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02B1 - 박리제 조성물,박리 시트 및 점착체 - Google Patents

박리제 조성물,박리 시트 및 점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02B1
KR101848602B1 KR1020137003219A KR20137003219A KR101848602B1 KR 101848602 B1 KR101848602 B1 KR 101848602B1 KR 1020137003219 A KR1020137003219 A KR 1020137003219A KR 20137003219 A KR20137003219 A KR 20137003219A KR 101848602 B1 KR101848602 B1 KR 10184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release
parts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976A (ko
Inventor
마사미 야마구치
료 다카하시
유다이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린텍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린텍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0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5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박리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B)와, 가교제(C)를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배합량을 A질량부로 하고, 아크릴계 중합체(B)의 배합량을 B질량부로 했을 때, 질량비(A/B)를 50/50 내지 95/5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1454317-pc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이다.

Description

박리제 조성물,박리 시트 및 점착체{PEELING AGENT COMPOSITION, PEELING SHEET, AND ADHESIVE BODY}
본 발명은 박리제 조성물, 박리 시트 및 점착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 부품 용도 등에서 사용되는 비실리콘계의 박리제 조성물, 박리 시트 및 점착체에 관한 것이다.
계전기, 각종 스위치, 커넥터, 모터, 하드 디스크 등의 전기 부품은, 여러 가지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전기 부품에는, 조립시의 가고정이나 부품의 내용 표시 등을 목적으로 하여, 점착 시트가 첩부(貼付)되는 경우가 있다. 점착 시트는 통상, 점착 시트 기재와, 그 기재 위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하는 동시에, 전기 부품 등의 피착체에 첩부되기 전에는, 점착층에 박리 시트가 첩착되어 점착층이 보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박리 시트의 표면(즉, 점착층과의 접촉면)에는, 박리 시트를 벗길 때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박리층이 형성된다. 박리층의 구성 재료로서는, 통상 실리콘 수지가 사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 박리 시트에서는, 박리층 중의 저분자량 실리콘 수지, 실록산, 실리콘 오일 등의 실리콘 화합물이, 점착층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박리 시트는 제조 후 롤상으로 감기는데, 이 때, 박리 시트의 이면과 박리층이 접촉하여, 박리층 중의 실리콘 화합물이 박리 시트의 이면으로도 이행되는 경우가 있다. 박리 시트의 이면으로 이행한 실리콘 화합물은, 박리 시트가 점착 시트에 첩착된 후 롤상으로 감겨질 때, 다시 점착 시트 기재로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층이나 점착 시트 기재로 이행한 실리콘 화합물은, 점착 시트가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되어 전기 제품 등의 피착체에 첩착된 경우, 첩착 후에 서서히 기화되는 경우가 있다. 기화된 실리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전기 부품의 전기 접점부 부근에서 발생하는 아크(arc) 등에 의해, 전기 접점부의 표면 등에 퇴적되어 미소한 실리콘 화합물 층이 되어, 전기 부품에 도전 불량 등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점착 시트가 하드 디스크 장치에 첩부되는 경우에는, 기화된 실리콘 화합물이, 자기 헤드나 디스크 표면 등에도 퇴적되어, 하드 디스크의 판독·기록 불량을 야기할 우려도 있다.
종래, 이러한 실리콘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올레핀 수지계 박리제나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소위 비실리콘계 박리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 참조). 그러나, 이들 비실리콘계 박리제는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박리층 위에 점착제를 직접 도포한 후, 가열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실리콘계 박리제를 사용한 박리 시트는, 롤상으로 감아 보관되어 풀어낼 때 박리 시트 양면간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3365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506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295332호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기 부품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박리 시트를 롤상으로 감아 보관할 때에 박리 시트 양면간의 블로킹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고, 또한, 박리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한 박리제 조성물, 박리 시트 및 점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박리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B)와, 가교제(C)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배합량을 A질량부로 하고, 아크릴계 중합체(B)의 배합량을 B질량부로 했을 때, 질량비(A/B)가 50/50 내지 95/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11454317-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이다.
아크릴계 중합체(B)는 또한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 편이 양호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수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500 내지 10000인 동시에, 아크릴계 중합체(B)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70000 내지 2000000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관능기로서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C)는 다관능 아미노 화합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또는 다관능 금속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C)의 배합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아크릴계 중합체(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1 내지 30질량부인 편이 양호하다. 박리제 조성물은 실리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편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박리 시트는, 기재와, 그 기재 위에 형성되고, 상기한 박리제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박리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nm 내지 2㎛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체는, 상기 박리 시트와, 그 박리 시트의 박리층 위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부품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내블로킹성, 박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박리제 조성물, 박리 시트 및 점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박리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아크릴계 중합체(B)와, 가교제(C)를 함유하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알려져 있는 공지의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수지로서, 2염기산과 2가 알코올의 축합물 또는 불건성유 지방산 등으로 변성한 것인 부전화(不轉化)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2염기산과 3가 이상의 알코올의 축합물인 전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3가 알코올,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만니톨, 소르비트 등의 4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다염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등의 방향족 다염기산, 석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포화 다염기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등의 지방족 불포화 다염기산, 사이클로펜타디엔-무수 말레산 부가물, 테르펜-무수 말레산 부가물, 로진-무수 말레산 부가물 등의 딜즈·알더 반응에 의한 다염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변성제인 불건성유 지방산 등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틸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리시놀레산, 탈수 리시놀레산, 또는 야자유, 아마인유, 오동나무유, 피마자유, 탈수 피마자유, 대두유, 홍화유, 및 이들의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도,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가교제(C)와 반응하기 위해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반응성 관능기는 수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수산기값은, 5 내지 500mgKOH/g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300mgKOH/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수 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0 내지 5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수 평균 분자량이 이와 같이 비교적 낮음으로써, 박리제 조성물이 가교제(C)로 가교되었을 때의 망목 구조가 치밀해지기 쉬워, 아크릴계 중합체(B)의 후술하는 박리면으로의 편석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아크릴계 중합체(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1454317-pc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이다.
알킬기 R2의 탄소수가 12 미만이 되면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중합체(B)에 이형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16을 초과하면 결정성이 높아지는 것 등에 의해 박리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박리제의 박리 성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아크릴계 중합체(B)가 탄소수 12 내지 16의 장쇄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박리제의 박리 성능은 우수하게 된다. 또한, 화학식 1에서, R2는 박리 성능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직쇄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R2의 탄소수는 12 내지 14인 편이 좋다.
화학식 1의 구성 단위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에스테르 부분이 탄소수 12 내지 16의 장쇄 알킬기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팔미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아크릴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B)는 가교제(C)와 반응하기 위해서,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비닐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아크릴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비닐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0.01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내지 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 아미노기, 카복실기, 티올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관능기는 1종 단독으로 함유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관능기 중에서는, 수산기, 아미노기, 카복실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B)는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비닐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그 1차 구조는 랜덤 공중합체라도, 블록 공중합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박리제의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박리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의 비율을 적게 함으로써 박리제를 경박리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1,4-디(메트)아크릴옥시에틸피로멜리트산, 4-(메트)아크릴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벤조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제1급 내지 제2급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티오)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티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나, N-(메트)아크릴로일-p-아미노벤조산, N-(메트)아크릴로일-5-아미노살리실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아크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B)는 상기 구성 단위 이외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아크릴계 중합체(B)에 있어서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0 내지 20질량%이다.
Figure 112013011454317-pc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은 탄소수 1 내지 11의 알킬기이고, 당해 알킬기는 불소 원자,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아크릴계 중합체(B)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70000 내지 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90000 내지 10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량 평균 분자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B)의 후술하는 박리면으로의 편석(偏析)이 일어나기 쉽게 하여, 박리제의 박리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박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배합량을 A질량부로 하고, 아크릴계 중합체(B)의 배합량을 B질량부로 했을 때, 질량비(A/B)는 50/50 내지 95/5의 범위이다. 질량비(A/B)는 상기 범위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비율을 많게 하면, 아크릴 중합체(B)의 박리면에 있어서의 편석이 적어져 박리제의 박리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없다. 한편, 상기한 범위보다 아크릴 중합체(B)의 비율을 많게 하면,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질량비(A/B)는 보다 양호한 박리 성능이나 내블로킹성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60/40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C)는 다관능 아미노 화합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또는 다관능 금속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C)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A)나 아크릴계 중합체(B)의 반응성 관능기 등과 반응함으로써, 박리제를 경화시켜 경화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다관능 아미노 화합물로서는, 메틸화멜라민 수지, 부틸화멜라민 수지 등의 멜라민 수지; 메틸화요소 수지, 부틸화요소 수지 등의 요소 수지; 메틸화벤조구아나민 수지, 부틸화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벤조구아나민 수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N,N'-디페닐에틸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등의 디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트리메틸올프로판(TMP) 어덕트 TDI, TMP 어덕트 HDI, TMP 어덕트 IPDI, TMP 어덕트 XD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N,N',N'-테트라글리시딜메타크실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알루미늄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디이소프로필레이트 등의 알루미늄킬레이트 화합물; 티탄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탄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탄옥틸렌글리콜레이트,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탄, 테트라메톡시티탄 등의 티탄킬레이트 화합물; 트리메톡시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C)의 배합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아크릴계 중합체(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1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제 조성물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염산, p-톨루엔설폰산 등의 공지의 산성 촉매가 가해져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박리제 조성물은, 전기 부품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실리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실리콘 화합물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50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g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는, 기재와, 그 기재 위에 형성된 상기 박리제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으로 구성된다. 박리층은, 예를 들면, 유기 용제 등으로 희석한 박리제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 등에 의해 경화시키고, 기재 위에 형성한다.
박리 시트의 기재로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기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폴리노르보르넨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상질지, 무진지(無塵紙), 글라신지, 클레이 코트지, 수지 코트지, 라미네이트지(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 폴리프로필렌 라미네이트지 등) 등의 종이; 부직포,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내열성이나 강도, 박리층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는 각종 용도나 기재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수지 필름을 기재로서 사용한 경우, 통상, 5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정도이며, 종이 기재를 사용한 경우, 통상, 평량으로서 20 내지 450g/㎡,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20g/㎡ 정도이다. 박리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nm 내지 2㎛이지만, 기재로서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50 내지 300nm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재로서 종이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0.3㎛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는, 상기한 박리 시트와, 이 박리 시트의 박리층 위에 형성된 실리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점착층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실리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실리콘 화합물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것을 말한다.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실질적으로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실리콘계의 점착제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은 박리층 위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점착체는 점착층 위에 형성된, 점착층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지지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기한 박리 시트의 기재로서 예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나 점착체는, 예를 들면 제조된 후 롤상으로 감겨 보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제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형성되는 박리층은, 그 표면(박리면) 부근에, 아크릴계 중합체(B)에 유래하는 성분이 편석하게 된다. 이러한 편석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분자 구조, 극성, 분자량 등이 상이한 아크릴계 중합체(B)가, 박리층이 경화되는 동안 등에 표면 부근으로 밀어 올려짐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크릴계 중합체(B)는 상기 편석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첨가량이 적어도 그 이형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박리층의 박리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은 아크릴계 중합체(B)로 박리층의 양호한 박리 성능을 유지하면서, 배합량이 많은 폴리에스테르 수지(A)에 의해 내블로킹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기재와의 밀착성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아크릴계 중합체(B)에 의해 박리층이 형성됨으로써, 박리층의 내열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박리층 위에 점착제를 직접 도포한 후에 가열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착체나 박리 시트가, 비실리콘 화합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을 전기 부품 용도로 사용해도, 전기 부품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 평균 분자량(Mn) 및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다.
(측정 조건)
GPC 측정 장치: 토소(주) 제조 HLC-8020
GPC 칼럼(이하의 순으로 통과):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 TSK gel G2000HXL(토소(주) 제조)
측정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측정 온도: 40℃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해서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서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99질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질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LA-HEA 공중합체(이하,「중합체 A」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A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10000이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토요보세키사 제조, 상품명 「바이론220」, 수 평균 분자량(Mn): 3000, 수산기값: 50mgKOH/g)를 톨루엔에 용해하고, 35질량% 농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을 제작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68질량부(고형분 환산)와, 중합체 A의 용액 32질량부(고형분 환산)와, 가교제로서의 멜라민 수지(코토부키가코사 제조, 상품명 「TF200」, 고형분 80질량%) 7질량부(고형분 환산)와, 톨루엔:메틸에틸케톤(MEK)=30:70(질량비)의 혼합 용매 2115질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후, 또한 촉매로서의 p-톨루엔설폰산의 메탄올 용액(p-톨루엔설폰산 50질량% 함유)을 2.8질량부 첨가, 교반하여 고형분 농도 2.5질량%의 도포액 1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도포액 1을, 기재로서의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위에, 메이어 바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50nm가 되도록 도포한 후, 150℃에서 1분간 건조시켜 경화시킴으로써 기재 위에 박리층을 형성하고, 기재 및 박리층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도포액 1의 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81질량부(고형분 환산), 중합체 A의 용액 19질량부(고형분 환산), 멜라민 수지 7질량부(고형분 환산)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2(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도포액 1의 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90질량부(고형분 환산), 중합체 A의 용액 10질량부(고형분 환산), 멜라민 수지 7질량부(고형분 환산)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3(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LA 97질량부, HEA 3질량부, AIBN 0.2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LA-HE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B」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B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1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B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4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LA 90질량부, HEA 10질량부, AIBN 0.2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LA-HEA 공중합체(이하,「중합체 C」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C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11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C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5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미리스틸아크릴레이트(MyA) 99질량부, HEA 1질량부, AIBN 0.2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MyA-HEA 공중합체(이하,「중합체 D」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D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4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D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6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LA 99질량부, HEA 1질량부, AIBN 0.073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70℃에서 5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LA-HEA 공중합체(이하,「중합체 E」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E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40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E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7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LA 99질량부, HEA 1질량부, AIBN 0.2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18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LA-HE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F」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F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87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F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8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9]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LA 99질량부,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질량부, AIBN 0.073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LA-4HB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G」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G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3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G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9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MyA 99질량부, 4HBA 1질량부, AIBN 0.063질량부, 아세트산에틸 2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MyA-4HB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H」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H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21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H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0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MyA 99질량부, HEA 1질량부, AIBN 0.09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MyA-HE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I」이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I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27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I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1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MyA 99질량부, HEA 1질량부, AIBN 0.063질량부, 아세트산에틸 2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MyA-HE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J」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3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J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48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J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2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도포액 1의 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65질량부(고형분 환산), 중합체 A의 용액 35질량부(고형분 환산), 멜라민 수지 16질량부(고형분 환산)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3(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도포액 1의 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65질량부(고형분 환산), 중합체 D의 용액 35질량부(고형분 환산), 멜라민 수지 16질량부(고형분 환산)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4(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도포액 1의 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46질량부(고형분 환산), 중합체 A의 용액 54질량부(고형분 환산), 멜라민 수지 7질량부(고형분 환산)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9(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를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도포액 1의 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99질량부(고형분 환산), 중합체 A의 용액 1질량부(고형분 환산), 멜라민 수지 7질량부(고형분 환산)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0(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교반기,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냉각관을 구비한 1리터의 플라스크에,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StA) 99질량부, HEA 1질량부, AIBN 0.2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기류하, 80℃에서 2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StA-HEA 공중합체(이하, 「중합체 G」이라고 한다)의 용액(고형분 50질량%)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G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이었다. 그리고, 도포액 1의 배합에 있어서 중합체 A의 용액을 중합체 G의 용액으로 변경하여 수득한 도포액 11(고형분 농도 2.5질량%로 조제)을 사용하여 박리층을 형성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박리 시트를 수득하였다.
[점착체의 제작]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수득한 박리 시트의 박리층 위에, 아크릴계 점착제(토요잉크제조사 제조, 상품명 「오리바인 BPS-5127」)를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도포한 후, 100℃에서 120초간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두께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그 점착층에, 지지체로서의 평균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합하여 점착체를 수득하였다.
[평가 방법]
[박리력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박리 시트를 사용한 각 점착체에 있어서, 박리 시트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박리력의 측정은, JIS-Z0237에 준거하여, 점착체를 폭 20mm, 길이 200mm로 재단하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지지체 및 점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박리 시트를 300mm/분의 속도로 180°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내블로킹성 평가]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수득된 박리 시트에 관해서, 폭 20mm, 길이 18cm로 재단한 2장의 박리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3cm 어긋나게 하고, 또한 박리층 표면과 기재 표면이 접촉하도록 포갰다. 다음에, 이 포갠 2장의 박리 시트에, 100g/c㎡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60℃의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2장의 박리 시트 중 한쪽의 박리 시트를 고정시키고, 인장 시험기에 의해 다른쪽의 박리 시트를 60mm/분의 속도로 반대 방향으로 인장하여, 박리에 요하는 전단력을 측정하고, 이하의 3단계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A: 박리에 요하는 전단력이, 1N/㎡보다도 작고, 스무스하게 박리할 수 있는 레벨이다.
B: 박리에 요하는 전단력이, 1N/㎡ 이상 5N/㎡ 미만이고, 블로킹이 약간 나타나지만 실용상 문제없는 레벨이다.
C: 박리에 요하는 전단력이, 5N/㎡ 이상이며, 블로킹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레벨이다.
[배합표]
Figure 112013011454317-pct00004
[평가 결과]
Figure 112013011454317-pct0000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4에 있어서는, 박리 시트의 박리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내블로킹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2에서는, 박리제의 아크릴 중합체의 배합량을 많게 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적게 했기 때문에, 블로킹이 발생하거나 또는 박리 불량이 발생하여, 양호한 성능을 갖는 박리 시트를 수득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아크릴계 중합체(B)가 탄소수가 16을 초과하는 알킬기를 가졌기 때문에, 박리력이 지나치게 커져 양호한 박리 성능을 갖는 박리 시트를 수득할 수 없었다.

Claims (13)

  1.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B)와, 가교제(C)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배합량을 A질량부로 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B)의 배합량을 B질량부로 했을 때, 질량비(A/B)가, 60/40 내지 90/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89128875-pc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B)가, 또한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B)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2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가, 관능기로서 수산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C)가, 다관능 아미노 화합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또는 다관능 금속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C)의 배합량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1 내지 3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의 양이 50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제 조성물.
  9. 기재와, 그 기재 위에 형성되고,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리제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의 두께가, 50nm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11. 제9항에 기재된 박리 시트와, 그 박리 시트의 박리층 위에 형성된 실리콘 화합물의 양이 500㎍/㎡ 이하인 점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체.
  12. 기재와, 그 기재 위에 형성되고, 제8항에 기재된 박리제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시트.
  13. 제10항에 기재된 박리 시트와, 그 박리 시트의 박리층 위에 형성된 실리콘 화합물의 양이 500 ㎍/㎡ 이하인 점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체.
KR1020137003219A 2010-08-11 2011-08-03 박리제 조성물,박리 시트 및 점착체 KR101848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0428 2010-08-11
JP2010180428 2010-08-11
PCT/JP2011/067735 WO2012020673A1 (ja) 2010-08-11 2011-08-03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976A KR20130100976A (ko) 2013-09-12
KR101848602B1 true KR101848602B1 (ko) 2018-04-13

Family

ID=4556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19A KR101848602B1 (ko) 2010-08-11 2011-08-03 박리제 조성물,박리 시트 및 점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30024A1 (ko)
JP (1) JP5842309B2 (ko)
KR (1) KR101848602B1 (ko)
CN (1) CN103052697B (ko)
SG (1) SG187127A1 (ko)
TW (1) TWI526495B (ko)
WO (1) WO2012020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3843B2 (ja) * 2010-08-30 2015-05-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体及び剥離シート
JP6042251B2 (ja) * 2013-03-28 2016-12-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204132B2 (ja) * 2013-09-24 2017-09-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
US10597554B2 (en) 2014-04-17 2020-03-24 Ppg Industries Ohio, Inc. Primer coating composition
JP6502644B2 (ja) * 2014-10-14 2019-04-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シート
JP6693412B2 (ja) * 2014-12-18 2020-05-13 東洋紡株式会社 離型層、離型層を備える成形体および離型剤
KR101992704B1 (ko) * 2015-02-24 2019-06-25 린텍 코포레이션 박리제 조성물, 박리 시트, 편면 점착 시트 및 양면 점착 시트
JP6402061B2 (ja) * 2015-03-30 2018-10-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
JP6299829B2 (ja) * 2015-10-20 2018-03-2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離型フィルム及び離型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US20180312729A1 (en) * 2015-11-06 2018-11-01 Lintec Corporation Release agent composition, release sheet, and adhesive body
JP6756432B2 (ja) * 2016-03-14 2020-09-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JP6471712B2 (ja) * 2016-03-19 2019-02-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7192265B2 (ja) * 2017-06-27 2022-12-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剥離性フィルム
WO2019004209A1 (ja) * 2017-06-27 2019-01-0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剥離性フィルム
JP7259214B2 (ja) * 2018-05-31 2023-04-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剥離性フィルム
JP7172468B2 (ja) * 2017-11-17 2022-11-16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剥離コーティング剤、及び剥離フィルム
CN110938339B (zh) * 2018-09-25 2022-06-14 日本化工涂料株式会社 热固性离型涂层剂和层压膜
JP6785924B2 (ja) * 2018-09-25 2020-11-18 日本化工塗料株式会社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フィルム
JP7038184B2 (ja) * 2019-12-20 2022-03-17 日本化工塗料株式会社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体、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JP7400748B2 (ja) * 2020-01-29 2023-12-19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熱硬化剥離コーティング剤、硬化物、並びに熱硬化剥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52121A (ja) * 2020-03-24 2021-09-30 日本化工塗料株式会社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体
CN115279589A (zh) * 2020-03-27 2022-11-01 东洋纺株式会社 脱模薄膜和其制造方法
JP7506536B2 (ja) 2020-06-29 2024-06-26 大塚化学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および剥離フィル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613A (ja) * 2004-01-09 2005-07-21 Lintec Corp 剥離シート
JP2010144046A (ja) * 2008-12-18 2010-07-01 Lintec Corp 離型剤及び離型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031A (en) * 1972-05-10 1976-06-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int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H05117605A (ja) * 1991-10-28 1993-05-14 Nitto Denko Corp 剥離性処理層、粘着部材及びセパレータ
JPH05295332A (ja) * 1992-04-15 1993-11-09 Ipposha Oil Ind Co Ltd 剥離処理剤
JP3690892B2 (ja) * 1996-12-26 2005-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US5840827A (en) * 1998-03-11 1998-11-24 Morton International, Inc. Low molecular weight hydroxy functional polyesters for coatings
JP2000008094A (ja) * 1998-06-18 2000-01-11 Nitto Denko Corp 剥離剤、セパレータ及び粘着部材
JP3795478B2 (ja) * 2003-07-04 2006-07-12 新中村化学工業株式会社 剥離処理剤
US7312293B2 (en) * 2004-05-24 2007-12-25 Lintec Corporation Release agent composition and release liner
JP2007002092A (ja) * 2005-06-23 2007-01-11 Kyoeisha Chem Co Ltd 共重合プレポリマーが架橋した離型剤
JP5000126B2 (ja) * 2005-11-15 2012-08-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および剥離材
US7947361B2 (en) * 2006-01-17 2011-05-24 Lintec Corporation Releas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film
US20100021669A1 (en) * 2006-09-26 2010-01-28 Lintec Corporation Releas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
EP2085440A1 (en) * 2008-01-31 2009-08-05 Cytec Italy, S.R.L. Powd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613A (ja) * 2004-01-09 2005-07-21 Lintec Corp 剥離シート
JP2010144046A (ja) * 2008-12-18 2010-07-01 Lintec Corp 離型剤及び離型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0673A1 (ja) 2012-02-16
TW201217456A (en) 2012-05-01
SG187127A1 (en) 2013-02-28
CN103052697B (zh) 2015-01-07
TWI526495B (zh) 2016-03-21
KR20130100976A (ko) 2013-09-12
CN103052697A (zh) 2013-04-17
JP5842309B2 (ja) 2016-01-13
US20130130024A1 (en) 2013-05-23
JPWO2012020673A1 (ja)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02B1 (ko) 박리제 조성물,박리 시트 및 점착체
JP6382438B2 (ja)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片面粘着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シート
KR102036463B1 (ko) 점착 시트
JP6756432B2 (ja)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JP6838814B2 (ja)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及び粘着体
JP6402061B2 (ja)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
JP6502644B2 (ja)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シート
KR102579623B1 (ko) 점착 필름, 폴더블 디바이스 및 롤러블 디바이스
TW202041617A (zh) 剝離紙或剝離薄膜用樹脂組成物,及剝離紙或剝離薄膜
CN105008478B (zh) 双面粘贴片
JP2005154531A (ja) 低アウトガス粘着シート
JP6993543B1 (ja) 保護フィルム、フォルダブルデバイス、および、ローラブルデバイス
JP2019209528A (ja) 剥離性フィルム
JP5713843B2 (ja) 粘着体及び剥離シート
JP7036488B2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WO2018101335A1 (ja) 両面粘着シート、及び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0110772A1 (ja) 粘着フィルム、フォルダブルデバイス、および、ローラブルデバイス
JP4397852B2 (ja) 剥離剤組成物および剥離材
JP2004315591A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