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267B1 -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267B1
KR101855267B1 KR1020160119487A KR20160119487A KR101855267B1 KR 101855267 B1 KR101855267 B1 KR 101855267B1 KR 1020160119487 A KR1020160119487 A KR 1020160119487A KR 20160119487 A KR20160119487 A KR 20160119487A KR 101855267 B1 KR101855267 B1 KR 10185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oam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265A (ko
Inventor
권용진
임승환
엄세연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1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267B1/ko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9534622A priority patent/JP6816288B2/ja
Priority to EP17851141.6A priority patent/EP3517565B1/en
Priority to CN201780055435.8A priority patent/CN109689750B/zh
Priority to ES17851141T priority patent/ES2864410T3/es
Priority to US16/333,525 priority patent/US10882976B2/en
Priority to PL17851141T priority patent/PL3517565T3/pl
Priority to HUE17851141A priority patent/HUE053764T2/hu
Priority to PCT/KR2017/010220 priority patent/WO201805226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19Use of organic additives halogen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2Forming foamed products by sinter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5Composite foams, i.e. continuous macromolecular foams containing discontinuous cellular particles or fra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8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22Expandable microspheres, e.g. Expanc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2Ammonium 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2Ammonium phosphate
    • C08K2003/323Ammonium poly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발포 성형시 높은 융착률과 낮은 수축률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난연성과 방염 특성을 갖는 발포체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RESIN COMPOSITION FOR PREPARING POLYOLEFIN BASED FLAME RETARDANT FOAMED ARTICLES AND FLAME RETARDANT FOAMED ARTICLES THEREFROM}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수지 발포체는 밀도가 낮으면서도 적절한 화학적,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의 부여가 가능하여 자동차 분야, 건설 분야, 전자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지 발포체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수지 발포체를 난연성 조성물로 코팅하거나, 난연제를 수지 조성물에 컴파운딩(또는 블렌딩)하여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코팅 방식은 적은 양의 난연제를 사용하여 수지 발포체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지만, 수지 발포체의 표면에 형성된 난연성 코팅층이 박리되기 쉽기 때문에 안정적인 난연 성능의 발현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반면에, 상기 컴파운딩 방식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난연제가 요구되어 수지 발포체의 밀도가 증가한다는 점에서 불리하지만,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난연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컴파운딩 방식에 의해 난연성을 부여함에 있어서, 난연제는 환경 및 인체 유해성, 연소 특성, 조성물의 상용성, 공정 효율 등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난연제의 엄격한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난연성 발포체의 경우, 발포체로서의 낮은 밀도와 관련 기준에 따른 난연 등급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수지 발포체의 제조 공정에서 적정 수준의 난연성과 발포 성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수지 발포체에 부여할 수 있는 난연성, 밀도, 성형성 등의 제반 특성은 양립하기 어려운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어, 적정 수준에서 물성을 타협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발포 성형시 높은 융착률과 낮은 수축률을 나타내면서도 난연성과 방염 특성이 우수한 발포체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 94 내지 97 중량% 및 난연제 3 내지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1: 0.6 내지 30: 0.6 내지 2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가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현 예들에 따른 상기 폴리올레핀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또는 성분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가 특정 중량비로 처방된 난연제를 적용할 경우 발포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낮은 밀도와 우수한 난연성 및 방염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발포체의 제공을 가능케 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 94 내지 97 중량% 및 난연제 3 내지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1: 0.6 내지 30: 0.6 내지 2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난연제의 총 함량이 6 중량% 이하로 낮아 우수한 발포 성형성의 발현과 발포체에 요구되는 낮은 밀도의 확보에 유리하다. 특히,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난연제의 총 함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정 중량비로 조절된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의 조합은 관련 기준에 따른 우수한 난연 등급과 방염 특성을 충족하는 난연성 발포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각 성분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발포체를 이루는 베이스 수지로서, 표면 경도가 낮고 유연성이 우수하며, 피포장체의 표면 보호 성능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 별다른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아이소부틸렌,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0,000 내지 600,000, 또는 10,000 내지 3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체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기계적 물성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분자량이 너무 클 경우 조성물의 상용성과 발포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의 60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 또는 90 내지 97 중량%, 또는 94 내지 9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발포체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기계적 물성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의 60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 또는 94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난연제의 첨가에 따른 난연성의 발현을 위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의 97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난연제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1: 0.6 내지 30: 0.6 내지 20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1: 0.6: 0.6, 또는 1: 0.6: 20, 1: 0.67: 0.67, 또는 1: 1: 1, 또는 1: 2: 1, 또는 1: 2.5: 1.25, 또는 1: 2.5: 2.5, 또는 1: 5: 10, 또는 1: 30: 0.6, 또는 1: 30: 20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중량비 범위 내에서 조절된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적은 함량으로도 수지 조성물의 발포체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난연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6 중량% 이하, 또는 3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중량비 범위 내에서 조절된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총 함량 6 중량% 이하로도 우수한 난연성의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3 중량% 이상 또는 3.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6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또는 5.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는, 상술한 총 함량 범위 내에서,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0.05 내지 1.75 중량%, 또는 0.1 내지 1.75 중량%, 또는 0.1 내지 1.5 중량%의 브롬계 난연제; 0.5 내지 3.25 중량%, 또는 1 내지 3.25 중량%, 또는 1 내지 3 중량%의 인계 난연제; 그리고 0.5 내지 2.25 중량%, 또는 1 내지 2.25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의 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롬계 난연제는 할로겐화 난연제의 일종으로 함량 대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상기 할로겐화 난연제는 연소시 다이옥신 유도체 및 수소산과 같은 유해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의 잔류성과 생물축적성으로 인해 환경 및 인체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 연합의 REACH 규정이나 RoHS 지침에서는 할로겐화 난연제의 사용량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브롬계 난연제는 관련 규정이나 지침에 따른 함량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롬계 난연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1,3,5-triazine-2,4,6-triamine hydrobromide; CAS # 29305-12-2),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디페닐 에테르(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비페닐 (polybrominated biphenyls; PBBs),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tetrabromo bisphenol A; TBBP-A), 헥사브로모 사이클로도데칸(hexabromo cyclododecane; HBDC)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된 브롬계 난연제는 관련 규정이나 지침에 따라 그 사용이 제한되거나 금지될 수 있다. 범용성의 측면에서, 상기 브롬계 난연제로는 1,3,5-트리아진-2,4,6-트리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1,3,5-triazine-2,4,6-triamine hydrobromide)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기계 난연제는 대부분 무해한 난연 메커니즘을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고 함량 대비 열악한 난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경량화가 요구되는 발포체에 상기 무기계 난연제를 과량으로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특히, 상기 무기계 난연제가 과량으로 적용되면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미세화 셀의 발현으로 발포체의 구조 유지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무기계 난연제보다 적은 함량으로 난연 성능의 발현이 가능하고 다른 난연제보다 연기의 발생이 적지만, 이의 단독 사용만으로는 난연성 발포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미니 펠렛(mini pellet)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미니 펠렛은 발포 입자 제조를 위한 수지 입자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압출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펠렛보다 입자의 크기 및 개당 중량이 작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mg/개). 발포 입자의 제조시 균일한 성능의 발현이 가능한 미니 펠렛을 얻기 위해서는 혼합물의 분산도를 높일 수 있는 고-전단 조건의 미니 펠렛용 압출 설비를 이용해야 한다. 그런데, 인계 난연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전단이 가해지는 압출 조건으로 인해 데그리데이션(degradation)이 발생하는 등 미니 펠렛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질소계 난연제는 수지 조성물의 성분들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혼련성을 나타내지만, 함량 대비 열악한 난연성을 보인다.
이처럼, 상기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의 단독 사용으로는 수지 발포체에 부여할 수 있는 난연성, 밀도, 성형성 등의 제반 특성을 균형있게 향상시키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술한 발명의 구현 예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여 난연성 발포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가 특정 중량비로 처방된 난연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ammonium polyphosphate; CAS # 68333-79-9), 포스포릭 애씨드 (phosphoric acid; CAS # 7664-38-2), 펜타에리스리톨 포스페이트(pentaerythritol phosphate; CAS # 5301-78-0)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질소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CAS # 37640-57-6)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는 발포에 필요한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포에 필요한 성분들은 물리 발포제나 기포 조절제를 들 수 있고, 이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핵제, 염료, 염료 분산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셀 안정제, 셀 조절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물리 발포제로는 프로판, 노말부탄, 이소부탄, 노말펜탄, 이소펜탄, 사이클로펜탄, 노말헥산, 이소헥산, 사이클로헥산, 이산화탄소, 산소, 질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의 함량은 요구되는 발포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구현 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발포성을 가짐에 따라, 보다 낮은 압력과 발포제 함량 하에서도 동등한 배율의 달성이 가능하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술한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가 제공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94 내지 97 중량% 및 난연제 3 내지 6 중량%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난연제로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1: 0.6 내지 30: 0.6 내지 2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높은 융착률과 낮은 수축률을 나타내면서도 낮은 밀도와 우수한 난연성 및 방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UL 94 HBF Test(Horizontal Burning Foamed Material Test)에 따른 HF-1 등급의 우수한 난연 특성을 나타낸다.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고시 제2015-1호의 '방염성능기준' 제 7 조(합성수지판, 합판 등의 방염 성능 측정 기준 및 방법)에 따른 15 c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cm의 탄화 길이를 충족하는 우수한 방염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건축 자재의 경우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 특성(UL 94 등급)만 요구되지만, 폴리올레핀계 포장재 등의 경우 상기 UL 94 등급의 난연 특성과 함께 불이 다른 곳으로 번지는 것을 막는 방염 특성(탄화 길이)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우수한 난연 특성과 방염 특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건축 자재,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50 % 이상, 또는 60 % 이상, 또는 70 % 이상, 또는 80 % 이상, 또는 50 내지 80 %의 높은 융착율과; 2.5 % 이하, 또는 2.4 % 이하, 또는 2.3 % 이하, 또는 2.2 % 이하, 또는 2.1 % 이하의 낮은 수축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발포 성형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T 다이, 서큘러 다이 등을 장착한 압출기를 이용하는 압출 발포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발포 온도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결정화 온도보다 5 내지 30 ℃ 높은 온도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발포 성형시 높은 융착률과 낮은 수축률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난연성과 방염 특성을 충족하는 발포체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제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성분들을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각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PP: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 248,600)
* Br-FR: 브롬계 난연제 (1,3,5-triazine-2,4,6-triamine hydrobromide)
* P-FR: 인계 난연제 (ammonium polyphosphate)
* N-FR: 질소계 난연제 (melamine cyanurate)
준비된 수지 조성물을 하기 표 4 내지 표 6에 나타낸 온도와 압력 조건 하에서 압출 발포하여 폴리올레핀계 비드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비드를 사용하여 하기 표 7 내지 표 9에 나타낸 성형 압력 하에서 몰드 성형하여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시편을 얻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비드와 발포체의 시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내지 표 9에 나타내었다.
[비드의 물성]
(1) 외관 상태: 비드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면의 공극 유/무와 함몰 또는 수축 여부 등을 평가하여, 그 상태가 양호한 비드의 비율이 90 % 이상인 경우 '○', 70 % 이상 90 % 미만인 경우 '△', 70 % 미만인 경우 'X'로 표시한다.
(2) 밀도(g/L): 23℃ 온도의 물(부피 V1)이 들어간 메스 실린더에 약 200 ml의 발포 입자군를 채취하여 질량(W)을 측정하고 상기 메스 실린더에 담가 부피를 알고 있는 누름봉(V2)을 이용하여 발포 입자를 가라앉힌 후 전체 부피(V3)를 측정해, 채취한 발포 입자의 질량W(g)을 발포 입자군만의 부피(V3-V1-V2)(L)로 나누어 밀도를 구한다.
(3) 셀 사이즈(㎛): 임의로 선택된 3개의 발포 입자를 2등분으로 절단한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20KV, 30배 배율로 관측한 이미지 얻은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Leica Application Suite)을 통해 평균 셀 사이즈를 구한다.
(4) 균일도: 비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크기의 균일한 정도를 균일(○) 또는 불균일(X)로 평가한다.
[발포체의 물성]
(1) 수축율(%): 발포 성형 직후 50℃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눈금자를 사용하여 발포체의 치수(가로, 세로)를 측정하고, 성형에 이용된 몰드의 크기와 비교하여 수축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발포체의 수축율을 측정한다.
(2) 융착율(%): 발포체를 파쇄하여 그 단면을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비드가 융착된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발포체의 융착율을 측정한다. 융착이 잘 된 부분은 비드 표면이 보이지 않고 비드가 갈라지거나 쪼개진 형태로 관찰된다. 융착이 잘 되지 않은 부분은 비드의 표면이 노출되어 관찰이 가능하다.
(3) 방염 특성 - 탄화 길이(cm):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고시 제2015-1호의 '방염성능기준' 제 7 조(합성수지판, 합판 등의 방염 성능 측정 기준 및 방법)에 의거하여, 가로 29 cm, 세로 19 cm 넓이의 시험편을 연소시험장치의 받침틀에 고정한 뒤 65 mm길이의 불꽃의 선단이 시험편 중앙 하단에 접하도록 발생시켜 2분간 가열하는 조건 하에서 불꽃에 의하여 탄화된 부분의 최대 길이를 측정한다.
※ 제 7 조 (합성수지판, 합판 등의 방염 성능 측정 기준 및 방법)
합성수지판, 합판, 인테리어필름 부착 합판 등의 방염성능측정기준 및 방법은 다음 각 호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연소시험장치는 [별도 1]의 연소시험함, [별도 5]의 시험체받침틀, [별도 3]의 전기불꽃발생장치 및 [별도 7]의 맥켈버너를 사용한다.
2. 시험에 사용하는 연료는 KS M 2150(액화석유가스)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시험체는 1.6 ㎡ 이상의 측정대상물품에서 임의로 절취한 가로 29 ㎝, 세로 19 ㎝의 것으로 3개씩 만든다.
4. 시험체의 건조는 (40 ± 2) ℃ 항온건조기안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실리카겔을 넣은 데시케이터안에 2시간 동안 넣어둔다. 다만, 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105 ± 2) ℃의 항온건조기 안에서 1시간 건조한 후 실리카겔을 넣은 데시케이터 안에 2시간 동안 넣어둔 것으로 할 수 있다.
5. 성능시험측정은 다음의 방법에 의한다.
가. 시험체는 시험체받침틀에 고정할 것
나. 버너의 불꽃의 길이는 65 ㎜로 할 것
다. 불꽃의 선단이 시험체 중앙 하단에 접하도록 버너를 설치할 것
라. 가열은 각 시험체에 대하여 2분간 실시할 것
(4) 난연 등급: UL 94 HBF Test(Horizontal Burning Foamed Material Test)에 에 의거하여 불꽃을 가한 후의 연소 시간(afterflame time), 개별 연소시간 + 불똥이 맺힌 시간(after flame time plus Afterglow time for each individual specimen), 적하에 의한 탈지면의 발화(cotton ignition), 개별 연소 길이(damaged length for each individual specimen)를 각각 측정하였고, 그 기준에 따라 3 가지 등급 (HF-1 > HF-2 > HBF)을 부여한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P 96.2 94.9 96.0 96.5
Br-FR 0.8 0.1 1.0 1.5
P-FR 2.0 3.0 2.0 1.0
N-FR 1.0 2.0 1.0 1.0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PP 80.0 75.0 75.0 80.0 95.5
Br-FR - - - - 1.5
P-FR 20.0 20.0 25.0 - 3.0
N-FR - 5.0 - 20.0 -
(중량%)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PP 93.5 93.5 96.5 95.0
Br-FR 1.0 1.0 1.5 -
P-FR 3.5 3.0 - 3.0
N-FR 2.0 2.5 2.0 2.0
비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발포온도(℃)
/압력(bar)
151
/ 30
151
/ 30
151
/ 30
151
/ 30
밀도(g/L) 59 60 63 61
셀 사이즈(㎛) 170 150 150 150
균일도
외관
비드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발포온도(℃)
/ 압력(bar)
151
/ 35
151
/ 35
151
/ 35
151
/ 35
151
/ 30
밀도(g/L) 69 71 72 68 61
셀 사이즈(㎛) 70 70 45 65 150
균일도 X X X X
외관
비드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발포온도(℃)
/압력(bar)
151
/ 30
151
/ 30
151
/ 30
151
/ 30
밀도(g/L) 58 58 58 58
셀 사이즈(㎛) 75 60 150 150
균일도 X X
외관
발포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성형 압력(bar) 3.0 3.0 3.0 3.0
수축율(%) 2.0 2.1 2.1 2.1
융착율(%) 80 80 80 80
탄화길이(cm) 13 15 12 13
난연 등급 HF-1 HF-1 HF-1 HF-1
발포체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성형 압력(bar) 3.5 3.5 3.5 3.5 3.0
수축율(%) 2.7 2.9 3.0 2.8 2.0
융착율(%) 40 30 30 30 80
탄화길이(cm) 22 15 9 - -
난연 등급 HF-1 HF-1 HF-1 HBF fail
발포체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성형 압력(bar) 3.5 3.5 3.0 3.0
수축율(%) 3.0 3.0 2.1 2.2
융착율(%) 40 30 80 80
탄화길이(cm) 15 15 - -
난연 등급 HF-1 HF-1 fail fail
상기 표 4 내지 표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비드는 비교예들에 의한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으면서도 150 ㎛ 이상의 셀 사이즈를 가지며 우수한 외관과 균일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기 표 7 내지 표 9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는 상기 비드를 사용하여 형성됨에 따라 비교예들에 의한 것에 비하여 높은 융착율과 낮은 수축율을 보였으며, 특히 짧은 탄화길이와 높은 난연 등급을 나타내어 난연성과 방염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폴리올레핀 수지 94 내지 97 중량% 및 난연제 3 내지 6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1: 0.6 내지 30: 0.6 내지 2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75 중량%의 브롬계 난연제, 0.5 내지 3.25 중량%의 인계 난연제 및 0.5 내지 2.25 중량%의 질소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아이소부틸렌,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인,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5. 제 4 항에 있어서,
    UL 94 HBF Test에 따른 HF-1 등급 및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고시 제2015-1호의 '방염성능기준' 제 7 조(합성수지판, 합판 등의 방염 성능 측정 기준 및 방법)에 따른 15 cm 이하의 탄화 길이를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6. 제 4 항에 있어서,
    50 내지 80 %의 융착율과 2.5 % 이하의 수축율을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KR1020160119487A 2016-09-19 2016-09-19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KR10185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87A KR101855267B1 (ko) 2016-09-19 2016-09-19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EP17851141.6A EP3517565B1 (en) 2016-09-19 2017-09-19 Resin composition for producing polyolefin-based flame-retardant foam body, and flame-retardant foam body formed therefrom
CN201780055435.8A CN109689750B (zh) 2016-09-19 2017-09-19 用于制备聚烯烃类阻燃发泡制品的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阻燃发泡制品
ES17851141T ES2864410T3 (es) 2016-09-19 2017-09-19 Composición de resina para producir un cuerpo de espuma retardante de la llama a base de poliolefina y cuerpo de espuma retardante de llama formado a partir de la misma
JP2019534622A JP6816288B2 (ja) 2016-09-19 2017-09-19 ポリオレフィン系難燃性発泡体製造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形成された難燃性発泡体
US16/333,525 US10882976B2 (en) 2016-09-19 2017-09-19 Resin composition for preparing polyolefin based flame retardant foamed articles and flame retardant foamed articles therefrom
PL17851141T PL3517565T3 (pl) 2016-09-19 2017-09-19 Kompozycja żywicy do wytwarzania spienionego korpusu na bazie poliolefin o zmniejszonej palności oraz wytworzone z nich spienione korpusy o zmniejszonej palności
HUE17851141A HUE053764T2 (hu) 2016-09-19 2017-09-19 Gyantakészítmény poliolefin alapú égésgátolt habosított test elõállítására és az ezzel készült égésgátolt habosított test
PCT/KR2017/010220 WO2018052267A1 (ko) 2016-09-19 2017-09-19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87A KR101855267B1 (ko) 2016-09-19 2016-09-19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265A KR20180031265A (ko) 2018-03-28
KR101855267B1 true KR101855267B1 (ko) 2018-05-04

Family

ID=6162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87A KR101855267B1 (ko) 2016-09-19 2016-09-19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82976B2 (ko)
EP (1) EP3517565B1 (ko)
JP (1) JP6816288B2 (ko)
KR (1) KR101855267B1 (ko)
CN (1) CN109689750B (ko)
ES (1) ES2864410T3 (ko)
HU (1) HUE053764T2 (ko)
PL (1) PL3517565T3 (ko)
WO (1) WO2018052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5354A (zh) * 2020-08-19 2022-02-22 株式会社钟化 聚烯烃系树脂发泡颗粒及其聚烯烃系树脂发泡成型体
KR102666785B1 (ko) * 2021-09-09 2024-05-17 주식회사 한신에이론 트리아진계 난연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7715A1 (en) * 2010-03-25 2011-09-29 Basf S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of phosphinic acid salts and nitroxyl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5849A (ja) * 1984-05-08 1985-11-22 Japan Styrene Pap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
JPS61103944A (ja) * 1984-10-29 1986-05-22 Mitsubishi Yuka Badische Kk ポリプロピレン発泡体粒子
US4698191A (en) * 1986-01-31 1987-10-06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Methods of producing molded products from foamed polypropylene particles
JP3093552B2 (ja) 1993-12-24 2000-10-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寸法安定性のよい難燃性発泡体製造用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5490B2 (ja) 1997-04-22 2002-09-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AU1263499A (en) * 1997-12-01 1999-06-16 Jsp Corporation Expandable polypropylene resin beads and products of in-mold expansion
JP3950557B2 (ja) * 1998-07-30 2007-08-01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れからの型内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496175B1 (ko) 2002-05-04 2005-06-20 문성철 유독가스 및 연기밀도를 최소화한 난연성 고무/플라스틱발포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4077745B2 (ja) 2003-02-28 2008-04-23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型内発泡成形体
KR100772289B1 (ko) 2006-08-28 2007-11-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난연성 폴리올레핀 가교 발포체 조성물
ATE518907T1 (de) 2007-12-21 2011-08-15 Basf Se Flammhemmende zusammensetzungen mit sterisch gehinderten aminen
KR100910160B1 (ko) * 2009-03-13 2009-07-30 한국신발피혁연구소 폴리올레핀계 발포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발포 시트
CN101824186A (zh) * 2009-12-09 2010-09-08 广州市创至峰塑料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聚丙烯组合物
CN102834445A (zh) * 2010-03-25 2012-12-19 巴斯夫欧洲公司 次膦酸盐和硝酰基衍生物的阻燃剂组合物
US20130085196A1 (en) * 2010-04-27 2013-04-04 Mitsubishi Rayon Co., Ltd. Dispersing agent for additive for polyolefin-based resin,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EP2607416B1 (en) * 2010-08-17 2019-10-02 Furukawa Electric Co., Ltd. Thermoplastic resin foa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 using the same
PL2611860T3 (pl) 2010-08-30 2019-01-31 Kaneka Belgium N.V. Ekspandowana poliolefina zawierająca sproszkowany węgiel aktywowany
CN102020801B (zh) * 2010-11-25 2012-06-13 安吉鼎烽塑料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聚乙烯发泡塑料及制备方法
KR101385030B1 (ko) * 2010-12-30 2014-04-21 제일모직주식회사 불연성 발포 폴리스티렌계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7465B1 (ko) * 2011-01-06 2013-05-3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JP5914141B2 (ja) * 2011-07-29 2016-05-11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発泡体製造方法、及び発泡シール材
JP6370632B2 (ja) * 2014-08-07 2018-08-08 Dmノバフォーム株式会社 水架橋性発泡樹脂組成物並びに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PL3202834T3 (pl) * 2014-10-03 2020-04-30 Kaneka Belgium N.V. Wstępnie spienione cząstki żywicy poliolefinowej, formowanie spienione w formie oraz sposób wytwarzania cząstek i ich formowani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7715A1 (en) * 2010-03-25 2011-09-29 Basf S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of phosphinic acid salts and nitroxyl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7565B1 (en) 2021-01-13
JP6816288B2 (ja) 2021-01-20
CN109689750B (zh) 2021-10-29
PL3517565T3 (pl) 2021-08-02
JP2019529680A (ja) 2019-10-17
US20190256687A1 (en) 2019-08-22
HUE053764T2 (hu) 2021-07-28
KR20180031265A (ko) 2018-03-28
WO2018052267A1 (ko) 2018-03-22
EP3517565A4 (en) 2020-03-11
US10882976B2 (en) 2021-01-05
ES2864410T3 (es) 2021-10-13
CN109689750A (zh) 2019-04-26
EP3517565A1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n et al. Bi-phase flame-retardant effect of hexa-phenoxy-cyclotriphosphazene on rigid polyurethane foams containing expandable graphite
Thirumal et al.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UF: Effect of melamine compounds on mechanical, thermal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KR101731864B1 (ko) 친환경 난연 가교발포 폴리올레핀용 발포성 마스터배치
DE602004000018T2 (de) Flammgeschützte expandierte Polyolefine enthaltend Russ
Modesti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flame retardants on fire behaviour of modified PIR/PUR polymers
EP2743295B1 (en) Polyolefin resin foam particles and in-mold foaming molded body of same
DE60126668T2 (de) Extrudierter styrolharzschaum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0243576B1 (de) Intumeszierende Polysiloxan-Formmassen
EP2611860B1 (en) Expanded polyolefin containing powdered activated carbon
KR101855267B1 (ko)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JP5080849B2 (ja) カーボンブラック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および該カーボンブラック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からなる型内発泡成形体
Liu et al. Preparation of aluminum hydroxide/aluminum phosphinate flame‐retardant poly (vinyl alcohol) foam through thermal processing
JP2008528723A (ja) 難燃剤組成物
KR102422819B1 (ko) 페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US5356983A (en) Particulate ammonium phosphate of small size
Choi et al. Halogen-free flame retarding NBR/GTR foams
KR101919994B1 (ko) 난연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17964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8193141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WO2023181879A1 (ja) 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粒子、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発泡成形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herednichenko et al. New Fire-Retardant Open-Cell Composite Polyurethane Foams Based on Triphenyl Phosphate and Natural Nanoscale Additives
JPH08208875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Gao et al. Regulating the Localization of Intumescent Flame Retardant for Improving the Flame Retardancy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Using Polyamide 6 as a Charring Agent
EP3145988A1 (de) Halogenfreie flammschutzmischungen für polyolefinschaumstoffe
WO2022039076A1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