인 비행체가 비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경로를 설정하거나, 갱신 가능하며,
    상기 영상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1 촬영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되, 보정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베젤부가 회전되면,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하도록 하는 포커싱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피용 촬영 방법.
KR1020170073647A 2017-06-13 2017-06-13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KR10188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47A KR101884125B1 (ko) 2017-06-13 2017-06-13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47A KR101884125B1 (ko) 2017-06-13 2017-06-13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125B1 true KR101884125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647A KR101884125B1 (ko) 2017-06-13 2017-06-13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2566A (zh) * 2019-08-21 2019-12-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602385A (zh) * 2018-11-28 2020-08-2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确定装置、移动体、确定方法以及程序
WO2022020238A1 (en) * 2020-07-20 2022-01-27 Canon U.S.A., Inc.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986A (ko) 2014-10-28 2016-05-10 톰슨 라이센싱 드론에 승선된 카메라의 타깃 궤적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시스템
KR20170014355A (ko) * 2015-07-29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35547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방법 및 원격 제어시스템
KR20170037476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4285A (ko) 2015-10-15 2017-04-25 김진영 휴대용 셀카 드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986A (ko) 2014-10-28 2016-05-10 톰슨 라이센싱 드론에 승선된 카메라의 타깃 궤적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시스템
KR20170014355A (ko) * 2015-07-29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35547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방법 및 원격 제어시스템
KR20170037476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4285A (ko) 2015-10-15 2017-04-25 김진영 휴대용 셀카 드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385A (zh) * 2018-11-28 2020-08-2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确定装置、移动体、确定方法以及程序
CN111602385B (zh) * 2018-11-28 2021-12-1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确定装置、移动体、确定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0572566A (zh) * 2019-08-21 2019-12-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2020238A1 (en) * 2020-07-20 2022-01-27 Canon U.S.A., Inc.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062B2 (en) Control method for photographing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phing metho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mobile termin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105391939B (zh) 无人机拍摄控制方法和装置、无人机拍摄方法和无人机
CN106598071B (zh) 跟随式的飞行控制方法及装置、无人机
JP6532958B2 (ja) スマート飛行機器の撮影方法、スマート飛行機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290692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control method,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method, control terminal,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1924539B2 (en) Method,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image capture operation of movable device
WO2018036040A1 (zh) 搭载于无人机云台上的智能设备的拍照方法和***
KR101884125B1 (ko) 셀피용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JP201800715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70010A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040126A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781375B2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5656A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07051A (ja) 撮影機器、移動撮影装置、撮影用移動体及び移動体用撮影制御装置
WO2020026901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55226B2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12439A (ja) 移動撮像装置および移動撮像装置の制御方法
WO2022000211A1 (zh) 拍摄***的控制方法、设备、及可移动平台、存储介质
JP2019043473A (ja) 飛行装置、管理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KR101599149B1 (ko) 피사체를 자동으로 추적하는 촬영장치
JP201814290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2474A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81198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制御装置
JP2020052416A (ja) 構造体
JP2019182423A (ja)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